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27B1 -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27B1
KR101830127B1 KR1020160062124A KR20160062124A KR101830127B1 KR 101830127 B1 KR101830127 B1 KR 101830127B1 KR 1020160062124 A KR1020160062124 A KR 1020160062124A KR 20160062124 A KR20160062124 A KR 20160062124A KR 101830127 B1 KR101830127 B1 KR 10183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gital signage
signage
ima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019A (ko
Inventor
양승연
김진태
신재권
김병수
이규대
류경진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파이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이브텍 filed Critical (주)파이브텍
Priority to KR1020160062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04N13/0278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뎁스 카메라 센서가 다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니지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영상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는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 연령대 등을 고려하여 관심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가 제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Interac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signag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포스터, 안내 표시, 간판 등의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란, 포스터, 안내 표시, 간판 등 기존의 아날로그 광고판을 디지털 디스플레이어를 활용해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디지털 게시판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원격으로 콘텐츠를 한꺼번에 제어할 수 있으며 주목성이 뛰어나 정보의 전달력이 우수해 광고와 콘텐츠 제공에 효과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단순히 사용자 또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보여주고자 하는 콘텐츠를 단순히 전달할 뿐, 콘텐츠를 보는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제공하는 콘텐츠의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622147호 (2016.05.12.)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77757호(2014.06.24.)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은 뎁스 카메라 센서가 다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니지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영상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영상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거나, 또는 상기 사이니지의 화면 밝기에 대한 조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객체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가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이니지가 기설정된 복수 개의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가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이니지가 기설정된 복수 개의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정보 중 상기 영상 내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사이니지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영상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는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객체가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사이니지가 콘텐츠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니지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 센서;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고, 상기 객체가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정보 중 상기 영상 내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상기 사이니지가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객체가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이니지가 콘텐츠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는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 연령대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관심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가 제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사이니지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나 프로젝터에 영상이나 정보를 표시하는 광고 매체로,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공공장소나 상업 공간에서 각종 정보와 광고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해 제공하는 양방향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인 동시에 방송, 통신, 광고, 인터넷, 공공서비스 같은 다양한 분야와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광고의 융합 플랫폼이기도 하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 또는 연령대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보 및 광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시스템(100)은 뎁스 카메라 센서(12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뎁스 카메라 센서(120)는 다수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유동인구가 존재하는 곳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1)의 주변 환경을 촬영한다.
제어부(140)는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의 동작을 온오프시키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의 화면 밝기에 대한 조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고, 상기 객체가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데이터베이스(16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정보 중 상기 영상 내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가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기설정된 시간 내 객체가 인식되지 못하거나, 상기 객체가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가 콘텐츠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은 먼저, 투명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져 다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시니어지(1)가 유동인구가 존재하는 곳에 위치하는데, 이때 상기 디지털 시니어지(1)를 둘러싸는 주변 환경을 뎁스 카메라 센서(120)가 촬영한다(S210).
제어부(140)가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이때 만약, 상기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S230), 상기 객체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특히, 상기 객체가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영상 내 객체에 대하여,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객체가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가 기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250).
특히, 상기 제어부(140)가 데이터베이스(160)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정보 중 상기 영상 내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인지를 통해 사용자의 연령대별 또는 미리 저장된 취향 정보 등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콘텐츠를 선별하여 디지털 사이니지(1)가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보다 큰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가 투명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선명하고 깨끗한 화질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하거나(S230), 상기 객체가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또는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초)안에 객체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S240)에는 제어부(140)가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1)가 콘텐츠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S260). 또는 상기 제어부(140)가 기설정된 조도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의 화면 밝기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시니어지(1)의 구동 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는 사용자의 개인적 취향, 연령대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관심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가 제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옵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디지털 사이니지
120: 뎁스 카메라 센서
140: 제어부
160: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뎁스 카메라 센서가 다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니지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영상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영상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는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객체가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가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이니지가 기설정된 복수 개의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영상 내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단계는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객체가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사이니지의 화면 밝기값을 기설정된 조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이니지가 기설정된 복수 개의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정보 중 상기 영상 내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와 관련된 콘텐츠를 상기 사이니지가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6. 다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뎁스 카메라 센서; 및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이니지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고, 상기 객체가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정보 중 상기 영상 내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관련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상기 디지털 사이니지가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수신한 영상 내 객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객체가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사이니지의 화면 밝기값을 기설정된 조도값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시스템.
  7. 삭제
KR1020160062124A 2016-05-20 2016-05-20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KR101830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124A KR101830127B1 (ko) 2016-05-20 2016-05-20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124A KR101830127B1 (ko) 2016-05-20 2016-05-20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19A KR20170131019A (ko) 2017-11-29
KR101830127B1 true KR101830127B1 (ko) 2018-02-20

Family

ID=6081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124A KR101830127B1 (ko) 2016-05-20 2016-05-20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311A1 (ko) 2018-05-04 2019-11-07 (주) 알트소프트 기준 영역을 이용한 로컬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0980A1 (ko) * 2019-10-08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122A (ja) * 2012-07-31 2014-02-13 Toshiba Tec Corp デジタルサイネージ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0122A (ja) * 2012-07-31 2014-02-13 Toshiba Tec Corp デジタルサイネージ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12311A1 (ko) 2018-05-04 2019-11-07 (주) 알트소프트 기준 영역을 이용한 로컬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 시스템
US11227308B2 (en) 2018-05-04 2022-01-18 Altsoft. Inc. Control service system for local device, using reference reg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019A (ko)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606B2 (en) Adaptively embedding visual advertising content into media content
ES2719586T3 (es) Creación de puntos de referencia en un flujo multimedia con reconocimiento de contenido automatizado
US20150220991A1 (en) External messaging in the automotive environment
US20080319844A1 (en) Image Advertising System
ES2943578T3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distribución de contenido audio y visual proyectado
US20110150296A1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KR101184816B1 (ko) 터치 스크린 및 프로젝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
US20150269133A1 (en) Electronic book reading incorporating added environmental feel factors
KR101830127B1 (ko) 디지털 사이니지의 인터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기록매체
KR20160106970A (ko) 디지털 사이니지의 최적 템플릿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EP3397815B1 (en) Parking gate barrier rod projecting system
US11625142B2 (en) User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50332623A1 (en) Unobtrusive visual messages
US20110150297A1 (en)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utilizing facial recognition and providing a display for the individual
WO2019185689A1 (en) Creation of rich content from textual content
CN111126372A (zh) 视频中logo区域的标记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525409B1 (ko) 이미지 인식모듈을 이용한 컨텐츠 증강방법
KR101992837B1 (ko) 혼합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801062B1 (ko) 보행자 상호작용 기반의 화면 투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9508110B2 (en) Unobtrusive audio messages
KR101090735B1 (ko) 광고제공 디지털 액자
KR101192834B1 (ko) 인터렉티브 전광판
EP3429235B1 (en) Mobile media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956939B2 (en) Mobile media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4070558A (ja) 地域情報出力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