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967B1 -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967B1
KR101824967B1 KR1020160102717A KR20160102717A KR101824967B1 KR 101824967 B1 KR101824967 B1 KR 101824967B1 KR 1020160102717 A KR1020160102717 A KR 1020160102717A KR 20160102717 A KR20160102717 A KR 20160102717A KR 101824967 B1 KR101824967 B1 KR 101824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urch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1886A (en
Inventor
윤여리
김대현
이상희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967B1/en
Publication of KR2016010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9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컨텐츠제공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턴츠제공시스템은 컨텐츠의 구매를 위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와;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상기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대응하는 이용권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s providing system, a contents providing method,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content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for contents purchase;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storing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second content based on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first content; And a display device for transmitting usage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first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receiving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ccordingly, the displa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can be used in the display device, thereby making it convenient for the user.

Description

컨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컨텐츠제공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a content providing method thereof,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컨텐츠제공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컨텐츠제공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a content providing method, a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content to a display apparatus, .

모바일단말기는 전화 기능 뿐만 아니라, 게임, 뉴스, 날씨등의 생활정보, 음악, 만화등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는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구매할 수 있다. 모바일단말기는 PC 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provides not only a telephone function but also various contents such as life information such as game, news, weather, music, and comics, and such contents can be purchased from a contents providing server. The mobile terminal can access various servers through a network like a PC, and can freely purchase contents desired by the user.

TV의 경우도, 방송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TV는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TV, not only broadcasting, but also multimedia function is provided,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content providing server through a network. The TV receives various contents from the contents providing server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the information.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매하여 이용하는 경우, 동일한 컨텐츠를 TV 에서도 이용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TV를 통하여 다시 컨텐츠를 구매해야 되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고, 이중으로 비용을 지불해야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When a user purchases and uses content using a mobile terminal, it is often desired to use the same content on a TV. In such a case, the user has to purchase the contents again through the TV,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and a problem that the user has to pay a fe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등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용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제공시스템 및 그 컨텐츠제공방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provide display content corresponding to content purchased by a user using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terminal to a display device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텐츠의 구매를 위한 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와;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상기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대응하는 이용권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user terminal for purchasing contents; A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storing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second content based on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first content; And a display device for transmitting usage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first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receiving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have.

여기서, 컨텐츠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상기 제1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컨텐츠제공서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2컨텐츠를 제공하는 제2컨텐츠제공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include: a first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firs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nd a second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second content to the display device.

또한, 제1 컨텐츠제공서버는 상기 구매된 제1 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제공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컨텐츠제공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이용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와 상기 이용권한 정보의 대응여부에 따라 상기 제2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first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provid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first content to the second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second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receive the use right information from the display device, The second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whether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usage right information correspond to each other.

또한, 컨텐츠제공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접속시 상기 제1컨텐츠의 구매가 있었음을 알려주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용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notify that the first content has been purchased when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and may provide the second content in response to acceptance of the display device.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상기 제2컨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권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 apparatus can request the second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receive the second content, and transmit the use righ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user.

또한, 제2 컨텐츠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용 컨텐츠일 수 있다.The second content may be content for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또한, 구매내역정보는 상기 제1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권한정보는 상기 제1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제2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는 상기 제1식별정보와 상기 제2식별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제2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nclude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purchased the first content, the usage right information includes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purchased the first content,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second content can be provided 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e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기초하여 제2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상기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대응하는 이용권한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제2컨텐츠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for storing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for providing the second content based on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first content;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usage righ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first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and receiving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권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use righ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user.

또한,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제공서버에 상기 제2컨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request the second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o receive the second conten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구매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제공서버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중복 지불하지 않고 간편하게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an provid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to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ay for the content, Lt; / RTI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1 illustrates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system.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ent related information in a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constitut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constitut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V(10), 모바일단말기(13), 컨텐츠제공서버(12)는 인터넷(14)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11)은 PDA(미도시), PC(미도시) 같은 전자장치도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1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는 TV(10)를 일예로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TV 10, the mobile terminal 13,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an be connected using the Internet 14. Here,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not shown) and a PC (not shown), and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0 constituting the TV 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컨텐츠제공서버(12)는 다양한 컨텐츠를 판매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만화, 게임, 캐릭터, 위젯으로 제공되는 날씨, 증권, 시계, 뉴스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단말기(13)를 이용하여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접속한 후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접속한 후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확인 후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별도의 사용자 확인 없이 컨텐츠를 구매하고, 온라인 결재 방식으로 컨텐츠를 구매할 수도 있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an sell various contents. Here, the content may be weather, securities, clock, news, etc., which are provided as comics, games, characters, and widgets. The user can purchase content after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using the mobile terminal 13. [ After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e user can purchase the content after confirming the user by inputting the ID and the password, purchase the content without checking another user, and purchase the content by the online settlement method.

또한, 컨텐츠제공서버(12)는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13)에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이하, '제1컨텐츠' 라 한다.)를 구매하는 경우, 제1컨텐츠에 대응하는 TV(1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이하, '제2컨텐츠' 라 한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urchases a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content')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13,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TV 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ntent ") to the user.

한편, 컨텐츠제공서버(12)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이름, 아이디, 비밀번호, 사용자의 모바일단말기(13) 및 TV(10)의 시리얼번호등에 관한 사항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13)를 이용하여 제1컨텐츠를 구매한 경우 컨텐츠제공서버(12)는 구매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구매내역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 컨텐츠 종류, 구매일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may store user related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That is, it can store items such as a user name, an ID, a password, a serial number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13 and the TV 10, and the like. Accordingly, when the user purchases the first content using the mobile terminal 13,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store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first content. Here,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r ID and a password, a content type, a purchase date and the like.

또한, 컨텐츠제공서버(12)는 다수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컨텐츠제공서버(12)를 찾아 접속할 수 있고, 컨텐츠제공서버(12)를 관리하는 통합 서버를 통하여 접속할 수도 있다. TV(10) 또는 모바일단말기(13)가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접속하는 경우, 컨텐츠제공서버(12)는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확인 후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TV(10) 또는 모바일단말기(13)의 시리얼 번호를 이용하여 접속을 허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an be operated in a large number.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and acces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rough the integration server manag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When the TV 10 or the mobile terminal 13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may allow the user to access after confirming the user using the user ID and the password.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may be permitted using the serial number of the TV 10 or the mobile terminal 13.

컨텐츠제공서버(12)는 사용자가 TV(10)를 이용하여 제2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즉, 저장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에 포함된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TV(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비교한다.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이용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2컨텐츠를 TV(10)에 전송한다.When the user requests the second content using the TV 1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onfirms whether the user has the right to use the second content. That is, the user ID and password included in the purchase history of the stored first content are compared with the user ID and password input from the TV 10. If the ID and the password coincide with each other,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the right to use and the secon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TV 10.

여기서, TV(10)가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접속시,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에는 컨텐츠제공서버(12)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확인한 뒤, 제2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TV(10)가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접속시 TV(10)의 시리얼번호만 확인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2컨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컨텐츠제공서버(12)는 사용자에게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정보를 요청한다. TV(10)로부터 사용자의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정보가 전송되면, 사용자가 제2 컨텐츠의 이용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이용권한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다.Here, when the TV 10 inputs a user ID and a password when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hecks whether the ID and the password match with each other and then provides the second content have. However, when the TV 10 checks only the serial number of the TV 10 when accessing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if the user requests the second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ransmits the second content Request authorization information. When the usage right information of the user's second content is transmitted from the TV 1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the right to use the second content. Here, the usage right information includes a user ID and a password.

한편, 컨텐츠제공서버(12)는 사용자가 제1 컨텐츠를 구매한 경우, 사용자가 먼저 제2 컨텐츠를 요청하지 않아도, 제2컨텐츠를 TV(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컨텐츠제공서버(12)에 TV(10)가 접속하면, 컨텐츠제공서버(12)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포함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일치하는 경우, 컨텐츠제공서버(12)는 사용자에게 제1 컨텐츠의 구매사실을 알려주고, 구매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2컨텐츠의 다운로드 수용여부를 묻는다. 사용자가 수용하면, 제2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때, 다운로드의 수용여부를 묻기위해, 제2컨텐츠 관련 정보를 TV(10)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제2컨텐츠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알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컨텐츠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소리, 문자 캐릭터 등의 알림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rchases the first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an transmit the second content to the TV 10 even if the user does not request the second content first. That is, when the TV 10 is connected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hecks whether the ID and password input by the user are identical to the ID and password included in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 If they matc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notifies the user of the purchase of the first content and asks whether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d content can be downloaded. If the user accepts, the second content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second content relate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V 10 so as to inquire whether or not the download is permitt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know what content the second content contains. In addi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sound and character characters can be transmitted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content-related information.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컨텐츠제공서버(12)를 컨텐츠판매서버(미도시)와 컨텐츠제공서버(미도시)로 분리할 수 있다. 컨텐츠판매서버는 모바일단말기(13)등에 컨텐츠를 판매하는 서버이며, 컨텐츠제공서버는 TV(1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13)를 이용하여 컨텐츠판매서버로부터 제1컨텐츠를 구매하면, 컨텐츠판매서버는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을 컨텐츠제공서버에 제공한다. 여기서 구매내역은 사용자 아이디, 비밀번호, 컨텐츠 구매일시, 제2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TV(10)가 컨텐츠제공서버에 접속하면, 컨텐츠제공서버는 TV(10)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2컨텐츠 이용권한을 확인한다. 이용권한이 있는 경우, 컨텐츠제공서버 는 TV(10)에 제2컨텐츠를 제공한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an be separated into a content selling server (not shown) and a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The content sales server is a server for selling contents such as the mobile terminal 13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is a server for providing contents to the TV 10. [ When the user purchases the first content from the content sales server using the mobile terminal 13, the content sales server provides the purchase history of the first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Here, the purchase history may include a user ID, a password, a content purchase date and time, and a second content. When the TV 10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confirms the second content access right of the user using the ID and password of the user of the TV 10. If the user has the authority to use the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es the second content to the TV 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1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신호수신부(140), 신호처리부(105), 디스플레이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50) 및 사용자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10 constitut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140, a signal processing unit 105, a display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50, and a user input unit 130, . ≪ / RTI >

신호수신부(14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40)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DTV신호, 케이블방송신호 등과 같은 방송신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신호수신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신호수신부(140)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DVD, BD 등과 같은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receiving unit 140 receives a video signal from the outside. The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40 includes a broadcast signal such as a DTV signal, a cable broadcast signal,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signal receiver 140 tunes and receives a broadcast signal of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 Also, the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40 may include a signal output from a video device such as a DVD, a BD, or the like.

신호처리부(105)는 신호수신부(140)에 의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신호처리부(105)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처리는, 영상신호에 관한 디코딩, 이미지 인핸싱, 스케일링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05)는 컨텐츠제공서버(12)로부터 제2컨텐츠를 수신받은 경우, 수신받은 제2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05 receives a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40 and performs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so that an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0. [ The signal processing perform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05 includes decoding, image enhancement, scaling, and the like regarding the video signal. When receiving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e signal processing unit 105 processes the received second content so that the second content can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10)는 신호처리부(105)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신호처리부(105)에 의해 처리된 제2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05. Also,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the second content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05.

통신부(150)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제공서버(12)와 통신을 수행하며, TCP/IP 기반으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며,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정보를 전달하거나, 컨텐츠제공서버(12)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정보를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전달하며, 컨텐츠제공서버(12)로부터 제2컨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2컨텐츠에 대한 이용권한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communicates wit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s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TCP / IP. The communication unit 150 performs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or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transmit the usage right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inputt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and may receive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Here, the usage right information for the second content may be the user's ID and password.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원격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리모컨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의 본체(도시 안됨)에 마련되는 조작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은 제어부(120)에 전달된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for receiving a user input.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that enables remote operation or an operation panel provided on a main body (not shown) of the display apparatus 10. The input of the user received by the user input unit 13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

제어부(120)는 신호처리부(105)등 디스플레이장치(10)의 다른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정보를 입력하면, 통신부(150)를 통해 컨텐츠제공서버(12)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며, 컨텐츠제공서버(12)로부터 수신받은 제2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such as the signal processing unit 105, in general. When the user inputs the usage right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the control unit 120 cau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o transmit the usage right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1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컨텐츠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displaying content related information in the display device 10 constituting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는 인터넷등을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모드에 진입하면, 날씨, 증권, 뉴스 및 부동산 같은 기본 구성(310)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뉴스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뉴스를 볼 수 있도록 뉴스서버(미도시)로부터 뉴스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뉴스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통신부(150)를 통하여 컨텐츠제공서버(12)로부터 제2컨텐츠관련정보(300)가 수신되면, 제어부(120)는 제2컨텐츠관련정보(300)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제2컨텐츠관련정보(300)에 포함된 알림정보도 실행되어, 알림 소리가 출력되거나, 캐릭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컨텐츠관련정보(300)를 보고, 제2컨텐츠의 전송을 수용하면, 컨텐츠제공서버(12)는 제2컨텐츠를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nters an Internet mode in which the Internet can be used, a basic configuration 310 such as weather, security, news, and real estate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news, the controller 120 receives the news information from the news server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news, and displays the news. When the second content related information 300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second content related information 300.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content related information 300 is also executed, and a sound of the notification may be output or a character may be displayed. When the user views the second content related information 300 and accepts the transmission of the second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ransmits the second cont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1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displaying contents in a display device 10 constituting a content providing system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컨텐츠제공서버(12)로부터 제2컨텐츠를 수신받으면, 제어부(120)는 수신받은 제2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Upon receipt of the secon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he controller 120 displays the received second content.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에 제공된 제2컨텐츠는 시계 위젯(400) 또는 날씨 및 온도 위젯(410)을 예로 든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원하는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화면에는 영상(420)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2컨텐츠(400 및 410)를 실행하면, 화면에는 시계 위젯(400), 날씨 및 온도 위젯(410)이 영상(420)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위젯형 컨텐츠(400 및 410)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가에게 시간, 온도등을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송을 보면서도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content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lock widget 400 or a weather and temperature widget 410. When a user views a desired broadcast on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video 420 is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when the user executes the second contents 400 and 410, the clock widget 400, the weather and the temperature widget 410 ar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mage 420 on the screen. The widget-type contents 400 and 410 can receive data in real time and display the time, temperature, etc. to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real time while viewing the broadcas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모바일단말기(13)를 이용하여 컨텐츠제공서버(12)에서 제1컨텐츠를 구매하면, 컨텐츠제공서버(12)는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를 저장한다(500). 이후, 사용자가 TV(10)를 이용하여 제2컨텐츠를 요청하면, 컨텐츠제공서버(12)는 TV(10) 사용자가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이 있는지 확인하기위해, 사용자에게 제2컨텐츠에 대한 이용권한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510).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when the user purchases the first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using the mobile terminal 13,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stores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500) . Thereafter, when the user requests the second content using the TV 1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ransmits the second content to the user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user of the TV 10 has the right to use the second content And transmits the usage right information (510).

사용자가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정보를 전송하면, 컨텐츠제공서버(12)는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이용권한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520의 YES) 제2컨텐츠를 TV(10)에 전송한다(530).When the user transmits the usage right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compare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with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right information, YES), the second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TV 10 (5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텐츠제공시스템(1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 constituting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1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제2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접속한다(600). 접속 후, 컨텐츠제공서버(12) 에서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사용자의 이용권한정보를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전송하도록 한다(610). 전송 후, 컨텐츠제공서버(12)에 저장된 제1컨텐츠의 구매내역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제2컨텐츠의 이용권한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일치하면(620의 YES) 제어부(120)는 컨텐츠제공서버(12)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es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for displaying the second content (600). After the connection, whe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requests the use right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the controller 120 cau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to transmit the user right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610) . After the transmission, if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match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age right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input by the user (YES at 620)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0 receives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12 and displays the received content.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and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5: 신호처리부 110:디스플레이부
120: 제어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신호수신부 150: 통신부
105: signal processor 110:
120: control unit 130: user input unit
140: signal receiving unit 150:

Claims (18)

컨텐츠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구매하는 모바일단말기와;
상기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구매한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내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구매내역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구매한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와 동일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2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식별정보의 전송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식별정보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의 구매사실을 알림과 함께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의 수신여부를 묻는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
A content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 mobile terminal for purchasing at least one content;
A server for receiving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purchased the content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user that is the same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purchased the content to the server, The mobile terminal notifies the purchaser of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of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for inquiring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erver based on user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인터넷 서비스 진입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rver when an Internet service is ent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구매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er stores content purchas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rver provides the stor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컨텐츠의 수신을 수락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제2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rver provides the stor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accepts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컨텐츠제공방법에 있어서,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구매하는 단계와;
서버에 의해,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내역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구매한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와 동일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2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식별정보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제2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식별정보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의 구매사실을 알림과 함께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의 수신여부를 묻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제공방법.
A content providing method comprising:
Purchasing at least one content via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nd storing, by the server,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who has purchased the conten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display devic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same user a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purchased the content to the server;
Upon recep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notifies the server of the fact of purchase of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by the user of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to the display device information inquiring whether to receive the purchased content;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by the display device;
And receiving, by the display device, content purchas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erver based on a user inpu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인터넷 서비스 진입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컨텐츠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o the server when an Internet service is enter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구매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rver stores content purchas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2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rver provides the stor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컨텐츠의 수신을 수락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제2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rver provides the stored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accepts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구매한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내역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구매한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와 동일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2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식별정보의 전송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식별정보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의 구매사실을 알림과 함께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의 수신여부를 묻는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that stores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purchased the content;
A display unit;
And transmits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user identical to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purchased the content to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server notifies the server of the purchase of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mobile terminal by the user of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mobile terminal is received And receives a content purchas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erver based on user inpu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터넷 서비스 진입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nects to the server when an Internet service is ente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를 구매한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구매내역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구매한 모바일단말기의 사용자의 제1식별정보와 동일한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2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식별정보의 전송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식별정보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의 구매사실을 알림과 함께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의 수신여부를 묻는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모바일단말기가 구매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Communicating with a server storing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purchased the content;
Transmitting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user identical to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has purchased the content to the server;
Wherein the server notifies the server of the purchase of the content purchased by the user by the user of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o receive the content;
And receiving content purchas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erver based on user input.
제15항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 진입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accessing the server when an Internet service is ente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2717A 2016-08-12 2016-08-12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249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17A KR101824967B1 (en) 2016-08-12 2016-08-12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17A KR101824967B1 (en) 2016-08-12 2016-08-12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538A Division KR101651283B1 (en) 2009-11-13 2009-11-13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886A KR20160101886A (en) 2016-08-26
KR101824967B1 true KR101824967B1 (en) 2018-02-05

Family

ID=5688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717A KR101824967B1 (en) 2016-08-12 2016-08-12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96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184A (en) * 2004-02-04 2005-08-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roviding device, content provid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its program
WO2009088611A2 (en) * 2008-01-10 2009-07-16 Microsoft Corporation Federated entertainment access ser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2184A (en) * 2004-02-04 2005-08-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ntent providing method, content providing device, content provid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its program
WO2009088611A2 (en) * 2008-01-10 2009-07-16 Microsoft Corporation Federated entertainment access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886A (en)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283B1 (en)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443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a mobile device to an output device
US91070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a mobile device to an output device
JP63679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user equipment devices with content consuming materials
US105950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irecting an IPTV device
US20190057378A1 (en) Accelerating Profile Creation
US83870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unauthorized use of a user equipment device
US201901100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sentation of remotely sourced content
US92586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video content
KR101824967B1 (en) Contents supply system and contents suppl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504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ctivity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20009975A1 (en)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Electronic Apparatus Associating System and Portable Terminal-Electronic Apparatus Associating Method
KR101724237B1 (en) Method for providing delivery status at home shopping data broadcasting
KR101988795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of home shopping data broadcasting by using My Page area
KR101245859B1 (en) Home shopping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home shopping service method
JP5856445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server, and program
KR2009009317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PTV Service Through View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Using RFID Tag and Data
JP2006304044A (en) Server and system for merchandise sale
KR20040084505A (en) Home-Shopping System through Satellite and Internet Communication
US20090254938A1 (en) Direct marketing on television over internet
KR20040097476A (en) 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goods on demand
KR20060115064A (en) Goods purchasing system using moving picture terminal
KR20160085024A (en) Mobile online product purchasing system using brodcasting voice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