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032B1 - Wireless router device with IoT gateway function - Google Patents

Wireless router device with IoT gatewa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032B1
KR101797032B1 KR1020160175046A KR20160175046A KR101797032B1 KR 101797032 B1 KR101797032 B1 KR 101797032B1 KR 1020160175046 A KR1020160175046 A KR 1020160175046A KR 20160175046 A KR20160175046 A KR 20160175046A KR 101797032 B1 KR101797032 B1 KR 10179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일정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일정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일정보산업
Priority to KR102016017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0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a wireless router device with an IoT gateway function, comprising: an IoT gateway interface unit which is provid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IoT device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which is provided to perform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 memory unit which stores data of the IoT device received through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which designates a plurality of blocks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ays to the memory unit, stores the data of the IoT device in each block of the correspond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ay, and controls the data stored in each block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and a power management unit which supplies and manag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s of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on of wireless internet devices having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function such as 3G, LTE, and WiBro, together with the IoT gateway function having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increase in usefulness of IoT devices together with convenience of us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efficiency of data process or transmission of various IoT devices having different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Description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Wireless router device with IoT gateway func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router device having an IoT gateway function,

본 발명은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갖는 IoT 게이트웨이 기능과 함께, 3G, LTE, WiBro 등과 같은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인터넷 장치의 통합에 의해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IoT 디바이스의 효용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router device having an IoT gateway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router device having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function such as 3G, LTE, WiBro, etc. in addition to an IoT gateway function having various sh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router device having an IoT gateway function that can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usability of an IoT device with ease of use.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라 함) 기술은 IoT 센서를 부착한 사물들로부터 각종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하고, 이들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언가 가치있는 서비스를 구현하는 기술을 가리킨다. 즉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려면 대개 인간의 조작이 개입되어야 했지만, IoT에서는 사물들(예: IoT 디바이스, 서버)이 각자 알아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서비스 서버가 이러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특정의 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를 제공한다.In general, Internet of th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oT") technology collects various data from objects with IoT sensors via a network, and uses these data to implement a value- Technology. In other words, in order to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human manipulation usually has to be intervened. However, in IoT, objects (eg IoT devices, servers)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and the service server processes such data, And provides a service.

이와 같은 IoT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취합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댁내 또는 특정 공간에 위치하는 수많은 IoT 디바이스들(예: 냉장고, TV, 전기밥솥, 에어콘, 세탁기, 조명기기, 태블릿 PC 등)로부터 각종의 데이터, 예컨대 사용 패턴, 전력사용량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취합해야 한다. 또한, 수많은 IoT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관리 동작도 필요하다.In order for such IoT to operate,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IoT devices must be preceded. That is,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usage patterns, power consumption, and the like are acquired from a large number of IoT devices (eg, refrigerators, TVs, rice cookers,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lighting devices, tablet PCs, etc.) . Management operations are also needed to diagnose the condition of a number of IoT devices.

이를 위하여,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618856호의 "다수의 IoT 디바이스를 연계시키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소정 영역에 설치된 다수의 IoT 디바이스를 복합 무선통신 환경에서 상호 연계시키는 IoT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IoT 디바이스와 복합 무선통신 환경에서 통신 가능하도록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복합 무선통신부; 상기 IoT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 상기 복합 무선통신부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HDMI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로 전달하는 HDMI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한 관리주기에 대해 상기 복합 무선통신부의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별로 상이한 시간 구간의 송신 타임슬롯을 할당하고, 상기 복합 무선통신부를 통해 특정 IoT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IoT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식별한 후 상기 식별된 무선통신 모듈에 대응하는 송신 타임슬롯을 대기하였다가 상기 송신 타임슬롯이 도래하면 상기 IoT 디바이스로의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도록 상기 복합 무선통신부에 대한 송신 제어를 수행한다.For this purpos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8856 entitled " IoT gateway devic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IoT devices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 technique.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IoT device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are interconnected in a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 IoT gateway apparatus comprising: a compou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for communicating with the IoT device in a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 main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to contro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IoT devic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main processor; And an HDMI plug connected to the HDMI port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power provided from the display device to the power supply unit, wherein the main processor has a plurality of A transmission time slot of a different time interval is allocated to eac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data is transmitted to a specific IoT device through the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identifi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the IoT device, And performs transmission control on the 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start data transmission to the IoT device when the transmission time slot arrive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IoT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데이터 처리 내지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limitation i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for each IoT device by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갖는 IoT 게이트웨이 기능과 함께 3G, LTE, WiBro 등과 같은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인터넷 장치의 통합에 의해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IoT 디바이스의 효용성 증대에 기여하고, 상이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가진 다양한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내지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by integrating a wireless Internet device having a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function such as 3G, LTE, WiBro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IOT gateway function having various short-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f various IoT devices having different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이한 다수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IoT 디바이스 각각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 단말기와 광대역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 상기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의 방식별로 블록을 다수로 지정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블록에 각각 저장하며, 상기 블록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 및 관리하는 전원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oT gateway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f IoT devices through differen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of the IoT device received through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A plurality of blocks are allocated to the memory unit for each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data of the IoT devices is stored in correspond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locks, and data stored in each block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to transmit the data to the terminal; And a power management unit for supplying and manag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wireless router apparatus has an IoT gateway function.

상기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및 Z-웨이브 각각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는, 3G, LTE 및 Wibro 각각의 광대역 무선통신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인터넷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each of WiFi, Bluetooth, ZigBee and Z-wave, and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comprises: Lt; RTI ID = 0.0 > Internet < / RTI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록 각각을 다수의 전송영역셀로 분할하여 상기 전송영역셀 각각에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블록 각각의 지정된 전송영역셀 각각에 저장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로 정해진 순서대로 보내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ler divides each of the blocks into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rea cells to store data of the IoT device in each of the transmission area cells and controls data of the IoT device stored in each of the designated transmission area cells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can control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so that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can transmit and transmit the data.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갖는 IoT 게이트웨이 기능과 함께, 3G, LTE, WiBro 등과 같은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인터넷 장치의 통합에 의해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IoT 디바이스의 효용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고, 상이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가진 다양한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내지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router device having the IoT gatew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Internet device having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function such as 3G, LTE, WiBro, etc., as well as the IoT gateway function having various short- Can contribu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oT devic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f various IoT devices having different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의 메모리부의 구성블록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router apparatus having an IoT gatew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emory unit of a wireless router apparatus having an IoT gatew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router apparatus having an IoT gatew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100)는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110),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0), 메모리부(130), 제어부(140) 및 전원관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1, a wireless router apparatus 100 having an IoT gateway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oT gateway interface unit 110, a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120, a memory unit 130, 140 and a power management unit 150.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110)는 상이한 다수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IoT 디바이스(1,2,3,4) 각각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IoT 디바이스(1,2,3,4) 각각이 WiFi, 블루투스, 지그비, Z-웨이브 각각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할 경우, 이를 위해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및 Z-웨이브 각각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11,112,113,1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11,112,113,114) 각각은 독립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11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IoT devices 1, 2, 3, and 4 through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4) a plurality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each of WiFi, Bluetooth, ZigBee and Z-wave when each use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each of WiFi, Bluetooth, ZigBee and Z- (111, 112, 113, 114). Here, each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11, 112, 113, and 114 may be configured to independently perform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0)는 단말기와 광대역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본 발명에 다른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100)에 대한 Io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의 설치 및 구동에 의해 해당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는 정보처리 기기로서, 무선 또는 유선의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기기이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PC, PC, 노트북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 처리 및 통신 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120 performs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Herein, the terminal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receiving a corresponding service by installing and running an application or a program for performing IoT service for a wireless router device 100 having an IoT gatew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device that enables wireless or wired Internet communication, and may be a variety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C, a notebook, and the like.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3G, LTE 및 Wibro 각각의 광대역 무선통신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인터넷 무선통신모듈(121,122,12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인터넷 무선통신 방식에서 원하는 방식에 해당하도록 손쉽게 전환 내지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터넷 무선통신 방식의 전환 내지 적용은 후술하게 될 조작부(160)의 조작에 의한 수동 방식에 따르거나, 이와 달리 제어부(140)에 의해 안테나를 통한 인터넷 무선통신 신호의 수신에 따라 판단되는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무선통신모듈(121,122,123) 각각은 일례로 앞서 설명한 바대로 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거나, 다른 예로서 동시에 각각 독립적으로 인터넷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1, 122, and 123 for performing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of 3G, LTE, and Wibro, respective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switch or adapt to a desired mode in various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he switching or application of the Internet radio communic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manual method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60 or in a manner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Internet radio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antenna By the user. In addition, each of the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121, 122, and 123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as described above, or to perform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as described above.

메모리부(130)는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서 수신되는 IoT 디바이스(1,2,3,4)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마련된다. The memory unit 130 is configured to store data of the IoT devices 1, 2, 3, and 4 received through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110.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 도 1에 도시)는 메모리부(130)에 근거리 무선통신의 방식별로 블록을 다수로 지정하고,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된 IoT 디바이스(1,2,3,4)의 데이터를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블록에 각각 저장하며, 블록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서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2, the control unit 140 (shown in FIG. 1) designates a plurality of blocks in the memory unit 130 according to a method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oT device 1 , 2, 3, 4) may be stored in blocks of the correspond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stored in each of the blocks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120.

제어부(140)는 블록 각각을 다수의 전송영역셀로 분할하여 전송영역셀 각각에 IoT 디바이스(1,2,3,4; 도 1에 도시)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블록 각각의 지정된 전송영역셀 각각에 저장된 IoT 디바이스(1,2,3,4)의 데이터를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0)로 정해진 순서대로 보내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divides each of the blocks into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rea cells and controls to store data of IoT devices (1, 2, 3, 4; shown in FIG. 1) in each of the transmission area cells, The data of the IoT devices 1, 2, 3, and 4 stored in each of the area cells may b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120 in a predetermined order so as to be transmitted.

제어부(140)는 블록마다 각각 지정된 전송영역셀 각각의 IoT 디바이스(1,2,3,4)의 데이터를 정해진 순서대로 함께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IoT 디바이스(1,2,3,4)의 데이터가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서 IoT 디바이스(1,2,3,4)의 데이터를 수신받는 단말기에서 많은 수의 IoT 디바이스(1,2,3,4) 각각에 대한 데이터 처리 정확도 및 속도를 높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causes the data of the IoT devices (1, 2, 3, 4) of each of the transfer area cells designated for each block to be transferred together in a predetermined order, (1, 2, 3, 4) in the terminal receiving the data of the IoT devices (1, 2, 3, 4)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120 The data processing accuracy and the speed of the processing can be increased.

제어부(140)는 일례로 IoT 디바이스(1,2,3,4)의 데이터에 대해서 블록 및 셀별로 식별이 가능한 데이터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단말기가 IoT 디바이스(1,2,3,4) 각각에 해당하는 데이터로의 매칭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다른 예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IoT 디바이스(1,2,3,4)의 데이터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른 블록별 및 셀별로 제공함으로써, 단말기가 이러한 순서에 따라 IoT 디바이스(1,2,3,4) 각각에 해당하는 데이터로의 매칭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단말기에 의한 데이터의 매칭 및 처리 속도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블록 및 셀에 저장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또는 해당 블록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비활성인 경우, 이를 정해진 데이터로 나타내어 전송하거나, 미리 정해진 바에 따라 해당 블록이나 셀의 정보 전송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는 해당 블록 및 셀에 대한 데이터가 없음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provides the data of the IoT device (1, 2, 3, 4) together with the data that can be identified by the block and the cell, As another example, by providing the data of the IoT devices (1, 2, 3, 4) on a block-by-cell and cell-by-cell basis in a predetermined order in the present embodiment, Matching with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oT devices 1, 2, 3, and 4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IoT devices 1, 2, 3, and 4, thereby greatly contributing to data matching and processing speed by the terminal. Meanwhile, when there is no data stored in the block and the cell or when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corresponding block is inactive, the controller 140 transmits the data in the form of predetermined data, or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block or cell in a predetermined manner So that the terminal can recognize that there is no data for the corresponding block and cell.

제어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별로 각각 다수의 IoT 디바이스(1,2,3,4)가 존재하는 하는 블록 각각의 셀에는 해당하는 방식의 다수 IoT 디바이스 각각의 데이터가 정해진 순서대로 저장되어 전송되도록 하거나, 셀별로 각각 교대로 저장되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에 의한 전송 규칙 뿐만 아니라, 규칙을 정한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기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르거나, 규칙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전송에 의해 단말기와 새로이 규칙을 셋팅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40 stores the dat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of the corresponding scheme in the cell of each block in which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1, 2, 3, and 4 are present according to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Or may be alternately stored and transmitted for each cell.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rule by the controller 140, when it is necessary to set a rule, the terminal may set a new ru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or by transmitting data indicating a rule.

전원관리부(150)는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110),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120), 메모리부(130) 및 제어부(14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유닛에 공급 및 관리하도록 한다. The power management unit 150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ies and manages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110,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120, the memory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40 .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100)는 동작의 온(on)/오프(off) 등을 비롯하여, 동작의 선택을 위하여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조작부(160)가 마련될 수 있고,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하여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조작부(160)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러한 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동작 상태에 따라 표시부(170)가 동작하도록 표시부(17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router apparatus 100 having the IoT gatew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unit 160 such as a button or a switch for selecting an operation including on / And a display unit 170 including an LED or the like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a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60 and may perform control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and may display the display unit 170 to operate the display unit 17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갖는 IoT 게이트웨이 기능과 함께, 3G, LTE, WiBro 등과 같은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인터넷 장치의 통합에 의해 사용의 편의성과 함께 IoT 디바이스의 효용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reless router apparatus having the IoT gatew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IoT gateway function having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wireless Internet device having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function such as 3G, LTE, And can contribu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oT devi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가진 다양한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내지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cy of data processing and transmission of various IoT devices having differen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10 :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
111 : WiFi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12 :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13 : 지그비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14 : Z-웨이브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20 :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
121 : 3G 무선인터넷 통신모듈
122 : LTE 무선인터넷 통신모듈
123 : Wibro 무선인터넷 통신모듈
130 : 메모리부
140 : 제어부
150 : 전원관리부
160 : 조작부
170 : 표시부
110: IoT gateway interface unit
111: WiFi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2: Bluetoot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ZigBe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4: Z-wav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121: 3G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2: LTE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23: Wibro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130: memory unit
140:
150: Power management unit
160:
170:

Claims (3)

상이한 다수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IoT 디바이스 각각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
단말기와 광대역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
상기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수신되는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의 방식별로 블록을 다수로 지정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블록에 각각 저장하며, 상기 블록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 및 관리하는 전원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록 각각을 다수의 전송영역셀로 분할하여 상기 전송영역셀 각각에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블록 각각의 지정된 전송영역셀 각각에 저장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상기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로 정해진 순서대로 보내어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른 블록별 및 셀별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이러한 순서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 각각에 해당하는 데이터로의 매칭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
An IoT gateway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IoT devices through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of the IoT device received through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A plurality of blocks are allocated to the memory unit for each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data of the IoT devices is stored in correspond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locks, and data stored in each block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to transmit the data to the terminal; And
And a power management unit for supplying and manag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s of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the memory unit, and the control unit,
Wherei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O device to store data of the IoT device in each of the transmission area cells by dividing each of the blocks into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rea cells, By providing the data of the IoT device in blocks and on a cell-by-cell basi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order, so that the terminal can automatically perform matching with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oT devices in this order Wherein the wireless router device has an IoT gateway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는,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및 Z-웨이브 각각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인터넷 인터페이스부는,
3G, LTE 및 Wibro 각각의 광대역 무선통신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인터넷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IoT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지는 무선 라우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gateway interfac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each of WiFi, Bluetooth, ZigBee and Z-wave,
The wireless Internet interface unit,
And a plurality of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for respectively performing 3G, LTE, and Wibro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respectively.
삭제delete
KR1020160175046A 2016-12-20 2016-12-20 Wireless router device with IoT gateway function KR1017970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046A KR101797032B1 (en) 2016-12-20 2016-12-20 Wireless router device with IoT gatewa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046A KR101797032B1 (en) 2016-12-20 2016-12-20 Wireless router device with IoT gateway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032B1 true KR101797032B1 (en) 2017-11-14

Family

ID=6038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046A KR101797032B1 (en) 2016-12-20 2016-12-20 Wireless router device with IoT gatewa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03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71A (en) * 2017-12-27 2019-07-05 기민전자주식회사 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Transmitter and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93294A (en) 2018-02-01 2019-08-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profile based gateway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of heterogeneous iot network
WO2021100986A1 (en)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리퓨터 Iot device gateway
KR20210062833A (en)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바른기술 Internet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Bluetooth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81B1 (en) * 2014-06-02 2015-05-29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Gateway for integrated control of heterogeneous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581B1 (en) * 2014-06-02 2015-05-29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Gateway for integrated control of heterogeneous networ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71A (en) * 2017-12-27 2019-07-05 기민전자주식회사 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Transmitter and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132736B1 (en) * 2017-12-27 2020-08-05 기민전자주식회사 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Transmitter and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93294A (en) 2018-02-01 2019-08-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profile based gateway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 and management of heterogeneous iot network
WO2021100986A1 (en)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리퓨터 Iot device gateway
KR20210062833A (en)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바른기술 Internet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Bluetooth device
KR102366857B1 (en) 2019-11-22 2022-02-23 주식회사 바른기술 Internet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Bluetooth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032B1 (en) Wireless router device with IoT gateway function
KR101618856B1 (en) IoT gateway device linking multiple IoT device
US7826395B2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zigbe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308983B (en) Air conditioner, peripheral control unit, portable terminal and air-conditioning system
CN203896554U (en) Indoor illumination control system and indoor intelligent control system
CN106603716A (en) Synchronization method of intelligent device state, intelligent device and control terminal thereof
CN107196707B (en) Distributed radio over fiber-WiFi-ZigBee network
CN110557327A (en) Independent IoT gateway capable of directly linking with user terminal by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CN104950853A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US20080136606A1 (en) Separable device for controlling node and sensor network node
KR100730727B1 (en) Control system for on/off of lamp
CN107150340B (en) Robot group control device
CN110798815A (en) Intelligent household system, electric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router
EP2132961B1 (en) Control circuit, system for operating a device and device for programming such a control circuit
KR20140145306A (en) Lighting system
KR20150096057A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Bluetooth
CN110661147B (en) Multimode expansion connector and multimode micro base station system
KR101452692B1 (en) Iot-based termination apparatus of assembly type
KR100873905B1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Zigbee and its control method
CN103905108A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241041A (en) Controller and control system as well as air conditioner
KR101917616B1 (en) Iot system using lora network
CN109547984B (en) Bluetooth control system capable of realizing multiple masters and one slave
JP2016131080A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illumin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RU144717U1 (en) REMOTE ELECTRICAL DEVIC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