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61B1 - 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 - Google Patents

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661B1
KR101840661B1 KR1020160115766A KR20160115766A KR101840661B1 KR 101840661 B1 KR101840661 B1 KR 101840661B1 KR 1020160115766 A KR1020160115766 A KR 1020160115766A KR 20160115766 A KR20160115766 A KR 20160115766A KR 101840661 B1 KR101840661 B1 KR 10184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management server
crime prevention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8278A (en
Inventor
배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림
Priority to KR102016011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661B1/en
Publication of KR2018002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2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G07C9/00031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은, 객체들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와 진입로가 형성된 대피함, 상기 대피함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로를 통해 객체들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제1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1 객체에 접근하는 제2 객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2 객체의 움직임 또는 음성이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대응되면, 상기 제2 객체를 위험객체로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부에서 상기 제2 객체가 위험객체로 추정되면, 상기 도어로부터 각 객체까지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객체 간 도달 시간차를 산출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에 따라 상기 도어를 언록킹 및 록킹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어가 언록킹됨에 따라, 상기 대피함의 위치정보를 연결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유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A crime prevention evacu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objects through the access path and to be installed outside the evacuation unit,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econd object accessing the first object when the first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when the motion or the voice of the second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isk level, 2) estimating an object as a dangerous object, calculating the arrival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s by measuring the arrival time from the door to each object when the second object is estimated as a dangerous object, A controller for unlocking and lock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unlocked state of the door,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bin to the connected management server And a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해자를 범죄자로부터 효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범죄자의 이동 경로 및 범죄 행위를 촬영 및 저장하며, 긴급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공서 기관에 전달하는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pace for efficiently blocking a victim from a criminal, shooting and storing a moving path of a criminal and a criminal act, and delivering an urgent situation to a government agency in real time .

최근, 유괴, 폭력, 강도, 살인 등의 각종 범죄가 공공장소 여부를 불문하고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종래에는 관할 지역에 방범요원을 증원시키는 방법,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방법 또는 CCTV 방범 카메라를 이용한 방법을 통해 범죄를 예방 및 감시하고 있다.Recently, various crimes such as kidnapping, violence, robbery and murder have occurred in public places. In order to prevent such crime, crime prevention and surveillance are conventionally carried out through a method of increasing crime prevention personnel in a jurisdiction, a method of preventing crime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or a method using a CCTV security camera.

또한, 경찰서에서는 112 전화를 이용한 C3 시스템(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을 적용하여 범인 검거에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C3 시스템은 범죄 발생시 피해자 또는 목격자가 112 전화로 신고하면 경찰서 수사과 또는 상황실에 동시 또는 상호 전달되고, 상황실의 무선망을 이용하여 인근 파출소, 순찰차, 또는 싸이카 등에 연락함으로써, 범죄현장에 신속히 도착하여 조기에 범인을 검거하고 범죄예방 효과를 증진하며 범인 검거율을 높이는 방법이다.In addition, the police department has achieved remarkable achievement in the arrest of the criminal by applying C3 system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112 telephone. The C3 system is used to send a victim or an eyewitness to a police station at the same time or simultaneously to the police department or to the police room when a victim or an eyewitness reports a crime. The C3 system promptly arrives at a crime scene by contacting a nearby police station, patrol car, It is a way to arrest the criminals in the early period, promote the crime prevention effect, and increase the arrest rate.

그러나, 관할 지역에 방범요원을 증원시키는 방법,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방법 또는 CCTV 방범 카메라를 이용한 방법들은 범죄 발생 후의 검거를 위한 수단일 뿐 범죄피해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범죄를 예방하는 등의 원천적인 차단이 어렵다. 그렇다고,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경찰관 및 관련기관을 우후죽순 늘릴 수 있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However, the methods of increasing crime prevention personnel in the jurisdiction, methods of preventing crime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or methods using CCTV security camera are only means for arrest after crime, It is difficult to block. However, in order to prevent crim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increase police offic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또한, C3 시스템을 적용한 범죄예방방법은 단지 피해자 또는 목격자의 112 신고 전화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적극적인 범죄를 실제 차단하기 어렵다. 즉, C3 시스템을 적용한 범죄예방법은 범죄 발생 후 전화통화를 통해 지연 신고를 하기 때문에, 범인검거를 수행하기 어렵고, 물리적인 범죄를 예방할 수 없다. 여기서, 물리적인 범죄는 범죄자의 물리적인 가해행위, 생명이나 생활에 중대한 위해 행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of crime prevention using the C3 system has limitations that can only be achieved by calling 112 victims or eyewitnesses, so it is difficult to prevent aggressive crime. In other words, the Crime Prevention Act applying the C3 system is delayed by phone call after the occurrence of the crime, so it is difficult to arrest the criminal and can not prevent physical crime. Here, a physical crime may be a physical act of a criminal, a serious act of life or life.

이렇게, 피해자는 도주, 제압, 주변 도움, 관련기관의 신속한 출동 및 검거 등의 방법을 통해서만 물리적인 범죄를 대피할 수 있다. 그러나, 피해자는 범죄자의 물리적인 범죄에 대한 위급상황 발생시, 도주, 제압, 주변도움, 관련기관의 출동에 의한 검거 등으로 위급상황을 면하기 어렵다. In this way, the victim can evacuate physical crimes only by means of escape, subduction, peripheral assistance, rapid dispatch and arrest of related organiza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victim to escape the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criminal is in the emergency of physical crime, escape, subduction, help around, arrest by the dispatch of the related organization.

예컨대, 피해자는 사회적 약자(어린이, 보인, 여성)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밤늦은 시간, 주변에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을 때 범죄자를 피해 도주한다거나 맞서 싸우지 못하고, 설령, 맞서 싸울 수 있다고 하더라도 위험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법에 따라 실제적 피해자가 가해자가 될 수 있다. For example, since victims are mostly socially vulnerable (children, boys, women), they can not escape criminals when they are late at night, when there is no one to call for help, or even if they can fight against it, Actually, the victim can be the perpetrator according to law.

따라서, 범죄자(가해자)로 하여금 경각심을 주고, 무작정으로 가해지는 물리적 범죄 행위시 범죄자로부터 신속히 대피할 수 있는 범죄예방 장치가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rime prevention device that allows criminals (perpetrators) to be alerted and able to evacuate criminals promptly in the event of a physical crim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가해대상자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범죄로부터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보호대상자의 진입을 허용하고, 가해대상자의 진입을 차단하는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 which permits entry of a protected person so as to be able to quickly evacuate from a physical crime applied from a person to be committed and blocks entry of the person to be committed,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및 동물 진입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긴급한 상황을 감지하여 관련기관의 신속한 출동 및 검거를 유도하는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ime prevention shelter 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caused by entry of a vehicle and an animal, detecting an urgent situation, and prompting a relevant agency to quickly dispatch and arres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은, 객체들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와 진입로가 형성된 대피함, 상기 대피함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입로를 통해 객체들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제1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1 객체에 접근하는 제2 객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2 객체의 움직임 또는 음성이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대응되면, 상기 제2 객체를 위험객체로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부에서 상기 제2 객체가 위험객체로 추정되면, 상기 도어로부터 각 객체까지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객체 간 도달 시간차를 산출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에 따라 상기 도어를 언록킹 및 록킹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어가 언록킹됨에 따라, 상기 대피함의 위치정보를 연결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유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evacuating a crime prevention device, the system including a door and an access path formed to allow objects to enter the inside, A detection unit detecting objects through the access path, a detection unit detecting a second object approaching the first object when the first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a motion detection unit detecting movement or motion of the second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nd estimating the second object as a dangerous object if the voice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isk level. If the second object is estimated as a dangerous object, the arrival time from the door to each object is measure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an arrival time difference between objects and unlocking and locking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arrival time difference; And includ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is connecte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록킹됨에 따라,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차단지속 여부를 상기 제1 객체에 확인요청하고, 상기 제1 객체로부터 상기 차단지속 여부에 대한 승인을 응답받는 경우, 상기 제 2객체의 영상을 상기 유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한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request the first object to confirm whether the second object is blocked or not, as the door is locked, And transmits an image of the second object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approval is received.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로부터 상기 차단지속 여부에 대한 거절을 응답받는 경우, 상기 도어를 언록킹한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unlocks the door when receiving a rejection of the continuation of the blocking from the first object.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언록킹 동작 후, 상기 제1 인물객체가 기설정된 무관심객체에 대응될 때,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기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한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person objec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indifferent object afte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alarm sound through the speaker at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So as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speaker.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유무선통신부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도주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도주 경로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장치들을 통해 상기 제2 객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공서 서버에 연동요청한다.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detects a predetermined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detects a predetermined escape route through a plurality of sensing devices disposed at adjacent positions of the escape route, 2 interworking with the public office server so as to detect the objec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는 보호대상자의 진입을 허용하고, 신속하게 가해대상자의 진입을 차단 시킬 수 있으므로, 가해대상자로부터 보호대상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범죄의 증거를 확보하여 가해대상자를 신속히 검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 permits entry of a protected person and quickly blocks the entry of the person to be attacked, so that the person to be protected is safely protected , It is effective to secure the evidence of the crime and quickly arrest the victim.

또한, 취객 또는 아동 진입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긴급한 상황을 감지하여 관련기관의 신속한 출동 및 검거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entry of a passenger or a child, to detect an urgent situation, and to prompt the dispatch and arrest of related institu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4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도 5는 도 4의 관리서버의 동작 실시 예이다.
1 is a system for evading crim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 of FIG. 1, and FIG. 2B is a block diagram of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 of FIG.
3 is an operational process of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apparatus of FIG.
4 i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5 is an operational example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면도에 표시된 기능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rawings herein illustrate conceptual aspects of exemplary circuits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unctions shown in the figures may be substantially represent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performed by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the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그리고, 각각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And, each function can be provided not only with dedicated hardware, but also with the use of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도이다.1 is a system for evading crime pre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1000)은 복수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들(100-1~100-N), 네트워크(10) 및 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system 1000 includes a plurality of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s 100-1 to 100-N, a network 10, and a management server 200.

복수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들(100-1~100-N)은 공원, 녹지, 학교 주변 및 통학로와 같은 범죄취약지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일반 가정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들(100-1~100-N)은 각각의 범죄취약지역(A) 또는 가정영역(B)에 설치된다.The plurality of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s 100-1 to 100-N may be installed in a vulnerable area such as a park, a green area, a school vicinity, and a school attending school, and is installed in a general househol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crime prevention shelter devices 100-1 to 100-N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vulnerable areas A and B, respectively.

이하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하나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이하, 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on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100 ")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B.

도 2a는 도 1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의 블럭도이다.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 of FIG. 1, and FIG. 2B is a block diagram of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 of FIG.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100)는 대피함(105), 도어(110), 감지부(120), 검출부(130), 제어부(150), 거리감지장치(160), 유무선통신부(170) 및 내부 장치부(180)를 포함한다. 1 to 2B, the crime prevention shelter device 100 includes an evacuation shelter 105, a door 110, a sensing unit 120, a detection unit 130, a control unit 150, a distance sensing unit 160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and an internal device unit 180.

대피함(105)은 객체들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와 외부와 물리적으로 차단되도록 도어(110)가 형성된다. 예컨대, 대피함(105)은 보호대상이 진입로를 따라 내부로 들어가 가해대상과 물리적으로 차단되어 물리적 범죄로부터 대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체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어느 한 측면에 도어(110)가 구비된 사각박스 형태이다. The escape hatch 105 is formed with a door 110 so as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entrance and the outside so that the objects can enter the inside. For example, the evacuation box 105 is a space in which a protected object enters the interior along the access road and is physically shielded from the object and can be evacuated from a physical crime. The evacuation box 105 has a size such that the human body can enter, (110).

실시예에 따라, 도어(110)는 객체들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대피함(105)의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되고,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제어부(150)에 의해 언록킹 및 록킹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oor 110 is installed on either side of the cabin 105 so that objects can enter into the cabinet and is unlocked and locked by the control unit 150 with locking means.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어(110)는 객체가 진입로를 따라 진입하면, 적외선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도어를 언록킹하고, 일정 시간 후 록킹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oor 110 unlocks the door according to the signal sensed by the infrared sensor and locks it after a certain time, when the object enters along the access road.

감지부(120)는 대피함(105) 외부에 설치되고, 진입로를 통해 대피함(105) 내부로 진입하는 객체들을 감지한다.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20)는 진입로를 통해 대피함(105)으로 진입하려는 상기 객체들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다. The sensing unit 120 is installed outside the escape hatch 105 and detects objects entering the escape hatch 105 through the access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20 is a plurality of cameras for photographing the objects to enter into the escape 105 through an access road.

예컨대, 감지부(120)는 IP카메라, HD-SDI 카메라, 아날로그 카메라, 화재감지 컬러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SD(720x486, NTSC)급의 해상도에서 HD(1920x1080, HD1080p) 카메라, IP줌 스피드 카메라 및 CCTV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감지부(120)는 팬, 틸트, 줌 등의 기능을 구비하고 관리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팬, 틸트 또는 줌을 구동하여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화각 조정 또는 카메라에 탑재된 렌즈의 초점 거리 조정 등을 수행하는 PTZ(PAN, TILT, ZOOM) 카메라로 구현된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20 may be an IP camera, an HD-SDI camera, an analog camera, a fire detection color camera, a thermal camera, an HD (1920x1080, HD1080p) camera at an SD (720x486, NTSC) And a CCTV camera, and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20 includes a pan, tilt, zoom, and the like, and controls the angle of view for rotating the camer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driving the pan, tilt, or zoo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a PTZ (PAN, TILT, ZOOM) camera that adjusts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감지부(120)는 적외선, 초음파, 근접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진입로를 통해 대피함(105)에 진입하려는 객체들을 감지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20 senses objects to enter the evacuation 105 through the access road using one of infrared rays, ultrasonic waves, and proximity sensors.

그리고, 검출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해 제1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1 객체에 접근하는 제2 객체를 검출한다. 예컨대, 감지부(120)가 카메라인 경우, 검출부(130)는 이동 객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객체에 접근하는 제2 객체를 검출한다. 여기서, 이동 객체 알고리즘은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기반 알고리즘, Cascade HOG 알고리즘, ChnFtrs 알고리즘 및 part-based 모델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알고리즘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first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20, the detecting unit 130 detects a second object accessing the first object.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unit 120 is a camera, the detecting unit 130 detects a second object accessing the first object using a moving object algorithm. Here, the moving object algorithm includes any one of a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OG) -based algorithm, a Cascade HOG algorithm, a ChnFtrs algorithm, and a part-based model algorith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추정부(140)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제2 객체의 움직임 또는 음성이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대응되면, 상기 제2 객체를 위험객체로 추정한다. Next, the estimation unit 140 estimates the second object as a dangerous object when the motion or voice of the second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30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isk level.

보다 구체적으로, 추정부(140)는 검출부(130)에서 제2 객체가 검출되면, 감지부(120)를 통해 감지된 제2 객체의 움직임 또는 대피함(105)에 구비된 오디오입력장치(182)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이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대응되면, 제2 객체를 위험객체로 추정한다. 예컨대, 추정부(140)는 가해 행위, 특정 언어가 포함된 목소리, 물리적 범죄행위 등을 기설정된 위험수준으로 미리 저장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object is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130, the estimating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20 or the audio input device 182 ), The second object is estimated as a dangerous object. For example, the estimating unit 140 stores in advance a malicious action, a voice including a specific language, physical crime, and the like at predetermined risk levels.

이때, 제어부(15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제1 객체와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제2 객체에 대한 각각의 거리와 속도를 측정하도록 거리감지장치(160)를 제어한다. 여기서 거리감지장치(160)는 대피함(105) 외부에 배치되고,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PIR 센서, 도플러 레이더센서, 반사형 포토센서, 열화상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tance sensing device 160 to measure the distances and velocities of the first object sensed by the sensing unit 120 and the second object sensed by the sensing unit 130, respectively. The distance sensing device 160 is disposed outside the escape chamber 105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PIR sensor, a Doppler radar sensor, a reflection type photosensor, and a thermal image sensor.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거리감지장치(160)의 제어를 통해 도어(110)로부터 각 객체까지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객체 간 도달 시간차를 산출하고, 도달 시간차에 따라 도어(110)를 언록킹 및 록킹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0 calculates the arrival time difference between objects by measuring the arrival time from the door 110 to each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distance sensing device 160, and calculates the arrival time difference between the doors 110 Unlocking and locking.

또한, 제어부(150)는 도어(110)가 록킹됨에 따라,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제2 객체에 대한 차단지속 여부를 제1 객체에 확인요청하고, 제1 객체로부터 상기 차단지속 여부에 대한 승인을 응답받는 경우, 제2 객체의 영상을 유무선통신부(170)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Also, the controller 150 requests the first object to check whether the second object is blocked or not, according to the locking of the door 110, When the approval is received, the image of the second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또한, 제어부(150)는 도어(110)의 언록킹 동작 후, 제1 객체가 기설정된 무관심객체에 대응될 때, 내부 스피커(181)를 통해 경보음이 기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컨대, 무관심객체는 피해자가 아닌 노숙자, 취객, 호기심에 진입한 아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When the first objec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indifferent object afte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11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internal speaker 181 so that the alarm sound can be outputted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speaker. For example, the indifferent object includes any one of a homeless person, a passenger, and a child who has entered into a curiosity rather than a victim.

한편, 제어부(150)는, 도어(110)가 록킹됨에 따라,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제2 객체에 대한 차단지속 여부를 제1 객체에 확인요청하고, 제1 객체로부터 상기 차단지속 여부에 대한 거절을 응답받는 경우, 록킹된 도어(110)를 언록킹한다. The control unit 150 requests the first object to confirm whether the second object is blocked or not as the door 110 is locked, Locks the locked door 110 when it is answered.

그리고, 유무선통신부(170)는 관리서버(200)와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한다. 즉, 유무선통신부(170)는 제어부(150)를 통해 도어(110)가 언록킹됨에 따라, 대피함(105)의 위치정보를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된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10 to perform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That is,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hatch 105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10 as the door 110 is unlocked through the controller 150.

여기서, 네트워크(10)는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이다. Here, the network 10 includes a TCP / IP protocol and various services that exist in the upper layer of the TCP / IP protocol, such as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ile Transfer Protocol (FTP), Domain Name System (D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Network Management Service "), a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 Network File Service (NFS), and a Network Information Service (NIS), and may b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ortable Internet.

다음으로, 관리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들(100-1~100-N)과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각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들(100-1~100-N)에 구비된 내부장치(180)를 제어하는 정보처리장치이다. 여기서, 내부장치(180)는 대피함(105) 내부로 진입한 제1 객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 내부카메라, 피해자와 음성 및 영상 통화할 수 있는 통화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Next, the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one or more crime prevention shelter devices 100-1 to 100-N through the network 10, and the respective crime prevention shelter devices 100- 1 to 100-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ere, the internal device 180 includes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first object entering the escape hatch 105, an internal camera, and a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with the victim.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들(100-1~100-N) 각각의 유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전송받은 제2 객체에 대한 영상 및 대피함의 위치정보를 각각의 위치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예컨대, 관리서버(20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지고 있다.Then, the management server 2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and the evacuation ship for the second object receiv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of each of the crime prevention evacuees hops 100-1 to 100-N to each location And stores it in a database (DB).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be a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 such as Oracle, Infomix, Sybase, DB2, or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such as Gemston, Orion, It can be implemen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n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and has suitable fields to achieve its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리서버(200)는 유무선통신부(170)로부터 전송받은 대피함(105)의 위치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도주 경로를 검출하고, 상기 도주 경로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장치들(예컨대, 도 5의 310-1~310-7)을 통해 제2 객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관공서서버(300)에 연동요청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detects a predetermined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hatch 105 transmitted from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And requests the public office server 300 to interwork with the public office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10 to detect the second object through the sensing devices 310-1 to 310-7 of FIG.

여기서, 관공서서버(300)는 복수의 감지장치들(310-1~310-N) 중 관리서버(200)의 연동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도주 경로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해당 감지장치들을 관리서버(200)와 연동하도록 제공하는 예컨대, 경찰서, 소방서, 병원 같은 관공서에서 관리하는 서버이다. The public office server 300 responds to the request for interlocking of the management server 200 among the plurality of the sensing devices 310-1 to 310-N to send the corresponding sensing device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scape route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for example, a server managed by a government office such as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or a hospital.

도 3은 도 1의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의 동작 프로세스이다. 3 is an operational process of the crime prevention evacuation apparatus of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120)는 대피함(105)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진입로를 통해 진입하려는 제1 객체를 감지한다(S100).Referring to FIGS. 1 to 3, the sensing unit 120 senses a first object to be entered through an access path formed outside the escape hatch 105 (S100).

이때, 검출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해 제1 객체가 감지되면, 제1 객체에 접근하는 제2 객체를 검출한다(S110). At this time, if the first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20, the detecting unit 130 detects a second object accessing the first object (S110).

그리고, 추정부(140)는 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제2 객체의 움직임 또는 음성이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대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Then, the estimation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 motion or the voice of the second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30 corresponds to a preset danger level (S120).

또한, 추정부(140)는 제2 객체의 움직임 또는 음성이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대응되면, 제2 객체를 위험객체로 추정하고(S130), 제2 객체의 움직임 또는 음성이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검출부(130)를 통해 제1 객체에 접근하는 제2 객체를 검출한다. If the motion or voice of the second objec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isk level, the estimating unit 140 estimates the second object as a dangerous object (S130). If the motion or voice of the second object is at a predetermined risk level If not, the second object accessing the first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unit 130.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추정부(140)에서 제2 객체가 위험객체로 추정되면, 상기 도어로부터 각 객체까지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고(S140), 객체 간 도달 시간차를 산출하며(S150), 도달 시간차에 따라 도어(110)를 언록킹 및 록킹한다(S160). If the second object is estimated as a dangerous object, the control unit 150 measures the arrival time from the door to each object (S140), calculates the arrival time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s (S150) And unlocks and locks the door 110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difference (S160).

이후, 유무선통신부(170)는 제어부(150)를 통해 도어(110)가 언록킹됨에 따라, 대피함(105)의 위치정보를 네트워크(10)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S170).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7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hatch 105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10 as the door 110 is unlocked through the controller 150 at step S170, .

도 4는 도 1의 관리 서버의 동작 프로세스이고, 도 5는 도 4의 관리서버의 동작 실시 예이다. FIG. 4 i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1, and FIG. 5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management server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관리서버(200)는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100-1)로부터 제2 객체 영상과 대피함(105)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다(S200).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management server 200 receives the second object im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vacuation box 105 from the crime prevention device 100-1 (S200).

이때, 관리서버(200)는 전송받은 대피함(105)의 위치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도주 경로를 검출한다(S210).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200 detects a predetermined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ferred escape hatch 105 (S210).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관공서서버(300)가 관리하는 복수의 감지장치들 중 도주 경로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해당 감지장치들(예컨대, 310-1~310-7)을 검출한다(S220).The management server 200 detects corresponding sensing devices (for example, 310-1 to 310-7)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scape route among the plurality of sensing devices managed by the government office server 300 (S220 ).

또한, 관리서버(200)는 해당 감지장치들(예컨대, 310-1~310-7)을 통해 제2 객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10)를 통해 관공서서버(300)에 연동요청한다(S230).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interlocks with the public office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10 to detect the second object through the sensing devices 310-1 to 310-7 (S230 ).

이후, 관리서버(200)는 해당 감지장치들(예컨대, 310-1~310-7)을 통해 감지된 감지 정보들 및 제2 객체의 도주 경로정보를 관공서서버(300)로 제공한다(S240). Thereafter, the management server 200 provides the sensed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devices 310-1 to 310-7 and the escape path information of the second object to the public office server 300 (S240) .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carrying out other functions.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상기와 같이 설명된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crime prevention evacuation system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10: 네트워크
100, 100-1~100-N: 범죄예방 대피함 장치
105: 대피함
110: 도어
120: 감지부
130: 검출부
140: 추정부
150: 제어부
160: 거리감지장치
170: 유무선통신부
180: 내부 장치
181: 내부 스피커
182: 오디오입출력장치
200: 관리서버
300: 관공서서버
310-1~310-N: 복수의 감지장치
1000: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
10: Network
100, 100-1 ~ 100-N: Crime prevention evacuation device
105: Evacuated
110: Door
120:
130:
140:
150:
160: Distance sensing device
170: Wired /
180: internal device
181: Internal speaker
182: Audio input / output device
200: management server
300: Government office server
310-1 to 310-N: a plurality of sensors
1000: Crime prevention evacuation system

Claims (5)

객체들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와 진입로가 형성된 대피함;
상기 대피함 외부에 일정 간격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진입로를 통해 객체들을 감지하는 감지부들;
상기 감지부들을 통해 제1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1 객체에 접근하는 제2 객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제2 객체의 움직임 또는 음성이 기설정된 위험수준에 대응되면, 상기 제2 객체를 위험객체로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추정부에서 상기 제2 객체가 위험객체로 추정되면, 상기 도어로부터 각 객체까지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객체 간 도달 시간차를 산출하고, 상기 도달 시간차에 따라 상기 도어를 언록킹 및 록킹하는 제어부; 및
상기 도어가 언록킹됨에 따라, 상기 대피함의 위치정보를 연결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유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유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객체의 영상과 상기 대피함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도주 경로와 상기 도주 경로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장치들을 검출하고, 상기 제2 객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인접한 복수의 감지장치들을 관리하는 다른 서버에 상기 제2 객체의 영상과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
Evacuating doors and ramps to allow objects to enter the interior;
Sensing unit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tervals from the cabin to sense objects through the access path;
A detecting unit detecting a second object accessing the first object when the first object is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s;
An estimator for estimating the second object as a dangerous object when the motion or voice of the second object detected by the detecting unit corresponds to a preset danger level;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n arrival time difference between objects by measuring a time of arrival from the door to each object when the estimating unit estimates the second object as a dangerous object and unlocking and lock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arrival time difference; And
And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hatch to the connected management server as the door is unlocked,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n detecting that the second object and the second object a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escape route and the escape rout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image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scape house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provides the image of the second objec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nother server managing the adjacent plurality of sensing devices so as to detect the second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록킹됨에 따라,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차단지속 여부를 상기 제1 객체에 확인요청하고, 상기 제1 객체로부터 상기 차단지속 여부에 대한 승인을 응답받는 경우, 상기 제 2객체의 영상을 상기 유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When the door is locked, requesting the first object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second object is intercepted, and receiving approval of the interception of the second object from the first objec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객체로부터 상기 차단지속 여부에 대한 거절을 응답받는 경우, 상기 도어를 언록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
3. The apparatus of claim 2,
Locks the door in response to a rejection of the continuation of the blocking from the first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언록킹 동작 후, 상기 제1 객체가 기설정된 무관심객체에 대응될 때,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기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스피커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범죄예방 대피함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n output of the speaker is controlled so that an alarm sound can be outputted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via a speaker when the first objec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indifferent object after the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System.
삭제delete
KR1020160115766A 2016-09-08 2016-09-08 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 KR101840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66A KR101840661B1 (en) 2016-09-08 2016-09-08 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66A KR101840661B1 (en) 2016-09-08 2016-09-08 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78A KR20180028278A (en) 2018-03-16
KR101840661B1 true KR101840661B1 (en) 2018-05-04

Family

ID=6191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766A KR101840661B1 (en) 2016-09-08 2016-09-08 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6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890A (en) * 2018-12-14 2019-04-12 严新喜 A kind of safe sentry box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789B1 (en) * 2018-03-23 2020-07-03 건축안전기술 주식회사 Smart crime prevention door for ventilation and controlling of the same
KR102006688B1 (en) * 2018-04-10 2019-08-02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security information based on are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5064A (en) * 2005-05-20 2006-11-30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Wide area monitoring system
KR101154804B1 (en) * 2008-04-03 2012-06-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Group management device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5064A (en) * 2005-05-20 2006-11-30 Advance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Wide area monitoring system
KR101154804B1 (en) * 2008-04-03 2012-06-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Group management device of ele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890A (en) * 2018-12-14 2019-04-12 严新喜 A kind of safe sentry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78A (en)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1873A1 (en) Next Generation Monitoring System
US10650669B1 (en) System of living
US10257469B2 (en) Neighborhood camera linking system
US10332326B2 (en) Security system for identifying disturbances in a building
CN106375712A (en) Home, office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using micro mobile drones and IP cameras
US20150170505A1 (e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llaborative standalone area monitor
DK201500228A1 (en) Smart alarm system with user confirmed video stream notification of psap in combination with data safety and public emergency involvement using smartphone agents
US9251692B2 (en) GPS directed intrusion system with data acquisition
KR101841882B1 (en) Unmanned Crim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KR101840661B1 (en) Crime prevention shelters system
KR101996900B1 (en) Door lock control method and door lock based on two-factor authentication pattern
CN105704440A (en) System and Method of Contextual Adjustment of Video Fidelity to Protect Privac
CN202904839U (en) Intelligent security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US20180167585A1 (en) Networked Camera
KR100932117B1 (en) Supervisor using microphone array
KR101340493B1 (en) physical crime-refuge device
KR100922831B1 (en) Digital Doorlock,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ing It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US20210185176A1 (en) Automated area denial system
KR101452874B1 (en) Home security system
US20110234794A1 (en) Uni-directional traffic monitoring system
KR1014404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security
KR20160050965A (en) In-home security device for intrusion prevention and the security method
KR101704466B1 (en) Crime prevention controlling system using blackbox
KR101399185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having refuge device and crime prevention ser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