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496B1 -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496B1
KR101823496B1 KR1020160106397A KR20160106397A KR101823496B1 KR 101823496 B1 KR101823496 B1 KR 101823496B1 KR 1020160106397 A KR1020160106397 A KR 1020160106397A KR 20160106397 A KR20160106397 A KR 20160106397A KR 101823496 B1 KR101823496 B1 KR 10182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oltage
band
electrode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태
정재효
신시호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496B1/ko
Priority to US15/364,326 priority patent/US1024496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A61B5/4878Evaluating oede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61B2562/0214Capacitiv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61B5/0533Measuring galvanic skin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rmat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와, 한 쌍의 전류 전극과 한 쌍의 전압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 모듈과, 한 쌍의 전류 전극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고 한 쌍의 전압 전극을 통해 측정되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인체의 부종 지수를 구하는 메인 모듈을 포함하며, 한 쌍의 전류 전극과 한 쌍의 전압 전극은,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밴드의 일면에 일렬로 부착되고 밴드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밴드의 착용시 손목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EDEMA INDEX AND METHOD OF MEASURING EDEMA INDEX USING THEREOF}
본 출원은,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미래창조과학부 및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의 정보통신기술인력양성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과제관리번호: 1711035203(R0992-16-1021), 과제명: Wearable 디바이스용 에너지 하베스팅 및 무선 전력 전송 기술 개발]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최근 의학 발달 및 평균 수명의 연장과 함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기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헬스 케어 장치의 일종인 체성분 측정기는, 생체 전기 저항 분석법(Bio 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을 이용하여 체성분을 측정한다. 생체 전기 저항 분석법에 의하면, 인체를 임피던스의 조합으로 간주하여 인체에 전류를 흘러보내고 전류에 의한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인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며, 측정된 임피던스로부터 인체를 구성하는 수분, 단백질, 뼈 및 지방 등의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 헬스 케어 장치는 체성분과 같이 간단한 생체 정보만을 측정할 수 있을 뿐, 부종 지수와 같은 특정 지수를 측정할 수 없다. 체수분에는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이 있는데 전체 체 수분중에 세포외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부종지수'라 한다. 부종은 세포 내외의 수분의 불균형상태로, 노화에 의한 영양부족, 저 근육형 비만, 질환에 의한 수분 불균형, 일시적인 피로 및 붓기가 있는 경우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헬스 케어 장치는, 그 자체의 부피가 상당히 크고 무거워 휴대용으로 간편하게 부종 지수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기술로는,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4792호(“고객맞춤형 체성분분석장치 및 그 방법”, 공개일: 2006년10월09일)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104792호(“고객맞춤형 체성분분석장치 및 그 방법”, 공개일: 2006년10월09일)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손쉽게 부종 지수를 측정할 수 있는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 한 쌍의 전류 전극과 한 쌍의 전압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전류 전극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한 쌍의 전압 전극을 통해 측정되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인체의 부종 지수를 구하는 메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압 전극은,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의 일면에 일렬로 부착되고 상기 밴드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밴드의 착용시 상기 손목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모듈은,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17100121984-pat00010

에 따라 부종 지수를 구하며, EI는 부종 지수, ECW는 체외 세포 수분량, TBW는 인체 총 수분량, ht는 사용자의 키, Rf은 특정 주파수(KHz)에서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저항, XCf는 특정 주파수(KHz)에서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용량성 리액턴스, wt는 체중, sex는 성별로 남자는 1, 여자는 0인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와, 한 쌍의 전류 전극과 한 쌍의 전압 전극으로 구성되어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의 일면에 일렬로 부착되고 상기 밴드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밴드의 착용시 상기 손목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전극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중, 성별,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전류 전극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전압 전극을 통해 교류 전압을 측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부종 지수를 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17100121984-pat00011

에 따라 부종 지수를 구하며, EI는 부종 지수, ECW는 체외 세포 수분량, TBW는 인체 총 수분량, ht는 사용자의 키, Rf은 특정 주파수(KHz)에서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저항, XCf는 특정 주파수(KHz)에서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용량성 리액턴스, wt는 체중, sex는 성별로 남자는 1, 여자는 0인 부종 지수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손쉽게 부종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모듈의 구성도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종 지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로, (a)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b)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도전성 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 모듈의 구성도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손목에 착용 가능한 형태의 밴드(110)와, 밴드(110)의 착용시 손목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전극 모듈(120)과, 전극 모듈(120)을 통해 인체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고, 전극 모듈(120)을 통해 측정된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부종 지수를 구하는 메인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110)는 인체의 손목(10)에 착용 가능하도록 잘 휘어질 수 있는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일정 두께 및 일정 길이를 가진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밴드(110)의 일면에는 전극 모듈(120)이 부착될 수 있다. 전극 모듈(120)은 교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한 쌍의 전류 전극(I+, I-)과 교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전압 전극(V+, V-)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모듈(120)은, 밴드(110)의 길이 방향(D 참조)을 따라 밴드(110)의 일면에 일렬로 부착되고, 밴드(11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밴드(110)의 착용시 손목(10)의 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전압 전극(V+, V-)은 한 쌍의 전류 전극(I+, I-)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극 모듈(120)은 손목(10)의 피부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은도금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극 모듈(120)의 형상은 원형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밴드(1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전류 전극(I+, I-)과 메인 모듈(130), 한 쌍의 전압 전극(V+, V-)과 메인 모듈(130)을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전성 와이어(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10) 내부에서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전성 와이어(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10) 내부에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전류 전극(I+, I-)과 메인 모듈(130)을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는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며, 그 하부 평면에 한 쌍의 전압 전극(V+, V-)과 메인 모듈(130)을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도전성 와이어(140)의 배치 위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배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메인 모듈(130)은 교류 전류원(132)을 제어하여 한 쌍의 전류 전극(I+, I-)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고 전압 측정 모듈(133) 및 한 쌍의 전압 전극(V+, V-)을 통해 측정되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인체의 부종 지수를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6081587752-pat00002
여기서, EI는 부종 지수, ECW는 체외 세포 수분량, TBW는 인체 총 수분량, ht는 사용자의 키, Rf은 특정 주파수(KHz)에서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저항, XCf는 특정 주파수(KHz)에서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용량성 리액턴스, wt는 체중, sex는 성별로 남자는 1, 여자는 0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모듈(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10)의 타면에 부착되고, 전류 전극(I+, I-)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는 교류 전류원(132)과, 전압 전극(V+, V-)을 통해 측정된 교류 전압의 위상 및 크기를 측정하는 전압 측정 모듈(133)과,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으로부터 상술한 수학식 1에 기초하여 부종 지수를 구하는 연산 모듈(134)과, 구해진 부종 지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35)과,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131)과, 구해진 부종 지수를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136)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적어도 사용자의 키, 성별, 체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류 전류원(132)에서 인가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는, 60㎂ 내지 100㎂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손쉽게 부종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종 지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사항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부종 지수 측정 방법은, 사용자의 체중, 성별,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S501). 사용자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사용자의 키, 성별, 체중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모듈(130) 중 입력 모듈(131)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음, 교류 전류원(132)은, 한 쌍의 전류 전극(I+, I-)에 교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S502). 교류 전류는 전류 전극(I+)에서 나와 전류 흐름(current flow)을 따라 전류 전극(I-)로 유입될 수 있다.
다음, 전압 측정 모듈(133)은, 전압 전극(V+, V-)을 통해 교류 전압(위상 및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S503).
마지막으로, 메인 모듈(130)은, 사용자 정보,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부종 지수를 구할 수 있다(S504). 부종 지수는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라 구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디바이스를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 가능하며 손쉽게 부종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밴드
120: 전극 모듈
130: 메인 모듈
140: 도전성 와이어
131: 입력 모듈
132: 교류 전류원
133: 전압 측정 모듈
134: 연산 모듈
135: 디스플레이 모듈
136: 통신 모듈
V+, V-: 한 쌍의 전압 전극
I+, I-: 한 쌍의 전류 전극

Claims (8)

  1.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
    한 쌍의 전류 전극과 한 쌍의 전압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 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전류 전극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고 상기 한 쌍의 전압 전극을 통해 측정되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인체의 부종 지수를 구하는 메인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압 전극은,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의 일면에 일렬로 부착되고 상기 밴드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밴드의 착용시 상기 손목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 모듈은,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17100121984-pat00012

    에 따라 부종 지수를 구하며, EI는 부종 지수, ECW는 체외 세포 수분량, TBW는 인체 총 수분량, ht는 사용자의 키, Rf은 특정 주파수(KHz)에서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저항, XCf는 특정 주파수(KHz)에서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용량성 리액턴스, wt는 체중, sex는 성별로 남자는 1, 여자는 0인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종 지수는,
    적어도 사용자의 체중, 키, 성별을 고려하여 구해지는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은,
    상기 밴드의 타면에 부착되고, 상기 전류 전극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는 교류 전류원과, 상기 전압 전극을 통해 측정된 교류 전압의 위상 및 크기를 측정하는 전압 측정 모듈과,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부종 지수를 구하는 연산 모듈과, 상기 부종 지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압 전극은,
    상기 한 쌍의 전류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한 쌍의 전류 전극과 상기 메인 모듈, 상기 한 쌍의 전압 전극과 상기 메인 모듈을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상기 밴드 내부에서 동일 평면상 또는 다른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는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삭제
  8. 손목에 착용 가능한 밴드와, 한 쌍의 전류 전극과 한 쌍의 전압 전극으로 구성되어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밴드의 일면에 일렬로 부착되고 상기 밴드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밴드의 착용시 상기 손목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전극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체중, 성별,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제1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전류 전극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전압 전극을 통해 교류 전압을 측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부종 지수를 구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Figure 112017100121984-pat00004

    에 따라 부종 지수를 구하며, EI는 부종 지수, ECW는 체외 세포 수분량, TBW는 인체 총 수분량, ht는 사용자의 키, Rf은 특정 주파수에서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저항, XCf는 특정 주파수에서 상기 교류 전류 및 상기 교류 전압으로부터 구한 생체 임피던스의 용량성 리액턴스, wt는 체중, sex는 성별로 남자는 1, 여자는 0인 부종 지수 측정 방법.
KR1020160106397A 2016-08-22 2016-08-22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 KR10182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97A KR101823496B1 (ko) 2016-08-22 2016-08-22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
US15/364,326 US10244961B2 (en) 2016-08-22 2016-11-30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edema index and method of measuring edema index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97A KR101823496B1 (ko) 2016-08-22 2016-08-22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496B1 true KR101823496B1 (ko) 2018-01-31

Family

ID=6108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97A KR101823496B1 (ko) 2016-08-22 2016-08-22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44961B2 (ko)
KR (1) KR1018234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611B1 (ko) * 2020-08-13 2021-11-1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종 진단 장치
KR102327171B1 (ko) * 2020-08-13 2021-11-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종 진단 장치
KR20220111787A (ko) * 2021-02-02 2022-08-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분절형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을 이용한 림프부종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74516A (ja) * 2019-11-07 2021-05-20 啓徳電子股▲ふん▼有限公司 生体インピーダンス法に基づいて人体の浮腫を判定する装置および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005A (ja) 1996-04-23 2000-08-08 ジメッド メディカル インストルメンテイ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慢性うっ血性心不全を患う患者の監視方法
JP2010510835A (ja) * 2006-11-30 2010-04-08 インぺディメッド リミテッド 測定装置
JP2010526604A (ja) * 2007-05-14 2010-08-05 インぺディメッド リミテッド インジケータを用いるインピーダンス分析方法と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2204A1 (en) * 2001-10-04 2009-07-16 Semler Herbert J Body composition, circulation, and vital signs monitor and method
KR100685317B1 (ko) 2005-03-31 2007-02-22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고객맞춤형 체성분분석장치 및 그 방법
FR2887425A1 (fr) * 2005-06-22 2006-12-29 Annick Nicole Lydie Tournefier Systeme d'analyse electrophysiologique
KR100909400B1 (ko) 2006-02-21 2009-07-24 메디게이트(주)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US8684900B2 (en) * 2006-05-16 2014-04-01 Bao Tran Health monitoring appliance
US9907473B2 (en) * 2015-04-03 2018-03-06 Koninklijke Philips N.V. Personal monitoring system
EP2158838A1 (en) * 2008-08-29 2010-03-03 Gerinova AG Non-invasive method for estimating of the variation of the clucose level in the blood of a person and apparatur for carrying out the method
EP2348970A1 (en) * 2008-10-10 2011-08-03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Improved monitor of heart failure using bioimpedance
US20120123232A1 (en) * 2008-12-16 2012-05-17 Kayvan Najaria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eart rate variability using wavelet transformation
EP2391267B1 (en) * 2009-01-27 2019-11-06 Scibase Ab Switch probe for multiple electrode measurement of impedance
WO2012118751A2 (en) * 2011-02-28 2012-09-07 Nervonix,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nerve tissue in three-dimensional space
JP2015512658A (ja) * 2011-12-14 2015-04-30 インターセクション・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Intersection Medical,Inc. 組織内の周波数に対する表面下抵抗率の相対的空間変化を決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5953490B2 (ja) * 2012-05-10 2016-07-20 株式会社タニタ 浮腫評価装置
AT514017B1 (de) * 2013-02-22 2020-11-15 Dr Skrabal Falko Hämodynamisches EKG
US20140276166A1 (en) * 2013-03-13 2014-09-18 Cardiologic Innovations Ltd Method of measuring bioimpedance
FI124901B (fi) * 2013-07-18 2015-03-13 Framgo Oy Menetelmä ja laite kehon koostumuksen määrittämiseksi
WO2015081113A1 (en) * 2013-11-27 2015-06-04 Cezar Moru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electromyography sensors
KR102335769B1 (ko) * 2014-11-07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형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KR102420009B1 (ko) * 2015-04-08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장치
WO2016205872A1 (en) * 2015-06-26 2016-12-29 Impedimed Limited Impedance methods and apparatuses using arrays of bipolar electrod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005A (ja) 1996-04-23 2000-08-08 ジメッド メディカル インストルメンテイ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慢性うっ血性心不全を患う患者の監視方法
JP2010510835A (ja) * 2006-11-30 2010-04-08 インぺディメッド リミテッド 測定装置
JP2010526604A (ja) * 2007-05-14 2010-08-05 インぺディメッド リミテッド インジケータを用いるインピーダンス分析方法と分析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611B1 (ko) * 2020-08-13 2021-11-1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종 진단 장치
KR102327171B1 (ko) * 2020-08-13 2021-11-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부종 진단 장치
KR20220111787A (ko) * 2021-02-02 2022-08-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분절형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을 이용한 림프부종 측정 장치
KR102578591B1 (ko) 2021-02-02 2023-09-15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분절형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을 이용한 림프부종 측정 장치
KR20230149766A (ko) * 2021-02-02 2023-10-2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생체 임피던스 측정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림프부종 측정 장치
KR102611531B1 (ko) 2021-02-02 2023-12-0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생체 임피던스 측정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림프부종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9666A1 (en) 2018-02-22
US10244961B2 (en)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496B1 (ko)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
CN102655806B (zh) 用于生物电阻抗分析及监测的设备和方法
ES2555964T3 (es) Indicador
JP4840952B2 (ja)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計測方法及び計測装置、並びに該計測装置を用いた健康指針管理アドバイス装置
KR20210127892A (ko) 손목형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US99559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the fluid content of a part of the body of a subject
CA2777797A1 (en) Fluid level indicator determination
KR102420009B1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WO2016030869A1 (en) Wearable, multi-parametric wireless system-in-patch for hydration level monitoring
US9895078B2 (en) Body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70072700A (ko)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0099607A (zh) 脉搏波测量装置和脉搏波测量方法、以及血压测量装置
US20180049651A1 (en) Sensor Unit
US201500253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body composition
CN204192615U (zh) 一种卧床患者的人体成分检测仪
CN207306668U (zh) 一种头戴电极、检测设备和治疗设备
CN107174245A (zh) 人体组织参数测量方法及测量仪
Heymsfield et al. Mobile evaluation of human energy balance and weight control: Potential for future developments
Usman et al. Wearable r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for estimation and monitoring of body fat
US20210290098A1 (en) Wearable body composition analyzer
KR101576710B1 (ko) 운동보조용 시스템
KR20150103947A (ko) 전자줄자 기능을 가진 체지방 측정기
US20170296120A1 (en) Wrist-type body composition measuring apparatus
KR20170078386A (ko)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US20220142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wearable device to measure and monitor human body vi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