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691B1 - Sound masking system - Google Patents

Sound mask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691B1
KR101816691B1 KR1020170048629A KR20170048629A KR101816691B1 KR 101816691 B1 KR101816691 B1 KR 101816691B1 KR 1020170048629 A KR1020170048629 A KR 1020170048629A KR 20170048629 A KR20170048629 A KR 20170048629A KR 101816691 B1 KR101816691 B1 KR 10181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rtificial
acoustic
noise
mas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헌
신주철
Original Assignee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광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광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6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6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3Estimation of noise, e.g. on error signa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7Feedforw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masking system. In particular, the sound masking system comprises each sound masking unit and a control terminal. The sound masking unit is installed in each sound section within a space to be divided into one or more sound sections, and includes: i) a noise reduction unit to detect noise generated in each sound section; ii) a processor to determine a waveform, a sound level, or provision of an artificial sound signal to mask the noise by each sound section; and iii) a sound output unit to output the artificial sound signal determined for each sound section by the processor to each corresponding sound section. The control terminal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control at least part of the sound masking units to the processor included in each sound masking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rregularly changed noise is detected in real-time, a change of noise is able to be promptly coped with, the artificial sound corresponding to the noise generated in each section is able to be outputted to each sound section to be sectioned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the artificial sound is able to be directly controlled on a real site of operating sound masking through a separate control terminal.

Description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SOUND MASKING SYSTEM}SOUND MASK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적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는 공간 내의 상기 각 음향적 구역마다 설치되며, (i) 상기 각 음향적 구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 (ii) 상기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음압 레벨 또는 제공 여부를 상기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하는 프로세서; (iii)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된 상기 인공 음향 신호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음향적 구역에 출력시키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mask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masking system tha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acoustic zones in a space that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one or more acoustic zones, the method comprising: (i) A noise detection unit (ii) a processor for determining a waveform, sound pressure level, or availability of an artificial acoustic signal for masking the noise for each acoustic region; (iii) an acou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acoustic signals determined for each acoustic zone by the processor to the corresponding acoustic zones; And a control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sound masking units via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processor included in each sound masking unit.

사운드 마스킹은, 화이트 노이즈와 같은 인공적인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주변의 소음이 덜 인식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예로서, 콜센터나 사무실, 대합실, 강당과 같이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 타인의 소음 또는 기계 소음이 덜 거슬리도록 해주거나, 의료시설 및 은행, 정부기관, 연구시설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개인정보 또는 기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서관과 같은 장소에서는, 너무 조용한 환경이 오히려 집중에 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인공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타인의 소리가 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각 장소에서의 소음은 항상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시시각각 불규칙적으로 변한다. 또한, 한 실내공간 안에서도 구역마다 소음의 정도가 다른데, 종래의 일률적인 사운드 마스킹 기술로는, 이러한 다변화된 소음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Sound masking is a technique that allows artificial sounds such as white noise to be generated so that the surrounding noise is less perceived. For example, in a noisy place such as a call center, office, waiting room, auditorium, etc., it may be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or mechanical noises of others, or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transmitted to security facilities such as medical facilities and banks, Or to protect confidentiality. Also, in a place such as a library, a too quiet environment may be rather disturbing to the concentration, so that the sound of the other person can be made less perceptible by generating artificial sound. On the other hand, the noise at each place is not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but varies irregularly from time to time. In addition, even in an indoor space, the degree of noise varies from one area to another. However, conventional uniform sound masking technology has a limit in that it can not effectively cope with such a diversified noise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all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불규칙하게 변하는 소음을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소음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noise that varies irregularly in real time so that it can respond immediately to a change in noise.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공간 내에서 구획될 수 있는 음향적 구역마다, 각 구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응되는 인공 음향을 출력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ble to output artificial sounds corresponding to the noises generated in the respective zones for every acoustic zone which can be partitioned in a specific space.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가 아닌 사운드 마스킹의 실제 운용 현장에서 별도의 제어 단말을 통하여 직접 인공 음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direct control of artificial sound through a separate control terminal at an actual operation site of sound masking rather than a server for managing the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representativ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적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는 공간 내의 상기 각 음향적 구역마다 설치되며, (i) 상기 각 음향적 구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 (ii) 상기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음압 레벨 또는 제공 여부를 상기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하는 프로세서; (iii)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된 상기 인공 음향 신호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음향적 구역에 출력시키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는 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masking system, comprising: (a) a sound masking system installed in each of the acoustic zones in a space that can be partitioned into at least one acoustic zone, A noise detection unit (ii) a processor for determining a waveform, sound pressure level, or availability of an artificial acoustic signal for masking the noise for each acoustic region; (iii) an acou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acoustic signals determined for each acoustic zone by the processor to the corresponding acoustic zones; And a control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sound masking units via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processor included in each sound masking unit.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nother method, apparatus, system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불규칙하게 변하는 소음을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소음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rregularly changing noises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so tha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spond to noise changes.

또한, 특정 공간 내에서 구획될 수 있는 음향적 구역마다, 각 구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응되는 인공 음향을 출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lso, artificial sounds corresponding to the noises generated in the respective zones can be output for every acoustic zone that can be partitioned within a specific space.

또한, 시스템을 관리하는 서버가 아닌 사운드 마스킹의 실제 운용 현장에서 별도의 제어 단말을 통하여 직접 인공 음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rectly control the artificial sound through a separate control terminal at the actual operation site of the sound masking rather than the server managing th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마스킹 유닛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마스킹 과정의 예시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und mask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und mask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ound mask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1000)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sound mask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block diagram of a sound mas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1000)은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 제어 단말(200), 서버(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1000)이 서버(300)를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1 and 2, a sound mask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ound masking unit 100, a control terminal 200, a server 300, and the like. For reference, the sound masking system 1000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the server 300.

구체적으로,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1000)은, 콜센터, 대합실, 의료시설, 은행, 정부기관, 연구시설, 도서관, 강당, 사무실, 회의실과 같이 사운드 마스킹이 필요한 다양한 장소, 시설, 실내 공간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은 공간 내의 각 음향적 구역(A, B, C, D, …)마다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ound masking system 1000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facilities, and indoor spaces requiring sound masking such as a call center, a waiting room, a medical facility, a bank, a government institution, a research facility, a library, , And the sound masking unit 100 can be installed for each acoustic zone A, B, C, D, ... in the space.

여기서, 음향적 구역(A, B, C, D, …)은, 예시적으로, 사무실에 설치된 파티션을 기준으로 구획되거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의 성능에 따른 적정 마스킹 범위를 기준으로 구획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Here, the acoustic zones A, B, C, D, ... are illustratively partitioned on the basis of partitions installed in the office, or partitioned on the basis of the appropriate masking rang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sound masking unit 100 But may not be limited thereto.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은 소음 감지부(110), 프로세서(120), 음향 출력부(130), 통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he sound masking unit 100 may include a noise sensing unit 110, a processor 120, an audio output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the like.

먼저, 소음 감지부(110)는 각 음향적 구역(A, B, C, D, …)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소음감지부(110)는, 음향 센서, 진동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간 소음의 정도, 등가 소음도 등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noise sensing unit 110 may sense noise generated in each of the acoustic zones A, B, C, D, .... Illustratively, the nois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n acoustic sensor, a vibration sensor, and the like, and may measure the degree of real-time noise, the equivalent noise level, and the like.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소음 감지부(110)에서 감지되는 소음의 정보를 참조로 하여,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각 음향적 구역(A, B, C, D, …)별로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processor 120 refers to the information of the noise sensed by the noise sensing unit 110, and generates a sound pressure level or a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for masking the noise to the respective acoustic zones A, B, C, D, ...).

가령, A구역에서는 75 dB의 소음이 감지되고, D구역에서는 35 dB의 소음이 감지되고 있는 경우, A구역에 설치된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a)의 프로세서(120)는 75 dB의 소음을 마스킹할 수 있도록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A구역의 이용자들이 느끼는 소음을 둔화시키고, D구역에 설치된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의 프로세서(120)는 D구역이 너무 조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D구역 이용자들의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75 dB of noise is detected in Zone A and 35 dB of noise is detected in Zone D, processor 120 of sound masking unit 100a installed in Zone A may mask 75 dB of noise So that the processor 120 of the sound masking unit 100 installed in the D zone determines that the D zone is too quiet so that the D zone The waveform or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can be determined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또한, 각 음향적 구역(A, B, C, D, …)에 설치된 프로세서(120)는, 각 음향적 구역(A, B, C, D, …)에서 시시각각 불규칙하게 변하는 소음을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소음 변화에 즉각 대응하여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ocessor 120 installed in each of the acoustic zones A, B, C, D, ... senses randomly varying noises in real time in each acoustic zone A, B, C, D, So that the waveform or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can be determined immediately in response to the noise change.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인공 음향 신호의 제공 여부를 상기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후술할 제어 단말(200)을 통하여 구역별로 결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버(300)에 의해 우선순위 높게 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구역별로 결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120 may determine whether to provide an artificial acoustic signal for masking the noise for each acoustic region. Th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for each zone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some cases, th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for each zone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set to a higher priority by the server 300.

다음으로, 음향 출력부(130)는 프로세서(120)에서 각 음향적 구역(A, B, C, D, …)별로 결정된 인공 음향 신호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음향적 구역(A, B, C, D, …)에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출력부(130)는,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인 것으로 상정하였지만, 다른 예로서, 각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방송시스템의 스피커를 음향 출력부(130)로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Next, the sound output unit 130 converts the artificial sound signals determined for the respective acoustic zones A, B, C, D, ... in the processor 120 into the acoustic zones A, B, C, D, ...). Here, it is assumed that the sound output unit 130 is a component included in each sound masking unit 100, but as another example, the speaker of the broadcasting system installed in each facility may be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unit 130 Each sound masking unit 100 may be constituted by using it.

한편, 음향 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화이트 노이즈, 핑크 노이즈, 블루 노이즈, 소정의 음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30 may be any one or more of white noise, pink noise, blue noise, and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제어 단말(200)은, 무선 통신을 통해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20)에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단말(200)은, 예시적으로, 리모컨 또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Next, the control terminal 2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a part of each sound masking unit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processor 120 included in each sound masking unit 100 Can play a role. The control terminal 200 may be, for example, any one of a remote control or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제어 단말(200)은, 제어 단말(200)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각 음향적 구역(A, B, C, D, …)에 대응되는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에 포함된 프로세서(120)로 하여금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ntrol terminal 200 is included in the sound masking unit 100 corresponding to each acoustic zone A, B, C, D, The processor 120 may be able to adjust the waveform or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가령,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1000)이 설치된 시설의 관리자가 B구역을 돌아보다가, 소음이 너무 커서 인공 음향의 음압 레벨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직접 제어 단말(200)을 조작하여 B구역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에서 출력되는 인공 음향의 음압 레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nager of the facility where the sound masking system 1000 is installed needs to go around the area B and the noise level is too high to raise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The level of the sound pressure of the artificial sound outputted from the sound masking unit 100 of FIG.

제어 단말(200)이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예로서, 제어 단말(200)이 하나 이상의 음향적 구역(A, B, C, D, …) 중 특정 음향적 구역(가령 B구역)을 향해 신호를 송신하였을 때 특정 음향적 구역(B구역)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만이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As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 terminal 200 transmits control signals to the sound masking unit 100,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terminal 200 is in a particular acoustic zone of one or more acoustic zones A, B, C, D, Only the sound masking unit 100 of the specific acoustic zone (zone B) receives the control signal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ound masking unit 100 (the zone B).

다른 예로서,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이 각각의 ID 정보에 대응되어 관리되며, 제어 단말(200)이, 각 ID 정보를 참조로 하여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에 각각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each sound masking unit 100 is managed corresponding to each piece of ID information, and the control terminal 200 transmits each control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ntrol signal ") to each sound masking unit 100 May be implemented.

가령, 제어 단말(200)에 구비된 소정의 입력부에서 특정 구역에 대응되는 버튼을 선택하여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조절하거나, 각 ID 정보(예시적으로, 'A, B, …', '1, 2, …', 'A1, A2, …' 등의 조합)를 입력하여 특정 구역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을 선택한 뒤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조절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 butt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zone may be selected from a predetermined input unit of the control terminal 200 to adjust the waveform or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or the ID information (e.g., 'A, B, , A combination of '1, 2, ...,' A1, A2, ... ') to select a sound masking unit 100 in a specific zone and then adjust the waveform or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t will be possible.

또 다른 예로서, 제어 단말(200)에 음성을 입력함으로써 음성 인식을 통해 제어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설명은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1000)이 별도의 제어 단말(200)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지만, 제어 단말(200)을 통하지 않고 각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에 직접 음성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the sound masking system 1000 may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voice recognition by inputting voice to the control terminal 200,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sound masking system 1000 includes a separate control terminal 200 It may be realized that voice control commands are input directly to each sound masking unit 100 without going through the control terminal 200. [

다음으로, 서버(300)는, 프로세서(310) 및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으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server 300 may include a processor 310 and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server 300 is connected to each sound masking unit 100 by wires or wires to exchange signals with each sound masking unit 100,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서버(300)의 프로세서(31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 음향 출력부(130)에서 인공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케줄, 및 인공 음향 신호의 출력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관리자 단말이 별도로 제공되거나, 서버(300) 자체가 관리자 단말일 수도 있을 것이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er 300 provides a user interface to a predetermined display, thereby providing a waveform or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a schedule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sound signal at the sound output unit 130, And generate or generate setting information set for any one or more of the output modes of the audio signal. Here, an administrator terminal including a predetermined display may be provided separately, or the server 300 itself may be an administrator terminal.

한편, 인공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케줄은, 각 음향적 구역(A, B, C, D, …)별로 인공 음향 신호를 출력시키고자 하는 시간 정보, 각 시간대마다의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chedule in which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s output is obtained by dividing the time information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sound signal for each acoustic zone A, B, C, D, ..., the waveform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for each time zone, Information.

또한, 인공 음향 신호의 출력 모드는, 도청 방지 모드, 개별 구역 마스킹 모드, 강의 모드, 회의 모드, 방송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운드 마스킹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Also, the output mode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avesdropping prevention mode, an individual zone masking mode, a lecture mode, a conference mode, and a broadcasting mo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한편, 음향 출력부(130)에서 서버(300)의 프로세서(310)에 의해 생성된 설정 정보를 참조로 하여 인공 음향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 단말(200)에 인공 음향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서버(300)의 프로세서(310)의 설정 정보를 우선적으로 참조하여 소정의 제어 명령을 무시하고 출력되고 있던 인공 음향 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When the sound output unit 130 detects that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s being output with reference to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er 300, the control terminal 200 controls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t is possible to preferentially refer to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er 300 to continuously output the artificial sound signal being outputted while ignoring the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서버(300)의 프로세서(310)에 의해 생성된 설정 정보를 참조로 하여 인공 음향 신호가 출력되고 있더라도, 제어 단말(200)에 입력된 제어 명령을 우선적으로 참조하여, 출력되고 있던 인공 음향 신호를 무시하고 제어 단말(200)에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인공 음향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Even if an artificial sound signal is outputted with reference to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er 300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user, the control command inputted to the control terminal 200 is preferentially referred to And may be configured to ignore the artificial sound signal being output and to control the artificial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200.

한편,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100)은 소정의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인공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30)의 출력 상태에 따라, 표시부에 소정의 알림이 표시될 수 있다.Each of the sound masking units 100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not shown). Depending on the output state of the sound output unit 130 that outputs the artificial sound signal,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여기서, 출력 상태는, 음향 출력부(130)가 서버(300)의 프로세서(310)에 의해 생성된 설정 정보를 참조하는지 또는 제어 단말(200)을 참조하는지에 대한 정보, 출력 모드의 종류 정보, 음향 출력부의 온-오프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Here, the output state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sound output unit 130 refers to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er 300 or refers to the control terminal 200, the type of the output mode, And on-off state inform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또한, 표시부는, 예시적으로 LED 조명 또는 소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여기서, 표시부의 알림은, 각 출력 상태에 따라 표시부의 색깔이 달라지거나, 깜박임, 특정 기호 모양, 특정 기호가 한 방향으로 흐르듯이 디스플레이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the display unit may be, for example, LED illumination or a predetermined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notification of the display unit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each output state, flickering, a specific symbol shape, a form in which a specific symbol flows in one direction, or the like.

한편, 서버(300)의 프로세서(310)는, 공간 내의 각 음향적 구역(A, B, C, D, …)에서 감지되는 소음의 정보를 분석하여, 공간 내의 특정 음향적 구역에서 발생되는 특정 소음이 공지(notice)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특정 소음이 주변에 전파될 수 있도록 공간 내에 출력되는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processor 310 of the server 300 analyzes the information of the noise sensed in each of the acoustic zones A, B, C, D, ... in the space, If the noise has a notice characteristic, the waveform or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output in the space may be adjusted so that the specific noise can be propagated to the surroundings.

예시적으로, C구역에서 특정 인물이 강의를 하고 있거나, 대피를 유도하는 비상 방송이 출력되고 있을 경우, 이를 소음으로 판단하지 않고, 강의 내용이나 비상 방송 내용이 공간 내에 잘 전파될 수 있도록,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을 조절하거나, 인공 음향 신호가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공간 내의 특정 음향적 구역에서 발생되는 특정 소음이 공지(notice)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소정의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a certain person is lecturing in the area C, or if an emergency broadcast for inducing evacuation is being output, the contents of the lecture or the contents of the emergency broadcast can be propagated well in the space without judging it as noi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veform or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sound signal, or to control the artificial sound signal to be off. Thus, a predetermined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a particular noise generated in a particular acoustic zone within a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notice.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마스킹 과정의 예시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sound mask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구체적으로, 공간 내에 구획된 각 음향적 구역(A, B, C, D, …)의 소음 감지부(110)를 통해 각 음향적 구역(A, B, C, D, …)의 소음이 측정되면(S310), 프로세서(120)는 측정된 소음의 정보를 분석하고(S320), 해당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해 음향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될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의 제공 여부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330). 여기서, S330 단계는 제어 단말(200)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참조로 하여(S340), 인공 음향 신호의 제공 여부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noise of each acoustic zone A, B, C, D, ... is measured through the noise sensing unit 110 of each acoustic zone A, B, C, D, The processor 120 analyzes the measured noise information (S320) and determines whether to provide the waveform or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30 in order to mask the noise, (S330). In operation S330,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s provided or not by referr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terminal 200 (S340).

다음으로, S330 단계에서 인공 음향 신호를 제공하거나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서버(300)에 설정되어 있는 인공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우선 참조 순위를 판단하여(S350), 현재 인공 음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참조하고 있는 참조 정보보다 소음 감지부(110) 또는 제어 단말(200)의 참조 순위가 더 높으면, S330 단계에서 결정된 인공 음향 신호를 해당 음향적 구역의 음향 출력부(13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S360).Next, if it is determined to provide or change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n step S330, the priority reference order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sound signal set in the server 300 is determined (S350) If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noise sensing unit 110 or the control terminal 200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information referenced for the acoustic region 130, the artificial acoustic signal determined in operation S330 may be output to the acoustic output unit 130 of the acoustic region (S360).

참고로, 상기에서는 S330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S350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S350 단계가 먼저 수행된 후에 S330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고, S330 단계와 S350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step S350 is performed after step S330 is performed, step S330 may be performed first, step S330 may be performed first, and steps S330 and S350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00 :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100 : 사운드 마스킹 유닛
110 : 소음 감지부 120 : 프로세서
130 : 음향 출력부 200 : 제어 단말
300 : 서버 310 : 프로세서
1000: sound masking system 100: sound masking unit
110: Noise detection unit 120: Processor
130: Audio output unit 200: Control terminal
300: server 310: processor

Claims (11)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적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는 공간 내의 상기 각 음향적 구역마다 설치되며, (i) 상기 각 음향적 구역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 감지부; (ii) 상기 소음을 마스킹하기 위한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음압 레벨 또는 제공 여부를 상기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하는 프로세서; (iii)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각 음향적 구역별로 결정된 상기 인공 음향 신호를 이에 각각 대응되는 음향적 구역에 출력시키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 및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는 제어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으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각 사운드 마스킹 유닛과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되,
상기 서버의 프로세서는, 소정의 디스플레이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인공 음향 신호의 상기 파형 또는 상기 음압 레벨,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상기 인공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스케줄, 및 상기 인공 음향 신호의 출력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생성하거나 생성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인공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상기 스케줄은, 상기 각 음향적 구역별로 상기 인공 음향 신호를 출력시키고자 하는 시간 정보, 각각의 상기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공 음향 신호의 파형 또는 음압 레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 음향 신호의 상기 출력 모드는, 도청 방지 모드, 개별 구역 마스킹 모드, 강의 모드, 회의 모드, 방송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은 소정의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공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음향 출력부의 출력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소정의 알림이 표시되되,
상기 출력 상태는, 상기 음향 출력부가 상기 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설정 정보를 참조하는지 또는 상기 제어 단말을 참조하는지에 대한 정보, 상기 출력 모드의 종류 정보, 상기 음향 출력부의 온-오프 상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In a sound masking system,
A sound detection unit installed in each of the acoustic areas in a space that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one acoustic area, the noise detection unit detecting (i) noise generated in each acoustic area; (ii) a processor for determining a waveform, sound pressure level, or availability of an artificial acoustic signal for masking the noise for each acoustic region; (iii) an acou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acoustic signals determined for each acoustic zone by the processor to the corresponding acoustic zones; And
A control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a part of each of the sound masking units via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processor included in each sound masking unit;
≪ / RTI >
Further comprising a server for managing data obtained from each of the sound masking units, wherein the server is connected to each sound masking unit by wires or wires to exchange signals,
Wherein the processor of the server is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to a predetermined display to display the waveform or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the schedule in which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s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section, To generate or generate setting information set for any one or more of the setting information,
Wherein the schedule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ncludes at least one of time information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sound signal for each acoustic area, waveform or sound pressure level information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time information, Lt; / RTI >
Wherein the output mode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s at least one of an eavesdropping prevention mode, an individual zone masking mode, a lecture mode, a conference mode, and a broadcast mode,
Wherein each of the sound masking units further includes a predetermine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notification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output state of the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rtificial sound signal,
The output state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sound output unit refers to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or of the server or refers to the control terminal, type information of the output mode, on / off state inform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The sound masking system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제어 단말에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각 음향적 구역에 대응되는 상기 사운드 마스킹 유닛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인공 음향 신호의 제공 여부를 제어하도록 하거나 상기 파형 또는 상기 음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terminal controls the processor included in the sound mask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acoustic zone to control whether or not to provide the artificial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Wherein the sound masking system is adapted to adjust the sound pressure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은 각각의 ID 정보에 대응되어 관리되며,
상기 제어 단말은, 상기 각 ID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각각의 사운드 마스킹 유닛에 각각의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ound masking units is managed corresponding to each ID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transmits each of the control signals to the sound masking units with reference to the ID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상기 서버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설정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인공 음향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 단말에 상기 인공 음향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서버의 프로세서의 상기 설정 정보를 우선적으로 참조하여 상기 소정의 제어 명령을 무시하고 출력되고 있던 상기 인공 음향 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ven if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when the sound output unit detects that the artificial sound signal is being outputted with reference to the sett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rocessor of the server , And preferentially refers to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processor of the server to continuously output the artificial sound signal being output while ignoring the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프로세서는, 상기 공간 내의 상기 각 음향적 구역에서 감지되는 상기 소음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공간 내의 특정 음향적 구역에서 발생되는 특정 소음이 공지(notice)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소음이 주변에 전파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 내에 출력되는 상기 인공 음향 신호의 상기 파형 또는 상기 음압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cessor of the server analyzes the information of the noise sensed in each of the acoustic zones in the space and if the specific noise generated in a specific acoustic zone in the space has a notice characteristic, And adjusts the waveform or the sound pressure level of the artificial sound signal outputted in the space so that a specific noise can be propagated to the surround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음향은, 화이트 노이즈, 핑크 노이즈, 블루 노이즈, 소정의 음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is at least one of white noise, pink noise, blue noise, and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은, 리모컨,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응용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마스킹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is at least one of a remote control and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KR1020170048629A 2017-04-14 2017-04-14 Sound masking system KR1018166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29A KR101816691B1 (en) 2017-04-14 2017-04-14 Sound mask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29A KR101816691B1 (en) 2017-04-14 2017-04-14 Sound mask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691B1 true KR101816691B1 (en) 2018-02-21

Family

ID=6152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29A KR101816691B1 (en) 2017-04-14 2017-04-14 Sound mask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6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425B1 (en) 2021-05-20 2021-09-09 주식회사 아큐리스 Noise masking method through variable masking sound level conversion
US11455980B2 (en) 2019-06-10 2022-09-27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7174A (en) 2005-03-22 2006-10-05 Yamaguchi Univ Device for protection of speech privacy
JP2008209785A (en) 2007-02-27 2008-09-11 Yamaha Corp Sound masking system
KR101289061B1 (en)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A lamp switch diciding noise bewteen floor and system using it
KR200468438Y1 (en) 2013-05-20 2013-08-19 정민규 Apparatus for alarming noise between floors
KR101475786B1 (en) * 2014-06-19 2014-12-31 이현보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7174A (en) 2005-03-22 2006-10-05 Yamaguchi Univ Device for protection of speech privacy
JP2008209785A (en) 2007-02-27 2008-09-11 Yamaha Corp Sound masking system
JP4910765B2 (en) 2007-02-27 2012-04-04 ヤマハ株式会社 Sound masking system and masking sound generator
KR101289061B1 (en)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A lamp switch diciding noise bewteen floor and system using it
KR200468438Y1 (en) 2013-05-20 2013-08-19 정민규 Apparatus for alarming noise between floors
KR101475786B1 (en) * 2014-06-19 2014-12-31 이현보 Anti-eavesdropping device applied to the building's open spac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5980B2 (en) 2019-06-10 2022-09-27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KR102300425B1 (en) 2021-05-20 2021-09-09 주식회사 아큐리스 Noise masking method through variable masking sound level conversion
US11756522B2 (en) 2021-05-20 2023-09-12 Aquris Co., Ltd Noise masking method through variable masking sound level conver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5717B2 (en) Awareness intelligence headphone
CN111868824A (en) Context aware control of smart devices
JP6250645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US20190327556A1 (en) Compact sound location microphone
CN111344785B (en) Audio signal control method and device using audio amplification effect in virtual reality
WO2022066393A1 (en) Hearing augmentation and wearable system with localized feedback
KR101816691B1 (en) Sound masking system
US80988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modification of speech intelligibility scoring
WO2020036058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CN113542963B (en) Sound mode control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2327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voice output device, and voice output method
KR1016598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Reduction And Inducement thereto
US20180352364A1 (en) Intelligent Dynamic Soundscape Adaptation
JP4910649B2 (en) Notification device and masking device
WO20201054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2181013A1 (en) Meeting system
KR20120094667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using sound wave
JP7078039B2 (en) Signal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s, as well as programs
KR20200089594A (en) Sound System for st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1409992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pplications through vocal element
US11741929B2 (en) Dynamic network based sound masking
US11737050B1 (en) Infrasonic alert and notification system
US20230229383A1 (en) Hearing augmentation and wearable system with localized feedback
WO20230321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3037120A (en) Voice processing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