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470B1 -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470B1
KR101800470B1 KR1020127003971A KR20127003971A KR101800470B1 KR 101800470 B1 KR101800470 B1 KR 101800470B1 KR 1020127003971 A KR1020127003971 A KR 1020127003971A KR 20127003971 A KR20127003971 A KR 20127003971A KR 101800470 B1 KR101800470 B1 KR 101800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tape
group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9021A (en
Inventor
야스하루 나가이
고헤이 마루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0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4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투명성이 높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하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또, 그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공중합체는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고,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10 ∼ 60 중량부이고,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30 ∼ 90 중량부이고,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1 % 이하인 점착 테이프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7

일반식 (1)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3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2 의 알킬기의 수소 원자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An adhesive tape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excellent in adhesion to a polycarbonate plate and an acrylic plate and capable of suppressing lifting peeling occurring at an interface with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even unde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is provided. Further, a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tape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copolymer, wherein the copolymer h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having a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which is contain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ent unit is 10 to 60 parts by weight and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30 to 90 parts by weight ,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is 90% or more and the haze value is 1 It is greater than the adhesive tape.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7

In the general formula (1),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R 2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3 to 14 carbon atoms. The hydrogen atom of the alkyl group of R 2 may be substituted with a cycloalkyl group.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tape, a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투명성이 높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하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high transparency and excellent adhesive strength to a polycarbonate plate and an acrylic plate, and capable of suppressing lifting peeling occurring at an interface with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tape.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은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등의 화상 표시 장치, 또는 다양한 분야의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투명한 점착제층을 통하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과 첩합 (貼合) 되어 있고, 이와 같은 보호판에는, 최근에는 폴리카보네이트판, 아크릴판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a display panel or a touch panel is us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r the like, or an image display device in various fields. In such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example, a protective plate for protecting the surface through a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stuck to a display panel or a touch panel. In recent years, a polycarbonate plate, An acrylic plate or the like is generally used.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은 수분을 흡수하기 쉽고, 고온 조건하에서는 수분이 기화되어, 아웃 가스가 생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고온 조건하에서는, 아웃 가스가 원인이 되어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 점착제층의 계면에 리프팅 박리가 발생하여, 외관 불량을 발생시키는 것이 문제이다. 리프팅 박리에 의한 외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분자량을 적당하게 조정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충분히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얻기는 곤란하였다.However, it is known that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are easy to absorb moisture, an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 moisture is vaporized and outgas is produced. Therefor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outgassing causes a problem that lifting peeling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cause appearance defects. In order to prevent defective appearance due to lifting peeling, for exampl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ppropriately adjusted. In this wa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pable of sufficiently suppressing lifting peeling can be obtained .

또,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투명성을 갖는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로서, 투명 기재의 양면에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투명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점착제층이, 특정 아크릴계 폴리머 (a) 및 올리고머 (b) 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a) 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 12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모노머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모노머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전체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10 중량부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 만 ∼ 90 만인 아크릴계 폴리머이고, 또 상기 올리고머 (b) 는, 호모 폴리머를 형성하였을 때의 유리 전이 온도가 60 ∼ 190 ℃ 이고 또한 고리형 구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모노머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모노머 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전체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10 중량부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 6000 인 올리고머이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having transparency, in which a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both surfaces of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 transparent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formed fro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specific acrylic polymer (a) and an oligomer (b) i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1, the acrylic polymer (a) is obtained by copolymerizing (meth) 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n alkyl group of 4 to 12 carbon atoms as a monomer main component and a monomer containing a carboxyl group as a monomer component in an amount of 3 To 10 parts by weight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0 to 900,000 and the oligomer (b)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60 to 190 占 폚 when the homopolymer is formed and the cyclic Structure is contained as a monomer main component and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componen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3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and an olig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000 to 6,000.

특허문헌 1 에는, 동 문헌에 기재된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리프팅 박리 방지성이 우수하고, 또한, 투명성 및 휨 방지성도 우수함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투명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는, 2 종류의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2 종류의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의 상용성이 충분하지 않아 탁해진다는 문제를 안고 있어, 광학 용도에 적용하기에 충분한 높은 투명성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였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the transparent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described in this document has excellent lifting and peeling resistance, and is also excellent in transparency and anti-bending property. However, since the transparent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uses two kinds of polymers or oligomers in combin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atibility of two kinds of polymers or oligomers is not sufficient, It has been difficult to realize high transparency sufficient for application.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55877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55877

본 발명은 투명성이 높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하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그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hesive tape which has high transparency and is excellent in adhesion to polycarbonate plates and acrylic plates and which can suppress lifting peeling occurring at the interface with polycarbonate plates or acrylic plates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tape.

본 발명은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공중합체는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고,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10 ∼ 60 중량부이고,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30 ∼ 90 중량부이고,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1 % 이하인 점착 테이프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copolymer, wherein the copolymer h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having a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which is contain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ent unit is 10 to 60 parts by weight and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30 to 90 parts by weight ,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is 90% or more and the haze value is 1 It is greater than the adhesive tape.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1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1

일반식 (1)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3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2 의 알킬기의 수소 원자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general formula (1),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R 2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3 to 14 carbon atoms. The hydrogen atom of the alkyl group of R 2 may be substituted with a cycloalkyl group.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고온 조건하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 점착제층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는, 그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부터 아웃 가스가 생성되고, 그 가스 압력에 의해 기포가 성장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리프팅 박리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의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 또는 점착력을 높임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방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It is considered that the lifting peeling occurr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nder the high-temperature condition is caused by the outgass being generated from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and the bubbles growing by the gas pressure .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the lifting peeling, it is conceivable that the adhe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is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본 발명자들은,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특정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극적으로 개선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고, 소정 범위의 전체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을 갖는 점착 테이프는 투명성이 높고, 고온 조건하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 copolymer having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a molecule and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 specific structure By using the composition, it has been found tha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dramatically improved adhesion to a polycarbonate plate and an acrylic plate can be formed.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n adhesive tap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de of su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having a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a haze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has a high transparency and can be lifted at an interface with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nd peeling can be suppressed. Thu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Further, (meth) acryl means acryl or methacryl.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copolymer.

상기 공중합체는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다.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크게 향상된다.The copolymer has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Since the copolymer has a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the adhesive force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상기 비시클로 고리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비시클로 고리 구조를 갖는 관능기로서, 예를 들어, 비시클로[1.1.0]부틸기, 비시클로[1.1.1]펜틸기, 비시클로[2.1.0]펜틸기, 비시클로[3.1.0]헥실기, 비시클로[2.1.1]헥실기, 비시클로[2.2.0]헥실기, 비시클로[2.2.1]헵틸기, 비시클로[3.1.1]헵틸기, 비시클로[3.2.0]헵틸기, 비시클로[4.1.0]헵틸기, 비시클로[2.2.2]옥틸기, 비시클로[3.2.1]옥틸기, 비시클로[3.3.0]옥틸기, 비시클로[4.1.1]옥틸기, 비시클로[4.2.0]옥틸기, 비시클로[5.1.0]옥틸기, 비시클로[3.2.2]노닐기, 비시클로[3.3.1]노닐기, 비시클로[4.2.1]노닐기, 비시클로[4.3.0]노닐기, 비시클로[5.1.1]노닐기, 비시클로[5.2.0]노닐기, 비시클로[6.1.0]노닐기, 비시클로[4.3.1]데실기, 및 이들 비시클로 고리 구조를 갖는 관능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를 사슬형 알킬기 또는 고리형 알킬기로 치환시킨 구조를 갖는 관능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치환은 1 지점이어도 되고 복수 지점이어도 된다. 이들 비시클로 고리 구조를 갖는 관능기 중에서도, 노르보르닐기, 이소보르닐기가 바람직하고, 이소보르닐기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bicyclic ring struc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of the functional group having the bicyclo ring structure include a bicyclo [1.1.0] butyl group, a bicyclo [1.1.1] pentyl group, a bicyclo [2.1. Cyclohexyl [2.2.0] hexyl group, a bicyclo [2.2.1] heptyl group, a bicyclo [3.1.0] hexyl group, a bicyclo [2.1.1] hexyl group, a bicyclo [2.2.0] 3] heptyl group, a bicyclo [3.2.1] heptyl group, a bicyclo [3.2.0] heptyl group, a bicyclo [4.1.0] heptyl group, a bicyclo [2.2.2] octyl group, a bicyclo [3.2.1] 3] octyl group, a bicyclo [4.1.1] octyl group, a bicyclo [4.2.0] octyl group, a bicyclo [5.1.0] octyl group, a bicyclo [3.2.2] nonyl group, a bicyclo [3.3. Non-cyclo [4.2.1] nonyl group, a bicyclo [4.3.0] nonyl group, a bicyclo [5.1.1] nonyl group, a bicyclo [5.2.0] nonyl group, a bicyclo [6.1. 0] nonyl group, a bicyclo [4.3.1] decyl group, and a part of the hydrogen atoms of the functional group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s a chained alkyl group or a cyclic alkyl group And the like functional group having a structure in which substituted. The substitution may be a single point or a plurality of points. Of these functional groups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 norbornyl group and an isobornyl group are preferable, and an isobornyl group is particularly preferable.

또, 상기 올레핀성 이중 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로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관능기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또는 메타크릴로일을 의미한다.The olefinic double bo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of the functional group having an olefinic double bond include a (meth) 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nd an allyl group. Among these functional groups having an olefinic double bond, a (meth) acryloyl group is preferable. Further, (meth) acryloyl means acryloyl or methacryloyl.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소보르닐기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The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obornyl (meth) acrylate having an isobornyl group and a (meth) acryloyl group is more preferable. Further,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acrylate.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10 ∼ 60 중량부이다.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다.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고,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다.The ratio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the monomer having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n the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10 to 60 parts by weight. If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a monomer having an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resulting adhesive tape deteriorates the adhesive force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The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can not be prevented sufficiently. When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more than 60 parts by weigh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resulting copolymer becomes high, and the adhesion The adhesion of the tape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is lowered and the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can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15 ∼ 5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5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the monomer having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n the molecule is preferably 15 to 55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20 to 50 parts by weight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Do.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다.The copolymer has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화학식 2](2)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2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2

일반식 (1)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3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2 의 알킬기의 수소 원자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general formula (1),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R 2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3 to 14 carbon atoms. The hydrogen atom of the alkyl group of R 2 may be substituted with a cycloalkyl group.

상기 R2 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2 이하 또는 15 이상이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고,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초기 젖음성이 저하되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다. 상기 R2 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4 ∼ 12 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lkyl group of R 2 is 2 or less or 15 or more, the resulting copolymer has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produced using the copolymer, the initial wettability of the pressure- The adhesion to the plate is lowered and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can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e alkyl group of R < 2 > preferably has 4 to 12 carbon atoms.

또, 상기 R2 의 알킬기의 수소 원자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시클로알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The hydrogen atom of the alkyl group of R < 2 > may be substituted with a cycloalkyl group. The cycloalk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cyclopropyl group, a cyclobutyl group, a cyclopentyl group, a cyclohexyl group, a cycloheptyl group, and a cyclooctyl group.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가 이와 같은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가짐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에 추가하여, 점착제층의 응집력, 초기 접착성, 밀착성 등도 향상된다.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bu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isodec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isotetradec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When the copolymer h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such a monomer,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mproves the cohesive strength, initial adhesion, adhesion and the lik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addition to the adhesive force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그 중에서도, 저온 탄성률이 낮고, 초기의 젖음성이 높은 점착제층이 얻어지는 점에서,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는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s preferably a 2-ethylhexyl (meth) acrylate, an oc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monomer and at least one (meth) acrylat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meth) acrylate and butyl (meth) acrylate.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30 ∼ 90 중량부이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저온 탄성률이 높아지고 초기의 젖음성이 저하되며,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이 9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가공성이 저하되며, 또,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저하된다.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30 to 90 parts by weight. When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s less than 30 parts by weight,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s a low temperatur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low initial wettability, The adhesion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is lowered and the growth of the bubbles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can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f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above general formula (1) exceeds 90 parts by weight,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s a problem that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onomer having a monocyclic olefinic double bond and the bicyclo ring structure in the molecule in the copolymer is relatively lowered so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obtain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의 비율은 50 ∼ 8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portion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preferably 50 to 85 parts by weight.

상기 공중합체는, 추가로,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가져도 된다.The copolymer may further contain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nother monomer.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가짐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분자 사이 상호 작용이 증대되어,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다른 모노머가 극성기를 갖는 경우에는, 그 극성기와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의 표면이 상호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계면 접착력이 높아진다.When the copolymer has a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other monomer, the intermolecular interaction of the resulting copolymer increases, and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rease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oduced using the copolymer. Further, when the other monomer has a polar group, the polar group and the surface of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inter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sulting adhesive tape has an increased interfacial adhesion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다른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알데히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극성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들 다른 모노머 중에서도,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높아지는 점에서,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 분자 내에 수산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other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onomers having at least one polar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xyl group, hydroxyl group, amide group, amino group, epoxy group, aldehyde group and isocyanate group in the molecule are preferable. Of these other monomers,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an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or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n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more preferable because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becomes high.

상기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로일아세트산, (메트)아크릴로일프로피온산, (메트)아크릴로일부티르산, (메트)아크릴로일펜탄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The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meth) acrylic acid, (meth) acryloyl acetic acid, (meth) acryloyl propionic acid,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such as butyric acid, (meth) acryloylpentanoic acid and crotonic acid, and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such as maleic acid, fumaric acid, citraconic acid, mesaconic acid and itaconic acid.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경우,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2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이 2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은 ITO 등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금속 박막을 피착체로 하는 경우에 그 금속 박막을 열화시키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성분의 비율은 1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copolymer has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an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t is preferable that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which is contain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The proportion of the derived constituent unit is preferably 2 parts by weight or less. When the proportion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exceeds 2 parts by weigh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to be obtained may be a metal thin film containing ITO or the like or a metal oxide- The metal thin film may be easily deteriorated. The proportion of constituent components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a singl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n the molecule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more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0.5 parts by weight or less.

또,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지 않아도 된다.The copolymer may not have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또한, 일반적으로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공중합체 중의 산 성분은, ITO 등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금속 박막을 피착체로 하는 경우, 그 금속 박막의 열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공중합체가, 예를 들어 상기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 등의 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응집력이 높고 고온 조건하에서도 신뢰성이 높은 점착제층을 얻기 곤란하다.Further, in general, the acid component in the copolymer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uses deterioration of the metal thin film when a metal thin film containing ITO or the like or a metal oxide is used as an adheren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polymer does not contain, for example, an acid component such 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nd a singl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 high- It is difficult to obtain a layer.

그 반면,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가짐으로써, 상기 공중합체가 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도, 점착제층이 점착력, 응집력, 초기 접착성, 밀착성 등이 우수하고, 고온 조건하에서도 신뢰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고온 조건하에서도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고 또한 ITO 등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금속 박막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polymer h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ich is excellent in adhesion, cohesion, initial adhesion, adhesion, and the like even when the copolymer does not contain an acid component, Is high. Therefo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high reliability even under high-temperature conditions, and can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metal thin film containing ITO or the like or a metal oxide.

상기 분자 내에 수산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The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3-hydroxyprop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상기 공중합체가 상기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경우,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초기 젖음성이 저하되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다른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15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copolymer has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he other monomer,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he other monomer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or less. If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other monomer is more than 20 parts by weight,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ill have low initial wett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oor adhesion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Or the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acrylic plate can not be prevented sufficiently.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the other monomer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15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상기 다른 모노머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라디칼 중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monomers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meth) acrylic acid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A method in which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an ester monomer and, if necessary, the above-mentioned other monomer is subjected to radical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상기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 중합 등의 종래 공지된 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ly known polymerization methods such as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bulk polymerization can be used.

상기 용액 중합에 사용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디메틸술폭사이드, 에탄올,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The solvent used in the solution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 acetate, toluene, dimethylsulfoxide, ethanol, acetone, diethyl ether, and the like.

상기 용액 중합에 사용하는 용매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한 하한은 25 중량부, 바람직한 상한은 300 중량부이다. 상기 용매의 배합량이 25 중량부 미만이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넓어지고,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 및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용매의 배합량이 3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점착 테이프를 제조할 때에 용제를 제거하는 수고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in the solution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25 parts by weight a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3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solvent is less than 25 parts by weight,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resulting copolymer is widene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oduced using the copolymer lowers the adhesive force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and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 , The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can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solvent exceeds 300 parts by weight, it may be necessary to prepa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ing the obtained copolymer and to remove the solven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상기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과황산염, 유기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ITO 등의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금속 박막을 피착체로 하는 경우에 그 금속 박막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면, 아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ersulfates, organic peroxides, and azo compounds. Among them, in the case where a metal thin film containing ITO or the like or a metal oxide is used as an adherend, an azo compound is preferable considering the influence on the metal thin film.

상기 과황산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과황산칼륨,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과산화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1-비스(t-헥실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라우로일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비스(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t-헥실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조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펜탄산),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The persulf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tassium persulfate, sodium persulfate, and ammonium persulfate. The organic peroxi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1,1-bis (t-hexylperoxy) -3,3,5-trimethylcyclohexane, t-hexylperoxy pivalate, (2-ethylhexanoylperoxy) hexane, t-hexylperoxy-2-ethylhexanoate, t-butylperoxy-2- Ethylhexanoate, t-butylperoxyisobutyrate, t-butylperoxy-3,5,5-trimethylhexanoate, and t-butylperoxylaurate. The azo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zo compounds such as 2,2'-azobisisobutyronitrile, 2,2'-azobis (2,4-dimethylvaleronitrile), 4,4'-azobis (4-cyanopentanoic acid), 2,2'-azobis (2-methylbutyronitrile), and azobiscyclohexanecarbonitrile.

이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se 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모노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 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0.02 중량부 미만이면, 중합 반응이 불충분해지거나 중합 반응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이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분자량 분포가 지나치게 넓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 및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02 to 0.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less than 0.02 parts by weigh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come insufficient or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take a long time.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more than 0.5 parts by weigh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obtained copolymer may be too low or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ay be excessively widened. In the case of the adhesive tape produced using the copolymer, And the co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lowered and the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can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만 ∼ 150 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 만 미만이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고온 탄성률이 저하되고,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 만을 초과하면, 공중합체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 만 ∼ 120 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만 ∼ 90 만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0,000 to 1,500,000.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less than 200,000,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s a problem that the high-temperature elastic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owered and the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There is a case.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exceeds 1.5 million, the flowability of the copolymer is lowere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produced using the copolymer lowers the adhesion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There is a case that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with the plate or the acrylic plate can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opolymer is more preferably from 300,000 to 1,200,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from 400,000 to 900,000.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공중합체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에 의해 100 배로 희석시켜 얻어진 희석액을 필터로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칼럼 (예를 들어, Waters 사 제조의 상품명 「2690 Separations Model」 등) 을 사용하여 GPC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ns a valu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n terms of polystyrene conversion.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copolymer is diluted 100 times with tetrahydrofuran (THF) to obtain a diluted solution. The diluted solution thus obtained is filtered with a filter. The obtained filtrate is applied to a column (for example, a trade name of 2690 Separations Model ", etc.).

상기 공중합체는 저점도이기 때문에, 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할 때에는, 용제를 사용하여 희석시키지 않아도 양호하게 도포할 수 있고,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도포할 수 있으므로, 두꺼운 점착제층을 제조하기 쉽고, 점착제층의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점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B 형 점도계 (「B8U 형 점도계」, 도쿄 계기사 제조) 를 사용하여 온도 25 ℃ 의 조건으로 측정한 점도가 500 ∼ 100000 ㎩·s 인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copolymer has a low viscosity,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polymer, it is possible to co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ell without diluting it with a solvent, and the handling property is excellent. Further, since it can be applied without using a solvent, it is easy to produce a thick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can be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scosity measured by a B-type viscometer ("B8U-type viscometer", manufactured by Tokyo Kikai Co., Ltd.) at a temperature of 25 ° C is 500 to 100000 Pa · s.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공중합체 외에 가교제를 함유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in addition to the copolymer.

상기 가교제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공중합체에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가교제의 종류나 양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조정할 수 있다.By containing the crosslinking agent, a crosslinked structure can be formed in the copolymer.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an be adjusted by suitably adjusting the kind and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상기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형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의 성능을 발현하기 쉬운 점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 aziridine crosslinking agent, an epoxy crosslinking agent, and a metal chelate crosslinking agent. Among the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at least one crosslink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and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s in view of easily exhibiting performance such as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중,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코로네이트 HX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aliphatic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red. Of the aliphatic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for example, Coronate HX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방족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에폭시계 가교제 중,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어, 데나콜 EX212, 데나콜 EX214 (모두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The epoxy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aliphatic epoxy cross-linking agent is preferred. Among the above-mentioned aliphatic epoxy cross-linking agent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for example, Denacol EX212 and Denacol EX214 (both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ch).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공중합체의 가교가 불충분해지고,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 및 초기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가교제의 배합량은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 3.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crosslinking of the copolymer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have poor cohesive strength and poor work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addition, The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can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resulting adhesive tape may deteriorate the adhesive strength and initial adhesion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more preferably 0.3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tackifier resin.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자일렌 수지, 페놀 수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 부여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자일렌 수지가 바람직하고, 자일렌 수지의 알킬페놀 반응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 수소 첨가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점착 테이프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The tackifier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xylene resin, a phenol resin, a rosin resin, a terpene resin and the like. These tackifier resin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xylene resin is preferable and alkylphenol reactant of xylene resin is more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o use a hydrogenated resin as the tackifier resin. By using such a resin, the transparency of the adhesive tape can be increased.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By containing the silane coupling agent, the adhesion property of the resulting adhesive tape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can be improved.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틸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메르캅토부틸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Glycidyl 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γ-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γ-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γ-aminopropyl Aminopropyltriethoxysilane,? -Aminopropyltrimethylmethoxysilane, N- (2-aminoethyl) 3-aminopropyltriethoxysilane, N- (2-aminoethyl) 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Mercaptopropyltriethoxysilane, mercaptobutyltrimethoxysilane,? -Mercaptopropylmethyldimethoxysilane, and the like.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된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conventionally known additives as required.

상기 첨가제는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충전제, 노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The addit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transparency of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filler and an antioxidant.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공중합체, 및 필요에 따라 상기 가교제, 상기 점착 부여 수지, 상기 실란 커플링제, 상기 첨가제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method of mixing the copolymer and, if necessary, the crosslinking agent, the tackifier resin, the silane coupling agent, have.

상기 점착제층은 측정 주파수 10 ㎐ 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이 20 ℃ 에서 1 × 105 ∼ 1 × 107 ㎩, 85 ℃ 에서 3 × 104 ∼ 1 × 10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단 저장 탄성률 (G') 이 20 ℃ 에서 1 × 105 ㎩ 미만이거나, 85 ℃ 에서 3 × 104 ㎩ 미만이거나 하면, 응력에 대한 점착제층의 변형성이 커지고, 점착 테이프의 절단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전단 저장 탄성률 (G') 이 20 ℃ 에서 1 × 107 ㎩ 를 초과하거나, 85 ℃ 에서 1 × 105 ㎩ 를 초과하거나 하면,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초기 젖음성이 저하되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ferably has a shear storage modulus (G ') at a measurement frequency of 10 Hz of 1 x 10 5 to 1 x 10 7 Pa at 20 캜 and 3 x 10 4 to 1 x 10 5 Pa at 85 캜 . When the shear storage elastic modulus (G ') is less than 1 x 10 < 5 > Pa at 20 DEG C or less than 3 x 10 < 4 > Pa at 85 DEG C, the de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gainst stress increases, There is a case. When the shear storage elastic modulus (G ') exceeds 1 x 10 < 7 > Pa at 20 DEG C or exceeds 1 x 10 < 5 > Pa at 85 DEG C, the initial wettability of the pressure- The adhesion to the acrylic plate is lowered and the lifting separation occurring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can not be sufficiently suppressed.

상기 점착제층은 측정 주파수 10 ㎐ 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이 20 ℃ 에서 1.2 × 105 ∼ 8 × 106 ㎩, 85 ℃ 에서 3.2 × 104 ∼ 9 × 104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에서 1.4 × 105 ∼ 6 × 106 ㎩, 85 ℃ 에서 3.4 × 104 ∼ 8 × 104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shear storage modulus (G ') at a measurement frequency of 10 Hz of 1.2 x 10 5 to 8 x 10 6 Pa at 20 캜 and 3.2 x 10 4 to 9 x 10 4 Pa at 85 캜 and, at 20 ℃ 1.4 × 10 5 ~ 6 × 10 6 ㎩, more preferably from 85 ℃ 3.4 × 10 4 ~ 8 × 10 4 ㎩.

또한, 본 명세서 중, 측정 주파수 10 ㎐ 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이란, 아이티 계측 제어사 제조의 「DVA-200」 등의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주파수 10 ㎐, 승온 속도 5 ℃/분으로 측정한 전단 저장 탄성률 (G') 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hear storage elastic modulus (G ') at a measurement frequency of 10 Hz is measured using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such as " DVA-200 " manufactured by Haitian Instrumentation Control Co., Means the shear storage modulus (G ') measured in ° C / min.

상기 점착제층은, -25 ∼ 25 ℃ 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동일 측정 온도에 있어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 을 전단 저장 탄성률 (G') 로 나눈 산일률 (tanδ) 에 극대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maximum point at an acidity (tan?) Obtained by dividing the shear loss elastic modulus (G ") at the same measurement temperature by the shear storage modulus (G ')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 to 25 ° C desirable.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온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산일률 (tanδ) 에 극대점을 갖지 않고,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산일률 (tanδ) 이 25 ℃ 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초기 젖음성이 저하되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온도 영역에 있어서 상기 산일률 (tanδ) 에 극대점을 갖지 않고,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산일률 (tanδ) 이 -25 ℃ 미만인 경우, 점착제층이 부드러워져, 점착 테이프의 절단 가공성이 저하되고, 절단 단부의 점착제가 절단날에 부착되어 가공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oes not have a maximum point on the acid uniformity (tan?) In the temperature region and the acidity (ta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ceeds 25 占 폚, The initial wettability is lowered and the adhesion to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is lowered so that the lifting peeling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can not be suppressed.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oes not have a maximum point in the acidity (tan?) In the temperature region and the acidity (ta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25 占 폚, The cutting workability of the adhesive tape is deteriorate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t the cut end portion adheres to the cutting edge to interfere with the processing.

또한, 본 명세서 중, 「-25 ∼ 25 ℃ 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동일 측정 온도에 있어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 을 전단 저장 탄성률 (G') 로 나눈 산일률 (tanδ) 에 극대점을 갖는다」란, 아이티 계측 제어사 제조의 「DVA-200」 등의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25 ∼ 25 ℃ 에 있어서 주파수 10 ㎐, 승온 속도 5 ℃/분으로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저장 탄성률 (G') 을 측정하고, 횡축을 온도, 종축을 산일률 (tanδ) 로 하여 그래프를 작성하였을 때, -25 ∼ 25 ℃ 의 범위 내에 있어서 극대점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ximum value of the acidity (tan?) Obtained by dividing the shear loss elastic modulus (G") at the same measurement temperature by the shear storage modulus (G ')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 to 25 ° C Quot; means that the shear modulus of elasticity (G '') is measured at -25 to 25 DEG C at a frequency of 10 Hz and a temperature rising rate of 5 DEG C / min using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such as DVA- ) And a shear storage elastic modulus (G ') are measured, and graphs are prepared assuming that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temperatur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acid uniformity (tan delta).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범위이어도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착 테이프의 용도에 맞춰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30 ∼ 9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30 중량% 미만이면, 점착 테이프의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이 95 중량% 를 초과하면,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초기 젖음성이 저하되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40 ∼ 9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uitab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because the lifting peeling occurring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can be suppressed, Among them, it is preferably 30 to 95% by weight. If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30% by weight, the work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deteriorated. If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ceeds 95% by weight, the initial wett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lowered and the adhesion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is lowered, The bubble growth at the interface can not be sufficiently prevented.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ore preferably 40 to 90% by weight.

또한, 상기 겔분율은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gel fraction can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먼저,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50 ㎜ × 25 ㎜ 의 평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하여 시험편을 제조한다. 얻어진 시험편을 아세트산에틸 중에 23 ℃ 에서 24 시간 침지시킨 후, 200 메시의 스테인리스 메시를 통하여 시험편을 아세트산에틸로부터 취출하여, 11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건조시킨다. 그리고, 건조 후의 시험편의 중량을 측정하고, 하기 식 (1) 을 사용하여 겔분율을 산출한다. 또한, 시험편에 사용한 점착 테이프에는,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은 적층되어 있지 않다.First,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into a flat rectangular shape of 50 mm x 25 mm to produce a test piece. The obtained test piece was immersed in ethyl acetate at 23 占 폚 for 24 hours, and then the test piece was taken out of ethyl acetate through a 200-mesh stainless steel mesh and dried at 110 占 폚 for 1 hour. Then, the weight of the dried test piece is measured, and the gel fraction i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1). The release tape or the release film is not laminated on the adhesive tape used for the test piece.

겔분율 (중량%) = 100 × (W2 - W0)/(W1 - W0) (1)Gel fraction (% by weight) = 100 x (W 2 - W 0 ) / (W 1 - W 0 )

식 (1) 중, W0 은 기재의 중량을 나타내고, W1 은 침지 전의 시험편의 중량을 나타내고, W2 는 침지시키고 건조시킨 후의 시험편의 중량을 나타낸다. 점착 테이프가 기재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W0 = 0 이다.In the formula (1), W 0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base material, W 1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test piece before immersion, and W 2 represents the weight of the test piece after immersion and drying. When the adhesive tape has no substrate, W 0 = 0.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 5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 미만이면,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저하되어,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성장을 충분히 방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00 ㎛ 를 초과하면, 점착제 성분이 배어 나오거나 하여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 ∼ 3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to 500 탆. If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20 占 퐉,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s a low adhesive force to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and can not sufficiently inhibit the growth of bubbles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ere is a case. If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xceeds 500 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nent may leak out,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handling properties.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ore preferably 20 to 300 占 퐉.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1 % 이하이다. 상기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이 90 % 미만이거나, 상기 헤이즈값이 1 % 를 초과하거나 하면, 점착 테이프의 투명성이 저하되어, 광학 용도에 적용하기 곤란하다.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90% or more and a haze value of 1% or less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When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is less than 90% or the haze value is more than 1%, the transparenc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owers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optical applications.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첩부 (貼付) 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n adhesive tape for sticking to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박리력이 박리 속도 0.3 ㎜/분에 있어서 3 N/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력이 3 N/25 ㎜ 미만이면, 점착 테이프는 고온 조건하에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0.3 ㎜/분이라는 박리 속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을 피착체로 하였을 때의 리프팅 박리가 진행되는 현상을 평가할 때에 적합한 속도라고 본 발명자들은 생각하고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180 DEG peel force against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t a rate of 3 N / 25 mm or more at a peeling speed of 0.3 mm / min. If the peeling force is less than 3 N / 25 m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not be able to sufficiently prevent lifting peeling occurring at the interface with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think that the peeling speed of 0.3 mm / min is a suitable rate for evaluating the progress of lifting peeling when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is used as an adherend.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박리력이 박리 속도 0.3 ㎜/분에 있어서 3.2 N/2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4 N/2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180 DEG peel force on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t a peel rate of 0.3 mm / min, more preferably at least 3.2 N / 25 mm, and still more preferably at least 3.4 N / 25 mm.

또한, 본 명세서 중, 박리 속도 0.3 ㎜/분에 있어서의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박리력이란, 하기 방법에 의해 산출되는 값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180 占 peeling force for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t a peeling speed of 0.3 mm / min means a valu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method.

먼저, 점착 테이프를 25 ㎜ × 100 ㎜ 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재단한다. 재단된 점착 테이프의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킨다. 이어서,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에 두께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합한다. 또한,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 상에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을 2.0 ㎏ 의 고무 롤러를 300 ㎜/분의 속도로 일 왕복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 점착 테이프를 첩합하고, 23 ℃ 에서 24 시간 방치하여, 시험 샘플을 준비한다.First, the adhesive tape is cut to have a planar shape of 25 mm x 100 mm. One of the release 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s of the cut adhesive tape i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ubsequently,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占 퐉 is bond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The other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exposed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n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was pressed at a speed of 300 mm / min And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is adhered to the adhesive tape and left at 23 占 폚 for 24 hours to prepare a test sample.

얻어진 시험 샘플에 대해, 박리 속도 0.3 ㎜/분으로 180°방향의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얻어지는 값을 박리 속도 0.3 ㎜/분에 있어서의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박리력 (N/25 ㎜) 으로 한다.The obtained test sample was subjected to a tensile test in the direction of 180 DEG at a peeling speed of 0.3 mm / min. The obtained value was measured at 180 DEG peel force (N / mm < 2 >) against a polycarbonate plate or acrylic plate at a peeling rate of 0.3 mm / 25 mm).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기재를 갖지 않는 논서포트 타입이어도 되고,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서포트 타입이어도 된다.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f a non-support type having no substrate, or may be a support typ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ubstrate.

상기 기재는 투명성을 갖는 기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아크릴로 2 톨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등의 투명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그물 형상의 구조를 갖는 시트,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들 수 있다.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ubstrate having transparenc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ic resin, polyolefin, polycarbonate, polyvinyl chloride, acrylo 2-tolylbutadiene styrene (ABS)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sheet made of a transparent resin such as urethane or polyimide, a sheet having a net-like structure, a sheet having a hole, and the like.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두께가 2 ㎛ 미만이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강도가 부족하여, 찢어지거나 취급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가 200 ㎛ 를 초과하면, 기재의 강성이 지나치게 강해, 얻어지는 점착 테이프의 단차에 대한 추종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5 ∼ 1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 to 200 占 퐉. If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s less than 2 탆, the strength of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insufficient, resulting in tearing or difficulty in handling. If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exceeds 200 占 퐉, the rigidity of the base material is excessively strong, and the followability of the step of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deteriorated.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more preferably 5 to 100 탆.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점착제층에 적층된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을 갖고 있어도 된다.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elease paper or a release film laminat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나일론 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필름에 이형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이형 필름, 상질지나 글라신지 등의 표면 평활성이 높은 원지에 박리층을 형성하여 얻어지는 이형지 등을 들 수 있다.The releasing paper or rele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release film obtained by subjecting a synthetic resin film made of a polyester resin, a polyethylene resin, a polypropylene resin, polyvinyl chloride, nylon or the like to a release process, And releasing paper obtained by forming a release layer on a base paper having a high surface smoothness such as cloth or glaze paper.

상기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2 ∼ 12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점착 테이프의 절단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의 두께는 20 ∼ 1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의 중심선 평균 거침도 (Ra)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releasing paper or rele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2 to 125 占 퐉. If the thickness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cutting work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deteriorated. The thickness of the release paper or release film is more preferably 20 to 100 占 퐉. The center line average roughness (Ra) of the releasing paper or rele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2 탆 or less.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논서포트 타입의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도포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얻어진 점착제층 상에, 이형 처리면이 점착제층에 대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새로 준비한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을 중첩시켜 적층체를 얻은 후,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롤러 등에 의해 가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s a method for produc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of a non-support typ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to a releasing treated surface of a release paper or release film , A method of laminating a newly prepared releasing paper or release film on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o that the release-treated surface face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obtain a laminate, and then pressing the resulting laminate with a rubber roller or the like .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을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과 첩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도 5 참조). 또,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을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의 표면과 첩합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The u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when an image display apparatus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s manufactured, a protective plate for protecting the surface made of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is used as a display panel, (Refer to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display panel or the touch panel for bonding with the surface of a support made of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투명성이 높고,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터치 패널에 대한 첩합 등의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광학 용도에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은 수분을 흡수하기 쉬운 점에서, 고온 조건하에서 생성되는 아웃 가스가 원인이 되어 점착제층과의 계면에 리프팅 박리가 발생하기 쉬운데,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리프팅 박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optical applications having high transparency and requiring high transparency such as bonding to a display panel or a touch panel. In addition, since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are easy to absorb moisture, outgas generated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s apt to cause lifting peeling at the interface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lifting exfoliation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을 투명 전극에 첩부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A laminate obtained by bonding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to a transparent electrode through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상 표시 장치 등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으로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or the like and is preferably a polycarbonate used as a protective plate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or the like Plate or an acrylic plate.

상기 투명 전극으로서, 예를 들어, ITO 전극 등을 들 수 있다.As the transparent electrode, for example, an ITO electrode and the like can be given.

본 발명의 적층체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이 투명 전극에 첩부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적층체를 들 수 있다.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is past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through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example, a laminate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n be mentioned.

본 발명의 적층체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저항막식 터치 패널,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등의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resistive touch panel, a touch panel such as a capacitive touch panel, and the like.

상기 저항막식 터치 패널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판, 상부 투명 전극, 스페이서, 및 하부 투명 전극을 갖는 지지체를 이 순서대로 갖는다. 이와 같은 저항막식 터치 패널의 일례를 도 3 에 나타낸다.The resistive film touch panel has, in this order, a protective plate made of, for example,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n upper transparent electrode, a spacer, and a support having a lower transparent electrode. An example of such a resistive film touch panel is shown in Fig.

도 3 에 나타내는 저항막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2) 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판 (1) 과 상부 투명 전극 (3) 이 첩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6) 를 통하여, 지지체 (7) 와 하부 투명 전극 (5) 이 첩합되어 있다. 지지체 (7) 와 하부 투명 전극 (5) 은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의해 첩합되어 있어도 되고,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이외의 점착 테이프에 의해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지지체 (7) 와 하부 투명 전극 (5) 은 점착 테이프 이외의 방법에 의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저항막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In the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shown in Fig. 3, the protective plate 1 made of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is bonded to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3 through the adhesive tap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7 and the lower transparent electrode 5 are bond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dhesive tape 6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7 and the lower transparent electrode 5 may be bonded by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by an adhesive tape other than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7 and the lower transparent electrode 5 may be laminated by a method other than an adhesive tape. In the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shown in Fig. 3,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상기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판, 표리에 ITO 막이 막형성된 유리판, 및 지지체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의 일례를 도 4 에 나타낸다.The capacitive touch panel has, for example, a protective plate made of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 glass plate on which an ITO film is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and a support. An example of such a capacitive touch panel is shown in Fig.

도 4 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9) 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판 (8) 과 표리에 ITO 막 (10 및 12) 이 막형성된 유리판 (11) 이 첩합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13) 를 통하여, 지지체 (14) 와 표리에 ITO 막이 막형성된 유리판 (반대면) 이 첩합되어 있다. 지지체 (14) 와 표리에 ITO 막이 막형성된 유리판은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에 의해 첩합되어 있어도 되고,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 이외의 점착 테이프에 의해 첩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지지체 (14) 와 표리에 ITO 막이 막형성된 유리판은 점착 테이프 이외의 방법에 의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양면 점착 테이프이다.4, a protective plate 8 made of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nd a glass plate (a protective film) 8 on which the ITO films 10 and 12 are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respectively, through the adhesive tape 9 of the present invention 11). Further, a glass plate (opposite surface) on which an ITO film is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is bonded to the support member 14 through the adhesive tape 1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4 and the glass plate on which the ITO film is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may be bonded by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bonded by an adhesive tape other than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plate on which the support 14 and the ITO film are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may be laminated by a method other than the adhesive tape. Further, in the capacitive touch panel shown in Fig. 4,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이 높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하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hesive tape having high transparency, excellent adhesion to a polycarbonate plate and an acrylic plate, and capable of suppressing lifting peeling occurring at an interface with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tape can be provided.

도 1 은 기포 발생 상태의 평가에 있어서,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된 시험 샘플의 사진이다.
도 2 는 기포 발생 상태의 평가에 있어서,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된 시험 샘플의 사진이다.
도 3(a) 및 (b) 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판을 투명 전극에 첩부한 경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a) 및 (b) 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판을 투명 전극에 첩부한 경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보호판을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첩부한 경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 photograph of a test sample produced using 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btained in Example 1 in the evaluation of the bubble generation state.
2 is a photograph of a test sample produced using 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evaluation of the bubble generation state.
3 (a) and 3 (b)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that schematically show one example in which a protective plate made of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is attached to a transparent electrode through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and 4 (b)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that schematically show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protective plate made of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is attached to a transparent electrode through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ase where a protective plate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양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1)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1) Production of double-sided adhesive tape

온도계, 교반기,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 내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9.3 중량부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와 아크릴산 0.5 중량부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0.2 중량부와 이들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세트산에틸 1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질소 치환시킨 후, 반응기를 가열하여 환류를 개시하였다. 이어서,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의 중합 개시제로서의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를 5 중량부의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키고, 얻어진 중합 개시제 용액을 상기 반응기 내에 2 시간에 걸쳐 적하 첨가하였다. 그 후, 70 ℃ 에서 중합 개시제의 첨가 개시부터 8 시간 환류시켜, 고형분 50 % 의 아크릴 공중합체 용액을 얻었다.89.3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1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acrylate, 0.5 part by weight of acrylic acid, 0.2 part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and 100 parts by weight of these monomers were mixed in a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 10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was added, and after nitrogen replacement, the reactor was heated to initiate reflux. Next, 0.2 part by weight of t-hexyl peroxy pival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diluted with 5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and the resulting polymerization initiator solution was added dropwise to the reactor over 2 hours. Thereafter, the solution was refluxed at 70 캜 for 8 hours from the start of the addition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obtain an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50%.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에 대해, 열분해 장치 (프론티어·래버러토리사 제조, 더블 샷 파이롤라이저), GC-MS 장치 (니혼 전자사 제조, Q-1000GC), FT-IR (Thermo Fisher Scientific 사 제조, NICOLET6700) 및 NMR (니혼 전자사 제조, JNM-ECA400) 을 사용하여,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 (중량%) 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구성 단위의 비율 (중량%) 을 표 1 에 나타냈다.IR (Thermo Fisher Scientific Co., Ltd.), GC-MS apparatus (manufactured by Nippon Denki Co., Ltd., Q-1000GC), Pyrolysis apparatus (Double Shot Pyrolizer manufactured by Frontier Laboratories Co., Ltd.) (Weight%) of the constituent units derived from each monomer constituting the acrylic copolymer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NICOLET6700) and NMR (JNM-ECA400, manufactured by NIHON Electronics Co., Ltd.). The ratio (% by weight) of the constituent units obtained is shown in Table 1.

또,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에 대해, 칼럼으로서 Waters 사 제조의 「2690 Separations Model」을 사용하여 GPC 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50 만이었다.The obtained acrylic copolymer ha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0 as measured by a GPC method using a "2690 Separations Model" manufactured by Waters Corporation as a column in terms of polystyrene.

얻어진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가교제로서 코로네이트 HX (닛폰 폴리우레탄사 제조) 를 0.5 중량부 첨가하고, 교반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얻어진 점착제층 상에, 이형 처리면이 점착제층에 대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새로 준비한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중첩시켜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롤러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양면에 첩부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0.5 part by weight of Coronate HX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as a crosslinking agent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obtained acrylic copolymer and stirred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us obtained was applied to th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release-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newly prepared release-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superimposed 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o that the release- To obtain a laminate. The resulting laminate was pressed with a rubber roller to obtain a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n which a releasab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attached to both surfaces.

(2) 겔분율의 측정(2) Measurement of gel fraction

양면 점착 테이프를 50 ㎜ × 25 ㎜ 의 평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단하여 이형지 또는 이형 필름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시험편을 제조하고, 제조된 시험편의 중량 W1 을 측정하였다. 시험편을 아세트산에틸 중에 23 ℃ 에서 24 시간 침지시킨 후, 200 메시의 스테인리스 메시를 통하여 시험편을 아세트산에틸로부터 취출하여, 11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시험편의 중량 W2 를 측정하고, 식 (1) 에 의해 겔분율을 산출하였다.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cut into a flat rectangular shape of 50 mm x 25 mm to prepare a test piece having no release paper or release film laminated, and the weight W 1 of the produced test piece was measured. The test piece was immersed in ethyl acetate at 23 DEG C for 24 hours, and then the test piece was taken out of ethyl acetate through a 200-mesh stainless steel mesh and dried at 110 DEG C for 1 hour. The weight W 2 of the test piece after drying was measured, and the gel fraction was calculated by the formula (1).

(3)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의 측정(3) Measurement of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haze valu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양면 점착 테이프를 슬라이드 유리 (상품명 「S-1214」, MATSUNAMI 사 제조) 에 첩합하여, 점착제층/슬라이드 유리의 층 구조를 갖는 시험편을 제조하고, 그 시험편의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 (%) 을 헤이즈미터 (전자동 헤이즈미터 「TC-HIIIDPK」, 도쿄 전색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laminated on a slide glass (trade name: "S-1214", manufactured by MATSUNAMI) to prepare a test piec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slide glass layer structure.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The haze value (%) was measured using a haze meter (automatic haze meter " TC-HIIIDPK ", manufactured by Tokyo Electron Co., Ltd.).

(4) 점착력의 측정(4) Measurement of adhesive force

양면 점착 테이프를 25 ㎜ × 100 ㎜ 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재단하였다. 재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켰다. 이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을 첩합하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폴리카보네이트판 (PC 판) 상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을 첩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PC 판) 상에 양면 점착 테이프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 샘플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적층 샘플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2.0 ㎏ 의 고무 롤러를 얹고, 300 ㎜/분의 속도로 고무 롤러를 일 왕복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PC 판) 과 양면 점착 테이프를 첩합하고, 23 ℃ 에서 20 분간 방치하여, 시험 샘플을 준비하였다.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cut to have a planar shape of 25 mm x 100 mm. One of the release 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s of the cut double-sided adhesive tape wa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n, the exposed side of the double-faced adhesive tape was bonded onto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Further, the other one-side releasab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peeled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is stuck on the polycarbonate plate (PC plate) A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ere stacked in this order to obtain a laminated sample. Thereafter, a 2.0 kg rubber roller was placed on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f the obtained laminated sample, and a polycarbonate plate (PC plate) and a double-faced adhesive tape were laminated by making one round trip of the rubber roller at a speed of 300 mm / And then left at 23 DEG C for 20 minutes to prepare a test sample.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판 (PC 판) 대신에 아크릴판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시험 샘플을 준비하였다.A test sample was similarly prepared using an acrylic plate instead of the polycarbonate plate (PC plate).

얻어진 시험 샘플에 대해, JIS Z 0237 에 준하여, 박리 속도 300 ㎜/분으로 180°방향의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점착력 (N/25 ㎜) 을 측정하였다.The obtained test sample was subjected to a tensile test in the direction of 180 DEG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according to JIS Z 0237 to measure the adhesive force (N / 25 mm).

(5) 기포 발생 상태 (내발포성 시험)(5) Bubbling state (foam resistance test)

양면 점착 테이프를 45 ㎜ × 60 ㎜ 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재단하였다. 재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켰다. 이어서, 두께가 0.5 ㎜ 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을 첩합하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두께가 2.0 ㎜ 인 평면 형상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판 (PC 판) 상에 양면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을 첩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PC 판) 상에 양면 점착 테이프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는 적층 샘플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적층 샘플을 온도 85 ℃ 의 조건, 또는 온도 60 ℃ 또한 상대 습도 (RH) 90 % 의 조건으로 500 시간 가만히 정지시켜, 시험 샘플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 샘플의 접착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발생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cut to have a planar shape of 45 mm x 60 mm. One of the release 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s of the cut double-sided adhesive tape wa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n, the exposed surface of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was bonded onto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0.5 mm. Further, the other one-side releasab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f 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exposed face of 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n the polycarbonate plate (PC plate) A laminated sample in which a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on a polycarbonate plate (PC plate) was obtained. Thereafter, the resultant laminated sample was stopped for 500 hour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85 캜, a temperature of 60 캜 and a relative humidity (RH) of 90% to obtain a test sample. The state of bubble formation at the bonding interface of the obtained test sample was visually observed.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전혀 관찰되지 않은 경우를 「○」로,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1 개의 시험 샘플당 1 ∼ 5 개 관찰된 경우를 「△」로,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1 개의 시험 샘플당 6 개 이상 관찰된 경우를 「×」로 하여, 기포 발생 상태를 평가하였다.A case where no bubble having a size of 0.01 mm or more was observed at all, a case where 1 to 5 bubbles having a size of 0.01 mm or more was observed per one test sample was defined as " The case where six or more samples were observed per one test sample was evaluated as " x ", and the state of bubble formation was evaluated.

또한, 도 1 에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전혀 관찰되지 않은 실시예 1 의 시험 샘플의 사진을, 도 2 에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6 개 관찰된 비교예 1 의 시험 샘플의 사진을 나타낸다.1 shows a photograph of a test sample of Example 1 in which no bubbles having a size of 0.01 mm or more were observed at all and FIG. 2 shows a photograph of a test sample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six bubbles having a size of 0.01 mm or more were observed .

(실시예 2 ∼ 15 및 비교예 1 ∼ 6)(Examples 2 to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아크릴 공중합체의 모노머 조성을 변경함으로써, 표 1 또는 2 에 나타내는 구성 단위의 비율 (중량%) 을 갖는 아크릴 공중합체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고,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A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proportion (weight%) of constituent units shown in Table 1 or 2 was obtained by changing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acrylic copolymer, Respectively.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3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3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4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4

(실시예 16 ∼ 21 및 비교예 7 ∼ 10)(Examples 16 to 21 and Comparative Examples 7 to 10)

(1) 양면 점착 테이프의 제조(1) Production of double-sided adhesive tape

아크릴 공중합체의 모노머 조성 및 가교제의 첨가량을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A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onomer composition of the acrylic copolymer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3.

(2) 겔분율의 측정(2) Measurement of gel fraction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겔분율을 산출하였다.The gel fraction was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3)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의 측정(3) Measurement of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haze valu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the haze value in the visible light wavelength region were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4)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박리력의 측정(4) Measurement of 180 ° peel force on polycarbonate plate or acrylic plate

양면 점착 테이프를 25 ㎜ × 100 ㎜ 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재단하였다. 재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켰다. 이어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에 두께 5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합하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 상에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을 2.0 ㎏ 의 고무 롤러를 300 ㎜/분의 속도로 일 왕복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 양면 점착 테이프를 첩합하고, 23 ℃ 에서 24 시간 방치하여, 시험 샘플을 준비하였다.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cut to have a planar shape of 25 mm x 100 mm. One of the release 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s of the cut double-sided adhesive tape wa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50 占 퐉 was bond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Further, the other one-side relea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n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was coated with a rubber roller of 2.0 kg /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nd a double-faced adhesive tape were laminated and allowed to stand at 23 占 폚 for 24 hours to prepare a test sample.

얻어진 시험 샘플에 대해, 박리 속도 0.3 ㎜/분으로 180°방향의 인장 시험을 실시하고, 박리 속도 0.3 ㎜/분에 있어서의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박리력 (N/25 ㎜) 을 측정하였다.The obtained test sample was subjected to a tensile test in the direction of 180 DEG at a peeling rate of 0.3 mm / min and the 180 DEG peel force (N / 25 mm) against the polycarbonate plate or acrylic plate at the peeling rate of 0.3 mm / Were measured.

(5) 점착제층의 전단 탄성률 측정(5) Measurement of shear modulu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양면 점착 테이프를 중첩시킴으로써 두께 1 ㎜ 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얻었다. 얻어진 양면 점착 테이프의 20 ℃ 및 85 ℃ 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을,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아이티 계측 제어사 제조, DVA-200) 에 의해 주파수 10 ㎐, 승온 속도 5 ℃/분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25 ∼ 25 ℃ 에 있어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저장 탄성률 (G') 을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아이티 계측 제어사 제조, DVA-200) 에 의해 주파수 10 ㎐, 승온 속도 5 ℃/분으로 측정하고, 횡축을 온도, 종축을 산일률 (tanδ) 로 하여 그래프를 작성하고, -25 ∼ 25 ℃ 의 범위 내에 있어서 극대점을 갖는지의 여부에 대해 판정하였다.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superimposed to obtain a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a thickness of 1 mm. The front end storage elastic modulus (G ') of the obtained double-sided adhesive tape at 20 ° C and 85 ° C was measured at a frequency of 10 Hz and a heating rate of 5 ° C / min by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apparatus (DVA-200, Respectively. The shear modulus of elasticity (G '') and the shear modulus of elasticity (G ') at -25 to 25 ° C were measured by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DVA-200, A graph was prepared with the horizontal axis as the temperature and the vertical axis as the acid flatness (tan?) At 5 占 폚 / min, and it was judged whether or not the maximum points were within the range of -25 to 25 占 폚.

또한, 표 3 에 -25 ∼ 25 ℃ 의 범위 내에 극대점을 갖는 경우에는 그 온도를 기재하고, 극대점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무」라고 기재하였다.In Table 3, when the maximum point is within the range of -25 to 25 ° C, the temperature is described, and when there is no maximum point, "no" is described.

(6) 기포 발생 상태 (내발포성 시험)(6) Bubbling state (foam resistance test)

양면 점착 테이프를 45 ㎜ × 60 ㎜ 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재단하였다. 재단된 양면 점착 테이프의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켰다. 이어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에 두께 0.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합하였다. 또한, 양면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방의 이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노출시키고, 두께가 2.0 ㎜ 인 평면 형상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 상에 점착 테이프의 노출된 면을 2.0 ㎏ 의 고무 롤러를 300 ㎜/분의 속도로 일 왕복시킴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 양면 점착 테이프를 첩합하고, 60 ℃, 0.5 ㎫ 의 오토클레이브에서 20 분간 처리하여, 시험 샘플을 준비하였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cut to have a planar shape of 45 mm x 60 mm. One of the release 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s of the cut double-sided adhesive tape wa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0.5 mm was bond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urther, the other one-side releasab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peeled off to expo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exposed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n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having a planar shape of 2.0 mm in thickness, ,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and a double-faced adhesive tape were bonded to each other and treated in an autoclave at 60 占 폚 and 0.5 MPa for 20 minutes to prepare test samples.

얻어진 시험 샘플에 대해,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하여 온도 85 ℃ 의 조건, 또는 온도 60 ℃ 또한 상대 습도 (RH) 90 % 의 조건으로 500 시간 가만히 정지시켜, 접착 계면에 있어서의 기포 발생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With respect to the obtained test sample, the polycarbonate plate and the acrylic plate were kept still at a temperature of 85 占 폚 or at a temperature of 60 占 폚 and a relative humidity (RH) of 90% for 500 hours, And observed with naked eyes.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전혀 관찰되지 않은 경우를 「○」,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1 개의 시험 샘플당 1 개 관찰된 경우를 「○ ∼ △」,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1 개의 시험 샘플당 2 ∼ 5 개 관찰된 경우를 「△」, 0.01 ㎜ 이상의 크기의 기포가 1 개의 시험 샘플당 6 개 이상 관찰된 경우를 「×」로 하여 리프팅 박리 상태를 평가하였다.A case where no bubble having a size of 0.01 mm or more was observed at all, a case where one bubble with a size of 0.01 mm or more was observed per one test sample was defined as "Quot;, and " x " when six or more bubbles having a size of 0.01 mm or more were observed per one test sample were evaluated.

(7) 절단 가공성 시험 (양면 점착 테이프 단면의 상태)(7) Cutting workability test (state of double-sided adhesive tape section)

양면 점착 테이프에 대해, 커터날을 사용하여 타발 작업을 40 회 실시하고, 커터날에 점착제가 부착됨으로써 발생하는 날 오염, 및 타발 작업시에 있어서의 점착제의 코브웨빙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as subjected to a punching operation 40 times using a cutter blade, the blade contamination caused by the attachm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the cutter blade, and the coving webbing phenomenon of the pressure-

점착제가 부착됨으로써 발생하는 날 오염이 관찰되지 않고, 점착제의 코브웨빙 현상도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 날 오염은 다소 관찰되지만, 코브웨빙 현상은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 날 오염이 관찰되고 또한 코브웨빙 현상도 관찰되는 경우를 「×」로 하여 절단 가공성을 평가하였다.The case where the coved webbing phenomen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not observed was evaluated as "? &Quot;, the case where blade contamination was observed but the coved webbing phenomenon was not observed was indicated as " Was observed and a coving webbing phenomenon was also observed was evaluated as " x ", and the cutting workability was evaluated.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5
Figure 112012012118639-pct00005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이 높고,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아크릴판에 대한 점착력이 우수하여, 고온 조건하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과의 계면에 발생하는 리프팅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dhesive tape having high transparency, excellent adhesion to a polycarbonate plate and an acrylic plate, and capable of suppressing lifting peeling occurring at an interface with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min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tape can be provided.

1 : 보호판
2 : 점착 테이프
3 : 상부 투명 전극
4 : 스페이서
5 : 하부 투명 전극
6 : 점착 테이프
7 : 지지체
8 : 보호판
9 : 점착 테이프
10 : ITO 막
11 : 유리판
12 : ITO 막
13 : 점착 테이프
14 : 지지체
15 : 보호판
16 : 점착 테이프
17 : 화상 표시 장치
1: Shield plate
2: Adhesive tape
3: upper transparent electrode
4: Spacer
5: Lower transparent electrode
6: Adhesive tape
7: Support
8: Shield plate
9: Adhesive tape
10: ITO film
11: Glass plate
12: ITO film
13: Adhesive tape
14: Support
15: Shield plate
16: Adhesive tape
17: Image display device

Claims (17)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테이프로서,
상기 공중합체는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분자 내에 수산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고,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15 중량부 이상 55 중량부 이하이고,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30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미만이고,
상기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서 차지하는 상기 분자 내에 수산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은 0 중량부 초과 20 중량부 이하이고,
점착 테이프를 슬라이드 유리에 첩합하여 제작한 점착제층/슬라이드 유리의 층 구조를 갖는 시험편에 대해서, 헤이즈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한 가시광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광선 투과율이 90 % 이상이고 또한 헤이즈값이 1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화학식 1]
Figure 112017038939611-pct00013

일반식 (1) 중,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3 ∼ 1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2 의 알킬기의 수소 원자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copolymer,
The copolymer is a copolymer comprising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a molecule and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The ratio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n the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not less than 15 parts by weight and not more than 55 parts by weight,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the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3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85 parts by weight,
The ratio of the constitution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n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n the molecule of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is 0 to 20 parts by weight,
A test piece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slide glass layer structure produced by sticking an adhesive tape to a slide glass was measured for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90% or more in a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measured with a haze meter and a haze value of 1 % Or less.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7038939611-pct00013

In the general formula (1), R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 methyl group, and R 2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3 to 14 carbon atoms. The hydrogen atom of the alkyl group of R 2 may be substituted with a cycloalkyl group.
제 1 항에 있어서,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는 이소보르닐기를 갖는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a monomer having an isobornyl group.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분자 내에 비시클로 고리 구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nomer having a bicyclo ring structure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s a monomer having a (meth) acryloyl group.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는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having a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s at least one (meth) acrylat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ethylhexyl (meth) acrylate, octyl (meth) acrylate and butyl Methacrylic acid ester monom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추가로, 분자 내에 카르복실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알데히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극성기와 1 개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polymer is further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t least one polar group and one olefinic double bo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arboxyl group, an amide group, an amino group, an epoxy group, an aldehyde group and an isocyanate group in the molecule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 만 ∼ 150 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0 to 1,500,00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crosslink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and an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제 7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는 각각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지방족 에폭시계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d the epoxy crosslinking agent are an aliphatic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d an aliphatic epoxy crosslinking agent, respective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측정 주파수 10 ㎐ 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이 20 ℃ 에서 1 × 105 ∼ 1 × 107 ㎩, 85 ℃ 에서 3 × 104 ∼ 1 × 105 ㎩ 이고, 또한 -25 ∼ 25 ℃ 의 온도 영역에 있어서, 동일 측정 온도에 있어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 을 전단 저장 탄성률 (G') 로 나눈 산일률 (tanδ) 에 극대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d a shear storage modulus (G ') at a measurement frequency of 10 Hz of 1 x 10 5 to 1 x 10 7 Pa at 20 캜, 3 x 10 4 to 1 x 10 5 Pa at 85 캜, (T) obtained by dividing the shear modulus of elasticity (G '') at the same measurement temperature by the shear storage modulus (G ')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 ° C to 25 ° C.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겔분율이 30 ∼ 9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gel fraction of 30 to 95% by weigh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두께가 20 ∼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20 to 500 占 퐉.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첩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제 12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에 대한 180°박리력이 박리 속도 0.3 ㎜/분에 있어서 3 N/2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180 ° peel force on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is 3 N / 25 mm or more at a peeling rate of 0.3 mm / min.
제 5 항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추가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에폭시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가교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crosslink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and an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점착 테이프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을 투명 전극에 첩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A laminate obtained by bonding a polycarbonate plate or an acrylic plate to a transparent electrode through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 15 항에 있어서,
폴리카보네이트판 또는 아크릴판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olycarbonate plate or the acrylic plate is a protective plate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제 16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6.
KR1020127003971A 2009-07-16 2010-07-16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8004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7775 2009-07-16
JPJP-P-2009-167775 2009-07-16
JPJP-P-2009-205969 2009-09-07
JP2009205969 2009-09-07
JPJP-P-2009-292078 2009-12-24
JP2009292078 2009-12-24
PCT/JP2010/062048 WO2011007861A1 (en) 2009-07-16 2010-07-16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021A KR20120039021A (en) 2012-04-24
KR101800470B1 true KR101800470B1 (en) 2017-11-22

Family

ID=4344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971A KR101800470B1 (en) 2009-07-16 2010-07-16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1007861A1 (en)
KR (1) KR101800470B1 (en)
CN (2) CN104277745A (en)
TW (1) TWI478997B (en)
WO (1) WO201100786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3247A1 (en) * 2011-06-17 2012-12-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Transparent adhesive tape, film laminate with metal thin film, cover panel-touch panel module laminate, cover panel-display panel module laminate, touch panel module-display panel modul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TWI475085B (en) * 2011-07-19 2015-03-01 Lg Chemical Ltd Touch panel
KR20130131795A (en) * 2012-05-24 2013-12-04 (주)엘지하우시스 Adhesive composition having enhanced flexibility
JP2014189778A (en) * 2013-03-28 2014-10-06 Lintec Corp Double-sided tacky sheet and coiled body
KR101687066B1 (en) * 2013-06-19 2016-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1692108B1 (en) * 2013-06-19 2017-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6367598B2 (en) * 2013-11-22 2018-08-01 日東電工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sheet
CN104650758B (en) * 2013-11-22 2020-12-08 日东电工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sheet
JP6350546B2 (en) * 2013-12-09 2018-07-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High hardness film
KR20160104613A (en) * 2013-12-27 2016-09-05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Optical adhesive, optical adhesive tape, and layered body
JP6456717B2 (en) * 2014-03-31 2019-01-23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Adhesive tape
JP6341889B2 (en) * 2015-07-06 2018-06-13 綜研化学株式会社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light-shielding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light-shielding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mber, and image display device
TWI712667B (en) * 2015-09-01 2020-12-11 日商琳得科股份有限公司 Adhesive sheet
JP6787900B2 (en) * 2015-09-01 2020-11-1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Adhesive sheet
JP2017082094A (en) * 2015-10-28 2017-05-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KR20180077186A (en) * 2015-10-30 2018-07-06 주식회사 쿠라레 Injection molding composites and decorative sheets, and methods of making them
JP6974405B2 (en) * 2016-08-18 2021-1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Meta) Acrylic adhesives and adhesive tapes
JP6585563B2 (en) * 2016-08-18 2019-10-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Meth) acrylic adhesive
JP6443590B1 (en) * 2017-02-28 2018-12-2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Adhesive tape for processing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TWI725785B (en) * 2020-03-19 2021-04-21 碩正科技股份有限公司 Protective sheets for semiconductor wafer
KR20220138554A (en) * 2021-04-05 2022-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dhesive composition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061A (en) * 2003-07-25 2005-02-17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member, adhesive layer for optical member, adhesion type optical memb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mage-display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3658B1 (en) * 1996-02-26 2000-11-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Graphic marking film comprising pressure sensitive adhesive
EP1245656A1 (en) * 2001-03-30 2002-10-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E10234246A1 (en) * 2002-07-27 2004-02-05 Tesa Ag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for bonding transparent substrates, e.g. in liquid crystal displays and other optical applications, comprises block copolymers with blocks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JP4521520B2 (en) * 2003-08-06 2010-08-11 綜研化学株式会社 Adhesive for low polarity film
JP2006011523A (en) * 2004-06-22 2006-01-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Touch panel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061A (en) * 2003-07-25 2005-02-17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member, adhesive layer for optical member, adhesion type optical memb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mage-display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9400A (en) 2011-03-16
CN102471657B (en) 2014-09-17
KR20120039021A (en) 2012-04-24
TWI478997B (en) 2015-04-01
WO2011007861A1 (en) 2011-01-20
CN104277745A (en) 2015-01-14
JPWO2011007861A1 (en) 2012-12-27
CN102471657A (en)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470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938894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members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optical members
TWI424036B (en) Adhesive, both sides of the adhesive film and display device
JP4521520B2 (en) Adhesive for low polarity film
KR101796142B1 (en) adhesion composition, adhesive, and adhesion sheet
JP5841536B2 (en) Transparent adhesive tape, film laminate with metal thin film, cover panel-touch panel module laminate, cover panel-display panel module laminate, touch panel module-display panel module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EP2557486B1 (en) Adhesive film for a touch panel, and touch panel
EP2557135B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US20130236674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20180113492A (en) Adhesive Tape, Adhesive Tape for fixing electronic parts and transparent adhesive tape for optical
JP6344929B2 (en)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optical laminate
KR20130135157A (en) Pressure sensitive adhsive composition
KR20160055105A (en) Adhesive sheet for electronic devices
JP2008255253A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abrasive
JP2010065095A (en) Self-adhesiv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display
KR100385720B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having improved rework property and laminates coated therewith
KR20160104613A (en) Optical adhesive, optical adhesive tape, and layered body
JPH09302321A (en)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JPWO2004099334A1 (en) Adhesive for optical member and laminate
JP5837966B2 (en) Adhesive tape
CN109852267B (en) Adhesive sheet
CN107057586B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optical laminate and electronic device
JP2015040215A (en) Tacky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nd tacky-adhesive tape for touch panel
JP6235346B2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tape and laminate
US20140329083A1 (en) Adhesive film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