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92B1 - 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 - Google Patents

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92B1
KR101833992B1 KR1020170095512A KR20170095512A KR101833992B1 KR 101833992 B1 KR101833992 B1 KR 101833992B1 KR 1020170095512 A KR1020170095512 A KR 1020170095512A KR 20170095512 A KR20170095512 A KR 20170095512A KR 101833992 B1 KR101833992 B1 KR 10183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nitor
signal
power consumption
il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수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주)트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엠 filed Critical (주)트리엠
Priority to KR102017009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9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The method is used to automatically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by using a brightness sensor and a D-sub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mputer to an LCD monitor in a complex manner. A monitor power consumption reducing device includes: a brightness sensing unit which senses the brightness on the outside of the monitor; an image input and output (I/O) unit which processes and displays images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body, outputs the D-sub signal received from a D-sub connector receiving video signal from the computer body as a power-saving signal, and outputs a dimm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a backlight board based on the brightness sensing signal generated after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brightness sensing unit; a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which recognize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mputer body based on the D-sub signal,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the image I/O unit in the monitor in a self-initiated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mputer body, and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and a power supply unit which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providing the backlight in accordance with the dimming signal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when the computer body operates.

Description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 [

본 발명은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에서 모니터(LCD 모니터)로 출력되는 디-서브(D-sub) 출력 신호와 조도센서를 이용한 조도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자동으로 모니터 자체에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a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by using a D-sub output signal output from a computer (LCD monitor) And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so a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사용중 최소한의 전원만을 사용하는 대기 모드(절전 모드)나 모니터의 전원이 꺼진 상태인 오프 모드시에 화면을 꺼서 소비전력을 줄이게 되는 데, 이때 모니터 화면은 꺼지지만 모니터의 전원은 계속 공급되어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즉,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모니터의 영상 보드(AD 보드)에는 지속적으로 대기전력이 공급되어 대기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the computer turns off the display in standby mode (power saving mode), which uses only a minimal amount of power during use, or in off mode, in which the monitor is turned off. At this time, the monitor screen is turned off, Power is consumed continuously. That is, standby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video board (AD board) of the monitor even when the screen is turned off, thereby consuming standby power.

이러한 대기전력 소모는 불필요한 전력 낭비로서, 에너지 낭비를 유발함은 물론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Such standby power consumption is an unnecessary power waste, which causes waste of energy and causes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due to generation of carbon dioxide.

따라서 모니터에 상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를 빼지 않은 상태에서, 공급 전력을 차단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하고, 이산화탄소 발생을 억제하여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by preventing the waste of electric power by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while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carbon dioxide while disconnecting the plug for supplying the commercial power to the monitor.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12> 에 모니터의 절전을 위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12, a technique proposed in the past for power saving of a monitor is disclosed.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변화가 없으면 그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step of judging a change of image data inputted from the outside, a time when the image data is not changed,

시간과 설정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시간이 상기 설정 시간 이상일 경우 화면의 밝기를 최소화하는 단계, 상기 화면 밝기가 최소화 후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변화가 있으면, 화면의 밝기를 원래 밝기로 복원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컴퓨터 비디오 모니터의 소비 전력을 최대한 절감한다.Comparing the time with the set time, minimiz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when the measured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ime, determining a change in the video data after minimiz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 And restor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to the original brightness. This configuration maximizes the power consumption of computer video monitors.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영상의 콘트라스트 상태 또는 콘트라스트 및 휘도 상태에 따라 백라이트의 전류를 감소시키되, 특히 상기 영상의 콘트라스트가 해당 기준 값 이하이면 백라이트의 전류량을 감소시키고,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백라이트의 전류량을 기설정 값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영상 상태의 변화에 따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reduces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backlight depending on the contrast state of the image or the brightness and contrast of the image. In particular, when the contrast of the imag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backlight is maintained at the predetermined value, thereby enabling the power consumption to be effectively reduc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mage state.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감지센서, 사용자 감지센서에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 사용자 감지센서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사용자 부재로 판단되면 모니터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고 절전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정상 모드로 전환하며, 스위치를 온/오프시켜 사용자 감지센서가 일정 주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모니터 앞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동안 모니터가 정상 모드로 작동하고 사용자가 부재중인 동안에는 모니터를 절전 모드로 변환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증진되고 사용 전력을 절약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ncludes a user sensor for outputting a user sensing signal,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a power to the user sensing sensor, a monitor for sensing a user's presence according to a signal applied from the user sensing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ser detection sensor to operate at a predetermined cycle by switching on / off the switch when the user enters a power saving mode and a user detection signal is input in a power saving mode, It operates in normal mode and converts the monitor to sleep mode while the user is away, thereby further enhancing user convenience and saving power.

또한,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모니터의 패널이 부착된 앞면에 인체를 감지해주는 적외선 센서를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제어 보드를 통해 인체 감지 유무에 따라 모니터의 전원을 제어한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is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a monitor panel, and the power of the monitor is controlled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a human body through a control board connected thereto.

또한, <특허문헌 5>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외부 입력 전원을 받아 내부 기능부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스위칭 구동신호에 따라 전원부로 제공되는 입력 전원의 전원 공급 경로를 차단 또는 도통시키는 스위칭부, 컴퓨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스위칭부에 스위칭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센싱&구동부,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를 감지하여 동기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센싱&구동부로 제공하고, 동기신호 감지되면, 외부 입력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센싱&구동부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5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hat receives external input power and provides operating power to the internal function unit, a switching unit that cuts off or turns on a power supply path of the input power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driving signal, A sensing and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provided from a computer main body to the control unit and providing a switching driving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for cutting off an input power to the sensing and driving unit and providing a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an external input power to the sensing and driving unit when a synchronous signal is sense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컴퓨터가 절전 모드나 전원 오프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낭비되는 전력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절전을 구현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omputer is in the power saving mode or the power off state, the power consumed by the display device and the standby power are cut off, thereby realizing power saving.

또한, <특허문헌 6>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절전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및 모니터 절전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절전 모드로 들어가게 하고, 컴퓨터 시스템의 절전 모드에서 돌아올 경우 따로 모니터의 전원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전원이 켜지게 하는 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6 allows a computer system to enter a power saving mode by using a computer system for saving power and a monitor power saving control mode, and is not required to press the power button of the monitor separately when returning from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computer system A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 monitor and a computer system that cause the power to be turned on are provided.

또한, <특허문헌 7>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을 연동하여 상호 간 전원을 하나만 오프할 경우에도 양측이 동시에 오프되는 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Also,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7 provid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monitor and a computer system in which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turned off even when power is turned off between the monitors and the computer system.

또한, <특허문헌 8>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내부 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PWM 컨트롤러, PWM 컨트롤러에서 발생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 스위칭부, 전원 공급 장치 내부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에 따라 전원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량을 계산하고, 계산한 전력량과 내부상태를 감지한 감지 결과 및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이벤트 설정 값에 따라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파워 관리기를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technolog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8 is a PWM controller that generates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sensing an internal state and switches an AC power input according to a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ed in the PWM controller Generating a power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result of detecting an internal state of the power supply switch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converting th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into digital data, calculating a power amount based on the converted digital data, And a power manager for controlling the power output according to the detected result of detecting the power amount and the internal state and the event set value set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이러한 구성을 통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에서 전력 출력 상황을 분석하고, 파워 내부 상태를 감지하며 설정된 정보에 따라 파워 내부를 제어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a power supply such a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analyzes the power output situation, detects the power internal state, and controls the power inside according to the set information.

또한, <특허문헌 9>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컴퓨터 사용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보조 파워 스위치, 상기 보조 파워 스위치의 동작시 대기전원을 생성하여 컴퓨터 메인보드에 대기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컴퓨터 메인보드로부터 메인전원 요구발생시 메인 전원을 생성하여 대기전원과 함께 공급해주고, 상기 컴퓨터 메인보드로부터 메인전원 차단 요구발생시 상기 대기전원과 메인전원 생성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9 includes an auxiliary power switch for inputting a computer use signal, a standby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standby power during operation of the auxiliary power switch, supplying standby power to the computer main boar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generating a main power when the main power request is generated and supplying the main power together with the standby power, and for controlling the standby power and the main power generation when a main power interruption request is issued from the computer main board.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컴퓨터에 적용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에서 대기전원 출력을 없애 소비전력을 줄이게 된다.This configuration reduces power consumption by eliminating the standby power output from a power supply such a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that is applied to a computer.

또한, <특허문헌 10>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모니터의 대기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 신호를 발생하는 컴퓨터 본체, 상기 컴퓨터 본체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신호를 전력 제어용 신호로 사용하여 전력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상기 모니터로 전력 차단장치를 구현하고, 상기 컴퓨터 본체는 전원 온 상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0 includes a computer main body for generating a digital interface signal for controlling a standby power of a monitor, and a digital interface signal generate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as a power control signal, Wherein the computer is configured to implement a power shutdown device,

태, 전원 오프 상태, 절전 상태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 신호를 차등적으로 발생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 컴퓨터 본체에서 자동으로 모니터의 전력을 제어하게 된다.The digital interface signal is generat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power, the power off state, and the power saving state, and the power of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mputer body without user's operation.

또한, <특허문헌 1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입력되는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대기전력을 생성하여 메인 보드에 대기 전력을 공급해주고, 대기전력 생성 오프시 잔류전력을 이용하여 대기 전력을 공급해주는 대기전력 공급부, 상기 대기전력 차단 후 상기 대기전력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잔류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잔류 전력의 소진 시간을 계산하여 부하량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부하량에 따라 상기 대기전력 공급부의 대기전력 생성을 제어하는 대기전력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1 has a function of rectifying the input commercial power, generating standby power to supply standby power to the main board, and standby A power supply unit for measuring a residual power supplied from the standby power supply unit after the standby power is cut off, calculating a load amount by calculating an exhaustion time of the residual power, and generating standby power of the standby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load amount And a standby pow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andby power.

이러한 구성을 통해, SMPS와 같은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대기전력을 최소화하여 절전을 구현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by minimizing standby power in a device using a power supply such as an SMPS.

또한, <특허문헌 1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본체로부터 모니터에 출력되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신호와 모니터의 전원공급장치(예를 들어, SMPS)의 신호출력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정확하게 오프 모드(off mode)를 감지하고, 오프 모드 감지시 모든 신호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최대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2 uses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signal output from a main body to a monitor and a signal output of a monitor power supply device (for example, SMPS) off mode, and when the off mode is detected, all signal output is cut off, thereby max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29220호(2004.04.06. 공개)(LCD 모니터의 전력 절감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029220 (Apr. 04, 2004) (Power Saving Method of LCD Monitor)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8153호(2006.09.19. 등록)(LCD 소비전력 절감장치 및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28153 (Registered on Sep. 19, 2006) (Device and Method for Reducing LCD Power Consump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31228호(2006.12.20. 공개)(모니터의 전원 제어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131228 (Dec. 20, 2006) (Monitor Power Control Device and Method)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49043호(2011.05.12. 공개)(인체 적외선 감지를 통한 모니터 전력 제어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49043 (May 12, 2011) (Method of controlling monitor power through human body infrared ray dete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1019호(2011.07.13. 공개)(대기전력 차단 구조를 갖는 모니터)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81019 (Published on July 13, 2011) (Monitors having a Standby Power Interruption Struc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0212호(2013.11.11. 등록)(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30212 (Registered Nov. 11, 2013)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 and computer system)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30217호(2013.11.11. 등록)(모니터 및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30217 (Registered Nov. 11, 2013) (Power Control Device for Monitor and Computer System and Method Thereof)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3316호(2014.09.16. 등록)(매니지먼트 기능이 내장된 전원공급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43316 (Registered on September 16, 2014) (Power supply unit with built-in management fun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81743호(2015.01.06. 등록)(컴퓨터용 대기전원 없는 전원공급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81743 (Registered on May 1, 2015) (Power supply without standby power for computer)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23435호(2015.11.04. 공개)(컴퓨터 연동을 통한 모니터 대기전력 차단장치)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23435 (published on April 11, 2015) (Monitoring Standby Power Cutoff Device through Computer Interlocking)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6585호(2014.07.02. 등록)(전원공급장치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16585 (Registered on Apr. 2, 2014) (Standby power control device of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thereof)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23089호(2016.05.16. 등록)(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23089 (Registered on May 16, 2016) (Power Consumption Reduction Device for Monito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disadvantages.

첫째로, 본체와 연동하여 모니터의 전력 제어는 가능하나,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 장치(SMPS)와 같은 별도의 전력 장치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First, although power control of the monitor is possible in conjunction with the main bod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separate power device such as a power supply (SMPS) that supplies power is used.

둘째로, 절전 모드나 오프 모드에서 모니터의 백라이트 구동 전원을 차단하여 절전은 가능하나,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 보드(AD 보드)에는 구동 전원(DC 5V)이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save electricity by turning off the backlight driving power of the monitor in the power saving mode or the off mode. However, the driving power (DC 5V) is supplied to the image processing board (AD board) There are disadvantages.

셋째로,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환경에서, 모니터 자체적으로 조도에 따라 모니터의 백라이트 전원 조절을 통해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Third, there is a drawback that in a normal computer environmen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can not be reduced through the backlight power control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monitor itself.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컴퓨터에서 모니터(LCD 모니터)로 출력되는 디 서브(D-sub) 출력 신호와 조도센서를 이용한 조도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자동으로 모니터 자체에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git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to provide a method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can be automatically reduc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는 모니터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부;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컴퓨터 본체의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디-서브 커넥터를 통해 수신된 디-서브 신호를 절전 신호로 출력하며,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한 조도 감지 신호를 기초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를 위한 디밍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입출력부; 상기 영상 입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디-서브 신호를 기초로 컴퓨터 본체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컴퓨터 본체의 동작상태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상기 영상 입출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소비전력 제어부; 상기 영상 입출력부에서 출력되는 디밍 신호에 따라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정상적인 컴퓨터 본체 동작 상태에서 모니터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a computer main body and outputting a power saving signal to a de-sub signal received through a de-sub connector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of a computer main body, A video input /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dimming signal for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as a basi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to recognize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based on the de-sub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input / A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controlling power of a backlight board that provides a backlight according to a dimming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n a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상기에서 디-서브 신호는 수평 동기신호(H sync) 또는 +5V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de-sub signal is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 sync) or a + 5V signal.

상기에서 영상 입출력부는 상기 조도 감지부에서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복수 레벨의 디밍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deo input / output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levels of dimming signals for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level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상기에서 소비전력 제어부는 상기 영상 입출력부로부터 디-서브 신호를 입력받는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 상기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서브 신호 중 임의의 신호의 레벨을 분석하여 컴퓨터 본체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컴퓨터 본체의 동작 상태가 대기모드 또는 오프모드이면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 상기 마이컴에서 발생한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기 영상 입출력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includes a de-sub signal input terminal receiving the de-sub signal from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by analyzing the level of an arbitrary signal among the de-sub signals inputted through the de-sub signal input terminal, and if the recognized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the standby mode or the off mode, A microcomputer for generating a signal; And a power cutoff unit for cutting of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according to a power cutoff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comput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상기에서 마이컴은 상기 디-서브 신호 중 수평 동기 신호의 유무를 분석하여, 수평 동기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차단과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computer analyz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mong the de-sub signals, and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the microcomputer cuts off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nd cuts off the power of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은 (a) 모니터의 전원 버튼이 온(on) 상태가 되면, 본체로부터 동기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 결과 동기신호가 감지되면 조도 센서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조도 센서가 동작 상태이면 조도 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조도 값의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와 같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조도 변화와 수평 동기 신호의 유무 및 전원 버튼의 조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조도변화가 감지되거나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전원 버튼이 오프 상태로 조작되면 백라이트 보드 및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the method comprising: (a) confirming whether a synchron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main body when a power button of the monitor is turned on; (b) if the synchronizing signal is detect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illuminance sensor is checked, and if the illuminance sensor is in the operating state, the illuminance value is obtained and the supply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btained illuminance level, Saving step; (c) confirming the illuminance chan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button in a state of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s in the step (b); (d)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when the illumination change is detected o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or the power button is operated in the off st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c)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에서 (b)단계는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b),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controll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ensed illumination level.

상기에서 (d)단계는 (d1) 상기 조도 변화가 감지되면, 감지한 조도 값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조도 레벨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d2)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단하여 1차적으로 모니터 소비전력을 줄이고, 이어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2차적으로 모니터 소비전력을 줄이는 단계; (d3) 상기 전원 버튼이 오프 상태로 조작되면, 전원 오프 모드로 진입하고,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과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d) includes the steps of: (d1) controlling the supply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level according to the sensed illuminance value when the illuminance change is sensed; (d2)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to primarily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nd secondl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by shutting off the power of the video input / (d3) When the power button is turned off, the power-off mode is entered,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s reduced by shutting down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as the video board.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로부터 입력되는 디-서브 신호와 모니터 주변의 조도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정상적인 사용상태나 컴퓨터 본체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백라이트 보드와 영상 보드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차등적인 전원 제어를 통해 컴퓨터 본체의 절전과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de-sub signal input from the computer main body and the illuminance around the monitor,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nd the image board is cut off or the power supp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separately from the power saving of the computer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조도 센서의 장착 예시도,
도 3a는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서 본체의 구동에 따른 모니터의 밝기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본체의 구동에 따른 모니터의 밝기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보인 흐름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stallation view of the illuminance sensor applied to FIG. 1,
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brightness of a monitor according to driving of a main body in a conventional computer system,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brightness of a monitor according to driving of the main body in the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의 구성도로서, 전원 공급부(10), 소비전력 제어부(20), 영상 입출력부(30), 백라이트 보드(40), 전원 버튼(50) 및 조도 감지부(60)를 포함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wer consumption reducing apparatus of a moni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10,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20,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the backlight board 40, (50) and an illuminance detection unit (60).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모니터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와 같은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에 적용되는 SMPS는 +5V 전원과 +16V 전원을 공급해준다. 전원 공급부(10)는 모니터에 내장되거나 모니터 외부에서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어댑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 is a devic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monitor,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power supply device such as a general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The SMPS applied to the monitor supplies a + 5V supply and a + 16V supply. The power supply unit 10 may use a device such as an adapter that is embedded in a monitor or supplies power to the monitor from outside the monitor.

상기 조도 감지부(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모니터(1)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도 감지부(6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CdS 또는 Ambient Light Sensor 등과 같은 조도 센서(61)를 이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6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nitor 1, and serves to sense the illuminance of the outside of the monitor 1. The illuminance sensor 60 may use an illuminance sensor 61 such as a generally known CdS or Ambient Light Sensor.

상기 전원 버튼(50)은 모니터(1)의 전원을 온(on) 하거나 오프(off)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The power button 50 is a switch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the monitor 1. [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는 영상 보드(AD 보드)로서,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컴퓨터 본체의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디-서브(D-SUB) 커넥터(31)를 통해 수신된 디-서브 신호를 절전 신호로 소비전력 제어부(20)에 출력하며, 상기 조도 감지부(60)에서 감지한 조도 감지 신호를 기초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위한 디밍 신호(Dimming signal)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is an image board (AD board), which processes and displays an image transmitted from a computer main body, and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a computer main body through a D-SUB connector 31 And outputs the received de-sub signal as a power saving signal to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section 20. Based on the illuminance detection signal sensed by the illuminance detection section 60, the dimming signal for dimming control of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signal.

여기서 디-서브 신호는 수평 동기신호(H sync) 또는 +5V 신호이며,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는 상기 조도 감지부(60)에서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복수 레벨의 디밍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output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the differential signal output unit 40 in accordance with the illuminance level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60,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 plurality of levels of dimming signals for control.

이를 위해 영상 입출력부(30)는 영상 디스플레이와 절전 신호 출력, 디밍 신호 출력 등을 위해 Scaler IC(32)를 구비한다. Scaler IC(32)는 모니터의 영상 보드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영상 처리 모듈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Scaler IC(32)는 조도 레벨을 분석하고, 분석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램이 부가된 것으로 가정한다.To this e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includes a Scaler IC 32 for video display, power saving signal output, and dimming signal output. The Scaler IC 32 is an image processing module basically provided on the video board of the monitor. The Scaler IC 32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illuminance level, and according to the analyzed illuminance level,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It is assumed that a program for generating a dimming signal for control is added.

상기 소비전력 제어부(20)는 상기 영상 입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디-서브 신호(+5V, H-sync)를 기초로 컴퓨터 본체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컴퓨터 본체의 동작상태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20 recogniz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based on the de-sub signal (+ 5V, H-sync) output from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Output unit 30 to control the power of the monitor itself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이러한 소비전력 제어부(20)는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부터 디-서브 신호를 입력받는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21), 상기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21)를 통해 입력되는 디-서브 신호 중 임의의 신호의 레벨을 분석하여 컴퓨터 본체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컴퓨터 본체의 동작 상태가 대기모드 또는 오프모드이면 전원 차단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22), 상기 마이컴(22)에서 발생한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10)에서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전원 차단부(23)를 포함한다.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20 includes a de-sub signal input terminal 21 receiving a de-sub signal from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 de-sub signal input terminal 21 receiving the de- A microcomputer 22 for recogniz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by analyzing the level of an arbitrary signal among the signals and generating a power down signal when the recognized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the standby mode or the off mode, And a power cutoff unit 23 for cutting of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ccording to a power cutoff signal generated by the power cutoff unit 23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여기서 마이컴(22)은 상기 디-서브 신호 중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유무를 분석하여,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차단과 영상 입출력부(30)의 전원을 차단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crocomputer 22 analyz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mong the de-sub signals and notifies the power of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바람직하게, 마이컴(22)은 상기 디-서브 신호의 레벨을 분석하여 "하이레벨"이면 정상 모드로 판별하고, 상기 전원 차단신호를 오프(off) 신호로 발생하며, 상기 디-서브 신호의 레벨을 분석하여 "로우레벨"이면 대기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판별하고, 상기 전원 차단신호를 온(on) 신호로 발생한다.Preferably, the microcomputer 22 analyzes the level of the de-sub signal to determine the normal mode if the signal is at a high level, generates the off signal as an off signal, And if it is "low level", it is determined as a standby mode or an off mode, and the power shutdown signal is generated as an on signal.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상기 영상 입출력부(30)에서 출력되는 디밍 신호에 따라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정상적인 컴퓨터 본체 동작 상태에서 모니터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power of a backlight board 40 that provides a backlight according to a dimming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input and output unit 30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in a normal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ower saving device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모니터의 전원 버튼(50)이 온(on) 상태(오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눌러지는 상태)로 눌러져 초기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모니터의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30)는 디-서브(D-SUB) 커넥터(31)를 통해 컴퓨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Scaler IC(32)는 조도 감지부(60)에서 출력되는 조도 감지 값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컴퓨터 본체는 모니터와 연결 시, 상기 디-서브 신호를 통해 비디오 신호와 통신 데이터(절전 데이터 포함) 등이 전송된다. 아울러 조도 감지부(60)는 조도 센서 동작을 위한 별도의 조도센서 동작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도 센서의 동작 유무를 결정하도록 한다. First, when the power button 50 of the monitor is turned o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in the off state) and the initial power is supplie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which is the video board of the monitor, The Scaler IC 32 receives a video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main body through a sub-D-SUB connector 31, and the Scaler IC 32 receives a luminance sensing value output from the luminance sensing unit 60. Here, when the computer main body is connected to a monitor, a video signal and communication data (including power saving data) are transmitted through the de-sub signal. In addition,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60 includes a separate illuminance sensor operation button for illuminance sensor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lluminance sensor is operated.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는 상기 디-서브 커넥터(31)를 통해 컴퓨터 본체로부터 영상 신호가 전달되면 이를 수신하여 백라이트 보드(40)로 전송하여, 모니터 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조도 감지부(60)에 의해 감지한 조도 감지 값을 분석하여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는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조도센서 동작버튼을 온 상태로 조작한 것으로 가정한다.When the vide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through the de-sub connector 31,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receives the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video signal to the backlight board 40 so that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And analyzes the illumination sensing value sensed by the sensing unit 60 to generate a dimm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has operated the illuminance sensor operation button to the ON state.

영상 입출력부(30)의 Scaler IC(32)는 조도 감지부(60)의 조도 센서(61)를 통해 조도가 감지되면, 감지한 조도 값을 인덱스로 미리 설정된 조도 레벨 룩-업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을 판단한다. 여기서 조도 레벨은 본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조도 값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 조절을 하고, 이를 통해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미리 설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서의 조도 레벨은 제1 내지 제4레벨로 설정하였으며, 이것은 4개의 조도 값 변화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겠다는 의미이다. 조도 레벨을 4개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세분화하거나 레벨을 줄여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조도 레벨은 제1레벨(100%) < 제2레벨(85%) < 제3레벨(65%) < 제4레벨(50%)의 관계이다.When the illuminance is detect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61 of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60, the Scaler IC 32 of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searches the illuminance level look-up table that is preset with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as an index And determines the illumination level. Here, the illuminance level is a preset value for reducing the backlight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tself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value while the main body is operating norm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nce level is set to the first to fourth levels, which means that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to be controll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s. The illumination level is set to fo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wer source of the backlight board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by further subdividing or reducing the level will be. The illuminance level is a relationship of a first level (100%) <second level (85%) <third level (65%) <fourth level (50%).

상기 Scaler IC(32)는 조도를 감지하면, 감지한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4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4레벨 중 어느 레벨에도 속하지 않으면 절전 기능을 구현하지 않으며, 이와는 달리 감지한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4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면 그에 대응하게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부(10)에 전달한다.When the illuminance is sensed, the Scaler IC 32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illuminance value belongs to one of the first to fourth levels, and when the illuminance value is at any level among the first to fourth levels If the illuminance value belongs to one of the first to fourth levels, a dimming signal for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value, (10).

예컨대,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1제어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1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최소로 제어하여 모니터(1)의 화면 밝기를 조금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제어 레벨에 대응하는 디밍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금 어둡게 한다.For example, the illumination level look-up table is searched by the sensed illumination value, and a dimm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the first control level is generated if the illumination level is the first level. Here, the first control level refers to a power control level that control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the minimum level to darke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1 slightly. According to the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rol level, 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darken the screen brightness a little.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을 두는 이유는 지속적 실시간으로 조도를 감지하여 백라이트 보드를 제어하게 되면, 모니터의 화면이 조도에 따라 계속하여 밝기 조절이 이루어져 실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잦은 화면 밝기 조절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일정 시간을 두었다. 일정 시간은 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해 모니터의 절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controlled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40, the illuminance is detected again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reason for setting the predetermined time here is that if the backlight board is controlled by continuously detecting the illuminance in real time,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screen is continu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o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frequently adjust the screen brightnes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r uses the computer , So that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edetermined time can be set in minutes, an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ime for maximizing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monitor through experiments.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2제어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2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상기 최소보다는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의 화면 밝기를 상기 제1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2제어 레벨에 대응하는 디밍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상기 제1제어 레벨보다 조금 더 어둡게 한다. 제2제어 레벨이 제1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first level,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Otherwise,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second level, the backlight board (or the backlight board) 40 to a second control level. Here, the second control level control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by maximiz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a minimum, which is a power control level that makes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monitor 1 darker than the first control level. According to the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level, 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darken the screen slightly lower than the first control level. The second control level consumes less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s compared to the first control level.

상기와 같이 2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3제어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3제어 레벨에 대응하는 디밍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상기 제2제어 레벨보다 조금 더 어둡게 한다. 여기서 제3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상기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의 화면 밝기를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제3제어 레벨이 제2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adjusted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40, and the illuminance is detected again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second level,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third level, the illuminance level look-up table is searched with the sensed illuminance value, 40 to a third control level. According to the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trol level, 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darken the screen slightly lower than the second control level. Here, the third control level control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by maximizing the power level of the backlight board 40 more than the second control level, and means a power control level that darkens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monitor 1 to a level lower than the second control level. The third control level consumes less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s compared to the second control level.

또한, 상기와 같이 3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4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4제어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4제어 레벨에 대응하는 디밍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상기 제3제어 레벨보다 조금 더 어둡게 한다. 여기서 제4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상기 제3제어 레벨보다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의 화면 밝기를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제4제어 레벨이 제3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In additio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controlled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40 as described above, and the illuminance is detected again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third level,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fourth level, the backlight board (or the backlight board) 40 to a fourth control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ourth control level, 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so that the screen brightness is slightly darker than the third control level. Here, the fourth control level control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by maximizing the power level of the backlight board 40 more than the third control level, which means a power control level that makes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monitor 1 darker than the second control level. The fourth control level consumes less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than the third control level.

여기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최소 또는 최대화하여 제어한다는 의미는 백라이트 전력을 줄여, 화면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며, 화면 밝기가 어두울수록 백라이트 소비전력이 줄어든다.Here,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is minimized or maximized, which means that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reduced by reducing the backlight power, and the backlight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a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decreased.

백라이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도중에 조도가 백라이트 제어 이전의 상태가 되면,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When the illuminance is in the state before the backlight control during the control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cklight, the backligh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ithout the power supply control.

도 3a는 기존 컴퓨터 시스템에서 컴퓨터 본체의 동작이 온 상태이면 상부 모니터와 같이 밝기 상태를 유지하고, 오프 상태이면 하부 모니터와 같이 어두운 밝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FIG. 3A shows that,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uter main body is turned on in the conventional computer system, the brightness state is maintained as in the upper monitor, and in the off state, the dark state is maintained as in the lower monitor.

이와 같이 기존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사용되면 조도와 무관하게 밝기가 고정되는 형태이나, 본 발명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조도에 따라 모니터의 밝기가 달라져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함은 물론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computer system, when the computer is normally used, the brightness is fixed irrespective of the illuminance. However, as shown in FIG. 3B,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varies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even when the computer main body operates normally,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is reduced.

이러한 방법으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파워 오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외출(예를 들어, 저녁에 퇴근하고 아침에 출근하는 상태)하는 상태에서도,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어, 기존 컴퓨터 대비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If the method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in this way is used, the user can go out for a long time without using power off ,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can be reduced,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mputer can be drastically reduc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의 주변 조도에 따라 컴퓨터 본체와는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eripheral illuminance of the monitor,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도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임과 동시에 컴퓨터 본체와 연동을 통해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이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is reduc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is reduced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computer main body.

예컨대,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는 상기 디-서브 커넥터(32)를 통해 입력되는 디-서브 신호를 소비전력 제어부(20)에 전달한다.For example,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transmits a de-sub signal input through the de-sub connector 32 to the power consumption controller 20.

상기 소비전력 제어부(20)는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21)를 통해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서브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컴(22)에 전달된다. 여기서 디-서브 신호는 아날로그 수평 동기신호(H_sync) 및 전원 신호(+5V)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마이컴(22)에는 파워 스위치 입력단자를 통해 전원 버튼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마이컴(22)은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21)로부터 출력되는 디-서브 신호와 상기 파워 스위치 입력단자를 통해 전원 버튼의 조작 신호를 함께 입력받게 되나, 기본적으로 파워 스위치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버튼 조작 신호를 우선순위로 전원 제어 동작을 한다.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20 receives the de-sub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through the de-sub signal input terminal 21 and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22. Here, the de-sub signal includes an analog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_sync and a power supply signal (+ 5V).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22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of a power button through a power switch input terminal. The microcomputer 22 receives the de-sub signal output from the de-sub signal input terminal 21 an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power button through the power switch input terminal, And the power button operation signal to the power button control operation is prioritized.

예컨대, 디-서브 신호가 어떤 것이 입력되던지 전원 버튼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하게 되고, 전원 버튼 온 신호가 입력되면 모니터의 전원을 온 하게 된다.For example, whatever the de-sub signal is input, if the power button off signal is input, the power of the monitor is turned off, and when the power button on signal is input, the power of the monitor is turned on.

상기 모니터에 구동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마이컴(22)은 상기 디-서브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한다. 여기서 디-서브 신호는 상기와 같이 2가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마이컴(22)은 2가지 신호 중 어느 것이든 이용할 수 있다. 상기 2가지는 신호 중 이용하는 하나의 신호를 특정신호라고 하며, 본 발명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H_sync)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a state in which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monitor, the microcomputer 22 detects and analyzes the de-sub signal. Here, there are two types of the de-sub sign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microcomputer 22 can use either of the two signals. One of the two signals is referred to as a specific signal, and it is assumed that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_sync)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마이컴(22)은 디-서브 신호 중 특정신호를 분석하여, 컴퓨터의 동작 상태를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특정신호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특정신호가 존재하면(전기적으로 +5V, 하이 신호를 의미함)"이면 정상모드로 판별하고, 전원 차단신호를 오프(off) 신호로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특정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전기적으로 0V, 로우 신호를 의미함)"이면 대기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판별하고, 상기 전원 차단신호를 온(on) 신호로 발생한다.The microcomputer 22 analyzes a specific signal among the de-sub signals and recogniz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For examp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pecific signal is checked, and if a specific signal is present (electrically + 5V, high signal) ",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mode and a power off signal is generated as an off signal. If the specific signal does not exist (electrically, 0V means low signal), it is determined as a standby mode or an off mode, and the power shutdown signal is generated as an on signal.

상기 마이컴(22)에서 발생하는 전원 차단신호는 전원 차단부(23)에 인가되며, 상기 전원 차단부(23)는 인가되는 전원 차단신호가 오프 신호이면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아, 전원 공급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원(+5V dc)을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 공급한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게 된다. The power cutoff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computer 22 is applied to the power cutoff unit 23. When the power cutoff signal applied to the power cutoff unit 23 is an off signal,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the driving power (+5 V dc)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는 달리 상기 전원 차단부(23)는 인가되는 전원 차단신호가 온 신호이면 스위치가 개방상태로 동작하여, 전원 공급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원(+5V dc)이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영상 보드에서의 전력 소비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대기모드나 오프모드 시에는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30)에 구동 전원(메인전원)이 전혀 인가되지 않아, 기존과 같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e power cutoff unit 23 operates in a state where the switch is in the open state and the driving power source (+5 V dc)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is connected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to fundamentally prevent power consumption in the video board. Thus, at the time of the standby mode or the off mode, the driving power source (main power source) is not applied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which is the video board, so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prevented. 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can be reduced.

상기 발생한 온에 해당하는 전원 차단신호는 전원 공급부(10)에도 인가되며,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에 공급되는 LED 드라이브 공급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백라이트 보드(40)와 영상 입출력부(30)의 구동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The power-off signal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on-state is also a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power supply unit 10 cuts off the LED drive supply power supplied to the backlight board 4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the driving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is completely cut off,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상기와 같이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를 전기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22)은 지속적으로 디-서브 신호를 감지 및 분석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경우에도, 컴퓨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디-서브 신호는 영상 입출력부(30)를 통해 전원 스위칭부(20)에 인가된다.In the state where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22 continuously detects and analyzes the de-sub signal. Even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the de-sub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main body is a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unit 20 through the video input /

상기 마이컴(22)은 지속적으로 디-서브 신호를 감지 및 분석하는 도중에, 상기 디-서브 신호 중 특정신호가 다시 "하이레벨"로 천이되면, 정상모드로 인식하고, 전원 차단신호를 오프 신호로 변경하여 전원 공급부(10) 및 상기 전원 차단부(23)에 인가한다.When the microcomputer 22 continuously detects and analyzes the de-sub signal, when the specific signal of the de-sub signal is transited to the "high level " again, the microcomputer 22 recognizes the normal mode, To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power cutoff unit 23. [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인가되는 전원 차단신호가 오프 신호이면, 백라이트 보드(40)에 LED 드라이브 전원공급을 재개하고, 상기 전원 차단부(23)는 인가되는 전원 차단신호가 오프 신호이면 스위치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전원 공급부(10)에서 출력된 구동 전원(+5V dc)을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 공급한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게 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0 resumes supplying the LED drive power to the backlight board 40 when the applied power shutdown signal is an off signal and the power shutoff unit 23 switches the power shutoff signal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to supply the driving power (+5 V dc)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로써 영상 입출력부(30)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여,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Thus,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operates normally and displays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on the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 조작 없이, 컴퓨터 본체에서 발생하는 비디오 신호와 조도 센서를 이용한 모니터 주변의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거나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단하고, 영상 보드의 메인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모드나 오프모드시에도 기존과 같이 영상 보드에서 소비하는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or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shut off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of the monitor using the video signal and the illuminance sensor, , The main power of the video board is cut off, so that power consumption consumed in the video board can be prevented even in the standby mode or the off mode, and it is also very convenient for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모니터의 전원 버튼이 온(on) 상태가 되면, 본체로부터 동기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 ~ S103), (b) 상기 확인 결과 동기신호가 감지되면 조도 센서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조도 센서가 동작 상태이면 조도 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조도 값의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단계(S104 ~ S107), (c) 상기 (b)단계와 같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조도 변화와 수평 동기 신호의 유무 및 전원 버튼의 조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0, S109, S111, S117), (d)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조도변화가 감지되거나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전원 버튼이 오프 상태로 조작되면 백라이트 보드 및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단계(S110, S112 ~ S114, S118 ~ S121), (e) 상기 (d)단계를 수행하는 도중에 컴퓨터 본체로부터 동기 신호가 감지되면 웨이크-업 프로세스를 진행하거나 PC 리부팅에 따른 모니터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S115 ~ S116)를 포함한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b) i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illumination sensor is checked. If the illumination sensor is in operation, the controller acquires the illumination value and controls the supply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ccording to the acquired illumination level, (S104 to S107); (c)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button in the state of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s in the step (b) , S109, S111, and S117), (d) if the illumination change is detected or the horizontal sync signal is not detected or the power button is turned off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in step (c),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and the video input / (S110, S112 to S114, and S118 to S121) of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e) if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during the step (d) And starting the monito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C rebooting (S115 to S116).

상기 (b)단계는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b),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controll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ensed illumination level.

또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조도 변화가 감지되면, 감지한 조도 값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조도 레벨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단계(S109, S110), (d2)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단하여 1차적으로 모니터 소비전력을 줄이고, 상기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차단 후 바로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2차적으로 모니터 소비전력을 줄이는 단계(S112 ~ S114), (d3) 상기 전원 버튼이 오프 상태로 조작되면, 전원 오프 모드로 진입하고,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과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단계(S117 ~ S121)를 포함한다.The step (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d1) controlling the supply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sensed illumination value (S109, S110) If the horizontal sync signal is not detected,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firstly turned off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nd the power of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which is the video board, is immediately cut off after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is cut off. (D3) when the power button is operated to the off state, the power-off mode is entered,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s reduced by shutting off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as the video board S117 to S12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단계 S101에서 모니터(1)의 전원 버튼(50)이 온(on) 상태(오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 눌러지는 상태)로 눌러져 초기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단계 S102와 같이 모니터(1)의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30)는 디-서브(D-SUB) 커넥터(31)를 통해 컴퓨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출력신호를 입력받고, Scaler IC(32)는 조도 감지부(60)에서 출력되는 조도 감지 값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컴퓨터 본체는 모니터와 연결 시, 상기 디-서브 신호를 통해 비디오 신호와 통신 데이터(절전 데이터 포함) 등이 전송된다. 아울러 조도 감지부(60)는 조도 센서 동작을 위한 별도의 조도센서 동작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도 센서의 동작 유무를 결정하도록 한다. First, in step S101, when the power button 50 of the monitor 1 is turned on (the power button is pressed in the off state) and the initial power is supplied, The video input and output unit 30 which is a video board of the video display unit 30 receives a video output signal outputte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through a D-sub connector 31 and the Scaler IC 32 And receives the output of the illuminance detection value. Here, when the computer main body is connected to a monitor, a video signal and communication data (including power saving data) are transmitted through the de-sub signal. In addition, the illuminance sensing unit 60 includes a separate illuminance sensor operation button for illuminance sensor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lluminance sensor is operated.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는 단계 S103과 같이 상기 디-서브 커넥터(31)를 통해 컴퓨터 본체로부터 영상 신호가 전달되면 이를 수신하여 백라이트 보드(40)로 전송하여, 모니터 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조도 감지부(60)에 의해 감지한 조도 감지 값을 분석하여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는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조도센서 동작버튼을 온 상태로 조작한 것으로 가정한다(S104).When the vide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through the de-sub connector 31 as shown in step S103,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receives the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backlight board 40 so that the video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And simultaneously generates a dimm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by analyzing the illumination sensing value sensed by the illumination sensing unit 60.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operates the illuminance sensor operation button in the ON state (S104).

영상 입출력부(30)의 Scaler IC(32)는 단계 S105에서 조도 감지부(60)의 조도 센서(61)를 통해 조도가 감지되면, 감지한 조도 값을 인덱스로 미리 설정된 조도 레벨 룩-업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을 판단한다. 여기서 조도 레벨은 본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조도 값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 조절을 하고, 이를 통해 백라이트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미리 설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서의 조도 레벨은 제1 내지 제4레벨로 설정하였으며, 이것은 4개의 조도 값 변화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겠다는 의미이다. 조도 레벨을 4개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세분화하거나 레벨을 줄여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조도 레벨은 제1레벨(100%) < 제2레벨(85%) < 제3레벨(65%) < 제4레벨(50%)의 관계이다.The Scaler IC 32 of the video input and output unit 30 outputs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to the illuminance level look-up table 62, which is previously set with an index, when the illuminance is detected through the illuminance sensor 61 of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60 in step S105 To determine the illumination level. Here, the illuminance level is a preset value for reducing the backlight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tself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value while the main body is operating norm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nce level is set to the first to fourth levels, which means that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to be controll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lluminance values. The illumination level is set to fo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wer source of the backlight board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by further subdividing or reducing the level will be. The illuminance level is a relationship of a first level (100%) <second level (85%) <third level (65%) <fourth level (50%).

상기 Scaler IC(32)는 단계 S106과 같이 조도를 감지하면, 단계 S107로 이동하여 감지한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4레벨 중 어느 레벨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4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지 않으면 절전 기능을 구현하지 않으며, 이와는 달리 감지한 조도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4레벨 중 어느 하나에 속하면 그에 대응하게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하여 전원 공급부(10)에 전달한다.If the scale factor IC 32 detects the roughness as in step S106, the Scaler IC 32 proceeds to step S107 to determine which level of the first to fourth levels the sensed roughness value belongs to, The power saving function is not implemented unless it belongs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levels. Alternatively, if the sensed illumination value belongs to one of the first to fourth level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imming signal to the power supply unit 10.

예컨대,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1제어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1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최소로 제어하여 모니터(1)의 화면 밝기를 조금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1제어 레벨에 대응하는 디밍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조금 어둡게 한다.For example, the illumination level look-up table is searched by the sensed illumination value, and a dimm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the first control level is generated if the illumination level is the first level. Here, the first control level refers to a power control level that control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the minimum level to darke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1 slightly. According to the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rol level, 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darken the screen brightness a little.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을 두는 이유는 지속적 실시간으로 조도를 감지하여 백라이트 보드를 제어하게 되면, 모니터의 화면이 조도에 따라 계속하여 밝기 조절이 이루어져 실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잦은 화면 밝기 조절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일정 시간을 두었다. 일정 시간은 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해 모니터의 절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controlled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40, the illuminance is detected again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reason for setting the predetermined time here is that if the backlight board is controlled by continuously detecting the illuminance in real time,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screen is continu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so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frequently adjust the screen brightness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r uses the computer , So that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edetermined time can be set in minutes, an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ime for maximizing the power saving efficiency of the monitor through experiments.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1레벨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2제어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2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상기 최소보다는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의 화면 밝기를 상기 제1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2제어 레벨에 대응하는 디밍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상기 제1제어 레벨보다 조금 더 어둡게 한다. 제2제어 레벨이 제1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first level,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Otherwise,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second level, the backlight board (or the backlight board) 40 to a second control level. Here, the second control level control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by maximiz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a minimum, which is a power control level that makes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monitor 1 darker than the first control level. According to the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trol level, 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darken the screen slightly lower than the first control level. The second control level consumes less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s compared to the first control level.

상기와 같이 2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2레벨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3제어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3제어 레벨에 대응하는 디밍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상기 제2제어 레벨보다 조금 더 어둡게 한다. 여기서 제3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상기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의 화면 밝기를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제3제어 레벨이 제2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adjusted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40, and the illuminance is detected again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second level,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third level, the illuminance level look-up table is searched with the sensed illuminance value, 40 to a third control level. According to the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trol level, 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to darken the screen slightly lower than the second control level. Here, the third control level control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by maximizing the power level of the backlight board 40 more than the second control level, and means a power control level that darkens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monitor 1 to a level lower than the second control level. The third control level consumes less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s compared to the second control level.

또한, 상기와 같이 3차적으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조도를 감지한다. 일정 시간이 지나서 조도를 다시 감지하고, 감지한 조도 값으로 조도 레벨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조도 레벨이 제3레벨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이와는 달리 조도 레벨이 제4레벨이면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4제어 레벨로 제어하기 위한 디밍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4제어 레벨에 대응하는 디밍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10)는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제어하여, 화면 밝기를 상기 제3제어 레벨보다 조금 더 어둡게 한다. 여기서 제4제어 레벨은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상기 제3제어 레벨보다 더 최대화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니터(1)의 화면 밝기를 제2제어 레벨보다 더 어둡게 하는 전원 제어 레벨을 의미한다. 제4제어 레벨이 제3제어 레벨에 비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더 적게 소비한다.In additio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controlled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40 as described above, and the illuminance is detected again afte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third level, the current state is maintained. If the illuminance level is the fourth level, the backlight board (or the backlight board) 40 to a fourth control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dim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ourth control level, the power supply unit 10 controls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40 so that the screen brightness is slightly darker than the third control level. Here, the fourth control level controls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by maximizing the power level of the backlight board 40 more than the third control level, which means a power control level that makes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monitor 1 darker than the second control level. The fourth control level consumes less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than the third control level.

여기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을 최소 또는 최대화하여 제어한다는 의미는 백라이트 전력을 줄여, 화면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며, 화면 밝기가 어두울수록 백라이트 소비전력이 줄어든다.Here,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is minimized or maximized, which means that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reduced by reducing the backlight power, and the backlight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a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decreased.

백라이트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도중에 조도가 백라이트 제어 이전의 상태가 되면,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When the illuminance is in the state before the backlight control during the control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cklight, the backlight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without the power supply control.

이러한 방법으로 컴퓨터 본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상태에서도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파워 오프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장시간 외출(예를 들어, 저녁에 퇴근하고 아침에 출근하는 상태)하는 상태에서도,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어, 기존 컴퓨터 대비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If the method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n accordance with the illuminance while the computer main body operates normally in this manner is used, even if the user normally uses the comput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is reduced 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can be reduced even when the user goes out for a long time without using the computer while the user is using the computer (for example, in the evening and at work in the morn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can be drastically reduced compared to a comput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의 주변 조도에 따라 컴퓨터 본체와는 별도로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전원 제어를 통해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of the computer according to the peripheral illuminance of the monitor,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도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임과 동시에 컴퓨터 본체와 연동을 통해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이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is reduc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is reduced through interlocking with the computer main body.

예컨대,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는 상기 조도 감지부(60)를 통해 단계 S109 및 S110과 같이 지속적으로 조도 센서를 통해 조도 감지 값을 획득하고, 그 획득한 조도 감지 값의 레벨에 따라 전술한 단계 S107과 같은 방식으로 백라이트 보드(40)의 전원 제어를 통해 밝기를 제어하여,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이고, 동시에 상기 디-서브 커넥터(31)를 통해 입력되는 디-서브 신호를 소비전력 제어부(20)에 전달한다.For example,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continuously acquires the illumination detection value through the illumination sensor, as in steps S109 and S110, through the illumination sensing unit 60, The brightness is controlled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40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S107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and at the same time the de-sub signal input through the de-sub connector 31, (20).

상기 소비전력 제어부(20)는 단계 S111에서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21)를 통해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서브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컴(22)에 전달된다. 여기서 디-서브 신호는 아날로그 수평 동기신호(H_sync) 및 전원 신호(+5V)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마이컴(22)에는 파워 스위치 입력단자를 통해 전원 버튼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마이컴(22)은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21)로부터 출력되는 디-서브 신호와 상기 파워 스위치 입력단자를 통해 전원 버튼의 조작 신호를 함께 입력받게 되나, 기본적으로 파워 스위치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버튼 조작 신호를 우선순위로 전원 제어 동작을 한다.The power consumption control unit 20 receives the de-sub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through the de-sub signal input terminal 21 in step S111 and i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22. [ Here, the de-sub signal includes an analog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_sync and a power supply signal (+ 5V).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22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of a power button through a power switch input terminal. The microcomputer 22 receives the de-sub signal output from the de-sub signal input terminal 21 and the operation signal of the power button through the power switch input terminal, And the power button operation signal to the power button control operation is prioritized.

예컨대, 디-서브 신호가 어떤 것이 입력되던지 단계 S117 및 S118과 같이 전원 버튼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단계 S119로 이동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하게 되고, 전원 버튼 온 신호가 입력되면 모니터의 전원을 온 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power button-off signal is input as in steps S117 and S118, regardless of which of the de-sub signals is inputted, the process goes to step S119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monitor. .

모니터의 전원을 오프하는 오프모드로 진입하면, 단계 S120으로 이동하여 백라이트 보드(40)와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30)의 구동 전원을 모두 차단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고, 단계 S121로 이동하여 전원 버튼이 다시 눌러지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전원 버튼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버튼이 다시 눌러지면 전원 온 상태가 되어 단계 S102로 이동하고, 그 이하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0, whe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s minimized by shutting off the driving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which is the video board, to step S121 Move and confirm that the power button is pressed again. When the power button is turned off and the power button is pressed again,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process goes to step S102 to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

한편, 상기 모니터에 구동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마이컴(22)은 단계 S111과 같이 상기 디-서브 신호를 감지하고 단계 S112에서 이를 분석한다. 여기서 디-서브 신호는 상기와 같이 2가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마이컴(22)은 2가지 신호 중 어느 것이든 이용할 수 있다. 상기 2가지는 신호 중 이용하는 하나의 신호를 특정신호라고 하며, 본 발명에서는 수평 동기 신호(H_sync)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Meanwhile, in a state wher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monitor, the microcomputer 22 senses the de-sub signal as in step S111 and analyzes it in step S112. Here, there are two types of the de-sub sign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microcomputer 22 can use either of the two signals. One of the two signals is referred to as a specific signal, and it is assumed that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_sync)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마이컴(22)은 디-서브 신호 중 특정신호를 분석하여, 컴퓨터의 동작 상태를 인식한다. 예컨대, 상기 특정신호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여, 특정신호가 존재하면(전기적으로 +5V, 하이 신호를 의미함)"이면 정상모드로 판별하고, 전원 차단신호를 오프(off) 신호로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특정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전기적으로 0V, 로우 신호를 의미함)"이면 대기모드 또는 오프모드로 판별하고, 상기 전원 차단신호를 온(on) 신호로 발생한다.The microcomputer 22 analyzes a specific signal among the de-sub signals and recogniz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uter. For examp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pecific signal is checked, and if a specific signal is present (electrically + 5V, high signal) ",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mode and a power off signal is generated as an off signal. If the specific signal does not exist (electrically, 0V means low signal), it is determined as a standby mode or an off mode, and the power shutdown signal is generated as an on signal.

상기 마이컴(22)에서 발생하는 전원 차단신호는 전원 차단부(23) 및 전원 공급부(10)에 인가된다.The power cutoff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computer 22 is applied to the power cutoff unit 23 and the power supply unit 10.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단계 S113과 같이 발생한 전원 차단신호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40)에 공급되는 LED 드라이브 공급 전원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The power supply unit 10 firstly cuts off the LED drive supply power supplied to the backlight board 40 in accordance with the power cutoff signal generated as in step S113.

아울러 단계 S114에서 상기 전원 차단부(23)는 인가되는 전원 차단신호가 오프 신호이면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아, 전원 공급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원(+5V dc)을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 공급한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전원 차단부(23)는 인가되는 전원 차단신호가 온 신호이면 스위치가 개방상태로 동작하여, 전원 공급부(10)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원(+5V dc)이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여, 영상 보드에서의 전력 소비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대기모드나 오프모드 시에는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30)에 구동 전원(메인전원)이 전혀 인가되지 않아, 기존과 같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step S114, if the power off signal to be applied is an off signal, the power cutoff unit 23 does not operate the switch so that the driving power source (+5 V dc)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is supplied to the video input / .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ower cutoff unit 23 operates in a state where the switch is in the open state and the driving power source (+5 V dc)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is connected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to fundamentally prevent power consumption in the video board. Thus, at the time of the standby mode or the off mode, the driving power source (main power source) is not applied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which is the video board, so tha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prevented. As a resul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can be reduc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백라이트 보드(40)와 영상 입출력부(30)의 구동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모니터 자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the driving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4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is completely cut off,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itself.

상기와 같이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를 전기적으로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컴(22)은 단계 S115와 같이 지속적으로 디-서브 신호를 감지 및 분석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경우에도, 컴퓨터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디-서브 신호는 영상 입출력부(30)를 통해 전원 스위칭부(20)에 인가된다.In the state where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microcomputer 22 continuously detects and analyzes the de-sub signal as in step S115. Even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the de-sub signal output from the computer main body is applied to the power switching unit 20 through the video input /

상기 마이컴(22)은 지속적으로 디-서브 신호를 감지 및 분석하는 도중에, 상기 디-서브 신호 중 특정신호가 다시 "하이레벨"로 천이되면, 정상모드로 인식하고, 단계 S116으로 이동하여 전원 차단신호를 오프 신호로 변경하여 전원 공급부(10) 및 상기 전원 차단부(23)에 인가한다.When the microcomputer 22 continuously detects and analyzes the de-sub signal, when the specific signal of the de-sub signal is transited to the high level again, the microcomputer 22 recognizes the de-sub signal as a normal mode and proceeds to step S116, Signal to an off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power cut-off unit 23. [

상기 전원 공급부(10)는 인가되는 전원 차단신호가 오프 신호이면, 백라이트 보드(40)에 LED 드라이브 전원공급을 재개하고, 상기 전원 차단부(23)는 인가되는 전원 차단신호가 오프 신호이면 스위치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전원 공급부(10)에서 출력된 구동 전원(+5V dc)을 상기 영상 입출력부(30)로 공급한다. 예컨대, 전원 공급부(10)와 영상 입출력부(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게 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0 resumes supplying the LED drive power to the backlight board 40 when the applied power shutdown signal is an off signal and the power shutoff unit 23 switches the power shutoff signal And returns to the original state to supply the driving power (+5 V dc)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to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로써 영상 입출력부(30)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여,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Thus,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30 operates normally and displays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on the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컴퓨터 본체에서 발생하는 비디오 신호와 조도 센서를 이용한 모니터 주변의 조도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거나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단하고, 영상 보드의 메인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모드나 오프모드시에도 기존과 같이 영상 보드에서 소비하는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or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shut off b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of the monitor using the video signal and the illuminance sensor, , The main power of the video board is cut off, so that power consumption consumed in the video board can be prevented even in the standby mode or the off mode, and it is also very convenient for the user.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본 발명은 컴퓨터에 접속되는 주변장치(모니터)에서 자체적으로 소비 전력을 절감하는 기술에 적용된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echniqu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itself in a peripheral device (monitor) connected to a computer.

10: 전원 공급부
20: 소비전력 제어부
21: 디-서브 신호 입력단자
22: 마이컴
23: 전원 차단부
30: 영상 입출력부
31: 디-서브 커넥터
32: Scaler IC
40: 백라이트 보드
50: 전원 버튼
60: 조도 감지부
10: Power supply
20: Power consumption controller
21: De-sub signal input terminal
22: Microcomputer
23:
30: Video input / output unit
31: D-Sub connector
32: Scaler IC
40: backlight board
50: Power button
60: Illumination detection unit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컴퓨터 본체의 비디오 출력신호와 모니터 주변의 조도를 이용하여 모니터 자체적으로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모니터의 전원 버튼이 온(on) 상태가 되면, 본체로부터 전송된 디-서브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가 전달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확인 결과 동기신호가 감지되면 조도 센서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여, 조도 센서가 동작 상태이면 조도 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조도 값의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와 같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상태에서, 조도 변화와 수평 동기 신호의 유무 및 전원 버튼의 조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확인 결과에 따라 조도변화가 감지되거나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전원 버튼이 오프 상태로 조작되면 백라이트 보드 및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 제어를 통해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서브 신호는 수평 동기신호(H sync) 또는 +5V 신호이며,
상기 (b)단계는 상기 감지한 조도 레벨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등적으로 제어하되, (b1) 상기 동기신호로 컴퓨터 본체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b1)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컴퓨터 본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도 상기 조도 센서의 동작 상태에 따라 모니터 자체적으로 백라이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조도 변화가 감지되면, 감지한 조도 값에 따라 백라이트 보드의 공급 전원을 조도 레벨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어하는 단계;
(d2) 상기 수평 동기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을 차단하여 1차적으로 모니터 소비전력을 줄이고, 상기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 차단 후 바로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2차적으로 모니터 소비전력을 줄이는 단계;
(d3) 상기 전원 버튼이 오프 상태로 조작되면, 전원 오프 모드로 진입하고, 백라이트 보드의 전원과 영상 보드인 영상 입출력부의 전원을 차단하여 모니터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소비전력 절감방법.



A method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itself by using a video output signal of a computer body and an illuminance around the monitor,
(a) confirming whether a synchronization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 de-sub signal transmitted from a main body when a power button of the monitor is turned on;
(b) if the synchronizing signal is detect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illuminance sensor is checked, and if the illuminance sensor is in the operating state, the illuminance value is obtained and the supply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btained illuminance level, Saving step;
(c) confirming the illuminance chang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button in a state of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s in the step (b); And
(d) controll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through the power control of the backlight board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when the illumination change is detected or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or the power button is operated in the off sta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in the step (c) &Lt; / RTI &gt;
The de-sub signal is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 sync) or a + 5V signal,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b) comprises: controlling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sensed illumination level, wherein the step (b1) (b2) a step of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of the backlight board itself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illuminance sensor even in a state where the computer main body normally operate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b1),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The step (d)
(d1) controlling the supply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sensed illuminance value when the illuminance change is sensed;
(d2) I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not detected,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is cut off to primarily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and the power of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which is the video board, Reducing power consumption;
(d3) when the power button is operated to the off state, enters a power off mode, and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monitor by shutting off the power of the backlight board and the video input / output unit as the video board Of power consump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95512A 2017-07-27 2017-07-27 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 KR101833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12A KR101833992B1 (en) 2017-07-27 2017-07-27 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512A KR101833992B1 (en) 2017-07-27 2017-07-27 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992B1 true KR101833992B1 (en) 2018-03-05

Family

ID=6172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512A KR101833992B1 (en) 2017-07-27 2017-07-27 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99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268B1 (en) * 2019-12-24 2020-05-07 설용수 An apparatus of monitor
KR102136873B1 (en) * 2019-05-03 2020-07-23 주식회사 에이텍 Control apparatus for power-saving in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2514551B1 (en) * 2022-11-28 2023-03-27 주식회사 기린 Energy-saving system of the monitor through brightness optimiz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811A (en) 2001-03-05 2002-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811A (en) 2001-03-05 2002-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73B1 (en) * 2019-05-03 2020-07-23 주식회사 에이텍 Control apparatus for power-saving in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2108268B1 (en) * 2019-12-24 2020-05-07 설용수 An apparatus of monitor
KR102514551B1 (en) * 2022-11-28 2023-03-27 주식회사 기린 Energy-saving system of the monitor through brightness optimiz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253B2 (en) Display device with power saving mode based on detected illuminance
KR101833992B1 (en) Power saving method of monitor
US20170010654A1 (en) Display device,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he operating states of a computer system
KR1002344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for computer peripheral
KR101917638B1 (en) Power-saving method in display device
KR100381423B1 (en) portable compu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87120B1 (en) Control apparatus for power consumption in PC system and method
KR20030068814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420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nitor power consumption through computer interworking
KR20030006718A (en)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101633297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of electronic device
KR1007432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an image display device
KR101929217B1 (en) Method for power consumption reduction of the monitor
KR101926184B1 (en) Stanby power decrease apparatus of the monitor
KR102136873B1 (en) Control apparatus for power-saving in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1956141B1 (en) Electronic board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KR102110928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20040025351A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H0714043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220124041A (en) Control apparatus for power consumption in monitor and method thereof
KR101723194B1 (en) Power supply and the control method with a built-in power management features of the monitor
JP2001337309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568200B1 (en) Portable Computer
KR202300152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ressing power comsumption of monitor
KR970001899Y1 (en) Power reduc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