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599B1 -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rolling of view finder - Google Patents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rolling of view fi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599B1
KR101799599B1 KR1020110123409A KR20110123409A KR101799599B1 KR 101799599 B1 KR101799599 B1 KR 101799599B1 KR 1020110123409 A KR1020110123409 A KR 1020110123409A KR 20110123409 A KR20110123409 A KR 20110123409A KR 101799599 B1 KR101799599 B1 KR 10179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ewfinder
evf
main bod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9553A (en
Inventor
마사츠구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26,939 priority Critical patent/US8773568B2/en
Publication of KR20120069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5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04Viewfinders of direct vision type, e.g. frame, sighting ma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Viewfinder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뷰 파인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EVF에 표시시키는 화상의 종류, 양 및 표시 방법의 선택 자유도를 높이고, 게다가 종래에는 없는 새로운 이용 용도를 제공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고,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접안부를 가지고 상기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파인더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파인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operability of a viewfind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bility for this purpose and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in selecting the type, amount, and display method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EVF, An image pickup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signal, and a plurality of finders having an eyepiece section and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operability of the finder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뷰 파인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장치 및 그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ROLLING OF VIEW FIND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operability of a viewfinder,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접안부를 가지고 상기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파인더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뷰 파인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n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an image of a subject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and a finder having an eyepiece and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ickup apparatus for improving operability of a viewfinder, It is about the method.

일반적인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화상신호를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접안 타입의 전자 뷰 파인더(이하, EVF라고도 한다) 및 비접안 타입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이하, LCD라고도 한다)를 구비한다. Conventional imaging apparatuses include imaging means for imaging an object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an eyepiece electronic viewfind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n EVF) and an incoheren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Quot;).

이와 같은 촬상 장치는 LCD에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EVF에 그 화상의 일부를 확대 표시하여 LCD의 등배화상으로 구도를 확인하거나 EVF의 확대 화상으로 핀트가 맞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Such an image pickup apparatus displays an image on an LCD, enlarges and displays a part of the image on the EVF, confirms the composition with an even-numbered image on the LCD, or confirms whether or not the image is focused on the EVF enlarged image.

이와 같이 LCD 및 EVF의 화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로부터 얼굴을 가까이 하거나 멀리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order to confirm the images of the LCD and the EVF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close or distant the face from the camera, so that the operability is poor.

또한, EVF는 LCD의 보조적 역할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활용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EVF is used as an auxiliary role of LC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fully utiliz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EVF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operability of the EVF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뷰 파인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접안부를 가지고 상기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파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ing apparatus for improving operability of a viewfinder, comprising: an imaging device for imaging an object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And a finder.

또한, 본 발명은 뷰 파인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 장치 본체에 구비되어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 수단과, 접안부를 가지고 상기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파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 본체에서 착탈이 가능하고, 상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 본체와 분리된 경우, 상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 본체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ing apparatus for improving operability of a viewfinder, comprising: imaging means provided in an imaging apparatus main body for imaging an object to output an image signal; Wherein when the finder is detachable from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and the finder is detached from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the finder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Is received.

한편, 본 발명은 뷰 파인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파인더를 통해서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ing method for improving operability of a viewfinder, comprising the steps of capturing an object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and displaying an image through a plurality of finders based on the image signal .

또한, 본 발명은 뷰 파인더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촬상 방법에 있어서, 촬상 수단이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파인더가 촬상 장치 본체에서 착탈이 가능하고, 상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 본체와 분리된 경우 상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 본체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ing method for improving operability of a viewfinder, comprising the steps of: capturing an image of a subject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When the find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image sensing apparatus,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image sensing apparatus and receiving the image signal.

본 발명은 복수의 파인더를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EVF에 표시시키는 화상의 종류, 양 및 표시 방법의 선택 자유도를 높이고, 종래에는 없는 새로운 이용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operability by allowing a plurality of viewfinder to be detachable, and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selecting the type, amount, and display method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EVF, and can provide a new use without co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일측 EVF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LCD에 구비된 조작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rear view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EVF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area provided in the LCD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unnecessarily obscure.

촬상 장치(100)는 직방체형상의 촬상 장치 본체(110)을 구비한다. 촬상 장치 본체(110)의 정면에는 촬상 광학계(10)가 구비되고, 촬상 장치 본체(110)의 내부에는 촬상 소자(20)가 수용된다.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An imaging optical system 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maging apparatus main body 110 and an imaging element 20 is accommodated in the imaging apparatus main body 110.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배면도를 나타낸다.1 is a rear view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 본체(110)의 배면에는 복수의 제1 EVF(30), 제2 EVF(31), LCD(40) 및 제1 조작부(50)를 포함된다.1, a plurality of first EVFs 30, a second EVF 31, an LCD 40, and a first operation unit 50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Fig. 2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촬상 광학계(10)은 후술하는 촬상 소자(20) 위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다.The imaging optical system 10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for imaging a subject image on an imaging device 20 to be described later.

촬상 소자(20)는, 촬상 광학계(10)에 의해 형성되는 피사체상을 수광면에 결상시켜서 피사체를 촬상한 후 화상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The image pickup element 20 forms an image of an object formed by the imaging optical system 10 on a light receiving surface to image an object and outputs an image signal. The image pickup element 20 may be a CCD (Charge-Coupled Device) (Complementary Metal Semiconductor) image sensor.

복수의 제1 EVF(30), 제2 EVF (31)(전자 뷰 파인더, Electronic View Finder)는, 촬상자가 접안하는 제1 접안부(30a) 및 제2 접안부(31a)와, 상기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화면(30b) 및 제2 표시 화면(3lb)을 구비한다. The plurality of first EVF 30 and second EVF 31 (electronic view finder) are provided with a first eyepiece portion 30a and a second eyepiece portion 31a which the image capturing person rides on, And a first display screen 30b and a second display screen 31b for displaying an image.

제1 접안부(30a), 제2 접안부(31a)는 주위의 광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표시 화면(30b), 제2 표시 화면(3lb)의 주연부(周緣部)에서 돌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아이 컵을 구비한다. The first eyepiece portion 30a and the second eyepiece portion 31a protrude from the periphery of the first display screen 30b and the second display screen 31b in order to prevent intrusion of ambient light. And an eyecup made of an elastic member.

또한, 제1 접안부(30a), 제2 접안부(31a)는, 촬상자가 접안한 것을 검지하는 접안검지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EVF(30), 제2 EVF(31)에 관해서는 후술한다.The first eyepiece portion 30a and the second eyepiece portion 31a are provided with a eyepiec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at the image capturing person rides on the eyepiece. Here,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will be described later.

LCD(40)(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은 접안부를 가지지 않고,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1 EVF(30), 제2 EVF(31)의 화면 사이즈는 LCD(40)의 화면 사이즈보다도 작은 것이다.The LCD 40 (liquid crystal display) does not have an eyepiece and displays an image based on an image signal. The screen size of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is smaller than the screen size of the LCD 40. [

제1 조작부(50)는, 촬상자가 각종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조작부(50)의 일 예로서는 예를 들어, 촬상자가 촬상 동작 개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셔터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절환하는 전원 버튼, 광학 줌이나 디지털 줌의 확대 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줌 버튼, 정지화 촬상 모드, 동화 촬상 모드 및 화상재생 모드 등을 절환하는 모드 절환 버튼, 각종 설정 등을 변경하는 메뉴 버튼, 피사체에 대하여 촬상 광학계(10)를 상하 좌우로 기울이는 틸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작부(50)는 촬상 장치 본체(110)의 배면뿐만 아니라 상면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The first operation unit 50 is for the image pickup operator to input various operation commands. As an example of the first operation unit 50, for example, a shutter button for inputting an image pickup operation start command by a photographer, a power button for switching on / off of the power supply, a magnification ratio of optical zoom or digital zoom A zoom button, a mode switching button for switching a still image pickup mode, a moving image pickup mode, and an image playback mode, a menu button for changing various settings, and a tilt button for tilting the imaging optical system 10 to the subject . The first operation section 5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s well as the back surface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여기에서, 촬상 장치(100)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촬상 장치(100)에 있어서, 피사체는 렌즈 등의 촬상 광학계(10)에 의해, CCD 등과 같은 촬상 소자(20) 위에 결상된다. 촬상 소자(2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신호 처리부(60)로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In the imaging apparatus 100, an object is imaged on an imaging element 20 such as a CCD by an imaging optical system 10 such as a lens. The image pickup device 20 picks up an image of a subject and outputs an image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60.

신호 처리부(60)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기억부(61)의 소정 영역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화상(베이어 배열 원화상)이 보존된다. 이러한 베이어 배열 원화상은 화상 처리부(62)에 의해, RGB 화상으로 변환 처리되거나, JEPG 형식 등과 같은 소정형식으로 부호화되거나, 화이트 밸런스 보정 및 γ보정 등과 같은 각종 보정이 수행되어 SD 카드 등과 같은 기록 미디어(63)에 보존된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60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n image (Bayer array original imag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orage unit 61. The Bayer arrangement original image is converted into an RGB image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62, or is encoded in a predetermined format such as JEPG format, or various corrections such as white balance correction and gamma correction are performed and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n SD card (63).

표시부(70)는 화상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70 displays an imag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일측 EVF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EVF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의 표시부(70)가 복수의 제1 EVF(30), 제2 EVF(31)를 구비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display unit 70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1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VFs 30 and a plurality of second EVFs 31. [

복수의 제1 EVF(30), 제2 EVF(31)는 촬상 장치 본체(110)에서 착탈 가능한 제1 EVF(30)(여기에서는 촬상 장치 본체(110)의 배면을 향해서 좌측의 EVF)와, 촬상 장치 본체(110)에 고착한 제2 EVF(31)(여기에서는 촬상 장치 본체(110)의 배면을 향해서 우측의 EVF)이다.The plurality of first EVFs 30 and the second EVFs 31 include a first EVF 30 (in this case, an EVF on the left side toward the back side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detachable from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And a second EVF 31 (here, EVF on the right side toward the back side of the imaging apparatus main body 110) fixed to the imaging apparatus main body 110.

제1 EVF(30)를 촬상 장치 본체(110)에 부착한 상태는 제1 EVF(30) 및 제2 EVF(31)의 제1 표시 화면(30b), 제2 표시 화면(3lb)의 수평높이가 일치하도록 나열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제1 EVF(30)과 제2 EVF(31)과의 위치 관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EVF 30 is attached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display screen 30b of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display screen 30b of the second EVF 31 and the horizontal height of the second display screen 31b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can be changed.

구체적으로 촬상 장치 본체(110)의 배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목부(도시 생략. 여기에서는 오목홈)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에 제1 EVF(30)에 구비된 볼록부를 끼우고, 촬상 장치 본체(110)에 제1 EVF(30)의 부착 위치를 변경 가능(여기서는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접속한다. 이에 의해서, 제1 EVF(30)과 제2 EVF(31)의 거리를 촬상자의 양안의 간격에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촬상자가 각 제1 EVF(30), 제2 EVF(31)를 동시에 들여다볼 수 있다.Specifically, one or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not shown, here, concave grooves) ar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The convex portions provided in the first EVF 30 are fitted in the concave portion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first EVF 30 is connected to the apparatus main body 110 so as to be changeable (slidable here). Thereby,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can be matched with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image pickup device, the image pickup device can simultaneously see each of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

제1 EVF(30)를 촬상 장치 본체(1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제1 EVF(30)는 촬상 장치 본체(11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화상신호를 접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EVF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ceive image signals by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VF 30 is separated from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

구체적으로 제1 EVF(30) 및 촬상 장치 본체(110)는 각각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있어, 촬상 장치 본체(110)의 송수신부에서 송신된 전기 신호를 제1 EVF(30)의 송수신부가 수신하고, 제1 EVF(30)의 제2 표시 화면(30b)에 화상을 표시한다.Specifically, the first EVF 30 and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are each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of the first EVF 30 receives electric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ction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And displays an image on the second display screen 30b of the first EVF 30. [

또한, 제1 EVF(30)에는 촬상자가 각종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제2 조작부가 구비되어 있어, 촬상자가 제2 조작부를 누르면 각 송수신부를 통해서 촬상 장치 본체(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조작부는 제1 조작부(50)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셔터 버튼, 전원 버튼, 줌 버튼, 모드 절환 버튼, 메뉴 버튼, 틸트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EVF 30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ration section for inputting various operation commands by the image capturing person, and the operation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can be controlled through each transceiving section when the image capturing person presses the second operation section. The second operation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shutter button, a power button, a zoom button, a mode switching button, a menu button, a tilt button, and the like as the first operation unit 50.

또한, 촬상 장치(100)의 표시부(70)는, 복수의 제1 EVF(30), 제2 EVF(31) 및 LCD(40)이 표시하는 화상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71)를 포함한다. The display unit 70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VFs 30 and a second EVF 31 and a display control unit 71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ed by the LCD 40. [

표시 제어부(71)는, 제1 EVF(30) 및 제2 EVF(31)에 같은 화상 또는 다른 화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71)는 화상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 줌 화상, 보정 전후의 화상, 설정을 바꾼 화상, 브래킷 기능으로 촬상한 화상, 동화를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display control section 71 displays the same image or another image in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 For example, the display control unit 71 can display related information related to an image, a zoom image, an image before and after the correction, an image that has been changed in set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bracket function, and a moving image. Each cas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관련 정보를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the case of displaying relate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표시 제어부(71)는 일측의 제1 EVF(30)에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타측의 제2 EVF(31)에 그 화상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타측의 제2 EVF(31)는 관련 정보만을 표시하거나 화상에 관련 정보를 겹쳐서 표시할 수 있다(오버레이 표시). The display control unit 71 displays an image on the first EVF 30 on one side and displays related information on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At this time,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may display only the related information or overlay related information on the image (overlay display).

여기서, 관련 정보는 히스토그램, 촬상 일시, 해상도, 셔터 스피드, 조리개(F값), ISO감도, 초점거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타측의 제2 EVF(31)의 기록 미디어(63)의 나머지 용량이나 배터리 정보등과 같은 촬상 장치(100)에 관한 촬상 장치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Here, the related information includes a histogram, an imaging date and time, a resolution, a shutter speed, an aperture (F value), an ISO sensitivity, a focal distance, and the like. The imaging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imaging device 100 such as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recording medium 63 of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battery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일측의 EVF에 제1 EVF(30)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했지만, 일측의 EVF를 제2 EVF(31)로 하고, 타측의 EVF를 제1 EVF(30)로 해도 된다. 이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F on one side is denoted by the first EVF 30, but the EVF on one side may be regarded as the second EVF 31 and the EVF on the other side may be regarded as the first EVF 30 do. The same is applied to the following.

다음으로 줌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Next, a case of displaying a zoom image will be described below.

표시 제어부(71)는 일측의 제1 EVF(30)에 구도확인용의 전체상(여기서는 등배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타측의 제2 EVF(31)에 포커스 확인용으로 줌 화상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서 촬상자는 포커스의 핀트가 맞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section 71 displays the overall image (here, an equal image) for confirming the composi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EVF 30 and displays the zoom image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VF 31 for focus confirmation. Thereby, the image pickup device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focus is in focus.

다음으로 보정 전후의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Next, a case of displaying an image before and after correction will be described below.

표시 제어부(71)는, 일측의 제1 EVF(30)에 화상신호가 나타내는 원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타측의 제2 EVF(31)에 원화상을 보정한 보정 화상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촬상자는 화질 조정후의 효과나 화상 편집후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제어부(71)는 밝기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색상보정이나 채도보정 등의 칼라 보정, 트리밍 보정 등과 같은 보정을 한 화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원화상은 촬상 대기 상태에서 일정 주기로 촬상 소자(20)가 출력한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라이브 뷰 화상, 또는 촬상된 후의 촬상 화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원화상은 보정을 전혀 행하지 않은 일차 화상뿐만 아니라, 일차 화상을 보정한 2차 화상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타측의 제2 EVF(31)에는 2차 화상을 더 보정한 3차 화상을 표시한다.The display control section 71 displays an original image represented by the image signal on the first EVF 30 on one side and a corrected image on which the original image is corrected on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Thereby, the image pickup person can confirm the effect after the image quality adjustment and the image after the image edition. At this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71 displays the corrected image such as brightness correction, contrast correction, color correction such as color correction or saturation correction, trimming correction, and the like. Here, the original image may be a live view image displayed on the basis of the image signal outputted by the image pickup device 2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image pickup waiting state, or a captured image after being captured. Further, the original image may be a primary image that has not been subjected to correction at all, or a secondary image that has been corrected by the primary image. In this case, a tertiary image obtained by further correcting the secondary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다음으로 설정을 바꾼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Next, a case of displaying an image whose setting has been changed will be described below.

표시 제어부(71)는 일측의 제1 EVF(30)에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타측의 제2 EVF(31)에 촬상에 관한 설정을 변경하면서 각종 설정후의 화상을 순차 표시한다. 이에 따라, 촬상자가 타측의 제2 EVF(31)에 마음에 든 화상이 표시된 경우 셔터 버튼을 누르면, 그 설정이 반영되어 촬상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71 displays a live view image on one side of the first EVF 30 and sequentially displays images after various settings while changing the setting relating to the image capture on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Thereby, when a favorite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of the image pickup person, the setting is reflected and can be picked up by pressing the shutter button.

다음으로 브래킷 기능으로 촬상한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Next, a case where an image picked up by the bracket function is displayed will be described below.

촬상시 촬상 장치(100)는 노출 등의 설정 값을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따라서 산출하고, 그 산출 설정 값으로 화상을 촬상한다. 이 때, 촬상 장치(100)는 산출 설정 값과 다른 변경 설정 값(예를 들어, 산출 설정 값보다도 소정값 높은 또는 낮은 값)으로도 화상을 촬상한다.(브래킷 기능으로의 촬상). The imaging apparatus 100 at the time of imaging calculates a set value of exposure or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captures an image with the calculated set value. At this time,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also captures an image with a change setting value (for example, a value higher or lower than the calculated setting valu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alculated set value (imaging with the bracket function).

표시 제어부(71)는 노출 등의 설정 값이 다른 각 화상을 각 제1 EVF(30), 제2 EVF(31)에 표시한다. 여기서, 브래킷은 노출의 정도를 바꾼 노출 브래킷 외, 플래시의 정도를 바꾼 플래시 브래킷, 핀트 위치를 바꾼 포커스 브래킷, 화이트 밸런스를 바꾼 화이트 밸런스 브래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unit 71 displays each image having a different set value such as exposure on each of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 Here, the bracket may include an exposure bracket for changing the degree of exposure, a flash bracket for changing the degree of the flash, a focus bracket for changing the focus position, a white balance bracket for changing the white balance, and the like.

마지막으로 동화상을 표시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Finally, a case of displaying a moving image will be described.

표시 제어부(71)는 일측의 제1 EVF(30)에 라이브 뷰 화상이나 동화상 촬상 중의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타측의 제2 EVF(31)에 재생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표시 제어부(71)는 소정 시간만큼 지연하여 재생한 동화상을 표시하거나(time shift playback), 소정 시간마다의 정지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 section 71 displays a live view image or an image during moving image capture on the first EVF 30 on one side and displays the reproduced image on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Here, the display control unit 71 can display a moving image reproduced by delaying by a predetermined time (time shift playback) or display a still image every predetermined time.

만약 제1 EVF(30)을 뗐을 경우 표시 제어부(71)는 제1 EVF(30)에 표시되는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저하시켜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If the first EVF 30 is turned off, the display control unit 71 can reduce the frame rat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EVF 30 and suppress power consumption.

촬상자가 일측의 제1 EVF(30)을 들여다 보면, 일측의 제1 EVF(30)의 접안 검지 수단은 접안을 검지하고, 표시 제어부(71)는 접안된 제1 EVF(30)에 화상을 표시한 후 접안되어 있지 않은 타측의 제2 EVF(31)의 표시를 OFF(Sleep)한다. 또한, 촬상자가 분리된 제1 EVF(30)를 들여다보고 있고, 촬상 장치 본체(110)의 제2 EVF(31)를 들여다보고 있지 않을 경우 표시 제어부(71)는 제1 EVF(30), 제2 EVF(31)의 표시의 ON/OFF에 부가하여 LCD(40)의 표시를 OFF로 한다.The eyepiece detecting means of the first EVF 30 on one side detects the eyepiece and the display control section 71 displays the image on the first eyepiece EVF 30 (Sleep) the display of the second EVF 31 on the other side which is not ridden. The display control unit 71 controls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when the first EVF 30 is viewed and the second EVF 31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is not being viewed. 2 Turns off the display of the LCD 40 in addition to ON / OFF of the display of the EVF 3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LCD에 구비된 조작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area of the LCD of the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CD(40)는 촬상자가 접촉한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수단을 구비하고, 터치 패널식 입력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촬상자의 각종 조작 지령을 접수하는 제3 조작부로서도 기능한다. As shown in Fig. 4, the LCD 40 has position sensing means for sensing the position where the image sensor contacts, and has a function as a touch panel type input device. The LCD 40 includes a third operation portion .

이러한 제3 조작부는 제1 조작부(50) 및 제2 조작부와 동일한 각종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operation unit may include various buttons and the like that are the same as the first operation unit 50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제1 EVF(30), 제2 EVF(31)에 접안한 상태에서 촬상자가 LCD(40)에 접촉하면 표시 제어부(71)는 제1 EVF(30), 제2 EVF(31)에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촬상자가 손가락에 의한 조작으로 그들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control unit 71 displays the menu on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when the image pickup person touches the LCD 40 while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are in a state of being in a state So that the image picker can select their menu by operation with the fingers.

또한, 제1 EVF(30)이 촬상 장치 본체(1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촬상자가 제1 EVF(30) 및 제2 EVF(31)를 들여다보면, 제3 조작부는 제1 EVF(30)를 조작하기 위한 제1 조작 영역과, 제2 EVF(31)를 조작하기 위한 제2 조작 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촬상자는 각 조작 영역에 접촉함으로써, 대응하는 제1 EVF(30), 제2 EVF(31)에 표시되는 화상이나 정보를 제어한다.When the image sensor looks into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while the first EVF 30 is attached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10, A second operation area for operating the second EVF 31 is formed. At this time, the image pickup person touches the respective operation areas to control images and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first EVF 30 and second EVF 31. [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는 제1 접안부(30a), 제2 접안부(31a)를 가지고 화상을 표시하는 제1 EVF(30), 제2 EVF(31)를 복수개 포함하여, 복수의 제1 EVF(30), 제2 EVF(31) 각각에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촬상자가 촬상 장치(100)로부터 얼굴을 떨어뜨리지 않고 표시된 화상을 확인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imag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VFs 30 and a plurality of second EVFs 31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a first eyepiece portion 30a and a second eyepiece portion 31a, By displaying an image on each of the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it is possible for the image capturing person to check the displayed image without dropping his / her face from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thereby improving operability.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EVF(30), 제2 EVF(31)에 다른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촬상자가 제1 EVF(30), 제2 EVF(31)을 통해서 동시에 서로 다른 화상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우안용 및 좌안용의 시차 화상을 동시에 보면서 입체화상을 보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어 종래에는 없는 새로운 이용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different images in the plurality of first EVFs 30 and the second EVFs 31, thereby enabling the image-taking person to confirm different images simultaneously through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 Through this, the user can feel the stereoscopic image while simultaneously viewing the parallax images for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thereby providing a new use application that is not available in the past.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EVF(30), 제2 EVF(31)에 같은 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제1 EVF(30), 제2 EVF(31)을 통해서 동시에 같은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프로 카메라맨이 학생에게 사진 촬상을 지도할 경우 동시에 같은 화상을 확인하면서 지도할 수 있어 종래에 없는 새로운 이용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EVF(30), 제2 EVF(31)에 표시하는 정보의 종류, 양, 및 표현 방법의 선택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eople can simultaneously view the same image through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by displaying the same image on the plurality of first EVF 30 and second EVF 31 have. In this way, when a professional cameraman instructs a student to take a picture, the same image can be simultaneously viewed and instructed, thereby providing a new use purpose that is not conventionally availa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selecting the type, amount, and method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EVF 30 and the second EVF 31.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입체화상을 촬상하기 위해 촬상 장치가 2개의 촬상 광학계 및 각 촬상 광학계에 대응하는 2개의 촬상 소자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각 촬상 소자가 우안용 및 좌안용의 시차 화상신호를 출력하면 표시 제어부는 제1 EVF 및 제2 EVF에 우안용 및 좌안용의 시차 화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example, in order to capture a stereoscopic image, the imaging device may have two imaging optical systems and two imaging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imaging optical system. Specifically, when each imaging element outputs a parallax image signal for right eye and left eye, the display control section controls the right and left parallax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EVF and the second EVF.

또한,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가 1개더라도, 촬상 장치를 움직이면서 촬상하도록 함으로써 촬상 소자가 우안용 및 좌안용의 시차 화상신호를 출력하면 표시 제어부가 각 EVF에 우안용 및 좌안용의 시차 화상을 표시하도록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only one imaging optical system, the image pickup device is moved so as to pick up an image, so that when the image pickup element outputs parallax image signals for right eye and left eye,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parallax images for right eye and left eye .

또한, 본 발명에서 EVF는 2개이며, 일측의 EVF가 착탈 가능하면서 부착 위치 조정이 가능(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타측의 EVF가 고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양쪽의 EVF가 착탈이 가능하고, 부착 위치가 조정이 가능하게 접속되거나, 양쪽의 EVF가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EVF는 각각 착탈이 가능하고, 부착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며, 착탈이 가능하거나 부착 위치의 조절이 불가능하거나(촬상 장치본체에 있어서의 1의 소정 위치에만 부착되는), 착탈 불가능하거나 설치 위치의 조절가능, 고착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wo EVFs, one EVF is detachable, the attachment position is adjustable (slidable), and the other EVF is fix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both EVFs may be detachable, their attachment positions may be adjustably connected, or both EVFs may be fixed. The plurality of EVFs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the attaching position can be adjusted, the attaching / detaching is possible, the attaching position is not adjustable (attached to only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1) Or an adjustable, fastening of the fastener.

또한, 본 발명에서 EVF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도 되고, 3개 이상도 된다. EVF가 1개일 경우, 그 EVF는 착탈이 가능하고, 해당 EVF를 분리한 경우, 해당 EVF의 송수신부가 촬상 장치 본체의 송수신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화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EVFs is not limited to two, but may be one or three or more. When the EVF is one, the EVF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hen the EVF is detached,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the EVF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main body to receive the image signal.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EVF(예를 들어 2개의 EVF)는 두부에 장착하는 표시장치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EVF에 스피커를 구비하여 유사 서라운드를 실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or a plurality of EVFs (e.g., two EVFs) may constitute a part of a head-mounted display that is a display device mounted on a head. In addition, a similar surround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a speaker in a plurality of EVFs.

덧붙여 말하면, 본 발명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분리된 EVF를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외부표시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촬상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한 EVF에 송신한 화상을 외부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다양한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Incident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VF separated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fa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the like, whereby an image transmitted to the EVF separated from the imaging device main body can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part or all of the above-mentioned various constitutions can be appropriately combined with each 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촬상 광학계
11: 각 조작부
20: 촬상 소자
30: 제1 EVF
31: 제2 EVF
40: LCD
60: 신호 처리부
61: 기억부
62: 화상 처리부
63: 기록 미디어
70: 표시부
71: 표시 제어부
10:
11:
20:
30: 1st EVF
31: 2nd EVF
40: LCD
60: Signal processor
61:
62:
63: Recording media
70:
71:

Claims (14)

촬상 장치에 있어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뷰 파인더들과,
상기 복수의 뷰 파인더들 각각의 이미지를 조작하기 위해 복수의 조작 영역들로 분리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In the image pickup apparatus,
A plurality of viewfinders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an image signal,
And a display including an area separable into a plurality of operation areas for operating an im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iewfind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뷰 파인더들은,
제1 뷰 파인더와 제2 뷰 파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뷰 파인더는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에 착탈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는 동안 상기 제2 뷰 파인더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viewfinders include:
A first viewfinder and a second viewfinder,
Wherein the first viewfinder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the second viewfinder moves while the first viewfinder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뷰 파인더들이 표시하는 화상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뷰 파인더들이 같은 화상 또는 다른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ed by said plurality of viewfinders,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viewfinders to display the same image or another im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뷰 파인더들이 제1 뷰 파인더와 제2 뷰 파인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뷰 파인더에 상기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뷰 파인더에 상기 원 화상을 보정한 보정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when the viewfinder includes a first viewfinder and a second viewfinder, an original image represented by the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first viewfinder, and a corrected image obtained by correcting the original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viewfinder And the image pickup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뷰 파인더들이 제1 뷰 파인더와 제2 뷰 파인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뷰 제1 파인더에 우안용의 시차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뷰 파인더에 좌안용의 시차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when the viewfinder includes a first viewfinder and a second viewfinder, a parallax image for the right eye is displayed on the view first finder and a parallax image for the left eye is displayed on the second viewfinder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면 상기 제1 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n the first viewfinder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the first viewfinder receives the image signal vi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와 분리된 경우 상기 제1 뷰 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frame rat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viewfinder is lowered when the first viewfind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image sensing apparatus.
촬상 방법에 있어서,
촬상 수단이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뷰 파인더들 상에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뷰 파인더들 각각의 이미지를 조작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복수의 조작 영역들로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In the imaging method,
A step in which the image pickup means picks up an image of a subject and outputs an image signal,
Displaying an image on a plurality of viewfinders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And separating an area of the display into a plurality of operation areas to operate an im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iewfinde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뷰 파인더들은,
제1 뷰 파인더와 제2 뷰 파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뷰 파인더는 촬상 장치의 본체에 착탈이 가능하고, 상기 제1 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에 부착되는 동안 상기 제2 뷰 파인더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9.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viewfinders include:
A first viewfinder and a second viewfinder,
Wherein the first viewfinder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the second viewfinder moves while the first viewfinder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뷰 파인더들이 같은 화상 또는 다른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viewfinders to display the same image or another imag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뷰 파인더들이 제1 뷰 파인더와 제2 뷰 파인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뷰 파인더에 상기 화상 신호가 나타내는 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뷰 파인더에 상기 원 화상을 보정한 보정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when the viewfinder includes a first viewfinder and a second viewfinder, an original image represented by the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first viewfinder, and a corrected image obtained by correcting the original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viewfinder Wherein the step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뷰 파인더들이 제1 뷰 파인더와 제2 뷰 파인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뷰 파인더에 우안용의 시차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뷰 파인더에 좌안용의 시차 화상을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displaying the right eye parallax image on the first viewfinder and the left eye parallax image on the second viewfinder when the viewfinder includes the first viewfinder and the second viewfinder,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뷰 파인더에서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image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image sensing apparatus in the first viewfind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뷰 파인더가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와 분리된 경우 상기 제1 뷰 파인더에 표시되는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가 저하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reducing a frame rate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viewfinder when the first viewfind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of the image sensing apparatus.
KR1020110123409A 2010-12-20 2011-11-24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rolling of view finder KR1017995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26,939 US8773568B2 (en) 2010-12-20 2011-12-15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manipulation of view find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83838A JP2012134680A (en) 2010-12-20 2010-12-20 Imaging apparatus
JPJP-P-2010-283838 2010-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553A KR20120069553A (en) 2012-06-28
KR101799599B1 true KR101799599B1 (en) 2017-11-20

Family

ID=4664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409A KR101799599B1 (en) 2010-12-20 2011-11-24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rolling of view find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134680A (en)
KR (1) KR1017995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0454B2 (en) * 2013-12-16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ING DEVICE, IT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6611767B2 (en) * 2017-08-24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6113878A (en) * 2020-07-30 2023-05-12 富士胶片株式会社 Image pickup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153A (en) * 1999-12-08 2001-06-22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JP2001177742A (en) * 1999-12-20 2001-06-29 Minolta Co Ltd Electronic camera
JP2008244676A (en) * 2007-03-26 2008-10-09 Ricoh Co Ltd Imaging apparatus, exclusive external device, and imag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2276A (en) * 1990-03-13 1991-11-21 Canon Inc Image pickup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3154528B2 (en) * 1991-11-05 2001-04-09 三星電子株式会社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of video camera with separate viewfinder
JPH0756213A (en) * 1993-08-19 1995-03-03 Fuji Photo Optical Co Ltd Binocular finder structure for camera
JP3899774B2 (en) * 2000-03-27 2007-03-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Imaging device
JP2004015595A (en) * 2002-06-10 2004-01-15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153A (en) * 1999-12-08 2001-06-22 Minolta Co Ltd Digital camera
JP2001177742A (en) * 1999-12-20 2001-06-29 Minolta Co Ltd Electronic camera
JP2008244676A (en) * 2007-03-26 2008-10-09 Ricoh Co Ltd Imaging apparatus, exclusive external device, and im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553A (en) 2012-06-28
JP2012134680A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53869A1 (en) Imaging apparatus and setting screen thereof
JP4135100B2 (en) Imaging device
US964175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20307101A1 (en) Imag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3183406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CN216625895U (en) Electronic device
JP5667726B2 (en) Interchangeable lens camera and viewfinder display method
US20140192167A1 (en) Stereoscopic imaging device
US10419686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rough image data based on shutter state
JP5160460B2 (en) Stereo imaging device and stereo imaging method
KR101799599B1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ntrolling of view finder
US8773568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manipulation of view finders
JP5499754B2 (en) Imaging device
JP5671189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11035642A (en) Multiple eye photographing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2012053113A (en) Image pickup device,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on system, and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on program
JP2016225799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apparatus
KR10141131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capable of multi-disiaplay using television and thereof method
JP5276538B2 (en) AF frame automatic tracking system
JP741808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its program
JP6822507B2 (en) Electronics
JP2014062926A (en) Autofocus system
CN114945066A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21073765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23116360A (en) Control unit,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