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428B1 -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 Google Patents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428B1
KR101836428B1 KR1020160165606A KR20160165606A KR101836428B1 KR 101836428 B1 KR101836428 B1 KR 101836428B1 KR 1020160165606 A KR1020160165606 A KR 1020160165606A KR 20160165606 A KR20160165606 A KR 20160165606A KR 101836428 B1 KR101836428 B1 KR 101836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illuminance
observ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6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태백
나경현
오승훈
윤종국
Original Assignee
(주)오픈오브젝트
주식회사 리턴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오브젝트, 주식회사 리턴, 주식회사 스파이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오픈오브젝트
Priority to KR102016016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4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A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includes a terminal worn by a subject and a cradle put in the place of the subject. The terminal includes a sensor part for collecting stat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or activity state of the subject and illuminance around the terminal, and a first communication par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part to the management server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The cradles comprise an illuminance sensor for collecting the illumination of the place and a second communication part for transmitting the collected illuminance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transmits illumin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lonely death of the subject occurs or there is the risk of lonely death based on the illuminance.

Description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본 발명은 웨어러블 IoT 단말기 이용하여 독거 노인 등의 고독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실제 고독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후속 조치가 가능하게 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managing a solitary manuscript, which is applied to a solitary managment management system which predicts the possibility of solitary death by the wearable IoT terminal,

IT 의 빠른 발전은 많은 사회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급속한 발전과 변화하는 IT 의 환경 속에서 사회복지분야는 국민의 최소한의 생계유지와 편의성, 삶의 기본권을 보장한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직접적인 복지 서비스를 위해 외부로부터의 재정적 지원을 집행하기 어렵고 IT 를 단지 업무에 보조적인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rapid development of IT is causing many social changes. In this rapidly developing and changing environment of IT, social welfare field plays an important role in guaranteeing people's basic livelihood, convenience and basic lif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financial support from the outside for welfare services, and IT is recognized as a supplementary area for business.

우리나라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선진국형 노인복지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등의 고독사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 담당자의 민원 업무 처리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 사회복지사 및 방문간호사의 인력 부족과 서비스 한계를 해결하고, 독거노인 복지 서비스를 사회적 약자를 위한 대민 서비스로의 연계, 발전 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Korea is one of the fastest aging countries in the world, 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welfare services for elderly people of advanced nations. Especially, the solitary people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or persons with mobility difficulties are emerging as a social issue. In addition, the difficulties of management due to the handling of complaints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shortage of human resources and service limitations of social workers and visiting nurses, There is a need for ways to link welfare services to public servic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고독사를 예측하고 고독사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해서는 독립된 고독사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고독사 관리는 관찰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활동 상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관리는 원격 진료 시스템을 구현하거나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예컨대 당뇨병 환자나 심장병 환자가 별도의 측정 센서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혈당과 심박수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원격 진료기관에 통신망을 통해 주기적으로 통지하고 이를 원격 진료 기관에서 관리하는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An independent loneliness management system is needed to anticipate loneliness and cope with loneliness. Loneliness management needs to check the health status and activity status of the observer. Thus, such management can be accomplished by implementing a telemedicine system or implementing a remote healthcare system, such as a diabetic or cardiac patient carrying a separate measurement sensor, periodically checking blood glucose and heart rate, It is related to a system that periodically notifies and administers it at a telemedicine institution.

그러나, 현재의 원격 진료 시스템은 건강과 병세에 대한 관리를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고 그 구체적인 방식 또한 이러한 관리에만 부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독거노인 등의 고독사의 경우에 대해서는 이를 예측하거나 발생을 검지할 수 있는 특화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current telemedicine system is aimed at managing health and illnesses, and its concrete method can be matched only with such management. Therefore, in case of solitary patients such as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it does not provide a specific way to do it.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 특허출원 제10-2016-0165269호(고독사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찰 대상자의 상태정보와 함께 조도정보를 수집해서 고독사 가능성을 예측하고 진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동 시스템은, 독거노인 등과 같이 고독사를 당할 우려가 있는 관찰 대상자에 대해 고독사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또한 실제 고독사 발생 시 이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system for predicting and diagnosing the possibility of solitude by collecting illuminance information together with status information of a person to be observed through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65269 (Loneliness History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predicts the likelihood of solitary confinement among observers who are likely to suffer from solitary confinement,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allows them to detect when solitary confinement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고독사 관리 시스템에 채용되어 고독사 관리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데에 최적화된 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rminal device which is employed in such a high solicitation management system and is optimized for effectively operating the high solicitation management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는, 관찰 대상자가 소지 또는 착용하는 단말기; 및 상기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에 놓여지는 크레이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for managing a solitary manuscript comprising: a terminal to be observed or worn; And a cradle which is placed at a reference point of the observation subject.

상기 단말기는: 상기 관찰 대상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관찰 대상자의 건강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단말기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1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1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상기 상태정보와 상기 제1조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고독사 관리용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제1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알림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The terminal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allowing the observer to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A sensor unit including a first illuminance sensor for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or activity status of the observer and for collecting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by measuring illuminance around the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first roughnes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to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ement of a high dissimilari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notification message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준거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2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2조도센서; 및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한다.A second illuminance sensor for collecting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by measuring illuminance of the second illuminan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제2조도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관찰 대상자의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The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radle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And provides information that allows the observer to determine whether to observe the observer or the observer.

상기 입력부는, 상기 관찰 대상자가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긴급버튼을 포함한다.The input unit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for inputting an instruction to inform that the observ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상기 입력부는, 상기 관찰 대상자가 상기 준거지로부터 이탈된 지역으로 장기간 이동된 상태임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이동버튼을 포함한다.The input unit includes a move button for inputting a command indicating that the observer is in a state of being moved for a long period to an area devia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상기 이동버튼을 통해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조도정보를 토대로 고독사 여부를 판단한다.As the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ove button,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o solicit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includes a position sensor for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단말기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통신 또는 NFC 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제2조도정보를 전송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by direct contact with the terminal or near-field communication by NFC.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제2조도정보와 함께 상기 크레이들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제2조도정보와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uniqu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rayers together with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and the uniqu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크레이들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 개시됨에 따라 연결 전의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connection to the terminal as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cradle.

본 발명에 따르면, 독거노인 등과 같이 고독사를 당할 우려가 있는 관찰 대상자에 대해 고독사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또한 실제 고독사 발생 시 이를 검지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에 최적화되어, 상기 고독사 관리 시스템에 의한 효과적인 고독사 관리가 가능한 단말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loneliness for a subject who is likely to suffer from loneliness,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optimize the loneliness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loneliness,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managing the solicitation by the user is provid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관리 시스템의 IoT 를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서비스 주체의 업무 효용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3 의 구성에 의해 수행되는 각 플랫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6 은 도 5 의 프로세스에서 추출, 수집, 가공되는 데이터의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예측, 진단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11 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조회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도 12 는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3 은 도 12 의 단말기의 사시도.
도 14 는 도 13 의 부분 후면도.
도 15 는 도 12 의 크레이들의 사시도.
도 16 은 도 12 의 단말기와 크레이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service platform using IoT of a solicit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utility of each service su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form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each platform performed by the configuration of Fig. 3; Fig.
Figure 5 illustrates the overall service flow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the flow of data extracted, collected and processed in the process of FIG. 5;
7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redicting and diagnosing a high solitary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exemplary views of an interface screen viewed by an administrator or a user;
12 is a diagram show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d by a person to be observed;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of Fig. 12;
Fig. 14 is a partial rear view of Fig. 13; Fig.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radle of Figure 12;
FIG.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nd cradle of FIG. 12;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먼저 도 1 내지 도 11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가 최적 사용되는 고독사 관리 시스템을 기술하며, 이 내용은 전술한 특허출원 제10-2016-0165269호(고독사 관리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하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terminal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11, which i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165269 System).

본 발명의 단말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여 기술한다.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nd FIG.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관리 시스템의 IoT 를 이용한 서비스 플랫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IOT 응용서비스 플랫폼은 국제표준인 oneM2M과 정부인터넷 3.0에서 만든 정부표준 플렛폼 MOBIUS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지자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경량화 하였고, Spark SQL과 Mongo DB를 이용해 빅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며 확장성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rvice platform using IoT of the solicit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was developed based on the oneM2M international standard and the government standard platform MOBIUS created in the government internet 3.0, and it was lightened to be used by the local government, and can be processed with Spark SQL and Mongo DB. .

Data Mining을 통해 수집된 고독사 관찰 대상자와 관련한 정보를 의미 있는 정보로 분석/추출/가공하고, Machine Learning을 통해 관찰 대상자의 주요 이동경로, 활동량 패턴, 고독사 예측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한다. 지자체담당자는 선진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관할 주민센터의 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찾아가는 “원스톱 복지 서비스 실현”이 가능하고, 주민센터 담당자는 과도한 민원 업무에도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복지업무 집중화와 효율성, 신속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와 방문간호사는 방문 시 대상자의 부재로 인한 리스크 감소 및 건강상태와 고독사 위험 여부를 사전 확인을 통해 방지할 수 있어, 대상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2 참조)Analyze / extract / process information related to observers collected through data mining as meaningful information, and monitor and analyze the main movement path, activity pattern, and solicitation prediction information of the observer through machine learning. One-stop welfare service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local welfare service, advanced welfare service, and grasp the situation of the local resident center at a glance. Residents' center staff can concentrate on welfare service and efficiency , Social workers and visiting nurses are able to prevent risk reduction, health status and risk of loneliness due to the absence of the subject at the time of visit. . (See Fig. 2)

도 3 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IoT Device 는 독거노인, 치매노인, 어린이, 여성 등과 같은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고, WAN Network Server 는 이 단말기로부터 관찰 대상자의 상태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분석하는 서버이다. WAN Network Server 는 망 연동 솔루션을 통해 외부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서의 외부망은 지자체나 사회복지사 등이 사용하는 단말기에 분석 결과를 제공하여주는 망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WAN Network 는 독립망(자가망)으로 구성되며, 독립망이란 지자체(시, 군, 구 등), 산업단지, 건설현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해당 지역만을 커버하는 별도의 통신망을 의미한다.3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configuration form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Device is a terminal used by observers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elderly with dementia, children, women, etc., and the WAN Network Server is a server for receiving and analyz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observer from the terminal. The WAN Network Server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through the network interworking solution. In this case, the external network provides the analysis result to the terminals used by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worker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N network is composed of an independent network (self network), and the independent network is a separate network (network) covering only the corresponding area in a place such as a municipality (city, .

도 4 는 도 3 의 구성에 의해 수행되는 각 플랫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마이닝 단계에서는 단말기에 장착된 GPS 장비, 조도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가 감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처리 후 주요 이동/활동량 패턴을 분석하고 고독사 예측 알고리즘을 적용한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each platform performed by the configuration of Fig. 3. Fig. In the data mining stage,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ed by various sensors such as GPS equipment installed in the terminal, illuminance sensor, etc. is collected, and the major movement / activity pattern is analyzed after the big data processing, and the soliciting prediction algorithm is applied.

수집 및 분석되는 정보는 활동량 종합정보(일간/주간/월간 활동량, 연령대별 평균 활동량), 위치 종합정보(주요 이동 패턴, 주요 활동 반경), 알림메시지 현황(알림메시지 처리 현황, 음성메시지 수신 현황), 설정관리(긴급 스케쥴 제어, 약 복용시간 관리, 부재기간 관리) 등이 있다. 서비스 관리자는 사용자 관리(사용자, 서비스 대상자), 자산관리(자산 원장, 불량 장비), 메시지 관리(알림 메시지, 음성 메시지), 데이터 관리(사용자, 서비스 대상자), 의사소통(공지사항, FAQ, Q&A) 등의 관리가 가능하며 이러한 관리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받는다.Information collected and analyzed includes activity information (daily / weekly / monthly activity amount, average activity amount per ages), location comprehensive information (major movement pattern, major activity radius), notification message status (notification message processing status, , Setting management (emergency schedule control, medication time management, absence period management), and the like. The service manager is responsible for managing user (user, service target), asset management (asset ledger, bad equipment), message management (notification message, voice message), data management (user, service target person), communication (notice, ) Can be managed and provided with data for such management.

도 5 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service flow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수집한 상태정보(센서정보)는 관리서버로 전달되고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데이터 마이닝, 빅데이터 처리, 및 고독사 예측 알고리즘의 적용에 의해 분석되며, 분석된 데이터는 관찰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전달된다. 또한 지자체 담당자는 사회복지사 등에게 분석 결과가 전달되고 이들의 수집 주기 변경 등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 수집 조건이나 환경이 변경 요청되면 이를 반영하여 관리서버를 통해 전달하여, 이 요청이 단말기에 적용되도록 한다.The stat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terminal used by the observer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analyzed through application of data mining, big data processing, and solicitation prediction algorithm through the service platform, To the caregiver of Also, when the analysis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ocial worker or the like and the data collecting condition or the environment is requested to be changed by a request such as the change of the collection period, the local government person is reflected on the data collecting condition or environment and transmitte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the request is applied to the terminal .

사회복지사에게 전달되는 돌봄서비스 정보는 현 위치 정보, 주요 이동 동산 정보, 활동량 임계치 알림 통보, 활동량 정보(기간별, 시점별 활동량) 등을 포함하고, 지자체 담당자에게 전달되는 예방서비스 정보는 활동량 패턴 정보, 고독사 예방 정보(특히 조도 변화량을 토대로 분석된 정보), 활동량과 고독사와 관련한 임계치 관리 정보 등을 포함하며, 보호자에게 전달되는 안심서비스 정보는 현 위치 정보, 주요 이동 동선 정보, 활동량 정보(기간별, 시점별 활동량), 알림통보 정보, 사회복지사 돌봄 현황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care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ocial worker includ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major mobile movement, the alert notification of the activity amount threshold, the activity amount information (the amount of activity per period and the time point), and the preventive servic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local governor, And the threshold manage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tivity amount and the solitude. The safety service information delivered to the caregiver inclu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jor mobile movement information, activity amount information (periodical, Activity amount per time point), notifica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social worker care status information.

도 6 은 도 5 의 프로세스에서 추출, 수집, 가공되는 데이터의 플로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추출은 주로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된다. 단말기에는 GPS 센서, 조도 센서 등이 장착되어 데이터를 센서에 의해 수집하고, 이 데이터는 관리서버에 의해 수집된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data extracted, collected, and processed in the process of Fig. The data extraction is performed mainly by the terminal used by the observer. Th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GPS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etc., and collects data by the sensor, and this data is collected by the management server.

수집된 데이터는 단말기 데이터, 크레이들 데이터, 사용자 반응 데이터로 구성된다. 단말기 데이터는 배터리정보(배터리 잔량 값), 위치정보(데이터 전송 시점에 위치 값), 활동량정보(이전 데이터 전송 시점 부터 현재 데이터 전송 시점까지 누적된 걸음 수로서 10분 단위로 기록) 등을 포함한다. 크레이들은 단말기와 쌍을 이루는 기기로서, 단말기가 안착되어 단말기의 충전 등을 담당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크레이들에 수집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단말기가 이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크레이들은 일반적으로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주거하는 집이나, 장기 여행시 여행지)에 비치된다. 크레이들 데이터는 크레이들에 장착된 조도 센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반응 데이터는 사회안전 서비스 포탈에서 단말기로 전송된 알림 정보를 확인한 경우 추출되며, 약 복용 시간 알림(반복적으로 알림 발생), 음성 메시지 알림(지자체 담당자에 의해 필요 시 발생) 등을 포함한다.The collected data consists of terminal data, cradle data, and user response data. The terminal data includes battery information (battery remaining amount value), position information (position value at the time of data transmission), activity amount information (recorded in 10-minute increments from the previous data transmission time to the current data transmission time) . The cradle is a device paired with the terminal. The cradle functions to charge the terminal and settles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cradle transmits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cradle to the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 The crayons are usually placed on the subject of observation (the house you are staying in or a trip in a long trip). The cradle data includes illuminance sensor information mounted on the cradle. The user response data is extracted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ocial security service portal to the terminal is confirmed, and includes a medicine taking time notification (repeated notification) and a voice message notification (if necessary by the local authority).

관리서버는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이동경로, 이동패턴, 일일 운동량, 연령/성별 평균 운동량, 상태변화 정보 등을 분석하여 도출한다.  The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movement path, the movement pattern, the daily momentum, the average momentum of the age / sex, and the state change information through such data.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예측, 진단의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redicting and diagnosing a high solitary y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고독사 예측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은 서비스 대상자에게 지급된 휴대용 단말기와 크레이들에서 추출되는 여러 센싱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서비스 대상자가 48시간 동안 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고독사 위험이 예측되었음을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센싱 데이터는 앞장에서 기술된 데이터 중 사용자 반응 데이터, 위치 데이터, 운동량 데이터, 조도 데이터이다.The basic concept of the solitary prediction algorithm is a method of analyzing various sensing data extrac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radle provided to the service person and notifying the service person that the risk of loneliness is predicted when the change is not detected for 48 hours. In this case, the sensing data mainly used are user reaction data, position data, momentum data, and illuminance data among the data described in the previous chapter.

도 7 의 각 단계별 내용은 하기와 같다.The contents of each step of FIG. 7 are as follows.

① 센싱 데이터 등록① Sensing data registration

단말기로 부터 센싱 데이터가 추출됨. 고독사 예측 알고리즘 시작.Sensing data is extracted from the terminal. Start Solicitation Prediction Algorithm.

② 사용자 반응 정보 유무② User reaction information presence

추출된 센싱 데이터에 사용자 반응 정보 유무 확인Confirmation of user reaction information in extracted sensing data

존재할 경우 사용자가 활동 중으로 판단되므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종료됨.If it exists, it is judged that the user is active, so it ends with "⑪ safety index 100".

③ 위치 정보 변경 유무③ Whether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현재의 위치 정보가 이전 센싱 데이터 등록 시 전송된 위치 값과 다른지 여부 확인.Check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location value transferred when registering the previous sensing data.

다른 경우 사용자가 활동 중으로 판단되므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종료됨.In other cases, it is judged that the user is active, so it ends with "⑪ safety index 100".

④ 운동 정보 변경 유무④ Exercise information change

센싱 데이터에 운동량 데이터 존재 여부 확인Check whether the momentum data exists in the sensing data

존재할 경우 사용자가 활동 중으로 판단되므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종료됨.If it exists, it is judged that the user is active, so it ends with "⑪ safety index 100".

⑤ 조도 정보 여부⑤ Whether illuminance information

센싱 데이터에 조도 데이터 존재 여부 확인Check whether there is illumination data in the sensing data

존재하지 않을 경우 “⑧ 안전지수 차감” 으로 이동If it does not exist, go to "⑧ Decrease in Safety Index"

⑥ 조도 정보 변경 범위 측정⑥ Measurement range of illumination information change

조도 정보는 댁내의 밝기를 측정한 값이므로 수시로 변경이 발생함. 따라서 이전 3일 정도의 변화량을 측정 하여 범위 안에서의 변화인지를 판단함.Since the brightness information is the measured brightness of the house, the change occasionally occ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change amount of the previous 3 days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is within the range.

⑦ 변경 허용치 값 여부⑦ Whether the value of change allowable value

변화량이 평균 측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댁내에서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되므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종료됨.If the amount of change is out of the average measurement range, it is judged that there is movement in the house, so it ends with "⑪ safety index 100".

⑧ 안전지수 차감⑧ deduction of safety index

서비스 대상자에게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므로 안전지수를 100에서 차감하기 시작함.Since the change is not detected in the service target, the safety index starts to be deducted from 100.

안전지수는 100에서 0까지 표시되며, 총 48시간 동안 5분 단위로 차감됨.The safety index is displayed from 100 to 0 and is deducted in 5-minute increments for a total of 48 hours.

추가로 등록된 센싱 데이터로 부터 변화 상태 감지 시 “⑪ 안전지수 100” 으로 이동함.Moving from the registered sensing data to "⑪ safety index 100" when detecting the change status.

⑨ 안전지수 값 0 체크⑨ Safety index value 0 check

현재 안전지수 값이 0인지 체크함. 안전지수 값이 0인 경우 “⑫ 고독사 위험 발생” 으로 이동함.Check whether the current safety index value is 0. If the safety index value is 0, it moves to "⑫ Risk of solitude".

⑩ 5분 주기로 체크⑩ Check every 5 minutes

서비스 대상자 중 안전지수 값이 차감되기 시작하면, 매 5분마다 상태를 체크하여 변화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지속적으로 차감이 발생함.When the safety index starts to be deducted from the service, the status is checked every 5 minutes, and if the change is not detected, it is deducted continuously.

⑪ 안전지수 100서Safety index 100

비스 대상자가 활동 중으로 판단됨.The visitor is judged to be active.

⑫ 고독사 위험 발생⑫ Risk of loneliness

안전지수 값이 0으로 48시간 동안 서비스 대상자로 부터 변화가 감지 되지 않았으므로 긴급히 방문하여 확인이 필요함.The safety index value was 0 and the change was not detected from the service subject for 48 hours, so urgent visit and confirmation is required.

이러한 처리 과정에서 각 업무 수행 주체에게 제공되어 조회 및 필요한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화면들이 도 8 내지 11 에 예시되어 있다.Screens that are provided to each task performing entity in the course of this process and enable inquiry and necessary manipulation are illustrated in Figures 8-11.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시스템에 최적화되도록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해 기술한다.Hereinafter,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optimized to the above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12 내지 도 15 는 관찰 대상자가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 은 도 12 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s. 12 to 15 are diagrams showing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d by a person to be observed, and Fig.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Fig.

본 발명에 따른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는 단말기(10)와 크레이들(20)로 구성된다. (도 12) 단말기(10)는 관찰 대상자가 소지 또는 착용하고 다니는 기기이고, 크레이들(20)은 단말기와 쌍을 이루어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에 놓여지는 기기이다.The terminal for managing solitary manuscri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rminal (10) and a cradle (20). (Fig. 12) The terminal 10 is a device to be observed or worn by a person to be observed, and the cradle 20 is a device placed in a paired relationship with the terminal and placed in the vicinity of the observer.

단말기(10)는 소지하기 편한 크기로 제작되며 목걸이 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고리를 통해 목에 걸고 다니기 편하게 구성된다.(도 13) 단말기(10)의 전면에는 비상 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긴급하게 누르기 편하도록 구성된 비상버튼이 마련된다. 또한 단말기(10)에는 알림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나 스피커가 마련된다.(도 13 및 도 14) 크레이들(20)은 단말기(10)를 충전하기 위해 안착시킬 수 있도록, 또는 단말기 미사용시 크레이들(20)에 안착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단말기의 외형에 부합되는 함몰된 수용부를 갖도록 구성된다.(도 15)The terminal 10 is made in a size that is easy to carry and is configured as a necklace ty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ang around the neck through the neck (Fig. 13). In the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The emergency button is provided. In addition, the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or a speaker for visually displaying a notification message (Figs. 13 and 14). (Fig. 13 and Fig. 14) The cradle 20 can be used to seat the terminal 10 for charging, And is configured to have a recessed accommodating portion conform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terminal so as to be stored in the seaclays 20 (Fig. 15)

이하, 도 16 을 참조하여, 단말기(10)와 크레이들(20)의 내부 구성을 기술한다.16,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0 and the cradle 20 will be described.

단말기(10)는 입력부(11), 센서부(13), 제1통신부(15), 및 표시부(17)를 구비한다.The terminal 10 includes an input unit 11, a sensor unit 13, a first communication unit 15, and a display unit 17.

입력부(11)은 관찰 대상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명령 입력을 위한 버튼 외에, 상기한 긴급버튼과 이동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긴급버튼은 관찰 대상자가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동버튼은 관찰 대상자가 준거지로부터 이탈된 지역으로 장기간 이동된 상태임을(예컨대 여행 중이거나 친지 댁을 장기간 방문하는 중인 경우 등의 상태임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다.The input unit 11 is a configuration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command by a person to be observed, and may include the urgent button, the movement butto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general command input button. The emergency button is a button for inputting an instruction for notifying that the observ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 move button is a button for inputting a command informing that the observer is in a state of being moved for a long time from the place where the observer has left the place (for example, a state such as traveling or long-term visit to a friend's house).

센서부(13)는 관찰 대상자의 건강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각종 센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의료 목적의 건강 관리용 단말기라면 체온, 심박수, 혈압, 혈당 등을 측정하는 센서가 중요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고독사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로서,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센서, 및 단말기(10)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1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1조도센서를 포함한다.The sensor unit 13 includes various sensors for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or activity status of the observer. A senso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heart rate,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the like is important if it is a terminal for healthcare in general medical purpos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illuminance around the terminal 10 and collecting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제1통신부(15)는 센서부(13)에서 수집한 상태정보와 제1조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고독사 관리용 관리서버(3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30)로부터 전송받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first roughnes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13 to the management server for management 30 for high dodging administr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sends a notificat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 .

표시부(17)는 제1통신부(15)가 수신한 알림메시지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7 displays a notification message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

크레이들(20)은 충전부(21), 제2조도센서(23), 및 제2통신부(25)를 구비한다. 충전부(21)는 단말기(10)가 크레이들(20)에 안착된 상태에서 단말기(10)를 충전한다. 제2조도센서(23)는 준거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2조도정보를 수집한다. 제2통신부(25)는 제2조도정보를 단말기(10)의 제1통신부(15)로 전송한다. 제2통신부(25)는, 단말기(10)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통신 또는 NFC 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단말기(10)로 제2조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radle 20 has a charging unit 21, a second illuminance sensor 23,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5. The charging unit 21 charges the terminal 10 while the terminal 10 is seated on the cradle 20. [ The second illuminance sensor 23 measures the illuminance of the second illuminant and collec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 of the terminal 1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 can transmit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by the direct contact with the terminal 10 or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y the NFC.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단말장치에서, 단말기(10)는 자신이 측정한 제1조도정보 또는 크레이들(20)로부터 전송받은 제2조도정보를 제1통신부(15)를 통해 관리서버(3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30)가 제1조도정보 또는 제2조도정보를 토대로 하여 관찰 대상자의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In the terminal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terminal 10 transmits the first roughness information measured by itself or the second roughn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radle 20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section 15 The management server 30 function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enables the observer to determine whether to observe the observer or the degree of risk of the observer based on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단말기(10)는 관찰 대상자가 소지 또는 착용하고 다니며, 관찰 대상자의 건강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한다. 단말기(10)는 제1조도센서를 통해 단말기(10) 주변의 조도정보인 제1조도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제1조도정보는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The terminal 10 collects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or activity status of the observer who is or is worn by the observer. The terminal 10 collects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which is illuminance information around the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illuminance sensor. The collected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크레이들(20)은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에 놓여지며, 단말기와 쌍을 이루는 기기이다. 여기에서 "준거지" 관찰 대상자가 주로 위치하는 곳을 의미하며, 사전적 의미의 준거지와는 상이한 개념일 수 있다. 준거지는 주로 자택일 것이나 관찰 대상자의 필요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장기 여행을 가게 되어 크레이들(20)을 소지하고 여행지로 가는 경우, 준거지는 여행지가 될 것이다. 크레이들(20)은 제2조도센서(23)를 통해 준거지의 조도인 제2조도정보를 수집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하되고, 제2조도정보는 단말기(10)에 의해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 관리서버(30)는 단말기(10)로부터 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관찰 대상자의 상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관찰 대상자에게 필요한 알림 메시지를 단말기(10)로 전송하여 표시시킨다.The cradle (20) is placed at the base of the observer and is a device paired with the terminal. Here, "quasi-verse" refers to the place where the subject of observation is mainly located, and may be a concept different from the prescription of the dictionary meaning. The reference will usually be home,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observer. For example, if the observer travels on a long trip and carries the cradle 20 and travels to the destination, the destination will be the travel destination. The cradle 20 collects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which is illuminance of the quasi-station through the second illuminance sensor 23, and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 and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alyzes the status of the observer, and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observer 1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displays the notification message.

본 발명에서, 관리서버는 단말기로부터 특히 조도정보를 전송받아 소정의 기준과의 비교에 의하여 상기 관찰 대상자의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illuminanc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discriminates whether the observer is solitary or solitar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여기에서의 소정의 기준은, 단말기(10)의 제1조도센서 또는 크레이들(20)의 제2조도센서(23)가 사전에 소정 시간동안 기 측정한 조도의 평균조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크레이들(20)을 댁내의 안방에 비치하여 두는 경우, 크레이들(20)의 제2조도센서(23)는 설치된 안방 내의 조도를 약 1주일 동안 매 5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조도값을 데이터로서 수집하여 둔다. 관찰 대상자가 크레이들(20)에 단말기(10)를 충전 등의 목적으로 안착시키거나, 또는 크레이들(20)과 단말기(10)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되도록 하여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NFC)를 통해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면, 1주일간의 조도 측정값은 크레이들(20)로부터 단말기(10)로 전송되고, 관리서버(30)는 단말기로부터 이 측정값을 전송받아 조도의 평균치를 산정하여 상기 소정의 기준으로 설정한다. 제1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을 마련하는 경우라면, 관리서버(30)는 제1조도정보를 단말기(10)로부터 직접 전송받아 평균조도를 산정한다.The predetermined criterion here may include the average illuminance of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second illuminance sensor 23 of the first illuminance sensor or the cradle 20 of the terminal 10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dvance. For example, when the subject to be observed keeps the cradle 20 in the inside of the house, the second illuminance sensor 23 of the cradle 20 measures the illuminance in the installed room in every five minutes for about one week The measured illuminance value is collected as data. The object to be observed may be placed on the cradle 20 for the purpose of charging the terminal 10 or the cradle 20 and the terminal 10 may be positioned within a certain distance so that a local area network (NFC) The illuminance measurement value for one week is transmitted from the cradle 20 to the terminal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the measured value from the terminal and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of the illuminance, And is set to a predetermined standard. When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prepared using the first illuminance sensor, the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terminal 10 and calculates the average illuminance.

한편, 상기 소정의 기준은 단말기(10)의 제1조도센서 또는 크레이들(20)의 제2조도센서(23)가 사전에 소정 시간동안 기 측정한 조도의 조도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도변화는 매 조도 측정 주기마다의 실측 조도값의 데이터, 실측 조도값의 변화량, 실측 조도값의 최대치와 최소치, 실측 조도값의 평균과의 편차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 예에서와 같이 조도의 평균치를 이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구체적인 조도의 매 시간별 변화 또는 변화량 등을 이용함으로써, 기준 설정 후에는 실측되는 조도의 값과 비교할 기준이 되는 대상이 다양화되어 고독사 여부의 판별을 위한 보다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The predetermined reference may include a change in illumination intensity measured by the first illuminance sensor of the terminal 10 or the second illuminance sensor 23 of the cradle 2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ere, the roughness change may be constituted by data of actual illuminance values for every illuminance measurement period, variations of measured illuminance value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actual illuminance values, and deviations from the average of measured illuminance values. As compared with the method of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roughness as in the above example, by using the change or the amount of change of the specific roughness every hour or so, after the setting of the reference, the subject to be compared with the value of the actually measured roughness is diversified, More precise analysis is possible.

이와 같이 마련된 소정의 기준은, 그 후에 실측된 조도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 여기에서 실측된 조도정보는 또는 단말기(10)의 제1조도정보이거나 크레이들(20)의 제2조도정보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riterion thus prepared is used as a criterion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it is a high degree of solitude or a high risk of solitude through comparison with measured illuminance information thereafter. The measured illumination information may be first illumin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or second illumination information of the cradle 20.

즉, 단말기(10)에 의해 실측되는 제1조도정보는 단말기(10)로부터 관리서버(30)로 전송되고, 크레이들(20)에 의해 실제로 측정되는 제2조도정보는 단말기(10)를 통해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 단말기(10)에 의해 측정되는 제1조도정보는 관찰 대상자의 현재 위치에서의 조도를 의미하며, 크레이들(20)에 의해 측정되는 제2조도정보는 준거지에서의 조도를 의미한다. 만약, 사전에 설정된 상기 소정의 기준과의 비교에서, 단말기나 크레이들에서 실제로 측정한 제1조도정보 또는 제2조도정보의 평균값 또는 조도변화가 소정의 기준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면, 제1조도정보의 경우 단말기(10)의 위치가 평상시 관찰 대상자가 자주 가지 않는 곳에 있거나 단말기(10)의 위치 자체가 변화되지 않아 관찰 대상자가 전혀 이동이 없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고, 제2조도정보의 경우에는 크레이들(20)이 설치된 준거지에서의 조도가 평소와 현저히 다르거나 조도 변화가 전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That is,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actually measured by the terminal 10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 to the management server 30, and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actually measured by the cradle 20 is transmitted through the terminal 10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terminal 10 means the illuminance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server, and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cradle 20 means the illuminance at the reference position. If the average value or the illuminance change of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actually measured by the terminal or the cradle is much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et in advance, In the case of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duce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 does not normally move to the observation target or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 itself does not change, It can be seen that the illuminance at the stage where the cradle 20 is installed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usual level, and the illuminance is not changed at all.

만약 관찰 대상자가 고독사한 경우라면 사망한 상태에서는 댁내의 조명등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예컨대 약 2일간의 기간 동안 크레이들(20)에서 실제 측정되는 조도가 기준치로 설정된 평균조도 또는 조도변화와 현저하게 상이하거나 조도변화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관찰 대상자가 고독사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단말기(10)로부터의 조도정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관찰 대상자 주변의 환경의 조도 측정을 통해 고독사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수치화되어, 그 수치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고독사 위험"으로 진단하고, 더 높은 수준에 도달하면 "고독사 발생"으로 진단한다.(도 7 에 도시된 프로세스 참조)If the person to be observed is lonely,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lamp in the house is not performed in the state of being dead. Therefore, for example, during the period of about 2 days, the illuminance actually measured in the cradle 20 is changed to the average illuminance It is possible that the person who is observing the loneliness of the observation object is likely to have occurred. Likewise, in the case of illuminanc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0,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of an accident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illuminance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observer. This possibility is quantified so that it is diagnosed as a "danger of solitude" if the number is above a certain level, and diagnosed as "solitude death" when it reaches a higher level (see the process shown in FIG. 7).

한편, 크레이들(20)은 제2조도정보와 함께 크레이들 자신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이들의 고유정보는 제2조도정보와 함께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Meanwhile, the cradle 20 may transmit uniqu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radle itself together with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cray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together with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크레이들(20)마다 고유정보를 부여하고 해당 고유정보의 크레이들(20)의 제2조도정보를 고유정보에 매칭시켜 전송하는 경우, 관찰 대상자는 여러 곳의 크레이들(20)을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노인정에 자주 방문하는 경우, 노인정에 자신의 크레이들(20) 외에 노인정 자체에서 비치한 크레이들(20) 또는 다른 제3의 관찰 대상자가 비치한 크레이들(20)이 있을 수 있다. 이 크레이들(20)에 자신의 단말기를 안착시키거나 자신의 단말기(10)를 NFC 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면, 크레이들(10)은 통신 가능하게 연결 개시된 시점 이전의 소정 시간(예컨대 3일) 동안 수집된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30)는 관찰 대상자가 개인적으로 직접 사용하는 크레이들(20) 외에 다른 위치에 비치된 크레이들(20)에 대해서도 소정의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unique information is given to each cradle 20 and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of the cradle 20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nformation is matched to the uniqu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he object to be observe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radles 20, It can be used to implement. For example, when the observer visits the observers frequently, there may be a cradle 20 provided by the observer itself or a cradle 20 provided by another observer other than the observer's own cradle 20 have. When the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cradle 20 via the NFC, the cradle 10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ree days And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set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for the cradle 20 provid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cradle 20 directly used by the person to be observed personally.

한편,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이 설정된 기준치를 항상 토대로 하여 고독사 여부를 진단한다면,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3일 이상 여행을 가거나 친지를 방문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자신의 크레이들(20)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는 오히려 소정의 기준치가 고독사 예측과 발생의 진단에 있어서 오진단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진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말기(10)의 센서부(13)에는 GPS 장치와 같은 것으로서 위치센서를 구비하여, 위치센서가 파악한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정보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30)는 위치정보를 토대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위치가 예컨대 크레이들(20)과 인접된 위치이면 제2조도정보에 따른 기준치와 측정치를 주로 적용하고, 크레이들(20)과 멀어진 위치이면 제1조도정보에 따른 기준치와 측정치만을 적용하는 방식의 선택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iagnosed whether or not to observe solitude based on the set reference valu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observer moves away from his or her own cradle 20 due to traveling for three days or more, Rather,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may cause misdiagnosis in the diagnosis of the hypothesis and occurrence of hypoxia.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false diagnosis, the sensor unit 13 of the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such as a GPS device,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 send. When the position is adjacent to the cradle 20,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30 mainly applies the reference value and th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and the cradle 20, If the position is away, the setting can be changed so that the selective operation of the method of applying only the reference value and the measurement value according to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is performed.

이러한 방식은, 단말기(10)의 위치 파악에 기반한 방법 외에도, 예컨대 관찰대상자가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임의로 선택하는 방식 또는 사회복지사나 지자체 담당자가 관리서버에 임의로 선택하는 방식에 따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method based on the positioning of the terminal 10, this method may be configured to follow a method of arbitrarily selecting, for example, a person to be observed by operating the terminal 10, or a method of arbitrarily selecting a management server by a social worker or local governor It is possibl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의 입력부(11)에는 관찰 대상자가 준거지로부터 이탈된 지역으로 장기간 이동된 상태임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이동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관찰 대상자가 장기간 여행지로 여행을 가거나 친지 댁을 방문하여 장기간 기거할 경우, 이 이동버튼을 이용하여 이동된 위치임을 입력하여 관리서버(30)에 통지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unit 11 of the terminal 10 may be provided with a move button for inputting a command to inform that the observer has moved for a long period to an area deviating from the stationary station. For example, when the observer travels to a long-term travel destination or visits his / her relatives' home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user inputs the moved location using the move button and notifies the management server 30 of the moved location.

특히, 이동버튼은 크레이들(20)을 관찰 대상자가 소지하지 않고 이동한 경우에 대해서 활용된다. 즉, 크레이들(20)을 소지하지 않고 이동한 경우, 관리서버(30)는 크레이들(20)이 파악한 제2조도정보는 고독사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하게 된다. 왜냐하면, 준거지에 놓여 있는 크레이들(20)은 준거지에 관찰 대상자가 없는 동안은 변화가 없는 조도를 제2조도정보로서 수집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서버(30)는 이동버튼에 의해 관찰 대상자가 준거지로부터 장기간 이동된 상태임을 알리는 통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크레이들(2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단말기(10)로부터 수집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고독사 여부를 판별한다.Particularly, the movement button is utilized for the case where the cradle 20 is moved without the subject to be observed. That is, when the cradle 20 moves without carrying the cradle 20, it is inappropriate for the management server 30 to use the second roughness information obtained by the cradle 20 to judge whether or not the second roughness information is solitary. This is because the cradle 20 placed on the reference site collects the unchanged illuminance a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while the observer does not have the observer. Therefore, when a notice indicating that the observer has been moved for a long period of time has been received from the observing entity by the move button, the management server 30 can collect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terminal 10 without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radle 20 Use only information to determine if you are lone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로서:
관찰 대상자가 소지 또는 착용하는 단말기; 및
상기 관찰 대상자의 준거지에 놓여지는 크레이들;
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관찰 대상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관찰 대상자의 건강 또는 활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단말기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1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1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집한 상기 상태정보와 상기 제1조도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고독사 관리용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제1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알림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준거지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2조도정보를 수집하는 제2조도센서; 및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크레이들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1조도정보 또는 상기 제2조도정보를 토대로 하여 상기 관찰 대상자의 고독사 여부 또는 고독사 위험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A terminal apparatus for managing solitude readiness:
A terminal possessed or worn by a person to be observed; And
A cradle which is placed at a reference point of the observer;
/ RTI >
The terminal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allowing the observer to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A sensor unit including a first illuminance sensor for collec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or activity status of the observer and for collecting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by measuring illuminance around the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and the first roughnes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unit to a management server for management of a high dissimilarit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es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notification message received b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Lt; / RTI >
The cradles are:
A second illuminance sensor for collecting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by measuring illuminance of the second illuminant;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 RTI >
The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radle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or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for enabling the observer to determine whether to observe the observer's solitude or the degree of the obsession with the ob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관찰 대상자가 긴급 상황임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긴급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n emergency button for inputting a command indicating that the observ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관찰 대상자가 상기 준거지로부터 이탈된 지역으로 장기간 이동된 상태임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이동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move button for inputting a command to inform that the observer is in a state of being moved for a long period to an area devia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버튼을 통해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조도정보를 토대로 고독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solitary based on the first illumin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when the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ove butt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comprises a position sensor for acqui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단말기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통신 또는 NFC 에 의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제2조도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or near-field communication using NF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제2조도정보와 함께 상기 크레이들을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제2조도정보와 상기 고유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unique information identifying the cradles together with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and the uniqu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부는, 상기 크레이들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 개시됨에 따라 연결 전의 소정 시간 동안 수집된 상기 제2조도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독사 관리용 단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econd illuminance information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connection to the terminal as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radle.
KR1020160165606A 2016-12-07 2016-12-07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KR101836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606A KR101836428B1 (en) 2016-12-07 2016-12-07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606A KR101836428B1 (en) 2016-12-07 2016-12-07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428B1 true KR101836428B1 (en) 2018-03-13

Family

ID=6166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606A KR101836428B1 (en) 2016-12-07 2016-12-07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42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94B1 (en) * 2019-06-12 2020-02-17 아바드(주) A service system to support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KR20200094953A (en) 2019-01-31 2020-08-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gent system for preventing lonely death and detecting intrusion
KR20230127512A (en) 2022-02-25 2023-09-01 박소정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ie alone based on life pattern data
KR102637001B1 (en) 2022-11-09 2024-02-15 주식회사 다바 System for monitering lonely death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077A (en) 2014-04-18 2015-11-19 株式会社インタープロ Remote watching system and remote watch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7077A (en) 2014-04-18 2015-11-19 株式会社インタープロ Remote watching system and remote watching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953A (en) 2019-01-31 2020-08-1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lligent system for preventing lonely death and detecting intrusion
KR102077594B1 (en) * 2019-06-12 2020-02-17 아바드(주) A service system to support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KR20230127512A (en) 2022-02-25 2023-09-01 박소정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ie alone based on life pattern data
KR102637001B1 (en) 2022-11-09 2024-02-15 주식회사 다바 System for monitering lonely death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428B1 (en) Terminal Device for use in Lonely-Death Management
US10607469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fall and perimeter breach events for residents of an assisted living facility
CN103905549B (en) Health management system arranged and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computing
KR101911039B1 (en) System for managing lonely-death
CN103605911A (en) Intelligent community health care system control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1174941A (en) Bod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EP3288000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KR101695130B1 (en) Health monitoring method for silvertown membership in smart environment and system of the same
KR102231183B1 (en) Learning based life pattern recognition and monitoring of living alone system with IoT network
KR20160015431A (en) Method of emergency management based on user safety and location and system for it
KR20160101508A (en)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senior citizens
KR20150101892A (en) Electrocardiography measuring system and the measuring method
KR102187389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person in quarantine
KR102079924B1 (en) A platform system for monitoring regional senior safety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74066A (en) Patient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9110038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JP6482764B2 (en) Health management system,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health management program
KR102482152B1 (en)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user classification
Panicker et al. Design of a tele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falls of the elderly
KR20120129401A (en) Health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s
KR1025101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costomized health
KR101997225B1 (en) Care system for the old and the infirm people
KR102368158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KR20120129398A (en) Monitoring health information services to smartphone using
KR20140120468A (en) System For Providing Remote Filial Duty Agency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