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012B1 - Guitar with motion sensors - Google Patents

Guitar with motion sens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012B1
KR101817012B1 KR1020160108591A KR20160108591A KR101817012B1 KR 101817012 B1 KR101817012 B1 KR 101817012B1 KR 1020160108591 A KR1020160108591 A KR 1020160108591A KR 20160108591 A KR20160108591 A KR 20160108591A KR 101817012 B1 KR101817012 B1 KR 10181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guitar
neck
mo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용채
강성혁
설현철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0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using generation of basic t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0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ovement interpretation, i.e. capturing and recognizing a gesture or a specific kind of movement, e.g. to control a musical instru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tar with a motion sensor. The guitar with a motion sensor, which includes a body, a neck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hea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neck, comprises: at least one motions sensor which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and detects motion of a user; a button unit which is disposed on the neck, and include at least one button;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sound stored in advance to be output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button pressed by a user and user motion sensing of the mo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user can easily play the guitar even though the user is not an expert, the guitar helps modern people do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since the body includes a speaker,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epare a speaker for convenient movement,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play the guitar even outdoors.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lay various instrument sounds and to output accompaniment,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purchase other instruments, and make an effort to look for people to play with is not necessary.

Description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Guitar with motion sensors}[0002] Guitar with motion sensors [

본 발명은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에 관한 것으로서, 초보자도 쉽게 연주할 수 있는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tar hav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guitar having a motion sensor that can be easily played even for a beginner.

최근에 각종 TV 오디션 프로그램이나 인디밴드, 야외공연 등에 관심을 가지게 된 사람들이 많이 늘었다. 그로 인해 악기연주나 밴드에 관심을 가지고 취미생활로 밴드나 음악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벚꽃이 피는 4월이나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에는 일반인들도 야외에서 연주를 하는 것을 즐기는 것을 자주 목격하게 되었다. Recently, many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various TV audition programs, indie bands, and outdoor performances. As a result,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r bands, and playing bands or music as hobbies. Especially in autumn when the cherry blossoms bloom and fallen leaves fall, we often witnessed the public enjoying playing in the open air.

하지만, 바쁜 현대생활에서 악기를 잘 연주하기 위한 연습시간을 가지는 것은 쉽지 않고 연습시간이 생기더라도 많은 시간을 가질 수가 없다. 그래서 안타깝게도 하고 싶은 취미생활을 포기하거나 꾸준히 하더라도 제대로 된 연주를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However, in busy modern life it is not easy to have practice time to play musical instruments well, and even if practice time occurs, it can not have much time. So unfortunately, even if you give up hobbies you want to do or steadily, it is often impossible to play properly.

특히, 드럼과 같은 타악기는 때리듯이 연주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음악적 센스가 좋다면 쉽게 배울 수 있지만, 기타와 같은 현악기는 음악적 센스가 좋은 것만으로는 익숙해지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좋은 연주를 하는 것에 어려운 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9620호 '음색이 좋은 기타'를 개시한 바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9620호는 기타의 현을 이용한 악기이기 때문에 숙련된 자가 아니면 제대로 된 연주를 하기 힘들다.In particular, percussion instruments such as drums are playing like hitting, so if you have a good musical sense, you can easily learn, but it is hard to get accustomed to a stringed instrument like a guitar because of its good musical sense. There are difficulties.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9620 " Guitar with good tone ".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9620 is a musical instrument using a guitar string, so it is difficult for a skilled person to perform proper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초보자도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itar hav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that allows a beginner to easily play the guitar.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 바디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넥 및 넥의 종단에서 연장되는 헤드를 포함하여 기타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는 바디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 센서, 넥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및 사용자가 누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과 동작감지 센서의 사용자 동작 감지 센싱에 따라 미리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tion detection sensor including a body, a bod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a neck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hea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neck, A guitar includes at least one guitar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body to detect movement of a user, a button unit having at least one button disposed on the neck, at least one button pressed by the us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ound sto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ensing.

여기서 헤드에는 선택적으로 악기소리를 설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악기설정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head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musical instrument setting button for selectively setting a musical instrument sound.

또한 버튼부는 음정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음정버튼, 기타의 코드를 연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코드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tch buttons for controlling the pitch, and a plurality of code buttons for playing other codes.

또한 바디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may also include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본 발명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는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연주할 수 있기 때문에 현대인들이 여가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guitar having the motion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layed even if it is not an exper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helping modern people to enjoy their leisure life.

또한 바디에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스피커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이동이 편리하며 야외에서도 쉽게 연주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contains speakers, you do not have to prepare a separate speaker, so it is easy to move and you can easily play it outdoors.

또한 여러 악기 소리를 연주하거나 반주를 출력할 수 있어 다른 악기를 추가적으로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연주할 사람을 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 않다.You can also play multiple instrument sounds or output accompaniment, so you do not have to purchase additional instruments and do not have to hire someone to 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의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보여주기 위한 투시도이다.
1 is a view of a guitar includ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gyro sensor includ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gantry with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peaker included in a main body includ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Also, terms used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or function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lurr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Connected ", "coupled ", or" connected. &Qu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의 소리가 출력되는 과정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의 본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보여주기 위한 투시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of a guitar provided with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guitar sound output apparatus hav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peaker included in a main body includ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는 바디(10), 바디(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넥(20) 및 넥(20)의 종단에서 연장되는 헤드(30)를 포함하여 기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동작감지 센서(100), 버튼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guitar having a motion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neck 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0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button unit 200 and a control unit 300. The operation sensor 100 includes a head 30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neck 20,

동작감지 센서(100)는 바디(1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이때, 동작감지 센서(100)는 바디(10) 전면의 중앙에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대칭으로 마련된 동작감지 센서(100)는 기타 연주자의 스트로크와 같은 움직임을 센싱하게 된다.At least one motion detection sensor 10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to sense the motion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0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 Accordingly, the motion sensing sensor 100 provided symmetrically senses the motion as the stroke of the guitar player.

동작감지 센서(100)는 손의 동작과 같은 모션을 센싱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나 진동감지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진동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동작의 크기 변화에 따른 진동의 변화를 통해서 음량을 조절할 수 있어 숙련자의 경우 풍부하면서 멋진 연주를 제공할 수 있다.The motion detection sensor 100 may be an infrared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capable of sensing a motion such as a motion of a hand. At this time, the vibration sensor can adjust the volume through the change of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size change of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expert can provide a rich and wonderful performance.

버튼부(200)는 넥(20)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한다. 이때, 버튼부(200)는 음정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음정버튼(210)과 기타의 코드를 연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코드버튼(220)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정버튼(210) 또는 코드버튼(220)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200 is disposed on the neck 20 and has at least one button. At this time, the button uni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tch buttons 210 for controlling the pitch and a plurality of code buttons 220 for playing other codes.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ively determine the desired pitch button 210 or code button 220.

음정버튼(210)은 기타의 줄이 6개이기 때문에 넥(20)의 폭방향을 따라 6개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넥(20)의 길이방향으로는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음정버튼(210)은 하나의 긴 버튼으로 형성되어 누르는 곳에 따라 다른 음이 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음정버튼(210)을 바디(10) 또는 헤드(30) 어느 한 부분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끄러지면서 누를 경우 부드럽게 음정이 바뀌면서 연주된다.The pitch button 210 may be provided with six button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neck 20 because the number of guitar strings is six and a button more or les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neck 20 . Or the pitch button 210 may be formed as one long button so that a different sound may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pressed position. In this case, when the pitch button 210 is slid forward or backward from either the body 10 or the head 30, the pitch is softly changed while the pitch is being played.

넥(20)에는 복수의 코드버튼(22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타코드는 초보자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지만 복잡한 코드를 외우면서 운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코드버튼(220)은 멜로디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코드를 복잡하게 누를 필요없이 하나의 버튼을 통해서 코드에 해당하는 멜로디를 출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plurality of code buttons 220 may be disposed on the neck 20. Miscellaneous code is the most basic for beginners, but it is hard to fingers while memorizing complex code. Since the code button 220 stores the melody,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outputting the melody corresponding to the code through one button without pressing the code complicatedly.

헤드(30)에는 악기선택버튼(230)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타소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악기선택버튼(230)을 통하여 다양한 악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악기선택버튼(230)을 통하여 원하는 악기소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선택한 악기선택버튼(230)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악기소리를 외부출력장치를 통해서 출력한다.The head 30 has a musical instrument selection button 230 disposed there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riety of musical instruments can be selected through a musical instrument selection button 230 based on guitar sounds.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instrument sound through the instrument selection button 230 and the controller 300 outputs the instrument sou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through the external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selected instrument selection button 230 do.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악기소리는 피아노, 색소폰 및 바이올린 등과 같은 건반악기, 관악기 및 현악기의 다양한 악기소리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악기소리는 제어부(300)를 통하여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악기선택버튼(230)에 제어부(300)를 통하여 악기소리가 아닌 반주나 음악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혼자서도 여러 명이 연주하는 듯한 멋진 음악을 연주할 수도 있고 다른 악기를 또 구매하거나 함께 연주할 사람을 구할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된다.The instrument sound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may be various instrument sounds such as keyboard instruments such as piano, saxophone, and violin, wind instruments, and string instruments. In addition, the sound of the instrum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50 can be chang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Also, it is possible to store an accompaniment or music, which is not a musical instrument sound,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on the musical instrument selection button 230. So you can play great music that seems to be played by many people, and you do not have to try to buy another instrument or get someone to play with.

제어부(300)는 넥(20)의 버튼부(200) 또는 헤드(30)의 악기선택버튼(230)의 눌러진 상태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감지 센서(100)의 센싱에 따라 해당되는 음이나 악기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utton sensor 200 according to the sensing of the pressed state of the button unit 200 of the neck 20 or the instrument select button 230 of the head 30, And controls the sound of a sound or an instrument to be outputted.

이때, 제어부(300)는 코드버튼(220)의 코드를 변경하거나 확장하여 보다 다양한 연주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may change or extend the code of the code button 220 to enable more various performances.

바디(10)는 스피커(240)를 일체형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야외에서 연주를 할 때 무거운 스피커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큰 볼륨을 원할 경우 바디(10)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입력단자(미도시)를 이용해 외부 스피커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dy 10 may include a speaker 240 as an integral unit. This makes it easy to move because you do not have to carry heavy speakers when you are outdoors. However, if a large volume is desir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by connecting it to an external speaker using an external input terminal (not shown) disposed in the body 10.

또한 바디(10)나 헤드(30)에 이펙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펙터는 음에 특별한 효과를 주는 장치로서 연주를 할 때 더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body 10 or the head 30 may also include an effector (not shown). The effect is a special effect to the sound, and it can provide more various effects when play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20 : 넥
30 : 헤드 100 : 동작감지 센서
210 : 버튼부 230 : 악기선택버튼
300 : 제어부 210 : 음정버튼
250 : 저장부 220 : 코드버튼
240 : 스피커
10: Body 20: Neck
30: Head 100: Motion detection sensor
210: Button part 230: Instrument selection button
300: Control section 210: Pitch button
250: storage unit 220: code button
240: Speaker

Claims (4)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넥(20) 및 상기 넥(20)의 종단에서 연장되는 헤드(30)를 포함하여 기타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감지 센서(100);
상기 넥(2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200); 및
사용자가 누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과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상기 동작감지 센서(100)의 센싱에 따라 미리 저장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200)는 음정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음정버튼(210); 및 기타의 코드를 연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코드버튼(220);을 구비하고,
상기 음정버튼(210)은 상기 넥(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각 누르는 위치에 따라 음정이 다르며, 폭 방향으로 6개가 배치되고,
상기 코드버튼(220)은 보지 않고도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모서리가 서로 붙어있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동작감지 센서(100)는 상기 바디(10)의 전면 중앙 상에서 상기 바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대칭으로 배치된 상태를 통해 기타 연주자의 스트로크 움직임을 센싱하고,
상기 동작감지 센서(100)는 진동감지 센서를 채용한 상태에서 기타 연주자의 동작 크기 변화에 따른 진동 변화를 통해 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
A motion detection sensor (not shown) including a body 10, a neck 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0 and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head 30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neck 20, And the like,
At least one or more motion detection sensors (10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for sensing the motion of the user;
A button unit 200 having at least one button disposed on the neck 20; And
And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button pressed by the user and outputting a previously stored sound according to sensing of the motion sensing sensor (100)
The button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pitch buttons 210 for adjusting pitches; And a plurality of code buttons 220 capable of playing other codes,
The pitch buttons 21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ck 20 and have different pitch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pressing positions,
The code button 220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having edge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code button 220 can be easily located without looking,
The motion sensing sensor 100 senses the stroke movement of the guitar player through a plurality of symmetrically arranged st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on the front center of the body 10,
Wherei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100) adjusts the volume through a vibration change according to a change in operation size of the guitar player while the vibration sensor is employ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0)에는 선택적으로 악기소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기설정버튼(23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musical instrument setting buttons (230) are disposed on the head (30) so as to selectively set a musical instrument sou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peaker (240) for outputting sound to the body (10).
KR1020160108591A 2016-08-25 2016-08-25 Guitar with motion sensors KR101817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591A KR101817012B1 (en) 2016-08-25 2016-08-25 Guitar with motion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591A KR101817012B1 (en) 2016-08-25 2016-08-25 Guitar with motion sens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012B1 true KR101817012B1 (en) 2018-01-10

Family

ID=6099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591A KR101817012B1 (en) 2016-08-25 2016-08-25 Guitar with motion sens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0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979B1 (en) * 2020-12-08 2022-04-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An intuitive learning electronic guitar
WO2023096226A1 (en) * 2021-11-29 2023-06-01 채정윤 Automatic guitar including corresponding buttons corresponding to components on chord name notation and simultaneously fingering corresponding buttons to determine chor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785A (en) * 2003-05-07 2004-11-25 Yamaha Corp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5078046A (en) * 2003-09-04 2005-03-24 Takara Co Ltd Guitar toy
JP5345809B2 (en) * 2008-07-25 2013-11-20 株式会社タイトー Musical instrument type performance apparatus an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3785A (en) * 2003-05-07 2004-11-25 Yamaha Corp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5078046A (en) * 2003-09-04 2005-03-24 Takara Co Ltd Guitar toy
JP5345809B2 (en) * 2008-07-25 2013-11-20 株式会社タイトー Musical instrument type performance apparatus an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979B1 (en) * 2020-12-08 2022-04-2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An intuitive learning electronic guitar
WO2023096226A1 (en) * 2021-11-29 2023-06-01 채정윤 Automatic guitar including corresponding buttons corresponding to components on chord name notation and simultaneously fingering corresponding buttons to determine cho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8986A1 (en) Stick Controller
US8586853B2 (en) Performance apparatus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11011145B2 (en) Input device with a variable tensioned joystick with travel distance for operating a musical instrument, and a method of use thereof
US10224015B2 (en) Stringless bowed musical instrument
US11170748B2 (en)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keyboard guitars
US6127615A (en) Stringed-instrument practice device
JP2006527393A (en) Multi-sound effects system with a dynamic controller for amplified guitar
KR101817012B1 (en) Guitar with motion sensors
US20190385577A1 (en) Minimalist Interval-Based Musical Instrument
JPS59500026A (en) Cord adjustment device for stringed instruments
US20170125000A1 (en) Selective pitch emulator for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s
GB2430302A (en) Musical instrument with chord selection system
JP2005078046A (en) Guitar toy
KR101842282B1 (en) Guitar playing system, playing guitar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guitar playing information
KR101778428B1 (en) Dual Play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O2018229746A1 (en) Musical instrument
US9947237B2 (en) Electronic push-button contrabass trainer
JP2004271566A (en) Player
JP2004177910A (en) Guitar for online karaoke-interlocked automatic code selection accompaniment
JP2588132Y2 (en) Electronic string instrument
JP3155374B2 (en) Scale control device
JP200913974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iGenova An introduction to some recent developments in gestural musical instruments
JP2006058444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of stringed instrument type
JPH04246692A (en) Electronic xyl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