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710B1 - anti-counterfeiting and re-use prevention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use and anti-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ti-counterfeiting and re-use prevention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use and anti-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710B1
KR101837710B1 KR1020150167406A KR20150167406A KR101837710B1 KR 101837710 B1 KR101837710 B1 KR 101837710B1 KR 1020150167406 A KR1020150167406 A KR 1020150167406A KR 20150167406 A KR20150167406 A KR 20150167406A KR 101837710 B1 KR101837710 B1 KR 10183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transparent film
layer
met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2053A (en
Inventor
고형덕
박기선
한일기
장호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710B1/en
Priority to PCT/KR2016/000774 priority patent/WO2017090831A1/en
Publication of KR2017006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0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3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B42D25/382Special inks absorbing or reflecting infrared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05Marking
    • B42D25/43Marking by removal of material
    • B42D25/435Marking by removal of material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 B42D2033/04
    • B42D2033/10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 변조 및 재사용을 어렵게 하고, 육안으로 적절한 빛을 통해 이를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that makes it difficult to forge, modulate, and reuse, and can easily observe it through appropriate light with naked eyes.

Description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 판별방법{anti-counterfeiting and re-use prevention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use and anti-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 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 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uthenticity discri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현재, 위조품(counterfeits)의 판매는 사업 전반에 걸쳐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를 방지하고, 재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점자나 홀로그램 또는 특수잉크를 사용하는 다양한 위조 및 변조 방지기술들이 개발되었다.Currently, sales of counterfeits are increasing day by day throughout the business. Various anti-counterfeiting and anti-tamper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hat use a dot, hologram, or special ink to prevent and prevent reuse.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여전히 위조전문가를 통해 위조 또는 변조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감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근절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이러한 점자나 홀로그램 또는 이를 부착한 병이나 캡과 같은 제품들이 재사용되는 문제가 오히려 발생하여 위조품의 근절이 어려워졌다.However, these technologies are still being falsified or tampered with by counterfeit professionals, and it is difficult to eradicate them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istinguish between forgery or alteration. In addition, the problem of reusing products such as holograms, holograms, or bottles or caps to which the holograms or holograms are attached is rather problematic, and it is difficult to eradicate counterfeit products.

따라서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면서도,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쉽게 판별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위조 방지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nti-counterfeiting technology which can prevent reuse, easily discriminate it, and is cheap in price while consider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조, 변조 및 재사용을 어렵게 하고, 적절한 빛을 통해 육안으로 이를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that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nd can easily observe it with naked eyes through appropriate ligh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mass production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사용 진위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easily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reuse is true or fals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조를 포함하는 위조 변조 방지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prevention of forgery modulation and prevention of reuse including the following structure.

제1 금속층;A first metal layer;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구비된, 복수 개의 업컨버전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패턴층;A pattern layer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the pattern lay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pconversion nanoparticles;

상기 패턴층 상에 구비된 제2 금속층;A second metal layer provided on the pattern layer;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부착된,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액체 불투과성 및 접착성의 투명필름; 및 A liquid impermeable and adhesive transparent film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attached to seal the open surfaces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including the pattern layer; And

상기 투명필름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위치한 유체;를 포함한다.And a fluid located on a side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상기 위조 변조 방지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는 상기 투명필름에 의해 상기 유체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forgery modulation and the reuse is separated from the fluid by the transparent film.

상기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는 상기 제2 금속층과 제1 금속층 사이의 이격거리에 의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cture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has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by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의 평균 직경은 10 내지 3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is 10 to 300 nm.

상기 제2 금속층은 금속 나노입자 또는 금속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cond metal layer is formed of metal nanoparticles or metal nanowires.

상기 유체는 광유, 글리세린, 절연유, 디메틸실리콘 오일, 메탈페닐 실리콘 오일 및 폴리메틸 하이드로겐 실록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투광성 오일이거나, 에폭시 수지, 에폭시 베이스, 레진,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투광성 유체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luid is at least one translucent oi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neral oil, glycerin, insulating oil, dimethyl silicone oil, metal phenyl silicone oil and polymethylhydrogen siloxane, or at least one translucent oil selected from epoxy resin, epoxy base, And is a fluid organic matter.

외력에 의해 상기 투명필름이 분리되면 상기 투명필름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제2 금속층도 분리되고,When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second metal layer is also separat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transparent film,

상기 투명필름 및 제2 금속층이 분리되면, 상기 구조체에 적외선이 인가됨에 따라 나타나는 가시광의 발광 세기 정도가 상기 투명필름 및 제2 금속층이 분리되기 전과 비교하여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transparent film and the second metal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egree of light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as the infrared ray is applied to the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at before the transparent film and the second metal layer are separated.

상기 제2 금속층이 상기 투명필름에 의해 구조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 금속층과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 사이에 상기 유체가 스며들어 재사용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econd metal layer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by the transparent film, the fluid penetrates between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including the pattern layer, thereby preventing reuse.

상기 구조체는 적외선 레이저를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가시광을 사용자의 눈으로 관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visible light that emits light by application of an infrared laser can be observed with the user's eyes.

본 발명은 상기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Ⅰ) 제1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I) depositing a first metal layer;

Ⅱ)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복수개의 업컨버전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구비하는 단계;II) providing a patterned layer of a plurality of upconversion nanoparticles on the first metal layer;

Ⅲ) 상기 패턴층 상에 제2 금속층을 구비하는 단계; 및 III) providing a second metal layer on the pattern layer; And

Ⅳ)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투명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d attaching a transparent film to seal the open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metal layers including the pattern layer. do.

Ⅴ) 상기 투명필름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유체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V) positioning the fluid on a side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상기 Ⅲ) 단계는 스핀코팅, 스프레이코팅, 딥핑(dipping)코팅 및 드롭(drop)코팅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III) is performed by a spin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dipping coating method and a drop coating method.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위조 변조 또는 재사용 방지를 위한 박스 또는 용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further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x or a container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or reuse including the structure.

상기 박스 또는 용기는 상기 구조체가 상기 박스 또는 용기의 표면이나 개폐구 부분에 포함 또는 부착 또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x or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included, attached 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ox or container o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상기 박스 또는 용기에 부착된 구조체로부터 연장된 투명필름의 일부가 이용자에 의해 쥐여질 수 있고, 자극을 인가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돌출부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rt of the transparent film extending from the structure attached to the box or the container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provided as a protrusio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to apply a stimulus.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a) 외부의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적외선을 제1항에 따른 구조체에 인가하는 단계; 및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frared ray sensor, comprising the steps of: a) applying infrared rays to a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of blocking external light; And

b) 상기 적외선이 인가된 구조체에 나타나거나 사라진 패턴을 확인하여 상기 구조체의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b)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structure is falsified and reused by confirming a pattern that appears or disappears in the structure to which the infrared ray is applied,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ake modulation and reuse are true or false.

상기 b) 단계는 사용자의 눈 또는 가시광 검출 장치로 패턴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is confirmed by the user's eyes or the visible light detecting device.

상기 b) 단계는 가시광 검출장치를 통하여 발광 세기 및 스펙트럼의 모양을 통하여 위조여부를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b), it is possible to precisely determine whether the light is forgery through the visible light detection device and the shape of the light emission intensity.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위조, 변조뿐만 아니라, 재사용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not only falsification, modulation but also reuse.

또한, 적외선 조사를 통해 위조, 변조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한 사용에 따라 구조체가 오염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재사용 진위 여부도 쉽게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contaminated not only by forgery and modulation but also by external force through infrared irradiation, reuse truth can easily be discriminat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업컨버전 나노입자의 종류, 크기 및 금속 나노입자와 금속 나노와이어의 종류 등의 조건들을 제어 즉 최적화함으로써, 적외선에 의한 발광 세기 및 발광 파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발광세기 및 발광파장의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어 위조와 변조가 어렵다.In particular, since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emission intensity and the wavelength of emitted light by infrared rays by controlling or optimizing the conditions such as the type and size of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and the types of metal nanoparticles and metal nanowires, It is possible to precisely detect the emission intensity and the emission wavelength, making it difficult to counterfeit and modulate.

또한, 제1 금속층, 패턴층 및 제2 금속층을 투명필름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의한 오염 및 산화를 방지하므로, 본 발명의 구조체로부터 투명필름을 제거하지 않는 한, 오랜시간이 지난 후에도, 검출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parent film covers the first metal layer, the pattern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it prevents contamination and oxidation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refore,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unless the transparent film is removed from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on is possible.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상기 투명필름이 제거되지 않는 이상 오랜기간동안 제품의 위조 또는 변조품인지 여부와 재사용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product is a forgery or modification product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whether or not the product is reused, unless the transparent film is rem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로부터 투명필름이 분리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이다.
도 4는 적외선을 인가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패턴을 따라 가시광선이 식별됨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실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표면을 촬영한 SEM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단면을 촬영한 TEM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 각각에 적외선을 인가하였을 때, 발광 세기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에서 투명필름을 분리하기 전(a)과 후(b), 각각에 대해 적외선을 인가하였을 때, 상기 구조체에 따라 나타나거나 사라진 패턴을 촬영한 사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from a structure for preventing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rocess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a visible ray is identified along a pattern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actual state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SEM image of a surface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EM image of a section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illustrating a result of measurement of luminescence intensity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to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hotograph showing a pattern that appears or disappears according to the structure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to (a) and (b) before separating the transparent film from the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Hereinafter, various aspects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위조 변조 방지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100)는 제1 금속층(110); 상기 제1 금속층(110) 상에 구비된, 복수개의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로 이루어진 패턴층(120); 상기 패턴층(120) 상에 구비된 제2 금속층(130);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형성된,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액체 불투과성 및 접착성의 투명필름(140); 및 상기 투명필름(140)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위치한 유체(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tructure 100 for preventing forgery modulation and preventing reuse includes a first metal layer 110; A pattern layer 120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up-conversion nano particles 121; A second metal layer 130 provided on the pattern layer 120; A liquid impermeable and adhesive transparent film 140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formed to close an open face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including the pattern layer 12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And a fluid 150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140.

상기 위조 변조 방지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100)는 상기 투명필름(140)에 의해 상기 유체(150)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ructure 100 for preventing and preventing the forgery modulation is isolated from the fluid 150 by the transparent film 140.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평면부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제1 금속층(110) 및 제2 금속층(130)은 평면형 구조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고리형, 방사형 등 다양한 형상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thickness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annular, and radial shapes.

상기 이격거리는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에 의해 갭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갭(Gap)으로 작용한다.The spacing distance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thereby acting as a gap for exerting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 사이의 이격거리 내에는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로 이루어진 패턴층(120)이 존재하고,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100)는 상기 제2 금속층(130)과 제1 금속층(110) 사이에 위치한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에 의해 형성된 이격거리에 의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ttern layer 120 consisting of the upconversion nano particles 121 is present 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100 for the first metal layer 130 has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due to the spacing distance formed by the up-conversion nano particles 121 located between the second metal layer 130 and the first metal layer 110 .

이러한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130)과 제1 금속층(110)의 상기 이격거리 내에 위치하는 상기 업컨버젼 나노입자(121)는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에 의해 증폭된 적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121 located withi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etal layer 130 and the first metal layer 110 are irradiated with infrared rays amplified by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And absorbs visible light to emit visible ligh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금속층(110)의 두께는 충분한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얻으면서도, 가시광의 투과를 막을 수 있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 바람직하게 100 ㎚ 내지 2 ㎜일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110)의 두께가 2 ㎜를 초과하게 될 경우 대상물에 본 발명의 구조체(100)를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is 100 nm or more, which can prevent the transmission of visible light, while obtaining a sufficient gap plasmon polarity effect, and most preferably 100 nm to 2 mm Lt; / RTI >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exceeds 2 mm, it may be difficult to attach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bject.

한편, 상기 제2 금속층(130)의 두께는 본 발명의 구조체(100) 전체 적외선 투과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제2 금속층(130)의 두께가 두꺼워져 상기 패턴층(120)의 표면을 완전히 덮게되면 발광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한 바 있다. 허나, 상기 제2 금속층(130)은 재사용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체(100)의 투명필름(140)으로 인해 분리되어야 하므로, 너무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한 두께가 설정되어야 할 것인 바,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금속층(130)의 두께는 10 ㎚ 내지 2㎛ 일 수 있는데, 상기 제2 금속층(130)의 두께가 10 ㎚ 미만일 경우 충분한 갭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발생하지 못해, 적외선을 인가하더라도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로 가시광이 발광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하고, 2 ㎛를 초과할 경우 대상물에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가 구비 또는 부착될 시 외관을 해치거나, 사용함에 있어 이질감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2 금속층(130) 두께가 2 ㎛를 초과한 경우, 본 발명의 구조체로부터 투명필름을 분리할 때, 상기 제2 금속층(130)이 상기 구조체로부터 제거되지 못하고, 남아 재사용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does not affect the overall infrared transmittance of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becomes thick, It has been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luminescence intensity increases when it is covered. However, since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separated due to the transparent film 140 of the structure 100 so as to confirm the authenticity of reuse,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becomes too thick, Preferably,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have a thickness of 10 nm to 2 占 퐉.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less than 10 nm, a sufficient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is not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visible light does not emit light to the naked eye even if infrared rays are applied, and whe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r attached to the object when the thickness exceeds 2 탆, The problem occurs.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more than 2 占 퐉, when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tal layer 130 can not be removed from the structure, It may become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them.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thicknesse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금속층(110)은 2차원 금속 박막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2 금속층(130)은 복수 개의 금속 나노입자 또는 복수 개의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층일 수 있다.The first metal layer 110 may be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metal thin film,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one or more layers of a plurality of metal nanoparticles or a plurality of metal nanowires or a mixture thereof.

다만 상기 제2 금속층(130)은 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금속 나노입자 또는 복수 개의 금속 나노와이어가 넓은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tal nanoparticles or a plurality of metal nanowires that are uniformly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상기 제2 금속층(130)은 복수 개의 금속 나노입자 보다 복수 개의 금속 나노와이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후 재사용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조체(100)로부터 분리 또는 제거되는 투명필름(140)을 따라 상기 제2 금속층(130)이 분리 또는 제거될 때, 상기 제2 금속층(130)으로 금속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금속 나노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용이하게 제거되며, 더 강한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재사용 진위 여부를 상대적으로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tal nanowires rather than a plurality of metal nanoparticle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reused or not, It is easier to remove the metal nanowires than to use the metal nanoparticles as the second metal layer 130 when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separated or removed along the first metal layer 130, It is possible to have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so that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clearly discriminate the authenticity of reuse.

이때, 상기 제2 금속층(13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금속 나노입자 또는 복수 개의 금속 나노와이어는 불규칙 또는 규칙적으로 분산되어 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metal nano-particles or the plurality of metal nano-wires constituting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irregularly or regularly dispersed.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금속 나노입자의 경우 평균 직경은 10 내지 500 ㎚이고, 금속 나노와이어의 경우 평균 직경은 30 내지 500 ㎚이며, 평균길이는 0.1 내지 20 ㎛이다. 다만 금속 나노와이어의 경우 평균길이가 0.1 ㎛미만인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체(100)로부터 분리 또는 제거되는 투명필름(140)을 따라 상기 제2 금속층(130)이 분리 또는 제거될 때, 제거되지 못하고, 상기 구조체(100)에 남게되어, 재사용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2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 외에 발생하는 다른 효과로 인한 간섭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The average diameter of the metal nanoparticle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10 to 500 nm, the average diameter of the metal nanowires is 30 to 500 nm, and the average length of the metal nanowires is 0.1 to 20 m. However, when the average length of the metal nanowires is less than 0.1 μm,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separated or removed along the transparent film 140 separated or removed from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not removed and remains in the structure 100,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it is reused. If it exceeds 20 μm, interference effects due to other effects other than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occur .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상기 제2 금속층(130)의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의 이격거리 즉, 갭에 의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발생하게 되어, 선택되는 특정 영역에서의 파장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ap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that is, a gap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generates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금속은 금속 자체의 흡수 손실이 작은 금(Au), 은(Ag) 및 구리(Cu)와 같은 귀금속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금속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금속 또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금속이 될 수 있다.The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metal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 (Au), silver (Ag), and copper (Cu)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metal as a main component. The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metal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the same kind of metals or different kinds of metals.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금속은 은(A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most preferably silver (Ag).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 사이, 즉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이격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패턴층(120)은, 상기 제1 금속층(110)의 상면과 상기 제2 금속층(13)의 하면에 인접한다.The pattern layer 12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that is, the pattern layer 120, which is located a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layer (13).

또한, 상기 패턴층(120)은 규칙 또는 비규칙적으로 상기 제1 금속층(110) 상에 배열되어 있는 업컨버전 나노입자(up-conversion nanoparticle;121)로 구성된다.The pattern layer 120 may comprise up-conversion nanoparticles 121 arranged on the first metal layer 110 regularly or irregularly.

이때,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는 입사되는 적외선 광을 가시광으로 광변환할 수 있는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이터븀(Yb), 어븀(Er), 툴륨(Tm)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도핑된 할라이드, 칼코게나이드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일 수 있다.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are not limited to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capable of photo-converting the incident infrared light into visible light. Preferably,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include ytterbium (Yb), erbium (Er) , Thulium (Tm), or a mixture thereof, which are doped with halide, chalcogenide, and metal oxide.

결국,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직경은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이격거리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지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이격거리는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금속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일 수 있고,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를 벗어나게 되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is closely related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and the spacing required for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The distanc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kind of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preferably 10 to 300 nm, and if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are exceeded,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obtained.

일예로,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금속이 은일 경우에는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직경은 10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 직경이 10 ㎚ 미만이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 간에 형성된 이격거리가 커지게 되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질 수 없게 되어 적외선을 조사하여도 가시광 빛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For example, when the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metal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are silver, 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121 is preferably 10 to 30 nm. I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less than 10 nm,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may not be obtained. The gap distance becomes large and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can not be obtained, so that even if infrared rays are irradiated, the visible light can not be visually observed.

상기 패턴층(120)의 두께는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 간에 형성된 이격거리(갭)이므로, 사용되는 제1 금속층(110) 및 제2 금속층(130)의 금속 종류에 따라, 갭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발휘하는데 요구되는 갭 즉, 이격거리가 달라지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이므로, 이를 벗어날 경우 갭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layer 120 is a gap formed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The gap required to exhibit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that is, the spacing distance is changed. Since the gap is preferably 10 to 300 nm,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can not be exerted when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is deviated.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패턴층(120)을 구성하는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금속 종류가 은이 사용될 경우 상기 패턴층(120)의 두께가 10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는 단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constituting the pattern layer 120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layer 120 is 10 to 30 nm. Therefore,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 직경은 10 내지 3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금속 종류가 은이 사용될 경우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 직경은 10 내지 30 ㎚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sion nano particles 121 is preferably 10 to 300 nm, and the metal specie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When silver is use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121 may be 10 to 30 nm.

상기 패턴층(120) 내의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배열에 따라 패턴이 나타나게 되고, 상기 업커버전 나노입자(121)는 불규칙하게 배열되거나, 특정 패턴을 갖도록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A pattern may appea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upconversion nano particles 121 in the pattern layer 120. The up-cover pre-nano particles 121 may be irregularly arranged or regularly arranged to have a specific pattern.

도 4는 적외선을 인가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패턴을 따라 가시광선이 식별됨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턴층(120)에 'KIST'라는 모양의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층(120) 상부에 제2 금속층(130)을 형성시킨 후, 상기 투명필름(140)으로 밀폐시켜 적외선을 인가함에 따라 'KIST'라는 패턴이 육안으로 식별되는 것을 확인한 사진이다.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a visible ray is identified along a pattern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In FIG. 4, 'KIST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formed on the pattern layer 120 and the infrared ray is applied by sealing the first metal layer 130 with the transparent film 140 so that a pattern of 'KIST' It is a photograph confirmed that it is identified.

상기 패턴층(120)의 최종 패턴 형태는 사람 눈으로 식별이 어려우며, 적외선(IR 레이저)에 비추게 되면 비로서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적외선을 인가함으로써 무단 복사품인지 재사용한 것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The pattern of the final pattern of the pattern layer 120 is difficult to be distinguished by the human eye, and can be identified as a ratio when exposed to an infrared ray (IR laser). Therefore,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iscriminate whether an unauthorized copy or reuse is performed by applying infrared rays.

상기 투명필름(140)은 상기 제2 금속층과 상기 유체(150) 사이에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형성된다.The transparent film 140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luid 150. Specifically, the first metal layer 110 including the pattern layer 120 and the open surface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As shown in Fig.

즉,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은 상기 투명필름(140)에 의해 상기 유체(150)로부터 격리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ncluding the pattern layer 120 are isolated from the fluid 150 by the transparent film 140.

상기 투명필름(140)은 외력에 의해 쉽게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면서 높은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N/㎜의 접착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는데, 상기 투명필름(140)의 접착강도가 0.1 N/㎜ 미만일 경우, 상기 투명필름(140)의 분리는 용이하나, 상기 제2 금속층(130)과의 결합이 약해 상기 제2 금속층(130)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재사용을 하더라도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The transparent film 14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metal layer 110 including the pattern layer 120 by an external forc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lastic film for securing high transparency while being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However, i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ransparent film 140 is less than 0.1 N / mm, the separation of the transparent film 140 can be facilitated. However, since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weakly bonded to the second metal layer 130, separation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not properly performed.

또한, 상기 투명필름(140)의 접착강도가 5 N/㎜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합력이 과도하게 강해, 약한 외력으로는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사용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상기 투명필름(140)이 분리되지 못해, 재사용 식별에 있어 악용에 여지를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ransparent film 140 is more than 5 N / mm, the bonding force is excessively strong and the adhesive force is not easily separated by a weak external force. Therefore, even when the transparent film 140 is used, , And there arises a problem in exploiting the reuse to allow abuse.

상기 투명필름(140)은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페놀계,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액체 불투과성 및 접착성뿐만 아니라 유연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일부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계 필름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film 140 may be a polyester-based, an acrylic-based, a cellulose-based, a polyolefin-based, a polyurethane-based, a polycarbonate-based, a phenol-based or a polyvinyl chloride. Among them, some polyvinyl chloride and polyurethane based films are preferable in that they are excellent in not only liquid impermeability and adhesiveness but also flexibility.

다르게 상기 투명필름(140)은 쉽게 손상되는 유리나 세라믹과 같이 취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film 1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brittleness such as glass or ceramic, which is easily damaged.

상기 투명필름(140)에서 '투명'이란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Transparent" in the transparent film 140 means that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s 80% or more, preferably 90% or more.

상기 투명필름(140)과 이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유체(150)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가 용기 또는 박스와 같은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대상물 내에 구비 또는 부착되었을 경우에 이를 분리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특히, 대상물의 개폐구에 구비 및 부착되어 상기 대상물을 개봉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투명필름(140)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luid 15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transparent film 140 and on its lateral or outer side is used when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r attached in an object for anti-fake modulation and reuse such as a container or box The transparent film 14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bject is opened and us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bject, Lt; / RTI >

상기 유체(150)는, 상기 투명필름(140)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위치한다.The fluid 150 is positioned on a side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140.

상기 유체(150)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로부터 상기 투명필름(140)이 분리되면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 사이에 스며들어, 상기 제2 금속층(130)이 상기 제1 금속층(110)에 밀착된다하더라도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의 재사용이 방지된다.The fluid 150 may permeate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when the transparent film 140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rst metal layer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etal layer 110, the structure 100 prevents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from being exerted, thereby preventing reuse of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유체(150)는 광유, 글리세린, 절연유, 디메틸실리콘 오일, 메탈페닐 실리콘 오일, 용액 형태의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폴리메틸 하이드로겐 실록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투광성 오일이거나, 에폭시 수지, 에폭시 베이스, 레진,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투광성 유체 유기물일 수 있다.The fluid 150 may be at least one transparent oil selected from mineral oil, glycerin, insulating oil, dimethyl silicone oil, metal phenyl silicone oil, polydimethylsiloxane in solution form and polymethylhydrogen siloxane, epoxy resin, epoxy base, , Polyurethane, and the like.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적외선을 받을 경우, 상기 패턴층(120)을 구성하는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에 의해 적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가시광선이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에 의해 증폭되어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할 정도의 발광 세기를 갖게 된다.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converts infrared rays to visible rays by the upconverting nanoparticles 121 constituting the pattern layer 120 when receiving the infrared rays, Is amplified by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and has luminous intensity enough to be visually distinguishabl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상기 구조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적외선이 인가되었을 때, 변환되어 방출되는 가시광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을 정도로 약해지거나, 방출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ny of the above structures,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the visible light that is converted and emitted is weakened or not emitt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visible light is not visually observed.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적외선을 사용하여 육안으로 감지될 수 있는데, 적외선 파장을 발산하는 램프 또는 레이저 포인트와 같이 상대적으로 간단한 장치의 도움만으로 육안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isually detected using infrared light, which can be visually detected only with the help of a relatively simple device such as a lamp or laser point emitting infrared wavelength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될 가능성이나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될 경우, 가시광의 발광 세기를 통한 더 정교한 식별을 위해서 가시광의 발광 세기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정교한 검출장치가 필요하다.Further, when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judged to be highly likely to be falsified and reused, there is a need for a sophisticated detection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intensity of visible light for more precise identification through the intensity of visible light Do.

이러한 가시광 발광 세기의 검출은 필요한 경우 대상물의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여부를 더 면밀히 확인할 수 있게 한다.This detection of visible light emission intensity allows for more precise identification of whether the object is forgery-modulated and reu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상기 패턴층(120)을 구성하는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종류, 크기 및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금속 나노입자 또는 금속 나노와이어의 종류 등의 조건들을 제어 즉 최적화함으로써, 적외선에 의한 발광 세기 및 발광 파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발광세기 및 발광파장의 정밀하게 검출하여 위조 또는 변조를 면밀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위조와 변조가 어렵다.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type and size of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121 constituting the pattern layer 120 and the type and size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metal nanoparticles Or the kind of the metal nanowire, it is possible to set the emission intensity and the emission wavelength by the infrared ray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cisely detect the emission intensity and the emission wavelength to closely check forgery or modulation , It is difficult to counterfeit and tamper with.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이러한 새로운 구조로 인하여 780-2000 ㎚ 파장의 적외선 하에서 520-560 ㎚ 및 640-680 ㎚의 가시광을 발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520-560 ㎚와 640-680 ㎚ 파장영역에서 25000 내지 100000 a.u의 발광 세기를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40-680 ㎚ 파장영역에서 50000 내지 100000 a.u의 발광 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ue to this new structure,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irably emits visible light of 520-560 nm and 640-680 nm under infrared rays of 780-2000 nm wavelength. Specifically, it has an emission intensity of 25000 to 100000 a.u in the wavelength region of 520-560 nm and 640-680 nm, and more preferably 50000 to 100000 a.u in the wavelength region of 640-680 nm.

또한, 상기 제1 금속층(1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100)를 고정하고자 하는 용기 또는 박스와 같은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대상물에 대한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층 또는 기판(substrate)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etal layer 110 may be used to improve adhesion to objects to prevent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such as containers or boxes for fixing the structure 100 for prevention of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layer or a substrate.

상기 접착층 또는 기판은 상기 제1 금속층(110)의 하부와 상기 대상물 표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미도시), 상기 접착층 또는 기판의 종류는 상기 대상물의 재질 또는 표면 상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or the substrat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urface of the object (not shown), and the type of the adhesive layer or the substrat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r surface state of the objec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외부로 상기 유체(150)가 누수 및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명필름과 동일한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aled using a film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ransparent film in order to prevent the fluid 150 from leaking out and l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상기 제1 금속층(110), 상기 패턴층(120) 및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개방된 면을 상기 투명필름(140)으로 감싸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의한 상기 제1 금속층(110), 상기 패턴층(120) 및 상기 제2 금속층(130)의 오염 및 산화를 방지하므로, 본 발명의 구조체로부터 상기 투명필름(140)이 분리 또는 제거하지 않는 한, 오랜시간이 지난 후에도,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ing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the pattern layer 12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are surrounded by the transparent film 140 The patterned layer 12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ar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and oxidiz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so that the transparent film 140 is separated or removed from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has the advantage of detecting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는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랜기간동안 제품의 위조 또는 변조품인지 여부와 재사용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since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product is forged or modifi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whether it is reused or no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로부터 투명필름이 분리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외력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100)로부터 상기 투명필름(140)이 분리될 경우, 적외선이 인가되더라도 방출되는 가시광의 발광 세기가 현저히 낮아져,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from a structure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structure 100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parent film 140 is separated from the transparent film 140, the emission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even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is remarkably low, and is not observed with the naked ey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100)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투명필름(140)이 분리되면 상기 투명필름(140)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제2 금속층(130)도 분리되고, 상기 투명필름(140) 및 제2 금속층(130)이 분리되면, 상기 구조체(100)에 적외선이 인가됨에 따라 나타나는 가시광의 발광 세기 정도가 상기 투명필름(140) 및 제2 금속층(130)이 분리되기 전과 비교하여 달라지게되므로,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의 위조 및 변조 유무와 재사용 여부의 진위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transparent film 140 is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in the structure 100 for preventing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also separat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transparent film 140 The transparent film 14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as the infrared ray is applied to the structure 100 is less than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from the transparent film 14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So that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authenticity of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the structure 100 is falsified, altered or reused.

상기 가시광의 발광 세기 정도가 상기 투명필름(140) 및 제2 금속층(130)이 분리되기 전과 달라지게 되는 이유는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 간의 이격거리 즉 갭이 커지게되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is different from that before the transparent film 14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are separated is that the gap or gap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large Because it does not have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특히, 상기 제2 금속층(130)이 상기 투명필름(140)에 의해 구조체(1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 금속층(130)과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 사이에 상기 유체(150)가 스며들어, 상기 제2 금속층(130)과 상기 투명필름(140)을 다시 상기 제1 금속층(110)에 밀착시킨다하더라도, 회복되지 못하므로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100 by the transparent film 140, the first metal layer 110 including the second metal layer 130 and the pattern layer 120 Even if the second metal layer 130 and the transparent film 14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etal layer 110, the fluid 150 can not be recovered and thus reuse can be preven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공정 모식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process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structure for preventing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Ⅰ) 제1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I) depositing a first metal layer;

Ⅱ)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리소그래프 공법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업컨버전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구비하는 단계;II) providing a patterned layer of a plurality of upconversion nanoparticles on the first metal layer using a lithography technique;

Ⅲ) 상기 패턴층 상에 제2 금속층을 구비하는 단계; 및 III) providing a second metal layer on the pattern layer; And

Ⅳ)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투명필름을 부착하는 단계;Attaching a transparent film to seal the open surfaces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including the pattern layer;

우선, 상기 제1 금속층(110)은 열증착을 이용하여 증착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데(단계 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금속층(1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100)가 대상물의 몸체나 개폐구의 표면에 직접 증착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metal layer 110 is deposited by thermal evaporation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tep I). Specifically, the first metal layer 110 is formed by using a metal film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100 can be directly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of the objec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와 상기 대상물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층 또는 기판 상에 상기 제1 금속층(110)을 증착할 수 있다.The first metal layer 110 may be deposited on the adhesive layer or the substrat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structure 100 and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금속층(110)은 2차원 금속 박막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1 금속층(110)은 금속 자체의 흡수 손실이 작은 금(Au), 은(Ag) 및 구리(Cu)와 같은 귀금속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The first metal layer 110 may be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metal thin film and the first metal layer 110 may be a noble metal material such as gold (Au), silver (Ag), and copper (Cu) , Or an alloy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as a main componen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금속층(110)의 두께는 충분한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얻으면서도, 가시광의 투과를 막을 수 있는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 바람직하게 100 ㎚ 내지 2 ㎜일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층(110)의 두께가 2 ㎜를 초과하게 될 경우 대상물에 본 발명의 구조체(100)를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is 100 nm or more, which can prevent the transmission of visible light, while obtaining a sufficient gap plasmon polarity effect, and most preferably 100 nm to 2 mm Lt; / RTI >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exceeds 2 mm, it may be difficult to attach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object.

이후, 상기 제1 금속층(110) 상에 복수개의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로 이루어진 패턴층(120)을 구비한다(단계 Ⅱ).Thereafter, a pattern layer 120 composed of a plurality of up-conversion nano particles 121 is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110 (step II).

이때,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는 입사되는 적외선 광을 가시광으로 광변환할 수 있는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이터븀(Yb), 어븀(Er), 툴륨(Tm)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도핑된 할라이드, 칼코게나이드 및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일 수 있다.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are not limited to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capable of photo-converting the incident infrared light into visible light. Preferably,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include ytterbium (Yb), erbium (Er) , Thulium (Tm), or a mixture thereof, which are doped with halide, chalcogenide, and metal oxide.

상기 패턴층(120)에 원하는 패턴으로 패터닝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금속층(110) 상에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패턴화된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로 이루어진 패턴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The patterned layer 120 of the patterned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may be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110 using a lithography process so as to pattern the patterned layer 120 in a desired pattern .

이때 형성된 상기 패턴층(120)의 패턴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100)에 적외선을 인가할 경우 가시광을 발하는 패턴의 형상을 결정짓기 때문에, 다양한 리소그래프 공정으로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를 이용하여 상기 패턴층(120)의 형상을 조절하여 원하는 패턴으로 패턴화할 수 있다.Since the pattern of the pattern layer 120 formed at this time determines the shape of the pattern that emits visible light when the infrared light is applied to the structur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converted nano- The shape of the pattern layer 120 may be adjusted by using the pattern layer 120 to be patterned into a desired pattern.

상기 리소그래프 공정으로는 통상적인 리소그래피 공정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노임프린트, 소프트 리소그래피, 블록공중합체 리소그래피, 광 리소그래피 및 캐필러리 리소그래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lithography process may use conventional lithography processes, and preferably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anoimprint, soft lithography, block copolymer lithography, optical lithography, and capillary lithography may be used have.

이와 다르게 상기 패턴층(120)이 비규칙적 배열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와 유기용제로 이루어지는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상기 제1 금속층(110) 상에 스핀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pattern layer 120 is formed in an irregular arrangement, a mixed solution of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and an organic solvent is prepared and then spin-coated o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spray coating.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직경은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이격거리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고,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지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이격거리는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금속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일 수 있고, 상기 하한치와 상한치를 벗어나게 되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121 is closely related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The gap distance required for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preferably from 10 to 300 nm, and if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are exceeded,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There can be no problems.

일예로,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금속이 은일 경우에는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직경은 10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 직경이 10 ㎚ 미만이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30 ㎚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 간에 형성된 이격거리가 커지게 되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질 수 없게 되어 적외선을 조사하여도 가시광 빛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For example, when the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metal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are silver, 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121 is preferably 10 to 30 nm. I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less than 10 nm,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may not be obtained. The gap distance becomes large and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can not be obtained, so that even if infrared rays are irradiated, the visible light can not be visually observed.

다시 말해,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 직경이 10 ㎚ 미만이거나 30 ㎚를 초과할 경우, 780-2000 ㎚ 파장의 적외선에 대해서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일으키기에 유효한 이격거리를 벗어나게되므로,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질 수 없게 되어 적외선을 조사하여도 가시광 빛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is less than 10 nm or more than 30 nm, the effective distance for generating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with respect to infrared rays having a wavelength of 780 to 2000 nm is deviated, It is impossible to have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so that even if infrared rays are irradiated, visible light can not be visually observed.

또한, 상기 패턴층(120)의 두께는 코팅된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평균 직경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 내자 300 ㎚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attern layer 120 may be controlled by the average diameter of the coated up-converted nanoparticles 121, and may preferably be 10 nm to 300 nm.

다음, 상기 패턴층(120) 상에 제2 금속층(130)을 구비한다(단계 Ⅲ).Next, a second metal layer 130 is formed on the pattern layer 120 (step III).

상기 패턴층(120) 상에 금속 나노입자 또는 금속 나노와이어와 유기용제로 이루어지는 혼합용액으로 코팅하여 상기 제2 금속층(130)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금속층(130)의 형성위해 구조물의 형태를 해치지 않는 통상의 코팅 방법이라면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예로, 스핀코팅, 스프레이코팅, 딥핑(dipping)코팅 및 드롭(drop)코팅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전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위하여 스핀코팅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2 금속층(130)으로 금속 나노와이어를 사용함에 있어 어느 한 방향으로 밀집되지 않고 넓게 분포 및 균질하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핀코팅을 1000 내지 10,000 rpm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 rpm에서 20 내지 50 초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pattern layer 120 by coating the first metal layer 130 with a mixed solution of metal nanoparticles or metal nanowires and an organic solvent. The coating method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a spin coa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 dipping coating method and a drop coating method, for example, Spin coating is most preferr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ing the metal nanowire as the second metal layer 130,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pin coating at 1000 to 10,000 rpm in order to distribute and uniformly disperse the metal nanowires without being densely packed in any one direction. Most preferably 1000 to 10,000 rpm for 20 to 50 seconds.

상기 제2 금속층(130)의 두께는 본 발명의 구조체(100) 전체 적외선 투과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제2 금속층(130)의 두께가 두꺼워져 상기 패턴층(120)의 표면을 완전히 덮게되면 발광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한 바 있다. 허나, 상기 제2 금속층(130)은 재사용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체(100)의 투명필름(140)으로 인해 분리되어야 하므로, 너무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면 제대로 제거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절한 두께가 설정되어야 할 것인 바,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금속층(130)의 두께는 10 ㎚ 내지 2㎛ 일 수 있는데, 상기 제2 금속층(130)의 두께가 10 ㎚ 미만일 경우 충분한 갭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발생하지 못해, 적외선을 인가하더라도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로 가시광이 발광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하고, 2 ㎛를 초과할 경우 대상물에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가 구비 또는 부착될 시 외관을 해치거나, 사용함에 있어 이질감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2 금속층(130) 두께가 2 ㎛를 초과한 경우, 본 발명의 구조체로부터 투명필름을 분리할 때, 상기 제2 금속층(130)이 상기 구조체로부터 제거되지 못하고, 남아 재사용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does not affect the overall infrared transmittance of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ather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ncreases to completely cover the surface of the pattern layer 120 It has been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luminescence intensity increases. However, since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separated due to the transparent film 140 of the structure 100 so as to confirm the authenticity of reuse,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becomes too thick, Preferably,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have a thickness of 10 nm to 2 占 퐉.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less than 10 nm, a sufficient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is not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visible light does not emit light to the naked eye even if infrared rays are applied, and whe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r attached to the object when the thickness exceeds 2 탆, The problem occurs.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more than 2 占 퐉, when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tal layer 130 can not be removed from the structure, It may become difficult to discriminate between them.

상기 스핀코팅 단계를 사용할 경우, 상기 유기용제가 휘발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별도의 건조단계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When the spin coating step is used, the organic solvent is volatilized and removed, so that there is no need to add a separate drying step.

상기 제2 금속층(130)의 제조단계는 강한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회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회 내지 50회로 반복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금속층(130)의 제조단계가 50회 이상 수행될 경우, 상게 제2 금속층(130)의 두께가 2 ㎛를 초과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a strong gap plasmon polaritonic effect can be exhibited. The first metal layer 130 may be repeated at least once, and most preferably at least once to 50 times. When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manufactured more than 50 time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exceed 2 탆.

상기 제2 금속층(130)은 상기 제1 금속층(110)과 평면부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금속층(130)은 평면형 구조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고리형, 방사형 등 다양한 형상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metal layer 110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etal layer 110.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have a circular shape, An annular shape, a radial shape, and the like.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금속 나노입자의 경우 평균 직경은 10 내지 500 ㎚이고, 금속 나노와이어의 경우 평균 직경은 30 내지 500 ㎚이며, 평균길이는 0.1 내지 20 ㎛이다. 다만 금속 나노와이어의 경우 평균길이가 0.1 ㎛미만인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체(100)로부터 분리 또는 제거되는 투명필름(140)을 따라 상기 제2 금속층(130)이 분리 또는 제거될 때, 제거되지 못하고, 상기 구조체(100)에 남게되어, 재사용 진위 여부를 판별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2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 외에 발생하는 다른 효과로 인한 간섭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The average diameter of the metal nanoparticles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10 to 500 nm, the average diameter of the metal nanowires is 30 to 500 nm, and the average length of the metal nanowires is 0.1 to 20 m. However, when the average length of the metal nanowires is less than 0.1 μm,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separated or removed along the transparent film 140 separated or removed from the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not removed and remains in the structure 100,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it is reused. If it exceeds 20 μm, interference effects due to other effects other than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occur .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금속은 금속 자체의 흡수 손실이 작은 금(Au), 은(Ag) 및 구리(Cu)와 같은 귀금속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다.The metal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 (Au), silver (Ag), and copper (Cu) having a small absorption loss of the metal itself or an alloy Lt; / RTI >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금속은 서로 동일한 종류의 금속 또는 서로 상이한 종류의 금속이 될 수 있다.The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metal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may be the same kind of metals or different kinds of metals.

상기 제1 금속층(110)과 상기 제2 금속층(130)의 금속은 은(A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metal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most preferably silver (Ag).

상기 제1 금속층(110) 및 제2 금속층(130)에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지도록 요구되는 이격거리 즉 패턴층의 업컨버전 나노입자(121)의 직경이 변화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kind of the metal used for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the spacing required to have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that is, the diameter of the upconversion nano- .

최종적으로.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투명필름(140)을 부착한다(단계 Ⅳ).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필름(140)은 이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유체(150)로부터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을 격리하기 위한 것으로, 효과적으로 격리될 수 있도록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과 제2 금속층(130)의 개방된 면을 상기 투명필름(140)으로 밀봉한다.Finally. The transparent film 140 is attached to close the open surface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ncluding the pattern layer 120 (step IV).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film 140 is for separating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ncluding the pattern layer 120 from the fluid 150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140 The openings of the first metal layer 11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30 including the pattern layer 120 are sealed with the transparent film 140 so as to be effectively isolated.

상기 투명필름(140)은 외력에 의해 쉽게 상기 패턴층(120)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면서 높은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N/㎜의 접착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는데, 상기 투명필름(140)의 접착강도가 0.1 N/㎜ 미만일 경우, 상기 투명필름(140)의 분리는 용이하나, 상기 제2 금속층(130)과의 결합이 약해 상기 제2 금속층(130)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재사용을 하더라도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The transparent film 14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metal layer 110 including the pattern layer 120 by an external forc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lastic film for securing high transparency while being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However, i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ransparent film 140 is less than 0.1 N / mm, the separation of the transparent film 140 can be facilitated. However, since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weakly bonded to the second metal layer 130, separation of the second metal layer 130 is not properly performed.

또한, 상기 투명필름(140)의 접착강도가 5 N/㎜를 초과할 경우에는 결합력이 과도하게 강해, 약한 외력으로는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사용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상기 투명필름(140)이 분리되지 못해, 재사용 식별에 있어 악용에 여지를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ransparent film 140 is more than 5 N / mm, the bonding force is excessively strong and the adhesive force is not easily separated by a weak external force. Therefore, even when the transparent film 140 is used, , And there arises a problem in exploiting the reuse to allow abuse.

상기 투명필름(140)은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카르보네이트계, 페놀계,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액체 불투과성 및 접착성뿐만 아니라 유연성도 우수하다는 점에서 일부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우레탄계 필름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transparent film 140 may be a polyester-based, an acrylic-based, a cellulose-based, a polyolefin-based, a polyurethane-based, a polycarbonate-based, a phenol-based or a polyvinyl chloride. Among them, some polyvinyl chloride and polyurethane based films are preferable in that they are excellent in not only liquid impermeability and adhesiveness but also flexibility.

다르게 상기 투명필름(140)은 쉽게 손상되는 유리나 세라믹과 같이 취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film 1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brittleness such as glass or ceramic, which is easily damaged.

상기 투명필름(140)에서 '투명'이란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Transparent" in the transparent film 140 means that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s 80% or more, preferably 90% or more.

상기 투명필름(140)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유체를 위치시키는 단계(단계 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positioning the fluid on the side or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140 (Step V).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는 이를 포함하는 위조 변조 또는 재사용 방지를 위한 박스 또는 용기에 응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체가 상기 박스 또는 용기의 표면이나 개폐구 부분에 포함 또는 부착 또는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structure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box or a container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or reuse including the structu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may be included in the surface of the box or container, Attached or mounted.

다만, 상기 박스 또는 용기에 부착된 구조체로부터 연장된 투명필름의 일부가 이용자에 의해 쥐여질 수 있고, 자극을 인가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돌출부로서 제공되어야 한다.
However,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film extending from the structure attached to the box or container may be gripped by the user and provided as a protrusio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o apply a stimulu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fake modulation and reuse authenticity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a) 외부의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적외선을 상기 구조체에 인가하는 단계; 및 a) applying infrared rays to the structure in a state of blocking external light; And

b) 상기 적외선이 인가된 구조체에 나타나거나 사라진 패턴을 확인하여 상기 구조체의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b) confirming whether the structure is forgery-modulated and reused by confirming a pattern that appears or disappears in the infrared-irradiated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은 외부의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구조체에 적외선을 인가하고, 상기 적외선이 인가된 구조체에 나타나거나 사라진 패턴을 사용자의 눈 또는 가시광 검출 장치로 측정함으로써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여부를 식별한다.A method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a user is authentic of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pplying infrared rays to the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external light is shielded and detecting a pattern disappearing or disappearing from the infrared ray- By measuring with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authenticity of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여부 판별 방법은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데, 즉,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여부를 보다 면밀히 정밀하게 판별하기 위해서는 가시광 검출 장치를 사용하여 가시광 발광세기 및 나타나는 스펙트럼의 형태를 비교하여 분석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In order to more precisely discriminate whether or not the falsified modulation and reuse are true or false, it is necessary to use the visible light detection device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visible light and the spectrum Can be analyzed and used.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the like, but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or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is natural that it belongs to the claims.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presented below only show representativ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embodiment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respective effect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below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part.

실시예Example .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Structure for preventing forgery modulation and reuse.

1) 제1 1) First 금속층Metal layer 제작 making

열증착 방법으로 실리콘 기판 상에 Ti를 20 ㎚ 증착한 후, 다시 열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은으로 100 ㎚ 두께의 제1 금속층을 증착하였다.Ti was deposited to 20 nm on the silicon substrate by the thermal deposition method, and then a 100 nm thick first metal layer was deposited by using the thermal deposition method.

2) 2) 패턴층Pattern layer 제작 making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포토레지스트(PR;SU-8)을 스핀코팅을 통해 도포한 후, 소프트베이킹하였다. 이후, 원하는 문양의 마스크를 상기 소프트베이킹된 포토레지스트 상에 올려놓고 UV로 노광한 다음,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하 현상액(AZ300MIF,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로 세척하여 원하는 패턴을 갖도록 포토레지스트층을 제조하였다.A photoresist (PR-SU-8) was applied on the first metal layer by spin coating, followed by soft baking. Thereafter, a desired pattern mask is placed on the soft-baked photoresist, exposed by UV, and then washed with a developer (AZ300MIF,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to remove the exposed portion. Then, .

다음, 상기 패턴화된 포토레지스트층 상에 25 ㎚ 평균 직경을 가지는 업컨버전 나노입자(NaYF4)를 도포하고, 3000 rpm에서 30 초간 스핀코팅하여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업컨버전 나노입자 단층으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제작하였다.Next, up-converted nano-particles (NaYF 4 )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25 nm was coated on the patterned photoresist layer and spin-coated at 3000 rpm for 30 seconds to form a pattern layer Respectively.

이때, 업컨버전 나노입자의 도포과정에서 사용되는 용매인 클로로포름은 스핀코팅과정 중 모두 휘발되어 버리므로 별도의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았다.At this time, chloroform, which is a solvent us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upconversion nanoparticles, was not volatilized during the spin coating process, so that no drying process was performed.

최종적으로 상기 제1 금속층 상에서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아세톤이 담긴 비커에 담근 후, 초음파 세척기로 초음파 세척을 20 분간 실시한 다음, 세척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에탄올과 초순수로 반복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건조하여 패턴층을 제작하였다.Finally, the photoresist layer was immersed in the beaker containing acetone to remove the photoresist layer on the first metal layer, followed by ultrasonic cleaning with an ultrasonic washing machine for 20 minutes, and then repeatedly washed with ethanol and ultrapure water to remove washing residues. Finally, it was dried under a nitrogen (N 2 ) atmosphere to prepare a pattern layer.

3) 제2 3) The second 금속층Metal layer 제작 making

제1 금속층과의 작용을 통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패턴층 상에 은 나노와이어로 제2 금속층을 구비하였다.In order to have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through the action with the first metal layer, a second metal layer is provided with silver nanowires on the pattern layer.

우선 이소프로필 알콜에 분산되어 있는 은 나노와이어(평균직경 60±10 ㎚, 평균길이 10±5 ㎛)를 상기 패턴층에 도포한 후 3000 rpm에서 30 초간 스핀코팅하여 일정한 두께로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였다.Silver nanowires dispersed in isopropyl alcohol (average diameter: 60 ± 10 nm, average length: 10 ± 5 μm) were applied to the pattern layer and then spin-coated at 3000 rpm for 30 seconds to uniformly form a uniform thickness.

이때 사용된 용매인 이소프로필 알콜 역시 스핀코팅과정 중 모두 휘발되기 때문에 별도의 건조과정이 요구되지 않았다.Isopropyl alcohol, which is a solvent used at this time, was also volatilized during the spin coating process, so that no separate drying process was required.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금속층 도포 과정을 5 번 반복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5 층의 제2 금속층이 제작되었다.However, since the second metal layer application process was repeated five times in this embodiment, a five-layer second metal layer was fabricated.

4) 투명필름 제작4) Transparent film production

강한 접착력 및 액체 불투과성을 가지는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투명필름을 부착하였다.A transparent film was attached to seal the open faces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including the pattern layer using an acrylic film having strong adhesive force and liquid impermeability.

5) 유체(오염물질) 제공5) Providing fluid (pollutant)

상기 투명필름 상에 투명한 투광성 오일로 액체상태의 실리콘 엘라스토머 베이스를 부어주었다.
A liquid silicone elastomer base was poured onto the transparent film with a transparent translucent oil.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UCUC // AgAg film) film)

실시예에서 3) 제2 금속층을 제작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게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The structur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Example except that 3) the step of fabricating the second metal layer was not perform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AgNWAgNW // UCUC /glass)/ glass)

제1 금속층을 은으로 제작하는 대신 유리기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게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A structur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except that a glass substrate was used instead of silver as the first metal layer.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 UCUC /glass; / glass; UCUC mono-layer) mono-layer)

제2 금속층을 제작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모두 동일하게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The structur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2 except that the step of fabricating the second metal layer was not performed.

도 4는 적외선을 인가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패턴을 따라 가시광선이 식별됨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a visible ray is identified along a pattern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에 적외선을 인가한경우,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의 광학적 특성 즉, 가시광선이 확인되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infrared ray was applied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tical properties, that is, visible light, which could be visually confirmed, were confirmed.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단순히 적외선을 인가함으로써 나타나거나 사라진 패턴의 확인을 통해 위조인지 변조인지 또는 재사용한 것인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iscriminate whether the structure is fake or modulated or reused by visually recognizing a missing pattern or simply by applying infrared rays to the naked ey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실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5 is a photograph showing an actual state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제조된 구조체는 제1 금속층을 제외한 구성들이 투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shown in FIG. 5,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s prepared from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transparency except for the first metal layer.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표면을 촬영한 SEM 이미지이다.6 is an SEM image of a surface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금속층을 구성하는 은 나노와이어가 패턴층의 업컨버전 나노입자 상에 비규칙적인 배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6, it was confirmed that the silver nanowires constituting the second metal layer were arranged in an irregular arrangement on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of the pattern layer.

다만, 상기 제2 금속층을 구성하는 은 나노와이어는 어느 한쪽으로 밀집되거나, 응집되지 않고, 상기 패턴층 상에 고르게 분포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silver nanowires constituting the second metal layer are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pattern layer without being concentrated or aggregated on either sid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의 단면을 촬영한 TEM 이미지이다.7 is a TEM image of a section of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체는 제1 금속층(Ag film) 상에 업컨버전 나노입자(UC)로 이루어진 패턴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패턴층 상에 은 나노와이어(AgNW)로 이루어진 제2 금속층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7,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tern layer made of upconverted nanoparticles (UC) on a first metal layer (Ag film), and a patterned layer made of silver nanowires (AgNW) It was confirmed that a second metal layer was formed.

또한, 상기 제1 금속층(Ag film) 하면에는 Ti 기판이 더 구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It can also be seen that a Ti substrate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irst metal layer (Ag film).

또한, 상기 제1 금속층(Ag film)과 상기 제2 금속층(AgNW) 사이에는 평균 직경이 25 ㎚인 업컨버전 나노입자(UC) 단층으로 이루어진 패턴층이 구비되어 있어, 제1 금속층(Ag film)과 제2 금속층(AgNW) 간에 갭(Gap)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강한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first metal layer (Ag film)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Ag film) and the second metal layer (AgNW). The first metal layer (Ag film) has a pattern layer composed of a single layer of upconversion nanoparticles (UC) And the second metal layer (AgNW), it can be seen that a strong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can be generated.

이때,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의 직경이 평균 25 ㎚로 균일하였으며, 이로 인해 형성된 패턴층 역시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was uniform to 25 nm on averag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med pattern layer was uniformly formed.

즉,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상기 원리로 인하여 적외선이 인가될 때, 가시광선 중 선택되는 특정 영역 파장의 빛이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의 세기로 발광됨을 알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emits light with an intensity that allows visible light of a specific region selected from visible light to be visually confirmed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due to the above principl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 각각에 적외선을 인가하였을 때, 발광 세기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FIG. 8 is a graph illustrating a result of measurement of luminescence intensity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to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는 520-560 ㎚와 640-680 ㎚ 파장영역에서 비교예 3의 구조체보다 18 배 이상 높은 발광 세기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mission intensity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tructure of Comparative Example 3 in the 520-560 nm and 640-680 nm wavelength regions.

아울러, 비교예 1의 구조체는 퀀칭 효과(quenching ettect)에 의해서 오히려 발광 세기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ight emitting intensity of the structure of Comparative Example 1 is rather reduced by the quench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구조체는 제2 금속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표면 플라즈몬 효과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1의 구조체와 유사한 발광세기를 갖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ilar luminescence intensity to that of the structure of Comparative Example 1, despite having a surface plasmon effect due to the presence of the second metal layer.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에서 적외선을 인가하였을 때,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가시광이 발광하는 것은,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에 의해 발생하는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frared ray is applied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sible light is visible to the naked eye because of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generated by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투명필름 분리에 대응하여 제2 금속층만 분리되어도, 발광하는 가시광의 세기가 현저히 낮아져 육안으로 상기 구조체의 패턴이 식별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가 위조 변조 및 재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nly the second metal layer is sepa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ransparent film separation,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is remarkably low, so that the pattern of the structure can not be visually recognized. You can see if the structure has been falsified and reused.

다만,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본 실험을 통해, 상기 투명필름을 분리과정에서 업컨버전 나노입자 즉, 패턴층의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제2 금속층과 동시에 분리되어 상기 제2 금속층과 패턴층이 인접하여 존재하더라도, 이로부터 발광하는 가시광의 세기는 현저히 낮기 때문에,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여부를 확인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However,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that is, a part or all of the pattern layer is sepa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second metal layer in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transparent film, so that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pattern layer are adjacent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therefrom is remarkably low.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forgery modulation and the reuse is not greatly influenc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에서 투명필름을 분리하기 전(a)과 후(b), 각각에 대해 적외선을 인가하였을 때, 상기 구조체에 따라 나타나거나 사라진 패턴을 촬영한 사진이다.9 is a photograph showing a pattern that appears or disappears according to the structure when infrared rays are applied to (a) and (b) before separating the transparent film from the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조체로부터 투명필름을 분리하고 난 후의 경우, 분리된 투명필름을 구조체 상에 재위치시킨 뒤 물리적 압력을 가해 다시 밀착시킨 다음, 가시광선 발광 정도를 촬영하였다.At this time, after separating the transparent film from the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ed transparent film was repositioned on the structure, and after physical pressure was applied again, the visible light ray emission was photographed .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명필름을 분리하기 전(a)에는 육안으로 발광하는 가시광선 즉, 패턴이 관찰되었으나, 투명필름 분리하고난 후(b)에는 육안으로 발광하는 가시광선 즉 패턴이 관찰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As shown in FIG. 9, before the transparent film was separated, a visible light or a pattern that was emitted by the naked eye was observed. However, after the transparent film was separated (b), visible light or a pattern .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투명필름이 분리될 때, 제2 금속층이 같이 분리되게 되는데, 이때, 패턴층을 구성하는 업컨버전 나노입자는 제1 금속층과의 접착력이 더 좋기 때문에 제2 금속층에 의해 쉽게 탈착되지 않는다. 이는 SEM 촬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the second metal layer is separated. At this time, since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constituting the pattern layer have better adhesion to the first metal layer, It is not detached. This can be confirmed by SEM photographing.

만일 패턴층을 구성하는 업컨버전 나노입자가 제2 금속층에 의해 제1 금속층과 분리된다 하더라도 제2 금속층과 제1 금속층과의 이격거리가 유체에 의해 오염되어 달라져버렸기 때문에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다시 제2 금속층을 제1 금속층에 결합시켜도 육안으로 확인될 정도로 발광 세기를 회복할 수 없음을 본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Even if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constituting the pattern layer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metal layer by the second metal layer, the gap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is contaminated by the fluid and thus the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is experiment that the luminescence intensity can not be recovered to such an extent that even if the second metal layer is bonded to the first metal layer, it can be confirmed visually.

즉, 상기 투명필름을 분리하고 난 후에는 투과성 오일과 같이 액체상태의 오염원이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 사이에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다시 투명필름을 부착하여도 육안으로 관찰될 정도로 가시광선이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위조 변조 또는 재사용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a pollution source in a liquid state such as a permeable oil flows between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Therefore, even if a transparent film is attached, visible light is not recovered , It is easy to check whether forgery modulation or reuse.

100 : 구조체 110 : 제1 금속층
120 : 패턴층 121 : 업컨버전 나노입자
130 : 제2 금속층 140 : 투명필름
150 : 유체
100: Structure 110: First metal layer
120: pattern layer 121: up-converted nanoparticle
130: second metal layer 140: transparent film
150: Fluid

Claims (17)

위조 변조 방지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에 있어서,
제1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구비된, 복수 개의 업컨버전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패턴층;
상기 패턴층 상에 구비된 제2 금속층;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부착된,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액체 불투과성 및 접착성의 투명필름; 및
상기 투명필름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위치한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위조 변조 방지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는 상기 투명필름에 의해 상기 유체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In a structure for preventing forgery modulation and for preventing reuse,
A first metal layer;
A pattern layer formed on the first metal layer, the pattern lay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pconversion nanoparticles;
A second metal layer provided on the pattern layer;
A liquid impermeable and adhesive transparent film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attached to seal the open surfaces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including the pattern layer; And
And a fluid located on a side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Wherein the structure for prevention of forgery modulation and prevention of reuse is isolated from the fluid by the transparent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는 상기 제2 금속층과 제1 금속층 사이의 이격거리에 의해 갭 플라즈몬 폴라리톤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has a gap plasmon polariton effect by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컨버전 나노입자의 평균 직경은 10 내지 3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up-converted nano-particles is 10 to 300 n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금속 나노입자 또는 금속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tal layer comprises metal nanoparticles or metal nanowi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광유, 글리세린, 절연유, 디메틸실리콘 오일, 메탈페닐 실리콘 오일 및 폴리메틸 하이드로겐 실록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투광성 오일이거나, 에폭시 수지, 에폭시 베이스, 레진,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투광성 유체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id is at least one translucent oi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neral oil, glycerin, insulating oil, dimethyl silicone oil, metal phenyl silicone oil and polymethylhydrogen siloxane, or at least one translucent oil selected from epoxy resin, epoxy base, Wherein the structure is a fluid organic matter.
제1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상기 투명필름이 분리되면 상기 투명필름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제2 금속층도 분리되고,
상기 투명필름 및 제2 금속층이 분리되면, 상기 구조체에 적외선이 인가됨에 따라 나타나는 가시광의 발광 세기 정도가 상기 투명필름 및 제2 금속층이 분리되기 전과 비교하여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ransparent film is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the second metal layer is also separated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transparent film,
Wherein the transparent film and the second metal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visible light emitted when the infrared ray is applied to the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at before the transparent film and the second metal lay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tructures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이 상기 투명필름에 의해 구조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 금속층과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 사이에 상기 유체가 스며들어 재사용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econd metal layer is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by the transparent film, the fluid permeates between the second metal layer and the first metal layer including the pattern layer, thereby preventing reuse. Structures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적외선 레이저를 인가에 의해 발광하는 가시광을 사용자의 눈으로 관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ucture is capable of observing visible light emitted by application of an infrared laser with the user's eyes.
Ⅰ) 제1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
Ⅱ)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복수개의 업컨버전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패턴층을 구비하는 단계;
Ⅲ) 상기 패턴층 상에 제2 금속층을 구비하는 단계;
Ⅳ) 상기 패턴층을 포함하는 제1 금속층과 제2 금속층의 개방된 면을 밀폐시키도록 투명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Ⅴ) 상기 투명필름의 측면 또는 외측면에 유체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I) depositing a first metal layer;
II) providing a patterned layer of a plurality of upconversion nanoparticles on the first metal layer;
III) providing a second metal layer on the pattern layer;
Attaching a transparent film to seal the open surfaces of the first metal layer and the second metal layer including the pattern layer; And
(V) positioning the fluid on the side or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film. ≪ RTI ID = 0.0 > 11. < / RTI >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는 스핀코팅, 스프레이코팅, 딥핑(dipping)코팅 및 드롭(drop)코팅 방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방지를 위한 구조체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III) is carried out by any one of spin coating, spray coating, dipping coating and drop coating.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조체를 포함하는 위조 변조 또는 재사용 방지를 위한 용기로,
상기 구조체가 상기 용기의 표면이나 개폐구 부분에 포함 또는 부착 또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을 위한 용기.
9. A container for preventing tampering or re-use compris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structure is included, attached or mounted on a surface or an opening / closing portion of the contain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부착된 구조체로부터 연장된 투명필름의 일부가 이용자에 의해 쥐여질 수 있고, 자극을 인가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돌출부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film extending from the structure attached to the container is provided as a protrusion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elastically deformed to apply a stimulus.
a) 외부의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적외선을 제1항에 따른 구조체에 인가하는 단계; 및
b) 상기 적외선이 인가된 구조체에 나타나거나 사라진 패턴을 확인하여 상기 구조체의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a) applying infrared rays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of blocking external light; And
and b) confirming whether the structure is falsified and reused by confirming a pattern that appears or disappears in the structure to which infrared rays are applie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alsification modulation and reuse are true or fals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사용자의 눈 또는 가시광 검출 장치로 패턴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 변조 및 재사용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b) comprises the step of identifying the pattern by the user's eyes or the visible light detec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조체를 포함하는 위조 변조 또는 재사용 방지를 위한 박스로,
상기 구조체가 상기 박스의 표면이나 개폐구 부분에 포함 또는 부착 또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을 위한 박스.
A box for preventing forgery modulation or reuse compris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is included, attached o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ox o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에 부착된 구조체로부터 연장된 투명필름의 일부가 이용자에 의해 쥐여질 수 있고, 자극을 인가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돌출부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 portion of the transparent film extending from the structure attached to the box is provided as a protrusion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nd elastically deformed to apply a stimulus.
KR1020150167406A 2015-11-27 2015-11-27 anti-counterfeiting and re-use prevention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use and anti-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KR101837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06A KR101837710B1 (en) 2015-11-27 2015-11-27 anti-counterfeiting and re-use prevention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use and anti-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PCT/KR2016/000774 WO2017090831A1 (en) 2015-11-27 2016-01-25 Structur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alteration and reus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thenticity of counterfeit, alteration and reus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406A KR101837710B1 (en) 2015-11-27 2015-11-27 anti-counterfeiting and re-use prevention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use and anti-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053A KR20170062053A (en) 2017-06-07
KR101837710B1 true KR101837710B1 (en) 2018-03-13

Family

ID=5876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406A KR101837710B1 (en) 2015-11-27 2015-11-27 anti-counterfeiting and re-use prevention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use and anti-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7710B1 (en)
WO (1) WO201709083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784B1 (en) * 2017-07-24 2019-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tructure for preventing counterfet, falsification or resu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counterfet, falsification or resue using the same
US10532596B2 (en) 2017-07-24 2020-01-14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lasmonic structure having an identifier pattern indicating a genuine product and method of us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falsification or reuse of the produ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7705A1 (en) * 2007-12-21 2010-12-09 Giesecke & Devrient Gmbh Security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4560B2 (en) * 2004-01-28 2011-05-18 大阪シーリング印刷株式会社 Lcd label
ES2434443T3 (en) * 2005-05-18 2013-12-16 Visual Physics, Llc Imaging system and micro-optical security
JP2012203161A (en) * 2011-03-25 2012-10-22 Dainippon Printing Co Ltd Hologram label
KR20150063309A (en) * 2014-12-03 2015-06-09 주식회사 나노브릭 Anti-counterfei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07705A1 (en) * 2007-12-21 2010-12-09 Giesecke & Devrient Gmbh Security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0831A1 (en) 2017-06-01
KR20170062053A (en)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1101B1 (en) Secure article, in particular security and/or valuable document
KR101204810B1 (en) Retroreflector label sheet and article to which retroreflector label sheet is bonded
JP4970695B2 (en) Anti-counterfeiting device
CN101939173B (en) Security element and method for marking and identifying objects
US20120243744A1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substrate bearing an optical structure and a reference pattern, and associated method
CN110675730A (en) Sealing label
US20130056972A1 (en) Security element having light-conducting structures
TW201024113A (en) Method for producing a security element and transfer film
TR201810317T4 (en) A METHOD AND SAFETY CERTIFICATE FOR PROVIDING A SECURITY CERTIFICATE WITH A SECURITY FEATURE.
RU2200782C2 (en) Characteristic substances and protection elements for controlling documents, securities, bank notes, wrappings, and articles
KR102601543B1 (en) Machine-readable optical security device
KR101837710B1 (en) anti-counterfeiting and re-use prevention structur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re-use and anti-counterfeiting using the same
AU2014279723B2 (en) Security structure having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JP4480118B2 (en) Adhesive safety film as an identification carrier
JP2010019976A (en) Forgery prevention structure and forgery prevention sheet using the same, and its validity determination method
US20040099740A1 (en) Merchandising components for authenticating products, and combinations and methods utilizing the same
JP2007144844A (en) Forgery-preventing printed article and method for judging forgery-preventing printed article
CN116194293A (en) Laminate, card, method for producing card, information recording sheet for card, and card using the information recording sheet for card
CN107251129B (en) Adhesive label
US10532596B2 (en) Plasmonic structure having an identifier pattern indicating a genuine product and method of use for preventing counterfeiting, falsification or reuse of the product
JP2009268532A (en) Game machine, integrated circuit package of game machine, integrated circuit of game machine, and label stuck to them
KR101953784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counterfet, falsification or resu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counterfet, falsification or resue using the same
WO2012031795A1 (en) Object which can be authenticated and which contains a cover masking an authenticating pattern
OA13016A (en) Safety device in waveguide.
RU2671095C2 (en) Protective strip and secured document containing such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