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358B1 -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tion - Google Patents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358B1
KR101840358B1 KR1020150154436A KR20150154436A KR101840358B1 KR 101840358 B1 KR101840358 B1 KR 101840358B1 KR 1020150154436 A KR1020150154436 A KR 1020150154436A KR 20150154436 A KR20150154436 A KR 20150154436A KR 101840358 B1 KR101840358 B1 KR 10184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hematical
area
learning
icon
solv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2232A (en
Inventor
박혜정
김세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터치앤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터치앤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터치앤에듀
Priority to KR102015015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358B1/en
Priority to PCT/KR2016/010593 priority patent/WO2017078269A1/en
Priority to CN201680064488.1A priority patent/CN108352128B/en
Publication of KR2017005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3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학습자가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을 연습할 수 있으며, 지도교사의 도움 없이도 잘못된 풀이 과정을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는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등급풀이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학 문제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결정된 풀이 과정 등급에 대응하는 종류의 입력 영역을 상기 수학 문제,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및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수학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에 포함된 둘 이상의 빈칸 중에서 N번째 빈칸을 강조하는 단계; 상기 수학 학습 화면의 입력 영역에 필기된 수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수식이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풀이 과정이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상기 둘 이상의 빈칸빈칸을 강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that allows a learner to practice a solving process of a mathematical problem and can correct the mistaken solving process by himself without the help of a guidance teacher.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using the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step of determining a solving process grade of a mathematical problem; Displaying a mathematical problem display area and an input area of a kind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olving process grade through a display of the mathematical problem,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function icons ; Highlighting an Nth blank among two or more blank spaces included in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Recognizing a written expression in an input area of the mathematical learning pictur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equation matches a previously stored solution formula; And emphasizing the two or more blank spaces to output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ving process is incorr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Description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 및 방법{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자가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연습할 수 있으며, 지도교사의 도움 없이도 잘못된 풀이 과정을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A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are disclos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and a mathematical learning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in which a learner can practice a solving process for a mathematical problem and can correct the mistaken solving process without assistance of a guidance teacher.

수학은 공식을 암기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해야한다. 그리고 공식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유형의 문제를 직접 풀이해봄으로써, 응용력을 키울 수 있다. Mathematics must understand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before memorizing formula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formula, we can develop the application by solving various types of problems directly.

수학을 학습하는데 있어, 과거에는 공식의 개념과 원리, 여러 유형의 문제 등이 수록되어 있는 학습교재가 주로 이용되었다면, 최근에는 이러한 학습교재를 학습 사이트에 게재하거나 학습자의 컴퓨터 장치로 제공하는 전자 학습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In learning mathematics, if learning textbooks containing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formulas and various types of problems were mainly used in the past, recently, these learning materials can be displayed on a learning site or provided as e-learning Method is mainly used.

종래의 전자 학습 방법에 따르면, 학습자는 학습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학습 단원을 선택하고, 해당 학습 단원에서 제공되는 공식의 개념 및 원리를 익힌 다음, 해당 학습 단원에서 제시되는 수학 문제들의 답을 입력할 수 있다. 학습 사이트에 연동된 학습 시스템에서는 학습자가 수학 문제마다 입력한 답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학습자에게 보여준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ctronic learning method, a learner accesses a learning site, selects a desired learning unit, learns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formula provided in the learning unit, and then answers the mathematical problems presented in the learning unit Can be input. In the learning system linked to the learning site, the learner confirms whether the answer inputted for each mathematical problem is the correct answer or the wrong answer, and shows the result to the learner.

그러나 종래의 전자 학습 방법에 따르면, 수학 문제 채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거의 대부분의 수학 문제가 객관식 문제 또는 단답형의 주관식 문제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연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ctronic learning method, in order to facilitate the scoring of the mathematical problems, almost all the mathematical problems are presented as the question of the multiple choice or short answer.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learners' practice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014017 (발명의 명칭: 전자학습 단말장치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실행방법; 공개일자 2010년 2월 10일)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14017 (entitled " e-learning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the application program thereof;

학습자가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을 연습할 수 있으며, 지도교사의 도움 없이도 잘못된 풀이 과정을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A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that allows a learner to practice a solving process of a mathematical problem and can correct the mistaken solving process by himself without the help of a guidance teach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은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학 문제,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및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수학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에 포함된 둘 이상의 빈칸 중에서 N번째 빈칸을 강조하는 단계; 상기 수학 학습 화면의 입력 영역에 필기된 수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수식이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빈칸 중에서 N+1번째 빈칸을 강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thematical learning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the mathematical learning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 solving grade of a mathematical problem; Displaying the mathematical problem,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function icons through a display; Highlighting an Nth blank among two or more blank spaces included in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Recognizing a written expression in an input area of the mathematical learning pictur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equation matches a previously stored solution formula; And emphasizing the (N + 1) th blank among the two or more blank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에 포함된 빈칸의 개수, 배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정된 풀이 등급에 따라 결정된다.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blanks, the placement position, and the area included in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olution grade.

상기 결정된 풀이 과정 등급이 하위 등급일수록 상기 빈칸의 개수가 증가한다. The number of the blank spaces increases as the determined process grade is lower.

상기 결정된 풀이 과정 등급이 하위 등급일수록 상기 빈칸의 면적이 감소한다. As the determined process grade is lower, the area of the blank decreases.

상기 입력 영역은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The input area is an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plurality of function icons are displayed.

상기 인식된 수식은 상기 N번째 빈칸의 크기에 맞게 표시된다.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N-th blank.

상기 빈칸의 테두리 색상, 테두리 굵기, 테두리 종류, 음영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changing at least one of a border color, a border thickness, a border type, a shadow, and a blinking pattern of the blank space.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풀이 과정이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ving process is incorre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수식을 강조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수식이 표시되어 있는 상기 N번째 빈칸을 강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수식의 주변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step of outpu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emphasizing the recognized formula; Highlighting the N-th empty space in which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nd displaying an icon around the recognized formula.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은 수학 학습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목록 아이콘, 연습장을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습장 아이콘, 상기 수학 문제의 모범 답안을 표시하기 위한 모범 답안 아이콘, 상기 수학 학습 화면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아이콘, 상기 수학 문제보다 쉬운 수학 문제를 표시하기 위한 난이도 하향 조절 아이콘, 상기 수학 문제보다 어려운 수학 문제를 표시하기 위한 난이도 상향 조절 아이콘 및 상기 수학 문제와 관련된 단서를 표시하기 위한 단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function icons may include a list icon for displaying a math learning list, at least one practice field icon for displaying a practice field, a model answer icon for displaying a math problem answer, an initialization icon for initializing the math learning screen, A degree of difficulty downward adjustment icon for indicating an easier mathematical problem than the mathematical problem, a difficulty level up icon for displaying a mathematical problem that is more difficult than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a clue icon for displaying clues related to the mathematical problem .

상기 연습장 아이콘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필기할 수 있는 연습장 영역을 중첩 표시하는 단계; 상기 연습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연습장 영역을 표시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연습장 영역에 필기되어 있는 내용을 필기된 상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isplaying a driving range area capable of writing a solution to the mathematical problem when the driving range icon is dragged in a first direction; Disengaging the training-practice area when the training-practice area is dragged in a second direction; And storing the handwritten content in the practice area in a written state.

상기 연습장 영역을 중첩 표시하는 단계는 활성화되었던 수식 인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습장 영역을 표시 해제하는 단계는 비활성화되었던 수식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of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the exercise area includes disabling the activated formula recognition function, and the step of unmarking the exercise area includes activating the disabled formula recognition function.

상기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이 기준치 이상 진행된 경우, 상기 모범 답안 아이콘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모범 답안 아이콘이 제1 방향으로 드래드되면,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포함된 모범 답안 영역을 중첩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범 답안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모범 답안 영역을 표시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tivating the model answer icon if the solving process for the mathematical problem progresses beyond a reference value; If the icon for the best answer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the best answer area including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unmarking the best answer area if the best answer area is dragged in a second direction.

상기 모범 답안 영역을 중첩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학 문제의 모범 답안을 상기 둘 이상의 빈칸에 중첩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of the exemplary answer area may include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the best answer of the mathematical problem on the two or more spaces.

학습자가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입력 영역에 필기하면, 필기된 풀이 과정 중에서 잘못된 부분에 대한 알림 신호가 학습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므로, 학습자는 지도교사의 도움 없이도 잘못된 풀이 과정을 스스로 교정할 수 있다. If a learner writes a solving process for a mathematical problem in the input area, the learner can be notified of the wrong part of the written solving process in real time so that the learner can correct the wrong solving process without the help of the guidance teacher .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등급들 중에서 결정된 풀이 과정 등급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 영역이 표시되므로,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에 맞추어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을 연습할 수 있다. Since different types of input areas are displayed based on the solution process class determined among the solution process classe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the learner can practice the solution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ccording to his or her lev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수학 문제 및 그에 대한 풀이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등급들 중에서 상위 등급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 내지 도4c는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등급들 중에서 상위 등급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등급들 중에서 중위 등급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등급들 중에서 하위 등급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athematical problem and a solution process thereof.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mathematical learning screens displayed when a higher grade is selected among solving process classes of a mathematical problem.
FIGS. 4A to 4C are diagrams showing other examples of mathematical learning screens displayed when a higher grade is selected among solving process classes of a mathematical problem. FIG.
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mathematical learning screens displayed when a median grade is selected among solving process classes of a mathematical problem.
FIGS. 6A to 6F are diagrams showing mathematical learning screens displayed when a lower grade is selected among the solution grade classe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thematical learning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출입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opening paragraph.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100)(이하, '수학 학습 장치'라 한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수학 학습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수식 인식부(130), 저장부(140), 전원부(150), 제어부(160)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1,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an output unit 120, a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zing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power source unit 150, a control unit 160, ).

입력부(110)는 학습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다. 일 예로, 학습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학습자 정보는 이름, 나이 및 학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 수학 학습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설정 정보로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The input unit 110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For example, the learner information is input. The learne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me, an age, and a grade. As another exampl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mathematics learning is input. For example,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a rating information of a solving mathematical problem.

또한, 입력부(110)는 학습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을 선택하는 명령 및 수학 학습 종료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 명령의 종류가 예시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input unit 110 receives various commands from the learner. For example, a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a command for selecting a grade of solving a mathematical problem, and a mathematical learning termination command can be input. However, the types of commands received from learners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학습자로부터 각종 정보 및/또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입력부(110)는 터채 피드 및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초음파 방식의 터치 패널, 또는 적외선 방식의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후술될 출력부(120)의 디스플레이(121)에 적층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성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입력부(110)의 터치 패널이 후술될 출력부(120)의 디스플레이(121)에 적층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and / or commands from the learner, the input unit 110 includes input means such as a turntable feed and a touch panel. The touch panel includes a resistive touch panel, a capacitive touch panel, an ultrasonic touch panel, or an infrared touch panel. The touch panel is stacked on the display 121 of the output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touch scree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ouch panel of the input unit 110 is stacked on the display unit 121 of the output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touch screen.

출력부(120)는 명령 처리 결과를 시각적 신호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출력부(120)는 시각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1) 및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21)는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연성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불투명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E-paper),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20 outputs the command processing result to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d an auditory signal. To this end, the output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121 for outputting a visual signal and a speaker 122 for outputting an auditory signal. The display 121 may be a flat panel display, a flexible display, an opaque display, a transparent display, an electronic paper (E-paper), or any other form of art known in the art Lt; / RTI >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121) 및 스피커(122)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등의 촉각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진동자, 광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output unit 120 may further comprise any type of output means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o the display 121 and the speaker 122. For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vibrator for outputting a tactile signal such as vibration and a light emitting element for outputting an optical signal.

수식 인식부(130)는 학습자가 터치 패널 상에 필기한 수식을 인식한다. 이를 위해 수식 인식부(130)는 다양한 수식 인식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식 인식부(130)는 순차적 블록 모델(Sequential Block Model, SBM)을 이용한 필기체 수식 인식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식 인식부(130)는 학습자로부터 수식을 입력 받아 수식을 이루는 각 문자의 위치정보를 분석한 뒤 문자 사이의 인접성을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과정을 거쳐 독립된 수식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수식 인식부(130)는 예시된 수식 인식 방법 외에도 다른 수식 인식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식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수식은 후술될 제어부(160)로 제공된다. The formula recognizing unit 130 recognizes the formula written by the learner on the touch panel. For this, the formula recognizing unit 130 may use one of various formula recognizing methods. For example, the formula recognizer 130 may use a handwritten formula recognition method using a sequential block model (SBM). Alternatively, the formula recognizing unit 130 may receive the formulas from the learner, analyz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character forming the formulas, and group them based on the adjacency between the characters to recognize them as independent expressions. The formula recognizing unit 130 may use another formula recognizing method other than the illustrated formula recognizing method. The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zed by the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zing unit 130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저장부(14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내장형 메모리, 착탈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형 메모리로는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미니 SD 카드, 및 마이크로 SD 카드를 예로 들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n internal memory, a removable external memory, a hard disk, an optical disk, a magneto-optical disk, or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nown in the art And a recording medium. Examples of the external memory include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a mini SD card, and a micro SD card.

상술한 바와 같은 저장부(140)는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및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한다.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유형의 수학 문제 및 각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포함한다. 도 2는 수학 문제(210) 및 그에 대한 풀이 과정(220)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학 문제(210)에 대한 풀이 과정은 총 4개의 단계(221, 222, 223, 224)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단계의 수식은 수식 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된 수식과 비교될 수 있다.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과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고,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40 stores the math learning application and the math problem database. A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 contains various types of mathematical problems and a solution process for each mathematical probl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thematical problem 210 and a solving process 220 therefor.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solving process for the mathematical problem 210 includes a total of four steps 221, 222, 223, and 224. The mathematical expression of each step can be compared with the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zed by the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zing unit 130. [ The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or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가 착탈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로 구현되는 경우, 기존의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외장형 메모리를 새로운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외장형 메모리로 교체함으로써,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저장부(140)가 착탈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 외의 것으로 구현되는 경우, 새로운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의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다운로드된 새로운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로 대체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nd / or the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 may be continuously updated. For example, when the storage unit 140 is implemented as a removable external memory, the external memory in which the existing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and / or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 is stored is stored in an external memory storing a new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and / By replacing,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and / or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 can be updated. As another example, if the storage unit 140 is implemented in a non-removable external memory, the new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and / or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device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Existing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s and / or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s may be replaced with new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s downloaded and / or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s.

한편, 저장부(140)는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이나 수학 문제 데이터베이스 외에도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학습자로부터 입력받은 학습자 정보, 수학 학습 중에 학습자가 필기한 풀이 과정(즉, 인식된 수식) 및 학습자의 수학 학습 수준을 평가한 평가 결과 등을 저장한다. Meanwhile, the storage unit 140 stores various data in addition to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and the mathematical problem database. For example, learner information input from a learner, a solving process written by a learner during mathematics learning (i.e., a recognized mathematical expression), and an evaluation result obtained by evaluating a mathematical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are stored.

전원부(150)는 수학 학습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50)는 다양한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150)는 상용 전원(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원부(150)는 상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 충전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무선전력전송기술에 따라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100. The power supply unit 150 can be charg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charged with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a commercial power supply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upply (not shown). 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ource unit 150 may be powered by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ique from a wireless charging device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제어부(160)는 수학 학습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The control unit 160 connects and controls the elements in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100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when a math learning application execu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160 drives a math learning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

이후, 제어부(160)는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을 결정한다. 풀이 등급은 예를 들어, 상위, 중위, 하위 등급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이전의 수학 학습 중에 사용되었던 풀이 등급을 참조하여, 현재의 수학 학습을 위한 풀이 등급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학습자의 수학 학습 수준을 평가한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풀이 등급을 결정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이전의 수학 학습에 대한 평가 결과만을 참조할 수도 있고, 현재까지의 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참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60)는 학습자가 선택한 풀이 등급을 현재의 수학 학습을 위한 풀이 등급으로 결정한다. Then,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a solution grade of the mathematical problem. The pool grade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by one of the upper, middle, or lower class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60 refers to the pool class that was used during the previous mathematical learning, and determines the pool grade for the current mathematical lear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e solution grade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earner's mathematical learning level.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may refer to only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revious mathematical learning, or may collectively refer to the evaluation results to d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e class of the pool selected by the learner as the class for the current mathematics learning.

풀이 등급이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수학 학습 화면을 구성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수학 학습 화면은 수학 문제,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 및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포함한다.When the pool grade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160 forms a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includes a mathematical problem, a solving process for a mathematical problem, and a plurality of function icons.

수학 문제는 예를 들어, 수학 학습 화면의 위쪽에 배치된다. 수학 문제가 배치되는 위치는 고정되거나, 학습자에 의해 변경되도록 구현된다. The mathematical problem is placed, for example, above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The location where the mathematical problem is placed is fixed or is modified to be changed by the learner.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은 예를 들어, 수학 문제의 하단에 배치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수학 문제의 하단에는 앞서 결정된 풀이 등급에 대응하는 종류의 풀이 과정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결정된 풀이 등급이 상위 등급인 경우, 풀이 과정의 각 단계가 모두 빈칸으로 표시되거나 풀이 과정 전체가 하나의 빈칸으로 표시되거나 빈칸 자체가 표시되지 않는다. 만약 결정된 풀이 등급이 중위 등급 또는 하위 등급인 경우, 풀이 과정의 각 단계마다 표시되는 빈칸의 개수, 빈칸의 배치 위치 및 빈칸의 면적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결정된 풀이 등급이 중위 등급인 경우, 풀이 과정의 각 단계마다 2개의 빈칸이 표시되며, 각각의 빈칸은 정답 도출이 어려운 부분에 배치된다. 이에 비해, 결정된 풀이 등급이 하위 등급인 경우, 풀이 과정의 각 단계마다 1개의 빈칸이 표시되며, 각각의 빈칸은 정답 도출이 쉬운 부분에 배치된다.The process of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is, for example, placed at the bottom of mathemat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t the bottom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 solving process of the kind corresponding to the solving grade determined in advance is displayed. Specifically, if the determined pool is of a higher grade,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may be marked as blank, or the entire process may be displayed as a single space, or the space itself may not be displayed. If the determined pool grade is a middle grade or a lower grade, the number of blanks, the location of the blanks, and the area of the blanks are different for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For example, if the determined pool is of a moderate grade, two spaces are displayed for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and each space is placed in a region where it is difficult to derive the correct answer. 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ed pool grade is a lower grade, one blank is displayed for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and each blank is placed in a portion where the correct answer can be easily obtained.

복수의 기능 아이콘은 예를 들어, 수학 학습 화면은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다. 기능 아이콘으로는 수학 학습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목록 아이콘(330), 연습장을 표시하기 위한 연습장 아이콘(340), 수학 문제의 모범 답안을 표시하기 위한 모범 답안 아이콘(350), 수학 학습 화면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아이콘(360), 현재 표시된 수학 문제보다 쉬운 수학 문제를 표시하기 위한 난이도 하향 조절 아이콘(370), 현재 표시된 수학 문제보다 어려운 수학 문제를 표시하기 위한 난이도 상향 조절 아이콘(380) 및 현재 표시된 수학 문제와 관련된 단서를 표시하기 위한 단서 아이콘(3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unction icons are arranged along the corners of the math learning screen. The function icons include a list icon 330 for displaying a mathematics learning list, a practice field icon 340 for displaying a practice field, a model answer icon 350 for displaying a model answer of a mathematical problem, An initialization icon 360, a difficulty leveling icon 370 for displaying an easier mathematical problem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mathematical problem, a difficulty leveling icon 380 for displaying a mathematical problem that is more difficult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mathematical problem, And a clue icon 390 for displaying a clue associated with the clue.

상술한 바와 같은 수학 학습 화면에서 기능 아이콘들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입력 영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 영역은 학습자가 상기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필기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수학 학습 화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3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It can be understood that an area excluding the area where the function icons are displayed on the math learning screen as described above is an input area. The input area is an area where the learner can write a solving process for the mathematical problem.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th learning screen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7E.

한편, 제어부(160)는 수식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풀이 과정이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zed by the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zing unit 130 and the mathematical expressions of the previously stored mathematical expressions match each oth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formula does not match the previously stored formula, the controller 160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ution process is incorre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알림 신호는 시각적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60)는 인식된 수식을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이 때, 강조 방법으로는 인식된 수식의 글자 색상, 글자 굵기, 글자 크기, 글자 모양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인식된 수식의 주변에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 때, 아이콘의 모양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아이콘의 모양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인식된 수식이 표시되어 있는 빈칸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도 있다. 이 때, 강조 방법으로는 해당 빈칸의 테두리 색상, 테투리 굵기, 테두리 종류, 음영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as a visual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visually emphasizes the recognized mathematical expression. At this time, as the emphasis method, a method of changing at least one of a character color of a recognized formula, a character size, a character size, a character shape, and a blinking pattern may be use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displays an icon around the recognized formula.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icon can be variously provided, and the learner can select the shape of the icon suitable for his / her taste.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may visually emphasize the blank space in which the recognized mathematical expression is displayed. At this time, as the emphasis method, a method of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border color, the thickness of the textures, the type of border, the shadow and the flickering pattern may be used.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알림 신호는 청각적 신호로 출력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122)를 통해 알림음이 출력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nnouncement signal may be output as an audible signal. Specifically, a notification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22.

이외에도, 제어부(160)는 수학 학습이 종료되는 경우, 학습자의 수학 학습 수준을 평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을 모두 입력하는데 걸린 시간 및 풀이 과정을 잘못 입력한 횟수 등을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생성한다. 생성된 평가 결과는 전술한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평가 결과는 다음번의 수학 학습 시, 풀이 등급을 결정하기 위해 참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may evaluate the math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when the mathematical learning is terminated. For example, the evaluation results are generated by analyzing the time taken by the learner to input all of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the number of times the solving process was entered incorrectly.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described above. The stored evaluation results can be referenced in the next math learning to determine the pool grade.

통신부(17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학 학습 어플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170)는 유선 통신 방식 및/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는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및 근거리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예로 들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70 receives a mathematical learning application applic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70 supports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and /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clude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 ZigBee,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Ultra Wide Band, UWB)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학 학습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학 학습 장치(100)는 학습자가 개인적으로 소지한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유무선 통신 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o phone), 모바일 게임기, 스마트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유무선 통신 장치는 학습자의 머리, 얼굴, 팔, 팔목, 손가락, 허벅지, 또는 발목 등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착용형 장치(wearable device)일 수도 있다. 착용형 장치는 신체 일부에 부착될 수 있는 패치 형태로 구현되거나, 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ath lear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math learning apparatus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personally possessed by a learner.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cellular phone, a PCS phone, a synchronous / asynchronous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phone, a mobile game machine, a smart phone, and a tablet . The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s illustrated may be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wearer's body such as the head, face, arm, cuff, finger, thigh, or ankle. The wearable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atch that can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body, or in the form of a band.

다음으로, 수학 학습 장치(100)를 통해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the math learning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도 3a 및 도 3b는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들 중에서 상위 등급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FIGS. 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mathematical learning screens displayed when a higher grade is selected among the solving grade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FIG.

도 3a를 참조하면, 수학 학습 화면(300)은 수학 문제 및 복수의 기능 아이콘(330, 340, 350, 360, 370, 380, 390)을 포함한다. 수학 문제는 화면의 위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기능 아이콘(330, 340, 350, 360, 370, 380, 390)은 화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각각의 기능 아이콘(330, 340, 350, 360, 370, 380, 39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3A,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includes a mathematical problem and a plurality of function icons 330, 340, 350, 360, 370, 380, and 390. The mathematical problem is placed on the top of the screen, and a plurality of function icons (330, 340, 350, 360, 370, 380, 390) are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creen. Specific descriptions of the function icons 330, 340, 350, 360, 370, 380, and 39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E.

도 3a의 수학 학습 화면(300)에서 각 기능 아이콘(330, 340, 350, 360, 370, 380, 390)을 제외한 영역은 입력 영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입력 영역은 학습자가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필기할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각 기능 아이콘(330, 340, 350, 360, 370, 380, 390)을 제외한 영역이 입력 영역이라는 것은 수학 문제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도 입력 영역에 해당함을 의미한다.It can be understood that an area excluding the function icons 330, 340, 350, 360, 370, 380, and 390 in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of FIG. The input area is an area where learners can write solving process about mathematical problems. Therefore, the area excluding the function icons 330, 340, 350, 360, 370, 380, and 390 is the input area, which means that the area where the mathematical problem is displayed also corresponds to the input area.

도 3a는 수학 학습 화면(300)에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학습자는 입력 영역에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을 직접 필기할 수 있다. FIG. 3A shows a case where a solving process of a mathematical problem is not displayed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FIG. In this case, the learner can directly write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in the input area.

입력 영역에 필기된 수식이 인식되면,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되어 있는 풀이 과정의 수식(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풀이 과정)이 서로 일치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판단 결과,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도 3b와 같이, 풀이 과정이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출력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인식된 수식의 주변에 연필 모양의 아이콘(310)을 표시함으로써, 알림 신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한 것을 알 수 있다. When the handwritten formula is recognized in the input area,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the recognized formula and the formula of the previously stored solve process (for example, the solving process shown in FIG. 2) coincid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cognized equation and the formula of the previously stored solution do not match with each other,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ution process is incorrect is output as shown in FIG. 3B. Referring to FIG. 3B, a pencil-shaped icon 310 is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recognized equation, so that the notification signal is visually output.

도 4a 내지 도 4c는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들 중에서 상위 등급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FIGS. 4A to 4C are diagrams showing other examples of mathematical learning screens displayed when a higher grade is selected among the solving grade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FIG.

도 4a는 수학 학습 화면(300)에 풀이 과정이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총 4개의 단계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풀이 과정의 각 단계는 모두 빈칸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빈칸들(322A, 322B, 322C, 322D) 중에서 첫 번째 단계에 대응하는 제1 빈칸(322A)이 강조된다. 빈칸을 강조하는 방법으로는 빈칸의 테두리 색상, 테두리 굵기, 테두리 종류, 음영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도 4a는 제1 빈칸(322A)의 테두리 종류를 일점 쇄선으로 표시함으로써, 제1 빈칸(322A)을 강조한 것을 알 수 있다. FIG. 4A shows a case where a solving process is displayed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FIG. Assuming that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includes a total of four steps,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can be marked as blank. At this time, the first blank space 32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among the plurality of blank spaces 322A, 322B, 322C, and 322D is emphasized. As a method of emphasizing a blank, a method of changing at least one of a border color, a border thickness, a border type, a shadow, and a flicker pattern is used. 4A shows that the first blank space 322A is emphasized by displaying the frame type of the first blank space 322A by a one-dot chain line.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학습자가 풀이 과정의 첫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수식을 입력 영역에 필기하면 필기된 수식이 인식된다. 인식된 수식은 도 4b와 같이, 제1 빈칸(322A)의 크기에 맞게 표시된다. 이 때,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되어 있는 풀이 과정의 수식이 서로 일치한다면, 도 4b와 같이, 제1 빈칸(322A)의 강조 표시가 해제되고, 제2 빈칸(322B)이 강조된다. In the state shown in FIG. 4A, the written formula is recognized when the learner writes the formula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of the solving process in the input area.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blank space 322A, as shown in FIG. 4B. At this time, if the recognized formula matches the formula of the stored pool process, the highlighting of the first blank 322A is canceled and the second blank 322B is emphasized as shown in FIG. 4B.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학습자가 두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수식을 입력 영역에 필기하면, 필기된 수식이 인식되고, 인식된 수식은 제2 빈칸(322B)의 크기에 맞게 표시된다. 이 때,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도 4c와 같이, 풀이 과정이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출력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2 빈칸(322B)의 테두리 색상을 붉은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알림 신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한 것을 알 수 있다. When the learner writes the formul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ep in the input area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B, the written formula is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blank 322B. At this time, if the recognized formula does not match with the formula of the stored pool process,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ution process is incorrect is output as shown in FIG. 4C. Referring to FIG. 4C, by displaying the border color of the second blank 322B in red, it can be seen that the notification signal is visually output.

도 5a 내지 도 5c는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들 중에서 중위 등급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FIGS. 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mathematical learning screens displayed when a median grade is selected among the solving classe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FIG.

도 5a는 수학 학습 화면(300)에 풀이 과정이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된 풀이 과정은 복수의 빈칸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어서 도 4a에 도시된 풀이 과정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4a는 학습자가 풀이 과정의 각 단계별로 완전한 수식을 입력해야 하는데 비하여, 도 5a는 학습자가 풀이 과정의 각 단계별로 일부 수식만을 입력하면 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도 4a의 수학 학습 화면(300)에 비하여 보다 수월하게 풀이 과정을 입력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첫 번째 단계의 제1 빈칸(324A)이 강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빈칸(324A)에 들어가야할 수식을 입력 영역에 필기하면 필기된 수식이 인식된다. 인식된 수식은 도 5b와 같이, 제1 빈칸(324A)의 크기에 맞게 표시된다. 이 때,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되어 있는 풀이 과정의 수식이 서로 일치한다면, 도 5b와 같이, 제1 빈칸(324A)의 강조 표시가 해제되고, 제2 빈칸(324B)이 강조된다. FIG. 5A shows a case where a solving process is displayed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FIG. The solving process shown in FIG. 5A is similar to the solving process shown in FIG. 4A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s. However, in FIG. 4A, the learner has to input a complete expression for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whereas FIG. 5A requires only the learner to input some expressions for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Therefore, the learner can input the solving process more easily than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of FIG. 4A. As shown in FIG. 5A, when the first blank 324A of the first step is emphasized, a written formula is recognized when the user writes the formula to be entered in the first blank 324A into the input area.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blank space 324A, as shown in FIG. 5B. At this time, if the recognized formula matches the formula of the stored pool process, the highlighting of the first blank space 324A is canceled and the second blank space 324B is emphasized as shown in FIG. 5B.

도 5b와 같은 상태에서 학습자가 제2 빈칸(324B)에 들어가야할 수식을 입력 영역에 필기하면, 필기된 수식이 인식되고, 인식된 수식은 제2 빈칸(324B)의 크기에 맞게 표시된다. 이 때,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도 5c와 같이, 풀이 과정이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출력된다. 도 c를 참조하면, 인식된 수식의 글자 색상을 붉은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알림 신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한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5B, if the learner writes a formula to be entered in the second blank space 324B into the input area, the written formula is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econd blank space 324B. At this time, if the recognized formula and the formula of the previously stored solution do not match with each other,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ution process is incorrect is output as shown in FIG. 5C. Referring to FIG. 3C, the character color of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in red so that the notification signal is visually output.

도 6a 내지 도 6g는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들 중에서 하위 등급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수학 학습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FIGS. 6A to 6G are diagrams showing mathematical learning screens displayed when a lower grade is selected among the grade classe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FIG.

도 6a는 수학 학습 화면(300)에 풀이 과정이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풀이 과정은 복수의 빈칸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어서 도 5a에 도시된 풀이 과정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5a는 학습자가 풀이 과정의 각 단계별로 일부 수식을 입력해야 하는데 비하여, 도 6a는 학습자가 풀이 과정의 각 단계별로 숫자만을 입력하면 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도 5a의 수학 학습 화면(300)에 비하여 보다 수월하게 풀이 과정을 입력할 수 있다. FIG. 6A shows a case where a solving process is displayed on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FIG. The solving process shown in FIG. 6A is similar to the solving process shown in FIG. 5A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s. However, in FIG. 5A, the learner has to input some formulas for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In contrast, FIG. 6A shows only that the learner inputs only numbers in each step of the solving process. Therefore, the learner can input the solving process more easily than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of FIG. 5A.

도 6a와 같은 상태에서, 도 6b와 같이, 연습장 아이콘이 제1 방향(예를 들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풀이 과정을 연습해볼 수 있는 연습장 영역(342)이 수학 문제 및 풀이 과정 위에 중첩 표시된다. 연습장 영역(342)은 불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표시된다. 이후, 학습자는 도 6c와 같이, 연습장 영역(342)에 수식을 필기해봄으로써, 풀이 과정을 연습할 수 있다. 6A, if a practice field icon is dragge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from right to left), a practice field area 342 in which a solving process can be practiced is a math problem and a solving process Are overlaid on top. The practice area area 342 is displayed as opaque or translucent. Then, the learner can practice the solving process by writing a formula in the practice field area 342 as shown in Fig. 6C.

도 6c는 연습장 영역(342)이 반투명한 검정색으로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연습장 영역(342)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은 학습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값은 수학 학습 과정 중에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연습장 영역(342) 중에서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연습장 영역(342)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표시된 메뉴를 통해 원하는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지정할 수 있다.6C shows a case where the practice area 342 is displayed in a translucent black color. However, the transparency and / or color of the practice area 342 can be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learner's taste,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changeable during the process. For example, when a learner touches an arbitrary area in the exercising area 342, a menu for changing the transparency and / or color of the exercising area 342 may be displayed, and the learner may select a desired transparency And / or color.

도 6c와 같은 상태에서, 연습장 영역(342)이 제2 방향(예를 들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중첩 표시되었던 연습장 영역(342)이 사라진다. 이 때, 연습장 영역(342)에 필기되어 있던 수식은 필기된 상태 그대로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따라서, 연습장 아이콘(340)이 제1 방향으로 다시 드래그되는 경우, 연습장 영역(342)에는 학습자가 필기하였던 수식이 그대로 표시된다. 이러한 연습장 아이콘(340)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연습장 아이콘(340)의 개수는 학습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6C, if the cue area 342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the cue area 342 to be superimposed is disappeared. At this time, the formula written in the practice field area 342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n a written state. Accordingly, when the training puzzle icon 340 is dragged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the formula written by the learner is displayed in the training puzzle area 342 as it is. One or more of these exercise field icons 340 may be arranged, and the number of the practice field icons 340 may be changed by the learner.

중첩 표시되었던 연습장영역(342)이 사라진 상태에서, 도 6d와 같이, 제1 빈칸(326A)에 들어가야할 수식(예를 들어, 숫자 8)이 입력 영역에 필기되면, 필기된 수식이 인식된다. 인식된 수식은 제1 빈칸(326A)의 크기에 맞게 표시된다. 이 때, 인식된 수식과 기 저장되어 있는 풀이 과정의 수식이 서로 일치한다면, 도 6e와 같이, 제1 빈칸(326A)의 강조 표시가 해제되고, 제2 빈칸(326B)이 강조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superimposed display area 342 has disappeared, the written expression is recognized when an expression (for example, numeral 8) to be entered in the first blank space 326A is written in the input area, as shown in Fig. 6D.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blank space 326A. At this time, if the recognized formula matches the formula of the stored pool process, the highlighting of the first blank space 326A is canceled and the second blank space 326B is emphasized as shown in FIG. 6E.

한편, 풀이 과정이 기준치 이상으로 진행된 경우, 도 6f와 같이, 모범 답안 아이콘(350)이 활성화된다. 모범 답안 아이콘(350)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도 6g와 같이, 모범 답안을 포함하는 모범 답안 영역(352)이 수학 문제 및 풀이 과정 위에 중첩 표시된다. 이 때, 각 빈칸에 대한 모범 답안은 해당 빈칸에 중첩 표시된다. 도 6g는 모범 답안 영역(352)이 반투명한 푸른색으로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모범 답안 영역(352)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은 학습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게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값은 수학 학습 과정 중에 변경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모범 답안 영역(352) 중에서 임의의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모범 답안 영역(352)의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표시된 메뉴를 통해 원하는 투명도 및/또는 색상을 지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olving process proceeds beyond the reference value, the exemplary answer icon 350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6F. When the exemplary answer icon 350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 6G, the exemplary answer area 352 including the exemplary answer is overlaid on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the solving process. At this time, the best answer for each space is superimposed on the space. FIG. 6G shows a case where the exemplary answer area 352 is displayed in a semitransparent blue color. However, the transparency and / or the color of the exemplary answer area 352 can be set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taste, May be implemented to be changeable during the mathematical learning process. For example, when a learner touches an arbitrary area in the exemplary answer area 352, a menu for changing the transparency and / or color of the exemplary answer area 352 may be displayed, You can specify the transparency and / or color you want.

도 6g와 같은 상태에서, 모범 답안 영역(352)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중첩 표시되었던 모범 답안 영역(352)이 사라진다. 그리고 도 6f의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6G, when the exemplary answer area 352 is dragg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model answer area 352 that has been displayed as superimposed disappears. Then, the screen of FIG. 6F is displayed agai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학 학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th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수학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다(S700). When the math learning application inputs an execution command, the math learning application is driven (S700).

이후,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이 결정된다(S705). 예를 들어, 풀이 등급은 상위 등급, 중위 등급, 하위 등급 중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705 단계는 이전의 수학 학습 중에 사용되었던 풀이 등급, 학습자의 수학 학습 수준을 평가한 평가 결과, 또는 학습자가 선택한 풀이 등급에 기초하여 현재의 수학 학습을 위한 풀이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reafter, the grade of solving the mathematical problem is determined (S705). For example, a pool may be determined to be one of a higher class, a middle class, or a lower cla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S705 determines a pool grade for current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the pool grade used during the previous mathematics learning, the evaluation result for evaluating the learner's mathematics learning level, or the pool grade selected by the learner .

이후, 결정된 풀이 등급에 대응하는 종류의 풀이 과정을 포함하는 수학 학습 화면(300)이 표시된다(S710). 예를 들어, 결정된 풀이 등급이 하위 등급이라면, 도 6a의 수학 학습 화면(300)이 표시된다. Thereafter, a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300 including a solving process of a kind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ool grade is displayed (S710). For example, if the determined pool is of a lower grade, the math learning screen 300 of FIG. 6A is displayed.

이후, 풀이 과정의 N번째 빈칸이 강조된다(S715). 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이다. S715 단계에서는 풀이 과정의 N번째 빈칸이 강조됨과 동시에 수식 인식 기능이 활성화된다. Thereafter, the Nth blank space of the solving process is emphasized (S715). 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In step S715, the N-th blank in the solving process is emphasized and the formula recognition function is activated.

이후, 수학 학습 화면(300)에서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S720). Thereafter, it is determined whether a function icon is selected in the math learning screen 300 (S720).

S720 단계의 판단 결과,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S715 단계에서 활성화되었던 수식 인식 기능이 비활성화되면서,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된다(S725). 예를 들어, 도 6a에서 목록 아이콘(330)이 선택된 경우, 수학 학습 목록이 화면에 중첩 표시된다. 도 6a에서 연습장 아이콘(340)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6c와 같이, 풀이 과정을 연습해볼 수 있는 연습장 영역(342)이 화면에 중첩 표시된다. 도 6a에서 난이도 하향 조절 아이콘(370)이 선택된 경우에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수학 문제보다 난이도가 낮은 수학 문제가 화면에 표시된다. 반대로 난이도 상향 조절 아이콘(380)이 선택된 경우에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수학 문제보다 난이도가 높은 수학 문제가 화면에 표시된다. 도 6a에서 모범 답안 아이콘(350)은 비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선택되더라도 아무런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만약, 입력 영역에 필기된 내용이 있는 상태에서 초기화 아이콘(360)이 선택되었다면, 입력 영역에 필기되어 있던 내용들이 모두 삭제된다. 기능 아이콘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된 후에는 수식 인식 기능이 다시 활성화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20 that the function icon is selected,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unction icon is executed while the formula recognition function activated in step S715 is deactivated (step S725). For example, when the list icon 330 is selected in FIG. 6A, the math learning list is superimposed on the screen. 6A, when the cue area icon 340 is selected, a cue area 342 in which a solving process can be practiced is overlai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C. When the difficulty downward adjustment icon 370 is selected in FIG. 6A, a mathematical problem having a lower difficulty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mathematical problem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contrary, when the difficulty level up icon 380 is selected, a math problem having a higher degree of difficulty than the currently displayed math problem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FIG. 6A, since the model answer icon 350 is in the inactivated state, no change is made even if it is selected. If the initialization icon 360 is selected with the written contents in the input area, all the contents written in the input area are deleted. After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icon is executed, the formula recognition function is activated again.

S725 단계 이후, 도 6d와 같이, 학습자가 입력 영역에 수식을 필기하면, 입력 영역에 필기된 수식이 수식 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된다(S730). 인식된 수식은 제1 빈칸(326A)의 크기에 맞게 표시된다. After step S725, if the learner writes the formula in the input area as shown in FIG. 6D, the formula recognized in the input area is recognized by the formula recognition unit 130 (S730).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blank space 326A.

이후,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예를 들어, 도 2의 풀이 과정)과 인식된 수식이 서로 일치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S735). Thereafter,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the mathematical expression of the previously stored solving process (for example, the solving process of FIG. 2) matches the recognized mathematical expression (S735).

S735 단계의 판단 결과,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과 인식된 수식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풀이 과정이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가 시각적 신호, 촉각적 및 청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된다(S74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750 단계는 인식된 수식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750 단계는 인식된 수식의 주변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S750 단계는 인식된 수식이 표시되어 있는 빈칸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35 that the equation of the pre-stored solution does not match with the recognized equation, an alert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ving process is incorrect is output as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 tactile signal, and an auditory signal (S7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S750 includes visually emphasizing the recognized mathematical expres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tep S750 includes displaying an icon around the recognized formula.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the step S750 includes a step of visually emphasizing a blank space in which the recognized mathematical expression is displayed.

S735 단계의 판단 결과,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과 인식된 수식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N번째 빈칸의 강조 표시가 해제되고, N+1번째 빈칸이 강조된다(S745). 즉, 도 6e와 같이, 제1 빈칸(326A)의 강조 표시가 해제되고, 제2 빈칸(326B)이 강조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35, if the mathematical expression of the pre-stored solving process and the recognized mathematical expression match each other, the highlighting of the N-th blank is canceled and the (N + 1) -th blank is highlighted (S745). That is, as shown in FIG. 6E, the emphasis display of the first blank space 326A is canceled, and the second blank space 326B is emphasized.

이후,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기준치 이상 진행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S750). Thereafter,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has progressed beyond the reference value (S750).

S750 단계의 판단 결과,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기준치 이상 진행된 경우, 도 6f와 같이 모범 답안 아이콘(350)이 활성화된다(S755).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50, if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progresses beyond the reference value, the exemplary answer icon 350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6F (S755).

이후, 학습자가 입력한 명령에 따라, 도 6g와 같이 모범 답안 영역(352)이 화면에 중첩 표시되거나, 표시되어 있던 모범 답안 영역이 표시 해제된다(S760). Thereafter,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inputted by the learner, the exemplary answer area 352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G, or the displayed best answer area is unmarked (S760).

이후,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S765). Thereafter,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is completed (S765).

S765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수학 문제의 답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S720 단계부터 다시 수행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65 that the solving process for the mathematical problem is not completed (for example, if the answer to the mathematical problem is not recogniz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720.

S765 단계의 판단 결과,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완료된 경우(예를 들어, 수학 문제의 답이 인식된 경우), 수학 학습이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S77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65 that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is completed (for example, if the answer to the mathematical question is recognized), a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the mathematical learning is completed (S770).

S770 단계의 판단 결과, 수학 학습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라면,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S705) 또는 수학 학습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S710)부터 다시 수행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70, if the mathematical learning is not completed, a step of determining a solving grade of the mathematical problem (S705) or a step of displaying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S710) is performed again.

S770 단계의 판단 결과, 수학 학습이 완료된 상태라면, 수학 학습 중에 인식된 풀이 과정이 저장되고, 저장된 풀이 과정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수학 학습 수준이 평가된다(S775). 상기 S775 단계에서의 평가 결과는 다음번의 수학 학습 시, 풀이 등급을 결정하기 위해 참조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70 that the mathematical learning is completed, the mathematical learning level recognized during the mathematical learning is stored and the mathematical learning level of the learner is evaluated based on the stored mathematical solution (S775). The evaluation result at step S775 may be referred to in order to determine the pool grade at the next mathematical learning.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명령을 포함하는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매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 medium, such as a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ing computer readable code /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processing element of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have. The medium may correspond to media / media enabling storage and / or transmission of the computer readable code.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는데, 상기 매체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 기록 매체(예를 들면, CD-ROM, Blu-Ray, DVD)와 같은 기록 매체, 반송파(carrier wave)와 같은 전송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들은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전송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단지 일 예로써, 처리 요소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요소는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분산 및/또는 포함될 수 있다. The computer readable code may be recorded on a medium as well as transmitted over the Internet, including, for example,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recording medium (e.g., CD-ROM, Blu-Ray, DVD), or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carrier wave. Since the media may be a distributed network, the computer readable code may be stored / transmitt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till further, by way of example only, processing elements may include a processor or a computer processor, and the processing elements may be distributed and / or contained within a single device.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장치
300: 수학 학습 화면
310: 표시 영역
320: 입력 영역
322A, 322B, 322C, 322D: 입력창
324A, 324B, 324C, 324D: 입력창
326A, 326B, 326C, 326D: 입력창
100: A mathematical learning device using handwritten formula recognition
300: math learning screen
310: display area
320: input area
322A, 322B, 322C, 322D: input window
324A, 324B, 324C, 324D: input window
326A, 326B, 326C, 326D: input window

Claims (15)

수학 문제의 풀이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수학 문제,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 및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수학 학습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에 포함된 둘 이상의 빈칸 중에서 N번째 빈칸을 강조하는 단계;
상기 수학 학습 화면의 입력 영역에 필기된 수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수식이 기 저장된 풀이 과정의 수식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둘 이상의 빈칸 중에서 N+1번째 빈칸을 강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Determining a solution grade of the mathematical problem;
Displaying the mathematical problem,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function icons through a display;
Highlighting an Nth blank among two or more blank spaces included in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Recognizing a written expression in an input area of the mathematical learning pictur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equation matches a previously stored solution formula; And
And emphasizing the (N + 1) th blank among the two or more blank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에 포함된 빈칸의 개수, 배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정된 풀이 등급에 따라 결정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blanks included in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are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olving gra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풀이 과정 등급이 하위 등급일수록 상기 빈칸의 개수가 증가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umber of blank spaces is increased as the determined process grade is lo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풀이 과정 등급이 하위 등급일수록 상기 빈칸의 면적이 감소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thematical learning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that the area of the blank space decreases as the determined process grading level is l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은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area is an area excluding an area where the plurality of function icons are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수식은
상기 N번째 빈칸의 크기에 맞게 표시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gnized equation
Wherein the mathematical learning method is matched to the size of the N-th bl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하는 단계는
상기 빈칸의 테두리 색상, 테두리 굵기, 테두리 종류, 음영 및 점멸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emphasizing
And changing at least one of a border color, a border thickness, a border type, a shadow, and a blinking pattern of the blank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풀이 과정이 잘못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solving process is incorrec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수식을 강조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수식이 표시되어 있는 상기 N번째 빈칸을 강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수식의 주변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outputting the notification signal includes:
Highlighting the recognized formula;
Highlighting the N-th empty space in which the recognized formula is displayed; And
And displaying an icon on the periphery of the recognized mathematical expre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콘은
수학 학습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목록 아이콘, 연습장을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습장 아이콘, 상기 수학 문제의 모범 답안을 표시하기 위한 모범 답안 아이콘, 상기 수학 학습 화면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아이콘, 상기 수학 문제보다 쉬운 수학 문제를 표시하기 위한 난이도 하향 조절 아이콘, 상기 수학 문제보다 어려운 수학 문제를 표시하기 위한 난이도 상향 조절 아이콘 및 상기 수학 문제와 관련된 단서를 표시하기 위한 단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function icons
A list icon for displaying a mathematics learning list, at least one practice field icon for displaying a practice field, a model answer icon for displaying the best answer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n initialization icon for initializing the mathematical learning screen, A handwritten downward adjustment icon for indicating a problem, a difficulty level up icon for displaying a mathematical problem more difficult than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a clue icon for displaying a clue related to the mathematical problem, Using mathematical learning method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장 아이콘이 제1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을 필기할 수 있는 연습장 영역을 중첩 표시하는 단계;
상기 연습장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연습장 영역을 표시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연습장 영역에 필기되어 있는 내용을 필기된 상태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Displaying a driving range area capable of writing a solution to the mathematical problem when the driving range icon is dragged in a first direction;
Disengaging the training-practice area when the training-practice area is dragged in a second direction; And
And storing the handwritten content in the handwriting area in the handwritten sta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장 영역을 중첩 표시하는 단계는 활성화되었던 수식 인식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습장 영역을 표시 해제하는 단계는 비활성화되었던 수식 인식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superimposing the exercise area includes deactivating the activated formula recognition function,
Wherein the step of canceling the exercise area includes activating the disabled formula recognition fun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 문제에 대한 풀이 과정이 기준치 이상 진행된 경우, 상기 모범 답안 아이콘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모범 답안 아이콘이 제1 방향으로 드래드되면, 상기 수학 문제의 풀이 과정이 포함된 모범 답안 영역을 중첩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범 답안 영역이 제2 방향으로 드래그되면, 상기 모범 답안 영역을 표시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ctivating the model answer icon if the solving process for the mathematical problem progresses beyond a reference value;
If the icon for the best answer is dragged in the first direction,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the best answer area including the solving proces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And
And unmarking the best answer area if the best answer area is dragged in a second dir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범 답안 영역을 중첩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학 문제의 모범 답안을 상기 둘 이상의 빈칸에 중첩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된 수식 인식을 이용한 수학 학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the best-
And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an exemplary answer of the mathematical problem on the two or more spaces.
삭제delete
KR1020150154436A 2015-11-04 2015-11-04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tion KR1018403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36A KR101840358B1 (en) 2015-11-04 2015-11-04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tion
PCT/KR2016/010593 WO2017078269A1 (en) 2015-11-04 2016-09-22 Mathematics learning device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CN201680064488.1A CN108352128B (en) 2015-11-04 2016-09-22 Mathematical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436A KR101840358B1 (en) 2015-11-04 2015-11-04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232A KR20170052232A (en) 2017-05-12
KR101840358B1 true KR101840358B1 (en) 2018-03-20

Family

ID=5866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436A KR101840358B1 (en) 2015-11-04 2015-11-04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ti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40358B1 (en)
CN (1) CN108352128B (en)
WO (1) WO201707826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7360B (en) * 2019-09-10 2023-11-24 深圳市壹箭教育科技有限公司 Wrong question management method, system, storage medium and terminal equipment
CN110792903A (en) * 2019-11-28 2020-02-14 莆田学院 Mathematics learning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mathematical expression
CN111326039A (en) * 2020-04-13 2020-06-23 重庆正派体育健身有限公司 Online interactive teaching and competition system
KR20220118579A (en) * 2021-02-18 2022-08-26 주식회사 매스프레소 System for providing tutoring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JP7328627B2 (en) 2021-12-21 2023-08-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3030A1 (en) 2013-03-26 2014-10-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al Time Math Using a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3247B2 (en) * 2005-04-28 2010-10-13 富士通株式会社 Learning support system and learning support program
CN100541496C (en) * 2007-08-14 2009-09-16 新诺亚舟科技(深圳)有限公司 The method that the search at examination question that realizes on the personal hand-held learning terminal combines with study
KR101137267B1 (en) * 2009-05-07 2012-04-20 주식회사 노개명수학 Apparatus and method of learning number operation
KR101112155B1 (en) * 2009-08-24 2012-02-29 송상엽 Learning system for subjective mathematics question using on-line learning and method thereof
US20130260359A1 (en) * 2010-10-29 2013-10-03 Sk Telecom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learning ability
KR20120075587A (en) * 2010-12-16 2012-07-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tudy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recognition of handwriting mathematical expression
KR20120135953A (en)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가을마루 Method for learning management using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system thereof
JP5803861B2 (en) * 2012-03-19 2015-11-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Learning apparatus and learning program
US9773428B2 (en) * 2012-12-11 2017-09-26 Fluidity Software, Inc.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learning, and assessing step by step solutions to stem problems
CN202956909U (en) * 2012-12-27 2013-05-29 齐齐哈尔大学 Electronic device for drilling linear system of equations
KR101462091B1 (en) * 2014-04-15 2014-12-09 주식회사 소니스트 Studying machine for four foundamental arthmetic operations
KR101578656B1 (en) * 2014-09-19 2015-12-18 주식회사 소니스트 Method for driving studying machine for four foundamental arthmetic operations
CN104835362A (en) * 2015-04-04 2015-08-12 西安科技大学 Mathematical modeling teaching lear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3030A1 (en) 2013-03-26 2014-10-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al Time Math Using a Camer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oto Math 수학 학습 앱(http://blog.naver.com/skytiger7/220489700643)(2015.09.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2128A (en) 2018-07-31
WO2017078269A1 (en) 2017-05-11
CN108352128B (en) 2021-01-15
KR20170052232A (en)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358B1 (en) Mathematics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handwritten mathematical expressions recognition
KR102185854B1 (en)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1772409B2 (en) Digital pen with enhanced educational and therapeutic feedback
CN104704451B (en) There is provided for positioning the touch feedback with data input
KR101650099B1 (en) A wearable haptic pattern display device for blind
EP3175345B1 (en) Dynamic calibrating of a touch-screen-implemented virtual braille keyboard
CN109074167B (en) Gadget for computing device multimedia management for blind 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10971025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idenbaum et al. Perception of graphical virtual environments by blind users via sensory substitution
JP6278641B2 (en) Writing practice system and program
US11823593B2 (en) Method for displaying learning content of terminal and application program therefor
US20120299931A1 (en) Drawing guidance and stylus
US20180277006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9964266B (en) Digital input device, digital adding and dele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education system
JP2016045723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4145893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06980B1 (en) Methods for studying sentence structure in english using character
JP4139784B2 (en) Writing learning support apparatus and writing learning support method program
JP2016045724A (en) Electronic apparatus
Nasser et al. Fingertalkie: Designing a low-cost finger-worn device for interactive audio labeling of tactile diagrams
KR101999281B1 (en) User terminal for studying brail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17044763A (en) Communication aid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40063356A (en) Hangeul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storytelling and touch
KR20200071287A (en) Mobile apparatus and server using painting service platform
KR101471811B1 (en) A letter practice metho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letter practice program, and a letter practic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