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896B1 -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896B1
KR101822896B1 KR1020170041046A KR20170041046A KR101822896B1 KR 101822896 B1 KR101822896 B1 KR 101822896B1 KR 1020170041046 A KR1020170041046 A KR 1020170041046A KR 20170041046 A KR20170041046 A KR 20170041046A KR 101822896 B1 KR101822896 B1 KR 10182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processor
informatio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9634A (en
Inventor
이진교
오나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896B1/en
Publication of KR2017003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8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R2021/013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복수개의 서브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기 설정된 조건 또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서브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선택된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amera for photographing a periphery of a vehicle and generating a mai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sub images generated by at least one other vehicle; And a processor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 images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or user input and generating an extended image using the main image and the selected sub image, / RTI >

Description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0001]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providing an image of a region invisible to a driver of a vehicle.

차량이란, 차륜을 구동시켜 사람이나 화물 등을 어느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운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예컨대,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 세단과 같은 4륜차는 물론 기차 등이 차량에 속한다.A vehicle is a device that drives a wheel to transport a person or cargo from one place to another. For example, two-wheeled vehicles such as a motorcycle, a four-wheeled vehicle such as a sedan, as well as a train belong to the vehicle.

최근에는,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증대하기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을 차량에 접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a user who uses a vehicle,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connecting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to a vehicle has been accelerated. In particular, various devices for the user's driving convenience have been developed.

그 중 하나인 AVM(A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360도 주변을 촬영하여 복수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을 마치 위에서 찍은 듯한 어라운드 뷰 화면을 표시해준다. An AVM (Around View Monitoring) system, which is one of them, is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s ar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vicinity of 360 degrees of a vehicle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a plurality of generated images are synthesized, Displays the view screen.

운전자는 어라운드 뷰 화면을 보며, 차량을 조작하는 데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어라운드 뷰 화면에 담아낼 수 있는 공간은 매우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주차나 서행(약, 20km/h 미만) 등의 몇가지 상황에서의 활용에 그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The driver can see the surround view screen and can help to operate the vehicle. However, since the space available on the surround view screen is very limit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used only in some situations such as parking and slow running (less than about 20 km / h).

따라서,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 가능한 영역보다 더 넓은 영역에 대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providing an image of a wider area than a region which can be photographed by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using an image generated by another vehicl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차량에 의해 생성된 주행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운전자가 탑승한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서는 촬영이 불가능한 영역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er assistance device that generates an extended image using a running image generated by different vehicles and provides an image of an area that can not be photographed by a camera mounted on a vehicle that the driver has boarded, Metho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복수개의 서브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기 설정된 조건 또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서브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선택된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camera for photographing a periphery of a vehicle to generate a mai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sub images generated by at least one other vehicle; And a processor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 images based o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or user input and generating an extended image using the main image and the selected sub image, / RTI >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 및 타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의 어라운드 뷰에 비하여 더 넓은 시야 범위를 가지는 영상(후술할 확장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e (an extended image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주변 환경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 시, 확장 영상을 자동 생성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nvironment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an extended image is automatically generat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확장 영상을 표시시, 장애물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nded image is displayed, information related to an obstacle is provided so that safety of the driv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지역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 스케쥴을 조정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of an invisible region is provided to a driver who rides on the vehicle, thereby helping the driver to adjust the vehicle's operation schedu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확장 영상을 기초로, 차량이 주행 가능한 경로를 산출함으로써, 실시간 도로 상황이 반영된 정보를 제공받아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reflecting the real-time road situation by calculating the route that the vehicle can travel on the basis of the extended imag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차량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a 내지 도 3b의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a 내지 도 4b의 프로세서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a 내지 도 3c의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 영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vehicle provided with a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views referred to explain a camera attached to the vehicl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3C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internal block diagrams of a driver assistance device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4B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internal block diagrams of the processors of Figures 3A-3B.
Figures 5A-5B are views referenced in the operational description of the processors of Figures 4A-4B.
6A and 6B are view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of FIGS. 3A to 3C.
Fig. 7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of Fig. 1.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0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to 11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to 15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A to 16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A and 1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A and 18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A and 20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A and 2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tate of the extend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한다는 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물론, 제3의 구성요소의 중개를 통해 제어하는 것까지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정보 내지 신호를 "제공"한다는 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제공하는 것은 물론, 제3의 구성요소의 중개를 통해 제공하는 것까지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controlling" one component is meant to encompass not only one component directly controlling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ontrolling through mediation of a third component something to do.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any element "providing" information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is meant to encompass not only providing the element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but also providing it through intermediation of a third element .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vehicl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bo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having an engine as a power source, a hybrid vehicle having a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vehicle having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은 4륜 자동차인 것으로 가정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1 is a four-wheeled vehicle.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1)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타이어(11a-11d),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12), 헤드램프(13a, 13b), 와이퍼(14a, 14b), 후술할 운전자 보조 장치(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vehicle 1 includes a tire 11a-11d rotated by a power source, a steering wheel 12 for adjus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head lamps 13a and 13b, wipers 14a , 14b, a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주변 영상에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기초로 차량(1)의 주행방향 등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제어부(도 7의 770)로 제공될 수 있고, 제어부(도 7의 770)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조향 장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peripheral image of a vehicle, detects information in the generated peripheral image, and control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or the like based on the detected information A signal can be output.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770 of FIG. 7), and the control unit (770 of FIG. 7) may control the steering unit and the lik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프로세서(도 3a 내지 도 3b의 170) 내에서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95)는 차량(1)의 윈드 쉴드 상단에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and the image obtained by the at least one camera may be signal processed within the processor (170 of Figures 3A-B). For example, as shown, the camera 195 may be mounted on the windshield top of the vehicle 1 and take a pictur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한편, 차량(1)의 차체의 최저 지점과 노면 사이는 최저 지상고(G)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저 지상고(G)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물체에 의한 차체 손상을 막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st point of the vehicle body of the vehicle 1 and the road surface can be separated by the minimum ground clearance G. [ Thus, the vehicl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object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e minimum ground clearance G.

또한, 차량(1)의 전방 좌우 타이어(11a, 11b) 간의 간격과 후방 좌우 타이어(11c, 11d) 간의 간격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에서는, 전륜 좌측 타이어(11a)의 내측과 우측 타이어(11b)의 내측 사이의 거리와 후륜 좌측 타이어(11c)의 내측과 우측 타이어(11d)의 내측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값(T)인 것으로 가정한다. It is also assu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left and right tires 11a and 11b of the vehicle 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left and right tires 11c and 11d are the same. It is assum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front wheel left tire 11a and the inside of the right tire 11b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side of the rear left tire 11c and the inside of the right tire 11d are the same value T do.

또한, 차량(1)의 전폭(O)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를 제외한 차량(1)의 차체 좌측 끝단부터 우측 끝단 간의 최대 거리인 것으로 정의한다.The total width O of the vehicle 1 is defined a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left end of the vehicle 1 and the right end of the vehicle 1 except for the side mirrors.

한편, 도 1에 도시된 차량(1)은 후술할 운전자 보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1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차량(1)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2A to 2C are views referred to explain a camera attached to the vehicle 1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여, 차량(1)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A,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including the cameras 195a and 195b for acquiring imag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 will be described.

도 2a에서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2개의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의 개수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시한다.Although FIG. 2A illustrate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s including two cameras 195a and 195b,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cameras.

도면을 참조하면,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제1 렌즈(193a)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195a), 제2 렌즈(193b)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195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95)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first camera 195a having a first lens 193a, and a second camera 195b having a second lens 193b. In this case, the camera 195 may be referred to as a stereo camera.

한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각각, 제1 렌즈(193a)와 제2 렌즈(193b)에 입사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제1 광 차폐부(light shield)(192a), 제2 광 차폐부(192b)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includes a first light shield 192a and a second light shield 192b for shielding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ens 193a and the second lens 193b, And a portion 192b.

도면의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의 실내 또는 실외(예, 천정 또는 윈드 쉴드)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The driver assist device 100 in the drawing may be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terior or exterior of the vehicle 1 (e.g., ceiling or windshield).

이러한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로부터,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패러티(disparity) 검출을 수행하고,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이후, 계속적으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Such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obtain a stereo image of the vehicle ahead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95a and 195b. Also, based on the stereo image, disparity detection may be performed and object detection may be performed on the at least one stereo image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After the object is detected, the movement of the object can be continuously tracked.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95, 196, 197, 198)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including the cameras 195, 196, 197 and 198 for acquiring the vehicle surroundings ima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B and 2C. FIG.

도 2b 및 도 2c에서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4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의 개수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시한다.Although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is shown as including four cameras in Figures 2B and 2C,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cameras.

도면을 참조하면,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복수의 카메라(195, 196, 197, 198)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복수의 카메라(195, 196, 197, 198)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195, 196, 197, and 198.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ameras 195, 196, 197, and 198 may be referred to as an arousal view camera.

복수의 카메라(195, 196, 197, 198)는 각각 차량(1)의 전방, 좌측, 우측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ameras 195, 196, 197, and 198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left, right, and rear of the vehicle 1, respectively.

좌측 카메라(196)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96)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96)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left camera 196 may be disposed in a case surrounding the left side mirror. Alternatively, the left camera 196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surrounding the left side mirror. Alternatively, the left camera 196 may be disposed in a region outside the left front door, the left rear door, or the left fender.

우측 카메라(197)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97)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97)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right camera 197 may be disposed in a case surrounding the right side mirror. Or the right camera 197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surrounding the right side mirror. Alternatively, the right camera 197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utside the right front door, the right rear door, or the right fender.

한편, 후방 카메라(198)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camera 198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a rear license plate or a trunk switch.

전방 카메라(195)는 윈드 쉴드 부근,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camera 195 may be disposed near the windshield, near the ambulance, or near the radiator grill.

복수의 카메라(195-198)에서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는 프로세서(170)에 전달되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각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Each image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95-198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70, and the processor 170 may synthesize the respective images to generate a vehicle periphery image.

도 2c는 차량 주변 영상의 일예를 도시한다. 차량 주변 영상(201)은 좌측 카메라(196)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 영역(196i), 후방 카메라(198)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 영역(198i), 우측 카메라(197)에 의해 촬영된 제3 이미지 영역(197i) 및 전방 카메라(195)에 의해 촬영된 제4 이미지 영역(195i)을 포함할 수 있다. 2C shows an example of a vehicle surroundings image. The vehicle surroundings image 201 includes a first image area 196i photographed by the left camera 196, a second image area 198i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198, A third image region 197i and a fourth image region 195i imaged by the front camera 195. [

한편,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surround view image is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a boundary portion between each image area occurs. These boundary portions can be naturally displayed by image blending processing.

한편, 복수의 영상 각각의 경계에는 경계선(202a, 202b, 202c, 202d)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주변 영상(201)의 중앙에는 차량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이미지는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차량 주변 영상(201)은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또는 운전자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undaries 202a, 202b, 202c, and 202d may be displayed at the boundaries of the plurality of images. In addition, a vehicle image may be includ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periphery image 201. [ Where the vehicle image may be an image generated by the processor 170. In addition, the vehicle peripheral image 201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portion 741 of the vehicle 1 or the display portion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Figures 3A-3C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block diagram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b의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카메라(195)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컴퓨터 비젼(computer vision) 기반을 바탕으로 신호 처리하여, 차량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f FIGS. 3A and 3B can generate vehicle-related information by signal processing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195 based on computer vision.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control information for direct control of the vehicle, or vehicle-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a driver's guide to the vehicle driver.

여기서, 카메라(195)는 모노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195)는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195)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198)에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camera 195 may be a monaural camera. Alternatively, the camera 195 may be a stereo camera 195a, 195b that photographs the vehicle front image. Alternatively, the camera 195 may be included in an ambient view camera 195-198 for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도 3a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내부 블럭도이다.3A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도 3a의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70), 전원 공급부(190), 카메라(19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A,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of FIG. 3A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n interface unit 130, a memory 140, a processor 170, a power supply unit 190, a camera 195, a display unit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nd the like.

입력부(110)는 운전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카메라(195-198)에 부착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운전자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various inputs from the driver.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or touch screens attached to the cameras 195-198. It is possible for the driver to turn on and operate the driver's auxiliary apparatus 100 via a plurality of buttons or a touch screen.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various input operations.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서버(500), 타차량 등의 외부 기기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exchange data with external devices such as the mobile terminal 600, the server 500, and other vehicles in a wireless manner.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exchange data wirelessly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of the vehicle driver. Various data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and NFC are availabl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 보조 장치(100)에서, 파악한 실시간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for example,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or the server 500. Meanwhile,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transmit the detected real tim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600 or the server 500.

한편,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s boarding the vehicle, the user's mobile terminal 600 and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perform pairing with each other automatically or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of the user.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510)로부터 신호등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510)는 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소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receive the traffic light chang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510. [ Here, the external server 510 may be a server located in a traffic control station that controls traffic.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센싱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the vehicle-related data or may transmit the processed or generated signal to the outside by the processor 170. To this end, the interface unit 130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unit 770, an AVN (Audio Video Navigation) device 400, a sensing unit 760, and the like in the vehicle by a wired communicatio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ave.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정보는 도로상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can recei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by th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770, the AVN apparatus 400, or another navigation apparatus. Here,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et destin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map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the vehicle, and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the other hand,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th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770 or the sensing unit 760.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속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오브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tilt information, vehicle forward / backward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vehicle internal humidity information, and object information.

이러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오브젝트 센서(예, 레이더, 라이다, 초음파 센서 등)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Such sensor information may include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 gyro sensor, a position module, a vehicle forward / backward sensor, a wheel sensor, a vehicle speed sensor, (E.g., radar, lidar, ultrasonic sensor, etc.), such as a vehicle body inclination sensor, a battery sensor, a fuel sensor, a tire sensor, a steering sensor by steering wheel rotation, have.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module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한편,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 information,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the vehicle angle information,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vehicle tilt information, and the like relating to the vehicle running can be referred to as vehicle running information.

인터페이스부(130)는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턴 시그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위한 방향 지시등의 턴 온(turn on) 시그널일 수 있다. 차량의 사용자 입력부(도 7의 724)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 턴 온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the turn signal information. Here, the turn signal information may be a turn-on signal of the turn signal lamp for the left turn or the turn right turn inputted by the user. When the left or right turn signal turn-on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part (724 in FIG. 7) of the vehicle, the interface part 130 may receive left turn signal information or right turn signal information.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 속도 정보,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 정보 또는 기어 쉬프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의 센싱부(760)를 통해 센싱된 차량 속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정보, 또는 기어 쉬프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의 제어부(770)로부터 차량 속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정보 또는 기어 쉬프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기어 쉬프트 정보는, 차량의 변속 레버가 어느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어 쉬프트 정보는 변속 레버가 주차(P), 후진(R), 중립(N), 주행(D), 1 내지 다단 기어 상태 중 어느 하나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vehicle speed information, ro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steering wheel, or gear shift information.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the sensed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information, or the gear shift information through the sensing unit 760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vehicle speed information,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information, or gear shif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770 of the vehicle. Here, the gear shif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ich state the shift lever of the vehicle is in. For example, the gear shif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ich state the shift lever is in the parking (P), reverse (R), neutral (N), running (D) .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의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1)의 입력부(72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24 of the vehicle 1. [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the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720 of the vehicle 1 or via the control unit 770.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서버(51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510)는 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소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통신부(710)를 통해 외부 서버(510)로부터 신호등 변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신호등 변경 정보를 제어부(도 7의 7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운전자 보조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external server 510. [ The external server 510 may be a server located in a traffic control station that controls traffic. For example, when the traffic light chan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5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710 of the vehicle, the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the traffic light chang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770 in FIG. 7). The memory 140 may store various data for operation of the entir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170. [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95)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for object identification. For example, 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for confirming what the object corresponds to, by a predetermined algorithm, when a predetermined object is detected i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95. For example,

메모리(140)는 교통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95)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의 교통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교통 정보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on traffic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predetermined traffic information is detected in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95, the memory 140 may store data for checking what the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s to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

한편,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Meanwhile, the memory 140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a ROM, a RAM, an EPROM, a flash drive, a hard drive, and the like in hardware.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컴퓨터 비전 (computer vision) 기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차량 전방 또는 차량 주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미지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process the vehicle front image or the vehicle periphery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195. [ In particular, the processor 170 performs signal processing based on computer vision. Accordingly, the processor 170 can acquire images from the camera 195 in front of or around the vehicle, and can perform object detection and object tracking based on the images. Particularly, when detecting an object,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lane detection (LD), vehicle detection (VD), pedestrian detection (PD), light detection (Brightspot Detection)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road surface detection, and the like.

한편, 교통 신호(Traffic Sign)는 차량(1)의 운전자에게 전달 될 수 있는 소정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교통 신호는 신호등, 교통 표지판 또는 노면을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신호는 신호등에서 출력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고(Go) 또는 스탑(Stop)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신호는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각종 도안 또는 텍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신호는 노면에 표시된 각종 도안 또는 텍스트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ffic signal may mean predetermined inform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 Traffic signals can be delivered to the driver through a traffic light, traffic sign, or road surface. For example, the traffic signal may be a Go or Stop signal of a vehicle or pedestrian output from a traffic light. For example, the traffic signal may be various designs or texts displayed on a traffic sign. For example, traffic signals may be various designs or texts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에 의해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에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information in the vehicle surroundings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195. [

정보는 차량 주행 상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정보, 교통 법규 정보, 주변 차량 정보, 차량 또는 보행자 신호등 정보, 공사 정보, 교통 상황 정보, 주차장 정보, 차선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road information, traffic regulation information, surrounding vehicle information, vehicle or pedestrian signal inform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parking lot information, lane information, etc., which the vehicle travels.

정보는 교통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신호등, 교통 표지판 및 노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교통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영상에 포함된 신호등으로부터 차량 또는 보행자의 고(Go) 또는 스탑(Stop)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영상에 포함된 교통 표지판으로부터 각종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영상에 포함된 노면으로부터 각종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may be traffic information.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traffic information from any one of a traffic light, a traffic sign, and a road surface included in the image obtained by the camera 195. [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a Go or a Stop signal of a vehicle or a pedestrian from a signal light included in the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various patterns or texts from traffic signs included in the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various patterns or texts from the road surface included in the image.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detected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to verify the information.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서 램프웨이를 표시하는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교통 표지판 또는 노면일 수 있다.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한다.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교통 정보와 검출된 도안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램프웨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detects a graphic or text indicating a rampway in an object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Here, the object may be a traffic sign or a road surface. Pattern or text.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traff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with the detected pattern or text to confirm the lampway information.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서 차량 또는 보행자 스탑(stop)을 표시하는 도안 또는 텍스트를 검출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교통 표지판 또는 노면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교통 정보와 검출된 도안 또는 텍스트를 비교하여, 스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노면으로부터 정지선을 검출한다.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교통 정보와 정지선을 비교하여, 스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detects a graphic or text indicating a vehicle or a pedestrian stop in an object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Here, the object may be a traffic sign or a road surface.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traff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with the detected pattern or text to check the stop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70 detects a stop line from the road surface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The processor 170 may compare the traffic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40 with the stop line to confirm the stop information.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서 차선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노면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차선의 색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차선이 주행 차선인지 대기 차선인지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lane in an object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Here, the object may be a road surface. The processor 170 can check the color of the detected lane. The processor 170 can confirm whether the detected lane is a driving lane or a waiting lane.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서 차량의 고(Go) 또는 스탑(Stop)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차량 신호등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고(Go) 정보는 차량이 직진,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차량의 스탑(Stop) 정보는 차량이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차량의 고(Go) 정보는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차량의 스탑(Stop) 정보는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the Go or Stop inform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object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Here, the object may be a vehicle traffic light. Here, the Go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a signal instructing the vehicle to go straight, turn left or right. The stop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a signal instructing the vehicle to stop. The Go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displayed in green, and the Stop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displayed in red.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획득된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에서 보행자의 고(Go) 또는 스탑(Stop)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보행자 신호등일 수 있다. 여기서, 보행자의 고(Go) 정보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가 차로를 횡단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보행자의 스탑(Stop) 정보는 횡단보도에서 보행자가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the Go or Stop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from the object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Here, the object may be a pedestrian signal or the like. Here, the Go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may be a signal instructing the pedestrian to cross the lane in the pedestrian crossing. The stop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may be a signal instructing the pedestrian to stop in the pedestrian crossing.

한편,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의 줌(Zoom)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 결과에 따라 카메라(195)의 줌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교통 표지판은 검출되지만,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가 줌인(Zoom-i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can control the zoom of the camera 195.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zoom of the camera 195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result. For example, if a traffic sign is detected but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traffic sign are not detected,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camera 195 to zoom in.

한편,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can receive weather information,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road, and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information, for examp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한편,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에서,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파악한, 차량 주변 교통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may grasp, in real time, th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which is based on the stereo image, in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from the AVN apparatus 400 or a separate navigation apparatus (not shown)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receive the sensor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770 or the sensing unit 76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30. [ Here, the senso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tilt information, vehicle forward / backward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humidity information, and steering wheel rotation information.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170 may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770, the AVN apparatus 400, or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not shown) via the interface unit 130. [

한편,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프로세서(170)는 제어부(7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b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70.

디스플레이부(180)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가 HUD 인 경우, 차량(1)의 전면 유리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may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rocessor 170. The display unit 180 may display an imag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For this image display, the display unit 180 may include a cluster or an HUD (Head Up Display)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interior.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unit 180 is the HUD, it may include a projection module that projects an image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1. [

오디오 출력부(185)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8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can output the sound to the outside based on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processor 170. [ To this end,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include at least one speaker.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오디오 입력부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An audio input unit (not shown) can receive a user voice. For this purpose, a microphone may be provided. The received voice may be converted 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audio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70.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 Particularly,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or the like inside the vehicle.

카메라(195)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195)는,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모노 카메라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195)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196, 197, 195f, 195)일 수 있다. The camera 195 acquires the vehicle front image or the vehicle periphery image. The camera 195 may be a mono camera or a stereo camera 195a, 195b for shooting the vehicle front image. Alternatively, the camera 195 may be a plurality of cameras 196, 197, 195f, and 195 that photograph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카메라(195)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195 may include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카메라(144)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170)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camera 144 may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The image processing module can process the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be separately configured or integrated with the processor 170. [

카메라(195)는 신호등, 교통 표지판 및 노면 중 적어도 하나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195 may acquire an image of at least one of a traffic light, a traffic sign, and a road surface.

카메라(195)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줌(Zoom)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95)에 포함된 줌배럴(미도시)이 이동하여, 줌이 설정될 수 있다. The camera 195 may be set to a zoo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a zoom barrel (not shown) included in the camera 195 moves, and zoom can be set.

카메라(195)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포커스(Focus)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195)에 포함된 포커스배럴(미도시)이 이동하여, 포커스가 설정될 수 있다. 포커스는 줌 설정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camera 195 can be set to focu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the focus barrel (not shown) included in the camera 195 may be moved and the focus may be set. The focus can be automatically set based on the zoom setting.

한편,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의 줌 제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포커스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focus in response to the zoom control of the camera 195. [

도 3b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내부 블럭도이다.3B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를 참조하면, 도 3b의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도 3a의 운전자 보조 장치(100)와 비교하여,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3B,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f FIG. 3B differs from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f FIG. 3A in that it includes stereo cameras 195a and 195b. Hereinafter,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를 스테레오 카메라로 명명할 수 있다.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cameras 195a and 195b. Here,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95a and 195b may be referred to as a stereo camera.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는 차량(1)의 천정 또는 윈드 쉴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는 제1 렌즈(193a), 제2 렌즈(193b)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eo cameras 195a and 195b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eiling or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1. [ The stereo cameras 195a and 195b may include a first lens 193a and a second lens 193b.

한편,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는 각각, 제1 렌즈(193a)와 제2 렌즈(193b)에 입사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제1 광 차폐부(light shield)(192a), 제2 광 차폐부(19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reo cameras 195a and 195b respectively include a first light shield 192a and a second light shield 192b for shielding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ens 193a and the second lens 193b, Shielding portion 192b.

제1 카메라(195a)는 차량 전방의 제1 영상을 획득한다. 제2 카메라(195b)는 차량 전방의 제2 영상을 획득한다. 제2 카메라(195b)는 제1 카메라(195a)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시차(disparity)가 발생하고, 시차에 따른 오브젝트와의 거리 검출이 가능하다.The first camera 195a acquires the first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second camera 195b acquires a second image in front of the vehicle. The second camera 195b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amera 195a. By disposing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95a and 195b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isparity occurs, and the distance to the object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

한편,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컴퓨터 비젼(computer vision) 기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로부터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하고, 스테레오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에 대한 디스패러티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된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을 수행하며, 오브젝트 검출 이후, 계속적으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레오 영상은, 제1 카메라(195a)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및 제2 카메라(195b)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에 기초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includes the stereo cameras 195a and 195b, the processor 170 performs signal processing based on computer vision. Accordingly, the processor 170 acquires a stereo image for the vehicle front from the stereo cameras 195a and 195b, performs a disparity calculation for the front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tereo image, and based on the calculated disparity information To perform object detection for at least one of the stereo images, and to continuously track the motion of the object after object detection. Here, the stereo image is based on the first image received from the first camera 195a and the second image received from the second camera 195b.

특히,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object is detected,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a lane detection (LD), a vehicle detection (VD), a pedestrian detection (PD), a brilliant spot detection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road surface detection, and the like.

또한,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주변 차량에 대한 거리 연산, 검출된 주변 차량의 속도 연산, 검출된 주변 차량과의 속도 차이 연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perform a distance calculation to the detected nearby vehicle, a speed calculation of the detected nearby vehicle, a speed difference calculation with respect to the detected nearby vehicle, and the like.

프로세서(170)는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의 줌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카메라(195a)의 줌은 고정한 채, 제2 카메라(195b)의 줌배율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카메라(195b)의 줌은 고정한 채, 제1 카메라(195a)의 줌 배율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separately control the zoom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95a, 195b. The processor 170 may periodically change the zoom magnification of the second camera 195b while the zoom of the first camera 195a is fixed. The processor 170 may periodically change the zoom magnification of the first camera 195a while the zoom of the second camera 195b is fixed.

프로세서(170)는 소정 주기로 제1 또는 제2 카메라(195a, 195b)가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first or second camera 195a or 195b to zoom in or out in a predetermined cycle.

프로세서(170)는 원거리에서 오브젝트 검출에 유리하도록, 제1 카메라(195a)의 줌을 고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근거리에서 오브젝트 검출에 유리하도록 제2 카메라(195b)의 줌을 저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제1 카메라(195a)는 줌인 되도록 제어하고, 제2 카메라(195b)는 줌아웃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set the zoom of the first camera 195a to a high magnification so as to be advantageous for object detection at a long distance.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set the zoom of the second camera 195b at a low magnification so as to be advantageous for object detection at a short distance. At this time,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first camera 195a to zoom in and controls the second camera 195b to zoom out.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근거리에서 오브젝트 검출에 유리하도록 제1 카메라(195a)의 줌을 저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원거리에서 오브젝트 검출에 유리하도록, 제2 카메라(195b)의 줌을 고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제1 카메라(195a)는 줌아웃 되도록 제어하고, 제2 카메라(195b)는 줌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Conversely, the processor 170 may set the zoom of the first camera 195a at a low magnification to favor object detection in the short range. Further, the processor 170 can set the zoom of the second camera 195b at a high magnification so as to be advantageous for object detection at a long distance. At this time,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first camera 195a to zoom in and the second camera 195b to zoom in.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카메라(195a) 또는 제2 카메라(195b)의 줌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교통 표지판은 검출되지만,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1 카메라(195a) 또는 제2 카메라(195b)가 줌인(Zoom-i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zoom of the first camera 195a or the second camera 195b according to the object detection result. For example, if the traffic sign is detected but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traffic sign are not detected,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first camera 195a or the second camera 195b to zoom in.

한편,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의 줌 제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포커스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focus in response to the zoom control of the camera 195. [

도 3c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내부 블럭도이다.3C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c의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도 3a의 운전자 보조 장치(100)와 비교하여,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198)를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f FIG. 3C differs from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f FIG. 3A in that it includes an ambient view camera 195-198. Hereinafter,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198)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include an ambient view camera 195-198.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198)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입사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광 차폐부(light shield)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surround view cameras 195-198 may each include a lens and a light shield for shielding light incident on the lens.

어라운드 뷰 카메라는 좌측 카메라(196), 후방 카메라(198), 우측 카메라(197) 및 전방 카메라(19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rround view camera may include a left camera 196, a rear camera 198, a right camera 197, and a front camera 195.

전방 카메라(195)는 차량 전방 영상을 획득한다. 좌측 카메라(196)는 차량 좌측방 영상을 획득한다. 우측 카메라(197)는 차량 우측방 영상을 획득한다. 후방 카메라(198)는 차량 후방 영상을 획득한다. The front camera 195 acquires the vehicle front image. The left camera 196 acquires the vehicle left side image. The right camera 197 acquires the right-side room image of the vehicle. The rear camera 198 acquires the vehicle rear image.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198)에서 획득된 각각의 영상은 프로세서(170)로 전달된다. The respective images obtained in the surrounding view cameras 195-198 ar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70. [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좌측방 영상, 후방 영상, 우측방 영상, 전방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주변 영상은 탑뷰 또는 버드 아이 뷰 영상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좌측방 영상, 후방 영상, 우측방 영상, 전방 영상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합성하고, 탑뷰 영상으로 전환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synthesize a left side image, a rear image, a right image, and a forward image of the vehicle to generate a vehicle periphery image. At this time, the vehicle surroundings image may be a top view or a bird eye view image. The processor 170 may receive a left side image, a rear image, a right image, and a forward image of the vehicle, synthesize the received images, and convert the synthesized image into a top view image to generate a vehicle periphery image.

한편,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can detect the object based on the vehicle surroundings image. Particularly, when the object is detected, the processor 170 may detect a lane detection (LD), a vehicle detection (VD), a pedestrian detection (PD), a brilliant spot detection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road surface detection, and the like.

한편, 프로세서(170)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198)의 줌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의 줌 제어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zoom of the surrounding view cameras 195-198. The zoom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stereo camer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B.

다만,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프로세서(170) 및 카메라(195)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However,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3A to 3C may not be essential in implementing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 Thu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For example,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include only the processor 170 and the camera 195.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a 내지 도 3b의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고,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a 내지 도 4b의 프로세서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ures 4A-4B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internal block diagrams of the processors of Figures 3A-3B, and Figures 5A-B are views referenced in the operational description of the processors of Figures 4A-4B.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도 4a는 프로세서(170)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로서, 운전자 보조 장치(100) 내의 프로세서(170)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패러티 연산부(420),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4A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processor 170. The processor 170 in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includes an image preprocessing unit 410, a disparity computing unit 420, An object detecting unit 434, an object tracking unit 440, and an application unit 450.

영상 전처리부(image preprocessor)(410)는 카메라(195)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다. An image preprocessor 410 may receive an image from the camera 195 and perform preprocessing.

구체적으로, 영상 전처리부(410)는 이미지에 대한, 노이즈 리덕션(noise reduction), 렉티피케이션(rectification),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색상 강화(color enhancement), 색상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CSC),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카메라 게인 컨트롤(camera gain control)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95)에서 촬영된 스테레오 이미지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In detail, the image preprocessing unit 410 may perform a noise reduction, a rectification, a calibration, a color enhancement, a color space conversion (CSC) Interpolation, camera gain control, and the like. Thus, a clearer image can be obtained than the stereo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95.

디스패러티 연산부(disparity calculator)(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들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stereo matching)을 수행하며, 스테레오 매칭에 따른,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disparity calculator 420 receives an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eprocessing unit 410, performs stereo matching on the received images, and performs disparity calculation based on stereo matching, A disparty map can be obtained. That i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disparity information about the stereo image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vehicle.

이때, 스테레오 매칭은, 스테레오 이미지들의 픽셀 단위로 또는 소정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패러티 맵은, 스테레오 이미지, 즉 좌,우 이미지의 시차(時差) 정보(binocular parallax information)를 수치로 나타낸 맵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reo matching may be performed on a pixel-by-pixel basis of stereo images or on a predetermined block basis. On the other hand, the disparity map may mean a map in which binaural parallax information of stereo images, i.e., left and right images, is numerically expressed.

세그멘테이션부(segmentation unit)(432)는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로부터의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gmentation unit 432 may perform segmentation and clustering on at least one of the images based on the dispetity information from the disparity calculation unit 420.

구체적으로, 세그멘테이션부(432)는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gmentation unit 432 can separate the background and the foreground for at least one of the stereo images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예를 들면,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하인 영역을, 배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제외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area having dispaly information within a disparity map of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can be calculated as a background, and the corresponding part can be excluded. Thereby, the foreground can be relatively separated.

다른 예로,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상인 영역을, 전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n area in which the dispetity inform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disparity map can be calculated with the foreground, and the corresponding part can be extracted. Thereby, the foreground can be separated.

이와 같이,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반하여 추출된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함으로써, 이후의, 오브젝트 검출시, 신호 처리 속도, 신호 처리 양 등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Thus, by separating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information extracted based on the stereo image, it becomes possible to shorten the signal processing speed, signal processing amount, and the like at the time of object detection thereafter.

다음, 오브젝트 검출부(object detector)(434)는 세그멘테이션부(432)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Next, the object detector 434 can detect the object based on the image segment from the segmentation unit 432. [

즉,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That is, the object detecting unit 434 can detect the object for at least one of the images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bject detection unit 434 can detect an object for at least one of the images. For example, an object can be detected from a foreground separated by an image segment.

다음, 오브젝트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436)는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할 수 있다(verify).Next,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436 classifies and verifies the separated object.

이를 위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436 identifies the object using a neural network identification method, a SVM (Support Vector Machine) method, an AdaBoost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Haar-like feature, or a 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Etc. may be used.

한편,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브젝트들과, 검출된 오브젝트를 비교하여,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checking unit 436 can check the objects by comparing the objects stored in the memory 140 with the detected objects.

예를 들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bject checking unit 436 can identify nearby vehicles, lanes, roads, signs, hazardous areas, tunnels, etc. located around the vehicle.

오브젝트 트래킹부(object tracking unit)(440)는 확인된 오브젝트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들에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를 연산하며, 연산된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트래킹할 수 있게 된다. The object tracking unit 440 may perform tracking on the identified object. For example, it sequentially identifies an object in the acquired stereo images, calculates a motion or a motion vector of the identified object, and tracks movement of the object based on the calculated motion or motion vector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rack nearby vehicles, lanes, roads, signs, dangerous areas, tunnels, etc.,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다음, 어플리케이션부(450)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오브젝트들, 예를 들면, 다른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등에 기초하여, 차량(1)의 위험도 등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앞차와의 추돌 가능성, 차량의 슬립 여부 등을 연산할 수 있다.Next, the application unit 450 can calculate the risk and the like of the vehicle 1 based on various object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for example, other vehicles, lanes, roads, signs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with a preceding vehicle, whether the vehicle is slipping or the like.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450)는 연산된 위험도, 추돌 가능성, 또는 슬립 여부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등을, 차량 운전 보조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차량(1)의 자세 제어 또는 주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 제어 정보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Then, the application unit 450 can output a message or the like for notifying the user to the user as vehicle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risk, possibility of collision, sleep, or the like. Alternatively, a control signal for attitude control or running control of the vehicle 1 may be generated as th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한편,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페러티 연산부(420), 세그먼테이션부(432),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는 도 7이하에서 프로세서(170)내의 영상 처리부(810)의 내부 구성일 수 있다.7 (b), the object preprocessing unit 410, the segmentation unit 432, the object detection unit 434,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436, the object tracking unit 440, and the application unit 450, And may b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810 in the processor 170 below.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페러티 연산부(420), 세그먼테이션부(432),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195)가 모노 카메라 또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부(432)는 제외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70 includes an image preprocessing unit 410, a disparity computing unit 420, a segmentation unit 432, an object detection unit 434, an object verification unit 436, an object tracking unit 440, and an application unit 450. [0040] For example, when the camera 195 is configured as a mono camera or an arousal view camera, the disparity calculating unit 420 may be omitted.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gmentation section 432 may be omitted.

도 4b는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4B is another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processor.

도면을 참조하면, 도 4b의 프로세서(170)는 도 4a의 프로세서(170)와 내부 구성 유닛이 동일하나, 신호 처리 순서가 다른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만을 기술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ocessor 170 of FIG. 4B has the same internal structure as the processor 170 of FIG. 4A, but differs in signal processing order. Only the difference will be described below.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수신하고,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a와 달리,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세그먼트된 이미지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것이 아닌, 스테레오 이미지로부터 바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The object detection unit 434 receives the stereo image and can detect the object for at least one of the stereo images. 4A, it is possible to detect an object directly from the stereo image, instead of detecting the object, on the segmented image, based on the disparity information.

다음, 오브젝트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436)는 세그멘테이션부(432)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 및 오브젝트 검출부(434)에서 검출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검출 및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한다(verify).Next, the object verification unit 436 classifies the detected and separated objects based on the image segment from the segmentation unit 432 and the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434, Verify.

이를 위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436 identifies the object using a neural network identification method, a SVM (Support Vector Machine) method, an AdaBoost identification method using a Haar-like feature, or a 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Etc. may be used.

도 5a와 도 5b는 제1 및 제2 프레임 구간에서 각각 획득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도 4a의 프로세서(170)의 동작 방법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FIGS. 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ocessor 170 of FIG. 4A based on the stereo images obtained respectively in the first and second frame periods.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스테레오 카메라(195)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한다.First, referring to FIG. 5A, during the first frame period, the stereo camera 195 acquires a stereo image.

프로세서(170) 내의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을 획득한다.The disparity calculating unit 420 in the processor 170 receives the stereo images FR1a and FR1b signal-processed by the image preprocessing unit 410 and performs stereo matching on the received stereo images FR1a and FR1b , And obtains a disparity map (520).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은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 사이의 시차를 레벨화한 것으로서,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가깝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먼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The disparity map 520 is obtained by leveling the parallax between the stereo images FR1a and FR1b. The larger the disparity level is, the closer the distance is from the vehicle, and the smaller the disparity level is, The distance can be calculated to be far.

한편, 이러한 디스패러티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높은 휘도를 가지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낮은 휘도를 가지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uch a disparity map is displayed, it may be displayed so as to have a higher luminance as the disparity level becomes larger, and a lower luminance as the disparity level becomes smaller.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28a,528b,528c,528d) 등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며, 공사 지역(522), 제1 전방 차량(524), 제2 전방 차량(526)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figure, first to fourth lanes 528a, 528b, 528c, and 528d have corresponding disparity levels in the disparity map 520, and the construction area 522, the first front vehicle 524 ) And the second front vehicle 526 have corresponding disparity levels, respectively.

세그멘테이션부(432)와,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디스패러티 맵(520)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세그먼트,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확인을 수행한다.The segmentation unit 432, the object detection unit 434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436 determine whether or not a segment, an object detection, and an object of at least one of the stereo images FR1a and FR1b based on the disparity map 520 Perform verification.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을 사용하여, 제2 스테레오 이미지(FR1b)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figure, using the disparity map 520, object detection and confirmation for the second stereo image FRlb is performed.

즉, 이미지(53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38a,538b,538c,538d), 공사 지역(532), 제1 전방 차량(534), 제2 전방 차량(536)이,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to fourth lanes 538a, 538b, 538c, and 538d, the construction area 532, the first forward vehicle 534, and the second forward vehicle 536 are included in the image 530, And verification may be performed.

다음, 도 5b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 구간 동안, 스테레오 카메라(195)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한다.Next, referring to FIG. 5B, during the second frame period, the stereo camera 195 acquires a stereo image.

프로세서(170) 내의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40)을 획득한다.The disparity calculating unit 420 in the processor 170 receives the stereo images FR2a and FR2b signal-processed by the image preprocessing unit 410 and performs stereo matching on the received stereo images FR2a and FR2b , And a disparity map (540).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4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48a,548b,548c,548d) 등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며, 공사 지역(542), 제1 전방 차량(544), 제2 전방 차량(546)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figure, the first to fourth lanes 548a, 548b, 548c, and 548d have corresponding disparity levels in the disparity map 540, and the construction area 542, the first forward vehicle 544 ) And the second front vehicle 546 have corresponding disparity levels, respectively.

세그멘테이션부(432)와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디스패러티 맵(540)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세그먼트,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확인을 수행한다.The segmentation unit 432, the object detection unit 434 and the object identification unit 436 determine whether or not a segment, an object detection, and an object of at least one of the stereo images FR2a and FR2b, based on the disparity map 540, Perform verification.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40)을 사용하여, 제2 스테레오 이미지(FR2b)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figure, using the disparity map 540, object detection and confirmation for the second stereo image FR2b is performed.

즉, 이미지(55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58a,558b,558c,558d), 공사 지역(552), 제1 전방 차량(554), 제2 전방 차량(556)이,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to fourth lanes 558a, 558b, 558c, and 558d, the construction area 552, the first forward vehicle 554, and the second forward vehicle 556 in the image 550,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오브젝트 트래킹부(440)는 도 5a와 도 5b를 비교하여, 확인된 오브젝트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tracking unit 440 can compare the FIG. 5A and FIG. 5B and perform tracking on the identified object.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트래킹부(440)는 도 5a와 도 5b에서 확인된, 각 오브젝트들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차선, 공사 지역, 제1 전방 차량, 제2 전방 차량 등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the object tracking unit 440 can track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object based on the motion or motion vector of each object identified in FIGS. 5A and 5B.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tracking on the lane, the construction area, the first forward vehicle, the second forward vehicle, and the like, which a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a 내지 도 3c의 운전자 보조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of FIGS. 3A to 3C.

먼저, 도 6a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레오 카메라(195)에서 촬영되는 차량 전방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차량 전방 상황을 버드 아이 뷰(bird eye view)로 표시한다.First, FIG. 6A is a view illustrating a vehicle frontal situation photographed by a stereo camera 195 provided inside a vehicle. In particular, the vehicle front view is indicated by a bird eye view.

도면을 참조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 차선(642a), 제2 차선(644a), 제3 차선(646a), 제4 차선(648a)이 위치하며, 제1 차선(642a)과 제2 차선(644a) 사이에 공사 지역(610a)이 위치하며, 제2 차선(644a)과 제3 차선(646a) 사이에 제1 전방 차량(620a)가 위치하며, 제3 차선(646a)과 제4 차선(648a) 사이에, 제2 전방 차량(630a)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a first lane 642a, a second lane 644a, a third lane 646a, and a fourth lane 648a are locat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and the first lane 642a and the second The construction area 610a is positioned between the lanes 644a and the first front vehicle 620a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lane 644a and the third lane 646a and the third lane 646a and the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forward vehicle 630a is disposed between the lane lines 648a.

다음, 도 6b는 운전자 보조 장치에 의해 파악되는 차량 전방 상황을 각종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6b와 같은 이미지는, 운전자 보조 장치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180), AVN 장치(400) 또는 디스플레이부(741)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Next, Fig. 6B illustrates display of the vehicle front situation, which is grasped by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together with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image as shown in FIG. 6B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the AVN apparatus 400, or the display unit 741 provided in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도 6b는 도 6a와 달리, 스테레오 카메라(195)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하여 정보 표시가 되는 것을 예시한다. 6B illustrates tha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stereo camera 195, unlike FIG. 6A.

도면을 참조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 차선(642b), 제2 차선(644b), 제3 차선(646b), 제4 차선(648b)이 위치하며, 제1 차선(642b)과 제2 차선(644b) 사이에 공사 지역(610b)이 위치하며, 제2 차선(644b)과 제3 차선(646b) 사이에 제1 전방 차량(620b)가 위치하며, 제3 차선(646b)과 제4 차선(648b) 사이에, 제2 전방 차량(630b)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A first lane 642b, a second lane 644b, a third lane 646b and a fourth lane 648b are locat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and the first lane 642b and the second The construction area 610b is located between the lanes 644b and the first front vehicle 620b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lane 644b and the third lane 646b and the third lane 646b and the fourth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forward vehicle 630b is disposed between the lane 648b.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에서 촬영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신호 처리하여,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선(642b), 제2 차선(644b), 제3 차선(646b), 제4 차선(648b)을 확인할 수 있다.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basis of the stereo image photographed by the stereo cameras 195a and 195b and outputs it to the construction area 610b, the first front vehicle 620b, the second front vehicle 630b You can see the object for. In addition, the first lane 642b, the second lane 644b, the third lane 646b, and the fourth lane 648b can be confirmed.

한편, 도면에서는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오브젝트 확인을 나타내기 위해, 각각 테두리로 하이라이트되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each of them is highlighted by a frame to indicate object identification for the construction area 610b, the first forward vehicle 620b, and the second forward vehicle 630b.

한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스테레오 카메라(195)에서 촬영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거리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area 610b, the first forward vehicle 620b, and the second forward vehicle 630b based on the stereo image taken by the stereo camera 195 .

도면에서는,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 각각에 대응하는, 연산된 제1 거리 정보(611b), 제2 거리 정보(621b), 제3 거리 정보(631b)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In the figure, calculated first distance information 611b, second distance information 621b, and third distance information 621b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area 610b, the first forward vehicle 620b, and the second forward vehicle 630b, respectively, Information 631b is displayed.

한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차량에 대한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속도 정보, 기어 정보, 차량의 회전각(요각)이 변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요 레이트 정보(yaw rate), 차량의 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receive the sensor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from the control unit 770 or the sensing unit 760.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display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gear information, the yaw rate indicating the speed at which the vehicle's rotational angle (yaw angle) changes, and the ang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도면에서는, 차량 전방 이미지 상부(670)에, 차량 속도 정보(672), 기어 정보(671), 요 레이트 정보(673)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며, 차량 전방 이미지 하부(680)에, 차량의 각도 정보(682)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 외, 차량의 폭 정보(683), 도로의 곡률 정보(681)가, 차량의 각도 정보(682)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figure illustrates that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672, the gear information 671 and the yaw rate information 673 are displayed on the vehicle front image upper portion 670. In the vehicle front image lower portion 680, Information 682 is displayed, but various examples are possible. Besides, the width information 683 of the vehicle and the curvature information 681 of the road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angle information 682 of the vehicle.

한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통신부(120)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 주행 중인 도로에 대한, 속도 제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속도 제한 정보(640b)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receive speed limit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the road running on the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the interface unit 130. In the figure, it is exemplified that the speed limitation information 640b is displayed.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다양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180) 등을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별도의 표시 없이,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도 있다.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hown in FIG. 6B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like, but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without a separate indication. And, by using such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applications.

도 7은 도 1의 차량(1)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7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1 in Fig.

차량(1)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운전자 보조 장치(10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710, an input unit 720, a sensing unit 760, an output unit 740, a vehicle driving unit 750, a memory 730, an interface unit 780, a control unit 770, A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an AVN device 400. [0033]

통신부(710)는 차량(1)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1)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1)과 타차량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1)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710 includes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mobile terminal 600,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external server 510, or between the vehicle 1 and another vehicle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7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vehicle 1 to one or more networks.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7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711, a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713,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714,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715.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7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Here, the broadcast includes a radio broadcast or a TV broadcast.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1)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vehicle 1 or externally.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712 send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For exampl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can exchange data with the external server 510 wirelessly.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712 can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510. [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713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may be a Bluetooth ™,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 UWB (Ultra Wideband), a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1)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1)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713 may 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713 can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wirelessly.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713 can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for example,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For example, when the user has boarded the vehicle 1, the user's mobile terminal 600 and the vehicle 1 can perform pairing with each other automatically or by executing the user's application.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1)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714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utilizes a GPS module, it can acquir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using a signal sent from the GPS satellite.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715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light receiving section can convert the light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nd receive the information.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photodiode (PD) for receiving light. Photodiodes can convert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For example, the light receiving section can receive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throug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front vehicle.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for converting an electric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preferably an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optical transmitter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optical transmitter can emit the optical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be integrated with the lamp provided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be at least one of a headlight, a tail light, a brake light, a turn signal lamp, and a car light. For example,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715 can exchange data with another vehicle through optical communication.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720 may include a driving operation unit 721, a camera 195, a microphone 723, and a user input unit 724.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1)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b),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operation means 721 receives a user input for driving the vehicle 1. The driving operation means 721 may include a steering input means 721a, a shift input means 721b, an acceleration input means 721c, and a brake input means 721d.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티어링 휠(12)을 포함할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teering input means 721a receives a forward direction input of the vehicle 1 from the user. The steering input means 721a may include a steering wheel 12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ering input means 721a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hift input means 721b receives the input of parking (P), forward (D), neutral (N), and reverse (R) of the vehicle 1 from the user. The shift input means 721b is preferably formed in a lever sha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hift input means 721b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cceleration input means 721c receives an input for acceleration of the vehicle 1 from the user. The brake input means 721d receives an input for decelerating the vehicle 1 from the user. The acceleration input means 721c and the brake input means 721d are preferably formed in a pedal sha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cceleration input means 721c or the brake input means 721d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카메라(195)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95)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1)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95)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199)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195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The camera 195 may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processes the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extracts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770.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1 may include a camera 195 for photographing a vehicle front image or a vehicle periphery image, and an internal camera 199 for photographing an in-vehicle image.

내부 카메라(199)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99)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internal camera 199 may obtain an image of the occupant. The internal camera 199 can acquire an image for biometrics of the occupant.

한편, 도 7에서는 카메라(195)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195)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자 보조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7, the camera 195 is included in the input unit 720. Howev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the camera 195 may include the camera 195 in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1)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723 can proces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into electrical data. The processed data can be variously utilized depending on the function being performed in the vehicle 1. [ The microphone 723 can convert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nto electrical data. The converted electrical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70.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camera 722 or the microphone 723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760 rather than a component included in the input unit 720. [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724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724, the control unit 77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putted information. The user input unit 724 may include touch input means or mechanical inp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724 may be located in one area of the steering wheel. In this case, the driver can operate the user input portion 724 with his / her finger while holding the steering wheel.

센싱부(760)는 차량(1)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스티어링 센서(steering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라이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760 senses a signal related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1 or the like.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760 may include a sensor, a steering sensor, a speed sensor, a tilt sensor, a weight sensor,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 gyro sensor, Position sensor, vehicle forward / backward sensor, battery sensor, fuel sensor, tire sensor, steering sensor by steering wheel rotation,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nternal humidity sensor, ultrasonic sensor, infrared sensor, radar, . ≪ / RTI >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에 구비된 카메라,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및 라이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획득된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차량(1)의 가속, 감속, 방향 전환 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환경 정보란, 주행 중인 차량(1)으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각종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 정보에는, 차량(1)으로부터 100m 내의 거리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수, 장애물까지의 거리, 장애물의 크기, 장애물의 유형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us, the sensing unit 760 can detect the vehicle collision information,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tilt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vehicle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humidity information,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and the like.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a device for driving the vehicle 1 on the basis of the surrounding information obtained by at least one of the camera, the ultrasonic sensor, the infrared sensor, the radar, It is possible to generate control signals for acceleration, deceleration, direction switching and the like. Here, the peripheral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from the vehicle 1 while driving. For example, the surround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obstacles located within a distance of 100 m from the vehicle 1,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the size of the obstacle, the type of the obstacle, and the like.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76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pedal sensor, a pressure sensor, an engine speed sensor, an air flow sensor AFS, an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ATS, a water temperature sensor WTS, A sensor (TPS), a TDC sensor, a crank angle sensor (CAS), and the like.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카메라(199)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내부 카메라(199)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760 may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senses and acqui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fingerprint information, iris-scan information, retina-scan information, hand geo-metry information,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 sensor that senses the passenger's biometric information. Here, the internal camera 199 and the microphone 723 can operate as sensors.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can acquire the hand shape information and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al camera 199.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740 is for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770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741, an acoustic output unit 742, and a haptic output unit 743. [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741 can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control unit 77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741 can display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Her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for direct control of the vehicle, 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a driving guide to the vehicle driver. Further,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or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74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74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724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user.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74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741 so that a control command can be received by a touch method.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741, the touch sensor senses the touch, and the control unit 77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a letter or a number, an instruction in various modes, a menu item which can be designated, and the like.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741 may include a cluster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or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hile driving. Clusters can be located on the dashboard. In this case, the driv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luster while keeping the gaze ahead of the vehicle.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741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Up Display (HUD). When the display unit 741 is implemented as a HUD, information can be output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provided in the windshield. 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741 may include a projection module to output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projected on the windshield.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742 converts an electric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77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or this purpose, the sound output unit 742 may include a speaker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sound output section 742 to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section 724. [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The haptic output unit 743 generates a tactile output. For example, the haptic output section 743 may vibrate the steering wheel, the seat belt, and the seat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o recognize the output.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와이퍼 구동부(75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e unit 7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of the vehicle. The vehicle driving unit 750 includes a power source driving unit 751, a steering driving unit 752, a brake driving unit 753, a lamp driving unit 754, an air conditioning driving unit 755, a window driving unit 756, an airbag driving unit 757, A driving unit 758 and a wiper driving unit 759. [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1)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1)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가속 장치 및 차량(1)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drive unit 751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power source in the vehicle 1. [ The power source drive section 751 may include an accelerator for increa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1 and a decelerator for decrea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1. [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ossil fuel-based engine (not shown) is a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751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n the engine. Thus, the output torque of the engine and the like can be controlled. When the power source drive unit 751 is an engine, the speed of the vehicle can be limited by limiting the engine output torq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70. [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electric motor (not shown) is a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751 can perform control on the motor. Thus, the rotation speed, torque, etc.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조향 구동부(752)는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1)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구동부(752)에는 조향토크센서, 조향각센서 및 조향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2)에 가하는 조향토크는 조향토크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1)의 속도 및 조향토크 등을 기초로, 조향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조향력과 조향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향 구동부(752)는 조향각센서에 의해 획득된 조향각 정보를 기초로, 차량(1)의 주행방향이 제대로 조절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1)이 저속 주행 시에는 조향모터의 조향력을 증가시켜 스티어링 휠(12)의 무게감을 낮추고, 차량(1)이 고속 주행 시에는 조향모터의 조향력을 감소시켜 스티어링 휠(12)의 무게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자율 주행 기능이 실행된 경우, 조향 구동부(752)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12)을 조작하는 상황(예, 조향토크가 감지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센싱부(760)가 출력하는 센싱 신호 또는 프로세서(170)가 제공하는 제어신호 등을 기초로, 조향모터가 적절한 조향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steering driver 752 may include a steering apparatus. Thus, the steering driver 752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steering apparatus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steering driver 752 may be provided with a steering torque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steering motor, and the steering torque applied by the driver to the steering wheel 12 may be sensed by the steering torque sensor. The steering driver 752 can control the steering force and the steering angle by changing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1 and the steering torque. In addition, the steering driver 752 can determine whether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is properly adjusted based on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teering angle sensor. Thereby,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changed. In addition, the steering driver 752 reduces the weight of the steering wheel 12 by increasing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otor when the vehicle 1 is running at a low speed, and reduces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otor when the vehicle 1 is running at a high speed The weight of the steering wheel 12 can be increased. When the autonomous running function of the vehicle 1 is executed, the steering driver 752 can control the steering unit 760 even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12 (e.g., a situation in which the steering torque is not detected) Based on a sensing signal output by the steering angle sensor 170 or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or the like.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1)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The brake driver 753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brake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1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s disposed on the wheels.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to the left or right by differently operating the brak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 구동부(754)는 조명 장치에 포함된 램프 각각이 출력하는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헤드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lamp driver 754 may control the turn-on / turn-off of at least one or more lamps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The lamp driver 754 may include a lighting device. Further, the lamp driving unit 754 can control intensity, direction, etc. of light output from each of the lamps included in the illuminating devic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for a direction indicating lamp, a head lamp, a brake lamp, and the like.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1)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driving unit 755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n an air conditioner (not shown)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high, the air conditioner can be operated to control the cool air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1)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window driving unit 756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window apparatus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sid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windows.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1)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irbag driving unit 757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airbag apparatus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in case of danger, the airbag can be controlled to fire.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1)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The sunroof driving unit 758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unroof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sunroof can be controlled.

와이퍼 구동부(759)는 차량(1)에 구비된 와이퍼(14a, 14b)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구동부(759)는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와이퍼를 구동할 것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와이퍼(14a, 14b)의 구동 횟수, 구동 속도 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와이퍼 구동부(759)는 센싱부(760)에 포함된 레인센서(rain sensor)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빗물의 양 또는 세기를 판단하여, 사용자 입력없이도 와이퍼(14a, 14b)를 자동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The wiper driving unit 759 can perform control on the wipers 14a and 14b provided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wiper driver 759 may provide an electronic control for the number of drives, drive speeds, etc. of the wipers 14a, 14b in response to user input upon receipt of a user input instructing to drive the wiper via the user input 724. [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wiper driving unit 759 may determine the amount or intensity of the rainwater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rain sensor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760 so that the wipers 14a and 14b may be used without user input, Can be automatically driven.

한편, 차량 구동부(750)는 서스펜션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는 차량(1)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driving unit 750 may further include a suspension driving unit (not shown). The suspension driving unit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uspension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 [ For example, when there is a curvature on the road surfa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spension device so as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1. [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7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70. The memory 770 may store basic data for the uni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and input / output data. The memory 790 may be, in hardwar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and the like. The memory 730 may store various data for operation of the entire vehicle 1,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770. [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1)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780 may serve as a pathway to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780 may include a port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through the port.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780 can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Meanwhile, the interface unit 780 may serve as a channel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the connected mobile terminal 600. The interface unit 780 provides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790 to the mobile terminal 6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70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780 do.

제어부(770)는, 차량(1)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vehicle 1. [ The control unit 770 may be referred to as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77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790 can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70. Particularly, the power supply unit 770 can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in the vehicle.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는 제어부(770)로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에서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차량(1)의 주행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exchange data with the control unit 770. [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be output to the controller 770. The control unit 770 can control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driver's auxiliary device 100. [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VN (Audio Video Navigation) device 400 can exchange data with the control unit 770. The control unit 770 can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AVN apparatus 400 or a separate navigation device (not shown). Here,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et destin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map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driving, or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한편,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차량(1)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차량(1)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7 may not be essential for realizing the vehicle 1. Fig. Thus, the vehicle 1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차량(1)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vehicle 1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한다(S800). 본 발명에 있어서, 영상 확장 모드란, 차량(1)의 주변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과 타차량의 주변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차량(1)의 주변 영상을 '메인 영상'이라고 칭하고, 타차량의 주변 영상을 '서브 영상'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한편,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은, 각 영상을 생성한 주체가 차량(1)인지 타차량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or 170 enters the image enlargement mode (S8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expansion mode means a mode of generating an extended image by using at least a part of the peripheral image of the vehicle 1 and at least a part of the peripheral image of the other vehicle. Hereinafter, a peripheral image of the vehicle 1 will be referred to as a 'main image', and a peripheral image of another vehicle will be referred to as a 'sub image'. On the other hand,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whether the subject generating each image is the vehicle 1 or another vehicle,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17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 시,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When the processor 170 satisfies the predetermined condition, the processor 170 can enter the image enlargement mode.

예를 들어, 입력부(110)가 영상 확장 모드로의 진입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시,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은 터치, 음성, 버름 누름, 제스처 등 다양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user input that commands entry into the video enhancement mode, the processor 170 may enter the video enhancement mode. In this case, the user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various forms such as touch, voice, pushing, gesture, and the like.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센싱부(760)가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험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주변 환경 정보를 기초로, 타차량 등의 각종 오브젝트가 차량(1)으로부터 기준 거리(예, 2m) 내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 시, 사고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calculate the risk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ing unit 760 of the vehicle 1, and if the calculated risk exceeds the reference value, can do. When the processor 170 judges that various objects such as another vehicle approach the vehicle 1 within a reference distance (for example, 2 m)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risk of an accident is great, .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속도가 기준속도(예, 10km) 미만으로 서행하는 경우,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enter the image enlargement mod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1 slows down to less than a reference speed (e.g., 10 km).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이 주차 모드에 진입 시,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enter the image expansion mode when the vehicle 1 enters the parking mode.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95-198)를 이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한다(S805).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 시, 도 2b에 도시된 복수개의 카메라(195-198)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턴온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메인 영상은 차량(1)의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processor 170 generates a main image using at least one camera 195-198 (S805).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170 enters the image enlargement mode, the processor 170 may turn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95-198 shown in FIG. 2B to generate a main image. That is, the main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ront image, a left image, a right image, and a rear image of the vehicle 1.

이때, 메인 영상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인 영상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라운드 뷰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영상은 차량(1)의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main image may vary. For example, the main image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For example, the main image may be a forward image, a left image, a right image, and a left image of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2C.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is an all-view image including all the backward images.

이어서,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 또는 710)를 이용하여,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수신한다(S810). 즉, 통신부(120 또는 71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타차량으로부터 서브 영상을 수신한다. 여기서, 서브 영상은 타차량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다.Subsequently, the processor 170 receives the sub-image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S810).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receives a sub-image from another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 Here, the sub video is an image generated by a camera provided in another vehicle.

통신부(120 또는 710)는 타차량으로부터 직접 서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20 또는 710)는 차량 간 통신망(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를 기반으로, 타차량으로부터 직접 서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can receive the sub video directly from the other vehicl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may receive a sub-image directly from another vehicle based on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통신부(120 또는 7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중개를 통해,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타차량은 서브 영상을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외부 서버는 타차량이 전송한 서브 영상을 차량에 구비된 운전자 보조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may receive a sub-image generated by another vehicle through intermedi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other vehicle transmits the sub-image to the external server, and the external server can transmit the sub-image transmitted by the other vehicle to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provided in the vehicle.

이때, 서브 영상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브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브 영상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라운드 뷰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브 영상 역시 메인 영상과 유사하게, 타차량의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ub image may be various. For example, the sub-image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For example, the sub-image may include a forward image, a left-side image, and a left-eye image of the other vehicle, similar to the main imag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is an all-view image including both the right-side image and the backward image, and the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또한, 통신부(120 또는 710)는 복수의 타차량 각각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20 또는 710)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서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can receive the sub-image generat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can receive a plurality of different sub-images.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기 설정된 조건 또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복수개의 서브 영상 중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복수개의 서브 영상 중 장애물이 나타나는 서브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서브 영상은 후술할 단계 S815에서 이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may select some of the plurality of sub-images based on predetermined conditions or user inputs.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select a sub-image in which an obstacle appears among a plurality of sub-images. The selected sub-image can be used in step S815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 또는 710)를 이용하여 복수의 타차량 중 특정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만을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can receive only the sub-images generated by the specific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vehicles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전방에 위치하는 타차량 및 후방에 위치하는 타차량 중, 전방에 위치하는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만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20 또는 71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to receive only the sub-image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positioned in the front of the other vehicle positioned in front of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position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1, Can be controlled.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 또는 기 설정된 조건(예, 교통 상황, 날씨 등)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만을 수신하도록 통신부(120 또는 710)를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17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to receive only sub-images generated by other vehicles located at points corresponding to user inputs or predetermined conditions (e.g., traffic conditions, weather, etc.) Can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통신부(120 또는 71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특정 타차량에 대하여 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특정 타차량이 상기 영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한 서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transmits a video request signal to a specific other vehicle, and receives a sub video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video request signal have.

한편, 통신부(120 또는 710)는 차량(1)의 위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 또는 710)이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차량(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주의 구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주의 구간은 예를 들어, 교차로, 오르막길, 내리막길, 횡단보도, 주차장, 터널, 좁은길, 커브길 등 운전자의 주의가 요구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주의 구간의 종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주의 구간 내에 위치하는 타차량에 대하여 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20 또는 7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120 또는 710)는 주의 구간 내에 위치하는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수신하고, 프로세서(170)는 해당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차량(1)의 운전자에게는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는 주의 구간에 대한 실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can further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 Accordingly, the processor 17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ttention interv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1,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The attention section may include sections requiring attention of the driver, such as an intersection, an uphill, a downhill, a crosswalk, a parking lot, a tunnel, a narrow road, or a curve road. The type of attention interva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user input.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to transmit a video request signal to the other vehicle positioned within the attention period.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receives the sub-image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positioned within the attention zone, and the processor 170 can generate the extended image using the sub-imag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provide a real image of a section of the road which is not directly visible.

한편, 도 8에는 단계 S805가 단계 S810에 선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단계 S805와 단계 S810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단계 S810가 단계 S805에 선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8, although step S805 is shown as preceding to step S810, this is an example, and steps S805 and S81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tep S810 may precede step S805.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한다(S815). 즉,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과 서브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을 합하여, 메인 영상보다 넓은 시야 범위를 가지는 영상인,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Next, the processor 170 generates an extended image using the main image and the sub-image (S815). That is,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n extended image, which is an image having a wider field of view than the main image, by sum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main imag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ub-image.

이 경우, 확장 영상에 포함되는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은 상호 중첩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의 촬영범위와 타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범위 중 공통된 범위가 존재하는 경우,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에는 중첩된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included in the extended image may have portions overlapping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re is a common range between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nd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there may exist overlapping portions between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have.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에 중첩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중첩 영역을 기초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을 조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portion overlapped with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the processor 170 can generate an extended image by combining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based on the overlap area.

또는, 확장 영상에 포함되는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은 중첩되는 부분없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의 촬영범위 밖에 타차량에 위치하는 경우,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에는 중첩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를 합한 확장 영상에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이 서로 떨어져 나타난다.Alternatively,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included in the extended imag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out overlapping portions. For example, in a case where the camera is located outside th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there are no overlapped portions between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Therefore, Sub images appear apart from each other.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 또는 710)가 수신한 차량(1)의 위치 정보 및 타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을 조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중첩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을 조합 시,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차체 방향 정보 및 타차량의 차체 방향 정보에 더 기초하여,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을 조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의 차체 방향 정보는 차량(1)의 센싱부(760)에 의해 획득된 것이고, 타차량의 차체 방향 정보는 통신부(120 또는 710)에 의해 수신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can generate the extended image by combining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In addition, when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which do not overlap each other are combined,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based on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extended image. The vehicle body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is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760 of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body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may be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

한편, 프로세서(17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속도에 따라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속도가 제1 속도인 경우, 3초마다 확장 영상을 업데이트하고, 차량(1)의 속도가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인 경우, 1초마다 확장 영상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n extended image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In the case where the extended image is periodically generated, the processor 170 may change the period of generating the extended imag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1. [ For example, if the speed of the vehicle 1 is the first speed, the extended image is updated every three seconds. If the speed of the vehicle 1 is a second speed higher than the first speed, You can update it.

종래에는,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의 촬영범위에 속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즉, 메인 영상)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타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의 촬영범위에 속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즉, 서브 영상)을 추가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limitation that only an image (i.e., a main image) of an area belonging to a photographing range of a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can be provided to a user. However, 100) can additionally provide the user with an image (i.e., a sub-image) for an area belonging to th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As a result,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driver on board the vehicle 1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이어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을 기초로, 차량(1)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S820). Subsequently, the processor 170 executes at least one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s related to the vehicle 1 based on the extended image (S820).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에 포함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 중, 서브 영상에만 나타나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영상에만 나타나는 장애물이란, 차량(1)의 시야 범위에는 속하지 않지만, 서브 영상을 제공한 타차량의 시야 범위에는 속하는 장애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에 대한 정보에는, 장애물의 위치, 크기, 색상, 형상, 유형, 움직임 등 장애물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an obstacle appearing only in the sub-image, among the main image and the sub-image included in the extended image. Here, an obstacle appearing only in the sub-image may mean an obstacle belonging to the field of view of another vehicle that does not belong to the field of view of the vehicle 1 but provides the sub-image. The information on the obstacle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stacle such as the position, size, color, shape, type, and motion of the obstacle.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1)의 속도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조향 구동부(752), 동력원 구동부(751), 브레이크 구동부(753)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영상만을 제공받는 경우에 비하여, 장애물에 의한 사고 위험성이 저감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hat commands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1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70 may control the steering driver 752, the power source driver 751, the brake driver 753, and the lik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rocessor 170. [ Thus, the risk of an accident caused by an obstacle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a case where only a main image is provided.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을 기초로, 차량(1)이 주행 가능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장 영상은 메인 영상보다 넓은 시야 범위를 가지므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에 나타나는 차량(1)과 타차량 간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차량(1)의 현 위치로부터 차량(1)의 시야 범위를 벗어난 위치까지를 연결하는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path through which the vehicle 1 can travel based on the extended image. Specifically, the extended image has a wider field of view than that of the main image. Therefor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ehicle 1 is moving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 To a position outside the visual range of the camera.

이 경우,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되는 차량(1)이 주행 가능한 경로는 복수개일 수 있는바,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 또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개의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경로에 대한 자율 주행 모드에 진입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차량(1)의 제어부(770)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ath that the vehicle 1 generated by the processor 170 can travel is plural, and the processor 170 can select at least any one of a plurality of paths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a predetermined priority hav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instruct the control unit 770 of the vehicle 1 to enter the autonomous mode for the selected route.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 및 확장 영상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및 AVN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프로세서(17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에 확장 영상만을 표시하거나, 확장 영상과 관련된 정보만을 표시하거나 또는 둘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hat commands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extended image and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xtended image. That i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AVN apparatus 4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rocessor 170 Only the extended image, only th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xtended image, or both can be displayed.

이때,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및 AVN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면을 복수개의 서브 화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서브 화면마다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서브 화면 중 어느 하나에는 확장 영상을 표시하고, 나머지 서브 화면 중 어느 하나에는 확장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70 divides the screen of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AVN apparatus 400 into a plurality of sub-screens , Different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for each divided sub-screen. For example, the extended image may be display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screens,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tended image may be displayed on any of the remaining sub-screens.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 중, 장애물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소정의 시각 효과를 부여하도록,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및 AVN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영상 중, 장애물의 실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적색으로 주기적으로 점멸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also controls the display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unit 100 and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to give a predetermined visual effect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ctual position of the obstacle, ) And the AVN apparatus 400. [0064] FIG.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periodically blink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ctual position of the obstacle in red, of the extended image.

또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확장 영상을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및 AVN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게 확장 영상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가면서, 차량(1)의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데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The processor 170 also controls the display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the display portion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AVN device 400 (not shown) to rotate and display the extended image by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driver can help recogn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1 while rotating the extended imag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his / her preference.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에서 차량(1)과 타차량을 서로 다르게 표시하도록,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및 AVN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의 차량 이미지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서브 영상의 타차량 이미지는 청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also controls the display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the display portion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AVN device (not shown) of the vehicle 1, 400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vehicle image of the mai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may be displayed in red, and the other vehicle image of the sub image may be displayed in blue.

후술할 도 9a 내지 도 22b에서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하여 생성하는 확장 영상 및 그에 관한 정보는 AVN 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9A to 22B, it is assumed that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has entered the image expansion mode. It is also assumed that the extended image generated by the driver auxiliary apparatus 100 entering the image enlargement mode and information about the extended imag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A to 9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9a는 차량(1)의 전방에 1대의 타차량(2)이 근접한 상황의 탑뷰를 예시한다. 차량(1)과 타차량(2)은 동일 차로 내에서, 모두 정지한 상태이거나, 동일 속도로 주행 중인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First, FIG. 9A illustrates a top view in a situation where one other vehicle 2 is in the front of the vehicle 1. It is assumed that both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2 are in the same lane or in a stopped state or in a traveling state at the same speed.

도 9a에 따르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는 제1 범위(911)를 촬영하고, 타차량(2)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2 범위(921)를 촬영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범위(911)와 제2 범위(921)에는 중첩 영역(931)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중첩 영역(931)이란, 제1 범위(911)와 제2 범위(921)에 공통적으로 속하여,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 및 타차량(2)에 장착된 카메라 모두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9A,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photographs the first range 91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2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92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an overlap region 931 may exist in the first range 911 and the second range 921. That is, the overlap region 931 is a region commonly belonging to the first range 911 and the second range 921, and includes a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nd a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2 Quot; means an area photographed by all.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1 범위(9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941)을 예시한다. 메인 영상(9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가 제1 범위(91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메인 영상(94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9B illustrates a main image 9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911 shown in FIG. 9A. It is assumed that the main image 941 is an ambient view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veling images (for example, the front image, the left side image, the right side image, and the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first range 911 by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s a basis, the main image 941 can be generated.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942)가 중앙에 배치된 메인 영상(941)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942)는 예컨대, 프로세서(170)가 직접 생성한 것이거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140) 또는 차량(1)의 메모리(7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따르면, 중첩 영역(931)은 제1 범위(911)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메인 영상(941)의 전방에는 타차량(2)의 후방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main image 941 in which an image 94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is centered. The image 94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may be generated directly by the processor 170 or stored in the memory 14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r the memory 730 of the vehicle 1 . 9A, since the overlap area 931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range 911, a part of the rear vehicle body of the other vehicle 2 may appear in front of the main image 941. FIG.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제2 범위(921)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951)을 예시한다. 서브 영상(9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941)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차량(2)은 제2 범위(92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서브 영상(95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9C illustrates a sub-image 95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921 shown in FIG. 9A. It is assumed that the sub-image 951 is the same as the main image 941, as shown in FIG. The other vehicle 2 can generate the sub image 951 based on the running image (e.g., the forward image, the left image, the right image, and the back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second range 921 .

또한, 서브 영상(951)의 중앙에는, 타차량(2)에 대응하는 이미지(9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a에 따르면, 중첩 영역(931)은 제2 범위(921)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서브 영상(951)의 후방에는 차량(1)의 전방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e 95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2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b image 951. 9A, since the overlap area 931 is located behind the second range 921, a part of the front body of the vehicle 1 may appear behind the sub image 951. [

도 9d는 도 9a에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1)의 실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차량(1)의 운전자는 윈드 쉴드를 통해 전방에 위치하는 타차량(2)을 주시할 수 있다. FIG. 9D is a view showing an indoor state of the vehicle 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9A. Referring to Fig. 9D,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watch the other vehicle 2 positioned ahead through the windshield.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9b에 도시된 메인 영상(941)과 도 9c에 도시된 서브 영상(951)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96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도 9a에 도시된 메인 영상(941) 중 중첩 영역(93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과, 서브 영상(951) 중 중첩 영역(93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메인 영상(941) 및 서브 영상(9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크기 등을 변경한 후, 이를 합성함으로써, 확장 영상(96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메인 영상(941)의 범위를 전방으로 확장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영상(961)은, 차량(1)과 타차량(2)을 마치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일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an generate the extended image 961 by using the main image 941 shown in FIG. 9B and the sub image 951 shown in FIG. 9C while entering the image expansion mode.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931 of the main image 941 shown in FIG. 9A and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931 of the sub-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extended image 961 by changing the direction, size, etc.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941 and the sub image 951 and then combining them with each other. That i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n image that extends the range of the main image 941 forward. In this case, the extended image 961 may be an overview image such as looking down on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2 from above.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961)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차량(1)에 구비된 AVN 장치(400),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및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also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extended image 961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VN apparatus 400 provided in the vehicle 1, the display section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0064]

이에,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장치(400)는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961)을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와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역시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96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AVN 장치(400) 각각의 화면 크기 및 비율을 기초로, 확장 영상(961)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9D, the AVN apparatus 400 can display the extended image 96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lso display the extended image 96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based on the screen size and the ratio of each of the display section 741 of the vehicle 1, the display section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AVN device 400, the processor 170 selects the extended image 961 )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운전자는 메인 영상(941) 및 서브 영상(951)이 함께 나타나는 확장 영상(961)을 통해 차량(1)의 주변 상황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단순히 메인 영상(941)만을 제공받는 경우에 비하여, 전방으로 범위가 넓어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The driver visually confirms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1 through the extended image 961 in which the main image 941 and the sub image 951 are display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한편,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영상은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영역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바, 이하에서 계속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extended image generated by the processor 170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an invisible area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A to 10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a는 차량(1)의 전방에 1대의 타차량(3)이 근접한 상황의 탑뷰를 예시한다. 차량(1)과 타차량(3)은 동일 차로 내에서, 모두 정지한 상태이거나, 동일 속도로 주행 중이고, 타차량(3)의 전방에는 장애물(31)이 존재하는 상황인 것으로 가정한다.First, FIG. 10A illustrates a top view in a situation where one other vehicle 3 is clos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1. FIG. It is assumed that both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3 are in a stopped state or traveling at the same speed in the same lane and the obstacle 31 exists in front of the other vehicle 3. [

도 10a에 따르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는 제1 범위(1011)를 촬영하고, 타차량(3)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2 범위(1021)를 촬영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범위(1011)와 제2 범위(1021)에는 중첩 영역(1031)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중첩 영역(1031)이란, 제1 범위(1011)와 제2 범위(1021)에 공통적으로 속하여,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 및 타차량(3)에 장착된 카메라 모두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10A,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photographs the first range 101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3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1021. Fig.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the overlap region 1031 may exist in the first range 1011 and the second range 1021. That is, the overlap area 1031 is a region commonly belonging to the first range 1011 and the second range 1021, and includes a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nd a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3 It may mean an area photographed by all.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제1 범위(10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1041)을 예시한다. 메인 영상(10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가 제1 범위(101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메인 영상(104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0B illustrates a main image 10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011 shown in FIG. 10A. It is assumed that the main image 1041 is an ambient view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veling images (for example, front image, left side image, right side image, and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first range 1011 of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s a basis, the main image 1041 can be generated.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042)가 중앙에 배치된 메인 영상(1041)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042)는 예컨대, 프로세서(170)가 직접 생성한 것이거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140) 또는 차량(1)의 메모리(7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따르면, 중첩 영역(1031)은 제1 범위(1011)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메인 영상(1041)의 전방에는 타차량(3)의 후방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the main image 1041 in which the image 104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is arranged in the center. The image 104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may be generated directly by the processor 170 or stored in the memory 140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or the memory 730 of the vehicle 1 . 10A, since the overlap area 1031 is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range 1011, a part of the rear vehicle body of the other vehicle 3 may appear in front of the main image 1041. [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제2 범위(1021)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1051)을 예시한다. 서브 영상(10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1041)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차량(3)은 제2 범위(102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서브 영상(105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0C illustrates a sub image 105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021 shown in FIG. 10A. It is assumed that the sub-image 1051 is the same as the main image 1041, as shown in FIG. The other vehicle 3 can generate the sub image 1051 based on the running image (e.g., the forward image, the left image, the right image, and the back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second range 1021 .

또한, 서브 영상(1051)의 중앙에는, 타차량(3)에 대응하는 이미지(10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a를 다시 참조하면, 중첩 영역(1031)은 제2 범위(1021)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서브 영상(1051)의 후방에는 차량(1)의 전방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An image 105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3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b image 1051. [ 10A, since the overlap area 1031 is located behind the second range 1021, a part of the vehicle body ahead of the vehicle 1 may appear behind the sub image 1051. [

한편, 도 9a에 도시된 상황과는 달리, 도 10a에 따르면, 타차량(3)의 전방에는 장애물(31)이 존재하고, 장애물(31)은 타차량(3)의 촬영 범위인 제2 범위(1021)에 속한다. 이에 따라, 타차량(3)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1051)의 전방에는 장애물(31)이 나타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situation shown in Fig. 9A, according to Fig. 10A, the obstacle 31 exists in front of the other vehicle 3, and the obstacle 31 is in the second range (1021). As a result, the obstacle 31 appears in front of the sub image 1051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3.

도 10d는 도 10a에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1)의 실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d를 참조하면, 차량(1)의 운전자는 윈드 쉴드를 통해 전방에 위치하는 타차량(3)을 주시할 수 있다. 다만, 장애물(31)은 타차량(3)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1)의 운전자는 윈드 쉴드를 통해 타차량(3)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장애물(31)에 대한 확인은 불가능하다.Fig. 10D is a view showing an indoor state of the vehicle 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0A. Referring to Fig. 10D,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watch the other vehicle 3 positioned ahead through the windshield. However, since the obstacle 31 is located in front of the other vehicle 3,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only confirm the other vehicle 3 through the windshield, Do.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0b에 도시된 메인 영상(1041)과 도 10c에 도시된 서브 영상(1051)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106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도 10a에 도시된 메인 영상(1041) 중 중첩 영역(103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과, 서브 영상(1051) 중 중첩 영역(103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메인 영상(1041) 및 서브 영상(10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크기 등을 변경한 후, 이를 합성함으로써, 확장 영상(106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메인 영상의 범위를 전후 방향으로 확장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영상(1061)은, 차량(1)과 타차량(3) 모두를 마치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일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an generate the extended image 1061 by using the main image 1041 shown in FIG. 10B and the sub image 1051 shown in FIG. 10C in the image enlargement mode.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the video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1031 of the main video 1041 shown in FIG. 10A and the video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1031 among the sub-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extended image 1061 by changing the direction, size, etc.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1041 and the sub image 1051 and combining them afterwards. That i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n image in which the range of the main image is exten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is case, the extended image 1061 may be an all-view image such as looking down on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3 from above.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1061)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차량(1)에 구비된 AVN 장치(400), 디스플레이부(741) 및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extended image 1061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VN apparatus 400, the display unit 741, and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m.

이에,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장치(400)는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061)을 표시할 수 있다. 확장 영상(1061)에는 메인 영상(1041)은 물론 서브 영상(1051)의 적어도 일부분이 포함되므로, 차량(1)의 운전자는 메인 영상(1041)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는 장애물(31)을, 서브 영상(1051)이 부가된 확장 영상(106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1)의 운전자는 타차량(3)에 의해 가려져, 윈드 쉴드를 통해서는 확인이 불가능한 장애물(31)을 확장 영상(1061)을 통해 미리 인지하고, 주의를 기울여 차량(1)의 감속, 제동, 방향 등을 조작함으로써, 사고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10D, the AVN apparatus 400 can display the extended image 106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 Since the extended image 1061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sub image 1051 as well as the main image 1041,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recognize the obstacle 31 existing at a position that can not be confirmed by the main image 1041 alone And the extended image 1061 to which the sub-image 1051 is added. As a result, the driver of the vehicle 1 is caught by the other vehicle 3, recognizes the obstacle 31, which can not be confirmed through the windshield, through the extended image 1061 in advance, The risk of accident can be reduced by operating the deceleration, braking,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vehicle.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와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역시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06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AVN 장치(400) 각각의 화면 크기 및 비율을 기초로, 확장 영상(1061)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re also connected to the extended image 106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based on the screen size and the ratio of each of the display section 741 of the vehicle 1, the display section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AVN device 400, the processor 170 extracts the extended image 1061 )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A to 11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1a는 차량(1)의 측방에 1대의 타차량(4)이 근접한 상황의 탑뷰를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의 우측에 타차량(4)이 위치하고, 차량(1)과 타차량(4) 각각은 서로 근접한 두 차로 내에서, 모두 정지한 상태이거나, 동일 속도로 주행 중인 상태이며, 차량(1)의 전방에는 어떠한 오브젝트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First, Fig. 11A illustrates a top view in a situation in which one other vehicle 4 is close to the side of the vehicle 1.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ther vehicle 4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4 are both stopped in the two lanes close to each other, And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1.

도 11a에 따르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는 제1 범위(1111)를 촬영하고, 타차량(4)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2 범위(1121)를 촬영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범위(1111)와 제2 범위(1121)에는 중첩 영역(1131)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중첩 영역(1131)이란, 제1 범위(1111)와 제2 범위(1121)에 공통적으로 속하여,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 및 타차량(4)에 장착된 카메라 모두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According to Fig. 11A,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photographs the first range 111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4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1121. Fig.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the overlap region 1131 may exist in the first range 1111 and the second range 1121. That is, the overlap area 1131 is a region commonly belonging to the first range 1111 and the second range 1121, and includes a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nd a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4 Quot; means an area photographed by all.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제1 범위(11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1141)을 예시한다. 메인 영상(11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가 제1 범위(111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메인 영상(114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1B illustrates a main image 11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111 shown in FIG. 11A. It is assumed that the main image 1141 is an ambient view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has taken a traveling image (e.g., a front image, a left side image, a right side image, and a rear image) As a basis, the main image 1141 can be generated.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142)가 중앙에 배치된 메인 영상(1141)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142)는 예컨대, 프로세서(170)가 직접 생성한 것이거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140) 또는 차량(1)의 메모리(7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따르면, 중첩 영역(1131)은 제1 범위(1111)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메인 영상(1141)의 우측에는 타차량(4)의 좌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main image 1141 in which an image 114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is centered. The image 114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may be created directly by the processor 170 or stored in the memory 14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r the memory 730 of the vehicle 1 . 11A, since the overlap region 1131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ange 1111, a part of the left vehicle body of the other vehicle 4 may appear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image 1141. [

도 11c는 도 11a에 도시된 제2 범위(1121)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1151)을 예시한다. 서브 영상(11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1141)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차량(4)은 제2 범위(112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서브 영상(115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1C illustrates a sub image 115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121 shown in FIG. 11A. It is assumed that the sub image 1151 is the same as the main image 1141, as shown in FIG. The other vehicle 4 can generate the sub image 1151 based on the running image (e.g., the forward image, the left image, the right image, and the back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second range 1121 .

또한, 서브 영상(1151)의 중앙에는, 타차량(4)에 대응하는 이미지(11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따르면, 중첩 영역(1131)은 제2 범위(1121)의 좌측에 위치하므로, 서브 영상(1151)의 좌측에는 차량(1)의 우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An image 115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4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b image 1151. 11A, since the overlap area 113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range 1121,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may appear on the left side of the sub image 1151. [

도 11d는 도 11a에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1)의 실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d를 참조하면, 차량(1)의 운전자는 윈드 쉴드를 통해 전방의 상황을 직접 주시할 수 있다. 도 11a을 다시 참조하면, 타차량(4)은 차량(1)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운전자는 차량(1)의 윈드 쉴드를 통해 타차량(4)을 확인할 수 없다.Fig. 11D is a view showing an indoor state of the vehicle 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1A. Referring to FIG. 11D,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directly observe the forward situation through the windshield. 11A, since the other vehicle 4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the driver can not identify the other vehicle 4 through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1. [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1b에 도시된 메인 영상(1141)과 도 11c에 도시된 서브 영상(1151)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116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도 11a에 도시된 메인 영상(1141) 중 중첩 영역(113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과, 서브 영상(1151) 중 중첩 영역(113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메인 영상(1141) 및 서브 영상(11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크기 등을 변경한 후, 이를 합성함으로써, 확장 영상(116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메인 영상의 범위를 좌우 방향으로 확장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영상(1161)은, 차량(1)과 타차량(4)을 마치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일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an generate the extended image 1161 by using the main image 1141 shown in FIG. 11B and the sub image 1151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the video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1131 of the main video 1141 shown in Fig. 11A and the video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1131 among the sub video 1151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extended image 1161 by changing the directions, sizes, etc.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1141 and the sub image 1151 and then synthesizing them. That i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n image in which the range of the main image is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extended image 1161 may be an overview image such as looking down on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4 from above.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1161)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차량(1)에 구비된 AVN 장치(400), 디스플레이부(741) 및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장치(400)는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161)을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와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역시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16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AVN 장치(400) 각각의 화면 크기 및 비율을 기초로, 확장 영상(1161)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extended image 1161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VN apparatus 400, the display unit 741, and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m. 11D, the AVN apparatus 400 may display the extended image 116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also display the extended image 116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based on the screen size and ratio of each of the display section 741 of the vehicle 1, the display section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AVN device 400, the processor 170 displays the extended image 1161 )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운전자는 메인 영상(1141) 및 서브 영상(1151)이 함께 나타나는 확장 영상(1161)을 통해 차량(1)의 주변 상황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단순히 메인 영상(1141)만을 제공받는 경우에 비하여, 우측방으로 범위가 넓어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The driver visually confirms the peripheral situation of the vehicle 1 through the extended image 1161 in which the main image 1141 and the sub image 1151 are display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to the room.

한편,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영상은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영역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바, 이하에서 계속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extended image generated by the processor 170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an invisible area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A to 12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2a는 차량(1)의 측방에 1대의 타차량(5)이 근접한 상황의 탑뷰를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의 우측에 타차량(5)이 위치하고, 차량(1)과 타차량(5) 각각은 서로 근접한 두 차로 내에서, 모두 정지한 상태이거나, 동일 속도로 주행 중인 상태이며, 차량(1)의 전방에는 어떠한 오브젝트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First, Fig. 12A illustrates a top view in a situation where one other vehicle 5 is close to the side of the vehicle 1.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ther vehicle 5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5 are both stopped in the two lanes close to each other, And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1.

한편, 도 11a에 도시된 상황과는 달리, 타차량(5)의 우측에는 보행자(41)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량(1)의 운전자는 타차량(5)에 의해 가려진 보행자(41)를 확인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situation shown in FIG. 11A,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pedestrian 41 exists on the right side of the other vehicle 5. In such a situation, it is considerably difficult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1 to identify the pedestrian 41 covered by the other vehicle 5. [

도 12a에 따르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는 제1 범위(1211)를 촬영하고, 타차량(5)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2 범위(1221)를 촬영한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범위(1211)와 제2 범위(1221)에는 중첩 영역(1231)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중첩 영역(1231)이란, 제1 범위(1211)와 제2 범위(1221)에 공통적으로 속하여,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 및 타차량(5)에 장착된 카메라 모두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According to Fig. 12A,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photographs the first range 121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5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1221. Fig.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an overlap region 1231 may exist in the first range 1211 and the second range 1221. [ That is, the overlap area 1231 is a region commonly belonging to the first range 1211 and the second range 1221, and the cameras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5 Quot; means an area photographed by all.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제1 범위(12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1241)을 예시한다. 메인 영상(12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가 제1 범위(121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메인 영상(124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2B illustrates a main image 12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211 shown in FIG. 12A. It is assumed that the main image 1241 is an ambient view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veling images (for example, the front image, the left side image, the right side image, and the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first range 1211 by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s a basis, the main image 1241 can be generated.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242)가 중앙에 배치된 메인 영상(1241)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242)는 예컨대, 프로세서(170)가 직접 생성한 것이거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140) 또는 차량(1)의 메모리(7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2a에 따르면, 중첩 영역(1231)은 제1 범위(1211)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메인 영상(1241)의 우측에는 타차량(5)의 좌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main image 1241 in which the image 124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is centered. The image 124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may be generated directly by the processor 170 or stored in the memory 140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or the memory 730 of the vehicle 1 . 12A, since the overlap area 1231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ange 1211, a part of the left vehicle body of the other vehicle 5 may appear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image 1241. [

도 12c는 도 12a에 도시된 제2 범위(1221)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1251)을 예시한다. 서브 영상(12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1241)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차량(5)은 제2 범위(122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서브 영상(1251)을 생성할 수 있다. 12C illustrates a sub image 125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221 shown in FIG. 12A. It is assumed that the sub-image 1251 is the same as the main image 1241, as shown in FIG. The other vehicle 5 can generate the sub image 1251 based on the running image (e.g., front image, left side image, right side image, and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second range 1221 .

또한, 서브 영상(1251)의 중앙에는, 타차량(5)에 대응하는 이미지(125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2a를 다시 참조하면, 중첩 영역(1231)은 제2 범위(1221)의 좌측에 위치하므로, 서브 영상(1251)의 좌측에는 차량(1)의 우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An image 125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5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b image 1251. [ 12A, since the overlap area 123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range 1221,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may appear on the left side of the sub image 1251. [

한편, 도 11a에 도시된 상황과는 달리, 도 12a에 따르면, 타차량(5)의 우측에는 보행자(41)가 존재하고, 보행자(41)는 타차량(5)의 촬영 범위인 제2 범위(1221)에 속한다. 이에 따라, 타차량(5)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1251)의 우측에는 보행자(41)가 나타나게 된다.12A, the pedestrian 41 is present on the right side of the other vehicle 5, and the pedestrian 41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other vehicle 5 in the second range (1221). Thus, the pedestrian 41 appears on the right side of the sub image 1251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5.

도 12d는 도 12a에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1)의 실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d를 참조하면, 보행자(41)는 타차량(5)의 우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1)의 운전자는 윈드 쉴드를 통해 타차량(5)은 물론 보행자(41)에 대한 확인이 어렵다.12D is a view showing an indoor state of the vehicle 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2A. 12D, since the pedestrian 41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other vehicle 5,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1 to confirm the pedestrian 41 as well as the other vehicle 5 through the windshield .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2b에 도시된 메인 영상(1241)과 도 12c에 도시된 서브 영상(1251)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126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도 12a에 도시된 메인 영상(1241) 중 중첩 영역(123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과, 서브 영상(1251) 중 중첩 영역(123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메인 영상(1241) 및 서브 영상(12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크기 등을 변경한 후, 이를 합성함으로써, 확장 영상(126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메인 영상의 범위를 전후 방향으로 확장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영상(1261)은, 차량(1)과 타차량(5) 모두를 마치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일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an generate the extended image 1261 by using the main image 1241 shown in FIG. 12B and the sub image 1251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1231 in the main image 1241 shown in Fig. 12A and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1231 in the sub-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extended image 1261 by changing the direction, size, etc.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1241 and the sub image 1251 and then synthesizing them. That i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n image in which the range of the main image is exten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this case, the extended image 1261 may be an all-view image such as looking down on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5 from above.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1261)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차량(1)에 구비된 AVN 장치(400), 디스플레이부(741) 및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extended image 1261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VN apparatus 400, the display unit 741, and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m.

이에,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장치(400)는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261)을 표시할 수 있다. 확장 영상(1261)에는 메인 영상(1241)은 물론 서브 영상(1251)의 적어도 일부분이 포함되므로, 차량(1)의 운전자는 메인 영상(1241)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는 보행자(41)를, 서브 영상(1251)이 부가된 확장 영상(126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1)의 운전자는 타차량(5)에 의해 가려져, 메인 영상만(1241)으로는 확인이 불가능한 보행자(41)를 확장 영상(1261)을 통해 미리 인지하고, 주의를 기울여 차량(1)의 감속, 제동, 방향 등을 조작함으로써, 사고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12D, the AVN apparatus 400 can display the extended image 126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 The extended image 1261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main image 1241 as well as the sub image 1251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recognize the pedestrian 41 existing at a position that can not be confirmed only by the main image 1241 And an extended image 1261 to which a sub image 1251 is added. As a result, the driver of the vehicle 1 recognizes the pedestrian 41, which is hidden by the other vehicle 5 and can not be confirmed by only the main video 1241, through the extended video 1261, The risk of accident can be reduced by operating the deceleration, braking, direction, etc. of the vehicle 1.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와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역시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26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AVN 장치(400) 각각의 화면 크기 및 비율을 기초로, 확장 영상(1261)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re also connected to the extended image 126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based on the screen size and ratio of each of the display section 741 of the vehicle 1, the display section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AVN device 400, the processor 170 displays the extended image 1261 )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한편, 도 9a 내지 도 12d에서는, 차량(1)에 근접한 타차량(즉 차량(1)의 메인 영상과 공통된 부분을 가지는 서브 영상을 생성하는 타차량)이 1대인 경우를 중심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에 근접한 타차량이 복수인 경우에도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9A to 12D, the case where one vehicle close to the vehicle 1 (that is, another vehicle that generates a sub image having a portion common to the main image of the vehicle 1) is described as a cen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 extended image even when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close to the vehicle 1 are pres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A to 13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3a는 주차 구획(1300)의 탑뷰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구획(1300) 내에는 차량(1), 차량(1) 좌측의 타차량(6) 및 차량(1) 우측의 타차량(7)이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First, FIG. 13A illustrates a top view of the parking section 1300. FIG.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ehicle 1, the other vehicle 6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7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are located in the parking space 1300.

도 13a에 따르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는 제1 범위(1311)를 촬영하고, 타차량(6)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2 범위(1321)를 촬영하며, 타차량(7)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3 범위(1331)를 촬영한다. 13A,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photographs the first range 1311,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6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1321, The camera mounted on the vehicle 7 photographs the third range 1331. [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범위(1311)와 제2 범위(1321)에는 제1 중첩 영역(1341)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1 범위(1311)와 제3 범위(1331)에는 제2 중첩 영역(1342)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1 중첩 영역(1341)이란, 제1 범위(1311)와 제2 범위(1321)에 공통적으로 속하여,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 및 타차량(6)에 장착된 카메라 모두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중첩 영역(1342)이란, 제1 범위(1311)와 제3 범위(1331)에 공통적으로 속하여,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 및 타차량(7)에 장착된 카메라 모두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a first overlap region 1341 may exist in the first range 1311 and the second range 1321. In addition, a second overlapping region 1342 may exist in the first range 1311 and the third range 1331. [ That is, the first overlapping area 1341 is a region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range 1311 and the second range 1321 and is attached to the cameras 195-198 and the other vehicles 6 mounted on the vehicle 1 Which is photographed by all of the cameras.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1342 is a region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range 1311 and the third range 1331 and is attached to the camera 195-198 and the other vehicle 7 mounted on the vehicle 1 Which is photographed by all of the cameras.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제1 범위(13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1351)을 예시한다. 메인 영상(13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가 제1 범위(131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메인 영상(1351)을 생성할 수 있다. 13B illustrates a main image 135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311 shown in FIG. 13A. It is assumed that the main image 1351 is an ambient view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veling images (e.g., front image, left side image, right side image, and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first range 1311 of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s a basis, the main image 1351 can be generated.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352)가 중앙에 배치된 메인 영상(1351)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352)는 예컨대, 프로세서(170)가 직접 생성한 것이거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140) 또는 차량(1)의 메모리(7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main image 1351 in which an image 135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is centered. The image 135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may be generated directly by the processor 170 or stored in the memory 14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r the memory 730 of the vehicle 1 .

또한, 도 13a에 따르면, 제1 중첩 영역(1341)은 제1 범위(1311)의 좌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13b와 같이, 메인 영상(1351)의 좌측에는 타차량(6)의 우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제2 중첩 영역(1342)은 제1 범위(1311)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메인 영상(1351)의 우측에는 타차량(7)의 좌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13A, the first overlap region 134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range 1311. [ Therefore, as shown in FIG. 13B,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other vehicle 6 may appear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image 1351. Since the second overlapping area 1342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ange 1311, a part of the left vehicle body of the other vehicle 7 may appear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image 1351.

도 13c는 도 13a에 도시된 제2 범위(1321)에 대응하는 제1 서브 영상(1361)을 예시한다. 제1 서브 영상(13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1351)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차량(6)은 제2 범위(132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제1 서브 영상(1361)을 생성할 수 있다. 13C illustrates a first sub-image 136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321 shown in FIG. 13A.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sub-image 1361 is the same as the main image 1351, as shown in FIG. The other vehicle 6 generates the first sub-image 1361 based on the running image (e.g., the forward image, the left-side image, the right-side image, and the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second range 1321 .

또한, 제1 서브 영상(1361)의 중앙에는, 타차량(6)에 대응하는 이미지(136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3a에 따르면, 제1 중첩 영역(1341)은 제2 범위(1321)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제1 서브 영상(1361)의 우측에는 차량(1)의 좌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Also, an image 136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6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ub-image 1361. 13A, since the first overlapping area 1341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range 1321, a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 may appear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ub-image 1361.

도 13d는 도 13a에 도시된 제3 범위(1331)에 대응하는 제2 서브 영상(1371)을 예시한다. 제2 서브 영상(13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1351)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차량(7)은 제3 범위(133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제2 서브 영상(137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3D illustrates a second sub-image 1371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nge 1331 shown in FIG. 13A.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sub-image 1371 is the same as the main image 1351, as shown in FIG. The other vehicle 7 generates the second sub-image 1371 based on the traveling image (e.g., the forward image, the left-side image, the right-side image, and the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third range 1331 .

또한, 제2 서브 영상(1371)의 중앙에는, 타차량(7)에 대응하는 이미지(137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3a에 따르면, 제2 중첩 영역(1342)은 제3 범위(1331)의 좌측에 위치하므로, 제2 서브 영상(1371)의 좌측에는 차량(1)의 우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e 137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7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sub-image 1371. 13A, since the second overlapping area 1342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range 1331,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may appear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ub-image 1371. [

도 13e는 도 13a에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1)의 실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3b에 도시된 메인 영상(1351)과 도 13c에 도시된 제1 서브 영상(1361) 및 도 13d에 도시된 제2 서브 영상(1371)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1381)을 생성할 수 있다. 13E is a view showing an indoor state of the vehicle 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3A. Fig. The processor 170 enters the image enlargement mode. The main image 1351 shown in FIG. 13B, the first sub-image 1361 shown in FIG. 13C, and the second sub-image 1371 shown in FIG. The extended image 1381 can be generated.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도 13a에 도시된 메인 영상(1351) 중 제1 중첩 영역(134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과, 제1 서브 영상(1361) 중 제1 중첩 영역(134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메인 영상(1351) 및 제1 서브 영상(13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크기 등을 변경한 후, 이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도 13a에 도시된 메인 영상(1351) 중 제2 중첩 영역(1342)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과, 제2 서브 영상(1371) 중 제2 중첩 영역(1342)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메인 영상(1351) 및 제2 서브 영상(13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크기 등을 변경한 후, 이를 조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convert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verlapping region 1341 of the main image 1351 shown in FIG. 13A and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verlapping region 1341 of the first sub- The sizes and the lik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1351 and the first sub image 1361 may be changed so that the imag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main image 1351 and the first sub image 1361 may be changed and combined. The processor 170 also stores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1342 of the main image 1351 shown in Fig. 13A and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1342 of the second sub- The size and the lik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1351 and the second sub image 1371 may be changed and combined so that the image portions of the main image 1351 and the second sub image 1371 are matched with each other.

일 예로, 주차 구획(1300)을 이루는 주차선의 폭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1351)에 나타나는 주차선의 폭이, 제1 서브 영상(1361)에 나타나는 주차선의 폭의 2배인 경우, 메인 영상(1351)의 크기를 1/2로 축소하거나, 제1 서브 영상(1361)의 크기를 2배 확대한 후, 메인 영상(1351)과 제1 서브 영상(1361)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제2 서브 영상(1371)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식을 통해, 메인 영상(1351)과 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차량에 의해 생성된 영상들을 이질감 없이 조합하여, 확장 영상(1381)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width of the parking line constituting the parking section 1300 is constant,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that the width of the parking line shown in the main image 1351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parking line shown in the first sub- The size of the main image 1351 is reduced to 1/2 or the size of the first sub image 1361 is doubled and then the main image 1351 and the first sub image 1361 are combined can do.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can combine the second sub-image 1371 with the main image 1351 in the same manner. Accordingly, the images generated by the different vehicles can be combined without any distortion to generate the extended image 1381.

결과적으로,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메인 영상(1351)의 범위를 좌우 방향으로 모두 확장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영상(1381)은, 차량(1)과 두 타차량(6, 7)을 마치 동시에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일 수 있다. As a result, the driver assisting apparatus 100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n image in which the range of the main image 1351 is extended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extended image 1381 may be an overview image such as looking down on the vehicle 1 and two other vehicles 6, 7 at the same time.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1381)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차량(1)에 구비된 AVN 장치(400), 디스플레이부(741) 및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장치(400)는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381)을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와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역시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38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AVN 장치(400) 각각의 화면 크기 및 비율을 기초로, 확장 영상(1381)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extended image 1381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VN apparatus 400, the display unit 741, and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m. 13E, the AVN apparatus 400 can display the extended image 138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lso display the extended image 138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based on the screen size and the ratio of each of the display section 741 of the vehicle 1, the display section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AVN device 400, the processor 170 displays the extended image 1381 )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운전자는 메인 영상(1351), 제1 서브 영상(1361) 및 제2 서브 영상(1371)이 함께 나타나는 확장 영상(1381)을 통해 차량(1)의 주변 상황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단순히 메인 영상(1351)만을 제공받는 경우에 비하여, 좌측 및 우측으로 범위가 넓어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The driver visually confirms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1 through the extended image 1381 in which the main image 1351, the first sub-image 1361 and the second sub-image 1371 are displayed together, 1351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to the left and right sides.

한편, 도 13a 내지 도 13e에서는 두 타차량(6, 7)이 차량(1)의 좌우에 위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두 타차량(6, 7)이 차량(1)의 전후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하나의 타차량(6)은 차량(1)의 좌측에 위치하고, 나머지 타차량(7)은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13A to 13E, the case where two vehicles 6 and 7 are locat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vehicle 1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even when two vehicles 6 and 7 are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1, an extended image can be generated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n another example, even when one riding vehicle 6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remaining other vehicles 7 ar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1, Can be generated.

한편,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되는 확장 영상은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영역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바, 이하에서 계속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extended image generated by the processor 170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an invisible area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A to 14E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4a는 주차 구획(1400)의 탑뷰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구획(1400) 내에는 차량(1), 차량(1) 좌측의 타차량(8) 및 차량(1) 우측의 타차량(9)이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도 14a를 도 13a와 비교할 때, 타차량(9)의 근처에서 보행자(51)가 차량(1)을 향하여 이동 중인 상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First, FIG. 14A illustrates a top view of the parking zone 1400. FIG. A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vehicle 1, the other vehicle 8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9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are located in the parking space 1400. 14A differs from FIG. 13A in that the pedestrian 51 is moving toward the vehicle 1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vehicle 9. FIG.

도 14a에 따르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는 제1 범위(1411)를 촬영하고, 타차량(8)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2 범위(1421)를 촬영하며, 타차량(9)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3 범위(1431)를 촬영한다. 14A,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photographs the first range 1411,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8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1421, The camera mounted on the vehicle 9 photographs the third range 1431.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범위(1411)와 제2 범위(1421)에는 제1 중첩 영역(1441)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1 범위(1411)와 제3 범위(1431)에는 제2 중첩 영역(1442)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제1 중첩 영역(1441)이란, 제1 범위(1411)와 제2 범위(1421)에 공통적으로 속하여,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 및 타차량(8)에 장착된 카메라 모두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중첩 영역(1442)이란, 제1 범위(1411)와 제3 범위(1431)에 공통적으로 속하여,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 및 타차량(9)에 장착된 카메라 모두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을 의미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a first overlap region 1441 may exist in the first range 1411 and the second range 1421. In addition, a second overlapping region 1442 may exist in the first range 1411 and the third range 1431. That is, the first overlapping area 1441 is a part commonly belonging to the first range 1411 and the second range 1421 and is attached to the cameras 195-198 and the other vehicles 8 mounted on the vehicle 1 Which is photographed by all of the cameras. The second overlap region 1442 is a region commonly included in the first range 1411 and the third range 1431 and is attached to the camera 195-198 and the other vehicle 9 mounted on the vehicle 1 Which is photographed by all of the cameras.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제1 범위(14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1451)을 예시한다. 메인 영상(14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가 제1 범위(141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메인 영상(145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4B illustrates a main image 145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411 shown in FIG. 14A. It is assumed that the main image 1451 is an ambient view image,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veling image (e.g., the front image, the left side image, the right side image, and the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first range 1411 of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As a basis, the main image 1451 can be generated.

프로세서(170)는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452)가 중앙에 배치된 메인 영상(1451)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452)는 예컨대, 프로세서(170)가 직접 생성한 것이거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140) 또는 차량(1)의 메모리(73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main image 1451 in which an image 145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is centered. The image 145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may be generated directly by the processor 170 or stored in the memory 14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r the memory 730 of the vehicle 1 .

또한, 도 14a에 따르면, 제1 중첩 영역(1441)은 제1 범위(1411)의 좌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14b와 같이, 메인 영상(1451)의 좌측에는 타차량(8)의 우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제2 중첩 영역(1442)은 제1 범위(1411)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메인 영상(1451)의 우측에는 타차량(9)의 좌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 14A, the first overlap region 144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range 1411.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4B, a part of the right side of the other vehicle 8 may appear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image 1451. FIG. Since the second overlap region 1442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range 1411, a portion of the left vehicle body of the other vehicle 9 may appear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image 1451.

다만, 메인 영상(1451)에는 보행자(51)가 나타나지 않으며, 보행자(51)는 타차량(9)에 의해 가려져 있다. 따라서, 차량(1)의 운전자가 메인 영상(1451)만에 의존하여, 주차 구획(1400)을 빠져나가기 위해 주행하는 경우, 차량(1)을 향하여 이동 중인 보행자(51)와의 충돌 사고 우려가 존재한다.However, the pedestrian 51 does not appear in the main image 1451, and the pedestrian 51 is hidden by the other vehicle 9. Therefore,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1 travels in order to leave the parking zone 1400 depending on only the main image 1451,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with the pedestrian 51 moving toward the vehicle 1 do.

도 14c는 도 14a에 도시된 제2 범위(1421)에 대응하는 제1 서브 영상(1461)을 예시한다. 제1 서브 영상(14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1451)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차량(8)은 제2 범위(142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제1 서브 영상(146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4C illustrates a first sub-image 146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421 shown in FIG. 14A.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sub-image 1461 is an arousal view image such as the main image 1451, as shown in FIG. The other vehicle 8 generates the first sub-image 1461 based on the running image (e.g., the forward image, the left-side image, the right-side image, and the rear imag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second range 1421 .

또한, 제1 서브 영상(1461)의 중앙에는, 타차량(8)에 대응하는 이미지(146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4a에 따르면, 제1 중첩 영역(1441)은 제2 범위(1421)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제1 서브 영상(1461)의 우측에는 차량(1)의 좌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e 146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8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sub-image 1461. 14A, since the first overlap area 1441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range 1421, a part of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 may appear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ub video 1461.

도 14d는 도 14a에 도시된 제3 범위(1431)에 대응하는 제2 서브 영상(1471)을 예시한다. 제2 서브 영상(14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영상(1451)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차량(9)은 제3 범위(1431)를 촬영하여 생성한 주행 영상(예,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기초로, 제2 서브 영상(1471)을 생성할 수 있다. FIG. 14D illustrates a second sub-image 1471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nge 1431 shown in FIG. 14A.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sub-image 1471 is the same as the main image 1451 as shown in FIG. The other vehicle 9 generates the second sub image 1471 based on the running image (e.g., the forward image, the left image, the right image, and the back image) photographed in the third range 1431 .

또한, 제2 서브 영상(1471)의 중앙에는, 타차량(9)에 대응하는 이미지(147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4a에 따르면, 제2 중첩 영역(1442)은 제3 범위(1431)의 좌측에 위치하므로, 제2 서브 영상(1471)의 좌측에는 차량(1)의 우측 차체 일부가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an image 147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9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ub-image 1471. 14A, since the second overlap region 1442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third range 1431, a por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1 may appear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ub image 1471. [

도 14e는 도 14a에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1)의 실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프로세서(170)는 영상 확장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도 14b에 도시된 메인 영상(1451)과 도 14c에 도시된 제1 서브 영상(1461) 및 도 14d에 도시된 제2 서브 영상(1471)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1481)을 생성할 수 있다. 14E is a view showing an indoor state of the vehicle 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4A. Fig. The processor 170 enters the image enlargement mode. The main image 1451 shown in Fig. 14B, the first sub-image 1461 shown in Fig. 14C, and the second sub-image 1471 shown in Fig. The extended image 1481 can be generated.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도 14a에 도시된 메인 영상(1451) 중 제1 중첩 영역(144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과, 제1 서브 영상(1461) 중 제1 중첩 영역(1441)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메인 영상(1451) 및 제1 서브 영상(14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크기 등을 변경한 후, 이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도 14a에 도시된 메인 영상(1451) 중 제2 중첩 영역(1442)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과, 제2 서브 영상(1471) 중 제2 중첩 영역(1442)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서로 일치하도록, 메인 영상(1451) 및 제2 서브 영상(14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향, 크기 등을 변경한 후, 이를 조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convert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verlapping region 1441 of the main image 1451 shown in FIG. 14A and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verlapping region 1441 of the first sub- The sizes and the lik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1451 and the first sub image 1461 may be changed so that the imag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main image 1451 and the first sub image 1461 are merged.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corresponds to the imag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1442 of the main image 1451 shown in Fig. 14A and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144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verlapping region 1442 of the second sub- The size, and the lik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1451 and the second sub image 1471 may be changed so that the imag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main image 1451 and the second sub image 1471 are matched with each other.

일 예로, 주차 구획(1400)을 이루는 주차선의 폭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1451)에 나타나는 주차선의 폭이, 제1 서브 영상(1461)에 나타나는 주차선의 폭의 2배인 경우, 메인 영상(1451)의 크기를 1/2로 축소하거나, 제1 서브 영상(1461)의 크기를 2배 확대한 후, 메인 영상(1451)과 제1 서브 영상(1461)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제2 서브 영상(1471)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식을 통해, 메인 영상(1451)과 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차량에 의해 생성된 영상들을 이질감 없이 조합하여, 확장 영상(1481)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width of the parking line constituting the parking section 1400 is constant,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that the width of the parking line shown in the main image 1451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parking line shown in the first sub- The size of the main image 1451 is reduced to 1/2 or the size of the first sub image 1461 is doubled and then the main image 1451 and the first sub image 1461 are combined can do.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combine the second sub-image 1471 with the main image 1451 through the same method. Accordingly, the images generated by the different vehicles can be combined with no distortion to generate the extended image 1481.

결과적으로,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메인 영상(1451)의 범위를 좌우 방향으로 모두 확장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영상(1481)은, 차량(1)과 두 타차량(8, 9)을 마치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 영상일 수 있다.  As a result,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provide the driver with an image in which the range of the main image 1451 is expanded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extended image 1481 can be an overview image such as looking down on the vehicle 1 and two other vehicles 8, 9 from the top.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1481)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차량(1)에 구비된 AVN 장치(400), 디스플레이부(741) 및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장치(400)는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481)을 표시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extended image 1481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AVN apparatus 400, the display unit 741, and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m. 14E, the AVN apparatus 400 can display the extended image 148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와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역시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 상에 확장 영상(1481)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AVN 장치(400) 각각의 화면 크기 및 비율을 기초로, 확장 영상(1481)이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1 and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lso display the extended image 1481 on the screen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Can be displayed. At this time, based on the screen sizes and ratios of the display section 741 of the vehicle 1, the display section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AVN device 400, the processor 170 displays the extended image 1481 )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운전자는 메인 영상(1451), 제1 서브 영상(1461) 및 제2 서브 영상(1471)이 함께 나타나는 확장 영상(1481)을 통해 차량(1)의 주변 상황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단순히 메인 영상(1451)만을 제공받는 경우에 비하여, 좌측 및 우측으로 범위가 넓어진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의 시야 또는 메인 영상(1451)만으로는 시야 확보가 곤란한 위치에 존재하는 보행자(51) 등의 오브젝트를, AVN 장치(400) 등에 표시되는 확장 영상(1481)을 통해 인지하고, 주의를 기울여 차량(1)을 조작할 수 있다.The driver visually confirms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1 through the extended image 1481 in which the main image 1451, the first sub image 1461 and the second sub image 1471 are displayed together, 1451)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field of view to the left and right sides. Particularly, when an object such as the pedestrian 51 existing in a posi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view is displayed only on the basis of the driver's vision or the main image 1451 boarded on the vehicle 1, the extended image 1481 displayed on the AVN apparatus 400 or the like And can operate the vehicle 1 with care.

도 13a 내지 도 14e에서는 차량(1)에 근접한 타차량이 2대인 상황을 예시하였으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타차량인 3대 이상인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을 통해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13A to 14E illustrate the situation in which there are two vehicles close to the vehicle 1,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can generate an extended image through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ree or more vehicles are presen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과 근접하지 않은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Meanwhile,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 extended image using a sub-image generated by another vehicle not adjacent to the vehicle 1, Let's take a look.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5A to 15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5a는 교차로(1500)에 대한 탑뷰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1500)에 근접하여, 차량(1) 및 3대의 서로 다른 타차량(10, 11, 12)이 주행 중인 상황인 것으로 가정한다. First, FIG. 15A illustrates a top view of an intersection 1500. As shown,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1 and the three different vehicles 10, 11, 12 are running in the vicinity of the intersection 1500.

도 15a에 따르면, 차량(1)에 장착된 카메라(195-198)는 제1 범위(1511)를 촬영하고, 타차량(10)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2 범위(1521)를 촬영하며, 타차량(11)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3 범위(1531)를 촬영하고, 타차량(12)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4 범위(1541)를 촬영한다.15A, the camera 195-198 mounted on the vehicle 1 photographs the first range 1511,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10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1521, The camera mounted on the vehicle 11 photographs the third range 153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12 photographs the fourth range 1541. [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범위(1411)는 제2 범위 내지 4 범위(1521, 1531, 1541) 중 어느 것과도 중첩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타차량(10)과 타차량(11)은 서로 근접하여, 제2 범위(1521)와 제3 범위(1531)은 서로 중첩되는 영역(1571)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range 1411 may not have a region overlapping any of the second to fourth ranges 1521, 1531, and 1541. On the other hand, the other vehicle 10 and the other vehicle 11 are close to each other, and a region 1571 overlapping the second range 1521 and the third range 1531 may be formed.

도 15b는 도 15a에 도 15a에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1)에 구비된 AVN 장치(400)의 화면을 예시한다. AVN 장치(400)의 화면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운전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Fig. 15B illustrates a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provided in the vehicle 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5A and Fig. 15A. It is assumed that a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i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and can receive a touch input of a driver.

AVN 장치(400)의 화면에는, 차량(1)의 현 위치에 대응하는 구간에 내비게이션 영상(1510)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통신부(120 또는 710)가 수신한 차량(1)의 위치 정보를,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메모리(140) 또는 차량(1)의 메모리(730)에 저장된 전자 맵에 매칭하여, 매칭된 부분에 대한 내비게이션 영상(1510)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AVN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 영상(1510)에는 차량(1)의 현 위치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1511)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navigation image 1510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in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of the vehicle 1 to the memory 14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or the memory of the vehicle 1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VN apparatus 400 with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navigation image 1510 for the matched por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electronic map stored in the electronic map 730. [ At this time, an indicator 1511 for guid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1 may be displayed on the navigation image 1510.

한편, 교차로(1500) 내에서, 차량(1)과 근접한 타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바,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제1 범위(14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1551)과 공통 부분을 가지는 서브 영상을 수신할 수 없다.In contrast, in the intersection 1500, there is no other vehicle close to the vehicle 1, and thu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is provided with the main image 155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411, The image can not be received.

이 경우,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타차량 즉, 제1 범위(1411)와의 중첩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제2 범위 내지 내지 4 범위(1521, 1531, 1541)를 촬영하는 타차량(10, 11, 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er assisting apparatus 100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to the fourth range 1521, 1531, 1541 in which the overlapping area with the other vehicle, that is, the first range 1411 is not formed, 11, and 12, and receive the sub-image generated by the selected other vehicle.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차량(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타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select another vehicle located at a point remote from the vehicle 1 based on the user input.

도 15b를 다시 참조하면, 운전자는 AVN 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영상(1510)의 전체 영역 중 일 지점(P1)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터치된 지점(P1)은 내비게이션 영상(1510) 상에서 소정의 시각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내비게이션 영상(1510)의 전체 영역 중 터치된 지점(P1)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교차로(1500)의 부분에서 주행 중인 타차량(10, 11)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5B, the driver can touch one point P1 of the entire area of the navigation image 151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visual effect may occur on the navigation image 1510 at the touched point P1. The processor 170 can identify the other vehicles 10 and 11 running in the portion of the intersection 1500 corresponding to the area including the touched point P1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navigation image 1510. [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전자 맵 중, 터치된 지점(P1)에 매칭되는 GPS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 또는 710)를 이용하여, 상기 GPS 좌표값에 대응하는 교차로(1500)의 실제 위치에서 주행 중인 타차량(10, 11)에 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타차량(10, 11)이 상기 영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한 서브 영상을, 통신부(120 또는 710)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obtain a GPS coordinate value that matches the touched point P1 of the electronic map. The processor 170 may then transmit the video request signal to the other vehicles 10 and 11 running at the actual position of the intersection 1500 corresponding to the GPS coordinates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receive the sub-image transmitted by the other vehicles 10 and 11 in response to the video request signal,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

도 15c는 확장 영상(1520)이 표시되는 AVN 장치(400)의 화면을 예시한다. 프로세서(170)는 AVN 장치(400)의 화면을 둘 이상의 서브 화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화면마다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AVN 장치(400)의 화면을 제1 서브 화면(S1) 및 제2 서브 화면(S2)으로 분할하여, 제1 서브 화면(S1)에는 내비게이션 영상(1510)을 표시하며, 제2 서브 화면(S2)에는 확장 영상(1520)을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5c에는 AVN 장치(4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 차량의 디스플레이부(741) 역시 프로세서(170)가 제공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을 복수개의 서브 화면으로 분할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15C illustrates a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in which the extended video 1520 is displayed. The processor 170 may divide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into two or more sub-screens and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for each sub-screen. The processor 170 divides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into the first sub screen S1 and the second sub screen S2 and displays the navigation image 1510 on the first sub screen S1, And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extended image 1520 on the second sub screen S2 may be generated. The display unit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display unit 741 of the vehicle are also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processor 170,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ub-screen can be divided into two sub-screens.

한편, 두 타차량(10, 11)의 촬영 범위(1521, 1531)는 중첩 영역(1571)이 존재므로, 확장 영상(1520)에 포함된 서브 영상(1561)에는, 타차량(10)에 대응하는 이미지(1562) 및 타차량(11)에 대응하는 이미지(1572)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verlapping areas 1571 exist in the shooting ranges 1521 and 1531 of the two other vehicles 10 and 11, the sub image 1561 included in the extended image 1520 corresponds to the other vehicle 10 And the image 157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 11 may be displayed together.

또한, 두 타차량(10, 11)의 촬영 범위인 제2 범위(1521) 및 제3 범위(1531)은 제1 범위(1511)와 겹치는 영역이 없으므로, 확장 영상(1520)에는 메인 영상(1551)과 서브 영상(1561)이 분리된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range 1521 and the third range 1531 which are the imaging ranges of the two vehicles 10 and 11 do not overlap the first range 1511, the extended image 1520 includes the main image 1551 ) And the sub image 1561 may be displayed in a separated stat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위치 정보 및 두 타차량(10, 11)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두 타차량(10, 11)이 차량(1)으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판단된 결과를 기초로, 메인 영상(1551)과 서브 영상(1561)이 소정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확장 영상(1520)을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two vehicles 10 and 11,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how far the two other vehicles 10 and 11 are moving in the vehicle 1 .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n extended image 1520 in which the main image 1551 and the sub image 1561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A to 16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예, 300m)에 주의 구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주의 구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warning s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300 meters) from the vehicle 1, An extended image can be generated using an image.

구체적으로, 통신부(120 또는 710)가 차량(1)의 위치 정보(예, GPS 좌표값)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70)는 해당 위치 정보 및 메모리(140 또는 730)에 저장된 전자 맵을 기초로, 차량(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주의 구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맵에는 도로 정보(예, 방지턱, 도로폭, 교통표지판), 시설물 정보(예, 병원, 골프장, 공원) 등 차량(1)이 주행할 수 있는 경로에 대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전자 맵에 포함된 각종 정보 중, 차량(1)의 GPS 좌표값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주의 구간을 식별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receiv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e.g., GPS coordinate value) of the vehicle 1, the processor 170 calculat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map stored in the memory 140 or 730 ,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re is an attention perio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1. [ For example, the electronic map may includ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bout a route on which the vehicle 1 can travel, such as road information (e.g., bump, road width, traffic sign), facility information (e.g., hospital, golf course, park) have. Therefore, the processor 170 can identify the interval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PS coordinate value of the vehicle 1 amo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lectronic map.

여기서, 주의 구간이란, 차량(1)의 운전자가 일상적인 주행 상황에 비하여, 더욱 더 주의를 가져야 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차로, 오르막길, 내리막길, 횡단보도, 주차장, 터널, 좁은길, 커브길, 포트홀 등이 주의 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주의 구간의 개수, 유형, 우선 순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Here, the attention period may mean a section in which the driver of the vehicle 1 must pay more attention than the ordinary running situation. For example, an intersection, an uphill, a downhill, a crosswalk, a parking lot, a tunnel, a narrow road, a curve road, and a porthole may be included in the section of the state. The processor 170 may change the number, type, priority, etc. of the attention interval according to user input.

프로세서(170)는 차량(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복수개의 주의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상위 소정 개수의 주의 구간만을 안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an guide only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attention periods in the order of higher priority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ttention interval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1. [

또한, 프로세서(170)는 차량(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복수개의 주의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복수개의 주의 구간에 내비게이션 화면 등에서 시각적으로 서로 다르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주의 구간을 적색으로 표시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주의 구간을 청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can control so tha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ttention interval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1, the plurality of attention intervals are visually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navigation screen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priority order. For example, the state of the highest priority may be displayed in red, and the state of the lowest priority may be displayed in blue.

또한, 프로세서(170)는 차량(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의 구간이 존재 시, 영상 확장 모드에 자동 진입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can automatically enter the image enlargement mode when at least one attention interval is pres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1. [

도 16a는 주의 구간 중 하나인 횡단 보도(1601)를 예시한다. 횡단 보도(1601)는 보행자 등이 건너다니는 도로 영역이다. 도 16a에 따르면, 차량(1)은 제1 범위(16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을 생성하고, 타차량(13)은 제2 범위(1621)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FIG. 16A illustrates a crosswalk 1601, which is one of the attention sections. The pedestrian crossing 1601 is a road area where pedestrians cross. 16A, the vehicle 1 may generate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1, and the other vehicle 13 may generate a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1. [

제1 범위(1611)에는 횡단 보도(1601)가 속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제1 범위(16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만으로는 횡단 보도(1601)의 실시간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반면, 제2 범위(1621)에는 횡단 보도(1601)의 적어도 일부분 및 횡단 보도(1601) 근처의 보행자(61)가 속하므로, 제2 범위(1622)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에는 횡단 보도(1601)를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보행자(61)가 나타나게 된다.Since the crosswalk 1601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range 1611, the driver can not confirm the real-time situation of the crosswalk 1601 with only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1. [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range 1621, the pedestrian 61 near the pedestrian crosswalk 1601 belongs to at least a part of the pedestrian crosswalk 1601, so that the subpictur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2 includes the pedestrian crosswalk 1601 A pedestrian 61 waiting to be crossed appears.

프로세서(170)는 제1 범위(16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 및 제2 범위(1621)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포함하는 확장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차량(1)이 횡단 보도(1601)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차량(1)의 운전자가 보행자(61)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generates an extended image including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1 and the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1 so that the vehicle 1 is moved away from the crosswalk 1601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confirm the pedestrian 61 in advance.

도 16b는 주의 구간 중 하나인 커브길(1602)을 예시한다. 커브길(1602)는 소정 값 이상의 곡률이 형성된 도로 영역일 수 있다. 커브길(1602)은 곡률의 정도에 따라, 차량(1)의 운전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유발할 수 있다. 도 16b에 따르면, 차량(1)은 제1 범위(1612)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을 생성하고, 타차량(13)은 제2 범위(1622)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FIG. 16B illustrates a curve path 1602, which is one of the attention intervals. The curve path 1602 may be a road area having a curvatur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curve road 1602 may cause a blind spot that is invisibl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 depending on the degree of curvature. 16B, the vehicle 1 may generate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2, and the other vehicle 13 may generate a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2. [

제1 범위(1612)에는 커브길(1602)이 속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제1 범위(1612)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만으로는 커브길(1602)의 실시간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반면, 제2 범위(1622)에는 커브길(1602)의 적어도 일부분 및 커브길(1602) 내의 장애물(62)이 속하므로, 제2 범위(1622)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에는 차량(1)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장애물(62)이 나타나게 된다.Since the curve range 1602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range 1612, the driver can not confirm the real-time situation of the curve length 1602 only with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2.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range 1622 belongs to at least a part of the curve road 1602 and the obstacle 62 in the curve road 1602, the sub-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2 includes collision with the vehicle 1 A potential obstacle 62 appears.

프로세서(170)는 제1 범위(1612)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 및 제2 범위(1622)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포함하는 확장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차량(1)이 커브길(1602)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차량(1)의 운전자가 장애물(62)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generates an extended image including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2 and the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2 so that the vehicle 1 is moved away from the curve road 1602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confirm the obstacle 62 in advance.

도 16c는 주의 구간 중 하나인 내리막길(1603)을 예시한다. 내리막길(1603)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어지는 비탈진 길이다. 도 16c에 따르면, 차량(1)은 제1 범위(1613)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을 생성하고, 타차량(13)은 제2 범위(1623)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FIG. 16C illustrates a downhill road 1603, which is one of the attention zones. Downhill Road (1603) is a sloping road from high to low. According to Fig. 16C, the vehicle 1 may generate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3, and the other vehicle 13 may generate a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3. Fig.

제1 범위(1611)에는 내리막길(1603)이 속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제1 범위(1613)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만으로는 내리막길(1603)의 실시간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반면, 제2 범위(1621)에는 내리막길(1603)의 적어도 일부분 및 내리막길(1603) 내의 장애물(63)이 속하므로, 제2 범위(1623)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에는 차량(1)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장애물(63)이 나타나게 된다.Since the downhill road 1603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range 1611, the driver can not confirm the real time situation of the downhill road 1603 only by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3.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range 1621 belongs to at least a part of the downhill road 1603 and the obstacle 63 in the downhill road 1603, the sub-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3 has collision with the vehicle 1 A possible obstacle 63 appears.

프로세서(170)는 제1 범위(1613)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 및 제2 범위(1623)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포함하는 확장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차량(1)이 내리막길(1603)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차량(1)의 운전자가 장애물(63)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generates an extended image including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3 and the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3 so that the vehicle 1 is moved away from the downhill road 1603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confirm the obstacle 63 in advance.

도 16d는 주의 구간 중 하나인 터널(1604)을 예시한다. 도 16d에 따르면, 차량(1)은 제1 범위(1614)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을 생성하고, 타차량(14)은 제2 범위(1624)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16D illustrates a tunnel 1604, which is one of the attention zones. According to Fig. 16D, the vehicle 1 may generate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4, and the other vehicle 14 may generate a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4. Fig.

제1 범위(1611)에는 터널(1604)이 속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제1 범위(1614)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만으로는 터널(1604) 내의 실시간 상황을 확인할 수 없다. 반면, 제2 범위(1621)에는 터널(1604) 내의 적어도 일부분 및 터널(1604) 내의 포트홀(64)이 속하므로, 제2 범위(1624)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에는 차량(1)에 손상을 끼칠 수 있는 포트홀(64)이 나타나게 된다.Since the tunnel 1604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range 1611, the driver can not check the real-time situation in the tunnel 1604 only with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4.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range 1621 belongs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unnel 1604 and the porthole 64 in the tunnel 1604, the sub-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4 may damage the vehicle 1 A port hole 64 is formed.

프로세서(170)는 제1 범위(1614)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 및 제2 범위(1624)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을 포함하는 확장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차량(1)이 터널(1604)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차량(1)의 운전자가 포트홀(64)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generates an extended image including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614 and the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624 so that the vehicle 1 is locat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tunnel 1604 The driver of the vehicle 1 can confirm the port hole 64 in advance.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7A and 1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예, 300m) 또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에 혼잡 구간(1700)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혼잡 구간(1700)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a congestion section 1700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300 meters) or an area selected by the driver from the vehicle 1, An extended image can be generated by using a sub-image generated by at least one other vehicle located at the position.

구체적으로, 통신부(120 또는 710)가 차량(1)의 현 위치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신 시, 프로세서(170)는 교통 정보를 기초로, 차량(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예, 300m) 또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에 혼잡 구간(1700)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교통 정보에는 도로 구간별 교통 상황, 사고, 공사 등 교통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소정 속도(60km/h) 이상으로의 주행이 불가능한 구간을 혼잡 구간(1700)으로 설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receives the traffic information fo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1,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1 i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300 m) Or whether there is a congestion period 1700 in the area selected by the driver. Traff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various factors affecting traffic such as traffic conditions, accidents, and construction by road sec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set the congestion period 1700 as a period in which the vehicle can not travel at a speed of 60 km / h or more.

또한, 프로세서(170)는 기 설정된 거리 내(예, 300m) 또는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 내에 혼잡 구간(1700)이 존재하는 경우, 영상 확장 모드에 자동 진입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can automatically enter the image enlargement mode when there is a congestion section 17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300 m) or an area selected by the driver.

도 17a는 편도 2차로의 탑뷰를 예시한다. 도 17a에 따르면, 차량(1)은 현재 혼잡 구간(1700)에 진입하기 전이며, 혼잡 구간(1700) 내에는 복수의 타차량(17-21)이 위치하고 있다.Fig. 17A illustrates a top view of one way secondary. 17A, before the vehicle 1 enters the current congestion section 1700,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17-21 are located in the congestion section 1700. [

차량(1)은 제1 범위(17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타차량(17)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2 범위(1721)를 촬영하며, 타차량(18)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3 범위(1731)를 촬영하고, 타차량(19)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4 범위(1741)를 촬영하며, 타차량(20)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5 범위(1751)를 촬영하고, 타차량(21)에 장착된 카메라는 제6 범위(1761)를 촬영한다.The vehicle 1 generates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711. [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17 photographs the second range 172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18 photographs the third range 173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17 The camera photographs the fourth range 174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20 photographs the fifth range 1751 and the camera mounted on the other vehicle 21 photographs the sixth range 1761 do.

이에 따라, 혼잡 구간(1700) 내의 타차량(17-21)은 제2 내지 제6 범위(1721, 1731, 1741, 1751, 1761)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6 서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타차량(17-21)에 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타차량(17-21)은 영상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내지 제6 서브 영상을 운전자 보조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ther vehicle 17-21 in the congestion section 1700 can generate the first to sixth sub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 sixth ranges 1721, 1731, 1741, 1751, and 1761 .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transmits a video request signal to the other vehicle 17-21 and the other vehicle 17-21 transmits the first to sixth sub video images to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상황에서, 차량(1)에 구비된 AVN 장치(400)의 화면을 예시한다.FIG. 17B illustrates a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provided in the vehicle 1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7A.

프로세서(170)는 제1 범위(17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1771)을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영상(1771)에는 차량(1)에 대응하는 이미지(177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제1 내지 제6 서브 영상 간의 겹치는 부분을 기초로, 제1 내지 제6 서브 영상을 조합하여, 새로운 서브 영상(1772)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영상(1772)에는 혼잡 구간(1700) 내의 타차량(17-21)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1722, 1732, 1742, 1752, 1762)가 포함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main image 177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711. [ The main image 1771 may include an image 1772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 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the new sub-image 1772 by combining the first through sixth sub-images based on the overlapp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through sixth sub-images. In this case, the sub image 1772 may include images 1722, 1732, 1742, 1752, and 1762 corresponding to the other vehicles 17-21 in the congestion section 1700. [

운전자는 메인 영상(1771) 및 서브 영상(1772)이 함께 나타나는 확장 영상(1770)을 통해 혼잡 구간(1700)의 실시간 상황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단순히 메인 영상(1771)만을 제공받는 경우 또는 교통정보만을 참고하는 경우에 비하여, 목적지까지의 주행 시간 단축 등 도움을 얻을 수 있다.The driver visually confirms the real-time situation of the congestion section 1700 through the extended image 1770 in which the main image 1771 and the sub image 1772 are displayed together, , It is possible to obtain help such as shortening the traveling time to the destination.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8A and 18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에 따르면,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의 제1 범위(1811)에 대응하는 메인 영상과 타차량(22)의 제2 범위(1812)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 간의 겹치된 부분이 없는 경우, 센싱부(76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 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18A, the driver assisting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n overlapped portion between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1811 of the vehicle 1 and the sub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1812 of the other vehicle 22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760. [

구체적으로, 센싱부(760)는, 소정의 신호(1813)(예,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차량(1)에 대한 타차량(22)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760 acquires information 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ther vehicle 22 with respect to the vehicle 1 using a predetermined signal 1813 (e.g., ultrasonic waves, infrared rays, laser, etc.) .

프로세서(170)는 센싱부(76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차량(1)과 타차량(22) 간의 거리, 차량(1)의 중심선(1814)과 타차량(22)의 중심선(1815)이 이루는 각도(θ) 등, 차량(1)과 타차량(22) 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22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76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line 1814 of the vehicle 1 and the center line 1814 of the other vehicle 22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22 such as the angle?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 시, 차량(1)과 타차량(22) 간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예,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을 기준으로, 서브 영상을 각도(θ)만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회전된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hanges at least one of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22 when the extended image is generated using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Rotation, and movement).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rotate the sub image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an angle? Based on the main image, and then generate the extended image using the rotated sub image.

도 18b는 타차량(23)이 차량(1)의 센싱부(760)의 감지 거리를 초과한 곳에 위치하는 상황을 예시한다.18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other vehicle 23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sensing distance of the sensing unit 760 of the vehicle 1 is exceeded.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 또는 710)가 수신한 차량(1)과 타차량(23)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 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 간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메인 영상과 상기 서브 영상을 조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can determin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image and the sub-image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23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Also,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an extended image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또한, 확장 영상 생성 시,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차체 방향 정보 및 타차량(23)의 차체 방향 정보를 더 기초로, 메인 영상과 상기 서브 영상을 조합할 수 있다. 차량(1)의 차체 방향 정보(V1)는 센싱부(760)에 의해 획득된 것이고, 타차량(23)의 차체 방향 정보(V2)는 통신부(120 또는 710)에 의해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차량(1)과 타차량(23)에는 각각 지자기 센서, 방위 센서 등 차체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When generating the extended image, the processor 170 may combine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based on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23. [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1 of the vehicle 1 may be acquired by the sensing unit 760 and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2 of the other vehicle 23 may be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 For example, the vehicle 1 and the other vehicle 23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which direction the vehicle body is pointing, such as a geomagnetic sensor, an azimuth sensor, or the like.

도 18b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GPS 좌표(P11) 및 타차량(23)의 GPS 좌표(P12)를 비교하여, 타차량(23)이 차량(1)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타차량(23)이 차량(1)으로부터 X축으로 (X2-X1)의 거리에 위치하고, Y축으로 (Y2-Y1)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18B, the processor 170 compares the GPS coordinates P11 of the vehicle 1 and the GPS coordinates P12 of the other vehicle 23 to determine whether the other vehicle 23 is at a distance from the vehicle 1 And direction can be determined. That is, the processor 170 can determine that the other vehicle 23 is located at a distance of (X2-X1) from the vehicle 1 in the X-axis and (Y2-Y1) in the Y-axis.

또한,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차체 방향 정보(V1) 및 타차량(23)의 차체 방향 정보(V2)를 비교하여, 차량(1)의 중심선과 타차량(23)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ompares the vehicle body direction information V1 of the vehicle 1 and the vehicle body direction information V2 of the other vehicle 23 to compare the centerline of the vehicle 1 with the centerline of the other vehicle 23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ngle formed.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 생성 시, 타차량(23)이 차량(1)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및 방향과, 차량(1)의 중심선과 타차량(23)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를 반영하여,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실제 상황에 보다 더 정합된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vehicle 1 and the center line of the other vehicle 23 by reflect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other vehicle 23 away from the vehicle 1, And the sub-imag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generate an extended image more matched to the actual situation.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19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확장 영상을 기초로, 차량(1)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은 도 16b에 도시된 상황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Specifically, Fig. 19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extended imag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vehicle 1 corresponds to the situation shown in Fig. 16B.

도 19를 참조하면,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확장 영상에 나타나는 장애물(62)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1)의 속도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장애물(62)에 대한 정보에는, 장애물(62)의 크기, 장애물(62)까지의 거리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19,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speed 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62 appearing in the extended image . The information on the obstacle 62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size of the obstacle 62,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62, and the like.

예를 들어, 차량(1)은 현 위치(P30)로부터 커브길(1602)에 진입한 후, 제1 내지 제3 포인트(P31-P31)을 순차적으로 지나갈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70)는 차량(1)이 제1 포인트(P31)를 통과하기 전에 속도를 제1 값 이하로 감속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이 제1 포인트(P31)를 통과한 후 제2 포인트(P32)를 통과하기 전에 속도를 제1 값보다 작은 제2 값 이하로 감속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이 제2 포인트(P32)를 통과한 후 제3 포인트(P33)를 통과하기 전에 속도를 제2 값보다 작은 제3 값 이하로 감속시킬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의 구동부(750)는 프로세서(17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차량(1)을 감속시킴으로써, 차량(1)과 장애물(62) 간의 충돌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hicle 1 may enter the curve road 1602 from the current position P30 and the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first to third points P31 to P31. In this case,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hat instructs the vehicle 1 to decelerate the speed to below the first value before passing the first point P31. The processor 170 then sends a control command to command the vehicle 1 to decelerate the speed below a second value less than the first value befor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oint P32 after passing the first point P31. Signal can be generated. The processor 170 then sends a control command to command the vehicle 1 to decelerate the speed below a third value less than the second value before passing through the third point P33 after passing the second point P32. Signal can be generated. The driving unit 750 of the vehicle 1 can block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bstacle 62 by decelerating the vehicle 1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rocessor 170. [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0A and 20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0a는 차량(1)이 진입한 주차 구획(2000)의 탑뷰를 예시한다. 도 20a를 참조하면, 주차 구획(2000)의 좌측에는 3대의 타차량(24-26)이 위치하고, 주차 구획(2000)의 우측에는 3대의 타차량(27-29)이 위치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차 구획(2000)의 전체 영역은, 차량(1)의 촬영 범위 및 6대의 타차량(24-29)의 촬영 범위를 합한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가정한다.20A illustrates a top view of the parking section 2000 into which the vehicle 1 has entered. 20A, three other vehicles 24-26 ar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arking section 2000 and three other vehicles 27-29 a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rking section 2000. As shown in FI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entire area of the parking section 2000 is within the range of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vehicle 1 and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six other vehicles 24-29.

한편, 타차량(24)의 좌측에는 보행자(71)가 존재하며, 이 경우 차량(1)의 운전자는 타차량(24)에 의해 가려진 보행자(71)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edestrian 71 on the left side of the other vehicle 24. In this case, the driver of the vehicle 1 is hard to visually confirm the pedestrian 71 covered by the other vehicle 24. [

다만, 타차량(24)의 촬영범위에 보행자(71)가 속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타차량(24)의 촬영범위에 대응하는 서브 영상에는 보행자(71)가 나타나게 된다. 프로세서(170)는 타차량(24)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However, when it is assumed that the pedestrian 71 belongs to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other vehicle 24, the pedestrian 71 appears on the sub-imag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other vehicle 24.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n extended image using the sub-image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24.

도 20b는 차량(1)의 주차 구획(2000)에 진입한 경우, 차량(1)의 AVN 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되는 확장 영상(2010)을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0a에 도시된 주차 구획(2000)의 전체 영역이 확장 영상(2010)에 나타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영상(2010)에는 차량(1)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2011) 및 제2 내지 제7 타차량(24-29) 각각에 대응하는 제2 내지 제7 이미지(2021,2031, 2041, 2051, 2061, 2071)가 포함될 수 있다.20B exemplifies an extended video 201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of the vehicle 1 when entering the parking section 2000 of the vehicle 1.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entire area of the parking section 2000 shown in Fig. 20A appears in the extended image 2010. [ As shown in the figure, the extended image 2010 includes the first image 2011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and the second through seventh images 2021 and 202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seventh others 24-29, 2031, 2041, 2051, 2061, 2071).

또한, 타차량(24)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에는 보행자(71)가 나타나므로, 운전자는 확장 영상(2010)을 통해 타차량(24)에 의해 가려진 보행자(71)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destrian 71 is displayed on the sub-image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24, the driver can confirm the pedestrian 71 hidden by the other vehicle 24 through the extended image 2010. [

한편,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2010)을 기초로, 차량(1)이 주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2010)을 분석하여, 주차 구획(2000) 내에 차량(1)의 전폭 이상이 확보된 상태로 연속되는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t least one path through which the vehicle 1 can travel based on the extended image 201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analyze the extended image 201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ontiguous area in the parking space 2000 with the full width of the vehicle 1 secured.

도 20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2010) 내 제5 이미지(2051)의 좌측과 제6 이미지(2061)의 우측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를 실제 거리로 환산하며, 실제 거리를 차량(1)의 전폭과 비교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제5 차량(27)과 제6 차량(28) 사이에 차량(1)이 진입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20B, the processor 17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side of the fifth image 2051 in the extended image 2010 and the right side of the sixth image 2061, converts the calculated distance into an actual distance, The actual distance can be compared with the full width of the vehicle 1. That is, the processor 17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 can enter between the fifth vehicle 27 and the sixth vehicle 28. [

또한, 프로세서(170)는 주차 구획(2000)의 주차선을 검출하여, 현재 차량(1)이 주차 구획(2000)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고, 제5 차량(27)과 제6 차량(28) 사이로 차량(1)의 주차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2101)를 생성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detects the parking line of the parking section 2000 and judges that the present vehicle 1 has entered the parking section 2000 and judges that the fifth vehicle 27 and the sixth vehicle 28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information 2101 for guiding the parking of the inter-vehicle 1.

이에 따라, AVN 장치(400)의 화면에는 제5 차량(27)과 제6 차량(28) 사이의 주차 공간이 비어있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2101)가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an indicator 2101 indicating that the parking space between the fifth vehicle 27 and the sixth vehicle 28 is vaca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2010)을 기초로, 차량(1)이 주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로를 생성 시, 생성된 경로를 안내하는 인디케이터(2102)를 표시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2102)는 제5 차량(27)과 제6 차량(28) 사이의 주차 공간으로 차량(1)을 유도하는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인디케이터(2101, 2102)는 확장 영상(2010)에 오버레이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also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to display an indicator 2102 for guiding the generated route when generating at least one route in which the vehicle 1 can travel based on the extended image 2010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as shown, the indicator 2102 may guide the path leading the vehicle 1 to the parking space between the fifth vehicle 27 and the sixth vehicle 28. [ At this time, the indicators 2101 and 2102 may be displayed in a manner of being overlaid on the extended image 2010.

또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2010)에 포함된 차량(1)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2011)를, 제2 내지 제7 이미지(2021,2031, 2041, 2051, 2061, 2071)와는 구별하여 표시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N 장치(400)는 프로세서(17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를 기초로,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2011)를 제2 내지 제7 이미지(2021,2031, 2041, 2051, 2061, 2071)보다 진하게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also receives the first image 2011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 included in the extended image 2010 from the second to seventh images 2021, 2031, 2041, 2051, 2061 and 2071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to distinguish and display. For example, the AVN apparatus 400 may generate the first image 2011 from the second to the seventh images 2021, 2031, 2041, 2041, and 2041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rocessor 170, 2051, 2061, and 2071).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 중 장애물이 존재하는 영역에 시각 효과를 부여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1)의 디스플레이부(741),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 및 AVN 장치(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확장 영상을 표시 시, 프로세서(17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확장 영상 중 장애물이 존재하는 영역에 시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의 전체 영역 중, 장애물 또는 장애물에 근접한 영역의 색상, 스타일, 점멸, 하이라이트 등의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AVN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hat instructs to apply a visual effect to an area of the extended image where an obstacle exist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section 741 of the vehicle 1, the display section 180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nd the AVN device 4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rocessor 170 Accordingly, a visual effect can be given to an area where an obstacle exists in the extended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provide AVN device 400 with a control signal to cause the effect of color, style, blinking, highlight, etc., of the entire area of the extended image to be close to the obstacle or obstacle.

도 21을 참조하면, 도 20b에 도시된 확장 영상(2010) 중 보행자(71)가 나타나는 영역에, 보행자(71)의 존재를 알리는 인디케이터(2103)가 표시될 수 있다. 확장 영상(2010)의 범위가 넓은 경우, 운전자는 확장 영상(2010)에 나타나는 보행자(71)를 인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2103)를 이용하여 보행자(71)를 확장 영상(201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차량(1)의 운전자가 보행자(71)를 신속히 인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an indicator 2103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71 may be displayed in an area of the extended image 2010 shown in FIG. 20B where the pedestrian 71 appears. If the range of the extended image 2010 is wide, the driver may not recognize the pedestrian 71 appearing in the extended image 2010. Therefore, the pedestrian 71 can be emphasized and displayed by using the indicator 2103 compared to other parts of the extended image 2010, so that it is possible to help the driver of the vehicle 1 to recognize the pedestrian 71 quickly have.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확장 영상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장치(400)의 화면에 확장 영상(2010)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한다.22A and 22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tate of the extende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extended video 20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as shown in FIG. 20 will be exemplified.

먼저, 도 22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AVN 장치(400)의 화면을 복수개의 서브 화면(S11, S12, S13)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AVN 장치(40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서브 화면(S11, S12, S13)마다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A, the processor 170 may divide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into a plurality of sub-screens S11, S12, and S13. Further, the AVN apparatus 400 can display different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screens S11, S12, and S13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0. [

예를 들어, AVN 장치(400)는 제1 서브 화면(S11)에 확장 영상(2010)을 표시하고, 제2 서브 화면(S12)에 확장 영상(2010)에 나타나는 보행자(71) 등의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며, 제3 서브 화면(S13)에 각종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2201-2205)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VN apparatus 400 displays the extended image 2010 on the first sub screen S11 and the obstacle such as the pedestrian 71 appearing on the extended image 2010 on the second sub screen S12 And icons 2201 to 2205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can be displayed on the third sub screen S13.

제2 서브 화면(S12)에 표시되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에는, 예를 들어, 장애물의 검출을 안내하는 경고 이미지나 메시지(예, "보행자 감지됨"), 장애물까지의 남은 거리를 안내하는 메시지(예, "전방 5m"), 장애물과의 충돌 방지를 위해 운전자가 해야하는 행동을 안내하는 메시지(예, "서행하세요") 등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on the obstacle displayed on the second sub screen S12 includes, for example, a warning image or message (e.g., "pedestrian detected") for guiding the detection of the obstacle, (E.g., " forward 5m "), a message (e.g.," slow down ") that guides the driver to perform an action to prevent collision with an obstacle.

또한, 운전자는 AVN 장치(4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2201-22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터치된 아이콘(2201-2205)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driver can touch at least one of the icons 2201-2205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AVN apparatus 400 to execute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icons 2201-2205.

예컨대, 제1 아이콘(2201)은 확장 영상(2010)의 확대 기능에 대응하고, 제2 아이콘(2202)은 확장 영상(2010)의 축소 기능에 대응하며, 제3 아이콘(2203)은 확장 영상(2010)의 회전 기능에 대응하고, 제4 아이콘(2204)은 확장 영상(2010)을 기초로 생성된 경로에 대한 자율 주행 기능에 대응하며, 제5 아이콘(2205)은 확장 영상(2010)의 표시를 중단하고 홈 화면으로의 이동하는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con 2201 corresponds to the enlarging function of the extended image 2010, the second icon 2202 corresponds to the reducing function of the extended image 2010, and the third icon 2203 corresponds to the enlarged image 2010), the fourth icon 2204 corresponds to the autonomous navigation function for the path generated based on the extended image 2010, the fifth icon 2205 corresponds to the rotation function of the extended image 2010 And can respond to the function of moving to the home screen.

다음, 도 22b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확장 영상을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Next, FIG. 22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hanges the display state of the extended image based on the user input.

도 22b에 따르면, 운전자가 도 22a에 도시된 제3 서브 화면(S13)의 제3 아이콘(2203)을 터치 시, 프로세서(170)는 확장 영상(2010)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제3 아이콘(2203)을 1회 터치할 때마다, 프로세서(170)는 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된 확장 영상(2010)을 표시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2b는 제3 아이콘(2203)이 1회 터치되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예시하며, 운전자가 한 번 더 제3 아이콘(2203)을 터치하는 경우, AVN 장치(400)는 180도 회전된 확장 영상(2010)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운전자가 제3 아이콘(2203)을 총 4회 터치 시, 확장 영상(2010)은 360도 회전하여, 도 22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표시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22B, when the driver touches the third icon 2203 of the third sub screen S13 shown in FIG. 22A, the processor 170 may rotate the extended image 2010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each time the driver touches the third icon 2203 once, the processor 17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display the extended image 2010 rotated by 9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22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hird icon 2203 is touched once and rotated 9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driver again touches the third icon 2203, the AVN apparatus 400 displays 180 The rotated extended image 2010 can be displayed. Of cours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hen the driver touches the third icon 2203 four times in total, the extended image 2010 is rotated 360 degrees and displayed as shown in FIG. 22A.

도 8 내지 도 22b에서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서브 영상을 수신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메인 영상 즉, 차량(1)의 촬영 범위에 대응하는 영상을 타차량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메인 영상을 타차량에 제공하는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8 to 22B,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receives the sub-image generated by the other vehicle and generates an extended image. However,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main image, that is, ) May be provided to other vehicles.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river assisting apparatus 100 for providing the main image to another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2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영상 제공 모드에 진입한다(S2300). 본 발명에 있어서, 영상 제공 모드란, 차량(1)의 메인 영상의 적어도 일부분 및 메인 영상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타차량에 제공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23, the processor 170 enters the image providing mode (S23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viding mode means a mode for providing at least one of at least a part of the main image of the vehicle 1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in image to another vehicle.

프로세서(17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 시, 영상 제공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70 can enter the image providing mode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예를 들어, 입력부(110)가 영상 제공 모드로의 진입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시, 프로세서(170)는 영상 제공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은 터치, 음성, 버름 누름, 제스처 등 다양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user input that commands entry into the image providing mode, the processor 170 may enter the image providing mode. In this case, the user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various forms such as touch, voice, pushing, gesture, and the like.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120 또는 710)가 타차량으로부터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 시, 프로세서(170)는 영상 제공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receives a video request signal from another vehicle, the processor 170 may enter an image providing mode.

다음으로, 프로세서(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95-198)를 이용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한다(S2305).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제공 모드에 진입 시, 도 2b에 도시된 복수개의 카메라들(195-1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턴온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메인 영상은 차량(1)의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processor 170 generates a main image using at least one camera 195-198 (S2305).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170 enters the image providing mod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95-198 shown in FIG. 2B may be turned on to generate a main image. That is, the main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ront image, a left image, a right image, and a rear image of the vehicle 1.

이때, 메인 영상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인 영상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라운드 뷰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영상은 차량(1)의 전방 영상,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및 후방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main image may vary. For example, the main image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For example, the main image may be a forward image, a left image, a right image, and a left image of the vehicle 1, as shown in FIG. 2C.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is an all-view image including all the backward images.

이어서, 프로세서(170)는 단계 S2305에서 생성된 메인 영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310).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메인 영상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을 수행하고, 오브젝트 검출 결과를 기초로, 차량(1) 주변의 오브젝트 중, 차량(1)으로부터 기준 거리(예, 2m) 내에 접근하여 사고 위험성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n,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whether an obstacle exists in the main image generated in step S2305 (S2310).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performs object detection on the main image of the vehicle 1, and detects, based on the object detection result,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vehicle 1 (for example, 2m)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whose accident risk exceeds the reference value.

다음으로, 단계 S2310에서 메인 영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 시,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을 전송할 타차량을 선택하고(S2315), 선택된 타차량으로 메인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S2320). 이때, 프로세서(17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차량(1)의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타차량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메인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Next,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10 that an obstacle exists in the main image, the processor 170 selects another vehicle to which the main image is to be transmitted (S2315), and transmits the main image to the selected other vehicle (S2320). At this time, the processor 170 may select only a part of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located in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1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transmit the main imag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1)과 장애물 간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메인 영상을 전송할 타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전방과 후방에 타차량이 1대씩 주행 중이며, 메인 영상에 존재하는 장애물이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차량(1)의 후방에서 주행 중인 타차량에만 메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cessor 170 can select another vehicle to which the main image is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bstacle. For example, when one vehicle is running ahead of and behind the vehicle 1, and an obstacle present in the main image is located behind the vehicle 1, the processor 170 moves the rearward of the vehicle 1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ain image only to the other vehicles in the running.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 내에 나타나는 장애물의 위험도를 기초로, 메인 영상을 전송할 타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주변에 10대의 타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장애물의 위험도가 제1 값이면, 상기 10대의 타차량 중 5대에만 메인 영상을 제공하고, 장애물의 위험도가 제1 값보다 큰 제2 값이면, 상기 10대의 타차량 모두에 메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메인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장애물의 위험도가 높을수록, 메인 영상을 제공할 타차량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험도는, 차량(1)과 장애물 간의 거리, 장애물의 크기, 장애물의 유형 등을 기초로, 산출되는 값일 수 있다.The processor 170 may select another vehicle to which the main image is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risk of an obstacle appearing in the main image. For example, when there are ten other vehicles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1, the processor 170 determines that the risk of the obstacle detected from the main image is the first value, If the risk of the obstacle is a second value larger than the first value, the main image can be provided to all of the ten other vehicles. That is, the higher the risk of the obstacle detected from the main image is, the more the processor 170 can increase the number of other vehicles to provide the main image. Here, the risk may be a valu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obstacle, the size of the obstacle, the type of the obstacle, and the like.

또한,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 또는 710)가 수신한 영상 요청 신호를 기초로, 메인 영상을 전송할 타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한 타차량에 대하여만, 메인 영상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20 또는 71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70 may select another vehicle to which the main image is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video request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For example, the processor 17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to transmit the main image only to another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the video request signal.

이때, 통신부(120 또는 710)는 타차량으로 직접 서브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부(120 또는 710)는 차량 간 통신망(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를 기반으로, 타차량으로 직접 서브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can directly transmit the sub-image to another vehicle.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can directly transmit a sub-image to another vehicle based on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통신부(120 또는 7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의 중개를 통해, 타차량에 메인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메인 영상을 외부 서버에 전송하고, 외부 서버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가 전송한 서브 영상을 타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unit 120 or 710 may transmit the main image to another vehicle through intermediation of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transmit the main image to the external server, and the external server may transmit the sub image transmitted from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to another vehicle.

한편, 도 8 및 도 23에서는 영상 확장 모드와 영상 제공 모드를 구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영상 확장 모드와 영상 제공 모드에 동시에 진입할 수도 있다. 즉,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영상 확장 모드에서 타차량에 메인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영상 제공 모드에서 확장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운전자 보조 장치(100)는 차량(1)이 운행 중인 경우에는 항상 확장 영상을 생성하거나, 메인 영상을 타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8 and FIG. 23, the image expansion mode and the image providing mode have been separately described, but these are exemplary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imultaneously enter the image expansion mode and the image providing mode. That is,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may provide the main image to the other vehicle in the image enlargement mode, and may generate the extended image in the image providing mode. Alternatively, the driver assistance device 100 can always generate an extended image or provide the main image to another vehicle when the vehicle 1 is in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 차량 100: 운전자 보조 장치1: vehicle 100: driver assistance device

Claims (10)

디스플레이부;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메인 영상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복수개의 타차량에 의해 생성된 복수개의 서브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개의 타차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서브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선택된 서브 영상을 이용하여,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전자 맵 중, 터치된 지점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지역에서 주행 중인 제1 타차량을 선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확장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확장 영상에 상기 제1 타차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A display unit;
At least on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and generating a mai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sub images generated by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And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images based on a user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 processor for generating an extended image using the main image and the selected sub-image,
The processo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ler selects a first vehicle traveling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n area including a touched point out of the electronic map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extended image on the display and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vehicle on the extended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장 영상을 기초로,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generates information on an obstacle based on the extended ima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to change at least one of a speed and a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bstac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장 영상 중, 장애물에 대응되는 영역에 소정의 시각 효과를 부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give a predetermined visual effect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bstacle among the extended imag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장 영상 중, 차량이 이동 예정인 도로상에 위치하는 장애물에 대응되는 영역에 시각 효과를 부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give a visual effect to an area corresponding to an obstacle located on a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o be moved, out of the extended ima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제1 서브 화면 및 제2 서브 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서브 화면에 내비게이션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브 화면에 상기 확장 영상을 표시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a first sub screen and a second sub screen,
A navigation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sub screen,
And displays the extended image on the second sub-scree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주의 구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주의 구간 내에 위치하는 타차량에 대하여 상기 영상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주의 구간은,
교차로, 오르막길, 내리막길, 횡단보도, 주차장, 터널, 좁은길, 포트홀 및 커브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Based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ther or not there is an attention zon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video request signal to another vehicl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interval,
The above-
At least one of an intersection, an uphill, a downhill, a crosswalk, a parking lot, a tunnel, a narrow road, a porthole, and a curve roa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선택된 서브 영상 간의 중첩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위치 정보, 차량의 차체 방향 정보, 타차량의 위치 정보 및 타차량의 차체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영상과 상기 서브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there is no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main image and the selected sub-image,
And generates the extended image by combining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vehicle body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and the vehicle body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장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 가능한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에 대한 자율 주행 모드에 진입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는,
차량과 타차량 간의 위치 관계를 기초로, 차량의 현 위치로부터, 차량의 시야 범위를 벗어난 위치까지 연결하는 경로인, 운전자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instructing the vehicle to enter an autonomous driving mode for the path based on the extended image,
The path includes:
Wherein the vehicle is a route connecting from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a position outside the vehicle's field of view based on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변경되는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확장 영상을 생성하는, 운전자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generates the extended image based on a period that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of the vehicle.
KR1020170041046A 2017-03-30 2017-03-30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228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46A KR101822896B1 (en) 2017-03-30 2017-03-30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46A KR101822896B1 (en) 2017-03-30 2017-03-30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497A Division KR101741433B1 (en) 2015-06-09 2015-06-09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634A KR20170039634A (en) 2017-04-11
KR101822896B1 true KR101822896B1 (en) 2018-03-08

Family

ID=5858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046A KR101822896B1 (en) 2017-03-30 2017-03-30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8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919B1 (en) * 2017-05-26 2019-08-13 주식회사 만도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king of vehicle
KR102022775B1 (en) 2017-10-17 2019-09-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riving assistance system in intersection for autonomous vehicle using vision sensor
US11301948B2 (en) * 2019-04-01 2022-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rking continuity with unused duration between automated veh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4549A (en) * 2005-12-15 2007-06-28 Hitachi Ltd Image pickup apparatus, video signal selector, driving support apparatus, and automobile
JP2009173122A (en) * 2008-01-23 2009-08-06 Toyota Motor Corp Parking assist system and parking assist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4549A (en) * 2005-12-15 2007-06-28 Hitachi Ltd Image pickup apparatus, video signal selector, driving support apparatus, and automobile
JP2009173122A (en) * 2008-01-23 2009-08-06 Toyota Motor Corp Parking assist system and parking assist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634A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433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916993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06838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KR101844885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80037414A (en)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80132922A (en) Vehicle display devices and vehicles
KR20170099188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70028125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20180083762A (en) Apparatus of providing an around view, method thereof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60147559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20150074752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822896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140284A (en) Vehicle driving aids and vehicles
KR20170005663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72352B1 (en)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70035238A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43212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round view and Vehicle
KR101843535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980547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752798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929300B1 (en)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929288B1 (en)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70087618A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33195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