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480B1 -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480B1
KR101834480B1 KR1020170083231A KR20170083231A KR101834480B1 KR 101834480 B1 KR101834480 B1 KR 101834480B1 KR 1020170083231 A KR1020170083231 A KR 1020170083231A KR 20170083231 A KR20170083231 A KR 20170083231A KR 101834480 B1 KR101834480 B1 KR 10183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ge
product
preference
eval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
Original Assignee
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 filed Critical 유정
Priority to KR102017008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된 상품 정보에 근거하여 웹 사이트에서 상품정보를 소개하는 웹 페이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웹 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비스서버는 저사양 서버나 일반 PC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실구매자 개개인에 대한 상품정보의 선호도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결과가 배제되어 검출된 선호도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PROVIDING SYSTEM FOR GOODS RECOMMENDING USING GOODS REVIEW OF CUSTOM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된 상품 정보에 근거하여 웹 사이트에서 상품정보를 소개하는 웹 페이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웹 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는 상품 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상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의 경우, 상품의 선호도는 상품의 질을 개선하고, 소비자의 소비 경향을 파악하며, 상품의 개발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품의 선호도는 특정 온라인 쇼핑몰 또는 다른 온라인 쇼핑몰이나 웹상의 다른 웹사이트에 기재된 상품에 대한 구매 후기, 평가, 전문가 리뷰 및 기사 등을 전문 검색자가 검색하여 파악하고 있는 실정이나, 상당한 인력이 소모됨을 물론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품에 대한 평가 관련 정보를 검출하여 선호도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421호에는 상품 선호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쇼핑몰 서버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 관련 정보의 수집 요청을 입력받아,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에서 상품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관리부; 상품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 선호도 관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하나 이상의 상품 선호도 관련 정보를 토대로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 선호도를 평가하는 정보 분석 관리부; 및 수집된 상품 관련 정보 및 평가된 상품 선호도 중 하나 이상을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선호도를 평가하는 쇼핑몰 서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술에서 상품 선호도에 대한 평가는 어문학적으로 어간이나 어근으로 구성되는 참조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는 데, 국어의 특성에 비추어 보면 어간 또는 어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부정 또는 긍정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에 부정 또는 긍정의 부정 등으로 더욱 세밀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정확한 상품의 선호도를 평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 중의 하나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662791호에는 상품 평가 관련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상품 평가 관련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품 평가 관련 정보를 인식하는 정보 인식 단계, 상기 정보인식 단계에서 인식한 상품 평가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품의 호감 여부를 분석하는 호감도 분석 단계, 상기 호감도 분석 단계에서 분석한 호감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품 평가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이하게 형성하는 시각 처리 단계 및 상기 시각 처리 단계에서 형성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사용자가 상품 평가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제공된 웹페이지에서 상품 평가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상품의 호감 여부를 분석함에 따라 상품 평가 관련 정보의 입수 범위가 지극히 국한되어 있고, 상품에 대한 평가가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의 의도에 한정될 수 있어, 상품 평가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6421호 (2010. 05. 07.) 등록특허공보 제10-1662791호 (2016. 09. 28.)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소하고자 하는 과제는, 입력된 상품 정보에 근거하여 웹 사이트에서 상품정보를 소개하는 웹 페이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웹 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산출하되, 산출된 상품의 평가정보를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은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상품정보 근거하여 웹사이트에서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웹페이지를 검출하여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웹페이지가 상기 상품의 실구매자에 의해서 작성된 웹페이지 인지를 판단하는 구매여부확인부; 상기 구매여부확인부의 판단 결과, 실구매자에 의해서 작성된 웹페이지로 판단된 웹페이지에 대해서 상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추출하는 평가정보추출부; 상기 평가정보추출부에서 추출된 평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평가부; 상기 정보수집부, 평가정보추출부 및 선호도평가부에서 수집된 정보 추출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호도평가부에서 평가된 선호도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선호도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매여부확인부는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를 파싱하여 HTML 코드, XML 코드, SGML 코드 및 자바스크립트를 비교 분석하여,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웹페이지비교모듈;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비교모듈; 및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텍스트비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동일성 여부의 판단은 매칭률에 의해서 이루어지되, 상기 웹페이지비교모듈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매칭률이 95%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비교모듈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에서 각각 검출된 이미지 중 2개 이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며, 상기 텍스트비교모듈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매칭률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며, 상기 이미지비교모듈에서 이루어지는 이미지의 비교는 저장된 웹페이지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를 동일 크기 및 동일 해상도로 보정하고, 보정된 각각의 이미지를 차영상 방식으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정보추출부는 상기 특정 상품을 홍보하는 홍보용 웹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홍보키워드추출모듈;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검출된 웹페이지로부터 해당 상품의 대한 상품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식별키워드추출모듈; 및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검출된 웹페이지로부터 특정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추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키워드추출모듈에서 추출되는 키워드는 동사 및 형용사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태소 분석은 명사와 결합하는 동사 및 명사와 결합하는 형용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명사는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상기 식별키워드추출모듈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중복되는 경우, 중복된 상기 키워드를 우선순위로 하여 중요도를 부여하고, 부여된 중요도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추출모듈은 미리 저장된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과 비교하여 동일한 이미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호도평가부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점수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점수에 따라 호감, 비호감 및 중립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점수는 1.0에서 9.0으로 산출하되, 상기 호감에 대한 점수는 7.0 ~ 9.0점, 상기 중립에 대한 점수는 4.0 ~ 6.9 및 상기 비호감에 대한 점수는 1.0 ~ 3.9로 평가하고, 상기 호감, 비호감 및 중립으로 산출하는 데 사용된 관련 키워드를 테이블로 작성하여 저장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수는 외형에 대한 외형평가점수, 사용상 편의에 대한 사용평가점수, 가격에 대한 가격평가점수 및 A/S에 대한 AS평가점수로 구분하여 산출되고, 각각의 평가점수에 배분된 고유지수를 곱하여 평균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분된 상기 고유지수의 합은 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프는 호감, 비호감 및 중립을 백분율로 표시된 원형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비스서버는 저사양 서버나 일반 PC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실구매자 개개인에 대한 상품정보의 선호도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결과가 배제되어 검출된 선호도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적용된 서비스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의해서 평가된 선호도를 분야별로 구분하여 표시된 일 실시 예의 원형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입력된 상품 정보에 근거하여 웹 사이트에서 상품정보를 소개하는 웹 페이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웹 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추출하여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한 복수의 웹페이지(110)를 포함하는 웹사이트(100)와 특정 상품의 상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웹사이트(100)의 웹페이지에 기재된 내용에 근거하여 상품의 선호도를 평가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웹사이트(100)는 통신망으로 통해 특정 브라우저로 접근 가능한 사이트로서, 웹서버에서 의해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통신망을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지칭하며, 하나의 웹서버에는 복수 개의 웹 사이트가 구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사이트(100)는 홈페이지, 블로그, 카페, 인스타그램 또는 텀블러 등 상품 구매자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접속하여 상품 정보에 대한 상품 평가를 작성하여 게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웹사이트(100)는 다양한 종류의 웹페이지(11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200)는 입력받은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에 근거하여 웹사이트에서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웹페이지를 검출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적용된 서비스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적용된 서비스서버(200)는 정부수집부(210), 구매여부확인부(220), 평가정보추출부(230), 선호도평가부(240) 및 선호도제공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부수집부(210)는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상품정보 근거하여 웹사이트에서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웹페이지를 검출하여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에는 제조사명, 브랜드명 및 제품명 등 다른 상품과 구별될 수 있는 키워드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키워드는 'AND' 또는 'OR'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웹페이지의 검출은 공개된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검색속도를 높이기 위해 Lucerne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검색엔진이 이용될 수 있다.
Lucene 기반으로 개발된 Nutch는 웹사이트나 웹 문서를 크롤링하는 오픈 소스 웹 크롤러 소프트웨어로서, 상기 Nutch는 특정 도메인에서 크롤러를 대상으로 하는 정규 표현식 기반의 도메인 필터를 가지고 있으며, 동적 URL 필터와 내용, 형식 등의 다른 종류와 다양한 플러그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정규식과 지명 사전에 따라 새로운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검색엔진과 달리 다수의 저가 서버나 일반 PC 등을 사용하여 검색엔진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 용도에 따라 단일 환경과 분산 환경에서 크롤링하고 검색할 수 있는 검색엔진이다.
상기 Lucerne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검색엔진은 저사양 서버나 일반 PC 등을 사용하여 검색엔진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 용도에 따라 단일 환경과 분산 환경에서 크롤링하고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매여부확인부(220)는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웹페이지가 상기 상품의 실구매자에 의해서 작성된 웹페이지 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제로 상품의 리뷰(후기)가 게재된 많은 웹페이지는 실구매자에 의해서 작성된 원본 웹페이지와 상기 원본 웹페이지를 복사 또는 링크하여 작성된 복사 웹페이지가 혼재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사 웹페이지는 실구매자의 상품 후기에 대한 정보가 증가되는 것이며, 의미가 없는 웹페이지이다. 따라서 복사 웹페이지는 상품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기본 정보에서 배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원본 웹페이지와 복사 웹페이지를 구분하기에는 상당히 복잡한 알고리즘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중복 게재된 웹페이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웹페이지만을 남기고 나머지 웹페이지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에서 배제하여 상품정보의 선호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매여부확인부(220)는 웹페이지비교모듈(221), 이미지비교모듈(222) 및 텍스트비교모듈(223)을 포함한다.
상기 웹페이지비교모듈(221)은 상기 정보수집부(210)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를 파싱하여 HTML 코드, XML 코드, SGML 코드 및 자바스크립트를 비교 분석하여,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미지비교모듈(222)은 상기 정보수집부(210)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텍스트비교모듈(223)은 상기 정보수집부(210)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된 웹페이지는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검출되어 미리 저장된 웹페이지를 의미하고, 상기 검출된 웹페이지는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신규로 검출된 웹페이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다른 웹사이트에서 카피된 복사 웹페이지인 경우에도 복사 웹페이지가 게재되는 웹서버의 환경에 따라 보여지는 웹페이지의 사이즈,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종류/버전 및 허용되는 언어 코드에 따라 복사하는 과정 또는 붙여 넣는 과정에서 원본 페이지와 소정의 차이를 갖고 복사 웹페이지가 게재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차이점에 대한 허용 범위를 설정하지 않으면, 복사 웹페이지도 하나의 원본 페이지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매여부확인부(220)에서 이루어지는 동일성 여부의 판단은 매칭률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칭률은 비교에 따른 매칭 정도를 설정하여 설정된 매칭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동일성 판단의 근거 데이터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웹페이지비교모듈(221)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매칭률이 95%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고, 상기 이미지비교모듈(222)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에서 각각 검출된 이미지 중 2개 이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며, 상기 텍스트비교모듈(223)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매칭률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미지비교모듈에서 이루어지는 이미지의 비교는 저장된 웹페이지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를 동일 크기 및 동일 해상도로 보정하고, 보정된 각각의 이미지를 차영상 방식으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된 웹페이지의 이미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대하여 선택되지 않은 이미지를 선택된 이미지의 크기 및 동일 해상도로 보정하고, 선택된 이미지와 보정된 이미지를 차영상 방식으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성 여부의 판단은 웹페이지비교모듈(221), 이미지비교모듈(222) 및 텍스트비교모듈(223)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비교모듈(221)의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비교 결과, 동일한 페이지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이미지비교모듈(222) 및 텍스트비교모듈(223)의 동작이 배제될 수 있다.
상기 구매여부확인부(220)에 의하면, 중복 게재된 웹페이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웹페이지만을 남기고 나머지 웹페이지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에서 배제함에 따라 실구매자 개개인에 대한 상품정보의 선호도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결과가 배제되어 검출된 선호도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평가정보추출부(230)는 상기 구매여부확인부(220)의 판단 결과, 실구매자에 의해서 작성된 웹페이지로 판단된 웹페이지에 대해서 상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평가정보추출부(230)는 홍보키워드추출모듈(231), 식별키워드추출모듈(232) 및 이미지추출모듈(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231)은 특정 상품을 홍보하는 홍보용 웹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한다.
여기서 홍보용 웹페이지는 특정 상품을 소개하는 상품 제조사의 웹사이트에 게재된 웹페이지 또는 쇼핑몰 웹사이트에 게재된 웹페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URL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상기 홍보용 웹페이지를 특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품의 리뷰(후기)는 상품의 특징에 대하여 서술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가격, 크기, 휴대성, 내구성 또는 보관성 등에 타사 제품과 비교하여 우의에 있다고 상품을 홍보하게 되는 데, 실사용자는 상품의 특징을 근거로 상품을 평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품 사용자의 개인적 평가보다는 해당 상품이 타사 제품과 비교하여 우의에 있다라고 판단되는 특징에 초점을 맞춰, 해당 상품의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231)을 통해 홍보용 웹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231)은 주요 키워드를 직접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식별키워드추출모듈(232)은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231)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검출된 웹페이지로부터 해당 상품의 대한 상품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키워드를 형태소 분석을 통해 추출한다.
예를 들면, 검출된 주요 키워드가 '가격'인 경우, '가격'이라는 명사를 검출하고, '가격'이라는 단어의 전/후에 연결된 동사 또는 형용사를 묶어서 추출하게 된다.
부연하면, '가격'의 명사 뒤에는 '싸다' 또는 '비싸다' 등의 형용사가 올 수 있다. 또는 '가격'의 명사 앞에도 '싼' 또는 '비싼' 등의 형용사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주요 키워드가 선정되면, 해당되는 주여 키워드의 전/후에 기재된 단어를 모두 검출하는 형태소 분석으로 추출되도록 구성되다.
상세하게 상기 형태소 분석은 명사와 결합되는 동사, 명사와 결합되는 형용사, 형용사와 결합되는 명사 및 동사와 결합되는 명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명사는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231)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상기 식별키워드추출모듈(232)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중복되는 경우, 중복된 상기 키워드를 우선순위로 하여 중요도를 부여하고, 부여된 중요도에 따라 분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추출모듈(233)은 미리 저장된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과 비교하여 동일한 이미지를 추출한다.
사용자가 게재하는 상품 리뷰는 텍스트 또는 촬영한 사진 등을 이용하여 작성되나, 일부에서는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 등을 이용하여 상품평을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으로 상품 평가의 웹페이지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상품의 선호도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공개되어 무료 또는 유료로 배포된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을 호감 또는 비호감 등으로 분류하여 미리 저장하고, 검출된 웹페이지서 미리 저장된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과 동일한 아이콘이 있는지를 검출하여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도 상품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선호도평가부(240)는 평가정보추출부(230)에서 추출된 평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선호도평가부(240)에서는 특정 상품에 대한 미리 설정된 점수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점수에 따라 호감, 비호감 및 중립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평가되게 된다.
상기 점수는 1.0에서 9.0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호감에 대한 점수는 7.0 ~ 9.0점, 상기 중립에 대한 점수는 4.0 ~ 6.9 및 상기 비호감에 대한 점수는 1.0 ~ 3.9로 평가될 수 있으며, 상기 호감, 비호감 및 중립으로 산출하는 데 사용된 관련 키워드를 테이블로 작성하여 저장 관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에는 상기 선호도평가부(240)에서 평가에 사용된 웹페이지, 분석된 형태소, 검출된 이미지(아이콘 또는 이모티콘) 및 산출된 점수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검출되는 키워드를 확장하거나 형태소의 분석된 단어를 보정하는 한편, 설정된 점수를 조정하여 더욱 신뢰성을 가지는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점수는 외형에 대한 외형평가점수, 사용상 편의에 대한 사용평가점수, 가격에 대한 가격평가점수 및 A/S에 대한 AS평가점수로 구분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점수에 차등을 두도록 구성되는 데, 이는 기업에서 상품을 출시하는 데 역점을 둔 부분에 높은 점수가 부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평가점수는 각각의 평가점수에 배분된 고유지수를 곱하여 평균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배분된 상기 고유지수의 합은 1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형평가점수, 사용상 편의에 대한 사용평가점수, 가격에 대한 가격평가점수 및 A/S에 대한 AS평가점수의 초기 설정된 고유지수는 각각 0.25이고, 가격에 대한 가격평가점수의 고유지수를 증가시키면 외형평가점수, 사용평가점수 또는 AS평가점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유지수는 증가된 점수에 대응하여 감소시켜야 한다. 즉, 가격에 역점을 두고 출시된 상품의 경우 가격평가점수의 고유지수를 0.5로 설정하면, 나머지 외형평가점수, 사용평가점수 및 AS평가점수에 대한 각각 고유지수의 합은 0.5점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르면, 기업에서 중점을 둔 분야에 높은 점수가 산출되도록 하여 역점분야에 대한 상품 선호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호도제공부(250)는 상기 정보수집부, 평가정보추출부 및 선호도평가부에서 수집된 정보 추출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호도평가부에서 평가된 선호도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제공한다.
이때, 상기 그래프는 호감, 비호감 및 중립을 백분율로 표시된 원형그래프로 표시되되, 각 분야별로 구분된 복수의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에 의해서 평가된 선호도를 분야별로 구분하여 표시된 일 실시 예의 원형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가격 및 크기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표시한 것으로서, 설계조건에 따라 가격 및 크기 이외에도 선호도 조건에 따라 안전성, 편리성 및 휴대성 등을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비스서버는 저사양 서버나 일반 PC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실구매자 개개인에 대한 상품정보의 선호도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결과가 배제되어 검출된 선호도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웹사이트 110: 웹페이지
200: 서비스서버 210: 정보수집부
220: 구매여부확인부 221: 웹페이지비교모듈
222: 이미지비교모듈 223: 텍스트비교모듈
230: 평가정보추출부 231: 홍보키워드추출모듈
232: 식별키워드추출모듈 233: 이미지추출모듈
240: 선호도평가부 250: 선호도제공부

Claims (10)

  1.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상품정보에 근거하여 웹사이트에서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웹페이지를 검출하여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신규로 수집된 웹페이지가 상기 상품의 실구매자에 의해서 작성된 원본 웹페이지를 복사 또는 링크하여 작성된 복사 웹페이지 인지를 판단하여 중복 게재된 상기 복사 웹페이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웹페이지만을 남기고 나머지 웹페이지는 배제하기 위해 상기 상품의 실구매자에 의해서 작성된 웹페이지 인지를 판단하는 구매여부확인부;
    상기 구매여부확인부의 판단 결과, 실구매자에 의해서 작성된 웹페이지로 판단된 웹페이지에 대해서 상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추출하는 평가정보추출부;
    상기 평가정보추출부에서 추출된 평가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는 선호도평가부;
    상기 정보수집부, 평가정보추출부 및 선호도평가부에서 수집된 정보 추출된 정보를 저장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호도평가부에서 평가된 선호도를 그래프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선호도제공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매여부확인부는,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를 파싱하여 HTML 코드, XML 코드, SGML 코드 및 자바스크립트를 비교 분석하여,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웹페이지비교모듈;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이미지비교모듈; 및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되어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텍스트비교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동일성 여부의 판단은 매칭률에 의해서 이루어지되,
    a) 상기 웹페이지비교모듈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HTML 코드, XML 코드, SGML 코드 및 자바스크립트를 비교한 매칭률이 95%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고,
    b) 상기 이미지비교모듈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에서 각각 검출된 이미지 중 2개 이상으로 동일한 이미지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며,
    c) 상기 텍스트비교모듈에서 저장된 웹페이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비교한 매칭률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웹페이지로 판단하며,
    상기 이미지비교모듈에서 이루어지는 이미지의 비교는 저장된 웹페이지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와 검출된 웹페이지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에 대하여 선택되지 않은 이미지를 선택된 이미지의 크기 및 동일 해상도로 보정하고, 선택된 이미지와 보정된 이미지를 차영상 방식으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추출부는,
    상기 특정 상품을 홍보하는 홍보용 웹페이지에서 상기 상품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홍보키워드추출모듈;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주요 키워드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검출된 웹페이지로부터 해당 상품의 대한 상품의 특징을 식별할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식별키워드추출모듈; 및
    상기 정보수집부에서 검출된 웹페이지로부터 특정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추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별키워드추출모듈에서 추출되는 키워드는 동사 및 형용사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통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형태소 분석은,
    명사와 결합되는 동사 및 명사와 결합되는 형용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명사는 상기 홍보키워드추출모듈에서 추출된 키워드와 상기 식별키워드추출모듈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중복되는 경우, 중복된 상기 키워드를 우선순위로 하여 중요도를 부여하고, 부여된 중요도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추출모듈은,
    미리 저장된 아이콘 또는 이모티콘과 비교하여 동일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호도평가부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1.0에서 9.0으로 미리 설정된 점수로 선호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점수에 따라 호감, 비호감 및 중립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호감에 대한 점수는 7.0 ~ 9.0점, 상기 중립에 대한 점수는 4.0 ~ 6.9 및 상기 비호감에 대한 점수는 1.0 ~ 3.9로 평가하고, 상기 호감, 비호감 및 중립으로 산출하는 데 사용된 관련 키워드를 테이블로 작성하여 저장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수는,
    외형에 대한 외형평가점수, 사용상 편의에 대한 사용평가점수, 가격에 대한 가격평가점수 및 A/S에 대한 AS평가점수로 구분하고,
    상기 외형평가점수, 사용평가점수, 가격평가점수 및 AS평가점수에 대한 각각의 고유지수를 설정하며,
    상기 외형평가점수, 사용평가점수, 가격평가점수 및 AS평가점수에 설정된 상기 고유지수를 곱하여 평균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외형평가점수, 사용평가점수, 가격평가점수 및 AS평가점수에 대한 상기 고유지수의 합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호감, 비호감 및 중립을 백분율로 표시된 원형그래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KR1020170083231A 2017-06-30 2017-06-30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KR10183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31A KR101834480B1 (ko) 2017-06-30 2017-06-30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231A KR101834480B1 (ko) 2017-06-30 2017-06-30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480B1 true KR101834480B1 (ko) 2018-04-13

Family

ID=6197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231A KR101834480B1 (ko) 2017-06-30 2017-06-30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4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684A (ko) * 2018-11-30 2020-06-09 카페24 주식회사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쇼핑몰의 디자인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00136692A (ko) 2019-05-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출제품 선호도 평가 시스템
KR20200136691A (ko) 2019-05-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출제품 선호도 조사방법
WO2020251282A3 (ko) * 2019-06-11 2021-02-04 이현환 선호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0992A (ko) * 2020-07-20 2022-01-27 김동진 웹 사이트 정보제공시스템
KR20220010993A (ko) * 2020-07-20 2022-01-27 김동진 상품 정보제공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684A (ko) * 2018-11-30 2020-06-09 카페24 주식회사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쇼핑몰의 디자인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198545B1 (ko) * 2018-11-30 2021-01-06 카페24 주식회사 온라인 전자상거래의 쇼핑몰의 디자인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200136692A (ko) 2019-05-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출제품 선호도 평가 시스템
KR20200136691A (ko) 2019-05-28 2020-12-0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출제품 선호도 조사방법
WO2020251282A3 (ko) * 2019-06-11 2021-02-04 이현환 선호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0992A (ko) * 2020-07-20 2022-01-27 김동진 웹 사이트 정보제공시스템
KR20220010993A (ko) * 2020-07-20 2022-01-27 김동진 상품 정보제공시스템
KR102414848B1 (ko) * 2020-07-20 2022-06-29 김동진 상품 정보제공시스템
KR102439984B1 (ko) * 2020-07-20 2022-09-02 김동진 웹 사이트 정보제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480B1 (ko) 사용자의 상품 평가를 이용한 상품 선호도 제공 시스템
Heydari et al. Detection of fake opinions using time series
KR101375940B1 (ko) 발전된 탐색 결과 페이지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171088B2 (en) Mining for product classification structures for internet-based product searching
US20190043100A1 (en) Interest-based communities
KR101361992B1 (ko) 발전된 탐색 결과 페이지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356248B1 (en) Generating context-based timelines
US20070214133A1 (en) Methods for filtering data and filling in missing data using nonlinear inference
US200601557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 analysis, processing and information extraction
US9104746B1 (en) Identifying contrarian terms based on website content
WO2007146100A2 (en) Evaluativ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10909196B1 (en) Indexing and presentation of new digital content
US9330071B1 (en) Tag merging
KR20180112718A (ko) 유사 사용자 매칭을 이용한 자동 답변 방법 및 시스템
Jha et al. Reputation systems: Evaluating reputation among all good sellers
KR20190048781A (ko) 온라인 의견 정보 수집 및 분석 시스템
CN10446243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110052114A (ko) 인터넷을 활용한 추천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JP4883644B2 (ja) リコメンド装置、リコメンドシステム、リコメン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リコメンド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2288216A (ja) 感性商品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127597A (zh) 搜索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Wang et al. Improving Amazon-like review systems by considering the credibility and time-decay of public reviews
KR102588300B1 (ko) 쇼핑몰 제품 노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423101B2 (en) Keyword generation and verification system
Nagano et al. Ontology-based topic extraction service from weblo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