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06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065B1
KR101805065B1 KR1020160040849A KR20160040849A KR101805065B1 KR 101805065 B1 KR101805065 B1 KR 101805065B1 KR 1020160040849 A KR1020160040849 A KR 1020160040849A KR 20160040849 A KR20160040849 A KR 20160040849A KR 101805065 B1 KR101805065 B1 KR 10180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s
content
user
media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4318A (en
Inventor
오클리 이안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4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065B1/en
Publication of KR2017011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3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first images reproduced through one or more media devices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 gaze tracking unit that tracks a gaze of a user, An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s a second image, a first image at a point facing the gaz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an imag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to the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a controller for selecting a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Description

시선 추적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 [0002]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 추적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 및 그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해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images using a user's gaze tracking and performing control on a selected image and related contents.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미디어 기기가 범람하게 되었다. 이러한 미디어 기기는 사용자가 오감을 통해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로는 시각으로 인식 가능한 영상, 청각으로 인식 가능한 소리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기술이 더욱 발달함에 따라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미디어 기기를 소지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미디어 기기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일이 발생할 수 있게 되었다. 혹은, 화면 분할과 같은 기능을 통해 하나의 미디어 기기에서 두 개 이상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되는 일 역시 가능하게 되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media devices are flooded. Such a media device can provide various kinds of contents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rough the five senses to the user, and such contents can represent a visual image that can be recognized visually, a sound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auditory,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has been generalized that a single user has a plurality of media devices,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a plurality of media device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reproduce two or more images from one media device through functions such as screen division.

한편, 영상이 재생될 때에는 대개 다른 종류의 컨텐츠, 대표적인 예로서 소리가 해당 영상과 동기화되어 함께 재생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경우, 복수의 영상 각각에 동기화된 복수의 소리 역시 함께 재생된다. 이 때, 사용자는 사람의 인식 능력의 한계로 인해 하나의 영상 및 그에 동기화된 소리에만 집중하고자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상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특정한 하나의 영상에 시선을 고정함으로써 집중이 가능하나, 소리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하나의 소리에 집중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집중하고 있는 영상에 동기화된 소리 외의 다른 소리는 재생을 중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video is played back, generally different types of content, for example, sound is synchronized with the corresponding video and played back together.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images are simultaneously reproduced, a plurality of sounds synchroniz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s are also reproduced together. At this time, the user generally tries to focus on only one image and the sound synchronized with the image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recognition ability of the person. In the case of the image, the user can concentrate by fixing the gaze to a specific image, but in the case of the sou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electively concentrate on one s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op the reproduction of sounds other than the sound synchronized with the image the user is concentrating on.

하지만, 사용자가 짧은 시간 간격으로 집중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바꾸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소리를 일일이 켜고 끄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사용자가 자신이 보고 있는 영상 혹은 해당 영상과 관계된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제어를 수행하고자 한다면, 복수의 영상 중 자신이 보고 있는 영상을 선택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 역시 사용자의 번거로움 혹은 실수를 유발할 수 있다.However, it is very troublesome to turn on / off the sound by the user's manipul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changes the image to be focused at a short time interval. Furthermore, if the user wishes to control the image he or she views or the content related to the imag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image that the user views, among the plurality of images, ≪ / RTI >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47909 (2008.05.30.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47909 (disclosed on May 30, 2008)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영상이 동시에 재생됨에 있어서 사용자의 집중이 되는 영상을 사용자의 의식적인 행위 없이 알아내어, 해당 영상에 관련된 컨텐츠만이 재생되게 하거나 해당 영상 및 관련 컨텐츠만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out a video that is a focus of a user without a conscious act of the user when a plurality of videos are simultaneously played back, To be able to do so.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plurality of first images reproduced through one or more media devices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 gaze tracking unit that tracks a gaze of a user, An image acquiring unit for acquiring, as a second image, a first image at a point facing the gaz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an imag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to the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a controller for selecting a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컨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content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nd the content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received contents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을 재생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reproduce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또한, 상기 컨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혹은 상기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하여 기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입력을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 혹은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해서만 상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rom the user to perform predetermined operations on the first image or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ly on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or the selected first image.

또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 내의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image acquiring unit may acquire the second image by photographing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luding a point toward which the line of sight is directed,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또한, 상기 컨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될 수 있는 착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선 추적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착용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earable portion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face portion, and the visual line tracing portion and the image obtaining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earabl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using eye tra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plurality of first images reproduced through one or more media devices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quiring, as a second image, a first image at a point facing the line of sight among a plurality of first images; selecting an imag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to the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select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irst image of the selected first image.

또한, 상기 컨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content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nd outputting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received contents have.

또한, 상기 컨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을 재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to reproduce only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또한, 상기 컨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혹은 상기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하여 기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 혹은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해서만 상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receiving, from the user, an input capable of performing predetermined operations on contents related to the first image or the first image; and controlling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only on the selected first image or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또한, 상기 제 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 내의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quiring of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acquiring the second image by photographing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luding a point toward which the sight line is dir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또한, 상기 컨텐츠 제어 방법은, 상기 각 단계의 순차적 수행이 기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수행될 수 있다.Also, the content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such that the sequential execution of each step is repeatedly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추적된 시선 방향의 영상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고 있는 복수의 영상과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응시하는 영상을 자동으로 알아내어, 해당 영상 혹은 그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응시하는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을 사용자의 별개의 선택 행위 없이도 선택적으로 재생하거나 제어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으므로, 영상 선택과 관련된 사용자의 번거로움 및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gaze is tracked, the captured image is captured in the tracked direction, and the captured image is compared with a plurality of images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media device. And can control the corresponding image or the related contents. Accordingly,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image to be watched by the user can be selectively reproduced or subjected to the control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selection act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er's troubles and mistakes associated with the image selection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of a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conceptual view of a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content reproduction system 10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IG.

컨텐츠 재생 시스템(10)은 복수의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과 관련된 컨텐츠(대표적인 예로, 소리)를 컨텐츠 재생 시스템(10)의 사용자(20)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컨텐츠 제어 장치(100) 및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reproduction system 10 is a system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images and content (representative example, sound) rel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s to the user 20 of the content reproduction system 10, And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컨텐츠 제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어 장치(100)는 그 형상에 구애받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20)의 편의 및 후술할 시선 추적 기능의 효과적 구현 등을 위해 몸체부(101) 외에도 사용자(20)의 안면에 착용되는 착용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body part 101 but may be provided on the user 20 in addition to the body part 101 for convenience of the user 20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 line- And a wearing part 102 to be worn.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는 복수의 영상 및 상기 복수의 영상 각각과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영상을 이하에서는 제 1 영상으로 칭하도록 한다. 따라서 미디어 기기(200)는 기본적으로 제 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210) 및 제 1 영상 각각과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예컨대 스피커(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기기(200)의 화상 표시부(210)를 통해 제 1 영상이 재생될 경우, 각각의 제 1 영상과 매칭된 컨텐츠(대표적으로 소리) 역시 제 1 영상과 동기화되어 미디어 기기(20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미디어 기기(200) 각각은 제 1 영상 중 하나의 영상 및 그과 관련된 컨텐츠만을 재생할 수도 있지만, 화면 분할 기능 등을 통해 둘 이상의 영상 및 그들과 관련된 컨텐츠들을 한꺼번에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미디어 기기(200)는 컨텐츠 제어 장치(1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의 구체적인 유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미디어 기기(200)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스마트폰, 혹은 모니터와 스피커를 함께 갖춘 컴퓨터 시스템 등,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과는 다른 유형의 컨텐츠 출력 장치(예컨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may be a device for reproducing a plurality of images and contents rel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s, and the plurality of images a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image. Therefore, the media device 200 basically includes an image display unit 210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 device (e.g., a speaker) for playing back content related to each of the first images. When the first image is reproduced through the image display unit 210 of the media device 200, the content (typically sound) matched with each first image is also synchronized with the first image and reproduced through the media device 200 . Each of the media devices 200 may reproduce only one image of the first image and related contents, but may also reproduce two or more images and related contents at a time through a screen division function or the like. The media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exchanging data with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specific types of suc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Such a media device 200 may be, for example, a television, a smart phone, or a computer system having a monitor and a speaker together, a content output device (e.g., a device such as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컨텐츠 제어 장치(100)는 그 외면적 구성으로서 몸체부(101) 및 착용부(102) 외에도 기능적 구성으로서 통신부(110), 시선 추적부(120), 영상 획득부(130), 제어부(140), 입력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gaze tracking unit 120, an image acquisition unit 130,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140, an input unit 150, and an output unit 160.

통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로부터 미디어 기기(200)에서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각각과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기초하여, 미디어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유선 혹은 무선 통신 모듈 등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컨텐츠 제어 장치(100)는 미디어 기기(200)와 통신부(110)를 경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하여, 미디어 기기(200)와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식의 구체적인 구현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plurality of first images reproduced from the media device 200 from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and may receive content associat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also transmi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edia device 20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hardware interface such a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outside.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media device 2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exchange data with the media device 20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 detailed implementation of such a communication method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시선 추적부(120)는 사용자(20)가 바라보는 방향, 즉 사용자(20)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선 추적부(120)의 기능을 위한 시선 추적 방식으로는 비디오(video) 분석 방식, 콘택트렌즈 방식, 센서부착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시선 추적 기술의 구체적 구현 방식 역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gaze tracking unit 120 can track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20 looks, i.e., the gaze of the user 20. [ As the line-of-sight tracking method for the function of the line-of-sight-tracking unit 120, a video analysis method, a contact lens method, a sensor attaching method, or the like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pecific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eye tracking technology is also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영상 획득부(130)는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사용자(20)의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획득부(130)는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사용자(20)의 시선이 향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 내의 영역을 촬영하여 제 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획득부(130)는 일반적인 카메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선 추적부(120)로부터 사용자(20)의 시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시선 방향으로 촬영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ring unit 130 may acquire, as a second image, a first image at a point where a line of sight of the user 20 is directed among a plurality of first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0 may acquire a second image by photographing an area within a certain range including a point where the user 20's gaze is directed, out of a plurality of first images. The image acquir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camera. The image acquiring unit 130 may include a componen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user's eyesight from the eye-tracking unit 120 and setting a shooting direction in the eye direction .

시선 추적부(120) 및 영상 획득부(130)는 컨텐츠 제어 장치(100)의 타 구성 요소들과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도 1과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안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눈 근처에 일반적인 안경과 같이 착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착용부(102)와 일체가 되어, 컨텐츠 제어 장치(100)의 타 구성 요소들과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제어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시선 추적부(120) 및 영상 획득부(130)를 제외한 구성 요소들은 몸체부(101)에 구현되어 착용부(102)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착용부(102)는 시선 추적부(120) 및 영상 획득부(130)가 몸체부(101)의 구성 요소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별도의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몸체부(101) 쪽에서는 통신부(110)가 통신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gaze tracking unit 120 and the image obtaining unit 130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However, as shown in FIG. 1, for convenience of the user, May be integrated with the wearer 102,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worn as general glasses, near the eyes, and may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other components of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 In this case, the components other than the eye-tracking unit 120 and the image-acquisition unit 130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are implemented in the body 101 and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wearer 102 The wearer 102 includes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so that the eye tracking unit 120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0 can exchange data with the components of the body 101 can do.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take charge of a communication function on the body 101 side.

제어부(140)는 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제 1 영상 각각에 대하여, 영상 획득부(130)가 취득한 제 2 영상과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유사도 계산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40)는 복수의 제 1 영상 중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선택된 제 1 영상은 사용자가 실제로 집중하여 바라보고 있는 영상이라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각각의 제 1 영상과 동기화되어 미디어 기기(20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로, 대표적으로 영상과 함께 재생되는 소리 등이 될 수 있음은 앞서 말한 바와 같다.The control unit 140 can calculat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image received from the media device 200 and the second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0. [ Such similarity calculation can be implemented by a generally known image processing algorithm,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Then, the control unit 140 can select an imag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to the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That is, the first image sel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can be judged to be an image that the user actually looks at.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40 can select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Such a content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media device 200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first image, and can be typically a sound reproduced together with an image.

제 1 영상 및 그와 관련된 컨텐츠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나면, 제어부(140)는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이 재생되도록, 통신부(110)를 통해 미디어 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이 재생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합성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미디어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미디어 기기(200)는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을 재생하고, 나머지 제 1 영상 각각과 관련된 컨텐츠는 재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컨텐츠가 제 1 영상 각각에 동기화된 소리라고 한다면, 사용자는 자신이 보고 있는 선택된 제 1 영상에 동기화된 소리, 즉 자신이 원하는 소리만을 들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image and the related contents are selected,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media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o that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selected from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irst image is reproduced. Can be controlle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synthesize a signal for reproducing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nd transmit the combined signal to the media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Then, the media device 200 can reproduce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nd not reproduce the content related to each of the remaining first images. If the content is a sound synchronized with each of the first images, the user can only hear the sound that is synchronized with the selected first image he / she is viewing, i.e., a sound desired by the user.

이와 달리, 컨텐츠 제어 장치(100)는 미디어 기기(200) 대신 스스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직접 재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미디어 기기(200)는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의 재생 기능 비활성화된 상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어 장치(100)로 제 1 영상 각각과 관련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40)에 의해 제 1 영상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나면, 제어부(140)는 전송받은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이 출력부(16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may directly reproduce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by itself in place of the media device 200. In this case, the media device 200 may be set in a state in which the reproduction function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is inactivated, and may transmit the content related to each of the first images to the content control device 100.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can receive the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 When the control unit 140 of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selects the first imag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received contents is output to the output unit 160). ≪ / RTI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제어 장치(100)는 미디어 기기(2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입력부(150)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may perform control to allow the media device 200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his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an input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ler 140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microprocessor.

입력부(150)는 사용자(20)로부터, 제 1 영상 혹은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하여 기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20)는 입력부(150)를 통해 제 1 영상에 대한 화면 확대 혹은 제 1 영상에 동기화된 소리의 볼륨 증가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이 있을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미디어 기기(200)를 제어하여, 제어부(140)에 의해 선택된 제 1 영상 혹은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해서만 상기 기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입력부(150)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20)가 실제로 집중하여 응시하고 있는 제 1 영상에 대한 화면 확대 혹은 제 1 영상에 동기화된 소리의 볼륨 증가 등이 수행되도록 하는 한편, 그 외의 제 1 영상 및 그에 동기화된 소리에는 위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입력부(150)는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키 패드(key pad) 혹은 터치 패드(touch pa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컨텐츠 제어 장치(100)의 몸체부(101)와 독립된, 사용자(20)가 휴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부(150)는 몸체부(101)에 구현된 구성 요소들과 통신부(11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50 may receive, from the user 20, an input capable of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on the first image or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For example, the user 20 may input a command for enlarging a screen of the first image or increasing a volume of the sound synchronized with the first image through the input unit 150. [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media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so that only the first video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140 or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video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isplay unit 140 to display a screen on the first image that the user 20 is actually focused on, or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ound synchronized with the first image, based on the input of the input unit 150 Wh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rom being performed on other first images and sounds synchronized therewith.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touch screen, a key pad, or a touch pad. The input unit 150 may be implemented on a separate device that can be carried by the user 20 independent of the body 101 of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 In this case,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ponents implemented in the body 101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출력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기초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중 제어부(140)에 의해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60)의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20)가 실제로 집중하고 응시하는 영상에 관련된 컨텐츠, 이를테면 해당 영상과 동기화된 소리만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혹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스피커 등의 음향 출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60 may output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140 among the content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 With this operation of the output unit 160, it is possible to reproduce only contents related to the image in which the user 20 actually concentrates and gazes, such as a sound synchronized with the image. The output unit 16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r an audio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컨텐츠 제어 장치(100)를 통해 수행되는 컨텐츠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아래의 각 단계는 반드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teps of the content control method performed through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 1 and FIG. 2 may be omitted. Furth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ollowing steps are not necessarily performed in order, and that the order may be changed as necessary.

우선 통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로부터, 상기 미디어 기기(200)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110). 또한, 시선 추적부(120)가 컨텐츠 재생 시스템(10)의 사용자(20)의 시선을 추적하면(S120), 영상 획득부(130)는 사용자(20)의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S130). 실시예에 따라, 영상 획득부(130)는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사용자(20) 시선이 향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 내의 영역을 촬영하여 제 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plurality of first images reproduced through the media device 200 from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S110). When the gaze tracking unit 120 tracks the gaze of the user 20 of the content reproduction system 10 at step S120, the image obtaining unit 130 obtains the first image at the point of the user's gaze As a second image (S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acquisition unit 130 may acquire a second image by photographing an area within a certain range including a point where the user 20's line of sight is dir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first images.

다음으로는, 제어부(140)가 제 1 영상 각각에 대해 제 2 영상과의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S140), 이로써 제어부(140)는 제 1 영상 중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S150). 이와 같이 제 1 영상 중 가장 유사도가 높은 영상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제어 장치(100)의 타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선택된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S160).Next, the control unit 140 can calculat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140). Thus,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S150). If an image having the highest similarity is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images,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other components of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so that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image is reproduced (S160).

상기 S160의 단계는 다양한 양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로, 제어부(140)가 제 1 영상 각각과 관련된 컨텐츠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중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다른 예로, 제어부(140)가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를 제어하여,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이 미디어 기기(200)를 통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의 재생 주체가 컨텐츠 제어 장치(100)가 될 수도 있지만,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가 될 수도 있는 것이며, 이 때 다른 컨텐츠는 재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160의 단계가 다양한 양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제어부(140)가 S150의 단계를 통해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The steps of S16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manner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content related to each of the first imag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outputs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through the output unit 160 .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so that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selected from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is played through the media device 200 . That is, the subject of reproduction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may be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but may be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and other contents may not be reproduced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step S160 to be performed in various manners, the controller 140 needs to select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selected through the step S150.

상기와 같은 각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20)가 응시하는 영상을 자동으로 알아내어, 해당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을 선택적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가 복수의 제 1 영상 및 제 1 영상 각각에 동기화된 소리를 재생한다고 할 때, 사용자(20)는 자신이 집중하여 보고 있는 제 1 영상과 동기화된 소리 외의 다른 소리를 끄고 싶어할 수 있다. 이 때, 일일이 수동으로 소리의 끄고 켬을 조작해야 한다면 매우 번거롭고 실수가 발생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20)의 수동 조작 없이 컨텐츠 제어 장치(1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소리의 끄고 켬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20)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수동 조작에서와 같은 사용자(20)의 실수 역시 방지할 수 있다.By performing each of the step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find out an image taken by the user 20, and to selectively reproduce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image. For example, when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reproduce a sound synchronized with each of a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a plurality of first images, the user 20 may select a sound other than a sound synchronized with the first image You may want to turn off the sound. In this case, it is very troublesome and a mistake may arise if manually turning the sound off and on manually. However, according to the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100 Thus, the convenience of the user 20 can be improved, and a mistake of the user 20, such as in a manual operation, can be prevented.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의 수행 중에, 사용자(20)로부터 제 1 영상 혹은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하여 기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입력이 입력부(150)를 통해 수신된다면(S170), 제어부(140)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200)를 제어하여, 선택된 제 1 영상 혹은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해서만 상기 기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S180).If the input unit 150 receives an input from the user 20 that allows the user to perform predetermined operations on the first image or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steps described above (S170)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one or more media devices 200 to perform the predetermined operation only on the selected first image or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in operation S180.

S170 및 S180의 단계까지 수행함으로써, 사용자(20)가 응시하는 영상을 자동으로 알아내어, 해당 영상 혹은 그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사용자(20)는 미디어 기기(200)가 재생하는 제 1 영상 중 자신이 집중하여 보고 있는 영상만을 보다 확대시켜 보고 싶어할 수도 있으며, 해당 영상과 동기화된 소리의 볼륨을 키우고 싶을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20)는 자신이 보고 있는 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화면 확대 혹은 볼륨 증가만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20)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수동 선택에서와 같은 사용자(20)의 실수 역시 방지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steps up to S170 and S18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obtain an image to be viewed by the user 20 and to control the image or related contents. For example, the user 20 may desire to enlarge only the image of the first image reproduced by the media device 200, which he / she is concentrating on, or may want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ound synchronized with the image.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content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20 can perform the screen enlargement or volume increase only by omitting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image he / she is viewing,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a mistake of the user 20 such as in manual selection.

한편, 상기 S110 내지 S180의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은, 기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20)는 이러한 반복적 수행이 이루어지는 동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어 방법의 이점을 충분히 누릴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 of sequentially performing the steps S110 to S18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ly, the user 20 can fully enjoy the advantages of the cont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repetitive execution.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step of the flowchart and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instructions, which may b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are create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to produce a manufacturing item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r flowchart of the block diagram.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instructions that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th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at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lso,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컨텐츠 재생 시스템
20: 사용자
100: 컨텐츠 제어 장치
101: 몸체부
102: 착용부
110: 통신부
120: 시선 추적부
130: 영상 획득부
140: 제어부
150: 입력부
160: 출력부
200: 미디어 기기
210: 화상 표시부
10: Content playback system
20: User
100: Content control device
101:
102:
110:
120: eye tracking unit
130:
140:
150:
160: Output section
200: Media device
210:

Claims (14)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부;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및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first images reproduced through one or more media devices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 gaze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user's gaze;
An image acquiring unit that acquires, as a second image, a first image at a point facing the gaze, out of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And a controller for selecting an imag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to the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selecting a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Content control device using eye track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컨텐츠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content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The content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received contents
Content control device using eye track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을 재생시키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reproduce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Content control device using eye track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혹은 상기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하여 기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입력을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 혹은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해서만 상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미디어 기기로 전송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from the user that enables predetermined operations to be performed on contents related to the first image or the first image,
The control unit synthesizes a signal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nly on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video or the selected first video based on the input and transmits the synthesized signal to the media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ontent control device using eye track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 내의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획득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acquiring unit acquires the second image by photographing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luding a point toward which the line of sight is dir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Content control device using eye track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에 착용될 수 있는 착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선 추적부 및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 착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earable portion that can be worn on the face of the user,
Wherein the visual line tracing unit and the image obtaining unit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wearer
Content control device using eye tracking.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Receiving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 plurality of first images to be played through one or more media devices;
Tracking a user's gaze;
Acquiring, as a second image, a first image at a point facing the line of sight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Selecting an imag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Selecting a content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first image from among content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Eye Track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Receiving content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nd
And outputt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received contents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Eye Track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만을 재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Controlling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to reproduce only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Eye Track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영상 혹은 상기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하여 기 정해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 혹은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해서만 상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미디어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Receiving, from the user, an input capable of caus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the first image or the content related to the first image; And
And synthesizing a signal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nly on the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or the selected first image based on the input, and transmitting the synthesized signal to the media device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Eye Track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을 포함하는 일정 범위 내의 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제 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cquiring of the second image includes capturing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cluding a point toward which the visual line is dir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to acquire the second image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Eye Track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의 순차적 수행이 기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선 추적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quential execution of each of the steps is repeatedly perform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Content Control Method Using Eye Tracking.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Receiving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 plurality of first images to be played through one or more media devices;
Tracking a user's gaze;
Acquiring, as a second image, a first image at a point facing the line of sight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Selecting an imag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Selecting a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를 통해 재생되는 복수의 제 1 영상을 상기 하나 이상의 미디어 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시선이 향하는 지점의 제 1 영상을 제 2 영상으로서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 중에서 상기 제 2 영상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영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중 상기 선택된 제 1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Receiving from the one or more media devices a plurality of first images to be played through one or more media devices;
Tracking a user's gaze;
Acquiring, as a second image, a first image at a point facing the line of sight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Selecting an image having the highest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second image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And
Selecting a content related to the selected first image among contents rela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images;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160040849A 2016-04-04 2016-04-04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 KR101805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49A KR101805065B1 (en) 2016-04-04 2016-04-04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49A KR101805065B1 (en) 2016-04-04 2016-04-04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18A KR20170114318A (en) 2017-10-16
KR101805065B1 true KR101805065B1 (en) 2017-12-06

Family

ID=6029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849A KR101805065B1 (en) 2016-04-04 2016-04-04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06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1106A (en) * 2018-02-16 2019-08-21 Sony Corp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and methods
KR102458962B1 (en) 2018-10-02 2022-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signal for applying audio zooming effect in virtual rea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048A (en) 2011-01-25 2011-07-28 Sony Corp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6048A (en) 2011-01-25 2011-07-28 Sony Corp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18A (en)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5029B2 (en) Head mount display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992794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10142618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KR102349716B1 (en) Method for sharing image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US20170272784A1 (en) Live video broadcasting method and device
US9886086B2 (en) Gesture-based reorientation and navigation of a virtual reality (VR) interface
CN104076512A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12099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10157329A1 (en) Method for switching to display three-dimensional images and digital display system
KR2017006705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700676A (en) Wearable glasses, control method thereof,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2014115457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recording medium
KR20160000741A (en) Glass 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630477A (en) Apparatu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5172851A (en) Image display apparatus
GB2495159A (en) A head-mounted somatosensory control and display system based on a user's body action
JP201722003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16115965A (en) Medical spectacle type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8006914A (en) External imaging system, external imaging method, external imaging program
US10514755B2 (en) Glasses-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08621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6090773A (en) Head-mounted display and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KR1018050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contents using eye tracking
JP2020149140A (en) Work support system, work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2016014906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