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821B1 - 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 - Google Patents

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821B1
KR101839821B1 KR1020160040150A KR20160040150A KR101839821B1 KR 101839821 B1 KR101839821 B1 KR 101839821B1 KR 1020160040150 A KR1020160040150 A KR 1020160040150A KR 20160040150 A KR20160040150 A KR 20160040150A KR 101839821 B1 KR101839821 B1 KR 101839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release layer
adhesive layer
adhesiv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2695A (en
Inventor
박정락
Original Assignee
박정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락 filed Critical 박정락
Priority to KR102016004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821B1/en
Publication of KR20170112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8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91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attached clos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0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봉투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 중 하나 이상의 연장부에 접착층, 고정부, 이형층 및 견인부를 포함하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다른 연장부와 접착, 체결함으로써 불필요한 매듭을 형성하지 않아 동일 크기의 일반 봉투에 비해 더 많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봉투의 입구를 깔끔하게 밀폐 및 개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접착층을 다시 덮어 재접착할 수 있는 접착 체결 수단을 가지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The enve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 fixing portion, a releasing layer and a pulling portion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f the extending portions to adhere to and fasten to the other extending portion to form an unnecessary knot, To an envelope having an adhesive fastening means capable of holding more contents than ordinary envelopes, capable of sealing and opening the envelope neatly, and re-adhering the adhesive layer as necessary.

Description

접착 체결 수단을 가지는 봉투{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 < RTI ID = 0.0 >

본 발명은 접착 체결 수단을 가지는 봉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가 구비된 봉투에서 하나 이상의 연장부에 접착층, 고정부, 이형층 및 견인부를 포함하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다른 연장부와 접착,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elope having an adhesive fasten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velope having at least one extension portion, in which at least one extension portion i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 fixing portion, a release layer and a pulling portion, To the envelope.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봉투는 물건 등을 운반할 때나 보관할 때, 또는 쓰레기 처분 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봉투(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의 양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며, 손잡이부와 별개로 하나 이상의 연장부(100)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매듭을 만들어 봉투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The currently used envelopes are used when transporting objects, storing them, or disposing of garbage. As shown in FIG. 1, a generally used envelope 1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both sides of the mouth, and one or more extension portions 100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andle to form a knot if necessary, It can be sealed.

상기와 같이 봉투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은 바로 입구를 묶어 매듭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매듭을 만들 경우 봉투의 입구를 밀폐하여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매듭이 손잡이 역할도 병행할 수 있다. 그러나 매듭을 만들기 위해 봉투의 일정 부분 이상을 소모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정 높이 이상 내용물을 담을 수 없으며, 매듭을 쉽게 풀기 위해 헐겁게 만들면 보관 또는 운반 중에 내용물이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을 뿐 아니라, 운반 중에 매듭이 풀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를 운반하는 경우 매듭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매듭 주변에 지저분한 오물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운반 시에 손이 쉽게 더렵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greatest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the envelope is that the knot can be formed by tying the entrance. When the knot is made, the entrance of the envelope can be closed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escaping, and the knot can also play a role of knob naturally.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consume more than a certain portion of the envelope to make the knot, it can not hold contents over a certain height, and loosening the knot for easy release can not only allow the contents to flow out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This can happen frequently. Also, when transporting garbage, dirt can attach to the periphery of the knot during the formation of the knot, which can make the hand easily dirty during transportation.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 봉투 상부에 운반용 손잡이를 두어 운반을 용이하게 하며, 오물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매듭을 만들기 위해 봉투의 일부분을 묶어야 하므로 봉투에 많은 양의 내용물을 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carrying handl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envelope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and prevent the dirt from being buried in the hand. However, even in this case, since a part of the envelope is bound to form a knot, There are disadvantages.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9-0037639에는 봉투의 상단에 연장부를 형성하고, 연장부의 일면에 접착테이프를 접착시켜 원하는 장소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쓰레기봉투를 언급하고 있으나, 봉투를 부착하기 위해 접착테이프를 가리는 박리지를 제거하면 이를 다시 접착테이프에 붙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9-0037639 discloses a garbage bag in which an extension par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an envelope and an adhesive tape is adhered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and can be attached and fixed at a desired pla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adhesive tape to the adhesive tape again when the adhesive tape is peeled off.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9-0037639 (1999년 10월 15일)Korea public utility model 20-1999-0037639 (October 15, 199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연장부가 구비된 봉투에서 하나 이상의 연장부 또는 봉투의 내면 중 끝단에 접착층, 고정부, 이형층 및 견인부를 포함하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다른 연장부 또는 내면과 접착, 체결함으로써 불필요한 매듭을 형성하지 않아 동일 크기의 일반 봉투에 비해 더 많은 내용물을 담을 수 있으며, 봉투의 입구를 깔끔하게 밀폐 및 개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형층을 이용하여 접착층을 다시 덮음으로써 접착층을 재활용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가지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device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a fixing portion, a releasing layer, So that it is possible to hold more contents than ordinary envelopes of the same size without sealing unnecessary knots, and to seal the opening of the envelope neatly and to open the envelope, To an envelope having a fastening means capable of reusing an adhesive layer by covering the adhesive layer again.

본 발명은 접착 체결 수단을 가지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velope having an adhesive fastening means.

본 발명의 일 양태는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하나 이상의 연장부가 구비된 봉투에 있어서,In an envelope having at least one extension,

하나 이상의 연장부의 일면 일정 영역에 적층된 접착층;An adhesive layer lamin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on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extension part;

상기 접착층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접착층을 덮는 이형층;A release layer covering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부; 및A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release layer; And

상기 이형층에 연장 형성되어 이형층을 견인하며,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연장부 및 고정부를 관통하는 절개부를 통해 연장부의 일측 방향에서 연장부의 타측 방향으로 상기 절개부를 통과한 견인부;A pul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lease layer to pull the release layer and passing through the cutout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through the extension portion or the cutout portion penetrating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를 포함하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To the envelope.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봉투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면 중 끝단의 일정 영역에 적층된 접착층;An adhesive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the adhesive layer being lamin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n end of the inner surface;

상기 접착층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접착층을 덮는 이형층;A release layer covering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부; 및A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release layer; And

상기 이형층에 연장 형성되어 이형층을 견인하며, 상기 봉투 또는 상기 봉투 및 고정부를 관통하는 절개부를 통해 봉투의 내면 방향에서 외면 방향으로 상기 절개부를 통과한 견인부;A pul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lease layer to pull the release layer and passing through the cutout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envelope through the envelope or the cutou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envelope and the fixing portion;

를 포함하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 To the envelope.

본 발명에서 상기 봉투는 견인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elope may further include a grip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pulling portion.

또한 상기 이형층은 고정부와 연결된 일단에서 견인부와 연결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lease lay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s width becomes narrower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to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ithdrawal portion.

또한 상기 견인부는 이형층과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이형층과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ulling portion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releasing layer, or may be narrowed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releasing layer to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견인부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견인부의 중위(中位)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pulling portion, or may have a width equal to the middle width of the pull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봉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 천연고분자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은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및 폴리에테르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층은 실리콘계, 올레핀계 및 불소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elope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acrylic, polyamide, polyurethane, and natural polymer, and the adhesive layer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polyurethane, polyacrylic, One or more adhesives. The releas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 olefin, and fluorine.

또한 상기 접착층은 평균 입경 0.001 내지 0.1 ㎛의 상전이물질을 더 포함하여 접착층의 끈적임을 방지할 수도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phase transition material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01 to 0.1 mu m to prevent sticking of the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밀폐를 위해 따로 매듭을 만들 필요가 없어 손쉽게 봉투를 밀폐함과 동시에 봉투의 적재용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접착 후에 견인부 또는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이동성이 우수하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not necessary to make a separate knot for sealing, so that the envelope can be easily sealed and the stacking capacity of the envelope can be secured to the maximum. After the sticking, It is excellent in mobility.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은 필요에 따라 이형층을 다시 접착층과 접속시킬 수 있어 봉투 입구의 밀폐 및 개봉을 자연스럽게 선택할 수 있으며, 봉투를 밀폐하였다 개봉한 후에도 접착층을 이형층으로 덮음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can connect the release layer to the adhesive layer again, if necessary, so that the sealing and opening of the envelope inlet can be naturally selected, and the envelope is sealed. Even after the opening, the adhesive layer can be reused by covering the release layer with the release layer, .

도 1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봉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봉투에서 체결 수단이 구비된 연장부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체결 수단이 구비된 연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장부에서 손잡이부를 통해 견인부를 당겼을 때의 연장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체결 수단이 구비된 연장부와 구비되지 않은 연장부를 접착하기 직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연장부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연장부들을 접착하였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9는 이형층 또는 견인부의 형태를 달리한 체결 수단이 구비된 연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견인부 날개가 더 형성된 견인부를 포함하는 체결 수단이 구비된 연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n envelope commonly used in the art.
Figure 2 shows a cross section of an extension with fastening means in an enve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nsion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nsion of the extension of FIG. 3 when the pull is pulled through the handle;
Fig. 5 shows a section immediately before the extension with the fastening means and the extension without it are bonde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tension of FIG. 5 when a force is appli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o attach the extensions.
7 to 9 show an extension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of different types of release layers or pulls.
Figure 10 shows an extension with fastening means comprising a traction portion with further traction section blades.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채결부를 가지는 봉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nvelope having a bond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n addition,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The follow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arif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봉투는 하나 이상의 연장부가 구비되거나 연장부가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상기 봉투에 연장부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 중 하나 이상은 체결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 수단은 연장부의 일면 중 일정 영역에 적층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접착층을 완전히 덮는 이형층; 상기 연장부의 일면 중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형층의 지나친 박리를 막아주는 고정부; 및 상기 이형층에 연장 형성되어 이형층을 견인하며,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연장부 및 고정부를 관통하는 절개부를 통해 연장부의 일측 방향에서 연장부의 타측 방향으로 상기 절개부를 통과한 견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ve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extension part or no extension part, and when the envelope has an extension part, at least one of the extension parts is provided with fastening means,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region; A release layer which completely covers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 fixing par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layer in one surface of the extended part to prevent excessive release of the release layer; And a pul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lease layer to pull the release layer and passing through the cutout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in one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through the extension portion or the cutout portion penetrating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can do.

상기 봉투가 연장부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상기 봉투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면 중 끝단의 일정 영역에 적층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접착층을 덮는 이형층; 상기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이형층에 연장 형성되어 이형층을 견인하며, 상기 봉투 또는 상기 봉투 및 고정부를 관통하는 절개부를 통해 봉투의 내면 방향에서 외면 방향으로 상기 절개부를 통과한 견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dhesive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when the envelope does not have an extension portion, the adhesive layer being laminated on a certain reg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A release layer covering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release layer; And a pul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lease layer to pull the release layer and passing the cut through the cut through the envelope or the envelope and the fixing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envelop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봉투(1)는 물건 등을 운반할 때나 보관할 때, 또는 쓰레기 처분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물건이 직접 담기는 면인 내면과 내면의 반대면인 외면이 노출된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의 양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며, 손잡이부와 별개로 하나 이상의 연장부(100)가 구비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envelope (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used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articles or disposing of garbage, so that the inner surface, which is a surface on which the object is directly placed, and the outer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are exposed. Also, as shown in FIG. 1, a handle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let, and at least one extension 10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andle.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 수단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연장부(100)의 일면에 적층된 접착층(200), 접착층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접착층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이형층(300)이 포함되며, 상기 이형층의 상측에 위치하며, 이형층과 직접 연결되거나, 이형층의 일면을 일부 덮도록 형성되어 이형층의 지나친 박리를 방지하는 고정부(400)가 상기 접착층과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층은 당김에 의해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와 접촉하는 일측의 반대측과 연결되어 이형층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견인부(5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견인부는 상기 이형층과 연결되지 않는 타측에 견인을 용이하게 하며, 접착 후에 봉투를 보다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2, the adhesive layer 200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100, the release layer 300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blocks external exposure of the adhesive layer, A fixing part 4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lease layer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or partially covering one surface of the release layer to prevent excessive release of the release layer,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releasing laye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 pulling portion 500 that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fixing portion and transmits a pulling force to the releasing layer so that the releasing layer can be easily peeled off by pulling, The grip portion 600 can be further provided to facilitate pulling on the other side not connected and to more easily carry the envelope after bonding.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일면 중 상기 접착층 및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되며, 이형층과 직접 연결되거나, 이형층의 일면을 일부 덮어 지나친 박리에 따른 이형층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layer on one side of the extended portion, and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or may partially cover one surface of the release lay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release layer due to excessive separation.

또한 상기 절개부(110)는 상기 견인부를 연장부의 타면으로 보내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부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가 상기 연장부의 일면 중 상당 부분을 덮고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고정부 및 연장부를 모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개부는 상기 고정부 및 연장부의 맞닿는 면 중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cut-out portion 110 is provided for transmitting the pull-out portion to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and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f the extended portion. Further, when the fixing portion covers a substantial part of one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it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both the fixed portion and the extended portion as necessary. In this case,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abutting surfaces of the fixed portion and the extended portion.

상기 절개부는 상기 견인부를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또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서 연장부의 타면으로 관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 또는 견인부를 당기면, 상기 견인부와 연결된 이형층이 자연스럽게 견인부를 당기는 방향으로 박리되며, 상기 접착층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The cut-out portion may penetrate the pulling portion from one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to the other surface or from one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to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Accordingly, when the handle portion or the pull portion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2, the release layer connected to the pull portion naturally peels in a pulling direction of the pull portion, and the adhesive layer is exposed to the outside.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기 체결 수단의 동작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상기 체결 수단이 구비된 연장부(100)는 사용되지 않을 때엔 상기 이형층(300)이 상기 접착층(미도시)을 완전히 덮고 있어 외부로의 노출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이형층은 일단을 통해 상기 견인부(500)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이형층의 상측에는 이형층의 지나친 박리를 막는 고정부(400)가 구비된다. 3, the operation of the fastening mea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Referring to FIG. 3, the extension 100 having the fasten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release layer 300 is not used, Not shown) to block exposure to the outside. The releasing lay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pulling part 500 through one end, and the fixing part 400 is provided on the releasing layer to prevent excessive release of the releasing layer.

또한 상기 견인부는 연장부 및 고정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절개부(110)를 통과하여 연장부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형성되며, 타측에 손잡이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3 및 4에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연장부 및 고정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장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pull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through the cutout portion 110 provided through the extended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and the grip portion 6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3 and 4, the incision part is formed on both the extension part and the fixing part, but it may be formed only on the extension par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p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손잡이부 또는 견인부를 당기게 되면, 도 4와 같이 상기 견인부에 직접 연결된 이형층이 자연스럽게 접착층으로부터 박리가 되면서 이형층에 의해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있던 접착층이 노출되게 된다. 노출된 접착층은 체결수단이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와의 접촉을 통해 봉투를 밀폐할 수 있다.When the handle or the pulling portion is pulled, as shown in FIG. 4, the release layer directly connected to the pulling portion is naturally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which has been blocked from contact with the outside, is exposed by the release layer. The exposed adhesive layer can seal the envelope through contact with the extension where the fastening means is not formed.

도 5 및 6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봉투의 밀폐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도 5와 같이 체결 수단이 형성된 연장부와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를 직접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 수단은 견인부 또는 손잡이부를 미리 당겨 접착층을 노출시키지 않고 도 5와 같이 이형층이 접착층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연장부와 그대로 접촉시킨다. 즉, 체결 수단이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는 체결 수단의 이형층 및 견인부와 직접 맞닿도록 접촉시킨다. 5 and 6, a method of sealing an enve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as shown in FIG. 5, the extended portion having the fastening means is direc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tended portion. At this time, the fastening means does not expose the adhesive layer by pulling the pulling portion or the grip portion in advance, but directly contacts the other extension portion while the release layer covers the adhesive layer as shown in Fig. That is, the extension without the fastening means i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release layer and the pulling portion of the fastening means.

다음으로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연장부들이 밀착되도록 힘을 가하면서 손잡이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손잡이부에 연결된 견인부 및 이형층이 순간적으로 딸려가면서 자연스럽게 접착층이 노출되게 되며, 연장부들을 누르는 힘에 의해 도 6과 같이 체결 수단의 접착층을 매개로 접착이 된다. 즉, 연장부를 접착하기 전에 접착층을 노출할 필요 없이 체결 수단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이 가지는 유연성을 이용함으로써 손잡이부 또는 견인부를 단순히 당겨주는 것만으로도 연장부들을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Next, when the handle is pull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ile pushing the extension part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5, the adhesive layer is naturally exposed while the pulling part and the release layer connected to the handle are instantaneously exposed, And is adhered by force through the adhesive layer of the fastening means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by using the flexibility of each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fastening means without the need to expose the adhesive layer before the extens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the extension only by simply pulling the handle or pull.

또한 연장부가 형성되지 않은 봉투의 경우, 상기 체결수단이 봉투의 내면에 위치하게 되며, 체결수단이 형성된 내면의 반대편, 즉 마주보는 내면과 체결수단의 접착층이 접착되게 된다. 이때 접착되는 과정은 연장부 간의 접착과 동일하며 연장부 대신 봉투의 내면을 직접 접착하게 된다. 이 경우, 봉투의 내면을 접착하는 것이므로 봉투의 물건 저장 용량을 조금 희생하게 되나, 연장부들을 직접 접착하는 경우에 비해 물건의 무게에 의해 봉투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봉투 전체로 분산할 수 있어, 연장부들을 접착하는 경우에 비해 더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an envelope in which the extension is not formed, the fastening means is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inner surface on which the fastening means is formed,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ans is adhered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fastening means. At this time, the bonding process is the same as the bonding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is directly bonded instead of the extension portion. In this case,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is adhere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envelope by the weight of the article can be dispersed throughout the envelop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extension portions are directly bonded, It is possible to carry heavier objects compared to bonding par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밀폐를 위해 따로 매듭을 만들 필요가 없어 봉투의 적재용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단순히 연장부를 겹치거나 봉투의 내면을 접한 후, 손잡이부를 당기는 동작만으로도 손쉽게 봉투를 밀폐할 수 있고, 동시에 접착 후에 견인부 또는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우수한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not necessary to make a separate knot for sealing, so that the stacking capacity of the envelope can be secured to the maximum, and even when the extension portion is simply overlapped, or the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is touched, It is possible to seal the envelope,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using the pulling portion or the grip portion after the bonding, so that it can have excellent mobility.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은 필요에 따라 다시 떼어낸 후, 노출된 접착층을 견인부를 당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이형층이 접착층을 덮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봉투 입구의 밀폐 및 개봉을 자연스럽게 선택할 수 있으며, 봉투를 밀폐하였다 개봉한 후에도 접착층을 이형층으로 덮음으로써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may be detached again if necessary, and then the exposed adhesive layer may be push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pulling portion so that the release layer naturally covers the adhesive lay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naturally select the sealing and opening of the envelope inlet as necessary, and it is economical to reuse the envelope by covering the adhesive layer with the release layer even after opening the envelop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봉투를 각 구성 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nve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A) 봉투 및 연장부(A) Envelopes and extensions

본 발명에서 상기 봉투(1)는 예를 들어 재래시장, 편의점, 대형마트 등에서 물품을 구입한 후 구입한 물품을 담는 장바구니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담는 것으로, 양쪽 측면이 외부와 밀폐되고, 하부면이 열융착되며,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elope (1) is used, for example, as a substitute for a shopping cart containing goods purchased after purchasing the goods at a conventional market, a convenience store, a large mart or the like, , The lower surface is thermally fused, and the upper surface is open.

본 발명에서 봉투는 상기와 같은 기본 구조를 가진다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형태, 크기, 두께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봉투의 입구 부분에 하나 이상의 연장부를 가지며, 이 중 하나 이상의 연장부는 접착층, 이형층, 고정부, 견인부 및 손잡이부 등으로 구성되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nvelope has the basic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s shape, size, thickness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commonly used in the art. However,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extension portions of the envelope has at least one extension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extension portions should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 release layer, a fixing portion, a pulling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봉투는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나, 연장부와 동일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연장부끼리 접착하였다 다시 떼어낼 경우 주름이나 파열이 발생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한 내찢김성(tearing resistance)을 가지면서 잔류 접착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elope is not limited to a material but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at of the extension. If necessary, the extensions are bonded to each other. When the adhesive is peeled off agai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mponent capable of minimizing residual adhesive material while having tearing resistance.

본 발명에서 상기 봉투의 재질로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탄산칼슘 함유 고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은 공지된 범위에서 균등한 효과를 구현하는 다른 물질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생분해성 수지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elope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high-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and high-density polyethylene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and the polyethylen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terial. ≪ / RTI > In addition to the above resin, it may further include biodegradable resins or other additives as required.

본 발명에서 상기 연장부(100)는 도 1과 같이 봉투의 입구 부분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 이형층, 고정부, 견인부 및 손잡이부 등으로 구성되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 수단이 구비된 연장부와 구비되지 않은 연장부가 봉투의 입구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하나의 짝을 이뤄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는 상기 봉투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크기, 형태, 두께 또한 본 발명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1, one or more extension portions 100 are formed at the entrance portion of the envelope. The extension portions 100 may be provided with or without fastening means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the release layer, the fixing portion, the pulling portion, . More specifically, the extension portion provided with the fastening means and the extension portion not provided with the fastening means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dhesive layer in a pair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entrance of the envelope. At this time, the extension portion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or different from the envelope, and the size, shape, and thickness are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연장부 중 체결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연장부는 접착층과 접하는 면의 반대 면에 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접착 및 탈착에 따른 연장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연장부는 구비된 연장부보다 두께를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장부의 보강 수단 또는 구조의 변화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자유롭게 도입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extended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fasten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or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extended portion due to adhesion and detachment. Or the extension without the fastening means may have a greater thickness than the extension provided. Changes in the reinforcing means or structure of such extensions can be freely introduced in the line which does not impai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봉투만을 한정하고 있으나, 봉투 이외에 물건의 운반 및 보관에 사용되며 체결수단이 필요한 주머니 형태의 물건이라면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주머니 형태의 물건에 맞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fastening means may be provided, only the envelope is limited. However, if the envelope is used for conveying and storing objects other than the envelope, and is a bag-shaped article requiring fastening means, the fastening means may be provided for the bag- , Which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 접착층(B)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200)은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적층되며, 타면에 적층된 이형층(300)을 통해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형층과 연결된 견인부(500)를 당김으로써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노출된 접착층은 다른 연장부와 맞닿아 접착하여 봉투를 밀폐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200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extended portion, and exposure to the outside can be blocked through the release layer 300 laminated on the other side. Also, the pulling portion 500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can be pulled out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posed adhesive laye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another extension portion to seal the envelope.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이형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적층 면적을 가질 수 있으나, 접착층이 이형층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적층될 경우, 접착층의 노출에 따라 봉투 또는 연장부의 다른 부분과 의도치 않게 접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착층의 적층 면적은 이형층의 적층 면적과 같거나 더 작은 것이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lamination area as the release layer, but when th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ver a larger area than the release layer, the adhesive layer may inadvertently adhere to the envelope or other part of the extension The lamination area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amination area of the release layer.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당업계에서 감압식 접착제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필요에 따라 제거 및 재부착이 요구되므로, 상기 감압식 접착층은 반복적으로 제거와 부착이 가능한 감압식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may comprise adhesiv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the art a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urther, since the adhesive layer is required to be removed and reattached if necessary, it is preferable to us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pable of repeatedly removing and attach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에서 상기 감압식 접착제는 다른 점착 성분이 없이도 충분한 접착력을 갖는 탄성 중합체인 것이 좋으며, 일예로,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테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부틸고무 등의 합성고무, 천연고무, 에틸렌초산비닐수지, 규산화수지를 성분으로 하는 실리콘 고무, 스티렌블록공중합체, 비닐에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y an elastomer having sufficient adhesion without any other adhesive component.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polyurethane, polyacrylic, and polyether-based resins may be mention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synthetic rubbers such as butyl rubber, natural rubbers, ethylene-vinyl acetate resins, silicone rubbers composed of siloxane resins, styrene block copolymers, vinyl ethers, It is not.

본 발명에서 상기 접착층은 접착 두께를 한정하지 않으나,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1 ㎛ 미만인 경우 접착력이 떨어져 봉투의 밀폐효과가 반감되며, 20㎛ 초과인 경우 접착력이 너무 강해 접착층을 제거한 후에도 체결 수단이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에 접착성분이 잔류할 수 있으며, 밀폐된 봉투를 다시 개봉할 때 연장부가 파손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20 占 퐉. If it is less than 1 탆, the sealing effect is reduced to half, and if it is more than 20 탆, the adhesive force is too strong, so that the adhesive component may remain in the extension portion where the fastening means is not formed even after removing the adhesive layer, The extension may break when opened.

또한 상기 접착층은 중첩 전단(overlap shear) 특성 및 응집 강도를 증가시켜 피착체인 연장부로부터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이산화규소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규소 입자는 침(針)상, 봉(棒)상 또는 구(球)상일 수 있으며, 첨가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100 중량% 중 1 내지 8 중량% 치환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silicon dioxide particles so as to be able to remove overlapping shear properties and cohesive strength from the extensions of the extrudate. The silicon dioxide particles may be needle-shaped, rod-shaped, or spherical-shaped. The amount of the silicon dioxide particles to be added is not limited, but may be 1 to 8 wt% of 100 wt% .

또한 상기 접착층은 연장부를 접착한 후 다시 떼어낼 때 접착제의 잔류를 억제하기 위해 접착층을 구성하는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평균 입경 0.001 내지 0.1 ㎛의 상전이물질을 0.01 내지 2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0.01 to 2 parts by weight of a phase transition material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01 to 0.1 탆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in order to suppress the residual adhesive when the extension part is bonded and then removed .

상기 상전이물질(phase-change materials, PCM)은 동적 점탄성 측정의 전단 모드로 -50 ℃로부터 300 ℃ 까지 연속 승온의 조건으로 측정한 25 ℃ 에서의 저장 전단 탄성률을 1.0×105 내지 107 ㎩ 정도의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된 연장부의 박리 시, 연장부의 표면에 접착층의 잔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phase-change materials (PCM) have a storage shear modulus at 25 ° C measured in a shear mode of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at a temperature of from -50 ° C to 300 ° C continuously at a temperature of about 1.0 × 10 5 to 10 7 Pa Of the total amount of water. 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adhesive layer from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when the extended portion is peeled off.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전이물질로 예를 들면, 카프릴릭 산(Caprylic acid, CH3(CH2)6COOH) 등의 지방산이나, 그루버 솔트(Glauber's salt), 질산화망간6수화물(Manganese nitrate hexahydrate, Mn(NO3)2H2O), 질산화망간4수화물(Manganese nitrate hexahydrate, Mn(NO3)2H2O), 질산화아연6수화물(Zinc nitrate hexahydrate, Zn2(NO3)22O) 등의 수화물 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 다른 상전이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phase transition material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atty acids such as caprylic acid (CH 3 (CH 2 ) 6 COOH), Glauber's salt, manganese nitrate hexahydrate , Mn (NO 3) 2 H 2 O), nitride oxide of manganese tetrahydrate (manganese nitrate hexahydrate, Mn (NO 3) 2 H 2 O), nitride of zinc hexahydrate (zinc nitrate hexahydrate, Zn 2 ( NO 3) 22 O)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phase transition materials may be used.

상기 상전이물질은 필름 제조 시 고분자 형태로 혼합될 수도 있으나, 무기물의 외벽(shell)을 가지는 마이크로캡슐 형태로 투입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상전이물질은 경도가 높아 제조되는 접착층의 마찰계수를 크게 증가시켜, 연장부의 접착 시 연장부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phase change material may be mixed in the form of a polymer when the film is prepared,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inject the phase change material in the form of a microcapsule having an outer shell of an inorganic material. In addition, since the phase transition material in the microcapsule form has a high hardnes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adhesive layer to be produced is greatly increased, so that slippage of the extended portion can be prevented.

외벽(shell)을 구성하는 벽재형성물질은 경도가 높으면서도 캡슐을 형성할 수 있는 전구체 형태의 무기물인 것이 좋다. 상기 벽재형성물질로 예를 들면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무기질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에서 고강도, 캡슐화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질이 바람직하다.  The wall-form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is preferably a precursor-type inorganic material capable of forming a capsule with high hardness. As the wall-forming material, any one or two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silica, titania, zirconia, zinc oxide nanoparticl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Among them, considering the high strength and easiness of encapsulation, titania, zirconia Is preferred.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제조방법 즉 유화안전성을 가지는 분산매에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내용물인 상전이물질을 분산시킨 후, 유화분산액을 교반시켜 캡슐막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캡슐막은 경화제 또는 반응제를 첨가시켜 경화시키는 것으로 완성할 수 있다. The microcapsules are prepared by dispersing a phase transition material, which is the content of the microcapsules, in a production method commonly practi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is, in a dispersion medium having emulsification safety, and then stirring the emulsion dispersion to produce a capsule film. The resulting capsule film can be completed by adding a curing agent or a reactive agent to cure the cured film.

상기 상전이물질은 전체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중 0.01 내지 2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좋다. 0.01 중량부 미만 첨가하는 경우 첨가 효과가 미비하며, 2 중량부 초과 첨가하는 경우 접착층의 접착강도가 하락하여 연장부의 고정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hase change material includes 0.01 to 2 parts by weight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adhesive composition. If it is ad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addition is insufficient, and if it is added in an amount of more than 2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lowered.

(C) 이형층(C)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층(300)은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적층되어 상기 접착층을 보호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어 접착층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형층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전체적으로 이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접착층과 맞닿는 면에 이형 성분이 미세하고 고르게 도포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layer 300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to protect the adhesive layer and, if necessary, easily peel off the adhesive layer to expose the adhesive layer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release layer is to keep the releasing force uniformly as a whole, and the releasing component should be finely and uniformly applied to th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adhesive layer.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층은 이형지와 상기 이형지의 여러 면 중 상기 접착층과 맞닿는 면에 실리콘이나 우레탄, 불소화합물 등의 이형 성분이 코팅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ing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a release surface and a surface of the releasing pap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on a surface of a release material such as silicone, urethane or fluorine compound.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예를 들어 densified kraft 종이, polycoated kraft 종이, clay coated kraft 종이, lay flat 종이, 필름 이형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내습성 및 인쇄성 등이 우수한 polycoated kraft 종이, 필름 이형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형 성분은 실리콘계, 올레핀계 및 불소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비용 및 이형성 측면에서 실리콘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paper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densified kraft paper, polycoated kraft paper, clay coated kraft paper, lay flat paper, film release paper, It is preferable to use polycoated kraft paper or film release paper having excellent moisture resistance and printability. The releasing compon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 olefin and fluorine,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silicone component in view of cost and releasability.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견인부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견인부를 지속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이형층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형층은 도 5 이외에 도 7과 같이 고정부와 연결된 일단에서 견인부와 연결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하거나, 도 8과 같이 견인부와 이형층이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이형층과 고정층은 직접 연결되는 단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접착층으로부터 이형층을 박리할 때, 접착층에 의해 이형층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체결 수단의 수명을 더욱 늘릴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par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wing part, and the releasing layer may be damaged due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 drawing part. Therefore, the release laye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width of the release layer decreases towar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ulling portion at one end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as shown in FIG. 7, or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at of the pulling portion and the release layer as shown in FIG. . That is, since the releasing layer and the fixing layer are provided so that the end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the same wid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leasing layer from being broken by the adhesive layer when peeling off the releasing layer from the adhesive layer, .

(D) 견인부 및 손잡이부(D) a pulling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견인부(500)는 도 5와 일단이 이형층과 직접 연결되어 이형층을 접착층으로부터 박리하거나 다시 접착층을 덮도록 움직이게 하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part 500 may be a kind of handle that is connected to the mold release layer at one end as shown in FIG. 5 and moves the mold release layer to peel off the adhesive layer or cover the adhesive layer again.

상기 견인부는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당겨지거나 밀리는 등 체결 수단에서 움직임이 제일 많은 부분으로 기계적인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재질의 일예로 폴리에틸렌계(LDPE, LLDPE, HDPE)나 폴리스티렌계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pulling portio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mechanical rigidity such that the pulling portion is continuously pulled or pushed as necessary, and is the portion with the greatest movement in the fastening means. Examples of the material include polyethylene (LDPE, LLDPE, HDPE) and polystyrene, and preferably polyethylene.

또한 상기 견인부는 반복된 운동에 따른 이형층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형층과 고정층은 직접 연결되는 단이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견인부가 이형층과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이형층과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 이형층과 고정층에서 직접 연결되는 단이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지게 되어 과도한 접착 및 탈착에 따른 이형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release layer due to repetitive movement, the pulling port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end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and the fixing layer have the same width. That is, as shown in FIG. 8,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ling portion has the same width as the release layer, or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to the other side. In the case of the above structure, the releasing layer and the end portion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ixing layer have the same width, so that breakage of the releasing layer due to excessive adhesion and desorp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도 9와 같이 견인부가 이형층과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연장부 또는 연장부 및 고정부에 형성되는 절개부(1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형층의 박리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견인부의 폭이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지 않고 이형층과 연결되는 일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절개부의 길이보다 더 긴 폭이 형성된 구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이형층의 박리를 위해 견인부를 당길 경우, 절개부의 길이와 견인부의 폭이 동일한 부분에서 견인부의 움직임이 멈추게 되며, 동시에 이형층의 박리 정도도 고정이 될 수 있다.9, when the traction portion is narrowed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toward the other side, the length of the cut portion 110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or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is adjusted, And the like. That is, the width of the pulling portion is not the same at all positions, and the width becomes wider toward one end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and a section having a longer width than the length of the cut portion exists. Accordingly, when the pulling portion is pulled for peeling the release layer, the movement of the pulling portion is stopped at the portion where the length of the cut portion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pull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degree of peeling of the release layer can be fixed.

본 발명에서 상기 견인부가 이형층과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절개부의 길이는 상기 견인부의 중위(中位)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상기 접착층이 다른 연장부와 접착하기에 좋은 노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견인부의 지나친 움직임을 막아 이형층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pulling portion has a structure that is narrowed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toward the other side, the length of the cut portion may be the same width as the middle width of the pulling por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cure a good exposed area for the adhesive layer to adhere to the other extensions, and to prevent the extraneous movement of the draw portion,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release layer.

또한 상기 견인부는 도 10과 같이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견인부 날개(5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견인부 날개는 도 9의 견인부와 유사하게 견인부의 폭을 절개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견인부의 견인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lso, the pull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ulling wing 510 at one or both ends as shown in FIG. That is, similar to the pulling portion of FIG. 9, the pulling portion vane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width of the pulling portion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ut portion, thereby adjusting the pulling degree of the pulling portion.

도 10은 견인부 날개가 구비된 견인부를 당겼을 때의 체결 수단을 도시한 것으로, 도 10과 같이 견인부는 견인부 날개에 의해 이형층의 박리 정도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견인부의 폭을 절개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만들어주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견인부가 지나치게 삽입되거나 절개부로부터 빠지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FIG. 10 shows the fastening means when the pull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pulling portion wing is pulled. As shown in FIG. 10, the pulling portion has a degree of peeling of the releasing layer fixed by the pulling portion wing. Also, by providing the effect of making the width of the traction portion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incision por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sadvantage that the traction portion is excessively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incision portion.

상기 견인부 날개는 견인부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위치하기만 하면 되며, 구비되는 위치는 이형층의 접착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측단 또는 양측단 어디에라도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다.The pulling vane may be position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pulling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pulling portion vane may be freely positioned at one side or both side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adhesion of the release layer.

또한 상기 견인부는 이형층과 연결되지 않는 타단에 견인부를 더 용이하게 당기기 위한 손잡이부(6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태, 크기, 재질 등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pulling portion may have a grip portion 600 for pulling the pulling portion more easily at the other end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The handle portion does not limit the shape, size, material, and the like within the range not impair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 고정부(E)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400)는 도 2, 5와 같이 연장부의 일면 중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되며, 이형층의 박리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2 내지 4와 같이 연장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절개부(110)가 구비되어 이를 통해 견인부를 고정부의 일면에서 연장부의 타면으로 관통시키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4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ease layer in one side of the extended portion as shown in FIGS. 2 and 5, and controls the degree of peeling of the release layer. Also, as shown in FIGS. 2 to 4, a cutout 110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extended portion, so that the pulled portion is pierced from one surface of the fixed portion to the other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상기 고정부는 이형층의 지나친 박리를 막기 위해 이형층과 직접 연결되거나, 이형층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체결 수단의 형태 및 두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으나,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계(LDPE, LLDPE, HDPE)나 폴리스티렌계 등 물리적인 강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fixing portion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to prevent excessive release of the release layer, or may be formed to cover the release layer and may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fastening means. The material is not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having excellent physical rigidity such as polyethylene (LDPE, LLDPE, HDPE) or polystyrene.

상기 고정부는 절개부가 구비되는 경우 견인부가 절개부를 통해 관통하여 지나가게 되므로, 상기 절개부보다 큰 폭을 가져야 한다. 도 5 내지 7과 같이 이형층의 폭이 견인부의 폭보다 더 큰 경우, 이형층과 동일한 폭을 가져도 무방하나, 도 8과 같이 이형층의 폭이 견인부의 폭과 동일한 경우, 절개부의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 이형층 및 견인부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incision part is provided, the fixing part has a larger width than the incision part because the pull part penetrates through the incision part. When the width of the release layer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ulling portion as shown in FIGS. 5 to 7, the width of the release layer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release layer, but when the width of the release layer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pulling portion as shown in FIG. 8, The width of the release layer and the width of the traction portion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lease layer and the traction portion.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최적의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only the best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ecimens prepared throug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s follows.

(잔류 접착제)(Residual adhesive)

접착층이 형성된 연장부와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를 무게 2kgf/cm 의 압력으로 합지 후, 30분간 상온에서 방치 하였다. 다음으로 박리 속도는 300㎜/min 및 25℃에서 기판에 대한 180도 박리하였으며, 박리 후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연장부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잔류 접착제가 없는 경우 ◎, 전체 접착 면적의 5% 미만에서 잔류 접착제가 남아있는 경우 ○, 5% 이상 10% 미만에서 남아있는 경우 △, 10% 이상 남아있는 경우 ×로 판정하였다.The extensions formed with the adhesive layer and the extensions not formed were laminated at a weight of 2 kgf / cm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hen, the peeling speed was 300 mm / min and the substrate was peeled at 180 ° C at 25 ° C. When the surface of the extension without peeling adhesive layer was peeled off, the peeled surface was visually observed. , ◯ indicates that the adhesive remained at less than 10% but less than 10%.

(실시예 1)(Example 1)

접착제 조성물로 아크릴계 폴리머((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94 중량%, 메타크릴산하이드록시에틸 6 중량% 포함)를 준비하였으며, 접착제 조성물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일반 쓰레기봉투(재질 : HDPE, 제조회사 : 한영케미칼)의 연장부에 3㎝의 크기, 50㎛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80℃에서 10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40℃에서 3일간 정치 양생하여 접착층이 형성된 쓰레기봉투를 완성하였다. (Containing 94% by weight of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 and 6% by weight of hydroxyethyl methacrylate) was prepared as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n ethyl acetate solu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applied to a general garbage bag (material: HDPE, Chemicals) in a size of 3 cm and a thickness of 50 탆. Then, the solvent was removed by heating at 80 DEG C for 10 minutes, and then cured at 40 DEG C for 3 days to complete a garbage bag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실시예 2)(Example 2)

상기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상전이물질로 평균입경 0.01㎛이며, 벽재물질이 지르코니아에 내부 상전이물질로 질산화망간6수화물이 담긴 상전이물질 캡슐 1 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층이 형성된 쓰레기봉투를 완성하였다.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further added with 1 part by weight of a phase change material capsul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0.01 탆 as a phase transition material and a wall material containing zirconia and manganese oxide hexahydrate as an internal phase transition material A garbage bag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was completed.

(실시예 3)(Example 3)

상기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실시예 2와 동일한 상전이물질 캡슐을 3 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층이 형성된 쓰레기봉투를 완성하였다. A garbage bag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3 parts by weight of the same phase change material capsules as in Example 2 were further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표 1][Table 1]

Figure 112016031674327-pat00001
Figure 112016031674327-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투는 상전이 물질을 더 첨가함으로써 박리 후 잔류 접착제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만 상전이 물질의 첨가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실시예 3), 잔류 접착제의 양은 크게 줄어드나 접착력도 동시에 크게 줄어들어 연장부의 고정 효과가 실시예 2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envel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residual adhesive after peeling by further adding a phase change material. However, 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phase change materi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Example 3), the amount of the residual adhesive is greatly reduced, and the adhesive force is also greatly reduc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xing effect of the extension portion is lower than that of Example 2.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1 : 봉투
100 : 연장부
110 : 절개부
200 : 접착층
300 : 이형층
400 : 고정부
500 : 견인부
510 : 견인부 날개
600 : 손잡이부
1: Envelope
100: Extension part
110: incision
200: adhesive layer
300:
400:
500: pulling part
510: pulling wing
600: Handle portion

Claims (9)

하나 이상의 연장부가 구비된 봉투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장부의 일면 일정 영역에 적층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접착층을 덮는 이형층;
상기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이형층에 연장 형성되어 이형층을 견인하며,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연장부 및 고정부를 관통하는 절개부를 통해 연장부의 일측 방향에서 연장부의 타측 방향으로 상기 절개부를 통과한 견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및 폴리에테르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 중 이산화규소 입자를 1 내지 8 중량% 치환하여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중 그루버 솔트, 질산화망간6수화물, 질산화망간4수화물 및 질산화아연6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상전이물질을 내부 물질로,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및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무기물을 벽재형성물질로 하는 평균입경 0.001 내지 0.1 ㎛의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을 0.01 내지 2 중량부 더 포함하는 봉투.
In an envelope having at least one extension,
An adhesive layer lamin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on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extension part;
A release layer covering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release layer; And
A pul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lease layer to pull the release layer and passing through the cutout portion in a direction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one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through the extension portion or the cutout portion penetrating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fixed portion;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adhesive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acrylic, and polyether,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1 to 8% by weight of silicon dioxide particles in 100%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one or more phase transition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ss salt, manganese oxide hexahydrate, manganese oxide tetrahydrate and zinc nitrate hexahydrate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s an internal material, silica, titania, zirconia and zinc oxide And further comprising 0.01 to 2 parts by weight of microcapsules of a phase transition material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01 to 0.1 mu m and containing one or more selected inorganic materials as a wall-forming material.
봉투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면 중 끝단의 일정 영역에 적층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접착층을 덮는 이형층;
상기 이형층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이형층에 연장 형성되어 이형층을 견인하며, 상기 봉투 또는 상기 봉투 및 고정부를 관통하는 절개부를 통해 봉투의 내면 방향에서 외면 방향으로 상기 절개부를 통과한 견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및 폴리에테르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 중 이산화규소 입자를 1 내지 8 중량% 치환하여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중 그루버 솔트, 질산화망간6수화물, 질산화망간4수화물 및 질산화아연6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상전이물질을 내부 물질로,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및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무기물을 벽재형성물질로 하는 평균입경 0.001 내지 0.1 ㎛의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을 0.01 내지 2 중량부 더 포함하는 봉투.
An adhesive laye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velope, the adhesive layer being laminat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an end of the inner surface;
A release layer covering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release layer; And
A pull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release layer to pull the release layer and passing through the cutout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envelope through the envelope or the cutou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envelope and the fixing portion;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adhesive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urethane, polyacrylic, and polyether, wherein th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1 to 8% by weight of silicon dioxide particles in 100%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one or more phase transition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rass salt, manganese oxide hexahydrate, manganese oxide tetrahydrate and zinc nitrate hexahydrate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s an internal material, silica, titania, zirconia and zinc oxide And further comprising 0.01 to 2 parts by weight of microcapsules of a phase transition material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01 to 0.1 mu m and containing one or more selected inorganic materials as a wall-forming materia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는
견인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하는 봉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nvelope
A grip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pulling portion;
Lt; / RTI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고정부와 연결된 일단에서 견인부와 연결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lease layer
The width of which becomes narrower towar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ull portion at one end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이형층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ulling portion
Wherein the release layer has the same width as the release lay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이형층과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ulling portion
Wherein the width is narrower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release layer to the other s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견인부의 중위(中位)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ut-
And a width equal to a middle width of the pull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40150A 2016-04-01 2016-04-01 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 KR101839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50A KR101839821B1 (en) 2016-04-01 2016-04-01 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50A KR101839821B1 (en) 2016-04-01 2016-04-01 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95A KR20170112695A (en) 2017-10-12
KR101839821B1 true KR101839821B1 (en) 2018-03-19

Family

ID=6014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50A KR101839821B1 (en) 2016-04-01 2016-04-01 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8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2880B (en) * 2018-09-25 2020-01-21 川本國際包裝有限公司 Self-service dry food fresh-keeping vent bag structure
TWI695799B (en) * 2018-09-25 2020-06-11 川本國際包裝有限公司 Self-service dry food preservation packaging ba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77Y1 (en) * 2004-06-14 2004-08-25 이훈영 Envelope for packing
JP2015017179A (en) * 2013-07-10 2015-01-29 ニッタ株式会社 Temperature-sensitive adhesive, and crosslinking method of the same
JP5707384B2 (en) * 2009-03-19 2015-04-30 ダニエル ヤング、 Bag for mixing the separated reactants and its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177Y1 (en) * 2004-06-14 2004-08-25 이훈영 Envelope for packing
JP5707384B2 (en) * 2009-03-19 2015-04-30 ダニエル ヤング、 Bag for mixing the separated reactants and its application
JP2015017179A (en) * 2013-07-10 2015-01-29 ニッタ株式会社 Temperature-sensitive adhesive, and crosslink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695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1708B1 (en) Resealable container and closure seal
US3827625A (en) Reclosable package and controlled release paper for use therein
AU2004260706B2 (en) Packaging container consisting of a plastic film
MXPA06012943A (en) Flexible package with internal, resealable closure feature.
KR101839821B1 (en) A envelope having adhesive joint part
US9957073B2 (en) Bag sealing tape, and banding device and banding method using the bag sealing tape
WO2012137965A1 (en) Sealing label and packaging container
US7422142B2 (en) Package with a re-sealable closure for opening and closing
WO2008069270A1 (en) Synthetic resin bag body with easy open function
JP5197921B2 (en) Plastic bag body
US20150274393A1 (en) Reclosable Flowpack
EP0922640B1 (en) System comprising a device for discharging contents from a bag
AU2017257306A1 (en) Method of forming multi-compartment tobacco pouch
AU2017290625A1 (en) Resealable tobacco pouch
WO2012137966A1 (en) Sealing label and packaging container
JP6010857B2 (en) sleeve
CN214825579U (en) Portable structure with bonding function and handbag
US5927552A (en) Device for discharging contents from bag
JP2005040415A (en) Two-liquid mixing bag-like transfusion container
JP3132959U (en) Hazardous waste storage disposal bags such as asbestos
KR20150012294A (en) Reclosable bag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same
TW200916315A (en) Clean-release tape core
RU2039687C1 (en) Pack opener
JP5288564B2 (en) Envelope for home delivery or mail
CN209667726U (en) A kind of blister package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