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731B1 - 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731B1
KR101801731B1 KR1020160060717A KR20160060717A KR101801731B1 KR 101801731 B1 KR101801731 B1 KR 101801731B1 KR 1020160060717 A KR1020160060717 A KR 1020160060717A KR 20160060717 A KR20160060717 A KR 20160060717A KR 101801731 B1 KR101801731 B1 KR 101801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ouch sensor
input
touch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익호
송홍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to KR102016006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5/44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04N2005/4405
    • H04N2005/44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having keys which is added to the remote controller for a set-top box and is operated by both hands to be used for various external devices, and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of easily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by using limited number keys. Therefore, characters are inputted by dragging by using the keys which are not visible.

Description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 < RTI ID = 0.0 >

본 발명은 양손으로 조작하는 키를 TV 또는 셋탑박스용 리모콘에 추가하여 다양한 종류의 외부기기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한된 숫자키로도 다양한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capable of easily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with a limited number of keys as well as being usable for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by adding a key operated by both hands to a remote controller for a TV or a set- will be.

리모콘은 TV 및 셋탑박스는 물론이고 게임콘솔, 오디오장치, 비디오장치, 조명장치 등의 다른 종류의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데도 사용된다.The remote control is used to control other kinds of external devices such as game consoles, audio devices, video devices, lighting devices as well as TVs and set-top boxes.

근래에 개발된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은 이러한 다양한 외부기기를 하나의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developed in recent years has made it possible to control these various external devices with a single remote controller.

일례로, 등록특허 제10-1611200호는 적외선 신호로 제어하는 외부기기용 리모콘 기능과 블루투스 신호로 제어하는 외부기기용 리모콘 기능을 하나의 리모콘으로 구현함은 물론이고, 양손으로 조작하는 키를 구비하여서, 게임콘솔용 리모콘으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611200 discloses a remote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an infrared signal and a remote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using a Bluetooth signal, as well as a single remote control, It can also be used as a remote control for game consoles.

그렇지만, 등록특허 제10-1611200호에 따른 리모콘은 서로 다른 외부기기의 리모콘에 필요한 키를 단순히 하나의 리모콘에 모아 놓은 것에 불과하여, 키의 개수가 많고, 더욱이, 최근 제어 입력의 다변화 추세에 맞추려면 더욱 많은 키를 추가해야 하며, 이에, 사용하기도 복잡하고 불편하며 혼란스러워 사용법을 익히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611200 merely collects the keys necessary for the remote controllers of different external devices in a single remote controller, and thus the number of keys is large, and furthermore, To do this, you need to add more keys, and it's also complicated, inconvenient, and confusing to use.

특히, 근래에 인터넷 TV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숫자 이외의 문자를 입력하며 사용하는 빈도도 늘어나고 있다. Especially, as the spread of Internet TV becomes active in recent years, the frequency of inputting and using characters other than numbers is also increasing.

그렇지만, 기존 리모콘에 구현한 문자 입력 기능은 자모(또는 알파벳)의 개수에 비해 매우 적은 숫자키를 이용하고 있어 하나의 자모를 입력하는 데 필요한 키 조작 회수가 많았고, 이러한 키 조작 회수를 줄이기 위해서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고가이면서 전력소모가 많아 리모콘에 적용하기엔 실용적이지 못하였다.However, since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implemented in the existing remote controller uses a very small number of keys compared to the number of characters (or alphabets), the number of key operations required to input one character is large, and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 operations, In some cases, a screen is used, but it is expensive and power consumption is not practical for a remote controller.

KR 10-1611200 B1 2016.04.05.KR 10-1611200 B1 2016.04.05.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꼭 필요한 제한된 키를 사용하면서 제어 입력을 다변화할 수 있고, 소형, 복잡도 감소, 사용 편리성, 및 적용 대상 외부기기의 다양화를 실현한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 input device capable of diversifying a control input while using a necessary limited key and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that realizes a small size, a reduced complexity, an ease of use, Thereby providing a remote controll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에 있어서, 좌우 폭에 비해 전후로 길게 형성한 케이스(100); 방향키(310), 숫자키(320), 문자 유형 선택키(330), 및 버튼형 기능키(340)를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상면에 배치한 기본 입력부(300); 양손으로 조작하도록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대칭을 이루는 양손용 입력부(400); 기본 입력부(300) 및 양손용 입력부(40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모드 선택키(200); 기본 입력부(300)의 입력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 및 양손용 입력부(400)의 입력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개별적으로 송출하기 위해 마련된 복수의 무선신호 송출부(520); 동작모드 선택키(200)에 의해 활성화된 입력부의 입력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5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comprising: a case 100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A basic input unit 300 in which a direction key 310, a numeric key 320, a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and a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case 100; A two-handed input section 400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00 so as to be operated by both hands and symmetrical; An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for selectively activating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A plurality of radio signal transmitting units 520 provided separately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a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And a microcontroller (510) for controlling to transmit a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activated by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상기 숫자키(320)는 4행 3열로 배열한 주 터치센서(322a)와, 각각 4개로 이루어진 1열을 주 터치센서(322a)의 좌우에 추가 배열하고 각각 3개로 이루어진 1행을 주 터치센서(322a)의 상하에 추가 배열한 사이드 터치센서(322b)를 포함한 정전용량 터치센서(322)가 실장되어 있으며, 케이스(100)의 내면에 밀착되게 고정한 터치패드(321); 주 터치센서(321a)의 위치에 맞게 케이스(100)의 상면에 4행 3열로 표시한 숫자 표시부(323);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number key 320 includes a main touch sensor 322a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and a row of four column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 touch pad 321 having a capacitive touch sensor 322 including a side touch sensor 322b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touch pad 322a and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0; A numeral display part 323 displayed in three rows and four colum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touch sensor 321a; And a control unit.

터치패드(321)를 덮는 케이스(100)의 상면 중에 정전용량 터치센서(322)의 위치를 덮는 면의 두께는 정전식으로 감응할 수 있는 두께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covering the position of the capacitive touch sensor 322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covering the touch pad 321 is set to a thickness capable of being electrostatically sensitive.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주 터치센서(322a)의 단독 터치 및 주 터치센서(322a)의 터치에 이어 인접하는 주 터치센서(322a) 또는 사이드 터치센서(322b)의 터치를 구분하여 한글의 자모 또는 알파벳을 할당함으로써, 문자 유형 선택기(330)에 의해 선택된 유형의 문자에 대해 숫자키의 개수보다 많은 자모 또는 알파벳을 입력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controller 510 divides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or the side touch sensor 322b adjacent to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nd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Or by assigning an alphabet to the character type selector 330, the character type selector 330 processes the alphabet or alphabet more than the number of the number keys.

케이스(100)의 상면은 폭방향의 단면이 상부로 만곡된 형상이되, 상기 터치패드(321)를 덮는 면은 폭방향 양측의 테두리를 경계로 하는 평평한 면으로 하며 일정한 두께를 갖고, 내부면에 상기 터치패드(321)를 밀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has a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curved upward and a surface covering the touch pad 321 is a flat surface having edge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s a boundary and has a constant thickness, And the touch pad 3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pad 321.

상기 터치패드(321)의 정전용량 터치센서(322)는 6행 5열로 하여 중심부의 4행 3열을 문자 표시부(324)에 대응되는 주 터치센서(322a)로 하고 나머지는 터치위치 표시부(323)가 없는 사이드 터치센서(322b)로 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주 터치센서(322a)의 터치에 이어 대각선 상으로 인접하는 주 터치센서(322a) 또는 사이드 터치센서(322b)의 터치에 대해 자모 또는 알파벳을 할당하여 입력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capacitive touch sensor 322 of the touch pad 321 is divided into 6 rows and 5 columns and the 4 rows and 3 columns of the central portion are used as the main touch sensor 322a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isplay portion 324 and the remaining portions are the touch position display portion 323 The microcontroller 510 controls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or the side touch sensor 322b adjacent to the diagonal line following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The alphabets or alphabets are assigned to the input character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TV 또는 셋탑박스의 리모콘에 구비되어야 할 기본 입력부(300)와 양손으로 제어할 외부 기기를 위한 양손용 입력부(400)를 모두 갖추되, 가시적으로 보이지 아니하는 숨겨진 키를 숫자키(320)의 외곽에 배치하여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을 허용하므로, 제한된 개수의 숫자키(320)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한글 자모 또는 알파벳을 더욱 쉽고 바르게 입력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has a basic input unit 300 to be provided in a remote controller of a TV or a set-top box, and a both-handed input unit 400 for an external device to be controlled by both hands, and a hidden key Can be input in a drag manner by arranging the numeric keys 320 on the outskirts of the numeric keys 320. Thus, it is possible to input Korean alphabet or alphabet relatively more easily and correctly than the limited number of numeric keys 320. [

또한, 본 발명은 드래그 방식의 입력 시에, 숫자키의 위치를 시작점으로 하고, 숨겨진 키의 위치는 드래그 방식에 의해서만 입력을 허용하게 하여, 숫자 입력을 숫자키 사용에 혼란을 주지 아니하면서, 문자 입력을 다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input of the hidden key position only by the dragging method, with the position of the numeric key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input of the hidden key at the input of the drag method, Input can be divers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의 상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상부 커버(120), 핸들(411,311) 및 외부연결단자 캡(540a)을 분리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터치패드(321)를 상부 커버(120)에 장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상부 커버(120)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터치패드(321)를 내면에 밀착하며 장착한 상부 커버(120)의 상면도(a) 및 상면 투시도(b).
도 6은 숫자키(320)가 형성된 부위를 폭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전기회로적 블록구성도.
1 is a top view, a left side view, a right side view,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ver 120, the handles 411 and 311,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cap 540a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tate of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ver 12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uch pad 321 is mounted on the upper cover 120. FIG.
5 is a top view (a) and a top perspective view (b) of the upper cover 120 in which the touch pad 321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number key 320 is formed in a width direc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8 is an electric circuit block diagra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은 외부기기인 TV 또는 셋탑박스를 제어하는 데 통상적으로 구비하여야 할 기본 입력부(300)에 더하여 게임콘솔처럼 양손 조작이 필요한 외부기기의 제어를 위한 양손용 입력부(400)를 추가로 구비함에 있어서, 양손용 입력부(400)를 활성화하여 조작할 시에 손가락의 활동 범위 내에 있는 기본 입력부(300)의 일부 키를 활성화하여 입력을 허용하면서, 그 키를 손쉽게 조작하도록 기본 입력부(300)의 키를 배치하였다. The remote controller having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external device that requires both hands such as a game console in addition to the basic input unit 300 that should be ordinarily provided for controlling a TV or a set- Hand input unit 400 for activating and operating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while permitting the input of a part of the keys of the basic input unit 300 within the range of the finger's operation, The keys of the basic input unit 300 are arranged so as to easily operate the keys.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은 TV, 셋탑박스 및 게임콘솔 이외에도 오디오장치, 조명장치, 냉방기, 난방기 등의 외부기기와 페이링이 되도록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Here, the remote controller having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t to be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audio device, a lighting device, a radiator, a radiator, etc. in addition to a TV, a set-top box, and a game console.

또한, 본 발명은 기본 입력부(300)로 배치할 숫자키(320)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되, 표시되지 아니한 가상의 키를 추가한 터치 영역을 확보하여, 한글의 자모음, 영어 알파벳, 일본어 가나 또는 기호 문자를 1회의 터치 또는 1회의 드래그(drag) 방식으로 입력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to visually display the numeric keys 320 to be arranged in the basic input unit 300, to secure a touch area to which a virtual key not displayed is added, And the symbol character is input by touch or dragging once.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외부기기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키를 사용하면서 양손용 입력부(400)를 사용할 시의 입력을 다양화하여 제어 입력을 다변화할 수 있고, 문자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in various external devices but also in diversifying the input when using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while using a limited key, diversifying the control input, hav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에는 상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부 커버(120)와, 조그셔틀(410) 및 방향키(310)의 핸들(411, 311)과, 외부연결단자(540)의 캡(540a)을 분리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터치패드(321)를 상부 커버(120)에 장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상부 커버(120)의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터치 패드를 장착한 상부 커버(120)의 상면도(a)와 상면 투시도(b)가 도시되어 있어 상부 커버(120)의 표면에 표시한 숫자 표시부(323) 및 문자 표시부(324)의 위치와 정전용량 터치센서(322)의 위치를 함께 보여주고 있고, 도 6에는 숫자키(320)가 형성된 부위를 폭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to 7 show a structure of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top view, a left side view, a right side view,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cover 120 and the handle 411 and 311 of the jog shuttle 410 and the direction key 310 and the cap 540a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540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ver 12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uch pad 321 is mounted on the upper cover 120 and FIG. A top view 120 and top view 120 of the top cover 120 are shown and the positions of the numeric display 323 and character display 324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top cover 120, 6 shows a position where the number key 32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Sectional view is shown in Fig. 7,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의 전기회로적 블록구성도로서, 기본 입력 신호처리부(511)를 가동할 시에 활성화되어 입력되는 신호 라인을 실선으로 표시하고 양손 입력 신호처리부(512)를 가동할 시에 활성화되어 입력되는 신호 라인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8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al circuit of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line activated and input when the basic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1 is operated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Signal lines activated and input when the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2 is operated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에 의하면, 케이스(100)는 상부가 열려 있고 저면에 구비된 배터리 커버(111)를 통해 배터리(600)를 넣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몸체(110)와, 메인보드(500)를 몸체(110)의 열린 상부에 걸쳐지게 장착한 후 메인보드(500)를 덮으며 몸체(110)에 고정하는 커버(120)로 구성된다. The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that is opened at an upper portion and is capable of loading or replacing the battery 600 through a battery cover 111 provided at the bottom, And a cover 120 covering the main board 500 and fixing the main board 500 to the main body 110 after the motherboard 500 is mounted on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또한,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의 외형을 살펴보면, 좌우 폭에 비해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에서 길이방향 중간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되어 있으며, 저면은 중간부로 갈수록 상면과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되어 있어서, 잘록한 중간부를 한손으로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고, 중간부에 비해 두툼한 길이방향 양단을 양손으로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remote controller having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and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midd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nstricted middle portion can be stably held with one hand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are thicker than the middle portion can be stably held with both hands.

케이스(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메인보드(500)에는 동작모드 선택키(200), 리셋키(210), 기본 입력부(300) 및 양손용 입력부(400)가 실장 또는 장착되어 있되, 손으로 조작하게 할 부위를 케이스(100)의 표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노출되거나 또는 표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돌출되게 하였다. 여기서, 리셋키(210)는 외부기기와의 페이링를 초기화하거나 또는 리모콘을 외부기기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며, 이에 기본 입력부(300)로 제어할 외부기기와 양손용 입력부(400)로 제어할 외부기기를 각각 정할 수 있고, 하기의 복수 무선신호 송출부(520) 중에 어느 것을 사용할지도 외부기기별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모드 선택키(200)는 기본 입력부(300) 및 양손용 입력부(400) 중에 활성화할 입력부를 선택하는 키이다.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the reset key 210,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he both-handed input unit 400 are mounted or mounted on the main board 500 accommodated in the case 100, The portion to be manipulated is pass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case 100 and exposed to the outside or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rface. Herein, the reset key 210 is used in a process of initializing a page with the external device or allowing the external device to recognize the remote control, and the external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he two-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radio signal transmitting units 520 described below is to be used for each external device.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is a key for selecting an input unit to be activated in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

또한, 상기 메인보드(500)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510), 무선신호 송출부(520), 가속도/자이로 센서(530), 외부연결단자(540), 충전회로(541) 및 LED(550)가 실장 또는 장착되되, 적어도, 외부연결단자(540)는 단자 결합할 커넥터를 케이스(100)에 관통시켜 삽입할 수 있게 하고, LED(550)는 발광한 빛을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였다. The microcomputer 510,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r 520, the acceleration / gyro sensor 530,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540, the charging circuit 541, and the LED 550 are connected to the main board 500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540 allows the connector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100 through the case 100 so that the LED 550 can emit the light e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case 100 .

외부연결단자(540)와 충전회로(541)는 배터리(600)의 충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연결단자(540)와 리셋키(210)는 서로 연접시켜 동시에 캡(540a)으로 막아놓을 수 있게 하였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540 and the charging circuit 541 may be used for charging the battery 600. In additio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540 and the reset key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be blocked by the cap 540a.

무선신호 송출부(520)는 TV 또는 셋탑박스가 인식할 수 있는 IR(infrared ray, 적외선) 신호를 송출하는 IR트랜스미터(521)와, 게임콘솔을 예로 들 수 있는 외부기기가 인식할 수 있는 불루투스, WiFi, UWB 등의 근거리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522)를 포함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서, 후술하는 기본 입력부(300)를 통한 입력 및 양손용 입력부(400)를 통한 입력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것을 이용하여 입력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unit 520 includes an IR transmitter 521 for transmitting an infrared (IR)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a TV or a set-top box, a Bluetooth transmitter 521 for recognizing an external device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22 for transmitting short range wireless signals such as WiFi and UWB, and are provided for input through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input through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using the individually corresponding one.

이하, 상기 기본 입력부(300) 및 양손용 입력부(400)의 배치 및 구조와, 동작모드 선택키(200)로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입력에 대응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and the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will be described.

기본 입력부(300)는 누름 입력과 상하좌우 누름 입력을 허용하는 방향키(310), 4행 3열로 배열한 복수의 숫자키(320), 숫자키(320)를 이용하여 숫자 이외의 문자 입력을 허용하게 하는 문자 유형 선택키(330), TV 또는 셋탑박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버튼형 기능키(340), TV 또는 셋탑박스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키(350), 및 TV 또는 셋탑박스의 음량 조절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음량 조절키(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방향키(310)는 리모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키로서,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311)의 눌림 및 기울어짐을 메인보드(500) 상에 장착한 베이스(312)에서 센싱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기본 입력부(300)는 통상적으로 TV 또는 셋탑박스용 리모콘에서 필요로 하는 입력 키에 해당된다.The basic input unit 300 allows input of characters other than numbers by using a direction key 310 for allowing a press input, an up / down / left / right press input, a plurality of numeric keys 320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A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for using functions provided by the TV or the set-top box, a power key 350 for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of the TV or the set-top box, And a volume control key 360 for using the volume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ler. The direction key 310 is a key commonly used in a remote controller and senses the pressing and tilting of the handle 31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from the base 312 mounted on the main board 500 . Such a basic input unit 300 typically corresponds to an input key required for a remote control for a TV or a set-top box.

그렇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입력부(300)를 구성하는 키 중에 방향키(310), 숫자키(320), 문자 유형 선택키(330), 버튼형 기능키(340) 및 전원키(350)를 케이스(100)의 상면에 배치하되,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양단을 제외하고 양단 사이의 상면에 방향키(310), 숫자키(320), 문자 유형 선택키(330) 및 버튼형 기능키(340)의 순서로 상호 인접하게 배치하였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key 310, the numeric key 320, the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the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and the power key 350 are included in the basic input unit 300, A numeric key 320, a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and a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on the upper surface between both ends except fo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is order.

전원키(350)는 단부와 방향키(310) 사이의 폭방향 양측 여유 면에 배치하고, 음량 조절키(360)는 우측면에 배치하였다.The power key 350 is disposed on both lateral side clearance surfaces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direction key 310, and the volume control key 36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양손용 입력부(400)는 푸시버튼, 로터리 휠 및 조이스틱을 겸비하며 케이스(100)의 상면에 배치한 조그셔틀(410)과, 조그셔틀(410)과는 상이한 입력을 위해 마련되며 케이스(100)의 일 측면(도면에서는 우측면)에 배치한 기능키(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그셔틀(410)은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411)의 움직임을 메인보드(500) 상에 설치한 베이스(412)에서 감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기능키(420)는 입력의 강약 조절이 가능한 트리거(421)와 누름 입력 방식의 버튼(422)을 포함하여, 이에 2가지 방식의 입력이 가능하다. 사용 편리성을 위해서 버튼(422)을 위에 두고 트리거(421)는 버튼(422)에 배치하였다.The input unit 400 includes a push button, a rotary wheel and a joystick. The input unit 400 includes a jog shuttle 41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and a jog shuttle 410, And a function key 420 disposed on one side (right side in FIG. The jog shuttle 410 is configured to detect movement of the handle 41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by the base 412 provided on the main board 500. The function key 420 includes a trigger 421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input and a button 422 of a push input method, so that two types of input can be performed. For convenience of use, the button 422 is placed on the trigger 421 and the trigger 421 is placed on the button 422. [

그리고, 양손용 입력부(400)는 양손으로 동시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 대칭을 이룬다. 물론, 양단의 조그셔틀(410)은 케이스(10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되고, 양단의 기능키(420)는 케이스(100)의 양측면 중에 어느 한쪽 측면(도면에는 우측면)에 배치된다.The two-handed input section 400 is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00 so as to be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both hands, and is vertically symmetrical. Of course, the jog shuttle 410 at both end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and the function keys 420 at both ends are disposed on either side (right side in the figure) of both sides of the case 100.

이와 같이 기본 입력부(300) 및 양손용 입력부(400)의 배치에 의해서, 일단의 조그셔틀(410), 방향키(310), 숫자키(320), 문자 유형 선택기(330), 버튼형 기능키(340) 및 타단의 조그셔틀(410)이 케이스(100)의 상면에 순차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As described above, the jog shuttle 410, the direction key 310, the number key 320, the character type selector 330, the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And the jog shuttle 410 at the other end are sequential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이에,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양단을 양손으로 동시 파지한 후 엄지 손가락으로 양측 조그셔틀(410)을 조작할 시에, 기본 입력부(300)의 버튼형 기능키(340) 및 방향키(310)는 엄지손가락이 미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게 된다. The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and the direction key 310 of the basic input unit 300 are operated when both the side jog shuttle 410 is operated with the thumb after simultaneously gripping both ends of the cas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will be within the range of your thumb.

본 발명은 이러한 버튼형 기능키(340) 및 방향키(310)를 양손용 입력부(400)의 활성화 시에 함께 활성하여 입력 키로 이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both the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and the direction key 310 when the both-handed input unit 400 is activated and uses the same as the input key.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00) 상면 중심에 배치되는 4행 3열의 숫자키(320) 및 문자 유형 선택키(330)를 양손용 입력부(400)와 함께 활성화되게 하여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되, 숫자키(320)가 배치되는 영역이 케이스(100)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까지 확장되게 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숫자 이외의 문자를 쉽고 간편하며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numeric keys 320 and character type selection keys 330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to be activated together with the input unit 400 for both hands and to input numbers and characters So that the area where the number keys 320 are disposed is extend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100 so that characters other than numbers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put as described below.

버튼형 기능키(340)는 TV 또는 셋탑박스의 제어를 위한 기능키로서, 예를 들면, 메뉴 선택키, 이전 상태로의 전환키, 음소거키, 검색키, 홈버튼키 등이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속도/자이로 센서(530)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을 활성화하는 키를 포함한다. The button-type function key 340 is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the TV or the set-top box, and includes, for example, a menu selection key, a switch to a previous state, a mute key, a search key, And a key for activating a mouse function using the acceleration / gyro sensor 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러한 복수의 버튼형 기능키(340)는 누름 버튼형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3행 3열로 배열되어 있되, 마름모 배열의 4개 키를 특수키(342)로 지정하였다. 즉, 1행의 중간 키, 3행의 중간 키, 1열의 중간 키, 및 3열의 중간 키를 특수키(342)로 지정하고, 특수키(342)로 지정되지 아니한 나머지 일반키(341)에 비해 상부로 돌출된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였다.The plurality of button-type function keys 340 are configured in a push button type and are arranged in at least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and four keys of the rhombus arrangement are designated by the special keys 342. [ That is, the intermediate key of one row, the intermediate key of three rows, the intermediate key of one column, and the intermediate key of three columns are designated by the special key 342, and the remaining general key 341 The height protruded to the upper side was relatively increased.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양단을 동시 파지하며 양손으로 조작할 시에 상기 특수키(342)는 조그셔틀(410)에 근접하면서 상하좌우에 하나씩 배치한 키가 되어 조그셔틀(410)을 조작하는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고, 일반키(34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어 정확하게 누르며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both ends o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ultaneously gripped and operated by both hands, the special keys 342 are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close to the jog shuttle 410 to operate the jog shuttle 410 And is protrud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normal key 341, so that it can be pressed and operated accurately.

아울러, 방향키(310)도 반대편의 조그셔틀(410)에 근접하므로, 조그셔틀(410)을 조작하는 손가락으로 누르며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key 310 is also close to the jog shuttle 410 on the opposite side, it can be operated by pushing with the finger operating the jog shuttle 410.

복수의 숫자키(320)는 숫자 0, 1, 2, …,9를 입력하기 위한 키로서, 10개의 키가 필요하지만, 통상적으로 '*' 및 '#'을 입력하기 위한 키와 조합을 이루어 4행 3열의 키로 배치한다. The plurality of numeric keys 320 may include numerals 0, 1, 2, ... , And 9, ten keys are required, but they are usually arranged in 4 rows and 3 columns in combination with keys for inputting '*' and '#'.

문자 유형 선택키(330)는 한글, 영어, 일본어, 중국어, 특수문자 등을 복수의 숫자키(320)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각각 숫자키(320)에 문자를 할당하는 키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한글 및 영어 입력 중의 택일, 영어 대문자 및 소문자 중의 택일, 숫자 및 특수문자 중의 택일을 위한 키를 포함한다.The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is a key for assigning characters to the numeric keys 320 to input Korean, English, Japanese, Chinese, special characters, etc. by using the plurality of numeric keys 320, The embodiment includes a key for selecting one of Korean and English input, one of English uppercase and lowercase letters, a number, and a special charact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숫자키(320)는 케이스(100)의 상면 중의 배치 위치를 평평하게 형성한 후 4행 3열로 터치 위치를 표시한 터치위치 표시부(323), 각각의 터치위치 표시부(323)의 주변에 표시한 문자 표시부(324), 및 케이스(100)에서 터치위치 표시부(323)로 표시한 부위의 내부 면에 밀착시키며 고정한 터치패드(3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key 320 includes a touch position display portion 323 that displays a touch position on a 4-by-3 row after flatly arranging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a touch position display portion 323 And a touch pad 321 fixed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touch position display portion 323 in the case 100. [

여기서, 터치위치 표시부(323)는 0, 1, 2, …,9, '*' 및 '#'을 표시한 것이다. Here, the touch position display section 323 displays 0, 1, 2, ... , 9, '*' and '#'.

그리고, 터치패드(321)에 실장하는 정전용량 터치센서(322)는 터치위치 표시부(323)의 위치에 맞춰 4행 3열로 배열한 주 터치센서(322a)와, 각각 4개로 이루어진 1열을 주 터치센서(322a)의 좌우에 추가 배열하고 상하로 각각 3개로 이루어진 1행을 추가한 사이드 터치센서(322b)를 포함한다.The capacitive touch sensor 322 mounted on the touch pad 321 includes a main touch sensor 322a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touch position display portion 323, And a side touch sensor 322b which is further arrang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touch sensor 322a and which has one row of three upper and lower sides added.

즉, 터치패드(321)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드의 터치 영역을 상하좌우로 확장한 것이다.That is, the touch pad 321 expands the touch area of the touch pad for inputting a number up, down, left, and right.

이와 같이 구성한 터치패드(321)를 내부 면에 고정하며 덮는 케이스(100)의 상면 중에 각 터치센서(322 : 322a, 322b)의 위치를 덮는 면의 두께는 정전식으로 감응할 수 있는 두께로 하여서, 케이스(100)의 상면 중에 내부에 터치센서(332)가 있는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한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covering the positions of the touch sensors 322 (322a and 322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which fixes the touch pad 321 thus configured and is covered with the touch pad 321, , The user can touch the position of the touch sensor 332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to input.

도 6 및 도 7에서 단면도로 보여준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리모콘의 상면은 폭방향 단면 형상이 상부로 만곡된 형상을 이루지만, 터치위치 표시부(323)가 있는 상면만은 폭방향 양측의 테두리를 경계로 하는 평면을 이루도록 주변에 비해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케이스(100)의 상면 중에 터치위치 표시부(323)가 있는 면은 터치패드(321) 전면에 걸쳐 밀착시킬 수 있고, 두께를 균일하면서 주 터치센서(322a) 및 사이드 터치센서(322b)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정전용량 터치센서(322)의 위치를 상면에서 터치할 시에 정전용량식으로 감응할 수 있도록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6 and 7, the upper surface of the remote controller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is curved upward, but only the upper surface with the touch position display portion 323 has the border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surface of the case 100 on which the touch position display portion 323 is provide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of the touch pad 321. The thickness of the touch surface 321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main touch sensor 322a and the side touch sensor 322b The thickness of the capacitive touch sensor 322 can be reduced so that it can be capacitively sensed when the position of each capacitive touch sensor 322 is touched on the upper surface.

한편, 케이스(100)의 상면 중에 폭방향 양측에 1열씩 추가된 사이드 터치센서(322b)를 덮는 면은 별도의 표시가 되어 있지 않지만, 터치패드(321)를 덮는 면이 평평하게 되어 있어, 터치 범위를 그 평평한 면으로 인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that covers the side-touch sensor 322b, which is provided with one row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s not marked, but the surface covering the touch pad 321 is flat, The range can be recognized by its flat surface.

즉, 사이드 터치센서(322b)를 이용한 드래그 방식의 입력에 대해 드래그 범위를 평평한 면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That is, the drag range can be recognized as a flat surface with respect to the input of the drag method using the side touch sensor 322b.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 및 구성되는 기본 입력부(300) 및 양손용 입력부(400)는 동작모드 선택키(200)에 의해 선별적으로 활성화되어 마이크로컨트롤러(510)에 의해 입력 처리된다.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arranged an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selectively activated by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and input by the microcontroller 510.

상기 동작모드 선택키(200)는 기본 입력부(300) 및 양손용 입력부(40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고, 기본 입력부(300)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문자 유형 선택키(330)에 따라 선택된 유형의 문자를 숫자키(320)로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동작모드 선택키(200)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키로서, 중립 위치(중간 위치)에 놓으면 기본 입력부(300)를 활성화하여 TV 또는 셋탑박스를 제어할 수 있는 기본 입력 모드, 앞으로 당기면 양손용 입력부(400)를 활성화하여 게임을 할 수 있게 하는 양손용 입력 모드, 및 기본 입력 모드의 위치인 중간 위치에서 뒤로 밀면 기본 입력부(300)를 활성화한 상태를 유지하되 숫자키(320)를 이용하여 문자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selectively activates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and activates the basic input unit 300 to select a character of a selected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May be input by using the numeric key 320.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is a key for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is placed at a neutral position (middle position),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activates the basic input unit 300, Mode, a two-handed input mode for enabling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to be activated when it is pulled forward, and a second input mode for holding the basic input unit 300 activated by pushing back from an intermediate position that is a position of the basic input mode,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character input mode in which characters can be input by using the character input unit 320.

상기 동작모드 선택키(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선별적 활성화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며 설명한다.The selective activation performed by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기본 입력부(300)에 의한 키입력에 따라 무선 송출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신호 송출부(520)를 통해 송출하는 기본입력 신호처리부(511)와, 양손용 입력부(400)에 의한 키입력에 따라 무선 송출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신호 송출부(520)를 통해 송출하는 양손입력 신호처리부(512)를 구비한다. 물론, 리모콘으로 제어할 외부기기와 사전 약속된 제어 코드가 키입력마다 설정되어 있어서, 키입력이 있을 시에 키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무선으로 송출하게 된다.The microcontroller 510 includes a basic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1 for generating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a key input by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unit 520, And a two-hand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2 for generating a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according to a key input by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unit 520 and transmitt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signal. Of course, the control code pre-assigned to the external device to be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is set for each key input, so that the control code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is transmitted wirelessly when there is a key input.

도 7에는 기본입력 신호처리부(511)에 의해 처리되는 키입력을 실선으로 표시하고, 양손입력 신호처리부(512)에 의해 처리되는 키입력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In FIG. 7, the key input processed by the basic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1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the key input processed by the both-hand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2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도 7을 참조하면, 동작모드 선택키(200)에 의해 기본 입력부(300)가 활성화될 시에 기본입력 신호처리부(511)가 가동되며, 기본 입력부(300)를 구성하는 각 키는 기본 입력 신호처리부(510)에 연결되어 키입력에 따라 신호처리한다. 이때, 동작모드 선택키(200)를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면, 문자 유형 선택키(330)에 의해 선택된 유형의 문자를 숫자키(320)에 할당하여 숫자키(320)의 입력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 처리한다. 여기서 양손용 입력부(400)는 스위치(S4)에 의해서 차단되어 입력 처리가 되지 아니하고, 가속도/자이로 센서(530)는 버튼형 기능키(340)의 조작에 따라 입력 처리 여부가 결정된다.7, the basic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1 is activated when the basic input unit 300 is activated by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and each key constituting the basic input unit 300 is activated by the basic input signal And is processed by the key input unit. 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is switched to the character input mode, the character of the type selected by the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is assigned to the number key 320, and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number key 320 . Here, the both-handed input section 400 is cut off by the switch S4 and is not subjected to input processing, and the acceleration / gyro sensor 5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put process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type function key 340.

동작모드 선택키(200)에 의해 양손용 입력부(400)가 활성화될 시에 양손입력 신호처리부(512)가 가동되며, 기본 입력부(300)의 키 중에 방향키(310), 숫자키(320), 문자 유형 선택키(330), 버튼형 기능키(340) 중의 특수키(342) 및 음량 조절키(350)도 스위치(S1)의 전환동작에 의해서 키입력을 양손입력 신호처리부(512)에 전달하여 신호처리를 하게 한다. 아울러, 가속도/자이로 센서(530)도 스위치(S3)의 전환동작에 의해서 센싱값을 양손입력 신호처리부(512)에 전달하여 센싱값에 따른 신호처리를 하게 한다. 여기서, 버튼형 기능키(340)의 일반키(341)와 전원키(360)는 스위치(S2)에 의해 차단되어 키입력에 대한 신호처리는 되지 아니한다.The two-hand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2 is activated when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is activated by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and the direction key 310, the numeric key 320, The special key 342 and the volume control key 350 of the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and the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also transmit the key input to the both hand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2 by the switch operation of the switch S1 Signal processing.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 gyro sensor 530 also transmits the sensing value to the both-hand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2 through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S3, thereby causing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sensing value. Here, the general key 341 and the power key 360 of the button-type function key 340 are blocked by the switch S2 so that signal processing for the key input is not performed.

상기에서 언급한 스위치(S1, S2, S3, S4)는 하드웨어적 스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소프트웨어적 스위치로 하여 키입력을 신호처리할 시에 선별적으로 받아 들여 처리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The above-mentioned switches S1, S2, S3, and S4 may be hardware switch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key input is treated as a software switch, good.

물론, 기본입력 신호처리부(511) 및 양손입력 신호처리부(512)는 무선신호 송출부(520)로 구비된 IR트랜스미터(521) 및 근거리무선통신모듈(522) 중에 대응되는 것을 이용하여 키 입력에 대응되는 코드에 대한 신호를 송출한다.Of course, the basic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1 and the both-hand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2 may be connected to the key input unit using the corresponding ones of the IR transmitter 521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22 provided in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ing unit 520 And transmits a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code.

기본입력 신호처리부(511) 및 양손입력 신호처리부(512)는 모두 문자 입력에 대해 신호처리하여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Both the basic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1 and the both-hand input signal processing unit 512 can transmit a radio signal by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on character input.

본 발명에 따르면, 주 터치센서(322a)의 단독 터치 및 주 터치센서(322a)의 터치에 이어 인접하는 주 터치센서(322a) 또는 사이드 터치센서(322b)의 터치를 구분하여, 한글 자모 또는 알파벳을 미리 할당하여 두며, 이에, 4행 3열로 배치된 주 터치센서(322a)의 단독 터치에 대응되는 문자의 입력뿐만 아니라 4행 3열로 배치된 주 터치센서(322a)의 각각의 대해 연속 터치의 방향별로 대응되는 문자의 입력도 가능하다.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nd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or the side touch sensor 322b adjacent to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 main touch sensor 322a arranged in 4 rows and 3 columns as well as the input of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independent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rranged in 4 rows and 3 columns,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corresponding characters for each direction.

결국, 숫자키의 개수보다 많은 자모 또는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는 문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cess input of a character composed of alphabet or alphabet more than the number of numerical keys.

도 5에 도시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각각의 숫자 표시부(323)별로 표시한 문자 표시부(324)는 하나의 키에 복수의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다. 할당한 알파벳은 숫자 표시부(323)의 단독 터치에 할당한 알파벳과, 터치 이후 드래그하여 다른 위치를 연속 터치 하는 경우에 할당한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알파벳이 할당된다.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alphabets are assigned to one key of the character display unit 324 displayed for each numeric display unit 323. The assigned alphabet is composed of the alphabet assigned to the single touch of the numeric display unit 323 and the alphabet assigned when the user touches and drags the touch and touches another position successively. Different alphabets are assig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ag.

이에, 4행 3열로 표시한 숫자 표시부(323) 각각에 대해 단독 터치에 할당한 알파벳 1개와, 드래그 방향별로 할당한 알파벳 4개를 합한 5개의 알파벳을 최대로 할당할 수 있다. 즉, 4행 3열의 키에 대해 12의 5배수에 해당하는 키 입력이 가능하게 되므로, 한글 자모 입력, 영어 알파벳 입력, 일본어 가나 입력 등의 문자를 터치 또는 1획의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다.Thus, five alphabets totaling one alphabet assigned to the single touch and four alphabets assigned to each drag direction can be allocated to each of the numeric display portions 323 display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That is, since the keys corresponding to the keys of 4 rows and 3 columns are able to be input corresponding to 5 times of 12, characters such as Korean alphabet input, English alphabet input, Japanese Kanji input can be inputted by touch or drag of one stroke.

이러한 입력 방식에 의해서, 숫자 표시부(323)의 터치는 숫자 입력으로 하고, 드래그에 대해서는 알파벳의 입력으로 하는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문자 유형 선택키(330)의 기능을 축소하여 문자 유형 전환 없이 여러 유형의 문자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With this input method, since the touch of the numeric display section 323 can be used as a numeric input and dragging can be made using an alphabetic input method, the function of the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can be reduced, Allows you to enter several types of characters.

한편, 정전용량 터치센서(322)를 6행 5열로 터치패드(321)에 실장한 후, 중심부의 4행 3열을 주 터치센서(322a)로 하고, 나머지는 사이드 터치센서(322b)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허용함으로써 더욱 많은 문자의 입력처리가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capacitive touch sensor 322 is mounted on the touch pad 321 in six rows and five columns, the four rows and three columns of the center portion are used as the main touch sensor 322a and the remaining portions are used as the side touch sensor 322b . In this case, more input of characters can be performed by allowing the input to be dragged in the diagonal dire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 / RTI >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케이스 110 : 몸체
111 : 배터리 커버 120 : 상부 커버
200 : 동작모드 선택키 210 : 리셋키
300 : 기본 입력부
310 : 방향키
320 : 숫자키 321 : 터치패드
322 : 정전용량 터치센서 322a : 주 터치센서
322b : 사이드 터치센서 323 : 숫자 표시부
324 : 문자 표시부
330 : 문자 유형 선택키
340 : 버튼형 기능키 341 : 일반키 342 : 특수키
350 : 전원키
360 : 음량 조절키
400 : 양손용 입력부
410 : 조그셔틀
420 : 기능키 421 : 트리거 422 : 버튼
500 : 메인보드
510 : 마이크로컨트롤러 520 : 무선신호 송출부
521 : IR트랜스미터 522 : 근거리무선통신모듈
530 : 가속도/자이로 센서 540 : 외부연결단자
541 : 충전회로 550 : LED
600 : 배터리
100: Case 110: Body
111: Battery cover 120: Upper cover
200: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10: reset key
300: basic input unit
310: Direction key
320: Numeric key 321: Touchpad
322: capacitive touch sensor 322a: main touch sensor
322b: side touch sensor 323: numeric display section
324:
330: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40: button type function key 341: general key 342: special key
350: Power key
360: Volume control keys
400: Two-handed input unit
410: Jog Shuttle
420: function key 421: trigger 422: button
500: Motherboard
510: Microcontroller 520: Radio signal transmitter
521: IR transmitter 522: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30: acceleration / gyro sensor 540: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541: Charging circuit 550: LED
600: Battery

Claims (3)

삭제delete 좌우 폭에 비해 전후로 길게 형성한 케이스(100);
방향키(310), 숫자키(320), 문자 유형 선택키(330), 및 버튼형 기능키(340)를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의 상면에 배치한 기본 입력부(300);
양손으로 조작하도록 케이스(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대칭을 이루는 양손용 입력부(400);
기본 입력부(300) 및 양손용 입력부(40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동작모드 선택키(200);
기본 입력부(300)의 입력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 및 양손용 입력부(400)의 입력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개별적으로 송출하기 위해 마련된 복수의 무선신호 송출부(520);
동작모드 선택키(200)에 의해 활성화된 입력부의 입력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510);
를 포함하되,
상기 숫자키(320)는
4행 3열로 배열한 주 터치센서(322a)와, 각각 4개로 이루어진 1열을 주 터치센서(322a)의 좌우에 추가 배열하고 각각 3개로 이루어진 1행을 주 터치센서(322a)의 상하에 추가 배열한 사이드 터치센서(322b)를 포함한 정전용량 터치센서(322)가 실장되어 있으며, 케이스(100)의 내면에 밀착되게 고정한 터치패드(321);
주 터치센서(321a)의 위치에 맞게 케이스(100)의 상면에 4행 3열로 표시한 숫자 표시부(323);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터치패드(321)를 덮는 케이스(100)의 상면은 폭방향 양측의 테두리를 경계로 하는 평평한 면으로 하며 일정한 두께를 갖고, 내부면에 상기 터치패드(321)를 밀착시키되, 정전식으로 감응할 수 있는 두께로 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주 터치센서(322a)의 단독 터치 및 주 터치센서(322a)의 터치에 이어 인접하는 주 터치센서(322a) 또는 사이드 터치센서(322b)의 터치를 구분하여 한글의 자모 또는 알파벳을 할당함으로써, 문자 유형 선택기(330)에 의해 선택된 유형의 문자에 대해 숫자키의 개수보다 많은 자모 또는 알파벳을 입력처리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
A case 100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A basic input unit 300 in which a direction key 310, a numeric key 320, a character type selection key 330, and a button type function key 340 ar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between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case 100;
A two-handed input section 400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100 so as to be operated by both hands and symmetrical;
An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for selectively activating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A plurality of radio signal transmitting units 520 provided separately for transmitting a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basic input unit 300 and a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two-handed input unit 400;
A microcontroller (510) for controlling to transmit a ra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f an input unit activated by an operation mode selection key (200);
, ≪ / RTI &
The number key 320
A main touch sensor 322a arranged in four rows and three columns and a row consisting of four each are addition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nd one row consisting of three each is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 touch pad 321 mounted with a capacitive touch sensor 322 including the arranged side touch sensors 322b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0;
A numeral display part 323 displayed in three rows and four colum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touch sensor 321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covering the touch pad 321 has a flat surface with a boundary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s a boundary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0 to closely contact the touch pad 321, Thickness,
The microcontroller 510
By distinguishing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djacent to the main touch sensor 322a or the touch of the side touch sensor 322b adjacent to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A remote controller having a character input function for inputting a character or alphabet more than the number of the number keys for the character of the type selected by the type selector 33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321)의 정전용량 터치센서(322)는 6행 5열로 하여 중심부의 4행 3열을 문자 표시부(324)에 대응되는 주 터치센서(322a)로 하고 나머지는 터치위치 표시부(323)가 없는 사이드 터치센서(322b)로 하며,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510)는 주 터치센서(322a)의 터치에 이어 대각선 상으로 인접하는 주 터치센서(322a) 또는 사이드 터치센서(322b)의 터치에 대해 자모 또는 알파벳을 할당하여 입력처리하는 문자 입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pacitive touch sensor 322 of the touch pad 321 is divided into 6 rows and 5 columns and the 4 rows and 3 columns of the central portion are used as the main touch sensor 322a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isplay portion 324 and the remaining portions are the touch position display portion 323 Side touch sensor 322b,
The microcontroller 510 assigns alphabets or alphabets to the touches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or the side touch sensor 322b adjacent diagonally to the touch of the main touch sensor 322a, Remote control with function.
KR1020160060717A 2016-05-18 2016-05-18 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 KR101801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17A KR101801731B1 (en) 2016-05-18 2016-05-18 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17A KR101801731B1 (en) 2016-05-18 2016-05-18 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31B1 true KR101801731B1 (en) 2017-11-27

Family

ID=6081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17A KR101801731B1 (en) 2016-05-18 2016-05-18 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3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42B1 (en) * 2009-03-24 2010-06-03 주식회사 포인칩스 Complex-type input device with touch sensing fea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942B1 (en) * 2009-03-24 2010-06-03 주식회사 포인칩스 Complex-type input device with touch sensing fea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803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cessing input sig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panel
CN114945417A (en) Controller with sensor-rich controls
US8562437B2 (en) Keyboard equipped with functions of operation buttons and an analog stick provided in a game controller
US20170329440A1 (en) Controller premonition using capacitive sensing
JP2015531527A (en) Input device
EP3371678B1 (en) Data entry device for entering characters by a finger with haptic feedback
US20040041791A1 (en) Keyboard touchpad combination
JP2004355606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3905791A (en) Selecting attributes using a handheld controller
KR20100084502A (en) Programmable touch sensitive controller
KR101826552B1 (en) Intecrated controller system for vehicle
JP6740389B2 (en) Adaptive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9606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US5251163A (en) Keypointer for single-hand computer keyboard
KR20040101560A (en) User interface
US11847268B2 (en) Reprogramable multi-host, multi-character set keyboard
KR101801731B1 (en) Remote controller having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function
WO2009038432A2 (en) Multi-functional mouse
KR101801725B1 (en)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KR100446531B1 (en) Glove type data inputting apparatus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KR101422079B1 (en)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15129984A1 (en) Game adjustment device
US10671184B2 (en) Signal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driving device using same
KR101432529B1 (en) Mouse having the function of a keyboard
JP5718105B2 (en) Se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