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166B1 -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166B1
KR101796166B1 KR1020170009166A KR20170009166A KR101796166B1 KR 101796166 B1 KR101796166 B1 KR 101796166B1 KR 1020170009166 A KR1020170009166 A KR 1020170009166A KR 20170009166 A KR20170009166 A KR 20170009166A KR 101796166 B1 KR101796166 B1 KR 10179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information
electronic pen
handwritten
handwritte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2516A (en
Inventor
이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에듀
Priority to KR102017000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166B1/en
Publication of KR2017001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5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1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Social Network Service) 시스템의 손글씨 공유 방법은 닷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 상에서 전자펜에 의하여 감지된 패턴정보로부터 추출된 손글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손글씨 데이터로부터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손글씨 파일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handwriting sharing method of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handwritten data extracted from pattern information sensed by an electronic pen 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ot pattern is formed, Generating a handwritten file from the handwritten data, and transmitting the handwritten file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Description

SNS 시스템의 손글씨 공유 방법{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METHOD FOR SHARING HANDWIRING IN SOCIAL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시스템을 이용하여 손글씨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sharing handwriting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ystem.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인 SNS(Socail Networking Service)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SNS는 정보 공유뿐만 아니라 마케팅 등 다양한 수단에 활용되고 있다.As SNS (Socail Networking Service) technology, which is an online service that establishes a network of people who share specific interests or activities, is developed, SNS is utilized for various means such as marketing as well as information sharing.

작성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작성한 글, 사진 또는 동영상을 SNS 서버에 전송하면, SNS 서버는 글, 사진 또는 동영상을 작성자와 소셜 네트워크 상에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용자들이 작성자의 글, 사진 또는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When a writer transmits a text, a photograph, or a moving picture created through a user terminal to the SNS server, the SNS server transmits the text, the photograph, or the moving picture to the author and other user terminals on the social network. Accordingly, other users on the social network can share author's articles, pictures, or videos.

한편, 최근들어 감성 마케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감성 마케팅이란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여 관심과 호응을 받아내고, 감동을 주는 마케팅 방식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interest in emotional marketing is increasing recently. Emotional marketing refers to a marketing method that stimulates the emotions of customers and attracts interest and response, and gives impression to them.

그런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작성된 글은 디지털 폰트로 표현되므로, 작성자의 진정성을 표현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읽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a text created through a user terminal is represented by a digital font,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authenticity of the creator, and there is a limit to stimulating the emotions of the read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SNS 시스템의 손글씨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writing sharing method of an SNS system.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Social Network Service) 시스템의 손글씨 공유 방법은 닷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 상에서 전자펜에 의하여 감지된 패턴정보로부터 추출된 손글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손글씨 데이터로부터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손글씨 파일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handwriting sharing method of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handwritten data extracted from pattern information sensed by an electronic pen 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ot pattern is formed, Generating a handwritten file from the handwritten data, and transmitting the handwritten file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상기 손글씨 데이터는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The handwritten data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를 가지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be a terminal of a user having a social network with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상기 손글씨 데이터는 상기 전자펜에 의하여 상기 기록매체 상에 기록된 손글씨의 필기 궤적, 상기 필기 궤적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그리고 상기 필기 궤적의 추적 시간 또는 추적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written data may include a handwriting trajectory written on the recording medium by the electronic pen, a background image on which the handwriting trajectory is displayed, and a tracking time or tracing sequence of the writing trajectory.

상기 기록매체는 닷패턴이 인쇄된 종이 또는 전자칠판일 수 있다.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paper on which a dot pattern is printed or an electronic blackboard.

상기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궤적과 상기 배경 이미지를 결합하여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enerating the handwriting file may include generating the image file or the moving picture file by combin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상기 손글씨 파일의 편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업데이트된 필기 궤적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업데이트된 필기 궤적과 배경 이미지를 재결합하여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n edit request for the handwriting file, receiving the updated handwriting trajectory, and creating an image file or a moving picture file by recombining the updated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Social Network Service) 시스템은 닷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 상에서 전자펜에 의하여 감지된 패턴정보로부터 추출된 손글씨 데이터를 수신하는 손글씨 데이터 수신부,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는 손글씨 데이터 저장부,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는 손글씨 파일 생성부, 그리고 상기 손글씨 파일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추출부를 포함한다.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written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handwritten data extracted from pattern information sensed by an electronic pen 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ot pattern is formed, A handwritten fil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handwritten files using the handwritten data, and a user terminal extrac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handwritten file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상기 손글씨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The handwritten data receiving unit may further receiv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을 추출하는 사용자 단말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user terminal extracting unit for stor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ing a user terminal having a social network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글씨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이 소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용이하게 공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성자의 진정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읽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file or a moving picture file including handwritten characters can be easily shared by other user terminals on the social network. As a result, the authenticity of the author can be expressed and the sensitivity of the reader can be stimula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한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기록매체의 한 예이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상에 형성되는 닷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 시스템의 손글씨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글씨 파일의 편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SNS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pen and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dot pattern formed on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n SNS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writing sharing method of an SN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 handwritten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한 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과 기록매체의 한 예이고,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상에 형성되는 닷패턴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 서버의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 시스템의 손글씨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SN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dot pattern formed on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t pattern formed on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n SNS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writing sha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손글씨 공유 시스템(10)은 전자펜(100), 정보 처리 장치(200), SNS 서버(300) 및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한다.1, a handwriting sharing system 10 includes an electronic pen 100,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an SNS server 300, and a user terminal 400.

전자펜(100)은 닷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 상의 닷패턴을 인식하며, 인식한 닷패턴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닷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닷패턴이 인쇄된 인쇄물, 닷패턴이 형성된 전자칠판, 닷패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펜(100)은 추출한 위치 정보를 닷패턴의 인식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펜(100)은 추출한 위치 정보를 닷패턴의 인식 시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정보 처리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dot pattern o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dot pattern is formed,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recognized dot pattern, and transmits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Here,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dot pattern is formed may include, for example, a printed matter on which a dot pattern is printed, a copyboard on which a dot pattern is formed, a display device on which a dot pattern is formed,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electronic pen 100 can sequentially transmit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time of the dot pattern. Alternatively, the electronic pen 100 may transmit the extrac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along with information on the recognition time of the dot pattern.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로부터 필기 궤적을 추적한다. 그리고, 추적한 필기 궤적을 이용하여 손글씨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손글씨 데이터는 필기 궤적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경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선택되거나,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손글씨 데이터는 워터마크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손글씨 데이터가 타인에 의하여 무단으로 배포되거나 복제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200)는,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00) tracks the handwriting trajectory from the positio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Then, handwritten data is generated using the traced handwriting trajectory. Here, the handwritten data may include a handwriting trajectory and a background image. The background image may be preselected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set. The handwritten data may further include watermark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written data from being distributed unauthorizedly or copied by others. Her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be,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PC),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mart phone, or the like.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200)는 손글씨 데이터를 SNS 서버(300)에 전송한다. T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the handwritten data to the SNS server 300.

SNS 서버(300)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한 손글씨 데이터로부터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손글씨 파일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300)과 공유한다. The SNS server 300 stores the handwritten data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generates handwriting files from the stored handwriting data, and shares the generated handwriting files wit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300.

이때, 손글씨 데이터는 전자펜(100)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 정보와 함께 SNS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전자펜(100)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 정보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대응될 수 있으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를 가지는 사용자의 단말에게 손글씨 파일이 공유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andwritten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NS server 300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100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electronic pen 100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may correspond to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handwritten file may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hav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ocial network.

한편, 손글씨 데이터는 관련 키워드와 함께 저장될 수도 있다. 관련 키워드는 손글씨 데이터를 작성한 작성자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손글씨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디지털 폰트로부터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written data may be stored together with the related keywords. The related keyword can be set by the creator who created the handwritten data, or can be set automatically from the digital font extracted from the handwritten data. Accordingly, the search of the user may be possible.

정보 처리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4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에는 정보 처리 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applica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400.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전자펜(100)은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의 일단에 마련되며 닷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 상의 패턴정보를 감지하는 필기부(120)를 포함한다.2 to 3, the electronic pen 100 includes a body part 110 and a writing part 1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art 110 and sensing pattern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ot pattern is formed .

몸체부(110)는 ABS(Acrylonitrit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와 PC(Poly Carbonate)의 혼합 수지, PP(Poly Propylene), PPS(Poly Phenylene Sulfide) 등의 합성 수지, PMMA 합성 수지, PS 합성 수지, 유리, 금속류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혼합물 중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a mixed resin of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and PC (Poly Carbonate), PP (Polypropylene), PPS (Poly Phenylene Sulfide), PMMA synthetic resin, PS synthetic resin, Metals, and mixtures thereof.

몸체부(110)는 직경이 동일하거나 상광하협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에는 덮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0 may have the same diameter or a shape with a lower light intensity, and a lid (not shown) may be formed at both ends.

필기부(120)는 기록매체(400) 상에 기록 가능한 펜팁 유닛(121), 펜팁 유닛(121)에 가해지는 필압 정보를 생성하는 압력 감지 센서(123), 기록매체(400) 상에 적외선을 출력하는 적외선 광원(125), 기록매체 상에서 산란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127) 및 감지된 적외선을 이용하여 패턴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129)을 포함한다.The writing unit 120 includes a pen tip unit 121 that can be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400, a pressure sensor 123 that generates pressure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pen tip unit 121, An infrared ray light source 125 for outputting, an infrared ray sensor 127 for detecting infrared ray scattered on the recording medium, and a detection unit 129 for detecting the pattern information using the detected infrared ray.

펜팁 유닛(121)은 몸체부(110)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펜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en tip unit 121 may be formed as a pen tip protruding out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압력 감지 센서(123)는 펜팁 유닛(121)과 인접하며 펜팁 유닛(12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123)는 펜팁 유닛(121)과 기록매체 간의 접촉 시, 펜팁 유닛(121)에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는 압력을 수치로 산출하여 필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123 is adjacent to the pen tip unit 121 and can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en tip unit 121. [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23 can generate pressure information by numerically calculating the pressure proportional to the force applied to the pen tip unit 121 when the pen tip unit 121 is in contact with the recording medium.

적외선 광원(125)은 펜팁 유닛(121)이 기록매체와 접촉하거나, 기록매체와 소정 거리 이하로 근접하는 경우, 적외선을 투광한다.The infrared light source 125 emits infrared rays when the pen tip unit 1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cording medium or comes close to the recording mediu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적외선 센서(127)는 펜팁 유닛(121)과 인접하며, 기록매체 상에서 산란되는 적외선을 감지한다.The infrared sensor 127 is adjacent to the pen tip unit 121 and detects infrared rays scattered on the recording medium.

검출 유닛(129)은 적외선 센서(127)로부터 감지된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록매체 상의 닷패턴을 검출한다.The detection unit 129 detects the dot pattern on the recording medium by using the infrared ray detected from the infrared ray sensor 127.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 상에 형성되는 닷패턴은 도 4 내지 5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dot pattern formed on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4를 참조하면, 닷패턴(500)은 가상의 격자선(520)과 다수의 마크(510)를 포함하며, 각각의 마크(510)는 가상의 격자선(520)의 교점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마크(510)는 가상의 격자선(520)의 교점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패턴 값에 의하여 패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4, the dot pattern 500 includes an imaginary grid line 520 and a plurality of marks 510, each of which is defined around a point of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grid line 520 Can be formed at intervals. Each of the marks 510 may provide pattern information by a pattern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a position formed around an intersection point of the imaginary grid line 520.

마크(510)는,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계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화합물, 아미늄계화합물 및 이들로부터 선택된 혼합물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적외선 흡수 잉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센서(127)는 마크(5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산란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으며, 검출 유닛(129)은 이를 이용하여 6*6 크기의 격자선(520) 상에서 가로세로 6개씩 36개의 마크(510)를 인식한 경우, 각각의 마크(510) 값에 따른 패턴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mark 510 can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n infrared absorbing ink containing one of a phthalocyanine compound, a naphthalocyanine compound, an aminium compound, and a mixture selected from the foregoing. Accordingly, the infrared sensor 127 can detect infrared rays scattered in a portion where the mark 510 is not formed, and the detection unit 129 can detect the infrared rays on the grid line 520 having a size of 6 * When 36 marks 510 are recognized by 6 marks, the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alue of each mark 510 can be calculated.

마크(510)는 가상의 격자선(520)의 교점을 중심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각각의 마크(510) 값을 가지며, 마크(510) 값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rks 51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grid lines 520 and have respective values of the marks 510 and the values of the marks 510 are composed of 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numbers .

마크(510)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직선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mark 5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ellipse, a polygon, and a straight line.

도 5를 참조하면, 마크(510)는 가상의 격자선(520)의 교점과의 관계에 따라 4가지의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마크(510)가 a와 같이 교점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510) 값을 "1"로 나타내고, b와 같이 교점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510) 값을 "2"로 나타내며, c와 같이 교점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510) 값을 "3"로 나타내고, d와 같이 교점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510) 값을 "4"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의 격자선(520)의 교점을 중심으로 한 마크(510)의 위치에 따라 패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ark 510 may exist at four position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 520. When the mark 51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intersection as shown by a, the value of the mark 510 is represented by "1 ", and when the mark 51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intersection such as b, the value of the mark 510 is represented by" 2 " The value of the mark 510 may be represented by "3 " when positioned at the left side of the intersection, and the value of the mark 510 may be represented by" 4 " 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information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rk 510 centered on the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grid line 520.

또한, 마크(510)는 가상의 격자선(520) 상이 아닌 대각선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상 격자선(520)의 교점에 다수의 마크(510)가 형성되어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마크(510) 값은 x 좌표와 y 좌표로 분리되는 방식으로 임의의 좌표로 표현될 수 있으며, 패턴정보는 좌표로 표현되는 마크(510) 값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The mark 510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imaginary grid line 520 but also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marks 510 may be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one virtual grid line 520 to provide positional information have. In this case, the value of each mark 510 may be expressed in arbitrary coordinates in such a manner that it is divided into an x coordinate and a y coordinate, and the patter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value of the mark 510 expressed in coordinates.

가상의 격자선(52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될 수 있다. 격자선(520) 사이의 거리는 250㎛ 내지 3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크(510)는 가상의 격자선(520)의 교점을 중심으로 1/4 내지 1/8의 거리를 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마크(510)는 가상의 격자선(520)의 교점을 중심으로 두 개 이상의 마크(510)가 연관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maginary grid lines 520 may be formed laterally and vertically at regular intervals. The distance between the grating lines 520 may be 250 탆 to 300 탆 and the marks 510 may be formed at a distance of 1/4 to 1/8 of the center of the imaginary grid line 520 . Or the mark 510 may be formed by associating two or more marks 510 about the intersection of the virtual grid line 520. [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 서버의 블록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n SNS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200)는 수신부(210), 필기궤적 추적부(220), 손글씨 데이터 생성부(230) 및 송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210, a handwriting trajectory tracking unit 220, a handwritten data generating unit 230, and a transmitting unit 240.

수신부(21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10)는 전자펜(1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가상의 격자선(520)의 교점을 중심으로 한 마크(510)의 위치에 따라 전자펜(100)에 의하여 검출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전자펜(100)이 기록매체 상에 접촉을 시작한 위치 정보, 전자펜(100)이 연속적으로 접촉하며 이동하는 위치 정보, 전자펜(100)이 기록매체 상에 마지막으로 접촉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21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검출된 위치정보를 검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210 can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100. [ For example, the receiving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pen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may receive the electronic pen 10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rk 510 centered on the intersection of the imaginary grid line 520, Can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Here, the positional information includes, for example, positional information at which the electronic pen 100 has started to contact on the recording medium, positional information that the electronic pen 100 continuously moves and contacts, Location information lastly contacted,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receiving unit 210 can sequentially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time.

그리고, 필기궤적 추적부(22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필기궤적을 추적한다. 예를 들면, 전자펜(100)이 기록매체 상에 접촉을 시작한 위치 정보, 전자펜(100)이 연속적으로 접촉하며 이동하는 위치 정보, 전자펜(100)이 기록매체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필기 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 필기궤적 추적부(22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시간 또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필기 궤적을 추적할 수 있다. The handwriting trajectory tracking unit 220 tracks the handwriting trajector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 For example,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where the electronic pen 100 has started to contact on the recording medium, the position information where the electronic pen 100 continuously moves in contact with,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which the electronic pen 100 is separated from the recording medium, Trajectory can be tracked. Here, the handwriting trajectory tracking unit 220 may sequentially track the handwriting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the time or order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그리고, 손글씨 데이터 생성부(230)는 필기 궤적을 이용하여 손글씨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손글씨 데이터는 필기 궤적 및 배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경 이미지는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되거나,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손글씨 데이터는 필기 궤적의 추적 순서 또는 추적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written data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handwritten data us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Here, the handwritten data may include a handwriting trajectory and a background image. The background image can be preset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set. The handwritten data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cking order or tracking time of the handwriting trajectory.

이때, 손글씨 데이터는 워터마크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손글씨 데이터의 무단 배포 또는 위조를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handwritten data may further include watermark information. Thus, unauthorized distribution or falsification of handwritten data can be prevented.

송신부(240)는 생성한 손글씨 데이터를 SNS 서버(300)에게 전송한다. 이때, 송신부(240)는 전자펜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손글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240 transmits the generated handwritten data to the SNS server 300. 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unit 240 may transmit the handwritten data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도 7을 참조하면, SNS 서버(300)는 손글씨 데이터 수신부(310), 손글씨 데이터 저장부(320), 손글씨 파일 생성부(330), 사용자 단말 추출부(340) 및 송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7, the SNS server 300 includes a handwritten data receiving unit 310, a handwritten data storing unit 320, a handwriting file generating unit 330, a user terminal extracting unit 340, and a transmitting unit 350 .

손글씨 데이터 수신부(310)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 의하여 생성된 손글씨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손글씨 데이터는 필기 궤적, 필기 궤적과 결합되는 배경 이미지 및 필기 궤적의 추적 순서 또는 추적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손글씨 데이터는 워터마크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손글씨 데이터는 전자펜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수신될 수 있다.The handwritten data receiving unit 310 receives handwritten data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At this time, the handwritten data may include a handwriting trajectory, a background image combined with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a tracking order or tracking time of the handwriting trajectory. The handwritten data may further include watermark information. The handwritten data may be received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손글씨 데이터 저장부(320)는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손글씨 데이터는 전자펜의 식별 정보 또는 작성자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손글씨 데이터 저장부(320)는 손글씨가 작성된 기록매체 상에 인쇄된 패턴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The handwritten data storage unit 320 stores received handwritten data. At this time, handwritten data may be stored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eator. The handwritten data storage unit 320 may further store pattern information printed o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handwriting is formed.

손글씨 파일 생성부(330)는 손글씨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손글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글씨 파일을 생성한다. 일 예로, 손글씨 파일 생성부(330)는 손글씨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필기 궤적과 배경 이미지를 결합하여 배경 이미지 상에 손글씨가 기재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손글씨 파일 생성부(330)는 손글씨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필기 궤적, 필기 궤적의 추적 순서 및 추적 시간 및 배경 이미지를 결합하여 배경 이미지 상에 손글씨가 기재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The handwritten-file generating unit 330 generates handwritten files using handwritten data stored in the handwritten-data storing unit 320. [ For example, the handwriting file generation unit 330 may combine the handwriting trajectory stored in the handwriting data storage unit 320 and the background image to generate an image file in which handwriting is written on the background image. As another example, the handwritten-file generating unit 330 may include a handwriting trajectory stored in the handwritten-data storage unit 320, a tracking order of the handwriting trajectory, a tracking time, and a background image, You can also create a file.

그리고, 사용자 단말 추출부(340)는 작성자와 소셜 네트워크 상에 있는 사용자 단말을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 추출부(34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간의 소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Then,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unit 340 extracts the creator and the user terminal on the social network.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unit 340 may previously store information on a social network betwee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그리고, 송신부(350)는 손글씨 파일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전자펜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를 가지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Then, the transmitting unit 350 transmits the handwritten file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0. Here, the user terminal may be a terminal of a user having a social network and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표 1은 SNS 서버(300)에서 저장되는 손글씨 데이터의 일 예이고, 표 2는 SNS 서버(300)에서 관리되는 소셜 네트워크의 일 예이다.Table 1 is an example of handwritten data stored in the SNS server 300, and Table 2 is an example of a social network managed in the SNS server 300. [

전자펜 식별 정보Electronic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손글씨 데이터 정보Handwriting data information 수신 시간Reception time 비고Remarks 전자펜 ID 1Electronic Pen ID 1 손글씨 데이터 ID 1Handwriting data ID 1 필기 궤적 1Handwriting Trajectory 1 2015.01.07. 22:00July 1, 2015. 22:00 전체공개Full disclosure 배경이미지 1Background image 1 패턴정보 1Pattern information 1 손글씨 데이터 ID 2Handwritten data ID 2 필기 궤적 2Handwriting Trajectory 2 2015.01.08.23:002015.01.08.23:00 친구공개Show your friends 배경이미지 2Background image 2 패턴정보 2Pattern information 2 전자펜 ID 2Electronic pen ID 2 손글씨 데이터 ID 3Handwritten data ID 3 필기 궤적 3Handwriting Trajectory 3 2015.01.05.23:002015.01.05.23:00 전체공개Full disclosure 배경이미지 3Background image 3 패턴정보 3Pattern information 3 손글씨 데이터 ID 4Handwriting data ID 4 필기 궤적 4Handwriting Trajectory 4 2015.01.06.20:002015.01.06.20 친구공개Show your friends 배경이미지 4Background image 4 패턴정보 4Pattern information 4 손글씨 데이터 ID 5Handwriting data ID 5 필기 궤적 5Handwriting trajectory 5 2015.01.07.19:002015.01.07.19:00 비공개Private 배경이미지 5Background image 5 패턴정보 5Pattern information 5

전자펜 식별 정보Electronic p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사용자 식별 정보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전자펜 ID 1Electronic Pen ID 1 사용자 ID 1User ID 1 사용자 단말 1User terminal 1 전자펜 ID 2Electronic pen ID 2 사용자 단말 2User terminal 2 전자펜 ID 3Electronic Pen ID 3 사용자 ID 2User ID 2 사용자 단말 1User terminal 1 사용자 단말 2User terminal 2 사용자 단말 3User terminal 3

표 1 내지 2를 참조하면, SNS 서버(300)의 사용자 단말 추출부(340)는 전자펜 ID 1 및 전자펜 ID 2에 의하여 작성된 손글씨 데이터 중 친구 공개인 손글씨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손글씨 파일은 모두 사용자 ID 1의 소셜 네트워크 상에 있는 사용자 단말 1 및 사용자 단말 2에게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s 1 and 2, the user terminal extracting unit 340 of the SNS server 300 extracts handwritten files generated from handwritten data, which are friend disclosures, among handwritten data created by the electronic pen ID 1 and the electronic pen ID 2, To the user terminal 1 and the user terminal 2 on the social network of ID 1.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00)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user terminal 4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PC), a laptop computer,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사용자 단말(400)은 통신부(4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 출력부(430), 제어부(440) 및 저장부(450)를 포함한다. 다만,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고, 더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4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10, a user interface unit 420, an output unit 430, a control unit 440, and a storage unit 450. However, not all illustrated components are required. A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shown, and a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통신부(410)는 이동 통신 모듈 및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모듈의 전체 또는 일부는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4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and all or a part of these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one module.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nclosed.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또는 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마이크 등일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42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user for data or operation control of the terminal. The user interface unit 420 may b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 microphone, or the like.

출력부(430)는 사용자 단말(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다양한 형태의 신호(예를 들면, 음향신호, 시각 신호)로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출력부(430)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ssion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ight Emission Diode)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일 수 있다.The output unit 430 display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400 to various types of signals (e.g., sound signals, time signals) to the user. The output unit 43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speaker, or the like.

제어부(440)는 사용자 단말(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The controller 4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400. For example, overall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저장부(450)는 제어부(4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인터넷 상에서 저장부(4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450 stores a program for operating the controller 440 and temporarily stores input / output data. The user terminal 40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450 on the Interne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20)가 사용자로부터 SNS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입력 받으면, 사용자 단말(400)의 통신부(410)는 SNS 서버(300)와 통신하며, SNS 서버(300)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상의 작성자에 의하여 작성된 손글씨 파일을 수신한다. 그리고, 출력부(330)는 손글씨 파일을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user interface unit 420 of the user terminal 400 receives an execution command of the SNS application from the user, the communication unit 410 of the user terminal 400 transmits the execution command of the SNS application to the SNS server 300 And receives a handwritten file created by the creator on the social network from the SNS server 300. Then, the output unit 330 displays a handwriting file.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SNS 시스템의 손글씨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8과 중복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writing sharing method of an SN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nations of the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8 ar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전자펜(100)이 기록매체 상에 필기를 하면(S900), 전자펜(100)은 기록매체 상의 닷패턴을 감지하고(S902), 감지된 닷패턴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며(S904), 추출한 위치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 장치(200)에게 전송한다(S906).9, when the electronic pen 100 writes on the recording medium (S900), the electronic pen 100 senses the dot pattern on the recording medium (S902),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ensed dot pattern (S904), and transmits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S906).

정보 처리 장치(200)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필기 궤적을 추출하며(S908), 추출한 필기 궤적을 포함하는 손글씨 데이터를 생성한다(S910). 이때, 손글씨 데이터는 필기 궤적, 필기 궤적이 형성되는 배경 이미지, 필기 궤적의 추적 시간 또는 추적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extracts the handwriting trajectory us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S908), and generates handwritten data including the extracted handwriting trajectory (S910). At this time, the handwritten data may include a handwriting trajectory, a background image in which the handwriting trajectory is formed, a tracking time of the handwriting trajectory, or a tracking order.

정보 처리 장치(200)는 생성한 손글씨 데이터를 SNS 서버(300)에게 전송한다(S912).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the created handwritten data to the SNS server 300 (S912).

SNS 서버(300)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며(S914), 저장한 손글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고(S916), 소셜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단말에게 손글씨 파일을 전송한다(S918).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은 SNS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손글씨 파일을 화면 상에 출력한다(S920).The SNS server 300 stores handwritten data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S914), generates handwritten files using the stored handwritten data (S916), and transmits handwritten files to the user terminals on the social network (S918). Then, the user terminal 400 outputs the handwritten file received from the SNS server 300 on the screen (S920).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이 펜으로 작성한 손글씨를 SNS 상에서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펜으로 작성한 손글씨를 별도로 스캔하는 과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펜을 이용하여 종이 등의 기록매체에 직접 작성한 손글씨는 스타일러스펜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작성한 손글씨에 비하여 자연스러우며, 작성이 편리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written with a pen by a person can be easily shared on the SNS. For this purpos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scan the handwritten with the pen,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achiev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andwriting written directly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paper using an electronic pen is natural and convenient to write, compared to a handwriting created on a touch screen using a stylus pe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NS 상에서 공유되는 손글씨 파일을 편집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ndwritten files shared on the SNS may be edited.

이를 위하여, SNS 서버(300)는 필기 궤적 및 배경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한다.To this end, the SNS server 300 separately stores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SNS 서버(300)가 정보 처리 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편집된 손글씨 데이터를 수신하면, SNS 서버(300)는 편집된 손글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글씨 파일을 재생성한다.When the SNS server 300 receives the edited handwritten data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or the user terminal 400, the SNS server 300 regenerates the handwritten file using the edited handwritten data.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손글씨 파일의 편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NS 서버(300)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손글씨 데이터, 즉 필기 궤적 및 배경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하고, 손글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0)에게 전송한 것을 가정한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diting a handwritten f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S server 300 separately stores the handwritten data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that is,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and generates handwritten files using handwritten data and transmits them to the user terminal 400 .

SNS 서버(300)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부터 손글씨 파일의 편집 요청을 수신한다(S1000). The SNS server 300 receives an editing request for handwritten files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S1000).

SNS 서버(300)는 편집 요청된 손글씨 파일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궤적 및 배경 이미지를 정보 처리 장치(200)로 전송한다(S1002).The SNS server 300 transmits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handwriting file requested to be edi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S1002).

전자펜(100)이 기록매체 상에 필기를 추가하면(S1004), 전자펜(100)은 패턴 정보를 감지하고(S1006), 감지한 패턴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며(S1008), 추출한 위치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00)에게 전송한다(S1010). 이때, 기록매체는 편집 요청한 손글씨 파일에 대응하는 패턴이 인쇄된 기록매체일 수 있다. When the electronic pen 100 adds handwriting on the recording medium (S1004), the electronic pen 100 senses the pattern information (S1006), extract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detected pattern information (S1008)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S1010). At this tim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attern corresponding to a handwriting file requested for editing is printed.

정보 처리 장치(20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필기 궤적을 추출하며(S1012), 추출한 필기 궤적을 이용하여 SNS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필기 궤적을 업데이트한다(S1014).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extracts the handwriting trajectory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S1012), and updates the handwriting trajectory received from the SNS server 300 using the extracted handwriting trajectory (S1014).

정보 처리 장치(200)가 업데이트한 필기 궤적 및 배경 이미지를 SNS 서버(300)로 전송하며(S1016), SNS 서버(300) 업데이트된 필기 궤적 및 배경 이미지를 이용하여 손글씨 데이터 저장부(330)를 업데이트하고(S1018), 손글씨 파일을 재생성한다(S1020).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transmits the updated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to the SNS server 300 in step S1016 and the handwritten data storage unit 330 using the updated handwriting trajectory and background image (S1018), and regenerates the manual file (S10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손글씨 파일을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ndwritten files can be easily edited.

한편, 손글씨 파일은 작성자가 아닌 타인에 의하여 편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NS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손글씨 파일의 편집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400) 상에는 손글씨 파일과 함께 편집을 위한 아이콘이 더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SNS 서버(300)는 편집 요청된 손글씨 파일에 대응하여 저장된 필기 궤적 및 배경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손글씨 데이터의 초기 작성자가 아닌 타인이 전자펜을 이용하여 기록매체 상에 필기를 추가하면, 정보 처리 장치(200)의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400)은 필기 궤적을 추적하고, 손글씨 데이터를 생성하여 SNS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SNS 서버(300)는 이를 이용하여 손글씨 파일을 재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 상에는 손글씨 데이터가 초기 작성되는 기록매체 상에 인쇄된 패턴과 동일한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handwritten files may be edited by others, not by the author. For example, the SNS server 300 may receive a request for editing a handwritten file from the user terminal 400. For this purpose, an icon for editing may be further exposed on the user terminal 400 together with a handwriting file. In response to this, the SNS server 300 may transmit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handwriting file requested to be edited to the user terminal 400. When a person other than the initial creator of the handwriting data adds handwriting on the recording medium using the electronic pen, the user terminal 400 including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tracks the handwriting trajectory, generates handwriting data To the SNS server (300). The SNS server 300 can regenerate the handwritten file by using it. Here, the same pattern as that printed o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handwriting data is initially created can be printed on the recording medium.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As used in this embodiment, the term " portion "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전자펜
200: 정보 처리 장치
300: SNS 서버
400: 사용자 단말
100: Electronic pen
200: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SNS server
400: User terminal

Claims (10)

SNS(Social Network Service) 시스템의 손글씨 공유 방법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가 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 상에서 전자펜에 의하여 검출된 위치정보를 검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필기 궤적을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상기 필기 궤적, 상기 필기 궤적의 추적 순서 또는 추적 시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필기 궤적이 표시되기 위한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는 손글씨 데이터 및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를 S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SNS 서버가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SNS 서버가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SNS 서버가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소셜 네트워크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손글씨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SNS 서버는 상기 필기 궤적 및 상기 배경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편집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필기 궤적을 상기 정보처리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필기 궤적, 상기 필기 궤적의 추적 순서 또는 추적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배경 이미지를 결합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 상에 손글씨가 기재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 별로 적어도 하나의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 별로 저장된 각 손글씨 데이터는 각 손글씨 데이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각 손글씨 데이터의 식별 정보 별로 매칭된 필기 궤적 정보, 배경 이미지 정보 및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손글씨 공유 방법.
In a handwriting sharing method of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yste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uccessivel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electronic pen on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attern is form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tim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rack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s handwritten data includ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the tracking order or tracking time of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for display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to the SNS server step,
Storing the handwritten data by the SNS server,
The SNS server generates a handwritten file using the handwritten data, and
The SNS server transmitting the handwritten file to a user terminal having a social network and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Wherein the SNS server separately stores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and when the edit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t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handwriting file comprises:
Generating a moving picture file includ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information on a tracking order or tracking time of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combining the background image and writing handwriting on the background image,
In the step of storing handwritten data,
Wherein each handwritten data stored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handwritten data and handwritten sign information matched accor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handwritten data, A handwritten sharing method comprising image information and patter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전자펜에 의하여 수신한 위치정보로부터 추출된 필기 궤적을 이용하여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신한 필기 궤적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손글씨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updat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received from the SNS server us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extract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lectronic p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닷패턴이 인쇄된 종이 또는 전자칠판인 손글씨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ording medium is a paper or an electronic blackboard on which a dot pattern is prin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가상의 격자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한 마크의 위치에 따라 추출되는 손글씨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mark centered on an intersection of virtual lattice lin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전자펜이 상기 기록매체 상에 접촉을 시작한 위치정보, 상기 전자펜이 상기 기록매체 상에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이동하는 위치정보, 그리고 상기 전자펜이 상기 기록매체 상에 마지막으로 접촉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손글씨 공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n which the electronic pen has started to contact on the recording medium, positional information that the electronic pen continuously moves on the recording medium, How to share a handwriting that includes a lo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궤적은 상기 전자펜이 상기 기록매체 상에 접촉을 시작한 위치정보, 상기 전자펜이 상기 기록매체 상에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이동하는 위치정보, 그리고 상기 전자펜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손글씨 공유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writing locus includes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on which the electronic pen has started to contact on the recording medium,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continuously moving on the recording medium, and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How to share a handwriting that includes.
패턴이 형성된 기록매체 상에서 전자펜에 의하여 검출된 위치정보를 검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로부터 필기 궤적을 추적하며, 상기 필기 궤적, 상기 필기 궤적의 추적 순서 또는 추적 시간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필기 궤적이 표시되기 위한 배경 이미지를 포함하는 손글씨 데이터 및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를 SNS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처리장치, 그리고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손글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손글씨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소셜 네트워크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손글씨 파일을 전송하는 SNS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SNS 서버는 상기 필기 궤적 및 상기 배경 이미지를 별도로 저장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편집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필기 궤적을 상기 정보처리장치에게 전송하고,
상기 SNS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손글씨 파일은 상기 필기 궤적, 상기 필기 궤적의 추적 순서 또는 추적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배경 이미지를 결합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 상에 손글씨가 기재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이며,
상기 SNS 서버는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 별로 적어도 하나의 손글씨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전자펜의 식별 정보 별로 저장된 각 손글씨 데이터는 각 손글씨 데이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손글씨 데이터의 식별 정보 별로 매칭된 필기 궤적 정보, 배경 이미지 정보 및 패턴 정보를 포함하는 손글씨 공유 시스템.
And a control unit for sequentially receiv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electronic pen on the patterned recording medium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time, tracking the handwriting locus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detecting the handwriting locus, the tracking order of the handwriting locus,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transmitting handwritten data including a background image for display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to the SNS server, and
An SNS server for storing the handwritten data, generating a handwritten file using the handwritten data, and transmitting the handwritten file to a user terminal having a social network and previously stor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 / RTI &
Wherein the SNS server separately stores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and transmits the handwriting trajectory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pon receiving an editing request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handwriting file generated by the SNS server includes a step of writing handwriting on the background image by combining the handwriting trajectory, information on the tracking order or tracking time of the handwriting trajectory, and the background image,
Wherein each SNS server stores at least one handwritten data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wherein each handwritten data stored for ea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pen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handwritten data, A handwriting sharing system including information, background image information, and pattern information.
삭제delete
KR1020170009166A 2017-01-19 2017-01-19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KR1017961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66A KR101796166B1 (en) 2017-01-19 2017-01-19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166A KR101796166B1 (en) 2017-01-19 2017-01-19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378A Division KR20160124555A (en) 2015-04-20 2015-04-20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516A KR20170012516A (en) 2017-02-02
KR101796166B1 true KR101796166B1 (en) 2017-11-10

Family

ID=5815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166A KR101796166B1 (en) 2017-01-19 2017-01-19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1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784A1 (en) * 2019-01-02 2020-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content by using stylus pe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1492A (en) * 2004-07-20 2006-02-02 Hitachi Lt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140072225A1 (en) * 2012-09-07 2014-03-13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handwritten document search method
KR101452355B1 (en) 2014-02-13 2014-10-22 (주)펜제너레이션스 Dot pattern detection device and contents implement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1492A (en) * 2004-07-20 2006-02-02 Hitachi Lt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140072225A1 (en) * 2012-09-07 2014-03-13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handwritten document search method
KR101452355B1 (en) 2014-02-13 2014-10-22 (주)펜제너레이션스 Dot pattern detection device and contents implement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1784A1 (en) * 2019-01-02 2020-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content by using stylus pe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516A (en)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ai et al. PaperLink: a technique for hyperlinking from real paper to electronic content
CN102792248B (en) Input/output unit, information input-output system
CN105408847B (en) User terminal and and its display lock-screen method
US8521217B2 (en) Content sharing methods and systems
US8265382B2 (en) Electronic annotation of documents with preexisting content
CN100390720C (en) Interactive device and method
CN101387932B (en) Display system
US20030046256A1 (en) Distributed information management
CN102906677A (en) Handwriting input boar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a handwriting input board
CN101689187A (en) Multi-modal smartpen computing system
CN102037476B (en) Decoupled applications for printed materials
US200902489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using virtual flash cards
CN107122113A (en) Generate the method and device of picture
CN107895006A (en) Audio frequency play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JP6248409B2 (en) Data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CN102522007B (en)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of printed matter with dark stripe code chart
KR101796166B1 (en)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US20240053882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driv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recording application
KR101515162B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ing electronic pen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CN105094357A (en) Input method and device as well as electronic equipment
KR20160124555A (en) Method for sharing handwirting in social network system
KR102594106B1 (en) Control method of application for recording 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Long et al. Cambridge International AS and A Level IT Coursebook with CD-ROM
KR101594590B1 (en) Advertising apparatus using electronic pen and advertising method of the same
KR10159688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