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700B1 - Proximity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 Google Patents

Proximity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700B1
KR101838700B1 KR1020110083456A KR20110083456A KR101838700B1 KR 101838700 B1 KR101838700 B1 KR 101838700B1 KR 1020110083456 A KR1020110083456 A KR 1020110083456A KR 20110083456 A KR20110083456 A KR 20110083456A KR 101838700 B1 KR101838700 B1 KR 101838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proximity sensor
main board
suscepto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1121A (en
Inventor
김형목
나태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700B1/en
Publication of KR2013002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1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7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근접 센서부가 구성된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에 부착되고 피감지체에 대응하며 상기 근접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제1감응체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제1감응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감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sensing a proximity, the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ard configured with a proximity sensor unit; a first susceptor attached to the main board 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sensor and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sensor unit; And a second sensitive body formed in the case frame to b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sensitive body.

Description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PROXIMITY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nsing proximit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접 센서용 감응체를 확대하여 근접 인식 거리를 개선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ensing proximity for improving proximity sensing distance by enlarging an accelerometer for a proximity sensor.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등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그 기능이 부가되면서 슬림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BACKGROUND ART [0002]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industry,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ellular phones), electronic notebooks, and personal complex terminals have become important means of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as they become essentials of modern society. In such a situation, the portable terminal gradually becomes slim with its function being added.

최근,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근접, 온도 등의 외부 인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가 감지한 상황에 따라 효과적인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상기 단말기는 신체가 근접함을 인식할 수 있는 근접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피감지체에 대응하는 감응체로 금속판을 필요로 한다. 상기 금속판은 피감지체와의 거리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키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금속판의 정전용량의 변화가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 근접 신호를 출력한다. 게다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내장 안테나 장치를 주로 적용하고 있고, 그 외관이 미려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장치 및 근접 감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장치는 메인보드(110)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안테나 방사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방사체(130)는 상기 메인보드(110)에 고정되는 사출 성형물(120) 상에 부착된다. 게다가, 상기 근접 감지 장치는 상기 메인보드(110)의 근접 센서부(114)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금속판 타입의 근접 센서용 감응체(140)를 포함하고, 상기 감응체(140) 또한 상기 사출 성형물(120) 상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근접 센서용 감응체(140)는 클수록 상기 근접 센서부(114)는 양호한 성능과 민감도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 상기 근접 센서용 감응체(140)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130)를 고려하여 상기 사출 성형물(120) 상에서 제한적으로 구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근접 인식 거리를 개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In recent years, such a portable terminal ha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external factor such as proximity and temperature, and has been able to perform an effective operation according to a situation sensed by the sensor. In particular, the terminal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proximity of the body, and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when a signal is output from the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sensor requires a metal plate as the susceptor corresponding to the touch sensing object. The metal plate causes a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to be detected, and the proximity sensor outputs a proximity signal when the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metal plate reaches a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s it is known, recently, the portable terminal mainly uses the built-in antenna device, and its appearance is becoming more beautiful. 1 shows an antenna device and a proximity sensing device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n antenna radiator 130 electrically communicating with a main board 110. The antenna radiator 130 includes an injection mold 120 fixed to the main board 110, Lt; / RTI >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ing device includes a metal plate-type proximity sensor sensitive body 140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sensor portion 114 of the main board 110, Gt; 120 < / RTI > Generally, the closer the proximity sensor sensor 140 is, the better the performance and sensitivity of the proximity sensor unit 114.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e proximity sensor sensing body 140 is limited in configuration on the injection mold 120 considering the antenna radiator 130,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mprove the proximity sensing distance.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접 센서용 감응체를 확대하여 근접 인식 거리를 개선하기 위한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ing device for improving proximity sensing distance by enlarging an accelerometer for a proximity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장 안테나 부착용 사출 성형물에 부착되는 제1근접 센서용 감응체와 더불어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에 제2근접 센서용 감응체를 더 구성하여 근접 인식 거리를 개선하는 근접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ximity sensing device for improving the proximity sensing distance b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roximity sensor sensitive body in a case frame of a terminal in addition to the first proximity sensor sensitive body attached to an injection-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보드에 부착되거나 또는 메인보드에 고정되는 사출 성형물 상에 부착되는 내장 안테나를 근접 센서용 감응체로 병행하는 경우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에까지 근접 센서용 감응체를 더 구성하여 근접 인식 거리를 개선하는 근접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ximity sensor for a proximity sensor which is mounted on a main board or attached to an injection molded article, And a proximity sensing device for improving the recognition distan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견지로서, 본 발명은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근접 센서부가 구성된 메인보드와, 상기 메인보드에 부착되고 피감지체에 대응하며 상기 근접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제1감응체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에 구성되어 상기 제1감응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감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ensing a proximity, the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ard having a proximity sensor section, a first board attached to the main board, And a second susceptor formed on the case frame to form an outer surface and a second susceptor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susceptor.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를 이용한 감지 장치는 근접 센서용 감응체를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에까지 확대하므로 근접 인식 거리를 개선할 수 있다.
The sensing device using the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ximity sensing distance because the proximity sensor sensitive body is extended to the case frame of th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안테나 장치 및 근접 감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및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감지 장치의 사시도.
1 is a view showing an antenna device and a proximity sensing device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proximity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은 근접 센서용 감응체를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에까지 확대하여 근접 인식 거리를 개선하는 근접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ximity sensing device for improving proximity sensing distance by extending a sensing device for a proximity sensor to a case frame of a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1)와, 상기 스피커(21)의 하부에 위치하며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2)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20)는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 어셈블리(23)와,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23) 하부에 위치하며 음성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로폰(24)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2)는 수백만 화소를 갖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또한, 만약 상기 엘씨디에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적용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22)는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23)를 대신하여 데이터 입력 유닛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20 includes a speaker 21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 display 22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located below the speaker 21.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20 further includes a keypad assembly 23 as a data input unit and a microphone 24 positioned below the keypad assembly 23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The display 22 may b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millions of pixels. In addition, if a touch screen is applied to the LCD, the display 22 may function as a data input unit in place of the keypad assembly 23.

본 발명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해당 통신 서비스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휴대용 무선 단말기(20)는 근접 감지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 감지 장치는 피감지체에 대응하여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근접 센서용 감응체와, 상기 근접 센서용 감응체의 정전용량이 임계치에 도달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센서부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ervice band. In additio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20 includes a proximity sensing device. The proximity senso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for a proximity sensor whose capacitance changes corresponding to a subject sensing object and a proximity sensor for outputting a signal when the capacitance of the sensing target for the proximity sensor reaches a threshold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감지 장치는 내장 안테나 부착용 사출 성형물에 부착되는 제1근접 센서용 감응체와 더불어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에 제2근접 센서용 감응체를 더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감지 장치는 메인보드에 부착되거나 또는 메인보드에 고정되는 사출 성형물(이하, '캐리어'라 칭함)에 부착되는 내장 안테나를 근접 센서용 감응체로 병행하는 경우 단말기의 케이스 프레임에까지 근접 센서용 감응체를 더 구성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ometer for a first proximity sensor attached to an injection mold for attaching an internal antenna and an accelerometer for a second proximity sensor in a case frame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where an internal antenna attached to an injection mold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rrier') attached to a main board or fixed to a main board It is possible to further constitute the proximity sensor sensitive body up to the case frame of th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근접 감지 장치는 메인보드(310)의 근접 센서부(314)와, 상기 근접 센서부(314)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제1감응체(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감응체(340)는 피감지체와의 거리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키고, 상기 근접 센서부(314)는 상기 제1감응체(340)의 정전용량의 변화가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한다. 상기 메인보드(310)는 기본 회로와 부품들을 담고 있는 기판이다. 상기 메인보드(310)는 단말기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구동하게 해주고, 단말기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보드(310)는 제어부(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보조프로세서, 메모리, 바이오스, 접속회로 등을 포함한다.3, the proximity senso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314 of the main board 310 and a first susceptor 340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sensor 314. The proximity sensor unit 314 detects that the chang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of the first susceptor 340 reaches the threshold value And outpu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main board 310 is a board containing basic circuits and components. The main board 310 is a part that sets an execution environment of the terminal, maintains the information, stably drives the terminal, and facilitates data input / output exchange of all devices of the terminal. The main board 310 includes a CPU, a microprocessor, a coprocessor, a memory, a BIOS, and a connection circuit.

상기 제1감응체(340)는 상기 메인보드(310)에 고정되는 캐리어(320) 상에 놓인다. 게다가, 상기 근접 감지 장치는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3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프레임(350)은 근접 센서용 제2감응체(351)를 내면에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350)이 상기 메인보드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1감응체(340)와 제2감응체(351)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1감응체(340)의 접촉부(342)와 상기 제2감응체(351)의 접촉부(352)는 서로 맞닿아 상기 제1감응체(340)과 제2감응체(351) 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한다. 상기 제1감음체(340)의 접촉부(342)와 상기 제2감응체(351)의 접촉부(352)는 접촉 테이프(contact tape)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2감응체(351)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350)의 내면 형상을 따를 수 있다. 상기 제2감응체(351)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이거나, 도전성 스프레이로 도포된 것일 수 잇다.The first susceptor 340 is placed on a carrier 320 fixed to the main board 310.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ase frame 350 that forms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When the case frame 350 is coupled to the main board, the first susceptor 340 and the second susceptor 351 ar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frame 350, The body 3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 contact portion 342 of the first susceptor 340 and the contact portion 352 of the second susceptor 35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sceptor 340 and the second susceptor 351 . The contact portion 342 of the first sensing body 340 and the contact portion 352 of the second sensing body 35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tact tape. In addition, the second susceptor 351 may follow the inner surface shape of the case frame 350. The second susceptor 351 may be attached to the case frame by bending a metal plate, or may be coated with a conductive spray.

상기 캐리어(32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방사체를 부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며, 이와 더불어 상기 근접 감지 장치의 제1감응체(340)를 부착시키는 용도로 병행한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메인보드의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안테나 방사체(33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의 공지된 RF(Radio Frequency) 커텍터(313)를 통해 상기 안테나 방사체(330)는 급전받아 공진한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330)는 상기 RF 커넥터(3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단(331)과 상기 메인보드(310)의 접지면(3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332)을 구성한다. 상기 캐리어(320)는 상기 메인보드(310)에 고정되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330)는 상기 캐리어(320) 상에 부착된다.The carrier 320 is used for attaching the antenna radiator of the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also used for attaching the first susceptor 340 of the proximity sensor. 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in board and an antenna radiator 330 electr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antenna radiator 330 receives and resonates through a known RF (Radio Frequency) connector 313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antenna radiator 330 includes a feed terminal 33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313 and a ground terminal 33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lane 311 of the main board 310. The carrier 320 is fixed to the main board 310 and the antenna radiator 330 is mounted on the carrier 320.

상기 케이스 프레임(350)은 상기 내장 안테나 방사체(330)와 상기 제2감응체(351)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case frame 35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so that the built-in antenna radiator 330 and the second susceptor 351 do not physically contact each other.

게다가, 상기 케이스 프레임(350)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놓이는 전방의 케이스 프레임이거나 또는 단말기의 배터리가 놓이는 후방의 케이스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프레임(350)에 구성되는 상기 제2감응체(351)는 대체적으로 상기 제1감응체(340)에 대하여 수직으로 놓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수평으로 놓이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se frame 350 may be a case frame on the front side where the display of the terminal is placed or a case frame on the rear side where the battery of the terminal is placed. The second susceptor 351 constituting the case frame 350 may be arrang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susceptor 340 but may be placed horizontally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상기 캐리어(320)에 부착되는 상기 제1감응체(340)와 안테나 방사체(330)는 이격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하기 도 4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방사체를 상기 근접 감지 장치의 감응체로 병행하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The first susceptor 340 attached to the carrier 320 and the antenna radiator 3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ntenna radiator of the antenna apparatus is used as an induction body of the proximity sensing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근접 감지 장치는 메인보드(410)의 근접 센서부(414)와, 상기 근접 센서부(414)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방사체(4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근접 감지 장치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방사체(430)를 근접 센서용 감응체로 사용한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는 피감지체와의 거리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키고, 상기 근접 센서부(414)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의 정전용량의 변화가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 근접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proximity sensor includes a proximity sensor 414 of the main board 410 and an antenna radiator 430 of an antenna device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proximity sensor 414. That is, the proximity sensor uses the antenna radiator 430 of the antenna device as the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sensor unit 414 changes the capacitance of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430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antenna radiating element 430 reaches a threshold value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상기 안테나 장치는 메인보드의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소통하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의 공지된 RF(Radio Frequency) 커텍터(413)를 통해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는 급전받아 공진한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는 상기 RF 커넥터(4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단(431)과 상기 메인보드(410)의 접지면(4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432)을 구성한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는 상기 메인보드(310)에 고정되는 캐리어(420)상에 부착된다.The antenna device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ain board and the antenna radiator 430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antenna radiator 430 receives and resonates through a known RF (Radio Frequency) connector 413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antenna radiator 430 constitutes a feeding end 43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F connector 413 and a ground terminal 43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plane 411 of the main board 410. The antenna radiator 430 is mounted on a carrier 420 fixed to the main board 310.

게다가, 상기 근접 감지 장치는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4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프레임(450)은 근접 센서용 감응체(451)를 내면에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350)이 상기 메인보드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와 감응체(451)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의 접촉부(432)와 상기 감응체(451)의 접촉부(452)는 서로 맞닿아 상기 안테나 방사체(430)과 상기 감응체(451) 간의 전기적 연결을 도모한다.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ase frame 450 that forms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When the case frame 350 is coupled to the main board, the antenna radiator 430 and the induction body 451 are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Respectively. The contact portion 432 of the antenna radiator 430 and the contact portion 452 of the sensitive body 45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ovid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antenna radiator 430 and the body 451.

도 3 및 도 4에서 보여주는 근접 감지 장치들은 상기 무선 통신부와 근접 세서부가 처리하는 신호를 각각 분리해주는 필터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근접 센서부의 간섭으로 인하여 그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인덕터, 커패시터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소자가 구성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근접 센서부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ing devices shown in FIGS. 3 and 4 may further comprise a filter for separating the signals process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nearby three west uni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configured by at least one antenna element such as an inductor and a capacitor to prevent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proximity sensor unit. In addition, the proximity sensor unit can also constitute a circuit for avoiding the interfere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근접 센서부(314, 414)를 위한 상기 감응체들의 정전량은 도전체(예;손)와의 거리에 따라 변한다. 상기 근접 센서부(314, 414)는 상기 감응체들의 정전량이 임계치에 도달하면 이를 제어부로 알리고, 이에 대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330, 430)로 공급되는 전력을 낮추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한다. 즉, 상기 안테나 방사체로 근접한 신체로의 전자파 흡수율(SAR; Specific Absorption Rate)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단, 상기 안테나 방사체(330, 430)로 공급되는 전력이 낮춰진다고 해서, 그 방사 성능이 열화되는 것은 아니다.The amount of static electricity for the proximity sensors 314 and 414 varie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conductor (e.g., hand). The proximity sensor units 314 and 414 inform the control unit when the amount of static electricity of the susceptors reaches a threshold valu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lower the power supplied to the antenna radiators 330 and 430 do. That 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of the body adjacent to the antenna radiator. However, if the power supplied to the antenna radiators 330 and 430 is lowered, the radiation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더욱이,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들의 안테나 방사체(330, 430) 및 제1감응체(340)는 안테나 장치용 캐리어에 부착된다.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안테나 방사체(330, 430)와 제1감응체(340)는 상기 메인보드(310, 410) 제작시 증착되거나, 후공정으로 상기 메인보드(310, 410)에 부착되는 금속 박막일 수 있다.
Further, the antenna radiators 330 and 430 and the first sensitive body 340 of the embodiments of Figs. 3 and 4 are attached to the carrier for the antenna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ntenna radiators 330 and 430 and the first susceptor 340 may be deposited when the main boards 310 and 410 are manufactured or may be attached to the main boards 310 and 410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13)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근접 센서부를 포함하는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에 부착되고, 상기 근접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감응체; 및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제2감응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응체 및 상기 제2감응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An apparatus for sensing proximity,
A main board including a proximity sensor unit;
A first induction body attached to the main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ximity sensor; And
And a second susceptor attached to the case frame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tive member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부는,
근접하는 피감지체에 대응하여 상기 제1감응체와 상기 제2감응체의 정전용량이 변화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정전용량이 임계값에 도달하면 근접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ximity sensor unit comprises:
Sensing the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ments in response to a proximity sensing target object,
And outputs a signal indicating proximity when the capacitance reaches a threshold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응체는, 상기 메인보드의 제작시 증착되거나, 후공정으로 상기 메인보드에 부착되는 금속 박막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sceptor is a metal thin film deposit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main board or attached to the main board at a later st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에 고정되는 사출 성형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응체는, 상기 사출 성형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rudate fixed to the main board,
Wherein the first sensitive body is attached to the extrudat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물은, 안테나 장치의 안테나 방사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xtrudate is attached to the antenna radiator of the antenna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응체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sceptor is an antenna radiat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부는, 허용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ximity sensor section includes a filter for isolating an allowable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응체 및 상기 제2감응체는 접촉 테이프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is electrically connected via a contact ta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프레임은, 상기 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frame lies in front of or behind th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응체는, 상기 제1감응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nsitive body is plac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ensitiv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응체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기 케이스 프레임에 부착되는 것이거나, 도전성 스프레이로 도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usceptor is attached to the case frame by bending a metal plate, or is coated with a conductive spray.
제 1항 내지 제 5항 및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근접을 감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12.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n apparatus for sensing proximit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to 12.
KR1020110083456A 2011-08-22 2011-08-22 Proximity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KR1018387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56A KR101838700B1 (en) 2011-08-22 2011-08-22 Proximity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56A KR101838700B1 (en) 2011-08-22 2011-08-22 Proximity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21A KR20130021121A (en) 2013-03-05
KR101838700B1 true KR101838700B1 (en) 2018-04-26

Family

ID=4817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56A KR101838700B1 (en) 2011-08-22 2011-08-22 Proximity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7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0545A (en) 2019-12-13 2022-07-29 三星电子株式会社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antenna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2319A (en) 2007-01-31 2008-08-21 Toshiba Corp Sensor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is
US20110043227A1 (en) * 2008-10-24 2011-02-2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sens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2319A (en) 2007-01-31 2008-08-21 Toshiba Corp Sensor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is
US20110043227A1 (en) * 2008-10-24 2011-02-2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s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121A (en)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0662B2 (en) Integrated antenna and sensor element apparatus fo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8947305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ors for proximity-based radio-frequency power control
US9002422B2 (en) Engagement features and adjustment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with integral antennas
EP2458676B1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EP3608751B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integrated with the frame of the housing
US9673508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8265718B2 (en) Mobile wireless device
EP2704256B1 (en) Antenna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US20150171508A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antenna device
KR101838700B1 (en) Proximity 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AU2014202603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capacitive proximity sensors for proximity-based radio-frequency power control
EP2824764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antenna device
EP3809524B1 (en) Human body distance detection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1424118A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