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34B1 -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134B1
KR101825134B1 KR1020160136759A KR20160136759A KR101825134B1 KR 101825134 B1 KR101825134 B1 KR 101825134B1 KR 1020160136759 A KR1020160136759 A KR 1020160136759A KR 20160136759 A KR20160136759 A KR 20160136759A KR 101825134 B1 KR101825134 B1 KR 10182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rones
information
emotion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태
도영석
신호준
강한별
신현아
바이다스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B64D47/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the lighting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06K9/00221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64C2201/127
    • B64C2201/146
    • B64D2700/621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은 HRV, EEG 및 GRS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감정 변화를 측정하여 감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내부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이상이 판단되는 경우 드론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 관리 서버 및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달 받은 후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드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SYSTEM FOR CRIME PREVENTION OF DRONE USING EMOTION RECOGNITION DEVICE}
본 발명은 드론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려움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드론을 결합한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써,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착용감과 활동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컴퓨팅 기술 및 센싱 기술을 제공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최근에는 시계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심박수 및 감정 변화를 측정하지 못하며,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하지 않으면 정보를 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드론(drone)은 소형 무인항공기(무인기)를 지칭하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드론은 주로 무인 정찰, 전투 지원 등 군사 용도로 활용되었으나, 최근들어 드론(drone)에 복수의 초소형 프로펠러(로터:Rotor)를 이용하여 기체 균형을 유지하고, 카메라 등을 탑재하여 주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최근에는 드론을 이용한 보안 및 관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보안 및 관제 서비스는 건물에 설치된 컨트롤러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위치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지며 신속하지 못하여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058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594428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정인식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측정하고, 감정에 이상이 있는 경우 드론이 이동하여 위치정보와 영상을 보호자와 경찰에게 전달하는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 관리 서버 및 드론을 포함한다.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HRV, EEG 및 GRS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또는 감정 변화를 측정하여 감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내부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이상이 판단되는 경우 드론 관리 서버와 통신한다. 상기 드론은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달 받은 후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HRV, EEG 및 GRS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한 감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통신모듈은 SIM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IM CARD는 직접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상기 드론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드론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앱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 목적지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센서, 피의자로 추정되는 사람의 모션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험을 판단하는 모션 인식 센서 및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번호 인식센서를 포함하는 영상 인식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은 상기 해당위치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한 후, 경찰서버로 상기 영상 및 신고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은 상기 해당위치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한 후, 보호자 모바일 기기에 상기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은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센서 및 상기 마이크로파를 분석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충돌 방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론은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는 배터리 감지센서, 상기 드론의 비행여부를 판단하여 프로펠러를 동작시키는 비행통제 모듈, 사이렌을 통해 즉각적인 경고를 하는 사이렌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를 추적하는 라이트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HRV, EEG, GRS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세밀한 감정 변화 측정이 가능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센서들을 모두 부착함으로써 거추장스럽지 않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SIM CARD를 내장하여WIFI 신호가 없거나 스마트폰과 연동하지 않아도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감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고성능 영상인식 센서를 부착하여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영상 전송이 가능하고, 범죄자로 의심되는 사람의 모션을 인식하거나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드론의 사이렌 출력기능을 통해 경찰이 출동하기 전에도 피해자는 보호받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을 느낄 수 있고 범죄자는 심리적 압박을 받을 수 있으며, 드론에 탑재된 라이트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감정측정(웨어러블) 디바이스, 서버 및 드론의 유기적인 통신으로 사용자의 개입이 최소화되어서 위급한 상황에 있더라도 사용자의 위험을 쉽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나타나므로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찰의 미숙한 초동 대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묻지마 범죄, 보복 범죄 등 강력범죄들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전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드론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드론에 부착된 영상 인식센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드론에 부착된 충돌 방지 센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드론 방범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드론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방범 시스템(1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드론 방범 시스템(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드론(200), 사용자 관리 서버(400) 및 드론 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HRV 센서(110), EEG 센서(120) 및 GRS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및 감정 변화를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감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생성한다.
상기 HRV 센서(110)는 심박변이도(HRV:heart rate variability)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심박변이도는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당 평균 심박수와 다르게 RR간격 사이의 변화 추이를 정량화한 것으로서, 심전도신호에서 상기 RR간격을 시계열 신호로 변환하여 시간축에 재배열한 신호이다. 심전도신호에서 상기 RR간격은 매우 규칙적으로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정량적인 수치로 간격을 조사해 보면, 매 박동시마다 조금씩 달라진다. 5분 동안 측정한 심전도신호에서 상기 RR간격의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면, 일정 범위내에서 조금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무작위적인 진동형태로 보인다. 상기 RR간격의 미세한 변화패턴은 스트레스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율신경계(교감과 부교감신경계)의 활동양상에 많이 의존하므로, 상기 RR간격 변화패턴은 기본적인 자율신경 이상검사 이외에 스트레스 검사시에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HRV 센서(110)를 통해 상기 PR 간격 변화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변화를 유동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상기 심박변이도를 통해 심박수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EEG 센서(120)는 상기 뇌로부터 발생하는 뇌파를 아날로그 형태로 검출하고, 좌우측 안구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EEG 센서(120)는 상기 사용자가 발작을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이고, 과도하거나 또는 동기식 신경 활동을 보여주며, 상기 사용자에 이상 징후의 발생여부를 평가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GRS 센서(130)는 전류피부저항반응 센서일 수 있다. GRS 센서(130)는 EDR(Electrodermal response) 센서, PGR (psycho galvanic reflex) 센서, SCR(skin conductance response)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GRS 센서(130)는 저항계를 포함하고, 피부 위의 두 점 사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RS 센서(1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인체에 착용된 경우 인체의 피부에 미리 정해진 소량의 전류를 흘려보낸 후 피부 위의 두 점 사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여 피부 저항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측정된 상기 전기 전도도는 상기 GRS 센서(130)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체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 입력된 피부 저항 값과 다른 피부 저항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GRS 센서(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피부 정항 값의 변화를 추이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기 HRV 센서(110), EEG 센서(120) 및 GRS 센서(130) 외에도, 본 실시예에서 센싱부(미도시)를 구성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 사용자 접촉 유무 정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방위 및 고도 정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회전 및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정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속도/가속도/감속 정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외부의 온도/습도/광도 정보, 주변 기기 연결 감지 정보-예를 들면, 이어폰 연결 및 제거 정보, 주변 소리 정보, 외부 통신 기기와의 연결 정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배터리 잔량 정보, 무선 충전을 위한 송신기 신호-예를 들면, 비콘 신호, 자기 유도 신호, 공진 주파수 신호 등을 포함함- 감지 정보 등과 같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외부의 현재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센싱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모듈 및 사용자의 맥파, 체온, 혈압, 심박수 등을 감지하여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정보 수집 센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GPS 수신 모듈(140)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GPS 수신 모듈(140)은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위험 상황을 감지한 경우, 즉, 상기 사용자의 감정변화를 측정한 경우, GPS 수신 모듈(140)을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소정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드론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론은 실시간 촬영된 영상과 함께 수신된 위치 정보를 미리 지정된 단말(보호자 스마트폰), 경찰 서버 또는 관공서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및 시민의 안전 및 재난 구조를 담당하는 관청-예를 들면, 119 소방대, 경찰서, 해경, 중앙 안전 대책 본부 등을 포함함-은 위험 상황 발생 사실 및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내부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내부 통신 모듈은SIM CARD(170)를 포함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드론(20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SIM CARD(170)는 이동 통신 모듈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이동 통신망(30)에 접속하거나 드론(2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와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드론(200)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와 통신 채널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드론(200)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제어 신호를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와 이동 통신망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를 통해 이동 통신망(30)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이동 통신망(30)으로의 직접 통신에 필요한 이동 통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이동 통신망(30)으로의 직접적인 통신은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는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수신된 정보 및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전달하거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이동 통신망(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모바일 기기(300)에 안심귀가 앱을 통해 목적지가 입력되는 경우, 앱 관리 서버(700)는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400) 및 상기 드론 관리 서버(500)와 통신한다. 상기 드론 관리 서버(500)는 인근의 상기 드론(200)에 목적지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드론(200)은 사용자에게 도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방범 시스템(10)은 안심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드론(200)은 장착한 라이트 출력부(218)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메모리부(150)를 구비하여, 상기 메모리(150)부에 상기 HRV 센서(110), EEG 센서(120) 및 GRS 센서(130)에서 측정한 감정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기 드론(200)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리모콘 앱이 탑재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외부 입력 키 등을 통해 해당 리모콘 앱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는 리모콘 앱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200)의 동작을 On/Off 시키거나, 상기 드론(200)의 비행 모드를 설정하거나, 상기 드론(200)의 영상 촬영 주기를 설정하거나, 위험 발생 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단말 및 관제 센터의 접속 정보를 설정하는 등의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관리 서버(40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이상이 판단되는 경우 드론 관리 서버와 통신한다.
상기 드론 관리 서버(500)로부터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달 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드론(200)은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 즉 상기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드론(200)은 카메라(222) 및 상기 카메라(222)에 부착된 영상인식센서(2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및 주변상황을 촬영한다. 동시에, 상기 드론(200)은 사이렌 출력부(220)를 통해 사이렌을 발생시켜 상기 사용자를 위협하는 피의자에게 즉각적인 경고를 주고 심리적 압박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게는 보호받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인식센서(230)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센서(232), 피의자로 추정되는 사람의 모션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험을 판단하는 모션 인식 센서(236) 및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번호 인식센서(234)를 포함한다.
이 후, 상기 드론(200)은 상기 드론 관리 서버(500)를 통해 촬영한 영상과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 및 경찰 서버(600)에 전송한다.
그리하여 보호자가 상기 보호자 모바일 기기(310)를 통해 영상을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가 위험한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경찰 서버(600)에 신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찰 서버(600)에서 상기 드론 관리 서버(500)에서 전송한 영상을 확인한 후 경찰(610)을 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센서(252) 및 상기 마이크로파를 분석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모듈(254)을 포함하는 충돌 방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파 센서(252)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발생하고, 상기 거리측정 모듈(254)은 상기 반사되어 온 마이크로파를 분석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드론(200)은 배터리(210)의 잔량을 체크하는 배터리 감지센서(20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210)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인근 지상기지국의 무선 충전 장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200)은 비행통제 모듈(214)을 통해 상기 드론(200)의 비행여부를 판단하여 프로펠러(216)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드론 방범 시스템(10)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HRV 센서(110), EEG 센서(120), GRS 센서(1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세밀한 감정 변화 측정이 가능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상기 센서들을 모두 부착함으로써 거추장스럽지 않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SIM CARD(170)를 내장하여WIFI 신호가 없거나 스마트폰과 연동하지 않아도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감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CPU(160)가 내장되며, 상기 CPU(160)는 상기 SIM CARD(170) 및 상기 메모리부(150)를 총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고성능 영상인식 센서(230)를 부착하여 보호자에게 실시간으로 영상 전송이 가능하고, 범죄자로 의심되는 사람의 모션을 인식하거나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드론(200)의 사이렌 출력부(220)를 통해 경찰이 출동하기 전에도 피해자는 보호받고 있다는 심리적 안정을 느낄 수 있고 범죄자는 심리적 압박을 받을 수 있으며, 드론에 탑재된 라이트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서버 및 드론(200)의 유기적인 통신으로 사용자의 개입이 최소화되어서 위급한 상황에 있더라도 사용자의 위험을 쉽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가 정확하게 나타나므로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찰의 미숙한 초동 대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묻지마 범죄, 보복 범죄 등 강력범죄들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전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 이동통신망 50 : 인터넷망
1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200: 드론
300 : 사용자 모바일 기기 310 : 보호자 모바일 기기
400 : 사용자 관리 서버 500 : 드론 관리 서버
600 : 경찰 서버 700 : 앱 관리 서버

Claims (11)

  1. 장착된 HRV, EEG 및 GRS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변이도, 좌우측 안구의 움직임, 피부 저항 값을 감지 및 측정하여 감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확인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내부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이상이 판단되는 경우 드론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의 감정이상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감정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를 전달 받은 후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드론을 포함하되,
    사용자 모바일 기기에 목적지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드론 관리 서버는 인근의 상기 드론에 목적지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드론은 사용자에게 도착하여 안심 귀가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드론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센서;
    피의자로 추정되는 사람의 모션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험을 판단하는 모션 인식 센서;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번호 인식센서; 및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파 센서 및 반사된 상기 마이크로파를 분석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충돌 방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방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HRV, EEG 및 GRS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측정한 감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방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통신모듈은 SIM CAR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방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IM CARD는 직접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거나 상기 드론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방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 및 보호자 모바일 기기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드론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방범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한 후, 경찰서버로 상기 영상 및 신고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방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한 후, 보호자 모바일 기기에 상기 영상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방범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는 배터리 감지센서;
    상기 드론의 비행여부를 판단하여 프로펠러를 동작시키는 비행통제 모듈;
    사이렌을 통해 즉각적인 경고를 하는 사이렌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를 추적하는 라이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방범 시스템.
KR1020160136759A 2016-10-20 2016-10-20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KR10182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759A KR101825134B1 (ko) 2016-10-20 2016-10-20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759A KR101825134B1 (ko) 2016-10-20 2016-10-20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134B1 true KR101825134B1 (ko) 2018-02-02

Family

ID=6122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759A KR101825134B1 (ko) 2016-10-20 2016-10-20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1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1554A (ja) * 2018-05-02 2020-11-05 株式会社センシンロボティクス 無人飛行体の予約管理装置
KR102617115B1 (ko) 2023-06-12 2023-12-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표현 시스템 및 감정 표현 방법
KR102650224B1 (ko) 2023-06-05 2024-03-2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전달 시스템 및 감정 전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81554A (ja) * 2018-05-02 2020-11-05 株式会社センシンロボティクス 無人飛行体の予約管理装置
JP2020181553A (ja) * 2018-05-02 2020-11-05 株式会社センシンロボティクス 無人飛行体の予約管理装置
JP2020181583A (ja) * 2018-05-02 2020-11-05 株式会社センシンロボティクス 無人飛行体の予約管理装置
JP6810488B1 (ja) * 2018-05-02 2021-01-06 株式会社センシンロボティクス 無人飛行体の予約管理装置
KR102650224B1 (ko) 2023-06-05 2024-03-2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전달 시스템 및 감정 전달 방법
KR102617115B1 (ko) 2023-06-12 2023-12-2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정 표현 시스템 및 감정 표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675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emergency dispatch and diagnostics data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96743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EP37108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US10667571B2 (en) Condition responsive indication assembly and method
US20190228633A1 (en) Fall Warning For A User
KR101825134B1 (ko) 감정측정 디바이스를 활용한 드론 방범 시스템
KR101609914B1 (ko) 물리적충격 및 심리적충격에 대응한 긴급상황감지방법과 이를 이용한 긴급상황감지장치
US10085683B1 (en) Vehicle fatigue monitoring system
KR101879494B1 (ko) 사용자의 심적 안정도를 모니터링하는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748030B1 (ko) 사용자 안전 확보를 위한 드론 운용 방법
US20170361795A1 (en) Method of assistance to at least one occupant of an accident affected vehicle and dedicated assistance system
US201703304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ident notification
KR20180054384A (ko) 위급환자 발생 감지용 스마트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급환자정보 제공방법
US20200105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arable monitor with activity monitoring, fall detection and delegate notification
CN113205661A (zh) 一种反欺凌实现方法、系统、智能穿戴设备和存储介质
CN114469024B (zh) 一种基于智能手环的建筑工人安全预警方法和系统
US20210177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ching and processing sensor data locally
US10417898B1 (en) Locating and signal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10049561B2 (en) Distress signal device
KR20100104183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군대 경계 근무자 감시 시스템
KR20160028542A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37406B1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0772B1 (ko) 시계형 스마트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56982A (ko)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센서 신발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활동성 모니터링 방법
KR102553745B1 (ko) 음성멘트를 이용한 긴급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