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572B1 -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 Google Patents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572B1
KR101837572B1 KR1020170064187A KR20170064187A KR101837572B1 KR 101837572 B1 KR101837572 B1 KR 101837572B1 KR 1020170064187 A KR1020170064187 A KR 1020170064187A KR 20170064187 A KR20170064187 A KR 20170064187A KR 101837572 B1 KR101837572 B1 KR 10183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rail
unit
rail uni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1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대
오에녹
Original Assignee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572B1/en
Priority to JP2017122109A priority patent/JP62317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72B1/en
Priority to PCT/KR2018/005620 priority patent/WO201821695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08B1/006
    • B08B1/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0Snow traps ; Removing snow from roofs; Snow me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06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cleaning the 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s, comprising: a rail unit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targe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width; and a removal unit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rail unit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having a wiper which has a removal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target surface and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from both sides of the rail unit toward a terminal portion, wherein the wiper removes foreign matters from the target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target surface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thereby reliably and efficiently removing accumulated snow and foreign matters from various types of target surfaces.

Description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

본 발명은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대상면에 쌓인 눈이나 이물질을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stacking preven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eign matter stacking prevention apparatus capable of reliably and efficiently removing snow and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various kinds of object surfaces.

태양광 발전은 전력 생성 과정에서 지구 온난화 유발 요인 중 하나인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므로, 일체의 소음이나 환경 파괴 등의 위험이 없는 기존 에너지원과는 다른 청정 에너지원이이다.Solar power generation is a clean energy source that does not emit greenhouse gases,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global warming in electric power generation process. Therefore, it is different from existing energy sources that do not have any risk of noise or environmental destruction.

그리고, 태양광 발전은 고갈의 염려도 없음은 물론, 여타 풍력이나 해수력과 달리 태양광 발전설비는 설치가 자유롭고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지니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경우 태양광 모듈의 온도가 올라갈 경우 1℃ 당 0.5%의 출력 감소가 발생한다.Unlike other wind and seawater power sources,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free from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while solar power generation has no concern of depletion. In the case of silicon solar cells, which are most widely us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odule is increased, a power reduction of 0.5% per 1 ° C occurs.

이러한 특성에 따라 태양광 발전의 출력은 태양이 가장 긴 여름이 아닌 봄과 가을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이러한 온도 상승은 태양광 발전의 발전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output of solar power generation is peaking in spring and autumn, not the longest in the sun. Such a rise in temperature is a major cause of deteriorat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solar power generation.

또한, 이러한 태양광 모듈은 태양 전지판에 황사, 악천후 등의 기상현상 등에 의해 오물이 쉽게 쌓일 수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such a solar module has disadvantages that dust can be easily accumulated on the solar panel due to weather phenomenon such as yellow dust and bad weather.

태양광 모듈에 오물이 쌓일 경우 태양광 모듈은 광흡수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따라서 발전효율 또한 저하될 수 있다.When dirt accumulates on the solar module, the solar module's light absorption rate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erefor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may also be lowered.

또한, 겨울철에 비나 눈 등이 태양 전지판에 내릴 경우 발전효율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ain or snow falls on the solar panel in winter,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may decrease.

이러한 오물, 눈, 비로 인한 발전효율의 저하의 방지를 위해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유지설비)가 사용된다.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power generation efficiency due to such dirt, snow, and rain, an efficiency improvement facility (maintenance facility) of a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used.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573799호의 "제설용 지붕 패널"과, 등록특허 제10-1680566호의 "적설계측센서와 열풍히터가 구비된 제설용 태양광 패널 및 그 시스템" 등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In view of the above, the "roofing panel for snow removal" of the registered patent No. 10-1573799 and the "solar panel for snow removal and the system equipped with the snowfall sensor and the hot air heater" of the registered patent No. 10-1680566, And the like.

선행기술들은 태양광 패널이나 지붕 패널 등에 쌓인 적설을 히터나 열풍을 이용하여 제거토록 한 것이다.The prior art is to remove the snow accumulated on a solar panel or a roof panel by using a heater or a hot wind.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모두 많은 전기 및 열 에너지 소모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all of the prior art have a problem of a lot of electrical and thermal energy consumption.

특히, 선행기술들은 지역적 특성에 따른 이유로 수십 센티미터 또는 수 미터에 이르는 강설량을 보이는 지역에서는 매우 두껍게 쌓인 눈을 일일이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제거한다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또한 에너지 효율의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Particularly, the prior art is not very economical or energy efficient in terms of eliminating very thick snow by using heat energy in a region where snowfall is several tens of centimeters or several meters due to regional characteristics.

한편, 전술한 이유들 외에도 폭설지역의 집이나 시설물이나 위험 지역 등의 자동적인 제설을 통하여 인적, 물적 손실을 감소시키는 자연재해 저감 기술 개발 및 이에 따라 제작된 제품의 마련이 시급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easons, it is urgent to develop natural disaster reduction technology that reduces human and material loss through automated snow removal, such as houses, facilities, and dangerous areas in heavy snow areas, and to prepare products manufactured accordingly.

특히, 인구 2천만명 이상의 일본 전체 지역의 대략 50% 이상이 호설지대이며, 이러한 호설지대에서 제설은 고령화사회의 심화와 더불어 사회적 솔루션이 필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In particular, about 50% or more of the total area of Japan over 20 million people is inundated with snow, and snow removal is becoming a serious problem in the aging society and social solutions are needed.

이에 일본 정부 및 지자체는 제설기 구입과 유지에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비용이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이러한 제설 기술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subsidized the purchase and maintenance of snowmobiles, but these snowmobiling technologies have not been activated because they fail to meet cost, safety, and ease of use.

또한, 최근 웹 기반으로 원격제어 연동을 위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인터넷(IoT) 제품과 같은 제어기기의 소스 개발과 디버깅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호설지대의 경우, 하루 최대 1미터 이상 눈이 쌓이는 혹독한 환경에서 움직이는 제설기기과 레일과 모터 및 센서의 내구성과 내환경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문제가 될 것이다.Recently, it is expected that source development and debugging of control devices such as Internet (IoT) products connected to the Internet will be increased for interworking with a remote control on a web basis.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Ensuring the durability and durability of snow removal equipment, rails, motors and sensors in harsh environments where snow accumulates will be an urgent matter.

등록특허 제10-1573799호Patent No. 10-1573799 등록특허 제10-1680566호Patent No. 10-16805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대상면에 쌓인 눈이나 이물질을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stacking which can reliably and efficiently remove snow and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various kinds of object surfa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진 대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유닛; 및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대상면과 연통하는 제거 공간을 가지며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으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와이퍼를 포함하는 제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대상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상기 대상면의 바깥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ail unit comprising: a rail unit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targe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width; And a wip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ai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having a removal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target surface and gradually becoming narrower from both sides of the rail unit toward the distal end, Wherein the wipers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stacked on the object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object surface.

여기서, 상기 레일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퍼가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거 유닛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e transmission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rail unit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removal unit side so that the wiper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이때, 상기 대상면의 일측에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대상면 상에 이물질 적층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 및 상기 제거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실시간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거 유닛의 상기 와이퍼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대상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or not a foreign object is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in real time, the sensing uni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removal unit,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wiper, wherein the rail units are moun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object surface.

그리고, 상기 대상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와이퍼를 수용하는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housing which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object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rail unit, and which form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iper.

그리고, 상기 구동전달 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유닛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레일 유닛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motor, a drive pulley installed at an end of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disposed at one end of the rail unit, a driven pulley rotatably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unit, And a belt for interconnecting the driven pulley. The wiper is connected to the belt and reciprocates along the rail unit in conjunction wi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그리고,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대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레일홈이 형성된 제1 레일 바와, 상기 제1 레일 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홈과 마주보는 제2 레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레일 바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제1 레일 바 및 상기 제2 레일 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 바 및 상기 제2 레일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il unit may include a first rail bar disposed on the object surface and having a first rail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surface, a second rail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il bar, Wherein the first rail bar and the second rail bar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ail bar and the second rail bar and the first rail bar and the second rail bar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ail bar and the second rail bar, And is reciprocal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그리고, 상기 제거 유닛은, 상기 와이퍼의 내측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레일 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v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ece formed at an inner end edge of the wiper, and a rail cart coupled to the connection piece and being reciproc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그리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유닛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per includes a first frame formed parallel to the rail unit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nd a third fram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frame and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frame.

그리고, 상기 제거 유닛은,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과 상기 와이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퍼를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와이퍼축과, 상기 와이퍼축과 상기 와이퍼 사이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가 상기 대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와이퍼축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와이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ving unit may include a wiper shaft disposed between both sides of the rail unit and the wiper and coupling the wiper to both sides of the rail unit so as to be rotatable and both ends of the wiper shaft are interposed between the wiper shaft and the wiper And a wiper spring which is fixedly and elastically coupled and generates an elastic force toward the wiper shaft so that the wip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surface.

또한, 상기 대상면은, 건축물의 지붕, 태양광 모듈의 집광 패널, 건축 구조물의 유리 표면, 상기 건축물의 경사진 지붕, 경사지의 인도 또는 상기 경사지의 도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rget surface may be any one of a roof of a building, a light collecting panel of a solar module, a glass surface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an inclined roof of the building, a slope of a slope, or a road of a slop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진 대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유닛; 및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대상면과 연통하는 제거 공간을 가지며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으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와이퍼를 포함하는 제거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건축물의 지붕, 태양광 모듈의 집광 패널, 건축 구조물의 유리 표면, 상기 건축물의 경사진 지붕, 경사지의 인도 또는 상기 경사지의 도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대상면에 쌓인 눈이나 이물질을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될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 unit arrang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targe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width; And a wip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ai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having a removal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target surface and gradually becoming narrower from both sides of the rail unit toward the distal end, By adopting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removal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arious kinds of target surfaces such as the roof of the building, the condensing panel of the solar module, the glass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inclined roof of the building, It will be possible to reliably and efficiently remove accumulated snow or foreign matter.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레일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퍼가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거 유닛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 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순전히 모터의 구동만으로도 적설을 포함한 다양한 적층 이물질들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될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rive transmission unit mounted on one side of the rail unit and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removal unit side so that the wiper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It will be possible to quickly and reliably and efficiently remove various stacked foreign matter including snow.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레일 유닛을 상기 대상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대상면의 일측에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대상면 상에 이물질 적층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 및 상기 제거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실시간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거 유닛의 상기 와이퍼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대면적의 대상면에 걸친 이물질의 적층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unit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parallel spaced apart porti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bject surface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object surface to detect whether foreign substances are stacked on the object surface in real time And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removal unit to receive a real-tim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and transmit a movement signal to the wiper of the removal unit. Thus,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it in real time and remove it quickly, accurately and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퍼를,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유닛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 즉 전체적으로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공간을 가진 사다리꼴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공간으로 타고 넘어 들어오는 눈과 같은 이물질을 모아서 대상면의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쉽게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per includes a first frame formed parallel to the rail unit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 trapezoidal frame having a trapezoidal space connected to ends of the frames and including a third frame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frame, that is, a trapezoidal shape gradually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end as a whole, It can be easily removed by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snow passing over and pushing them out of the target surfac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의 전체적인 사다리꼴 프레임 형상은 눈과 같이 하중과 부피가 큰 이물질을 대상면 바깥으로 밀어내어 제거할 때, 이물질의 하중을 경사지게 형성된 와이퍼의 바깥 방향으로 분산시켜 제거함으로써, 와이퍼 및 구동전달 유닛에 걸리는 부하 및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The overall trapezoidal frame shape of the wi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a foreign object having a large load and a large volume is pushed out of the object plane and removed, the load of the foreign object is dispersed and removed outwardly of the wiper, And the load and stress applied to the drive transmission unit.

또한, 본 발명은 와이퍼를 레일 유닛의 양측에 대하여 와이퍼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와이퍼축과 와이퍼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퍼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와이퍼가 대상면에 밀착한채로 왕복하여 대상면에 쌓인 눈과 같은 이물질을 깨끗하게 대상면 바깥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per spring that rotatably couples the wiper to both sides of the rail unit on the basis of the wiper shaft, and connects the wiper shaft and the wiper so that the wiper is reciproc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arget surface, It will be able to help remove foreign matter such as accumulated snow cleanly from the target surface.

특히, 본 발명은 고령화가 심화되었거나 진행중인 호설지대의 각종 시설물에 쌓인 눈과 같은 이물질의 제거 작업에 투입되는 노동력을 극소화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거주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to residents of the area by minimizing the labor force that is applied to the removal work of foreign matter such as snow accumulated in various facilities in the aged or aged housing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가 대상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V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레일 유닛의 일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VI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레일 유닛의 제1 풀리 케이스 주변의 부품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거 유닛 중 와이퍼가 레일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레일 카트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거 유닛 중 와이퍼가 연결되는 레일 카트가 벨트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거 유닛 중 와이퍼가 연결되는 레일 카트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가 대상면을 따라 작동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 개념도
도 13은 도 2의 X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거 유닛중 와이퍼의 작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arget surfac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portion IV i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rail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VI of Fig. 3,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arts around the first pulley case of the rail uni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ipers of the removing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a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il cart to which the wiper is connected and the bel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verall engagement relationship of the rail cart to which the wipers are connected, among the removal unit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foreign matter deposit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reign matter laye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target surface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wiper among the removal units, which is a main part of the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oroughly disclosed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nd the terms (mentioned) used herei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not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constitu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hav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nstituents and actions .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가 대상면(40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rst,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arget surface 400.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는 도 3의 IV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IV in Fig.

그리고, 도 5는 도 4의 V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인 레일 유닛(100)의 일부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 of the rail unit 1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FIG.

그리고, 도 6은 도 3의 VI 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nlarged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ion VI of Fig. 3. Fig.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레일 유닛(100)의 제1 풀리 케이스(130) 주변의 부품들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arts around the first pulley case 130 of the rail unit 100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거 유닛(200) 중 와이퍼(201)가 레일 유닛(100)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레일 카트(600)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201 of the removal unit 2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materials de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sitionally adjustable manner in a rail cart 600 movable along the rail unit 100 FIG.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거 유닛(200) 중 와이퍼(201)가 연결되는 레일 카트(600)가 벨트(340)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shows a relationship in which the rail cart 600 to which the wiper 201 is connected is coupled to the belt 340 among the removal units 2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foreign matter deposit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거 유닛(200) 중 와이퍼(201)가 연결되는 레일 카트(600)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ail cart 600 to which the wiper 201 is connected among the removal units 2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가 대상면(400)을 따라 작동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1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foreign materials de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perated along the object surface 400 in order.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 개념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ystem of a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도 13은 도 2의 XIII 시점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의 주요부인 제거 유닛(200)중 와이퍼(201)의 작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13 is a conceptu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iper 201 in the removal unit 200, which is a main part of the foreign substance deposition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FIG. to be.

참고로, 도 12에서 일점 쇄선은 전기적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For reference, the one-dot chain line in FIG. 12 represents an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유닛(100)을 따라 제거 유닛(200)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emoval unit 200 is movably mounted along the rail unit 100 as shown.

우선, 레일 유닛(100)은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진 대상면(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거 유닛(200)과 함께 다양한 구성부품의 장착 공간 및 이동 공간과 면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First, the rail unit 100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plane 4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width. The rail unit 100 includes a removal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제거 유닛(200)은 레일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유닛(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대상면(400)과 연통하는 제거 공간을 가지며 레일 유닛(100)의 양측으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와이퍼(201)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removal unit 2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ail unit 10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and has a removal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object surface 400, And the wiper 201 is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distal end to the distal end.

여기서, 와이퍼(201)는 레일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대상면(400)에 적층된 이물질(410, 이하 도 11 참조)을 대상면(400)의 바깥으로 제거하게 된다.The wiper 201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and removes the foreign matter 410 (see FIG. 11) stacked on the target surface 400 to the outside of the target surface 400.

이때, 대상면(400)은, 본 발명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태양광 모듈의 집광 패널일 수도 있고, 건축물의 지붕, 건축 구조물의 유리 표면, 건축물의 경사진 지붕, 경사지의 인도 또는 경사지의 도로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arget surface 400 may be a condensing panel of a solar module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 roof of a building, a glass surface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a sloped roof of a building, It can be either one.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대상면(400)에 적용하여 눈 또는 기타 이물질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object planes 400 to have versatility to quickly and accurately and efficiently remove snow or other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우선, 본 발명은 와이퍼(201)가 레일 유닛(100)을 따라 이동하는데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동전달 유닛(3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e transmission unit 300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move the wiper 201 along the rail unit 100.

여기서, 구동전달 유닛(300)은 레일 유닛(100)의 일측에 장착되며, 와이퍼(201)가 레일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거 유닛(200)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rail unit 100 and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removal unit 200 side so that the wiper 201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will be.

즉, 구동전달 유닛(300)은, 와이퍼(201)가 레일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즉 레일 유닛(100)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has a role of a linear actuator that allows the wiper 201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that is, to allow linear movement of the rail unit 100 . ≪ / RTI >

구동전달 유닛(300)에 관하여는 후술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The drive transmitt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한편, 본 발명은 이물질(410)이 대상면(400)에 적층되지 않거나 제거 유닛(2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와이퍼(200)를 다양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전술한 구동전달 유닛(300)의 모터(310) 등과 같은 전기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우징(5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wiper 200 from various external impacts when the foreign object 410 is not stacked on the object surface 400 or when the removal unit 200 is not used, A housing 5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protect electric devices such as the motor 310 and the like.

하우징(500)은 대상면(400)의 일측에 장착되어 레일 유닛(100)과 연결되며, 와이퍼(201)를 수용하는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다.The housing 50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object surface 400 and connected to the rail unit 100 to form a storage space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wiper 201.

따라서, 전술한 구동전달 유닛(300)의 일부는, 레일 유닛(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하우징(500)에 내장되며, 와이퍼(201)가 레일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거 유닛(200)측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A portion of 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rail unit 100 and is housed in the housing 500 so that the wiper 201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removal unit 200 side.

여기서, 하우징(500)에는, 전술한 구동전달 유닛(300)의 모터(310)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150)와 함께, 후술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지만, 모터(310)의 구동축(311)과 연결되어 와이퍼(20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풀리(320) 등의 부품이 내장되는 공간 또한 제공하게 된다.The housing 500 is provided with a motor case 150 for housing the motor 310 of 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and a drive shaft 311 of the motor 310, And a space in which parts such as the driving pulley 320 for connecting the wiper 201 to the wiper 201 are housed are also provided.

한편, 구동전달 유닛(300)은, 모터(310)와, 모터(310)의 구동축(311, 이하 도 4 참조) 단부에 설치되어 레일 유닛(10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구동 풀리(320)와, 레일 유닛(100)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종동 풀리(330)와, 구동 풀리(320)와 종동 풀리(330)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ncludes a motor 310 and a drive pulley 320 installed at an end of the drive shaft 311 (see FIG. 4) of the motor 310 and at one end of the rail unit 100, A driven pulley 330 rotatably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unit 100 and a belt 340 interconnecting the drive pulley 320 and the driven pulley 330.

여기서, 와이퍼(201)는 벨트(340)에 연결되어 모터(310)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레일 유닛(100)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된다.The wiper 201 is connected to the belt 340 so that the wiper 201 can reciprocate along the rail unit 100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motor 310.

한편, 레일 유닛(100)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대상면(400)에 배치되며, 대상면(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레일홈(110g, 이하 도 6 참조)이 형성된 제1 레일 바(110)와, 제1 레일 바(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레일홈(110g)과 마주보는 제2 레일홈(120g, 이하 도 6 참조)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레일 바(120)를 포함한다.4 and 6, the rail unit 100 is disposed on the object plane 400 and includes a first rail groove 110g (see FIG. 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plane 400, And a second rail groove 120g (see FIG. 6)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il bar 110 and facing the first rail groove 110g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rail bar 120 formed thereon.

여기서, 와이퍼(201)는 제1 레일 바(110) 및 제2 레일 바(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 레일 바(110) 및 제2 레일 바(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다.The wiper 201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ail bar 110 and the second rail bar 120 to be reciproc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bar 110 and the second rail bar 120 Do.

이때, 제1 레일 바(110)는, 대상면(400)에 배치되는 제1 본체편(111)과, 제1 본체편(11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격편(112, 112)을 포함하며, 제1 격편(112, 112)과 제1 본체편(111)의 상면에 의하여 제1 레일홈(110g)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first rail bar 110 includes a first body part 111 disposed on the object surface 400 and a second body part 111 extending upward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rail grooves 110g are formed by the first ribs 112 and 1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iece 111. [

그리고, 제2 레일 바(120)는, 제1 레일 바(110)와 마주보는 제2 본체편(121)과, 제2 본체편(12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레일 바(110)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2 격편(122, 122)을 포함하며, 제2 격편(122, 122)과 제2 본체편(121)의 하면에 의하여 제2 레일홈(120g)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second rail bar 120 includes a second body part 121 facing the first rail bar 110 and a second body part 121 extending along the side edges of the second body part 121 toward the first rail bar 110 And the second rails 122 and 122 exten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rail grooves 120g are formed by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ribs 122 and 122 and the second body piece 121 have.

또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6과 함께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레일홈(110g)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 고정돌편(131)이 상면에 형성되고, 제2 레일홈(120g)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3 고정돌편(132)이 하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1 레일 바(110) 및 제2 레일 바(120)의 일단부 사이에 고정되는 제1 풀리 케이스(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5 and 7 together with FIGS. 4 and 6, a first fixing protrusion 1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groove 110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ail groove 110g, A third fixing protrusion 13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bar 120g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ail bar 110 and the second rail bar 120 is fixed to the first rail bar 110 and the second rail bar 120, 1 pulley case 130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제1 레일홈(110g)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 고정돌편(141)이 상면에 형성되고, 제2 레일홈(120g)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4 고정돌편(142)이 하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제1 레일 바(110) 및 제2 레일 바(120)의 타단부 사이에 고정되는 제2 풀리 케이스(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fixing protrusion 14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il groove 110g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 fourth fixing protrusion 14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il groove 120g, And a second pulley case 14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ail bar 110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fixed between the first rail bar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ail bar 120.

아울러, 본 발명은, 와이퍼(201)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 유닛(300)의 모터(310)가 내장되도록, 제2 풀리 케이스(140)의 공간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모터 케이스(1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motor case 310 includes a motor case 310 and a motor case 310. The motor case 310 includes a motor 310 of a drive transmission unit 300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wiper 201, (150)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와이퍼(201)는, 레일 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유닛(10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210)과, 제1 프레임(210)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2 프레임(220)과, 제2 프레임(220) 각각의 말단과 연결되며, 제1 프레임(21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제3 프레임(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The wiper 201 includes a first frame 210 formed parallel to the rail unit 100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and a second frame 210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210 The second frame 220 and the third frame 230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econd frame 220 and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frame 210. [

아울러, 제거 유닛(200)은, 와이퍼(201)의 내측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연결편(250)과, 연결편(250)에 결합되며, 레일 유닛(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레일 카트(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removal unit 200 includes a connection piece 250 formed at an inner end edge of the wiper 201 and a rail cart 600 coupled to the connection piece 250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100 ).

여기서, 연결편(250)은 제1 프레임(210) 상에 연장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Here,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ng piece 250 is extended on the first frame 210.

이때, 와이퍼(201)는 전체적으로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 및 제3 프레임(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wiper 201 is formed in a trapezoidal frame shape gradually becoming narrower toward the distal end, so that the trapezoidal shape formed by the first frame 210, the second frame 220 and the third frame 230 Space.

이러한 사다리꼴 형상의 공간은, 전술한 공간으로 타고 넘어 들어오는 눈과 같은 이물질(410)을 모아서 대상면(400)의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제거하기 용이하도록 마련된 것이다.The trapezoidal space is provided so as to collect foreign matter 410 such as snow passing over the space and to push the foreign matter 410 out of the object surface 400 to be removed.

아울러, 와이퍼(201)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프레임 형상으로 제작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와이퍼(201)와 같이 직선 또는 직사각 형상인 와이퍼(201)에 비하여 눈과 같이 하중과 부피가 큰 이물질(410)을 대상면(400) 바깥으로 밀어내어 제거할 때, 이물질(410)의 하중을 경사지게 형성된 와이퍼(201)의 바깥 방향으로 분산시켜 제거함으로써, 와이퍼(201) 및 구동전달 유닛(300)에 걸리는 부하 및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wiper 201 can be formed in a trapezoidal frame shape as a whole, so that foreign matter 410 having a larger load and volume as compared with a wiper 201 having a straight or rectangular shape like an automobile wiper 201 is formed on a target surface The load and stress applied to the wiper 201 and the drive transmitting unit 300 are reduced by dispersing and removing the load of the foreign matter 410 outwardly of the wiper 201 formed at an inclination .

한편, 구동전달 유닛(300)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양단 관통의 구동 풀리(320)는 모터 케이스(150)에 내장된 모터(310)의 구동축(311) 단부에 장착되어 제2 풀리 케이스(140)에 내장된다.The drive pulley 3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ulley case 140 at the end of the drive shaft 311 of the motor 310 incorporated in the motor case 150.

그리고, 양단 관통의 종동 풀리(330)는 구동 풀리(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풀리 케이스(130)에 내장된다.The driven pulley 330, which passes through both ends,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pulley 320 and rotates, and is housed in the first pulley case 130.

또한, 벨트(340)는 구동 풀리(320)와 종동 풀리(330)를 상호 연결하도록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레일홈(110g)과 제2 레일홈(120g) 사이에 배치된다.The belt 34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interconnect the drive pulley 320 and the driven pulley 330 and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ail groove 110g and the second rail groove 120g .

따라서, 와이퍼(201)는 벨트(340)에 연결되어 모터(310)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제1 레일홈(110g) 및 제2 레일홈(120g)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왕복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wiper 201 is connected to the belt 340 and can reciprocate alo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rail groove 110g and the second rail groove 120g in conjunction with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310 will be.

여기서, 구동전달 유닛(300)은, 구동 풀리(320) 및 종동 풀리(330)와 벨트(340)가 맞물리도록, 벨트(340)의 내주면과, 구동 풀리(320)와 종동 풀리(33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기어이(301)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ncludes the drive pulley 320 and the driven pulley 330 so that the drive pulley 320 and the driven pulley 330 are engaged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lt 340, And a gear 30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구동전달 유닛(300)은, 모터 케이스(150)와 제2 풀리 케이스(140) 사이에 장착되어 구동축(311)이 관통되는 지지편(351)을 포함하는 모터 지지대(3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further includes a motor support 350 mounted between the motor case 150 and the second pulley case 140 and including a support piece 351 through which the drive shaft 311 passes You may.

그리고, 구동전달 유닛(300)은, 제1 축 결합홀(321)에 의하여 양단 관통인 구동 풀리(320)의 일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제2 풀리 케이스(140)의 일측 내면에 고정되는 제1 풀리 구동축(360a)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drive pulley 320 passing through both ends through the first shaft coupling hole 321 a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second pulley case 140, And may further include a drive shaft 360a.

그리고, 구동전달 유닛(300)은, 구동 풀리(320)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제2 풀리 케이스(140)의 타측 내면에 고정되는 제2 풀리 구동축(360b)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lley drive shaft 360b inser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drive pulley 320 and fixed to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ulley case 140. [

그리고, 구동전달 유닛(300)은, 제1 풀리 구동축(360a)의 외주면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 구동 키 단차부(361)와, 제2 풀리 구동축(360b)의 외주면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2 구동 키 단차부(36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ncludes a first drive key stepped portion 361 formed by being cut flat from the end edg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ulley drive shaft 360a and a second drive key stepped portion 36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edge of the second pulley drive shaft 360b And a second driving key stepped portion 362 formed to be cut flat from the first driving key stepped portion 362.

또한, 구동전달 유닛(300)은, 제1 구동 키 단차부(361) 및 제2 구동 키 단차부(36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1 축 결합홀(321)의 내주면 양단부를 잇도록 매워져 평평하게 형성되는 구동 키 대응 리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aft coupling hole 321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e key step portion 361 and the second drive key step portion 362, And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key corresponding rib formed to be flat.

구동 키 대응 리브의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후술할 종동 키 대응 리브(332)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것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drive key corresponding rib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driven key corresponding rib 332 described later in FIG.

아울러, 구동전달 유닛(300)은, 제2 축 결합홀(331)에 의하여 양단 관통인 종동 풀리(330)의 일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제1 풀리 케이스(130)의 일측 내면에 고정되는 제1 풀리 종동축(370a)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driven pulley 330 passing through the both ends through the second shaft coupling hole 331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pulley case 130, And may further include a follower shaft 370a.

그리고, 구동전달 유닛(300)은, 종동 풀리(330)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제1 풀리 케이스(130)의 타측 내면에 고정되는 제2 풀리 종동축(370b)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ulley driven shaft 370b inser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driven pulley 330 and fixed to the other inner surface of the first pulley case 130. [

그리고, 구동전달 유닛(300)은, 제1 풀리 종동축(370a)의 외주면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 종동 키 단차부(371)와, 제1 풀리 종동축(370a)의 외주면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2 종동 키 단차부(37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ncludes a first driven key stepped portion 371 formed by being cut flat from an end edg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ulley driven shaft 370a and a second driven key stepped portion 371 formed by cut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ulley driven shaft 370a And a second driven key stepped portion 372 formed by being cut flat from the end edge.

또한, 구동전달 유닛(300)은, 제1 종동 키 단차부(371) 및 제2 종동 키 단차부(37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 축 결합홀(331)의 내주면 양단부를 잇도록 매워져 평평하게 형성되는 종동 키 대응 리브(332, 이하 도 7 참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drive transmission unit 300 is attached so as to connect both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aft engaging hole 331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en key stepped portion 371 and the second driven key stepped portion 372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llower key corresponding rib 332 (see FIG. 7) formed to be flat.

아울러, 레일 카트(600)는, 벨트(340)에 고정되며, 와이퍼(201)와 연결되어 제1 레일홈(110g) 및 제2 레일홈(120g) 사이의 공간을 따라 왕복할 수 있다.The rail cart 600 is fixed to the belt 340 and connected to the wiper 201 to reciprocate along a space between the first rail groove 110g and the second rail groove 120g.

이러한 레일 카트(600)는, 도 8과 같이 연결편(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①, ②와 같이 위치 조정 가능하게 탈착 결합될 수도 있다.8, the rail cart 600 may be detachably coupled with the rail cart 600 such that the rail cart 600 is positionally adjus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iece 250 as shown in Figs.

이것은, 태양광 모듈의 사이즈가 제조사별로 모두 상이하므로, 고정된 레일 유닛(100)의 길이에 대응하여 와이퍼(201) 및 레일 카트(600)의 고정된 위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태양광 모듈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sizes of the photovoltaic modules are different for each maker and the fixing positions of the wiper 201 and the rail cart 600 ar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xed rail unit 100, So that they can be used correspondingly.

이러한 레일 카트(600)는, 다시 도 6과 함께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구동 풀리(320)와 종동 풀리(330)를 상호 연결하며 서로 마주보는 벨트(340)의 내주면 중, 제2 레일홈(120g)과 마주보는 내주면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는 상부 이동자(610)와, 제2 레일홈(120g)과 마주보는 내주면의 외측인 외주면에 상부가 밀착되어 상부 이동자(610)에 고정되는 하부 이동자(6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6, the rail cart 600 is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320 and the driven pulley 33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lt 340 facing each other, An upper mover 610 to which the lower portion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second rail groove 120g and an upper mover 610 fixed to the upper mover 610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mover 610 closely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mover 620 is a structure including the lower mover 620.

따라서, 와이퍼(201)의 연결편(250)은, 상부 이동자(610)의 양측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알 수 있다.Therefore,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connecting piece 250 of the wiper 201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mover 610.

전술한 상부 이동자(610)는, 벨트(340)의 내주면 중 제1 레일홈(110g)과 마주보는 내주면과 마주보는 상면을 가지는 상부 이동본체(613)와, 상부 이동본체(613)의 일단부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와이퍼(201)의 연결편(250)과 연결되는 제1 체결블록(611)과, 상부 이동본체(613)의 타단부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와이퍼(201)의 연결편(250)과 연결되는 제2 체결블록(612)을 포함한다.The upper mover 610 includes an upper moving body 613 having an upper surface fac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first rail groove 110g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340, A first fastening block 611 protruding from both sides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250 of the wiper 201 and a second fastening block 611 projecting from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upper moving body 613, And a second fastening block 612 connected thereto.

그리고, 상부 이동자(610)는, 하부 이동자(6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벨트고정 블록(622)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부 이동본체(613)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는 블록고정 오목부(614)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upper mover 6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lt fixing block 622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ver 620 and has a block fixing concave portion 614).

아울러, 상부 이동자(610)는, 와이퍼(201)의 연결편(250)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연통홀(251)과 대응되게 하여 별도의 체결구(이하 미도시)에 의하여 와이퍼(201)를 상부 이동자(610)와 체결시키도록, 제1 체결블록(611) 및 제2 체결블록(612) 각각의 끝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조정홀(61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 upper mover 6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251 formed along the connecting piece 250 of the wiper 201 so that the upper mover 610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mover 610 by a separate fastener (not shown) It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adjustment hole 615 formed on the end surfaces of the first fastening block 611 and the second fastening block 612 so as to engage with the mover 610.

또한, 상부 이동자(610)는, 상부 이동본체(613)의 하면에 돌출되어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벨트(340)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미끄럼방지용의 밀착 리브(616, 도 10 참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upper mover 610 further includes a non-slip contact rib 616 (see Fig. 10) which project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ving body 613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340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한편, 하부 이동자(620)는, 제1 레일홈(110g)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이동 본체(621)와, 하부 이동 본체(621)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벨트(340)를 밀착시켜 상부 이동자(610)의 하면에 함몰 형성된 블록고정 오목부(614)에 안착 고정되게 하는 벨트고정 블록(6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mover 620 includes a lower moving body 621 movable along the first rail groove 110g and a lower moving body 621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ving body 621, And a belt fixing block 622 for causing the block 610 to be seated and fixed to the block fixing recess 614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er 610.

그리고, 하부 이동자(620)는, 하부 이동 본체(62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벨트고정 블록(622)의 하단부까지 돌출되며, 벨트(34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벨트 가이드 리브(623)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lower mover 620 is provided with belt guide ribs 623 that protrude to the lower end of the belt fixing block 622 along both side edges of the lower moving body 621 and are seated and fixed while preventing the belt 340 from being separated. ).

상기와 같이 와이퍼(201)는 평상시에는 도 11(a)와 같이 하우징(500)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눈과 같은 이물질(410)의 적층이 감지되면, 도 11(b)와 같이 하우징(500)으로부터 레일 유닛(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도 11(c)와 같이 이물질(410)을 대상면(400)의 바깥으로 밀어내어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11 (a), the wiper 201 is maintained in the housing 500 as shown in FIG. 11 (a). When the stack of foreign substances 410 such as snow is sensed, The foreign object 410 can be pushed out of the object surface 400 and removed as shown in FIG. 11 (c) while moving along the rail unit 100 from the object 500.

여기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하우징(500)의 일측에 점등 가능한 RGB 엘이디칩을 포함한 엘이디 램프 모듈(이하 미도시)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LED lamp module (not shown) including an RGB LED chip that can be lit on one side of the housing 500, as the case may be.

전술한 엘이디 램프 모듈은 와이퍼(201)가 구동중일 경우 파란색 빛을 점멸하며 작동중임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설 작업이 완료되어 와이퍼(201)가 하우징(500)으로 들어오고 있는 경우 빨간색 빛을 점멸하면서 제설 작업의 완료 및 장치 전체의 OFF 상태 돌입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When the wiper 201 is in operation, when the wiper 201 is in operation, the blinking of the blinking blue light can be visually perceived. When the wiper 201 is in the housing 50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deformation and an application design to visually recognize the completion of the snow removal operation and the turn-on of the entire apparatus in an OFF state while blinking light.

한편,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대상면(4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대상면(400) 상에 이물질(410) 적층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700)와, 센서(700) 및 제거 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700)의 실시간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제거 유닛(200)의 와이퍼(201)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러(8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12, a sensor 700 is mounted on one side of a target surface 400 to detect whether a foreign substance 410 is stacked on a target surface 400 in real time, a sensor 700, The controller 8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8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nit 200 to receive the real tim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or 700 and to transmit a movement signal to the wiper 201 of the removal unit 200.

여기서, 레일 유닛(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면(40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장착됨으로써, 대면적의 대상면(400)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의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He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ail unit 100 is mounted with a plurality of parallel spaced apart porti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bject surface 400, so that the foreign object stack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used for the large- So that the foreign matter can be removed.

이때, 컨트롤러(800)는, 복수로 배치되는 레일 유닛(100)중 컨트롤러(800)와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된 레일 유닛(100)에 장착된 와이퍼(201)에 최초로 가동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800 first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to the wiper 201 mounted on the rail unit 100 located closest to the controller 800 among the plurality of the rail units 100 arranged.

복수로 배치된 레일 유닛(1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최초로 가동 신호를 전달받은 와이퍼(201)(이하 제1 와이퍼(201a))의 동작 이후, 컨트롤러(800)와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된 레일 유닛(100)과 이웃한 레일 유닛(100)에 장착된 와이퍼(201)(이하 제2 와이퍼(201b))는 제1 와이퍼(201a)의 작동후 순차적으로 작동을 개시하게 되는 것이다.The plurality of rail units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a rail disposed nearest to the controller 800 after operation of the wiper 2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wiper 201a) The wiper 2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wiper 201b) mounted on the rail unit 100 adjacent to the unit 100 starts to operate sequentially 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wiper 201a.

다시말해 센서(700)를 통하여 이물질(410) 적층 감지 신호를 컨트롤러(800)가 전달받으면 컨트롤러(800)는 제1 와이퍼(201a)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자동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troller 800 receives the stacking detection signal of the foreign substance 410 through the sensor 700, the controller 800 may implement an automatic system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signal to the first wiper 201a.

경우에 따라 이물질(410) 감지용의 센서(700) 뒷면에는 히터(이하 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a heat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ensor 700 for detecting the foreign substance 410.

전술한 히터는 센서(700)의 표면에 적층된 눈과 같은 이물질(410)을 녹임으로써, 녹아서 증발한 눈이 없어질 때까지 제1 와이퍼(201a)는 물론 제2 와이퍼(201b) 및 나머지 와이퍼(201)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일단 센서(700) 표면의 눈이 없어지면 전술한 와이퍼(201)들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가동 정지 신호를 컨트롤러(800)가 제거 유닛(200)에 전달토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heater melts the foreign material 410, such as snow,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700, so that the first wiper 201a as well as the second wiper 201b and the remaining wiper 201b, The controller 800 controls the wiper 201 to stop driving the wiper 201 when the eyes of the sensor 700 disappear once the wiper 201 is driven, .

즉, 와이퍼(201)의 이동에 의하여 이물질(410)을 제거하는 작업은 최소, 한 스트로크(stroke) 정도, 다시말해 레일 유닛(100)을 따라 최소 한 번 왕복하는 정도로 충분하므로, 이 시간 동안 히터는 센서(700) 표면의 눈을 녹여 증발되게 한다.That is,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410 by the movement of the wiper 201 is sufficient for at least one stroke, that is, at least one round trip along the rail unit 100, Thereby melting the eyes of the surface of the sensor 700 and causing them to evaporate.

따라서, 히터는 센서(700) 표면의 눈을 녹여 없앰으로써, 다음에 또 눈이 내릴 때까지 정상적인 센서(700) 동작을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한 상태를 마련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heater can be regarded as a technical means for preparing a state for preparing the sensor 700 for normal operation by melting the snow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700, and then, until the snow falls again.

아울러, 본 발명은 단일의 컨트롤러(800)만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와이퍼(201)의 구동 신호는 가장 가까운 제1 와이퍼(201a)가 장착된 시스템, 즉 컨트롤러(800)와 가장 가까운 레일 유닛(100)(이하 제1 레일 유닛(100a))측에만 전달하게 되면, 신호를 전달받은 제1 레일 유닛(100a)은, 제1 레일 유닛(100a)과 이웃한 레일 유닛(100)(이하 제2 레일 유닛(100b))에 동시에 제2 와이퍼(201b)의 구동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The driving signal of the wiper 201 is transmitted to the rail unit 100 closest to the system in which the closest first wiper 201a is mounted, that is, the controller 8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rail unit 100a), the first rail unit 100a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s the signal to the first rail unit 100a and the adjacent rail unit 100 (The second wiper 201b) at the same time.

이러한 순차적인 구동 신호의 전달은, 대상면(400)이 태양광 발전소의 집광 패널인 경우, 발전소 내 제설 시스템의 통신선 설비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Such sequential drive signal transmission will be very efficient in that the amount of communication line equipment in the power plant snow removal system can be reduced if the target surface 400 is a light collecting panel of a solar power plant.

또한, 컨트롤러(800)는 인터넷 또는 수동 제어 버튼을 통하여 전술한 센서(700)와는 별개로 제1 와이퍼(201a)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800 can drive the first wiper 201a separately from the sensor 700 through the Internet or a manual control button.

아울러, 제1 와이퍼(201a) 및 제2 와이퍼(201b)의 구동은 발전소 주변에 설치된 CC 카메라와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망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관리자의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이하 미도시)로써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wiper 201a and the second wiper 201b can be driven by 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such as a manager PC or a smart phone through a network or a network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C camera installed around the power plant, Of course.

한편, 본 발명은 대상면(400) 상의 이물질 제거가 더욱 확실하고 깨끗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13과 같은 제거 유닛(200)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mbodiment of the removal unit 200 as shown in FIG. 13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 on the object surface 400 can be more surely and cleanly performed.

우선, 제거 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유닛(100)의 양측과 와이퍼(201)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퍼축(240)에 의하여 와이퍼(201)를 레일 유닛(100)의 양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e removal unit 200 rotates the wiper 201 against both sides of the rail unit 100 by the wiper shaft 240 disposed between both sides of the rail unit 100 and the wiper 201, .

여기서, 와이퍼(201)는 와이퍼축(240)에 회동 브라켓(270)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wiper 20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wiper shaft 240 as a rotation bracket 270.

이때, 제거 유닛(200)은 와이퍼축(240)과 와이퍼(201) 사이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퍼 스프링(280)에 의하여 와이퍼(201)가 대상면(40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removal unit 200 removes the wiper 201 from the target surface 400 by means of the wiper springs 280 that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wiper shaft 240 and the wiper 201, can do.

즉, 와이퍼 스프링(280)은 와이퍼(201)가 대상면(400)에 밀착되도록 와이퍼축(240)측을 향하여 수축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That is, the wiper spring 280 generates an elastic force to shrink toward the wiper shaft 240 so that the wiper 201 closely contacts the object surface 400.

따라서, 와이퍼(201)는 전술한 수축되는 탄성력에 의하여 와이퍼축(240)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대상면(400)측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wiper 20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wiper shaft 240 by the above-described elastic force to be contracted and descends toward the target surface 400.

다시말해, 전술한 바와 같은 와이퍼축(240) 및 와이퍼 스프링(280)이 구비된 구조는 대상면(400) 중 집광 패널과 같은 표면에 구조적으로 수직 항력을 부여하는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wiper shaft 240 and the wiper spring 280 as described above is for providing a structure that imparts a structural normal force to a surface, such as a condensing panel, of the object surface 400.

와이퍼(201)가 대상면(400)에 대하여 수직 항력을 부여하지 않은채로 레일 유닛(100)을 따라 단순히 왕복하기만 하면, 와이퍼(201)와 대상면(400) 사이에 형성될 우려가 있는 간격을 통해 눈과 같은 이물질이 새어나가게 되어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If the wiper 201 is simply reciprocated along the rail unit 100 without imparting a perpendicular force to the object surface 400, the gap between the wiper 201 and the object surface 400 The foreign matter such as snow leaks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특히, 눈이 얼어 얼음이 되어버린 경우, 이러한 얼음과 같은 이물질이나 작은 빙정(氷晶)과 와이퍼(201)가 접촉하면, 대상면(400)에 대한 수직 항력이 없을 경우에는 와이퍼(201)가 전술한 바와 같은 성질을 가진 이물질을 그대로 미끄러져 타고 넘어가버리기 때문에 수직 항력을 인위적으로 만들어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Particularly, when the snow is frozen and becomes ice, when a foreign object such as ice or a small ice crystal comes in contact with the wiper 201, if there is no vertical drag on the object plane 400,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tructure that can artificially create a vertical drag force because the foreign substance having the above-mentioned properties is slipped and ran away as it is.

따라서, 도 13과 같은 와이퍼축(240) 및 와이퍼 스프링(280)이 부가된 구조는, 와이퍼(201)에 의한 이러한 수직 항력을 대상면(400)에 인위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전술한 간격을 통하여 이물질이 새어나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이물질을 대상면(400)으로부터 확실하고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structure in which the wiper shaft 240 and the wiper spring 280 are attached as shown in Fig. 13 artificially imparts such a vertical drag force by the wiper 201 to the object surface 400,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cleanly remov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object surface 40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대상면에 쌓인 눈이나 이물질을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technical idea to provide a foreign substance layering prevention device which can reliably and efficiently remove snow and foreign matter accumulated on various kinds of object surfaces.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레일 유닛
100a...제1 레일 유닛
100b...제2 레일 유닛
110...제1 레일 바
110g...제1 레일홈
111...제1 본체편
112, 112...제1 격편
120...제2 레일 바
120g...제2 레일홈
121...제2 본체편
122, 122...제2 격편
130...제1 풀리 케이스
131...제1 고정돌편
132...제3 고정돌편
140...제2 풀리 케이스
141...제2 고정돌편
142...제4 고정돌편
150...모터 케이스
200...제거 유닛
201...와이퍼
201a...제1 와이퍼
201b...제2 와이퍼
210...제1 프레임
220...제2 프레임
230...제3 프레임
240...와이퍼축
241...연장 리브
250...연결편
251...연통홀
260...회동 브라켓
270...돌출 리브
280...와이퍼 스프링
300...구동전달 유닛
301...기어이
310...모터
311...구동축
320...구동 풀리
321...제1 축 결합홀
330...종동 풀리
331...제2 축 결합홀
332...종동 키 대응 리브
340...벨트
350...모터 지지대
351...지지편
360a...제1 풀리 구동축
360b...제2 풀리 구동축
361...제1 구동 키 단차부
362...제2 구동 키 단차부
370a...제1 풀리 종동축
370b...제2 풀리 종동축
371...제1 종동 키 단차부
372...제2 종동 키 단차부
400...대상면
410...이물질
500...하우징
600...레일 카트
610...상부 이동자
611...제1 체결블록
612...제2 체결블록
613...상부 이동본체
614...블록고정 오목부
615...조정홀
616...밀착 리브
620...하부 이동자
621...하부 이동 본체
622...벨트고정 블록
623...벨트 가이드 리브
700...센서
800...컨트롤러
100 ... rail unit
100a ... first rail unit
100b ... second rail unit
110 ... first rail bar
110g ... first rail groove
111 ... first body piece
112, 112 ... First Ride
120 ... second rail bar
120g ... 2nd rail groove
121 ... second body piece
122, 122 ... second part
130 ... first pulley case
131 ... first fixed stone
132 ... third fixed stone
140 ... second pulley case
141 ... second fixed stone
142 ... Fourth Fixing Stone
150 ... motor case
200 ... removal unit
201 ... wiper
201a ... first wiper
201b ... second wiper
210 ... first frame
220 ... 2nd frame
230 ... third frame
240 ... wiper shaft
241 ... extension rib
250 ... connecting piece
251 ... communication hole
260 ... rotation bracket
270 ... protruding rib
280 ... wiper spring
300 ... drive transmission unit
301 ... Gear
310 ... motor
311 ... drive shaft
320 ... driven pulley
321 ... first shaft coupling hole
330 ... driven pulley
331 ... second shaft coupling hole
332 ... Rear key corresponding key
340 ... belt
350 ... motor support
351 ... supporting piece
360a ... first pulley drive shaft
360b ... second pulley drive shaft
361 ... first drive key step
362 ... second drive key step
370a ... first pulley slave shaft
370b ... second pulley type coaxial shaft
371 ... first driven key stepped portion
372 ... second driven key stepped portion
400 ... target face
410 ... Foreign matter
500 ... housing
600 ... rail carts
610 ... upper mover
611 ... first fastening block
612 ... second fastening block
613 ... upper moving body
614 ... block fixed concave portion
615 ... adjustment hole
616 ... tight rib
620 ... lower mover
621 ... lower moving body
622 ... belt fixing block
623 ... Belt guide rib
700 ... sensor
800 ... controller

Claims (10)

일정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진 대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레일 유닛;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대상면과 연통하는 제거 공간을 가지며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으로부터 말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와이퍼를 포함하는 제거 유닛; 및
상기 레일 유닛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퍼가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거 유닛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 유닛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레일 유닛의 타단부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는 구동전달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거 유닛은,
상기 와이퍼의 내측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정 가능하게 탈착 결합되며,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레일 카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카트는,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를 상호 연결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벨트의 내주면 중, 제2 레일홈과 마주보는 내주면에 하부가 밀착 고정되는 상부 이동자와,
상기 제2 레일홈과 마주보는 내주면의 외측인 외주면에 상부가 밀착되어 상기 상부 이동자에 고정되는 하부 이동자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의 연결편은, 상기 상부 이동자의 양측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대상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상기 대상면의 바깥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A rail unit dispos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targe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width;
And a wip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ail uni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having a removal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target surface and gradually becoming narrower from both sides of the rail unit toward the distal end, unit; And
And a wip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ail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removal unit side so that the wiper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nd a drive transmission unit including a drive pulley disposed at one end, a driven pulley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rail unit and rotatable, and a belt interconnecting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Wherein the removal unit comprises:
A connecting piece formed at an inner end edge of the wiper,
And a rail c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ng piece so as to be positionally adjus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iece and being reciproc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The rail cart includes:
An upper mover having a lower portion closely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second rail groove, the upper mover being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And a lower mov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second rail groove and fixed to the upper mover,
The connecting piece of the wiper is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mover,
Wherein the wiper removes a foreign substance stacked on the object surface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to the outside of the object surfa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상면의 일측에 장착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대상면 상에 이물질 적층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 및 상기 제거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실시간 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제거 유닛의 상기 와이퍼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대상면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평행하게 이격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object surface to detect whether a foreign object is stacked on the object surface in real time,
And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the removal unit to receive the real-tim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and transmit a movement signal to the wiper of the removal unit,
Wherein the rail units are mounted with a plurality of parallel spaced apart porti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bject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상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와이퍼를 수용하는 수납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mounted on one side of the object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rail unit to form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wip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상기 벨트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레일 유닛을 따라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per is connected to the belt and reciprocates along the rail unit in conjunction with forward and reverse rotations of the mo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유닛은,
상기 대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대상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레일홈이 형성된 제1 레일 바와,
상기 제1 레일 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홈과 마주보는 제2 레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레일 바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제1 레일 바 및 상기 제2 레일 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 바 및 상기 제2 레일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unit includes:
A first rail bar disposed on the object surface and having a first rail groov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surface,
And a second rail ba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ail bar and having a second rail groove facing the first rail groov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Wherein the wiper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rail bar and the second rail bar and is reciproc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ail bar and the second rail ba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상기 레일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유닛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각각의 말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per
A first frame formed parallel to the rail unit so as to be mov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unit,
A second frame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nd a third frame connected to an end of each of the second frames and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거 유닛은,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과 상기 와이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퍼를 상기 레일 유닛의 양측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와이퍼축과,
상기 와이퍼축과 상기 와이퍼 사이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가 상기 대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와이퍼축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와이퍼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moval unit comprises:
A wiper shaft disposed between both sides of the rail unit and the wiper and rotatably coupling the wiper to both sides of the rail unit,
Further comprising a wiper spring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wiper shaft and the wiper so as to be elastical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wiper shaft and the wiper so as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toward the wiper shaft so that the wip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surfac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상면은,
건축물의 지붕, 태양광 모듈의 집광 패널, 건축 구조물의 유리 표면, 상기 건축물의 경사진 지붕, 경사지의 인도 또는 상기 경사지의 도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rget surface
A roof of a building, a light collecting panel of a solar module, a glass surface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an inclined roof of the building, a guide of an inclined ground, or a road of the inclined ground.
KR1020170064187A 2017-05-24 2017-05-24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KR101837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187A KR101837572B1 (en) 2017-05-24 2017-05-24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JP2017122109A JP6231714B1 (en) 2017-05-24 2017-06-22 Foreign matter stacking prevention device
PCT/KR2018/005620 WO2018216950A1 (en) 2017-05-24 2018-05-16 Apparatu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187A KR101837572B1 (en) 2017-05-24 2017-05-24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572B1 true KR101837572B1 (en) 2018-03-14

Family

ID=6032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187A KR101837572B1 (en) 2017-05-24 2017-05-24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31714B1 (en)
KR (1) KR101837572B1 (en)
WO (1) WO2018216950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988B1 (en) * 2019-05-07 2019-09-23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Automatic washing system using storm water with gravity driven membrane filter
WO2020059933A1 (en) * 2018-09-21 2020-03-26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foreign material
KR20200035623A (en) * 2018-09-27 2020-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rin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2059B (en) * 2020-07-14 2021-10-29 山东沂南园区开发建设有限公司 Intelligent house outer wall cleaning equipment based on roof
CN112170291A (en) * 2020-10-12 2021-01-05 长乐智睿恒创节能科技有限责任公司 Heat-actuated snow accumulation prevention type outdoor transform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106B1 (en) * 2012-11-14 2013-04-02 유한회사 주왕산업 The washing device of pannel of solar heat generator
JP2014022524A (en) * 2012-07-17 2014-02-03 Koichi Nakagawa Cleaning device for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928Y2 (en) * 1987-04-17 1991-11-18
JPH035581A (en) * 1989-06-01 1991-01-11 Marutomi Denki Sangyo Kk Automatic snow plough device
KR19990016223U (en) * 1997-10-24 1999-05-25 정몽규 Wiper push pressure variable regulator
US6578890B1 (en) * 1998-06-18 2003-06-17 Blaine Gilmore Snow grabber
DE102005013696B3 (en) * 2005-03-08 2006-04-06 Rainer Gutjahr Snow clearance installation for roofs has pulley system with continuous cable to pull a clearing body over the roof surface whose wedge shape pushes the snow down off the roof
US7540056B2 (en) * 2005-10-31 2009-06-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ing tool
JP2007247370A (en) * 2006-03-13 2007-09-27 Koshiro Mori Snow removing method and its device
JP2009209667A (en) * 2008-03-04 2009-09-17 Takahashi Knit:Kk Automatic snow plow
JP2014051812A (en) * 2012-09-07 2014-03-20 Yoshiaki Shinoda Snow removal wiper for roof
JP2014173344A (en) * 2013-03-09 2014-09-22 Hiroisa Koizumi Various automatic snowplows operated by mobile phone, and carpet with built-in waterproof cord heater
US20160185319A1 (en) * 2013-08-19 2016-06-30 Gangxing TAN Transverse windshield wip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2524A (en) * 2012-07-17 2014-02-03 Koichi Nakagawa Cleaning device for solar power generation panel
KR101250106B1 (en) * 2012-11-14 2013-04-02 유한회사 주왕산업 The washing device of pannel of solar heat gener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33A1 (en) * 2018-09-21 2020-03-26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foreign material
KR20200035623A (en) * 2018-09-27 2020-04-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rine structure
KR102449050B1 (en) * 2018-09-27 2022-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rine structure
KR102023988B1 (en) * 2019-05-07 2019-09-23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Automatic washing system using storm water with gravity driven membrane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6950A1 (en) 2018-11-29
JP6231714B1 (en) 2017-11-15
JP2018198520A (en)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72B1 (en)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CN103731092B (en) A kind of solar panels dust-proof snow defence system
KR102313508B1 (en) Operation And Maintenance System of Solar Panel Power Plant Through IoT-based Smart Sensor
US20190009313A1 (en) Robotic waterless cleaning and inspection system with an assistive robotic docking train system and method
KR101919946B1 (en) Automatic Cleaning System using Smart Environment Sensor
CN204231282U (en) Be applicable to the automatic snow-removing device of extremely frigid zones roof photovoltaic power station
CN103495575A (en) Solar cell panel cleaning system
CN206759385U (en) A kind of photovoltaic module automatic snow-melting defroster
KR102313507B1 (en) Auto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System of Solar Panel Power Plant Through IoT-based Smart Sensor
CN105680789A (en) Automatic cleaning system for solar cell panel
CN105703703A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for solar cell panel
KR102066873B1 (en) Solar power system with snow melting function
KR102165533B1 (en) Unmanned robot for structural diagnosis using surface cleaning function and vibration sensor
KR101570457B1 (en) Snow removing equipment of solar panel for collapse prevention
CN103104071A (en) Intelligent snow-removing and solar-protection device
KR101965812B1 (en) Solar Panel Cooling System
KR101793558B1 (en)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CN101318183B (en) Device for removing snow and ice of solar cell module
CN203265163U (en) Solar panel automatic snow removing device
CN201339151Y (en) Electric-heating snow melting device for railway switch
KR101191362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amage of tracking type photovoltaic panel support
KR101993160B1 (en) Preveting apparatus for accumulation of alien substance
CN105700482A (en) Multi-snowplow operation real-time monitoring system
KR10235031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olar Pannel Cleaning
KR101988029B1 (en) Robot Apparatus for Cleaning Photovoltaic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