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456B1 -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456B1
KR101821456B1 KR1020150127909A KR20150127909A KR101821456B1 KR 101821456 B1 KR101821456 B1 KR 101821456B1 KR 1020150127909 A KR1020150127909 A KR 1020150127909A KR 20150127909 A KR20150127909 A KR 20150127909A KR 101821456 B1 KR101821456 B1 KR 10182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ser
range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381A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12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456B1/ko
Priority to US15/191,677 priority patent/US9654929B2/en
Priority to JP2016173579A priority patent/JP6794195B2/ja
Priority to CN201610812837.5A priority patent/CN106941661B/zh
Priority to TW105129278A priority patent/TWI618430B/zh
Publication of KR2017003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381A/ko
Priority to US15/486,476 priority patent/US996150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456B1/ko
Priority to JP2020169540A priority patent/JP6959418B2/ja
Priority to JP2021137035A priority patent/JP723581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의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기기들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전자 기기들간의 메시지를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라우팅(routing)하며 상기 전자 기기들의 사용자들간의 인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어부; 상기 전자 기기들 중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정보 수신 제어부; 상기 인적 관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선택된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사용자 확인 제어부; 상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또는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기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기기(또는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CE ACCORDING TO LOCATION SECESSION}
아래의 설명은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치 이탈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27760호는 무선망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위치 이탈 통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LBS) 제공부가 제공하는 상대방 단말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대방이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일정상의 위치를 이탈한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에 통보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상대방을 등록하기 위한 별도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위치 이탈을 확인하기 위한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개별적으로 등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별도로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한 후, 사이트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이후, 서버는 입력된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위치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를 구해야 한다. 또한 동의를 구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이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회원이 아니라면,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대방 역시 회원가입의 과정을 거친 후, 위치정보의 제공에 동의해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 위치정보의 제공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과정에서 서버는 상대방에게 사용자를 설명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서버는 위치정보가 어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인지 여부를 상대방에게 인지시켜야 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일정상의 위치와 같이 특정 장소를 이탈함을 감지할 수 있을 뿐,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다양한 위치범위의 이탈을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서는 상대방이 학교에서 이탈했음을 감지할 수는 있어도, 학교에서 집으로 가는 경로 범위를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는 없다.
이에 더해,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를 상대방이 벗어났는지 여부만이 감지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를 사용자가 벗어난 경우에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방법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자료: <PCT/KR/2014/010167, US20140019540A1, US20130332543A1, US20130260893>
메시징 서비스의 인적 관계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사용자(또는 제2 사용자들)의 위치 이탈을 제1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들이 메시징 서비스의 기능을 활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함으로써 특정 위치나 장소의 이탈이 아닌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다양한 위치범위에 대한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설정된 위치범위들간의 이동을 추가로 모니터링하고, 위치범위들간의 이동이 아닌 경우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를 사용자가 벗어난 경우, 이를 사용자와 인적관계가 설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의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기기들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전자 기기들간의 메시지를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라우팅(routing)하며 상기 전자 기기들의 사용자들간의 인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어부; 상기 전자 기기들 중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정보 수신 제어부; 상기 인적 관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선택된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사용자 확인 제어부; 상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또는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기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기기(또는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기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세션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시간범위와 위치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와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메시징 서비스에서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세션을 설정한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사용자들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상기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또는 상기 확인된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전자 기기(또는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기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기기(또는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메시징 서비스의 인적 관계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사용자(또는 제2 사용자들)의 위치 이탈을 제1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들이 메시징 서비스의 기능을 활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함으로써 특정 위치나 장소의 이탈이 아닌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다양한 위치범위에 대한 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설정된 위치범위들간의 이동을 추가로 모니터링하고, 위치범위들간의 이동이 아닌 경우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를 사용자가 벗어난 경우, 이를 사용자와 인적관계가 설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송수단의 노선을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범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50)는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라우팅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서비스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메시징 서비스 제어부(310), 정보 수신 제어부(320), 사용자 확인 제어부(330), 저장 제어부(340),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350) 및 메시지 전송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7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프로세서(222)는 도 4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에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에 대응하는 코드)를 메모리(221)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서버(150)에 설치(install)될 수 있고, 서버(15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프로세서(222)는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221)에 로딩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2)가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어부(310), 정보 수신 제어부(320), 사용자 확인 제어부(330), 저장 제어부(340),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350) 및 메시지 전송 제어부(360) 각각은 메모리(221)에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 중 대응하는 부분을 실행하여 이후 단계들(420 내지 470)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후에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이 서버(150)를 제어하는 것은, 프로세서(222)가 서버(15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는 서버(150)가 포함하는 통신 모듈(223)을 제어하여 서버(150)가 다른 서버(160)나 전자 기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메시징 서비스 제어부(310)는 전자 기기들을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전자 기기들간의 메시지를 통신 세션을 통해 라우팅(routing)하며 전자 기기들의 사용자들간의 인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세션은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에 대응할 수 있고, 인적 관계는 메시징 서비스에서의 친구 관계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징 서비스 제어부(310)은 메시징 서비스에서의 친구 관계의 관리, 대화방의 생성 및 생성된 대화방에서의 메시지 송수신 관리 등을 처리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정보 수신 제어부(320)는 전자 기기들 중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에서는 메시징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간범위와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시간범위와 위치범위를 설정하면, 제1 전자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와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서버(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신 제어부(320)는 제1 전자 기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사용자 확인 제어부(330)는 인적 관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제1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 중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선택된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는 별도의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별도의 서비스에서 일일이 특정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자신과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 중에서 특정 사용자를 손쉽게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역으로, 선택된 사용자 역시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자신과 인적 관계가 설정된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와 함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별도의 서비스에 가입할 필요 없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단계(450)에서 저장 제어부(340)는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의 식별자 및 확인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서버(15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서버(150)와는 별도의 시스템에 구현되어 서버(150)와 별도의 시스템간의 통신을 통해 서버(150)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도 있다. 서버(150)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시간범위와 위치범위를 설정한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 그리고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전자 기기의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다.
단계(460)에서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35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전자 기기(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470)에서 메시지 전송 제어부(36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전자 기기(또는 제2 전자 기기)가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통신 세션을 통해 제2 전자 기기(또는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350)는 제1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가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위치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전송 제어부(360)는 제1 전자 기기가 위치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신 세션을 통해 제2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납치와 같이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제1 전자 기기가 일상적인 위치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자동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의 친구에게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350)는 제2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2 전자 기기가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위치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전송 제어부(360)는 제2 전자 기기가 위치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신 세션을 통해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는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지정한 제2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범위에 위치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시징 서비스의 인적 관계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사용자(또는 제2 사용자들)의 위치 이탈을 제1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들이 메시징 서비스의 기능을 활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를 사용자가 벗어난 경우, 이를 사용자와 인적관계가 설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치범위를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설명한다.
일실시예로, 제1 전자 기기는 제1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위치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기기는 지도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는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도 이미지상에 원하는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범위는 제1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 대한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도 이미지 상에 설정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도 이미지에 위치범위의 경계를 그리기 위한 그리기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자 기기의 화면은 터치스크린 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지도 이미지 상에 설정된 범위는, 터치스크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설정되는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지도 이미지 상에 터치 앤 드래그 이벤트를 통해 원을 그린다면, 해당 원을 경계로 하는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지도 이미지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화면(500)은 사용자가 제1 전자 기기의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 대해 터치 앤 드래그 제스처를 이용하여 선을 그리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그려진 선을 통해 하나의 범위가 설정되면, 해당 범위를 경계로 하는 지도 이미지상의 범위가 위치범위로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설정된 위치의 지도 이미지를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좌표에 기반하여 지도 이미지상에 선을 표시할 수 있고, 선을 통해 하나의 범위가 설정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된 하나의 범위와 지도 이미지상의 대응하는 위치(일례로 GPS 좌표)를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서버(150)는 제1 전자 기기(또는 제2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만약, 제1 전자 기기(또는 제2 전자 기기)가 설정된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전자 기기(또는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위치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위치범위는 제1 전자 기기에서 설정되는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한 위치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전자 기기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한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화면(600)은 제1 전자 기기의 화면 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들 중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전자 기기는 표시된 경로에 기반하여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600)에 표시된 점선범위(610)는 출발지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포함하도록 제1 전자 기기에 의해 설정된 범위로서, 제1 전자 기기는 설정된 범위와 지도 이미지상의 대응하는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전자 기기는 경로상의 좌표들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좌표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기기의 사용자가 택시 등의 차량을 통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경우, 서버(150)는 제2 전자 기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제2 전자 기기가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서버(150)는 제2 전자 기기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벗어났음을 파악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위치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위치범위는 제1 전자 기기에서 선택된 운송수단의 노선에 대한 위치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는 운송수단별 노선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운송수단의 노선에 대해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송수단의 노선을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화면(700) 제1 전자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송수단 1의 노선(710)을 간략히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실질적으로 노선(710)은 지도 이미지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버스의 경우에는 정류소 정보가, 지하철의 경우에는 역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전자 기기는 선택된 노선(710) 전체에 대해 또는 노선(710)의 특정 구간에 대해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7의 화면(700)에서 점선범위는 노선(710)의 특정 구간(일례로 A역에서 B 역까지의 구간)에 대해 설정된 위치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기기는 설정된 범위를 경계로 하는 지도 이미지상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한 명의 사용자에 대한 이동경로를 모두 위치범위로 설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위치범위에 대해, 전자 기기가 하나의 위치범위에서 다른 위치범위로의 이동하는 경우에는 위치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하나의 위치범위를 벗어나서 다른 위치범위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위치범위는 제1 위치범위 및 제2 위치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350)는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1 위치범위를 벗어난 제1 전자 기기(또는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제2 위치범위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 제어부(360)는 제1 전자 기기(또는 제2 전자 기기)가 제2 위치범위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2 전자 기기(또는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범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지도 이미지(800)상에 설정된 제1 위치범위(810) 및 제2 위치범위(820)의 예를 간략히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위치범위(810) 내에 위치한 전자 기기(830)가 제1 위치범위(810)를 벗어났다고 가정하자. 이때, 서버(150)는 전자 기기(830)가 제1 위치범위(810)를 벗어나 제2 위치범위(820)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전자 기기(830)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이후의 경로를 예측할 수 있고, 예측 경로에 따라 전자 기기(830)가 제2 위치범위(820)로 이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150)는 전자 기기(830)가 제2 위치범위(820)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1 위치범위(810)를 이탈함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서버(150)는 전자 기기(830)가 제2 위치범위(820)로 이동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1 위치범위(810)를 이탈함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기설정된 다른 전자 기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1(110)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 제1 전자 기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통신 세션 연결 제어부(9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제어부(920), 범위 정보 생성부(930), 사용자 정보 수신 제어부(940), 사용자 확인부(950) 및 정보 전송 제어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10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1010 내지 107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전자 기기 1(110)의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전자 기기 1(110)에 설치 및 구동되어 전자 기기 1(110)로 서버(일례로 서버(150))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기기 1(110)에 설치 및 구동된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프로세서(212)는 도 10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에서,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에 대응하는 코드)를 메모리(211)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전자 기기 1(110)에 설치(install)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프로세서(212)는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211)에 로딩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2)가 포함하는 통신 세션 연결 제어부(9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제어부(920), 범위 정보 생성부(930), 사용자 정보 수신 제어부(940), 사용자 확인부(950) 및 정보 전송 제어부(960) 각각은 메모리(211)에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 중 대응하는 부분을 실행하여 이후 단계들(1020 내지 1070)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후에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하는 것은, 프로세서(212)가 전자 기기 1(11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통신 모듈(213)을 제어하여 전자 기기 1(110)이 서버(150)나 전자 기기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1020)에서 통신 세션 연결 제어부(910)는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기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세션에 연결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103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제어부(92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시간범위와 위치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1040)에서 범위 정보 생성부(9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와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제어부(920)는 단계(1030)에서 지도 이미지를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범위 정보 생성부(930)는 단계(1040)에서 화면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 대한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도 이미지 상에 설정되는 범위에 대한 정보를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화면은 터치스크린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범위 정보 생성부(930)는 터치스크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설정되는 범위를 인식하여 지도 이미지상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제어부(920)는 단계(1030)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범위 정보 생성부(930)는 단계(104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기반하여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제어부(920)는 단계(1030)에서 운송수단별 노선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범위 정보 생성부(930)는 단계(104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운송수단의 노선에 대해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050)에서 사용자 정보 수신 제어부(940)는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와 메시징 서비스에서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통신 세션을 설정한 서버를 통해 수신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1060)에서 사용자 확인부(950)는 사용자들 중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1070)에서 정보 전송 제어부(960)는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 및 확인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에서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가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의 식별자 및 확인된 사용자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 1(110)(또는 확인된 사용자의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전자 기기 1(110)(또는 전자 기기 2(120))가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통신 세션을 통해 전자 기기 2(120)(또는 전자 기기 1(11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범위는 제1 위치범위 및 제2 위치범위와 같이 복수의 위치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1 위치범위를 벗어난 전자 기기 1(110) (또는 전자 기기 2(120))가 제2 위치범위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자 기기 1(110)(또는 전자 기기 2(120))가 제2 위치범위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 기기 2(120)(또는 전자 기기 1(11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생략된 내용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시징 서비스의 인적 관계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사용자(또는 제2 사용자들)의 위치 이탈을 제1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들이 메시징 서비스의 기능을 활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 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함으로써 특정 위치나 장소의 이탈이 아닌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설정되는 다양한 위치범위에 대한 이탈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정된 위치범위들간의 이동을 추가로 모니터링하고, 위치범위들간의 이동이 아닌 경우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를 사용자가 벗어난 경우, 이를 사용자와 인적관계가 설정된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3)

  1. 컴퓨터로 구현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전자 기기들간의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상기 전자 기기들간의 메시지를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통신 세션을 통해 라우팅(routing)하며 상기 전자 기기들의 사용자들간의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서의 인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어부;
    상기 전자 기기들 중 제1 전자 기기에 설치 및 구동된 상기 메시징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제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정보 수신 제어부 - 상기 메시징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설정된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설정된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1 전자 기기를 제어함 -;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서의 인적 관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제1 사용자와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선택된 제2 사용자를 확인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사용자 확인 제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서의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확인된 제2 사용자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저장 제어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확인된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기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 이탈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메시지 전송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범위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설정된 위치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화면은 터치스크린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설정된 위치범위는,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설정되는 위치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범위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설정되는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한 위치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범위는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선택된 운송수단의 노선에 대한 위치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범위는 제1 위치범위 및 제2 위치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모니터링 제어부는,
    상기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기 제1 위치범위를 벗어난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위치범위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고,
    상기 메시지 전송 제어부는,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위치범위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메시징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기기와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세션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시간범위와 위치범위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와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제1 사용자와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서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세션을 설정한 서버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기기에서 상기 인적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들 중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2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상기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확인된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 상기 시간범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식별자 및 상기 메시징 서비스에서의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확인된 제2 사용자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인적 관계에 기반하여 확인된 제2 사용자의 제2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기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 이탈을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지도 이미지를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에 표시된 지도 이미지에 대한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설정되는 범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기기의 화면은 터치스크린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설정되는 범위를 인식하여 상기 지도 이미지상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상기 출발지와 상기 목적지간의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기반하여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운송수단별 노선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운송수단의 노선에 대해 위치범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범위는 제1 위치범위 및 제2 위치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시간에 상기 제1 위치범위를 벗어난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위치범위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전자 기기가 상기 제2 위치범위로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전자 기기로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27909A 2015-09-09 2015-09-09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821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909A KR101821456B1 (ko) 2015-09-09 2015-09-09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5/191,677 US9654929B2 (en) 2015-09-09 2016-06-2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based on location deviation
JP2016173579A JP6794195B2 (ja) 2015-09-09 2016-09-06 位置離脱による通知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01610812837.5A CN106941661B (zh) 2015-09-09 2016-09-09 提供基于位置脱离的通知的系统和方法
TW105129278A TWI618430B (zh) 2015-09-09 2016-09-09 提供基於位置脫離的通知的系統、方法和電腦可讀記錄介質
US15/486,476 US9961500B2 (en) 2015-09-09 2017-04-1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based on location deviation
JP2020169540A JP6959418B2 (ja) 2015-09-09 2020-10-07 位置離脱による通知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37035A JP7235815B2 (ja) 2015-09-09 2021-08-25 位置離脱による通知を提供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909A KR101821456B1 (ko) 2015-09-09 2015-09-09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381A KR20170030381A (ko) 2017-03-17
KR101821456B1 true KR101821456B1 (ko) 2018-01-23

Family

ID=5819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909A KR101821456B1 (ko) 2015-09-09 2015-09-09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654929B2 (ko)
JP (3) JP6794195B2 (ko)
KR (1) KR101821456B1 (ko)
CN (1) CN106941661B (ko)
TW (1) TWI6184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1226B1 (en) 2015-07-10 2020-01-07 WeWork Companies Inc. Determining qualified devices using zone information
KR20190018243A (ko) * 2017-08-14 2019-02-22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CN109831362A (zh) * 2019-03-29 2019-05-3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和系统
US11153717B2 (en) * 2019-04-04 2021-10-19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reporting of positioning-related states
JP7387309B2 (ja) 2019-06-28 2023-11-2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
US11166122B2 (en) * 2019-10-31 2021-11-02 BlinkTech, LLC Customized paired location track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1541817B (zh) * 2020-04-22 2022-02-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闹钟控制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831B1 (ko) * 2008-05-13 2011-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로 이탈 감지 장치 및방법
KR101301586B1 (ko) * 2007-04-25 2013-08-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단말기
KR101440929B1 (ko) * 2013-01-16 2014-09-15 류창수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한 학생생활 윤리지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8148B1 (en) * 1996-05-28 2001-10-23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flow data export
US6236365B1 (en) * 1996-09-09 2001-05-22 Tracbeam, Llc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using a plurality of commercial wireless infrastructures
JP2002099971A (ja) 2000-09-22 2002-04-05 Sanyo Electric Co Ltd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緊急通報装置
JP2003228797A (ja) * 2002-02-04 2003-08-15 Katsutoshi Takifuji 仮想空間オブジェクト監視システム
JP2005038299A (ja) 2003-07-17 2005-02-10 Nec Fielding Ltd 移動監視システム
JP2005286817A (ja) * 2004-03-30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行動監視端末、行動監視システム、行動監視方法、及び行動監視プログラム
KR100627841B1 (ko) 2004-06-30 2006-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과거 위치 정보로 설정된 안전구역에 대한이탈경보 서비스 방법
KR100623267B1 (ko) * 2005-07-20 2006-09-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특정 구역 이탈 알림 방법 및시스템
JP4911339B2 (ja) 2005-11-17 2012-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位置情報監視システム、位置情報監視方法、そのためのサーバ装置及びサーバ装置用プログラム
US20070162377A1 (en) * 2005-12-23 2007-07-12 Credigy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online exchange of private data
JP2007279895A (ja) * 2006-04-04 2007-10-25 Oki Electric Ind Co Ltd 監視対象の地理的位置を監視する監視システム
JP5479727B2 (ja) 2008-12-24 2014-04-2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位置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81727B2 (ja) 2010-01-08 2014-01-0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体通信装置、位置監視方法及び位置監視プログラム
CN101924989A (zh) * 2010-01-29 2010-12-22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位置信息的提示方法、系统及服务器
US8971924B2 (en) * 2011-05-23 2015-03-03 Apple Inc. Identifying and locating users on a mobile network
CN102446213A (zh) * 2011-09-13 2012-05-09 西安大唐电信有限公司 地理信息系统及基于该系统的定位存储及轨迹显示的方法
CN102568156A (zh) * 2011-12-07 2012-07-1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警报信息发送方法及相应的移动终端设备
CN104170412B (zh) 2011-12-30 2018-11-09 英特尔公司 使用地理围栏追踪单个群组成员的方法和设备
JP5706868B2 (ja) 2012-03-30 2015-04-22 Line株式会社 メッセンジャープラットフォームでアバタ/ゲーム/エンターテイメント機能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620433B2 (ja) * 2012-04-30 2014-11-05 泰章 岩井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KR101685226B1 (ko) 2012-06-12 2016-12-20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플랫폼의 인간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그래프를 활용한 메신저 연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9778A (ko) 2012-07-13 2014-01-23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메신저 플랫폼의 사용자 관계정보에 기반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4022855A (ja) * 2012-07-17 2014-02-03 Sony Corp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4427468A (zh) * 2013-09-06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自动报警的方法及装置
US9338759B2 (en) * 2013-10-10 2016-05-10 Pushd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 mobile user
WO2015065001A1 (ko) 2013-10-31 2015-05-07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다양한 캐릭터를 이용하여 리듬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24400A1 (en) * 2014-05-07 2015-11-12 Access Event Solutions Interest Collection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586B1 (ko) * 2007-04-25 2013-08-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위한 이동단말기
KR101056831B1 (ko) * 2008-05-13 2011-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경로 이탈 감지 장치 및방법
KR101440929B1 (ko) * 2013-01-16 2014-09-15 류창수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한 학생생활 윤리지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41661A (zh) 2017-07-11
JP2021184647A (ja) 2021-12-02
US20170070856A1 (en) 2017-03-09
JP6959418B2 (ja) 2021-11-02
JP2017055400A (ja) 2017-03-16
US9961500B2 (en) 2018-05-01
US20170223501A1 (en) 2017-08-03
TW201713126A (zh) 2017-04-01
KR20170030381A (ko) 2017-03-17
JP6794195B2 (ja) 2020-12-02
US9654929B2 (en) 2017-05-16
CN106941661B (zh) 2020-06-05
JP7235815B2 (ja) 2023-03-08
TWI618430B (zh) 2018-03-11
JP2021022938A (ja)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456B1 (ko)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778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CN107000971B (zh) 用于基于用户装置检测而实施动作的智能建筑系统
US9080883B2 (en) Dynamic emergency aid
EP3227218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wayfinding based on elevator information
CN108898535A (zh) 用于自主车辆的接载区和放下区
JP7016205B2 (ja) メッセージ基盤の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4574623A (zh) 使用数字位置来进行来访者引导和登记的系统与方法
KR101702773B1 (ko) 통신 세션상에서 이미지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0187750A (ja) 位置に基づいてチャットルームへの加入を制御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90018243A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JP2021532441A (ja) 方法、記録媒体および電子機器
KR20190120122A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US202400078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JP6505044B2 (ja) 動態管理システム、動態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95713B2 (ja) 位置デバイスを搭載する携帯端末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方法、携帯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58397B1 (ko) Cctv 정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35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KR101939785B1 (ko) 사용자들간 물건 전달을 메신저를 이용하여 서포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7034371A (ja) 電子機器及び情報通知プログラム
KR20180016768A (ko) 미아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