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208B1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208B1
KR101835208B1 KR1020160036140A KR20160036140A KR101835208B1 KR 101835208 B1 KR101835208 B1 KR 101835208B1 KR 1020160036140 A KR1020160036140 A KR 1020160036140A KR 20160036140 A KR20160036140 A KR 20160036140A KR 101835208 B1 KR101835208 B1 KR 10183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mixing
water
carbonated water
carb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194A (ko
Inventor
김지운
Original Assignee
김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운 filed Critical 김지운
Priority to KR102016003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208B1/ko
Priority to PCT/KR2017/003044 priority patent/WO2017164634A1/ko
Publication of KR2017011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hereby the powder ingredients and the water are delivered to a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캡슐 바디와, 상기 캡슐 바디 내에 수용되고, 액체 또는 고체로 이루어진 충전물과, 상기 캡슐 바디 내에서 상기 충전물이 차지하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 바디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는 상기 캡슐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구성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캡슐이 보관되는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 연결되어 상기 캡슐이 이동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 튜브와, 상기 공급 튜브를 통하여 빠져나오는 상기 캡슐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상기 캡슐을 이동시키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캡슐의 하측으로부터 누출되는 충전물과, 물 또는 탄산수 또는 탄소 기체를 혼합하는 혼합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공급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캡슐 내에 포함된 충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캡슐을 가압하여 내용물인 충전물을 물 또는 탄소나 탄산수 에 섞는 음료 공급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발포(發泡)정이라 함은 물에 녹여서 녹인 약물을 마시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비타민이나 철분 등의 보급제, 제산제, 진통제, 감기약 등으로서 복용시에 물에 용해시켜 수제로 복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발포정은 각종 기능이 첨가된 상태에서 이미 오래전에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처 또한 광범위하다.
한편, 최근에는 발포정에 각종 기능을 첨가한 상태에서 제작하여 식품 성분이 갖는 생체 방어, 생체 리듬의 조절, 질병의 예방과 회복 등 생체에 대하여 생체 조절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아이들의 성장 발육을 촉진하거나, 성별 또는 연령대별로 필요한 각종 필수 영양소 등을 섭취시키기 위하여 의학적으로 설계 및 개발된 발포정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포정의 경우, 사용자가 물에 발포정을 집어넣은 다음, 수분 동안 발포정이 물에 완전히 녹는 시간을 기다려야 하며,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 때문에 그 이용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발포비타민과 같은 발포정은 물에 혼합되어 반응되는 도중에 나트륨이 반드시 발생하게 된다.
즉, 발포비타민에 포함된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물과 반응하여, 탄산나트륨(Na2CO3)이 발생하는데, 건강을 위하여 먹는 음료에 나트륨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비타민과 같은 영양제 및 음료 등을 물이나 탄소(탄소 기체) 또는 탄산수에 섞어 마실 수 있는 기호 식품을 사용자가 간단하고도, 건강하게 즐길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캡슐에 포함된 액체 또는 고체의 충전물을 사용자가 쉽게 물이나 탄소, 탄산수 등을 이용하여 섞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캡슐은 세로로 세운 상태에서 가압하는 경우에, 하측으로만 충전물이 누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물이나 탄소, 탄산수를 이용하여 쉽게 섞을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고농축액 또는 분말 가루를 선택적으로 물이나 탄산수 또는 탄소 가스가 포함된 액체에 섞을 수 있으며, 이전 사용한 충전물이 혼합통 내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혼합통 내부의 세척도 가능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캡슐 바디와, 상기 캡슐 바디 내에 수용되고, 액체 또는 고체로 이루어진 충전물과, 상기 캡슐 바디 내에서 상기 충전물이 차지하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 바디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는 상기 캡슐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구성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캡슐이 보관되는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에 연결되어 상기 캡슐이 이동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공급 튜브와, 상기 공급 튜브를 통하여 빠져나오는 상기 캡슐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상기 캡슐을 이동시키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캡슐의 하측으로부터 누출되는 충전물과, 물 또는 탄산수 또는 탄소 기체를 혼합하는 혼합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충전물이 유입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투입구와, 상기 충전물을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가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혼합 바디와, 상기 혼합 바디 내부로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 바디에 연결되는 혼합 노즐과, 상기 혼합 노즐과 연결되고, 상기 혼합 바디 내에 배치되는 혼합 튜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 노즐은 상기 혼합 바디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혼합 노즐과 제 2 혼합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혼합 노즐 및 제 2 혼합 노즐 각각은 물이 공급되는 제 1 연결관과, 탄산수나 탄소 기체가 공급되는 제 2 연결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 튜브에는 상기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를 복수의 방향으로 분사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홀이 형성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는 빠른 시간 내에 물이나 탄산수에 혼합된 커피나 비타민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혼합 바디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공정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가 혼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캡슐을 가압하여 충전물을 하측으로 떨어뜨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치의 일부 구성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캡슐을 사용자가 직접 충전물을 누출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캡슐들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가압부를 캡슐을 가압하여 충전물을 하측으로 떨어트리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구성되는 가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혼합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의 혼합 수단 내에 물이 공급된 다음 탄소 기체가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가 구성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물이 배출된 캡슐을 배출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캡슐을 가압하여 충전물을 하측으로 떨어뜨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장치의 일부 구성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캡슐을 사용자가 직접 충전물을 누출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 캡슐 내의 충전물을 누출시키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실시예의 캡슐을 세로 방향으로 두고, 양측면 또는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 하측에 위치한 부위가 개방되어 충전물이 누출되는 기술을 이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10)의 일측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홀을 갖는 고정부(40)에 상기 캡슐(10)이 고정되고, 상기 캡슐(10)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캡슐(1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가압부(20,3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20,30)가 상기 캡슐(10)의 몸체 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캡슐(10)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때, 상기 캡슐(10) 내부에는 공기층(2)이 상측에 형성되고, 그 공기층(2) 하측에 액체 또는 고체의 충전물(1)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좌우측에서 가압되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캡슐(10)의 상측이 아닌 하측을 통한 충전물의 누출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캡슐(10)에서는 하측 방향으로 충전물이 누출되도록 하는데, 상기 캡슐(10)의 상측과 하측을 변경하여 세우는 경우에도, 상기 공기층(2)이 여전히 캡슐 내부에서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여전히 하측 방향으로의 누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의 경우에는, 간편하게 사용자가 캡슐(10) 내에 수용된 충전물(1)을 누출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60)를 이용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캡슐 바디(101)의 양측면에 접촉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 가압 부재(60)를 이용하는 경우에, 캡슐(10)의 상측의 양측면을 사용자가 가압하기 때문에, 캡슐(10)의 상측부가 개방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부재(60)를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캡슐(10) 내에 수용된 충전물(1)을 하측으로 누출시켜서 물이나 탄산수에 쉽게 혼합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사용되는 캡슐들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의 캡슐을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캡슐(10)은 일체로 형성된 캡슐 바디(101) 내에 충전물(1)이 수용되는 구조이며, 상기 캡슐 바디(101) 내에는 상기 충전물(1)이 모두 채워지지 않아 일부 공기층(2)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캡슐 바디(101)는 상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 바디(101)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는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부(102a)와, 제 2 돌출부(10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물(1)은 고농축의 커피 원액 또는 비타민 분말이 농축된 액체가 되거나, 커피나 야채/과일 또는 제약 성분의 분말 가루 또는 고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물(1)은 커피 원액 또는 커피 가루가 되거나, 야채나 과일의 고농축액 또는 분말 가루가 되거나, 약국이나 병원에서 사용되는 액체약 또는 가루약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캡슐 바디(101)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하 측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들의 두께가 상기 캡슐 바디(101)의 두께와 동일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좌우측에서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서서히 압축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충전물(1)이 보다 쉽게 누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돌출부(102a)와 제 2 돌출부(102b)의 두께는 상기 캡슐 바디(10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는 상기 캡슐 바디(101) 외주면을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되거나, 캡슐 바디(101)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슐 바디(101)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돌출부(102a), 제 2 돌출부(102b) 및 제 3 돌출부(102c)가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들은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캡슐 바디(101)의 외주면에 소정 두께의 돌출 띠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102a,102b)는 상기 캡슐 바디(101)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각각 구분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는 캡슐 바디(101)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각각 별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도, 캡슐 바디(101) 내에는 하측에 충전물이 위치하고, 그 상측에는 공기층이 위치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캡슐의 제 3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의 캡슐(10)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02a,102b) 내에 캡슐 바디(101) 보다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연질 부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 내에 형성되는 연질 부재(160)는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부서지는 것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질 부재(160)가 돌출부 내에 구성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캡슐(10)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힘에 의하여 상측과 하측부위가 찢어짐/파손되어 충전물이 누출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슐(10)을 세워서 양측면을 가압하게 되면, 공기층(2)이 캡슐 상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캡슐의 상측 부위를 가압하게 되면, 충전물은 캡슐의 하측으로 누출될 수 밖에 없다.
캡슐(10)의 길이 방향이 수평면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세우고, 양측면을 서서히 가압하게 되면, 캡슐(10)의 하측 부위만이 찢어져서 충전물이 하측으로만 누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의 캡슐(10)은 그 단면이 타원 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수용하고자 하는 충전물(1)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케이스의 접촉면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는 양측 단부의 두께가 중심부의 두께보다 더 적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캡슐(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에, 양측 단부의 얇은 두께쪽이 파손/찢어짐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상기 캡슐(10)의 길이 방향이 수평면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세로로 세우고, 상기 캡슐(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캡슐(10)의 하측 단부가 찢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슐(10)을 세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좌우측을 가압하는 경우에 하측 단부의 개방에 의한 충전물의 누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5 실시예의 캡슐(10)은 제 1 및 제 2 케이스(110,120)의 양측 단부 일부가 연질 부재(160,170)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110,120)의 단부는 중심부/몸체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면서, 양단(상측단, 하측단) 일부가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며, 캡슐(10)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경우에 보다 용이하게 하측으로의 충전물 누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실시예의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공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200)는 적어도 한 종류의 이상의 캡슐들이 수용되는 캡슐통이 위치하는데, 상기 캡슐통의 상측을 개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측 커버(204,205,206)가 구성되고, 전면에는 캡슐 내의 충전물이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음료 배출부(209)가 구성된다.
또한, 음료 공급 장치(200)에는 미리 준비된 캡슐 이외에 다른 캡슐을 사용자가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직접 해당 캡슐을 장착할 수 있는 사용자 투입구(207)가 형성된다.
상기 사용자 투입구(207)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캡슐을 고정부(40)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상기 음료 공급 장치(200)는 사용자가 직접 위치시킨 캡슐에 포함된 충전물이 음료가 되도록 우선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200)의 일측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부(202)와, 탄산수가 저장되는 탄산수 저장부(20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직접 물이나 탄산수가 남아있는 양을 확인하면서, 페트병 형태의 물이나 탄산수를 교체/보충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200)가 정수기와 연결되어, 물을 외부에서 직접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는, 생수통과 같이 교체하기가 편리한 물통과, 탄산수가 들어있는 탄산수통을 사용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산수 저장부(203)는 물과 탄소 기체가 미리 혼합되어 있는 탄산수가 저장될 수도 있지만, 상기 물 저장부(202)의 물과 추후에 혼합될 수 있는 탄소 기체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혼합 수단에는 물이 먼저 공급된 다음, 물 내부로 탄소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탄산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혼합 수단(240) 내부로 물이 먼저 공급되고, 혼합 노즐을 통하여 탄소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탄산수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후술하겠지만, 충전물이 비타민이 고농축된 액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혼합 수단(240) 내에 물이 먼저 공급된 다음, 탄소 기체가 공급되면서 상기 충전물이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물 내로 탄소 기체가 다양한 방향으로 공급되므로, 충전물을 신속히 혼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함께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부가 구성되며, 사용자가 선택하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캡슐의 종류가 결정될 뿐만 아니라, 해당 음료에 따라 물만 혼합되거나 물과 탄소 기체의 탄산수가 혼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200)는, 다수의 캡슐을 보관하는 제 1 내지 제 3 보관통(211,212,213)이 상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보관통(211,212,213)의 하부면 일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그 개방된 부위 각각은 캡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내지 제 3 공급 튜브(221,222,223)들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급 튜브들에는 낙하하는 캡슐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들(231,232,233)이 연결된다.
사용자가 마시고자 하는 종류의 음료를 선택하게 되면, 제 1 내지 제 3 보관통 중 어느 하나의 하부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해당 보관통 내의 캡슐이 상기 공급 튜브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캡슐(1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 튜브는 상기 고정부(231,232,233)에서 상하방향(세로 방향)으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캡슐이 세로 방향으로 낙하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투입구(207)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 4 고정부(234)에 원하는 캡슐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때, 캡슐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300)은 제 4 고정부(234)에 안착된 캡슐의 이동 및 가압 동작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음료 공급 장치(200) 내에는 적어도 2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가압부를 갖는 가압 수단(300)이 구성되고, 상기 가압 수단(300)은 한 쌍의 가압부(20,30)와, 상기 가압부들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 구동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수단(300)의 가압부(20,3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고정부(231,232,233,234)에 안착된 캡슐(10)을 혼합 수단(240)의 투입부(241)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캡슐(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충전물이 상기 투입부(241)쪽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압 수단(300)에 대해서는 도면과 함께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가압부를 캡슐을 가압하여 충전물을 하측으로 떨어트리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고정부(231)에 캡슐(10)이 안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20,30)가 상기 캡슐(10)을 상기 제 1 고정부(231)로부터 위치 이동시킨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20,30)는 상기 제 1 고정부(231)에 안착된 캡슐(10)을 소정 힘으로 그립한 다음, 상기 혼합수단(240)의 투입부(241)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부(20,30)는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캡슐(10)의 양측면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캡슐(10)의 하측 단부를 통하여 충전물이 누출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구성되는 가압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압 수단(300)은 한쌍의 가압부(20,30)와, 상기 가압부들을 제 1 방향(X축 방향)과,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모터와 같은 구동부와 레일 등을 포함하는 가압 구동부(31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들(20,30)은 제 2 방향,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호간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멀어지도록 운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들이 상호간에 간격이 좁아지는 경우에는, 내측에 수용된 캡슐(10)을 가압시켜 충전물을 누출시키는 경우가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들(20,30)은 제 1 방향, 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고정부에 안착된 캡슐(10)을 혼합 수단(240)의 투입부(241)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캡슐(10) 내에 수용된 충전물을 혼합 수단(240)으로 떨어트린 다음에는, 상기 가압 수단(300)은 충전물이 빠져나간 캡슐(10)을 수거 박스(500, 도 21 참조)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이 더 수행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 수단(300)은 기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가 설정해 둘 수 있는 시간 동안 캡슐(10)을 가압하는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가압되어 부피가 줄어든 캡슐을 어느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 캡슐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 박스(500)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기 가압 수단(300)은 캡슐에 대한 가압 동작을 중단시키면, 즉, 캡슐로부터 가압부들이 멀어지면 사용된 캡슐은 수거 박스(500)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는 사용된 캡슐을 간편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혼합 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혼합 수단(240)은 몸체를 형성하고 내부에서 캡슐의 충전물이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와 혼합되는 혼합 바디(242)와, 상기 혼합 바디(242)의 상측에 형성되어 캡슐의 충전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투입구(241)와, 하측에 형성되어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와 혼합된 충전물, 즉, 음료가 토출되는 음료 토출부(245)와, 상기 혼합 바디(242)의 하부를 형성하고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제 1 경사면(243)과 제 2 경사면(24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합 바디(242)의 양측에는 제 1 혼합 노즐(251)과 제 2 혼합 노즐(252)이 연결되고, 각각의 혼합 노즐들은 물이 공급되는 제 1 연결관(251a, 252a)과, 탄산수 또는 탄소 기체가 공급되는 제 2 연결관(251b, 252b)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 각각은 물 저장부(202) 및 탄산수 저장부(20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연결관들(251b,252b)은 탄산수 저장부(203) 또는 탄소 기체가 저정된 기체 보관통이나 탄소 기체를 공급하는 호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관들(251b, 252b)을 통하여 탄소 기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연결관(251a, 252a)을 통하여 물이 먼저 공급된 다음, 상기 제 2 연결관(251b, 252b)을 통한 탄소 기체를 공급함으로써, 혼합 수단 내에서 수용되었던 물이 탄산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혼합 수단의 혼합 바디(242) 양측에 제 1 및 제 2 연결관 각각이 구성됨으로써, 혼합 바디(242) 양측에서 제 1 연결관(251a, 252a)들로부터 물이 공급되거나, 혼합 바디(242) 양측에서 제 2 연결관(251b, 252b)을 통하여 탄산수나 탄소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혼합 바디(242) 양측에서 물이나 탄산수 또는 탄소 기체가 공급되므로 충전물과의 신속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바디(242)의 하부의 제 1 경사면(243)에는 상기 음료 토출부(24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제 1 개폐부(245a)가 형성되고, 제 2 경사면(244)에는 혼합 바디(242) 내부를 세척한 후의 세척물이 이동되는 세척수 토출부(246)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제 2 개폐부(246a)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 바디(242) 내부에서 캡슐 내에 수용된 액체 또는 고체의 충전물을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와 혼합하여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상태로 혼합된 다음에는, 상기 제 1 개폐부(245a)를 오픈시켜 음료가 상기 음료 토출부(245)를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캡슐 하측 단부를 통하여 충전물이 누출되면, 상기 투입구(241)를 통하여 충전물이 혼합 바디(242) 내로 유입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슐(10)을 양측 방향에서 가압하기 전에, 상기 혼합 바디(242) 내에 물 또는 탄산수를 공급하는 동작이 선행된다. 사용자가 비타민 음료를 선택한 경우에는, 비타민 고농축액이 포함된 캡슐이 고정부로 안착되고, 가압 수단에 의하여 해당 캡슐은 상기 투입구(241)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 바디(242) 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혼합 노즐(251,252)을 통하여 물 또는 탄산수가 공급된다.
그 다음,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캡슐의 가압 동작이 이루어지고, 캡슐 내의 비타민 고농축액 또는 비타민 분말 가루는 상기 투입구(241)를 통하여 혼합 바디(242) 내부로 유입된다. 혼합 바디(242) 내에 물이나 탄산수가 어느 정도 채워진 상태에서, 액체 또는 고체의 충전물이 유입되므로, 그 혼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캡슐(10)을 가압하여 충전물을 캡슐 바디(242) 내부로 유입시키기 전에, 혼합 바디(242) 내부를 물이나 탄산수로 채우는 것은, 필요로 하는 물이나 탄산수 양 전부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일부양만 채우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캡슐의 충전물이 혼합 바디(242)의 측벽이나 바닥면에 직접 닿아 혼합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혼합 바디(242) 내부를 물이나 탄산수로 채우는 것이며,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충전물의 누출이 완료된 다음에는, 물이나 탄산수의 미리 설정된 양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혼합 노즐(251,252)을 통하여 물이나 탄산수가 더 공급될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양 전부를 채운 물이나 탄산수에 캡슐과 충전물이 떨어진 후 탄소 기체만 혼합 노즐을 통하여 분사함으로써 내용물이 더 잘 섞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노즐(251,252)을 통하여 혼합 바디(242)내로 물이나 탄산수가 공급되는 도중에, 유입된 충전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 노즐들(251,252)에 연결된 혼합 튜브들에는 물이나 탄산수가 다수의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홀이 복수개 형성된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혼합 노즐(251)과 제 2 혼합 노즐(252) 각각은 일측이 개방된 제 1 혼합 튜브(261)와, 제 2 혼합 튜브와 연결되고, 상기 혼합 튜브들에는 분사각도가 다양하게 구성된 분사홀(261a)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슐 내의 충전물이 혼합 바디로 떨어지기 전에, 혼합 바디(242) 내부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료의 종류에 따라 물 또는 탄산수 일부양이 공급된다.
그리고, 가압 수단에 의한 캡슐의 가압 동작이 완료된 다음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료의 종류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의 양에 도달하도록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의 추가 공급이 이루어지는데, 혼합 튜브에 분사홀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에 의하여 충전물이 신속히 혼합될 수 있다.
충전물을 물 또는 탄소 기체, 탄산수 또는 다른 액체와의 혼합이 완료된 다음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개폐부(245a)가 상기 음료 토출부(245)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혼합 음료는 상기 음료 토출부(24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반면, 상기 혼합 바디(242) 내에서 음료의 혼합이 이루어진 다음에, 사용자가 다른 종류의 캡슐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 바디(242) 내부에 남아있는 충전물 또는 음료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 바디(242) 내부를 세척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혼합 바디(242) 내부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혼합 노즐(251,252)을 통하여 물이 공급되고, 공급되는 물은 혼합 튜브(261)의 분사홀(261a)을 통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사됨으로써, 혼합 바디(242)의 내벽면들을 세척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세척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개폐부(245a,246a)는 닫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세척 공정이 수행된 다음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개폐부(246a)가 오픈되어 세정물이 상기 세척수 토출부(246)를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한다. 상기 세척수 토출부(246)는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연결되는 배수용 호스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의 혼합 수단 내에 물이 공급된 다음 탄소 기체가 공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수단(240)에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관(251a, 252a)을 통해서 공급되는 물이 공급되거나, 상기 물과 함께 제 2 연결관(251b, 252b)을 통해서 공급되는 탄소 기체도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소 기체는 상기 혼합 수단(240) 내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공급되어야 하며, 상기 탄소 기체의 공급에 의하여 물 내부에는 많은 수의 기포(11)들이 발생할 것이다.
상기 충전물이 보다 빠르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 수단(240) 내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충전물이 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탄소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부가 구성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캡슐 내에 커피 농축액이 수용된 경우, 사용자는 뜨거운 음료를 원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1 연결관(251a, 252a) 각각에 연결된 온도 조절부(400)에 의하여 혼합 수단(24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부(400)는 물을 가열하거나, 물을 냉각하는 등의 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사용자는 빠른 시간 내에 물이나 탄소 기체, 탄산수에 혼합된 커피나 비타민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혼합 바디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공정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음료를 제공하는 장치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가 혼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캡슐 바디와, 상기 캡슐 바디 내에 수용되고, 액체 또는 고체로 이루어진 충전물과, 상기 캡슐 바디 내에서 상기 충전물이 차지하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슐 바디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는 상기 캡슐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구성되는 캡슐을 이용한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캡슐의 종류에 따라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캡슐이 이동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 튜브와,
    상기 공급 튜브 각각을 통하여 빠져나오는 상기 캡슐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안착된 상기 캡슐의 양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캡슐 내의 충전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캡슐의 하측으로부터 누출되는 충전물과, 물 또는 탄산수 또는 탄소 기체를 혼합하는 혼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 수단은,
    상기 충전물이 유입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투입구와,
    상기 충전물을 물 또는 탄산수 또는 탄소 기체가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혼합 바디와,
    상기 혼합 바디 내부로 상기의 물 또는 탄산수 또는 탄소 기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 바디에 연결되는 혼합 노즐과,
    상기 혼합 노즐과 연결되고, 상기 혼합 바디 내에 배치되는 혼합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튜브에는 상기 물 또는 탄소 기체 또는 탄산수를 복수의 방향으로 분사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음료 공급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노즐은 상기 혼합 바디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혼합 노즐과 제 2 혼합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혼합 노즐 및 제 2 혼합 노즐 각각은 물이 공급되는 제 1 연결관과, 탄산수 또는 탄소 기체가 공급되는 제 2 연결관에 연결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튜브에는 상기 물 또는 탄소 기체 또는 탄산수를 복수의 방향으로 분사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바디의 하부면은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경사면에는 상기 혼합 바디 내에서 혼합된 음료가 배출되는 음료 배출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경사면에는 상기 혼합 바디 내부를 세척하는 동작이 수행된 후에 세척한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세척물 배출부가 연결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20160036140A 2016-03-25 2016-03-25 음료 공급 장치 KR10183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140A KR101835208B1 (ko) 2016-03-25 2016-03-25 음료 공급 장치
PCT/KR2017/003044 WO2017164634A1 (ko) 2016-03-25 2017-03-22 음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140A KR101835208B1 (ko) 2016-03-25 2016-03-25 음료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194A KR20170111194A (ko) 2017-10-12
KR101835208B1 true KR101835208B1 (ko) 2018-03-06

Family

ID=5990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140A KR101835208B1 (ko) 2016-03-25 2016-03-25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5208B1 (ko)
WO (1) WO201716463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826B1 (ko) * 2019-10-21 2021-02-23 (주)메디프레소 듀얼 음료 추출장치
KR102224062B1 (ko) * 2019-11-19 2021-03-09 (주)메디프레소 캡슐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WO2021080090A1 (ko) * 2019-10-21 2021-04-29 (주)메디프레소 캡슐 음료 추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242A (ja) * 2010-04-22 2011-11-10 Nishiyama Kogyo Kk 飲料自動供給装置及び飲料自動供給装置の制御方法
KR101344359B1 (ko) * 2013-01-28 2013-12-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캡슐음료 추출장치
JP2014524320A (ja) * 2011-08-25 2014-09-2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ートリッジ位置合わせシステム
WO2014181129A1 (en) * 2013-05-09 2014-11-13 Mars, Incorporated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716A (ko) * 2008-12-05 2010-06-15 주식회사 텐텐투 캡슐을 이용한 음료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4242A (ja) * 2010-04-22 2011-11-10 Nishiyama Kogyo Kk 飲料自動供給装置及び飲料自動供給装置の制御方法
JP2014524320A (ja) * 2011-08-25 2014-09-22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ートリッジ位置合わせシステム
KR101344359B1 (ko) * 2013-01-28 2013-12-2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캡슐음료 추출장치
WO2014181129A1 (en) * 2013-05-09 2014-11-13 Mars, Incorporated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826B1 (ko) * 2019-10-21 2021-02-23 (주)메디프레소 듀얼 음료 추출장치
WO2021080090A1 (ko) * 2019-10-21 2021-04-29 (주)메디프레소 캡슐 음료 추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24062B1 (ko) * 2019-11-19 2021-03-09 (주)메디프레소 캡슐 음료 추출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64634A1 (ko) 2017-09-28
KR2017011119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41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JP6129949B2 (ja) 飲料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飲料コンテナ及び飲料装置
US10093478B2 (en) Capsule and dispensing machine for beverages
KR102526822B1 (ko) 용기
US98674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RU2569272C2 (ru) Пакет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NL2025604B1 (en) cartridge for providing a liquid product
KR101835208B1 (ko) 음료 공급 장치
TW2011413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JP2004057296A (ja) 液体バッグ、液体バッグ用口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505226A (ja) 飲料調製マシン
KR20160077059A (ko)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CN103987359A (zh) 用于制备营养组合物的可展开的容器
KR20160074492A (ko) 액체 용기에 장착하기 위한 밀폐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