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343B1 - Well-being shoe having a cooling system or heating system - Google Patents

Well-being shoe having a cooling system or hea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343B1
KR101832343B1 KR1020160052974A KR20160052974A KR101832343B1 KR 101832343 B1 KR101832343 B1 KR 101832343B1 KR 1020160052974 A KR1020160052974 A KR 1020160052974A KR 20160052974 A KR20160052974 A KR 20160052974A KR 101832343 B1 KR101832343 B1 KR 101832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luid container
midsole
wear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3471A (en
Inventor
김종식
박홍규
Original Assignee
김종식
박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식, 박홍규 filed Critical 김종식
Priority to KR102016005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343B1/en
Publication of KR2017012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coo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with pumping means or valves
    • A43B7/105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냉각 또는 가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 때 신발의 온도를 낮추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시원하게 하여 쾌적감을 제공하거나 동절기에는 발에 따뜻함을 제공해주기 위한 신발 냉각 또는 가온수단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기능성 신발은 신발의 바닥창(60)이 겉창(30)과 미드솔(40)과 바닥텍션(50)으로 이루어지고, 겉창(30)과 바닥텍션(50) 사이 미드솔(40)의 발꿈치 부위에 유체용기(20)가 내장되는 오목홈부(41)가 형성되고 미드솔의 중앙 및 전면부로 냉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바닥덱션에는 냉열이 전달되는 구멍(hole)이 다수개소에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유체용기(20)는 후면쪽으로는 주입부(10)를 갖고 냉매용기 상부 및 전면 측부로는 가스배출구(21,22)를 갖고 가스배출구 내측으로는 서방형접합필름(21a,22a)이 부착되어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냉매는 통과시키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착용자의 발걸음이 움직일 때 체온 및 체중의 압박으로 냉매가 서방형접합필름(21a,22a) 및 가스배출구(21,22)를 통하여 소량씩 분출되어 착용자의 발에 시원함을 전달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or heating apparatus for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for cooling or heating a shoe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shoe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 as in the summer, Cooling or warming means.
The functional shoe provi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window 60 of the shoe is made up of an outsole 30, a midsole 40 and a bottom texion 50, and a midsole (not shown) between the outsole 30 and the bottom texion 50 40 are formed with concave groove portions 41 in which the fluid container 20 is housed, and a passage for cold heat is formed at the center and front portions of the midsole. In the bottom deformation, And the fluid container 20 has the injection part 10 at the rear side, the gas discharge ports 21 and 22 at the upper and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nt container, 22a and gas outlets 21, 22a and 22a, respectively, and the refrigerant does not pass therethrough when the footsteps of the wearer move, 22). The wearer's foot The shoe being adapted to transmit coolness to the wearer.

Description

냉각 또는 가온수단을 갖는 기능성 신발{Well-being shoe having a cooling system or heating system}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shoe having cooling or heating means,

본 발명은 신발의 냉각 또는 가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 때 신발의 온도를 낮추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시원하게 하여 쾌적감을 제공하거나 동절기에는 발에 따뜻함을 제공해주기 위한 신발 냉각 또는 가온수단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or heating apparatus for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for cooling or heating a shoe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shoe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 as in the summer, Cooling or warming means.

본원은 자연순환 냉각/가온시스템을 갖는 신발은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 때 신발 내부를 시원하게 할 수 있는 냉각수단을 제공하여 착용자들의 발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절기에는 가온수단을 제공하여 동상 등을 예방하여 피부질환을 방지하도록 하는 신발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natural circulation cooling / heating system, which provides a cooling means for cooling the inside of a shoe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high, such as a summer season, so as to keep the feet of the wearer in a comfortable state, So that the foot structure can be prevented to prevent skin diseases.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절기에는 낮은 외부기온에 의하여 발이 차갑게 되고, 하절기에는 높은 외부기온에 의하여 신발 내부의 온도가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Shoes are intended to protect the wearer's feet. In winter, feet are cold due to low outside temperatures. In summer, temperatures inside shoes are considerably high due to high outside temperatures.

동절기와 같이 신발이 차가워질 경우에는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에 피부질환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크게 없으나,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통기불량등으로 상당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When the shoe is cold like the winter season, it is dry, so there is not much problem causing the skin disease. However,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 as in the summer season, the shoe has considerable problems due to bad ventilation and the like.

상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은 하절기의 경우에는 신발 내부의 온도가 높아짐으로서 많은 땀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신발 내부가 항상 습한 상태가 됨으로서 발의 건강이 상당히 악화되는 등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데, 특히 많은 땀이 발생할 때 땀이 일시적으로 신발과 양말에 축적되고 장기간 착용시에는 신발에 상당양의 땀이 축적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되는 것은 물론 각종 곰팡이나 세균성장의 온상이 됨으로서 습진이나 무좀과 같은 피부질환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 the temperature inside the shoe becomes high, so that a lot of sweat is generated. As a result, the inside of the shoe is always in a humid state, and the health of the foot is considerably deteriorated. When perspiration occurs, perspiration is temporarily accumulated in shoes and socks. When wearing for a long time, a considerable amount of sweat accumulates in the shoe, resulting in a bad odor, as well as becoming a hotbed of various fungi and bacterial growth. And the lik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개특허 2001년 제8850호 공개특허에서는 신발의 내측 바닥에 냉각장치를 내장하되 앞쪽의 일측에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형성한 전방압축부와, 상기 전방압축부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한 제1팽창밸브와, 상기 제1팽창밸브로부터 팽창된 냉매에 의해 주위의 열을 빼앗는 후방증발부와, 상기 후방증발부로부터 연결되는 후방압축부와, 상기 후방압축부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팽창될 수 있도록 한 제2팽창밸브와, 상기 제2팽창밸브로부터 팽창된 냉매에 의해 주위의 열을 빼앗는 전방 증발부와, 상기 전방증발부로부터 상기 전방압축부로 냉매가 이동하도록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such a problem,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1-88850 discloses a refrigerator having a front compressing unit having a cooling device built in an inner bottom of a shoe and capable of compressing a refrigerant at a front side thereof, A rear expansion unit connected to the rear evaporator, and a rear compression unit connected to the rear evaporator, wherein the rear expansion unit compress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rear compression unit, A second expansion valve that allows the refrigerant compressed from the compression section to expand; a front evaporator that takes ambient heat by the refrigerant expanded from the second expansion valve; And a cooling system for moving the cooling system.

또 다른 기술로 공개특허 2006년 97078호 기술에서는 신발의 바닥을 구성하는 밑창과 중창 사이에 냉매가 충진된 미세한 배관을 매설하고, 상기 배관은 밑창의 후방에 고정되는 힐에 내장되는 소형의 압축기와 연결되고, 압축기는 힐에 함께 구비되는 압축기구동수단에 의하여 냉매를 일정 압력으로 압축한 상태에서 배관을 기화상태로 순환시키면서 신발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신발온도를 낮추어 주는 냉각시스템으로 압축기구동수단은 압축기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샤프트에 원웨이 클러치를 내장한 피니언을 고정하고, 상기 피니언은 샤프트의 외측을 커버하고 있는 케이스에 일체로 구비되는 소켓에 출입하는 작동암에 형성되는 랙과 맞물리도록 하고 작동암의 하단부는 힐의 하방으로 노출되어 보행시 발생하는 압력과 작동암의 단부와 소켓 상간에 개재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작동암이 소켓으로 진,출입하여 압축기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nother technology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6-97078, in which a fine pipe filled with a coolant is buried between a sole and a middle of the shoe sole, and the pipe is connected to a small compressor built in a heel fixed to the rear of the sole And the compressor is a cooling system for lowering the shoe temperature by absorbing the heat inside the shoe while circulating the pipe in a vaporized state in a state where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to a certain pressure by the compressor driving means provided together with the heel, The pinion is fixed to a shaft protruding forward of the compressor. The pinion is engaged with a rack formed in an operating arm that enters and exits a socket integrally provided in a case covering an outer side of the shaft. The lower part of the arm is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heel, And the operating arm is moved into and out of the socket by an interposed spring to operate the compressor.


그러나 상기 개시된 특허기술들은 사람이 신어야할 작은 물품의 신발구조 내부에서 냉매를 강제순환 시키기 위한 복잡한 구성을 갖고 이러한 설비를 위해서는 고가의 제조경비가 소용되어 현실적용성이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신발 착용자의 발을 시원하게 하여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내각시스템이 요구되어 왔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070733호(2007.04.13)기술에는 액체는 통과되지 않으나 가스는 통과시키는 서방형접합필름이 개시되어 있어서 이를 신발구조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ed technologies have a complex structure for forcibly circulating refrigerant in a shoe structure of a small article to be worn by a person, and expensive manufacturing costs are used for such facilities, A new cabinet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comfortable feeling by cooling the foot of a shoe wearer has been demanded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70733 (Apr. 13, 2007) discloses a sustained release bonding film which does not allow liquid to pass but allows gas to pass therethrough So, we tried to find a way to apply it to the shoe structure.

본원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신발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창에 유체용기를 내장하고 유체용기에 냉매나 온열매체를 채워서 신발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ho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sole which can incorporate a fluid container in a floor window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a shoe and fill a fluid container with refrigerant or a heating medium, So as to provide a functional shoe.

또한 본원의 신발 바닥창에 설치되는 유체용기에는 하절기에는 냉매를 채워 사용하고 동절기에는 온열매체를 채워서 사용하여 따듯함을 얻을 수 있는 신발의 이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갖는다.In addition, the fluid container installed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bject of providing a method of using shoe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filled in the summer season and the warm medium is filled in the winter season to obtain warmth.

본원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신발의 바닥을 구성하는 밑창과 바닥텐션 사이의 미드솔에 냉매나 열매체가 충진되는 유체용기가 내장되는 신발구조를 이루고, 유체용기에는 냉매나 열매체가 주입되어 신발 착용자가 걷기 위해 발걸음을 움직임에 따라서 체중과 체온에 의해 냉매나 열매체가 자연스럽게 압박을 받으며 서서히 냉기가 분출되거나 온기가 분출되도록 적용되며 냉각/가온시스템을 이루는 신발로 제공될 수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structure in which a fluid container filled with a refrigerant or a heating medium is contained in a midsole between a sole and a bottom tension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shoe, and a refrigerant or a heating medium is injected into the fluid container As a shoe wearer moves for a walk, the coolant or heat medium is naturally compressed by body weight and body temperature, and the cool air is sprayed or the warm air is sprayed, and the shoe can be provided as a cooling / heating system.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신발은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창에 냉매용기를 내장하고 용기에 냉매나 온수와 같은 온열매체를 채워서 신발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신발로서, 신발의 바닥창이 겉창과 미드솔과 바닥텐션으로 이루어지고, 겉창과 바닥텐션 사이 미드솔의 발꿈치 부위에 유체용기가 내장되는 오목홈부가 형성되고 미드솔의 중앙 및 전면부로 냉열/온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며, 바닥텐션에는 냉열이나 온열이 전달되는 구멍(hole)이 다수 개소에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유체용기는 후면쪽으로는 주입부를 갖고 유체용기 상부 및 전면 측부로는 가스배출구를 갖고 가스배출구 내측으로는 서방형접합필름이 부착되어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고 냉열/온열은 통과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착용자의 발걸음이 움직일 때 체온 및 체중 압박으로 서방형접합필름 및 가스배출구를 통하여 냉열/온열이 소량씩 착용자의 발에 시원함이나 따듯함을 전달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갖도록 적용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hoe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is a functional shoe provided to accommodate a refrigerant container in a floor window constituting a floor surface and to fill a container with a heating medium such as refrigerant or hot water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hoe. Wherein the bottom of the midsole and the bottom tension are formed by the outsole, the recess and the bottom of the midsole, and the midsole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midsole form a moving path of cold / hot heat. The bottom tube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le through which cold or heat is transmitte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e fluid container has an injection part at the rear side, a gas discharge port at the upper part and the front side of the fluid container, Type bonding film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so that the substrate has gas permeability and does not allow the liquid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cold / hot heat is applied to the foot of the wearer through the wearer's body and the weight of the wearer through the wear-resistant film and the gas outlet, so that coolness or warmth is applied to the foot of the wearer.

본원의 기능성 신발에서 유체용기에 주입되는 냉매는 이산화황이나 암모니아나 염화메틸 등의 냉매는 약간의 누출만으로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피하여야 하며, 끓는점이 -40~ 0℃의 범위를 가지며 안정적이고 독성이 없는 CFC화합물이나 액화가스 형태의 LPG나 LNG등도 이용될 수 있으나, 본원에서는 인체의 체온 및 10kg 이상의 체중이 실려 발걸음을 옮길 때 냉매가 서서히 기화되어 분출하기 위한 조성으로 에틸알코올과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비율이 9~6 : 1~4의 부피비율로 혼합되어 -10 ~ -30˚C 범위를 유지시키는 냉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였는바, 에틸알코올이나 프로필렌글리콜이 모두 인체와 접촉하여도 아무런 유해를 주는 물질이 아니고 이들의 혼합냉매를 본원의 유체용기에 충진하다가 설령 흘리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아무런 위해가 없기 때문이다.In the functional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injected into the fluid container should not be used because the refrigerant such as sulfur dioxide, ammonia, or methyl chloride may cause a danger even if a slight leakage occurs, and the boiling point is in the range of -40 to 0 ° C CFC compounds and liquefied gas such as LPG and LNG, which are not toxic, can also be us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uman body and the body weight of 10 kg or more are transferred, the refrigerant is slowly vaporized and vaporized. It is preferable to use a refrigerant which is mixed at a mixing ratio of 9 to 6: 1 to 4 in a volume ratio of -10 to -30 DEG C. As a result, even if ethyl alcohol or propylene glycol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nd the mixed refrigerant is filled in the fluid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re is no harm.

따라서 본원은 신발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창에 유체용기를 내장시켜 착용자에게 시원함 또는 따뜻함을 제공하기 위한 신발의 이용방법에 있어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using a shoe for providing a cooler or a warmer to a wearer by embedding a fluid container in a bottom window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shoe,

신발의 바닥창이 겉창과 미드솔과 바닥텐션으로 이루어지고, 겉창과 바닥텐션 사이 미드솔의 발꿈치 부위에 유체용기가 내장되는 오목홈부가 형성되고 미드솔의 중앙 및 전면부로 냉열 또는 온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고, 바닥텐션에는 냉열 또는 온열이 전달되는 구멍(hole)이 다수개소에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유체용기는 후면 쪽으로는 주입부를 갖고 유체용기 상부 및 전면 측부로는 가스배출구를 갖고 가스배출구 내측으로는 서방형접합필름이 부착되어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냉매는 통과시키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착용자의 발걸음이 움직일 때 체온 및 체중의 압박으로 냉기나 온기가 서방형접합필름 및 가스배출구를 통하여 소량씩 분출되어 착용자의 발에 시원함이나 또는 따뜻함을 전달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신발의 이용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Wherein a floor window of the shoe is made of an outsole, a midsole, and a bottom tension, and a concave groove portion in which a fluid container is built in a heel portion of the midsole between the outsole and the bottom tension is formed, a cold or hot heat transfer passage is formed at the center and front portion of the midsole, The bottom tube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le through which cold or heat is transmitte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e fluid container has an injection part at the rear side, a gas outlet at the top and front sides of the fluid container, When the footstep of the wearer moves, the cold air or warmth is ejected by a small amount through the escape film and the gas outlet by the pressure of the body temperature and the weight, Use of shoes comprising a configuration that delivers coolness or warmth It can be applied to.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의 유체용기는 스텐레스 재질이나 주석을 포함한 합금재질로 제공되고 냉매나 열매체가 주입되는 주입구 및 냉매나 열매체가 서서히 분출되는 배출구가 유체용기의 상부 및 전면측벽에 설치되도록 적용된다.The fluid container of the sho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or an alloy material containing tin and is adapt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the front side walls of the fluid container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or the heating medium is inject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or the heating medium is slowly ejected.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화되는 적용양태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은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 때 신발 내부를 시원하게 할 수 있는 냉각수단을 제공하여 착용자들의 발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여 땀을 방지하고,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을 때 신발 내부를 따듯하게 할 수 있는 가온수단을 제공하여 착용자들의 발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여 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sho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ling means that can cool the inside of the shoe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high, such as during the summer, so as to keep the wearer's feet in a comfortable state to prevent sweat, an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low A warming means can be provided to warm the wearer's feet, thereby keeping the feet of the wearer in a comfortable state and preventing frostbite.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의 냉각시스템은 동절기가 되면 냉매를 인출하고 대신 열매체를 넣어주었다가 다시 봄이 되면 냉매만 주입하여 주는 수단으로 본래의 냉각시스템을 회복시켜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은 특히 많은 시간을 워커나 운동화나 작업화를 착용하고 지내야 하는 군인들이나 경찰이나, 생산현장의 근로자 분들께 착용되는 경우 아무리 오랜시간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무좀균이나 동상 등의 피부질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lso, the cooling system of shoe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ver the original cooling system by means of injecting refrigerant only in the winter, If you are worn by soldiers, police officers, or workers at production sites who need to spend a lot of time walking or wearing sneakers or workmanship, you can always keep them comfortable even if you wear them for a long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ease.

도 1 :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신발구조에 구현된 적용양태 예시도.
도 2 : 본원 신발구조에서 신발 밑창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 본원의 유체용기가 신발 밑창의 미드솔에 내장되기 위한 구조와 전방으로 열매체가 흐르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미드솔의 투시도.
도 4 : 본원의 신발 밑창에서 미드솔 상부의 바닥텐션 구성예시도.
도 5 : 본원의 신발 밑창 미드솔에 내장되는 유체용기 예시도.
Fig. 1 is an illust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hoe structure embod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hoe sole in the present shoe structur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dsole for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fluid container for incorporation into a midsole of a shoe sole and a configuration for flowing a heating medium forward;
Fig. 4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the bottom tension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midsole in the shoe so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5 is an illustration of a fluid container embodied in the shoe sole midsole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구현 실시 양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os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신발구조에 적용되어 구현된 적용양태의 신발구조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원 신발구조에서 신발 밑창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원의 신발에서 유체용기가 신발 밑창의 미드솔에 내장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내고 미드솔의 전방으로 냉매나 열매체가 흐르기 위한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투시형태로 나타낸 미드솔의 도면이며, 도 4는 본원의 신발 밑창에서 미드솔 상부의 바닥텐션 구성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원의 신발 밑창 미드솔에 내장되는 유체용기의 일적용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sho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by appl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hoe structur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shoe sole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ootwear of the foot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tructure for incorporating the fluid container in the midsole of the shoe sole, and show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vement passage for flowing the refrigerant or the heating medium is formed in front of the midsole.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ttom tension configuration of an upper portion of a midsole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fluid container embedded in a shoe sole mid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신발은 그 제공형태에 따라서 운동화, 농구화, 단화, 워카 등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지만, 통상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체중을 지탱하는 바닥창부재(60)와,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외피부재(70)로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으며, 바닥창부재(60)는 또 다시 밑창(30)과 미드솔(40)과 쿠션층인 바닥텐션(50) 등으로 구분되고 있으나, 본원은 밑창(30)과 바닥텐션(50)사이의 미드솔(40)에 유체용기(20)를 내삽시켜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 때 신발 내부를 시원하게 할 수 있는 냉각수단을 제공하고 동절기에는 유체용기(20)에 80~90℃의 온수와 같은 열매체를 넣어 가온구조를 이루고자 하는 기술이다Various types of shoes, such as running shoes, basketball shoes, shoes, walks, etc.,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hoes. However, the shoes generally include a bottom window member 60 for supporting the weight while protecting the sole, and a covering member 70 for protecting the foot The bottom window member 60 is further divided into a sole 30 and a midsole 40 and a bottom tension 50 which is a cushion layer. The fluid container 20 is inserted into the midsole 4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luid container 20 so that the inside of the shoe can be coole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high as in the summer. It is a technique to achieve a heat structure by adding a heating medium such as hot water

본원의 도면에서는 밑창(40)과 중창(30)사이에 유체용기(20)를 내삽시키는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유체용기(20)가 반듯이 밑창(40)과 중창(30) 사이에만 국한되어 내삽되지 않고 신발의 바닥면 어느 곳이나 발바닥을 차게하거나 가온시키는 유체용기(20)로 내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luid container 20 is inserted between the sole 40 and the middle 30 so that the fluid container 20 is limited only between the sole 40 and the middle 30, Of course, be embedded in the fluid container 20 to cool or warm the soles of the floor of the shoe at any place on the floor of the shoe.

도 2는 본원 기술이 적용되는 신발 밑창의 적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사시도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바닥창부재(60)가 밑창(30)과 미드솔(40)과 바닥텐션(50)으로 구분될 때 밑창(30)은 통상의 신발과 동일/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미드솔(40)은 발꿈치 부분으로 유체용기(20)가 내장되기 위한 오목홈부(41)가 형성되고 미드솔(40)의 발꿈치 부분에서 앞면 쪽으로는 냉기나 온기가 배출되기 위한 구멍(44)을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고, 바닥텐션(50)은 미드솔(40)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조로서 미드솔(40)의 발꿈치 부분에 내장되는 유체용기(20)를 손쉽게 넣거나 빼주기 위한 구조로 바닥텐션(50)의 발꿈치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분리/결합부(51)에서 들어 올려지는 패드부(52)가 유체용기(20) 크기 정도로 제공되고 패드부(52)의 후면에서 분리/결합부(51)는 상부로 들려지나 전면의 결합선(51a)은 분리되지 않고 결합선을 축으로 이용하여 패드부(52)가 상향으로 들어 올리며 유체용기(20)를 손쉽게 넣거나 빼준 후 다시 원 위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패드부(52)의 바탕에는 다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착용자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패드부(52)의 앞면쪽으로도 냉기나 온기를 전달해주기 위한 배출구(53)를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minated structure of a shoe sole to which the present technique is applied. When a bottom window member 60 is divided into a sole 30, a midsole 40, and a bottom tension 50 The sole 3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or similar form as that of a normal footwear. The midsole 40 has a concave groove 41 for the fluid container 20 to be embedded in the heel, And the bottom tension 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sole 40 an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idsole 40. In this case, A pad portion 52 partially lifted at the heel portion of the bottom tension 50 from the separation / engagement portion 51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fluid container 20 ) And is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ad portion 52 by a separation / The fitting portion 51 is lifted upwards, but the coupling line 51a on the front side is not separated and the pad portion 52 is lifted upward by using the coupling line as an axis so that the fluid container 20 can be easily inserted or removed, And a discharge port 53 for transferring cold or warm air to the front side of the pad portion 52. The discharge port 53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ad portion 52, Structure can be provided.

도 3은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신발에서 유체용기(20)가 신발 밑창의 미드솔(40)에 내장되기 위한 구조를 이루기 위해 미드솔(40)의 발뒷꿈치 위치부에 오목홈부(41)가 형성되어 유체용기(20)가 내장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유체용기(20)의 냉기 또는 온기가 앞꿈치 부분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로(42)가 형성되고 미드솔(40)의 앞꿈치 위치부분에는 내부에서 확산부(43) 구조를 이루고 겉으로는 통기공(44)을 통해서 상부 바닥텐션(50)으로 냉기 또는 온기가 전달되는 구조를 갖도록 적용되는 실시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essed groove 41 is formed in the heel portion of the midsole 40 in order to make the structure for embedding the fluid container 20 in the midsole 40 of the shoe sole in the shoe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A movement passage 42 is formed to allow the fluid container 20 to be embedded therein and to allow the cool air or warm air of the fluid container 20 to smoothly flow to the forefoot portion. In the forefoot position portion of the midsole 40, And a cold air or a warm air is transmitted to the upper floor tension 50 through a vent hole 44.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4는 본원의 신발 밑창에서 미드솔 상부에 위치되는 바닥텐션(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바닥텐션(50)은 분리/결합부(51)를 갖는 패드부(52)가 형성되어 뒷발꿈치 부분에는 부분적으로 몸체와 분리되어 패드부(52)가 결합선(51a)을 축으로 이용하여 경사면을 이루며 부분적으로 들어 올려지는 구조를 이루는데 패드부는 유체용기(20) 크기 정도로 제공되고 패드부(52)의 후면에서 전면의 결합선(51a)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들어 올려지며 유체용기(20)를 넣거나 빼준 동작이 완료된 후 다시 원위치 되는 구조를 이루며 패드부(52)의 바탕에는 다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착용자에 뒷꿈치 부분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또한 패드부(52)의 앞면 쪽으로도 미드솔(40)의 확산부(43)나 통기공(44)을 통해서 전달되는 냉기나 온기를 착용자의 앞발 부분에 전달해주기 위한 배출구(53)를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itution of the bottom tension 50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midsole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tension 50 is formed with the pad part 52 having the separating / engaging part 51 The pad portion 52 is separated from the body partially in the rear heel portion so that the pad portion 52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by using the connecting line 51a as an axis. The pad portion is provided to the size of the fluid container 20, The fluid container 20 is lifted up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ad 52 by the coupling line 51a of the front surface an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completion of the operation of inserting or removing the fluid container 20. In the base of the pad portion 52, And the cool air or warm air is transmitted through the diffusion part 43 of the midsole 40 and the vent hole 44 to the front side of the pad part 52. [ It shows that there can be provided a structure having a discharge opening (53) intended to deliver to the wearer's front foot portion.

도 5는 본원의 신발 밑창 미드솔(40)에 내장되는 유체용기(20)의 일적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원의 신발구조에 적용되는 유체용기(20)는 스텐레스 재질이나 주석을 포함한 합금재질로 핸드폰의 충전지 형태를 이루며 5~10㎜ 두께를 갖고 코너구석부가 타원형태를 이루고 유체용기(20)의 후면 측벽(23)에 암나사산(23a)이 형성되고 주입구(10)의 삽입부에는 숫나사산(14)이 형성되어 암수 나사산 끼리의 끼움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를 이루고, 냉매나 열매체가 주입되는 주입구(10)와 냉매나 열매체가 서서히 분출되는 배출구조를 이루기 위해 유체용기(20) 상부 및 전면 측부로는 가스배출구(21,22)를 갖고 가스배출구 내측으로는 서방형접합필름(21a,22a)이 부착되어 기화되어 가스화된 가스만 투과되고 액체인 냉매는 통과시키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착용자의 발걸음이 움직일 때 체온 및 체중의 압박으로 냉매가 소량씩 기화되면서 서방형접합필름(21a,22a) 및 가스배출구(21,22)를 통하여 소량씩 분출되어 착용자의 발에 시원함이나 따뜻함을 전달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5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fluid container 20 incorporated in the shoe sole midsol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container 20 applied to the sho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or an alloy material containing tin And a female thread 23a is formed on the rear side wall 23 of the fluid container 20 and a male thread 23a is formed o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10, (2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luid container (20) to form a discharge structure in which the inlet (10)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or the heating medium is injected and the refrigerant or the heating medium are gradually blown out are formed, 22a are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gas outlet and vaporized so that only the gasified gas is permeated and the liquid refrigerant is not allowed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wearer's feet (21a, 22a) When the sound is moved, a small amount of refrigerant is vaporized by body temperature and body weight, and a small amount of coolant is blown out through the sustained release bonding films 21a, 22a and the gas exhaust ports 21, 22 to transmit coolness or warmth to the wearer's foot Lt; / RTI >

상기 유체용기(20)의 주입구(10)는 냉매주입구 쪽으로 제1고무링(11), 유체용기 측벽(23)과 주입구헤드부(16) 사에에 제2고무링(12), 주입냉매의 반출을 저지하는 제3고무링(13)을 갖고, 중심축(17) 양단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5)이 끼워져 탄성을 유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냉매나 온열매체가 주입될 때는 압축스프링(15)을 압박하며 중심축(17)을 밀면서 냉매나 온열매체를 주입하고 압축스프링(15)의 압박을 해제하면 내용물이 외부로 나올 수 없는 역류방지구조를 이루고, 착용자의 발걸음이 움직일 때 체온 및 체중의 압박으로 유체용기(20)에 내장된 냉매가 서서히 기화되는 분량만큼만 서방형접합필름(21a,22a) 및 가스배출구(21,22)를 통하여 소량씩 분출되는 구조를 이루며 하절기에는 냉매가 기화되며 착용자의 발에 시원함을 전달하거나 또는 동절기에는 80~90℃의 온수를 유체용기(20)에 주입하고 출근하거나 퇴근하게 되면 출퇴근 시간 1~2시간 동안은 따뜻하고 쾌적한 온기를 느끼도록 적용될 수 있다.The injection port 10 of the fluid container 20 has a first rubber ring 11 on the side of the refrigerant inlet port, a second rubber ring 12 on the fluid container side wall 23 and the inlet port head 16, And a compression spring 15 is inserted between both ends of the central shaft 17 to maintain elasticity. When the refrigerant or the heating medium is injected, the compression spring 15 is inserted into the third rubber ring 13 When the pressure of the compression spring 15 is released by injecting the refrigerant or the heating medium while pushing the central shaft 17, the backflow preventing structure in which the contents can not come out can be formed. When the foot of the wearer moves, 22a and the gas outlets 21, 22 by a small amount corresponding to a gradual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contained in the fluid container 20. The coolant is vaporized during the summer season, To convey coolness to the feet, or in winter, 80 to 90 ℃ When hot water is poured into the fluid container 20 and goes to work or goes to work, it can be applied to feel warm and pleasant warmth for one to two hours of commuting time.

본원은 하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높을 때 신발의 내부 온도를 저하시켜 쾌적한 착용상태를 유지하며 무좀균 등의 곰팡이균 발생을 사전 예방하고 동시에 동일한 유체용기를 이용하여 동절기에는 가온구조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으로 신발의 제공형태에 따라서 운동화, 농구화, 단화, 워카 등 다양한 신발의 종류, 밑창과 미든솔(중창)의 크기에 따라 냉매나 열매체가 내장될 수 있는 유체용기(20) 및 전달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은 본원의 기술사상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 having a warmth structure in the winter season by using the same fluid container at the same time while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fungus such as athlete's fungus by maintaining a comfortable wearing condition by lowe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hoe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high as in the summer A fluid container 20 in which a coolant or a heating medium can be embedded according to the type of shoes such as a sneaker, a basketball shoes, a shoe, a walker, etc., and a size of a sole and a midsole, And the structure including the transfer structure are equivalent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주입구 11 : 고무오링1
12 : 고무오링2 13 : 고무오링3
14 : 숫나사난 15 : 압축스프링
16 : 주입헤드부 17 : 중심축
20 : 유체용기 21,22 : 가스배출구
23 : 유체용기측벽 30 : 밑창
40 : 미드솔 41 : 오목홈부
42 : 이동통로 43 : 확산부
44 : 통기공 50 : 바닥텍션
51 : 분리/결합부 52 : 패드부
53 : 배출구 60 : 바닥창부재
70 : 외피부재 100 : 본원에서 제공되는 신발
10: inlet 11: rubber o-ring 1
12: Rubber O-ring 2 13: Rubber O-ring 3
14: male thread 15: compression spring
16: injection head part 17: center axis
20: fluid container 21, 22: gas outlet
23: fluid container side wall 30: outsole
40: midsole 41: concave groove
42: moving passage 43:
44: Ventilation holes 50:
51: separating / engaging part 52: pad part
53: outlet 60: bottom window member
70: Skin member 100: Footwear provided herein

Claims (3)

신발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창에 유체용기를 내장하고 냉매 또는 온열매체를 채워서 신발의 내부온도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바닥창(60)이 겉창(30)과 미드솔(40)과 바닥텐션(50)으로 이루어지고, 겉창(30)과 바닥텐션(50) 사이 미드솔(40)의 발꿈치 부위에 유체용기(20)가 내장되는 오목홈부(41)가 형성되고 미드솔의 중앙 및 전면부로 냉열/온열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며, 바닥텐션에는 냉열/온열이 전달되는 구멍(hole)이 다수개소에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유체용기(20)는 후면쪽으로는 주입부(10)를 갖고 유체용기의 상부 및 전면 측부로는 가스배출구(21,22)를 갖고 가스배출구 내측으로는 가스투과성을 갖는 서방형접합필름(21a,22a)이 부착되어 액체는 통과되지 않으나 냉열/온열은 통과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착용자의 발걸음이 움직일 때 체중의 압박으로 유체가 서방형접합필름(21a,22a) 및 가스배출구(21,22)를 통하여 냉열/온열이 소량씩 전달되어 착용자의 발에 냉기나 온열이 전달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A functional shoe (1) which is provided to embed a fluid container in a floor window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a shoe and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hoe by filling a refrigerant or a heating medium,
A bottom window 60 of the shoe is made up of an outsole 30, a midsole 40 and a bottom tension 50. A fluid container 20 (see FIG. 1) is provided at the heel of the midsole 40 between the outsole 30 and the bottom tension 50 And a cooling / heating / heat transfer passage is formed at a center and a front portion of the midsole. In the bottom tension,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 hole through which cold / hot heat is transmitte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ug
The fluid container 20 has a gas inlet 21 and a gas outlet 21 on the upper and front sides of the fluid container and a gas permeable film 21a, 22a are attached so that the liquid is not allowed to pass therethrough but the cool / heat is passed therethrough. When the foot of the wearer moves, the weight of the fluid pushes the fluid through the sustained bonding films 21a, 22a and the gas outlets 21, 22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cold / hot heat is applied to the foot of the wearer so that cold or hot heat is transmitted to the wearer's fo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용기에 주입되는 냉매는 에틸알코올과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비율이 9~6 : 1~4의 부피비율로 혼합되어 -10 ~ -30℃ 범위를 유지시키는 냉매가사용되도록 적용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rigerant injected into the fluid container is mixed with a volume ratio of ethyl alcohol to propylene glycol in a volume ratio of 9: 6: 1 to 4: .
신발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창에 유체용기를 내장시켜 착용자에게 냉열/온열을 제공하기 위한 신발의 이용방법에 있어서,
신발의 바닥창(60)이 겉창(30)과 미드솔(40)과 바닥텐션(50)으로 이루어지고, 겉창(30)과 바닥텐션(50) 사이 미드솔(40)의 발꿈치 부위에 유체용기(20)가 내장되는 오목홈부(41)가 형성되고 미드솔의 중앙 및 전면부로 냉열/온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며, 바닥텐션에는 냉열/온열이 전달되는 구멍(hole)이 다수개소에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유체용기(20)는 후면쪽으로는 주입부(10)를 갖고 유체용기 상부 및 전면 측부로는 가스배출구(21,22)를 가지며 가스배출구 내측으로는 서방형접합필름(21a,22a)이 부착되어 가스투과성을 가지면서 액체는 통과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착용자의 발걸음이 움직일 때 체중의 압박으로 서방형접합필름(21a,22a) 및 가스배출구(21,22)를 통하여 냉열/온열이 소량씩 착용자의 발에 시원함이나 따뜻함을 전달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이용방법.
A method of using a shoe for providing a cooler / warmer to a wearer by embedding a fluid container in a floor window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shoe,
A bottom window 60 of the shoe is made up of an outsole 30, a midsole 40 and a bottom tension 50. A fluid container 20 (see FIG. 1) is provided at the heel of the midsole 40 between the outsole 30 and the bottom tension 50 And a hole for transferring cold / hot heat is formed at a center and a front portion of the midsole. In the bottom tension, a hole through which cold / hot heat is transmitted is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e fluid container 20 has an injection part 10 at the rear side and gas discharge ports 21 and 22 at the upper and the front side of the fluid container and a sustained release bonding film 21a and 22a at the gas discharge port And the liquid is not passed through while having gas permeability. When the foot of the wearer moves, a small amount of cold / hot heat is applied to the wearer through the sustained release bonding films (21a, 22a) and gas outlets (21, 22) And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coolness or warmth to the feet.
KR1020160052974A 2016-04-29 2016-04-29 Well-being shoe having a cooling system or heating system KR101832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74A KR101832343B1 (en) 2016-04-29 2016-04-29 Well-being shoe having a cooling system or he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74A KR101832343B1 (en) 2016-04-29 2016-04-29 Well-being shoe having a cooling system or hea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71A KR20170123471A (en) 2017-11-08
KR101832343B1 true KR101832343B1 (en) 2018-02-26

Family

ID=6038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974A KR101832343B1 (en) 2016-04-29 2016-04-29 Well-being shoe having a cooling system or hea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34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411A (en) 2005-01-26 2006-08-10 Saneyoshi Yoshida Shoe with temperature regulation member
KR100959669B1 (en) 2009-04-27 2010-05-26 김일용 A shoes having natural cooling and heating system
CN201790073U (en) 2010-09-30 2011-04-13 赛纳集团有限公司 Air conditioning sho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411A (en) 2005-01-26 2006-08-10 Saneyoshi Yoshida Shoe with temperature regulation member
KR100959669B1 (en) 2009-04-27 2010-05-26 김일용 A shoes having natural cooling and heating system
CN201790073U (en) 2010-09-30 2011-04-13 赛纳集团有限公司 Air conditioning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71A (en)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089B2 (en) Heat retention and insulation system for wearable articles
US6230501B1 (en) Ergonomi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intelligent adaptive surfaces and temperature control
US11399596B2 (en) Heatable and coolable inserts for footwear
US5806208A (en) Shoe with massaging fluid circulation
US4823482A (en) Inner shoe with heat engine for boot or shoe
US20140259790A1 (en) Footwear article having a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CA2352217C (en) Shoe with an active air-conditioning device
RU2557523C2 (en) Device and method for shoe adjustment
US7013579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emperature regulation means
US6892478B1 (en) Temperature-stabilized articles
US7934521B1 (en) Configurable fluid transfer manifold for inflatable footwear
US20140345162A1 (en) Footwear system
US7017283B2 (en) Foot pain-relieving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US20090095358A1 (en) Configurable Fluid Transfer Manifold for Inflatable Footwear
KR101832343B1 (en) Well-being shoe having a cooling system or heating system
US20060143941A1 (en) Foot pain-relieving articles and method thereof
KR100959669B1 (en) A shoes having natural cooling and heating system
KR101743357B1 (en) A shoe having fuction of cooling foot
EP1196053B1 (en) Temperature-stabilized articles
KR100532363B1 (en) Shoes with cooling and heating functions
CN217185020U (en) Special shoes for cold storage loading and unloading worker
KR101058234B1 (en) Shoes with temperature control and shock buffer
KR200399923Y1 (en) Slippers with perfume and cushion function
CN209528006U (en) A kind of healthy shoe and its dedicated shoe tree with appropriate ergonomic support structure
KR100258189B1 (en) Shoe inside and shoe having the function of temperatur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