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381B1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381B1
KR101799381B1 KR1020160054921A KR20160054921A KR101799381B1 KR 101799381 B1 KR101799381 B1 KR 101799381B1 KR 1020160054921 A KR1020160054921 A KR 1020160054921A KR 20160054921 A KR20160054921 A KR 20160054921A KR 101799381 B1 KR101799381 B1 KR 101799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user
serv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0375A (en
Inventor
이계림
부를렉 로난
부를렉 이안
휴고 가엘
최송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71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99081B1/en
Priority to US15/166,754 priority patent/US10448100B2/en
Priority to PCT/KR2016/005604 priority patent/WO2016190691A1/en
Priority to CN201680030475.2A priority patent/CN107743710B/en
Publication of KR2016014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3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04N5/4403
    • H04N5/445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실행을 지시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며, 상기 제1영상의 표시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상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 user input unit for instructing execution of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Wherein when the instruction to execute the GUI is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during the display of the first image,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first image including the at least one object on the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GUI so that the GU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00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영상컨텐츠의 영상 및 기 설정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영상컨텐츠로부터 부가 서비스로 전환될 때에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저감시키도록 화면의 표시 방식을 개선한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of various image contents including broadcast programs and images of predetermined various supplementary services to a u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which are improved in the display method of the screen so as to reduce the visual fatigue of the display device.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상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장치라면 영상을 표시 가능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및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모두 포함한다. 전자의 경우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TV가 있고, 후자의 경우의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 box)가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processes image signal /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various image processing processe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n display the processed image data on the display panel of the self-contained display panel or output the processed image signal to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image data is displayed on the other display device having the panel. That is,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both a case including a panel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nd a case including no panel, as long as the apparatus can process image data. The former case is referred to as a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and an example thereof is a TV.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set-top box.

TV, 태블릿, 모바일 폰 등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기술의 발전과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하는 경향에 따라서, 단순히 영상컨텐츠를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양한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의 일례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게임의 실행, 웹 페이지의 표시, 설치 지역을 기반으로 한 시각 또는 날씨의 통지, 현재 날짜의 통지, 사진 등의 정지화상의 표시, 텍스트의 표시,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하드웨어의 활성화 및 사용,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환경 설정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영상 기반으로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부가 서비스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 네트워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과 무관하게 클라이언트 기반 서비스로서 제공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implemented with a TV, a tablet, a mobile phone or the like is provided not only to display image contents, but also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demand of users. As an example of such an additional service, the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execution of a game, display of a web page, notification of a time or weather based on an installation area, notification of a current date, display of still images such as photographs, Such as the activation and use of the hardware installed in the display device, and the setting of the display device usage environment. This additional service can also be provided as a network-based service by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network, or as a client-based service regardless of the connection to the external network.

사용자는 영상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특정한 트리거 이벤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가 영상컨텐츠로부터 부가 서비스로 진입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가 트리거 이벤트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로 진입할 때에 영상컨텐츠의 영상으로부터 부가 서비스 영상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급격한 전환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피로감을 주게 되며, 영상컨텐츠의 영상의 움직임이 큰 경우와 전환되는 영상들이 풀스크린(full-screen)인 경우에 이러한 피로감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영상컨텐츠로부터 부가 서비스로 전환할 때에 발생하는 시각적 피로감을 저감시키는 구조 또는 방법이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The user can instruct the display device to enter the additional service from the image contents by generating a specific trigger event in a state where the image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By the way, when the display device enters the supplementary service according to the trigger event, the image of the image content is rapidly changed from the image of the supplementary service to the image of the supplementary service. Such a sudden change causes a visual fatigue to the user, and the fatigue may become larger when the motion of the image content is large and the images to be switched are full-screen. Therefore, a structure or a method for reducing the visual fatigue that occurs when switching from the image content to the additional service needs to b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부와;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실행을 지시하게 마련된 사용자입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며, 상기 제1영상의 표시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상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취득한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영상을 상기 GUI의 배경 이미지로 표시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GUI의 표시 때문에 영상컨텐츠의 제1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에도 사용자에 대한 제1영상의 시각적 피드백이 끊이지 않게 함으로써, 제1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경험이 단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에서 GUI로 전환 시에 화면 내용이 급격히 바뀌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 user input unit for instructing execution of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Wherein when the instruction to execute the GUI is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during the display of the first image,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first image including the at least one object on the display unit, And at least on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GUI so that the GU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process the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first image to generate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at least one object and to convert the second image into a background image of the GUI It can be processed to be displayed. Thus, even when the first image of the image content is not displayed due to the display of the GUI, the visual feedback of the first image to the user is not interrupted,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viewing experience of the first image from being cut off as much as possible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dden change in the screen contents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image to the GUI, thereby reducing the visual fatigue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영상의 재생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취득한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제2영상이 변화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제2영상의 변화를 통해 제1영상의 재생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acquire the video informatio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playback of the first video in real time, and process the second video in accordance with the video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Thus, even when the first image is not display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visual feedback of the first image through the change of the second image so as not to be disconnected.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최초 생성하는 상기 제2영상을 그레이스케일 기반으로 조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상기 제2영상이 기 설정된 컬러 기반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제2영상의 RGB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을 특정 컬러 기반으로 구현된 제2영상으로 전환할 때에, 컬러가 급격히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로도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processor adjusts the second image to be generated first based on a gray scale and gradually adjusts the RGB value of the second image so that the second image changes based on a predetermined color . Thus, when the first image is switched to the second image implemented based on a specific col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giving visual fatigue due to a sudden change in color.

또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제1영상의 일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상기 픽셀들의 RGB 값에 대응하게 도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상기 각 분할영역에 인가하며,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blur) 필터링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2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하고,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영역의 상하좌우 4방향 모서리 중에서 좌우 모서리에 대해 상기 블러 필터링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으로부터 제2영상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가 덜하도록 부드러운 물결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information may include RGB values of pixels included in one image frame of the first image. Here, the image fram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 brightness value and a transparency derived corresponding to the RGB values of the pixels included i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are applied to the respective divided regions, The second image can be generated by adjusting the horizontal width of each divided region and applying blur filtering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He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adjusts the reduction level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divided area relatively higher than the luminance value, and sets the reduction level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divided area having the relatively lower luminance value as a relative . In addition, the at least one processor may apply the blur filtering to left and right edges of upper, lower, right, and left four-directional edges of the divided area. Thereby, a smooth wave effect can be expressed so that the visual fatigue of the user is less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또한, 상기 GUI는 복수의 기 설정된 서비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서비스 별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GUI는, 상호간에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지시되는 상하좌우 4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전환되도록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상하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상기 서비스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좌우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동일한 상기 서비스 내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하좌우 4방향의 직관적인 이동 지시만으로 서비스의 전환 및 영상의 표시가 수행될 수 있는 바, 보다 용이하게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 may include at least on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ervices, and one or more GUIs provided for each of the services may be switched between the four directions of upward, downward, leftward, Lt; / RTI >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the GUIs of the different services in response to an instruction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to switch between the GUIs in the same service in response to a left- You can switch between GUIs. Accordingly, since the service switching and the display of the image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intuitive movement instruction of the user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additional service can be used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제1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로부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으로부터 취득한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제2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영상을 상기 GUI의 배경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GUI의 표시 때문에 영상컨텐츠의 제1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에도 사용자에 대한 제1영상의 시각적 피드백이 끊이지 않게 함으로써, 제1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경험이 단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에서 GUI로 전환 시에 화면 내용이 급격히 바뀌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ing a first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object; Receiving a GUI execution instruction from a user during display of the first image; And displaying the GUI corresponding to an outline of the at least one object. The step of displaying the GUI may include processing a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first image to generate a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an outline of the at least one object, And displaying the second image as a background image of the GUI. Thus, even when the first image of the image content is not displayed due to the display of the GUI, the visual feedback of the first image to the user is not interrupted,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viewing experience of the first image from being cut off as much as possible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dden change in the screen contents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image to the GUI, thereby reducing the visual fatigue of the user.

여기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영상의 재생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취득한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제2영상이 변화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이 표시되고 있지 않은 동안에도 제2영상의 변화를 통해 제1영상의 재생에 따른 시각적 피드백이 단절되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displaying the GUI may include a step of acquiring the video informatio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first video in real time and processing the second video to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video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 Thus, even when the first image is not display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visual feedback of the first image through the change of the second image so as not to be disconnected.

여기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최초 생성하는 상기 제2영상을 그레이스케일 기반으로 조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상기 제2영상이 기 설정된 컬러 기반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제2영상의 RGB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을 특정 컬러 기반으로 구현된 제2영상으로 전환할 때에, 컬러가 급격히 변화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로도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ing the GUI may include adjusting the second image to be generated first based on a gray scale, and adjusting an RGB value of the second image so that the second image changes based on a predetermined color, And may include steps of progressively changing. Thus, when the first image is switched to the second image implemented based on a specific col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giving visual fatigue due to a sudden change in color.

또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제1영상의 일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상기 픽셀들의 RGB 값에 대응하게 도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상기 각 분할영역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의 상하좌우 4방향 모서리 중에서 좌우 모서리에 대해 상기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영상으로부터 제2영상으로 전환할 때에 사용자의 시각적 피로도가 덜하도록 부드러운 물결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information may include RGB values of pixels included in one image frame of the first image. The generating of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dividing the image fram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pplying a luminance value and a transparency derived corresponding to RGB values of the pixels included i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Adjusting widths of the respective divided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luminance values; And applying blur filtering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Here, the step of adjusting the width of each of the divided areas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value may include: adjusting a reduction level of the width of the divided area relatively high, wherein the brightness value is relatively high; And adjusting the reduction level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divided area relatively low in the luminance value. The step of applying blur filtering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may include applying the blur filtering to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four-directional edges of the divided area. Thereby, a smooth wave effect can be expressed so that the visual fatigue of the user is less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또한, 상기 GUI는 복수의 기 설정된 서비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서비스 별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GUI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되는 상하좌우 4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전환되도록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의 상하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상기 서비스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좌우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동일한 상기 서비스 내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하좌우 4방향의 직관적인 이동 지시만으로 서비스의 전환 및 영상의 표시가 수행될 수 있는 바, 보다 용이하게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GUI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ervices, and the at least one GUI provided for each of the services may be a dictionary Can be set. Switching between the GUIs of the service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sponse to a vertical movement instruction from the user; And switching between the GUIs in the same service in response to a leftward and rightward movement instruction from the user. Accordingly, since the service switching and the display of the image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intuitive movement instruction of the user in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additional service can be used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비스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에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서비스영상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신호처리부의 구성 블록도,
도 5 내지 도 13은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 서비스의 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의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영상의 컨텐츠 맵핑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부가 서비스의 일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에서 컨텐츠 화면으로 전환 표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부가 서비스의 두 카테고리 사이에서 서비스영상이 전환 표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 서비스의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영상 위에 UI 메뉴가 오버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3은 도 22의 디스플레이장치가 UI 메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비스영상이 컨텐츠영상에 PIP 형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5는 도 24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TV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앱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피커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피커의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하는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토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시계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기능 조정을 위해 제공하는 UI의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rvice image is switched from a content image to a service image when a service switching event occurs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ignal processing unit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3;
5 to 13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background image of an image of an additional service by the display device of FIG. 3;
FIG. 1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service image by the display device of FIG. 3;
FIG. 1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background image of a service image by the display device of FIG. 3;
16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emplary view of a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ent mapping principle of an additional service imag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inciple of switching from a title screen to a content screen in one category of an additional servic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inciple in which a service image is switched and displayed between two categories of an additional servic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service image of an additional service by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I menu overlaid on a content imag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the UI menu by the display device of FIG. 22;
2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rvice image displayed on a content image in a PIP format in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service image by the display device of FIG. 24,
26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in response to user input b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TV icon;
28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n app icon;
29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speaker icon;
3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I showing an output state of a speak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photo icon;
3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clock icon;
34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background setting icon;
35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provid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unction adjustmen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If the term includes an ordinal such as a first component, a second component, or the like in the embodiment, such term i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 term is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in meaning by their terms.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applied to explain th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부가되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nly the configura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other configurations will not be described.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apparatus or system to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not meant that the configuration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is unnecess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 comprise "or" have "in th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 / RTI > an operation, an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TV로서 구현되지만, 태블릿, 모바일 폰, 멀티미디어 재생기, 전자액자, 디지털 광고판 등 영상을 표시 가능한 제반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주로 한 장소에서 설치되는 형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휴대하며 사용하는 모바일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같이 장치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모니터를 구비한 영상처리장치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mplemented as a TV, but can be implemented as a general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such as a tablet, a mobile phone, a multimedia player, an electronic frame, have.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n a form of being installed in a place, as well as in a mobile form that the user freely carries and uses. Als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case where the apparatus itself displays an image, but also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eparate monitor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the display apparatus 10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컨텐츠는, 방송국의 송출장비(10)로부터 RF 방송신호로 전송되거나, 서버(2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로컬 접속된 멀티미디어 재생기(30)로부터 재생 및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영상컨텐츠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processes data of image contents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display an image. The video contents are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apparatus 10 of the broadcasting station to the RF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 via the network as data packets, or reproduced from the multimedia player 30 lo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apparatus 100 And transmitted. Alternatively, the image contents may be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as digital data.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어느 한 영상소스(10, 20, 30)로부터의 영상컨텐츠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입력부(130)를 가지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가 사용자입력부(130)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어느 한 영상소스(10, 20, 30)를 선택하면, 선택된 영상소스(10, 20, 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해당 영상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특정 방송채널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1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해당 방송채널로 튜닝하여 방송영상을 표시한다.The display apparatus 100 has a user input unit 130 for the user to select image contents from any one of the image sources 10, 20 and 30,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as the user input unit 130. [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video sources 10, 20 and 3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the display device 100 processes the video contents received from the selected video sources 10, 20 and 30, And displays an image of the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the broadcast image by tuning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broadcast equipment 10 of the broadcast station to the broadcast channel .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하는 기능은 영상소스(10, 20, 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는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기본적인 서비스 이외에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칭하는 바, 특정한 서비스의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가 서비스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100 may not only display image contents received from the image sources 10, 20 and 30 as images, but may also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to the user. Here, the supplementary service refers to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to basic services for processing image contents and displaying them as images,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ervice type. Further, the supplementary service may be provided on a network basis or on a client basis.

부가 서비스의 예시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장치 환경 또는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는 서비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지역 또는 사용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날짜, 시간, 날씨 등을 통지하는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하거나 또는 로컬 저장된 사진 및 그림 등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서비스,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서비스 등 다양한 종류 및 형태가 가능하다.Examples of the additional service include a service for setting a device environment or a user environment of the display device 100, a service for notifying date, time, weather, etc. based on an installation area or a usage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0, A service for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photograph and a picture which are locally stored or a service for displaying a specific web page through a web browser, and the like.

영상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어느 한 부가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사용자입력부(130)를 통해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컨텐츠 대신 부가 서비스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동작한다.While the image of the image content is displayed, the user can instruct the user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30 to display an image of an additional service. Accordingly, the display apparatus 100 operates so that an image of an additional service is displayed instead of the image content.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서비스 전환 이벤트의 발생 시에 컨텐츠영상(210)으로부터 서비스영상(220)으로 전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rvice image 220 is switched from the content image 210 when a service switching event occurs in the display device 100.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컨텐츠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영상(210)을 표시한다. 컨텐츠영상(210)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부가 서비스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러한 이벤트의 예를 들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시간대를 통지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지시를 입력하는 경우가 가능하다.As shown in FIG. 2, the display device 100 processes the data of the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outside to display the content image 210. When the content image 210 is displayed, the display device 100 detects an event instructing to switch to the additional service. As an example of such an event, it is possible to input an instruction to request the user to provide an additional service for notifying the time zone of the area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is currently located.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벤트에 따라서, 컨텐츠영상(210)으로부터 서비스영상(220)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서비스영상(220)은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영상(210) 및 서비스영상(220)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영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영역 전체에, 풀스크린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서비스영상(220)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switches from the content image 210 to the service image 220 according to an event and displays the service image. The service image 220 represents the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 image 210 and the service image 220 are displayed in full screen on the entire display area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an image. The user can receive a desired service through the service image 220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여기서, 사용자가 컨텐츠영상(210)으로부터 서비스영상(220)으로 전환될 때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210) 및 서비스영상(220) 사이에 별도의 시각적인 효과 없이 곧바로 전환을 수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가 인지하게 되는 몇 가지 사항이 있다.Here, when the user switches from the content image 210 to the service image 220, th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the conversion without any visual effect between the content image 210 and the service image 220 . However, there are a few things to be perceived by the user in such a case.

사용자는 컨텐츠영상(210)에서 서비스영상(220)으로 바로 전환될 때에, 화면의 급격한 전환 때문에 시각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표시화면이 대형일 때, 컨텐츠영상(210) 및 서비스영상(220)이 풀스크린으로 표시될 때, 컨텐츠영상(210)의 모션량이 클 때에, 사용자가 느끼는 시각적 피로감은 증대된다.When the user directly switches from the content image 210 to the service image 220, the user can feel the visual fatigue due to the rapid change of the screen. Particularly, whe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large, when the content image 210 and the service image 220 are displayed in full screen, when the amount of motion of the content image 210 is large, Is increased.

또한, 서비스영상(220)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는 컨텐츠영상(210)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컨텐츠영상(210)의 시청 경험이 단절된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 컨텐츠영상(210)의 시각적 피드백이 단절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의 사용을 꺼리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image 210 is not displayed while the service image 220 is being displayed, the viewing experience of the content image 210 is disconnec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In other words, since the visual feedback of the content image 210 is disconnect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user may be a factor of reluctant to use the supplementary service.

이와 같은 제1실시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제2실시예가 제안되는 바, 제2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A second embodiment for overcoming the problem of the first embodiment is proposed,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앞선 제1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다.3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substantially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110)와,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실행되는 사용자입력부(130)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40)와, 표시부(120)에 영상이 표시되게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처리부(150)를 포함한다.3,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signal receiving unit 110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from the outside, a display unit 120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as an image, A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data and information, a display unit 120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so that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signal processing unit.

신호수신부(110)는 다양한 영상소스(10, 20, 30, 도 1 참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기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외부에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복수의 통신규격에 각기 대응하는 통신포트 또는 통신모듈의 집합체에 의해 구현되는 바, 지원 가능한 프로토콜 및 통신 접속 대상이 어느 하나의 종류 또는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신호수신부(110)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RFIC(미도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와이파이 통신모듈(미도시),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이더넷 모듈(미도시), USB 메모리(미도시) 등의 로컬 접속을 위한 USB 포트(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receives image signals transmitted from various image sources 10, 20 and 30 (see FIG. 1).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can not only receive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but can als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is implemented by a communication port or an aggregate of communication modul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tandards, and the supportable protocol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objects are not limited to any one type or format. For example,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may include an RFIC (not shown) for receiving an RF signal, a WiFi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n Ethernet module (not shown) for wired network communication, And a USB port (not shown) for local connection, etc.

표시부(120)는 신호처리부(15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120)는 신호처리부(150)로부터 출력되는 튜닝된 방송신호를 방송영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as an imag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tuned broadcast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as a broadcast image.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display unit 120 is not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liquid crystal, a plasma, a light-emitting dio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carbon nano-tube, nano-crystal, and the like.

표시부(120)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구조 이외에, 패널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방식인 경우에, 표시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20 may additionally inclu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anel, in addition to the panel structure for displaying an image. For example, in the liquid crystal type, the display unit 12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a backlight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light to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Not shown) for driving the panel driving board (not shown).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신호처리부(15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정보화하여 신호처리부(15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정보의 입력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키/버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와 이격된 별도의 리모트 컨트롤러, 표시부(120)에 일체화된 터치스크린, 그 외에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하게 마련된 입력장치 등이 가능하다.The user input unit 130 transmits various preset control commands or informa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input. The user input unit 130 informs various events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realiz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method.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 button installed outside the display device 100, a separate remote controller A touch screen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120, or an input devic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100, or the like.

저장부(140)는 신호처리부(15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40)는 신호처리부(150)에 의해 억세스됨으로써, 데이터의 독취(read), 기록(write), 수정(edit), 삭제(delete), 갱신(update)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various data according to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The storage unit 140 is ac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50 to read, write, edit, delete, and update data.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 memory or a hard disk drive so as to store data regardless of whether the system power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provided or not. do.

신호처리부(150)는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에 대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신호수신부(110)에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신호처리부(150)는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방송신호를 표시부(120)에 출력함으로써 표시부(12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performs various processes on the data / signal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When a video signal is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performs an image processing process on the video signal and outputs the broadcast signal on which the process is performed to the display unit 120, Is displayed.

신호처리부(15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입력되는 스트림을 영상, 음성,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스트림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스트림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스트림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ype of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perform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50 may perform de-multiplexing to divide an input stream into respective lower streams of video, audio, and additional data, De-interlacing to convert a video stream of an interlaced format into a progressive format, scaling to adjust a video stream to a preset resolution, image quality enhancement, For example, noise reduction, detail enhancement, frame refresh rate conversion, and the like.

신호처리부(150)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종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신호처리부(150)가 수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영상처리 프로세스로 한정할 수 없으며, 또한 신호처리부(150)가 처리 가능한 데이터가 신호수신부(110)에 수신되는 것만으로 한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신호처리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음성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해당 발화를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5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칩셋(chip-set)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Since the signal processor 150 can perform various processes according to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ignals or data, it is not possible to limit the processes that can be performed by the signal processor 150 to the image processing processes, Data can not be limited to being received by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only. For example, when the user's utterance is input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signal processor 150 can process the utteran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voice processing process. The signal processo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on-a-chip (SOC) in which various functions are integrated or individual chip-sets capable of independently performing each of these processes ar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mage processing board (not shown).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드웨어적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구현되는 형태 및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신호를 특정 주파수로 튜닝하기 위한 구성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라면 필요로 하겠지만,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태블릿이라면 제외될 수도 있다.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vary in detail depending on the form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nd the functions supported by th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a configuration for tuning a broadcast signal to a specific frequency may be required if the display device 100 is a TV, but may be excluded if the display device 100 is a tablet.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인 경우의 신호처리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a TV will be described.

도 4는 신호처리부(15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도면의 신호처리부(150)는 제품에서 실제 구현되는 구성 중에서 기본적인 것만을 나타낸 것인 바, 실제 제품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 이외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As shown in FIG.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in this figure shows only the basic configuration actually implemented in the product, and further includes configur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n actual product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수신부(110)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특정 주파수로 튜닝하는 튜닝부(tuner)(1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50)는 튜닝부(111)로부터 전달되는 방송신호를 복수의 서브신호들로 구분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먹스(deMUX)(151)와, 디먹스(151)로부터 출력되는 각 서브신호들을 디코딩하는 디코더(decoder)(152)와, 디코딩된 서브신호 중에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여 표시부(120)로 출력하는 스케일러(scaler)(153)와, 신호처리부(150)의 동작을 위한 연산 및 제어를 수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54)와, 신호 또는 데이터가 신호처리부(150)에서 처리되는 동안에 임시로 저장되는 버퍼(buffer)(15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signal receiving unit 110 includes a tuner 111 for tuning a received broadcast signal to a specific frequenc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includes a demux 151 for demultiplexing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uning unit 111 into a plurality of sub signals and outputting the sub signals, A scaler 153 for scaling the video signal among the decoded sub-signals and outputting the scaled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20,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54 for performing control and a buffer 155 for temporarily storing signals or data while being processed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튜닝부(111)는 RF 안테나(미도시)에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지정된 특정 채널의 주파수로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변환한다. 튜닝부(111)는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고주파 반송파를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전송스트림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튜닝부(111)는 A/D 컨버터(미도시)를 가질 수 있는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A/D 컨버터(미도시)는 튜닝부(111)가 아닌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미도시)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tuning unit 111 tunes a broadcast signal at a frequency of a specified channel and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into a transport stream when a broadcast signal is received in an RF antenna (not shown). The tuning unit 111 converts a high-frequency carrier wave transmitted from an antenna (not shown)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band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to generate a transport stream. To this end, the tuning unit 111 may have an A / D converter (not shown). Depending on the design, an A / D converte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a demodulator (not shown) . ≪ / RTI >

디먹스(151) 또는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는 기본적으로 멀티플렉서(미도시)와 반대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디먹스(151)는 하나의 입력단을 복수의 출력단과 연결하여, 입력단에 입력되는 스트림을 선택신호에 따라서 각 출력단에 출력하는 분배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입력단에 대해 네 개의 출력단이 있다면, 디먹스(151)는 0 또는 1의 상태를 가지는 두 개의 선택신호의 상태를 조합함으로써 네 개의 출력단 각각을 선택할 수 있다.The demux 151 or demultiplexer basically acts in opposition to the multiplexer (not shown). That is, the demux 151 connects one input terminal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and plays a role of distributing a stream input to the input terminal to each output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signal. For example, if there are four output stages for one input stage, the demux 151 can select each of the four output stages by combining the states of the two selection signals having states of 0 or 1.

디먹스(151)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적용되는 경우에, 튜닝부(111)로부터 전달되는 전송스트림을 영상스트림, 음성스트림, 부가데이터스트림의 서브신호들로 구분하여 각 출력단으로 출력한다.When the demux 151 is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demux 151 divides the transport stream delivered from the tuning unit 111 into sub-signals of a video stream, a voice stream, and an additional data stream, and outputs the sub-signals to the respective output terminals.

디먹스(151)가 전송스트림을 서브신호들로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먹스(151)는 전송스트림 내의 패킷(packet)들에 각기 부여된 식별자인 PID(packet identifier)에 따라서 전송스트림을 각 서브신호들로 구분한다. 전송스트림 내의 채널 별 서브신호를 독립적으로 압축되어 패킷화되어 있으며, 어느 한 채널에 해당하는 패킷에는 동일한 PID가 부여됨으로써 다른 채널의 패킷과 구별되도록 마련된다. 디먹스(151)는 전송스트림에서 PID 별로 패킷들을 분류하여, 동일한 PID를 가지는 서브신호들을 추출한다.For example, the demultiplexer 151 demultiplexes the PID (packet), which is an identifier assigned to each packet in the transport stream, identifies the transport stream as each sub-signal. Sub-signals for each channel in the transport stream are independently compressed and packetized, and packets corresponding to one channel are assigned to the same PID, thereby being distinguished from packets of other channels. The demux 151 classifies packets by PID in the transport stream and extracts sub-signals having the same PID.

디코더(152)는 디먹스(151)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신호들을 각기 디코딩한다. 본 도면에서는 디코더(152)가 하나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디코더(152)는 각 서브신호를 개별적으로 디코딩하도록 복수 개의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코더(152)는 영상신호를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 음성신호를 디코딩하는 음성 디코더, 부가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부가데이터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coder 152 decodes the sub signals output from the demux 151, respectively. In this figure, the decoder 152 is represented as one, but the decoder 15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to individually decode the respective subsignals. That is, the decoder 152 may include a video decoder for decoding the video signal, a voice decoder for decoding the audio signal, and an additional data decoder for decoding the additional data.

디코더(152)에 전달되는 서브신호는 특정 포맷에 의해 인코딩된 상태이므로, 디코더(152)는 서브신호에 대해 해당 인코딩 과정을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해당 서브신호의 인코딩 이전 상태를 복원시키는 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디먹스(151)로부터 출력되는 서브신호가 인코딩되어 있지 않은 무압축 상태라면, 해당 서브신호에 대해서는 디코더(152)에 의한 처리가 수행되지 않고 스케일러(153)로 전달되거나 또는 해당 서브신호가 디코더(152)를 바이패스하여 스케일러(153)로 전달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Since the sub signal transmitted to the decoder 152 is encoded in a specific format, the decoder 152 performs a decoding process for restoring the pre-encod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sub signal by performing the encoding process for the sub signal inversely do. Therefore, if the sub-signal output from the demultiplexer 151 is uncompressed and not encoded, the sub-signal is not processed by the decoder 152 and is transmitted to the scaler 153 or the corresponding sub- Decoder 152 may be bypassed and delivered to the scaler 153. [

스케일러(153)는 디코더(152)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표시부(120)의 해상도 또는 별도 지정된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한다. 이와 같이 스케일링된 영상신호는 표시부(120)에 영상으로 표시된다.The scaler 153 scales the video signal decoded by the decoder 152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unit 120 or a separately specified resolution. The scaled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as an image.

CPU(154)는 신호처리부(150) 내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중심적인 연산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해석 및 연산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CPU(154)는 내부적으로, 처리할 명령어들이 저장되는 프로세서 레지스터(미도시)와,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하는 산술논리 연산 유닛(arithmetic logic unit, ALU)(미도시)와, 명령어의 해석과 올바른 실행을 위하여 CPU(154)를 내부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control unit)(미도시)과, 내부 버스(BUS)(미도시)와, 캐시(cache)(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CPU 154 performs a central operation for operating all the components in the signal processor 150, and basically plays a central role in interpreting and calculating data. The CPU 154 internally includes a processor register (not shown) in which instructions to be processed are stored,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not shown) responsible for comparison, determination, and operation,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internally controlling the CPU 154 for proper execution, an internal bus BUS (not shown), a cache (not shown), and the like.

CPU(154)는 디먹스(151), 디코더(152) 및 스케일러(153)와 같은 신호처리부(150)의 각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다. 다만, 신호처리부(15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신호처리부(150)의 구성 중에는 CPU(154)의 데이터 연산 없이 동작하거나 또는 별도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도 있을 수 있다.The CPU 154 performs operations necessary for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signal processor 150 such as the demultiplexer 151, the decoder 152 and the scaler 153. Depending on the design method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out any data operation by the CPU 154 or by a separate microcontroller (not shown).

버퍼(155)는 신호처리부(150)가 방송신호를 처리함에 있어서, 신호처리부(150)의 각 구성이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된다. 버퍼(155)는 신호처리과정에서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는 위치이므로, 시스템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데이터의 유지가 필요한 저장부(140, 도 4 참조)와 달리,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본 도면에서는 버퍼(155)의 입출력이 CPU(154)를 통해 수행되는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신호처리부(150)의 각 구성이 CPU(154)를 통하지 않고 버퍼(155)에 접속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buffer 155 temporarily stores data to be processed by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whe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processes the broadcast signal. The buffer 155 is a nonvolatile memory unlike the storage unit 140 (see FIG. 4) in which data is held even when the system power is off, since the data is temporarily loaded at the time of signal processing. Although the input / output of the buffer 155 i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through the CPU 154 in the figure, each configuration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o the buffer 155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PU 154. [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되는 영상컨텐츠를 처리하여 영상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표시부(120)에 영상컨텐츠의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사용자입력부(130)로부터 부가 서비스의 실행 커맨드가 수신되면, 영상컨텐츠의 영상 대신 부가 서비스의 영상을 표시한다.Under this structure, the display device 100 processes the received image content to display the image of the image content. The display apparatus 100 displays an image of the supplementary service instead of the image of the image content when the execution command of the supplementary service is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130 while the image of the imag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부가 서비스의 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generating the background image of the image of the additional service by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 내지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부가 서비스의 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영상컨텐츠의 영상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컨텐츠영상으로, 부가 서비스의 영상을 서비스영상으로 각기 지칭한다.FIGS. 5 to 13 illustrate a process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generates a background image of an image of an additional servic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image displayed by the image signal of the image content is referred to as a content image, and the image of the additional service is referred to as a service image.

이하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되는 배경화면을 포함한 서비스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하지 않지만 계속 영상컨텐츠의 처리를 수행한다. 표시하지 않는 영상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유에 관해서는 후술한다.While the service image including the generated background scree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display the content image, but continues to process the image content. The reason for processing the data of the video that is not displayed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텐츠영상의 일 영상프레임(310)을 캡쳐(capture)한다. 이러한 처리과정은 기본적으로 CPU(154, 도 4 참조)에 의해 연산 및 실행되지만, 해당 처리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마련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isplay device 100 captures a one-image frame 310 of a content image when an event instructing execution of the supplementary service occurs while displaying the content image. Although this process is basically computed and executed by the CPU 154 (see FIG. 4),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executing the process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FIG.

또한, 캡쳐된 영상프레임(310)을 비롯한 이하 처리과정에서의 데이터들은 버퍼(155, 도 4 참조)에 저장된다.In addition, the data in the following processing including the captured image frame 310 is stored in the buffer 155 (see FIG.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캡쳐한 영상프레임(310)을 M*N의 행렬 형태의 그리드(grid)(320)로 분할한다. 여기서, M 및 N은 기 설정된 수치로서 영상프레임(310)의 해상도에 따라서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display apparatus 100 divides an image frame 310 captured from a content image into a grid 320 in the form of a matrix of M * N. Here, M and N are preset values, and various value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image frame 310. [

그리드(320)에 의해 영상프레임(310)은 복수 개의 사각형(330)으로 분할되며, 각 사각형(330)은 복수 개의 픽셀을 포함한다.The grid 320 divides the image frame 310 into a plurality of rectangles 330 and each rectangle 33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사각형(350)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 각각의 RGB 값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영상프레임(340) 전체를 그레이스케일로 변환한다.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device 100 extracts RGB values of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each quadrangle 350 and stores the extracted RGB values. Then, the display device 100 converts all the image frames 340 to gray scal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앞서 각 사각형(350, 도 7 참조) 별로 추출 및 저장된 RGB 값에 기초하여 휘도값 및 투명도를 산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산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해당 사각형(360)에 반영한다. 도 8은 본 실시예를 간결히 설명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영역 중 일부 영역만을 나타낸 것임을 밝힌다.As shown in FIG. 8, the display apparatus 100 calculates luminance values and transparency based on RGB values extracted and stored for each quadrangle 350 (see FIG. 7). The display device 100 reflects the calculated luminance value and transparency on the corresponding quadrangle 360. FIG. 8 shows only a part of the area shown in FIG. 7 for the sake of brevity.

여기서, 각 사각형(360)의 픽셀의 RGB 값에 기초하여 해당 사각형(360)의 휘도값 Br 및 투명도 α를 산출하는 수학식은 다음과 같다.Here, the following equation is used to calculate the luminance value Br and the transparency alpha of the corresponding quadrangle 360 based on the RGB values of the pixels of each quadrangle 360 as follows.

[수학식 1][Equation 1]

Br=sqrt(r2*0.241+g2*0.691+b2*0.068); (0<Br<255) Br = sqrt (r 2 * 0.241 + g 2 * 0.691 + b 2 * 0.068); (0 < Br < 255)

α=1-Br/255; (0<α<1)alpha = 1-Br / 255; (0 < alpha < 1)

위 수학식에서, 변수 r, g, b는 각각 사각형(360) 내의 픽셀들의 R 값의 평균값, G 값의 평균값, B 값의 평균값이다. sqrt는 주어진 수치값의 양의 제곱근을 반환하는 함수이다.In the above equation, the variables r, g, and b are an average value of the R values of the pixels in the quadrangle 360, an average value of the G values, and an average value of the B values. sqrt is a function that returns the square root of the positive of a given numeric valu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각형(361, 362) 별로 산출된 휘도값에 대응하여 각 사각형(361, 362)의 폭을 조정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사각형(361, 362)의 높이는 조정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9, the display device 100 adjusts the width of each of the rectangles 361 and 362 in correspondence with the luminance value calculated for each of the rectangles 361 and 362.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adjust the height of each of the rectangles 361 and 362.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아래 수학식에 따라서 각 사각형(361, 362)의 폭 w을 결정한다.Th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width w of each of the rectangles 361 and 362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2]&Quot; (2) &quot;

w=1-Br/255w = 1-Br / 255

w의 최대값을 1이라고 하면, w의 범위는 0<w<1이 된다. 이러한 수학식에 따르면, 휘도값이 높을수록 사각형(361, 362)의 폭이 작아지며 휘도값이 낮을수록 사각형(361, 362)의 폭이 높아진다.Assuming that the maximum value of w is 1, the range of w is 0 < w < 1. According to this equation, the widths of the rectangles 361 and 362 decrease as the luminance value increases, and the widths of the rectangles 361 and 362 increase as the luminance value decreases.

비교를 위해,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값을 가진 제1사각형(361) 및 상대적으로 높은 휘도값을 가진 제2사각형(362)의 예를 들기로 한다. 폭의 조정 이전에는, 제1사각형(361)의 폭 w1과 제2사각형(362)의 폭 w2는 동일한 값을 나타낸다.For comparison, an example of a first rectangle 361 having a relatively low luminance value and a second rectangle 362 having a relatively high luminance value will be exemplified. Before the adjustment of the width, the width w1 of the first rectangle 361 and the width w2 of the second rectangle 362 show the same value.

그런데, 위 수학식에 기초하여 제1사각형(361)의 폭이 w1에서 w1'으로 조정되고 제2사각형(362)의 폭이 w2에서 w2'로 조정되면, 폭 w1'는 폭 w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낸다. 즉, 휘도값이 높을수록 폭의 감소량이 커지게 된다.If the width of the first rectangle 361 is adjusted from w1 to w1 'and the width of the second rectangle 362 is adjusted from w2 to w2' based on the above equation, the width w1 'is compared with the width w2' It represents a relatively large value. That is, as the luminance value increases, the amount of reduction in the width increases.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조정 과정을 영상프레임(370) 내의 모든 사각형에 적용하면, 영상프레임(370)의 각 사각형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되, 휘도값 별로 상이한 폭을 가지도록 나타난다. 구체적으로는,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각형은 상대적으로 넒은 폭을 가지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사각형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진다.As shown in FIG. 10, when the above-described adjustment process is applied to all of the squares in the image frame 370, each of the squares of the image frame 370 has the same height and appears to have a different width according to the luminance value. Specifically, a rectangle having a relatively low luminance value has a relatively wide width, and a rectangle having a relatively high luminance value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프레임(380) 내에서 각 사각형의 세로선에 대해서만 블러(blur) 처리를 적용한다. 사각형의 세로선에 대해서만 블러 처리를 한다는 것은, 사각형의 상하 에지에 대해서는 블러 처리를 하지 않고 사각형의 좌우 에지에 대해서만 블러 처리를 한다는 의미이다.As shown in FIG. 11,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blur processing only to the vertical lines of each rectangle in the image frame 380. The blur processing only for the vertical lines of the rectangle means th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rectangle are subjected to the blur processing only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rectangle without blur processing.

블러 처리, 즉 블러링(blurring)은 영상의 세밀한 부분을 제거하여 영상을 흐리게 하거나 또는 부드럽게 하는 필터링 기술이다. 여기서 말하는 영상의 세밀한 부분은 픽셀 단위로 볼 때 영상의 변화가 급격히 발생하는 부분을 말하는 바, 즉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에지 부분을 의미한다. 영상을 주파수 차원으로 보면 오브젝트의 에지 부분은 고주파 성분으로 나타나는 바, 블러링은 이러한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영상 내에서 오브젝트의 에지 부분이 희미하게 된다. 즉, 블러링은 본질적으로 로우패스(low-pass) 필터링이다.Blurring, or blurring, is a filtering technique that blurs or softens an image by removing fine detail of the image. The detailed part of the image referred to here refers to a part where a change of an image occurs rapidly in a pixel unit, that is, an edge part of an object in the image. When the image is viewed in the frequency dimension, the edge portion of the object appears as a high-frequency component, and blurring filters the high-frequency component, resulting in blurring of the edge portion of the object in the image. That is, blurring is essentially low-pass filtering.

블러링의 방법은 실제 구현 단계에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블러링은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우시안(Gaussian) 블러가 영상프레임(380)에 적용될 수 있다. 가우시안 블러는 가우시안 함수를 사용하는 영상 블러링 필터의 한 형태이다. 1차원에서 가우시안 함수는 다음 수학식으로 나타난다.The blurring method can be applied to various forms in actual implementation step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Various techniques may be applied to the blurring appl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 Gaussian blur may be applied to the image frame 380. Gaussian blur is a form of image blurring filter using Gaussian function. The Gaussian function in one dimension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3]&Quot; (3) &quot;

Figure 112016042935879-pat00001
Figure 112016042935879-pat00001

2차원에서 가우시안 함수는 다음 수학식으로 나타난다.The Gaussian function in two dimensions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4]&Quot; (4) &quot;

Figure 112016042935879-pat00002
Figure 112016042935879-pat00002

x는 수평축에서 원점으로부터 거리, y는 수직축에서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σ는 가우시안 분포의 정규편차(standard deviation)이다.x is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on the horizontal axis, y is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on the vertical axis, and σ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Gaussian distribution.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이상과 같은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바, 해당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영상에 대해 실시간으로 초당 기 설정된 회수만큼 수행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재생되지만 표시되지 않는 컨텐츠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영상프레임을 캡쳐하고, 캡쳐된 영상프레임에 대해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를 실행함으로써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표시한다. The display device 100 repeats the above process while displaying the service image, and performs the process for the content image reproduced in the background for a preset number of times per second in real time.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captures an image frame in real time from a content image that is reproduced but not displayed, and display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ervice image by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for the captured image frame.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초당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회수는 설계단계에서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15fps, 즉 초당 15회가 가능하다.The number of times the display apparatus 100 executes the process per second may be various values in the designing stage, for example, 15 fps, or 15 times per secon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배경화면(390)이 전체적으로 기 설정된 컬러가 되도록 각 사각형의 RGB 값을 프로세스 단위로 순차적으로 변경한다.As shown in FIG. 12, the display device 100 sequentially changes the RGB values of each quadrangle in a process unit so that the background screen 390 becomes a predetermined color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process.

이러한 변경 방법을 검은색의 사각형 하나를 주황색으로 바꾸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은색 사각형의 RGB 값은 (0,0,0)이고, 주황색의 RGB 값은 (152,83,44)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최초 프로세스에서 RGB 값이 (0,0,0)인 사각형이 있으면, 해당 사각형의 RGB 값이 (152,83,44)가 될 때까지 프로세스를 진행할 때마다 RGB 값을 각각 1씩 목표값에 근접하도록 증가시킨다.Here is an example of changing this method of changing one black rectangle to orange. The RGB value of the black square is (0, 0, 0) and the RGB values of the orange color are (152, 83, 44) If there is a rectangle, the RGB values are increased by 1 each to the target value until the RGB value of the rectangle becomes (152, 83, 44).

즉, 프로세스가 반복될 때마다 해당 사각형의 RGB 값은 (0,0,0) -> (1,1,1) -> (2,2,2) -> ... -> (44,44,44) -> ... -> (83,83,44) -> ...-> (152,83,44)와 같이 변경되게 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RGB 값 중에서 특정 값이 먼저 도달하면, 해당 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값들을 프로세스 단위로 변경시킨다.That is, every time the process is repeated, the RGB values of the rectangle are (0,0,0) -> (1,1,1) -> (2,2,2) -> ... -> (44,44 , 44) -> ... -> (83,83,44) -> ...-> (152,83,44). When the display device 100 firstly reaches a specific value among the RGB values, the display device 100 maintains the value and changes the remaining values in units of processes.

반면, RGB 값이 (255,255,255)인 사각형에 대해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해당 사각형의 RGB 값이 (152,83,44)가 될 때까지 프로세스를 진행할 때마다 RGB 값을 각각 1씩 목표값에 근접하도록 감소시킨다.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rectangle having the RGB values (255, 255, 255), the display device 100 outputs RGB values to the target values one by one each time the process proceeds until the RGB values of the corresponding rectangle become (152, To a close proximity.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프로세스가 반복될 때마다 해당 영상프레임에 반영하는 블러 수치를 최초 1부터 정해진 수치, 예를 들면 20까지 1씩 증가시킨다. 블러 수치가 높을수록 블러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프로세스가 반복될 때마다 블러링의 가중치를 증가시킨다.T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reases the blur value to be reflected in the corresponding image frame by 1 every time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the first one to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20. The higher the blur value, the greater the blur effect, and the display device 100 increases the blurring weight each time the process is repeated.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프레임 단위의 프로세스가 반복되면 영상프레임 내의 상하로 인접한 사각형들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고 하나의 선처럼 나타나게 된다. 이에, 컨텐츠영상이 점점 추상적으로 변화하여 서비스영상의 특정 컬러 기반의 배경화면(400)이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process of the image frame unit is repeated, the boundaries between vertically adjacent rectangles in the image frame disappear and appear as one line. Accordingly, the effect that the content image gradually changes abstractly becomes the background image 400 based on the specific color of the service image.

이러한 배경화면(400)은 서비스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컨텐츠영상의 재생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바, 내부의 선들이 흡사 물결치는 형태로 계속 변화하며 표시된다. 배경화면(400)의 실시간 변화는 컨텐츠영상의 영상프레임의 변화에 대응하므로, 서비스영상이 표시되고 컨텐츠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동안에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컨텐츠영상의 시각적 피드백이 끊이지 않고 계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서비스영상으로의 전환, 서비스영상으로부터 다시 컨텐츠영상으로의 전환 시에, 영상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시각적 피로도가 절감될 수 있다.The background screen 400 changes in r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image while the service image is being displayed, and the internal lines continuously change and display in the form of a waving wave. Since the real-time change of the background screen 400 corresponds to the change of the image frame of the content image, the visual feedback of the content image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user even though the service image is displayed and the content image is not displayed . Further, when switching from a content image to a service image or switching from a service image to a content image, the visual fatigue due to a sudden change in the image can be reduced.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isplaying the service image by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1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the service image by the display device 100. [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컨텐츠 신호를 수신한다. S1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컨텐츠 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영상을 재생 및 표시한다.As shown in FIG. 14, in step S110,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an image content signal. In step S120, the display device 100 processes the image content signal to reproduce and display the content image.

S1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부가 서비스 실행 지시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In step S130, th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n additional service execution instruction has been issued.

부가 서비스 실행 지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S1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재생되는 컨텐츠영상으로부터 현재 시점의 영상프레임을 취득한다. S1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프레임으로부터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취득한다. S1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정보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변형시켜 배경화면을 생성한다. S1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배경화면을 포함한 서비스영상을 표시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n additional service execution instruction has been issued, the display device 100 acquires the image frame at the current time from the content image to be reproduced in step S140. In step S150, the display device 100 acquires preset image information from the image frame. In step S160, the display device 100 modifies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to generate a background image. In step S17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service image including a background screen.

S18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비스영상이 표시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180, th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service image is displayed.

서비스영상이 표시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S140 단계로 이행하여 배경화면의 생성 프로세스를 반복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rvice image is displayed and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display apparatus 100 proceeds to step S140 and repeats the background screen creation process.

이에,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재생되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변화한다.Accordingly,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ervice image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mage to be reproduced with the lapse of tim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generating a background image of a service image by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15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1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ing a background image of a service imag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영상프레임을 캡쳐한다.As shown in FIG. 15, in step S210, the display device 100 captures an image frame from the content image.

S2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프레임을 기 설정된 수의 사각형을 포함하는 그리드로 분할한다.In step S220, the display device 100 divides the image frame into a grid includ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squares.

S2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사각형에 포함된 픽셀의 RGB 값에 기초하여 휘도값 및 투명도를 산출한다.In step S230, the display apparatus 100 calculates the luminance value and the transparency based on the RGB values of the pixels included in the respective quadrangles.

S2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산출한 휘도값 및 투명도를 해당 사각형에 인가한다.In step S240, the display device 100 applies the calculated luminance value and transparency to the corresponding quadrangle.

S2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휘도값에 대응하여 각 사각형의 가로폭을 조정한다.In step S250, the display device 100 adjusts the horizontal width of each rectangle corresponding to the luminance value.

S2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각 사각형의 세로선에 대해 블러링을 수행한다.In step S260, th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blurring on the vertical lines of each rectangle.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상의 프로세스를 서비스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실시간으로 수행한다. 프로세스가 반복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기 설정된 컬러의 RGB 값에 근접하도록 각 사각형의 RGB 값을 변경시키고 또한 블러 수치를 기 설정된 값까지 높인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재생되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performs the above process in real time while the service image is displayed. As the process repeats, the display device 100 changes the RGB values of each quadrangle so that it approaches RGB values of a predetermined color, and also raises the blur value to a preset value. Accordingly,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ervice image that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mage to be reproduced.

즉, 컨텐츠영상이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한다고 하면,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은 이러한 오브젝트의 영상정보 중에서 일부, 예를 들면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표현된다.That is, if the content image includes one or more object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ervice image is expressed by a part of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object, for example,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object.

이하, 앞선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된 배경화면을 사용하는 부가 서비스의 구현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n additional service using the generated background scree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30, 도 3 참조)를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UI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특정 방향을 가장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은, 상하좌우 4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원점을 기준으로 커서가 어느 방향으로 진행한다고 할 때, 해당 방향은 2차원적으로 타나낼 수 있으므로 가로축 및 세로축 상에서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로축에 대응하는 좌우방향 및 세로축에 대응하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사용자는 2차원 상의 이동방향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the cursor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or instruct the UI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by operating the user input unit 130 (see Fig. 3).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perceive a specific direction with the easiest and intuitive way by judging from the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When the cursor advances in eith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rigin, the direction can be displayed two-dimensionally, so that it can be expressed on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Therefore, when the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axis are taken as a referenc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wo-dimensional movement direction.

사용자입력부(130, 도 4 참조)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하좌우 4방향의 이동 커맨드를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환경을 제공한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user input unit 130 (see FIG. 4) provides an input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designate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410)의 예시도이다.1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user input unit 41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4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된다. 사용자입력부(410)는 상하좌우 4방향에 각기 대응하게 마련된 상방향키(411), 하방향키(412), 좌방향키(413), 우방향키(414)를 포함한다. 각각의 방향키(411, 412, 413, 414)는 물리적 또는 기계적으로 상호간에 분리된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누르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이동 커맨드가 사용자입력부(410)로부터 생성된다.As shown in FIG. 16, the user input unit 410 is implemented as a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it. The user input unit 410 includes an upward direction key 411, a downward direction key 412, a left direction key 413, and a right direction key 414 corresponding to the four directions. Each of the direction keys 411, 412, 413, and 414 is a button that is physically or mechanically mutually separated. When the user presses any one of the buttons, a move command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is generated from the user input unit 410.

사용자입력부(410)로부터 생성된 커맨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된다.The command generated from the user input unit 41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입력부(420)의 예시도이다.1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user input unit 42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420)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미도시) 등으로 터치 입력하게 마련된 터치패드(421)를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는 터치패드(421)를 통해 2차원 상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드래그 입력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가장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향은 가장 직관적인 상하좌우 4방향이다.As shown in FIG. 17, the user input unit 420 includes a touch pad 421 that the user inputs by touching with a finger or a stylus pen (not shown). Of course, the user can drag and input in various directions on two dimensions through the touch pad 421, b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can most accurately input is the most intuitive four directions.

또는, 사용자입력부(420)는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미도시)를 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420)를 흔드는 방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input unit 420 may include a motion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its own motion, thereby generat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shakes the user input unit 420.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하좌우 4방향을 가장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또한 입력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부가 서비스의 카테고리 별 맵핑은 상하좌우 4방향에 대응하도록 마련하는 것이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좋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recognize and input the four directions in the most intuitive mann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use that the category-specific mappings of additional service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correspond to the four directions.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영상의 컨텐츠 맵핑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 1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ent mapping principle of an additional service imag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500)는 예를 들면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CLOCK, 현재 지역 날씨를 나타내는 WEATHER, 현재 날짜를 나타내는 CALENDAR,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PHOTOS,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스피커를 활성화시키도록 설정하는 SPEAKER 등의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테고리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구현 예시 중 하나를 열거한 것인 바, 카테고리의 종류가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18, the additional service 500 may include, for example, a CLOCK representing a current time, a WEATHER representing a current local weather, a CALENDAR indicating a current date, a PHOTOS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 photograph or a picture, And a SPEAKER that sets the speaker to be activated. This category enumerates one of various implementations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ategory does not limi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에 나타난 각각의 사각형들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서비스영상들이다. 가로줄은 부가 서비스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세로줄은 서비스영상의 기능을 나타낸다.Each of the squares shown in the figure are servic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horizontal line indicates the category of the additional service, and the vertical line indicates the function of the service image.

첫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10, 515)은 부가 서비스의 최초 진입을 나타내는 개시 카테고리이며, 두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20, 521, 525)은 CLOCK 카테고리, 세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30, 531, 532, 535)은 WEATHER 카테고리, 네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40, 541, 542, 545)은 CALENDAR 카테고리, 다섯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50, 551)은 PHOTOS 카테고리, 여섯 번째 가로줄의 서비스영상(560, 561)은 SPEAKER 카테고리를 나타낸다.Service images 510 and 515 of the first horizontal line are start categories indicating the first entry of the additional service and service images 520, 521 and 525 of the second horizontal line are CLOCK category, service images 530 and 531 of the third horizontal line 532 and 535 of the fifth horizontal line, the CATALEND category of the service images 540, 541, 542 and 545 of the fourth horizontal line, the service images 550 and 551 of the fifth horizontal line, the PHOTOS category, 560, 561) represents the SPEAKER category.

Settings는 카테고리의 표시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화면(515, 525, 535, 545)이며, Title page는 카테고리의 서비스 진입을 나타내는 타이틀 화면(510, 520, 530, 540, 550, 560)이며, Content는 카테고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521, 531, 532, 541, 542, 551, 561)이다.Settings are display screens 515, 525, 535 and 545 for setting display environments of categories, title pages are title screens 510, 520, 530, 540, 550 and 560 indicating service entry of a category, Are screens 521, 531, 532, 541, 542, 551, and 561 that contain actual information for providing a category service.

이들 서비스영상에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경화면이 적용된다. 물론 모든 서비스영상이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배경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카테고리 내에서 타이틀 화면(510, 520, 530, 540, 550, 560)과 같은 특정화면만이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배경화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각 카테고리의 배경화면은 카테고리 사이의 구별을 위해 서로 상이한 컬러를 기반으로 한다.The background image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applied to these service images. Of course, all service images may include a background image to which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only certain screens such as title screens 510, 520, 530, 540, 550, and 560 in the category And may include a background screen. However, the backdrop for each category is based on a different color fo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ategories.

또한, 서비스영상 주위의 화살표는, 해당 서비스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가 상하좌우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을 지시했을 때에, 어느 서비스영상으로 전환 표시되는지를 나타낸다. 'Loop to First'는 해당 줄의 가장 처음에 있는 서비스영상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Loop to Last'는 해당 줄의 가장 마지막에 있는 서비스영상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Loop to Settings'는 해당 가로줄의 설정화면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arrows around the service image indicate which service image is switched and displayed when the user instructs the user to move in one of the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while the servic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Loop to First' means that the service image is switched to the first service image of the corresponding line, 'Loop to Last' means that the service image is switched to the last service image of the corresponding line, and 'Loop to Settings'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setting screen of the corresponding horizontal line.

예를 들면, 부가 서비스에 최초 진입하면 개시 타이틀 화면(510)이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전환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지시를 하면 부가 서비스 전체에 적용되는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설정화면(515)이 표시되는 반면, 사용자가 하측방향으로 이동지시를 하면 CLOCK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20)이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first enters the supplementary service, the start title screen 510 is switched from the content imag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structs movement in the left direction or the right direction, a setting screen 515 for adjusting settings applied to the entire additional service is display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structs movem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Screen 520 is displayed.

CLOCK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측방향으로 이동지시를 하면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CLOCK 카테고리의 컨텐츠 화면(521)이 표시되는 반면, 사용자가 하측방향으로 이동지시를 하면 WEATHER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30)이 표시된다.When the user instructs movement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state that the title screen 520 of the CLOCK category is displayed, the content screen 521 of the CLOCK category indicating the current time is display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structs movem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title screen 530 is displayed.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부가 서비스의 실행 지시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부가 서비스의 개시화면(510)을 최초 표시하고, 이후 사용자의 방향 지시에 따라서 서비스영상을 전환 표시할 수 있다.When an instruction to execute the supplementary service is generated while the content image is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may initially display the supplementary service start screen 510 and then switch the service ima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struction of the user.

또는, 부가 서비스의 각 카테고리마다 실행 지시가 사전에 마련된 상태에서 어느 한 카테고리의 실행 지시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20, 530, 540, 550, 560)을 최초 표시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an execution instruction of a certain category is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an execution instruction is previously provided for each category of the additional service,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title screen 520, 530, 540, 550, 560 of the category have.

도 19는 부가 서비스의 일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30)에서 컨텐츠 화면(531a)으로 전환 표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rinciple of switching from the title screen 530 of one category of the additional service to the content screen 531a.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WEATHER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30)으로 진입한 상태라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에 따라서 날씨정보 영상(531a)으로 전환한다.As shown in FIG. 19, for example, if the user enters the title screen 530 of the WEATHER category according to the user's instruction, the display device switches to the weather information image 531a according to one of the two methods.

한 가지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타이틀 화면(530)이 표시된 상태에서 어떠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타이틀 화면(530)의 표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날씨정보 영상(531a)을 표시하는 것이다. 기 설정된 시간은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타이틀 화면(530)이 표시되고 1초 경과 이후에 날씨정보 영상(531a)을 표시한다.One method is to display the weather information image 531a automatical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display time of the title screen 530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ny user input while the title screen 530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title screen 530 and displays the weather information image 531a after one second elapses.

다른 한 가지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의 우측방향 지시에 따라서 날씨정보 영상(531a)을 표시하는 것이다. 앞선 도 18에서의 맵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틀 화면(530)의 우측방향에 대응하여 날씨정보 영상(531a)이 맵핑되어 있는 바,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맵에 기초하여 서비스영상을 전환 표시한다.Another method is that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weather information image 531a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rightward direction indication. As described in the map in FIG. 18, the weather information image 531a is mapp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title screen 530, and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service image based on the map.

도 20은 부가 서비스의 두 카테고리 사이에서 서비스영상이 전환 표시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rinciple in which service images are switched and displayed between two categories of supplementary services.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상하방향 이동지시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 내에서 카테고리 사이를 전환 또는 이동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좌우방향 이동지시에 따라서, 어느 한 카테고리 내에서 타이틀 화면(520), 해당 카테고리 서비스가 제공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화면(521a, 521b) 사이를 전환 또는 이동한다.As shown in Fig. 20, the display device switches or moves between categories in the additional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direction of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Further, the display device switches or moves between the title screen 520 and the information screens 521a and 521b includ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ategory service in one category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left / right direction movement instruction.

카테고리 사이의 전환은 해당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520, 530) 사이에서 가능하다. 정보화면 사이에서는 카테고리의 전환이 기본적으로 가능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도 18과 같은 서비스영상의 맵핑 구조를 인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상하방향 이동지시에 따라서 어느 카테고리의 정보화면이 표시될지 사용자가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Switching between categories is possible between title screens 520 and 530 of the category.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mapping structure of the service image as shown in FIG. 18,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ich category of information screen is displayed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predict.

다만, 카테고리 사이의 정보화면(521a, 521b, 531a, 531b) 사이의 관련성이 있는 경우에는, 정보화면(521a, 521b, 531a, 531b) 사이에서 카테고리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information screens 521a, 521b, 531a, and 531b among the categories have a relation, categories may be switched between the information screens 521a, 521b, 531a, and 531b.

예를 들면, CLOCK 카테고리의 제1정보화면(521a)은 'City 1'이란 지역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WEATHER 카테고리의 제1정보화면(531a)은 'City 1'이란 지역의 날씨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정보화면(521a) 및 제1정보화면(531a)은 각기 상이한 카테고리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지만, 각각의 정보는 모두 동일한 지역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두 화면(521a, 531a) 사이에 지역이라는 관련성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정보화면(521a)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측방향 이동지시가 있으면 제1정보화면(531a)으로 전환한다.For example,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521a of the CLOCK category includes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City 1',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531a of the WEATHER category includes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area of 'City 1' do.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521a and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531a each include service information of different categories, but each information is all about the same area. As described above, since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creens 521a and 531a, the display device switches to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531a if the first information screen 521a is displayed and there is an instruction to move the user downward .

동일하게, CLOCK 카테고리의 제2정보화면(521b)은 'City 2'이란 지역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WEATHER 카테고리의 제2정보화면(531b)은 'City 2'이란 지역의 날씨 정보를 포함한다. 제2정보화면(521b) 및 제2정보화면(531b)은 동일한 지역인 'City 2'에 관한 것인 바,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정보화면(521b)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측방향 이동지시가 있으면 제2정보화면(531b)으로 전환한다.Similarly,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521b of the CLOCK category includes time information of the area 'City 2', and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531b of the WEATHER category includes weather information of the area of 'City 2' .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521b and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531b are related to the same area 'City 2'. In the display device, when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521b is displayed and the user moves downward The second information screen 531b is display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상하좌우 4방향 이동지시에 대응하여 부가 서비스의 서비스영상을 전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부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witches the service image of the supplementary service in response to the user's instruction to mov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displays the service imag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use the supplementary service.

이하, 제5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 서비스의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displays the service image of the additional ser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1은 디스플레이장치가 부가 서비스의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21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displaying a service image of an additional service.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부가 서비스 진행 지시를 수신한다.As shown in FIG. 21, in step S310, the display device receives an additional service progress instruction from the user.

S3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서비스영상의 맵을 호출한다. 이러한 맵은 앞선 도 18과 같이 상하좌우 4방향의 이동에 따른 서비스영상들 사이의 대응 관계를 규정해 놓은 데이터를 의미한다.In step S320, the display device calls up a map of the servic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This map means data defining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images according to the four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S3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을 생성한다. 배경화면의 생성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In step S330, the display device generates a background scree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mage.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background screen is as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S3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서비스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서비스영상은 부가 서비스의 진입을 알리는 개시화면이거나, 특정한 서비스 카테고리의 타이틀 화면일 수 있다.In step S34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service image including a background screen. The displayed service image may be a start screen informing the entry of the additional service or a title screen of a specific service category.

S3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하좌우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이동지시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In step S350,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one of four directions is received from the user.

사용자로부터 상하좌우 4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이동지시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면, S36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비스영상의 맵 상에서 해당 방향에 대응하는 서비스영상을 선택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60 that the movement instruction in one of the four directions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display device selects a servic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on the map of the service image.

S37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한 서비스영상으로 전환한다.In step S370, the display device switches to the selected service image.

이상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can provide an intuitive environmen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additional services.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영상 및 서비스영상이 모두 풀스크린으로 표시되므로, 서비스영상이 표시될 때에는 컨텐츠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 기반으로 생성되는 영상은 서비스영상의 배경화면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content image and the service image are all displayed in full screen on the display device, the content image is not displayed when the service image is displayed.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mage is used a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service image.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00)에서 컨텐츠영상(660) 위에 UI 메뉴(670)가 오버레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I menu 670 overlaid on the content image 660 in the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00)는 표시부(620)에 컨텐츠영상(660)을 표시한다. 표시부(620)에 컨텐츠영상(660)이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입력부(630)로부터 UI 메뉴(670)의 표시 지시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장치(600)는 컨텐츠영상(660) 상에 UI 메뉴(670)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As shown in FIG. 22, the display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displays a content image 660 on the display unit 620. The display device 600 displays the UI menu 670 on the content image 660 when a display instruction of the UI menu 670 is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630 while the content image 66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20. [ Overlay.

여기서, 컨텐츠영상(660)이 표시부(620)에 풀스크린으로 표시되면, UI 메뉴(670)는 컨텐츠영상(660)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형태로 표시된다.Here, if the content image 66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20 in a full screen, the UI menu 670 is displayed in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content image 660 is covered.

디스플레이장치(600)는 UI 메뉴(670)를 표시함에 있어서, 컨텐츠영상(660)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변형시킴으로써 UI 메뉴(670)의 배경을 생성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앞선 실시예들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isplaying the UI menu 670, the display device 600 generates the background of the UI menu 670 by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mage 660 and transforming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Since these algorithms can be applied to the abov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컨텐츠영상(660)의 영상정보는, 컨텐츠영상(660) 전체 픽셀영역 중에서 UI 메뉴(670)에 의해 오버레이되는 픽셀영역의 영상정보이다.Here,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mage 660 is image information of the pixel region overlaid by the UI menu 670 among the whole pixel regions of the content image 66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영상(660)이 계속 표시되는 동안에 UI 메뉴(670)가 함께 표시되며, UI 메뉴(670)의 배경은 컨텐츠영상(660)의 변화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UI 메뉴(670)에 의해 가려지는 컨텐츠영상(660)의 움직임을 UI 메뉴(670)의 배경의 실시간 변화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I menu 670 is displayed together while the content image 660 is continuously displayed, and the background of the UI menu 670 changes in real tim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content image 660. Accordingly, the user can perceive the movement of the content image 660 blocked by the UI menu 670 through a change in the background of the UI menu 670 in real time.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영상(660)의 영상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화면이 UI 메뉴(670)의 배경으로 사용되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UI 메뉴의 아이콘, 선택 아이템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screen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mage 660 is used as the background of the UI menu 670, but it may be used as an icon of the UI menu, a selection item,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design method.

도 23은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600)가 UI 메뉴(670)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23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displaying the UI menu 670 by the display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As shown in FIG. 23, in step S410, the display device 600 displays a content image.

S4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UI 메뉴의 표시 지시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In step S420, the display device 600 determines whether a display instruction of the UI menu has been received.

UI 메뉴(670)의 표시 지시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면, S4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UI 메뉴가 오버레이될 컨텐츠영상의 일 영역을 특정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instruction of the UI menu 670 has been received, the display device 600 specifies one area of the content image to be overlaid on the UI menu in step S430.

S4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특정된 영역의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을 생성한다.In step S440, the display device 600 generates a background scree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pecified area.

S4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는 생성된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UI 메뉴를 컨텐츠영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In step S450, the display device 600 displays the UI menu including the generated background image overlaid on the content image.

도 2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700)에서 서비스영상(770)이 컨텐츠영상(760)에 PIP 형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2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rvice image 770 displayed on a content image 760 in a PIP format in a display device 700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700)는 표시부(720)에 컨텐츠영상(760)이 표시되는 동안에 사용자입력부(730)로부터 부가 서비스 실행 지시가 수신되면, 해당 지시에 따라서 서비스영상(770)을 표시한다.24, when an additional service execution instruc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730 while the content image 76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720, the display device 700 displays the service image 770 ).

앞선 실시예의 경우에는 컨텐츠영상 및 서비스영상이 풀스크린으로 표시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영상에서 서비스영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서비스영상을 표시한다.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since the content image and the service image are displayed in full screen,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service image by switching from the content image to the service image.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컨텐츠영상(760) 내에 서비스영상(770)을 PIP(picture-in-picture) 방식으로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컨텐츠영상(760)을 PIP의 메인영상으로 표시하는 한편, 서비스영상(770)을 PIP의 서브영상으로 표시한다.In contras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apparatus 700 displays the service image 770 in the content image 760 in a picture-in-picture (PIP) manner. That is, the display apparatus 700 displays the content image 760 as the main image of the PIP and the service image 770 as the sub-image of the PIP.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컨텐츠영상(760)의 전체영역 중에서 서비스영상(770)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한 영역의 영상정보를 취득한다.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취득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영상(770)의 배경화면을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700 determine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ervice image 770 in the entire area of the content image 760, and acquire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area. The display device 700 generates a background image of the service image 770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도 25는 디스플레이장치(700)가 서비스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2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700 displaying a service image.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5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텐츠영상은 풀스크린으로 표시된다.As shown in FIG. 25, in step S510, the display device 700 displays a content image. 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image is displayed in full screen.

S5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부가 서비스의 실행 지시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In step S520, the display device 700 determines whether an instruction to execute the supplementary service is received.

부가 서비스의 실행 지시가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S5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PIP의 서브영상 위치에 대응하는 컨텐츠영상의 영상정보를 취득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ecution instruction of the supplementary service is received, the display device 700 acquire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sub video position of the PIP in step S530.

S5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취득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배경화면을 생성한다. 배경화면의 생성 방법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step S540, the display device 700 generates a background screen based on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The method of generating a background screen can be appli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5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700)는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서비스영상을 PIP의 서브영상으로 표시하고, 컨텐츠영상을 PIP의 메인영상으로 표시한다.In step S550, the display apparatus 700 displays the service image including the background image as a sub-image of the PIP, and displays the content image as the main image of the PIP.

이하,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배경화면을 포함하는 UI의 구현 예시에 관해 더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UI including the background screen as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will be further described.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화면(800)의 예시도이다.2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800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user input.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등의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 전원이 턴온되면, UI의 메인화면(800)을 표시한다.26,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main screen 800 of the UI when predetermined user input such as a user pressing a specific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occurs or when the system power of the display device is turned on .

메인화면(800)은 전체적으로 컨텐츠영상의 재생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바, 내부의 선들이 흡사 물결치는 형태로 계속 변화하는 배경화면(810)을 포함한다. 본 배경화면(810)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배경화면(810)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의 메인화면(800) 이외의 UI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The main screen 800 includes a background screen 810 which changes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image as a whole, and in which the lines of the main screen 800 continuously change in the form of waves. The background screen 81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regoing embodiment. Also, the background screen 810 can be applied to UIs other than the main screen 800 i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메인화면(800)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입력도 없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800)으로부터 배경화면(810)만 표시되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배경화면(810)만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시 메인화면(800)을 표시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input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the main screen 800 is being displayed, the display device can switch only the background screen 810 from the main screen 800 to be displayed. If the user input is performed while only the background screen 810 is displayed,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main screen 800 again.

메인화면(800)은 기 설정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각 서비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을 포함한다.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은 메인화면(800) 내에서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의 위치가 특정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in screen 800 includes a plurality of icons 820, 830, 840, 850, 860, 870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in order to execute a predetermined service.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and 870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in the main screen 800, but the icons 820, 830, 8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은 대응 서비스를 간단히 요약하는 타이틀의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TV 아이콘(820), 앱 아이콘(830),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850), 시계 아이콘(860), 그리고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870)을 포함한다. TV 아이콘(820), 앱 아이콘(830),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850), 시계 아이콘(860)은 메인화면(800)의 우측에, 하측 에지를 따라서 일렬로 배치되는 것에 비해, 이들과 서비스의 성격이 상이한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870)은 메인화면(800)의 좌측 및 하측에 배치된다.Each of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870 may include a label of a title that briefly summarizes the corresponding service.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V icon 820, an app icon 830, a speaker icon 840, a photo icon 850, a clock icon 860, and a wallpaper setting icon 870 are included. The TV icon 820, the app icon 830, the speaker icon 840, the photo icon 850 and the clock icon 860 are arranged in a line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screen 800 along the lower edge, A background screen setting icon 870 which is different in nature from the service and the service is arranged on the left and lower sides of the main screen 800.

본 실시예에서는 몇 가지 서비스와, 각 서비스에 대응하는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 그리고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의 배치 형태에 관해 설명하지만, 이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할 수 있는 메인화면(800)의 다양한 형태 중에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구현 형태를 한가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830, 840, 850, 860 and 870 corresponding to each service and the arrangement form of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and 870 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of various forms of the main screen 800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does not limit the spiri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ne.

TV 아이콘(820), 앱 아이콘(830),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850), 시계 아이콘(860)은, 메인화면(8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의 라인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영역(821, 831, 841, 851, 861) 내에 각기 배치된다.The TV icon 820, the app icon 830, the speaker icon 840, the photo icon 850 and the clock icon 860 are displayed on a plurality of lines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screen 800 831, 841, 851, and 861, respectively.

각 라인은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반영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라인은 특정 컬러를 포함하되, 메인화면(8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배경화면(810)에 동화되는 효과가 반영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ne includes a specific color, and the effect of being animated on the background screen 810 as it go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screen 800 may be reflected.

각 영역(821, 831, 841, 851, 861)은 해당 영역(821, 831, 841, 851, 861) 내에 있는 아이콘(820, 830, 840, 850, 860)이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도록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방향 키를 누름에 따라서, 현재 선택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하이라이트가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아이콘(820)이 선택된 상태일 때, TV 아이콘(820)은 다른 아이콘들에 비해 크기가 확대되어 표시되는 한편, TV 아이콘(820)을 포함하는 영역(821)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 TV 아이콘(820)이 선택된 상태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Each of the areas 821, 831, 841, 851 and 861 can be highlighted to indicate that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in the corresponding areas 821, 831, 841, 851, have. That is, as the user presses the direction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a highlight indicating that the currently selected state can be moved. For example, when the TV icon 820 is selected, the TV icon 820 is enlarged in size compared to other icons, while the area 821 including the TV icon 820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do. Thu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TV icon 820 is currently selected.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이라이트를 앱 아이콘(830)으로 이동시키면, TV 아이콘(820)은 원래의 크기로 복귀하며, TV 아이콘(820)을 포함하는 영역(821)의 하이라이트는 해제된다. 그리고, 앱 아이콘(830)의 크기가 확대되는 한편, 앱 아이콘(830)을 포함하는 영역(831)이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moves the highlight to the app icon 830, the TV icon 820 returns to its original size, and the highlight of the area 821 including the TV icon 820 is released. Then, the size of the app icon 830 is enlarged, while the area 831 including the app icon 830 is highlighted and displayed.

어느 한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이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엔터 키를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의 실행을 지시할 수 있다.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의 실행 지시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실행한다.In the state where one of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and 870 is selected, the user executes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and 870 by pressing the enter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 The display device executes a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870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instruction of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870.

이하,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들의 대응 서비스에 관해 간단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rresponding service of each of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870 will be briefly described.

디스플레이장치는 TV 아이콘(820)의 실행에 응답하여, 현재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영상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특정 채널의 방송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광학미디어 재생장치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TV icon 82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image by processing the currently received image signal. The display device can receive a video signal from various video source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a broadcast image of a specific channel by tuning a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an output device of a broadcast station, The image of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apparatus can be displayed.

디스플레이장치는 앱 아이콘(830)의 실행에 응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실행 가능하게 표시한다.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app icon 83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items of the various applications currently installed on the display device in an executable manner.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피커 아이콘(840)의 실행에 응답하여,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의 설정화면 또는 스피커의 음성출력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등을 표시한다.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peaker icon 84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setting screen of a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or a screen showing a sound output state of the speaker.

디스플레이장치는 포토 아이콘(850)의 실행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가 억세스할 수 있는 포토 이미지를 표시한다.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photo icon 85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photo image that the display device can access.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계 아이콘(860)의 실행에 응답하여,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를 표시한다.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clock icon 86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clock representing the current time.

디스플레이장치는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870)의 실행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배경화면(810)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UI를 표시한다.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background setting icon 87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UI for changing the setting of the background screen 810 currently displayed.

이하,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이 선택 및 실행될 때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870) 별로 표시하는 UI의 예시들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화면(800)의 우측에 편중되어 표시되는 TV 아이콘(820), 앱 아이콘(830),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850), 시계 아이콘(860)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면, 해당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별로 마련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를 들면 메인화면(800)이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별 서비스의 제공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각 아이콘(820, 830, 840, 850, 860)을 포함하는 영역(821, 831, 841, 851, 861)이 메인화면(800)의 좌측, 즉 X 방향으로 확장되고, 확장된 영역(821, 831, 841, 851, 861) 내에 대응 아이콘(820, 830, 840, 850, 860) 별 UI가 표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UI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for each of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870 when the icons 820, 830, 840, 850, 860, 870 are selected and executed do. When any one of the TV icon 820, the app icon 830, the speaker icon 840, the photo icon 850 and the clock icon 860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screen 800 is executed, 820, 830, 840, 850, and 860 are provided. These services can be display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main screen 800 can be switched to a service providing screen for each of the icons 820, 830, 840, 850, and 860. Or, the areas 821, 831, 841, 851, and 861 including the icons 820, 830, 840, 850, and 860 extend to the left side of the main screen 800, UI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cons 820, 830, 840, 850, and 860 may be displayed within the UIs 821, 831, 841, 851, and 861.

도 27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TV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FIG. 27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TV icon. FIG.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TV 아이콘(820, 도 26 참조)을 선택 및 실행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 수신되는 있는 컨텐츠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영상(910)을 표시한다. 컨텐츠영상(910)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 중에서 현재 처리하도록 선택된 영상신호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영상(910)을 표시함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설정상태를 판단한다.As shown in FIG. 27,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and executing the TV icon 820 (see FIG. 26), the display device processes the currently received content video signal to display the content video 910. The content image 910 may vary depending on what image signal is currently selected to be processed among the image signals received by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the setting state of the video signal in displaying the content video 910.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800, 도 26 참조)이 표시되기 직전의 영상신호의 설정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설정상태 정보는 컨텐츠영상(910)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수신 가능한 여러 영상신호 중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처리하는 영상신호의 식별 정보, 방송신호와 같이 영상신호가 복수의 영상채널을 포함하는 경우에 해당 채널의 식별 정보, 영상의 해상도나 휘도나 음성의 볼륨과 같은 기타 재생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러한 설정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화면(800, 도 26 참조)으로부터 컨텐츠영상(910)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acquires the set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video signal immediately before the main screen 800 (see Fig. 26) is displayed. The sett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processing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content image 910. For example, among the various video signals that can be received by the displa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displa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and other reproduction information such as the resolution of the image and the volume of the luminance or voice when the plurality of image channels are included. The display device switches from the main screen 800 (see FIG. 26) to the content image 910 based on the setting state information, and displays it.

도 28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앱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28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n app icon.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앱 아이콘(830)의 실행에 응답하여, 메인화면(800) 내에서 앱 아이콘(830)을 포함하는 영역(831)을 확장시킨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800) 내에서 우측에 편중되게 배치된 TV 아이콘(820) 및 앱 아이콘(830)을 메인화면(800)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스피커 아이콘(840), 포토 아이콘, 시계 아이콘(860)의 위치는 유지시키는 형태로 영역(831)을 확장시킬 수 있다.28, the display device expands the area 831 including the app icon 830 in the main screen 800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app icon 830. [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oves the TV icon 820 and the app icon 830, which are arranged in the right half of the main screen 800 to the left in the main screen 800, and displays the speaker icons 840, The area 831 can be exten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osition of the photo icon and the clock icon 860 is maintained.

디스플레이장치는 확장된 영역(831) 내에, 현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게 저장 또는 설치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832)을 배치시켜 표시한다. 각 실행 아이콘(832)은 로고와 같이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타이틀 정보 또는 간단한 설명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느 한 실행 아이콘(832)을 선택 및 실행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해당 실행 아이콘(832)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execution icon 832 of one or more applications that are stored or installed in the display device in the extended area 831. Each execution icon 832 includes a thumbnail image such as a log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applic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title information or brief d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In response to the user selecting and executing an execution icon 832, the display device execut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icon 832 corresponding thereto.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실행 아이콘(832) 중에서 현재 선택된 상태의 실행 아이콘(832)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해당 실행 아이콘(832)을 하이라이트시키거나 또는 해당 실행 아이콘(832)의 크기를 타 실행 아이콘(83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할 수 있다.Here, the display device may highlight the corresponding execution icon 832 or display the corresponding execution icon 83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currently selected execution icon 832 among the plurality of execution icons 832. [ The size can be adjust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other execution icons 832.

디스플레이장치는 확장된 영역(831) 내에 실행 아이콘(832)과 함께, 앱 추가 아이콘(833)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앱 추가 아이콘(833)을 실행시키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추가시키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추가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832)을 확장된 영역(831) 내에 추가하여 표시한다.The display device can further display the app add icon 833 along with the execute icon 832 in the extended area 831. [ In response to the user executing the app add icon 833,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a UI for adding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execution icon 832 of the added applic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extended area (831).

도 2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피커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29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speaker icon.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피커 아이콘(840)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피커 아이콘(840)을 포함하는 영역(841)을 확장시킨다. 영역(841)의 확장 형태는 앞선 앱 아이콘(830)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다.29, the display device expands the area 841 containing the speaker icon 840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peaker icon 840. [ The extended form of the area 841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the preceding app icon 830.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음성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확장된 영역(841) 상에 외부장치의 접속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메시지(842)를 표시한다.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Here, 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in which audio data for output through a speaker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is stored. If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device is not connected, it displays a message 842 requesting the user to connect the external device on the extended area 841. [

메시지(842)가 표시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외부장치가 접속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음성데이터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음성데이터의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한다.While the message 842 is being displayed,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When it is judged that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 display device receives and processes the voic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outputs it through the speaker.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UI indicating the output state of the audio data while the audio data i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도 3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피커의 출력상태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3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ing a UI showing an output state of a speaker.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스피커가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에 음성데이터의 출력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UI(920)를 표시한다. UI(920)에서의 출력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음성데이터의 주파수 별 상태를 나타내는 이퀄라이저 비쥬얼라이제이션(921), 음성데이터의 타이틀 정보(922), 작가, 연주자 또는 가수 정보(923), 현재 재생시점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가 실시간으로 이동하게 마련된 타임 바(924) 등을 포함한다. UI(920)는 이 외에도 여러 가지의 음성데이터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UI 920 including output status information of voice data while the speaker outputs voice data. The output state information in the UI 920 includes, for example, an equalizer visualization 921 indicating the frequency-dependent state of the audio data, title information 922 of the audio data, artist, performer or artist information 923, A time bar 924 in which an indicator indicating the reproduction time point is moved in real time, and the like. The UI 920 may also include various kinds of audio data related information.

음성데이터가 재생되는 동안에, UI(920)의 이퀄라이저 비쥬얼라이제이션(921) 및 타임 바(924)의 인디케이터는 재생상태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변화한다. 만일 음성데이터의 재생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면, UI(920)의 이퀄라이저 비쥬얼라이제이션(921) 및 타임 바(924)의 인디케이터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성데이터의 재생이 일시적으로 중지되면, 중지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UI(920) 상에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While the audio data is being reproduced, the equalizer visualization 921 of the UI 920 and the indicator of the time bar 924 chang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production state. If playback of audio data is temporarily suspended, the equalizer visualization 921 of the UI 920 and the indicator of the time bar 924 remain stationary.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additionally display a message indicating the stop state on the UI 920 when playback of sex data is temporarily stopped.

도 3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토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31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photo icon.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포토 아이콘(850)의 실행에 응답하여, 포토 아이콘(850)을 포함하는 영역(851)을 확장시킨다. 영역(851)의 확장 형태는 앞선 앱 아이콘(830)의 경우를 응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1,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photo icon 850, the display device expands the area 851 including the photo icon 850. The expanded form of the area 851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the preceding app icon 830.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장치 또는 외부 메모리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외부장치 또는 외부 메모리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기 위한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미지들이 저장된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확장된 영역(851) 내에 이미지가 저장된 외부 메모리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시키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메시지(852)를 표시한다.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external device or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Here, the external device or the external memory is a device in which images for display are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message 852 to guide the user to connect the external memory in which the image is stored in the extended area 851 to the display device if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memory in which the images are stored is not connected.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시지(852)가 표시되는 동안에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외부 메모리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UI를 표시한다.If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memory is connected while the message 852 is displayed, the display device receives the image from the external memory and displays a UI for displaying the received image.

만일, 디스플레이장치는 접속된 외부 메모리에 이미지가 없다고 판단하면, 확장된 영역(851) 내에 외부 메모리에 이미지가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의 유무의 판단은,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 가능한 이미지 포맷의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If the display device determines that there is no image in the connected external memory,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re is no image in the external memory in the extended area 851 can be displayed.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mage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display apparatus has data in a displayable image format.

도 3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3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mage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메모리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931, 932, 933)들을 버퍼링한다. 여기서, 버퍼링되는 이미지(931, 932, 933)의 개수 또는 데이터량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장치 환경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2, the display apparatus buffers the images 931, 932, and 933 received from the external memory. Here, the number or the data amount of the images 931, 932, and 933 to be buffer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vice environment or the user setting of the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장치가 버퍼링한 이미지(931, 932, 933)들을 표시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한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미지(931, 932, 933)를 슬라이드쇼(slide-show)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슬라이드쇼 UI(930)를 표시하고, 각 이미지(931, 932, 933)를 기 설정된 속도로 UI(930) 내에서 이동시킨다. 슬라이드쇼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가 표시되는 이미지(931, 932, 933)를 전환시키는 별도의 입력 없이, 화면 상에서 복수의 이미지(931, 932, 933)를 자동으로 스크롤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이미지(931, 932, 933)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images 931, 932, and 933 in a slide-show manner by displaying the images 931, 932, and 933 buffered by the display device. can do.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slide show UI 930 and moves each image 931, 932, 933 within the UI 930 at a predetermined rate. According to the slide show method, the user automatically scrolls a plurality of images 931, 932, and 933 on the screen without a separate input for switching the displayed images 931, 932, and 933.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the plurality of images 931, 932, and 933 sequentially.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이미지(931, 932, 933)를 슬라이드시켜 표시함에 있어서, 중지 없이 균일한 속도로 이미지(931, 932, 93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어느 이미지(932)가 중앙으로 이동하면, 해당 이미지(932)가 중앙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이미지(931, 932, 933)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해당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이미지(931, 932, 933)를 이동시킨다. 이미지(931, 932, 933)가 중앙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소정 시간동안 이미지(931, 932, 933)의 이동이 정지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이미지(931, 932, 933)를 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can move the images 931, 932, and 933 at a uniform speed without stopping in displaying the plurality of images 931, 932, and 933 while sliding them. Alternatively, the display device may stop the movement of the images 931, 932, and 933 for a preset time at the time when the image 932 is moved to the center and the image 932 is located at the center, And then moves the images 931, 932, and 933 again. Since the movement of the images 931, 932, and 933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the time when the images 931, 932, and 933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the user can easily view the images 931, 932, and 933.

도 33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시계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33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clock icon.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계 아이콘(860, 도 26 참조)의 실행에 응답하여, 시간을 나타내는 UI(940)를 표시한다. UI(940)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면 되는 바, 아날로그 시계나 디지털 시계 등 다양한 형태의 시계를 나타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33,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clock icon 860 (see Fig. 26),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UI 940 representing time. The UI 94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locks, such as an analog clock or a digital clock, as long as it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time.

디스플레이장치가 현재 시간을 정상적으로 판단하여 UI(940)를 표시한다는 점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UI(940)의 적어도 일부를 플릭커(flicker)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는 시간을 나타내는 숫자 및 분을 나타내는 숫자 사이의 기호 ":"를 초 단위로 플릭커시켜 표시한다.At least a part of the UI 940 can be flicker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display device normally determines the current time and displays the UI 940. [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symbol ":" between a number representing a time and a number representing a minute by flickering in seconds.

도 3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의 실행에 응답하여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FIG. 34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displayed by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 background setting icon. FIG.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배경화면 설정 아이콘(870, 도 26 참조)의 실행에 응답하여, 배경화면의 설정을 변경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UI(950)를 표시한다. UI(950)는 Color, Grid, Auto Start의 세 가지 항목을 변경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UI(950)에서 변경할 수 있는 옵션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사상을 실현하는 실제 제품의 구현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34,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background setting icon 870 (see Fig. 26),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UI 950 providing an option to change the background setting. The UI 950 is configured to change three items: Color, Grid, and Auto Start. The option that can be changed in the UI 950 in this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actual product implementation realizing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olor 항목은 컨텐츠영상의 실루엣을 나타내는 커튼 효과의 배경화면의 메인 컬러를 지정할 수 있게 제공된다. Color 항목은 디폴트 값 이외에, 적색, 녹색, 청색, 회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Color 항목에서 지정된 컬러에 기초하여 UI에서의 배경화면을 표시한다.The Color item is provided to specify the main color of the wallpaper of the curtain effect that represents the silhouette of the content image. In addition to the default value, the Color item can be selected from among red, green, blue, and gray.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background image in the UI based on the color designated in the Color item.

Grid 항목은 배경화면의 생성 시에 화면을 분할하는 그리드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Grid item is designed to specify the size of the grid that splits the screen when creating the background image.

Auto Start 항목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 전원이 턴온될 때에 표시되는 초기화면을 메인화면(800, 도 26 참조)으로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Auto Start 항목이 On으로 설정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을 초기화면으로 설정한다. 반면, Auto Start 항목이 Off로 설정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면을 초기화면으로 설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시스템 전원이 턴온되면 컨텐츠영상을 최초로 표시할 수 있다.The Auto Start item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itial screen displayed when the system power of the display apparatus is turned on is the main screen 800 (see Fig. 26). When the Auto Start item is set to On, the display device sets the main screen as the initial screen. On the other hand, if the Auto Start item is set to Off, the display device does not set the main screen as the initial screen. For example, when the system power is turned on, the content image can be displayed firs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커튼 효과가 적용된 배경화면을 가지는 여러 가지 형태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can display various types of UIs having a background screen to which a curtain effect is applied.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하는 UI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UI provided by the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35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기능 조정을 위해 제공하는 UI의 예시도이다.35 is an exemplary view of a UI provided by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unction adjustment;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여러 기능을 조정하도록 제공하는 UI(960)를 컨텐츠영상(970) 위에 표시한다.As shown in Fig. 35,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UI 960, which provides for adjus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display device,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user input, for example, a button input of the remote controller, on the content image 970 do.

디스플레이장치는 UI(960)를 컨텐츠영상(970) 위에 오버레이되도록 표시함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 표시하는지에 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영상(970)의 우측으로부터 UI(960)를 슬라이드시켜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컨텐츠영상(970)의 좌측, 상측, 하측 등으로부터 UI(960)를 슬라이드시킬 수도 있다.In displaying the UI 960 overlaid on the content image 970, the display device is not limited at which position it is displayed. The display device can slide the UI 960 from the right side of the content image 970 and display the UI 960 from the left side or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content image 970 .

UI(960)는 소정 값의 투명도가 적용됨으로써, UI(960)를 통해 UI(960) 뒤쪽의 컨텐츠영상(970)이 보일 수 있게 마련된다. 여기서, UI(960)는 제1영역(961) 및 제2영역(962)으로 구분되며, 제1영역(961) 및 제2영역(962) 각각의 투명도는 서로 상이하게 마련됨으로써 상호 구별이 용이하게 한다.The UI 960 is provided such that the content image 970 behind the UI 960 can be viewed through the UI 960 by applying transparency of a predetermined value. Here, the UI 960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961 and a second region 962, and the transparency of the first region 961 and the second region 96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제1영역(961) 상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변경 가능한 기능 항목들이 선택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2영역(962) 상에는 제1영역(961)의 복수의 항목 중 선택된 특정 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배치된다.On the first area 961, changeable function items of the display device are selectively arranged. On the second area 962, setting values for the selected specific item among the plurality of items of the first area 961 are arranged.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영역(961) 상에, 영상모드를 선택하기 위한Picture Mode, 음성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Sound Mode, 자동종료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Sleep Timer 등의 항목들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의 방향버튼을 누름으로써, 커서가 제1영역(961) 상의 각 항목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displays items such as a picture mode for selecting a picture mode, a sound mode for selecting a voice mode, and a sleep timer for selecting an automatic ending time on the first area 961. By pushing the direction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by the user, the cursor can move between items on the first area 961. [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영역(962) 상에, 현재 선택된 제1영역(961) 상의 특정 항목에 대해 마련된 복수의 설정값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제1영역(961) 상의 항목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서 선택상태의 항목이 변화하며, 항목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2영역(962) 상에 표시되는 설정값의 내용도 변화한다.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plurality of setting values provided for a specific item on the currently selected first area 961 on the second area 962. [ As the user moves between items on the first area 961, the selected item changes, and the contents of the set valu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962 corresponding to the item change also change.

예를 들어 제1영역(961) 상의 항목 중에서 Picture Mode의 항목을 선택되었을 때에,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영역(962) 상에 Picture Mode의 설정값인 Standard, Dynamic, Movie, Natural 등을 표시한다. 이들 설정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 및 결정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결정된 선택값을 반영하여 기능을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tem of Picture Mode is selected from the items on the first area 961, the display device displays Standard, Dynamic, Movie, Natural, and the like, which are set values of Picture Mode, on the second area 962. When the user selects and determines any one of these set values, the display device can adjust the function by reflecting the determined selected value.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or a memory such as a RAM, a memory chip, a device, or an integrated circuit, whether removable or rewritable. , Or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e.g., a computer), such as a CD, a DVD, a magnetic disk, or a magnetic tape, as well as being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emory that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is an example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programs or programs contain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0, 600, 7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신호수신부
111 : 튜닝부
120, 620, 720 : 표시부
130, 410, 420, 630, 730 : 사용자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신호처리부
151 : 디먹스
152 : 디코더
153 : 스케일러
154 : CPU
155 : 버퍼
100, 600, 700: Display device
110:
111: Tuning unit
120, 620, 720:
130, 410, 420, 630, 730:
140:
150: Signal processor
151: Dip Mills
152: decoder
153: Scaler
154: CPU
155: buffer

Claims (20)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컨텐츠영상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영상의 표시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영상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의 배경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이미지와 함께 상기 GUI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display unit;
A user input section;
And at least one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content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generates a background image of the GUI corresponding to an outline of at least one object in the content image upon receiving an instruction to execute a graphic user interface from the user input unit during display of the content image And processes the GUI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background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취득한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배경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processes the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ontent image to generate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at least one obje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영상의 재생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취득한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배경이미지가 변화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configured to acquire the video informatio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video in real time and to process the backgroun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video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최초 생성하는 상기 배경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기반으로 조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상기 배경이미지가 기 설정된 컬러 기반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배경이미지의 RGB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adjusts the background image to be initially generated on a gray scale basis and gradually changes the RGB value of the background image so that the background image changes on a predetermined color basis with the passage of tim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컨텐츠영상의 일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s an RGB value of each pixel included in one frame of the content im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상기 픽셀들의 RGB 값에 대응하게 도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상기 각 분할영역에 인가하며,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고,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blur) 필터링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배경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mage fram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 luminance value and a transparency derived corresponding to RGB values of the pixels included i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are applied to the respective divided regions, And the background image is generated by adjusting the horizontal width of the area and applying blur filtering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하고,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latively adjusts the reduction level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divided area with the relatively high luminance value so that the reduction level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divided area having the relatively low luminance value is relatively small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im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영역의 상하좌우 4방향 모서리 중에서 좌우 모서리에 대해 상기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applies the blur filtering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four-directional edges of the divide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복수의 기 설정된 서비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서비스 별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GUI는, 상호간에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지시되는 상하좌우 4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전환되도록 사전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ervices,
Wherein one or more of the GUIs provided for each of the services are preset to be switched in correspondence with four-directional movement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dicated by the user input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상하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상기 서비스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의 좌우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동일한 상기 서비스 내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configured to switch between the GUIs of the service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sponse to an instruction to move up and down from the user input unit and to switch between the GUIs in the same service in the same service in response to a left- Is switched.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로부터 GUI의 실행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영상 내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GUI의 배경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이미지와 함께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 content image;
Receiving a GUI execution instruction from a user during display of the content image;
Generating a background image of the GUI corresponding to an outline of at least one object in the content image, and displaying the GUI together with the background ima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영상으로부터 취득한 기 설정된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윤곽에 대응하는 상기 배경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playing the GUI comprises:
And processing the predetermined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ontent image to generate the backgrou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outline of the at least one objec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영상의 재생에 따라서 변화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취득한 영상정보에 의해 상기 배경이미지가 변화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isplaying the GUI comprises:
Acquiring the video informatio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video in real time and processing the background image to be changed by the video information acquired in real tim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최초 생성하는 상기 배경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기반으로 조정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상기 배경이미지가 기 설정된 컬러 기반으로 변화하도록 상기 배경이미지의 RGB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ing the GUI comprises:
Adjusting the background image initially generated on a gray scale basis and progressively changing the RGB value of the background image so that the background image changes based on a predetermined color as time elapses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컨텐츠영상의 일 영상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s RGB values of pixels included in one frame of the content imag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프레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영역에 포함된 상기 픽셀들의 RGB 값에 대응하게 도출된 휘도값 및 투명도를 상기 각 분할영역에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generating the background image comprises:
Dividing the image fram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pplying a luminance value and a transparency derived corresponding to RGB values of the pixels included in each of the divided regions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Adjusting widths of the respective divided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luminance values;
And applying blur filtering to each of the divided area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값에 대응하여 상기 각 분할영역의 가로폭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크게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휘도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기 분할영역의 가로폭의 감축 레벨을 상대적으로 작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djusting the width of each of the divided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luminance value,
Adjusting a reduction level of a horizontal width of the divided area relatively higher than the luminance value;
And adjusting the reduction level of the horizontal width of the divided area to be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brightness value is relatively low.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영역에 대해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의 상하좌우 4방향 모서리 중에서 좌우 모서리에 대해 상기 블러 필터링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applying the blur filtering to each of the divided regions comprises applying the blur filtering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four corners of the divided reg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UI는 복수의 기 설정된 서비스 각각에 대해 하나 이상을 포함하게 마련되며,
각각의 상기 서비스 별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GUI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되는 상하좌우 4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전환되도록 사전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UI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ervices,
Wherein the at least one GUI provided for each of the services is preset to be switched between the four directions indicated by the user in four directions.
제19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상하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상기 서비스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의 좌우방향 이동 지시에 응답하여 동일한 상기 서비스 내의 상기 GUI 사이를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Switching between the GUIs of the service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response to an up / down movement instruction from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witching between the GUIs in the same service in response to a leftward / rightward movement instruction from the user.
KR1020160054921A 2015-05-28 2016-05-0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993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1580.0A EP3099081B1 (en) 2015-05-28 2016-05-2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166,754 US10448100B2 (en) 2015-05-28 2016-05-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6/005604 WO2016190691A1 (en) 2015-05-28 2016-05-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680030475.2A CN107743710B (en) 2015-05-28 2016-05-27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4965 2015-05-28
KR1020150074965 2015-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375A KR20160140375A (en) 2016-12-07
KR101799381B1 true KR101799381B1 (en) 2017-11-22

Family

ID=5757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921A KR101799381B1 (en) 2015-05-28 2016-05-0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9381B1 (en)
CN (1) CN10774371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672B1 (en) 2017-11-14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a
CN109164954A (en) * 2018-07-28 2019-01-08 北京旺马科技有限公司 Selective method for application, system, car-mounted terminal, handheld device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734A1 (en) * 1997-10-10 2002-08-15 Satoshi Umezu GUI processing syste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an application which controls testing equipment
KR101674682B1 (en) * 2009-11-17 2016-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Providing menu for a network television
KR20110060650A (en) * 2009-11-30 2011-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mode for a network television
JP2012215852A (en) * 2011-03-25 2012-11-0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02186110B (en) * 2011-05-11 2012-08-22 深圳市茁壮网络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processing pictures and STB (set top box)
CN102215428B (en) * 2011-06-23 2012-12-26 深圳市茁壮网络股份有限公司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STB (Set Top 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43710B (en) 2020-09-25
CN107743710A (en) 2018-02-27
KR20160140375A (en)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908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9618206B (e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presenting user interface
JP5783245B2 (en) How to display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 customized format
CN111405338B (en) Intelligent image quality switch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11510788B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double-screen double-system screen switching animation
CN112153446B (en) Display device and streaming media video audio and video synchronization method
JP2008048364A (en) Image display device
CN111899680A (en) Display device and setting method thereof
CN112449229A (en) Sound and picture synchronous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equipment
US200702009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he Content of a Region of Interest within a Video Image
CN111176603A (en) Image display method for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equipment
KR10179938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432257A (en) Method for starting screen protection of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equipment
CN110602540B (en) Volume control method of display equipment and display equipment
CN109922364B (en) Display device
CN112788423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menu interface
CN112783380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11078926A (en) Method for determining portrait thumbnail image and display equipment
CN112218156B (en) Method for adjusting video dynamic contrast and display equipment
CN111050197B (en) Display device
CN112788387A (en) Display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1445427A (en) Video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20100164988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CN113259733A (en) Display device
JP2009027430A (en) Moving picture reproduc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