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206B1 -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206B1
KR101812206B1 KR1020160125338A KR20160125338A KR101812206B1 KR 101812206 B1 KR101812206 B1 KR 101812206B1 KR 1020160125338 A KR1020160125338 A KR 1020160125338A KR 20160125338 A KR20160125338 A KR 20160125338A KR 101812206 B1 KR101812206 B1 KR 10181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feit
occurrence
information
discrimin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아이엔에이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며 특정 위치에서 위폐 여부를 확인코자 하는 대상 지폐를 단순히 촬영한 후 미리 저장된 진폐에 대한 특정 정보와 비교하여 별도의 보정절차없이 곧바로 진폐인지 위폐인지 여부를 즉시 감별한 후, 위폐 감별 정보를 제공하는 위폐 감별 장치 및 상기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위폐 감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폐 감별 정보를 기초로 위조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를 결정한 후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을 추적하는 위폐 발생 추적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COUNTERFEIT DISCRIMNATION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폐의 위조 유형을 분류하여 위조 유형에 따른 위폐 발생 장소와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어 위폐 제작자를 쉽게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위조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초기에는, 위조 화폐는 칼라 스캐닝 후 고해상도 출력(대안으로 칼라 사진 복사)하거나 또는 비 보안 종이에 조잡하게 출력함으로써 생산되었다. 오늘날 은행권(bank note)은 음각 인쇄(intaglio print), 광학적으로 변화하는 잉크(OVI) 특징들 및 형광 섬유를 포함하는 자외선형광 특징과 같은 다양한 보안 특징을 통합한다.
이에 따라, 위조범들은 종이의 형광 특징을 포함하는 이들 특징을 복제하려고 현재 노력하고 있다.
위조 화폐와 진품 사이에는 아주 얇은 경계가 있을 뿐이다. 이에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확인 방식이 진위를 판단하는데 필수적이다.
화폐에서 통합된 시각 및 자외선 형광 보안 특징은 국가마다 다르며 또한 화폐 단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화폐의 위조 여부를 감별하는데는 통상적으로 육안에 의한 방법과 마그네트 헤드 검지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육안에 의한 방법은 현미경이나 돋보기와 같은 확대장치를 이용하여 화폐에 인쇄된 암호색인의 여부를 확인하여 위조 여부를 감별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일반 대중들에게는 이에 대한 감별력이 없기 때문에 위폐는 계속적으로 유통될 수 있으며, 조폐공사에나 일반 은행에서도 위조지폐를 감별하는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그네트 헤드 검지방식은 화폐의 화상 표면에 분포되는 마그네트를 검지하는 것으로, 위조 기술의 발달로 인해 위조지폐에도 동일한 마그네트가 분포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달러의 위조 여부를 감별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육안으로 쉽게 분별될 정도로 조악한 위폐를 제외한 정교하게 가공된 위폐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문기관이나 전문가를 통해 감별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특수장비를 갖추어야 하므로 일반인은 감별 능력이 떨어지므로 실제 거래시 피해를 입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개특허 제2013-0014920호(2013.02.12)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위폐 감별법'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공개특허는 지폐에 대한 가시광선 촬영 화상 및 적외선 촬영 화상을 입력받는 단계, 기저장된 권종 데이터베이스를 독출하여, 가시광선 촬영 화상과 비교하여 지폐의 권종을 판단하는 단계, 가시광선 촬영 화상을 권종 데이터베이스에 대응시키도록 하는 보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적외선 촬영 화상을 보정하여 보정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보정 화상을 이진화하며, 이진화된 보정 화상을 기저장된 진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위폐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때문에,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를 포함한 그와 유사한 단말기를 소유한 경우,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만 탑재하면 쉽고 빠르게 화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일반인들의 건전한 상거래 질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공개특허는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가시광선 반사 이미지와 적외선 반사 이미지를 취득하는 구조이므로 반드시 적외선 필터교환기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가시광선 반사 이미지 취득시에는 적목현상 방지를 위해 반드시 적외선 필터를 사용해야 하지만, 적외선 반사 이미지 취득시에는 적외선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야 하므로 이 적외선 필터를 번갈아 위치시킬 수 있는 특수 구조의 필터 교환기가 반드시 요구되는 구조이다.
뿐만 아니라, 취득된 이미지를 권종별 원본 이미지 정보(권종별 DB)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취득된 이미지에 대한 보정이 행해져야 하는데, 특히 휴대 단말기로 지폐를 촬영할 때는 주로 손으로 집은 상태에서 촬영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지폐의 요부를 가리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여 값을 부여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사실상, 이렇게 가려진 경우에는 보정이 거의 불가하다고 봐야 한다.
때문에, 상기 공개특허의 구조로는 지폐를 바르게 펼쳐서 구겨진 부분이 없게 한 상태에서 수평면 상에 올려 놓고 이를 정확하게 촬상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므로 빈번한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생활현장에서 이러한 위폐 감별방식은 여간 불편하지 않다.
더구나, 지폐가 비틀어진 상태로 촬영될 경우 이에 대한 보정도 쉽지 않다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또한, 권종별 원본 이미지 정보와 보정된 이미지 정보를 항상 비교해야 하므로 보정에 따른 시간 소요, 원본 이미지 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시간 소요는 물론, 권종(5만원권, 1만원권, 천원권 등) 자체도 권종 DB와 비교하여 권종이 무엇인지 감별해야 하므로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가리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에는 위폐가 발생되더라도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 위폐 제작자를 검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또는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위폐 감별 정보에 따라 위폐의 위조 유형을 분류하여 위조 유형에 따른 위폐 발생 장소와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어 위폐 제작자를 쉽게 검거할 수 있도록 하는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가 별도의 보정작업없이 취득한 이미지 그대로를 판독하여 진폐와 위폐 여부를 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설혹 지폐를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촬상하여 지폐의 일부를 가린 채 획득한 이미지라고 하더라도 정확하고 쉽게 진위여부를 가릴 수 있어 실생활속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은 진폐인지 위폐인지 여부를 감별한 후, 위폐 발생 지점 및 시간을 포함하는 위폐 정보를 제공하는 위폐 감별 장치 및 상기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위폐 감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폐 감별 정보를 기초로 위조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를 결정한 후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을 추적하는 위폐 발생 추적 서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위폐 감별 방법은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또는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가 위폐여부를 확인코자 하는 대상 지폐의 위폐 여부를 즉시 감별한 후, 위폐 발생 지점 및 시간을 포함하는 위폐 정보를 위폐 발생 추적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가 상기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및 상기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위폐 감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폐 감별 정보를 기초로 위조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가 상기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또는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위폐 감별 정보에 따라 위폐의 위조 유형을 분류하여 위조 유형에 따른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어 위폐 제작자를 쉽게 검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보정하지 않고 촬영된 이미지 자체를 직접 판독하기 때문에 처리시간이 무척 빠르고, 무엇보다도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외선 필터 교환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 편리성이 증대되고, 휴대 단말기인 스마트폰의 기구적, 기계적 구조변경없이 출시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기술 적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하기 매우 쉽기 때문에 한 손에는 지폐를 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스마트폰을 든 상태에서 촬영하기만 하면 아주 빠른 시간내 지폐의 진위여부가 밝혀지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없이도 즉석에서 실시간으로 진폐와 위폐를 감별할 수 있어 범죄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건전한 상거래 질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폐 발생 추적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지폐 이미지 및 위폐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폐 발생 추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위폐 감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위폐 감별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감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감별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은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 및 위폐 감별 장치(500)를 포함한다.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감별 장치(500)로부터 위폐 감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폐 감별 정보를 기초로 위폐 발생을 추적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해,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감별 장치(500)로부터 위폐 감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폐 감별 정보를 참조로 위폐 이미지를 위조 유형에 따라 해당 위조 유형의 위폐 발생 정보를 결정한 후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을 추적하는 서버이다.
일 실시예에서,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위폐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조 유형을 분류한 후, 위조 유형에 따라 해당 위조 유형의 위폐가 발생한 지점 및 시간을 결정한 후 위폐가 발생한 지점 및 시간을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위폐 제조자 별로 위조 유형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위폐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조 유형을 분류한 후,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제조자를 결정하고, 위폐 제조자에 의한 발생한 지점 및 시간을 결정한 후 위폐가 발생한 지점 및 시간을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위폐 유형 별로 위폐 제조자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위조 유형 A의 위폐 제조자 "위폐 제조자 a, 위폐 제조자 b, 위폐 제조자 c…", 위조 유형 B의 위폐 제조자 "위폐 제조자 d, 위폐 제조자 e, 위폐 제조자 f…"이 저장되어 있으며,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조 유형 A인 경우 범인으로 위폐 제조자 a, 위폐 제조자 b 및 위폐 제조자 c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제조자 a, 위폐 제조자 b 및 위폐 제조자 c에 의한 위폐가 발생한 지점 및 시간을 결정한 후 위폐가 발생한 지점 및 시간을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위폐 제조자 A의 위조 유형 "지폐 상의 a 부분", 위폐 제조자 B의 위조 유형 "지폐 상의 b 부분"이 저장되어 있으면,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이미지의 b 부분이 위폐 제조 시 사용되었다고 판단하면 위폐 유형을 위폐 제조자 B로 결정한다. 그런 다음,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유형 "위폐 제조자 B" 에 의한 위폐가 발생한 지점 및 시간을 결정한 후 위폐가 발생한 지점 및 시간을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다.
위폐 감별 장치(500)는 위폐 여부를 확인코자 하는 대상 지폐가 진폐인지 위폐인지 여부를 즉시 감별한 후, 위폐 감별 정보를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에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 및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400)를 포함한다.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는 이동이 가능한 위폐 감별 장치로서, 이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며 특정 위치에서 위폐 여부를 확인코자 하는 대상 지폐가 진폐인지 위폐인지 여부를 즉시 감별한 후, 위폐 감별 정보(예를 들어, 위폐 이미지, 위폐 감별 시간, 위폐 감별 위치 등)를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에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는 특정 단말기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예시로서 이동통신단말기로서 통상적인 휴대폰, PDA, 태블릿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고정형 위폐 감별장치가 이동을 할 경우에는 이동형 위폐 감별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동형 위폐 감별장치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실시예로서 도 6이후에 기술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이동형 위폐 감별장치이다.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400)는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여 위폐여부를 확인코자 하는 대상 지폐의 위폐 여부를 즉시 감별한 후, 위폐 감별 정보(예를 들어, 위폐 이미지, 위폐 감별 시간, 위폐 감별 위치(즉, 은행 위치) 등)를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에 제공하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은행에 설치된 위폐 감별 장치를 들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위폐 발생 추적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101),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102), 위폐 분류부(103) 및 위폐 발생 추적부(104)를 포함한다.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는 위폐 제조자 별로 위조 유형 또는 위조 유형 별로 위폐 제조자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위폐 제조자 A의 위조 유형 "지폐 상의 복수의 이미지 중 a 부분", 위폐 제조자 B의 위조 유형 "지폐 상의 복수의 이미지 중 b 부분"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위조 유형 A의 위폐 제조자 "위폐 제조자 a, 위폐 제조자 b, 위폐 제조자 c…", 위조 유형 B의 위폐 제조자 "위폐 제조자 d, 위폐 제조자 e, 위폐 제조자 f…"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는 위조 유형 별 위폐 발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위폐 발생 정보는 위폐 발생 지점, 위폐 발생 시간, 위폐 발생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는 위폐 제조자 A 유형은 "2015.2월 서울 강남구, 2015년3월 경기 성남시…", 위폐 제조자 B 유형은 "2014.3월 서울 노원구, 2014. 4월 경기 의정부시 …"가 저장되어 있다.
위폐 분류부(103)는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101)를 참조로 위폐 이미지에 해당하는 위조 유형을 분류한다.
예를 들어,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 위폐 제조자 A의 위조 유형 "지폐 상의 a 부분", 위폐 제조자 B의 위조 유형 "지폐 상의 b 부분"이 저장되어 있으면, 위폐 분류부(103)는 위폐 이미지의 b 부분이 위폐 제조 시 사용되었다고 판단하면 위폐 유형을 위폐 제조자 B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101)에 위조 유형 A위 위폐 제조자 "위폐 제조자 a, 위폐 제조자 b, 위폐 제조자 c…", 위조 유형 B의 위폐 제조자 "위폐 제조자 d, 위폐 제조자 e, 위폐 제조자 f…"이 저장되어 있으면, 위폐 분류부(103)는 위폐 이미지가 위조 유형 B이면 위폐 제조자를 "위폐 제조자 d, 위폐 제조자 e, 위폐 제조자 f…"를 결정할 수 있다.
위폐 발생 추적부(104)는 위폐 분류부(103)에 의해 위폐의 위조 유형이 결정되면,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102)를 참조로 위조 유형의 위폐 발생 정보를 결정한 후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을 추적한다. 이때, 위폐 발생 정보는 위조 유형의 위폐가 발생한 지점, 시간 및 발생량 등을 포함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폐 발생 추적부(104)는 위폐 발생 정보를 기초로 위폐 발생 경로를 생성한 후, 위폐 발생 경로를 이용하여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 위폐 제조자 A 유형 "2015.2월 서울 강남구, 2015년3월 경기 성남시…", 위폐 제조자 B 유형 "2014.3월 서울 노원구, 2014. 4월 경기 의정부시 …"가 저장되어 있고, 위폐 분류부(103)에 의해 결정된 위조 유형이 위폐 제조자 B 유형인 경우, 위폐 발생 추적부(104)는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102)에서 위폐 제조자 B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 "2014.3월 서울 노원구, 2014. 4월 경기 의정부시 …"를 추출한 후, 지도 상에 위폐 발생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다.
즉, 위폐 발생 추적부(104)는 위폐 제조자 B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 "2014.3월 서울 노원구, 2014. 4월 경기 의정부시 …"를 지도 상에 표시하면 위폐가 발생 경로를 "노원구 … 의정부"로 결정하고, 발생 경로 "노원구 … 의정부"를 기초로 향후 발생 가능 지점 "남양주"를 유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지폐 이미지 및 위폐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a)와 같이 정상 지폐를 적외선 이미지로 촬상하면 도 3(a-1)와 같다. 하지만,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지폐가 위조되는 경우 위폐를 적외선 이미지로 촬상하면 도 3(a-1)와는 다르게 도 3(b) 내지 도 3(d)과 같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위폐 제조자 별로 정상 지폐를 위조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위조 지폐를 적외선 이미지로 촬상하면 도 3(b) 내지 도 3(d)과 같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즉, 도 3(b) 내지 도 3(d)과 같은 위폐 이미지는 정상 지폐의 어느 부분을 위조하여 위폐를 생성했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유형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도 3(b)의 위폐 이미지는 A 유형, 도 3(c)의 위폐 이미지는 B 유형, 도 3(d)의 위폐 이미지는 C 유형으로 저장되어 있다면,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위폐 이미지가 어느 유형에 해당되는지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폐 발생 추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및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위폐 감별 정보에서 위폐 이미지를 추출한다(단계 S410).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상기 위폐 이미지의 위조 유형을 분류한다(단계 S420). 이와 같은 이유는 위폐 제조자 별로 정상 지폐를 위조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위조 지폐를 적외선 이미지로 촬상하면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도 5(b-1)과 같이 정상 지폐가 어느 부분(410, 420, 430, 440)을 위조하여 위조 지폐를 생성하느냐에 따라 위조 지폐를 적외선 이미지로 촬상하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것과 같이 도 3(b) 내지 도 3(d)과 같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위조 제조자 별 위조 유형이 저장되어 있다면,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상기 위폐 이미지의 위조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도 3(b)의 위폐 이미지는 A 유형 "위폐 제조자 a, 위폐 제조자 b", 도 3(c)의 위폐 이미지는 B 유형 "위폐 제조자 c, 위폐 제조자 d", 도 3(d)의 위폐 이미지는 C 유형 "위폐 제조자 e, 위폐 제조자 f"으로 저장되어 있다면,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위폐 이미지가 도 3(b)의 위폐 이미지와 동일하면 위폐 이미자를 A유형으로 분류한 후, 위폐 제조자 a, 위폐 제조자 b를 범인 후보로 결정할 수 있다.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를 결정한다(단계 S430). 이때, 위폐 발생 정보는 위폐 발생 지점, 위폐 발생 시간, 위폐 발생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을 추적 한다(단계 S440). 예를 들어, 위폐 발생 추적 서버(100)는 도 5(c)와 같이 위폐 발생 지점, 위폐 발생 시간, 위폐 발생량 등을 지도 상에 표시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도 1, 300)는 필수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입출력단자(120), 더 바람직하게로는 적외선 카메라(도 2, 200)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USB단자를 포함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입출력단자(120)는 이미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에 모두 구현되어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출력단자(120)를 통해 구동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200)만 더 구비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카메라(200)는 USB단자를 통해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듈 형태로 제조되며, 컨트롤러(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10)에는 USB단자와 같은 입출력단자(120)가 연결 제어되며, 또한 데이터 저장, 처리, 갱신 등을 위해 제1,2메모리(220,230)가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트롤러(210)에는 적외선 촬영을 위해 촬상부(240)가 연결 제어되며, 촬상된 이미지를 픽셀처리하기 위한 이미지처리부(250) 및 픽셀값추출부(260), 그리고 적외선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생성부(270) 및 픽셀값들의 합을 계산하는 연산부(290), 또한 상기 연산부(290)에서 계산된 값의 차이를 비교하는 비교판단부(280)가 연결 제어된다.
이때, 상기 촬상부(240)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이라고 보면 되고, 상기 이미지처리부(250)는 가시광선 카메라(110)로 촬상된 이미지를 적외선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해 촬상된 지폐 이미지를 정해진 픽셀단위로 분할하여 인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픽셀값추출부(260)는 각 픽셀의 R,G,B 중 가장 높은 빛의 강도(Intensity)를 갖는 값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이미지생성부(270)는 픽셀값추출부(260)에서 추출된 값을 기준으로 가시광선 이미지를 적외선 이미지로 변환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연산부(290)는 변환된 적외선 이미지의 각 픽셀값들을 합한 값, 즉 제1합산값과 적외선 카메라로 촬상된 적외선 이미지의 각 픽셀값들을 합한 값, 즉 제2합산값간의 차이를 계산하거나 혹은 진폐에 대한 기준값과 촬영된 지폐에 대한 산출값(즉, 제1,2합산값의 차이값)을 계산하고, 계산이 완료되면 비교판단부(280)가 이들 값의 상호 일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에서, 가시광선 이미지를 적외선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퓨리에변환기를 이용하는 방법, 혹은 적외선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는 바, 이들은 공지된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제2메모리(230)는 상기한 촬영된 지폐에 대한 산출값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110)를 통해 촬상된 지폐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이동형위폐 감별 장치(300)에 탑재된 메모리(구분을 위해 '메인메모리'라 함)에 저장되며, 감별을 위해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의 제어부와 적외선 카메라(200)의 컨트롤러(210)가 상호 교신하여 읽어 들인 후 적외선 지폐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해 이미지처리부(260)를 통해 픽셀처리하고, 각 픽셀을 구성하는 R,G,B중 가장 높은 값을 그 픽셀에 대한 픽셀값으로 픽셀값추출부(260)가 추출하고, 추출된 픽셀값을 기준으로 공지의 이미지 변환방식에 따라 이미지생성부(270)가 가시광 이미지를 적외선 이미지로 변환하여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변환된 적외선 이미지의 각 픽셀에는 상기 추출된 픽셀값도 함께 변환되어 변화된 각 픽셀을 대표하는 각각의 픽셀값이 된다.
때문에, 제1합산값을 산출할 때 변환된 적외선 이미지상의 각 픽셀값을 합하면 쉽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처리부(250) 및 픽셀값추출부(260), 그리고 이미지생성부(270)가 가시광 이미지를 적외선 이미지로 변환처리하는 동안,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적외선 이미지는 제2메모리(230)에 임시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적외선이미지 변환과정이 완료되면 촬상된 적외선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처리(픽셀부여), 픽셀값추출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연산부(290)는 변환된 적외선 이미지에 대한 제1합산값과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에 대한 제2합산값을 각각 계산한 후 이들의 차이값을 산출값으로 하여 제2메모리(230)에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1메모리(220)에는 진폐에 대한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고, 제2메모리(230)에는 촬영한 지폐에 대한 산출값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들 값의 일치 여부를 비교판단부(280)가 판단함으로써 촬영된 지폐의 진위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진폐라면 제1,2메모리(220,230) 상의 값이 서로 일치할 것이고, 위폐라면 불일치할 것이다. 다만, 지폐의 상태를 감안하여 인식률 혹은 촬영상태에 따른 오차를 감안하여 수십차례 이상 판독한 후 오차의 범위를 설정해둘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처리 과정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면, 진위 여부는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의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위폐를 감별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에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이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위폐 감별을 위해 처리하는 과정에 기능하는 상술한 구성들은 앞서 설명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개념위주로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법 구현을 위해서는 상술한 적외선 카메라(200)가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의 입출력단자(120), 즉 USB단자에 접속된 상태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폐 감별방법은 먼저, 지폐 이미지 획득단계(S100)가 수행된다.
상기 지폐 이미지 획득단계(S100)는 진폐인지 위폐인지를 감별해야할 대상 지폐를 들고 위폐 감별 장치(100)에 탑재된 가시광선 카메라(110)와, 위폐 감별 장치(100)의 입출력단자(120)에 접속되어 있는 적외선 카메라(200), 즉 촬상부(240)를 통해 동일 지폐를 동시에 촬상하는 단계이다.
때문에, 도 8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지폐를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이 그대로 찍힐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미지 보정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종래 공개특허에서는 지폐 촬영 후 어떤 권종인지를 인식하기 위해 비교 판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권종을 자동 감별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화면상에 구현된 권종 선택화면에서 사용자가 먼저 선택한 후 사용하게 되면 굳이 자동 감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상기 지폐 이미지 획득단계(S100)를 통해 촬영된 지폐 이미지, 즉 가시광선 카메라(110)를 통해 촬상된 지폐 이지미(이하 '가시광 이미지'라 함)는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에 탑재된 메인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200)를 통해 촬상된 지폐 이미지, 즉 촬상된 적외선 이미지는 적외선 카메라(200)의 제2메모리(22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30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화면상에 버튼 조작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 부분은 생략하고, 처리 흐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어, 가시광선 카메라(110)로 촬상된 지폐 이미지, 즉 가시광 이미지를 촬상된 적외선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도록 비교 가능한 적외선 이미지로 변환하는 가시광이미지 변환단계(S110)가 수행된다.
상기 가시광이미지 변환단계(S110)는 상기 컨트롤러(210)의 제어하에 메인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가시광 이미지를 읽어 들여 상술한 방식으로 이미지처리, 픽셀값추출, 적외선 이미지 변환의 과정을 거친다.
이후, 연산부(290)에 의해 제1합산값이 계산되고, 이어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적외선 이미지에 대해서도 이미지처리, 픽셀값추출의 과정을 거친 다음 연산부(290)에 의해 제2합산값이 계산된다.
여기에서, 가시광 이미지 처리과정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이미지처리부(260)가 가시광 이미지를 정해진 픽셀로 분할하는 과정을 말하고, 가시광 이미지 의 적외선 이미지 변환은 퓨리에 변환기나 혹은 적외선 스펙트로미터 등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 적외선 이미지는 칼라가 완전히 배제된 흑백만의 이미지이므로 상기 가시광 이미지 변환과정에서 적외선 이미지가 아닌 흑백이미지로 변환한 후 적외선 이미지와 비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도 10에서와 같이 가시광 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응되는 픽셀값은 적외선 이미지의 대응 픽셀에 변환된 픽셀값이 부여된다.
예컨대, 가시광 이미지의 (2,2) 위치의 픽셀에 부여된 픽셀값은 도 10의 경우 '8'인데, 이것이 적외선 이미지로 변환될 때는 특정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3'으로 변환되면서 적외선 이미지를 갖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가시광 이미지의 (4,3) 위치의 픽셀에 부여된 픽셀값 '5'는 적외선 이미지 상의 대응 픽셀에서는 '1'로 바뀌면서 적외선 이미지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도 11에서와 같이, 지폐를 파지한 손가락이 지폐를 다소 가린다고 하더라도 가시광 이미지와 적외선 이미지는 동일한 촬상 이미지이기 때문에 가시광 이미지를 적외선 이미지로 변환할 경우 결국 가려진 부분은 동일값을 가질 수 밖에 없어 굳이 보정을 하지 않고도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가릴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가시광 이미지의 적외선 이미지로의 변환되는 적외선 이미지 처리단계(S120)가 완료된다.
이후, 변환된 적외선 이미지의 각 픽셀값들을 합한 제1합산값을 산출하고, 적외선 카메라로 촬상된 적외선 이미지의 각 픽셀값들을 합한 제2합산값을 산출하여 지폐의 진위를 가리는 위폐여부 감별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때, 이미지처리부(250)가 처리하는 픽셀은 지폐 전체면이 될 수도 있고, 혹은 지폐의 일부분, 특히 적외선 특수처리된 부분만을 선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도 11에서와 같이, 비교판단부(270)는 제1,2메모리(220,23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값과 산출값을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위폐 여부를 즉시 감별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지폐에는 자외선 중 특정파장대, 이를 테면 550nm 혹은 650nm에서만 식별할 수 있는 자외선 특수처리가 되기도 하므로 자외선 특수 인쇄에 형광반응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술한 적외선 카메라 대신 자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이미지처리한 후 이를 비교함으로써 진폐인 원본 DB와 비교 판독없이 현장에서 단순히 대상 지폐를 촬영하는 것만으로도 신속 정확하게 지폐의 진위를 감별할 수 있어 실생활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여기서 상기 가시광선 카메라는 적외선 필터가 탑재되어 적목현상을 방지하도록 된 카메라로서, 휴대 단말기, 즉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는 전부다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가시광선 카메라라고 보면 된다.
때문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단말기와 달리 사용하고 있는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의 구조를 전혀 개량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한다는데서 차별성을 갖는다.
물론, 앱(App)이라고 통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종래 공개특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도 탑재되어야 하며, 이는 앱 스토어 또는 구글 플레이 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 사업 개시자가 배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은 개발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위폐 발생 추적 장치
101: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
102: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
103: 위폐 분류부
104: 위폐 발생 추적부
110: 가시광선 카메라
120: 입출력단자
200: 적외선 카메라
300: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400: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500: 위폐 감별 장치

Claims (6)

  1. 진폐인지 위폐인지 여부를 감별한 후, 위폐 발생 지점 및 시간을 포함하는 위폐 정보를 제공하는 위폐 감별 장치; 및
    상기 위폐 감별 장치로부터 위폐 감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폐 감별 정보를 기초로 위조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를 결정한 후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을 추적하는 위폐 발생 추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폐 감별 장치는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여 위폐여부를 확인코자 하는 대상 지폐의 위폐 여부를 감별한 후, 위폐 감별 정보를 제공하는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며 특정 위치에서 대상 지폐의 위폐 여부를 감별한 후, 위폐 감별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는
    위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
    위조 유형 별 또는 위폐 제조 별 위폐 발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및 상기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위폐 감별 정보에서 위폐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상기 위폐 이미지의 위조 유형을 분류하고, 상기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상기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 및 위폐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하는 위조 위폐 발생 추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 위폐 발생 추적부는
    상기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위조 유형 별 위폐 제조자를 참조로 상기 위폐 이미지의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제조자를 결정하고, 상기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위폐 제조자 별 위폐 발생 정보를 참조로 상기 위폐 제조자의 위폐 발생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위폐 발생 지점 및 위폐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5.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또는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가 위폐여부를 확인코자 하는 대상 지폐의 위폐 여부를 감별한 후, 위폐 발생지점 및 시간을 포함하는 위페 정보를 위폐 발생 추적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가 상기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및 상기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위폐 감별 정보를 수신하면, 위폐 감별 정보를 기초로 위조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가 상기 위폐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위폐 발생을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감별 및 추적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가 상기 고정형 위폐 감별 장치 및 상기 이동형 위폐 감별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위폐 감별 정보에서 위폐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가 위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로 상기 위폐 이미지의 위조 유형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가 위폐 발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위조 유형에 해당하는 위폐 발생 지점 및 위폐 발생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위폐 발생 추적 서버가 상기 위폐 발생 지점 및 상기 위폐 발생 시간을 이용하여 위폐 발생 지점을 유추하거나 향후 발생 가능 지점을 유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폐 감별 및 추적 방법.
KR1020160125338A 2016-09-06 2016-09-29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812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620 2016-09-06
KR20160114620 2016-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206B1 true KR101812206B1 (ko) 2017-12-27

Family

ID=6093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338A KR101812206B1 (ko) 2016-09-06 2016-09-29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2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55B1 (ko) * 2020-02-24 2020-09-15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8126B1 (ko) * 2020-02-24 2020-12-07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3023A (ja) 2010-08-25 2011-02-03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偽造紙幣の追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3023A (ja) 2010-08-25 2011-02-03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偽造紙幣の追跡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55B1 (ko) * 2020-02-24 2020-09-15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8126B1 (ko) * 2020-02-24 2020-12-07 홍주표 위조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63681B (zh) 纸币鉴别装置、纸币鉴别方法
EP1490828B1 (en) Currency verification
CN104992494B (zh) 一种纸币真伪的检测方法及装置
CN107610322B (zh) 纸币版本的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1707218B1 (ko) 스마트폰 연동형 위조지폐감별장치 및 방법
CN108320373B (zh) 一种纸币防伪标识的检测的方法及装置
CN102005078A (zh) 一种纸币、票券识别方法和装置
TW564376B (en) Currency recognition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812206B1 (ko)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EP1324283A1 (en) Document authenticity discri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1509399B1 (ko) 신분증 인식기를 이용한 신분증 인식 시스템 및 신분증 인식 방법
KR2012011704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조 지폐 감별 방법 및 장치
KR101076322B1 (ko) 컨택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지폐의 진위 판단 방법
TW201738851A (zh) 判斷鈔票貨幣種類及面值的方法及多種鈔票接收器
JP3963826B2 (ja) 書類真偽判別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20090060006A (ko) 매체 진위 판별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CN113379961B (zh) 钞票及票证辅助鉴别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0555341C (zh) 在图像中确定对应于金融票券的区域的验证方法
Olanrewaju et al. Automated bank note identific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subjects in malaysia
TWI378406B (en) Method for performing color analysis operation on image corresponding to monetary banknote
KR20110012912A (ko) 매체 인식장치 및 방법
KR102273720B1 (ko) 지폐 감별 장치
KR102058157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CN108320371B (zh) 一种纸币鉴伪的方法及装置
KR102371479B1 (ko) 이미지 분석을 통한 보안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