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665B1 -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miss and article mis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miss and article mi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665B1
KR101809665B1 KR1020170017759A KR20170017759A KR101809665B1 KR 101809665 B1 KR101809665 B1 KR 101809665B1 KR 1020170017759 A KR1020170017759 A KR 1020170017759A KR 20170017759 A KR20170017759 A KR 20170017759A KR 101809665 B1 KR101809665 B1 KR 10180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signal
loss prevention
use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덕환
Original Assignee
박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환 filed Critical 박덕환
Priority to KR102017001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6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04W4/2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missing child and a missing article which comprises: a mai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broadcasting a missing prevention signal with a preset broadcasting period as a preset natural frequency, and generating an alarm sound when a response signal on the missing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a sub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sub-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communication apparatu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atural frequency, and transmitting the response signal when the missing prevention signal is received.

Description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miss and article mis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로서, 미아가 발생하거나 물품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missing child and an article from being lost, an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lost child and an article from being lost.

근래에는 무선통신의 발달에 근거하여 미아, 유괴 및 조난과 같은 상황(이하에서는 미아 발생 상황이라 통칭하여 설명한다)에서 신속하게 구조 요청자를 구조하기 위해 구조 요청자로부터 소정의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구조요청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 방법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미아 위치 추적 방법은 베이스노드들이 곳곳에 충분히 설치된 놀이동산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입장객들에게 센서를 나눠주고, 미아가 발생하는 경우 미리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노드들을 통해 위치를 탐지하는 방법이 있었다. 또는, 아이가 지정된 지역을 벗어나거나 지정된 지역 내에서의 현재 위치에 대해서 부모가 자신과 아이가 가지고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아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Recentl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quickly rescue the rescue requester in a situation such as miscarriage, abduction and distres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isbehaving situation), a resident requester receives a predetermined position signal, A position tracking method for tracking the position of a vehicle is being popularized.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method of locating the lost location may be a method of distributing a sensor to a visitor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playground where the base nodes are fully installed, detecting a location through pre-installed base nodes when a lost child occurs There was a way. Alternatively, there is a method for the parent to know the position of the child using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at the parent has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hild outside the designated area or within the designated area.

그러나 기존의 미아 위치 추적 방법은 곳곳에 센서나 노드를 설치해야 하므로 실제 설치 가능한 장소의 문제와 비용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GPS를 이용하는 경우 GPS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나 음영지역 및 고층 건물이 많은 복잡한 지형에서는 사용이 어렵고 신뢰성에 문제가 있으며 비용적인 면에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method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lost liaison requires a sensor or a node to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o there is a problem of a place where it can be installed and a cost problem. In addition, when GPS is used, it is difficult to use in a complex terrain where many GPS signals do not reach, indoor or shaded areas and high-rise buildings, and there is a problem in reliability and a problem in cost.

따라서 미아 위치 추적은 신뢰성에 문제가 있어, 미아가 발생되지 않도록 어린이를 감시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라 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the best preventive measure to monitor the children to prevent the child from being lost because there is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of the tracking of the lost location.

한편, 휴대폰, 서류 봉투, 가방 등의 휴대용 물품을 버스/지하철/택시 등에 놓고 내리거나 식당에 두고 나오거나 소매치기를 당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분실하는 경우가 있다. 분실한 휴대용 물품이 고가의 휴대폰, 중요 서류 봉투, 중요 물품이 들어간 가방 등일 경우 그 피해는 훨씬 크다. 따라서 중요 휴대용 물품을 분실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On the other hand, portable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paper bags, and bags may be lost for various reasons such as putting them on a bus, subway or taxi, dropping them in restaurants, pickpockets, and the like. If a lost portable item is an expensive cell phone, an important document envelope, or a bag containing important items, the damage is much greater. Therefore, it is best to prevent important portable items from being lost.

그런데 기존에는 이러한 휴대용 물품의 분실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past, there is no means to effectively prevent the loss of such portable articles.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028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0289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미아 발생이나 물품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lost or lost articles.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분실 방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고유주파수로서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팅 주기로서 브로드캐스팅 발신하며, 서브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분실 방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경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메인 통신기기; 및 상기 고유 주파수에 동기화되어 상기 메인 통신기기와 통신하는 기기로서, 상기 분실 방지 신호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를 발신하는 서브 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oadcast signal is broadcast with a preset broadcasting frequency as a preset natural frequency, and when a response signal to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a sub-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atural frequency, wherein the sub-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 response signal when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received.

상기 분실 방지 신호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와, 분실 방지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분실 방지 신호에서 파악되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와, ACK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브 통신기기는, 상기 분실 방지 신호에서 파악되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loss prevention signal comprises a header field in which a user's mobile phone number is recorded and a data field in which a loss prevention message is recorded, the response signal includes a header field in which a user's mobile phone number identified in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recorded, And the sub-communication device stores a user's mobile phone number identified in the loss prevention signal.

상기 서브 통신기기는 전자카드 형태로 제작되어 물품에 부착되거나 신체에 소지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ub-commun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ard, and may be attached to an article or be carried in the body.

상기 전자카드 형태의 서브 통신기기가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팅 주기가 경과하여도 분실 방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통신기기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와, 위치 알림 요청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를 가지는 위치 알림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하며, 상기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은, 상기 위치 알림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위치 알림 요청 신호에서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추출하여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 번호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is attached to the cell phone to be lost, if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even after the broadcasting period has elapse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 header field And a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having a data field in which a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message is recorded, and broadcasts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When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loss prevention target phone extracts a user's mobile phone number from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ss prevention target mobile phone to the user mobile phone number.

상기 서브 통신기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하며, 상기 브로드캐스팅 주기가 경과하여도 분실 방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통신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상기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has a display screen an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displays the user mobile phone number on the display screen when a loss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even after the broadcasting period has elapsed can do.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메인 통신기기와 서브 통신기기를 활용하여, 미아가 발생하거나 물품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event a lost or lost item from being lost by utilizing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신호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신호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통신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에 서브 통신기기가 결합되어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 통신기기가 위치 알림 요청 신호 브로드캐스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preventing a missing child and an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 loss preven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 respons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b-communication device is coupled to a cell phone to be lo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b-communication device broadcasts a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신호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신호의 패킷 구조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통신기기의 구성 블록도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 loss preven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packet loss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main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는, 메인 통신기기(100)와 서브 통신기기(200)가 서로 교신을 하다가 메인 통신기기(100)와 서브 통신기기(200)가 일정 거리 이상(예컨대, 2m 이상) 떨어지면 메인 통신기기(100)에서 알람 경보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가진다.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hile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Or more),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generates an alarm sound to inform the user of the alarm sound.

메인 통신기기(100)는, 자동차 스마트키 크기 정도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서브 통신기기(200)는 자고 두께는 얇게 제작될 수 있는데, 예컨대 IC카드, 전자카드, 명함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밖에 메인 통신기기(100)와 서브 통신기기(200)의 형상이나 크기는 이에 제한 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메인 통신기기(100)와 서브 통신기기(200)는 한쌍의 셋트로 구성되어, 이러한 통신기기 셋트는 다른 통신기기 셋트와 다른 고유한 주파수로서 통신하게 된다.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be manufactured to a size of a smart key size of an automobile.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small thickness, for example, an IC card, an electronic card, or a business card.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have various sizes and shape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Also,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are constituted by a pair of sets,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set communicates with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set at a unique frequency.

메인 통신기기(100)와 서브 통신기기(200)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부모가 메인 통신기기(100)를 소지하고 어린이가 서브 통신기기(200)를 소지하도록 하여, 어린이가 부모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메인 통신기기(100)에서 경보 알람음을 발생시켜 부모가 어린이가 멀리 있음을 알 수 있게 하여, 어린이의 미아 발생을 방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when a parent carries a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a child carries a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generates an alarm sound so that the parent can know that the child is far away and can be used to prevent the child from being misplaced.

또는 사용자가 메인 통신기기(100)를 소지하고 전자카드 형태의 서브 통신기기(200)를 사용자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물품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와 휴대폰간에 거리가 멀어지면 메인 통신기기(100)에서 경보 알람음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휴대폰을 놓고 왔음을 알 수 있게 하여, 휴대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물품은,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MP3P(MPEG layer 3 Player), 시계, 반지, 서류봉투, 가방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모바일 물품은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는 동산 물품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lternatively, if the user holds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attaches the sub-communication device 200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ard to a mobile article such as a user's mobile phone,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user has left the mobile phone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phone from being lost. Here, the mobile articl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mart pho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smart phone but also to a slate PC,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Navigation, Digital Camera, MP3P (MPEG Layer 3 Player), Clock, Ring, Paper Envelope, Bag and so on. Of cour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obile art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kind, but can be included in any mobile articles that can be moved.

메인 통신기기(100)는, 분실 방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고유 주파수로서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팅 주기로서 브로드캐스팅 발신한다. 여기서 분실 방지 신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H1)와, 분실 방지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D1)로 이루어진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가진다. 메인 통신기기(100)는 서브 통신기기(200)와 동일하게 설정된 고유 주파수로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무선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 범위내에 있는 서브 통신기기(200)는 분실 방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broadcasts the loss prevention signal as a preset broadcasting frequency with a preset natural frequency. Here, as shown in FIG. 2, the loss prevention signal has a data packet structure including a header field H1 in which a user's mobile phone number is recorded, and a data field D1 in which a loss prevention message is recorded.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broadcasts with a natural frequency set the same as that of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within the distance range that the radio signal can reach can receive the loss prevention signal .

서브 통신기기(200)는, 고유 주파수에 동기화되어 메인 통신기기(100)와 통신하는 기기로서, 분실 방지 신호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 응답 신호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실 방지 신호에서 파악되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H2)와, ACK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D2)로 이루어진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가진다. 참고로, ACK(acknowledge)는 일반 통신 프로토콜에 약정된 바와 같이 수신 측에서 데이터가 오차없이 수신되었다는 응답으로 송신 측에 보내지는 전송 제어용 메시지이다.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is a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in synchronization with a natural frequency,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when a loss prevention signal is received. As shown in FIG. 3, the response signal has a data packet structure consisting of a header field H2 in which a user's mobile phone number, which is grasped in a loss prevention signal, is recorded, and a data field D2 in which an ACK message is recorded. For reference, ACK (acknowledge) is a message for transmission control sent to a sender in response to receipt of data without any error at the receiver, as promised in the general communication protocol.

메인 통신기기(100)는, 서브 통신기기(200)로부터 분실 방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경보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 통신기기(200)를 소지한 어린이 또는 서브 통신기기(200)가 부착된 모바일 물품이 사용자 근처에서 떨어져 있음을 즉시 알아챌 수 있다.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the response signal to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 Accordingly,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at the mobile article to which the child or subcommunication device 200 having the subcommunication device 200 is attached is distant from the user.

메인 통신기기(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부(110), 스피커(120), 신호 처리부(130), 배터리(140), 및 전원 버튼(1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n RF unit 110, a speaker 120, a signal processing unit 130, a battery 140, and a power button 150 as shown in FIG.

RF부(110)는, 고유 주파수로서 서브 통신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적외선통신(IrDA) 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RF부(110)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F unit 110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as a natural frequency.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and infrared (IrDA) communication may be used for such wireless communication. The RF unit 110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not shown)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wirelessly transmitted signal, an RF receiver (not shown) for low-noise amplifying a received radio signal and down- .

스피커(120)는 경보 알람을 출력하는 모듈이다. 스피커(120)의 볼륨 조절도 가능할 수 있다.The speaker 120 is a module for outputting an alarm alarm. The volume of the speaker 120 may be adjusted.

신호 처리부(130)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와, 분실 방지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진 분실 방지 신호를 생성하여 RF부(110)를 통하여 무선 브로드캐스팅한다. 무선 송신되는 RF부(110)의 송신 세기를 제어함으로서, 분실 방지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반경 범위(예컨대, 1m, 2m, 3m, 4m 등)를 설정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generates a loss prevention signal including a header field in which a user's mobile phone number is recorded and a data field in which a loss prevention message is recorded, and wirelessly broadcasts the loss prevention signal through the RF unit 110. (For example, 1 m, 2 m, 3 m, 4 m, etc.) in which the loss prevention signal can be reached 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intensity of the RF unit 110 to be wirelessly transmitted.

또한 신호 처리부(130)는, 서브 통신기기(200)로부터 분실 방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설정된 수신 대기 시간동안 수신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수신 대기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스피커(120)를 통하여 경보 알람음을 발생시킨다.Also, the signal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a response signal to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received during the set standby time from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if not received during the standby time,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배터리(140)는 상기의 RF부(110), 스피커(120), 및 신호 처리부(130)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원으로서, AAA/AA 건전지, 리튬 전지, 카드뮴 전지 등의 다양한 배터리(14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1회용 배터리(140) 이외에도 충전용 배터리(140)가 사용될 수 있다. The battery 140 is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RF unit 110, the speaker 120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he battery 140 may include various batteries 140 such as AAA / AA batteries, lithium batteries, )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disposable battery 140, a rechargeable battery 140 may be used.

전원 버튼(150)은 메인 통신기기(100)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조작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 버튼(150)을 조작하여 메인 통신기기(100)의 신호 발신을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The power button 150 is an operation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ly, the user can operate the power button 150 to activate or deactivate the signal transmission of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이러한 RF부(110), 스피커(120), 신호 처리부(130), 배터리(140), 및 전원 버튼(150)의 구성은 서브 통신기기(200)에도 마찬가지로 구조를 가질 것이다. 다만, 서브 통신기기(200)는 전자카드 형태로도 제작되어 물품에 부착되거나 신체에 소지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통신기기(200)는, 별도로 메모리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통신기기(100)로부터 수신한 분실 방지 신호에서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RF unit 110, the speaker 12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0, the battery 140, and the power button 15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in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as well. However,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ard, and may be attached to an article or be carried in the body.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memory. Therefore, the user mobile phone number can be extracted from the loss preven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stored in the memory. Such a memory may be a flash memory, a CF card,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an SM card (Smart Media Card), an MMC card (Multi-Media Card) And can be implemented as a module capable of input and output of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에 서브 통신기기가 결합되어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브 통신기기가 위치 알림 요청 신호 브로드캐스팅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b-communication device is coupled to a cell phone to be lo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 It is a picture showing the figur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카드 형태의 서브 통신기기(200)가 사용자의 휴대폰(이하,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이라 함)에 부착될 수 있다. 메인 통신기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전자카드 형태의 서브 통신기기(200)가 부착된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을 택시에 두고 하차할 경우, 서브 통신기기(200)는, 브로드캐스팅 주기가 경과하여도 분실 방지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택시 하차 후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을 놓고 내렸음을 알아채도 다시 회수하기는 어렵다.As shown in FIG. 5, the sub-communication device 200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ard can be attached to a user's cellular 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ell to be lost"). When the user holding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leaves the cell phone 300 to which the loss prevention target mobile phone 300 with the electronic card typ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is placed in a taxi,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transmits, The loss prevention signal can not be receive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at the cell phone 300 to be lost after the taxi has been dropped and returned, and to recover it again.

이와 같이 교통 수단 하차 등으로 해당 물품인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을 회수하기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에서 자신의 위치를 미리 등록한 사용자 휴대폰(400)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한다.In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to recover the lost-object mobile phone 300, which is the object, such as getting off the transportation means, the mobile phone 300 is implemented so that its position is transmitted to the registered user mobile phone 400 .

상술하면, 분실 방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서브 통신기기(200)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와, 위치 알림 요청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를 가지는 신호(이하, '위치 알림 요청 신호'라 함)를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한다.When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having a header field in which the user cell phone number is recorded and a data field in which a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message is recor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Quot;) and broadcasts it.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이, 위치 알림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위치 알림 요청 신호에서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추출하여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 번호로 전송한다.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에는 GPS 위치 정보 산출 모듈이 마련되어 있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알림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의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의 위치 정보를 현재 위치 정보로서 사용자 휴대폰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loss prevention target mobile phone 300 receives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it extracts the user mobile phone number from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ss prevention mobile phone 300 to the user mobile phone number. As shown in FIG. 6,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phone 300 to be lost when receiving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is stored in the cell phone 300 to be lost, Number.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은, 메인 통신기기(100)와 서브 통신기기(200)간의 고유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고유 주파수로서 위치 알림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주기적으로 파악한다.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은, 위치 알림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알림 요청 신호에서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추출하여, 사용자 휴대폰 번호로 MMS, SMS 문자를 보내어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The cell phone 300 for loss prevention receives information on a natural frequency between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periodically grasps whether the posi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as the input natural frequency. Upon receiving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the loss prevention target mobile phone 300 extracts the user mobile phone number from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and sends MMS and SMS characters to the user mobile phone number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ss prevention mobile phone 300 send.

따라서 사용자 휴대폰 번호는,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에서 보내온 위치 정보를 표시함으로서, 사용자는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이 현재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휴대폰(400)과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300)은 이동통신망에 의해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망은,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 으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밖에 기지국(BTS), 이동교환국(MSC), 홈 위치 등록기(HLR) 이외에, 무선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액세스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등과 같은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mobile phone 300 to be los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where the mobile phone 300 is located. The user mobile phone 400 and the loss prevention mobile phone 3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In addition to the base station (BTS),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components such as an access gateway (Access Gateway) and a PDSN (Packet Data Serving Node) As shown in FIG.

한편, 서브 통신기기(20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 주기가 경과하여도 분실 방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서브 통신기기(200)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표시한다.Meanwhile,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screen. When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even after the broadcasting period has elapse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200 displays the user mobile phone number on the display screen.

따라서 카드 형태의 서브 통신기기(200)를 착용한 어린이가 부모를 잃어 미아로 되면, 서브 통신기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부모의 휴대폰 번호가 표시됨으로써, 주변의 이웃이나 경찰관들이 부모에게 손쉽게 연락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hild wearing the card-shaped subcommunication device 200 loses a parent and becomes a child,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par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ub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neighboring neighbors or police officers can easily can do.

또는 서브 통신기기(200)가 부착된 물품을 분실하더라도, 서브 통신기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휴대폰 번호가 표시됨으로써, 선의의 주변인들이나 경찰관이 물품의 원래 주인에게 전화를 걸어 분실품을 찾아가도록 할 수 있다.Even if the sub-communication device 200 is lost, the mobile phone numb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sub-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good-neighboring persons or a police officer can call the original owner of the item to find the lost item can do.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selected and present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a variety of possible example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r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메인 통신기기
200:서브 통신기기
300: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
400:사용자 휴대폰
100: Main communication device
200: Sub communication device
300: Cell phone to prevent loss
400: User's cell phone

Claims (5)

분실 방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고유주파수로서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팅 주기로서 브로드캐스팅 발신하며, 서브 통신기기로부터 상기 분실 방지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경보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메인 통신기기; 및 상기 고유 주파수에 동기화되어 상기 메인 통신기기와 통신하는 기기로서, 상기 분실 방지 신호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를 발신하는 서브 통신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실 방지 신호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와, 분실 방지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분실 방지 신호에서 파악되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와, ACK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 통신기기는, 상기 분실 방지 신호에서 파악되는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저장하며,
상기 서브 통신기기는 전자카드 형태로 제작되어 물품에 부착되거나 신체에 소지될 수 있도록 된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카드 형태의 서브 통신기기가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팅 주기가 경과하여도 분실 방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브 통신기기는, 상기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기록한 헤더 필드와, 위치 알림 요청 메시지를 기록한 데이터 필드를 가지는 위치 알림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하며,
상기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은, 상기 위치 알림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위치 알림 요청 신호에서 사용자 휴대폰 번호를 추출하여 분실 방지 대상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휴대폰 번호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아 및 물품 분실 방지 장치.
A main communication device that broadcasts a loss prevention signal as a predetermined broadcasting frequency in a preset broadcasting cycle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a response signal to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And a sub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in communication devic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natural frequency, wherein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 response signal when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received,
The loss prevention signal includes a header field in which a user's mobile phone number is recorded, and a data field in which a loss prevention message is recorded.
Wherein the response signal comprises a header field in which a user cell phone number recognized in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recorded and a data field in which an ACK message is recorded,
Wherein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stores a user mobile phone number identified in the loss prevention signal,
The sub-communication device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card and can be attached to or carried by the user,
When the electronic card-type subcommunication device is attached to the cell phone to be lost and the loss prevention signal is not received even after the broadcasting period has elapsed,
The sub communication device generates and broadcasts a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having a header field in which the user cell phone number is recorded and a data field in which a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message is recorded,
Wherein the loss prevention target cell phone extracts a user cell phone number from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ll phone to be lost to the user cell phone number when the location notific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Preven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17759A 2017-02-08 2017-02-08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miss and article miss KR1018096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759A KR101809665B1 (en) 2017-02-08 2017-02-08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miss and article mi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759A KR101809665B1 (en) 2017-02-08 2017-02-08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miss and article mi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665B1 true KR101809665B1 (en) 2017-12-15

Family

ID=6095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759A KR101809665B1 (en) 2017-02-08 2017-02-08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miss and article mi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6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13A (en) 2018-12-14 2020-06-24 이성호 missing child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1559A (en) * 2014-12-08 2016-06-20 凸版印刷株式会社 Mislaying preven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1559A (en) * 2014-12-08 2016-06-20 凸版印刷株式会社 Mislaying preven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13A (en) 2018-12-14 2020-06-24 이성호 missing chil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6028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a computing device to track items
US11765544B2 (en) Communication techniques using passive beacons
TWI52748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 emergency beacon signal
US8670935B2 (en) Tagging a location by pairing devices
EP2733502A1 (en) Locator beacon and rad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US20140135042A1 (en) Locator Beacon and Radar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CN114463898B (en) Express delivery pickup reminding method and device
US20060038676A1 (en) Locating system
WO2016007783A1 (en) System for locating remote objects
US200901533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bjects
JP2005304002A (en) Security system and program
KR20140072592A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contents based on status of terminal
CN103314275A (en) Camera enabled headset for navigation
KR2016002082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sitiong method thereof
JP2004287713A (en) Security system and its program
CA2748882C (en) Tagging a location by pairing devices
US201901742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Device
JP2007503644A (en) Personal proximity network
CN108551525B (en) State determination method of movement track and mobile terminal
KR20120124111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reof
CN114466345B (en) Device tracking det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80966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hild miss and article miss
JP2001052288A (en) Voice notifying device for detecting wanderer and preventing losing of article or the like
KR20080068363A (en) System and method for chasing location
CN109168126A (en) Localization method, relevant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