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686B1 - Motor drive wheelbarrow - Google Patents

Motor drive wheelbarr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686B1
KR101813686B1 KR1020160052970A KR20160052970A KR101813686B1 KR 101813686 B1 KR101813686 B1 KR 101813686B1 KR 1020160052970 A KR1020160052970 A KR 1020160052970A KR 20160052970 A KR20160052970 A KR 20160052970A KR 101813686 B1 KR101813686 B1 KR 101813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wheel
unit
signal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3469A (en
Inventor
성영휘
이용호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용호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686B1/en
Publication of KR2017012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6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18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comprising an additional wheel, e.g. mounted on the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08Display devices mounted on it, e.g. advertisement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62B2202/03Bales of hay or gr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전동 및 자동 주행이 가능하며, 전동 또는 자동 주행모드에서는 기울기에 따라 전진과 후진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동 외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외발 전동 손수레는,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적재부; 적재부를 지지하며 조종기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바디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바디프레임부; 바디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는 외바퀴를 구비하는 외바퀴부; 상기 외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외바퀴의 축과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후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전후 기울기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발 손수레의 주행 시 전후 방향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작업 동작에 따라 자동 운전되고, 작업의 안전성과 능률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unidirectional wheelbarrow capable of performing forward and backward traveling according to a tilt in a manual or automatic running mode and a manual or automatic running mode.
Wherein the unicycle electric cart includes: a loading part composed of a loading box; A body frame part supporting the loading part and composed of a body frame on which a controller and a display are mounted; An outer wheel having a wheel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outer wheel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outer whee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by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body frame, so as to balance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uring traveling of the unicycle, And provides an effect of significantly improv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work.

Description

전동 외발 손수레{MOTOR DRIVE WHEELBARROW}{MOTOR DRIVE WHEELBARROW}

본 발명은 외발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수동, 전동 및 자동 주행이 가능하며, 전동 또는 자동 주행모드에서는 기울기에 따라 전진과 후진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동 외발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directional hand whe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uni-directional hand wheel which is capable of manual, electric and automatic travel, and is capable of advancing and reversing traveling according to a tilt in an electric or automatic traveling mode.

손수레는 사람의 물리적 힘을 확장시켜주는 가장 보편화된 운반기구로 농/산업 현장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제품이다. 소형 손수레는 중대형 운반기계류 대비 협소 공간 활용의 많은 장점들로 인해 산업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수요가 발생하는 운반기구이며, 주행을 위한 에너지 소비가 적고 좁은 통로에서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하여 농가의 필수품이다.Handcarts are the most widely used transport equipment to extend human physical strength and are the most widely used products in agriculture / industry. Small hand carts are vehicles that continuously generate demand in the industrial field due to many merits of utilization of narrow space compared to medium and large transportation machines. It is a necessity of the farm household because it is free from energy consumption for the driving and can be used freely in narrow passage.

이러한 외발 손수레의 예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4833호의 모터의 감속기 출력과 체인으로 결합되는 외발바퀴축의 체인스프라켓에 단방향클러치를 내장하여 자전거와 같이 한 방향으로 동력이 걸리고 풀리도록 구성한 외발전동손수레,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0965호의 호스권취기가 장착되는 주행식 농약살포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1061호의 토크리미터를 이용하여 주행을 수행하는 반자주식 주행식 분무기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6683호의 토크리미트를 이용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외발전동손수레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such unicycle carts include a unidirectional clutch incorporated in a chain sprocket of a unicycle wheel shaft coupled with a speed reducer output of a mot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04833, and a unidirectional clutch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70965, which is equipped with a hose rewinder, a semi-automatic stock sprayer for carrying out traveling using a torque limiter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081061, and Korean Patent Laid- And a unidirectional electric cart for controlling travel using a torque limit of -0086683.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균형을 잡기가 어렵고, 고속 주행 시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are difficult to balan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injury occurs to a worker due to insufficient operation of a worker at a high speed traveling.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48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0483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0965호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7096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1061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08106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6683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08668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발 손수레의 주행 시 전후 방향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작업 동작에 따라 자동 운전되고, 작업의 안전성과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외발 손수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a freestanding wheelbarrow, And to provide an electric unicorn handse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 외발 손수레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ic uni-directional hand-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적재부;A loading section comprising a loading box;

적재부를 지지하며 조종기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바디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바디프레임부;A body frame part supporting the loading part and composed of a body frame on which a controller and a display are mounted;

바디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는 외바퀴를 구비하는 외바퀴부;An outer wheel having a wheel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상기 외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외바퀴의 축과 연결되는 구동부; 및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outer wheel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outer wheel; And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후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전후 기울기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ody fram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back and forth inclination.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바디프레임부의 전후 기울기를 검출하는 전후기울기센서; 및A front-back tilt sensor for detecting a back-and-forth tilt of the body frame portion; And

상기 전후기울기센서에서 검출된 기울기의 방향에 따라 전진, 후진 또는 정지 구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부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전후기울기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front-to-rear tilt controller for outputting a driving unit driving signal for performing forward, backward, or stop driv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ilt detected by the front-rear tilt sensor to control the driving unit.

상기 전동 외발 손수레는,The electric unicorn hand-

바디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어 정지시의 균형을 유지하는 보조바퀴; 및An auxiliary wheel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to maintain a balance during stoppage; And

상기 보조바퀴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지면과 분리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보조바퀴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조바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wheel unit may further include a auxiliary wheel unit that detects a ground contact of the auxiliary wheel and outputs a driving stop signal, and outputs a driving signal when the auxiliary wheel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상기 보조바퀴부는,The auxiliary wheel portion

전륜보조바퀴와, 상기 전륜보조바퀴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륜보조바퀴의 지면과 분리 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전륜보조바퀴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륜보조바퀴부;로 구성될 수 있다.And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unit including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and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switch for detecting a ground contact of 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s and outputting a driving stop signal and outputting a traveling signal when 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s are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주행정지신호의 수신 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주행신호의 수신 시 구동부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부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o output a driving unit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stop driving the driving unit when receiving the driving stop signal and driving the driving unit upon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상기 보조바퀴부는, The auxiliary wheel portion

후륜보조바퀴와, 상기 후륜보조바퀴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후륜보조바퀴의 지면과 분리 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후륜보조바퀴스위치를 포함하는 후륜보조바퀴부;로 구성될 수 있다.And a rear wheel auxiliary wheel unit including a rear wheel auxiliary wheel, a rear wheel auxiliary wheel switch for sensing the ground contact of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and outputting a driving stop signal, and outputting a driving signal when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주행정지신호의 수신 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주행신호의 수신 시 구동부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부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to output a driving unit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stop driving the driving unit when receiving the driving stop signal and driving the driving unit upon receiving the driving signal.

상기 구동부 구동신호는,The driving unit driving signal includes:

상기 바디프레임부의 전후 기울기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전진, 후진 또는 정지 구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And may be a signal for performing the forward, backward, or stop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back and forth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unit.

상기 조종기는,The manipulator,

손잡이;handle;

구동 상태를 표시하고, 수동, 전동 및 자동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riving state and being attached to the handle so as to select manual, electric and automatic operation;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의 외바퀴부로 전달 및 차단을 제어하는 클러치레버; 및A clutch lever attached to the handle to control transmission and blocking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to the outer wheel portion; And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전후진 주행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조종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control lever attached to the handle so as to control forward and backward travel.

상기 수동 운전은,In the manual operation,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한 상태로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And may be driven by the work force of the ope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is stopped.

상기 자동 운전은,In the automatic operation,

상기 바디프레임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기울기에 따라 지면에 수직 방향의 양측 일정 각도 범위의 정지, 일정 각도 범위 이상의 각도 범위의 전진 또는 일정 각도 범위 이하의 후진 구동으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운전 모드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by stopping the angular range of the angles of the angles of the angular range exceeding the predetermined angular range or by performing the backward driving of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ngular range by stopping the angular ranges of both sides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 ≪ / RTI >

상기 전동 운전은, In the electric operation,

상기 조종레버의 전후진 제어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주행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운전모드일 수 있다.And may be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perform the forward or backward travel according to forward / backward control of the steering lever.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외발 손수레의 주행 시 전후 방향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작업 동작에 따라 자동 운전되고, 작업의 안전성과 능률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ovides an effect of balanc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cycle at the time of traveling and automatically operating according to the work operation of the worker, thereby remarkably improving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외발 손수레(1)의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부(50)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전동 외발 손수레(1)의 구동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view of an electric unic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50 of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driving of the electric uni-directional hand basket 1;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어 "예시적인" 은 "예로서, 일례로서, 또는 예증으로서 역할을 한다."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시적"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들은 다른 양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하다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만은 아니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s of disclosure, an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so, the word "exemplary" is used herein to mean "serving as an example, instance, or illustration." Any aspect described herein as "exemplary " is not necessarily to be constru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동 외발 손수레(1)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부(50)의 구성 블록도이다.Fig. 1 is a diagram of an electric uni-directional handheld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50 of Fig.

도 1과 같이, 상기 전동 외발 손수레(1)는 적재함(11)으로 구성되는 적재부(10), 적재부(10)를 지지하며 조종기(22)와 디스플레이(24)가 장착된 바디프레임(21)으로 구성되는 바디프레임부(20), 바디프레임(21)의 저면에 장착되는 외바퀴(31)를 구비하는 외바퀴부(30), 외바퀴(31)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외바퀴(31)의 축과 연결되는 구동부(40), 바디프레임(21)의 전후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전후 기울기에 따라 구동부(40)를 제어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50) 및 전원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electric uni-directional hand cart 1 includes a loading section 10 constituted by a loading box 11, a body frame 21 supporting a loading section 10 and having a controller 22 and a display 24 mounted thereon A body frame part 20 constituted by the body 31 and a wheel 31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21 and an outer wheel 30 having a wheel 31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21, A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40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21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ody frame 21 and the power source unit 60.

상기 조종기(22)는 손잡이(23), 구동 상태를 표시하고, 수동, 전동 및 자동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부(24), 손잡이(23)에 부착되어 구동부(40)의 구동력의 외바퀴부(30)로 전달 및 차단을 제어하는 클러치레버(25) 및 손잡이(23)에 부착되어 전후진 주행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조종레버(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anipulator 22 includes a display 23 that displays a driving state and a display 24 attached to the handle so as to select manual, electric, and automatic operation. The controller 24 is attached to the handle 23, A clutch lever 25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blocking of the driving force to the outer wheel 30 and a steering lever 26 attached to the handle 23 for controlling forward and backward travel.

상기 수동 운전은, 구동부(40)의 구동을 정지한 상태로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운전모드이다. 그리고 상기 자동운전은, 바디프레임(2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기울기에 따라 지면에 수직 방향의 양측 일정 각도 범위의 정지, 일정 각도 범위 이상의 전진 또는 일정 각도 범위 이하의 후진 구동으로 제어부(50)가 상기 구동부(40)를 제어하는 운전 모드이다. 다음으로, 전동 운전은, 조종레버(26)의 전후진 제어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주행을 수행하도록 제어부(50)가 구동부(40)를 제어하는 운전모드이다.The manual operation is a driving mode in which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 is stopped and driven by the workforce of the operator. The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by stopping the fixed angle ranges on both si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groun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21, advancing beyond a certain angle range, 50) controls the driving unit (40). Next, the electric operation is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ing unit 40 to perform the forward or backward travel according to the forward / backward control of the steering lever 26. [

상기 구동부(40)는 모터와 모터 드라이버, 인버터 등을 포함하는 구동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어부(50)의 구동부 구동신호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모터를 구동하도록 하여 구동력을 제공한다.The driving unit 40 includes a motor, a motor driver, an inverter, and the like. The driving unit 40 drives the motor in such a manner that a voltage applied to the motor is changed according to a driving unit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 unit 50 Thereby providing driving force.

상기 제어부(50)는 도 2와 같이, 바디프레임부(20)의 전후 기울기를 검출하는 전후기울기센서(51)와 전후기울기센서(51)에서 검출된 기울기의 방향에 따라 전진, 후진 또는 정지 구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부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부(40)를 제어하는 전후기울기제어기(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forward / backward tilt sensor 51 and the forward / backward tilt sensor 51 to detect the forward / backward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unit 20, And a forward / backward slope controller 5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40 by outputting a driving unit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40.

상기 전후기울기센서(51)는 외발 손수레의 바디프레임(21)의 전후 방향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기울기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back tilt sensor 51 can detect the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21 of the unicyc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an be composed of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ilt sensor, or the like.

상술한 구성의 제어부(50)는 자동 운전 시에는 전후기울기센서(51)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전동 운전 시에는 조종레버(26)의 입력 신호에 따라 구동부(40)를 전후진 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e unit 4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of the control lever 26 during the automatic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longitudinal tilt sensor 51 during the automatic operation.

또한, 상기 외발 손수레(1)는 바디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어 정지시의 균형을 유지하는 보조바퀴; 및 상기 보조바퀴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지면과 분리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보조바퀴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조바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Further, the unicycle wheel barrel (1)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to maintain balance during stoppage; And a subsidiary wheel unit including a subsidiary wheel switch for detecting a ground contact of the subsidiary wheel and outputting a travel stop signal, and for outputting a travel signal upon separation from the ground.

이 경우 상기 보조바퀴부는, 전륜보조바퀴부(70)와 후륜보조바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wheel unit includes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unit 70 and a rear wheel auxiliary wheel unit 80.

상기 전륜보조바퀴부(70)는 전륜보조바퀴(71)와, 전륜보조바퀴(71)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전륜보조바퀴(71)의 지면과 분리 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전륜보조바퀴스위치(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 unit 70 senses the ground contact of 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s 71 and 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s 71 to output a driving stop signal and outputs a driving signal when the wheel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of 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s 71 And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switch 72 for outputting.

상기 후륜보조바퀴부(80)는 후륜보조바퀴(81)와, 후륜보조바퀴(81)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후륜보조바퀴(81)의 지면과 분리 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전륜보조바퀴스위치(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unit 80 senses the ground contact of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81 and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81 and outputs a driving stop signal. When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unit 8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of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81, And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switch 82 for outputting the signal.

이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주행정지신호의 수신 시 구동부(40)의 구동을 정지하고, 주행신호의 수신 시 구동부(4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 구동신호는 바디프레임부(21)의 전후 기울기에 따라 구동부(40)를 전진, 후진 또는 정지 구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50 is configur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 when receiving the driving stop signal and output a driving unit driving signal to drive the driving unit 40 upon receipt of the driving signal.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driving signal includes a signal for performing the forward, backward, or stop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unit 21.

상기 전원부(60)는 자동차용 배터리 등의 축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60 may include a battery such as an automobile battery.

도 3은 전동 외발 손수레(1)의 구동을 나타내는 순서도.3 is a flowchart showing driving of the electric uni-directional hand basket 1;

도 3과 같이, 상기 제어부(50)는 먼저 운전모드가 수동운전, 자동운전 또는 전동운전 모드 인지를 판단한다(S10).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whether the operation mode is a manual operation, an automatic operation, or an electric operation mode (S10).

운전모드가 수동운전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50)는 구동부(40)와 외바퀴(31)의 동력 전달을 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반 외발 손수레와 같이 전동 외발 손수레(1)를 인력으로 전후진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20).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manual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50 disconnects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e unit 40 and the outer wheel 31. Accordingly, the user is allowed to perform forward and backward manipulation of the electric uni-directional handheld 1 with a force like a general unicorn handset (S20).

이와 달리 자동운전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50)는 전후기울기센서(51)가 측정한 바디프레임(21)의 전후기울기(θ)가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범위(-θT ??θ ??θT)인지를 판단한다(S40). 판단 결과 소정 각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50). 이와 달리 바디프레임(21)의 전후 기울기가 소정 각도 범위보다 큰 값을 가지는지 또는 작은 값을 가지는지를 판단한다(60). 전후 기울기가 소정 각도 범위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후 기울기(θ)에 비례하는 전압을 구동부(40)로 인가하여 θ에 비례하는 속도로 전동 외발 손수레(1)를 전진 구동한다(S70). 이와 달리 전후 기울기(θ)가 소정 각도 범위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전후 기울기(θ)에 비례하는 속도로 전동 외발 손수레(1)를 후진 구동한다(S80).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operation mode, the control unit 50 determines whether the body frame 21 measured by the longitudinal tilt sensor 51 is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θT ?? ? T) (S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ngl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motor is stopped (S50). Alternative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ront-back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21 has a valu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r has a small value (60). When the forward / backward slope has a value larger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a voltage proportional to the front / rear inclination? Is applied to the driving unit 40 to drive the electric uni-directional hand 1 forward at a speed proportional to? Alternatively, when the front-back inclination [theta] has a value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angle range, the electric uni-directional handwheel 1 is driven backward at a speed proportional to the front-back inclination [theta] (S80).

이러한 구동의 수행 중 제어부(50)는 전류보조바퀴스위치(72) 또는 후른보저바퀴스위치(82)로부터 전륜보조바퀴(71) 또는 후륜보조바퀴(81)의 지면 접촉에 따른 정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지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구동부(50)의 구동을 정지하고 처리과정을 종료한다(S90).When the sto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urrent auxiliary wheel switch 72 or the forward common wheel switch 82 in accordance with the ground contact of 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 71 or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81, When the stop command inputted from the user is received,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50 is stopped and the processing is terminated (S90).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전동 외발 손수레 10: 적재부
20: 비다프레임부 21: 바디프레임
22: 조종기 23: 손잡이
24: 디스플레이 25: 클러치레버
30: 외바퀴부 31: 외바퀴
40: 구동부 50: 제어부
60: 전원부 70: 전륜보조바퀴부
71: 전륜보조바퀴 72: 전륜보조바퀴스위치
80: 후륜보조바퀴부 81: 후륜보조바퀴
82: 후륜보조바퀴스위치
1: Electric unilateral cart 10:
20: Vida frame part 21: Body frame
22: Pilot 23: Handle
24: Display 25: Clutch lever
30: unicycle part 31: unicycle
40: driving unit 50:
60: power supply unit 70: front wheel auxiliary wheel unit
71: front wheel auxiliary wheel 72: front wheel auxiliary wheel switch
80: rear wheel auxiliary wheel portion 81: rear wheel auxiliary wheel
82: Rear wheel auxiliary switch

Claims (12)

적재함으로 구성되는 적재부;
적재부를 지지하며 조종기와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바디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바디프레임부;
바디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는 외바퀴를 구비하는 외바퀴부;
상기 외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외바퀴의 축과 연결되는 구동부; 및
상기 바디프레임부의 전후 기울기를 검출하는 전후기울기센서 및 상기 전후기울기센서에서 검출된 기울기의 방향에 따라 전진, 후진 또는 정지 구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부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전후기울기제어기를 구비하여 상기 바디프레임의 전후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전후 기울기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여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종기는,
손잡이;
구동 상태를 표시하고, 수동, 전동 및 자동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의 외바퀴부로 전달 및 차단을 제어하는 클러치레버; 및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어 전후진 주행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조종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동 운전이 선택된 경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한 상태로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동 운전이 선택된 경우, 상기 조종레버의 전후진 제어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주행을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자동 운전이 선택된 경우, 상기 바디프레임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한 기울기에 따라 지면에 수직 방향의 양측 일정 각도 범위의 정지, 일정 각도 범위 이상의 각도 범위의 전진 또는 일정 각도 범위 이하의 후진 구동으로 되도록 하여 손수레의 주행에 대한 보조주행이 아닌 전진, 후진 또는 정지를 포함하는 주행제어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동 외발 손수레.
A loading section comprising a loading box;
A body frame part supporting the loading part and composed of a body frame on which a controller and a display are mounted;
An outer wheel having a wheel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outer wheel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outer wheel; And
A front / rear tilt sensor for detecting a front / rear tilt of the body frame portion, and a front / rear til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riving portion by outputting a driving portion driving signal for performing forward, backward or stop driv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ilt detected by the front / rear tilt sens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inclination by detecting the front and rear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The manipulator,
handl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driving state and being attached to the handle so as to select manual, electric and automatic operation;
A clutch lever attached to the handle to control transmission and blocking of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to the outer wheel portion; And
And a control lever attached to the handle to control forward and backward travel,
Wherein,
Wherein when the manual operation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be driven by the work force of the ope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is stopped,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perform forward or backward travel according to forward / backward control of the steering lever when the electric operation is selected,
When the automatic operation is selected, stopping of the constant angle ranges on both sides perpendicular to the pape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advancing the angular range over a certain angle range, So as to control the drive unit so as to perform the travel control including forward, reverse, or stop rather than auxiliary travel to the running of the car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 외발 손수레는,
바디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되어 정지시의 균형을 유지하는 보조바퀴; 및
상기 보조바퀴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지면과 분리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보조바퀴스위치;를 포함하는 보조바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 외발 손수레.
The electric uni-directional hand wheel of claim 1,
An auxiliary wheel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frame to maintain a balance during stoppage; And
And a auxiliary wheel unit for outputting a driving stop signal by sensing the ground contact of the auxiliary wheel and outputting a driving signal upon separation from the groun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부는,
전륜보조바퀴와, 상기 전륜보조바퀴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륜보조바퀴의 지면과 분리 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전륜보조바퀴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륜보조바퀴부;로 구성되는 전동 외발 손수레.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d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unit including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and a front wheel auxiliary wheel switch for detecting a ground contact of 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s and outputting a driving stop signal and outputting a traveling signal when the front wheel auxiliary wheels are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Electric unicorn car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정지신호의 수신 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주행신호의 수신 시 구동부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부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동 외발 손수레.
5. The apparatus of claim 4,
And to output a driving unit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stop driving the driving unit when the traveling stop signal is received and to drive the driving unit upon receiving the traveling sign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부는,
후륜보조바퀴와, 상기 후륜보조바퀴의 지면 접촉을 감지하여 주행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후륜보조바퀴의 지면과 분리 시 주행신호를 출력하는 후륜보조바퀴스위치를 포함하는 후륜보조바퀴부;로 구성되는 전동 외발 손수레.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d a rear wheel auxiliary wheel unit including a rear wheel auxiliary wheel, a rear wheel auxiliary wheel switch for sensing the ground contact of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and outputting a driving stop signal, and outputting a driving signal when the rear wheel auxiliary wheel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Electric unicorn car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정지신호의 수신 시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하고, 상기 주행신호의 수신 시 구동부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부 구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전동 외발 손수레.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to output a driving unit driv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stop driving the driving unit when the traveling stop signal is received and to drive the driving unit upon receiving the traveling signa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구동신호는,
상기 바디프레임부의 전후 기울기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전진, 후진 또는 정지 구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인 전동 외발 손수레.
The driv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ignal is a signal for performing the forward, backward, or stop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front-back inclination of the body frame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52970A 2016-04-29 2016-04-29 Motor drive wheelbarrow KR101813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70A KR101813686B1 (en) 2016-04-29 2016-04-29 Motor drive wheelbarr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70A KR101813686B1 (en) 2016-04-29 2016-04-29 Motor drive wheelbarr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69A KR20170123469A (en) 2017-11-08
KR101813686B1 true KR101813686B1 (en) 2017-12-29

Family

ID=6038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970A KR101813686B1 (en) 2016-04-29 2016-04-29 Motor drive wheelbarr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6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7603A1 (en) * 2018-02-19 2019-08-22 Antoine Milane Dolly and method of manipul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9999B (en) * 2019-03-29 2020-11-20 联想(北京)有限公司 Movable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KR200493063Y1 (en) 2019-12-16 2021-01-26 대한민국 Apparatus for keeping balance of wheelbarrow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67564B1 (en) 2022-02-10 2022-11-17 주식회사 지이솔루션 Motor drive wheelbarro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35Y1 (en) * 1999-09-07 2000-03-15 배찬용 Electromotive handcart
JP2002200979A (en) * 2000-12-28 2002-07-16 Nascon Kk Jinrikish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35Y1 (en) * 1999-09-07 2000-03-15 배찬용 Electromotive handcart
JP2002200979A (en) * 2000-12-28 2002-07-16 Nascon Kk Jinrikish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7603A1 (en) * 2018-02-19 2019-08-22 Antoine Milane Dolly and method of manipulating same
US11505227B2 (en) 2018-02-19 2022-11-22 Antoine MILANE Dolly and method of manipul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69A (en)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686B1 (en) Motor drive wheelbarrow
US8676420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187049B2 (en) Walking assist moving body
US9242561B2 (en) Manually propelled vehicle
US9205746B2 (en) Electric assist cart
JP2012126353A (en) Mobile inverted pendulum
KR101753373B1 (en) Motor drive wheelbarrow with function of detecting collision and 2 axis self balancing
KR20190038699A (en) Driving and steering integrated device for agv and manned transporters
KR101812570B1 (en) Mecanum wheel forklift and the control method
KR20120001845U (en) electric cart operated by force sensing handle
KR20170112269A (en) Working Vehicle
JP6376936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JP2014189071A (en) Drive assist unit for truck
KR101797053B1 (en) Electrically driven moving vehicle
JP7010718B2 (en) Drive control device, drive control method
US20170066636A1 (en) Single Drive Three Pivot Forklift Truck Having Power Steering
US20220001942A1 (en) Traveling Vehicle
JP2009012510A (en) Carriage
KR101883644B1 (en) Electrically driven moving vehicle
KR100515394B1 (en) Variable guided vehicle with automatic and passivity
US9802647B2 (en) Device for controlling steering whe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eering wheel using same
KR20170001090U (en) Electric Cart
KR20160041135A (en) Driving Speed Controll System of Working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Speed using the same
JP5716909B2 (en) Carriage transfer device
JP2005132575A (en) Traveling control device of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