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573B1 -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573B1
KR101794573B1 KR1020160155413A KR20160155413A KR101794573B1 KR 101794573 B1 KR101794573 B1 KR 101794573B1 KR 1020160155413 A KR1020160155413 A KR 1020160155413A KR 20160155413 A KR20160155413 A KR 20160155413A KR 101794573 B1 KR101794573 B1 KR 101794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line alfoscerate
weight
solid preparation
table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현태
오동교
박종범
진종범
Original Assignee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filed Critical 이니스트바이오제약(주)
Priority to KR102016015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5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4Amides of phosphorus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ethyl cellulose, which can be formulated into a solid form by controlling moisture absorbing properties through granulating choline alfoscerate, which is in a liquid or powder form, using ethyl cellulose; and to a prepa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isture absorbing properties of a main component can be controlled without slowing down the elution of the preparation, the stability can be improved, and an appropriate small tablet size can be realized.

Description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속방출형 고형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BACKGROUND ART < RTI ID = 0.0 >

본 발명은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ula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콜린(Choline)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전구체로서, 뇌 대사를 개선시키거나 정신적인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유용한 영양소 중의 하나이다. 콜린에 인지질 성분이 결합된 콜린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α-GPC)는 레시틴(Lecithin)의 반합성 유도체이자,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물질이며, L-알파 글리세릴포스포릴콜린(L-alpha Glycerylphosphorylcholine)으로 알려져 있다. 콜린알포세레이트는 뇌에서 중요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의 전환이나 합성을 돕는다. 구체적으로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체내 흡수 후 콜린과 글리세로포스페이트로 분해되고, 뇌 혈관 장벽(Blood Brain Barrier, BBB)을 거쳐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를 통과하면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생성에 관여하게 된다.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인지능력개선에 기여를 하며 기억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신경 및 뉴런의 유지에 도움을 주며, 오메가-3 와 결합하여 새로운 세포막을 형성하는데 관여하고, 신경세포의 확산을 증진시키는 기능도 한다.Choline is a precursor to the neurotransmitter Acetylcholine, one of the most useful nutrients to improve brain metabolism or enhance mental abilities. Choline Alfoscerate (α-GPC), a phospholipid-conjugated cholinesterase, is a semisynthetic derivative of lecithin, a substance found naturally in the body, and L-alpha-glycerylphosphorylcholine (L- alpha glycerylphosphorylcholine). Choline alfoscerate helps in the conversion or synthesis of neurotransmitters important in the brain. Specifically, choline alfoscerate is absorbed into the body and decomposed into choline and glycerophosphate. After passing through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through the blood brain barrier (BBB), the neurotransmitter acetylcholine . ≪ / RTI > Choline alfoscerate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y and helps to maintain memory for a long time. Choline alfoscerate also helps maintain neurons and neurons, and i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new cell membranes by binding to omega-3, which also enhances neural cell proliferation.

콜린알포세레이트는 뇌에서 새로운 아세틸콜린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합물로 신체의 모든 세포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신생아의 건강한 신체발달 또는 특히 빠른 두뇌발달에 중요한 물질이고,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며, 콜린알포세레이트의 감소는 지각력 감소, 혈관성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병에서 보여주는 신경퇴화 현상 등을 유발한다. 이에 콜린알포세레이트는 노령층의 지각력이나 뇌기능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집중력 저하나 정서불안, 자극과민성 또는 우울증 등에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최근에는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Choline alfoscerate is a compound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new acetylcholine in the brain. It is naturally present in all cells of the body and is important for healthy body development or especially rapid brain development in neonates. And the reduction of choline alfoscerate results in a decrease in perceived ability, vascular dementia or neurodegeneration in Alzheimer's disease. Thus, choline alfoscerate is known to be effective not only in improving perceptual ability and brain function of elderly people but also in reducing concentration, emotional instability, irritability or depression, and is recently marketed as a medicinal product or a health functional food.

본 발명은 위 약리학적 효과를 지닌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의약품 제제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액상 또는 파우더 형태인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에틸셀룰오로스로 과립화하여 흡습성을 제어함으로써 고체 형태의 제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콜린알포세레이트의 경구투여용 속방출형 고형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과 혼합한 뒤, 에틸셀룰로오스 결합액으로 과립화함으로써, 콜린알포세레이트의 흡습성을 제어한 속방출형 경구 투여용 고형제제를 수득한다.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일 구현예에서는 폴리소르베이트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등의 가용화제를 추가로 배합하여 속방출의 약물전달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다. 가용화제 배합 이외의 기타 속방출의 약물전달시스템의 보완을 위한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목적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적의 추가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choline alfoscerate having the above pharmacological effect.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f choline alfoscerate, which can form a solid form by controlling the hygroscopicity by granulating choline alfoscerate in liquid or powder form with ethylcellulose an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oline alfoscerate is mixed with a long fatty acid chain such as a lipid component and then granulated with an ethylcellulose binding liquid to produce a rapid-release oral solid for controlling the hygroscopicity of choline alfoscerate A preparation is obtained. In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lubilizing agent such as polysorbate or sodium lauryl sulfate (SLS) may be further added to supplement the drug delivery system of the immediate release. Technological considerations for supplementing other drug delivery systems other than the solubilized formulation may also be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not impair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제학적 관점에서 콜린알포세레이트의 특징을 추가로 살핀다.From a pharmaceutical point of view, further characterization of choline alfoscerate is sought.

콜린알포세레이트는 공지된 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1 의 구조를 갖는다.Choline alfoscerate is a known substance having the structure of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6113814874-pat00001
Figure 112016113814874-pat00001

콜린알포세레이트는 고흡습성 및 극수용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공기 중에 방치하면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해 습윤 및 액화되나, 일반적인 과립이나 혼합 방법으로는 수분차단이 곤란해, 불가피하게 첫 개발 제제로는 액상의 연질캡슐제가 등장했다. 이러한 시판 중인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연질캡슐제는 1 일 400 mg 의 콜린알포세레이트를 2-3 회 복용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Choline alfoscerate has high hygroscopicity and water-solubility properties, so it is wet and liquefied by adsorbing moisture in the air when left in the air. However, it is difficult to block moisture with ordinary granules or mixing methods. Inevitably, A liquid soft capsule appeared. Such a commercial soft capsule of choline alfoscerate is recommended to take 400 mg of choline alfoscerate per day 2-3 times a day.

그러나 연질캡슐제의 경우는 노인환자들의 다제약제 복용과 관련하여 약국 내에서 약포지 포장시 포장라인에 걸려 캡슐이 찢어지는 경우 또는 캡슐제에 힘이 가해져서 젤라틴 피막이 찢어지는 경우에 다른 약들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soft capsules, when the capsules are torn in the packaging line when packaging the drug in a pharmacy, or when the capsules are torn due to tearing of the gelatin film, And the like.

또한 젤라틴의 연질캡슐은 습기 및 열에 약하기 때문에 보관이 어려우며, 정제에 비하여 제제의 크기가 커서 연하능력이 떨어지는 고연령층 환자의 경우 복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고, 활성성분이 시간 경과에 따라 수용성인 연질젤라틴 피막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있어 함량균일성이 떨어지며, 제조시 별도의 연질캡슐 제조설비가 필요하고, 미생물에 의해 변질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ft capsules of gelatin are weak to moisture and heat, they are difficult to be stored, and they are disadvantageous to take in the case of elderly patients whose swallowing ability is lower than that of tablets due to their large size, and the active ingredient is soft, There is a possibility of transition to a coating film, the uniformity of the content is low, a separate soft capsule manufacturing facility is requir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be altered by microorganisms.

상기 종래의 연질캡슐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57919호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 메타아크릴산 공중합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된 콜린 알포세레이트 입자를 제제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위 기술은 수용성고분자를 약 50 중량부까지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고함량의 고분자함유로 인해 약물의 방출이 느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oft capsul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7919 discloses a polyvinyl alcohol copolymer which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 alcohol, methacrylic acid copolymerization and polyethylene oxide Discloses a technique for preparing choline alfoscerate particles coated with one or more water-soluble polymers. However, the above technolog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soluble polymer is coated to about 50 parts by weight, so that the release of the drug can be slowed due to the high content of the polyme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21796호에는 호스트 및 게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게스트가 콜린알포세레이트인 포접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콜린알포세레이트 : 시클로덱스트린을 1 : 0.005-0.5 중량비 범위 조성으로 점도 저하제,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정제, 산제, 과립제의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용출률이 현저히 미흡하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21796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 host and a guest, wherein the guest comprises an inclusion compound which is choline alfoscerate, wherein the choline alfoscerate: cyclodextrin is used in a weight ratio of 1: 0.005 to 0.5 A viscosity reducing agent, magnesium aluminosilicate, or the like is added to the composition to prepare a tablet, powder or granule formulation. However, the dissolution rate is insuffici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72699호에는 1 회 복용량인 400 mg 의 주성분과 동량 또는 50% 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정제코어를 제조한 후, 단일코팅한 필름정이 제조된 예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정제의 중량이 약 800 mg 에 해당하며, 또한 단일코팅하였기 때문에 가속조건(40 도, 75 % RH)에서 1 개월 경과 시 약물의 용출이 지연되는 결과가 나타나고, 주성분의 인습력이 높아 오랜 시간 동안 보관 시 단일코팅층만으로는 수분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져 정제코어로 들어간 수분으로 인해 약물의 용출을 늦추는 결과를 초래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72699 discloses an example in which 400 mg of a main ingredient of a single dose or 50 mg of magnesium aluminosilicate in an amount of 50% is added to prepare a tablet core and then a single coated film tablet is prepared. However, since the weight of the tablet is about 800 mg and the coating is single coated, the dissolution of the drug is delayed after one month at the accelerated condition (40 ° C., 75% RH) When stored for a period of time, only a single coating layer will lose stability to moisture, resulting in delayed drug elution due to moisture entering the tablet cor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2179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2179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7269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7269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5791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579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57919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579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08856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856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0472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047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08419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8419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8327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83276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9-0176740호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9-0176740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연질캡슐제가 가지는 안정성, 복용 편의성 등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적은 양의 부형제를 사용하여 소형의 경구투여용 고형 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에틸셀룰오로스로 액상 및 파우더 형태인 콜린알포세레이트를 과립화하면, 주성분의 흡습성을 제어하면서도, 약물의 용출이 느려지지 않고,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적절한 소형의 정제크기를 구현할 수 있고, 콜린알포세레이트 연질 캡슐과 생체이용률을 동등하게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efforts to develop a small-sized sol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using a small amount of excipient while solv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st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conventional soft capsule, and as a result, Granules of choline alfoscerate can be used to control the hygroscopicity of the main component without delaying the elution of the drug and improving the stability and can realize an appropriate small size of table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on the basis of confirming that the utilization rates can be expressed equally.

즉 본 발명은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노년층의 복용이 용이하도록 저중량의 소형의 경구투여용 고형 정제를 제조함에 있어, 일반적인 정제 제조방법을 통해 제제화가 가능하고, 콜린 알포세레이트의 고흡습성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시판되는 연질캡슐제와 생물학적으로 동등한 생체이용률을 나타내는 정제를 개발하고자 한 것이 목적이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ll-sized solid tablet for oral administration which is low in weight and easy to be taken by the elderly layer in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can be formulated through a general tablet preparation method, and can block the high hygroscopicity of choline alfoscerate , And also to develop tablets that exhibit bioavailability equivalent to commercially available soft capsules.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제한적인 발상을 전환하여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의 구현에 주로 사용하는 에틸셀룰오로스를 이용하여, 주성분의 흡습성을 제어했고, 속용성의 용출 동등성을 확보했으며, 생체이용률이 시판되는 연질캡슐제와 동등한 단일 코팅 정제를 발명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succeeded in controlling the hygroscopicity of the main component using ethylcellulose, which is mainly us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ed-release drug delivery system by switching the conventional limiting idea, ensuring fast dissolution equality, Lt; RTI ID = 0.0 > capsule < / RTI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래의 수단을 통해 전술한 과제를 해결했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means of the following.

1. 활성성분으로서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로서, 흡습제어제로서 에틸셀룰오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1. A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s an active ingredient, which comprises ethylcellulose as a hygroscopic agent.

2. 상기 1 에 있어서, 흡습제어제로서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2.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1 above, further comprising a long chain fatty acid such as a lipid component as a hygroscopic agent.

3. 상기 1 또는 2 에 있어서,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에틸셀룰로오스 결합액으로 연합하여 과립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3.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choline alfoscerate is combined with an ethylcellulose binding liquid and granulated.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체 중량 기준으로 에틸셀룰로오스의 중량부가 0.005 내지 0.0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4.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above, wherein the weight ratio of ethyl cellulos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preparation is from 0.005 to 0.03.

5.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팔미토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스테아릴알코올, 소듐스테아릴푸마레이트 또는 글리세릴베헤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4 above, wherein the long chain fatty acid chains such as lipid component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yl monostearate, glyceryl monooleate, glyceryl palmitostearate, stearic acid, stearyl alcohol, Lt; RTI ID = 0.0 > (I) < / RTI > or glyceryl behenate.

6. 상기 5 에 있어서, 전체 중량 기준으로 글리세릴베헤네이트의 중량부가 0.001 내지 0.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6.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item 5, wherein the weight ratio of glyceryl behenate is 0.001 to 0.2 based on the total weight.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7.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silicate, magnesium aluminosilicate, magnesium metasilicate alumina, and talc.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크로스카멜로스소듐(Croscamellose sodium), 소듐스타치글리콜레이트(Sodium starch glycolate), 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cross-linked pov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low substituted), 알긴산(Alginic acid), 분말성 셀룰로오스, 전분(Starch) 및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8.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7, which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oscamellose sodium, Sodium starch glycol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Crospovidone, cross-linked povidon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pyrrolidone (PVP), hydroxypropylcellulose (low substituted), alginic acid, powdered cellulose, starch and sodium alginate And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mpound of formula (I).

9. 상기 8 에 있어서, 크로스카멜로스소듐(Croscamellose sodium)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9.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8 above, further comprising croscamellose sodium.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탈크, 푸마르산 스테아릴 나트륨,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스테아르산, 및 수크로오즈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10. The lubricant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above, wherein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loidal silicon dioxide, magnesium stearate, talc, sodium stearyl fumarate, aluminum magnesium silicate, stearic acid, and sucrose fatty acid ester Wherein the solid preparation is further comprised of at least one compound of formula

11. 상기 10 에 있어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탈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11.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10, further comprising magnesium stearate or talc.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소르베이트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가용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12.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1 above, further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olubilizing agent such as polysorbate or sodium lauryl sulfate.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고형 제제가 정제, 환제, 산제, 코팅제, 과립제 또는 저작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방출형 고형 제제.13. 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2, wherein the solid preparation is a tablet, a pill, a powder, a coating, a granule or a chewable tablet.

14. (a) 콜린알포세레이트와 에틸셀룰오로스를 에탄올 또는 에탄올수용액에 혼합 분산하여 결합액를 제조하는 단계;14. A method for producing a binding agent, comprising: (a) preparing a binding solution by mixing and dispersing choline alfoscerate and ethylcellulose in an ethanol or ethanol aqueous solution;

(b) 상기 (a) 의 결합액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연합하는 단계;(b) combining the binding solution of (a)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c) 상기 (b) 의 연합물을 건조하는 단계;(c) drying the association of (b);

(d) 상기 (c) 건조물을 정립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넣어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d) drying the dried material (c) and add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to prepare a final mixture;

(e) 상기 (d) 의 최종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타정물을 제조하는 단계;(e) molding the final mixture of (d) using a tablet machine to produce a tablet;

(f) 상기 (e) 의 타정물에 필림코팅제를 첨가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린알포세레이트 함유 속방출형 고형 제제의 제조 방법.(f) adding a film coating agent to the tablet of (e) and coating the same.

15. 상기 14 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지질 성분을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린알포세레이트 함유 속방출형 고형 제제의 제조 방법.15. The method of producing a rapid-release choline alfoscerate-containing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14 above, wherein the lipid component is further mixed in the step (a).

본 발명은 고형 제제이기 때문에 종래의 연질캡슐 제형에 비해 미생물에 의해 변질되는 등의 연질캡슐제가 갖는 단점이 없고, 종래 게시된 고형 제제들보다 콜린알포세레이트의 흡습성이 제어되어 습기에 의해 안정성이 저하될 염려가 적고, 부피가 작아 복용 편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id preparation, there is no disadvantage of soft capsules such as being altered by microorganisms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soft capsule formulations, and the hygroscopicity of choline alfoscerate is controlled more than that of solid preparations, There is less fear of deterioration, and the volume is small, which is advantageous in convenience of taking.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용출률을 종래 게시된 고형 제제들보다 향상시킴으로써, 기존의 연질캡슐제와 동등한 수준의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내므로, 약효의 발현 면에서 기존의 연질캡슐제와 차이가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dissolution rat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olid preparations, thereby showing a dissolution profile equivalent to that of conventional soft capsules, so that the soft capsules do not differ from the conventional soft capsules in terms of drug efficacy.

도 1 은 함습시험 전의 초기 양상이고, 도 2 는 24 시간 후의 흡습된 양상이다.Fig. 1 shows the initial state before the humidification test, and Fig. 2 shows the hygroscopic state after 24 hours.

본 명세서에서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콜린알포세레이트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등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활성성분으로 하는 공지의 주성분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의 콜린알포세레이트는 무정형 또는 결정형 등의 결정다형체, 라세미체, 에난티오머, 동질이상체, 수화물, 무수물 및 용매화물의 형태를 제한 없이 모두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holine alfoscerate is used to include a known main ingredient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s an active ingredient, such as choline alfoscerat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example, choline alfoscerate as used herein includes, without limitation, forms of crystalline polymorphs such as amorphous or crystalline forms, racemates, enantiomers, polymorphs, hydrates, anhydrides, and solvates.

본 명세서에서 첨가제는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등에 공지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성분을 일컫는다. 부형제, 활택제, 붕해제 또는 가용화제 등의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제약업계에서 흔히 알려진 임의의 성분을 나타낸다.Herein, the additives refer to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gredients known to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and the like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cipients, lubricants, disintegrating agents, solubilizing agents, and the like. Refers to any component commonly known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본 명세서에서 중량부라 함은 전체 고형 제제 중량을 1 이라고 했을 때의 상대적인 중량부를 의미한다. 예컨대 제제가 정제인 경우에는 타정 중량을 1 이라고 했을 때의 상대적인 중량부라 해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eight refers to the relative weight of the entire solid preparation when the weight is 1. For example, when the preparation is tableted, it can be interpreted as a relative weight when the tablet weight is 1.

본 발명은 뇌혈관 질환 치료 용도로 사용하는 활성성분인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함유하는 경구 투여용 고형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적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이용하여 정제, 환제, 산제, 코팅제, 과립제 또는 저작정으로 구현하는데 적합한 고형 제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제제화에 관한 것이므로, 제제학적인 관점 이외의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원료 수득 방법, 의약적 용도 또는 용법·용량 등은 종래의 공지된 사상을 제한 없이 이용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고형제제에 있어서, 활성성분(active ingredient)으로서 사용되는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s)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1 정당 200 mg 또는 400 mg 등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used for the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ablets, pills, powders, coatings, granules Or < / RTI > That i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ormulation of choline alfoscerate, methods of obtaining raw materials of choline alfoscerate other than those from a pharmaceutical point of view, medicinal use, usage and dosage, and the like, are not limited to those known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in th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oline alfoscerate used as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used a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and can be used in amounts such as 200 mg or 400 mg per uni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경구 투여용 고형 제제의 약물전달시스템은 크게 속방출성, 서방출성 및 지연방출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속방출성에 관한 것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속방출성 고형 제제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rug delivery system of the solid preparation for oral administration has a rapid release, sustained release and delayed release,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apid release. 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a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콜린알포세레이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습성 때문에 고형으로 성형하고자 타정할 경우 일정 경도가 담보되지 않고 뭉개져 버려 고형 제제로의 구현이 곤란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에틸셀룰로오스로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연합하면 정확한 원리는 모르겠으나 물의 응집이 방해되어 흡습을 차단할 수 있고,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속방출성 약물전달시스템에도 방해가 나타나지 않음을 우연히 실험을 통해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특정 첨가제와의 배합을 통해 콜린알포세레이트의 흡습 차단 및 속방출의 약물전달시스템의 달성과 최종 제제의 중량 및 부피의 감소를 과제로 한 것이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하는 위 과제 해결의 핵심적인 원리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은 일반적인 고형 제제의 제제화 기술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속방출 보완을 위한 기술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을 기술한다.As described above, choline alfoscerate is hygroscopic, so when it is molded to be solid, the hardness is not secured and it is crushed and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solid agent. Howev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d that when choline alfoscerate is combined with ethyl cellulos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aggregation of water to block moisture absorption and prevent the rapi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 of choline alfoscerate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achieving a drug delivery system for interception and rapid release of choline alfoscerate by mixing with specific additives, and reducing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final preparation. On the other hand, with the exception of the core principle of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employ the usual solid formulation formulation techniques without limitation. The same is true for techniques for supplementing rapid release.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흡습제어제로서 에틸셀룰로오스를 채택한다. 에틸셀룰로오스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시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 등과 함께 친수성의 서방성 약물전달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제어방출기제로 흔히 열거되는 첨가제이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94679호에서도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수불용성 고분자는 10 시간 이상 동안 약물의 혈중 농도가 기저치 이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서방출성의 약물방출을 위해 코팅 기제로 사용하는 첨가제의 한 종류로 나열하고 있다. 이처럼 에틸셀룰로오스는 서방출성의 약물전달시스템을 위해 매트릭스 또는 코팅 기제로써 채용될 뿐, 속방출형 고형 제제에는 일반적으로 배합하지 않는 첨가제 성분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지만, 본 발명자는 발상을 획기적으로 전환하여 에틸셀룰로오스를 콜린알포세레이트와 함께 연합해 본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ethyl cellulose as a hygroscopic agent. Ethylcellulose is an additive often listed as a controlled release ag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a hydrophilic sustained release drug delivery system together with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sodium hydroxypropyl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or acrylic acid derivatives.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94679, a water-insoluble polymer such as ethyl cellulose or the like has a coating agent for releasing drug of sustained release of choline alfoscerate so that the blood concentration of the drug can be maintained above the basal level for 10 hours or more Are listed as one type of additive used as. As such, ethylcellulose has been recognized as a matrix or coating agent for a sustained-release drug delivery system and has been recognized as an additive component that is not generally incorporated into a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However, We have combined cellulose with choline alfoscerate.

본 발명자는 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94679호와 달리 에틸셀룰로오스를 코팅기제가 아닌 흡습제어제로써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 등의 액상의 용매에 콜린알포세레이트와 혼합하여 연합해 보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틸셀룰로오스를 에탄올 또는 에탄올수용액 등의 용매에서 콜린알포세레이트와 혼합 분산하여 결합액을 제조한 뒤, 이를 적의의 부형제 및 붕해제 등의 혼합물에 분무하여 연합함으로써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습식과립화를 통해 과립화하였다. 그 결과 에틸셀룰로오스와의 연합은 콜린알포세레이트의 흡습성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으며, 콜린알포세레이트의 속방출도 유도하여, 기존의 연질캡슐제와 생물학적 동등성을 달성할 수 있게 하였다.Unlik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94679,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bined ethylcellulose with choline alfoscerate in a liquid solvent such as ethanol or an aqueous ethanol solution as a hygroscopic agent instead of a coating agen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binding liquid by mixing and dispersing ethylcellulose with choline alfoscerate in a solvent such as ethanol or an aqueous solution of ethanol, and then spraying the mixture with an enemy excipient and a disintegrating agent to form choline alfoscerate And granulated by wet granulation. As a result, the association with ethylcellulose effectively blocked the hygroscopicity of choline alfoscerate and also induced the rapid release of choline alfoscerate, thereby achieving bioequivalence with conventional soft capsules.

게다가 에틸셀룰로오스와의 연합은 다량의 부형제 없이도 콜린알포세레이트의 흡습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최종 고형 제제의 총 중량 및 부피 또한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콜린알포세레이트는 뇌혈관 결손에 의한 2 차 증상 및 변성 또는 퇴행성 뇌기질성 정신증후군 등의 치료를 위해 1 회 400 mg 을 1 일 2-3 회 경구투여하고,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는 것으로 권장되는 약물이다. 때문에 콜린알포세레이트를 제제화할 때에는 하나의 단위 제제 당 200 mg 또는 400 mg 의 고용량의 약물을 배합할 필요가 있다. 종래 고형 제제에서는 흡착제 또는 부형제를 약물 입자마다 고르게 분산시켜 흡습을 제어하거나, 약물 입자마다 코팅제로 코팅시켜 흡습을 제어하는 기술을 채택했기 때문에, 주성분의 양만큼 부형제, 흡착제 또는 코팅제 등의 첨가제도 상대적으로 상당량을 배합해야만 하는 한계로 인해, 최종 제제의 중량 및 부피가 복용 편의성 차원에서 바람직하지 못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에틸셀룰로오스에 의한 효과적인 흡습 제어가 가능함으로 인해, 부형제, 흡착제 또는 코팅제 등의 첨가제를 과량 배합하지 않아도 된다.Moreover, the association with ethylcellulose can effectively block the hygroscopicity of choline alfoscerate without a large amount of excipients, and the total weight and volume of the final solid preparation can also be significantly reduced. Specifically, choline alfoscerate is administered orally 400 mg once or twice or three times a day for the treatment of secondary symptoms and degenerative or degenerative brain syndromes caused by cerebrovascular defects, Is a recommended drug. Therefore, when formulating choline alfoscerate, it is necessary to add a high-dose drug of 200 mg or 400 mg per unit dosage form. In the conventional solid preparations, since the adsorbent or the excipient is uniformly dispersed in each drug particle to control the moisture absorption, or the drug particle is coated with the coating agent to control the moisture absorption, the additive such as excipient, adsorbent or coating agent ,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final formulation were not desirable for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ective hygroscopicity control by ethyl cellulose, an excessive amount of excipients such as an excipient, an adsorbent or a coating agent may not be mixed.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의 고형 제제보다 더욱 소형화를 구현하여, 복용편의성의 증진도 가져올 수 있었다. 특히 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94679호 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57919호와 같이 콜린알포세레이트의 흡습성 차단을 위해 코팅을 채용하는 기술은 다량의 코팅기제뿐 아니라, 그 코팅기제의 원활한 코팅성형을 위해 불가피하게 결합제 및 가소제 등도 추가로 배합하여야만 하여, 전체적으로 최종 제제의 중량 및 부피가 가중될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은 추가 배합 성분이 약물의 속방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효과는 놀라운 진보라 평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further miniaturization than the conventional solid preparation, and can also improve convenience of taking. In particular, the technique employing a coating for blocking the hygroscopicity of choline alfoscerat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94679 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57919, is not limited to a large amount of a coating agent, It is inevitably necessary to additionally add a binder and a plasticizer for smooth coating formation of the final formulation, so that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final preparation are inevitably increased as a whole, and that such additional ingredients may adversely affect the drug release of the dru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valuated as a remarkable progress.

본 발명에서 흡습제어제로 사용하는 에틸셀룰오로스는 점도(Solution viscosity)가 10(cP, mPas)이하인 형태가 바람직하고, 점도가 7(cP, mPas)이하인 것이 흡습제어 및 약물의 속방출 유도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The ethylcellulose used as the hygroscopic agent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solution viscosity of 10 (cP, mPas) or less and a viscosity of less than 7 (cP, mPas) .

에틸셀룰오로스는 타정 중량부에 대하여 1 : 0.005 내지 1 : 0.03 의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5 내지 0.01 의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보다 함습 제어가 용이하며, 약물의 방출 양상이 빠를 수 있다. 또한 에틸셀룰오로스 사용량이 타정 중량부에 대하여 0.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정제의 붕해가 지연되어 약물의 방출이 늦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약물의 흡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Ethylcellulose is preferably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1: 0.005 to 1: 0.03 relative to the tablet weight, more preferably 0.005 to 0.01 in weight, more easily controlling the release of the drug, . If the amount of ethylcellulose used is more than 0.03 part by weight, the disintegration of tablets may be delayed and the release of the drug may be delayed, thereby lowering the absorption rate of the drug.

본 발명은 콜린알포세레이트의 흡습 차단을 위해 추가로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을 배합할 수 있다. 생분해성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은 서방화 기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허용 가능한 성분이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채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 글리세릴팔미토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스테아릴알코올, 소듐스테아릴푸마레이트 또는 글리세릴베헤네이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채택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채택할 수 있다. 정확한 원리는 모르겠으나, 긴 지방산 체인을 갖는 지질성분을 콜린알포세레이트와 혼합했더니 상호 간의 미지의 작용을 하여, 최종 고형 제제를 수득했을 때, 그 제제를 코팅한 경우이건 또는 코팅하지 아니한 경우이건 제제가 오랜 기간 동안 흡습의 가혹조건에서 보관하더라도 터지지 않고 장기간 성상 유지 안정성을 나타냄을 발견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comprise a long fatty acid chain such as a lipid component for hygroscopicity blocking of choline alfoscerate. Long chain fatty acids, such as biodegradable lipid components, have been used as sustained release agents and acceptable ingredients are known. The present invention may employ any one or more of long chain fatty acids such as gastric lipid components, and preferably glyceryl monostearate, glyceryl monooleate, glyceryl palmitostearate, stearic acid, stearyl alcohol, Sodium stearyl fumarate or glyceryl behenate, and more preferably glyceryl behenate may be employed. Although the exact principle is not known, it has been found that when a lipid component having a long fatty acid chain is mixed with choline alfoscerate and has an unknown effect on each other, when the final solid preparation is obtained, when the preparation is coated,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preparation exhibits long-term stability stability even after storage for a long period of time under severe conditions of moisture absorption.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배합하는 경우 이는 타정 중량부에 대하여 1 : 0.001 내지 1 : 0.2 가 바람직하고, 타정 중량부에 대하여 1 : 0.001 내지 1 : 0.0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글리세릴베헤네이트가 타정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정제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타정이 곤란 할 수 있어, 원하는 중량의 정제(즉 700 mg 이하, 바람직하게는 650 mg 내외)를 제조하는데 곤란할 수 있다.When glyceryl behenate is compounded, it is preferably 1: 0.001 to 1: 0.2, more preferably 1: 0.001 to 1: 0.05, relative to the tableted parts by weight. If the glyceryl behenate exceeds 0.2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ableted parts by weight, the volume of the tablet becomes large and the tableting may be difficult, thereby preparing tablets of desired weight (i.e., 700 mg or less, preferably 650 mg or less) It can be difficult.

이상 설명한 것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고형제제는 제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붕해제, 활택제 또는 가용화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disintegrants, lubricants or solubilizers common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제한 없으나, 규산 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달성에 있어 바람직하다.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are not limited, bu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silicate, magnesium aluminosilicate, magnesium metasilicate alumina and talc is preferable for achieving the object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붕해제는 제한 없으나, 예컨대 크로스카멜로스소듐(Croscamellose sodium), 소듐스타치글리콜레이트(Sodium starch glycolate), 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cross-linked pov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low substituted), 알긴산(Alginic acid), 분말성 셀룰로오스, 전분(Starch) 및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달성에 있어 바람직하다.Pharmaceutically acceptable disintegr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roscarmellose sodium, sodium starch glycol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crospovidone, cross-linked povidone, In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pyrrolidone (PVP), low substituted hydroxypropyl cellulose (low substituted), alginic acid, powdered cellulose, starch and sodium alginate At least one selected is preferable in achieving the object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활택제는 제한 없으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탈크, 푸마르산 스테아릴 나트륨,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스테아르산, 및 수크로오즈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이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달성에 있어 바람직하다.Pharmaceutically acceptable lubric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loidal silicon dioxide, magnesium stearate, talc, sodium stearyl fumarate, aluminum magnesium silicate, stearic acid, and sucrose fatty acid esters. It is preferable in achieving the object of the invention.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제제는 폴리소르베이트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가용화제를 속방출을 위해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f desired, the solid prepara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olubilizing agent such as polysorbate or sodium lauryl sulfate for immediate release.

가용화제는 타정 중량부에 대하여 1 : 0.001 내지 1 : 0.1 가 바람직하고, 타정 중량부에 대하여 1 : 0.001 내지 1 : 0.05 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용화제가 타정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정제의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 및 에틸셀룰오로스의 흡습투과성을 증가시켜 타정이 곤란하게 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중량의 정제(즉 700 mg 이하, 바람직하게는 650 mg 내외)를 제조하는데 곤란할 수 있다.The solubilizing agent is preferably 1: 0.001 to 1: 0.1, more preferably 1: 0.001 to 1: 0.05 based on the tableted parts by weight. When the solubilizer exceeds 0.1 part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ablet, the long-chain fatty acid chain such as the lipid component of the tablet and the hygroscopic permeability of ethylcellulose may be increased to make tableting difficult. , Preferably about 650 mg) may be difficult to produce.

본 발명의 속방출형 고형 제제는 (a) 콜린알포세레이트와 에틸셀룰오로스를 에탄올 또는 에탄올수용액 등의 용매에 혼합 분산하여 결합액를 제조하는 단계; (b) 임의의 부형제 및 붕해제를 혼합하여 (a) 의 결합액으로 연합하는 단계; (c) 상기 (b) 의 연합물을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c) 의 건조물을 정립하고, 임의의 부형제, 붕해제 및 활택제를 넣어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d) 의 최종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타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e) 의 타정물에 오파드라이 또는 필름코팅제를 첨가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는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을 추가로 배합할 수 있다.The rapid-release solid prepa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reparing a binding solution by mixing and dispersing choline alfoscerate and ethylcellulose in a solvent such as ethanol or ethanol aqueous solution; (b) combining any of the excipients and disintegrants with the binding solution of (a); (c) drying the association of (b); (d) drying the dried material of (c), adding optional excipients, disintegrating agent and lubricant to prepare a final mixture; (e) molding the final mixture of (d) using a tablet machine to produce a tablet; And (f) adding an opaque or a film coating agent to the paint of (e) and coating. In step (a), a long fatty acid chain such as a lipid component may be further added.

상기 부형제, 붕해제 및 활택제의 사용량은 환자가 복용하기 편리한 크기의 정제와 속방출이라는 용출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가용화제를 적절히 배합할 수도 있다.The amount of the excipient, the disintegrant and the glidant to be use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ablet having a size convenient for the patient and the elution characteristics such as rapid release. Further, the solubilizing agent may be appropriately compounded.

단계 (a) 와 (b) 의 연합단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습식과립화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인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부형제에, 콜린알포세레이트, 지질성분 및 에틸셀룰오로스를 에탄올 또는 에탄올수용액에 혼합 분산한 결합액을 고속연합기에서 고속으로 혼합하면서, 습식과립화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mbining step of steps (a) and (b) can be carried out through conventional wet granulation. For example, choline alfoscerate, a lipid component, and ethylcellulose are added to at least one excipi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excipients magnesium silicate, magnesium aluminosilicate, magnesium aluminometasilicate, and talc, Alternatively, the wet granulation can be performed while mixing the binding liquid mixed and dispersed in the aqueous ethanol solution at a high speed in a high-speed coater.

상기 습식과립화에 의해 얻어진 과립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조하고, 정립할 수 있다.The granules obtained by wet granulation can be dried and sieved by a conventional method.

단계 (d) 는 단계 (c) 에서 얻어진 정립된 과립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혼합한 후, 타정하여 정제를 성형함으로써 수행된다. 여기서 후혼합 첨가제로는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부형제; 크로스카멜로스소듐(Croscamellose sodium), 소듐스타치글리콜레이트(Sodium starch glycolate), 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cross-linked povidon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저치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low substituted), 알긴산(Alginic acid), 분말성 셀룰로오스, 전분(Starch) 및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붕해제; 및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탈크, 푸마르산 스테아릴 나트륨,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스테아르산, 및 수크로오즈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활택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형제, 붕해제, 활택제 등의 첨가제 및 그 사용량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연질캡슐제와 동등한 생체이용율을 얻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Step (d) is performed by mixing the sized granules obtained in step (c)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and then tableting and shaping the tablet. Herein, as the post-mixing additive, one or more excip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silicate, magnesium aluminosilicate, magnesium metasilicate alumina and talc; Croscamellose sodium, sodium starch glycol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crospovidone, cross-linked povidone, polyvinylpyrrolidone (PVP), and starch glycol At least one disintegr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cellulose (low substituted), alginic acid, powdered cellulose, starch and sodium alginate; And at least one lubric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loidal silicon dioxide, magnesium stearate, talc, sodium stearyl fumarate, aluminum magnesium silicate, stearic acid, and sucrose fatty acid esters. no. Additives such as excipients, disintegrants, lubricants,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obtain bioavailability equivalent to that of commercially available soft capsules.

단계 (f) 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코팅제로 코팅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히드록시프로펠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필름코팅제로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Step (f) can be coated with a conventionally used film coating.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of manufa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using one or more film coating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elmethylcellulose, hydroxypropylcellulose, polyvinylalcohol, polyvinylpyrrolidone, methacrylic acid copolymer and polyethylene oxide Coating step.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Test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test examples are provided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비교예 1] 콜린알포세레이트 및 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형 제제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oduction of a solid preparatio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nd a silicic acid compound

하기 표 1 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표 1 의 함량은 단위 정제 당 함량(mg)을 의미한다.Tablets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and contents in Table 1 below. The content of Table 1 means the content (mg) per unit tablet.

활성성분으로서 콜린 알포세레이트 400 mg 에 에탄올수용액을 혼합 분산하여 결합액으로 한다. An aqueous solution of ethanol was mixed and dispersed in 400 mg of choline alfoscerate as an active ingredient to prepare a binding solution.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탤크, 크로스카멜로오스소듐을 고속연합기에서 혼합한상태에서 상기 결합액을 투입하면서 과립화하였다. 얻어진 습식 과립(wet granules)을 건조하고, 정립하였다. 얻어진 과립에 크로스카멜로오스소듐,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탈크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넣고 혼합 후, 타정하였다. 얻어진 정제를 오파드라이II85F92177옐로우 코팅기제 및 카르나우바납으로 코팅하여 필름코팅정을 제조하였다.Magnesium metasilicate aluminate, talc, and croscarmellose sodium were blended in a high speed coalescing machine, and granulation was carried out while injecting the abovementioned binding liquid. The resulting wet granules were dried and sized. Croscarmellose sodium, magnesium metasilicate alumina, talc and magnesium stearate were added to the resulting granules, mixed, and then tableted. The obtained tablets were coated with Opadry II85F92177 yellow coater and carnauba wax to prepare film-coated tablets.

[실시예 1] 콜린알포세레이트 및 규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형 제제의 제조[Example 1] Production of solid preparatio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and silicic acid compound

하기 표 1 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콜린 알포세레이트를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표 1 의 함량은 단위 정제 당 함량(mg)을 의미한다.Tablets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ingredients and contents in Table 1 below. The content of Table 1 means the content (mg) per unit tablet.

활성성분으로서 콜린알포세레이트 400 mg 에 글리세릴베헤네이트를 혼합 분산한 상태에, 에틸셀룰로오스가 용해된 에탄올수용액을 혼합 분산하여 결합액으로 한다. 400 mg of choline alfoscerate as an active ingredient is mixed and dispersed with glyceryl behenate, and an ethanol aqueous solution in which ethyl cellulose is dissolved is mixed and dispersed to prepare a binding solution.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탈크 및 크로스카멜로오스소듐을 고속연합기에서 혼합한상태에서 상기 결합액을 투입하면서 과립화하였다. 얻어진 습식 과립(wet granules)을 건조하고, 정립하였다. 얻어진 과립에 크로스카멜로오스소듐,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탈크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넣고 혼합 후, 타정하였다. 얻어진 정제를 오파드라이II옐로우 코팅기제 및 카르나우바납으로 코팅하여 필름코팅정을 제조하였다.Magnesium metasilicate alumimate, talc and croscarmellose sodium were mixed in a high-speed coalescing machine and granulated while the above-mentioned binding liquid was introduced. The resulting wet granules were dried and sized. Croscarmellose sodium, magnesium metasilicate alumina, talc and magnesium stearate were added to the resulting granules, mixed, and then tableted. The obtained tablets were coated with Opadry II yellow coating agent and carnauba wax to prepare film-coated tablets.

Figure 112016113814874-pat00002
Figure 112016113814874-pat00002

[시험예 1] 비교용출시험[Test Example 1] Comparative dissolution test

실시예 1 과 비교예 1 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용출시험을 시행하였다.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subjected to a dissolution test as described below.

용출액으로는 물액(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중 정제수) 900 mL 을 사용하였고, 용출온도는 37 ℃ 이었고, 패들의 회전속도는 50 rpm 이었다. 검체 각 6 개를 가지고 5 분, 10 분, 15 분, 30 분에 용출액을 채취하고 여과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따로 콜린알포세레이트 표준품 44.4 ㎎ 의 해당양을 정밀하게 달아 100 ㎖ 용량플라스크에 달아 물에 녹인 후 여과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As the eluate, 900 mL of water (purified water in the KIPPO General Test Methods) was used, the elution temperature was 37 ° C,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addle was 50 rpm. The eluate was collected at 5, 10, 15 and 30 minutes with 6 samples, and filtered to prepare a sample solution. Separately, the corresponding amount of 44.4 mg of choline alfoscerate standard was precisely weighed, placed in a 100-mL volumetric flask, dissolved in water, and filtered to prepare a standard solution.

검액과 표준액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The test solution and standard solution were analyzed by liquid chromatography using the following conditions.

컬럼 : APS-2 hypersil (NH-2) 4.6*250 ㎜, 5 ㎛Column: APS-2 hypersil (NH-2) 4.6 * 250 mm, 5 占 퐉

이동상 : 메탄올 : 아세토니트릴 : 물(3 : 3 : 4)Mobile phase: methanol: acetonitrile: water (3: 3: 4)

검출기 : 굴절률 검출기Detector: refractive index detector

유속 : 0.8 ㎖/minFlow rate: 0.8 ml / min

주입량 : 20 uLInjection volume: 20 uL

용출시험 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았다. The results of the dissolution test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1 의 경우 비교예 1 과 같이 약물의 방출이 15 분에 85 % 이상으로 빠른 용출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It was confirmed that the release of the drug in Example 1 was faster than 85% in 15 minutes as in Comparative Example 1.

약물방출양(%) Drug release (%) 5분5 minutes 10분10 minutes 15분15 minutes 30분30 minute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0.550.5 83.583.5 97.097.0 97.597.5 실시예 1Example 1 43.843.8 78.978.9 96.196.1 101.8101.8

[시험예 2] 생체이용률 평가[Test Example 2] Evaluation of bioavailability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정제의 생체이용률을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The bioavailability of the tablets prepared in Example 1 was evaluated through bioequivalence studies.

또한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종근당 글리아티린 연질캡슐(종근당)을 비교제제로서 함께 평가였다. Commercially available chondroitin glycyrrhizin soft capsules (chondogonadang) were also evaluated as comparative agents.

총 50 명의 시험대상자를 2 군 2 기 교차시험을 통하여, 1200 mg (Choline alfoscerate 400 mg x 3 정 또는 3 캡슐)을 150 mL의 물과 함께 1 회 경구 투여하였다. A total of 50 subjec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150 mL of water once with 1200 mg (Choline alfoscerate 400 mg x 3 tablets or 3 capsules) through a 2-group 2-fold cross-over test.

채혈시간은 투약 후 0.5, 0.75, 1, 1.33, 1.67, 2, 3, 4, 6, 8 및 12 hr 으로 채혈하고, 생물학적동등성시험 계획에 따라 시험을 하였다.Blood sampling times were 0.5, 0.75, 1, 1.33, 1.67, 2, 3, 4, 6, 8 and 12 hr after dosing and tested according to the bioequivalence study schedule.

투여 전 채혈과 투여 후 채혈을 통하여 콜린알포세레이트 내인성 물질의 차에 의해 얻어진 혈중약물농도의 약물속도론적 파라미터는 다음 표 3 과 같았다.The drug kinetics parameters of blood drug concentration obtained by pre-administration blood sampling and post-administration blood sampling by choline alfoscerate endogenous substance were as shown in Table 3 below.

상기 표 3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의 정제는 비교제제와 오차 범위 내에서 생물학적으로 동등함을 알 수 있었다.From the results of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tablets of Example 1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iologically equivalent within the tolerance range of the comparative preparation.

약동학적 파라미터Pharmacokinetic parameters 약동학적 파라미터Pharmacokinetic parameters 콜린알포세레이트 시판 연질캡슐(비교제제)Choline alfoscerate commercial soft capsule (comparative agent) 실시예 1Example 1 AUCt (ng·hr/mL)AUCt (ng · hr / mL) 1.91±0.831.91 + 0.83 1.82±1.021.82 + 1.02 Cmax (ng/mL)Cmax (ng / mL) 0.39±0.170.39 + 0.17 0.38±0.120.38 + 0.12 Tmax (hr)Tmax (hr) 2.90±2.722.90 ± 2.72 2.66±1.652.66 ± 1.65

[시험예 3] 함습 안정성 시험[Test Example 3] Humidity stability test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정제 및 시판 되는 정제를 임의의(arbitrary) 조건(40 ℃ / 75 % RH)에서 포장하지 않은 상태로 24 시간 보관한 후의 성상 및 함습된 코팅정의 두께를 확인하였다.The tablets and commercially available tablets prepar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stored for 24 hours in an unpacked condition (40 ° C / 75% RH) at arbitrary conditions Respectively.

도 1 은 함습시험 전의 초기 양상이고, 도 2 는 24 시간 후의 흡습된 양상이다.Fig. 1 shows the initial state before the humidification test, and Fig. 2 shows the hygroscopic state after 24 hours.

도 1 및 도 2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에틸셀룰오로스 및 지질성분과 같은 긴 지방산 체인을 포함하는 콜린알포세레이트 함유 실시예 1 의 정제는 정제의 성상의 변화 없이 안정된 성상을 나타낸 반면(도 2), 비교예 1 의 정제는 정제 내의 콜린알포세레이트가 습도의 영향을 받아 수분을 받아들이면서 두께가 늘어나면서 깨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Figs. 1 and 2, the tablets of Example 1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containing a long fatty acid chain such as ethylcellulose and a lipid component showed stable properties without changing the properties of the tablet (FIG. 2), and the tablets of Comparative Example 1 exhibited an appearance that the choline alfoscerate in the tablets was affected by humidity and cracked as the thickness was increased while receiving moisture.

Figure 112016113814874-pat00003
Figure 112016113814874-pat00003

Claims (9)

활성성분으로서 콜린알포세레이트를 포함하는 고형 제제로서, 콜린알포세레이트와 지질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결합제로 과립 분산한 것을 포함하며, 지질성분이 글리세릴베헤네이트, 글리세릴팔미토스테아레이트 또는 소듐스테아릴푸마레이트이고, 과립 내의 지질성분의 함량이 고형 제제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0.2 중량부이며, 결합제 내의 에틸셀룰로오스의 함량이 고형 제제 중량부 대비 0.005 내지 0.03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제제.A solid prepara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s an active ingredient, comprising a granular dispers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a lipid component with a binding agent comprising ethyl cellulose, wherein the lipid component is glyceryl behenate, glyceryl Palmitostearate or sodium stearyl fumarate, wherein the content of the lipid component in the granule is 0.001 to 0.2 part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solid preparation, and the content of ethyl cellulose in the binder is 0.005 to 0.03 part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solid preparation ≪ / RTI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가용화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제제.The solid preparatio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polysorbate or sodium lauryl sulfate as a solubilizing agent. (a) 콜린알포세레이트와 에틸셀룰오로스를 에탄올 또는 에탄올수용액에 혼합 분산하여 결합액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 의 결합액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연합하는 단계;
(c) 상기 (b) 의 연합물을 건조하는 단계;
(d) 상기 (c) 의 건조물을 정립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넣어 최종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d) 의 최종혼합물을 타정기를 이용하여 성형하여 타정물을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e) 의 타정물에 필림코팅제를 첨가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린알포세레이트 함유 고형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a) 단계에서 지질성분을 추가로 혼합하며, 지질성분이 글리세릴베헤네이트, 글리세릴팔미토스테아레이트 또는 소듐스테아릴푸마레이트이고, 과립 내의 지질성분의 함량이 고형 제제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0.2 중량부이며, 결합제 내의 에틸셀룰로오스의 함량이 고형 제제 중량부 대비 0.005 내지 0.03 중량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린알포세레이트 함유 고형 제제의 제조 방법.
(a) preparing a binding solution by mixing and dispersing choline alfoscerate and ethylcellulose in an ethanol or ethanol aqueous solution;
(b) combining the binding solution of (a)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c) drying the association of (b);
(d) sizing the dried material of (c) and add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ditive to prepare a final mixture;
(e) molding the final mixture of (d) using a tablet machine to produce a tablet;
(f) adding a film coating agent to the tablet of (e) and coating the tablet,
Wherein the lipid component is glyceryl behenate, glyceryl palmitostearate or sodium stearyl fumarate and the content of the lipid component in the granule is 0.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solid preparation, 0.2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ethyl cellulose in the binder is 0.005 to 0.03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solid preparation, of the solid preparation containing choline alfoscerate.
삭제delete
KR1020160155413A 2016-11-22 2016-11-22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794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413A KR101794573B1 (en) 2016-11-22 2016-11-22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413A KR101794573B1 (en) 2016-11-22 2016-11-22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573B1 true KR101794573B1 (en) 2017-11-07

Family

ID=6038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413A KR101794573B1 (en) 2016-11-22 2016-11-22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57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771A (en) * 2018-11-21 2020-05-29 삼익제약주식회사 Bilayer coated tablet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1080184A1 (en) * 2019-10-22 2021-04-29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Small-sized,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771A (en) * 2018-11-21 2020-05-29 삼익제약주식회사 Bilayer coated tablet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148374B1 (en) 2018-11-21 2020-08-27 삼익제약주식회사 Bilayer coated tablet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1080184A1 (en) * 2019-10-22 2021-04-29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Small-sized,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KR20210048031A (en) * 2019-10-22 2021-05-03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Minimized and Sustained Released Pharmaceutical Dosage Form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KR102381836B1 (en) 2019-10-22 2022-04-05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Minimized and Sustained Released Pharmaceutical Dosage Form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720B1 (en) Method for stabilizing anti-dementia drug
KR101290925B1 (en) Coated tablet formulation and method
KR102072546B1 (en) Oral tablet formulation of lenalidomide
WO2009034541A9 (en)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of trimetazidine
WO201410467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bility, containing temozolom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533286B1 (en)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2934488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andesartan cilexetil and amlodipine
KR20040006887A (en) Compositions for controlled release acetaminophen dosage forms
KR101794573B1 (en) Immediate-release solid preparations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101853347B1 (en) Choline alfoscerate-containing table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EA023340B1 (en) Ropinirole composition
US9173842B2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soluble vinflunine salt
US20100055177A1 (en) Modified release composition of levetiracetam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1583452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KR20150079449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lomiprami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127625B1 (en) Hydromorphone hydrochloride-containing oral sustained-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WO2017093890A1 (en) Clobazam tablet formulatio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WO2010103539A2 (en) Sustained release oral formulation of vinpocetine
KR2020003375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holine alfoscerate
KR101809886B1 (en) Minimized Oral Dosage Formulation of Clarithromycin
JP5774308B2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water-soluble vinorelbine salt
CN103768034A (en) Sustained or controlled release solid composition comprising bupropion hydrochloride
KR102308227B1 (en) Oral tablet composition containing sunitinib
JP4696210B2 (en) Sustained-release tablets containing isosorbide-5-mononitrat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404612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with improved elution and/or absorb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