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835B1 - Smart matress and smart mat - Google Patents

Smart matress and smart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835B1
KR101793835B1 KR1020160107118A KR20160107118A KR101793835B1 KR 101793835 B1 KR101793835 B1 KR 101793835B1 KR 1020160107118 A KR1020160107118 A KR 1020160107118A KR 20160107118 A KR20160107118 A KR 20160107118A KR 101793835 B1 KR101793835 B1 KR 10179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sensing
smar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정호
이현자
Original Assignee
안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호 filed Critical 안정호
Priority to KR102016010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8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8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2Detecting sleep stages or cy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H05B3/347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woven fab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attress, capable of always monitoring a sleeping state of a user and providing an optimal sleeping environment for the user based on the monitored sleeping state of the user, wherein the smart mattress can monitor information in an internet of things-based home networking system and can be a control subject of a control motion based on the monitored information.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mattress includes: a mat unit elastically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user; a heating pad unit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t unit and converting electricity supported from a power supply unit to heat energy; an input unit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to a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mart mattress and the heating pad unit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The heating pad unit is superficially and generally formed of fabric formed of self-heating fiber by electricity.

Description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SMART MATRESS AND SMART MAT}Smart mattresses and smart mats {SMART MATRESS AND SMART MAT}

본 발명은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항상 모니터링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수면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 거주 공간에 구축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나 환경 정보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변 기기들을 사용자의 상태 또는 최적의 환경에 맞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attress and a smart ma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attress and a smart m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mattress and a smart m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attress and a smart mat which are capable of monitoring user's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for a control operation and controlling the peripheral devices according to a user's condition or an optimal environment based on the monitored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침대에 사용되는 매트리스(즉, 종래기술에 따른 매트리스)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상부 외피층과, 상기 상부 외피층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 구조물에 종횡 다수열로 배열 착설된 스프링들의 탄성에 의해 쿠션감을 제공하는 매트부로 구성된다. Background Art [2] Generally, a mattress used in a bed (i.e., a mattr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n upper shell layer on which a user is seated, a spring structure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hell layer, And provides a cushioning feeling.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매트리스의 일예가 한국공개특허 10-2006-0082160에 개시되어 있다.One example of such a prior art mattres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6-0082160.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매트리스는 사용자에게 쿠션감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의 수면시의 체온, 심박수, 호흡강도 등의 신체상태의 변화 및/또는 매트리스의 상태(예를 들어, 온도, 습도 등)의 변화에 대해서 쾌적한 수면을 제공하기 위해 수면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이나 기술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의 수면 편의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However, the mattr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provides only the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and the mattress of the mattress state (for example, temperature, humidity, etc.) changes in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such as body temperature, heart rat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leeping convenience of the user is very low because no means or technique for changing the sleeping environment has been disclosed at all to provide a pleasant sleep.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mattress and a smart mat that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최적의 수면환경을 공급할 수 있는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mattress and a smart mat that can provide an optimal sleeping environment to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거주 공간에 구축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나 환경 정보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변 기기들을 사용자의 상태 또는 최적의 환경에 맞게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매트리스 및 스마트 매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user's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for a control operation in a home Internet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in a user's residence space,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a smart mattress and a smart mat which can be controlle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침구용 매트리스로서, 사용자의 체중을 탄성 지지하는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열 패드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자동으로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 및 상기 발열 패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패드부는 표면적 전체적으로 전력에 의한 자체 발열 섬유로 된 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매트리스를 제공할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mattress for a smart bedding comprising: a mat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weight of a user; A heating pad unit provided on the mat unit and switch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heat energ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edding mattress and the heating pad unit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or automatically, wherein the heating pad unit is composed of a fabric made of self-heating fibers, A mattress for an acupuncture can be provi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체 발열 섬유는, 은(Ag) 성분이 코팅된 신축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lf heat generating fiber is a stretchable fiber coated with a silver (Ag) componen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의 측면에 구비되는 터치형 입력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전기전도성 섬유로 된 직물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type input pad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edding mattress, and the touch-type input pad is a fabric piec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d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는,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의 양측면 각각에 대해 벨크로부재 및 암수 커넥터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ouch-type input pad i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detach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edding mattress by a Velcro member and a male and female connector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는, 상기 발열 패드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착 패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표면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심박수, 근전도 및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사용자의 수면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체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매트부에 구비되며, 상기 매트부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내부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가 위치하는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피제어용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edding mattress includes a surface condition measuring sensor provided on a seating pad portion located above the heating pad portion and sen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of the seating pad portion; A user's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user's heart rate, EMG, and respiration state that is seated on the bedding mattres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of a user sitting on the bedding mattress; An internal state measuring sensor provided on the mat unit and sensing a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mat unit; And a sensing unit including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an illuminance of an interior space for the bedroom where the bedding mattress is located,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to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located in the bedroom room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조명기기,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창에 구비되는 전동 차광장치 및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구비되는 텔레비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lluminating device located in the bedroom-use indoor space, a electric shading device provided in a window of the bedroom-use indoor space, and a television provided in the bedroom-use indoor space And a control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 또는 수면 직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를 OFF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텔레비젼을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텔레비젼의 음향볼륨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창을 차광시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전동 차광장치 각각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sleep state or in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water surfac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lighting device, Or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sound volume of the television and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electric shading device to shade the window are transmitted to the lighting device and the electric shading device, respective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상 알람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각이 상기 기상알람시간 또는 상기 기상알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범위 내이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창을 통하여 빛이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으로 들어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동 차광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urrent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rising-alarm time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bedding mattress and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posture within a range before or after a preset time from the alarm time,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electric shading device such that light enters the bedroom space through the window To the electric shading devi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미만이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를 ON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텔레비젼을 ON시키거나 또는 ON시킨 후 음향볼륨을 점차 증가시키는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텔레비젼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illuminance of the bedroom-use indoor space is less than a preset illuminance and the user's posture is determined to be a lying posture, the controller may turn on the television and a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illuminating device Or a control signal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sound volume after turning ON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and the televis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는 상기 안착 패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햅틱 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이 가해지도록 상기 햅틱 패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edding mattress further includes a haptic pad portion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ad portion, and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ture is a lying posture, And controls the haptic pad unit so that the haptic pad unit is appli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상알람시간은,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에 축적된 상기 사용자의 수면시간에 대한 누적정보 및 기상시간에 대한 누적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ising-alarm time is automatically reset or re-adjusted based on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sleeping time of the user accumulat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rising time, Is automatically reset or readjusted on the basis of the schedule of < / RTI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 패드부는 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좌측 발열부와 우측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includes a left heat generating portion and a right heat generating portion, the temperature of which is controlled independent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에 수렴하도록 각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state based on the sens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unit is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each heat generating pad por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portion converges to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humidit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 및 습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 및 습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여부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공기조화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includes an air conditioner located in the bedroom spa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rol unit such that when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stat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portion is determined to b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reference humidity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 pad portion ar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humidity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is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가 오염되었거나 또는 오염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bedding mattress is contaminated or may be contamina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pad unit to dry the bedding mattress, And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가 오염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의 오염사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지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bedding mattress is contamina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bedding mattress is contaminated,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침구용 매트리스의 메모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부에 상기 사용자가 인지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stores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in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memory unit of the bedding mattress, or stores the sens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in the output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 매트로서, 실내공간의 바닥 또는 침대 매트리스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 패드부와; 상기 하부 매트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열 패드부와; 상기 발열 패드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안착패드부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 매트 및 상기 발열 패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패드부는 표면적 전체적으로 전력에 의한 자체 발열 섬유로 된 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mat comprising: a lower pad portion that is seated on a floor of an indoor space or an upper portion of a bed mattress; A heating pad unit provided on the lower mat unit and switch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heat energy; A seating pad portion provided on the heating pad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of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mart mat and the heat generating pad unit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or automatically, wherein the heat generating pad unit is formed of a fabric made of self heat generating fibers by electric power on the whole surface area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마트 매트의 안착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전기전도성 섬유로 된 직물편로 이루어진 터치형 입력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는, 상기 스마트 매트의 양측면 각각에 또는 상기 안착면의 머리 대응부분의 양쪽 각각에 대해 벨크로부재 및 암수 커넥터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type input pad provided on a seating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smart mat, the touch-type input pad being made of a fabric piec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ructured so as to be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detachably coupled by a Velcro member and male and female connectors to either side of each side of the smart mat or to both of the head corresponding parts of the seating surf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매트는, 상기 안착 패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표면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심박수, 근전도 및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사용자의 수면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체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가 위치하는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피제어용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mart mat further comprises: a surface condition measuring sensor provided on the seating pad unit and sen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A sleep state measuring sensor of a use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heart rate, an EMG, and a breathing state of a user seated on the smart mat;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user sitting on the smart mat; And a sensing unit including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interior space for the bedroom where the smart mat is located,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based on signals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the sensing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located in the bedroom-use indoor spa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조명기기,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창에 구비되는 전동 차광장치 및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구비되는 텔레비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lluminating device located in the bedroom-use indoor space, a electric shading device provided in a window of the bedroom-use indoor space, and a television provided in the bedroom-use indoor space And < RTI ID = 0.0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 또는 수면 직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를 OFF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텔레비젼을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텔레비젼의 음향볼륨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창을 차광시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전동 차광장치 각각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sleep state or in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water surfac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lighting device, Or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sound volume of the television and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electric shading device to shade the window, to the lighting device and the electric shading device, respectively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매트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상 알람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각이 상기 기상알람시간 또는 상기 기상알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범위 내이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창을 통하여 빛이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으로 들어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동 차광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user's rising-alarm time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smart mat and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motor-driven light-shielding device so that the light enters the bedroom space through the window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position, To the electric shading devi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매트는 상기 안착 패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햅틱 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이 가해지도록 상기 햅틱 패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mart mat further includes a haptic pad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ad unit.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ture is a lying posture, And controls the haptic pad uni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상알람시간은,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에 축적된 상기 사용자의 수면시간에 대한 누적정보 및 기상시간에 대한 누적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ising-alarm time is automatically reset or re-adjusted based on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sleeping time of the user accumulat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rising time, And is automatically reset or readjusted based on the schedule of < RTI ID = 0.0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 패드부는 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좌측 발열부와 우측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 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 및 습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에 수렴하도록 각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includes a left heating portion and a right heating portion, the temperature of which is independently controlled, and the control portion controls the heating portion, when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stat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portion,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each heat generating pad portion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 pad portion converge to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portion is different from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 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여부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공기조화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includes an air conditioner located in the bedroom spac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rol unit such that when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stat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ad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ing pad unit converges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eating pad unit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is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발열 패드부가 자체 발열 섬유로 구성된 직물편으로 구성됨으로써, 발열 패드부의 오염시 세탁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등 및 허리부분에 대한 이물감(예를 들어, 배김 느낌)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의 수면 편의성 및 유지보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ing pad is formed of a fabric piece composed of self-heating fibers,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can be easily washed when dirty, and a foreign body Feeling) can be removed, so that the sleeping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ease of maintenan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면상태 및/또는 스마트 매트리스(또는 스마트 매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수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침상의 온도나 습도, 또는 매트리스 내부의 오염도 등을 감지하고, 이를 반영하여 최상의 수면 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user ' s sleep state and / or the state of the smart mattress (or smart mat) and provide an optimum sleep environment for the user based on this.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of the bed or the degree of pollution in the mattress, and to provide the best sleeping condition by reflect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침대에 눕는 것 만으로도 사용자에 관한 신체 정보가 모니터링 될 수 있고, 이를 매트리스와 연계된 무선 단말기로도 확인 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 정보 접근 편의성도 높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lies down on the bed, the body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can be monitored, and the information can be also confirmed by the wireless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mattress,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access health information.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 거주 공간에 구축된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신체 정보나 환경 정보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변 기기들을 사용자의 상태 또는 최적의 환경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a user's body information or environment information for a control operation in a home Internet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which is built in a user's residence space. Based on this,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면상태 및/또는 스마트 매트리스(또는 스마트 매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항상 자신이 의도한 기상시간에 확실하게 기상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ist the user in monitoring the sleep state of the user and / or the state of the smart mattress (or smart mat) so that the user can always reliably wake up at his or her intended wake-up tim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침실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압력감지센서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스마트 매트리스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의 숙면유도 제어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의 기상보조기능 제어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의 수면상태 쾌적화 기능 제어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의 자가 유지기능 제어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bedroom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mattr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 sensing sensor of FIG. 2. FIG.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mart mattress for a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sleeping surface induction control algorithm of a smart mattres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weather assist function control algorithm of a smart mat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sleep state comfort function control algorithm of a smart mat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self-sustaining function control algorithm of a smart mattr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Also,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스마트 침실 시스템(1000)에 대한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mart bedroom system 10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 침실 시스템(10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100)(또는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침대)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700)(또는 슬림형 스마트 매트리스 또는 깔개용 스마트 매트리스)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700)와 상호 무선 통신하도록 무선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사용자(즉, 스마트 매트리스(100)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700)와 상호 무선 통신하도록 무선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가 위치하는 침실용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피제어용 주변기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와 상기 복수 개의 피제어용 주변기기를 상호 통신적으로 연결하는 통합데이터 서버를 포함한다.1, a smart bedroom system 10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mattress 100 (or a smart bed including the smart mattres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mattress 100 or a smart mattress 100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mattress 100 or 700, And a plurality of controlled peripherals connected to the smart mattresses 100 and 70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mattresses 100 and 700, And an integrated data server for communicative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smart mattress 100, and the plurality of controlled peripherals. .

여기서, 상기 통합데이터 서버는 IFTTT(IF This, Then That)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Here, the integrated data server may include an IFTTT (IF This, Then That) program.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와 상기 복수 개의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별도의 통합데이터 서버를 경유하지 않고 상호 직접적으로 근거리통신모듈 등을 통해 상호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Als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e smart mattress 100, and the plurality of controlled peripherals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directly via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or the lik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parate integrated data server.

상기 복수 개의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주변에 배치 및 설치되는 전기전자 기기로서,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 및/또는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The plurality of controlled peripherals are disposed and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smart mattress 100 inside the bedroom space, and the smart mattress 100 and / or the portable terminal 200 of the user,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장치(300)와,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기기(400)와,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창에 구비되며 상기 창을 통하여 자연광이 침실용 실내공간으로 투과되도록 및 투과되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전동 차광장치(500)(즉, 전동모터로 개폐되는 커튼 구조체, 또는 전동모터로 자연광을 차광 또는 투광시키는 블라인드 조립체)와,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텔레비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 1, the plurality of controlled peripherals include an air conditioner 300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bedroom room, A lighting device 400 and a motorized light shielding device 500 provided in a window of the bedroom room and controlling natural light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ndow and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ndow, A curtain structure, or a blind assembly that shades or emits natural light with an electric motor), and a television disposed in the bedroom space.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1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압력감지센서(144)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mattres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44 of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는,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하는 안착 패드부(101)와,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면상태 측정센서(141)와, 상기 수면상태 측정센서(1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센서(144)와, 상기 압력감지센서(144)의 하부에 구비되는 발열 패드부(151)와, 상기 발열 패드부(151)의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체중을 탄성 지지하는 매트부(103)를 포함한다.2 and 3, the smart mattress 100 includes a seating pad unit 101 to which a user's body touches, a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provided below the seating pad unit 101, A pressure sensor 144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a heating pad portion 151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sensor 144; And a mat portion 103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51 to elastically support the user's body weight.

상기 안착 패드부(101)에는 표면상태 측정센서(142) 및 조도센서(14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표면상태 측정센서(142)는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도센서(145)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At least one of the surface state measuring sensor 142 and the illuminance sensor 145 is provided on the seating pad unit 101. The surface condition measuring sensor 142 is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101 and the illuminance sensor 145 is configured to sense the illuminance of the bedroom room.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상태 측정센서(142)는 각 사용자의 수에 대응되는 수량만큼 각 사용자의 등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등부분이 안착 패드부(101)와 가장 접촉면적이 넓고 접촉지속시간이 길며 수면시 사용자의 인체에서 땀이 많이 분비되는 위치이기 때문이다.Preferably, the surface state measurement sensor 142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portion of each user by a quantit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users. This is because the back part of the user has the largest contact area with the seating pad part 101, the contact duration is long, and a lot of sweat is secreted from the user's body during sleeping.

또한, 상기 조도센서(145)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조도센서(145)는 후술할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제어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침대 프레임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lluminance sensor 145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sense the illuminance of the bedroom space.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illuminance sensor 14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80 of the smart mattress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installed in the bed frame.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하부에는 수면상태 측정센서(141)가 구비된다. 상기 수면상태 측정센서(141)는 사용자의 심박수, 근전도 및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수면시 사용자의 수면상태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면상태 측정센서(141)는 사용자의 어깨 쪽에 하나, 허리 쪽에 하나 총 2개 구비될 수 있다. A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is provided below the seating pad unit 101. The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is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user's heart rate, electromyogram, and breathing state, and is configured to monitor the user's sleep state at the time of sleep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The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may be provided on the shoulder side of the user, or on the waist side of the user.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하부에 및/또는 상기 수면상태 측정센서(141)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체압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144)가 구비된다. A pressure sensing sensor 144 is provided below the seating pad unit 101 and / or below the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to sense information on a user's body pressur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는 로드셀(load cell)로 구성되고,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부전극(144a)와, 상기 복수 개의 상부전극과 서로 교차하도록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전극(144b)과, 상기 상부전극과 상기 하부전극 사이에 구비되며 유전체층(15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pressure sensor 144 includes a load cell, a plurality of upper electrodes 144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electric layer 153 dispos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The lower electrode 144b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electrode 144b.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층(153)의 내부에는, 햅틱 패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햅틱 패드부(153)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는 패드부이다. 상기 햅틱 패드부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상기 햅틱 패드부가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후술할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제어부(180)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dielectric layer 153 may include a haptic pad. The haptic pad unit 153 is a pad unit that artificially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pad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pad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80 and / or the portable terminal 200 of the smart mattress 10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또한, 상기 햅틱 패드부는,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pad unit may include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a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상기 압력감지센서(144)의 하부에는,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열 패드부(151)가 구비된다. A heat generating pad unit 151 for converting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to heat energy is provided under the pressure sensor 14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 패드부(103)는 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좌측 발열부와 우측 발열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좌우 각각에 2명 안착되는 스마트 매트리스의 경우, 사용자의 기호 또는 편의에 맞게 각자 발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heat generating pad unit 103 includes a left heat generating unit and a right heat generating unit, the temperature of which is independently controlled. Therefore, in the case of a smart mattress in which two users are seat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temperature of each heat generating por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r convenience of the use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패드부(151)는 표면적 전체적으로 전력에 의한 자체 발열 섬유로 된 직물과, 자체 발열 섬유 직물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상기 전원공급부는 매트부(103)에 배치될 수 있다)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체 발열 섬유는, 은(Ag) 성분이 코팅된 신축성 섬유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발열 패드부(151)가 자체 발열 섬유로 구성된 직물편으로 구성됨으로써, 발열 패드부(151)의 오염시 세탁이 용이하며 사용자의 등 및 허리부분에 대한 이물감(예를 들어, 배김 느낌)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의 수면 편의성 및 유지보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eat generating pad unit 15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bric made of self heat generating fibers by electric power on the whole surface area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self heat generating fiber fabric piece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in the mat unit 103 . Specifically, the self-heating fiber is composed of a stretchable fiber coated with a silver (Ag) componen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151 is formed of a fabric piece composed of self heat generating fibers, it is easy to wash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151 when it is dirty and a foreign body feel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leeping and maintenance of the user.

상기 발열 패드부(103)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탄성 지지하는 매트부(103)가 구비된다. 상기 매트부(103)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20)와, 상기 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 및 상기 발열 패드부(151)를 제어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매트부(103)의 내부 습도 및 내부 먼지 축적 정도 등 매트부(103)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내부상태 감지센서가 구비된다.At a lower portion of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103, a mat portion 103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user's body weight is provided. The mat unit 103 includes an input unit 120 for receiving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mart mattress and the heating pad unit 151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20 or automatically And an internal stat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mat unit 103 such as the internal humidity of the mat unit 103 and the degree of internal dust accumulation.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측면에 구비되는 터치형 입력패드(121)를 포함한다.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touch-type input pad 121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mart mattress.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입력패드(121)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전기전도성 섬유로 된 직물편이다. 즉,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121)는 전기전도성 섬유가 2차원 직교 좌표 형식으로 배치되는 직물편이며, 직물편의 테두리에는 전극이 구비되어 직교 좌표에서 인지된 신호를 전극을 통하여 후술할 제어부(18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touch-type input pad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bric piec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In other words, the touch-type input pad 121 is a fabric piece in which the electroconductive fibers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Cartesian coordinate format. An electrode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fabric piece, .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121) 및/또는 후술할 제어부(180)(예를 들어, PCB, FPCB 등)는,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양측면 각각에 대해 벨크로부재 및 암수 커넥터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스마트 매트리스(100)가 침실용 실내공간에서 배치되는 방식에 무관하게, 터치형 입력패드(121)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touch-type input pad 121 and / or a control unit 180 (e.g., PCB, FPCB, etc.) to be described later are mechanically and / or mechanical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mart mattress by a Velcro- And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and detachably couple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touch-type input pad 121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regardless of the manner in which the smart mattress 100 is disposed in the bedroom space,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

이하에서는, 신호의 흐름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매트리스(1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 및 기술적 특징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components and technical features included in the smart mattres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low of signal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100)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mart mattres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 및/또는 피제어용 주변기기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무선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110)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120)와,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최적의 전력(즉, 구동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130)와; 사용자의 상태 및/또는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상태 및/또는 침실용 실내공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감지 및/또는 측정하는 센싱부(140)와; 각 종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0)와;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한다.4, the smart mattress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for directly or indirectly transmitting / receiving wireless data signals to / from a user's portable terminal 200 and / or controlled peripheral devices, A power conversion unit 130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n optimal power (i.e., driving power); A sensing unit 140 for sensing and / or measuring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user and / or the state of the smart mattress 100 and / or the indoor space of the bedroom; A memory unit 160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 or data; And an interface unit (170).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입력부(120), 상기 센싱부(140)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한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피제어용 주변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80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120, the sensing unit 140 and the user's portable terminal 200, To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located in the bedroom room through the network.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모듈(111)을 포함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이때,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fi 등이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1 is a module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fi,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사용자의 수신호로 수신하는 터치형 입력패드(121)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사용자의 음성신호로 수신하는 마이크(12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type input pad 121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as a user's signal and a microphone 122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as a user's voice signal .

상기 마이크(122)는 마이크(122)로폰(Microphone)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제어부(180)에서 인지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 voice signal of a user by a microphone 122 and processes the voice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recognizable by the control unit 180 and transmitted. The microphone 122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상기 전력 변환부(130)는 전원공급부(예를 들어, 한국 전력 등)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작동 또는 구동에 적합한 형태의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변환부(130)는 AC-DC 컨버터일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converts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for example, KEPCO) into electric power suitable for operation or driving of the smart mattress 100. For example, the power conversion unit 130 may be an AC-DC converter.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발열 패드부(151)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착 패드부(101)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표면상태 측정센서(142)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심박수, 근전도 및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사용자의 수면상태 측정센서(141)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체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144)와; 상기 매트부(103)에 구비되며, 상기 매트부(103)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내부상태 측정센서(143)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가 위치하는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4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sensing unit 140 is disposed on the seating pad unit 101 positioned on the heating pad unit 151 and sens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101. [ A measurement sensor 142; A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heart rate, an electromyogram, and a breathing state of a user who is seated on the smart mattress; A pressure sensor 144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user sitting on the smart mattress; An internal state measuring sensor 143 provided on the mat unit 103 for sens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mat unit 103; An illuminance sensor 145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interior space for the bedroom where the smart mattress is located; As shown in FIG.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제어부(180)에 전기적 또는 통신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 매트리스(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스마트 매트리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충전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to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80 in electrical or communication signals.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smart mattress 100 or transmits data in the smart mattress 1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 charging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An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상기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122)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 Memory,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In addition, the smart mattress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unit 160 on the Internet.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 상기 발열 패드부(151) 및 피제어용 주변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18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mart mattress, the heating pad unit 151 and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120 or automatically.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숙면유도 제어알고리즘,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기상보조기능 제어알고리즘,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수면상태 쾌적화 기능 제어알고리즘 및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자가 유지기능 제어알고리즘을 구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sleeping induction control algorithm of the smart mattres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ther assist function control algorithm of the smart mattress 100, A function control algorithm and a self-sustaining function control algorithm of the smart mattress 100 are implemen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 및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메모리부(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출력부에 상기 사용자가 인지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수면패턴이나 수면습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stores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in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of the user and the memory unit 160 of the smart mattress or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analyzes the user's sleep pattern, sleep habits, and the like and provides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user.

이하에서는, 해당 도면을 참고하여, 각 기능 제어알고리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functional control algorithm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숙면유도 제어알고리즘(S21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5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sleep induction control algorithm S2100 of a smart mattres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14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 또는 수면 직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400)를 OFF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텔레비젼(600)을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텔레비젼(600)의 음향볼륨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창을 차광시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500)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400) 및 상기 전동 차광장치(500)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the sleep state or in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water surfac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8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lighting device 400, 600 or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volume of sound of the television set 600 and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electric shading apparatus 500 to shade the window, 400 and the electric shading device 50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통합데이터 서버를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 및/또는 피제어용 주변기기로 전송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80 is directly or in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s portable terminal 200 and / or the controlled peripher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 or the integrated data server.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우선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체압정보를 수신한다.(S2110) 상기 체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즉, 좌측 발열부의 상부인지 또는 우측 발열부의 상부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사용자의 체압 분포 면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5, the controller 180 first receives the body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or 144. (S2110) The body pressur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f the user (i.e., the upper part of the left heating part Or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is in the upper part of the right heating part) and / or information on the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of the user.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2120)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pressure distribution are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44 exceeds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S2120)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스마트 매트리스(100)에 누운자세라고 판단한다.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s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44 exceeds the preset surface area,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ture is a lying posture on the smart mattress 100. [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수면상태 측정센서(141)로부터 누운 상태인 사용자의 심박수 및/또는 호흡강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S2130)Then, the controller 18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heart rate and / or respiration intensity of the user lying down from the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S2130)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면상태 측정센서(141)로부터 감지된 심박수 및/또는 호흡강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2140)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heart rate and / or respiratory intensity sensed by the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level. (S2140)

이후,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수면상태 측정센서(141)로부터 감지된 심박수 및/또는 호흡강도가 기설정된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직전 상태(즉, 졸린 상태) 또는 수면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S2150)If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at the heart rate and / or the breathing intensity sensed by the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141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state is in a state , Sleeping state) or sleeping state. (S2150)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조명기기(400) OFF 제어신호 및/또는 텔레비전 OFF 제어신호 및/또는 텔레비전 볼륨 (점진적) 감소 제어신호 및/또는 전동 차광장치(500) 차광모드 작동 제어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S2160)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400 OFF control signal and / or the television OFF control signal and / or the television volume (gradual) reduction control signal and / or the electric shading device 500 shading mode operation control signal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or selectively,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S2160)

또한, 반대로, 상기 제어부(180)는, S2120 단계에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및/또는 S2140 단계에서 심박수 또는 호흡강도가 기설정된 수준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깨어있는 상태(즉, 비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S2170)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80)는 입력부(120) 및/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Conversely,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in step S2120 that the user's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urface area, and / or if it determines in step S2140 that the heart rate or breathing intensity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I.e., non-sleep state). (S217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80 can be manually controlled by the input unit 120 and / or the portable terminal 200 of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기상보조기능 제어알고리즘(S22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FIG. 6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weather assist function control algorithm (S2200) of a smart mattres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상 알람시간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센싱부(140)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각이 상기 기상알람시간 또는 상기 기상알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범위 내이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전동 차광장치(500) 투광모드 작동 제어신호 및/또는 조명기기(400) ON 제어신호 및/또는 텔레비전 ON 제어신호 및/또는 텔레비전 볼륨 (점진적) 증가 제어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user's rising-alarm time stored in the memory unit 160 of the smart mattress and / or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40,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posture within a range before or after a preset time from the rising-alarm tim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light blocking mode operation control signal and / Or sequentially or selectively, the device 400 ON control signal and / or the television ON control signal and / or the television volume (incremental) increase control signal, and transmit the sam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시각이 기상알람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10) 상기 기상알람시간은 기설정된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6,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ime is a rising alarm time (S2210). The rising alarm time may include a range before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

이후, 상기 제어부(180)가 현재시각이 기상알람시간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체압정보를 수신한다.(S2221) 상기 체압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즉, 좌측 발열부의 상부인지 또는 우측 발열부의 상부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사용자의 체압 분포 면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Thereafter,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time is the rising-alarm time,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body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or 144. (S2221) The body pressure information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user That i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pper side of the left heating portion or the upper side of the right heating portion) and / or information on the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of the user.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2222)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pressure distribution are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44 exceeds a preset surface area (S2222).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스마트 매트리스(100)에 누운자세(기상하지 않은 상태 또는 졸린 상태)라고 판단하고, 전동 투광장치 투광모드 작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동 차광장치(500)를 제어한다.(S2223)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s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44 exceeds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posture State or sleeping state), and generates a light emission mode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the electric motorized light transmitter to control the electric light shielding apparatus 5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S2223)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조도센서(145)로부터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S2231) 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illuminance of the bedroom space from the illuminance sensor 145 (S2231)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미만인지 여부(즉, 충분한 자연광이 실내공간에 비추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32) 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illuminance of the indoor space for the bedroom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that is, whether sufficient natural light is illuminated in the indoor space) (S2232)

이후, 상기 제어부(180)가 감지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체압정보를 수신한다.(S2241) Thereafter,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illuminance detected is less than the preset illuminance,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body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or 144 (S2241)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2242)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44 exceeds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S2242)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스마트 매트리스(100)에 누운자세(기상하지 않은 상태 또는 졸린 상태)라고 판단하고, 조명기기(400) ON 제어신호 및/또는 텔레비전 ON 제어신호 및/또는 텔레비전 볼륨 (점진적) 증가 제어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조명기기(400) 및/또는 텔레비전을 제어할 수 있다.(S2243)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s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44 exceeds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posture Or the sleeping state), and generates the ON control signal and / or the television ON control signal and / or the television volume (gradual) increase control signal of the lighting device 400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or selectively, The lighting apparatus 400 and / or the television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200. (S2243)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체압정보를 수신한다.(S2251) 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body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or 144 (S2251)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2252)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pressure distribution are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44 exceeds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S2252)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스마트 매트리스(100)에 누운자세(기상하지 않은 상태 또는 졸린 상태)라고 판단하고, 햅틱 패드부 가진모드 작동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햅틱 패드부를 제어할 수 있다.(S2253)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s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44 exceeds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posture State or sleeping state), and can control the haptic pad unit by generating a mode operation control signal having the haptic pad part (S2253)

또한, 반대로, 상기 제어부(180)가 S2222 단계, S2242 단계, S2252 단계에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이미 기상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의 단계에 대해서는 진행하지 않는다.On the contrary, if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in step S2222, step S2242, and step S2252 that the user's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surface area,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already woken up, Do not proceed with.

상기 제어부(180)는, 위에서 전술한 S2223 단계, S2243 단계 및 S2253 단계는 대응되는 작동 선결 조건이 서로 간에 바뀌어도 또는 조합적으로도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corresponding operation pre-conditioning conditions so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precondition conditions can be chang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in combination, in the steps S2223, S2243, and S2253 described above.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상알람시간은, 상기 제어부(180)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에 축적된 상기 사용자의 수면시간에 대한 누적정보 및 기상시간에 대한 누적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기상알람시간에 대한 자동학습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쥴(예를 들어, 주중 및 주말, 또는 평일 및 공휴일 등)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기상알람시간을 재설정 또는 재조정할 수 있다.Preferably, the wake-up time may be automatically reset or re-adjusted based on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sleeping time of the user accumulat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cumulative information on waking time. That is,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n automatic learning algorithm for the rising-alarm time. The controller 180 may automatically reset or reset the rising-alarm time based on the schedule of the user (for example, weekday and weekend, weekday, holiday, etc.).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수면상태 쾌적화 기능 제어알고리즘(S23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7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sleep state comfort function control algorithm S2300 of the smart mattres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 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에 수렴하도록 각 발열 패드부(103)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s posture is in a lying stat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101 based on the individual criterion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each heat generating pad portion 103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portion 101 converge on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humidity.

여기서, 실외온도에 기초한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란 계절을 고려하여 수면에 최적화된 온도 및 습도를 의미하고,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온도 및 “개별” 기준습도란 좌측 발열부의 사용자 및 우측 발열부의 사용자 각각에게 수면시 개별적으로 최적화된 온도 및 습도를 의미한다. 이는, 좌측 발열부의 사용자 및 우측 발열부의 사용자가 서로 체형, 체질 등이 상이하여 최적의 수면 온도 및 수면 습도가 각자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reference humidity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mea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ptimized for the water su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season,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humidity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are the user and the right side heat Mean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dividually optimized for sleep for each of the minor users. This is because the user of the left heating unit and the user of the right heating unit are different in body shape, constitution, and the like, so that the optimum sleeping temperature and the sleeping humidity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나아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 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발열 패드부(103)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300)의 작동여부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공기조화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101 based on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temperature of the heat pad part 103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part 101 converge on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humidity 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device 300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300 and the temperatur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체압정보를 수신한다.(S2310) 7, the controller 180 receives the body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or 144 (S2310)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 (S2320)T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pressure distribution area detected from the pressure sensor 144 exceeds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S2320)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4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체압 분포 면적이 기설정된 표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표면상태 감지센서로부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또는 습도 정보를 수신한다. (S2330)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body pressure distribution are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ing sensor 144 exceeds the preset surface area by using the temperature and / or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101 Information is received. (S2330)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와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340)Thereafter,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101 ar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humidity (S2340)

이후,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발열 패드부(103) 온도 조절 제어신호 및/또는 공기조화장치(300) 온도 조절 제어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전송한다. (S2350)If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101 ar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and the reference humidity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heating pad unit 103,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and / or the air conditioner 300 temperature control signal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sequentially or selectively generated and transmitted. (S2350)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S2330 단계, S2340 단계 및 S2350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안착 패드부(101)의 온도 및 습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 및 개별 기준 습도 또는 이를 포함하는 범위에 수렴하도록 발열 패드부(103) 및/또는 공기조화장치(300)를 제어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80 repeats steps S2330, S2340, and S2350 so as to converg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101 to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individual reference humidity or a range including the reference temperature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103 and / or the air conditioner 300 are controll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100)의 자가 유지기능 제어알고리즘(S2400)에 대한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8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self-sustaining function control algorithm (S2400) of the smart mattres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가 오염되었거나 또는 오염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발열 패드부(103)의 온도를 증가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mart mattress is judged to be contaminated or contamina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heating pad The temperature of the portion 103 is increased.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가 오염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오염사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지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that the smart mattress is contamina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smart mattress is contaminated, To the terminal (200).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내부상태 측정센서(143)로부터 매트부(103)의 습도 및/또는 먼지누적정도 등의 오염도 정보를 수신한다.(S2410)8, the controller 180 receives pollution degree information such as humidity and / or dust accumulation degree of the mat unit 103 from the internal state measurement sensor 143. In operation S2410,

이후,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오염도가 기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비교 판단한다.(S2420)Thereafter,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a predetermined degree of contamination (S2420)

이후, 상기 제어부(180)가 감지된 오염도가 기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발열 패드부(103) 승온 제어신호 및/또는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200)용 알림신호를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한다.If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degree of contamination,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heating pad unit 103 and / or the notification signal for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or sequentiall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스마트 매트(7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mat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는 깔개용 매트리스 또는 슬림형 매트리스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즉, 침대용 스마트 매트리스)의 기술적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를 거의 동일하게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그리고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리스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smart ma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echnical features and / or components of a smart mattress (i.e., a smart mattress for a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a mattress or slim mattress for a rug.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larity of description an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tents of the smart mattr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700)는,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하는 안착 패드부(701)와, 상기 안착 패드부(701)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면상태 측정센서(741)와, 상기 수면상태 측정센서(7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센서(744)와, 상기 압력감지센서(744)의 하부에 구비되는 발열 패드부(751)와, 상기 발열 패드부(751)의 하부에 구비되며 실내공간의 바닥 또는 침대 매트리스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 패드부(702)와,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 및 상기 발열 패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780)와, 사용자의 인체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는 라텍스 또는 발포제로 구성되거나, 또는 마이크로 포켓 스프링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9, the smart mat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ating pad portion 701 to which a user's body touches, A pressure sensor 744 provided below the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741; a heat generating pad unit 751 provided below the pressure sensor 744; A lower pad portion 702 provided under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751 and seated on the floor of the room or on the bed mattress, an input portion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A control unit 780 for controlling the smart mattress and the heating pad unit automatically or automatically, and a buffer (not shown)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user's body load. Here, the buffering portion may be formed of latex or a foaming agent, or may be formed of a micro pocket spring layer.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측면에 구비되는 터치형 입력패드(721)를 포함한다.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type input pad 721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mart mattress.

본 발명에 따른 터치형 입력패드(721)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전기전도성 섬유로 된 직물편이다. 즉,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721)는 전기전도성 섬유가 2차원 직교 좌표 형식으로 배치되는 직물편이며, 직물편의 테두리에는 전극이 구비되어 직교 좌표에서 인지된 신호를 전극을 통하여 후술할 제어부(18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touch-type input pad 7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bric piece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That is, the touch-type input pad 721 is a fabric piece in which the electroconductive fibers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Cartesian coordinate format. An electrode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fabric piece to transmit signals recognized in the rectangular coordinates through the electrodes to a controller 180 .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721) 및/또는 상기ㅏ 제어부(780)(예를 들어, PCB, FPCB 등)는,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양측면 각각에 대해 또는 안착면의 머리부분의 좌우 양측부 각각에 대해 벨크로부재 및 암수 커넥터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스마트 매트(700)가 침실용 실내공간에서 배치되는 방식에 무관하게, 터치형 입력패드(721)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touch-type input pad 721 and / or the a control unit 780 (e.g., PCB, FPCB, etc.)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mart mattress o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d portion of the seating surface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being configured to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detachably couple with the respective male and female connectors.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touch-type input pad 721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regardless of the manner in which the smart mat 700 is disposed in the bedroom space,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

또한, 상기 제어부(780)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매트(700)의 숙면유도 제어알고리즘, 상기 스마트 매트(700)의 기상보조기능 제어알고리즘 및 스마트 매트(700)의 수면상태 쾌적화 기능 제어알고리즘을 구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780 controls the sleeping induction control algorithm of the smart mat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weather assist function of the smart mat 700, And to implement a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fun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1000 : 스마트 침실 시스템
100 : 스마트 침구용 매트리스
200 :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300 : 공기조화장치
400 : 조명기기
500 : 전동 차광장치
600 : 텔레비전
700 : 스마트 매트
1000: Smart bedroom system
100: Smart bedding mattress
200: user's portable terminal
300: air conditioner
400: Lighting equipment
500: Electric shading device
600: Television
700: Smart Mat

Claims (27)

스마트 매트리스로서,
사용자의 체중을 탄성 지지하는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열 패드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입력부와;
스마트 매트리스의 표면 상태를 측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측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체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센싱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싱부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 및 상기 발열 패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패드부는 표면적 전체적으로 전력에 의한 자체 발열 섬유로 된 직물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측면에 구비되는 터치형 입력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전기전도성 섬유로 된 직물편으로 구성되되, 전기 전도성 섬유가 직교좌표 형태로 배치되는 직물편으로 구성되며, 직물편의 테두리에는 전극이 구비되어 직교 좌표에서 인지된 신호를 전극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되,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는,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양측면 각각에 대해 벨크로부재 및 암수 커넥터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발열 패드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착 패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표면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심박수, 근전도 및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사용자의 수면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체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매트부에 구비되며, 상기 매트부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내부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가 위치하는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피제어용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As a smart mattress,
A mat portion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weight of the user;
A heating pad unit provided on the mat unit and switch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heat energ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A sensing unit for performing at least one function including a function of measuring the surface state of the smart mattress or measuring the sleep state of the user or sensing the user's body pressure,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mart mattress and the heating pad unit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ing unit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is composed of a fabric made of self heat generating fibers by electric power as a whole on the surface area,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type input pad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mart mattress,
The touch-type input pad is composed of a fabric piece compos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wherein the conductive fibers are arranged in a rectangular coordinate form, and an electrode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fabric piece,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n electrode,
Wherein the touch-type input pad is configured to be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detachably coupled by a Velcro member and male and female connectors to each of opposite sides of the smart mattress,
The sensing unit includes:
A surface condition measuring sensor provided on a seating pad portion located above the heating pad portion and sensing at least one of a temperature and a humidity of the seating pad portion;
A user's sleep state measurement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heart rate, an electromyogram, and a breathing state of a user seated on the smart mattres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user sitting on the smart mattress;
An internal state measuring sensor provided on the mat unit and sensing a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mat unit;
And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interior space for the bedroom where the smart mattress is locate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to a controlled peripheral located in the bedroom interior spa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조명기기,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창에 구비되는 전동 차광장치 및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구비되는 텔레비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 또는 수면 직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를 OFF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텔레비젼을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텔레비젼의 음향볼륨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창을 차광시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전동 차광장치 각각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lluminating device located in the bedroom room, a motorized shading device provided in the window of the bedroom room, and a television set in the bedroom room,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the sleep state or in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sleep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lighting device,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television or decreasing a sound volume of the television, and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electric shading device for shading the window, The lighting device, and the electric shading device, respectively.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상 알람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각이 상기 기상알람시간 또는 상기 기상알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범위 내이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창을 통하여 빛이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으로 들어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동 차광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mart mattres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rising-alarm time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smart mattress and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so that the current time is less than the rising- Or in the subsequent range and determines that the posture of the user is a lying posture,
And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ic shad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shading device so that light enters the bedroom space through the window.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 미만이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를 ON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텔레비젼을 ON시키거나 또는 ON시킨 후 음향볼륨을 점차 증가시키는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텔레비젼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illuminance of the bedroom spa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and the user's posture is a lying posture,
Wherein at least one of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lighting device and a control signal for gradually increasing the sound volume after turning on or turning on the television is transmitted to the lighting device and the television.
제1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는 상기 안착 패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햅틱 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이 가해지도록 상기 햅틱 패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6, 8, and 9,
Wherein the smart mattress further comprises a haptic pad portion located below the seating pad por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aptic pad unit so that vibration is applied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posture is a lying pos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알람시간은,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에 축적된 상기 사용자의 수면시간에 대한 누적정보 및 기상시간에 대한 누적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ake-up alarm time is automatically reset or re-adjusted based on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sleeping time of the user accumulat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waking time, or
And automatically resets or re-adjusts based on the user's schedu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 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에 수렴하도록 각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unit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when the posture of the user is lai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the temperature of each heat generating pad portion is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portion converges to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 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여부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공기조화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includes an air conditioner located in the bedroom room,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unit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when the posture of the user is lai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temperature is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portion converges to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가 오염되었거나 또는 오염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smart mattress is judged to be contaminated or may be contamina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ad portion is increased to dry the smart matt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가 오염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오염사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인지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mart mattress is contamina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ntamination fact of the smart mattress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fa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매트리스의 메모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출력부에 상기 사용자가 인지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리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in at least on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and the memory unit of the smart mattress,
Or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output of the portable terminal.
스마트 매트로서,
실내공간의 바닥 또는 침대 매트리스의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 매트부와;
상기 하부 매트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원공급부에서 공급된 전력을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열 패드부와;
상기 발열 패드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안착패드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는 입력부와;
스마트 매트의 표면 상태를 측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측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체압을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센싱부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센싱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싱부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상기 스마트 매트 및 상기 발열 패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패드부는 표면적 전체적으로 전력에 의한 자체 발열 섬유로 된 직물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마트 매트의 측면에 구비되는 터치형 입력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는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전기전도성 섬유로 된 직물편으로 구성되되, 전기 전도성 섬유가 직교좌표 형태로 배치되는 직물편으로 구성되며, 직물편의 테두리에는 전극이 구비되어 직교 좌표에서 인지된 신호를 전극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터치형 입력패드는, 상기 스마트 매트의 양측면 각각에 또는 상기 스마트 매트의 안착면의 머리 대응부분의 양쪽 각각에 대해 벨크로부재 및 암수 커넥터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안착 패드부에 구비되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 및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표면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심박수, 근전도 및 호흡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사용자의 수면상태 측정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체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스마트 매트가 위치하는 침실용 실내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센싱부 및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기초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피제어용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As a smart mat,
A lower mat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floor of the indoor space or the upper portion of the bed mattress;
A heating pad unit provided on the lower mat unit and switch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heat energy;
A seating pad portion provided on the heating pad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A sensing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including a function of measuring a surface state of the smart mat, measuring a sleep state of a user, or sensing a user's body pressure;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mart mat and the heating pad unit based on a measurement result of the sensing unit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is composed of a fabric made of self heat generating fibers by electric power as a whole on the surface area,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touch-type input pad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smart mat,
The touch-type input pad is composed of a fabric piece compos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ber for receiving a user's input signal, wherein the conductive fibers are arranged in a rectangular coordinate form, and an electrode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fabric piece, And transmits the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electrode,
The touch type input pad is configured to be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detachably coupled by a Velcro member and male and female connectors to each of both sides of the smart mat or to both of the head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smart mat,
The sensing unit
A surface condition measuring sensor provided on the seating pad unit for sens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eating pad unit;
A sleep state measuring sensor of a use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heart rate, an EMG, and a breathing state of a user seated on the smart mat;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of the user sitting on the smart mat;
An illuminance sensor for sensing the illuminance of the bedroom space for the smart mat; Lt; / RTI >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based on a signal transmitt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put unit, the sensing unit, and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user to a controlled peripheral located in the bedroom interior spa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urther comprising a smart m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조명기기,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의 창에 구비되는 전동 차광장치 및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구비되는 텔레비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llumination device located in the bedroom space, a electric shading device provided in the window of the bedroom space, and a television provided in the bedroom space. Smart ma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 또는 수면 직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조명기기를 OFF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텔레비젼을 OFF시키거나 또는 상기 텔레비젼의 음향볼륨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 및 상기 창을 차광시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기기 및 상기 전동 차광장치 각각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the sleep state or in the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sleep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lighting device,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television or decreasing a sound volume of the television, and a control signal for activating the electric shading device for shading the window, The lighting device, and the electric shading device, respectively.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매트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상 알람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시각이 상기 기상알람시간 또는 상기 기상알람시간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전 또는 이후의 범위 내이며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창을 통하여 빛이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으로 들어오도록 상기 전동 차광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동 차광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mart mat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rising alarm time stored in the memory unit of the smart mat and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so that the current time is less than the rising alarm time or the rising alarm time Or in the subsequent range and determines that the posture of the user is a lying posture,
And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electric shad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shading device so that light enters the bedroom space through the window.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매트는 상기 안착 패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햅틱 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자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진동이 가해지도록 상기 햅틱 패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smart mat further comprises a haptic pad portion located below the seating pad por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aptic pad unit to apply vibration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posture is a lying postur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알람시간은, 상기 제어부가 기설정된 기간 동안에 축적된 상기 사용자의 수면시간에 대한 누적정보 및 기상시간에 대한 누적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의 스케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재설정 또는 재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wake-up alarm time is automatically reset or re-adjusted based on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sleeping time of the user accumulated during a preset period and cumulative information on the waking time, or
And automatically reset or rescheduled based on the schedule of the us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패드부는 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좌측 발열부와 우측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 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 에 수렴하도록 각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includes a left heat generating portion and a right heat generating por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is independently controlled,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unit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when the posture of the user is lai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each heat generating pad portion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portion converges to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용 주변기기는, 상기 침실용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조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신된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누운 상태일 때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실외온도에 기초한 개별 기준 온도 와 상이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안착 패드부의 온도가 상기 개별 기준 온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발열 패드부의 온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여부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공기조화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매트.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controlled peripheral device includes an air conditioner located in the bedroom room,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unit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temperature based on the outdoor temperature when the posture of the user is lai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ad portion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temperatur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at pad portion converges to the individual reference temperature is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
KR1020160107118A 2016-08-23 2016-08-23 Smart matress and smart mat KR1017938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18A KR101793835B1 (en) 2016-08-23 2016-08-23 Smart matress and smart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118A KR101793835B1 (en) 2016-08-23 2016-08-23 Smart matress and smart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835B1 true KR101793835B1 (en) 2017-11-20

Family

ID=6080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118A KR101793835B1 (en) 2016-08-23 2016-08-23 Smart matress and smart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835B1 (en)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621B1 (en) * 2017-11-16 2018-04-24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Mattress with Cooler and Warmer
CN108118919A (en) * 2018-01-09 2018-06-05 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A kind of self-service guest room
KR101898700B1 (en) * 2018-02-07 2018-09-13 고인선 bed heating laminated glass using nano-material
CN108543194A (en) * 2018-05-09 2018-09-18 深圳恩鹏健康产业股份有限公司 It is a kind of based on infrared Sleep interven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90064055A (en) * 2017-11-30 2019-06-10 이정기 System for sleep guidance and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of sensing by electromotive bed
KR20190107517A (en) * 2018-03-12 2019-09-20 이희성 Heating mat
KR20190124932A (en) 2018-04-27 2019-11-06 바이텔스 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04907A (en) * 2020-01-06 2020-01-14 이희성 Heating mat with adjustable position of power supply connector
KR20200002456U (en) * 2019-04-30 2020-11-09 쟝시 란전 인텔리전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Multifunctional smart cushion
KR20210023599A (en) * 2019-08-23 2021-03-04 오당찬 Smart Matteress
WO2021225271A1 (en) * 2020-05-07 202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ma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3952589A (en) * 2021-12-13 2022-01-21 哈尔滨理工大学 Intelligent mattress with sleep adjusting function
CN114089866A (en) * 2021-11-26 2022-02-25 吉林大学 Portable intelligent handwriting board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teaching
KR102372760B1 (en) * 2021-09-01 2022-03-11 김태만 Smart bed based on IoT
WO2022092340A1 (en) * 2020-10-28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device and smart bedding system
CN114568877A (en) * 2022-03-09 2022-06-03 湖南晚安床垫有限公司 Intelligent mattress and sleep monitoring and adjusting method
WO2022164046A1 (en)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오몰래 Smart mat
US11424646B2 (en) * 2019-04-16 2022-08-23 Sleep Number Corporation Pillow with wireless charging
WO2023286890A1 (en) * 2021-07-15 2023-01-19 주식회사 핼시언 Mattres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619823B1 (en) * 2023-06-08 2023-12-29 이홍렬 Intelligent mattress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magnetic wave and bacillus propagate and having bioactive function and control devic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848B1 (en) * 2005-06-20 2006-09-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leep surveillance and control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848B1 (en) * 2005-06-20 2006-09-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leep surveillance and control apparatus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621B1 (en) * 2017-11-16 2018-04-24 주식회사 팔로모리빙 Mattress with Cooler and Warmer
KR20190064055A (en) * 2017-11-30 2019-06-10 이정기 System for sleep guidance and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of sensing by electromotive bed
KR102059065B1 (en) * 2017-11-30 2019-12-24 이정기 System for sleep guidance and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of sensing by electromotive bed
CN108118919A (en) * 2018-01-09 2018-06-05 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A kind of self-service guest room
KR101898700B1 (en) * 2018-02-07 2018-09-13 고인선 bed heating laminated glass using nano-material
KR102065436B1 (en) * 2018-03-12 2020-01-13 이희성 Heating mat
KR20190107517A (en) * 2018-03-12 2019-09-20 이희성 Heating mat
KR20190124932A (en) 2018-04-27 2019-11-06 바이텔스 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CN108543194A (en) * 2018-05-09 2018-09-18 深圳恩鹏健康产业股份有限公司 It is a kind of based on infrared Sleep interven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US11962164B2 (en) 2019-04-16 2024-04-16 Sleep Number Corporation Pillow with cooling system
US11424646B2 (en) * 2019-04-16 2022-08-23 Sleep Number Corporation Pillow with wireless charging
KR20200002456U (en) * 2019-04-30 2020-11-09 쟝시 란전 인텔리전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Multifunctional smart cushion
KR200492986Y1 (en) * 2019-04-30 2021-01-12 쟝시 란전 인텔리전트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Multifunctional smart cushion
KR102250606B1 (en) * 2019-08-23 2021-05-11 오당찬 Smart Matteress
KR20210023599A (en) * 2019-08-23 2021-03-04 오당찬 Smart Matteress
KR20200004907A (en) * 2020-01-06 2020-01-14 이희성 Heating mat with adjustable position of power supply connector
KR102104827B1 (en) * 2020-01-06 2020-04-27 이희성 Heating mat with adjustable position of power supply connector
WO2021225271A1 (en) * 2020-05-07 202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ma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2092340A1 (en) * 2020-10-28 2022-05-05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device and smart bedding system
WO2022164046A1 (en) * 2021-02-01 2022-08-04 주식회사 오몰래 Smart mat
WO2023286890A1 (en) * 2021-07-15 2023-01-19 주식회사 핼시언 Mattres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GB2617649A (en) * 2021-07-15 2023-10-18 Halcyon Inc Mattres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72760B1 (en) * 2021-09-01 2022-03-11 김태만 Smart bed based on IoT
CN114089866A (en) * 2021-11-26 2022-02-25 吉林大学 Portable intelligent handwriting board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teaching
CN114089866B (en) * 2021-11-26 2023-10-03 吉林大学 Portable intelligent handwriting board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teaching
CN113952589A (en) * 2021-12-13 2022-01-21 哈尔滨理工大学 Intelligent mattress with sleep adjusting function
CN114568877B (en) * 2022-03-09 2023-09-15 湖南晚安床垫有限公司 Intelligent mattress and sleep monitoring and adjusting method
CN114568877A (en) * 2022-03-09 2022-06-03 湖南晚安床垫有限公司 Intelligent mattress and sleep monitoring and adjusting method
KR102619823B1 (en) * 2023-06-08 2023-12-29 이홍렬 Intelligent mattress structure for preventing electromagnetic wave and bacillus propagate and having bioactive function and control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835B1 (en) Smart matress and smart mat
JP6534698B2 (en) Smart bed and its control flow
US10864137B2 (en) System and method of an adjustable bed with a vibration motor
US10064784B2 (en) System and method of an adjustable bed with a vibration motor
US9867478B2 (en) Closed feedback loop to verify a position of an adjustable bed
US9737155B2 (en) System for tandem bed communication
US9182750B2 (en) System and method of a bed with a safety stop
CN103519597A (en) Multifunctional office chair
KR101758025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sound and vibration of air mat
KR20180002849U (en) Electric bed
JP2019154726A (en) Control device and motor-driven furniture
WO2013173640A1 (en) System and method of a bed with a safety stop
AU2022219374A1 (en) Body support system for emitting ultra-low radio frequency energ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886622B1 (en) Massage chair with ventilation sheet
TWM561462U (en) Smart bed integrated with appliance control
KR101707157B1 (en) Seat assembly
CN205231384U (en) Smart jack by human monitoring system automatic cutout power of pressure -sensitive sensing formula
KR100674261B1 (en) A extremely low frequency occurrence device with shielding of electromagnetic wave
CN217065848U (en) Intelligent health detection mattress
CN110912221B (en) Power supply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mattress
CN216693930U (en) Remote controlle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sound playing system
CN112294018A (en) Personal customized sleep mat and method of use
KR20210123684A (en) Air circulation cooling mat including real-time human care function through smart devices to induce a comfortable sleep
KR20110010256U (en) health heating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