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523B1 -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content sl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content sl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523B1
KR101828523B1 KR1020170015036A KR20170015036A KR101828523B1 KR 101828523 B1 KR101828523 B1 KR 101828523B1 KR 1020170015036 A KR1020170015036 A KR 1020170015036A KR 20170015036 A KR20170015036 A KR 20170015036A KR 101828523 B1 KR101828523 B1 KR 101828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lice
slices
user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0392A (en
Inventor
강춘식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523B1/en
Publication of KR20170020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3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상 컨텐츠 결정부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그룹들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대상 컨텐츠들을 추가하는 단계;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 대기열의 순서대로 상기 대상 컨텐츠들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slice)들 각각을 소정의 표시 시간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및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가,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표시 시간은,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들의 정보의 유형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들은,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 및 컨텐츠 제공자가 지정한 핫토픽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초로 선택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 plurality of target content using user familiarity with a plurality of content groups each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and adds the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step; Providing a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to each of the user terminal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isplay time, each of content slices including partial information of the target contents in order of the content queue; And an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t least one additional target content using user feedback information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and adding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Wherein the predetermined display time is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information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ent slices by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content groups are grouped into a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and a hot And a plurality of target contents including content selected based on the activity history of the user.

Description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CONTENT SL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슬라이스 형태로 제공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ntent slice and an apparatus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ntent slice for providing content in a slice form and an apparatus therefor.

컨텐츠 제공자는 컨텐츠 이용자에게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한 페이지에 모아서 제공함에 있어, 각 컨텐츠의 개요나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등이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컨텐츠의 요약 문구, 대표 이미지 등을 적절히 배치하여 생성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The content provider collectively arranges a summary phrase, a representative image, and the like of the content so that an overview of each content, a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provided to the content user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s on one page And provides the generated content information.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8042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5804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컨텐츠들을 별도의 조작 없이도 시간 간격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환 표시함으로써, 컨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컨텐츠의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ntent slice for increasing accessibility of content and inducing utilization of a wider variety of contents by continuously displaying various contents in a time interval without performing any operation,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해당 컨텐츠 그룹으로부터 추출되는 컨텐츠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선호에 보다 부합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ntent slice for providing content matching user preference by adjusting the number of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ent group according to the user preference for the content group,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상 컨텐츠 결정부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대상 컨텐츠들을 추가하는 단계;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 대기열의 순서대로 상기 대상 컨텐츠들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slice)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가,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arget content, the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comprising: determining a plurality of target contents using user familiarity with a content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and adding the target contents to a content queue; Providing a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slices to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slice including partial information of the target contents in the order of the content queue; And an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t least one additional target content using user feedback information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and adding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slice is disclos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시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using a compu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배포 서버를 개시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istribution server for distribut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대상 컨텐츠들을 추가하는 대상 컨텐츠 결정부;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 대기열의 순서대로 상기 대상 컨텐츠들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slice)들을 제공하는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 및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하는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including: a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plurality of target contents using user familiarity with a content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and adding the target contents to a content queue; A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content slices to a user terminal in order of the content queues, the content slices including partial information of the target contents; And an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t least one additional target content using user feedback information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and adding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An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content informa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해, 다양한 컨텐츠들을 별도의 조작 없이도 시간 간격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환 표시함으로써, 컨텐츠의 접근성을 높이고, 보다 다양한 컨텐츠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content sl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aratus therefor can continuously display various contents in a continuous time interval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content, It can induce the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해,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해당 컨텐츠 그룹으로부터 추출되는 컨텐츠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선호에 보다 부합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the content sl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orresponding content group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 preference for the content group,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s that matc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termin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5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termin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6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termin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7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termin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s include, including, etc. mean that there is a feature, or element, recit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Also,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여기서, 컨텐츠는 정지 영상, 동영상, 음원 파일 등 사용자가 시/청각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데이터일 수 있다.Here, the content may be any type of digital or analog data that a user can recognize through visual / auditory sense, such as a still image, a moving image, and a sound source file.

여기서, 컨텐츠 슬라이스(slice)는 컨텐츠를 이루는 여러 정보들 중 일부 정보들만을 포함하는 컨텐츠 조각일 수 있다. 컨텐츠 슬라이스는, 사용자가 이를 별도의 화면 이동 없이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적절한 사이즈로 생성될 수 있다.Here, the content slice may be a piece of content including only some information amo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content. The content slice can be created in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it without any additional screen movement.

여기서, 표시 영역은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영역을 말한다. 컨텐츠 슬라이스들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표시 영역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거나, 표시 영역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 슬라이스들의 이동에 따라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들은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아니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여 컨텐츠 슬라이스에 포함된 정보들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슬라이스들의 이동과 표시 영역의 이동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컨텐츠 슬라이스들은 정지한 상태에서 표시 영역이 이동함에 따라 컨텐츠 슬라이스들의 표시여부가 전환될 수 있다.Here, the display area refers to an area where the content slices ar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content slices may mov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area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ove within the display area, or move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content slices, the specific content slices may not be displayed to the user, an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slice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user ac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content slices and the movement of the display area are relative concepts, the display of the content slices may be switched as the display area moves while the content slices are stationar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 using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3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 using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a user terminal 200.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lso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300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and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탑재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컨텐츠의 일부 정보를 컨텐츠 슬라이스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 또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for providing content through a terminal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providing a part of content information in a content slice form, The terminal 200 displays content or a content slice provid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 또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제공하는 외에도 광고,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는 광고 서비스, 검색, 이메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contents or a slice of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200, as well as various services for promoting advertisements, general search services, and other user's convenience. That is,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an advertisement service, a search, an e-mail, a blog, a social network service, news, and shopping information.

또는,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가 저장된 서버에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컨텐츠를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와 컨텐츠가 저장된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a server connected to a server storing contents and delivering the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200. Her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server in which the content is stored may be separate server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may be the same servers separated conceptually.

사용자 단말기(200)는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또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 동작에 따라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이동하거나, 컨텐츠 슬라이스에 포함된 내용이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동작은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대한 탭(tap), 홀딩(holding), 스와이핑(swiping), 드래그(drag)와 같은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content or the content slice provid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terminal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moving content slices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for changing contents included in the content slice. The user action may include actions such as tapping, holding, swiping, and dragging on the content slices.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장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어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단말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The terminal application may be a terminal application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200 or a terminal application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and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201)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2)일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means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a terminal application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the user's personal computer 201 or the user's portable terminal 202.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is shown as a smart phone in FIG. 1,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rminal equipped with the terminal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borrowed without limitation.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more detail,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computer (e.g., a desktop, a laptop, a tablet, etc.), a media computing platform (e.g., a cable, a satellite set top box, a digital video recorde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E. G., A PDA, an email client, etc.), any form of cellular telephone, or any other type of computing or communication platform, but the invention is not so limited.

한편, 통신망(3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200)들과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200)들이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connects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with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That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 connection path so that the user terminals 200 can access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ransmit / receive data.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be a wired network such as LANs (Local Area Networks), WANs (Wide Area Networks), MANs (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wireless LANs, CDMA, Bluetooth,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1)의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5) 및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 등을 포함한다.2,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of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 using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memory 120, a program storage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 database 150, a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an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5, and a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상세히, 통신부(110)는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컨텐츠 요청을 수신하고,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mmunication unit 110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for provid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s betwee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the content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 the content data.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He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devi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ignal such as a control signal or a data signal through a wired / wireless connection with another network device.

메모리(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ory 120 performs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40. Here, the memory 120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or flash storage medi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산출하는 작업,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에 따라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작업,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The program storage unit 130 stores a program for calculating a user familiarity degree with respect to a content group,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content to generate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user familiarity of the content group, a control for performing a content slice generation operation for the content, Software.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컨텐츠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들로부터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5) 및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를 제어하여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산출하는 작업,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에 따라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할 컨텐츠를 결정하는 작업,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하는 작업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is a kind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controls the entire process of generating and providing content slices from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group.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drives the control software install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130 and controls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5, and the content slice provision unit 180, An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user familiarity degree with respect to the group, an operation of determining contents to generate the content slice according to the user familiarity of the content group, a task of generating the content slice with respect to the content, and the like.

여기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ll kinds of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in, the term " processor "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apparatus embedded in hardware, for example, having a circuit physically structured to perform a function represented by a code or an instruction contained in the program. As an example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built in hardwar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circuit, and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데이터베이스(150)는 컨텐츠, 컨텐츠 슬라이스 또는 컨텐츠 그룹에 매핑되어 저장되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The database 150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mapped to content, a content slice, or a content group.

컨텐츠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그룹으로서,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이거나, 컨텐츠 제공자가 지정한 그룹일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그룹은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으로서 '즐겨찾기' 그룹 등이 이에 해당하고, 컨텐츠 제공자가 지정한 그룹으로서 '핫토픽' 그룹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A content group is a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and may be a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or a group specified by the content provider. For example, the content group may be a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such as a 'favorite' group, a group designated by the content provider, and a 'hot topic' group or the like.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컨텐츠를 이루는 여러 정보들 중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일부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컨텐츠, 컨텐츠 슬라이스 및 컨텐츠 그룹 간의 매핑 관계가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store some pieces of information used for generating a content slice amo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content. The database 150 may store content, content slices, and mapping relationships between content groups.

컨텐츠, 컨텐츠 슬라이스 및 컨텐츠 그룹 각각에는 식별자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하나의 컨텐츠 그룹 식별자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식별자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그룹 식별자 또는 컨텐츠 식별자에는 해당 컨텐츠 그룹 또는 컨텐츠의 이름, 생성 시각, 생성자, 조회 횟수, 선호도, 공유 현황 등이 매핑될 수 있다.An identifier may be mapped to each content, a content slice, and a content group, and at least one content identifier may be mapped and stored in one content group identifier. In addition, the content group identifier or the content identifier may be mapped to the name of the content group or the content, the creation time, the creator, the number of times of inquiry, the preference degree, the sharing status, and the like.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산출하고, 사용자 친밀도를 이용하여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할 대상이 되는 컨텐츠들을 결정하고, 대상 컨텐츠들을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한다.The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160 calculates a user familiarity degree with respect to a content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determines contents to be generated with the content slice using the user familiarity level, adds the target contents to the content queue do.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컨텐츠 슬라이스 및 컨텐츠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친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이 활발할수록 해당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가 높은 것으로 산출할 수 있고, 특정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이 활발할수록 해당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가 높은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target content deciding unit 160 may calculate the user familiarity level using the user's activity history of at least one of the content slice and the content group. For example, the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160 can calculate that the user familiarity of the content group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 is high as the user's activity on the specific content slice becomes active, It can be calculated that the user familiarity of the content group is higher.

사용자의 활동은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 또는 특정 컨텐츠 그룹을 선택하거나,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 또는 특정 컨텐츠 그룹을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s activities may include activities such as a user selecting a particular content slice or a particular content group, or evaluating a particular content slice or a particular content group as preferred.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하는 사용자의 활동 횟수가 많거나 사용자의 활동 빈도수가 높을수록 사용자의 활동 이력이 활발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사용자의 활동이 특정 기준 활동 횟수 또는 기준 빈도수를 초과하는 경우, 그에 상응하여 사용자 친밀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사용자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컨텐츠 그룹이 사용자 친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target content deciding unit 160 can determine that the activity history of the user is active as the number of activities of the user is high or the activity frequency of the user is high. If the activity of the user exceeds a specific reference activity count or the reference frequency,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may calculate the user intimacy value correspondingly. That is,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may determine that the content group in which the user is active actively has high user-friendliness.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사용자 친밀도가 기설정된 기준 친밀도를 초과하는 컨텐츠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특정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가 0.6이고, 기준 친밀도가 0.3인 경우, 해당 컨텐츠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할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may determine target content amo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group whose user intimacy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intimacy. For example, when the user intimacy degree of a specific content group is 0.6 and the reference intimacy degree is 0.3,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can determine target content amo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group. That is,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can determine an object to generate a content slice from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group preferred by the user.

선택적 실시예에서,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특정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 그룹에서 결정될 대상 컨텐츠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특정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가 높을수록 해당 컨텐츠 그룹에서 더 많은 대상 컨텐츠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target content determiner 160 may adjust the number of target content to be determined in the content group based on the user familiarity of the specific content group. For example, the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160 may determine that more target content is determin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group as the user familiarity of the specific content group is higher.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가 높을수록, 전체 대상 컨텐츠들 중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대상 컨텐츠의 비율이 높아지게끔, 해당 컨텐츠 그룹에서 더 많은 대상 컨텐츠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2개의 컨텐츠 그룹에 대하여 제1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가 0.6이고, 제2 컨텐츠 그룹의 사용자 친밀도가 0.4인 경우, 전체 대상 컨텐츠들 대비 제1 컨텐츠 그룹의 대상 컨텐츠 비율을 60%, 제2 컨텐츠 그룹의 대상 컨텐츠 비율을 40%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사용자 친밀도가 높은 컨텐츠 그룹에서 더 많은 대상 컨텐츠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target content deciding unit 160 may determine that more target content is determin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group such that the higher the user familiarity of the content group is, the higher the ratio of the targe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among the entire target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familiarity degree of the first content group is 0.6 and the user familiarity degree of the second content group is 0.4 for the two content groups,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content of the first content group The content ratio can be determined to be 60%, and the target content ratio of the second content group can be determined to be 40%. That is,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may determine that more target content is determined in the content group having a high user-friendliness level.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의 활동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 그룹을 결정하고,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 그룹을 많이 선호할수록 해당 컨텐츠 그룹에서 더 많은 컨텐츠 슬라이스가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content group preferred by the user based on the activity of the user, and when the user prefers the content group, More content slices can be created and presented to the user.

선택적 실시예에서,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광고 컨텐츠를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이 5분인 경우, 5분마다 광고 컨텐츠를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가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되는 시간 간격은, 사용자로 하여금 컨텐츠 시청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시간대마다, 혹은 사용자마다 가변적일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target content determiner 160 may add ad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five minutes,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0 may add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every five minutes.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advertisement content is added to the content queue may be varied from time to time or from user to user so that the user does not feel bored with content viewing.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5)는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한다.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deciding unit 165 decides at least one additional target content using the user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provided by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Add.

예컨대,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5)는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를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한 경우, 해당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컨텐츠 그룹에서 추가 대상 컨텐츠롤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해당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judges that a particular content slice is preferable, the addition target content deciding section 165 decides to add target content in the content group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 and adds the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

또한,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5)는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에 대해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해당 컨텐츠 슬라이스에 대한 선호도가 기설정된 기준 선호도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컨텐츠 그룹에서 추가 대상 컨텐츠롤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해당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ference for the content slice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preference,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5 determines that the content group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 corresponds to the content slice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can be determined to be rolled, and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can be added to the content queue.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165)는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에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되어 있던 대상 컨텐츠를 추가 대상 컨텐츠로 교체할 수 있다.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5 can replace the target content that was previously added to the content queue with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using the user feedback in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 슬라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다음에 제공질 컨텐츠 슬라이스를 새로이 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ewly determine the next provided quality content slice in real time by reflecting the user's reaction to the currently provided content slice.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 대기열의 순서대로 상기 대상 컨텐츠들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slice)들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generates content slices including information on a part of the target contents in the order of the content queues in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slices to the user.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대상 컨텐츠들에 포함된 대표 이미지 및 제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generate content slices including a representative image and a title included in the target contents.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컨텐츠 그룹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여기는 박물관' 컨텐츠가 '즐겨찾기' 컨텐츠 그룹에 해당하는 경우, '여기는 박물관' 컨텐츠를 이용하여 컨텐츠 슬라이스를 생성할 때, 컨텐츠 슬라이스에 '즐겨찾기' 문구를 삽입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content slice provider 180 may generate content slices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ontent group.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contents of museum' here corresponds to the 'favorite' contents group, the contents slice providing unit 180 adds' favorites' to the contents slice when creating the contents slice using the ' Can be inserted.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그룹의 식별 정보는 컨텐츠 슬라이스에 인접한 외부에 표시될 수 있다.In an alternate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group may be displayed outside the content slice.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표시 영역 내에서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제1 컨텐츠 슬라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표시 영역에서 표시된 시간이 기설정된 최종 표시 시간에 도달한 경우, 제1 컨텐츠 슬라이스가 비표시되도록 하고, 제1 컨텐츠 슬라이스와 서로 다른 제2 컨텐츠 슬라이스가 최종 표시 영역에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further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causing a content slice to be displayed within a final display area of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causes the first content slice to be invisible when the first content slice reaches the predetermined last display time in the last display area of the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causing the second content slice to be displayed in the final display area.

최종 표시 영역은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 영역 중 컨텐츠 슬라이스가 마지막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가 제1 비표시 영역에서 표시 영역으로 들어왔다가, 표시 영역 내에서 이동하다가, 제2 비표시 영역으로 나가는 경우, 최종 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 중 컨텐츠 슬라이스가 제2 비표시 영역으로 진입하기 전에 위치했던 영역일 수 있다. 최종 표시 시간은 컨텐츠 슬라이스들마다 서로 다른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nal display area may be the area where the content slice is located last in the display area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slice enters the display area in the first non-display area and then moves to the second non-display area after moving within the display area, the content slice of the display area enters the second non- It may be the area that was located before. The final display time may be set to a different time for each content slice.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아니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 영역의 경계에 걸쳐서 위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 슬라이스의 일부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컨텐츠 슬라이스는 고정한 채, 표시 영역을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새로이 표시되거나 더 이상 표시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dis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slice using a control signal for causing a specific content slice to be positioned within the display area and may use a control signal to prevent a specific content slice from being located within the display area The content sl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display only a part of the content slice using a control signal that causes the specific content slice to be positioned over the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On the contrary,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can newly display content slices or not to be displayed by using a control signal to move the display area while fixing the content slice.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서 있게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이 1초인 경우, 복수의 컨텐츠 슬라이스들 각각을 1초마다 전환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시간 간격은, 컨텐츠 슬라이스의 유형이나, 컨텐츠 슬라이스에 포함된 정보량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causing the content slices to be sequentially display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when the preset time interval is 1 second,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displa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ent slices every second. The time interval may be variabl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slice or the amount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slice.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일렬로 나열하고,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나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좌에서 우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하고,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우에서 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arranging the content slices in a line and causing the content slices to move in the lin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arrange the content slices in a line from left to right and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causing the content slices to move from right to left.

이 경우,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컨텐츠 슬라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 영역에서 벗어나게끔 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이 1초인 경우, 1초마다 하나의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 영역의 좌측으로 벗어나게끔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우에서 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cause any one of the content slices to deviate from the display area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1 second,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generates a content slice so that one content slice is shifted to the left of the display area every one second so that the content slices move from right to left, Can be provided.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표시 영역 내에서,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는 컨텐츠 그룹들이 더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가 '여기는 박물관', '움직이는 꿈속' 및 '옷에 붙은 껌'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 경우, 이들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이웃블로그' 컨텐츠 그룹이 더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within the display area,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further displaying the content group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For example, if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provides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a museum here', 'a moving dream' and a 'gum attached to clothes' content slice, Quot;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further displaying the content group.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 컨텐츠 그룹들은 컨텐츠 슬라이스가 나열된 열과 구분되는 열에 나열되도록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when content slices 180 are listed in a row, the content groups may be listed in columns separated from the columns in which the content slices are listed.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컨텐츠 그룹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있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만이 표시 영역 내에서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이웃블로그' 컨텐츠 그룹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있는 경우, 전체 컨텐츠 슬라이스들 중 '이웃블로그'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여기는 박물관', '움직이는 꿈속' 및 '옷에 붙은 껌' 컨텐츠 슬라이스만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when there is a selection signal for a content group,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provides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causing only a content slic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to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 For example, when there is a selection signal for a 'neighboring blog' content group,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selects 'museum', 'moving dream', and 'clothes'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only the gum content slice attached to the gum content can be provided.

선택적 실시예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특정 컨텐츠 슬라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있는 경우, 이에 기초하여 해당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대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180)는 선택된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원본 컨텐츠의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ent slice provider 180 may provide targe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 based on a selection signal for a particular content slice. For example,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200 with the link inform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sl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 친밀도에 기반하여 컨텐츠 그룹 별로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하고, 대상 컨텐츠들을 컨텐츠 슬라이스로 생성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도 자동 전환 표시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컨텐츠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arget contents for each content group based on user familiarity, generates target contents as a content slice, Thus, the use of more various contents can be in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컨텐츠 대기열에 대상 컨텐츠를 추가하는 단계(S310), 대상 컨텐츠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320), 및 컨텐츠 슬라이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adding target content to a content queue (S310), a step of providing a content slice including a part of target content (S320), and adding additional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using the user feedback information on the content slice (S330).

먼저, 대상 컨텐츠 결정부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그룹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대상 컨텐츠들을 추가한다(S310).First, the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plurality of target contents using the user familiarity with the content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and adds target contents to the content queue (S310).

단계(S310)에서, 대상 컨텐츠 결정부는 컨텐츠 슬라이스 및 컨텐츠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친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310,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may calculate the user familiarity degree using the user's activity history for at least one of the content slice and the content group.

단계(S310)에서, 대상 컨텐츠 결정부는 사용자 친밀도가 기설정된 기준 친밀도를 초과하는 컨텐츠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들 중에서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310,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arget content amo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group whose user intimacy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intimacy.

단계(S310)에서, 대상 컨텐츠 결정부는 사용자 친밀도에 기초하여 컨텐츠 그룹에서 결정될 대상 컨텐츠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In step S310, the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may adjust the number of target contents to be determined in the content group based on the user familiarity.

단계(S31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컨텐츠 대기열에 광고 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In step S310,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may add the advertisemen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다음으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 대기열의 순서대로 대상 컨텐츠들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slice)들을 제공한다(S320).Next,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provides the content slices including some information of the target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in order of the content queue (S320).

단계(S32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대상 컨텐츠들에 상응하여, 대상 컨텐츠들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320,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may generate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the target content, including content information of the target content.

단계(S32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컨텐츠 그룹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320,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may generate the content slices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group.

단계(S32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일렬로 나열하고,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나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20,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may arrange the content slices in a line and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causing the content slices to move in the lining direction.

단계(S32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시간 간격마다 컨텐츠 슬라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표시 영역에서 벗어날 때까지 표시 영역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20,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may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causing the display area to move until one of the content slices deviates from the display area at each time interval.

단계(S32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표시 영역 내에서,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는 컨텐츠 그룹들이 더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20,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may provide, in the display area,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further displaying the content group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단계(S32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컨텐츠 그룹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있는 경우, 컨텐츠 슬라이스들 중 선택된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만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320,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may provide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only the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group among the content slices when there is a selection signal for at least one of the content groups have.

다음으로,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가,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한다(S330).Next,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t least one additional target content using the user feedback information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and adds the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S330).

단계(S330)는 단계(S32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추가 대상 컨텐츠를 컨텐츠 대기열에 추가할 수 있다.Step S330 may acquire user feedback information on the content slices provided in step S320, and may add the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in real time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비록 도 3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단계(S320) 후에, 컨텐츠 제공부가, 컨텐츠 슬라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있는 경우,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대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i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content sl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S320, if the content providing unit has a selection signal for the content slice, And providing the target content to the user.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일 예이다.4 i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termin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00 shown in FIG.

도 4는 복수의 컨텐츠 슬라이스들(421, 422, 423)이 표시되는 화면(400)의 일 예임을 알 수 있다.4 is an example of a screen 400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 slices 421, 422, and 423 are displayed.

컨텐츠 슬라이스들(421, 422, 423)은 화면(400)의 일부에 형성된 표시 영역(41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content slices 421, 422, and 423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area 410 formed on a part of the screen 400.

먼저, 화면(40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421)는 표시 영역(410)에 포함되어 있고, 컨텐츠 슬라이스(422)는 표시 영역(410) 및 비표시 영역(411)에 걸쳐 있고, 컨텐츠 슬라이스(423)는 비표시 영역(411)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First, in the screen 400, the content slice 421 is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410, the content slice 422 is spread over the display area 410 and the non-display area 411, and the content slice 423 ) Is contained in the non-display area 411. [

또한 화면(400)의 경우, 컨텐츠 슬라이스들(421, 422, 423)이 좌에서 우 방향 또는 우에서 좌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the screen 400,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slices 421, 422, and 423 are listed from left to right or from right to left.

화면(40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들(421, 422, 423)이 좌에서 우 방향으로 나열된 경우, 컨텐츠 슬라이스들(421, 422, 423)이 우에서 좌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컨텐츠 슬라이스(421)가 표시 영역(410)을 벗어나고, 표시 영역(410) 및 비표시 영역(411)에 걸쳐 있는 컨텐츠 슬라이스(422)가 표시 영역(410)에 포함될 수 있다.In the screen 400, when the content slices 421, 422 and 423 are arranged in the left-to-right direction, the content slices 421, 422 and 423 move from right to left, A content slice 422 that extends out of the display area 410 and extends across the display area 410 and the non-display area 411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410. [

이와 같은 경우, 컨텐츠 슬라이스(421)에는, 컨텐츠 슬라이스(421)가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비표시됨을 미리 알려주기 위한 알림 메시지(440)가 더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slice 421 may further display a notification message 440 for informing that the content slice 421 is not display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컨텐츠 슬라이스들(421, 422, 423) 각각에는 컨텐츠 그룹의 식별 정보(430)가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슬라이스(421)는 '즐겨찾기' 컨텐츠 그룹에 상응되는 경우로서, '즐겨찾기' 컨텐츠 그룹의 식별 정보로서 'me' 문구가 삽입될 수 있으며, 컨텐츠 슬라이스(422)는 '핫토픽' 컨텐츠 그룹에 상응되는 경우로서, '핫토픽' 컨텐츠 그룹의 식별 정보로서 '핫토픽' 문구가 삽입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430 of the content group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content slices 421, 422, and 423. For example, the content slice 421 corresponds to the 'favorite' content group, the phrase 'me' may be insert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avorite' content group, and the content slice 422 may include 'hot topic' Quot; Hot Topic " phrase may be insert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ot Topic' content group, a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5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termin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00 shown in FIG.

도 5는 광고를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슬라이스들(521, 522, 523, 524)이 표시되는 화면(500)의 일 예임을 알 수 있다.5 is an example of a screen 500 in which a plurality of content slices 521, 522, 523, and 524 including an advertisement are displayed.

먼저, 화면(500)에서, 표시 영역에 포함된 컨텐츠 슬라이스(522)는 광고 컨텐츠에 상응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광고 컨텐츠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522)는 기설정된 슬라이스 간격마다 생성되어 사용자 친밀도가 높은 컨텐츠들에 상응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521, 523, 52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에 상응되는 컨텐츠 슬라이스(522)에는 컨텐츠 그룹의 식별 정보로서 광고를 의미하는 'AD'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First, in the screen 500,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slice 522 included in the display area corresponds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The content slice 522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content slices 521, 523, and 524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with high user-friendliness, which are generated every predetermined slice interval. In the content slice 522 correspon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 an 'AD' phrase indicating an advertisement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group may be displayed.

화면(500)에서, 컨텐츠 슬라이스들(521, 522, 523, 524)이 좌에서 우 방향으로 나열된 경우, 컨텐츠 슬라이스들(521, 522, 523, 524)이 우에서 좌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컨텐츠 슬라이스(522)가 표시 영역(510)에서 좌측의 비표시 영역(511)으로 이동하고, 표시 영역(510) 및 우측의 비표시 영역(511)에 걸쳐 있는 컨텐츠 슬라이스(523)가 표시 영역(510)에 포함될 수 있다.In the screen 500, when the content slices 521, 522, 523 and 524 are arranged from left to right, the content slices 521, 522, 523 and 524 move from right to left, The content slice 522 moves from the display area 510 to the left non-display area 511 and the content slice 523 that spans the display area 510 and the right non- .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6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termin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00 shown in FIG.

도 6은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의해 표시 영역(610)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600, 601)임을 알 수 있다.6 is a screen 600 or 601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the display area 610 by a user's selection input.

도 6(a)와 같이 표시 영역(610)이 표시되지 아니하는 경우에서 사용자가 컨텐츠 정보 제공 버튼을 선택(605)하는 경우, 도 6(b)와 같이 표시 영역(610)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area 610 is not displayed as shown in FIG. 6A,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605, the display area 610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6B .

또한, 도 6(b)와 같이 표시 영역(610)이 표시되는 경우에서 사용자가 다시 한번 컨텐츠 정보 제공 버튼을 선택(605)하는 경우, 도 6(a)와 같이 표시 영역(610)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6 (b),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button 605 again, the display area 610 is not displayed as shown in FIG. 6 (a)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컨텐츠 슬라이스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610) 자체의 표시여부를 전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the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area 610 itself in which the content slic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200)에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또 다른 예이다.7 is another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the terminal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200 shown in FIG.

도 7은 복수의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는 컨텐츠 그룹들(721, 722, 723)이 표시되는 화면(700)임을 알 수 있다.7 is a screen 700 in which content groups 721, 722, and 723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ntent slices are displayed.

컨텐츠 그룹들(721, 722, 723)은 화면(700)의 일부에 형성된 표시 영역(710)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content groups 721, 722, and 723 may b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area 710 formed on a part of the screen 700.

화면(700)에서, 컨텐츠 그룹들(721, 722, 723)은 컨텐츠 슬라이스들과 구분되는 열에 나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컨텐츠 그룹들(721, 722, 723)에는 해당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의 개수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화면(700)과 같은 경우, 컨텐츠 그룹(721)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는 2개, 컨텐츠 그룹(722)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는 8개, 컨텐츠 그룹(723)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는 1개일 수 있다.In the screen 700,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 groups 721, 722, and 723 are listed in the columns separated from the content slices. The content groups 721, 722, and 723 may display the number of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creen 700, there are two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721, eight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722, and one content slic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723, .

먼저, 사용자가 컨텐츠 그룹들(721, 722, 723)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그룹을 해당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만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컨텐츠 그룹(722)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 그룹(722)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만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 표시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에는 해당 컨텐츠 그룹(722)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730)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display only one of the content groups 721, 722, and 723 and the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content group 722, only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722 may be displayed.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730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722 is inserted into the content slices displayed at this time.

또한, 사용자가 다른 컨텐츠 그룹(721)을 추가로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 그룹들(721, 722)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further selects another content group 721,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groups 721 and 722 may be display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는 사용자가 컨텐츠 그룹을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만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selects a content group,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only a content slic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fic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ac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Also, unless explicitly mentioned, such as " essential ", " importantly ",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ranges that ar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

100: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그램 저장부
140: 제어부
150: 데이터베이스
160: 대상 컨텐츠 결정부
165: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
180: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
200: 사용자 단말기
100: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10:
120: Memory
130: Program storage unit
140:
150: Database
160: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65: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ation unit
180: Content Slice Offering
200: User terminal

Claims (9)

대상 컨텐츠 결정부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그룹들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대상 컨텐츠들을 추가하는 단계;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가,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 대기열의 순서대로 상기 대상 컨텐츠들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slice)들 각각을 소정의 표시 시간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 및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가,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표시 시간은,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들의 정보의 유형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들은,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 및 컨텐츠 제공자가 지정한 핫토픽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핫토픽 그룹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초로 선택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 각각에는, 상기 대상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인지 혹은 상기 핫토픽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가 삽입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Determining a plurality of target contents using user familiarity with a plurality of content groups each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and adding the target contents to a content queue;
Providing a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to each of the user terminal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isplay time, each of content slices including partial information of the target contents in order of the content queue; And
Determining an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to determine at least one additional target content using user feedback information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and adding the additional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Wherein the predetermined display time is determined based on a type of information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ent slices by the content slice provisioning,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ent groups include a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and a hot topic group designated by the content provider,
Wherein the plurality of object contents include one or mor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and one or mor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hot topic group and contents selected based on the activity history of the user,
Wherein each of the content slices is insert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arget content is a content belonging to the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or a content belonging to the hot topic grou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는 컨텐츠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tent slices
Wherein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further provides information on content group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to the user termin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가, 상기 컨텐츠 그룹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컨텐츠 그룹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 중 선택된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만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tent slices
Wherein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provides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only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a selected content group among the content slices according to a content group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s Of the content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부가,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컨텐츠 슬라이스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대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content slice includes:
Wherein the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arge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slice according to the content slice selection signal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컨텐츠 그룹들에 대한 사용자 친밀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을 결정하고,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대상 컨텐츠들을 추가하는 대상 컨텐츠 결정부;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 대기열의 순서대로 상기 대상 컨텐츠들의 일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slice)들 각각을 소정의 표시 시간에 따라 제공하는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 및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사용자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 대기열에 상기 추가 대상 컨텐츠를 추가하는 추가 대상 컨텐츠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표시 시간은,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에 의해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들의 정보의 유형을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들은,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 및 컨텐츠 제공자가 지정한 핫토픽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대상 컨텐츠들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핫토픽 그룹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기초로 선택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 각각에는, 상기 대상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인지 혹은 상기 핫토픽 그룹에 속하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표시하는 식별 정보가 삽입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A target content deciding unit for deciding a plurality of target content using user familiarity with a plurality of content groups each including at least one content and adding the target content to a content queue;
A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each of content slices including partial information of the target contents in order of the content queue to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splay time; And
And an additional target conten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additional target content using user feedback information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and adding the target content to the content queue,
Wherein the predetermined display time is determined based on a type of information of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ontent slices by the content slice provisioning,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ent groups include a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and a hot topic group designated by the content provider,
Wherein the plurality of object contents include one or mor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and one or mor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hot topic group and contents selected based on the activity history of the user,
Wherein each of the content slices is inserted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target content is a content belonging to the group designated by the user or a content belonging to the hot topic group.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는 컨텐츠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further provides information on content group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to the user termina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 제공부는, 상기 컨텐츠 그룹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컨텐츠 그룹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 중 선택된 컨텐츠 그룹에 상응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들만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표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ent slice providing unit provides a content display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only content slices corresponding to a selected content group among the content slices according to a content group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groups,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slice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슬라이스들에 상응하여 획득된 컨텐츠 슬라이스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컨텐츠 슬라이스에 상응하는 대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슬라이스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제공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conten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targe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slice according to a content slice selection signal obta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lices.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mediu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4 using a computer.
KR1020170015036A 2017-02-02 2017-02-02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content sl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8285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036A KR101828523B1 (en) 2017-02-02 2017-02-02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content sl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036A KR101828523B1 (en) 2017-02-02 2017-02-02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content sl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556 Division 2015-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392A KR20170020392A (en) 2017-02-22
KR101828523B1 true KR101828523B1 (en) 2018-03-29

Family

ID=5831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036A KR101828523B1 (en) 2017-02-02 2017-02-02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content sl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52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551A (en) * 2013-07-19 2015-02-02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Terminal device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66B1 (en) 2007-12-04 2014-07-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of content by using content meta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551A (en) * 2013-07-19 2015-02-02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Terminal device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392A (en)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317B1 (en) Custom optimization of web pages
US9442626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content consumption and sharing through geographic and incentive based virtual networks
US11329942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ssages related to notifications
JP6457358B2 (en) Item recommendation system, item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692500B1 (en) Server for sharing contents,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list,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KR20140113465A (en) Computing system with content-based aler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20049233A (en) Optimizing ads by customization for a target device
US116415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ed content
US104787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313508B2 (en) CONTENT SHA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KR20180044358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play
JP2017207936A (en)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progra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JP7427692B2 (en) Dynamic integration of customized supplemental media content
CN109753612B (en) Questionnair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9877084B2 (en) Tagging and sharing media content clips with dynamic ad insertion
KR102299789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social service and video service
US20170083624A1 (en) Contextual curated content sequence management
KR101972888B1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828523B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using content sl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15022561A (en) Terminal device,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and program
US10609109B1 (en) Delivery of personalized digital content in real time
US9623325B2 (en) Dynamic game generation for delivery of targeted content
KR101684577B1 (en) Method of providing tag-based list of conte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14168829A1 (en) Multi-channel queuing
US202400704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