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635B1 - Heartbeat synchronous blood circulation assis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heartbeat synchronous electrical stimulating device - Google Patents

Heartbeat synchronous blood circulation assis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heartbeat synchronous electrical stimul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635B1
KR101809635B1 KR1020177003393A KR20177003393A KR101809635B1 KR 101809635 B1 KR101809635 B1 KR 101809635B1 KR 1020177003393 A KR1020177003393 A KR 1020177003393A KR 20177003393 A KR20177003393 A KR 20177003393A KR 101809635 B1 KR101809635 B1 KR 101809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electric signal
output
human body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3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2563A (en
Inventor
켄이치로 사사키
히로오 마쯔세
토시오 모리타니
시로 카미야
류지 아키모토
카츠 호소키
Original Assignee
각꼬호우진 구루메 다이가쿠
카부시키카이샤 호머 이온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꼬호우진 구루메 다이가쿠, 카부시키카이샤 호머 이온 켄큐쇼 filed Critical 각꼬호우진 구루메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17005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6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625External stimulators
    • A61B5/045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52Detecting R peaks, e.g. for synchronising diagnostic apparatus; Estimating R-R inter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65Heart stimulators controlled by a physiological parameter, e.g. heart potent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2Heart stimulators
    • A61N1/37Monitoring; Protecting
    • A61N1/3702Physiological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병증을 일으키기 어렵고,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전기자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P)의 적어도 하퇴부에 펄스파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장치(100)와, 상기 인체(P)로부터 심전파형을 연속적으로 취득하는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와, 상기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가 취득한 심전파형을 해석하고, 상기 전기자극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는, 상기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타이밍을 상기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which is difficult to cause complications, and which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self-tune cardiac contractile function,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n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An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for outputting a pulsed electric signal to at least a lower part of a human body (P), an electrocardiograph data acquisition device (200) for continuously acquiring an electrocardiogram waveform from the human body (P) And an ECG data analyzing device (300) for analyzing the ECG waveform acquired by the ECG device (200) and determining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ic stimulation device (100), wherein the ECG data analyzing device , A timing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is determined as the output timing, and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eriod T, which is the period of the R wave, by 0.075 to 0.35.

Description

심박동기형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제어방법 및 심박동기형 전기자극장치{Heartbeat synchronous blood circulation assis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heartbeat synchronous electrical stimulat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emaker-type blood circulation assist system, a control method, and a pacemaker type electric stimulator,

본 발명은 혈액순환을 보조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및 전기자극장치, 그리고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an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and a blood circulation assist system for assisting blood circulation.

심부전 등의 혈액순환에 이상을 초래한 병태의 치료법으로서 심장보조순환요법이 있다. 심장보조순환요법이란, 물리학적/생리학적 어프로치에 의하여 혈행동태를 개선하고, 병상의 개선을 도모하는 방법이다. 일본 국내외에서는 심장보조순환요법으로서, 대동맥 내 벌룬펌핑법(IABP법)이나 증강형 체외식 카운터 펄세이션법(EECP법)이 실시되고 있다.Heart-assisted circulation therapy is a treatment for the conditions causing abnormalities in blood circulation such as heart failure. Cardiac assisted circulation therapy is a method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by physiological / physiological approach and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 bed. Intraortic balloon pumping (IABP method) or augmented extermination counter discharge method (EECP method) has been performed as a cardiac assisted circulation therapy in Japan and abroad.

대동맥 내 벌룬펌핑법에서는, 하행대동맥 내에 유치한 벌룬을 심장의 박동에 맞추어 팽창 및 수축시킨다. 심장의 확장기에 하행대동맥 내에서 벌룬이 확장되면, 심장의 영양혈관인 관동맥에 흘러드는 혈류량이 증가한다. 심장의 수축기에 확장되어 있던 벌룬이 수축하면, 동맥 내의 압력기 저하된다. 이와 같은 타이밍으로 벌룬을 팽창 및 수축시킴으로써, 심장은 혈액을 밀어내기 쉬워져, 혈액순환이 보조된다.In the intra-aortic balloon pumping method, a balloon held in the descending aorta is expanded and contracted in accordance with the heartbeat. When the balloon is expanded within the descending aorta at the diastole of the heart, the blood flow to the coronary artery, which is the nutrient vessel of the heart, increases. When a balloon that has expanded in the systole of the heart contracts, the pressure in the artery drops. By inflating and deflating the balloon at such a timing, the heart is easy to push out the blood, and blood circulation is assisted.

또한, 증강형 체외식 카운터 펄세이션법은, 하지를 덮는 팬츠형 벌룬을 심장의 박동에 맞추어 팽창 및 수축시켜, 하지의 동맥을 압박하거나, 하지의 동맥의 압박을 해제하거나 한다. 팬츠 팽창시에는, 심장의 영양혈관인 관동맥에 흘러드는 혈류량이 증가한다. 팬츠 수축시에는, 하지의 동맥의 압박이 해제되어, 동맥 내의 압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팬츠형 펄룬을 팽창 및 수축시킴으로써, 심장은 혈액을 밀어내기 쉬워져, 대동맥 내 벌룬펌핑법과 마찬가지로,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exter- sion type counterpulsation method expands and contracts the pants-type balloon covering the lower limb in accordance with the heartbeat of the heart, thereby pressing the artery of the lower limb or releasing the pressure of the artery of the lower limb. At the time of pant swelling, blood flow to the coronary artery, which is the nutrition blood vessel of the heart, increases. When the pants is contracted, the compression of the artery of the lower limb is released, and the pressure in the artery is lowered. Thus,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pants-type pullover, the heart is easy to push out the blood, and it is possible to assist the blood circula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ra-aortic balloon pumping method.

대동맥 내 벌룬펌핑법에서는, 벌룬을 하행 대동맥 내에 유치하기 위하여, 상완동맥이나 대퇴동맥 등에 벌룬을 삽입하는 삽입구가 뚫린다. 즉, 대동맥 내 벌룬펌핑법은, 관혈적인 치료법으로, 환자에 대한 침습도가 높다. 벌룬을 혈관 내에 유치하는 동안에는 혈액응고제를 지속 투여하지 않으면 안되며, 출행성 합병증의 리스크를 높이게 된다. 관혈적이기 때문에, 감염증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In the intra-aortic balloon pumping method, an insertion port for inserting a balloon is opened in the brachial artery or the femoral artery in order to hold the balloon in the descending aorta. In other words, balloon pumping in the aorta is an invasive treatment method, and the invasion of the patient is high. While the balloon is in the blood vessel, the blood coagulant must be continuously administered, which increases the risk of complications. Since it is open-circuit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cause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또한, 증강형 체외식 카운터 펄세이션법에서는, 팬츠형 벌룬을 일정시간 동안에 빈회(頻回)로 수축 및 확장시킴으로써 하지의 피부표면에 지속적인 강한 자극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피부의 진무름이나 궤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enhancer type external counterpulsation method, by continuously shrinking and expanding the pant-type ballo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strong strong stimulus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kin surface of the lower limb.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omplications such as erosion or ulceration of the skin are likely to occu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시스템에서 문제가 되는 합병증을 일으키기 어렵고,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어려운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및 전기자극장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and an electric stimulating device which are difficult to cause complications which are problematic in the conventional system as described above and which do not adversely affect the self-tuneable cardiac contraction expanding function,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an optimal state of timing.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은, 상기 인체의 적어도 하퇴부에 펄스파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장치'와, 상기 인체로부터 심전파형을 연속적으로 취득하는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와, 상기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가 취득한 심전파형을 해석하고, 상기 전기자극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는, 상기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타이밍을 상기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1)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human blood circulation assi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stimulation device' for outputting a pulse-shaped electric signal to at least a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And an electrocardiograph data analyzing device for analyzing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acquired by the electrocardiograph data acquiring device and for determining an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ic stimulating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device determines a timing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as the output timing. And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eriod T, which is the period of the R wave, by 0.075 to 0.35.

(2)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기 T는, 상기 R파의 최근의 주기로 할 수 있다.(2) In the configuration of (1), the period T may be a recent period of the R wave.

(3)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는, 상기 R파가 검출될 때마다 상기 출력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3) In the configuration of (1) or (2),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device may determine the output timing each time the R wave is detected.

(4)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는, 상기 R파가 검출되면 상기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리와, 상기 R파를 검출하여도 상기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지 않는 처리를 교대로 반복할 수 있다.(4) In the configuration of (1) or (2),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for determining the output timing when the R wave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alternately repeat processing that is not performed.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장치는, 더욱이 상기 인체의 대퇴부에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5) In the above-mentioned constitution (1) to (4),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may further output the electric signal to the femoral region of the human body.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주기 T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은, 0.15초~0.25초로 할 수 있다.(6) In any one of (1) to (5),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within the period T may be 0.15 to 0.25 seconds.

(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의 적어도 하퇴부에 펄스파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인체에 전기자극을 부여하여 혈액순환을 보조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인체로부터 심전파형을 연속적으로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심전파형을 해석하여, 상기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타이밍을 상기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며,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7) Further, a method of controlling a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that outputs an electric pulse-shaped electric signal to at least a lower part of a huma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reby provide an electric stimulus to the human body to assist blood circulation, And determines the timing at which the electric wave signal is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a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T is multiplied by 0.075 to 0.35.

(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체에 전기자극을 부여하는 전기자극장치는, 상기 인체로부터 검출되는 심전파형에 동기시켜서, 펄스파로 이루어지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신호 출력부와, 상기 인체의 적어도 하퇴부에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기신호 출력부는, 상기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출력 타이밍에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8) The electric stimulating apparatus for imparting electric stimulation to a huma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ectric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composed of a pulse wave in synchronization with a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detected from the human body; Wherein the electric signal output unit outputs the electric signal at an output timing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an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Time period T is multiplied by 0.075 to 0.35.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시스템에서 종종 인지되는 합병증을 일으키기 어렵고,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주기 어려운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및 전기자극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and an electric stimulation device which are less likely to cause complications that are often recognized in existing systems as described above, and which do not adversely affect the self-tuneable cardiac contraction and expansion func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od circulation assist system control method capable of maintaining the output timing of an electric signal of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in an optimal state.

도 1은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가 행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도 2의 플로차트에 대응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4는 전기자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연속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한 인체(P)의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하나 걸러 전기신호를 출력한 인체(P)의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가 행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8의 플로차트에 대응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가 행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로차트에 대응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Fig.
3 is a timing chart corresponding to the flow chart of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ing flow of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6 is a diagram showing an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brachial artery of the human body P in which an electric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for each R wave of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s.
Fig. 7 is a diagram showing arterial pressure waveforms of the brachial artery of the human body P outputting one all-electric signal for each R wave of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s.
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9 is a timing chart corresponding to the flow chart of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processing performed by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11 is a timing chart corresponding to the flow chart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의 기능 블록도이고, 점선의 화살표는 신호 등의 송신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은, 인체(P)의 적어도 하퇴부에 전기자극을 부여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장치(100)와, 연속하는 심전파형을 인체(P)로부터 검출하는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와,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을 산출하여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고, 그 출력 타이밍으로 전기자극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arrows in dotted lines indicate transmission directions of signals and the like.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for imparting an electric stimulus to at least a lower half portion of the human body P and an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for outputting a continuous electrocardiogram waveform from the human body P And an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a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ycle T, which is the period of the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by 0.075 to 0.35,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for outputting a trigger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우선,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전 데이터 취득부(201)를 가진다. 심전 데이터 취득부(201)는, 인체(P)의 체표에 고정되는 검출전극(미도시)으로부터, 연속하는 심전파형을 포함하는 심전 데이터를 취득한다(즉, 심전파형을 연속적으로 취득한다.). 또한, 심전 데이터 취득부(201)는, 취득한 심전 데이터를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에 출력한다.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는, 예를 들어 심전계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심전 데이터의 취득 및 심전 데이터의 출력은, 무선통신수단 및/또는 유선통신수단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First, the electrocardiograph data acquisition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The electromyogram data acquisition device 200 has a electromyogram data acquisition section 201 as shown in FIG. The ECG data acquisition section 201 acquires ECG data including continuous ECG waveforms from detection electrodes (not shown) fixed to the body surface of the human body P (that is, continuously acquires ECG waveforms). . Further, the ephemeris data acquisition unit 201 outputs the acquired ephemeris data to the ephemeris data analysis apparatus 300. [ The electrocardiograph data acquisition device 200 can be configured by, for example, an electrocardiograph. On the other hand, the acquisition of the electrocardiographic data and the output of the electrocardiogram data can be perform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 or the wired communication means.

다음으로,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석부(301)와,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를 가진다.Next, the electrocardiographic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cardiographic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has an analyzing section 301 and a trigger signal generating section 302. [

해석부(301)는, 타이머(301a)를 구비하고 있다. 단, 타이머(301a)는, 해석부(301)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해석부(301)는, 심전 데이터 취득부(201)로부터 출력된 심전 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타이머(301a)의 카운터 결과에 근거하여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해석부(301)는, 결정한 출력 타이밍을 포함하는 정보를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에 전달한다.The analyzing unit 301 includes a timer 301a. However, the timer 301a may be provided outside the analyzing section 301. [ The analyzing unit 301 analyzes the ECG data output from the ECG data obtaining unit 201 and determine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al signal based on the counter result of the timer 301a. The analyzing unit 301 also transmits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output timing to the trigger signal generating unit 302. [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는, 해석부(301)로부터 전달된 출력 타이밍에, 전기자극장치(100)에 전기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는, 생성한 트리거 신호를 전기자극장치(100)에 출력한다.The trigger signal generating unit 302 generates a trigger signal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to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at the output timing transmitted from the analyzing unit 301. [ The trigger signal generating unit 302 outputs the generated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

한편, 심전 데이터 취득부(201)로부터 출력되는 심전 데이터의 취득 및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되는 트리거 신호의 출력은 무선통신수단 및/또는 유선통신수단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cquisition of the ECG data output from the ECG data acquisition section 201 and the output of the trigger signal generated by the trigger signal generation section 302 can be performed by the radio communication means and / or the wired communication means.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가 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가 행하는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도 2의 플로차트에 대응하는 타이밍 차트이고, 상측 타이밍 차트는 인체(P)로부터 검출된 심전파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하측 타이밍 차트는 심전파형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파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Next,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sis apparatus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processes performed by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Fig. Fig. 3 is a timing chart corresponding to the flow chart of Fig. 2. The upper timing chart schematically shows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detected from the human body P, and the lower timing chart shows the waveform of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As shown in FIG.

스텝 S31에서는, 해석부(301)가 심전 데이터 취득부(201)로부터 출력된 심전 데이터를 해석하고,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R파가 검출된 경우(스텝 S31 YES)에는, 처리는 스텝 S32로 진행하고, R파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31 NO)에는, 스텝 S31의 처리를 다시 반복한다. 한편, R파란, 심실이 수축하였을 때에 나타나는 파형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파는,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P파, Q파, S파 및 T파보다 진폭이 크다(바꿔 말하면, 전압(전위)이 가장 크다).In step S31, the analyzer 301 analyzes the electrocardiographic data output from the electrocardiac data acquisition unit 201,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s detected. Here, if the R wave is detected (YES in step S31),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2, and if the R wave is not detected (NO in step S31), the process in step S31 is repeated again. On the other hand, R-wave is a waveform that appears when the ventricle contracts. As shown in Fig. 3, the R wave has a larger amplitude (in other words, the voltage (potential) is larger than the P wave, Q wave, S wave and T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스텝 S32에서는, 해석부(301)가 타이머(301a)를 스타트시키고, 처리는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4개의 심전파형 중 가장 왼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스텝 S31에서 검출된 경우, 스텝 S32에서는 카운트 시간 t1에 있어서 타이머(301a)를 스타트시킨다.In step S32, the analyzer 301 starts the timer 301a,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3. For example, if the R wave of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four electrocardiogram waveforms on the left of the shown in Figure 3 is detected at step S31, thereby starting a timer (301a) according to the count time t 1 at step S32.

스텝 S33에서는, 해석부(301)가 다음의 R파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스텝 S31에 있어서 가장 왼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된 경우, 스텝 S33에서는 그 다음의 R파, 즉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다음의 R파가 검출된 경우(스텝 S33 YES)에는, 처리는 스텝 S34로 진행하고, 다음의 R파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33 NO)에는, 스텝 S33의 처리를 다시 반복한다.In step S33, the analyzer 30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next R wave is detected. For example, when the R wave of the leftmost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s detected in step S31, it is determined in step S33 whether or not the next R wave, that is, the R wave of the second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from the left is detected. If the next R wave is detected (YES in step S3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4, and if the next R wave is not detected (NO in step S33), the process in step S33 is repeated again.

스텝 S34에서는, 스텝 S33에서 다음의 R파가 검출되었을 때의 카운트 시간을 해석부(301)가 측정한다. 예를 들어, 스텝 S33에 있어서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된 경우, 스텝 S34에서는 t2가 카운트 시간으로서 측정된다.In step S34, the analyzing unit 301 measures the count time when the next R wave is detected in step S33. For example, when the R-wave of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of the second from the left in step S33 is detected, in step S34 t 2 is measured as the count time.

스텝 S35에서는, 타이머(301a)를 스타트시킨 시각으로부터 다음의 R파가 검출된 시각까지의 간격, 즉 R파의 주기 T(초)를 해석부(301)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스텝 S32 및 스텝 S34의 카운트 시간이 각각 t1 및 t2인 경우, t2-t1(t2를 t1으로 뺀 시간)이 주기 T로서 결정된다.In step S35, the analyzer 301 determines the interval from the time when the timer 301a is started to the time when the next R wave is detected, that is, the period T (seconds) of the R wave. For example, if the step S32 and the count time of the step S34 in each of t 1 and t 2, is determined as a (time, remove the t 2 to t 1) t 2 -t 1 the period T.

스텝 S36에서는, 스텝 S35에서 결정된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을 해석부(301)가 산출하고, R파가 검출된 시각으로부터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을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해석부(301)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스텝 S31에서 가장 왼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고, 스텝 S33에서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된 경우,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보다 그 R파의 최근의 주기인 주기 T(T=t2-t1)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 즉 카운트 시간 u1을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한편, 주기 T에 곱한 수치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에 설치되는 조작부(미도시)나 후술하는 전기자극장치(100)의 조작부(14)를 조작함으로써, 0.075~0.35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36, the analyzing section 301 calculates the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eriod T determined in step S35 by 0.075 to 0.35, and outputs the timing delayed by multiplying the period T by 0.075 to 0.35 from the time when the R wave is detected to the output The analyzing unit 301 determines the timing. For example, when an R wave of the leftmost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s detected in step S31 and an R wave of a second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from the left is detected in step S33, the R wave of the second electro- A timing delayed by multiplying the period T (T = t 2 -t 1 ), which is the latest period of the wave, by 0.075 to 0.35, that is, the count time u 1 , is determined as the output timing. On the other hand, the value multiplied by the period 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of 0.075 to 0.35 by operating an opera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sis apparatus 300 or an operation unit 14 of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Can be set.

스텝 S37에서는, 타이머(301a)의 시각으로부터 스텝 S36에서 결정한 출력 타이밍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해석부(301)가 판별한다. 예를 들어, 스텝 S36에서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보다 그 R파의 최근의 주기인 t2-t1에 0.075~0.35를 곱한 시각 지연된 타이밍이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된 경우, u1의 시각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출력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S37 YES)에는, 처리는 스텝 S38로 진행하고, 출력 타이밍이 되었다고 판별되지 않은 경우(스텝 S37 NO)에는, 스텝 S37의 처리를 다시 반복한다.In step S37, the analyzing unit 30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output timing determined in step S36 is reached from the time of the timer 301a. For example, if the most recent cycle time multiplied by the delayed timing of 0.075 ~ 0.35 to t 2 -t 1 of the R wave than the R wave of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of the second from the left in step S36 is determined as the output timing, of u 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time. He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put timing is reached (YES in step S3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8, and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output timing is reached (NO in step S37), the process in step S37 is repeated again.

스텝 S38에서는,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가 스텝 S37에서 판별되는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전기자극장치(100)에 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전기자극장치(100)에 출력한다. 이 경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전기신호출력부(101)로부터 즉시 전기신호가 출력된다.In step S38, the trigger signal generator 302 generates a trigger signal for outputting the electric signal to the electric stimulator 100 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determined in step S37, and outputs the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 stimulator 100 do. In this case, an electric signal is immediately output from the electric signal output unit 101 that has received the trigger signal.

스텝 S39에서는,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해석부(301)가 판별한다.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S39 YES)에는, 스텝 S40에서 타이머(301a)를 정지하여 해석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해석부(301)는, 예를 들어 전기자극장치(100)에 설치되는 치료정지 스위치가 눌린 경우나,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 및 전기자극장치(100)에 투하되는 전원의 스위치가 OFF된 경우에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step S39, the analyzing unit 30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eatment stop signal is inpu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eatment stop signal is input (YES in step S39), the timer 301a is stopped in step S40 and the analysis process is terminated. Here, the analyzing unit 301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treatment stop switch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is depressed, or the electrocardiogram data acquiring apparatus 200,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is turned OFF,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reatment stop signal is inputted.

또한, 스텝 S39에 있어서,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스텝 S39 NO)에는, 처리는 스텝 S33으로 되돌아가,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시각 u2, u3······의 타이밍으로 심전파형에 동기한 전기자극이 행하여진다.When the treatment stop signal is not inputted (NO in step S39),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3 to determine the time u 2 , u 3, ..., The electric stimulation synchronized with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s performed.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속하는 2개의 심전파형으로부터 주기 T를 결정하였는데, 연속하는 3개 이상의 심전파형으로부터 주기 T(초)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것을 주기 T로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트리거 신호에는 출력 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는 생성한 트리거 신호를 즉시 전기자극장치(100)에 출력하고, 전기신호 출력부(101)는 트리거 신호에 포함되는 출력 타이밍이 될 때까지 전기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period T is determined from two consecutiv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s, an average value of the period T (seconds) may be calculated from three or more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s, and this may be determined as the period T. The trigger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output timing. In this case, the trigger signal generator 302 immediately outputs the generated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 stimulator 100, and the electric signal output unit 101 outputs the electric signal until the output timing included in the trigger signal I never do that.

다음으로, 전기자극장치(100)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기자극장치(100)는, 전기신호 출력부(101)와, 전극(102)을 구비한다. 전기신호 출력부(101)는,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로부터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전극(102)은, 전기신호 출력부(101)에 의하여 출력된 전기신호를 인체(P)에 전달한다.Next,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n electric signal output section 101 and an electrode 102. The electric signal output section 101 outputs an electric signal based on the trigger signal output from the trigger signal generating section 302. [ The electrode 102 transmits the electric signal output by the electric signal output section 101 to the human body P. [

또한, 전기자극장치(100)는, 기억부(13)와, 조작부(14)와, 전원부(15)와, 표시부(16)를 구비한다. 기억부(13)는, 전기신호 출력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 펄스폭, 출력시간, 전류값, 출력 패턴(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연속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지 아닌지 등) 등의 통전방식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조작부(14)는, 전기자극장치(100)의 온 및 오프를 전환하는 동작 스위치, 통전방식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버튼을 포함한다. 전원부(15)는, 전기자극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표시부(16)에는, 통전방식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3, an operation unit 14, a power source unit 15, and a display unit 16. The storage unit 13 stores the frequency, the pulse width, the output time, the current value, and the output pattern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ic signal output unit 101 (an electric signal continuously for each R wave of the continuous electro- Whether or not to output it), and the like. The operation unit 14 includes an operation switch for switching on and off of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and a setting button for setting the energization mode. The power supply unit 15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The display unit 16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energization method.

다음으로, 전기신호 출력부(10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기신호 출력부(101)에는,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이나 통전상태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12)와, 출력제어부(12)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전기신호를 발생 및 출력하는 출력포트(11)가 설치되어 있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section 10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lectric signal output section 101 is provided with an output control section 12 for controlling the output timing and the energization state of the electric signal and an output port 11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based on the control by the output control section 12 ).

출력제어부(12)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출력제어부(12)는, 조작부(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등에 근거하여, 출력포트(11)가 발생 및 출력하는 전기신호의 통전상태를 제어한다. 또한, 출력제어부(12)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트리거 신호 생성부(302))로부터 입력되는 트리거 신호에 근거하여,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트리거 신호에 출력 타이밍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출력제어부(12)는,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출력포트(11)에 전기신호를 발생 및 출력시킨다. 트리거 신호에 출력 타이밍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출력제어부(12)는, 출력타이밍이 되고나서, 출력포트(11)에 전기신호를 발생 및 출력시킨다.The output control unit 12 includes a microcomputer. The output control section 12 controls the energization state of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and output by the output port 11 based on a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section 14 or the like. The output control unit 12 also control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based on the trigger signal input from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trigger signal generating unit 302). When the trigger signal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on the output timing, the output control section 12 generates and outputs an electric signal to the output port 11 while the trigger signal is input. When the trigger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output timing, the output control section 12 generates and outputs an electric signal to the output port 11 after the output timing.

전기신호 출력부(101)(출력포트(11))는, 펄스파인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은, 주기 T에 0.65를 곱한 시간 미만이면 좋고,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0.15초~0.25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신호의 펄스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0μ초~300μ초로 할 수 있다. 또한, 하퇴부에 전달되는 전기신호의 전류값은, 근육량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일의적으로 정할 수 없지만, 일례로서는 20mA~30mA로 할 수 있다. 전기신호의 주파수는, 당업자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0Hz~30Hz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파수가 20Hz 이상의 전기신호는, 동맥을 계속하여 압박하기 쉽고, 주파수가 30Hz 이하의 펄스파는, 운동신경이 응답하기 쉬워, 근육을 수축하기 쉽다.The electric signal output section 101 (output port 11) outputs an electric signal which is a pulse-shaped waveform.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may be less than the time multiplied by 0.65 in the period T, and may be suitably se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preferably 0.15 to 0.25 seconds. The pulse width of the electric sign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200 mu sec to 300 mu sec. The current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to the lower leg portion can not be uniquely determined because it is influenced by the amount of muscle or the like, but may be 20 mA to 30 mA as an example.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can be suitably se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s preferably 20 Hz to 30 Hz, for example. An electric signal with a frequency of 20 Hz or more tends to constrict the artery continuously, and a pulse wave having a frequency of 30 Hz or less is likely to respond to the motor nerve and easily contract muscles.

다음으로, 전극(10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극(102)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체(P)의 우측에 장착되는 우측 전극부(60)와, 인체(P)의 좌측에 장착되는 좌측 전극부(61)가 설치된다. 또한, 이들 전극부(60, 61)에는, +전극 및 -전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양음전극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양음전극은, 인체(P)의 발목 및 넓적다리 하부(무릎 위)에 각각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측 전극부(60)의 +전극 및 -전극은, 인체(P)의 우측 넓적다리 하부 및 우측 발목에 각각 장착되고, 좌측 전극부(61)의 +전극 및 -전극은, 인체(P)의 좌측 넓적다리 하부 및 좌측 발목에 각각 장칙될 수 있다. 상술한 부위에 전극(102)을 장착하면, 전기신호는, 인체(P)의 발목으로부터 넓적다리 하부까지의 부위, 즉 인체(P)의 적어도 하퇴부에 전달된다. 한편, 전극(102)의 구성이나 장착방법은, 인체(P)의 적어도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면 그 구성이나 그 장착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극부(60, 61)의 양음전극을 발목 및 무릎에 각각 장착할 수도 있다.Next, the electrode 102 will be described. The electrode 102 is provided with a right electrode portion 60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human body P and a left electrode portion 61 mounted on the left side of the human body P as shown in Fig. At least two positive electrodes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provided in the electrode portions 60 and 61. These two positive electrodes can b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ankles and lower legs of the human body P (above the knee). Specifically,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right electrode unit 60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right lower thigh and the right ank of the human body P, and the + electrode and the - The lower left thigh and the left ank of the human body P, respectively. When the electrode 102 is attached to the above-described portion, the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a portion from the ankle of the human body P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igh, that is, at least the lower portion of the human body P. The constitution and the mounting method of the electrode 102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mounting method as long as the electric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t least the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P. [ For exampl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portions 60 and 61 may be mounted on ankles and knees, respectively.

또한, 전극(102)은, 인체(P)의 하퇴부에 더하여, 더욱이 인체(P)의 대퇴부에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전극(102)을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전극부(60, 61)는, 발목, 넓적다리 및 허리부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3개의 양음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들 3개의 양음전극은, 적어도 +전극 및 -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며, 발목 및 허리부에 장착되는 양음전극의 극성과 넓적다리에 장착되는 양음전극의 극성이 다르도록 장착된다. 구체적인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측 전극부(60)의 양음전극에 대하여, 우측 넓적다리에 +전극을 장착한 경우, 인체(P)의 우측의 허리부와 우측 발목에는 -전극을 각각 장착한다. 좌측 전극부(61)의 양음전극에 대하여, 인체(P)의 좌측 넓적다리에 +전극을 장착한 경우, 좌측 허리부와 우측 발목에는 -전극을 각각 장착한다. 전극(102)을 이와 같이 구성하여 장착하면, 전기신호는, 인체(P)의 발목으로부터 허리부까지의 부위, 즉 인체(P)의 적어도 하퇴부 및 대퇴부에 전달된다. 한편, 전극(102)의 구성이나 장착방법은, 인체(P)의 하퇴부 및 대퇴부에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면 그 구성이나 그 장착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극부(60, 61)의 양음전극에 대하여, 무릎에 -전극을 장착하고, 허리부와 발목에 +전극을 각각 장착할 수도 있다.The electrode 102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to the femoral portion of the human body P in addition to the hip portion of the human body P. [ When the electrode 102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electrode portions 60 and 6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three positive electrodes that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ankle, the thigh, and the waist portion. These three positive electrodes ar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laritie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mounted on the ankle and the wais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ositive electrode mounted on the thigh. When a positive electrode is attached to the right thigh with respect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right electrode unit 60, a negative electrode is attached to the right waist and the right ankle of the human body P, respectively. When the positive electrode is attached to the left thigh of the human body P with respect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left electrode portion 61, the negative electrode is attached to the left waist and the right ankle. When the electrode 102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gion from the ankle to the waist of the human body P, that is, at least the lower portion and the thigh portion of the human body P. [ On the other hand, the constitution and the mounting method of the electrode 102 are not limited to the constitution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as long as they can transmit an electric signal to the hip portion and the thigh portion of the human body P. For example, an electrode may be attached to the knee with respect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electrode unit 60, 61, and a + electrode may be attached to the waist and ankle, respectively.

여기에서, 하퇴부란, 인체(P)의 무릎에서 발목까지의 부위를 말하며, 대퇴부란, 인체(P)의 무릎보다 상부로 인체(P)의 사타구니(서혜부)까지의 부분을 말한다. 한편, 대퇴부에 전달되는 전기신호의 전류값은, 근육량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므로 일의적으로 정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25mA~35mA로 할 수 있다.Herein, the lower leg refers to a portion from the knee to the ankle of the human body P, and the femoral portion refers to a portion up to the groin (inguinal part) of the human body P above the knee of the human body P.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transmitted to the femoral region can not be determined uniquely because it is influenced by the muscle amount and the like, but it can be set to 25 mA to 35 mA, for example.

또한, 전극부(60, 61)의 양음전극은, 비도전성의 부재로 덮이고, 인체(P)와의 접촉면에만 도전성 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전극부(60, 61)의 양음전극은, 인체(P)에 감기도록, 띠형상의 구성이어도 좋다. 한편, 전극부(60, 61)의 양음전극의 수, 사이즈 및 형상은 장착부위나 인체(P)의 체형 등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The positive electrode of each of the electrode units 60 and 61 may be covered with a non-conductive member, and a conductive member may be provided only on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human body P. The positive electrode of each of the electrode portions 60 and 61 may have a band-like configuration so as to be wound around the human body P.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the size and the shape of the positive electrodes of the electrode portions 60 and 6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ite and the body shape of the human body P.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 전체의 처리 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의 처리 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스텝 S71에서는, 인체(P)로부터 심전파형을 연속적으로 검출한다. 다음으로, 스텝 S72에서는, 스텝 S71에서 검출된 심전파형을 해석하고,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스텝 S73에서는, R파로부터 스텝 S72에서 산출된 시간 지연시킨 타이밍을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한다. 다음으로, 스텝 S74에서는, 스텝 S73에서 결정된 출력 타이밍으로 전기신호를 출력한다.Next, the processing flow of the entir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5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ing flow of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Fig. First, in step S71, a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s continuously detected from the human body P. Next, in step S72,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detected in step S71 is analyzed, and the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eriod T, which is the period of the R wave, by 0.075 to 0.35 is calculated. Next, in step S73, the timing delayed from the R wave calculated in step S72 is determined a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Next, in step S74, an electric signal is outputted at the output timing determined in step S73.

한편,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서는,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와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와 전기자극장치(100)에 의하여 도 5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고 있는데, 이들 처리 전체를 전기자극장치(100)만으로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5 is performed by the electrocardiographic data acquisition device 200,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sis device 300 and the electric stimulation device 100 in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tir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entire operation.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서는, 전기신호가,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보다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출력 타이밍에 출력된다. 이 타이밍에 출력되는 전기신호는, 하퇴부에 전달되며, 심장의 확장기에 있어서의 소정의 타이밍에 하퇴부의 근수축을 일으킨다(근펌프 작용). 그리고, 이러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일어난 하퇴부의 근수축에 의하여, 하퇴부의 동맥이 압박되는 동시에, 심장의 영양혈관인 관동맥에 동맥혈이 유입되기 쉬운 타이밍에 있어서, 하퇴부의 동맥혈을 심장(좌심실)을 향하여 되미는 작용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심장(좌심실)을 향하여 되밀린 동맥혈이, 관동맥에 유입되기 쉬워져,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 따르면, 심장이 혈액을 송출하기 쉬워져, 인체(P)를 흐르는 혈액의 순환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혈액순환 보조 효과는,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혈액의 순환(환류)을 방해하지 않고,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어렵다.Here, in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ic signal is outputted at the output timing delayed by 0.075 to 0.35 times the cycle T from the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The electric signal outputted at this timing is transmitted to the lower leg portion, causing muscle contraction of the lower leg portion at a predetermined timing in the diastole of the heart (muscular pump action). The artery of the lower leg is pressed by the muscular contraction of the lower leg caused at this predetermined timing, and at the time when arterial blood is likely to flow into the coronary artery, which is the nutritional blood vessel of the heart, the arterial blood of the lower leg is directed toward the heart (left ventricle) Pushing action occurs. Because of this, the arterial blood pushed back toward the heart (left ventricle) is likely to flow into the coronary artery, thereby improving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Therefore, according to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rt is easy to send out blood, and it is possible to assist circulation of blood flowing through the human body P. 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blood-circulation-assisting effect is based on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irculation (reflux) of blood and adversely affects self-tuning expansion of the cardiac contraction.

한편,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R파보다 주기 T에 0.075를 곱한 시간보다 빠른 출력 타이밍에 출력되는 경우나, R파보다 주기 T에 0.35를 곱한 시간보다 느린 출력 타이밍에 출력되는 경우, 관동맥에 동맥혈이 유입되기 쉬운 타이밍에 있어서, 하퇴부의 동맥혈이 심장(좌심실)을 향하여 되밀리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이 향상되기 어려워져, 인체(P)를 흐르는 혈액의 순환을 보조할 수 없다. 또한, 이들 출력 타이밍에 출력되는 전기신호에서는, 하퇴부의 동맥혈이 심장(좌심실)을 향하여 되밀리는 타이밍이, 관동맥에 동맥혈이 유입되기 쉬운 타이밍에 동기하지 않으므로,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쉬워진다. 또한,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이, R파로부터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시킨 타이밍이더라도, 하퇴부에 전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signal outputted from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is outputted at an output timing earlier than the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ycle T by 0.075 than the R wave, or when the output timing is slower than the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ycle T by 0.35 The arterial blood of the lower leg becomes less likely to be pushed back toward the heart (left ventricle) at the timing when arterial blood is likely to flow into the coronary artery. As a result,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hardly improved, and the circulation of the blood flowing through the human body P can not be assisted. In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at these output timings, the timing at which the arterial blood of the lower leg is pushed back toward the heart (left ventricle) is not synchronized with the timing at which the arterial blood is likely to flow into the coronary artery. It becomes easy to go crazy. In addition, even when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blood circulation assistant system 1 is delayed by 0.075 to 0.35 times the cycle T from the R wave, if no electric signal is output to the hypothetical part, It can not assist blood circulation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보조가 가능한지 아닌지는, 당업자가 기술상식에 근거하여 적절히 판단할 수 있고, 대동맥 내 벌룬펌핑법(IABP법)이나 증강형 체외식 카운터 펄세이션법(EECP법) 등에서 사용되는 평가방법을 참고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신호가 출력되는 인체(P)로부터 검출한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확인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도 6은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연속하여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한 인체(P)의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가로축이 시간(초)이며, 세로축이 압력(mmHg)이다. 도 6의 (a) 및 (b)의 동맥압 파형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신호가 출력되는 인체(P)로부터 검출한 동맥압 파형 중 적어도 일심박분의 동맥파형(W1)에 있어서, 서포트 파형(W10)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c)의 동맥압 파형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한 동맥압 파형(W2)에 있어서, 서포트 파형(W10)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Whether or not blood circulation assis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possible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n the basis of the technical knowledge and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ased on the intra-aortic balloon pumping method (IABP method) or the intracoronary counter- EECP method) and the like can be referred to. For example, a method of confirming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brachial artery detected from the human body P from which the electric signal is outputted may be used. 6 is a graph showing arterial pressure waveforms of the brachial artery of the human body P outputting the electric signals continuously with respect to each of the R waves of the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wherein the abscissa is time (second) and the ordinate is pressure (mmHg )to be. As shown in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s of Figs. 6A and 6B, in the arterial waveform W1 of at least one heartbeat among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s detected from the human body P from which the electric signal is outputted, the support waveform W10 ), It can be judged that blood circulation assistance based on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in Fig. 6C, when the support waveform W10 can not be confirmed in the detected arterial pressure waveform W2, the blood circulation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t can be judged that assistance is not possible.

서포트 파형(W10)은, 인체(P)로부터 얻어지는 신호로서, 개인간에 따른 차이가 있으므로 일의적으로 정할 수 없지만, 일례로서는, 도 6의 (a) 및 (b)의 동맥압 파형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동맥변 폐쇄시(T11)부터 혈압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오그멘테이션압(P11)에 도달하여, 오그멘테이션압(P11)의 측정시(T12)에서 확장기 종료시(T13)까지 혈압이 하강하여 확장기 혈압(P12)에 이르는 파형을 들 수 있다. 한편, 오그멘테이션압(P11)은,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기 혈압(P10)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waveform W10 is a signal obtained from the human body P and can not be determined uniquely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However,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s in Figs. 6A and 6B, The blood pressure rises sharply from the time of the aortic occlusion T11 to reach the agitation pressure P11 and the blood pressure falls from the time T12 of measurement of the agitation pressure P11 to the end of the divergence T13, And a waveform reaching the blood pressure P12. On the other hand, the agitation pressure P11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P10 as shown in Fig. 6 (a).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축기란, 대동맥변 개방시(T10)(T20)에서 대동맥변 폐쇄시(T11)(T21)까지의 기간을 나타내고, 확장기란, 대동맥변 폐쇄시(T11)(T21)에서 다음의 대동맥변 개방시(T13)(T23)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또한, 대동맥변 개방시(T10)(T20)란, 확장기 혈압(P12)(P22)이 측정되었을 때를 나타내고, 다음의 대동맥변 개방시(T13)(T23)란, 확장기 혈압(P12)(P22)의 다음의 확장기 혈압(P12)(P22)이 측정되었을 때를 나타낸다. 또한, 대동맥변 폐쇄시(T11)(T12)란, 디크로틱노치(D)(D')가 측정되었을 때를 나타낸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systole" refers to a period from the time of the opening of the aortic valve (T10) (T20) to the time of the occlusion of the aortic valve (T11) (T21) (T13) (T23) at the next aortic opening. When the aortic cross-over opening time T10 (T20) indicates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P12 (P22) is measured, the next aortic opening time T13 (T23) indicates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P12 Of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P12 (P22) after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P12 is measured. Further, the aortic occlusion time T11 (T12) represents the time when the dicrotic notch (D) (D ') is measured.

여기에서, 혈액의 순환을 보조하는 종래의 대동맥 내 벌룬펌핑법이나 증강형 체외식 카운터 펄세이션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침습도가 높아 감염증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나, 궤양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 따르면, 소정의 타이밍에 전기신호를 하퇴부에 출력하는 것만으로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있기 때문에, 비관혈적으로 치료를 행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인체(P)에 과도한 충격을 가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감염증이나 궤양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기 어렵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intra-aortic balloon pumping method and the augmented external-body counter-pulse method that assist in the circulation of blood are problematic in that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are liable to occur due to high invasivenes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easy to cause complications. However, according to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ood circulation can be assisted only by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to the lower leg portion at a predetermined timing, so that the treatment can be performed non-openly, (P).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ause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or ulcer.

또한,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 있어서, 주기 T 내에 있어서의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은, 0.15초~0.25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 있어서, 하퇴부에 출력되어 있던 전기신호의 출력이 중지되면, 하퇴부의 동맥의 압박이 해제되고, 동맥 내의 저항이 저하(동맥 내의 압력이 저하)되는데,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이 0.15초~0.25초인 경우, 심장의 수축기에, 동맥 내의 저항(동맥 내의 압력)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심장은, 심장(좌심실) 내의 혈액을 동맥 내에 유출시키기 쉬워지고(마치 심장(좌심실) 내의 혈액이 동맥혈관 내에 끌려 들어가듯이 유출됨), 혈액을 동맥에 유출시킬 때의 부하가 경감되기 쉬워진다(보다 낮은 자기수축기 혈압이 됨). 즉,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이 보조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 시스템(1)에 있어서,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이 0.15초~0.25초인 경우, 상술한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더하여,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여,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을 0.15초~0.25초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혈액순환 보조효과는,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이나 보조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혈액의 순환(환류)을 방해하는 일도 없고,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어렵다.In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within the cycle T is preferably 0.15 second to 0.25 second. In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output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ted to the lower leg portion is stopped, the pressure of the artery of the lower leg is released, and the resistance in the artery is lowered (pressure in the artery is lowered) When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0.15 second to 0.25 second, the resistance in the artery (pressure in the artery) tends to lower at the systole of the heart. As a result, the heart is liable to cause the blood in the heart (left ventricle) to flow out into the artery (as if the blood in the heart (left ventricle) is drawn into the arterial blood vessel) It becomes easy (lower self-systolic blood pressure). That is,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assisted. Therefore, in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0.15 second to 0.25 second,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described above, Thereby helping the blood circ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obtained by setting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n the range of 0.15 to 0.25 seconds i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and the assistance, so that the blood circulation (reflux) It is difficult to adversely affect the function of expanding the cardiac contraction.

한편,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이 0.15초~0.25초의 범위 밖인 경우, 심장의 수축기에, 동맥 내의 저항(동맥 내의 압력)이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심장의 부하가 경감되기 어려워져,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출력시간이 0.15초~0.25초의 범위 밖인 전기신호에서는, 동맥 내의 저항(동맥 내의 압력)의 저하가, 심장의 수축기와 동기하기 어려워지므로,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기 쉬워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out of the range of 0.15 to 0.25 seconds, the resistance in the artery (pressure in the artery) is hardly lowered in the systole of the heart. As a result, the load on the heart is less likely to be relieved, and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assistance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hardly obtained. Further, in an electric signal whose output time is out of the range of 0.15 to 0.25 seconds, the decrease in the resistance in the artery (the pressure in the artery) becomes difficult to synchronize with the systolic period of the heart, so that the self- .

상술한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에 더하여,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가 얻어지고 있는지 아닌지는, 당업자가 기술상식에 근거하여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하나 걸러 전기신호를 출력한 인체(P)의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확인하는 방법이어도 좋다.Whether or not the blood circulation support effect based on the assis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obtained in addition to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described above can be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For example, it may be a method of confirming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brachial artery of the human body P outputting one electrical signal for each R wave of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s.

도 7은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하나 걸러 전기신호를 출력한 인체(P)의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동맥압 파형(W3)(W4)은, 전기신호가 출력되는 심전파형에 대응하는 동맥압 파형을 나타내고, 서포트 파형(W30)(W40)을 가진다. 도 7에 나타내는 동맥압 파형(W3')(W4')은, 전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심전파형에 대응하는 동맥압 파형을 나타낸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포트 파형(W30)을 가지는 동맥압 파형 중 적어도 일심박분의 동맥압 파형(W3)에 있어서, 확장기 혈압(P31)이 전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심전파형에 대응하는 동맥압 파형(W3')의 확장기 혈압(P30)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에 더하여,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가 얻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포트 파형(W40)을 가지는 모든 동맥압 파형(W4)에 있어서, 확장기 혈압(P41)이, 전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심전파형에 대응하는 동맥압 파형(W4')의 확장기 혈압(P40)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rterial pressure waveforms of the brachial artery of the human body P outputting one all-electric signal for each R wave of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s.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W3 (W4) shown in Fig. 7 represents an arterial pressure waveform corresponding to a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to which an electric signal is output, and has a support waveform W30 (W40).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s W3 'and W4' shown in Fig. 7 show an arterial pressure waveform corresponding to a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to which no electric signal is output. As shown in Fig. 7A, in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W3 of at least one heartbeat among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s having the support waveform W30,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P31 corresponds to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n which no electric signal is outputted (P30) of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W3 'of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W3',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od circulatory assist effec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b), in all the artery pressure waveform W4 having the support waveform W40,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P41 is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W4 '), it can be judged that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assis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not obtained.

한편,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에 더하여,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아닌지는,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연속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한 인체(P)의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확인함으써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의 인체(P)의 확장기 혈압을 검출하고, 이 확장기 혈압을 기준확장기 혈압으로 한다. 또한,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연속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였을 때의 인체(P)의 동맥압 파형에 대하여도 검출하고, 검출된 동맥압 파형 중, 서포트 파형을 가지는 동맥압 파형의 확장기 혈압을 대상확장기 혈압으로 한다. 그리고, 이 대상확장기 혈압과 상술한 기준확장기 혈압을 비교하고, 대상확장기 혈압이, 기준확장기 혈압 미만인 경우에는,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에 더하여,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가 얻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대상확장기 혈압이, 기준확장기 혈압 이상인 경우에는,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가 얻어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ther or not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has a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assistance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ethod, It can be judged by confirming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brachial artery of the human body P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continuously for each R wave of the waveform. Specifically,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human body P when no electric signal is output is detected, and this diastolic blood pressure is set as the reference diastolic blood pressure.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human body P when successive electric waves are outputted to each of the R waves of the continuous electrocardiogram waveform and to detect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having the support waveform To the target diastolic blood pressure. When the subject diastolic blood press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diastolic blood pressure, in addition to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t can be judged that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assist of the blood circulation is obtain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ject diastolic blood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astolic blood pressure, it can be judged that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assistance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s not obtained.

또한,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의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출력 타이밍에 전기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최신의 주기 T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출력 타이밍에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심장이 부정기적으로 박동한 경우라도,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심박(심전파형)에 정확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Further, by configuring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is embodiment to output an electric signal at an output timing delayed from the R wave by 0.075 to 0.35 times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the latest cycle T And outputs the electric signal to the output timing determined based on the output timing. Therefore, even when the heart is beating irregularly, the output electric signal can be accurately synchronized with the heartbeat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또한,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가, R파가 검출될 때마다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심전파형이 겸출될 때마다) 전기신호가 출력되며,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심장의 박출량을 계속하여 증가시킬 수도 있다.Further, since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output timing each time the R wave is detected, an electric signal is output every time the heart is beat (every time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s mixed) You can assist your blood circulation every time you beat. Then, the ejection amount of the heart may be continuously increased.

또한, 각각의 출력 타이밍에 대응하여 전기자극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을 0.15초~0.25초로 한 경우,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을 0.15초~0.25초의 범위 밖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동맥을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을 0.15초~0.25초로 한 경우, 혈액순환에 의하여 확실하게 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심장의 박출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기자극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을 0.15초~0.25초로 한 경우,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300)에서 결정된 출력 타이밍에, 전기신호가 출력되기 쉬워진다.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이 0.15초 미만인 경우, 출력시간이 0.15초 이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근육의 수축시간이 짧으므로, 동맥을 압박하는 데에 충분한 근장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동맥은 압박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이 0.25초를 넘을 경우, 출력시간이 0.25초 이하인 경우와 비교하여,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300)에서 결정된 출력 타이밍에 전기신호가 출력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심박(예를 들어, 50~90회/분)보다 심박이 과도하게 빠른 사람은, 주기 T가 짧기 때문에,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이 0.25초보다 길어진 경우에는, 전기신호의 출력이 끝나면 바로 새로운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결정된 출력 타이밍에 전기신호가 출력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out of the range of 0.15 second to 0.25 second when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ted from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is set to 0.15 second to 0.25 second corresponding to each output timing , The arteries can be reliably pressed. Therefore, when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set to 0.15 seconds to 0.25 seconds, blood circulation can reliably assist. Further, the ejection amount of the heart may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outputted from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is set to 0.15 second to 0.25 second, an electric signal is likely to be outputted at the output timing determined by the electric field data acquisition apparatus 300. When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less than 0.15 second, since the contraction time of the muscle is short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output time is 0.15 seconds or more, sufficient muscle tension may not be obtained enough to press the artery. In such a case, the artery becomes difficult to be pressed. In addition, when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exceeds 0.25 seconds, the electric signal may not be output at the output timing determined by the electric / optical system data acquisition device 300,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output time is 0.25 seconds or less. For example, if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longer than 0.25 seconds because the period T is short, a person who has an excessively high heart rate than a normal heart rate (for example, 50 to 90 times / minute) The output timing of the new electric signal may be immediately obtained at the end of the output. In such a case, it may be difficult for an electric signal to be outputted at a determined output timing.

또한, 전기자극장치(100)가, 하퇴부에 더하여 더욱이 인체(P)의 대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됨으로써, 하퇴부 및 대퇴부의 동맥을 압박할 수 있다. 즉, 하퇴부에만 전기신호가 출력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과 비교하여, 많은 동맥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순환을 더욱 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심장의 박출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도 있다.Further,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is configured to output an electric signal to the femoral portion of the human body P in addition to the hip portion, thereby pressing the artery of the lower leg and the thigh. In other words, as compared with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in which an electric signal is outputted only to the lower leg portion, many arteries can be pressed, and thus blood circulation can be further assisted. Further, the ejection amount of the heart may be further increased.

한편,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을 제어하는 방법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of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can be maintained in an optimum state.

(변형예 1)(Modified Example 1)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의 변형예 1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가 행하는 처리에 관하여, R파보다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을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하고 있었는데,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은, R파보다 R파의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이면 좋다. 즉,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의 주기가 아닌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이어도 좋다. 본 변형예 1에서는,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이와 같은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출력 타이밍이어도,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있다.Next, a variation 1 of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timing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period T of the R wave by 0.075 to 0.35 with respect to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is determined a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However, The output timing of the signal may be a timing delayed by 0.075 to 0.35 times the period T of the R wave from the R wave. That is, the timing may be delayed from the R wave by 0.075 to 0.35 times the cycle T, which is not the latest cycle of the R wave. In the first modified example,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is determined as the output timing described above. Even with such an output timing, blood circulation can be assis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self-tuneable cardiac contraction expanding function.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스텝 S46~S55에서는, 일례로서, 스텝 S41에서 도 9에 나타내는 심전파형 중 가장 왼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고, 스텝 S43에서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며, 스텝 S45에서 t2-t1(초)가 주기 T로서 결정된 후의 처리에 관한 스텝인 것으로 한다. 또한, 스텝 S41~S45에 대하여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스텝 S31~S35와 각각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steps S46 to S55, as an example, the R wave of the leftmost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among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s shown in Fig. 9 is detected in step S41, and the R wave the detection is, assu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rocessing after the period determined as t 2 -t 1 (sec) in step S45 t step. Since steps S41 to S45 are the same as steps S31 to S35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텝 S46에서는, 스텝 S45에서 결정된 t2-t1(초)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을 해석부(301)가 산출한다. 본 변형예 1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달리,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을 산출하는 처리와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리가 각각 행하여진다.In step S46, it calculates the analysis time multiplied by 0.075 ~ 0.35 to t 2 -t 1 (s) determined in step S45 (301). In Modification 1 of this embodiment,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cycle T by 0.075 to 0.35 an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are performed.

스텝 S47에서는, 왼쪽에서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해석부(301)가 판별한다. 왼쪽에서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된 경우(스텝 S47 YES), 처리는 스텝 S48의 처리로 진행한다. 왼쪽에서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스텝 S47 NO), 스텝 S47을 다시 반복한다.In step S47, the analyzing unit 301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R wave of the third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from the left is detected. When an R wave of the third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from the left is detected (YES in step S47),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8. If no R wave of the third electro-optic waveform from the left is detected (NO in step S47), step S47 is repeated again.

다음으로, 스텝 S48에서는, 왼쪽에서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로부터 t2-t1(초)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 즉 u1의 시각을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해석부(301)가 결정한다.Next, in step S48, the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0.075 ~ 0.35 to R wave t 2 -t 1 (sec.) From the third electrocardiogram waveform at the left side of the delayed timing, that is, the analysis unit of time u 1 a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al signal (301).

스텝 S49에서는, 왼쪽에서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된 카운트 시간 t3을 해석부(301)가 측정한다.In step S49, the analyzing section 301 measures the count time t 3 at which the R wave of the third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from the left is detected.

스텝 S50에서는, 스텝 S44 및 스텝 S49의 시간으로부터, 왼쪽에서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와 왼쪽에서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의 주기(t3-t2)(초)를 해석부(301)가 결정한다.In step S50, the analysis step S44 and the period (t 3 -t 2) of the R-wave of the step S49 from the hour, and the third waveform in the electrocardiogram R wave and the left side of the third electrocardiogram waveform at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ection (301 ).

다음으로, 스텝 S51에서는, t3-t2(초)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을 해석부(301)가 산출한다.Next, in step S51, the analysis time multiplied by 0.075 ~ 0.35 in the t 3 -t 2 (s) 301 is calculated.

스텝 S52에서는, 스텝 S48에서 결정된 출력 타이밍(u1의 시각)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해석부(301)가 판별한다. 여기에서, u1의 시각이 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S52 YES)에는, 처리는 스텝 S53으로 진행하고, u1의 시각이 되었다고 판별되지 않은 경우(스텝 S52 NO)에는, 스텝 S52의 처리를 다시 반복한다.In step S52, it is determined the analysis unit 301 whether or not the output timing (time of u 1) determined in step S48. Here, if it is discriminated that the time of u 1 (step S52 YES), the process if it is not determined a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3, that the time of u 1 (step S52 NO), the re-processing of the step S52 Repeat.

스텝 S53에서는,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가 u1의 시각에,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고, 전기자극장치(100)에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In step S53, the trigger signal generation unit 302 generates a trigger signal at the time of u 1 , and outputs a trigger signal to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다음으로, 스텝 S54에 있어서,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S54 YES)에는, 스텝 S55에서 타이머(301a)를 정지하여 해석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54에 있어서,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되지 않은 경우(스텝 S54 NO)에는, 처리는 스텝 S47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스텝을 반복한다. 한편, 다음에 반복되는 스텝 S48에서는, 가장 오른쪽 심전파형의 R파로부터 t3-t2(초)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 즉 u2의 시각이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된다.Next, in step S54,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treatment stop signal is input. If it is determined that a treatment stop signal has been input (YES in step S54), the timer 301a is stopped in step S55 and the analysis process is terminated .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4 that the treatment stop signal is not inputted (NO in step S54),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7, and the subsequent steps are repeated. 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S48 is repeated in the following,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ime-delayed timing of 0.075 ~ 0.35 to R wave t 3 -t 2 (second) from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s on the right, that is the time of u 2 is determined a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al signal .

(변형예 2)(Modified example 2)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의 변형예 2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가 행하는 처리에 관하여,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연속하여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고 있었는데(즉, R파가 검출될 때마다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고 있었는데), 본 변형예에서는,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하나 걸러 연속하여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 타이밍을 결정한다(즉, R파가 검출되면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리와, R파를 검출하여도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지 않는 처리를 교대로 반복한다). 이와 같은 출력 타이밍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더라도,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있다.Next,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egarding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the output timings are determined so that the electric signals are continuously output for each of the R waves of the continuous EC waves (that is, The output timing is determined every detection). In this modification, the output timing is determined so that the electric signals are output one by one for each of the R waves of the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e., the R wave is detected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utput timing and the process of not determining the output timing even if the R wave is detected) are alternately repeated. Even when an electric signal is output at such an output timing, blood circulation can be assis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self-tuning cardiac contraction expanding function.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스텝 S91 및 스텝 S91에 연속하는 반복되는 스텝 S81~S90은, 일례로서, 스텝 S81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심전파형 중 가장 왼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고, 스텝 S83에서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며, 스텝 S86에서 왼쪽으로부터 2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로부터 t2-t1(초)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 즉 u1의 시각이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된 후의 처리에 관한 스텝인 것으로 한다. 또한, 반복되기 전의 스텝 S81~스텝 S90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스텝 S31~스텝 S40과 각각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steps S81 to S90, which are successively repeated in steps S91 and S91 described below, the R wave of the leftmost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among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s shown in FIG. 11 is detected in step S81, 2, and the R wave of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of the second detected from the left, the delay time multiplied by 0.075 ~ 0.35 to R wave t 2 -t 1 (second) from the second electrocardiogram wave from the left in step S86 timing, that is, the u 1 It is assumed that the time is a step related to the process after the time is determined a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Steps S81 to S90 before repeating are the same as steps S31 to S4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espectively,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텝 S91에서는, 스텝 S90에 있어서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지 않은 경우, 해석부(301)가 타이머(301a)를 정지한다. 한편, 해석부(301)가 타이머(301a)를 정지한 후에는, 처리는 스텝 S81 이후의 스텝을 다시 반복한다.In step S91,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90 that the treatment stop signal is not inputted, the analyzing unit 301 stops the timer 301a. On the other hand, after the analyzing section 301 stops the timer 301a, the process repeats the steps after step S81.

반복되는 스텝 S81에서는, 왼쪽에서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왼쪽으로부터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스텝 S81 NO)에는, 스텝 S81의 처리를 다시 행한다. 왼쪽으로부터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된 경우(스텝 S81 YES), 반복되는 스텝 S82에서 해석부(301)가 카운트 시간 t3의 시각에 타이머(301a)를 스타트한다.In step S8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R wave of the third electro-magnetic wave from the left is detected. When the R wave of the third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from the left is not detected (NO in step S81), the processing in step S81 is performed again. In a case where an R wave of the third electrokinetic wave from the left is detected (YES in step S81), in step S82, the analyzer 301 starts the timer 301a at the time of the count time t 3 .

반복되는 스텝 S83에서는, 가장 오른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해석부(301)가 판별한다. 가장 오른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스텝 S83 NO)에는, 스텝 S83의 처리를 다시 행한다. 가장 오른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된 경우(스텝 S83 YES), 반복되는 스텝 S84에 있어서, 가장 오른쪽의 심전파형의 R파가 검출된 카운트 시간 t4를 해석부(301)가 측정한다.In the repeated step S83, the analyzing unit 30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R wave of the rightmost electrokinetic wave has been detected. If the R wave of the rightmost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s not detected (NO in step S83), the processing in step S83 is performed again. The most when the R wave of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s on the right side is detected (step S83 YES), repeated at the step S84, analyzes the R wave is detected the count time t 4 of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of the right-most portion 301 is measured.

반복되는 스텝 S85에서는, 반복되는 스텝 S82 및 반복되는 스텝 S84의 시간으로부터, 왼쪽으로부터 3번째의 심전파형의 R파와 가장 오른쪽의 심전파형의 R파와의 주기 T를 t4-t3(초)(t4를 t3으로 뺀 시간)으로서 결정한다.In step S85 is repeated, the repeat step S82 and repeat the cycle of R wave of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beonjjae step S84 3 R wave of electrocardiogram waveform from the far right side of the time, from the left side of the T that is t 4 -t 3 (second) ( time obtained by subtracting t 4 from t 3 ).

반복되는 스텝 S86에서는, t4-t3(초)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을 산출하고, 가장 오른쪽의 심전파형의 R파로부터 t4-t3(초)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 즉 u2의 시각을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해석부(301)가 결정한다.In step S86 is repeated, t 4 -t calculates a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0.075 ~ 0.35 to 3 seconds, and the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0.075 ~ 0.35 to R wave t 4 -t 3 (seconds) from the electrocardiogram wave of the right-most delayed The analyzing unit 301 determines the timing, that is, the time of u 2 a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반복되는 스텝 S87에서는, 가장 오른쪽의 심전파형의 R파로부터 t4-t3(초)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 즉 u2의 시각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해석부(301)가 판별한다. 여기에서, u2의 시각이 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S87 YES)에는, 처리는 스텝 S88로 진행하고, u2의 시각이 되었다고 판별되지 않은 경우(스텝 S87 NO)에는, 스텝 S87의 처리를 다시 반복한다.In the step S87 are repea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0.075 ~ 0.35 to R wave t 4 -t 3 (seconds) from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s on the right timing delayed, that is, analysis section 301 whether or not the time of u 2 . Here, if it is discriminated that the time of u 2 (step S87 YES), the process if it is not determined, and then proceeds to step S88, that the time of u 2 (step S87 NO), the re-processing of the step S87 Repeat.

반복되는 스텝 S88에서는, u2의 시각에, 전기자극장치(100)에 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트리거 신호를 트리거 신호 생성부(302)가 생성하여 출력한다.The step S88 is repeated, at the time of u 2, generates and outputs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100,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trigger signal to the trigger signal section 302 for outputting to.

반복되는 스텝 S89에서는,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스텝 S89 YES), 스텝 S90에서 타이머(301a)를 정지하고 해석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치료정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되지 않은 경우(스텝 S89 NO), 처리는 스텝 S9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In step S89, it is determined whether a treatment stop signal has been input. If it is determined that a treatment stop signal has been input (YES in step S89), the timer 301a is stopped in step S90 and the analysis process is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reatment stop signal has not been input (NO in step S89), the process repeats the processing in step S91 and subsequent steps.

여기에서, 본 변형예 2의 전기자극장치(100)에 따르면, 연속하는 각각의 심박(심전파형)에 대하여 하나 걸러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그 때문에, 연속하는 각각의 심박(심전파형)에 대하여 하나 걸러 혈액순환을 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연속하여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장치(100)와 비교하여, 혈액순환의 보조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체(P)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of the second modification, electric signals are output one by one for each continuous heartbeat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blood circulation one by one for each continuous heartbeat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that continuously outputs the electric signals with respect to each of the R waves of the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burden on the human body P caused by the assistance of blood circulation .

실시예Example

다음으로,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Next,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와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를 접속하였다.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가 접속되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300)와 전기자극장치(100)를 접속하였다.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200)로부터 연장되는 검출전극을 피험자 A의 가슴에 장착하였다. 전기자극장치(100)에 설치되는 -전극을 피험자 A의 좌우 발목에 각각 장착하였다. 전기자극장치(100)에 설치되는 +전극을 피험자 A의 좌우 넓적다리의 하부(무릎 위)에 각각 장착하였다. 피험자 A로부터 심전 데이터를 취득하고, 연속하는 심전파형에 동기시켜 펄스파인 전기신호를 하퇴부에 출력하였다. 전기신호는,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1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에 출력하고,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연속하여 출력하였다. 한편,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은 0.2초로 설정하고, 전기신호의 펄스폭은 260μ초로 설정하며, 전기신호의 주파수는 20Hz로 설정하고, 전기신호의 전류값은 피험자 A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설정하였다.The ECG data acquisition device 200 and the ECG data analysis device 300 are connected. The ECG data analyzing apparatus 300 to which the ECG data obtaining apparatus 200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apparatus 100. [ A detection electrode extending from the electrocardiograph data acquisition device 200 was mounted on the subject's chest. The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wer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ankles of the subject A, respectively. The + electrodes provided on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we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low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of the subject A (above the knees). The electrocardiogram data was acquired from the subject A, and an electric signal having a pulse waveform was output to the hip por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The electric signal is output from the R wave at a timing delayed by 0.10 times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and is output successively to each R wave of the continuous ECG waveform.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set to 0.2 seconds, the pulse width of the electric signal is set to 260 microseconds,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 signal is set to 20 Hz, and the electric current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is set to 10 (A little bit harder).

(실시예 2)(Example 2)

피험자 A를 피험자 B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B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B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B. And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by subject B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above were such that electric signals were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B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3)(Example 3)

피험자 A를 피험자 C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C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C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C. The subject C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a little bit harder)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above were such that electric signals were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C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4)(Example 4)

피험자 A를 피험자 D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D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D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D. The subject D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above were such that electric signals were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5)(Example 5)

피험자 A를 피험자 E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1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E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E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E.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15. The subject E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above were such that electric signals were outpu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E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6)(Example 6)

피험자 A를 피험자 F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2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F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F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F.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25. The subject F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Other than these conditions, an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F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7)(Example 7)

피험자 A를 피험자 G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07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G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G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G. [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075. The subject G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Other than these conditions, an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G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8)(Example 8)

피험자 A를 피험자 H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07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H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H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H.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075. The subject H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Other than these conditions, an electric signal was outpu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H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9)(Example 9)

피험자 A를 피험자 I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I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I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I.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35. And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by subject I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Other than these conditions, electric signals were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I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10)(Example 10)

피험자 A를 피험자 J로 변경하였다. 전기자극장치(100)에 설치되는 -전극을 피험자 J의 좌우 서혜부 및 좌우 발목에 각각 장착하고, +전극을 피험자 J의 좌우 넓적다리의 하부(무릎 위)에 각각 장착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1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J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J의 대퇴부 및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J.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were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groin portions and left and right ankles of the subject J, respectively, and the positive electrode wa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n the knee)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of the subject J.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10. The subject J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above were such that electric signals were output to the thigh and the lower leg of the subject J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

(실시예 11)(Example 11)

피험자 J를 피험자 K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3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K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0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K의 대퇴부 및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The subject J was changed to the subject K.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35. The subject K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Other than these conditions, electric signals were output to the thigh and the lower leg of the subject K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tenth embodimen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017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A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A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017. The subject A changed the current value to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above were such that electric signals were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A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017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B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B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017. And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by subject B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The conditions other than the above were such that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B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017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D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D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017. The subject D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Other than these conditions, an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ourth embodiment.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피험자 A를 피험자 L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017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L이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들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L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L.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017. The subject L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Other than these conditions, an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L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0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8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H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ing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05,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half of the subject H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8 Respectively.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4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A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40,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half of the subject A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Respectively.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4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B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ing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40,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ted to the lower half of the subject B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Respectively.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4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C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40,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half of the subject C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3 Respectively.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4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D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40,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half of the subject 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4 Respectively.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4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I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ing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40,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lower half of the subject I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9 Respectively.

(비교예 11)(Comparative Example 11)

피험자 A를 피험자 M으로 변경하였다. 전기자극장치(100)에 설치되는 -전극을 피험자 M의 좌우 서혜부에 각각 장착하고, +전극을 피험자 M의 좌우 넓적다리의 하부(무릎 위)에 각각 장착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2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M이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M의 대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M.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we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groin portions of the subject M, respectively, and the + electrodes wer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s (above the knee)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of the subject M.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25. The subject M wa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In the other conditions, an electric signal was outputted to the thigh of the subject M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 12)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3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M의 대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30 to output the electric signal to the thigh of the subject M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1 Respectively.

(비교예 13)(Comparative Example 13)

피험자 M을 피험자 N으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1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N이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 이외의 조건은, 비교예 1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N의 대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And the subject M was changed to the subject N. [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10. The subject N is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In the other conditions, an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thigh of the subject 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Comparative Example 11. [

(비교예 14)(Comparative Example 14)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15를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비교예 13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N의 대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15,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 to the thigh of the subject 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Comparative Example 13 Respectively.

(비교예 15)(Comparative Example 15)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3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한 것 이외의 조건은, 비교예 13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N의 대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Except that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30 to output the electric signal to the thigh of the subject 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Comparative Example 13 Respectively.

(비교예 16)(Comparative Example 16)

피험자 A를 피험자 O로 변경하였다. 전기자극장치(100)에 설치되는 -전극을 피험자 O의 좌우 서혜부 및 좌우 발목에 각각 장착하고, +전극을 피험자 O의 좌우 넓적다리의 하부(무릎 위)에 각각 장착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4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O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이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O의 대퇴부 및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O.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100 were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groin portions and right and left ankles of the subject O, respectively, and the + electrodes wer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knee) of the left and right thighs of the subject O, respectively.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40. The subject O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Under the other conditions, electric signals were output to the thigh and the lower leg of the subject O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16의 각 피험자에 대하여 출력한 전기신호의 전류값 및 출력 타이밍을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The current values and the output timings of the electric signals outputted for the subjects of Examples 1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6 are shown in Table 1 to be described later.

[평가 1][Evaluation 1]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16의 각 피험자에 대하여, 혈압맥파 검사장치를 사용하여,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검출하였다. 검출한 동맥압 파형을 의사가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후술하는 표 1에 나타낸다.For each of the subjects of Examples 1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6,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brachial artery was detected using a blood pressure pulse wave testing apparatus. The detected arterial pressure waveform was confirmed by a doctor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평가기준><Evaluation Criteria>

Good: 검출한 동맥압 파형 중 적어도 일심박분의 동맥파형에 있어서, 상술한 서포트 파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Good: The above-mentioned support waveform can be confirmed in the arterial waveform of at least one heartbeat among the detected arterial pressure waveforms.

Poor: 검출한 동맥압 파형에 있어서, 상술한 서포트 파형을 확인할 수 없었다.Poor: In the detected arterial pressure waveform, the above-described support waveform could not be confirmed.

[표 1][Table 1]

Figure 112017012618729-pct00001
Figure 112017012618729-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1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서는, 평가 1의 평가결과가 모두 'Good'으로 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11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은,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가 가능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실시예 1~11의 혈액순환 보조 시스템(1)에 따르면,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16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에서는, 평가 1의 평가결과가 모두 'Poor'로 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비교예 1~16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은,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즉, 비교예 1~16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에 따르면,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혈액의 순환을 보조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in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Examples 1 to 11, the evaluation results of evaluation 1 were all "Good".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Examples 1 to 11 can assist the blood circulation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That is, according to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Examples 1 to 11, it can be understood that blood circulation can be assis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self-tuning cardiac contraction expanding fun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16, the evaluation results of evaluation 1 were all 'Poor'. From this resul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16 can not support blood circulation based on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That is, according to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16,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irculation of the blood can not be assis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self-tuning expansion function of the heart.

특히, 비교예 1~10 및 16의 평가 1의 평가결과로부터,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시킨 타이밍으로 하지 않은 경우,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1~15의 평가 1의 평가결과로부터,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 지연시킨 타이밍으로 하였더라도,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경우, 자기조율성의 심장 수축확장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혈액순환을 보조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In particular, from the evaluation results of Evaluation 1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10 and 16, when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is not made to be a timing delayed by 0.075 to 0.35 times the cycle T from the R wave, the self-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lood circulation can not be assis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blood circulation. Even when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is delayed from the R wave by 0.075 to 0.35 times the cycle T from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1 of the comparative examples 11 to 15 and the electric signal is not outputted to the hip area,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lood circulation can not be assisted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tonic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heart.

다음으로,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을 0.15초~0.25초로 하는 본 실시형태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이,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에 더하여,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를 실시하였다.Next, in addition to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set to 0.15 seconds to 0.25 seconds, The following exampl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show that they have a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supplement of

(실시예 12)(Example 12)

피험자 A를 피험자 B로 변경하였다.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R파로부터 그 R파의 최근 주기 T에 0.30을 곱한 시간 지연된 타이밍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B가 10단계로 분류되는 보그스케일의 4(약간 힘듦)로 판단하는 전류값으로 변경하였다. 피험자 B로부터 검출되는 연속하는 심전파형의 각각의 R파에 대하여 하나 걸러 전기신호를 출력하였다. 이 이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하여, 피험자 B의 하퇴부에 전기신호를 0.2초 동안 출력하였다.Subject A was changed to Subject B.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as changed from the R wave to the time delayed by multiplying the latest cycle T of the R wave by 0.30. And changed to a current value judged by subject B to be 4 (slightly hard) of the Vogue scale classified into 10 levels. And outputs one additional electric signal for each R wave of the continuous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detected from the subject B. Under the other conditions, the electric signal was output for 0.2 second to the lower part of the subject B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first embodiment.

[평가 2][Evaluation 2]

실시예 12의 피험자에 대하여, 혈압맥파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상완동맥의 동맥압 파형을 검출하였다. 검출한 실시예 12의 피험자의 동맥압 파형을 의사가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For the subject of Example 12,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brachial artery was detected using a blood pressure pulse wave test apparatus.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the subject of Example 12 was checked by a doctor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평가기준><Evaluation Criteria>

Good: 상술한 서포트 파형을 가지는 동맥압 파형 중 적어도 일심박분의 동맥압 파형에 있어서, 확장기 혈압이, 전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심전파형에 대응하는 동맥압 파형의 확장기 혈압 미만이 되었다.Good: In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of at least one heartbeat among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s having the above-described support waveform,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less than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to which the electric signal was not output.

Poor: 상술한 서포트 파형을 가지는 모든 동맥압 파형에 있어서, 확장기 혈압이, 전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심전파형에 대응하는 동맥압 파형의 확장기 혈압 이상이 되었다.Poor: In all of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s having the above-described support waveform,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of the arterial pressur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to which the electric signal was not output.

실시예 12에 관하여, 출력한 전기신호의 출력조건 및 평가 2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Table 2 shows the output conditions of the output electric signal and the results of evaluation 2 with respect to the twelfth embodiment.

[표 2][Table 2]

Figure 112017012618729-pct00002
Figure 112017012618729-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은, 평가 2의 평가결과가 'Good'이 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을 0.15초~0.25초의 범위 내로 하는 실시예 12의 혈액순환 보조시스템(1)은,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향상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에 더하여, 심장의 혈액펌프 기능의 보조에 근거하는 혈액순환 보조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in the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1 of Example 12, the evaluation result of Evaluation 2 was "Good". From this result, it is found that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system 1 of the twelfth embodiment in which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is within the range of 0.15 second to 0.25 second has the blood circulation assist effect ba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blood pump function of the hear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lood circulation auxiliary effect is based on the assistance of the blood pump function.

1: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11: 출력포트
12: 출력제어부
13: 기억부
14: 조작부
15: 전원부
16: 표시부
60: 우측 전극부
61: 좌측 전극부
100: 전기자극장치
101: 전기신호 출력부
102: 전극
200: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
201: 심전 데이터 취득부
300: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
301: 해석부
203: 트리거 신호 생성부
1: blood circulation assist system
11: Output port
12:
13:
14:
15:
16:
60: right electrode part
61:
100: Electric stimulator
101: electric signal output section
102: electrode
200: ECG data acquisition device
201: ECG data acquisition section
300: ECG data analyzing device
301:
203: Trigger signal generation unit

Claims (8)

인체의 혈액순환을 보조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으로서,
상기 인체의 적어도 하퇴부에 펄스파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장치와,
상기 인체로부터 심전파형을 연속적으로 취득하는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와,
상기 심전 데이터 취득장치가 취득한 심전파형을 해석하고, 상기 전기자극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는, 상기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타이밍을 상기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A blood circulation assist system for assisting the blood circulation of a human body,
An electric stimulation device for outputting a pulse-shaped electric signal to at least a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An electrocardiographic data acquisition device for continuously acquiring a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from the human body,
And an ECG data analyzing device for analyzing the ECG waveform acquired by the ECG data acquisition device and determining an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apparatus determines a timing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as the output timing,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a period T, which is a period of the R wave, by 0.075 to 0.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T는, 상기 R파의 최근 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iod T is a recent cycle of the R wa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는, 상기 R파가 검출될 때마다 상기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cardiogram data analyzing device determines the output timing each time the R wave is detec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 데이터 해석장치는, 상기 R파가 검출되면 상기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는 처리와, 상기 R파를 검출하여도 상기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지 않는 처리를 교대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EC data analyzing apparatus alternately repeat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utput timing when the R wave is detected and the process of not determining the output timing even if the R wave is detecte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극장치는, 더욱이 상기 인체의 대퇴부에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further outputs the electric signal to the femoral region of the human body.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T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기신호의 출력시간이 0.15초~0.2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the output time of the electric signal within the period T is 0.15 second to 0.25 second.
인체의 적어도 하퇴부에 펄스파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인체에 전기자극을 부여하여 혈액순환을 보조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인체로부터 심전파형을 연속적으로 취득하고,
이 취득한 심전파형을 해석하여, 상기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타이밍을 상기 전기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서 결정하며,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순환 보조시스템의 제어방법.
A control method of a blood circulatory assist system for outputting pulse-like electric signals to at least a lower part of a human body, thereby assisting blood circulation by applying electric stimulation to the human body,
Continuously acquiring a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from the human body,
Analyzes the obtained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and determines a timing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as the output timing of the electric signal,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period T which is the period of the R wave by 0.075 to 0.35.
인체에 전기자극을 부여하는 전기자극장치로서,
상기 인체로부터 검출되는 심전파형에 동기시켜서, 펄스파로 이루어지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신호 출력부와,
상기 인체의 적어도 하퇴부에 상기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을 가지고,
상기 전기신호 출력부는, 상기 심전파형에 포함되는 R파보다 소정시간 지연된 출력 타이밍에 상기 전기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소정시간은, 상기 R파의 주기인 주기 T에 0.075~0.35를 곱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장치.
An electric stimulation apparatus for imparting electric stimulation to a human body,
An electric signal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an electric signal composed of a pulse wave in synchronization with a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detected from the human body;
And an electrode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 signal to at least a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Wherein the electric signal output unit outputs the electric signal at an output timing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an R wave included in the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is a time obtained by multiplying a cycle T, which is the period of the R wave, by 0.075 to 0.35.
KR1020177003393A 2015-10-07 2016-10-03 Heartbeat synchronous blood circulation assis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heartbeat synchronous electrical stimulating device KR1018096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9570 2015-10-07
JP2015199570 2015-10-07
PCT/JP2016/079325 WO2017061386A1 (en) 2015-10-07 2016-10-03 Heartbeat-synchronous type blood circulation support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heartbeat-synchronous typ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563A KR20170052563A (en) 2017-05-12
KR101809635B1 true KR101809635B1 (en) 2017-12-15

Family

ID=5848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393A KR101809635B1 (en) 2015-10-07 2016-10-03 Heartbeat synchronous blood circulation assis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heartbeat synchronous electrical stimulating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50963B1 (en)
KR (1) KR101809635B1 (en)
CN (1) CN108025172B (en)
WO (1) WO201706138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4901A (en) * 2022-07-20 2022-10-11 中山大学附属第八医院(深圳福田) Wearable device for improving lower limb ischemia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8064A1 (en) * 1999-08-20 2007-08-23 Cardiola Ltd. Counter pulsation electrotherapy apparatus for treating a person or a mammal
US20090036938A1 (en) 2007-07-30 2009-02-05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system for external counterpulsation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1417A (en) * 1982-06-07 1985-09-17 Krikorian Paul P Coronary augmenter
CN1026752C (en) * 1988-03-12 1994-11-30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heart function by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DE19651600A1 (en) * 1996-12-11 1998-06-18 Bavaria Patente & Lizenzen Device for stimulating a muscle or muscle groups
US6002965A (en) * 1998-06-10 1999-12-14 Katz; Amiram Self applied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EP1971259B1 (en) * 2006-01-12 2017-02-15 Arrow International, Inc. Adaptive real time ecg triggering and uses thereof
TWI323562B (en) * 2007-01-25 2010-04-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A delay stage selecting circuit and a related method thereof
CN101596103B (en) * 2009-07-06 2010-11-17 江依法 Method for building dynamic model of electrocardio signal RR interval and QT interval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2145204B (en) * 2010-02-10 2013-08-07 深圳先进技术研究院 External counterpulsation device and external counterpulsation signal control method
CN103041502A (en) * 2013-01-17 2013-04-17 上海埃司柯特生物信息技术有限公司 In-vitro reasonable method for judging release of cardiac refractory stim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8064A1 (en) * 1999-08-20 2007-08-23 Cardiola Ltd. Counter pulsation electrotherapy apparatus for treating a person or a mammal
US20090036938A1 (en) 2007-07-30 2009-02-05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system for external counterpulsation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5172A (en) 2018-05-11
CN108025172B (en) 2019-02-22
JP6150963B1 (en) 2017-06-21
KR20170052563A (en) 2017-05-12
WO2017061386A1 (en) 2017-04-13
JPWO2017061386A1 (en)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1417A (en) Coronary augmenter
EP2571545B1 (en) Method and devices proposed for the impact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US118778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external compression of a limb for increased blood flow
US6832982B1 (en) Method of treating a living organism to achieve a heart load reduction,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200900369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rnal counterpulsation therapy
RU2002107014A (en) METHOD FOR TREATING A LIVING ORGANISM FOR REDUCING THE LOAD OF THE HEART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EP1696998B1 (en) Counter pulsation electrotherapy apparatus for treating a person or a mammal
CN103282009A (en) Non-invasive device for synchronizing chest compression and ventilation parameters to residual myocardial activity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P6306463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method, and program
KR101809635B1 (en) Heartbeat synchronous blood circulation assis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heartbeat synchronous electrical stimulating device
TWI632903B (en) Control method of external counterpulsation system
KR20160033179A (en) Compression device compliance tracking
CN115154901A (en) Wearable device for improving lower limb ischemi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124503B2 (en) Blood circulation promotion device
EP1694404B1 (en) Electrotherapy apparatus
JP2018108404A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method, and program
SU1044284A1 (en) Blood flow stimulation method
JP2000135293A (en) Stimulating device
WO2020138455A1 (en) Body assistance program, body assistance system, and mounting object
SU16166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ed blood circulation
JPH0417836A (en) Natural heart synchronizer and medical pump driver using the same
JPH105350A (en) Stimulator
Xu et al. An alternative to enhanced external counterpulsation: A pilot study of ECG-driven sequential muscle st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