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113B1 -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113B1
KR101836113B1 KR1020160105498A KR20160105498A KR101836113B1 KR 101836113 B1 KR101836113 B1 KR 101836113B1 KR 1020160105498 A KR1020160105498 A KR 1020160105498A KR 20160105498 A KR20160105498 A KR 20160105498A KR 101836113 B1 KR101836113 B1 KR 101836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service server
smart campus
lib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4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1334A (en
Inventor
윤병주
김지헌
문병인
김지형
채상학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5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113B1/en
Publication of KR2018002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3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1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04M1/72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04M1/725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 아이콘으로 표식된 대상에 대한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대상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그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대상과의 거리 및 방향을 상기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및 방향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위치와 대상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검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questing, by a predetermined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location information about an object marked with an icon on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at a user's request; And if the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superimpos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n the image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n the imag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Description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지도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학 캠퍼스 내에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캠퍼스에 특화된 부가정보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여 재학생과 방문객들에게 차별화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p service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campus that can provide differentiated information services to students and visitors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specific to a campu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n a university campus as an augmented reality And a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 수의 증가에 따라, 클라이언트(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이하, LBS 라 함)가 이동통신장비 업체, 데이터베이스 및 응용 소프트웨어 제조업체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bscribers, a Location-Based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BS) that provides a requested service around the location of a cli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s equipment manufacturers, database and application software manufacturers.

상기 LBS는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응용 시스템 및 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LBS는 기지국 단위로 클라이언트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GPS를 도입해 이용자의 위치를 더욱 세밀하게 파악해 그 위치에 맞는 각종 정보, 지도, 엔터테인먼트 등을 제공하는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The LBS can be defined as an application system and a service that accurately grasp the loca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bas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utilize it. The LBS starts with a technique of locating a client on a per-base-station basis, and develops into a technique of introducing GPS to grasp the location of a user more precisely and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maps, entertainment and the like suited to the position.

상기 LBS를 이용하여 위치 확인 및 추적, 긴급 구조, 사고 대응, 교통정보, 관광 가이드, 현장 티케팅 및 쇼핑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 등은 이미 상용화되어 있다.The LBS can provide services such as location confirmation and tracking, emergency structure, incident response, traffic information, tour guide, site ticketing and shopping, and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s are already commercialized.

그러나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위치 기반 정보를 2차원 그래픽 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데에 그치므로,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위치 기반 서비스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ocation-based service is limited to displaying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graphic or a three-dimensional graphic,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location- I was desperately demanding.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6-008030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80305

본 발명은 대학 캠퍼스 내에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캠퍼스에 특화된 부가정보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여 재학생과 방문객들에게 차별화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providing differentiated information services to current students and visitors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specific to the campu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university campus as an augmented reality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 아이콘으로 표식된 대상에 대한 위치정보를 미리 설정된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대상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면, 그 위치정보를 토대로 해당 대상과의 거리 및 방향을 상기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 및 방향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위치와 대상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검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wherei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about an object marked with an icon to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at a user's request, ; And if the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superimpos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n the image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n the image,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bjec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상기한 본 발명은 대학 캠퍼스 내에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캠퍼스에 특화된 부가정보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여 재학생과 방문객들에게 차별화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information specific to a campus is provided as an augmented realit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 a university campus, thereby providing a differentiated information service to students and visitors.

도 1은 증강현실 서비스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지도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위치인식방식에 따른 특징을 정리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지간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를 위한 화면을 예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a map;
3 is a diagram summarizing the features according to the position recognition method.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campus map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to 11 illustrate screens for a smart campus map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대학 캠퍼스 내에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캠퍼스에 특화된 부가정보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여 재학생과 방문객들에게 차별화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fferentiated information services for students and visitors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specific to the campus as augmented realit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within a university campus.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증강현실 서비스와 지도 서비스와 위치기반 서비스에 대해 먼저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 map service, and the location-based service employ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증강현실 서비스><Augmented reality service>

상기 증강현실 서비스는 가상현실 기술의 한 분야로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게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도 1은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표시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완전한 가상세계를 전체로 하는 가상현실과는 달리 현실 세계의 환경위에 가상의 대상을 결합시켜 현실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정보나 마케팅의 목적으로 전달하는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줄 수 있다.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is a field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is a computer graphics technique that combines virtual objects or information into a real environment to make them appear as objects existing in the original environment.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virtual world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al time is combined into one image. This augmented reality can reinforc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obtain by the real world or information that is conveyed to the purpose of marketing by combining a virtual object on the environment of the real world, unlike a virtual reality which is a complete virtual world as a whole.

<지도 서비스><Map Service>

상기 지도 서비스로 대표적인 것은 구글 맵 서비스이다. 도 2는 구글 맵 서비스에 따른 구글 지도를 예시한 것이다. 이러한 구글 지도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로서, 스마트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며, 실행시 구글 지도를 통해 자신의 위치, 바라보는 방향 및 주변 건물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구글은 지도 콘텐츠 서비스에 그치지 않고 개발자들의 참여를 끌어들이기 위해서 OPEN API를 제공하고 있다.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ap service is a Google Map service. FIG. 2 illustrates a Google map according to the Google Map service. Google Maps is a map service provided by Google, which is a basic application provided by a smart phone. When running, Google Maps provides information on its location, direction, and surrounding buildings. Google also offers an OPEN API to engage developers, not just map content services.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

그리고 위치기반 서비스는 휴대폰 속에 기지국이나 위성항법장치(GPS)와 연결되는 칩을 부착해 위치 추적 서비스, 공공안전 서비스, 위치기반정보 서비스 등 위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즉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위치기반 서비스이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로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하는 셀 방식과 위성항법장치를 활용한 GPS방식이 있다. 이 두 방식의 특징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The location-based service is a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location such as location tracking service, public safety service, and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 by attaching a chip connected to a base station or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n a mobile phone. In other words, it is a location-based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location based services include a cellular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a GPS system utilizing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Features of these two schemes are shown in Fig.

먼저 셀 방식의 원리는 이동통신 기지국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이고, 오차범위는 수백미터 이상이며, 구성은 기지국, 위치인식 서버, 단말기로 구성되고, 가용범위는 이동통신망 가용지역이다. First, the principle of the cellular system is to use a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error range is several hundred meters or more. The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a base station, a location recognition server, and a terminal.

그리고 GPS 방식의 원리는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는 것이고, 오차범위는 수십미터 이하이고 구성은 인공위성, GPS 지상관제국, 수신기로 구성되고, 가용범위는 실외 혹은 건물 밀집지역이 아닌 지역이다. The principle of the GPS method is to use GPS satellite signals. The error range is less than tens of meters,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osed of satellite, GPS receiver, emitter and receiver.

본 발명은 셀 및 GPS 방식을 채용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검지하고, 그 검지한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구글 지도상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구글 지도상의 위치를 기반으로 캠퍼스내의 각종 정보를 증강현실로서 제공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current location of a user according to a location based service employing a cell and a GPS system, detects a location on a Google map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urrent location, Provides a smart campus map service that provides information as an augmented reality.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Smart Campus Map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기반 증강현실, 건물 검색, 길찾기 기능 등을 제공하여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a building search, a route search function, and the like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a smart campus map servic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ampus map service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시스템(100)은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서버(108)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서버(108)에 접속하여, 캠퍼스 지도 서비스, 위치기반 증강현실정보 서비스, 건물 검색 서비스, 길찾기 서비스 등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설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원하는 정보가 기록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또는 웹 페이지 주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해당 서버 또는 주소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가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The smart campus map service system 100 includes a smart campus map service server 108 and a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smart campus map service server 108 by using a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and stores the preset information for the campus map service, the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ervice, the building search service, .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or a web page address in which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terminal 100 is recorded. That is, the user terminal 100 acquires desired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corresponding server or address, displays the processed information, and guides the user.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의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및 위치기반 증강현실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지국들(104)과의 통신을 통해 획득되는 셀기반 현재위치정보 및 GPS 위성들(102)로부터 제공되는 GPS 정보로부터 산출된 GPS기반 현재위치정보를 이용한다. 이 현재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106)에 제공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cell-bas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s 104 to provide the campus map service and location-based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uses the GPS-base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GPS information. Based location service system 106 to provide location-based service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 GPS 위성들(102)은 GPS 정보를 미리 정해둔 시기마다 지구상으로 전송하여 지구상의 단말기가 GPS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한다. The GPS satellites 102 transmit the GPS information to the earth every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terminal on the earth can calculate its current position using the GPS information.

상기 기지국들(104)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이행하며, 그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를 검출한다. The base stations 104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100 detect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by referring to the communication.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106)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현재위치정보를 제공받아 기록하며, 그 현재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The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106 receives and record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ransmits location-based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to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또한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106)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검색요청에 따라 캠퍼스내의 대상 중 검색요청에 대응되는 대상을 검출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검색결과로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반환한다. 또한 상기 검색결과는 대상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106 detects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search request among the objects in the campus according to a search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returns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to the user terminal 100 as a search result . The search result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또한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식당 또는 도서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반환한다. 상기 식당정보는 식당메뉴정보 등을 포함하고, 상기 도서관정보에는 도서관좌석현황정보를 포함한다. The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110 returns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restaurant information includes restaurant menu information, and the library information includes library seating status information.

또한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112)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목적지와 도착지 사이의 길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반환한다. In addition, th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112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tween the destination and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returns the generated guidanc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의 절차><Procedures of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smart campus map service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서버(108) 또는 어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를 명령할 수 있다. 이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200단계). The user terminal 100 may download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installation file through the smart campus map service server 108 or the application market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instruct the installation. In response to this command, the user terminal 100 installs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operation 200).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설치후에, 사용자에 의해 실행이 명령되면(202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개시한다(204단계).If the execution of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is instructed by the user (step 202), the user terminal 100 executes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to start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204 step).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도움말을 요청하는지를 체크한다(206단계). The user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user requests help through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operation 206).

상기 사용자가 도움말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움말 정보를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서버(108)에 요청한다(208단계).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서버(108)가 도움말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도움말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210,212단계). When the user requests help,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help information from the smart campus map service server 108 (step 208). When the smart campus map service server 108 transmits the help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help information and guides the user to the user (steps 210 and 212).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메뉴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는 도움말 메뉴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도움말 메뉴는 총 1~9페이지로 구성되며 마지막 페이지는 지도 제작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제작자의 메일이 첨부될 수 있다. FIG. 6 illustrates a help menu screen illustrating menus and functions of a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lp menu consists of 1 to 9 pages in total, and the final page can be attached to the manufacturer's mail for users who want to make a map.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를 요청하는지를 체크한다(214단계). The user terminal 100 also checks whether the user requests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operation 214).

상기 사용자가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를 특정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즉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10)에 요청한다(216단계).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110)가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218,220단계). When the user requests the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the service server 110 providing the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to the specific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that is, the restaurant or the library information in operation 216. When the restaurant or the librar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110 transmits the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information of the restaurant or the library (steps 218 and 220).

좀더 설명하면, 상기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는, 대학 생활을 하는 데 꼭 필요한 정보인 구내 식당 식단 정보 및 도서관 좌석 현황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별도의 로그인이 필요없이 제공할 수 있는 정보로, 로그인의 불편함없이 사용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은 도서관 좌석 현황 및 식단 정보를 나타낸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n-house restaurant and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library seat, which is essential for university life. Such information can be provided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login, and can be used without any inconvenience of login. FIGS. 7 and 8 illustrate screens showing the status of the library seat and the menu information.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은,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Android Jericho 3.1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얻고자 하는 정보가 있는 인터넷 URL 주소에서 해당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and acquire relevant information from an Internet URL address having information to be obtained by using the Android Jericho 3.1 library provided by Android.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길찾기를 요청하는지를 체크한다(222단계). Also, the user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user requests a route search through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operation 222).

상기 사용자가 길찾기를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지 및 도착지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길안내요청정보를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112)에 요청한다(224단계). 그 요청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112)가 길안내정보를 반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길안내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226,228단계). When the user requests the route search,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112 for route guidance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and destin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 step 224. If th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112 returns th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guidance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guidance information (steps 226 and 228).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길찾기 실행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즉, 출발 건물(또는 현재 위치)와 도착 건물 입력시 경로를 지도에 적색선으로 나타낸다. 이는 SKT에서 제공하는 T-map의 Open API을 제공받아, 그 중 경로 부분의 JSON 정보를 파싱하고, 받아 온 좌표 값들을 Array(배열)에 저장한 후 Polyline(단일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FIG. 9 illustrates a route execu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red line indicates the route of the departure building (or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building input. This is accomplished by parsing the JSON information of the path part of the T-map provided by the SKT and stor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s in an array (Array) and then connecting it with a polyline (single line) .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건물 등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지를 체크한다(230단계). Also, the user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user requests a search for a building or the like through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operation 230).

상기 사용자가 검색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을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106)에 요청한다(232단계).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106)이 검색결과정보를 반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결과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234,236단계). When the user requests the search,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the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106 to search for the search wor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 operation 232. If the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106 returns search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and guides the user to the user (steps 234 and 236).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검색 실행과정을 예시한 것으로, 검색결과정보는 해당 건물에 빨간 색의 마커( Marker)가 표식되고 클릭시 건물의 사진과 정보가 제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Array(배열)에 건물의 이름을 미리 저장하고 클릭시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해서 마커(Marker)를 표식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FIG. 10 illustrates a search execu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is formed by marking a red marker on the building and providing a photograph and information of the building upon clicking. In addition, the name of the building is stored in advance in the array (array) and the marker is marked b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when the click is performed.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 아이콘으로 표식된 대상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요청하는지를 체크한다(238단계). In step 238, the user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user request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on the object marked with the icon o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through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상기 사용자가 어느 한 대상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대상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106)에 요청한다(240단계). 그 요청에 따라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106)이 대상의 위치정보를 반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위치정보와 자신의 현재위치, 지자기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카메라 화면의 각도 등을 통해 대상물이 존재하는 방향 및 현재 위치와의 거리정보를 검출한 후에 안내하며, 이는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이미지에 중첩되어 표시되어 증강현실정보로 구현될 수 있다(242,244단계). When the user requests the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for one of the objects, the user terminal 100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o the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106 in operation 240. When the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106 retur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angle of the camera screen acquired by the geomagnetism sensor, (Step 242, 244).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urren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is present is detected after the distance information is detect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증강현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는 아이콘의 형태로 대상, 즉 건물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되어 있는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보이는 카메라 화면의 각도를 계산하고 GPS 정보를 받아들여 찾는 건물의 위치정보(위도, 경도)와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해 아이콘과 함께 화면에 나타내는 것으로 구현된다. 11 illustrates an augmented reality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object, that is, the building in the form of an icon, the angle of the camera screen is calculated using the geomagnetism sensor built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latitude and longitude) And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posi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icon.

본 발명은 길 찾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위치기반서비스와 증강현실기능을 이용하였다. 각 건물들의 좌표 값과 사용자의 현재 위치의 좌표 값을 이용하여 거리를 구하고 증강현실을 통해 카메라를 이용해 바라본 화면에 건물의 아이콘을 띄어서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목적지까지의 내비게이션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학생들이 주로 궁금해 하는 교내 식당의 식단정보와 도서관 좌석 현황도 제공한다. 나아가 오픈소스 매뉴얼을 타 대학에 제공하여 대학간 지도 연결망을 구축하여 통합 어플리케이션을 구축가능하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location-based services and augmented reality functions to facilitate navigation. Using the coordinates of each building and the coordinates of the user 's current position, the distance is obtained. The direction of the building is indicated by the icon of the building on the screen viewed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camera. It also provides navigation to the destination. It also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ietary information of the school cafeteria and the status of library seating. Furthermore, by providing open source manuals to other universities,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an integrated application network by establishing an inter-university map network.

이 대학간 지도 연결망을 통해 타 대학에 방문시 원하는 곳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내의 게시판을 통해 대학간 정보 교류의 장도 만들어 대학생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rough this inter-university map network, it is possible to easily find places to visit when visiting other universities,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chapter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universities through the bulletin board in the application, so that it can be useful for university students.

100 : 사용자 단말기
102 : GPS 위성들
104 : 기지국들
106 :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108 :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시스템
110 : 식당 또는 도서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112 :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100: User terminal
102: GPS satellites
104:
106: Location-based service system
108: Smart Campus Map Service System
110: Restaurant or library information service server
112: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Claims (10)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제공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서버, 다수의 대상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식당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도서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및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 캠퍼스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다수의 대상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지자기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카메라 화면의 각도를 통해 선택된 대상물이 존재하는 방향 및 현재 위치와의 거리정보를 구하여, 상기 거리 및 방향이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이미지에 중첩되어 표시되어 증강현실로 구현되는 단계;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목적지 또는 도착지 사이의 길안내정보를 제공받아, 경로 부분의 JSON 정보를 파싱하고 받아온 좌표값들을 Array(배열)에 저장하고 단일선으로 연결하여 캠퍼스 지도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식당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식당정보 또는 상기 도서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도서관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A smart campus map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file, a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objects, a restaura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A method for providing a smart campus map service in a system in which a librar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and a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are connected via a network,
The user terminal executes the smart campus map applicatio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direction of the selected object through the angle of the camera screen obtained by the geomagnetism sensor,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and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superimpo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o be implemented as an augmented reality;
Receiv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destination and the destination from th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parsing the JSON information of the route portion, storing the received coordinate values in an array, connecting the single coordinates, and displaying the coordinates on a campus map ; And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restaurant information from the restaura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or the library information from the library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서관 정보는 도서관 좌석 현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brary information includes library seating status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당정보는 식당메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taurant information includes a restaurant menu.
제1항에 있어서,
검색결과정보는 해당 건물에 소정 색깔의 마커가 표식되고, 클릭시 건물의 사진과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includes markers of a predetermined color in the building, and photographs and information of the buildings are provided upon click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표식 방법은 Array(배열)에 건물의 이름을 미리 저장하고 클릭시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마커를 표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rker marking method stores a name of a building in an array in advance and marks the markers using information received when the marker is click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5498A 2016-08-19 2016-08-19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KR1018361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98A KR101836113B1 (en) 2016-08-19 2016-08-19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98A KR101836113B1 (en) 2016-08-19 2016-08-19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334A KR20180021334A (en) 2018-03-02
KR101836113B1 true KR101836113B1 (en) 2018-03-09

Family

ID=6172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498A KR101836113B1 (en) 2016-08-19 2016-08-19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1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571A1 (en)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애니랙티브 Vehicle ar display device and ar service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571A1 (en)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애니랙티브 Vehicle ar display device and ar service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334A (en) 2018-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76209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location-oriented information
RU2417437C2 (en) Displaying network objects on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CN104596499B (en) It is a kind of that the methods, devices and systems to navigate are obtained by image
CN1029859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a perspective view of objects and content related thereto for location-based services on mobile device
KR101413011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based on Location Coordinates and Augmented Reality Image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7209783A (en) Adaptive location designator
JP6093841B2 (e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urelia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and location based service
US20090313124A1 (en) Street-Level Routing
PH12017500132B1 (en) Survey (bird`s eye)-type navigation system
Bhatia et al. A new approach for Location based Tracking
JP2006059106A (en) Provision of locational information through network
KR101836113B1 (en) Smart campus map service method and system
Ranasinghe et al. Pedestrian navigation and GPS deteriorations: User behavior and adaptation strategies
Deidda et al. An example of a tourist location-based service (LBS) with open-source software
Hashimoto et al. Outdoor navigation system by AR
Khan et al. Indoor navigation systems using annotated maps in mobile augmented reality
KR20150020421A (en) A measurement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approach using portable servey terminal
Musliman et al. Integr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 Approach For Enhancing Context and Location-Aware Learning
Pradhan et al. Websign: hyperlinks from a physical location to the web
KR102512261B1 (en) Locatio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s for the same
JP6961033B2 (en) Lot number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lot number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Fabritz et al. Open Specification for Indoor-Navigation
KR20140099963A (en)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contents using a directional qr code,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n image contents displaying program
KR20120080826A (en) Information system using mobile devices and augmented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