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168B1 -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 Google Patents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168B1
KR101797168B1 KR1020160149622A KR20160149622A KR101797168B1 KR 101797168 B1 KR101797168 B1 KR 101797168B1 KR 1020160149622 A KR1020160149622 A KR 1020160149622A KR 20160149622 A KR20160149622 A KR 20160149622A KR 101797168 B1 KR101797168 B1 KR 10179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seq
amino acid
acid sequence
phospholi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상호
이길환
황정순
김지안
박주희
이정옥
조현종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제이앤팜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제이앤팜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Priority to KR1020160149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168B1/en
Priority to PCT/KR2017/011917 priority patent/WO2018088734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61K9/1272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with substantial amounts of non-phosphatidyl, i.e. non-acylglycerophosphate, surfactants as bilayer-forming substances, e.g. cationic 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sicle in which a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is self-assembled. By using peptides having amino acid sequences represented by sequence number 1, vesicles (for example, liposome) having improved cell or skin penetration can be manufactured. Also, by using vesicles (for example, liposome) manufac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a poorly water soluble material (skin functional material or pharmacologic material) is loaded in the vesicle to be effectively delivered to skin or cells.

Description

신규의 프로테인 트랜스덕션 도메인을 함유하는 구형 구조체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containing a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본 발명은 활성 성분 또는 유용 성분을 세포 또는 피부로 전달할 수 있는 구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규의 프로테인 트랜스덕션 도메인을 함유하는 구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herical structure capable of delivering an active ingredient or a useful ingredient to cells or sk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herical structure containing a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는 자신의 분자량의 수배에 이르는 거대분자를 세포 안으로 운반할 수 있는데, 다양한 세포 형태에 대해서도 효율적이라는 점에서 의약품, 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 화장품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 성분 또는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세포 안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PTD (Protein transduction domain) is able to transport macromolecules that are several times its own molecular weight into cells, and it is also effective for various cell types. Therefore, the active ingredient or active ingredient contained in medicine, functional food or functional cosmetics It has been estimated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penetrate efficiently into cells.

예를 들어, 표적 물질과 결합한 PTD는 시험관 내(in vitro) 또는 생체 내(in vivo)에서 세포막을 전위시켜 세포 및/또는 세포 핵 내로 진입할 수 있다. 항원성 펩타이드, 펩타이드 핵산,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전장 단백질, 나노 입자, 리포좀과 같은 다양한 생체 분자들은 PTD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or example, a PTD in combination with a target substance can enter the cell and / or the cell nucleus by translocating the cell membrane in vitro or in vivo . A variety of biomolecules such as antigenic peptides, peptide nucleic acids, antisense oligonucleotides, full length proteins, nanoparticles, and liposomes are known to be able to be delivered via PTD.

대부분의 펩타이드 또는 핵산 기반의 의약품이 세포 내로의 유입이 곤란하여 이들 물질의 치료제로서의 개발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PTD는 이들 의약품의 생체 내에서의 효율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Considering that most peptides or nucleic acid-based drugs are difficult to enter into cells and thus limit the development of these substances as therapeutic agents, PTD may double the efficacy of these drugs in vivo It is expected.

이러한 PTD는 피부로의 약물 전달에 있어서도 단순 혼합물이나 약물에 직접 화학 결합시켜 적용된 바 있다. 하지만, PTD와 약물을 혼합한 경우에는 PTD와 약물의 피부 투과 시간 격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난용성 약물은 적용에 한계가 존재하고, 투여 조건에 따라 큰 편차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화학 결합 역시 활성 물질과 펩타이드와의 결합의 용이성 및 활성 물질의 활성 유지 여부에 문제점이 발생하여 그 활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These PTDs have been applied by chemical bonding directly to simple compounds or drugs for drug delivery to the skin. However, when the PTD and the drug are mixed, there is a gap in the skin permeation time between the PTD and the drug, and the poorly soluble drug has a limitation in application and may cause a large variation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on conditions. In addition, the chemical bonding is also limited in its ease of bonding between the active substance and the peptide and in the maintenance of the activity of the active substance.

한편, 난용성 약물은 화합물의 구조상 소수성 부위를 포함하고 있어 물에 잘 녹지 않는데, 난용성으로 인해 그 실용성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신약으로 개발되는 약물 중 약 41% 이상이 난용성으로 인하여 중도에 포기되고 있으며, 미국 약전(US Pharmacopeia)에 등재된 약물의 약 ⅓이상이 난용성 약물로 분류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poorly soluble drugs contain structurally hydrophobic sites of the compounds and are not well soluble in water. In many cases, their practicality is limited due to poor solubility. For example, about 41% or more of new drug products are being abandoned due to poor availability, and about one-third or more of the drugs listed in the US Pharmacopeia are classified as poorly soluble drugs.

난용성 약물의 대표적인 예로, 카페익산 (Caffeic acid), 코엔자임큐텐(coenzyme Q10), 우르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일라프라졸(ilaprazol), 파클리탁셀(paclitaxel), 이마티닙 메실레이트(imatinib mesylate) 등이 있으며, 이러한 약물들은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난용성으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된다. Representative examples of poorly soluble drugs include caffeic acid, coenzyme Q10, ursodeoxycholic acid, ilaprazol, paclitaxel, imatinib mesylate, and the like. And these drugs are limited in their use due to their poor availability despite good efficacy.

이러한 난용성 약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난용성을 해결하기 위한 부가적인 물질이 첨가되어야 한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난용성 물질을 수용화하기 위해서는 유화제를 이용한 유화, 리포좀을 이용한 포집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In order to use such poorly soluble drugs, an additional substance must be added to solve the poor solubility. For example, emulsification using an emulsifier, collection using liposomes, and the like have been widely used in order to generally hydrate a poorly soluble substance.

한편, 리포좀과 PTD를 결합시킬 경우, 리포좀의 피부 투과 기능(vesicular skin penetration), 투과 촉진 기능(penetration enhancing effect), 땀샘을 포함한 부속기관을 통한 침투(penetration of liposomes through the transappendageal route) 기능과, PTD의 피부 세포 내 약물 이입 촉진 및 이에 의한 농도 구배 형성 작용에 의한 피부 침투 증가 기전이 함께 적용됨으로써, 약물의 피부 침투성을 상승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posome and the PTD are combined, the function of penetration of liposomes through the transappendageal route including the vesicular skin penetration, the penetration enhancing effect, the sweat glands, The penetration of the drug into the skin can be synergistically improved by the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the drug penetration into the skin cells of the PTD and the mechanism of increasing the penetration of the skin by the action of the concentration gradient.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46961호 (공개일자 2011.05.06)에는,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표면 결합 나노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아토피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46961 (published on May 05, 2011) discloses a cell permeable peptide surface-bound nanoliposome and an anti-atop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새로운 PTD를 이용하여, 세포 또는 피부 침투성이 한층 증진된 구형 구조체를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new spherical structure having enhanced cell or skin permeability is developed and provided by using the new PTD developed by the present inventors.

본 발명은 친수성 부위와 소수성 부위를 갖는 양친매성 분자가 자가응집하여 형성되는 구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형 구조체에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구조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herical structure in which amphipathic molecules having hydrophilic sites and hydrophobic sites are formed by self aggregation, wherein the spherical structure contains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as shown in SEQ ID NO: 1 .

또한, 본 발명은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가 자가응집하여 형성되는 구형 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질은, 일 예로, 말레이미드, N-하이드록시석시니미드, 아민, 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실과 같은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세라마이드; 스핑가닌;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디올레오일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및 디옥타데세닐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herical structure in which an amphipathic molecul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to lipid is formed by self-aggregation. The lipid may be, for example, phosphatidylcholine hav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maleimide, N-hydroxysuccinimide, amine, carboxylic acid, or hydroxyl bonded thereto;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inositol; Ceramide; Sphinganine; Phytosphingosine; Sphingosine; Dimethyl dioctadecylammonium; Diol leuyl trimethyl ammonium propane; And dioctadecenyl trimethyl ammonium propane; Or a derivative thereof.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형 구조체는, 바람직하게 양친매성 분자의 소수성 분자들이 서로 맞닿도록 배향되어 이중막 형태의 테둘레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구조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형 구조체는, 일 예로, 리포좀일 수 있다. In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herical structure may preferably be a spher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phobic molecules of the amphipathic molecules are orien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double-walled hemisphere. At this time, the spherical structure may be, for example, a liposome.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바람직하게 구형 구조체의 외부 방향으로 배향되어 것이 좋다. In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is preferably orien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spherical structure.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형 구조체는, 바람직하게 콜레스테롤이 소수성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것이 좋다. In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herical structure preferably contains cholesterol in the hydrophobic region.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형 구조체는, 바람직하게 내부에 포집대상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In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herical structure may preferably contain the substance to be trapped therein.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d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은 양친매성 분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 포집대상물질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용매를 증발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필름에 정제수 또는 완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킨 후, 에너지를 가해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양친매성 분자는, 일 예로, 인지질일 수 있다. (A) dissolving an amphipathic molecule,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and a substance to be captured in a solvent; (B) after the step (a), evaporating the solvent to produce a film; And (c) adding purified water or a buffer to the film after the step (b) to hydrate and then reducing the particle size by applying energy to the film. The amphiphilic molecule may be, for example, a phospholipid.

본 발명은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 및 포집대상물질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용매를 증발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필름에 정제수 또는 완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킨 후, 에너지를 가해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계 (a)는, 바람직하게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 외에, 별도의 양친매성 분자를 용매에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별도의 양친매성 분자는, 일 예로, 인지질일 수 있다. (A) dissolving an amphipathic molecul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to a lipid and a substance to be captured in a solvent; (B) after the step (a), evaporating the solvent to produce a film; And (c) adding purified water or a buffer to the film after the step (b) to hydrate and then reducing the particle size by applying energy to the film. Preferably, in step (a), the amphipathic molecul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a lipid is preferably added to dissolve the amphipathic molecule in a solvent. In this case, the separate amphipathic molecule may be, for example, a phospholipid.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는, 일 예로, 필름 형태의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여, 지질과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간의 결합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제조하되, 상기 필름 형태의 지질은, 지질을 소수성 유기용매에 녹인 후,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필름 형태로 제조한 것이고, 상기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암모니움 카르보네이트과 함께 증류수에 녹인 후, pH 8~10로 조절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질은, 일 예로, 말레이미드, N-하이드록시석시니미드, 아민, 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실과 같은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세라마이드; 스핑가닌;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디올레오일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및 디옥타데세닐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globul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hipathic molecul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the lipid may be, for example,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he lipid in the form of a film is prepared by dissolving a lipid in a hydrophobic organic solvent, and then volatilizing the organic solvent in a volatile organic solvent by add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peptide to the lipid to induce a binding reaction between the lipid and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i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together with the ammonium carbonate, and then the pH of the solution is adjusted to pH 8 to 8.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0. ≪ / RTI > The lipid may be, for example, phosphatidylcholine hav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maleimide, N-hydroxysuccinimide, amine, carboxylic acid, or hydroxyl bonded thereto;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inositol; Ceramide; Sphinganine; Phytosphingosine; Sphingosine; Dimethyl dioctadecylammonium; Diol leuyl trimethyl ammonium propane; And dioctadecenyl trimethyl ammonium propane; Or a derivative thereof.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바람직하게 콜레스테롤을 추가로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이 좋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a) preferably dissolves the cholesterol further in a solvent.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일 예로,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물일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vent may be, for example, a mixture of chloroform and methanol.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이용할 경우, 세포 또는 피부 침투성이 한층 증진된 구형 구조체 (일 예로, 리포좀)를 제조할 수 있다. When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spherical structure (for example, a liposome) having enhanced cell or skin permeability can be produced.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조된 구형 구조체 (일 예로, 리포좀)를 이용할 경우, 난용성 물질 (피부기능성 물질 또는 약리학적 효능 물질)을 구조체 내부에 탑재시켜 피부 또는 세포로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pherical structure (for example, liposome) 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described above, a poorly soluble substance (skin functional substance or pharmacologically effective substance) can be loaded inside the structure and efficiently transported to skin or cells have.

도 1은 일반적인 GFP 발현 벡터의 맵이다.
도 2는 TAT-GFP 발현 벡터의 맵이다.
도 3은 PEP1-GFP 발현 벡터의 맵이다.
도 4는 STeP-GFP 발현 벡터의 맵이다.
도 5는 GFP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결과이다.
도 6은 GFP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 결과이다.
도 7은 GFP 단백질의 세포 투과력 비교 결과이다.
도 8은 GFP 단백질의 피부 투과력 비교 결과이다.
도 9는 지질(DSPE-PEG3.4K-maleimide)-PTD(STeP 펩타이드)의 화학적 구조를 보여준다.
도 10은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입자 특성 평가 결과이다.
도 11은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입자 모양 (TEM image) 관찰 결과이다 (좌: 리포좀-(카페익산), 우: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
도 12는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입자 안정성 평가 결과이다.
도 13은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에서 카페익산의 세포 보호 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14는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피부 투과력 비교 결과이다.
Figure 1 is a map of a general GFP expression vector.
Figure 2 is a map of the TAT-GFP expression vector.
Figure 3 is a map of the PEPl-GFP expression vector.
Figure 4 is a map of the STeP-GFP expression vector.
Figure 5 shows the expression of GFP recombinant protein.
6 shows the results of purification of GFP recombinant protein.
Fig. 7 show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ell permeability of GFP protein.
Fig. 8 shows the skin permeability comparison result of GFP protein.
Figure 9 shows the chemical structure of lipid (DSPE-PEG3.4K-maleimide) -PTD (STeP peptide).
10 shows the results of particle characterization of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Fig. 11 is a TEM image of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left: liposome- (caffeic acid), right: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Figure 12 shows the results of particle stability evaluation of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Fig. 13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cytoprotective effects of caffeic acid in cell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Fig. 14 shows the results of skin permeability comparison of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Numerous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referenced and cit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disclosures of the cited papers and patent document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to better understand the state of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자들은 목적 물질을 세포 내로 전달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펩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약물전달체(drug delivery system)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세포투과 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한 원형의 구형체 (예로써, 리포좀)를 개발하였다. As a result of efforts to develop a more efficient peptide capable of delivering a target substance into cells and a drug delivery system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cell permeable peptide described in SEQ ID NO: 1 and a circular spherical body containing the same (for example, Liposomes).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양친매성 특성의 띄며, 목적 물질의 세포 내 전달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 하기 본 발명의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은,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2에 기재된 핵산 서열로 암호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필요 목적에 따라, 본 아미노산 서열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필요 목적의 구현을 위한 펩타이드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exhibits amphipathic characteristics and has been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intracellular delivery of a target substance.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may preferably be one encoded by the nucleic acid sequence of SEQ ID NO: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which it is required, a peptide for the purpose of realization of the purpose may be bound to the N-terminal or C-terminal of the present amino acid sequence.

본 발명은 친수성 부위와 소수성 부위를 갖는 양친매성 분자가 자가응집하여 형성되는 구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형 구조체에는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가 자가응집하여 형성되는 구형 구조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herical structure in which amphipathic molecules having hydrophilic sites and hydrophobic sites are formed by self aggregation, wherein the spherical structure contains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as shown in SEQ ID NO: 1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herical structure in which an amphipathic molecul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to lipid is formed by self-aggregation.

분자 내에 친수성 부위와 소수성 부위를 갖는 양친매성 분자를, 일 예로써 수용성 용액 중에 분산시키면, 소수성 부분끼리 자가응집(회합)하여 소수성 부분이 중심으로 모이는 구형의 구조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소위 '마이셀(micelle)'이라 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구형의 구조체는 소수성 부분에 지용성 물질을 탑재시켜 해당 지용성 물질의 이송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가 있다. 또한, 양친매성 분자들은 수용성 용액 중에 분산 시, 소수성 분자들이 서로 맞닿도록 배향되어 이중막 형태의 테둘레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양친매성 분자로써 인지질이 사용되어 이중막 형태로 제조된 것을 리포좀(liposome)이라 한다. 리포좀은 안쪽에 친수성 부분의 공간이 존재하고, 그 주변을 소수성의 인지질 이중막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리포좀은 그 내부에 수용성 물질을 탑재시켜, 해당 수용성 물질의 이송을 위한 수단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여러가지 유용한 수용성 물질의 인체 내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화장품 또는 의약품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When an amphipathic molecule having a hydrophilic part and a hydrophobic part in a molecule is dispersed in a water-soluble solution as an example, a hydrophobic part is self-aggregated (aggregated) to form a spherical structure in which a hydrophobic part is centered. The so-called 'micelle' is called a 'micelle', and the thus formed spherical structure can be utilized as a means for transferring the lipophilic substance by mounting the lipophilic substance on the hydrophobic portion. The amphipathic molecules may also be oriented so that the hydrophobic molecul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dispersed in a water-soluble solution to form a double-layered membrane. The lipophilic molecule, phospholipid, ). The liposome is a structure in which a hydrophilic part space exists inside and a hydrophobic phospholipid bilayer is formed around the liposome. Liposomes are widely used as a means for transferring water-soluble substances by incorporating water-soluble substances therein. In particular, it has been widely used in cosmetics or pharmaceuticals as a means for the delivery of various useful water-soluble substances to the human body.

한편,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양친매성을 가지는데, 지질에 결합될 경우, 전체 지질에 양친매성을 부여할 수 있는 파트너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결합되어 양친매성을 나타내게 되는 지질은 수용액에 분산시 자가응집 (또는 자가조립)되어 단일막의 구형 구조체 (소위, '마이셀') 또는 이중막의 구형 구조체 (대표적인 예로써, '인지질')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질은 일 예로서, 말레이미드, N-하이드록시석시니미드, 아민, 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실과 같은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세라마이드; 스핑가닌;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디올레오일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및 디옥타데세닐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다.Meanwhile,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mphipathic effect and, when bound to lipid, acts as a partner capable of imparting amphipathicity to the whole lipid. The lipid, which is bound to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and exhibits amphipathic nature, is self-aggregated (or self-assembled) when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to form a spherical structure of a single membrane (so- As a representative example, 'phospholipid' is formed. The lipid may be, for example, a phosphatidylcholine hav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maleimide, N-hydroxysuccinimide, amine, carboxylic acid, or hydroxyl bonded thereto;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inositol; Ceramide; Sphinganine; Phytosphingosine; Sphingosine; Dimethyl dioctadecylammonium; Diol leuyl trimethyl ammonium propane; And dioctadecenyl trimethyl ammonium propane; Or a derivative thereof.

한편,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구형 구조체에 함유되어 본 발명 구형 구조체의 세포 내 또는 피부 내 침투를 도우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is contained in the spherical structure, and plays a role of helping intracellular or intracutaneous penetration of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바람직하게 구형 구조체의 외부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구형 구조체의 외부 방향으로 배향된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m)로써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구형 구조체를 세포 또는 피부 내로 용이하게 이송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orien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globular structur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rient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globular structure functions as PTD (protein transduction domain), and the globular structure is easily transferred into cells or skin.

한편,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는, 콜레스테롤이 소수성 부위에 함유되어 있을 수 있는데, 그를 통해 구형 구조체의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holesterol in a hydrophobic region, thereby stabilizing the structure of the spherical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형 구조체는, 바람직하게 내부에 포집대상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포집대상물질은 다양할 수 있는데, 마이셀 형태의 구형 구조체에서는 소수성 물질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고, 이중막 형태의 구형 구조체 (일 예로써, 리포좀)에서는 친수성 물질을 내부에 탑재할 수 있다. 포집대상물질은 일 예로, 생리기능성물질, 피부기능성물질, 약학물질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형태로는 화합물, 펩타이드, 단백질 등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herical structure may preferably contain the substance to be trapped therein. The material to be collected may be various. In the micelle-type spherical structure, a hydrophobic substance can be loaded therein. In the bilayer membrane-like spherical structure (for example, liposome), a hydrophilic substance can be loaded inside. Examples of the substance to be captured include a physiological functional substance, a skin functional substance, a pharmaceutical substance, and the lik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ompounds, peptides, proteins,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를 함유하기만 하면 특정의 화장품 제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제형을 다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contains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pecific cosmetic formulation, but includes all the formulations.

또한,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학 조성물의 경우도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를 함유하기만 하면 특정의 약학 제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제형을 다 포함한다. Also provided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pecific pharmaceutical formulation as long as it contains the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ll the formulations.

한편, 본 발명은 양친매성 분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및 포집대상물질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용매를 증발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필름에 정제수 또는 완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킨 후, 에너지를 가해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양친매성 분자는, 일 예로, 인지질일 수 있다. (A) dissolving an amphipathic molecule,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and a substance to be captured in a solvent; (B) after the step (a), evaporating the solvent to produce a film; And (c) adding purified water or a buffer to the film after the step (b) to hydrate and then reducing the particle size by applying energy to the film. The amphiphilic molecule may be, for example, a phospholipid.

또한, 본 발명은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 및 포집대상물질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용매를 증발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필름에 정제수 또는 완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킨 후, 에너지를 가해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계 (a)는, 바람직하게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 외에, 별도의 양친매성 분자를 용매에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별도의 양친매성 분자는, 일 예로, 인지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를 가해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초음파를 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A) dissolving an amphipathic molecule and a capture target substance produced by binding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lipid in a solvent; (B) after the step (a), evaporating the solvent to produce a film; And (c) adding purified water or a buffer to the film after the step (b) to hydrate and then reducing the particle size by applying energy to the film. Preferably, in step (a), the amphipathic molecul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a lipid is preferably added to dissolve the amphipathic molecule in a solvent. In this case, the separate amphipathic molecule may be, for example, a phospholipid. Further, the step of reducing the particle size by applying the energy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본 발명은 상기 과정을 통해 포집대상물질이 내포된 구형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는데, 양친매성 분자로 인지질을 사용할 경우, 리포좀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 제조방법은, 원형 구조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단계 (a)에서 콜레스테롤을 추가로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 제조방법에서, 상기 용매는, 일 예로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pherical structure containing a target substance can be produc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hen a phospholipid is used as an amphipathic molecule, it can be produced as a liposome.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rototype structure, the cholesterol may be further dissolved in a solvent in step (a).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xture of chloroform and methanol may be used as the solvent.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 제조방법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사용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써, 양친매성 분자를 사용하여 구형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일 예로써, 인지질을 사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구형 구조체의 제조를 위한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globula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as shown in SEQ ID NO: 1, wherein a method for producing a globular structure using an amphipathic molecule (for example, using a phospholipid (Including production of liposomes) are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tep for manufacturing the spherical structure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구형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는, 일 예로, 필름 형태의 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여, 지질과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간의 결합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 형태의 지질은, 지질을 소수성 유기용매에 녹인 후,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필름 형태로 제조한 것이고, 상기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암모니움 카르보네이트과 함께 증류수에 녹인 후, pH 8~10로 조절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질은, 일 예로, 말레이미드, N-하이드록시석시니미드, 아민, 카르복실산, 하이드록실과 같은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세라마이드; 스핑가닌; 파이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 디올레오일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및 디옥타데세닐트리메틸암모늄프로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spher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hipathic molecul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the lipid may be, for example, an amino acid 1 by adding a solution containing the peptide having the sequence, and inducing a binding reaction between the lipid and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In this case, the lipid in the form of a film is prepared by dissolving lipid in a hydrophobic organic solvent and then volatilizing the organic solvent to form a film.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with ammonia carbonate in distilled water and adjusting the pH to 8 to 10. The lipid may be, for example, phosphatidylcholine hav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maleimide, N-hydroxysuccinimide, amine, carboxylic acid, or hydroxyl bonded thereto;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inositol; Ceramide; Sphinganine; Phytosphingosine; Sphingosine; Dimethyl dioctadecylammonium; Diol leuyl trimethyl ammonium propane; And dioctadecenyl trimethyl ammonium propane; Or a derivative thereof.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27개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통해 한층 증진된 세포투과 또는 피부투과성을 보이며, 구조체 내부에 목적물질을 탑재하여 세포 또는 피부 내로 이송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nhanced cell penetration or skin permeability through the peptide consisting of the 27 amino acid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 1, and the target substance can be loaded into the structure and transferred into cells or skin.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일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obvious. Accordingly, the actu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실시예Example 1. 세포 및 피부 투과성  1. Cell and skin permeability GFPGFP 단백질 발현 벡터의 제작] Preparation of protein expression vector]

거대 분자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세포 및 피부 내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세포 및 피부 투과능을 갖는 펩타이드와 전달하고자 하는 단백질(cargo)을 융합하여 재조합 단백질 발현 벡터를 제조하였다.A recombinant protein expression vector was prepared by fusing a peptide having cell and skin permeability and a protein (cargo) to be delivered in order to easily transfer the macromolecular protein or peptide into cells and skin.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융합 단백질이 얼마나 세포 및 피부에 전달될 수 있는지의 전달 능력을 용이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 단백질(cargo)로써, 녹색 형광 단백질(Green Fluorescence Protein: 이하“GFP”라 약칭함)을 선택하였다. In this embodiment, as a target protein (cargo) to be transferred in order to easily analyze the ability of the fusion protein to transfer to cells and skin, a green fluorescence prote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GFP" ) Were selected.

기존에 잘 알려진 PTD인 TAT 또는 PEP1을 GFP에 융합하여, 본 발명에서 신규로 개발된 STeP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서열번호 2의 핵산 서열로 암호화됨)와 세포 및 피부 내 전달 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TAT or PEP1, which is a well-known PTD, is fused to GFP to produce STeP (a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encoded by the nucleic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newly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compare their abilities.

(1)  (One) pGFPpGFP 벡터 제작 Vector production

GFP의 염기서열에 해당하는 DNA 절편을 플라스미드 pET15b의 XhoI, BamHI 자리에 서브클론하여 GFP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pGFP를 제조하였다. pGFP 발현 벡터에는 세포 및 피부투과능을 갖는 펩타이드가 융합되지 않았고, GFP는 약 29kDa의 친수성 고분자 단백질이기 때문에, 이 벡터에서 발현된 GFP는 세포 및 피부에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포 및 피부 투과성 비교를 위한 대조군으로써 제작한 것이다. A DNA fragment corresponding to the base sequence of GFP was subcloned into the XhoI and BamHI sites of the plasmid pET15b to prepare pGFP expressing the GFP protein. GFP expressed in this vector is not capable of delivering to cells and skin because the pGFP expression vector is not fused with a peptide having cell and skin permeability and GFP is a hydrophilic polymer protein of about 29 kDa. Therefore, it was prepared as a control for comparison of cell and skin permeability.

GFP의 염기서열에 해당하는 DNA 절편을 플라스미드 pEGFP-C2(클론텍)를 이용하여 Pfu DNA 중합효소로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시켜 GFP의 완전한 서열을 증폭하였다. 정방향 개시체(sense primer)는 5'- CTCGAGGTGAGCAAGGGCGAGGAGCTG-3'이고, 역방향 개시체(antisense primer)의 서열은 5'-GGATCCTTACTTGTACAGCTCGTCC ATGCCGAG-3'이다. PCR산물은 Xho I- Bam HI으로 잘리며, pET15b(Invitrogen, Carlsbad, CA)의 XhoI - BamHI 자리에 서브클론되어 일반적인 GFP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pGFP를 제조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GFP 발현 벡터의 맵이다. The DNA fragment corresponding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GFP was amplified by PCR using a plasmid pEGFP-C2 (Clontech) with Pfu DNA polymerase to amplify the complete sequence of GFP. The sense primer is 5'-CTCGAGGTGAGCAAGGGCGAGGAGCTG-3 'and the sequence of the antisense primer is 5'-GGATCCTTACTTGTACAGCTCGTCC ATGCCGAG-3'. The PCR product was cut into Xho I-Bam HI and subcloned into the XhoI-BamHI site of pET15b (Invitrogen, Carlsbad, Calif.) To produce pGFP expressing normal GFP protein. Figure 1 is a map of a general GFP expression vector.

(2)  (2) pTATpTAT -- GFPGFP 벡터 제작 Vector production

HIV-1 TAT와 융합된 GFP를 발현시키는 pTAT-GFP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첫째, 두 개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제조되어 HIV-1 TAT의 9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이중사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합성되었다. HIV-1 TAT의 9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서열은 위쪽 사슬 5'-TAGGAAGAAGCGGAGACAGCGACGAAGAC-3'과 아래쪽 사슬 5'-TCGAGTCTTCGTCGCTGTCTCCGCTTCTTCC-3'이다. 이중사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직접 pGFP의 NdeI - XhoI으로 서브클론되어 TAT-GFP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pTAT-GFP를 제작하였다. 도 2는 TAT-GFP 발현 벡터의 맵이다. PTAT-GFP expressing GFP fused with HIV-1 TAT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wo oligonucleotides were prepared and synthesized as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s encoding nine amino acids of HIV-1 TAT. The sequence encoding the 9 amino acids of HIV-1 TAT is the 5'-TAGGAAGAAGCGGAGACAGCGACGAAGAC-3 'in the upper chain and the 5'-TCGAGTCTTCGTCGCTGTCTCCGCTTCTTCC-3' in the lower chain. The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s were subcloned directly into NdeI-XhoI of pGFP to construct pTAT-GFP expressing the TAT-GFP protein. Figure 2 is a map of the TAT-GFP expression vector.

(3)  (3) pPEP1pPEP1 -- GFPGFP 벡터 제작 Vector production

PEP1이 융합된 GFP를 발현시키는 pPEP1-GFP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첫째, 두 개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위쪽사슬 5'-TATGAAAGAAACCTGGTGGGAAACCTGGTGGACCGAATGGAGCCAGCCGAAAAAAAAACGTAAAGTGC-3'과 아래쪽 사슬 5'-TCGAGCACTTTACGTTTTTTTTTCGGCTGAGACCATTCGGTCCACCAGGTTTCCCACCAGGTTTCTTTCC-3'이 합성되어 PEP1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이중사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만들었다.PPEP1-GFP expressing GFP fused with PEP1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wo oligonucleotides top chain 5'-TATGAAAGAAACCTGGTGGGAAACCTGGTGGACCGAATGGAGCCAGCCGAAAAAAAAACGTAAAGTGC-3 'and the bottom chain 5'-TCGAGCACTTTACGTTTTTTTTTCGGCTGAGACCATTCGGTCCACCAGGTTTCCCACCAGGTTTCTTTCC-3' is synthesized oligonucleotides made double-stranded coding for peptide PEP1.

이중사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직접 pGFP의 NdeI - XhoI으로 서브클론되어 PEP1-GFP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pPEP1-GFP를 제작하였다. 도 3은 PEP1-GFP 발현 벡터의 맵이다. The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s were subcloned directly into NdeI-XhoI of pGFP to produce pPEP1-GFP expressing the PEP1-GFP protein. Figure 3 is a map of the PEPl-GFP expression vector.

(4)  (4) pSTePpSTeP -- GFPGFP 벡터 제작 Vector production

본 발명의 STeP이 융합된 GFP를 발현시키는 pSTeP-GFP는 다음의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첫째, 두 개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위쪽사슬 5'-TATG AAAGAAACCTGGTGGGAAACCTGGTGGACCGAATGGTCCCAGCCGTATGGCCGTAAAAAACGTCGTCAGCGTCGTCGTC-3'과 아래쪽 사슬 5'- TCGAGACGACGACGCTGACGACGTTTTTTACGGCCATACGGCTGGGACCATTCGGTCCACCAGGTTTCCCACCAGGTTTCTTTCC-3'이 합성되어 STeP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이중사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만들었다. 이중사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직접 pGFP의 NdeI - XhoI으로 서브클론되어 STeP-GFP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pSTeP-GFP를 제작하였다. 도 4는 STeP-GFP 발현 벡터의 맵이다. PSTeP-GFP expressing the STeP-fused GFP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wo oligonucleotides top chain 5'-TATG AAAGAAACCTGGTGGGAAACCTGGTGGACCGAATGGTCCCAGCCGTATGGCCGTAAAAAACGTCGTCAGCGTCGTCGTC-3 'and the bottom chain 5'- TCGAGACGACGACGCTGACGACGTTTTTTACGGCCATACGGCTGGGACCATTCGGTCCACCAGGTTTCCCACCAGGTTTCTTTCC-3' is synthesized oligonucleotides made double-stranded STeP encoding the peptide. The double-stranded oligonucleotides were subcloned directly into NdeI-XhoI of pGFP to construct pSTeP-GFP expressing the STeP-GFP protein. Figure 4 is a map of the STeP-GFP expression vector.

[[ 실시예Example 2.  2. GFPGFP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Expression of Recombinant Protei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작된 재조합 벡터들로부터 해당 단백질을 발현하고자 하였다. 네 종류의 발현 벡터들을 각각 E. coli Rosetta-gami 2(DE3) 세포 내로 형질 전환시켰다. 형질 전환된 박테리아 세포는 엠피실린이 포함된 1,000ml의 LB배지를 이용하여 OD600 값이 0.6이 될 때까지 37℃에서 배양하였고, 22℃에서 0.5mM IPTG를 도입하여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여 GFP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In this Example, the protein was expressed from the recombinant vectors produced in the above Example. Four kinds of expression vectors were introduced into E. coli And transformed into Rosetta-gami 2 (DE3) cells. The transformed bacterial cells were cultured at 37 ° C until the OD 600 value reached 0.6 using 1,000 ml of LB medium containing ampicillin, and further incubated for 24 hours with 0.5 mM IPTG at 22 ° C to obtain GFP Expression of the protein was induced.

각각의 GFP 단백질 발현 유무 확인은 IPTG의 첨가에 의한 목적 단백질의 유도 발현 전과 후의 배양 세포들을 수확하여 SDS-PAGE 전기영동을 한 뒤, 쿠마시 브릴리언트블루 (Coomassie brilliant blue)로 단백질을 염색하여 관찰하였다.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GFP protein expression, cultured cells before and after induction of the target protein by adding IPTG were harvested and subjected to SDS-PAGE electrophoresis, followed by protein staining with Coomassie brilliant blue .

그 결과,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GFP는 29.35kDa, TAT-GFP는 30.54kDa, PEP1-GFP는 32.18kDa, STeP-GFP는 32.95kDa의 크기를 가지는 단백질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GFP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 결과이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protein having a size of 29.35 kDa of GFP, 30.54 kDa of TAT-GFP, 32.18 kDa of PEP1-GFP and 32.95 kDa of STeP-GFP was expressed as shown in Fig. Figure 5 shows the expression of GFP recombinant protein.

[[ 실시예Example 3.  3. GFPGFP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 Purification of Recombinant Protei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각각 발현된 단백질에 대하여 세포 파쇄 공정 실시 후, His tag 친화 컬럼을 이용하여 GFP 단백질만을 순수 분리 정제하고자 하였다. 4가지 GFP 단백질의 정제 방법은 아래와 같이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In this example, the proteins expressed in each of the above examples were subjected to cell disruption, and purified by pure purification using only His tag-affinity column. The four GFP proteins were purified using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below.

pET15-GFP, pTAT-GFP, pPEP1-GFP, pSTeP-GFP 형질 전환 세포를 1X Native 완충액(50mM NaPO5, 0.5M NaCl)에서 초음파기를 이용하여 파괴한 후, 이것을 원심분리하여 응집체(inclusion body)와 세포질(상청액)로 분리하였다.After transfection of pET15-GFP, pTAT-GFP, pPEP1-GFP and pSTeP-GFP transformed cells with 1X Native Buffer (50 mM NaPO5, 0.5 M NaCl) using an ultrasonic machine, it was centrifuged to remove the inclusion body and cytoplasm (Supernatant).

4가지 GFP 단백질에는 모두 His6 태깅되어(tagging)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세포 파쇄 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상청액을 Ni2 +-NTA 친화 컬럼(Nitrilotriacetic acid Sepharose affinity column, GE Healthcare, USA)으로 정제하였다. 4 kinds of GFP protein has both the His 6 tagged (tagging), because using such a characteristic cell destruction after each supernatant was separated by centrifugation and Ni 2 + -NTA affinity column (Nitrilotriacetic acid Sepharose affinity column, GE Healthcare, USA ).

컬럼의 평형 및 GFP 단백질의 결합은 1X Native 완충액을 사용하였으며, 세척(Washing)과 용출(Elution)은 1X Native 완충액에 농도별 이미다졸(Imidazole)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순수 분리 정제된 GFP 단백질은 안정화 버퍼 (50mm NaPO4, 0.1M NaCl, 10% Glycerol, pH 7.5)를 이용하여 투석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최종 산물을 각각 GFP, Tat-GFP, PEP1-GFP, STeP-GFP라 명명하였다. 도 6은 GFP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 결과이다. Column equilibrium and GFP protein binding were performed using 1X Native buffer. Washing and elution were carried out by preparing Imidazole at 1X Native buffer. Pure separation Purified GFP protein was dialyzed using a stabilization buffer (50 mM NaPO4, 0.1 M NaCl, 10% Glycerol, pH 7.5). The final products obtained here were named GFP, Tat-GFP, PEP1-GFP and STeP-GFP, respectively. 6 shows the results of purification of GFP recombinant protein.

[[ 실시예Example 4. 세포 및 피부 투과성  4. Cell and skin permeability GFPGFP 단백질의 세포 투과 분석]  Cell permeation analysis of protei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정제된 4가지의 GFP 단백질의 세포 투과 능력을 비교하고자 HaCaT(human keratinocyte) 세포에서 GFP 녹색 형광을 이용한 세포 내 투과를 관찰하였다.In this example, intracellular permeation using GFP green fluorescence was observed in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s in order to compare the cell permeability of the four purified GFP proteins in the above examples.

HaCaT(human keratinocyte) 세포는 배양용 슬라이드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HBSS로 3회 세척 후 GFP 및 세포투과성 GFP 단백질(PEP1-GFP, TAT-GFP, STeP-GFP)을 세포에 처리하였다. 세포에 처리 시 각각의 단백질의 농도가 10mM이 되도록 스탁(stock)을 만들어 배지에 1/10로 희석하여 최종 10μM이 되도록 처리한 후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시간 뒤 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한 후, 냉각 메탄올을 이용하여 10분간 -20℃에서 세포를 고정하였다. 세포는 PBS로 충분히 세척한 뒤 PBS에 1/5000으로 희석된 핵 염색 시약 (DAPI)를 넣고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10분간 염색시켰다. PBS로 충분히 세척하고, 마운팅(mounting) 한 뒤 컨포칼 스캐닝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HaCaT (human keratinocyte) cells were cultured on a culture slide for 24 hours. After the culture medium was removed, cells were treated with GFP and cell permeable GFP proteins (PEP1-GFP, TAT-GFP, and STeP-GFP) three times with HBSS. Cells were treated with stocks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each protein was 10 mM when the cells were treated. The cells were diluted 1/10 in the medium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0 μM, followed by culturing for 2 hours. After 2 hours, the medium was removed, and the cells were washed with PBS. Then, the cells were fixed with cold methanol at -20 ° C for 10 minutes. Cells were washed thoroughly with PBS, stained with PBS (diluted 1/5000), and stained for 10 minutes with light blocked. Washed thoroughly with PBS, mounted, and analyzed using a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그 결과, STeP-GFP 단백질 처리 그룹의 세포 내 녹색 형광이 가장 밝게 보이는 것으로 보아, STeP가 세포 내 투과 효과를 크게 향상시켜줌을 알 수 있었다. 도 7은 GFP 단백질의 세포 투과력 비교 결과이다. As a result, the intracellular green fluorescence of the STeP-GFP protein-treated group appeared to be the brightest, indicating that STeP significantly enhanced the intracellular permeation effect. Fig. 7 show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cell permeability of GFP protein.

[[ 실시예Example 5. 세포 및 피부 투과성  5. Cell and skin permeability GFPGFP 단백질의 피부 투과 분석] Skin permeation analysis of protein]

세포뿐만 아니라 피부에서도 STeP에 의해 GFP 단백질의 투과가 향상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프란츠 셀(Franz cell, 직경 9mm)을 이용하였다. A Franz cell (diameter 9 mm)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permeation of GFP protein was enhanced by STeP in cells as well as in the skin.

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돼지 피부(0.7mm 두께, Medikinetics)를 장착하고, 그 상단에 50μM GFP 단백질을 300μl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돼지 피부를 빼낸 뒤 PBS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크라이요 몰드 (cryo mold)에 OCT 임베딩 매트릭스 (OCT embedding matrix, Cell Path Ltd., UK)를 처리하여 조직을 -70℃에서 동결하였다. 동결 조직은 크라이요톰(cryotome, HM520, Germany)을 이용하여 -20℃에서 7 μm의 두께로 크로스 섹션 (cross-section)하여 절편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피부 세포의 핵을 염색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글라스 (slide glass)에 고정시킨 조직 절편은 PBS에 1/5000으로 희석된 핵 염색 시약 (DAPI)을 넣고 빛이 차단된 상태에서 10분간 염색한 후 PBS로 3회 세척하였다. 마운팅(mounting) 한 뒤 콘포칼 스캐닝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ig skin (0.7 mm thick, Medikinetics) was mount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cell and treated with 300 μl of 50 μM GFP protein on top of it. After 24 hours, the pig skin was removed and washed three times with PBS. After washing, the cryo molds were treated with an OCT embedding matrix (Cell Path Ltd., UK) and the tissues were frozen at -70 ° C. The frozen tissues were cross-sectioned at a thickness of 7 μm at -20 ° C. using a cryotome (HM520, Germany) to prepare slice slides. In order to stain the nuclei of skin cells, tissue slices fixed on a slide glass were stained with PBS (DAPI) diluted 1/5000, blocked with light for 10 minutes, Lt; / RTI > Mounted and analyzed using a conforma scanning laser microscope.

실험결과, GFP는 돼지 피부 조직 내로 전혀 전달되지 않음에 반해, 본 발명의 STeP-GFP는 피부 내로 효율적으로 전달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은 GFP 단백질의 피부 투과력 비교 결과이다. 도 8에서 'LUT Image'는 LUT(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명암 대비를 향상시킨 이미지이다.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GFP was not delivered into the pig skin tissue at all but the STeP-GFP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efficiently delivered into the skin. Fig. 8 shows the skin permeability comparison result of GFP protein. In FIG. 8, 'LUT Image' is an image in which the contrast is improved by using a look up table (LUT).

[[ 실시예Example 6. 지질- 6. Lipid- PTD(DSPE-PEG-PTD)의PTD (DSPE-PEG-PTD) 제조]  Produce]

본 실시예에서는 자가조립 PTD-리포좀 제조 기술을 개발하였다. In this example, a self-assembled PTD-liposome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developed.

본 발명의 자가조립 PTD-리포좀에서, '자가조립'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인지질에 결합된 상태로 리포좀의 막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가 막 성분의 일원으로 리포좀의 제조에 참여된 것을 의미한다. In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self-assembly' means that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forms a membrane of the liposome in a state in which it is bound to the phospholipid, whereby the peptide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Quot; means participating in the manufacture of the liposome as a member of the membrane component.

본 실시예의 자가조립 PTD-리포좀은 지질에 PTD가 결합되어 있어 따로 생리활성물질에 PTD를 연결하는 합성 과정의 번거로움 없이,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바로 자가조립 PTD-리포좀에 봉입하여, 효율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시킬 수 있게 해준다.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PTD-liposome that is incorporated into self-assembled PTD-liposomes without the hassle of synthesizing PTD to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자가조립 PTD-리포좀의 제조를 위해, 지질-PTD는 다음 방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우선, DSPE-PEG3.4K-maleimide (지질, 1 equiv,)을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에 녹인 후, 50℃에서 증발시켜 유기용매를 제거함으로써, 필름 형태의 DSPE-PEG3.4K-maleimide를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또한, PTD (STeP 펩타이드: KETWWETWWTEWSQPYGRKKRRQRRRC, 서열번호 1) (3 equiv.) 및 암모니움 카르보네이트 (3 equiv.)을 증류수에 녹인 후 완충액 (pH 9.6)으로 pH 9 정도가 되도록 조절하여 PTD 용액을 별도로 제조하여 준비하였다. For the preparation of self-assembled PTD-liposomes, lipid-PTD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DSPE-PEG3.4K-maleimide was prepared by dissolving DSPE-PEG3.4K-maleimide (lipid, 1 equiv.) In dichloromethane and evaporating at 50 ° C to remove the organic solvent Prepared. The PTD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PTD (STeP peptide: KETWWETWWTEWSQPYGRKKRRQRRRC, SEQ ID NO: 1) (3 equiv.) And ammonium carbonate (3 equiv.) In distilled water and adjusting the pH to about 9 with a buffer solution (pH 9.6) And prepared separately.

상기에서 제조한 PTD 용액을, 상기에서 필름 형태로 제조한 DSPE-PEG3.4K-maleimide에 넣고, 37℃에서 수화 및 교반 과정 (4 시간)을 수행함으로써, DSPE-PEG3.4K-maleimide의 maleimide와 STeP 펩타이드의 'C' 아미노산 사이에 maleimide-thiol 반응을 유도시켰다. 반응 완료 후, 동결건조 및 분리·정제 과정을 진행하였다.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제조한 지질(DSPE-PEG3.4K-maleimide)-PTD(STeP 펩타이드)의 화학적 구조를 보여준다. The PTD solution prepared above was placed in DSPE-PEG 3.4K maleimide prepared in film form and subjected to a hydration and stirring process (4 hours) at 37 ° C to prepare maleimide of DSPE-PEG 3.4K-maleimide Induced the maleimide-thiol reaction between the 'C' amino acids of the STeP peptides.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freeze-drying and separation and purification were carried out. Figure 9 shows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lipid (DSPE-PEG3.4K-maleimide) -PTD (STeP peptide) prepared in this example.

[[ 실시예Example 7.  7. 카페익산이Cafe Iksan 봉입된Enclosed 자가조립  Self-assembly PTDPTD -- 리포좀의Liposomal 제조] Produce]

리포좀은 인지질로 구성된 인위적인 막으로써, 액상 상태의 내부 물질을 감싸는 캡슐화된 구조체로 이용될 수 있다. 리포좀 안에 가둬진 물질의 보유는 지질의 조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 중 두 가지 중요한 지질 종류는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이다. 인지질은 리포좀의 막을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콜레스테롤은 친수성 수산기와 소수성 고리를 가지고 있어, 반데르발스 결합으로 세포막 내의 포화 지방산의 사슬을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하여 세포막의 유동성을 감소시키며 견고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Liposomes are artificial membranes composed of phospholipids, which can be used as an encapsulated structure to encapsulate internal substances in liquid phase. Retention of the entrapped material in the liposome can b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lipid. Two important lipid classes are phospholipids and cholesterol. The phospholipid plays a role of constituting the membrane of the liposome, and the cholesterol has the hydrophilic hydroxyl group and the hydrophobic ring, and stabilizes the chain of the saturated fatty acid in the cell membrane by the van der Waals bond, thereby reducing the fluidity of the cell membrane and imparting firmness Function.

한편, 상기 제조 방법으로 만들어진 지질-PTD와 인지질, 콜레스테롤, 카페익산을 혼합하여 카페익산(caffeic acid)이 봉입된 자가조립 PTD-리포좀(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지질 : 콜레스테롤 : 지질-PTD : 카페익산을 8:2:1:1 (중량비)로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물 (1:1, 용적비)에 용해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지질/약물 필름을 제조하였다. 정제수로 수화시킨 후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리포좀을 제조하였고, 동결건조 후 보관하였다.On the other hand, self-assembled PTD-liposome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containing caffeic acid was prepared by mixing lipid-PTD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with phospholipid, cholesterol and caffeic acid. The concrete method is as follows. The lipid / drug film was prepared by dissolving the phospholipid: cholesterol: lipid-PTD: caffeic acid in a chloroform: methanol mixture (1: 1, volume ratio) in an 8: 2: 1: 1 ratio by weight and then evaporating the solvent. After hydration with purified water, liposomes were prepared by sonication, lyophilized and stored.

한편, 제조한 리포좀의 입자 크기, 입도 분포, 봉입률을 확인하여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때, 자가조립 PTD-리포좀에 의한 카페익산의 피부 투과력 우월성을 입증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일반 리포좀에 봉입된 카페익산(리포좀-카페익산)을 함께 분석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lf-assembled PTD-liposome-caffeic acid were analyzed by confirming the particle siz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inclusion rate of the liposome. At this time, caffeic acid (liposome-caffeic acid) encapsulated in a common liposome was analyzed as a control group to demonstrate superiority of skin permeability of caffeic acid by self-assembled PTD-liposome.

입자 크기, 입도 분포, 표면 전하는 전기영동광산란법 (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ELS)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0과 같았다. 도 10의 결과에 따르면,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은 평균 직경이 250nm 정도로 비교적 균일한 입도분포를 갖는 리포좀이 제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0은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입자 특성 평가 결과이다. Particle siz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surface charge were confirmed using electrophoretic light scattering (ELS). The results were as shown in FIG. 10,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had a liposome having a relatively uniform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250 nm. 10 shows the results of particle characterization of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또한, 일반 리포좀-카페익산에 비해 자가조립 PTD-리포좀의 표면 전하가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자가조립 PTD-리포좀에서 PTD가 외부 표면에 배향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STeP)는 양친매성 펩타이드이지만, 소수성보다는 친수성의 성향이 강하다. 이러한 친수성 펩타이드의 경우, 리포좀 제조시 외부 또는 내부의 친수성 환경에 위치할 것이라 예상되는데, 도 10의 제타 전위 분석 결과 (-에서 +로 변화)를 통해, STeP가 리포좀의 외부 표면 환경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face charge of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changed from a negative value to a positive value compared with the ordinary liposome-caffe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TD is oriented on the outer surface in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ptide (STeP) hav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mphipathic peptide, but is more hydrophilic than hydrophobic. In the case of such a hydrophilic peptide, it is expected that the liposome will be located in the external or internal hydrophilic environment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liposome. The zeta potential analysis result (change from - to +) in FIG. 10 indicates that STeP is exposed to the external surface environment of the liposome And it was found.

한편,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자가조립 PTD-리포좀의 입자 모양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리포좀-카페익산에 비해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입자 크기가 다소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PTD-지질이 포함된 리포좀을 제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의 입자 모양이 일반적인 리포좀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은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입자 모양 (TEM image) 관찰 결과이다 (좌: 리포좀-(카페익산), 우: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 On the other hand, the morphology of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was observed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was somewhat larger than that of the liposome-caffeic acid. Further, although the liposome containing the PTD-lipid was prepare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tructurally similar to liposome. Fig. 11 is a TEM image of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left: liposome- (caffeic acid), right: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한편, 수용액 상에서 입자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기영동광산란법을 이용하여 입자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2와 같이, 리포좀-(카페익산),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 모두 24시간까지 입자 크기와 입도 분포 양상에 큰 변화가 없어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도 12는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입자 안정성 평가 결과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firm the particle stability in the aqueous solution, the particle size change was observed by using the electrophoresis light scattering metho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l the liposome- (caffeic acid) and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particle size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until 24 hours as shown in Fig. Figure 12 shows the results of particle stability evaluation of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 실시예Example 8. 자가조립  8. Self-assembly PTDPTD -- 리포좀Liposome -(- ( 카페익산Cafe Iksan )의 세포 내 항산화 효능 평가]) ≪ / RTI >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이, 카페익산과 리포좀-카페익산보다 세포 내 투과가 증가하여 항산화 효능이 증진됨을 확인하고자 산화스트레스(과산화수소, H2O2)에 의한 세포 손상에서 카페익산의 세포 보호 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at the self-assembled PTD-liposome-caffeic acid increases the intracellular permeability by increasing the intracellular permeation than the caffeic acid and liposome-caffeic acid, the cell damage of the caffeic acid from oxidative stress (hydrogen peroxide, H 2 O 2 ) The protective effect was compared and observed.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된 HaCaT 세포를 2×104씩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16시간 배양한 후 HBSS로 2회 세척하여 주었다. 카페익산과 리포좀에 봉입된 카페익산, 자가조립 PTD 리포좀 카페익산을 최종농도가 12.5μM이 되도록 세포에 처리해 주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HBSS로 2회 세척한 뒤 H2O2를 0.75mM 농도로 2시간 30분 동안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WST 용액을 배지에 1:9 비율로 희석하여 세포에 처리해 주었다. 3시간 동안 배양 후, 450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계산해 카페익산, 리포좀에 봉입한 카페익산 및 자가조립 PTD 리포좀 카페익산의 처리에 따른 항산화 효능을 비교하였다. HaCaT cells cultur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were divided into 2 × 10 4 96-well plates and cultured for 16 hours, followed by washing twice with HBSS. Caffeic acid and caffeic acid encapsulated in liposome and self-assembled PTD liposomal caffeic acid were treated with cells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2.5 μM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washed twice with HBSS, and incubated with 0.75 mM H 2 O 2 for 2 hours and 30 minutes. After the incubation,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the WST solution was diluted 1: 9 in the medium to treat the cells. After incubation for 3 hours, the absorbance values were measured at 450 nm, and cell viability was calcul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affeic acid, liposome-encapsulated caffeic acid and self-assembled PTD liposomal caffeic acid were compared.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카페익산에 비해 자가조립 PTD 리포좀 카페익산의 항산화효능이 동일 농도에서 대략 3배 정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3은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에서 카페익산의 세포 보호 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카페익산과 일반 리포좀에 비해 자가조립 PTD 리포좀 카페익산이 PTD에 의해 세포투과가 용이해져서 항산화 효능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3,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oxidant effect of the self-assembled PTD liposomal caffeic acid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at the same concentration than that of caffeic acid. Fig. 13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cytoprotective effects of caffeic acid in cell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D liposomal caffeic acid facilitates cell permeation by PTD and that the antioxidative effect of PTD liposomal caffeic acid is higher than that of caffeic acid and general liposome.

[[ 실시예Example 9. 자가조립  9. Self-assembly PTDPTD -- 리포좀Liposome -(- ( 카페익산Cafe Iksan )의 피부 투과 분석]) ≪ / RTI >

자가조립 PTD-리포좀에 의해 카페익산의 피부 투과가 향상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프란츠 셀(Franz cell, 직경 9mm)을 이용하였다.A Franz cell (diameter 9 mm) was used to see if skin permeation of caffeic acid was improved by self-assembled PTD-liposomes.

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돼지 피부(0.7mm 두께, Medikinetics)를 장착하고, 그 상단에 4mM 카페익산, 리포좀-(카페익산),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을 300μl 처리하였다. 하단에는 버퍼를 채워 주었다. 24시간 뒤, 하단에 있는 샘플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샘플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HPLC Column으로는 C18 (4.6 × 250 ㎜ reversed phase)을 사용하였고, 0.7 ㎖/min의 유속으로 흘려주었으며, UV absorbance detector를 사용하여 330㎚의 파장에서 검출하였다.Pig skin (0.7 mm thick, Medikinetics) was mount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cell, and 300 μl of 4 mM caffeic acid, liposome- (caffeic acid), and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were applied to the top. At the bottom, we filled the buffer. After 24 hours, the sample at the bottom was taken. The collected samples were quantified by HPLC. C18 (4.6 × 250 ㎜ reversed phase) was used as the HPLC column and flowed at a flow rate of 0.7 ml / min and detected at a wavelength of 330 nm using a UV absorbance detector.

그 결과, 도 14에서 보듯이, 카페익산은 전혀 투과가 되지 않은 반면, 일반 리포좀은 로딩한 펩타이드 양 대비 3.9%,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은 5.84%로 나타나,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이 약 1.5배 높은 투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는 자가조립 PTD-리포좀-(카페익산)의 피부 투과력 비교 결과이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4, caffeic acid was not permeated at all, while the general liposome showed 3.9% of the loaded peptide and 5.84% of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It was confirmed that the liposome- (caffeic acid) showed about a 1.5 times higher penetration effect. Fig. 14 shows the results of skin permeability comparison of self-assembled PTD-liposome- (caffeic acid).

<110> Bioceltran <120>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130> YP-16-230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tein transduction domain, STeP <400> 1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Tyr 1 5 10 15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Cys 20 25 <210> 2 <211> 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lynucleotide coding protein transduction domain, STeP <400> 2 aaagaaacct ggtgggaaac ctggtggacc gaatggtccc agccgtatgg ccgtaaaaaa 60 cgtcgtcagc gtcgtcgttg t 81 <110> Bioceltran <120>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130> YP-16-230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otein transduction domain, STeP <400> 1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Tyr   1 5 10 15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Cys              20 25 <210> 2 <211> 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lynucleotide coding protein transduction domain, STeP <400> 2 aaagaaacct ggtgggaaac ctggtggacc gaatggtccc agccgtatgg ccgtaaaaaa 60 cgtcgtcagc gtcgtcgttg t 81

Claims (19)

인지질이 자가응집하여 형성되는 리포좀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가 씨오에테르(thioether)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In liposomes formed by self-aggregation of phospholipids,
The phospholipid,
A liposom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is linked to thioet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DSPE-PEG-말레이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hospholipid,
DSPE-PEG-maleim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는,
리포좀의 외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Wherein the liposome is oriented outwardly of the liposo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콜레스테롤이 소수성 부위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posome may contain,
Wherein the cholesterol is bound to a hydrophobic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내부에 포집대상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posome may contain,
Wherein the liposome contains a substance to be trapped therein.
제1항의 리포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comprising the liposome of claim 1.
제1항의 리포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투여용 약학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which comprises the liposome of claim 1.
삭제delete 삭제delete 인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씨오에테르(thioether)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 및 포집대상물질을 용매에 용해시키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용매를 증발시켜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필름에 정제수 또는 완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킨 후, 에너지를 가해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c);를 포함하여 리포좀을 제조하되,
상기 인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씨오에테르(thioether)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는,
필름 형태의 인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첨가하여, 인지질과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간의 씨오에테르(thioether) 결합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제조하되, 상기 필름 형태의 인지질은, 인지질을 소수성 유기용매에 녹인 후,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필름 형태로 제조한 것이고,
상기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은,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암모니움 카르보네이트과 함께 증류수에 녹인 후, pH 8~10로 조절하여 제조한 것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
(A) dissolving the amphipathic molecule and the capture target substance, which ar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composed of the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to a phospholipid with thioether, in a solvent;
(B) after the step (a), evaporating the solvent to produce a film;
(C) adding purified water or a buffer to the film after the step (b) to hydrate the liposome, and then reducing the particle size by applying energy;
The amphiphilic molecule prepared by thioether-bonding a peptide composed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the phospholipid,
1 by adding a solution containing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to a phospholipid in the form of a film to induce a thioether bond reaction between a phospholipid and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shown in SEQ ID NO: 1, The phospholipid in the form of a film is prepared by dissolving a phospholipid in a hydrophobic organic solvent and then volatilizing the organic solvent to form a film,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 1 is prepared by dissolving the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set forth in SEQ ID NO: 1 together with ammonia carbonate in distilled water and adjusting the pH to 8 to 10 . &Lt; / RTI &g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인지질에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씨오에테르(thioether)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양친매성 분자 외에, 별도의 인지질을 용매에 더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a)
A method for producing a liposome, which comprises dissolving an additional phospholipid in a solvent in addition to an amphipathic molecule prepared by binding a peptide composed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a thioether in a phospholipi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DSPE-PEG-말레이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hospholipid,
DSPE-PEG-maleimide. &Lt; / RTI &g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콜레스테롤을 추가로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a)
Wherein the cholesterol is further dissolved in a solven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의 제조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olvent may be,
Wherein the liposome is a mixture of chloroform and methanol.




KR1020160149622A 2016-11-10 2016-11-10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KR101797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622A KR101797168B1 (en) 2016-11-10 2016-11-10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PCT/KR2017/011917 WO2018088734A2 (en) 2016-11-10 2017-10-26 Globular structure containing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622A KR101797168B1 (en) 2016-11-10 2016-11-10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168B1 true KR101797168B1 (en) 2017-11-13

Family

ID=6038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622A KR101797168B1 (en) 2016-11-10 2016-11-10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7168B1 (en)
WO (1) WO2018088734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15A1 (en) * 2019-04-29 2020-11-05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treating skin wrinkles having excellent skin or cell perme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889B1 (en) * 2001-08-30 2004-09-22 동국제약 주식회사 Liposome for Containing Anion Polymer and Phospholipi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and Application
KR100811745B1 (en) * 2006-07-07 2008-03-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1 A novel antimicrobial peptide Pep-1-K designed from the cell-penetrating peptide Pep-1 and uses thereof
KR20090122769A (en) * 2008-05-26 2009-12-01 메디스커브 주식회사 Method for delivering proteins into cells and peptide therefor
AU2009305639B2 (en) * 2008-10-16 2016-06-23 Marina Biotech, Inc. Processes and compositions for liposomal and efficient delivery of gene silencing therapeutics
KR101130550B1 (en) * 2009-10-29 2012-03-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 Penetrating Peptide Modified Nanoliposome and Anti-Atop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315A1 (en) * 2019-04-29 2020-11-05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treating skin wrinkles having excellent skin or cell permeability
KR20200126069A (en)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Composition for anti-wrinkle with high skin or cell penetration capacity
KR102246906B1 (en) 2019-04-29 2021-04-30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with high skin or cell penetration capa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734A3 (en) 2018-08-09
WO2018088734A2 (en)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Intracellular delivery of quantum dots mediated by a histidine-and arginine-rich HR9 cell-penetrating peptide through the direct membrane translocation mechanism
Thorén et al. Membrane binding and translocation of cell-penetrating peptides
Marie et al. Amphiphilic macromolecules on cell membranes: from protective layers to controlled permeabilization
Wang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lidocaine hydrochloride-loaded TAT-conjugated polymeric liposomes for transdermal delivery
Ki et al. A new injectable liquid crystal system for one month delivery of leuprolide
Moulay et al. Histidine‐rich designer peptides of the LAH4 family promote cell delivery of a multitude of cargo
Domingues et al. Interaction of the antimicrobial peptide gomesin with model membranes: A calorimetric study
Kuo et al. Targeted delivery of rosmarinic acid across the blood–brain barrier for neuronal rescue using polyacrylamide-chitosan-poly (lactide-co-glycolide) nanoparticles with surface cross-reacting material 197 and apolipoprotein E
Kang et al. A brain tumor-homing tetra-peptide delivers a nano-therapeutic for more effective treatment of a mouse model of glioblastoma
Sardan et al. Cell penetrating peptide amphiphile integrated liposomal systems for enhanced delivery of anticancer drugs to tumor cells
Lin et al. Structural effects and lipid membrane interactions of the pH-responsive GALA peptide with fatty acid acylation
Zhang et al. Lipo-oligomer nanoformulations for targeted intracellular protein delivery
Alhakamy et al. Dynamic measurements of membrane insertion potential of synthetic cell penetrating peptides
Nogueira et al. Membrane-destabilizing activity of pH-responsive cationic lysine-based surfactants: role of charge position and alkyl chain length
Via et al. Negative dipole potentials and carboxylic polar head groups foster the insertion of cell-penetrating peptides into lipid monolayers
Su et al. Liposomes physically coated with peptides: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Yamada et al. Efficient and high-speed transduction of an antibody into living cells using a multifunctional nanocarrier system to control intracellular trafficking
Tiefenboeck et al. Microinjection for the ex vivo modification of cells with artificial organelles
US20150140066A1 (en) Carrier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functional protein
JPWO2008105178A1 (en) Biocomponent resistance enhancer for liposome and liposome modified by the same
Versluis et al. Coiled coil driven membrane fusion between cyclodextrin vesicles and liposomes
Jiang et al. New nanocarrier system for liposomes coated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S-layer protein to improve Leu–Gln–Pro–Glu absorption through the intestinal epithelium
Fan et al. Using a membrane-penetrating-peptide to anchor ligands in the liposome membrane facilitates targeted drug delivery
KR101797168B1 (en) Vesicle with novel protein transduction domain
Sugimoto et al. Investigation of enhanced intracellular delivery of nanomaterials modified with novel cell-penetrating zwitterionic peptide-lipid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