KR101845009B1 -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009B1
KR101845009B1 KR1020170128039A KR20170128039A KR101845009B1 KR 101845009 B1 KR101845009 B1 KR 101845009B1 KR 1020170128039 A KR1020170128039 A KR 1020170128039A KR 20170128039 A KR20170128039 A KR 20170128039A KR 101845009 B1 KR101845009 B1 KR 10184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sensing
extend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Priority to KR102017012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0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0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fire detection and status information even if a separate device is not installed, through a detection analysis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fire detection terminals installed in a fire weak area or a building, and minimize accident damage by smooth settlement and rapid follow-up measures in case of a fire accident by providing a fast and complet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Description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취약 구역이나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용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감지분석부를 통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화재 감지 및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화재사고에 대비한 신속하고 완벽한 자동 화재진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화재사고 시 원활한 수습과 신속한 후속조치로 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ire de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fire detection device that detects a fire without a separate device through a detection analysis unit connected wirelessly with fire detection terminals installed in a f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capable of monitoring information and establishing a quick and complete automatic fire evacuation system in preparation for a fire accident so as to minimize the damage of an accident due to smooth closure and quick follow-up in case of a fire accident.

일반적으로 소방관리에 사용되는 화재감지기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직/간접적으로 관리자 또는 소방관제센터로 화재경보를 한다. In general, a fire detector used in fire fighting management detects a fire and directs a fire signal directly or indirectly to a manager or a fire department center.

이때, 화재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옥내외의 소화설비인 스프링클러를 제어하여 화재를 진압한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fire signal, the sprinkler, which is a fire extinguishing system inside and outsid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to suppress the fire.

이러한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소방시설이 설치된 건물의 내외에 다수의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이들 화재감지기간에 상호통신이 불가능하여 건물이용자에게 신속한 화재정보를 전달할 수 없고, 특히 화재의 최초 발생시간 및 발생장소가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Such a general fire detector is incapable of communicating the fire information to the building user in a short time even though a plurality of receiver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where the fire fighting facility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ce is not delivered.

또한,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화재감지 및 화재를 알리는 것에 국한되어 있고, 다른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호적으로 작용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a general fire detector is limited to notifying fire detection and fire, and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teract with other systems an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또한, 각 지역의 소방관서에서는 119 지령실 및 관제센터를 운영하면서 화재신고 또는 화재 인식시 GPS, GIS 등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위치 및 주변 정보는 인지할 수 있으나, 현재 화재 상황에 대해서는 실시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In addition, in the local firefighters' offices, 119 command and control centers are operated, and in case of fire notification or fire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location and surrounding information of fire by using GPS, GIS, etc. However, There is no system.

이는 현행 소방 관련법에 의거 시설된 각종 화재 감시 시스템에서는 화재감지기가 디지털 감지기로 교체되지 못하고 기존의 아날로그식 감시기로 운영되고 있어 실시간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일부 지하철역, 호텔, 백화점 등에서 고가의 디지털 감지기를 쓰고 있지만 설치 비용 및 운영상의 문제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is is because the fire detector is not replaced with the digital detector in the various fire monitoring systems established under the current firefighting law, and it is operated as the conventional analog type monitor, so that real-time fire detection is not performed. In some subway stations, hotels, department stores, Detector is used but it is not put into practical use due to installation cost and operational problem.

그리고 일정 규모 이하의 건축물에 대하여, 현행 소방 관련법상 자동화재 탐지 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기 때문에, 소규모 양로원, 고아원, 재래시장 등은 화재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화재를 조기에 발견하지 않는다면 화재 발생시 물적, 인적 피해가 커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in the existing fire prevention laws for a building of a certain size or smaller, a small nursing home, an orphanage, and a traditional market are vulnerable to fire. , Human damage will increase.

따라서 고가의 장비나 별도의 화재관제센터를 운영하지 않더라도 인터넷을 활용하여 화재에 취약한 소규모 건물, 즉 양로원, 고아원, 재래시장 등의 화재를 실시간 감지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Therefore, a system for real-time detection and monitoring of fires in small buildings vulnerable to fire, such as nursing homes, orphanages, and traditional markets, using the Internet, should be developed even if expensive equipment or a separate fire control center is not operat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0156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0156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취약 구역이나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용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감지분석부를 통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화재 감지 및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화재사고에 대비한 신속하고 완벽한 자동 화재진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화재사고 시 원활한 수습과 신속한 후속조치로 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re detection system and a fire detec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fire detection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the damage of an accident due to a smooth and rapid follow-up action in case of a fire accident by constructing a quick and complete automatic fire evasion system in preparation for a fire acciden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는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천장의 내부에 구비된 공급수관에 연결되어 연장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장수관에 연결되어 일정 반경을 무인 비행 하도록 구비되며, 전방에는 해당 건축물의 내부를 향하여 고압으로 방화수를 뿜어내는 분사노즐과, 측면에는 해당 건축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도록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센서들로부터 실시간 화재 정보를 수신하여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감지단말기를 구비한 연장살수부 및 상기 연장살수부의 감지단말기와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실시간 화재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며, 화재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되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감지단말기가 구비된 연장살수부로 구동 신호를 송출하여 화재 발생 지점을 향하여 비행하면서 고압의 방화수가 뿜어지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관제센터 또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단말기에 무선통신으로 통보하는 감지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smart fire sen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ceiling inside a building, and is connected to an extension water pipe of a flexible material extending to a supply water pipe provided inside a ceil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fire water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n front of the building and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fire of the building is generated, The real time fire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are received and monitor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extended watering part having the sensing terminal for receiving the real time fir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part and the sensing terminal of the extended watering part,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A control unit that sends a driving signal to an extended watering part provided with a terminal and controls the high pressure fire water to be blown while flying toward a fire point and informs an external control center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an analysis unit.

상기 감지단말기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설치되는 것으로, 주변의 일정 범위를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며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영상촬영부, 주변의 유독가스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유독가스감지부, 주변의 연기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연기감지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온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terminal is installed with a unique address. The sensing terminal is composed of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certain range of the surrounding area. The sensing terminal transmits a captured image to a sensing and analyzing unit in real time.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in real time. .

상기 감지분석부는 상기 감지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유독가스 농도, 연기 농도 또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화재 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 대한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화재 상황을 확인하고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건축물에 설치된 감지단말기들의 설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정보수집부, 상기 단말정보수집부를 통하여 수집된 감지단말기의 설치 위치가 실내 지도에 매핑되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감지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유독가스 농도, 연기 농도 또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화재분석부, 상기 화재분석부를 통해 화재 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의 설치 위치를 실내 지도에 매핑시켜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화재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the concentration of toxic gas, smoke concentration, 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terminal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and based on fire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where the sensing terminal senses fire occurrence A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sensing terminal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nsing terminals collect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smoke analyzing unit for determining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a toxic gas concentration, a smoke concentration, or a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ing terminal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one sensing terminal is indicated on the indoor map Doping may be configured by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a fire to be displayed with different colors.

상기 감지분석부는 연장살수부의 감지단말기에 구비된 영상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실제 화재발생 영역과 방화수가 뿜어지는 영역이 일치하도록 연장살수부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may readjust the position of the extended water spraying unit so that the actual fire generation area and the sprayed water discharge area coincide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shooting unit provided in the sensing terminal of the extended spraying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에 따르면 화재 취약 구역이나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감지용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감지분석부를 통해,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화재 감지 및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화재사고에 대비한 신속하고 완벽한 자동 화재진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서, 화재사고 시 원활한 수습과 신속한 후속조치로 사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fire detection and status information even if a separate device is not installed through the detection analysis unit connected wirelessly with the fire detection terminals installed in the fire-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accident due to the smooth detonation and quick follow-up in case of a fire accident by establishing a quick and complete automatic fire evacuation system in case of a fire accid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가 구비된 건물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를 이루는 연장살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를 이루는 감지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를 이루는 감지분석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를 통한 화재 대피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를 통하여 출구로의 대피가 가능한 경우 대피 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가 구비된 건물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inside of a building equipped with a smart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tension water spraying part of a smart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sensing terminal constituting a smart fir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nsing analysis unit constituting a smart fir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e escape process through a smart fir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vacuation path when evacuation to an exit through a smart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8 and 9 are views showing the exterior of a building equipped with a smart fir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연장살수부(90), 감지단말기(100), 감지분석부(300), 거주단말기(500), 관리자단말기(700), 무인비행체(800) 및 관제센터(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6, the smart fire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water sprinkler 90, a sensing terminal 100, a sensing analysis unit 300, a residence terminal 500, An administrator terminal 700, an unmanned aerial vehicle 800, and a control center 900.

제1연장살수부(90)는 건축물 내부의 천장(7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이며, 천장(71)의 내부에 구비된 공급수관(75)에 연결되어 연장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장수관(80)에 연결되어 일정 반경을 무인 비행 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중공의 관체이며 상기 연장수관(80)에 연결되어 방화수를 공급받는 공급관(21)과, 상기 공급관(21)의 전방에 일정 반경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건축물의 내부를 향하여 고압으로 방화수를 뿜어내는 분사노즐(23)과, 상기 공급관(21)의 측면에 90도 간격으로 구비된 모터(30)와, 상기 모터(30)의 상부 구동축에 연결되어, 모터(30)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된 프로펠러(35)와, 감지분석부(3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21)의 측면에 구비되어 분사노즐(23)이 회전되도록 제어하거나, 분사노즐(23)로 방화수가 분사되도록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30)를 구동하여 프로펠러(35)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unit 90 is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71 inside the building at regular intervals and is connected to a supply water pipe 75 provided in the ceiling 71, (2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80) and flying in a predetermined radius for unmanned flight, and having a hollow tube body connected to the extension water pipe (80) to receive the fire water, And a motor (30) provided at a side of the supply pipe (21) at 90-degree intervals. The motor (30) is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supply pipe (21) A propeller 35 connected to the upper drive shaft of the motor 30 for rotating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30 and connected to the sensing analysis unit 300 wirelessly, The injection nozzle 23 is controlled to be rotated And controlling the valv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 to the spray nozzle 23, and by driving the motor 30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unit 25 such that the propeller 35 is rotated.

상기 연장수관(80)은 방수 처리가 된 천 재질 또는 얇은 플라스틱 재질 등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좌우로 자바라 형태로 수축 및 연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elongated water pipe 80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waterproof cloth or a thin plastic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hrunk and extended in a bellows shape up, down, left, and right.

감지단말기(100)는 제1연장살수부(90)의 공급관(21)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당 건축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도록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센서들로부터 실시간 화재 정보를 수신하여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한다.The sensing terminal 10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ly pipe 21 of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unit 9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of the building is detected, And transmits it to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상기 제1연장살수부(90)가 건축물 내부의 천장(71)의 내부에 구비된 공급수관(75)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각각 구비되므로, 감지단말기(100)도 건축물 내부의 통로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상태가 된다.Since the first extended water sprinkling part 9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upply water pipe 75 provided inside the ceiling 71 inside the building so that the sensing terminal 100 is also provided with a constant So that they are provided at intervals.

이러한 감지단말기(100)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를 가지는 것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촬영부(101), 유독가스감지부(103), 연기감지부(105), 온도감지부(107), 인체감지부(109), 산소감지부(111), 산소공급부(113), 비상조명부(115), 마이크부(117), 스피커부(119), 방향지시부(121), 거주단말기연결부(123) 및 경로알림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each of the sensing terminals 100 has a unique address, and includes an image capturing unit 101, a toxic gas sensing unit 103, a smoke sensing unit 105, a temperature sensing unit 107, A human body detecting unit 109, a sound detecting unit 111, an oxygen supplying unit 113, an emergency lighting unit 115, a microphone unit 117, a speaker unit 119, a direction instructing unit 121, And a route informing unit 125. [

영상촬영부(101)는 주변의 일정 범위를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며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고, 유독가스감지부(103)는 주변의 유독가스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고, 연기감지부(105)는 주변의 연기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고, 온도감지부(107)는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한다. The image capturing unit 101 comprises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certain range of the surroundings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in real time. The toxic gas detecting unit 103 detects the toxic gas presence and concentration The smoke sensing unit 105 sens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oke in the surroundings and transmits the sensing result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in real time.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07 senses the presence / And transmits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in real time.

인체감지부(109)는 주변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는 것으로, 특히 화재가 발생하여 사람들을 구조하려할 때, 구조가 필요한 사람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산소감지부(111)는 주변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고, 산소공급부(113)는 산소감지부(111)를 통하여 일정한 레벨 이하로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 감지분석부(300)를 통한 원격 제어를 통하여 미리 충전된 산소를 실내 공간으로 방사되도록 한다.The human body detection unit 109 detects presence of a nearby person and transmits it to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in real time. In particular, when a fire occurs to rescue people, And the oxygen sensor 113 senses the concentration of oxygen around the sensor and transmits the oxygen concentration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in real time. The oxygen is preliminarily radiated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remote control through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

상기 산소공급부(113)로 공급되는 산소는 원격지로부터 호스, 파이프 등으로 연결되어 공급될 수 있다.Oxygen supplied to the oxygen supply unit 113 may be supplied from a remote site by connecting with a hose, a pipe, or the like.

따라서, 화재 발생 시 대비하는 사람들이 산소가 부족하여 호흡이 곤란해질 때, 산소공급부(113)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질식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oxygen can be supplied from the oxygen supply unit 113 when the person preparing for the fire is short of oxygen due to difficulty in breathing,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uffocation.

비상조명부(115)는 주변의 조도가 일정한 조도 이하로 떨어지면 미리 충전된 전원으로 점등되는 것으로, 특히 야간 화재 시 전기 시설이 작동되지 않을 때, 조명을 점등시켜 사람들이 대피하는데 신속한 대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emergency lighting unit 115 is turned on with a pre-charged power source when the ambient illumination falls below a certain level of illumination.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ic facility is not operated during a nighttime fire, the emergency lighting unit 115 is turned on do.

마이크부(117)는 주변의 음향을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는 것으로, 특히 화재 시 주변에 사람들이 있으면 이들의 소리가 마이크부(117)를 통해 입력되어 감지분석부(300)로 전달되면, 감지분석부(300)는 해당 마이크부(117)를 구비한 감지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microphone unit 117 receives ambient sounds and transmits them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in real time.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people in the vicinity of the fire, the sounds ar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unit 117, 300,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sensing terminal 100 having the microphone unit 117 so that a quick structure can be achieved.

스피커부(119)는 외부로부터 전달된 음향을 출력하는 것으로 화재 시 감지분석부(300)로부터 전달되는 대피에 대한 안내방송이 출력되어 사람들이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방향지시부(121)는 바닥이나 벽면에 화살표 등으로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것으로, 감지분석부(300)로부터 대피를 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전달받아 해당 방향으로 화살표 등으로 표시되도록 한다.The speaker unit 119 outputs sound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announcement about the evacuation conveyed from the fir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is outputted so that people can be evacuated quickly. The direction instructing unit 121 An optimal path for evacuation from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is received and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y an arrow or the like.

거주단말기연결부(123)는 건축물 내부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의 거주단말기(500)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으로 통신 연결이 되도록 하며, 경로알림부(125)는 감지분석부(300)로부터 전달받은 대피를 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거주단말기(500)로 전달시키는 것으로, 건축물 내에 거주자들은 화재 시 거주단말기(500)에 표시되는 최적의 경로를 따라서 안전한 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sidence terminal connection unit 123 communicates with the residence terminal 500 such as a smartphone or a smart pad residing in the residence through WiFi or Bluetooth and the route announcement unit 125 is connected to the sensing analysis unit 300 To the residence terminal 500 so that residents can safely evacuate along the optimal route displayed on the residence terminal 500 in the event of a fire.

상기 감지단말기(100)는 무선통신용 모듈(미도시)을 구비하며, 지그비(Zigbee) 방식 또는 와이파이(WiFi) 방식을 포함하여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하고, 무선통신 방식은 이외에도 공중 통신망인 3G, 4G, 5G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sensing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including a Zigbee method or a WiFi metho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a 3G, 4G , 5G, and the like.

상기 감지단말기(100)는 주변 감지단말기(100)들끼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하여 서로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sensing terminal 100 may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peripheral sensing terminals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아울러 감지단말기(100)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미도시)가 구비되며, RFID 태그는 화재발생 시 감지단말기(100)에 대한 위치정보를 RF신호로 발생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sensing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not shown), and the RFID tag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on the sensing terminal 100 as an RF signal when a fire occurs.

감지분석부(300)는 상기 제1연장살수부(90)의 감지단말기(100)와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실시간 화재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며, 화재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되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감지단말기(100)가 구비된 제1연장살수부(90)로 구동 신호를 송출하여 화재 발생 지점을 향하여 일정 반경 비행을 하면서 고압의 방화수가 뿜어지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외부의 관제센터(900) 또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단말기(700)에 무선통신으로 통보하며, 이어서, 화재 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100)의 위치가 파악되면, 화재 발생이 감지되지 않은 감지단말기(100)끼리 연결하여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까지의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하여 감지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감지단말기(100)는 거주자의 거주단말기(500)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전달한다.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receives and monitors real-time fire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nsing terminal 100 of the first extended water sprinkling unit 90, It sends a driving signal to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unit 90 provided with the sensing terminal 100 in which a fire is detected, controls the high-pressure fire water to be blown while flying a certain radius toward the point of fire occurrenc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the fire is notified to the external control center 900 or the preset administrator terminal 700 by wireless communication. Then, when the position of the sensing terminal 100 that senses the fire occurrence is detected, The sensing terminal 100 which has not been connected to the sensing terminal 100 establishes an optimal evacuation path to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sensing terminal 10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Delivers the optimum evacuation routes in living person terminal 500. The

이러한 감지분석부(3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정보수집부(301), 디스플레이부(303), 화재분석부(305), 화재표시부(307), 경로설정부(309), 경로전달부(311), 소방시설표시부(313), 소방시설구동부(315), 방화문표시부(317), 방화문구동부(319), 무인비행체 표시부(321), 무인비행체 구동부(323), 제1분사노즐 구동부(331), 제2분사노즐 구동부(333), 제3분사노즐 구동부(335), 제1연장살수 구동부(351), 제2연장살수 구동부(3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5,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includes a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1, a display unit 303, a fire analysis unit 305, a fire display unit 307, a path setting unit 309, The fire fighting apparatus display unit 311, the fire fighting apparatus display unit 313, the fire fighting facility driving unit 315, the fire door display unit 317, the fire door driving unit 319,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isplay unit 321, the unmanned air vehicle driving unit 323, A second spray nozzle driver 333, a third spray nozzle driver 335, a first extended spray driver 351 and a second extended spray driver 353. The first spray nozzle driver 331, the second spray nozzle driver 333, the third spray nozzle driver 335,

단말정보수집부(301)는 제1연장살수부(90)에 구비된 상기 감지단말기(100)들의 설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디스플레이부(303)는 상기 단말정보수집부(301)를 통하여 수집된 감지단말기(100)의 설치 위치를 실내 지도 등에 매핑시켜 표시한다.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1 collects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terminals 100 provided in the first extended water sprinkling unit 90 and the display unit 303 collects And map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nsing terminal 100 to an indoor map or the like.

이때 감지단말기(100)들의 설치 위치가 제1연장살수부(90)의 설치 위치가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ing terminals 100 become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extended water sprinkling portion 90.

화재분석부(305)는 각각의 감지단말기(100)의 유독가스감지부(103), 연기감지부(105), 온도감지부(107), 산소감지부(113)를 통하여 화재 및 방재 상황을 감지하고자 하는 위치의 화재관련 값을 모니터링하게 되며, 감지단말기(100)의 유독가스감지부(103)를 통하여 감지되어 전달되는 유독가스 농도, 감지단말기(100)의 연기감지부(105)를 통하여 감지되어 전달되는 연기 농도, 감지단말기(100)의 온도감지부(107)를 통하여 감지되어 전달되는 온도 또는 감지단말기(100)의 산소감지부(113)를 통하여 감지되어 전달되는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The fire analysis unit 305 analyzes the fire and disaster situation through the toxic gas sensing unit 103, the smoke sensing unit 105,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07, and the mountain sensing unit 113 of each sensing terminal 100 The concentration of the toxic gas detect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toxic gas sensing unit 103 of the sensing terminal 100 is monitored through the smoke sensing unit 105 of the sensing terminal 100 The smoke concentration detected and transmitted is detect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07 of the sensing terminal 100 or the oxygen concentra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113 of the sensing terminal 100 is set in advance If it is outside the range, it is judged that a fire has occurred.

상기 화재분석부(305)는 유독가스 농도, 연기 농도, 온도 또는 산소 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유독가스 농도, 연기 농도, 온도 및 산소 농도 모두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것이 가장 정확하게 판단된 것일 수 있다.The fire analysis unit 305 can determine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at least one of the toxic gas concentration, the smoke concentration, the temperature, and the oxygen concentration is out of a preset range, and can determine that a toxic gas concentration, a smoke concentr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e has been judged to be the most accurately judged to be caused by the deviation from the predetermined range.

특히, 화재분석부(305)는 화재 발생을 인지한 경우, 감지단말기(100)의 유독가스감지부(103)를 통하여 감지된 화재에 의한 유독가스를 분석하여 화재 원인 물질을 판단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fire analyzer 305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fire analyzer 305 can analyze the toxic gas caused by the fire detected through the toxic gas sensing unit 103 of the sensing terminal 100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fire.

예를 들면, 화재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A급, B급, C급 및 D급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A급 화재는 일반화재로 연소 후 재를 남기는 화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인 화재로 목재, 종이, 섬유 등의 가연물 화재를 의미한다.For example, the type of fire can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Class A, Class B, Class C and Class D, and Class A fire means a fire that leaves ashes after burning as a general fire. , Paper, and fibers.

B급 화재는 유류 화재로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를 의미하며, 유류, 가스 화재로 가연성 액체나 기체의 화재를 의미한다.Class B fire means a fire that does not leave ashes due to oil fires. It means a fire of flammable liquid or gas due to oil or gas fire.

C급 화재는 전기 화재로 전기의 누전, 수변전 설비의 화재를 의미하고, D급 화재는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및 지르코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분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의미한다.Class C fire refers to electric leakage of electricity and fire of water-supply equipment, and class D fire means fire from metal or metal powder such as magnesium, sodium, potassium and zirconium.

이에 따라, 상기 화재분석부(305)는 화재에 의한 유독 가스를 분석하여, 상기 감지단말기(100)에서 감지한 화재에 대한 원인 물질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e analysis unit 305 can analyze the toxic gas caused by the fire and identify the causative substance of the fire detected by the sensing terminal 100.

예를 들어, 신나, 휘발유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에는 온도가 급상승하고, 전기누전과 같은 일반 화재 발생시에는 연기농도가 급상하므로, 상기 감지분석부(300)는 감지단말기(100)의 유독가스감지부(103) 및 연기감지부(105)와 온도감지부(107)를 통해 화재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due to thinner, gasoline or the like, the temperature rapidly increases, and when a general fire such as an electric leak occurs, the smoke concentration rises. Therefore, the detection analysis unit 300 detects the toxic gas The smoke detection unit 105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107 can analyze the cause of the fire.

아울러, 화재분석부(305)는 감지단말기(100)의 영상촬영부(101)를 통하여 화재 감시 지역이 통상적으로 촬영되어 감지분석부(300)로 전송되면, 전송된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를 거진 후, 이를 미리 설정된 일상적인 영상일 경우의 영상과 비교하여, 일상적인 영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When the fire monitoring area is normally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01 of the sensing terminal 100 and transmitted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the fire analyzing unit 305 analyzes the transmitted image information, Then, it is compared with the image in the case of a predetermined daily image,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not a normal image.

이때, 화재분석부(305)는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해당 영상이 촬영된 감지단말기(100)가 구비된 제1연장살수부(90)를 비행하도록 하여 화재가 가장 심한 화재 지점의 화재 영상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근에 위치한 감지단말기(100)가 구비된 제1연장살수부(90)도 화재가 발생한 방향으로 비행하면서 영상 촬영이 되도록 하여 화재 지점을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지점을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e fire analysis unit 305 may cause the first extended spraying unit 90 provided with the sensing terminal 100 to shoot the image to fire the fire image of the fire point In this case, the first extended water sprinkling unit 90 provided with the sensing terminal 100 located nearby can shoot images while fly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e so that the fire spots can be three-dimensionally photographed , The fire point can be checked in detail.

화재표시부(307)는 상기 화재분석부(305)를 통해 화재 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100)의 설치 위치를 실내 지도 등에 매핑시켜 다른 색깔로 표시하는 등, 화재가 감지되지 않은 감지단말기(100)와 구별되도록 표시한다.The fire display unit 307 map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ing terminal 100, which senses the fire occurrence through the fire analysis unit 305, to the indoor map or the like, ).

상기 화재표시부(307)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3)와 별도로 구비되는 표시장치가 될 수 있다.The fire display unit 307 may be a display device separately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303.

따라서 화재분석부(305)를 통하여 화재 발생을 인지한 경우, 영상촬영부(101)를 통하여 촬영된 화재 영상 정보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최종 검증할 수 있으며, 감지분석부(300)는 화재표시부(307)에 표시되는 화재 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100)가 위치한 지점과 화재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발화점을 확인할 수도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a fire through the fire analysis unit 305, it is possible to finally verify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through the fir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01.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gnition point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sensing terminal 100 senses fire occurrence and the fir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7.

한편, 상기 감지분석부(300)는 화재분석부(305)를 통해 수집된 화재 정보를 분석하여 경고레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경고레벨에 따라 화재 현장의 위치 및 화재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소방 방재본부, 지역 소방서, 경찰서, 병원 등 유관 기관인 관제센터(900) 및 현장의 관리자와 미리 등록시킨 관리자단말기(700)에게 자동으로 통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may analyze the fir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ire analysis unit 305 to set the warning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warning level,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notify the control center 900 which is a related organization such as the disaster prevention headquarters, the local fire station, the police station, the hospital, and the manager of the field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previously registered in advance.

또는 상기 감지분석부(300)의 화재분석부(305)가 각각의 감지단말기(100)에서 수집된 화재정보를 바탕으로 층별 또는 구역별 경고레벨을 설정한 후 층별 또는 구역별 경고레벨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900) 및 관리자단말기(700)에 전송하고, 화재표시부(307)에 경고레벨을 층별 또는 구역별로 표시할 수도 있다.Or the fire analysis unit 305 of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sets the warning level for each floor or zone on the basis of the fire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sensing terminal 100, To the control center 900 and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and may display the warning level in the fire display unit 307 by layer or zone.

또한, 상기 감지분석부(300)는 경고레벨에 따라 관리자 또는 유관기관별 등급을 설정하여 화재 발생 상황을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may set a grade for each manager or a related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warning level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fire.

예를 들어, 주의 레벨인 경우에 건축물의 경비와 관리자에게 통지하고, 경보 레벨인 경우에 건축물의 경비나 상위 관리자와 해당 지역의 소방서에 통지하며, 화재 레벨인 경우에 건축물의 최상위 관리자와 해당 지역의 소방서 및 관할소방센터, 경찰서, 병원에 통지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ution level, the cost of the building and the manager are notified. In the case of the alarm level, the cost of the building or the upper manager is notified to the fire department of the local area. The fire department and the local firefighting center, the police station, and the hospital.

따라서 경고레벨에 따라 등급이 다르게 설정된 관리자나 유관기관에서 화재 발생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고, 유관기관의 불필요한 출동을 자제하여 인력 및 물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nager or the related organization having different grades according to the warning level can quickly identify and respond to the occurrence of fire, and unnecessary dispatch of related organizations can be avoided, thereby minimizing labor and material waste.

경로설정부(309)는 상기 화재분석부(305)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고, 화재표시부(307)를 통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100)의 위치가 파악되면, 화재 발생이 감지되지 않은 감지단말기(100)끼리 연결하여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까지의 최적의 대피 경로를 설정한다.The path setting unit 309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through the fire analysis unit 305. When the location of the sensing terminal 100 that sensed the fire occurrence is determined through the fire display unit 307, The detection terminal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t an optimal evacuation route to an entrance to the outside.

경로전달부(311)는 경로설정부(309)를 통하여 설정된 최적의 대피 경로를 감지단말기(100)의 경로알림부(125)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거주단말기(500)로 최적의 대피 경로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주자들은 거주단말기(500)에 표시되는 대피 경로를 따라서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route forwarding unit 311 transmits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set through the route setting unit 309 to the route announcement unit 125 of the sensing terminal 100 so that an optimal evacuation route is transmitted to the residence terminal 500 As shown in FIGS. 6 and 7, residents can quickly evacuate along the evacuation route displayed on the residence terminal 500.

즉, 건축물 내의 거주자들은 거주단말기(500)에 표시되는 대피 경로에 의해서 화재로부터 안전한 통로, 또는 화재 위험이 있는 통로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주자들은 거주단말기(500)에 표시된 대피 경로, 즉, 안전한 경로를 피난 경로로 인식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sident in the building can recognize the passageway that is safe from the fire or the fire due to the evacuation route displayed on the residence terminal 500. Thus, the resident can recognize the evacuation route indicated in the residence terminal 500 , The safe route can be recognized as an evacuation route and evacuated quickly.

이때, 감지분석부(300)는 복수의 감지단말기(100)들 중 화재가 감지되는 순서에 따라 감지되는 진행 방향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화재 및 연소 가스의 이동 방향까지 예측하여 거주자의 거주단말기(500)에 표시되는 대피 경로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도록 하여 인명 피해의 최소화와 신속한 대피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can know the direction of the progress of sensing the fire among the plurality of sensing terminals 100, and predic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e and the combustion gas, The evacuation path displayed on the terminal 500 can be updated in real time,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person and quickly evacuating the terminal.

소방시설표시부(313)는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설치 위치가 실내 지도 등에 맵핑되어 표시되도록 하며, 소방시설구동부(315)는 상기 소방시설표시부(313)에 표시된 소방시설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firefighting facility display unit 313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displayed on the firefighting facility display unit 313 so tha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ed on the building is mapped and displayed on an indoor map.

상기 소방시설로는 건축물 통로 등의 적당한 위치에 구비되어 원격에서 제어되는 소화전,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 청정약제 소화기 및 스프링클러(sprinkler) 등을 의미한다.The fire-fighting facilities refer to fire hydrants, powder fire extinguishers,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s, Halon fire extinguishers, clean chemical fire extinguishers, sprinklers, and the like which are provided at appropriate positions such as a building passage.

상기 분말 소화기는 A급, B급 및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이 좋지만 소화 후 분말이 남는 단점이 있다.The above powder fire extinguisher can be used for A class, B class and C class fires, and its price is low and its performance is good, but powder is left after digestion.

상기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상기 분말 소화기와 마찬가지로, A급, B급 및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소화 후 잔유물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가격이 비싸고 사용 시 동사의 위험성이 있다.Like the powder fire extinguisher, the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 can be used for Class A, Class B and Class C fires and has no residue after digestion. However, the carbon dioxide fire extinguisher is expensive and there is a danger of using it.

상기 할론 소화기는 A급, B급 및 C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소화 후 잔유물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이며 프레온 가스와 같이 오존층을 파괴하므로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The Halon fire extinguisher can be used for all class A, class B, and C class fires, and has the advantage of leaving no residue after digestion. However, it is expensive and destroys the ozone layer like freon gas.

상기 청정약제 소화기는 상기 할론 소화기를 대체할 수 있는 소화기이며, 스크링클러는 방화수를 분무상으로 방사시키는 소화 장치를 의미한다.The clean chemical fire extinguisher is a fire extinguisher that can replace the Halon fire extinguisher, and the scraper mean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emits fire water in spray form.

따라서 소방시설구동부(315)는 소화전, 소화기, 스프링클러 등과 같이 화재의 진압과 관련한 소방시설로의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공급하고 차단하기 위한 개/폐 작동과 분사 각도와 분사 방향의 조절의 작동을 무선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화재가 발생 시 화재가 감지된 감지단말기(100)의 인근에 위치한 소방시설을 제어하여 소화액 또는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개방함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fire-fighting facility driving unit 315 can perform opening / closing operations for supplying and shutting fire extinguishing liquid or fire extinguishing water to fire-fighting facilities related to suppression of fire such as fire hydrant, fire extinguisher, sprinkler, And controls the fire fighting facility located near the sensing terminal 100 in which a fire is detected when a fire occurs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or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sprayed, .

방화문표시부(317)는 건축물에 설치된 방화문의 설치 위치가 실내 지도 등에 맵핑되어 표시되도록 하며, 방화문구동부(319)는 상기 방화문표시부(317)에 표시된 방화문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fire door display unit 317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e door displayed on the fire door display unit 317. The fire door display unit 317 displays a map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fire door installed on the building,

따라서 방화문구동부(319)는 방화문의 개/폐 작동을 무선을 통하여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fire door drive unit 319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motely control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fire doo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아울러, 감지분석부(300)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감지단말기(100)가 설치된 건축물별 연소 가능 물질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atabase unit (not shown), and the database unit may store and manage the combustible material for each building in which the sensing terminal 100 is installed, .

이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분석부(300)는 상기 화재분석부(305)에서 화재를 감지한 후, 연소 가스를 분석하여 판단한 화재 원인 물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연소 가능 물질을 비교하여, 화재의 발화 원인을 예측 판단할 수 있다.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detects a fire in the fire analysis unit 305 and then analyzes the combustion gas and compares the determined fire cause material with the combustible material stored in the database unit ,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ause of the ignition of the fire.

무인비행체 표시부(321)는 건물의 옥상 또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구명 장비를 구비하여 대기하고 있는 무선 조종 또는 자동항법으로 비행 가능한 무인비행체(800)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비행 중인 무인비행체(800)의 위치를 표시하며, 무인비행체 구동부(323)는 상기 무인비행체 표시부(321)에 표시되는 무인비행체(800)의 비행을 제어한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display unit 321 may be provided with lifesaving equipment on the roof of the building or in a predetermined area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capable of flying by radio navigation or automatic navigation waiting,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riving unit 323 controls the flight of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display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isplay unit 321. [

아울러, 감지분석부(300)는 후술하는 제1분사노즐(57)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1분사노즐 구동부(331), 제2분사노즐(77)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2분사노즐 구동부(333), 제3분사노즐(67)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3분사노즐 구동부(335)가 더 구비되고, 제1연장살수부(90)의 구동부(25)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연장살수 구동부(351), 제2연장살수부(92)의 구동부(28)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연장살수 구동부(353)가 더 구비된다.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includes a first injection nozzle driving unit 331 for driving the first injection nozzle 57 to be described later, a second injection nozzle driving unit 333 for driving the second injection nozzle 77, And a third spray nozzle driving unit 335 for driving the third spray nozzle 67.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 driving unit 351 drives the driving unit 25 of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 unit 90, And a second extended spray driver 353 for driving the driver 28 of the second extended water spray unit 92. [

무인비행체(800)는 건물의 옥상 또는 미리 지정된 영역에 구비된 스테이션(S)에 머무르며 대기하는 무인으로 비행되는 소방 비행체인 것으로, 감지분석부(300)와 통신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와, 감지분석부(300)로부터 비행 신호가 수신되면 비행할 수 있도록 외부에 구비된 프로펠러(미도시)를 구동하는 비행제어부와, 상기 감지단말기(100)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발생한 RF신호를 수신하는 태그검출부와, 외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한 영상 촬영이 되도록 구동하는 드론 영상촬영부와, 내장된 소화약재를 분사하기 위한 소화약재 분사장치를 구동시키는 제1소화수단구동부와, 내장된 소화탄을 발사하기 위한 소화탄 발사장치를 구동시키는 제2소화수단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unmanned aerial vehicle 800 is a fire-fighting vehicle flying on an unattended ground, staying in a station S on a roof or a predetermined area of a building.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communication signals with the sensing / analyzing unit 300, A flight control unit for driving a propeller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side so as to fly when a fligh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FID tag 300, A first fire extinguishing means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e extinguishing medium injecting apparatus for injecting the built-in fire extinguishing medicament, a second fire extinguishing means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fire extinguishing means, And a second fire extinguishing means drive unit for driving the fire extinguisher throw-out apparatus.

아울러, 상기 무인비행체(800)는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further includes a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built-in battery.

상기 스테이션(S)은 무인비행체(8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수단이 구비된다.The station S is equipped with a charging means for charging a battery built in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이러한 무인비행체(800)는 감지분석부(300)로부터 비행 신호가 수신되면, 화재발생 지점을 향하여 비행하다가, 화재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100)에 연결되어 RF신호를 발생시키고 있는 RFID 태그를 향해 비행하여 화재발생 지점에 근접하여 공중 정지한다.When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receives a flight signal from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travels toward a fire point and is connected to the sensing terminal 100 that detects a fire, Fly close to the point of fire occurrence.

아울러, 감지분석부(300)는 화재분석부(305)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화재발생지점을 소방영역으로 포함하는 제1연장살수부(90)의 감지단말기(100)에 구비된 영상촬영부(101)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로부터 실제 화재발생지점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부(303)상에 표시된 방화수의 분사영역과 실제 화재발생영역이 일치하도록 조작자는 감지분석부(300)에 구비된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해당 제1연장살수부(90)의 비행 위치 또는 분사노즐(23)의 위치를 미세 조정시킨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through the fire analysis unit 305,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may detect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sensing terminal 100 of the first extended water sprinkler unit 90 The operator checks the actual fire occurrence point from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image analysis unit 300 and the actual fire occurrence area coincides with the injection area of the fire wat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3, Thereby finely adjusting the flight position of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portion 90 or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nozzle 23. [

마찬가지로, 상기 화재발생지점에 위치하는 RFID 태그에 근접하여 화재발생지점에 도달 완료한 무인비행체(800)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로부터 실제 화재발생지점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303)상에 표시된 소화약재 분사영역 또는 소화탄 분사영역과 실제 화재발생영역이 일치하도록 조작자는 감지분석부(300)에 구비된 조작패널을 조작하여 해당 무인비행체(800)의 비행 위치를 미세 조정시킨다.In the same manner, an actual fire occurrence point is confirmed from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a camera of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which is close to the RFID tag located at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has reached the fire occurrence point, The operator manipulates the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to finely adjust the flight posi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so that the phantom spray area or the fire extinguisher shot area matches the actual fire occurrence area.

이어서, 감지분석부(300)에 구비된 조작패널을 통하여 제1연장살수부(90)로부터 방화수가 뿜어지도록 하거나, 화재발생 지점에 근접하여 공중 정지하고 있는 무인비행체(800)로부터 소화약재가 분사되도록 하거나 또는 소화탄이 발사되도록 하여 소방작업을 수행하게 된다.Nex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part 90 through the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sensing and analyzing part 300, or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is sprayed from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Or the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causing the fire extinguisher to fir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연장살수부(90) 또는 무인비행체(800)의 위치를 최종 보정 완료한 다음 화재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제 화재발생영역에 대한 정확한 화재진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of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unit 90 or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is finally corrected, the fire evolu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accurate fire evolution work can be performed on the real fire occurrence region.

아울러 상기 무인비행체(800)는 거주단말기(500)로 대피 경로를 전달받아 안전한 대피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거주단말기(500)를 인식하여, 무인비행체 구동부(323)의 제어를 통해 대피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해당 거주자에 가까이 접근한 후, 거주자에게 구명장비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ir vehicle 800 receives the evacuation route to the residence terminal 500, recognizes the resident terminal 500 moving along the safe evacuation route, and proceeds along the evacuation route through the control of the unmanned air vehicle driving unit 323 , The resident may be provided with life-saving equipment.

구명장비에는 연기 질식에 대비한 방독면, 화염 열기에 대비한 방열포, 휴대용 산소캔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렇게 거주자에게 구명 장비를 전달함으로써 화재에 따른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The life-saving equipment can be a gas mask against smoke sucking, a heat shield against flame heat, and a portable oxygen can, which can reduce the damage caused by a fire by delivering lifesaving equipment to residents.

한편, 감지분석부(300)를 통하여 화재 현장의 위치 및 화재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전달받은 관제센터(900)는 소방차 등을 현장으로 출동하도록 하여, 소방시설구동부(315)에 의하여 제어된 소화설비가 미처 진압하지 못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center 900, which receiv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the fire status of the fire site through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sends a fire engine or the like to the site, Allows the facility to quickly suppress fire that has not been suppressed.

감지분석부(300)를 통하여 화재 현장의 위치 및 화재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전달받은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700)를 화재가 가장 심한 지점의 상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관리자단말기(700)를 통하여 소방시설구동부(315)의 통신수단과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소방시설구동부(315)를 조작하여 소화설비을 직접 제어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고, 방화문구동부(319)의 통신수단과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방화문을 조작하여 거주자들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nager who has received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the fire status of the fire site through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allows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to check the situation of the most severe fire with the image, 700 to 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firefighting unit driving unit 315 to operate the firefighting facility driving unit 315 at a remote location to directly control the fire fighting equipment while suppressing the fire, So that residents can evacuate quickly by operating a fire door at a remote place.

상기 감지분석부(300)는 복수의 감지단말기(100)들 중 화재가 감지되는 순서에 따라 감지되는 진행 방향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신속한 화재 진압 뿐만 아니라, 화재 및 연소 가스의 이동 방향까지 예측하여 거주자의 거주단말기(500) 및 화재 진압을 위해서 건물 내로 진입해야 하는 소방관 등에게 통보하여 인명 피해의 최소화와 신속한 화재 진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can know the direction of the progress of the sens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fir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not only rapid fire suppression but also fire and combustion gas The resident terminal 500 of the resident and the fire fighters who have to enter the building for fire suppression are informed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person and to rapidly fire the fire.

한편, 건축물의 벽면(51)에 방화수가 공급되는 공급수관(55)을 구비하며 해당 공급수관(55)으로부터 복도를 향하도록 수평으로 벽면(51)을 관통하여 방화수가 분사될 수 있는 제1분사노즐(57)을 구비하고, 건축물의 천장(71)도 방화수가 공급되는 공급수관(75)을 구비하며 해당 공급수관(77)으로부터 복도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벽면(51)을 관통하여 방화수가 분사될 수 있는 제2분사노즐(77)을 구비한다.A water supply pipe 55 for supplying fire water to the wall surface 51 of the building is provided. The water supply pipe 55 penetrates the wall surface 51 horizontally from the supply water pipe 55 toward the corridor, The ceiling 71 of the building also has a supply water pipe 75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is supplied and penetrates the wall surface 51 vertically so as to face the corridor from the supply water pipe 77, And a second spray nozzle 77 which can be sprayed.

상기 벽면(51)의 공급수관(55) 및 천장(71)의 공급수관(77)은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수관(55, 77)에 연결된 제1분사노즐(57) 및 제2분사노즐(77)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복수로 구비된다.The supply water pipe 55 of the wall surface 51 and the supply water pipe 77 of the ceiling pipe 71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water pip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zigzag form, The first injection nozzle 57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77 connected to the first injection nozzle 5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화재 발생 시 감지분석(300)는 화재 발생 지점을 감지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제1분사노즐(57) 및 제2분사노즐(77)을 통하여 방화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광범위하게 화재 진압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대피를 위하여 통로를 지나는 거주자들에게 방화수를 뿌려줌으로 인해, 화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 진압을 위해서 건물 내로 진입해야 하는 소방관에게도 방화수를 뿌려줌으로 인해, 화상의 위험이 방지되면서 인명 피해의 최소화와 신속한 화재 진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e detection analysis 300 senses the fire occurrence point and causes the fire water to be sprayed through the first injection nozzle 57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77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by spraying fire water to residents passing through the passage for evacu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burns and to spray fire water to firefighters who have to enter the building for fire suppress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of people and perform rapid fire suppression.

아울러, 상기 연장수관(80)은 상기 천장(71)의 공급수관(75)에 연결된 제2분사노즐(77)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xtension water pipe 8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jection nozzle 77 connected to the supply water pipe 75 of the ceiling 71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연장수관(80)이 자바라 형태의 주름관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연장수관(80)의 일단이 연결된 천장(71)에 연장수관(80)의 일측과 타측에 와이어가 감기어 회전하는 권취롤러를 각각 구비하고, 귄취롤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연장살수부(90)의 공급관(21) 측면에 걸이탭을 돌출 구비한다.When the extended water pipe 80 is formed of a bellows-shaped bellows pipe, a winding roller is wound around the ceiling 71 to which one end of the extended water pipe 80 is connected, And hook tabs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supply pipe 21 of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 part 9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where the winding rollers are provided.

따라서 각각의 걸이탭에 와이어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단은 권취롤러에 감기어 연결된 후, 권취롤러가 회전되어 와이어를 감으면, 제1연장살수부(90)가 상부로 위치 이동하면서 주름관이 접히게 되어, 연장수관(80)은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ends of the wires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hook tabs,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wound and connected to the winding roller, when the winding roller is rotated to wind the wire, the first extending water spraying portion 90 moves upward The corrugated pipe is folded, and the length of the extended water pipe 80 is reduced.

반대로, 권취롤러가 회전되어 감겨진 와이어를 풀게 되면, 제1연장살수부(90)가 하부로 위치 이동하면서 주름관이 펴지게 되어, 연장수관(80)은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nding roller is rotated to unwind the wound wire,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portion 90 moves downward and the corrugated tube is expan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extended water tube 80 is increased.

이렇게 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지점으로 제1연장살수부(90)가 비행하면서 연장수관(80)이 늘어나 팽창되면, 감지분석부(300)에서 이를 감지하여 권취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가 풀리도록 하여, 연장수관(80)이 늘어나면서 제1연장살수부(90)가 화재발생 지점으로 근접하여 화재 진화를 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한다.Thus, if the extension water pipe 80 is expanded and expanded while the first extended water sprinkling portion 90 is flying to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s in the event of fire,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senses this and rotates the winding roller so that the wire is released So that the extension water pipe 80 is extended, so that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portion 90 is close to the fire generation point, so that there is no risk of fire evolution.

이어서, 해당 위치에서 화재가 진화된 후, 다른 화재 지점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제1연장살수부(90)가 비행하면서 연장수관(80)이 늘어나기 시작하면, 마찬가지로 감지분석부(300)는 권취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가 풀리도록 하여, 제1연장살수부(90)가 인접한 다른 화재 지점으로 비행 이동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한다.Then, after the fire is evolv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is changed to another fire point, so that when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part 90 is flying and the extended water pipe 80 starts to extend, The roller is rotated so that the wire is released so that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portion 90 can fly smoothly to another adjacent fire point.

이어서, 화재가 모두 진화되면, 제1연장살수부(90)는 원래 위치인 벽면(51)에 설치된 거치대(95)로 비행하며, 이때 연장수관(80)의 팽창력이 줄어들면 감지분석부(300)는 권취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가 다시 감기도록 하여, 연장수관(80)이 접히도록 함으로써 제1연장살수부(90)가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한다.The first extended water sprinkling part 90 then flows to the cradle 95 installed on the wall 51 at the original position and when the expansion force of the extended water tube 80 is reduced, Causes the wire to be wound again by rotating the winding roller so that the elongated water pipe 80 is folded so that the first extended water spraying portion 90 can move smoothly to the original position.

아울러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부벽면(61)에도 방화수가 공급되는 공급수관(65)을 구비하며 해당 공급수관(65)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수평으로 외부벽면(61)을 관통하여 방화수가 분사될 수 있는 제3분사노즐(67)을 구비한다.8 and 9, the exterior wall surface 61 of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supply water pipe 65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is supplied, and the external wall surface 61 horizontally extends from the supply water pipe 65 toward the outside And a third injection nozzle 67 through which the fire water can be sprayed.

상기 외부벽면(61)의 공급수관(65)도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복수의 수관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급수관(65)에 연결된 제3분사노즐(67)도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복수로 구비된다.The supply water pipe 65 of the outer wall surface 61 may also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water pip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a zigzag form so that the third injection nozzle 67 connected to the supply water pipe 65 also has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상기 외부벽면(61)의 공급수관(65)에도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장수관(85)으로 연장 연결되어 일정 반경을 무인 비행하는 제2연장살수부(92)가 건물외벽(61)의 거치대(96)에 위치한다.A second extended water spraying portion 92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ly water pipe 65 of the outer wall surface 61 by an extension water pipe 85 of a flexible material to fly over a certain radius without maneuvering is provided on the cradle 96 of the building outer wall 61 ).

제2연장살수부(92)도 중공의 관체이며 상기 연장수관(85)에 연결되어 방화수를 공급받는 공급관(22)과, 상기 공급관(22)의 전방에 일정 반경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건축물의 내부를 향하여 고압으로 방화수를 뿜어내는 분사노즐(24)과, 상기 공급관(22)의 측면에 90도 간격으로 구비된 모터(32)와, 상기 모터(32)의 상부 구동축에 연결되어, 모터(32)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된 프로펠러(34)와, 감지분석부(3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22)의 측면에 구비되어 분사노즐(24)이 회전되도록 제어하거나, 분사노즐(24)로 방화수가 분사되도록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32)를 구동하여 프로펠러(34)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extended water spraying portion 92 is also a hollow tubular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extended water pipe 85 to supply the fire water thereto. The second extended water spraying portion 9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upply pipe 22, A spray nozzle 24 for spraying the fire water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 motor 32 provided at a 90-degree interval on the side of the supply pipe 22, A propeller 34 provided to rotate by being supplied with a driving force from a motor 32 and a propeller 34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pply pipe 22 to be connected to the detection analysis unit 300 by radio, And a driving unit 28 for controlling the valve so that the fire water is sprayed to the injection nozzle 24 and driving the motor 32 to rotate the propeller 34.

공급관(22)의 측면에는 주변의 일정 범위를 영상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는 카메라(38)와, 주변의 유독가스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는 유독가스감지부, 주변의 연기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는 연기감지부, 유독가스 또는 연기가 감지되면 이들의 방향을 감지하는 풍향센서 및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300)로 전송하는 온도감지부 등으로 구성된 센서부(39)가 더 구비된다.A camera 38 for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periphery of the supply pipe 22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in real time, A smok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resence and concentration of smoke in the vicinity and transmitting the sensed smoke and smoke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in real time,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nsor and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ransmitting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300 in real time.

감지분석부(300)는 상기 제2연장살수부(92)와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카메라(38) 및 센서부(39)를 통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며, 모니터링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되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제2연장살수부(92)로 구동 신호를 송출하여 화재 발생 지점을 향하여 일정 반경 비행을 하면서 고압의 방화수가 뿜어지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외부의 관제센터(900) 또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단말기(700)에 무선통신으로 통보한다.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300 monitors the camera 38 and the sensor unit 39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extended water spray unit 92. When the monitoring and analysis unit 300 analyzes the monitoring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the fire has occurred And sends a driving signal to the second extended water spraying unit 92 in which a fire is detected, controls the high-pressure fire water to be blown while flying in a certain radius toward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s, and transmit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fire occurrence to an external control center 900 or a preset administrator terminal 700 by wireless communication.

따라서 건축물 외부에 인접한 쓰레기장 또는 주차장 등에서 담배꽁초 등 인화 물질에 인한 화재 발생 시 감지분석(300)는 화재 발생 지점을 감지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제3분사노즐(67)을 통하여 방화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광범위하게 화재 진압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신속한 화재 진압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fire occurs due to a flammable substance such as a cigarette butt in a garbage or parking lot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detection analysis 300 senses the fire point and causes the fire water to be sprayed through the third injection nozzle 67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 It is possible to make a fire suppression in a wide range, and accordingly the fire suppression can be performed rapidly.

아울러, 센서부(39)를 통하여 담배 연기, 유독가스 등이 감지되면, 풍향 센서를 통하여 담배 연기, 유독가스 발생 지점을 카메라(38)를 통하여 촬영되도록 하고, 이를 외부의 관제센터(900) 또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단말기(700)에 무선통신으로 통보힘으로써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해 미리 화재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igarette smoke, toxic gas, or the like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unit 39,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tobacco smoke and toxic gas generation points through the camera 38 by way of a wind dir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in advance to a point where a fire can occur by notifying the administrator terminal 700 in advan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in.

20: 연장살수부 100: 감지단말기
300: 감지분석부 500: 거주단말기
700: 관리자단말기 800: 무인비행체
900: 관제센터
20: extension sprinkling part 100: sensing terminal
300: Detection and Analysis Unit 500: Residential Terminal
700: administrator terminal 800: unmanned vehicle
900: Control center

Claims (4)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천장의 내부에 구비된 공급수관에 연결되어 연장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장수관에 연결되어 일정 반경을 무인 비행 하도록 구비되며, 전방에는 해당 건축물의 내부를 향하여 고압으로 방화수를 뿜어내는 분사노즐과, 측면에는 해당 건축물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도록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센서들로부터 실시간 화재 정보를 수신하여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감지단말기를 구비한 연장살수부; 및
상기 연장살수부의 감지단말기와 무선통신 연결을 통해 실시간 화재 정보 및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며, 화재 정보를 통합 분석하여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되면 화재 발생이 감지된 감지단말기가 구비된 연장살수부로 구동 신호를 송출하여 화재 발생 지점을 향하여 비행하면서 고압의 방화수가 뿜어지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관제센터 또는 미리 설정된 관리자단말기에 무선통신으로 통보하는 감지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감지단말기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설치되는 것으로, 주변의 일정 범위를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되며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영상촬영부, 주변의 유독가스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유독가스감지부, 주변의 연기 여부 및 농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연기감지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감지분석부로 전송하는 온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지분석부는 상기 감지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유독가스 농도, 연기 농도 또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화재 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에 대한 화재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영상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화재 상황을 확인하고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건축물에 설치된 감지단말기들의 설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정보수집부, 상기 단말정보수집부를 통하여 수집된 감지단말기의 설치 위치가 실내 지도에 매핑되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감지단말기에서 감지되는 유독가스 농도, 연기 농도 또는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화재분석부, 상기 화재분석부를 통해 화재 발생을 감지한 감지단말기의 설치 위치를 실내 지도에 매핑시켜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화재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지분석부는 연장살수부의 감지단말기에 구비된 영상촬영부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실제 화재발생 영역과 방화수가 뿜어지는 영역이 일치하도록 연장살수부의 위치를 재조정하고;
연장살수부는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이며, 천장의 내부에 구비된 공급수관에 연결되어 연장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연장수관에 연결되어 일정 반경을 무인 비행 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중공의 관체이며 상기 연장수관에 연결되어 방화수를 공급받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전방에 일정 반경 회전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해당 건축물의 내부를 향하여 고압으로 방화수를 뿜어내는 분사노즐과, 상기 공급관의 측면에 90도 간격으로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상부 구동축에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된 프로펠러와, 감지분석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의 측면에 구비되어 분사노즐이 회전되도록 제어하거나, 분사노즐로 방화수가 분사되도록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프로펠러가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장수관은 방수 처리가 된 천 재질 또는 얇은 플라스틱 재질 등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하좌우로 자바라 형태로 수축 및 연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장수관이 자바라 형태의 주름관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연장수관의 일단이 연결된 천장에 연장수관의 일측과 타측에 와이어가 감기어 회전하는 권취롤러를 각각 구비하고, 귄취롤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연장살수부의 공급관 측면에 걸이탭을 돌출 구비하고;
각각의 걸이탭에 와이어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고, 와이어의 타단은 권취롤러에 감기어 연결된 후, 권취롤러가 회전되어 와이어를 감으면, 연장살수부가 상부로 위치 이동하면서 주름관이 접히게 되어, 연장수관은 길이가 줄어들고, 권취롤러가 회전되어 감겨진 와이어를 풀게 되면 연장살수부가 하부로 위치 이동하면서 주름관이 펴지게 되어, 연장수관은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지점으로 연장살수부가 비행하면서 연장수관이 늘어나 팽창되면, 감지분석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권취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가 풀리도록 하여, 연장수관이 늘어나면서 제1연장살수부가 화재발생 지점으로 근접하고;
해당 위치에서 화재가 진화된 후, 다른 화재 지점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연장살수부가 비행하면서 연장수관이 늘어나기 시작하면, 감지분석부는 권취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가 풀리도록 하여, 연장살수부가 인접한 다른 화재 지점으로 비행 이동하도록 하며;
화재가 모두 진화되면, 연장살수부는 원래 위치인 벽면에 설치된 거치대로 비행하며, 연장수관의 팽창력이 줄어들면 감지분석부는 권취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가 다시 감기도록 하여, 연장수관이 접히도록 함으로써 연장살수부가 원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It is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inside the build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It is connected to a supply water pipe provided inside the ceiling and connected to an elongated water pip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fly a certain radius unmanned. And a sensing terminal for receiving real-time fire information from the sensors and transmitting the fire information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the sensing nozzle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sensing fire occurrence of the building, One extended spout; And
Where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real-time fire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nsing terminal of the extended water spraying unit, and when the fire information is integrated and analyzed, And a detection and analysis unit for controlling the high-pressure fire water to be blown while flying toward the point of fire occurrence, and notifying an external control center or a preset administrator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fire;
The sensing terminal is installed with a unique address. The sensing terminal is composed of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certain range of the surrounding area. The sensing terminal transmits a captured image to a sensing and analyzing unit in real time.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temperature to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in real time. ≪ / RTI >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the concentration of toxic gas, smoke concentration, 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sensing terminal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and based on fire information about a location where the sensing terminal senses fire occurrence A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sensing terminal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ensing terminals collected through the terminal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smoke analyzing unit for determining that a fire has occurred when a toxic gas concentration, a smoke concentration, or a temperature sensed by the sensing terminal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one sensing terminal is indicated on the indoor map Doping by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a fire to be displayed with different colors;
The sensing and analyzing unit resets the position of the extended water spraying unit so that the actual fire generation area coincides with the actual fire water spraying area based on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image shooting unit provided in the sensing terminal of the extended spraying unit;
The extension water spraying part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iling inside the building at regular intervals and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of a flexible material connected to a supply water pipe provided inside the ceiling, A spray nozzle connected to the extension water pipe and supplied with the fire water, a spray nozzl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supply pipe so as to be able to rotate and adjust the angle to a certain radius and spray the fire water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 propeller connected to the upper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provided to rotate by being supplied with a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and a propell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ly pipe, Control the nozzle to rotate, or control the valve so that fire water is sprayed to the spray nozzle , By driving the motor and comprising a driving unit such that the propeller rotates;
The extended water pipe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a waterproof cloth or a thin plastic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be shrunk and extended in a bellows shap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And a winding roller on which a wire is wound and rot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an extended water pipe on a ceiling to which one end of the extended water pipe is connected when the elongated water pipe is formed of a bellows- So that the hook tab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upply pipe of the extended water spouting portion;
The ends of the wir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hook tabs,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wound and connected to the take-up roller. When the take-up roller is rotated to wind the wire, the elongate water- When the water tube is reduced in length, and the winding roller is rotated to loosen the wound wire, the extension water pipe is moved to the lower position and the pipe tube is expanded, so that the extension water pipe is increased in length;
When a fire breaks out, the extended water pipe is expanded and expanded while the water sprinkling part is extended to the fire occurrence point. The detection and analysis section senses this, and the wire is released by rotating the winding roller so that the extension water pipe is extended, ≪ / RTI >
After the fire has evolved at the position, the position is changed to another fire point. When the extended water pipe starts to extend while the extended water pipe is flying, the detection and analysis unit rotates the take-up roller so that the wire is released, To fly to the point;
When the fire is completely evolved, the extended watering portion is flown to the stand installed on the original wall surface. When the expansion force of the extended water tube is reduced, the sensing and analyzing portion rotates the winding roller to rewind the wire,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move the unit to the original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28039A 2017-09-29 2017-09-29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KR101845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039A KR101845009B1 (en) 2017-09-29 2017-09-29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039A KR101845009B1 (en) 2017-09-29 2017-09-29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009B1 true KR101845009B1 (en) 2018-04-03

Family

ID=6197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039A KR101845009B1 (en) 2017-09-29 2017-09-29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009B1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70B1 (en) * 2018-04-10 2019-08-21 (주)모던하비 Management system of human settlement using drone
KR102238721B1 (en) * 2020-07-14 2021-04-09 (주)드림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extinguishing a fire of solar cell module
KR102246896B1 (en) * 2020-09-29 2021-05-03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Hydrant box of road runnel
KR102342206B1 (en) * 2020-11-26 2021-12-24 아성글로벌(주) 119 fire fighting drone system
KR20230061877A (en) * 2021-10-29 2023-05-09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Indoor fire fighting system
KR102540694B1 (en) * 2022-08-19 2023-06-13 (주)지후감리단 Power Supply Equipment for Train
KR102540697B1 (en) * 2022-08-22 2023-06-13 (주)지후감리단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for Train Facilities
KR102556377B1 (en) * 2022-08-02 2023-07-18 한일이엔지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of fire door control device for apartment build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20230138582A (en) 2022-03-23 2023-10-05 현대건설(주) Fire extinguishing fluid injection system installed on the floor of a parking lot for electric vehicle fire accidents
CN117877194A (en) * 2024-02-26 2024-04-12 广州华颂生物科技有限公司 Gas safety early warning system for intelligent ho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18B1 (en) * 2010-12-30 2011-07-21 최선욱 An apparatus for detecting fire spot and fire extinguishing
KR101725774B1 (en) * 2016-10-31 2017-04-11 (주)성우엔지니어링 Smart Fire Fighting Evacu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018B1 (en) * 2010-12-30 2011-07-21 최선욱 An apparatus for detecting fire spot and fire extinguishing
KR101725774B1 (en) * 2016-10-31 2017-04-11 (주)성우엔지니어링 Smart Fire Fighting Evacuation System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70B1 (en) * 2018-04-10 2019-08-21 (주)모던하비 Management system of human settlement using drone
KR102238721B1 (en) * 2020-07-14 2021-04-09 (주)드림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extinguishing a fire of solar cell module
KR102246896B1 (en) * 2020-09-29 2021-05-03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Hydrant box of road runnel
KR102342206B1 (en) * 2020-11-26 2021-12-24 아성글로벌(주) 119 fire fighting drone system
KR20230061877A (en) * 2021-10-29 2023-05-09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Indoor fire fighting system
KR102627729B1 (en) * 2021-10-29 2024-01-23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Indoor fire fighting system
KR20230138582A (en) 2022-03-23 2023-10-05 현대건설(주) Fire extinguishing fluid injection system installed on the floor of a parking lot for electric vehicle fire accidents
KR102556377B1 (en) * 2022-08-02 2023-07-18 한일이엔지주식회사 Construction method of fire door control device for apartment build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40694B1 (en) * 2022-08-19 2023-06-13 (주)지후감리단 Power Supply Equipment for Train
KR102540697B1 (en) * 2022-08-22 2023-06-13 (주)지후감리단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for Train Facilities
CN117877194A (en) * 2024-02-26 2024-04-12 广州华颂生物科技有限公司 Gas safety early warning system for intelligent ho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766B1 (en)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KR101845009B1 (en) Smart Fire Detection Apparatus
KR101725774B1 (en) Smart Fire Fighting Evacuation System
KR101728521B1 (en) Real-time fire fighting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1647990B1 (en) Huge Tunnel having Fire Extinguishing
KR101803806B1 (en) Social securi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ing for combing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security accident prevention
US20150254952A1 (en) Platform of Smart Security Protection Integrated System
CN108434628B (en) Mobile fire-f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unmanned mechanical garage
KR101828994B1 (en) Intelligent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841761B1 (en) fire sensing and evacuation guiding system for use in temporary fire fighting equipment at construction site
JP5123775B2 (en) Fire extinguisher transport device
US20200391061A1 (en) Extinguishing Robot
CN111408089A (en) Fire-fighting robot and fire-fighting robo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20170106665A (en) An intelligence type emergency shunting incitement method and system of the same
KR20190024856A (en) Tunnel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accident monitoring, fire disaster prevention, and refugee relief into a tunnel
KR101810153B1 (en) Disaster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ving sprinkler and robot
KR101897756B1 (en) Customized Pizza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CN111815921A (en) Intelligent fire-fighting rapid linkage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same
CN212439798U (en) Fire-fighting robot
KR20120001141A (en) Equipment for monitoring fire
CN116052350A (en) Fire disaster early warning and rescue system and method based on road-asking guiding navigation mode
JP2017215625A (en) Disaster prevention cooperation system
KR102441268B1 (en) Firefighting inspection system using drone
JP2010046316A (en) Fire-extinguishing system
US11491296B2 (en) Autonomous aircraft and method for providing ventilation to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