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482B1 - 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 Google Patents

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482B1
KR101818482B1 KR1020150145400A KR20150145400A KR101818482B1 KR 101818482 B1 KR101818482 B1 KR 101818482B1 KR 1020150145400 A KR1020150145400 A KR 1020150145400A KR 20150145400 A KR20150145400 A KR 20150145400A KR 101818482 B1 KR101818482 B1 KR 10181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guardian terminal
infants
information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5606A (en
Inventor
조흔우
전성우
차승훈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쓰리
Priority to KR102015014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82B1/en
Priority to PCT/KR2015/014507 priority patent/WO2017069342A1/en
Publication of KR2017004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7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은 유해한 환경과 기상조건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와, 주기적으로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와,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제2보호자단말기 측에 제공하는 제1보호자단말기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이 제공하는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는 제2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활 주변의 위험 및 유해 요소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영유아들을 보호하고, 영유아의 생활환경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뿐 아니라 유아동의 건강관리와 적절한 생활환경 조성을 책임져야 하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원 등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영유아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영유아 뿐 아니라, 건강부문에 취약한 장애인, 노인, 환자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안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infants and young children from harmful environments and weather conditions.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periodically detects wearer devices that detect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around infants, A first guardian terminal for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valu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and providing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to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And a second guardian terminal for receiv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guardian terminal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valu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smart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to implement an infant guard service system that protects infants who can easily be exposed to danger and harmful factors around the living and smartly manages the living environment of infants and toddlers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manage infants and toddlers more conveniently not only in ordinary households but also in day care centers and nursery schools that are responsible for health manage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proper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rough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afety nets can be constructed not only for infants, but also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patients who are vulnerable to the health sector.

Figure R1020150145400
Figure R1020150145400

Description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특히 생활주변의 유해한 환경이나 기상 상황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system for protect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in particular, relates to an infant guard service system for protecting infants from harmful environments or weather conditions.

생활환경이란 인간이 생활하는 자연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특히 영유아 생활환경이란 영유아가 주로 생활하는 실내외 자연적 환경으로 한정하여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건강한 실내환경이란 우선 유해화학물질이 없어야 하고, 이산화탄소가 최소화되고, 산소가 풍부해야 하며, 습도가 50-60% 정도, 실내온도가 계절 별로 20-22℃를 유지해야 한다.The living environment can be defined as the natur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humans live. In particular, the living environment of infants and toddlers can be defined only to the indoor and outdoor natural environments in which infants and toddlers live. And healthy indoor environment should be free of harmful chemical substances, minimum carbon dioxide, rich in oxygen, 50-60% humidity, and room temperature 20-22 ℃ every season.

실내 공기오염은 새로 지어진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더욱 많이 발생하고 실내 온도가 높을수록 공기오염 농도는 높아지며, 특히 24시간 대부분(하루의 90% 이상)을 실내에서만 지내야 하는 영유아 및 산모들은 아토피 등 유해환경인자에 쉽게 노출되는 실정이다.Indoor air pollution occurs more frequently in a newly built house or office. The higher the room temperature, the higher the air pollution concentration. Especially, infants and mothers who need to stay in the room for more than 24 hours (90% Of the population.

영유아는 체중 당 먹고, 마시고, 호흡하는 대사량이 성인에 비해 크므로 화학물질 등 유해물질 노출에 가장 취약하고, 성인에 비해 신경, 호흡, 생식기관 발달이 불완전하고, 키가 작아서 지면의 자동차 배출가스, 먼지 등의 노출에도 매우 취약할 수 있다. 또한, 무더위가 지속되는 여름철, 차량 내부에서 영유아의 질식사 확률은 매우 높을 수 있다.Infants and toddlers are most vulnerable to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such as chemical substances because their metabolism is higher than that of adults in terms of eating, drinking, and breathing per body weight. In addition, nerve, respiration, reproductive organ development is incomplete, , And may be very vulnerable to exposure to dust and the like. Also, in summer, when the heat is constant, chances of suffocation for infants in the vehicle can be very high.

또한, 여름의 고온 다습한 날씨로 인해 실내에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환기와 습도 조절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하며, 관심을 가지고 항상 영유아의 생활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ventilation and humidity because it is a good environment for fungi and germs to reproduce in the room due to the hot and humid weather in the summer, and it is important to always care for the living environment of infants .

이러한, 생활 주변의 위험 및 유해 요소에 영유아가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가장 큰 문제는 부모들의 인식 부재에서 비롯되며, 심각하지만 부모들이 사소하게 느낄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알라밍(alarming)하고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일반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유아동의 건강관리를 책임지는 어린이집, 보육원 등에서도 스마트한 영유아 환경 관리는 필수적인 추세이다.In the situation where infants are easily exposed to the risks and harmful elements of living, the biggest problem arises from the lack of parental awareness, and alarming about the serious, but slighte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that can induce ac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smart infant and toddler environmental care in day care centers and nursery school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infant and toddlers as well as in general households.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활주변의 유해 환경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ant guard service system for protecting infants from harmful environments around living places by utilizing smart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iv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the structure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활 주변의 위험 및 유해 요소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영유아들을 보호하고, 영유아의 생활환경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smart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to implement an infant guard service system that protects infants who can easily be exposed to danger and harmful factors around the living and smartly manages the living environment of infants and toddlers Respectively.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뿐 아니라 유아동의 건강관리와 적절한 생활환경 조성을 책임져야 하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원 등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영유아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영유아 뿐 아니라, 건강부문에 취약한 장애인, 노인, 환자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안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manage infants and toddlers more conveniently not only in ordinary households but also in day care centers and nursery schools that are responsible for health manage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proper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rough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afety nets can be constructed not only for infants, but also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patients who are vulnerable to the health secto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블록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5b는 서비스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분석항목들(웨어러블 기기의 검출 정보)의 표시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5c는 서비스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기상정보의 표시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들 중, 오염도 정보에 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들 중, 온도 및 습도정보에 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baby and young child 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in screen of a servic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alysis items (detection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displayed on a service main screen;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weather information displayed on a service main screen;
6 is a view illustrating a service screen relating to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mong detection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service screen related to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mong detection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은 유해한 환경과 기상조건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otecting infants from harmful environments and weather conditions,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검출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와, 주기적으로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와,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제2보호자 단말기 측에 제공하는 제1보호자단말기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이 제공하는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는 제2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wearable device that periodically detects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around the infant, a service server that periodically collects weather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to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and a second guardian terminal receiving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guardian terminal, And a second guardian terminal for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valu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바람직하게,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부와,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와 통신을 설정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 또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기기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외부기기 작동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와 외부기기 작동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sensor unit for periodically measuring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arou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or a mess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an alarm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unit to the first guardian terminal and receiving the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to control the alarm unit and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부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환경 호르몬을 검출하는 환경호르몬 검출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을 검출하는 VOCs 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미세먼지를 검출하는 미세먼지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nsor unit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around the wearable device,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around the wearable device, an environmental hormon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environmental hormone around the wearable device, A VOC sensor for detecting a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wearable device, a harmful gas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wearable device, and a fine dust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fine dust around the wearable device, And a detection sens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정단말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measuring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mentioned "module" and "par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baby and young child 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은, 유해한 환경이나 기상상황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웨어러블(wearable) 기기(100), 제1보호자단말기(200), 제2보호자단말기(300),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protecting infants and children from harmful environments and weather conditions. The infant care service system includes a wearable device 100, a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 guardian terminal 300, and a service server 400.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영유아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거나 옷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영유아 주변 일측에 장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유모차를 타고 야외활동 중이라면 유모차에 장착될 수 있고, 만일 거실이나 방에서 낮잠을 재우는 중이라면 아이의 머리 맡이나 침대 일측에 놓아 둘 수 있다.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worn on a part of the infant or attached to clothes. 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fant. For example, a child can be put on a stroller if he or she is outdoors in a stroller, or if he or she is taking a nap in the living room or room, it can be left on the child's head or bed.

웨어러블 기기(100)는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검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영유아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환경 호르몬과 미세먼지를 검출한다. 또한, 영유아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한다. The wearable device 100 periodically detects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around the infant and child. More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baby are measured, and environmental hormones and fine dusts are detected. In addition, volatile organic compound components,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infant and child are detected.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Watch)타입, 팔뚝이나 어깨에 착용할 수 있는 밴딩(Banding)타입, 허리에 착용할 수 있는 벨트(Belt)타입, 목에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Necklace) 타입, 그리고 집게 타입 또는 클립(Clip) 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rist wearable watch type, a banding type that can be worn on the forearm or shoulder, a belt type that can be worn on the waist, A necklace type that can be worn, and a clip type or a clip type.

상기 서비스 서버(400)는 주기적으로 기상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을 실행한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제2보호자단말기(300)이 기상정보를 요청하면, 이들 단말(200, 300)에 상기 수집된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400)가 제공하는 기상정보는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 등이다.The service server 400 periodically collects weather information. When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that have executed the infant guard service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rvice app") request weather information, the terminals 200, 300 To provide the collected weather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weathe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400 includes temperature, humidity, ultraviolet ray numerical value, wind speed, precipitation probability, fine dust level in the air, and the like.

서비스 서버(400)는 또한,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검출정보(예: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한다.The service server 400 also stores and manages detection information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e.g.,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rou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서비스 서버(400)는 상기 서비스 앱(app)을 안드로이드 구글마켓이나 아이폰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 배포하여 사용자들이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rvice server 400 distributes the service app to the application purchase destination such as the Android google market or the iPhone app stor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infant car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를 제2보호자단말기(300) 측에 제공한다.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400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valu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and detects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To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side.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와 통신이 설정되면, 주기적으로 웨어러블 기기(100)의 발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이면, 웨어러블 기기(100)가 통신 가능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경고신호를 제1보호자단말기(200) 화면에 출력한다.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is established,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periodically measures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If the strength of the measured sig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s out of the communicable area,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screen.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에서 발신된 신호의 세기(strong)를 검출하여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웨어러블 기기(100)간의 거리를 구한다. 즉, 발신신호의 세기(strong)를 거리값으로 환산하여,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웨어러블 기기(100)간의 거리를 구한다.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detects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obtain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parent-guard terminal 2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is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strength of the calling signal into a distance value.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와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신호를 웨어러블 기기(100)와 제1보호자단말기(200)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대처요령 메시지도 제1보호자단말기(200) 화면 일측에 표시한다.When a valu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is detected in any one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service server 400,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the wearable device 100 And on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hen, a corresponding action message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가능 단말기인 경우,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앱(app)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i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udio / video (A / V)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a sensing unit, an output unit, a memory, an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have.

상기 제2보호자단말기(30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이 제공하는 검출정보와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한다.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400 and analyzes whether there is a valu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웨어러블 기기(100)에 접속하여,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직접 검출정보를 수신하지만, 제2보호자 단말기(300)는 제1보호자단말기(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수신한다. 웨어러블 기기(100)와 제2보호자단말기(300)간의 관계에서,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일종의 AP(Access Point)역할을 수행한다.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00 and directly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cts as an access point (AP).

제2보호자단말기(30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휴대 가능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앱(app)을 통해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Like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PMP) Player), and the like, and provides the infant guard service to the user through the service app (app).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100)는 통신부(110), 센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50), 메모리(160), 알람부(170), 외부기기 작동모듈(180), 전원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sensor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controller 150, a memory 160, an alarm unit 170, An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180, and a power source unit 190.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통신을 설정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establishe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통신부(110)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상기 센서부(1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 온도센서(120b),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 온도센서(120b), 습도센서(120c), VOCs센서(120d), 유해가스 검출센서(120e), 미세먼지 검출센서(120f)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3, the sensor unit 120 includes an environmental hormone detection sensor 120a, a temperature sensor 120b, an environmental hormone detection sensor 120a, a temperature sensor 120b, a humidity sensor 120c, a VOCs A sensor 120d, a noxious gas detection sensor 120e and a fine dust detection sensor 120f, and periodically measures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arou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센서부(120)의 측정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에 관한 각종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20. Also, various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infant guard service is displayed.

본 발명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130)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기기(100)의 상판을 두 구역(예: 제1영역(M10)과 제2영역(M20))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역에 디스플레이부를 배치하거나, 또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two or more display units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wearable device 100. [ For example, when the upper panel of the wearable device 100 is divided into two zones (e.g., the first zone M10 and the second zone M20) and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in each zone, They may be arranged on different surfaces.

상기 알람부(170)는 음향 출력부, 광출력부, 진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구성장치를 통해 외부(예: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 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The alarm unit 170 includes an acoustic output unit, an optical output unit, and a vibration output unit. The alarm unit 170 generates an alarm signal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e.g.,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Or a warning message is output.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주변 일측에 위치하며 발광소자들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들은 외부(예: 제1보호자단말기(200)) 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점멸을 반복한다.The light output unit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30 and is composed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light emitting devices repeatedly blink when a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상기 진동 출력부는 외부(예: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각기 다른 세기와 패턴으로 진동을 출력한다.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he vibration output unit outputs vibrations with different intensities and patterns.

상기 음향 출력부는 외부(예: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따른 경고음이나 사운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는,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음을 출력하거나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a warning sound, a sound, and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a sound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or outputs audio data stored in the memory 160. The sound output unit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상기 외부기기 작동모듈(180)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기기(예: 유모차 부착 선풍기 등)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외부기기는 사물 인터넷 기술(IoT)을 적용하여 제어 가능한 전자적 장치로서, 공기 청정기, 공조기, 오디오 기기, 가습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180 controls on / off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fan with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Internet technology (IoT), such as an air purifier, an air conditioner, an audio device, a humidifier, and the like.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센서부(120)의 측정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160 stores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120.

메모리(160)는 제어부(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예: 센싱신호, 제어신호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sensing signals, control signals, etc.). The memory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and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상기 전원부(190)는 2개의 배터리(예: 주 배터리, 예비 배터리)로 구성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예: 110~18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is composed of two batteries (e.g., a main battery and a spare battery), and receives power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upply necessary power.

상기 제어부(150)는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 센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메모리(160), 알람부(170), 외부기기 작동모듈(180), 그리고 전원부(190)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5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For example,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sensor unit 120, the display unit 130, the memory 160, the alarm unit 170,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180, and the power source unit 190 .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20)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소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170)와 외부기기 작동모듈(180)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0 periodically transmits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sensor unit 120 to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receives the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alarm unit 170. [ And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180 are controlled.

상기 제어부(150)는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알람부(170)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알람부(170)의 해당 구성요소(예: 음향 출력부, 광출력부, 진동 출력부 등)를 통해 경고 신호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광출력부의 점멸을 반복 수행하거나, 진동 출력부를 통해 특정 패턴의 진동을 출력하거나, 음향 출력부를 통해 특정 경고음이나 사운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착용자가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alarm unit 170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alarm unit 170 such as an acoustic output unit, Output unit, etc.). The light output unit may be repeatedly blinked, the vibration output unit may output a specific pattern of vibration, or a specific alarm sound, sound, or voice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또한, 제어부(150)는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외부기기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외부기기 작동모듈(180)를 온(on)/오프(off)하는 것으로서 해당 외부기기를 동작시키거나 그 작동을 중단시킨다. When 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150 turns on / off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180, Or stops its opera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20)는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 온도센서(120b),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 온도센서(120b), 습도센서(120c), VOCs센서(120d), 유해가스 검출센서(120e), 미세먼지 검출센서(120f), 산소 검출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sensor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vironmental hormone detection sensor 120a, a temperature sensor 120b, an environmental hormone detection sensor 120a, a temperature sensor 120b, a humidity sensor 120c A VOCs sensor 120d, a noxious gas detection sensor 120e, a fine dust detection sensor 120f, and an oxygen detection sensor (not shown).

상기 온도센서(120b)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한다.The temperature sensor 120b measur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wearable device 100. [

상기 습도센서(120c)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The humidity sensor 120c measures the humidity around the wearable device 100. [

상기 환경호르몬 검출센서(120a)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의 환경 호르몬을 검출한다.The environmental hormone detecting sensor 120a detects an environmental hormone in the vicinity of the wearable device 100. [

상기 VOCs센서(120d)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 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을 검출한다.The VOCs sensor 120d detects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wearable device 100. FIG.

상기 유해가스 검출센서(120e)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한다. The harmful gas detection sensor 120e detects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wearable device 100. [

상기 미세먼지 검출센서(120f)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는 주변의 미세먼지를 검출한다.The fine dust detecting sensor 120f detects the fine dust around the wearable device 100. [

상기 산소 검출센서는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 공기에 포함된 산소량을 측정한다.The oxygen detecting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oxygen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wearable device 100.

센서부(120)는 영유아 주변 즉, 웨어러블 기기(100)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등)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The sensor unit 120 periodically measures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degree (e.g., environmental hormones, fine dust, organic compound components (VOCs),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oxygen, etc.) around the infant / .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웨어러블 기기(100)가 영유아의 신체 일부에 부착(or 착용)되거나 혹은 주변에 장착되면, 주기적으로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를 측정하기 시작한다. (S10)Humidity, and air pollution (eg, environmental hormones, fine dusts, organic compounds (VOCs), etc.) around the infant or young child periodically when the wearable device 100 is attached (or worn) ,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etc.). (S10)

또한, 서비스 서버(400)도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제2보호자 단말기(30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상센터(예: 기상청 등)로부터 기상정보(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를 수집한다. (S20)The service server 400 also periodically receives weather information (for example, temperature, humidity, ultraviolet ray numerical values (e.g.,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like) from a weather center (e.g.,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eriodically to provide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 Wind speed,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irborne fine dust levels). (S20)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자(예: 엄마)가 제1보호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서비스 앱을 기동시키면, 서비스 앱은 웨어러블 기기(100)에 접속하여,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예: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 정보)를 수신한다. (S50~S60)4, when the first caregiver (e.g., a mother) activates a service app installed in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he service app connects to the wearable device 100 and detects the detection of the wearable device Information (eg,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information arou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S50 to S60)

그리고, 상기 검출정보를 서비스 서버(400)와 제2보호자(예: 아빠)의 단말(300)로 전송한다. (S90)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웨어러블 기기(100)에 접속하여,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직접 검출정보를 수신하지만, 제2보호자 단말기(300)는 제1보호자단말기(2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를 수신한다. Then, the dete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400 and the terminal 300 of the second guardian (e.g., father). (S90)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00 and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via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indirectly receives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웨어러블 기기(100)와 제2보호자단말기(300)간의 관계에서,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일종의 AP(Access Point)역할을 수행하여 원격지의 제2보호자 단말기(300) 측으로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를 전송한다. 아이(예: 영아)를 불가피하게 차량 안에 혼자 남겨두어야 하는 상황일 때, 엄마의 단말기(예: 제1보호자단말기(200))를 웨어러블 기기(100)와 함께 차량에 남겨두면, 원격지에서도 엄마와 아빠는 아빠의 단말기(예: 제2보호자 단말기(300))를 통해, 아이의 주변 상황(예: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 등)을 모니터할 수 있다.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cts as an access point (A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and controls the wearer's device 100 to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at the remote location. And the like. If the mother terminal (e.g. first parent terminal 200) is left in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wearable device 100 when the child (infant, for example) is inevitably left alone in the vehicle, The dad can monitor the child's surroundings (e.g., temperature, humidity, air pollution, etc.) through the dad's terminal (e.g.,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상기 과정(S60)에서, 웨어러블 기기(100)로부터 검출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이번에는,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하여, 기상센터 (예: 기상청 등)로부터 수집한 기상정보들(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을 수신한다. (S70~S80)In step S60, the service application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hat has received the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accesses the service server 400 and updates the weather server (e.g., weather station) (For example, temperature, humidity, ultraviolet radiation, wind speed, precipitation probability, airborne fine dust level) collected from the air conditioner. (S70 to S80)

그리고, 수신된 정보들(예: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 &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을 분석한다. (S100)Then, the received information (e.g.,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400) is analyzed. (S100)

상기 분석과정(S100)을 통해,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상기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로부터 온도/습도 정보와 오염도 정보(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등)를 추출하고 한편으로는, 웨어러블 기기(100)의 발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웨어러블 기기(100)간의 거리정보를 구한다.Through the analysis process S100, the service application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detects temperature / humidity information and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e.g., environmental hormone, fine dust, organic compound component (VOCs),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oxygen, and the like)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while measuring the intensity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00 to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parental terminal 2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

그리고, 온도와 습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 상기 오염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 상기 거리정보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자단말기(200)화면에 표시한다.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Then,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are above the reference value, whether the pollution degre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whether the distance inform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5A. 5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in screen of a servic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보호자단말기(200)는 서비스 앱의 메인 화면을 제1영역(M10)과 제2영역(M20)으로 나누고, 상기 제1영역(M10)에는 상기 3가지의 분석항목 즉, 온도와 습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항목(온습도 항목), 상기 오염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항목(오염도 항목), 그리고 상기 거리정보의 기준치 초과 여부에 관한 항목(거리 항목)을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M10)에 각각 표시한다.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divides the main screen of the service application into a first area M10 and a second area M20 and the first area M10 stores the three analysis items, As shown in FIG. 5A, items (temperature items) relating to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temperature and humidity items), items relating to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of the pollution degree (pollution degree item), and items 1 area M10, respectively.

상기 3가지 분석항목(예: 온습도 항목, 오염도 항목, 거리 항목)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치 다이얼로 '정상', '주의', '경고'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5b는 서비스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분석항목들(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의 표시방법을 예시한 도면으로, 3가지 분석항목 중 오염도 항목에 관한 것이다. The three analysis items (for exampl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tem, the pollution degree item, and the distance item) may indicate the states of 'normal', 'caution', and 'warning' by numerical dials as shown in FIG. 5B. FIG. 5B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nalysis items (detection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displayed on the service main screen, and relates to pollution degree items among the three analysis items.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도 항목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오염도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등) 중, 기준치를 초과하는 항목이 없으면, 정상 상태의 수치 다이얼표시하고 만일, 기준치를 초과하는 항목이 있는 경우, 그 항목을 대상으로 수치 다이얼의 상태(예: '정상', '주의', '경고')를 나타낸다. 5B, the service application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may receive detailed items (for example, environmental hormones, fine dust, organic compound components (VOCs), etc.) included in the pollution level, (Such as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oxygen, etc.), if there is no item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the numerical dial of the normal state is displayed. If there is an item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 'Caution', 'warning').

기준치를 초과하는 항목이 만일, 여럿인 경우, 위험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갖는 항목을 대상으로 수치 다이얼의 상태(예: '정상', '주의', '경고')를 나타낸다.If the number of items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is more than one, it indicates the status of the numeric dial (eg, 'normal', 'caution', 'warning') for items with the highest risk.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주의'나 '경고'의 수치 다이얼을 나타낼 때, 특정 패턴의 진동이나 경고음을 출력하고 해당 수치 다이얼이 깜박이도록 하여 보호자의 주의를 끌게 한다. (S110 ~ S120) 이러한 알람 신호(예: 진동, 경고음, 수치 다이얼의 깜박임 등)는 보호자가 인지할 때까지 반복 출력된다. (S130)When the service app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displays the numeric dial of the 'caution' or 'warning', it outputs a specific pattern of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and causes the corresponding numeric dial to blink to attract the caregiver's attention. (S110 to S120) These alarm signals (for example, vibration, warning sound, blinking of the numeric dial, etc.) are repeatedly output until the guardian recognizes them. (S130)

상기 분석과정(S100)에서,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또한,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서, 세부 항목들(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 등)을 추출하고 기준치와 비교한다. In the analysis process (S100), the service application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lso detects the details (e.g., temperature, humidity, ultraviolet ray, wind speed, Probability, airborne fine dust level, etc.) are extract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그리고, 각 세부 항목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정하여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자단말기(200)화면의 제2영역(M20)에 표시한다.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each detail item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is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M20 of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5A.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기상정보의 세부 항목들(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 등)을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로서 '정상', '주의', '경고'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5c는 서비스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기상정보의 표시방법을 예시한 도면으로, 기상정보의 세부 항목들 중 자외선 수치에 관한 것이다.The service application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displays detailed items of the weather information (e.g., temperature, humidity, ultraviolet ray number, wind speed, precipitation probability, airborne fine dust value, etc.) Can indicate the states of 'normal', 'caution', and 'warning'. FIG.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weath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rvice main screen, and relates to ultraviolet rays among the detailed items of weather information.

서비스 앱(제1보호자단말기(200))은 '주의'나 '경고'의 그래픽 이미지를 나타낼 때, 특정 패턴의 진동이나 경고음을 출력하고 그래픽 이미지의 해당 항목(예: 자외선 지수를 표시하는 부분)이 깜박이도록 하여 보호자의 주의를 끌게 한다. (S110 ~ S120) 그리고, 그러한 알람 신호(예: 진동, 경고음, 수치 다이얼의 깜박임 등)의 출력을 보호자가 인지할 때까지 반복한다. (S130)When displaying the graphic image of 'caution' or 'warning', the service application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outputs a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of a specific pattern and displays a corresponding item of the graphic image (for example, To blink to attract the caregiver's attention. (S110 to S120) and repeats such output of the alarm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warning sound, flashing of the numerical dial, etc.) until the guardian recognizes it. (S130)

한편, 제2보호자단말기(300)의 경우, 제2보호자(예: 아빠)가 단말(300)에 설치된 서비스 앱을 기동시키면, 서비스 앱(예: 제2보호자단말기(300))은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하여, 상기 기상정보들(예: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 등)을 수신한다. (S140~S150) 그리고, 제1보호자단말기(200)로부터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예: 영유아 주변의 온도, 습도, 그리고 공기 오염도 정보)를 수신한다. (S90)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when a second guardian (e.g., a father) activates a service app installed in the terminal 300, the service app (e.g.,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400, and receives the weather information (e.g., temperature, humidity, ultraviolet radiation, wind speed, precipitation probability, airborne fine dust level, etc.). (S140 to S150). Then, detection information (e.g.,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bout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of the wearable device 100 is received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S90)

이후, 서비스 앱(예: 제2보호자단말기(300))은 상기 수신된 정보들(예: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 &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을 분석하고 (S160), 그 분석된 결과를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자단말기(200)화면에 표시한다.The service application (e.g.,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analyzes the received information (e.g.,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400) (S160) And displays the analyzed result on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5A.

서비스 앱(예: 제2보호자단말기(300))은, '주의'나 '경고'의 수치 다이얼 혹은 그래픽 이미지를 제1보호자단말기(200)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특정 패턴의 진동이나 경고음을 출력하고 해당 수치 다이얼이 깜박이도록 하여 보호자의 주의를 끌게 한다. (S170 ~ S180) 그리고, 보호자가 인지할 때까지 이러한 알람 신호(예: 진동, 경고음, 수치 다이얼의 깜박임 등)의 출력 반복한다. (S190)The service application (e.g.,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outputs a vibration or a warning sound of a specific pattern when a numeric dial or a graphic image of a 'caution' or a 'warning'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And make the corresponding numeric dial flicker to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protector. (S170 to S180) and repeats the output of these alarm signals (for example, vibration, warning sound, blinking of the numerical dial, etc.) until the guardian recognizes them. (S190)

이상의 과정들 중, 상기 수신된 정보들(예: 웨어러블 기기(100)의 검출정보 & 서비스 서버(400)의 기상정보)을 분석하고, 그 분석된 결과를 제1보호자단말기(200)화면에 표시하는 절차들(S160 ~ S190)은 제1보호자단말기(200)의 수행과 동일하다. 서비스 앱(예: 제2보호자단말기(300))은 제1보호자단말기(2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절차들(S160 ~ S190)을 수행한다. In the above process, the received information (e.g.,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100 and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400) is analyzed and the analyzed resul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S160 to S190) are the same as those performed by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The service application (e.g., the second guardian terminal 300) performs the above procedures (S160 to S19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guardian terminal 200. [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들 중, 오염도 정보에 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illustrating a service screen related to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among detection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앱(보호자단말기(200 or 300))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메인화면에, '온습도', '오염도', '거리'의 3가지 분석항목에 관한 수치 다이얼을 표시하면, 단말 사용자 즉, 보호자는 메인화면의 수치 다이얼을 선택(터치)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항목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A, the service application (parent terminal 200 or 300) displays numerical dials related to three analysis item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pollution degree' and 'distance' on the service main screen, The user, that is, the guardian selects (touches) the numeric dial on the main screen, and can check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esired item.

보호자가 오염도에 관한 수치 다이얼을 선택(터치)하면, 서비스 앱(보호자단말기(200 or 3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도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예: 환경 호르몬, 미세먼지, 유기화합물 성분(VOCs),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산소 등)의 상세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보호자는 상기 세부 항목들의 상세 정보를 통해, 아이 주변의 공기 오염도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caregiver selects (touches) the numerical dial of the pollution degree, the service application (parent terminal 200 or 300) displays detailed items (for example, environmental hormones, fine dusts, Organic compound components (VOCs),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oxygen, etc.) on the screen. The protector can confirm the air pollution degree around the eye through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etails.

만일, 오염도에 포함되는 세부 항목들 중, 수치가 '주의'나 '경고' 상태에 도달한 항목(예: 미세먼지)이 있는 경우 서비스 앱(보호자단말기(200 or 300))은 화면 일측(예: 하단)에, 해당 항목(예: 미세먼지)에 대응하는 대처요령들을 표시하여, 보호자가 아이 주변의 유해 환경에 침착하고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If there is an item (for example, fine dust) that has reached the 'attention' or 'warning' level among the detailed items included in the contamination degree, the service application (parent terminal 200 or 300) : Lower part), the countermeasures corresponding to the item (for example, fine dust) are displayed, so that the caregiver can settle in the harmful environment around the child and cope with it quickly.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들 중, 온도 및 습도정보에 관한 서비스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service screen related to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mong detection inform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호자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화면의 수치 다이얼들 중, '온습도'에 관한 수치 다이얼을 선택(터치)하면, 서비스 앱(보호자단말기(200 or 3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와 습도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보호자는 상기 도7의 화면을 통해, 아이 주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protector selects (touches) the numerical dial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numeric dials on the main screen as shown in FIG. 5A, the service application (parent terminal 200 or 300) , Information on temperature and humidity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otector can confir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around the eye through the screen of FIG.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or some of the elements (s) may be optionally constructed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하여, 생활 주변의 위험 및 유해 요소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는 영유아들을 보호하고, 영유아의 생활환경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smart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to protect infants and toddlers who can easily be exposed to danger and harmful factors around living,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was implemented.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뿐 아니라 유아동의 건강관리와 적절한 생활환경 조성을 책임져야 하는 어린이집이나 보육원 등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영유아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영유아 뿐 아니라, 건강부문에 취약한 장애인, 노인, 환자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안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manage infants and toddlers more conveniently not only in ordinary households but also in day care centers and nursery schools that are responsible for health manage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proper liv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rough the infant guard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afety nets can be constructed not only for infants, but also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patients who are vulnerable to the health sector.

100 : 웨어러블 기기 110 : 통신부
120 : 센서부 120a : 환경호르몬 검출센서
120b : 온도센서 120c : 습도센서
120d : VOCs센서 120e : 유해가스 검출센서
120f : 미세먼지 검출센서 130 : 디스플레이부
150 : 제어부 160 : 메모리
170 : 알람부 180 : 외부기기 작동모듈
190 : 전원부 200 : 제1보호자단말기
300 : 제2보호자단말기 400 : 서비스 서버
100: wearable apparatus 110: communication unit
120: Sensor part 120a: Environmental hormone detection sensor
120b: Temperature sensor 120c: Humidity sensor
120d: VOCs sensor 120e: Hazardous gas detection sensor
120f: Fine dust detecting sensor 130:
150: control unit 160: memory
170: Alarm unit 180: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190: Power unit 200: First guardian terminal
300: second parent terminal 400: service server

Claims (11)

유해환경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영유아 주변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영유아 주변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서비스 서버;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서 수집한 환경정보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수집한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제1보호자단말기의 화면을 제1 및 제2영역으로 구분하여 기준치 초과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제1영역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검출정보와 기준치를 비교 및 분석하여 온도와 습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 오염도의 기준치 초과 여부, 거리정보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기준치의 초과 여부에 따라 수치 다이얼로 '정상', '주의', '경고'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2영역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와 제1보호자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검출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여 온도, 습도, 자외선 수치, 풍속, 강수확률, 공기중 미세먼지 수치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기준치 초과 여부에 따라 수치 다이얼로 '정상', '주의', '경고'의 상태를 표시하며, 보호자의 행동요령을 제공하는 제1보호자단말기; 및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가 제공하는 검출정보와 상기 서비스 서버의 기상정보를 수신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있는지 분석하고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로부터 검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기상정보가 수신하여,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와 동일한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2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값이 검출되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의 제1 및 제2영역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고신호와 함께 영유아 보호를 위해 대처요령 메시지를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의 화면 일측에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환경 호르몬을 검출하는 환경호르몬 검출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성분을 검출하는 VOCs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를 검출하는 유해가스 검출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의 미세먼지를 검출하는 미세먼지 검출센서와, 상기 웨어러블 기기 주변 공기에 포함된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 검출센서를 포함하여 영유아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부와;
현재 시간정보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와 통신을 설정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신호 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알람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사물 인터넷 기술(IoT)을 적용하여 제어 가능한 유모차 부착 선풍기, 공기 청정기, 공조기, 오디오 기기, 가습기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외부기기 작동모듈과;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주기적으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제1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소정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알람부와 상기 외부기기 작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여 착용자가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부의 측정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An infant guard service system for protecting infants from harmful environments,
A wearable device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arou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 service server for collecting weather information about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wearable devic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rvice server are received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valu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and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areas, Wherein the first area displays a comparison between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a reference value and indicates whether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are over a reference value, whether the pollution degree exceeds a reference value, whether the distance information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the second area displays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service server and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guardian terminal in the second area, and displays the state of 'normal', 'attention', and 'warning' And displays the temperature, the humidity, the ultraviolet ray value, the wind speed, the precipitation probability, and the air dust level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A first guardian terminal for displaying a status of 'normal', 'caution', and 'warning' using a numeric di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guardian,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guardian terminal and weather information on the service server,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value exceeding a reference value, receiving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receiving weather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And a second guardian terminal for providing the user with the same infant guard service as the first guardian terminal,
Wherein the first guardian terminal comprises:
When a value exceeding a reference value is detected in any one of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the service server, a warning signal is output to the wearable device and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first parent-guard terminal And outputting a response message for protect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gether with the warning signal on one side of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The wearable device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temperature around the wearable device,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around the wearable device, an environmental hormon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environmental hormone around the wearable device, A VOC sensor for detecting a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tained in the surrounding air; a harmful gas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wearable appliance; and a fine dust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fine dust around the wearable appliance. And an oxygen detecting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oxygen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wearable device, the sensor unit periodically measu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infant and chil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current time information and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guardian terminal and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 warning signal or a warning mess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An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for controlling on / off of the fan, air cleaner, air conditioner, audio device, and humidifier, which can be controlled by applying the Internet technology (Io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sensor unit periodically transmits the measurement value to the first guardian terminal, receive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guardian terminal, and controls driving of the alarm unit and the external device operation module so that the wearer can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A control section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는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통신이 설정되면, 주기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발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웨어러블 기기가 통신 가능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경고 신호를 상기 제1보호자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지킴이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uardian terminal
Wherein when the communication with the wearable device is established,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is periodically measured,
And when the measured signal intensity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wearable device determines that the wearable device is out of the communicable area and outputs a warning signal to the first guardian terminal on the screen of the first guardia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45400A 2015-10-19 2015-10-19 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KR101818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00A KR101818482B1 (en) 2015-10-19 2015-10-19 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PCT/KR2015/014507 WO2017069342A1 (en) 2015-10-19 2015-12-30 Infant and toddler protecting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400A KR101818482B1 (en) 2015-10-19 2015-10-19 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06A KR20170045606A (en) 2017-04-27
KR101818482B1 true KR101818482B1 (en) 2018-02-21

Family

ID=5855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400A KR101818482B1 (en) 2015-10-19 2015-10-19 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8482B1 (en)
WO (1) WO201706934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874B1 (en) * 2018-12-13 2020-03-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Infant bag and hazardous situation detection system having the ability to detect dangerous situ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9548B2 (en) * 2016-11-23 2018-08-14 Eric Squatrito Clippable air condition monitor device
CN107941668A (en) * 2017-11-28 2018-04-20 苏州佑克骨传导科技有限公司 A kind of wear-type PM2.5 detects broadcast device
KR102135425B1 (en) * 2018-04-20 2020-07-17 (주)니어베베 Server-integrated infant health monitoring device
WO2020071569A1 (en) * 2018-10-05 2020-04-09 주식회사 효일 Fitness care system using smart band
KR20200133430A (en) 2019-05-20 2020-11-30 이승재 Child safety keeper - I safety watch
KR102449628B1 (en) * 2020-08-25 2022-09-30 (주)헤드라인 Portable air purifier with infant keeper function
CN113917074A (en) * 2021-07-28 2022-01-11 周怡佳 Portable air quality detector
JP7346505B2 (en) * 2021-08-24 2023-09-19 花王株式会社 Childcare support system
CN115076937A (en) * 2022-06-22 2022-09-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nd method based on intelligent wearable equipment and air conditio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25B1 (en) *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Remote pro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US20150094544A1 (en) * 2013-09-12 2015-04-02 Sproutling, Inc.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363A (en)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hasing location
KR100986137B1 (en) * 2007-04-27 2010-10-07 이성일 Apparatus for alarming danger of infant
KR20140088004A (en) * 2012-12-31 2014-07-09 안헌일 System of bidirectional safety control service based on automatic alarm and method of control service using the same
KR101440362B1 (en) * 2013-04-04 2014-09-17 주식회사 이도링크 A smart watch and its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25B1 (en) *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Remote pro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US20150094544A1 (en) * 2013-09-12 2015-04-02 Sproutling, Inc. Infa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874B1 (en) * 2018-12-13 2020-03-1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Infant bag and hazardous situation detection system having the ability to detect dangerous situation
WO2020122413A1 (en) * 2018-12-13 2020-06-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Infant bag having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function, and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06A (en) 2017-04-27
WO2017069342A1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482B1 (en) Infants and babies safety keeping service system
US11137163B2 (en) Environm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6906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and area detection with a heat index sensor
KR102478783B1 (en) Method for providing search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US11501624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personal air quality monitor
US7394385B2 (en)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KR101316662B1 (en) Wearable platform for monitoring atmosphere and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002280A (en) A smart mask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59021B1 (en) Child care system based on wearable device system using biometric sensor and beacon technology
CA3034811C (en) Combustible gas sensing element with cantilever support
KR101517332B1 (en) System for providing Environment Information
KR20150051041A (en)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educational environment
KR101872114B1 (en) Particulate matter remotely measuring apparatus using arduino and communication module
KR10102115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udden Infant Death and Infant Monitoring System by Using The Same
KR102056202B1 (en) Discharge sensing monitoring system having discharge sensing apparatus for diaper installation
KR101708776B1 (en) A cooperative child-care service system using the mobile platform
WO2015044724A1 (en) A system, method and device to record personal environment, enable preferred personal indoor environment envelope and raise alerts for deviation thereof
Jayabharata et al. Wearable real time health and security monitoring scheme for coal mine workers
TR201903477A2 (en) HEALTH SUPPORT SYSTEM
US2024003804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Personal Air Quality Monitor
CN216719223U (en) Natural gas alarm device
CN207741272U (en) Indoor intelligent air quality Situation Awareness terminal
KR20160104326A (en) Baby thermometer with the alarm system
Mirunalini et al. IoT‐Based Unified Child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WO2023086044A1 (en) A versatile multi-functional integrated smart notification, assistance and support device measuring vital environmental data and manages emergency processes and devices in interaction with the measured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