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536B1 - Touch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Touch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536B1
KR101799536B1 KR1020160138703A KR20160138703A KR101799536B1 KR 101799536 B1 KR101799536 B1 KR 101799536B1 KR 1020160138703 A KR1020160138703 A KR 1020160138703A KR 20160138703 A KR20160138703 A KR 20160138703A KR 101799536 B1 KR101799536 B1 KR 101799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essure
electrode
sensing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29797A (en
Inventor
김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6013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36B1/en
Publication of KR2016012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센서 패널 및 압력 검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싱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압력센싱 컨트롤러는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된다.A touch input device is disclosed.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and a pressure detection module, and includes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sensing signal acquired from the pressure sensing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and a touch sensor Wherein the converter and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are implement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Description

터치 입력 장치{TOUCH INPUT DEVICE}A touch input device {TOUCH INPUT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etecting a touch position and a touch pressure.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 등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가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그 중 터치 스크린은, 조작의 용이성, 제품의 소형화 및 제조공정의 단순화 등 다양한 이점을 갖고 있어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manipulate computing systems such as buttons, keys, joysticks, and touch screens. Among them, the touch screen has attracted the greatest attention because it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ease of operation,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and simpl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터치 스크린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스크린을 단순히 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및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터치를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may comprise a touch surface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panel, which may be a transparent panel having a touch-sensitive surface. Such a touch sensor panel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screen such that the touch-sensitive surface covers the visible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The user simply touches the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computing system. Generally, a computing system is able to recognize touch and touch locations on a touch screen and interpret the touch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ly.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성능을 저하 시키지 않으면서,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At this time, there has been a need for a detect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without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display module.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etecting a touch position and a touch press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센서 패널 및 압력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로서, 상기 압력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싱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터 및 상기 압력센싱 컨트롤러는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panel and a pressure detection module, the touch input device comprising: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sensing signal acquired from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And a pressure sensing controller that detects a touch pressur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wherein the converter and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are implement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또한,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싱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that detects a touch positio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acquired from the touch sensor panel.

그리고, 상기 위치센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압력의 검출과 함께,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may detect the touch positio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sensor panel, together with the touch pressur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센서 패널 및 압력 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로서,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터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센싱 컨트롤러; 및 상기 터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panel and a pressure detection module, the touch input device detecting a touch position based on a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sensor panel,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for generating position data;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based on the touch position data, wherein the processor detects the touch pressur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pressure sensing module.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또한, 상기 압력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 입력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wherein the processor generates touch pressure data based on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converter, Can be controlle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 터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 모듈; 및 상기 압력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압력 검출 모듈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panel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A pressure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touch pressure; And a first controller for detecting a touch pressure based on a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wherein the first controller includes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into a digital signal can do.

또한,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ler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sensor panel.

그리고,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압력의 검출과 함께, 상기 터치 센서 패널로부터 획득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may detect the touch positio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from the touch sensor panel, together with the touch pressure.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터치 입력 장치에 의하면,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ouch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can be simultaneously det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 및 이의 동작을 위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터치 센서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라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에 압력이 인가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 패턴을 예시한다.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 패턴을 예시한다.
도 6f 및 도 6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압력 전극 패턴을 예시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 패턴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의 부착 구조를 예시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apacitive touch sens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for operation thereof.
FIGS. 2A, 2B, and 2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relative positions of a touch sensor panel with respect to a display module in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position and a touch press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pressure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input device shown in FIG.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pressur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D illustrates a pressure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E illustrates a pressure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F and 6G illustrate a pressure electrode pattern that may be applied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pressur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llustrates a pressure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 attachment structure of a pressur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4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터치 위치와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방식에 대한 아래의 설명은, 후술하는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1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can be commonly applied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described later.

도 1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100) 및 이의 동작을 위한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 센서 패널(100)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 패널(1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20), 및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감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uch sensor panel 100 of a capacitive type and a configuration for its operation. 1, the touch sensor pane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In order to operate the touch sensor panel 100, A driving unit 120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sensing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apacitance change amount that varies depending on a touch on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a sensing unit 110 for sensing a touch and a touch posi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대각선, 동심원 및 3차원 랜덤 배열 등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차원 및 이의 응용 배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양의 정수로서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고, 크기도 서로 상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1,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re shown as an orthogonal arr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have any number of dimensions including its diagonal, concentric and three-dimensional random arrangement, and its application arrangement. Here, n and m are positive integers and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values, and may have different siz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The driving electrode TX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extending in a first axis direction and a receiving electrode RX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extending in a second axis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xis direction RX1 to RXm).

본 발명의 일구성인 터치 센서 패널(100)에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절연막(미도시)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하나의 절연막(미도시)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은 제1절연막(미도시)의 일면에 그리고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상기 제1절연막과 다른 제2절연막(미도시)의 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i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in different layer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or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a first insulating film (not shown)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not shown) different from the first insulating film.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 (RX1 내지 RXm)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산화주석(SnO2) 및 산화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또는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메탈 메쉬(metal mech)로 구현되거나 은나노(nano silver)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drive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i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e.g., tin oxide (SnO 2) and indium oxide (In 2 O 3) ITO ( Indium Tin made of such Oxide) or ATO (antimony tin oxid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formed of anothe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r an opaque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ver ink, copper, or carbon nanotube (CNT).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formed of a metal mesh or may be formed of a nano silver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의 일구성인 구동부(120)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구동신호는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해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신호의 인가는 재차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 The driving unit 120,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ignal may be sequentially applied to one driving electrode at a time from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to the nth driving electrode TXn. This application of the driving signal can be repeated again.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driving signals may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감지부(110)는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수신전극(RX1 내지 RXm)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0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신호는 구동전극(TX)에 인가된 구동신호가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01)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인가된 구동신호를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감지하는 과정은 터치 센서 패널(100)을 스캔(scan)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apacitance Cm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to which driving signals are appli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And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osition can be detected b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or example, the sensing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 is coupled by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CM: 101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The process of sensing the driving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to the nth driving electrode TXn via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is referred to as scanning the touch sensor panel 100 can do.

예를 들어, 감지부(110)는 각각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해당 수신전극(RX)의 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구간에 온(on)되어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기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기는 증폭기(미도시) 및 증폭기의 부(-)입력단과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 즉 궤환 경로에 결합된 궤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증폭기의 정(+)입력단은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궤환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는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류에서 전압으로의 변환을 리셋할 수 있다. 증폭기의 부입력단은 해당 수신전극(RX)과 연결되어 정전용량(CM: 10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수신한 후 적분하여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수신기를 통해 적분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미도시: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되어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수신기와 더불어, ADC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receiver (not shown)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ption electrodes RX1 to RXm through a switch. The switch is turned on during a period of sensing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receiving electrode RX so that a sensing signal can be sensed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RX at the receiver. The receiver may be comprised of an amplifier (not shown) and a feedback capacitor coupl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of the amplifier, i. E., The feedback path. At this time,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reset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eedback capacitor. The reset switch can reset the conversion from current to voltage performed by the receiver. A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electrode RX to receive a current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apacitance (CM) 101, integrate the current signal, and convert the current signal into a voltage. The sens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the integrated data to digital data through the receiver. The digital data may then be input to a processor (not shown) and processed to obtain touch information for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e sens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DC and a processor together with a receiver.

제어부(130)는 구동부(120)와 감지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구동부(200)에 전달하여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구동전극(TX)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감지부(110)에 전달하여 감지부(110)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1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generate a driv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200 so that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 preset at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 sens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ing control signal to the sensing unit 110. The sensing unit 110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a predetermined receiving electrode RX at a predetermined time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can do.

도 1에서 구동부(120) 및 감지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미표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00)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싱 회로인 터치 센싱 IC(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도10에서 150) 상에 집적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100)에 포함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예컨대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 및/또는 회로 기판상에 인쇄된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등을 통해서 터치 센싱 IC(150)에 포함된 구동부(120) 및 감지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1,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touch sensing device 100 capable of sensing whether a touch input device 1000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uch- (Not shown).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130.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150 in FIG. 10) may be integrated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including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ing IC 100 through the conductive trace and / or a conductive pattern printed on the circuit board. 150 to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10, respective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교차 지점마다 소정 값의 정전용량(C)이 생성되며, 손가락과 같은 객체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정전용량은 상호 정전용량(Cm)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감지부(110)에서 감지하여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으로 이루어진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capacitance value C of a predetermined value is generated at each intersec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and an object such as a finger is close to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e value of the capacity can be changed. In FIG. 1,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may represent mutual capacitance Cm. The sensing unit 110 senses such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can detect whether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touched and / or touch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a touch is made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having a two-dimensional plane including a first axis and a second axis, and / or its 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일어날 때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을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2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 수신전극(RX)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로부터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1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touch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driving electrode TX to which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when the touch to the touch sensor panel 100 occurs. Likewise, the position of the touch in the first axis direction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capacitance change from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RX when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touched.

이상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로서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은 전술한 방법 이외의 자체 정전용량 방식, 표면 정전용량 방식, 프로젝티드(projected)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SAW: surface acoustic wave), 적외선(infrared) 방식, 광학적 이미징 방식(optical imaging), 분산 신호 방식(dispersive signal technology) 및 음성 펄스 인식(acoustic pulse recognition) 방식 등 임의의 터치 센싱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lthough the mutual capacitance type touch sensor panel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sensor panel The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100 may be fabricated by other methods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s such as a self-capacitance method, a surface capacitance method, a projected capacitance method, a resistive film method, a surface acoustic wave (SAW) method, And may be implemented using any kind of touch sensing method such as an optical imaging, a dispersive signal technology, and an acoustic pulse recogni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in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display module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화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터치 표면에 터치를 수행하여 입력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200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 Or the like.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an input action by touching the touch surface while visually check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터치 입력 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main board) 상의 중앙 처리 유닛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에 원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play module 200 receives input from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PU), which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on a main board for operat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 And may include control circuitry to display the content.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작동을 위한 제어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IC, 그래픽 제어 IC(graphic controller IC) 및 기타 디스플레이 패널(200) 작동에 필요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circuit for operating the display panel 2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control IC, a graphic controller IC, and other circuit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display panel 200.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터치 센서 패널의 상대적인 위치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LCD 패널이 도시되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임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 적용될 수 있다. FIGS. 2A, 2B and 2C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touch sensor panel with respect to the display module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n LCD panel is shown as a display panel,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ny display panel can be applied to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명세서에서 도면부호 200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칭하나, 도 2a 내지 도 2c에 대한 설명에서 도면부호 200은 디스플레이 모듈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칭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패널은 액정 셀(liquid crystal cell)을 포함하는 액정 층(250), 액정 층(250)의 양단에 전극을 포함하는 제1글라스층(261)과 제2글라스층(262), 그리고 상기 액정 층(25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1글라스층(261)의 일면에 제1편광층(271) 및 상기 제2글라스층(262)의 일면에 제2편광층(272)을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LCD 패널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변형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display module. In the description of FIGS. 2A to 2C,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display panel as well as a display panel. 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LCD panel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250 including a liquid crystal cell, a first glass layer 261 including electrodes at both end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250, A second glass layer 262 and a first polarizing layer 271 and a second glass layer 262 on one surface of the first glass layer 261 a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iquid crystal layer 250 And a second polarizing layer 272.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LCD panel may further include other configurations for performing the display function and may be modified.

도 2a는,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부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일 수 있다. 도 2a에서 터치 표면이 될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면은 터치 센서 패널(100)의 상부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면이 될 수 있다. 도 2a에서 터치 표면이 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면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제2편광층(272)의 하부면이 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보호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은 유리와 같은 커버층(미도시)으로 덮여있을 수 있다. FIG. 2A shows that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module 200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FIG. The touch surface for the touch input device 1000 may be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 In FIG. 2A,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which may be a touch surface, may be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In addition, the touch surface for the touch input device 1000 may be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which may be the touch surface in FIG. 2A, may be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layer 272 of the display module 200. At this time, in order to protect the display module 200,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covered with a cover layer (not shown) such as glass.

도 2b 및 도 2c는,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이때, 도 2b에서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이 제1글라스층(261)과 제1편광층(27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면으로서 도 2b에서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될 수 있다. 도2c에서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이 액정 층(250)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면으로서 도 2c에서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서, 터치 표면이 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유리와 같은 커버층(미도시)으로 덮여있을 수 있다. FIGS. 2B and 2C show that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disposed inside the display panel 200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FIG. 2B, a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lass layer 261 and the first polarizing layer 271. In this case, At this time, the touch surface for the touch input device 1000 may be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n FIG. 2B as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2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is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250. FIG. At this time, the touch surface for the touch input device 1000 may be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in FIG. 2C as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 2B and 2C,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which may be a touch surface, may be covered with a cover layer (not shown) such as glas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00)을 이용하여 터치의 여부 및/또는 위치와 함께 터치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별개로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여 터치의 압력 크기를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the touch sensor panel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touch detection and / or touch position detectio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ouch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pressure of the touch with the presence and / or position of the touch.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pressure magnitude of the touch by further including a pressure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touch pressure separately from the touch sensor panel 100.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라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position and a touch press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 및 압력 검출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보호하고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검출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module 200 and increase the touch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이때, 압력 검출 모듈(400)은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별개로 동작할 수도 있는바, 예컨대, 압력 검출 모듈(400)은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독립적으로 압력만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검출 모듈(400)은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과 결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에 포함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may operate separately from 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For example,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may include a touch sensor panel 100 ) ≪ / RTI > Further,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touch pressure by being combined with 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may be used to detect the touch pressure.

도 3에서 압력 검출 모듈(400)은 터치 센서 패널(100)과 결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3에서 압력 검출 모듈(400)은 상기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층(420)을 포함한다. 압력 검출 모듈(400)은 스페이서층(420)을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과 이격된 기준 전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기준 전위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In FIG. 3,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coupled with the touch sensor panel 100 to detect a touch pressure. 3,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ncludes a spacer layer 420 for separating the touch sensor panel 100 from the display module 200. [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may include a reference potential layer spaced apart from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rough the spacer layer 420. At this time, the display module 200 can function as a reference potential layer.

기준 전위층은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101)에 변화를 야기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전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기준 전위층은 그라운드(ground) 전위를 갖는 그라운드 층일 수 있다.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그라운드(ground) 층일 수 있다. 이때, 기준 전위층은 터치 센서 패널(100)의 2차원 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may have any potential that can cause a change in the capacitance 101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For example,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may be a ground layer having a ground potential.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may be a ground layer of the display module 200. At this time,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may have a plane parallel to the two-dimensional plan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인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접착 방법의 차이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의 스페이서층(420)은 에어갭(air gap)으로 구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which is a reference potential lay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pacer layer 420 betwee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implemented as an air gap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in the bonding method betwee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고정하기 위해서 양면 접착 테이프(430: DAT: Double Adhesive Tape)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각각의 면적이 포개어진 형태이고, 터치 센서 패널(100)과 터치 센서 패널(200)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430)를 통해서 두 개의 층이 접착되되 나머지 영역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소정 거리(d)로 이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double adhesive tape (DAT: Double Adhesive Tape) may be used to fix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For example, the area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edge area of each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touch sensor panel 200,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일반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100)의 휘어짐 없이 터치 표면을 터치하는 경우라도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의 정전용량(101: Cm)이 변화한다. 즉,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에 상호 정전용량(Cm: 101)이 기본 상호 정전용량에 비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손가락과 같은 도체인 객체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근접한 경우, 객체가 그라운드(GND) 역할을 하여 상호 정전용량(Cm: 101)의 프린징 정전용량(fringing capacitance)이 객체로 흡수되기 때문이다. 기본 상호 정전용량은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없는 경우에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값이다.Generally, the capacitance 101 (Cm)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changes even when the touch surface is touched without bending the touch sensor panel 100. [ That is, when touching the touch sensor panel 100, mutual capacitance Cm (101)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basic mutual capacitance. This is because, when an object such as a finger is close to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e object functions as a ground (GND), and the fringing capacitance of the mutual capacitance Cm is absorbed into the object to be. The basic mutual capacitance is a value of the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when there is no touch to the touch sensor panel 100. [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인 상부 표면을 객체로 터치 시 압력이 가해진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이 휘어질 수 있다. 이때,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101: Cm)의 값은 더 감소할 수 있다. 이는, 터치 센서 패널(100)이 휘어져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d에서 d'로 감소함으로써 상기 상호 정전용량(101: Cm)의 프린징 정전용량이 객체뿐 아니라 기준 전위층으로도 흡수되기 때문이다. 터치 객체가 부도체인 경우에는 상호 정전용량(Cm)의 변화는 단순히 터치 센서 패널(100)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 변화(d-d')에만 기인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be bent when a pressure is applied when an upper surface, which is a touch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touched by an object.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mutual capacitance 101 (Cm)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can be further reduced.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is reduced from d to d 'as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bent so that the fringing capacitance of the mutual capacitance 101 (Cm) It is also absorbed into the dislocation layer. In the case where the touch object is an insulator, the change of the mutual capacitance Cm may be caused solely by the distance change (d-d ') betwee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에 터치 센서 패널(100) 및 압력 검출 모듈(400)을 포함하여 터치 입력 장치(1000)를 구성함으로써, 터치 위치뿐 아니라 터치 압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including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on the display module 200,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detect the touch pressure as well as the touch position have.

하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뿐 아니라 압력 검출 모듈(400)까지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부에 배치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부에 에어갭(420)을 포함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시인성 및 빛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3, whe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re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200,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module may deteriorate. Particularly, when the air gap 420 is included i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module 200, the visibility and light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lower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에 에어갭을 배치하지 않고, OCA(Optically Clear Adhesive)와 같은 접착제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완전 라미네이션(lamination)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from occurring, an air gap is not disposed between 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and the display module 200, and a touch sensor (not shown) The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completely laminat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가 접착제로 완전 라미네이션된다. 이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 색상 선명도, 시인성 및 빛 투과성이 향상될 수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in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isplay module 200 are completely laminated with an adhesive. Accordingly, display color clarity, visibility, and light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module 200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can be improved.

도 4 및 도 5 그리고 이를 참조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로서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에 접착제로 라미네이션되어 부착된 것을 예시하나, 터치 센서 패널(100)이 도 2b 및 도 2c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덮는 것이 도시되나, 터치 센서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유리와 같은 커버층으로 덮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4 and 5 and a description thereof, a touch input panel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on a display module 200 with an adhesive, 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isplay module 200 as shown in FIGS. 2B and 2C. 4 and 5, the touch sensor panel 100 covers the display module 200, but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positioned inside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is placed on the glass A touch input device 1000 covered with a cover layer such as a touch pad can be used a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셀폰(cell phone), PDA(Personal Data Assistant),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랫 PC(tablet Personal Computer),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as a cell phone, a PDA (Personal Data Assistant), a smartphone, a tablet PC, an MP3 player, a notebook, And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he sam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기판(300)은, 예컨대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최외곽 기구인 커버(320)와 함께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 및/또는 배터리가 위치할 수 있는 실장공간 (310) 등을 감싸는 하우징(housing)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에는 메인보드(main board)로서 중앙 처리 유닛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3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 및/또는 배터리가 분리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가 차단될 수 있다. The substrate 300 in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ver 320 as an outermost mechanism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nd / or a mounting space 310 where the battery can be placed, and the lik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 application processor (CPU),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for operat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s a main board. The circuit board and / or the batte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touch input device 1000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substrate 300 and the electrical noise generated in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cut off.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 또는 전면 커버층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기판(300), 및 실장공간(310)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320)가 터치 센서 패널(100)과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200), 기판(300) 및 회로기판(310)을 감싸도록, 커버(320)가 형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panel 100 or the front cover layer may be formed wider than the display module 200, the substrate 300 and the mounting space 310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 cover 320 may be formed to cover the display module 200, the substrate 300, and the circuit board 310 together with the sensor panel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을 통해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판(300) 사이에 압력 검출 모듈(400)을 배치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touch position through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arranges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between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substrate 300 The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At this time, 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display module 200.

압력 검출 모듈(400)은 예컨대, 에어갭(airgap)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층(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스페이서층(420)은 실시예에 따라 충격흡수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층(420)은 실시예에 따라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로 채워질 수 있다.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ncludes a spacer layer 420 formed of, for example, an airgap,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B. The spacer layer 420 may be made of a shock-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acer layer 420 may be filled with a dielectric material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압력 검출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판(300)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층(420) 및 스페이서층(420) 내에 위치하는 전극(450 및 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에 포함된 전극과 구분이 명확하도록,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극(450 및 460)을 압력 전극(450 및 460)으로 지칭한다. 이때, 압력 전극(450 및 46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에 포함되므로 투명 물질뿐 아니라 불투명 물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ncludes a spacer layer 420 for separating the display module 200 from the substrate 300, And electrodes 450 and 460 located within the dielectric layer 420. Hereinafter, the electrodes 450 and 460 for detecting the pressure are referred to as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so as to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electrodes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t this time, since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inclu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not only the transparent material but also opaque material may be used.

이때, 스페이서층(420)을 유지하기 위해서 기판(300)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두께를 갖는 접착 테이프(4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접착 테이프(440)는 기판(300)의 모든 테두리(예컨대, 4각형의 4면)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나, 접착 테이프(440)는 기판(30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4각형의 3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접착 테이프(440)는 기판(300)의 상부면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440)는 기판(3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동일한 전위로 만들기 위해서 전도성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440)는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고, 접착 테이프(440)는 탄성이 없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휘어질 수 있으므로 접착 테이프(440)가 압력에 따라 형체의 변형이 없더라도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adhesive tape 44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formed along the rim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300 to hold the spacer layer 420. 5, the adhesive tape 440 is formed on all the edges of the substrate 300 (e.g., four sides of a tetragonal shape), but the adhesive tape 440 is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edges of the substrate 300 Three prismatic surfa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4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0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The adhesive tape 440 may be a conductive tape to make the substrate 3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the same potential. Further, the adhesive tape 440 may b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the adhesive tape 44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no elasticit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bent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200, the adhesive tape 440 may detect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압력 전극(450, 460)은 스페이서층(420) 내로서 기판(300)상에 형성될 수 있다. 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pressure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300 in the spacer layer 420.

압력 검출을 위한 압력 전극은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는 구동전극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수신전극일 수 있다.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되면,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에 상호 정전용량이 생성될 수 있다. The pressure electrode for pressure detec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450 and a second electrode 460. At this time, one of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a driving electrode and the other may be a receiving electrode. A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and a sensing signal may be obtain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When a voltage is applied, mutual capacitan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1000)에 압력이 인가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은 노이즈 차폐를 위해 그라운드(ground) 전위를 가질 수 있다. 객체(500)를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전위면과 압력 전극 패턴(450, 460) 사이의 거리(d)가 d'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리(d)의 감소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으로 프린징 정전용량이 흡수되므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6B is a sectional view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shown in FIG. 6A.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may have a ground potential for noise shield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rough the object 500,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bent. Accordingly, the distance d between the ground potential plane and the pressure electrode patterns 450 and 460 can be reduced to d '. In this case, as the distance d decreases, the fringing capacitance is absorb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so that the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can be reduced have.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can be calculated by acquiring the amount of decrease in mutual capacitance i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압력을 인가하는 터치에 따라 휘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터치의 위치에서 가장 큰 변형을 나타내도록 휘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휘어질 때 가장 큰 변형을 나타내는 위치는 상기 터치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적어도 상기 터치 위치에서 휘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위치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테두리 및 가장자리 등에 근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휘어지는 정도가 가장 큰 위치는 터치 위치와 다를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적어도 상기 터치 위치에서 휘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bent according to a touch to apply pressure. The display module 200 can be bent to exhibit the greatest deformation at the position of the tou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module 200 that exhibits the largest deformation when it is bent may not coincide with the touch position, but the display module 200 may exhibit warping at least at the touch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touch position is close to the edge and the edge of the display module 200, the position where the display module 200 is bent most greatly may be different from the touch position. However, Lt; / RTI >

이때, 기판(300)의 상부면 또한 노이즈 차폐를 위해 그라운드 전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300)과 압력 전극(450, 460)이 단락(short circuit)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압력 전극(450, 460)은 절연층(47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의 부착 구조를 예시한다.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압력 전극(450, 460)은 기판(300) 상에 제1절연층(470)을 위치시킨 후 압력 전극(450, 460)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압력 전극(450, 460)이 형성된 제1절연층(470)을 기판(300) 상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압력 전극은, 기판(300) 또는 기판(300)상의 제1절연층(470) 위에 압력 전극 패턴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마스크(mask)를 위치시킨 후 전도성 스프레이(spray)를 분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00 may also have a ground potential for noise shielding.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may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470 to prevent the substrate 300 and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from being short-circuited. 8 illustrates an attachment structure of a pressur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can be formed by positioning the first insulating layer 470 on the substrate 300 and then forming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 The first insulating layer 470 having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essure electrode may be formed by placing a mask having a through-hol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electrode pattern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70 on the substrate 300 or the substrate 300, As shown in Fig.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이 그라운드 전위를 갖는 경우 기판(300) 상에 위치한 압력 전극(450, 460)과 디스플레이 모듈(300)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압력 전극(450, 460)은 추가의 제2절연층(471)으로 압력 전극(450, 460)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제1절연층(470) 상에 형성된 압력 전극(450, 460)을 추가의 제2절연층(471)으로 덮은 후, 일체형으로 기판(300) 상에 부착하여 압력 검출 모듈(400)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has a ground potential,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disposed to prevent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nd the display module 300 located on the substrate 300 from being short- May cover the pressure electrodes (450, 460) with an additional second insulating layer (471).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70 are covered with the additional second insulating layer 471 and then attached to the substrate 300 in an integrated manner to form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된 압력 전극(450, 460)의 부착 구조 및 방법은 압력 전극(450, 46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부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압력 전극(450, 46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부착되는 경우는 도 6c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The attachment structure and method of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A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attached to the display module 200. The case where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attached to the display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C.

또한,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종류 및/또는 구현 방식에 따라, 압력 전극(450, 460)이 부착되는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내지 않거나 약한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절연층(470) 사이에 그라운드 전극(ground electrode: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그라운드 전극과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에는 또 다른 절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그라운드 전극(미도시)은 압력 전극인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type and / or implement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the substrate 300 or the display module 200 to which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attached may not exhibit a ground potential or may exhibit a weak ground potential have. In this case,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round electrode (not shown) between the substrate 300 or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insulating layer 47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other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substrate 300 or the display module 200. At this time, the ground electrode (not shown) can prevent the magnitude of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which are pressure electrodes, from becoming too large.

이상에서 설명한 압력 전극(450, 460) 형성 및 부착 방법은 이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method of forming and attaching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described above can be similarly appli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압력 전극(450, 460)이 기판(300) 상에 형성된 것이 예시되나, 압력 전극(450, 4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기판(300)은 그라운드 전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을 터치함에 따라 기판(300)과 압력 전극(450, 460)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pressur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300, but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At this time, the substrate 300 may have a ground potential. Accordingly, as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touched, the distance d between the substrate 300 and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decreases.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 / RTI >

도 6d는 압력 전극 패턴을 예시한다. 도 6d에서는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이 기판(300) 상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정전용량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과 터치 압력(450, 46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6D illustrates a pressure electrode pattern. 6D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300. In FIG. The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touch pressure 450 or 460.

도 6e는 또 다른 압력 전극 패턴을 예시한다. 도 6e에서, 압력 전극(450, 4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6E illustrates another pressure electrode pattern. In Fig. 6E,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Fig.

도 6f 및 도 6g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압력 전극 패턴(450, 460)을 예시한다.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변화함에 따라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때, 검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필요한 정전용량 범위를 생성하도록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의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이 서로 마주하는 면적이 크거나 길이가 길수록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정전용량 범위에 따라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마주하는 면적의 크기, 길이 및 형상 등을 조절하여 설계할 수 있다. 도 6f 및 도 6g에는,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이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경우로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이 서로 마주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도록 압력 전극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6F and 6G illustrate pressure electrode patterns 450 and 460 that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50 are formed so as to generate a capacitance range necessary for increasing the detection accuracy when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is changed as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changes It is necessary to form the pattern of the second electrode 460. The greater the area where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face each other, or the longer the length, the greater the magnitude of the generated capacitance. Therefore, the size, length, shape, and the like of the opposing area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required capacitance range. 6F and 6G show a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formed on the same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face each other with a relatively long length A case where a pressure electrode is formed is illustrated.

위의 설명에서는,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동일한 층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나,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층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8(b)는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이 서로 다른 층에 구현된 경우의 부착 구조를 예시한다.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450)은 제1절연층(470) 상에 형성되고 제2전극(460)은 제1전극(450) 상에 위치하는 제2절연층(47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전극(460)은 제3절연층(472)으로 덮일 수 있다. 이때,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므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터치 센서 패널(100)에 포함된 MXN의 구조로 배열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패턴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M 및 N은 1 이상의 자연수 일 수 있다. Although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the same layer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formed in different layers It can be done. 8B illustrates an attachment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formed in different layers. The first electrode 450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7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450 as shown in FIG. 8 (b)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covered with a third insulating layer 472. 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located on different layers, so that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overlap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arranged in the MXN structure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panel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Pattern. ≪ / RTI > At this time, M and N may be natural numbers of 1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압력이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검출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압력 전극(450, 460)이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의 압력 전극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하나의 압력 전극과 그라운드층(디스플레이 모듈(200) 또는 기판(300))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도 있다.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ressure is detected from the change of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nd 4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ly the pressure electrode of either the first electrode 450 or the second electrode 460. In this case, one pressure electrode and the ground layer (the display module 200 or the substrate 300) may be detected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예컨대, 도 6a에서 압력 전극은 제1전극(450)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제1전극(45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야기되는 제1전극(45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부터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압력이 커짐에 따라 거리(d)가 감소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제1전극(450) 사이의 정전용량은 터치 압력이 증가할수록 커질 수 있다. 이는 도 6c와 관련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전극은,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빗살 형태 또는 삼지창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판(예컨대,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6A, the pressure electrode may include only the first electrode 450.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50, which are caused by the distance change between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first electrode 450,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from the capacitance change between the display modules 200. [ The capacitance d between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first electrode 450 may increase as the touch pressure increases because the distance d decreases as the touch pressure increases. Thi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embodiment related to FIG. 6C. At this time, the pressure electrode need not have a comb-like shape or a trident shape, which is necessary for increasing mutual capacitance change detection accuracy, and may have a plate (for example,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illustrated in Fig. 7B.

도 8(c)는 압력 전극이 제1전극(450)만을 포함하여 구현된 경우의 부착 구조를 예시한다. 도 8(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450)은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에 위치한 제1절연층(47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전극(450)은 제2절연층(471)으로 덮일 수 있다. 8 (c) illustrates the attachment structure when the pressure electrode is implemented to include only the first electrode 450. FIG. The first electrode 450 may be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70 located on the substrate 300 or the display module 200, as illustrated in FIG. 8 (c).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450 may be covered with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71.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450, 460)은 스페이서층(420) 내로서 기판(300)의 상부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pressur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in the spacer layer 420.

압력 검출을 위한 압력 전극 패턴은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는 기판(300) 상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제1전극(450)이 기판(300) 상에 형성되고 제2전극(46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상에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The pressure electrode pattern for pressure detec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450 and a second electrode 460. At this time, either one of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300, and the other on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7A illustrates that the first electrode 450 is formed on the substrate 30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객체(500)를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리(d)의 감소에 따라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증가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rough the object 500,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bent. Accordingly,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can be reduced. In this case, the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d decreas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by acquiring the increase amount of mutual capacitance i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 패턴을 예시한다. 도 7b에서는 제1전극(450)이 기판(300) 상부면상에 형성되고 제2전극(46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것이 도시된다.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므로, 위의 실시예와는 달리, 제1전극(450) 및 제2전극(460)은 빗살형상 또는 삼지창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판형상(예컨대, 사각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7B illustrates a pressure electrode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llustrates that the first electrode 4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0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7B, since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formed on different layers,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E.g., a rectangular plate shape) without having a comb-like or tridentate shape.

도 8(d)는 제1전극(450)이 기판(300) 상에 부착되고 제2전극(46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부착된 경우의 부착 구조를 예시한다.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450)은 기판(300) 상에 형성된 제1절연층(470-2)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450)은 제2절연층(471-2)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전극(4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제1절연층(470-1) 상에 위치하고, 제2전극(460)은 제2절연층(471-1)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8D illustrates an attachment structure when the first electrode 450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30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is attached to the display module 200. FIG. The first electrode 450 is locat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70-2 formed on the substrate 300 and the first electrode 450 is locat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70-2, 471-2. The second electrode 460 is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70-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is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71-1 Can be covered by.

도 8(a)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압력 전극(450, 460)이 부착되는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내지 않거나 약한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내는 경우, 도 8(a) 내지 도 8(d)에서 제1절연층(470, 470-1, 470-2) 사이에 그라운드 전극(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라운드 전극(미도시)과 압력 전극(450, 460)이 부착되는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에는 추가의 절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8 (a), when the substrate 300 or the display module 200 to which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attached does not exhibit the ground potential or exhibits a weak ground potential, as shown in FIG. 8 (a)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s 470, 470-1 and 470-2 in FIGS. 8A to 8D. At this time, an additional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300 or the display module 200 to which the ground electrode (not shown) and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attach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압력 전극(450, 460)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한다. 따라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구동전극에는 구동신호가 인가될 필요가 있고 수신전극으로부터 감지신호를 획득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량으로부터 터치 압력을 산출해야 한다. 실시예에 따라, 압력 검출 모듈(400)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싱 IC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Therefore, a driving signal needs to be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nd a sensing signal is required to be obtained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to calculate the touch pressure from the variation of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touch sensing IC for operating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4. FIG.

<제1 실시예>&Lt; Embodiment 1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 압력 검출 모듈(400), 위치센싱 컨트롤러(500), 압력센싱 컨트롤러(600), 컨버터(650) 및 프로세서(700)를 포함한다.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100, a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a converter 650, (700).

제1 실시예에서,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로부터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싱 컨트롤러(500)가, 컨버터(650) 및 압력센싱 컨트롤러(600)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touch input device 1000 includes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that senses a touch position from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converter 650 and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

즉, 터치 센서 패널(100)로부터의 터치 위치 검출과, 압력 검출 모듈(400)로부터의 터치 압력 검출이 별개의 구성, 즉, 위치센싱 컨트롤러(500)와 압력센싱 컨트롤러(600)에서 각각 별개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touch position detection from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touch pressure detection from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re per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nd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

한편, 별도로 구비된 컨버터(650)는 압력 검출 모듈(400)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Rx)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ADC(Analog-to-Digital Convter)이고, 컨버터(650)에 의해 변환된 신호는 압력센싱 컨트롤러(600)에 전달되며, 압력센싱 컨트롤러(600)는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게 된다.Meanwhile, the separately provided converter 650 is an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sensing signal Rx received from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converter 650 The convert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and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detects the touch pressure based on the digital signal.

제1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로부터의 터치 위치 검출과, 압력 검출 모듈(400)로부터의 터치 압력 검출 방식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touch position detection from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touch pressure detection method from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Therefore, do.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으로부터 감지신호(Rx)를 획득한다. 여기서 감지신호(Rx)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인가된 구동신호(Tx)가, 구동전극과 수신전극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감지신호(Rx)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Here, the sensing signal Rx may be a signal in which the driving signal Tx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coupled by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nsing signal Rx into a digital signal.

또한,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하나 이상의 적분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감지신호(Rx)는 적분기에 의해 적분되고, 내부에 구비된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integrators (not shown), and the sensing signal Rx may be integrated by an integrator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converter provided therein.

압력센싱 컨트롤러(600)는 압력 검출 모듈(400) 내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p)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Rx-p)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을 감지한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압력센싱 컨트롤러(600)는 컨버터(650)와는 별도로 구비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버터(65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감지신호(Rx-p)에 기초하여, 압력센싱 컨트롤러(600)는 터치 압력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p to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acquires the mutual capacitance reduction amount from the sensing signal Rx-p obtain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Detect the touch pressure. In this case,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verter 650.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x-p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by the converter 650,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generates touch pressure data.

한편, 위치센싱 컨트롤러(500)에서 검출한 터치 위치 데이터 및 압력센싱 컨트롤러(600)에서 검출한 터치 압력 데이터는 프로세서(700)로 전달된다. 프로세서(700)는 터치 위치 데이터 및 터치 압력 데이터를,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정보로 이용하면서,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Meanwhile, the touch position data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nd the touch pressure dat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ar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700. The processor 7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while using the touch position data and the touch pressure data as touch position and touch pressure information.

제1 실시예와 같이, 컨버터(650)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사양의 터치 입력 장치(1000)를 구현하기 위한 컨버터(65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고성능 컨버터(high performance ADC)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As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converter 650 is implement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the converter 650 for implement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of a desired specification can be selectively applied. Particularly, when a high performance ADC is used, a high SNR (signal to noise ratio) can be obtained,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can be enhanced.

<제2 실시예>&Lt; Embodiment 2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 압력 검출 모듈(400), 위치센싱 컨트롤러(500), 컨버터(650) 및 프로세서(701)를 포함한다.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100, a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 converter 650, and a processor 701.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는, 프로세서(701)가 압력 검출 모듈(400)로부터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싱 컨트롤러의 구성(기능)을 포함한다.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configuration (function) of a pressure sensing controller that detects the touch pressure from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by the processor 701. [

이때, 터치 센서 패널(100)로부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싱 컨트롤러(500)의 동작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으로부터 획득된 감지신호(Rx)에 기초해,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감지신호(Rx)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from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detects the touch positio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x obtained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At this time,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nsing signal Rx into a digital signal.

또한,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하나 이상의 적분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감지신호(Rx)는 적분기에 의해 적분되고, 내부에 구비된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integrators (not shown), and the sensing signal Rx may be integrated by an integrator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converter provided therein.

제2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1)는 압력 검출 모듈(400)에 구비된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p)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Rx-p)를 획득한다. 이때, 감지신호(Rx-p)는 별도로 구비된 컨버터(650)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컨버터(650)에 의해 변환된 신호는 프로세서(701)에 전달된다. 프로세서(701)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감지신호(Rx-p)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 데이터를 생성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rocessor 701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p to the driving electrode provided i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p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At this time, the detection signal Rx-p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converter 650 provided separately, and the signal converted by the converter 650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701. [ The processor 701 generates touch pressure data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x-p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위치 검출은 위치센싱 컨트롤러(500)에서 이루어지고, 터치 압력 검출은 프로세서(701)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터치 압력 검출을 수행하는 프로세서(701)는, 압력 검출 모듈(400)로부터의 감지신호(Rx-p)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650)와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performs touch position detection in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nd touch pressure detection is performed in the processor 701. [ At this time, the processor 701 for performing the touch pressure detection is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converter 650 for converting the sensing signal Rx-p from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nto a digital signal.

프로세서(701)는 별도의 컨버터(650)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한 터치 압력 데이터와 함께,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로부터 전달된 터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정보로 이용하여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processor 701, together with the touch pressure data generated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parate converter 650, is used as touch position and touch pressure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posi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There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제2 실시예도, 컨버터(650)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원하는 사양의 터치 입력 장치(1000)를 구현하기 위한 컨버터(65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고성능 컨버터(high performance ADC)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converter 650 is implement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the converter 650 for implement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of a desired specification can be selectively applied. Since the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can be obtained when a high performance ADC is used, the performance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can be enhanced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압력센싱 컨트롤러(600)의 기능을 프로세서(701)가 수행하기 때문에, 압력센싱 컨트롤러(600)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processor 701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becomes unnecessary, and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

<제3 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 압력 검출 모듈(400), 터치 컨트롤러(510), 컨버터(650) 및 프로세서(700)를 포함한다.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100, a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 touch controller 510, a converter 650, and a processor 700.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는, 터치 컨트롤러(510)에 의하여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제어된다.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pressure detection are controlled by the touch controller 510. [

즉, 터치 위치를 검출함에 있어서, 터치 컨트롤러(510)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으로부터 감지신호(Rx)를 획득한다. 여기서 감지신호(Rx)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인가된 구동신호(Tx)가, 구동전극과 수신전극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이때, 터치 컨트롤러(510)는 감지신호(Rx)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That is, in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the touch controller 51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Here, the sensing signal Rx may be a signal in which the driving signal Tx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coupled by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At this time, the touch controller 510 may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nsing signal Rx into a digital signal.

또한, 터치 컨트롤러(510)는 하나 이상의 적분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감지신호(Rx)는 적분기에 의해 적분되고, 내부에 구비된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Further, the touch controller 51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integrators (not shown), and the sensing signal Rx may be integrated by an integrator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converter provided therein.

아울러, 터치 컨트롤러(510)는 터치 압력 검출 기능을 가진다. 즉, 터치 컨트롤러(510)는 압력 검출 모듈(400) 내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p)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Rx-p)를 획득한다. In addition, the touch controller 510 has a touch pressure detecting function. That is, the touch controller 51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p to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p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다만, 터치 압력을 검출함에 있어서, 압력 검출 모듈(400)로부터의 감지신호(Rx-p)는, 터치 컨트롤러(510)와는 별도로 구비된 컨버터(65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컨버터(650)에 의해 변환된 신호는 터치 컨트롤러(510)에 전달되어, 터치 압력 데이터가 생성된다.However, in detecting the touch pressure, the sensing signal Rx-p from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converter 65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touch controller 510. [ The signal converted by the converter 650 is transmitted to the touch controller 510 to generate touch pressure data.

터치 컨트롤러(510)는 터치 위치 데이터 및 터치 압력 데이터를 프로세서(700)에 전달하며, 프로세서(700)는 이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touch controller 510 transmits touch position data and touch pressure data to the processor 700, and the processor 7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based on the touch position data and the touch pressure data.

제3 실시예도, 컨버터(650)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원하는 사양의 터치 입력 장치(1000)를 구현하기 위한 컨버터(650)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고성능 컨버터(high performance ADC)를 사용하는 경우, 높은 SNR(signal to noise ratio)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성능을 높일 수 있음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converter 650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component, the converter 650 for implement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of a desired specification can be selectively applied. Since the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can be obtained when a high performance ADC is used, the performance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can be enhanced as described above.

아울러,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위치센싱 컨트롤러(500)와 압력센싱 컨트롤러(600)가 하나의 구성(터치 컨트롤러(510))로 구현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터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감지신호(Rx)와 터치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감지신호(Rx_p)를 하나의 구성(터치 컨트롤러(510))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터치 위치와 터치 압력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는 우월한 효과를 도모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nd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of the first embodiment are implemented by a single configuration (touch controller 510),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signal Rx for sensing the touch position and the sensing signal Rx_p for sensing the touch pressure are processed in one configuration (the touch controller 510),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information are simultaneously So that more accurate data can be obtained in real time.

<제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 압력 검출 모듈(400), 위치센싱 컨트롤러(500), 압력센싱 컨트롤러(601) 및 프로세서(700)를 포함한다.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100, a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1, and a processor 700 do.

제3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데 있어서, 압력 검출 모듈(400)로부터 획득된 감지신호(Rx-p)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컨버터의 구성이 압력센싱 컨트롤러(601) 내에 구비되어 있다.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sensing signal Rx-p acquired from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into a digital signal, (601).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으로부터 감지신호(Rx)를 획득하여, 터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to generate touch position data.

또한,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하나 이상의 적분기(미도시) 및 컨버터(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감지신호(Rx)는 적분기에 의해 적분되고,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상기 신호에 의해 터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may include one or more integrators (not shown) and a converter (not shown) therein, and the sensing signal Rx is integrated by an integrator, do.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generates touch position data by the signal.

한편, 압력센싱 컨트롤러(601)는 압력 검출 모듈(400) 내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p)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Rx-p)를 획득한다. 이때, 압력센싱 컨트롤러(601)는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Rx-p)를 전달받아, 내부에 구비된 컨버터(650)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압력센싱 컨트롤러(601)는 터치 압력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1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p to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p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1 receives the sensing signal Rx-p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using the converter 650 provided therein. Based on the converted signal,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1 generates touch pressure data.

위치센싱 컨트롤러(500) 및 압력센싱 컨트롤러(601)에 의해 생성된 터치 위치 데이터 및 터치 압력 데이터는 프로세서(700)로 전달된다. 프로세서(700)는 전달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touch position data and the touch pressure data generated by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nd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1 ar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700. [ The processor 7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based on the transmitted data.

제4 실시예에서는, 압력센싱 컨트롤러(601)가 컨버터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높은 SNR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즉, 별도의 컨버터가 아닌, 압력센싱 컨트롤러(601)에 내장된 컨버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결국, 제4 실시예는, 높은 SNR을 요구하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1 includes the function of a converter. This is effective when the high SNR is not required, un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at is, since the converter incorporated in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1 is used instead of a separate converter,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fourth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most efficiently used when the SNR is not requi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to be reduced.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 압력 검출 모듈(400), 위치센싱 컨트롤러(500) 및 프로세서(702)를 포함한다.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100, a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nd a processor 702.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는, 프로세서(702)는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압력 검출 모듈(400)로부터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까지 갖는다.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processor 702 not on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but also has a function of sensing the touch pressure from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터치 센서 패널(100)로부터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싱 컨트롤러(500)의 동작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으로부터 획득된 감지신호(Rx)에 기초해,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for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from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detects the touch positio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x obtained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또한,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하나 이상의 적분기(미도시) 및 컨버터(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감지신호(Rx)는 적분기에 의해 적분되고,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위치센싱 컨트롤러(500)는 상기 신호에 의해 터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may include one or more integrators (not shown) and a converter (not shown) therein, and the sensing signal Rx is integrated by an integrator, do.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generates touch position data by the signal.

제5 실시예에서, 프로세서(702)는 압력 검출 모듈(400)에 구비된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p)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Rx-p)를 획득한다. 이때, 프로세서(702)는 내부에 컨버터를 구비하고 있어, 수신한 감지신호(Rx-p)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이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In the fifth embodiment, the processor 702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p to the driving electrode provided i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p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At this time, the processor 702 has a converter therein, converts the received sensing signal Rx-p into a digital signal, and generates touch pressure data based on the digital signal.

프로세서(702)에 의해 생성된 터치 압력 데이터 및 위치센싱 컨트롤러(500)에서 생성된 터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702)는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processor 70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based on the touch pressure data generated by the processor 702 and the touch position data generated by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

제5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702)가 컨버터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높은 SNR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즉, 별도의 컨버터가 아닌, 프로세서(702)에 내장된 컨버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결국, 제5 실시예는, 높은 SNR을 요구하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processor 702 includes the function of a converter. This is effective when the high SNR is not require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at is, since the converter incorporated in the processor 702 is used instead of a separate converter,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fifth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most efficiently used when a high SNR is not required and a manufacturing cost is to be reduced.

<제6 실시예><Sixth Embodiment>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 압력 검출 모듈(400), 터치 컨트롤러(520) 및 프로세서(700)를 포함한다.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100, a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 touch controller 520, and a processor 700.

제6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는, 터치 컨트롤러(520)에 의하여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제어된다.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pressure detection are controlled by the touch controller 520. [

즉, 터치 컨트롤러(520)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으로부터 감지신호(Rx)를 획득한다. 여기서 감지신호(Rx)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동전극에 인가된 구동신호(Tx)가, 구동전극과 수신전극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That is, the touch controller 52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Here, the sensing signal Rx may be a signal in which the driving signal Tx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coupled by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또한, 터치 컨트롤러(520)는 두 개 이상의 적분기(미도시) 및 두 개 이상의 컨버터(미도시)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감지신호(Rx)는 적어도 하나의 적분기에 의해 적분되고, 적어도 하나의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터치 컨트롤러(500)는 상기 신호에 의해 터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touch controller 520 may include two or more integrators (not shown) and two or more converters (not shown), and the sensing signal Rx may be integrated by at least one integrator, And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one converter. The touch controller 500 generates touch position data by the signal.

아울러, 터치 컨트롤러(520)는 압력 검출 모듈(400) 내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Tx-p)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Rx-p)를 획득한다. 이때, 감지신호(Rx-p)는 터치 컨트롤러(5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컨트롤러(520)는 터치 압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touch controller 520 applies the driving signal Tx-p to the driving electrode i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acquires the sensing signal Rx-p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At this time, the sensing signal Rx-p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t least one converter provided in the touch controller 520, and based on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he touch controller 520 generates touch pressure data .

터치 컨트롤러(520)는 터치 위치 데이터 및 터치 압력 데이터를 프로세서(700)에 전달한다. 프로세서(700)는 전달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touch controller 520 transfers the touch position data and the touch pressure data to the processor 700. The processor 7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based on the transmitted data.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위치센싱 컨트롤러(500)와 압력센싱 컨트롤러(600)가 하나의 구성(터치 컨트롤러(520))로 구현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In the sixth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500 and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00 of the first embodiment are implemented by a single structure (touch controller 520),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제6 실시예는, 터치 컨트롤러(520)가 컨버터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는 높은 SNR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즉, 별도의 컨버터가 아닌, 터치 컨트롤러(520)에 내장된 컨버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6 실시예도, 높은 SNR을 요구하지 않고,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touch controller 520 includes the function of a converter. This is effective when high SNR is not required. That is, since the converter incorporated in the touch controller 520 is used instead of a separate converter,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 sixth embodiment also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most efficiently used when a high SNR is not required and a manufacturing cost is to be reduced.

나아가, 제6 실시예는, 터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감지신호(Rx)와 터치 압력을 센싱하기 위한 감지신호(Rx_p)를 하나의 구성(터치 컨트롤러(520))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터치 위치와 터치 압력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는 우월한 효과를 도모한다.Furthermore, in the sixth embodiment, since the sensing signal Rx for sensing the touch position and the sensing signal Rx_p for sensing the touch pressure are processed in one configuration (the touch controller 520) The touch pressure information is simultaneously used to obtain more accurate data in real time.

한편, 제1 내지 제6 실시예와 관련한 상기 설명 및 도 9 내지 도 14에서는, 구동신호(Tx 및 Tx_p)와 감지신호(Rx 및 Rx_p)의 이동이, 복수의 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Tx, Tx_p, Rx, Rx_p의 신호 중 2개 이상의 신호가 하나의 라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In the above description related to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and FIGS. 9 to 14, it is described that the movement of the drive signals Tx and Tx_p and the sense signals Rx and Rx_p is per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lines, However,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nly two or more signals of Tx, Tx_p, Rx, and Rx_p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single line.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can be combined and modified by other persons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0‥‥‥‥터치 입력 장치 100‥‥‥‥터치 센서 패널
400‥‥‥‥압력 검출 모듈 500‥‥‥‥위치센싱 컨트롤러
600‥‥‥‥압력센싱 컨트롤러 650‥‥‥‥컨버터
700‥‥‥‥프로세서
1000 ... Touch input device 100 ... Touch sensor panel
400 ‥‥‥‥‥‥‥‥‥‥‥‥‥‥‥‥‥‥‥‥‥‥‥‥‥‥‥‥‥‥‥ Pressure sensing module
600 ‥‥‥‥‥‥‥‥‥‥‥‥‥‥‥‥‥‥‥‥‥‥‥‥‥‥‥ Pressure sensing controller 650 ...
700 ......... Processor

Claims (12)

커버층;
터치 센서;
상기 커버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력 전극;
상기 압력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컨버터; 및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센서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로부터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1컨버터로부터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며,
상기 제1컨버터와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되고,
상기 커버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터치에 따라 휘어지며,
상기 전기적 특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 변하는, 터치 입력 장치.
A cover layer;
Touch sensor;
A display panel positioned below the cover layer;
A pressure electrode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panel;
A first converter for converting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utput from the pressure electrode into a digital signal; And
And a touch controller,
Wherein the touch controller detects a touch position from a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touch sensor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ensor and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from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from the first converter,
Wherein the first converter and the touch controller are implement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Wherein the cover layer and the display panel are bent according to the touch,
Where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change as the display panel is warped.
커버층;
터치 센서;
상기 커버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력 전극;
상기 압력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컨버터;
상기 터치 센서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위치 센싱 컨트롤러; 및
상기 제1컨버터로부터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는 압력 센싱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버터는 상기 압력 센싱 컨트롤러 및 상기 위치 센싱 컨트롤러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되며,
상기 커버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터치에 따라 휘어지고,
상기 전기적 특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 변하는, 터치 입력 장치.
A cover layer;
Touch sensor;
A display panel positioned below the cover layer;
A pressure electrode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panel;
A first converter for converting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utput from the pressure electrode into a digital signal;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including a driver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ensor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touch position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And
And a pressure sensing controller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from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from the first converter,
Wherein the first converter is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separate from the pressure sensing controller and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Wherein the cover layer and the display panel are bent according to the touch,
Where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change as the display panel is warped.
커버층;
터치 센서;
상기 커버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력 전극;
상기 압력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컨버터;
상기 터치 센서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위치 센싱 컨트롤러; 및
상기 제1컨버터로부터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버터는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위치 센싱 컨트롤러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되며,
상기 커버층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터치에 따라 휘어지고,
상기 전기적 특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 변하는, 터치 입력 장치.
A cover layer;
Touch sensor;
A display panel positioned below the cover layer;
A pressure electrode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panel;
A first converter for converting a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utput from the pressure electrode into a digital signal;
A position sensing controller including a driver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touch sensor 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a touch position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And
And a processor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from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from the first converter,
Wherein the first converter is implemented in a configuration separate from the processor and the position sensing controller,
Wherein the cover layer and the display panel are bent according to the touch,
Where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change as the display panel is warped.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극 하부에 위치하는 차폐용 부재와 상기 압력 전극 사이 및 상기 압력 전극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스페이서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spacer layer at least one of a position between the shielding member and the pressure electrode located below the pressure electrode, and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 and the display pane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용 부재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기준 전위층이고,
상기 전기적 특성은 정전용량이고,
상기 정전용량은 상기 압력 전극과 상기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하는, 터치 입력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hielding member or the display panel is a reference potential laye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is a capacitance,
Wherein the capacitance varies with a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극과 상기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휘어짐에 따라 변하는, 터치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changes as the display panel is warp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패널 또는 OLED 패널인, 터치 입력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an LCD panel or an OLED pane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극은 복수의 채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ressure electrode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constituting a plurality of channel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채널을 사용하여 멀티 터치 각각의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터치 입력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ouch input device is configured to detect pressure of each of the multi-touch using the plurality of channel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전극은 시트 형태로 형성된, 터치 입력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ressure electrode is formed in a sheet for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는 적분기 또는 증폭기를 거쳐 제2컨버터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상기 터치 위치는 상기 제2컨버터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로부터 검출되는, 터치 입력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nsing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a second converter through an integrator or an amplifier,
Wherein the touch position is detected from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by the second converter.
KR1020160138703A 2016-10-24 2016-10-24 Touch input device KR101799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703A KR101799536B1 (en) 2016-10-24 2016-10-24 Touch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703A KR101799536B1 (en) 2016-10-24 2016-10-24 Touch input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358A Division KR20160141881A (en) 2014-09-19 2015-04-30 Touch input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84A Division KR20170121112A (en) 2017-10-20 2017-10-20 Touch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97A KR20160129797A (en) 2016-11-09
KR101799536B1 true KR101799536B1 (en) 2017-11-20

Family

ID=5752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703A KR101799536B1 (en) 2016-10-24 2016-10-24 Touch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5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11B1 (en) * 2013-09-23 2015-04-07 주식회사 하이딥 Capacitive location and pressure touch sens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511B1 (en) * 2013-09-23 2015-04-07 주식회사 하이딥 Capacitive location and pressure touch s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97A (en)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305B1 (en) Touch input device
KR101652029B1 (en) Pressure detection module and smartphone including the same
KR101598412B1 (en) Electrode sheet and touch input device
KR101670447B1 (en) Smartphone
KR20160048424A (en) Touch input device
KR101633923B1 (en) Smartphone
KR101634315B1 (en) Touch input device
KR20160141881A (en) Touch input device
KR101960708B1 (en) Touch input device
KR20160122090A (en) Pressure detection module and smartphone including the same
KR101838570B1 (en) Electrode sheet and touch input device
KR101865304B1 (en) Touch input device
KR20160098988A (en) Touch input device
KR101656755B1 (en) Electrode sheet and touch input device
KR101799536B1 (en) Touch input device
KR102124625B1 (en) Touch input device
KR101763206B1 (en) Touch input device
KR20170121112A (en) Touch input device
KR20160137931A (en) Touch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