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525B1 -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 Google Patents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525B1
KR101792525B1 KR1020170033618A KR20170033618A KR101792525B1 KR 101792525 B1 KR101792525 B1 KR 101792525B1 KR 1020170033618 A KR1020170033618 A KR 1020170033618A KR 20170033618 A KR20170033618 A KR 20170033618A KR 101792525 B1 KR101792525 B1 KR 101792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ressure
display module
input devi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4364A (en
Inventor
윤상식
김세엽
김윤정
김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7003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525B1/en
Publication of KR2017003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3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01L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에 가해지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모듈; 및 상기 압력 검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소재의 기판;을 포함하고, 소정 범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는 형태인 터치 입력 장치이다. 이에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는 형태의 터치 입력 장치로서,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A pressure-sensitiv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is disclosed.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A pressure detecting module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and detecting a touch pressure applied to a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substrate of a flexible material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The touch input device may be b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etect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as a touch input device of a shape that can be b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sensitiv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sensitiv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various types of display modules.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의 쉽고 간편한 조작으로 인해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시 터치 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ar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For example, an input device such as a button, a key, a joystick, and a touch screen is used. Due to the easy and simpl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the use of the touch screen in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system is increasing.

터치 스크린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스크린을 단순히 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및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터치를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may comprise a touch surface of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panel, which may be a transparent panel having a touch-sensitive surface. Such a touch sensor panel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display screen such that the touch-sensitive surface covers the visible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The user simply touches the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the lik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computing system. Generally, a computing system is able to recognize touch and touch locations on a touch screen and interpret the touch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ly.

한편, 터치 스크린에는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로서,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types and types of display modules can be used for the touch screen.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detecting a touch position and a touch pressure as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s of various types and types.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로서,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of various types and forms, and a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detecting a touch position and a touch pressur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에 가해지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모듈; 및 상기 압력 검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소재의 기판;을 포함하고, 소정 범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는 형태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A pressure detecting module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and detecting a touch pressure applied to a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 substrate of a flexible material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and is capable of being b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면에 형성된 터치 센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touch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panel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 압력이 인가되면 휘어지며, 상기 압력 검출 모듈에서 검출되는 전기적 특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짐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전기적 특성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may be bent when a touch pressure is applied,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detected by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may change as the display module is warped, and the touch pressure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압력 검출 모듈에 포함된 압력 전극과 상기 기판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상기 전기적 특성은 상기 거리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일 수 있다.Also, as the display module is warped,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 included i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and the substrate changes,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may be a capacitance that varies with the distanc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OLED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may include an OLED panel.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터치 입력 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방식이나 형태에 무관하게,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ouch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can be efficiently detected irrespective of the mode or form of the display module.

또한, 압력 검출 모듈이 종래의 기계적 버튼을 대체할 수 있게 되므로, 기계적 결함, 고장 등을 방지하고, 제조 공정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버튼 방식의 터치 입력 장치로서 더욱 심플한 디자인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mechanical butt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echanical defects, breakdown, and the like,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cost, as well as to provide a simpler design as a touch-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일구성인 터치 센서 패널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터치 압력 감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일구성인 압력 검출 모듈의 구조적 단면을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일구성인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될 수 있는, OLED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적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적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적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A-A'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of a touch sensor panel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hrough 3D are views illustrating a touch sensing method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ucture of a pressure sensing modu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4A to 4F show structural cross sections of a pressure detection module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LED panel that can be included in a display module,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views showing a lamination structure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2A.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상이하지만 상호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아울러, 후술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For a specific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as to be sufficient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than the particular embodimen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but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considered a part of the description of the entire invention. The reference to direction or orientation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Specifically, terms indicating positions such as "lower, upper, horizontal, vertical,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 or their derivatives (e.g.," horizontally, Etc.) should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both the drawings and the associated description. In particular, such a peer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require that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e constructed or ope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attached, attached, connected, connected, interconnected ", or the lik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components are directly or indirectly attach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term that encompasses not only a movably attached, connected, fixed state but also a non-movable stat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는,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을 비롯해, 가정용 PC, TV, DVD,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자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는, 산업용 제어장치, 의료장치 등 디스플레이와 입력을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는 모든 제품에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 tablet PC, a notebook,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 MP3 player, a camera, , A home PC, a TV, a DVD, a refrigerator, an air conditioner, and a microwave oven. Further, the pressure-sensitive touch input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all products requiring display and input devices such as an industrial control apparatus, a medical apparatu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포함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100)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 패널(100)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 패널(100)의 동작을 위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20), 및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감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capacitive touch sensor panel 100 included in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touch sensor pan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The touch sensor pan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 driving unit 120 for a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electrodes TX1 to TXn and a sensing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apacitance change amount that changes according to a touch on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a sensing unit 110 for sensing the touch posi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은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대각선, 동심원 및 3차원 랜덤 배열 등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차원 및 이의 응용 배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양의 정수로서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1,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re shown as an orthogonal arr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have any number of dimensions including its diagonal, concentric and three-dimensional random arrangement, and its application arrangement. Here, n and m are positive integers an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iz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The driving electrode TX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extending in a first axis direction and a receiving electrode RX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extending in a second axis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axis direction RX1 to RX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00)에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절연막(미도시)의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하나의 절연막(미도시)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은 제1절연막(미도시)의 일면에 그리고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상기 제1절연막과 다른 제2절연막(미도시)의 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in the same layer. For example,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the same surface of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in different layer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or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a first insulating film (not shown)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not shown) different from the first insulating film.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 (RX1 내지 RXm)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산화주석(SnO2) 및 산화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은나노(nano silver) 및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는 메탈 메쉬(metal mesh)로 구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ive electrodes (TX1 to TXn)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is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e.g., tin oxide (SnO 2) and indium oxide (In 2 O 3) ITO ( Indium Tin made of such Oxide) or ATO (antimony tin oxid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formed of anothe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r an opaque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ver ink, copper, nano silver, and carbon nanotube (CNT) . In addition,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may be realized by a metal mesh.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20)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구동신호는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해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신호의 인가는 재차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The driv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In an embodiment, the driving signal may be sequentially applied to one driving electrode at a time from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to the nth driving electrode TXn. This application of the driving signal can be repeated again.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driving signals may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a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감지부(110)는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수신전극(RX1 내지 RXm)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01)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신호는 구동전극(TX)에 인가된 구동신호가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01)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The sensing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apacitance Cm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s TX1 to TXn and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to which driving signals are appli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And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osition can be detected by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For example, the sensing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 is coupled by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CM: 101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이와 같이,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인가된 구동신호를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감지하는 과정은 터치 센서 패널(100)을 스캔(scan)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The process of sensing the driving signal applied from the first driving electrode TX1 to the nth driving electrode TXn via the receiving electrodes RX1 to RXm is referred to as scanning the touch sensor panel 100 can do.

예를 들어, 감지부(110)는 각각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해당 수신전극(RX)의 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구간에 온(on)되어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기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기는 증폭기(미도시) 및 증폭기의 부(-)입력단과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 즉 궤환 경로에 결합된 궤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증폭기의 정(+)입력단은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궤환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는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류에서 전압으로의 변환을 리셋할 수 있다. 증폭기의 부입력단은 해당 수신전극(RX)과 연결되어 정전용량(CM: 10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수신한 후 적분하여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수신기를 통해 적분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미도시: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되어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수신기와 더불어, ADC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receiver (not shown)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ption electrodes RX1 to RXm through a switch. The switch is turned on during a period of sensing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receiving electrode RX so that a sensing signal can be sensed from the receiving electrode RX at the receiver. The receiver may be comprised of an amplifier (not shown) and a feedback capacitor coupled between the negative input of the amplifier and the output of the amplifier, i. E., The feedback path. At this time, the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reset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feedback capacitor. The reset switch can reset the conversion from current to voltage performed by the receiver. A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amplifier may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receiving electrode RX to receive a current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apacitance (CM) 101, integrate the current signal, and convert the current signal into a voltage. The sensing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for converting the integrated data to digital data through the receiver. The digital data may then be input to a processor (not shown) and processed to obtain touch information for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e sens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DC and a processor together with a receiver.

제어부(130)는 구동부(120)와 감지부(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구동부(120)에 전달하여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구동전극(TX)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감지부(110)에 전달하여 감지부(110)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1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driv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driving unit 120 so that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TX preset at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30 generates a sensing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ing control signal to the sensing unit 110. The sensing unit 110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a predetermined receiving electrode RX at a predetermined time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can do.

도 1에서 구동부(120) 및 감지부(110)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센서 패널(100)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센싱 회로인 터치 센싱 IC(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상에 집적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100)에 포함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예컨대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 및/또는 회로 기판상에 인쇄된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등을 통해서 터치 센싱 IC(150)에 포함된 구동부(120) 및 감지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센싱 IC(150)는 전도성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 예컨대 제1인쇄 회로 기판(이하에서, 제1PCB로 지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싱 IC(150)는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 상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FIG. 1,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10 may constitute a touch detection device (not shown)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touched or touched. The touch detec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30. [ The touch sensing device may be integrated on a 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IC), which is a touch sensing circuit,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including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included in the touch sensor panel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ouch sensing IC 100 through the conductive trace and / or a conductive pattern printed on the circuit board. 150 to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sensing unit 110, respectively. The touch sensing IC 150 may be placed on a circuit board on which a conductive pattern is printed, for example,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PCB). The touch sensing IC 150 may be mounted on a main board for operat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교차 지점마다 소정 값의 정전용량(C)이 생성되며, 손가락과 같은 객체가 터치 센서 패널(100)에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정전용량은 상호 정전용량(Cm)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감지부(110)에서 감지하여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으로 이루어진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capacitance value C of a predetermined value is generated at each intersection of the driving electrode TX and the receiving electrode RX and an object such as a finger is close to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e value of the capacity can be changed. In FIG. 1,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may represent mutual capacitance Cm. The sensing unit 110 senses such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can detect whether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touched and / or touch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a touch is made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having a two-dimensional plane including a first axis and a second axis, and / or its position.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가 일어날 때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을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2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대한 터치시 수신전극(RX)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로부터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1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touch in the second axial direction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driving electrode TX to which the driving signal is applied when the touch to the touch sensor panel 100 occurs. Likewise, the position of the touch in the first axis direction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capacitance change from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RX when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touched.

이상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로서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은 전술한 방법 이외의 자기 정전용량 방식, 표면 정전용량 방식, 프로젝티드(projected)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SAW: surface acoustic wave), 적외선(infrared) 방식, 광학적 이미징 방식(optical imaging), 분산 신호 방식(dispersive signal technology) 및 음성 펄스 인식(acoustic pulse recognition) 방식 등 임의의 터치 센싱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utual capacitance type touch sensor panel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s the touch sensor panel 100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ouch sensor panel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uch- 100 may be formed by a method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s such as a self-capacitance method, a surface capacitance method, a projected capacitance method, a resistive film method, a surface acoustic wave (SAW) method, An optical sensing method, a dispersive signal technology, and an acoustic pulse recognition method.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모듈이 적용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to which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applied may be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display module 200. [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출 모듈이 적용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included in the display module 200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to which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applied may be a display panel included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디스플레이 가능한 다른 방식의 모듈일 수 있다.However, the display module 200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display module of another typ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have.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화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터치 표면에 터치를 수행하여 입력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main board) 상의 중앙 처리 유닛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등으로부터 입력을 받아 디스플레이 패널에 원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회로는 제2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작동을 위한 제어회로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IC, 그래픽 제어 IC(graphic controller IC) 및 기타 디스플레이 패널을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an input action by touching the touch surface while visually check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module 200 receives input from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n application processor (CPU), which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on a main board for operat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nd may include control circuitry to display the content. This control circuit may be mounted on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t this time, the control circuit for operating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display panel control IC, a graphic controller IC, and other circuits for operating the display panel.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패널(100)의 동작과 관련한 위의 설명에 이어,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 및 원리를 도 2,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for sensing the touch posi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A to 3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 및 이를 위한 압력 검출 모듈(4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o 3D illustrate a method of sensing a touch pressure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 디스플레이 모듈(200), 압력 검출 모듈(400) 및 기판(300)을 포함한다. 이때, 기판(300)은 기준전위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기준전위층은 도 2와 달리 배치될 수 있다. 즉, 기준전위층이 압력 검출 모듈(400) 상부에 있을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 하나 이상의 기준전위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적층 구조에 대응하여, 압력 검출 모듈(400)의 배치도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a 내지 도 3d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2,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panel 100, a display module 200, a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nd a substrate 300 . At this time, the substrate 300 may be a reference potential layer.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differently from that of FIG. That is,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may be above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or may be located within the display module 200. In addition, one or more reference potential layers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may also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In this regard, the embodiments of Figs. 3A to 3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판(300) 사이에 스페이서층(42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배치의 압력 전극(450, 4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판(300) 사이로서 기판(300) 측에 배치될 수 있다.A spacer layer 4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substrate 300 as shown in FIG.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in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A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ubstrate 300 between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substrate 300.

압력 검출을 위한 압력 전극은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는 구동전극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수신전극일 수 있다.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되면,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에 상호 정전용량이 생성될 수 있다.The pressure electrode for pressure detection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450 and a second electrode 460. At this time, one of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a driving electrode and the other may be a receiving electrode. A driving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 and a sensing signal may be obtain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When a voltage is applied, mutual capacitan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1000)에 압력이 인가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은 노이즈 차폐를 위해 그라운드(ground) 전위를 가질 수 있다. 객체(500)를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전위층인 그라운드 전위면과 압력 전극 패턴(450, 460) 사이의 거리(d)가 d'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리(d)의 감소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으로 프린징 정전용량이 흡수되므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shown in FIG. 3A when pressure is applie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may have a ground potential for noise shielding.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rough the object 500,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bent. Accordingly, the distance d between the ground potential surface as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and the pressure electrode patterns 450 and 460 can be reduced to d '. In this case, as the distance d decreases, the fringing capacitance is absorb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so that the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can be reduced have.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can be calculated by acquiring the amount of decrease in mutual capacitance i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터치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위치에서 가장 큰 변형이 이루어질 휘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휘어질 때 가장 큰 변형을 나타내는 위치는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적어도 해당 터치 위치에서 휘어짐을 갖는다. 예컨대, 터치 위치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테두리 및 가장자리 등에 근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휘어지는 정도가 가장 큰 위치는 터치 위치와 다를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적어도 상기 터치 위치에서 휘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en the touch pressure is applied to the display module 200, the largest deformation may be caused at the touch pos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module 200 that exhibits the largest deformation when the display module 200 is bent may not coincide with the position where the touch is made, but the display module 200 has a warp at least at the touch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touch position is close to the edge and the edge of the display module 200, the position where the display module 200 is bent most greatly may be different from the touch position. However, Lt; / RTI >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압력 전극 배치를 도시한다. 도 3c에 도시된 전극 배치에서, 압력 전극(450, 4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판(300) 사이에 위치하되, 디스플레이 모듈(200) 측에 배치될 수 있다.3C shows a pressure electrode arrangement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ode arrangement shown in FIG. 3C,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200 and the substrate 300, and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200 side.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비록 압력 전극(450, 460)이 기판(300) 상에 형성된 것이 예시되나, 압력 전극(450, 4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기판(300)은 기준전위층으로서 그라운드 전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을 터치함에 따라 기판(300)과 압력 전극(450, 460)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3A and 3B illustrate that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formed on the substrate 300 but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Do. At this time, the substrate 300 may have a ground potential as a reference potential layer. Accordingly, as the touch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touched, the distance d between the substrate 300 and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decreases.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 / RTI >

도 3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전극 배치를 나타낸다. 도 3d의 실시예에서, 압력 전극인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는 기판(300) 측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d에서는 제1전극(450)이 기판(300) 측에 형성되고 제2전극(46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측에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물론,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의 위치를 서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FIG. 3D shows the electrode arrangement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of FIG. 3D, one of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which are the pressure electrodes, is formed on the substrate 300 side and the oth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0 . 3D illustrates that the first electrode 450 is formed on the substrate 300 side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0. [ Of course,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replaced with each other.

객체(500)를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리(d)의 감소에 따라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through the object 500,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bent. Accordingly,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can be reduced. In this case, the mutual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decrease as the distance d decreases.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can be calculated by acquiring the amount of decrease in mutual capacitance in the sensing signal obtained through the receiving electrode.

도 4a 내지 도 4f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일구성인 압력 검출 모듈(400)의 구조적 단면을 나타낸다.4A to 4F show a structural cross-section of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 모듈(400)에서 압력 전극(450, 460)은 제1절연층(410)과 제2절연층(411) 사이에 위치한다. 예컨대, 제1절연층(410) 상에 압력 전극(450, 460)을 형성한 후 제2절연층(411)으로 압력 전극(450, 460)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제1절연층(410)과 제2절연층(411)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제1절연층(41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일 수 있고 제2절연층(411)은 잉크(ink)로 이루어진 덮개층(cover layer)일 수 있다. 압력 전극(450, 460)은 구리(copper)와 알루미늄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절연층(410)과 제2절연층(411) 사이 및 압력 전극(450, 460)과 제1절연층(410) 사이는 액체 접착체(liquid bond) 와 같은 접착제(미도시)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압력 전극(450, 460)은, 제1절연층(410) 위에 압력 전극 패턴에 상응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마스크(mask)를 위치시킨 후 전도성 스프레이(spray)를 분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4A,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in the pressure electrode module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after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may cover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t this time,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may be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imide.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may be made of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may be a cover layer made of ink.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may include a material such as copper and aluminum. A gap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and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may be an adhesive such as a liquid bond Not show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formed by positioning a mask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electrode pattern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and then spraying a conductive spray. .

도 4a에서 압력 검출 모듈(400)은 탄성폼(440)을 더 포함하며 탄성폼(440)은, 제2절연층(411)의 일면으로서 제1절연층(410)과 반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추후, 압력 검출 모듈(400)이 기판(300)에 부착될 때 제2절연층(411)을 기준으로 기판(300) 측에 탄성폼(440)이 배치될 수 있다.4A,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foam 440 and the elastic foam 44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insulation layer 41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insulation layer 410 have. The elastic foam 44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300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whe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300. [

이때, 압력 검출 모듈(400)을 기판(300)에 부착하기 위해서 소정 두께를 갖는 접착 테이프(430)가 탄성폼(430)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접착 테이프(430)는 양면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이때, 접착 테이프(430)는 탄성폼(430)을 제2절연층(411)에 접착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탄성폼(430) 외곽에 접착 테이프(430)를 배치시킴으로써 압력 검출 모듈(400)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At this time, an adhesive tape 4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foam 430 to attach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to the substrate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dhesive tape 430 may b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At this time, the adhesive tape 430 may also serve to bond the elastic foam 430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can be effectively reduced by disposing the adhesive tape 430 on the outer side of the elastic foam 430.

도 4a에 예시된 압력 검출 모듈(400)이 하단에 위치한 기판(300)에 부착되는 경우, 압력 전극(450, 460)은 압력을 검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 전극(450, 46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 측에 배치된 것으로서 기준전위층은 기판(300)에 해당하고, 탄성폼(440)은 스페이서층(420)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입력 장치(1000)를 상부에서 터치하는 경우 탄성폼(440)이 눌려 압력 전극(450, 460)과 기준전위층인 기판(3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When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illustrated in FIG. 4A is attached to the bottom substrate 300,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may be operable to detect pressure. For example,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0,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corresponds to the substrate 300, and the elastic foam 440 corresponds to the spacer layer 420 . For example, when touch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the elastic foam 440 is pressed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and the substrate 300, which is a reference potential layer, 450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may be reduced.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through such capacitance change.

도 4b에서는 도 4a와 달리, 탄성폼(440) 외곽에 위치하는 접착 테이프(430)를 통해서 압력 검출 모듈(400)이 기판(300)에 부착되지 않는다. 도 4b에서는 탄성폼(440)을 제2절연층(411)에 접착하기 위해 제1접착 테이프(431)와, 압력 검출 모듈(400)을 기판(300)에 접착하기 위해 탄성폼(440) 상에 제2접착 테이프(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접착 테이프(431, 432)를 배치함으로써 탄성폼(440)을 제2절연층(411)에 견고하게 부착하고 또한 압력 검출 모듈(400)을 기판(300)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4b에 예시된 압력 검출 모듈(400)은 제2절연층(41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접착 테이프(431)가 압력 전극(450, 460)을 직접 덮는 커버층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탄성폼(440)을 제1절연층(410) 및 압력 전극(450, 460)에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4c 내지 도 4f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4B,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not attached to the substrate 300 through the adhesive tape 430 located outside the elastic foam 440, unlike FIG. 4A. 4B shows a first adhesive tape 431 and a second adhesive tape 432 on the elastic foam 440 to adhere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to the substrate 300 to adhere the elastic foam 440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 A second adhesive tape 432 may be included. The first and second adhesive tapes 431 and 432 are disposed so that the elastic foam 440 is firmly attached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and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fixed to the substrate 3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illustrated in FIG. 4B may not includ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For example, when the first adhesive tape 431 is attached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and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while the elastic foam 440 acts as a cover layer directly covering the pressure electrodes 450 and 460 Can play a role. Th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case of Figs. 4C to 4F below.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이다. 도 4c에서는 탄성폼(440)에 탄성폼(440)의 높이를 관통하는 홀(H: hole)을 형성하여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시 탄성폼(440)이 잘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홀(H)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탄성폼(440)이 잘 눌려지는 경우 압력 검출의 민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탄성폼(400)에 홀(H)을 형성함으로써 압력 검출 모듈(400)을 기판(300) 등에 부착시에 공기로 인해 탄성폼(400)의 표면이 돌출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c에서는 탄성폼(400)을 제2절연층(411)에 견고하게 접착시키기 위해서 접착 테이프(430) 외에 제1접착 테이프(4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4C is a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4A. 4C, the elastic foam 440 may be formed with a hole that penetrates the height of the elastic foam 440, so that the elastic foam 440 can be easily pressed whe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is touched . The hole (H) may be filled with air. The degree of civilization of pressure detection can be improved when the elastic foam 440 is pressed well. In addition, by forming the holes H in the elastic foam 400, the phenomenon that the surface of the elastic foam 400 protrudes due to the air when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300 can be eliminated. 4C, a first adhesive tape 431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adhesive tape 430 to firmly adhere the elastic foam 400 to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도 4d는 도4b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로서, 도 4c에서와 마찬가지로 탄성폼(440)에 탄성폼(440)의 높이를 관통하는 홀(H)이 형성되어 있다.4D is a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4B. As shown in FIG. 4C, the elastic foam 440 is formed with a hole H passing through the height of the elastic foam 440.

도 4e는 도 4b에 도시된 구조의 변형예로서, 제1절연층(410)의 일면으로서 탄성폼(440)과 다른 방향의 일면에 제2 탄성폼(44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2 탄성폼(441)은 추후 터치 입력 장치(1000)에 압력 검출 모듈(400)이 부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폼(441)을 제1절연층(410)에 접착하기 위해 제3접착층(4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FIG. 4E is a modification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4B, which further includes a second elastic foam 441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elastic foam 440 as one surface. The second elastic foam 441 may be further formed to minimize an impact transmitted to the display module 200 when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is attached to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t this time, the third adhesive layer 433 may be further included to adhere the second elastic foam 441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도 4f는 압력을 검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압력 검출 모듈(400)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4f에서는 탄성폼(440)을 사이에 두고 제1전극(450, 451)과 제2전극(460, 461)이 배치된 압력 검출 모듈(400)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와 유사하게, 제1전극(450, 451)은 제1절연층(410)과 제2절연층(411) 사이에 형성되고 제1접착 테이프(431), 탄성폼(440) 및 제2접착 테이프(4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460, 461)은 제3절연층(412)과 제4절연층(413) 사이에 형성되고 제4절연층(413)이 제2접착 테이프(432)를 통해 탄성폼(440)의 일면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3절연층(412)의 기판측 일면에는 제3접착 테이프(4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접착 테이프(433)를 통해 압력 검출 모듈(400)이 기판(3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도4f에 예시된 압력 검출 모듈(400)은 제2절연층(411) 및/또는 제4절연층(413)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접착 테이프(431)가 제1전극(450, 451)을 직접 덮는 커버층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탄성폼(440)을 제1절연층(410) 및 제1전극(450, 451)에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접착 테이프(432)가 제2전극(460, 461)을 직접 덮는 커버층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탄성폼(440)을 제3절연층(412) 및 제2전극(460, 461)에 부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4F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pressure sensing module 400 operable to detect pressure. The structure of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n which the first electrodes 450 and 451 and the second electrodes 460 and 461 are disposed with the elastic foam 440 therebetween is shown in FIG. 4B, the first electrodes 450 and 451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and include a first adhesive tape 431, an elastic foam (not shown) 440 and a second adhesive tape 432 can be formed. The second electrodes 460 and 461 are formed between the third insulating layer 412 and the fourth insulating layer 413 and the fourth insulating layer 413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foam 440 and the second adhesive tape 432, As shown in Fig. A third adhesive tape 43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insulating layer 412 on the substrate side and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may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300 through a third adhesive tape 433 . 4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llustrated in FIG. 4F may not includ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411 and / or the fourth insulating layer 413. For example, when the first adhesive tape 431 serves as a cover layer that directly covers the first electrodes 450 and 451, the elastic foam 440 is bonded to the first insulating layer 410 and the first electrodes 450 and 451, As shown in Fig. The second adhesive tape 432 also functions as a cover layer that directly covers the second electrodes 460 and 461 while the elastic foam 440 is bonded to the third insulating layer 412 and the second electrodes 460 and 461, As shown in Fig.

이때, 터치 입력 장치(1000)에 대한 터치를 통해 탄성폼(440)이 눌리고 이에 따라 제1전극(450, 451)과 제2전극(460, 461)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전극(450, 451)과 제2전극(460, 461) 중 어느 하나를 그라운드(ground)로 하여 나머지 하나의 전극을 통해 자기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foam 440 is pressed through the touch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so that mutual electrostatic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450 and 451 and the second electrodes 460 and 461 can be increased. The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by changing the capacitance.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50 and 451 and the second electrode 460 and 461 may be grounded to sense the self-capacitance through the other electrode.

도 4f의 경우 전극을 단일층으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압력 검출 모듈(400)의 두께 및 제조 단가는 증가하나, 압력 검출 모듈(400) 외부에 위치하는 기준전위층의 특성에 따라 변하지 않는 압력 검출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즉, 도 4f와 같이 압력 검출 모듈(400)을 구성함으로써 압력 검출시 외부 전위(그라운드) 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검출 모듈(400)이 적용되는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종류에 무관하게 동일한 압력 검출 모듈(400)의 사용이 가능하다.4F, the thickness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re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electrodes are formed as a single layer, but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not pressure-sensitiv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located outside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Performance can be guaranteed. That is, by configuring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s shown in FIG. 4F,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potential (ground) environment can be minimized during pressure det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to which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is applied.

이상에서는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을 포함하는 압력 전극을 이용하여, 구동전극과 수신전극이 기준전위층에 가까워짐에 따라 변하는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한 압력 검출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압력 검출 모듈(400)은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 검출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sure detection using the pressure electrode including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ption electrode is described based on the amount of mutual capacitance change that varies as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ption electrode approach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However, ) May perform the touch pressure detection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self capacitance.

간략히 설명하면, 압력 전극(구동전극과 수신전극 중 어느 하나)와 기준전위층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정전용량(self capacitance)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전극과 기준전위층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정전용량 및/또는 수신전극과 기준전위층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있음에도, 터치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압력 전극과 기준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 정전용량 값은 변하지 않는다. 이때에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의한 터치 위치만 감지될 것이다. 다만, 터치 압력까지 인가되는 경우, 위의 방식으로 자기 정전용량 값이 변하게 되고, 압력 검출 모듈(400)은 자기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게 된다.Briefly, the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by using the self 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 (any one of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ceiving electrode)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That is, the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by using the self-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and / or the self-capacitance formed between the receiving electrode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In the case where the touch pressure is not applied even though there is a touch of the user,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does not change, so that the value of the self-capacitance does not change. At this time, only the touch position by the touch sensor panel 100 will be detected. However, when applied up to the touch pressure, the self-capacitance value changes in the above manner,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detects the touch pressure based on the variation amount of the self-capacitance.

구체적으로, 터치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기준전위층 또는 압력 전극(구동전극 또는 수신전극)이 이동하여, 기준전위층과 압력 전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며, 자기 정전용량 값이 증가한다. 증가된 자기 정전용량 값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판단함으로써 터치 압력을 검출하게 된다.Specifically, when a pressure is applied by a touch,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or the pressure electrode (driving electrode or receiving electrode) mov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and the pressure electrode approaches, and the value of the self-capacitance increases. The touch pressure is detected by determining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based on the increased self-capacitance value.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일구성인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O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display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The display module 200,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LED panel.

OLED 패널은 LCD 패널보다 많은 장점이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다방면으로 이용되는 추세이다. LCD 패널은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성질을 지닌 액정(liquid crystal)을 삽입해 전기자극을 제어하면서, 액정안에 생기는 빛을 굴절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LCD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두껍게 만들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유닛에 항상 전원을 인가해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높고, 응답속도가 OLED에 비해 느리다.OLED panels have many advantages over LCD panels, and are being used in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requiring displays. The LCD panel displays a character or an image by refracting the light generated in the liquid crystal while controlling electric stimulation by inserting a liquid crystal having the intermediate property between solid and liquid between the two glass plates. Such a LCD requires a backlight unit,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but also requires power to the backlight unit at all times, resulting in high power consumption and a slower response time than OLEDs.

한편, OLED 패널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물질이 빛의 색깔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OLED는 유리나 플라스틱 위에 유기물을 도포해 전기를 흘리면, 유기물이 광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유기물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정공과 전자를 주입하여 발광층에 재결합시키면 에너지가 높은 상태인 여기자(excitati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떨어지면서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특정한 파장의 빛이 생성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발광층의 유기물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달라진다.On the other hand, an OLED panel is a self-light emitting type display panel using a principle that electrons and holes combine in an organic layer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a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organic thin film and light is generated. The organic material constituting the light emitting layer determines the color of light. Specifically, OLEDs use the principle that an organic material emits light when an organic material is applied to glass or plastic and electricity is supplied. That is, when holes and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anode and the cathode of the organic material, respectively, and then recombined with the light emitting layer, excitons having a high energy state are formed. When excitons drop to low energy, energy is emitted and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And to use the generated principle. At this time, the color of the light changes depending on the organic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OLED는 픽셀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있는 픽셀의 동작특성에 따라 라인 구동 방식의 PM-OLED(Pass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개별 구동 방식의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존재한다. 양자 모두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매우 얇게 구현할 수 있고, 각도에 따라 명암비가 일정하고, 온도에 따른 색 재현성이 좋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미구동 픽셀은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다.In OLED, a line-driven PM-OLED (Pass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an AM-OLED (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re used depending on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pixel matrix exist. Since both of them do not require a backlight, the display module can be made very thin, the contrast ratio is constant according to the angle, and color reproducibility according to temperature is good. In addition, un-driven pixels are very economical in that they do not consume power.

동작 면에서 PM-OLED는 높은 전류로 스캐닝시간(scanning time) 동안만 발광을 하고, AM-OLED는 낮은 전류로 프레임 시간(frame time)동안 계속 발광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AM-OLED는 PM-OLED에 비해서 해상도가 좋고,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이 유리하며,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내장하여 각 소자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교한 화면을 구현하기 쉽다.In operation, the PM-OLED emits light only for a scanning time with a high current, and the AM-OLED maintains a light emission state for a frame time with a low current. Therefore, AM-OLED has better resolution than PM-OLED, it is advantageous to drive a large-area display panel and has low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since each element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by incorporating a thin film transistor (TFT), it is easy to realize a sophisticated screen.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일구성인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포함될 수 있는, OLED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OLED panel, which may be included in a display module 200, which is one configuration of a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는 기본적으로 애노드, 유기물층 및 캐소드로 구성되며, 유기물층은 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주입층), HTL(Hole Transfer Layer, 정공수송층), EIL(Emission Material Layer, 전자주입층), ETL(Electron Transfer Layer, 전자수송층), EML(Electron Injection Layer, 발광층)을 포함한다.5A, the OLED is basically composed of an anode, an organic material layer, and a cathode. The organic material layer includes an HIL (Hole Injection Layer), an HTL (Hole Transfer Layer), an EIL (Emission Material Layer) Electron injection layer), an electron transfer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ML).

간략히 설명하면, HIL은 정공을 주입시키는 기능을 하며, CuPc 등의 물질을 이용한다. HTL은 주입된 정공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정공의 이동성(hole mobility)이 좋아야 한다. HTL로는 아릴라민(arylamine), TP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EIL과 ETL은 전자의 주입과 수송을 위한 층이며, 주입된 전자와 정공은 EML에서 결합되어 발광한다. EML은 발광되는 색을 표현하는 소재로서, 유기물의 수명을 결정하는 호스트(host)와 색감과 효율을 결정하는 불순물(dopant)로 구성된다.Briefly, the HIL functions to inject holes and uses a material such as CuPc. The HTL functions to transfer the injected holes and the hole mobility should be good. As the HTL, arylamine, TPD and the like can be used. EIL and ETL are layers for electron injection and transport, and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are combined in EML to emit light. EML is a material that expresses the emitted color, and is composed of a host that determines the lifetime of the organic material, and a dopant that determines color and efficiency.

이 중 현재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치에 많이 쓰이고 있는 AM-OLED 패널의 단면을 도 5b에 도시하면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OLED 패널은 TFT기판(thin film transistor backplane), 애노드(Anode, 양극), 유기물층, 캐소드(Cathode, 음극), 편광판(Polarizer)으로 구성된다. 한편, 다양한 방식의 AM-OLED 패널이 있지만, 그 중 RGB방식의 AM-OLED 패널은, 하나의 픽셀이 삼원색(Red,Green,Blue)으로 구성되어 광의 색상을 결정한다.A section of an AM-OLED panel, which is currently used in mobile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B. As shown in FIG. 5B, the AM-OLED panel is composed of a TFT substrate (thin film transistor backplane), an anode, an organic layer, a cathode, and a polarizer. On the other h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AM-OLED panels, but among the RGB-type AM-OLED panels, one pixel is composed of three primary colors (Red, Green, Blue) to determine the color of light.

AM-OLED 패널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유기물층이 삽입되어, TFT가 온(On) 상태가 되면, 구동 전류가 애노드에 인가되어 정공이 주입되고 캐소드에서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물층으로 정공과 전자가 이동하여 서로 만나 광이 생성된다.In the AM-OLED panel, as shown in FIG. 5B, when an organic compound layer is insert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o turn on the TFT, a driv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anode to inject holes and inject electrons from the cathode , Holes and electrons move to the organic material layer, and light is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OLED 패널(AM-OLED 패널 또는 PM-O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OLED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듈(200) 하부에는 터치 압력 검출을 위한 다양한 구성(예: 압력 검출 모듈(400) 및 기준전위층(610) 등)이 적층된다.The display module 200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LED panel (an AM-OLED panel or a PM-OLED panel).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610) for detecting the touch pressure are stacked on the bottom of the display module 200 using the OLED panel.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은 다양한 장치(예: 스마트폰, TV 등)에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을 비롯해, 가정용 PC, TV, DVD,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자제품, 산업용 제어장치, 의료기기 등에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음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TV, and the like as shown in FIGS. 9 to 1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mart touch, tablet PC,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MP3 players, cameras, camcorders, electronic dictionaries, hom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home PCs, TVs, DVDs,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and microwave ovens, industrial control devices and medical devices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특히, 도 9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가장자리가 곡면인 형상을 취할 수 있다.First, FIG. 9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smartphone.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display module 200 may take the shape of a curved edge.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평면부(290)와 곡면부(291)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형상을 가진다. 이때, 평면부(290)가 중앙에 위치하고, 곡면부(291)는 상기 평면부(290)로부터 연장되어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291)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휘어진 형상을 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has a shape of a display module 200 composed of a flat surface portion 290 and a curved surface portion 291. At this time, the flat portion 290 is located at the center, and the curved portion 291 extends from the flat portion 290 and can be formed on both sides.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can take a curv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이때, 소정의 곡률이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용이하게 식별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 터치 센서 패널(100)이나 압력 검출 모듈(400)을 조작하기에 적정한 곡률이면 족하고, 본 발명은 상기 곡면부(291)의 특정 곡률값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 the predetermined curvature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he user easily identifies an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200 or the touch sensor panel 100 or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display module 2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curvature valu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

한편, 도 9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양 측면에 곡면부(291)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했지만, 평면부(290)의 좌측 혹은 우측의 한 측면에만 곡면부(291)가 형성될 수 있다.9, curved portions 29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module 200, but curved portions 291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at portion 290. [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전체적으로 곡면인 TV와 스마트폰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하방으로 휘어진 곡면 형상일 수 있다.10 and 11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V and a smart phone which are generally curved surfaces.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display module 200 may have a curved surface whose center portion is curved downward as a whole.

물론,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중앙부가 상방으로 휘어진 곡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휘어진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와 반대로, 세로 방향으로 휘어진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상정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curved upwardly. In addition, contrary to the embodiments of Figs. 10 and 11, which are warp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display module 200 war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ssumed.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적절한 디스플레이 패널(예를 들어, AM-OLED 패널 혹은 LCD 패널)과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의 기판 등을 이용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휘어질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Further,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suitable display panel (for example, an AM-OLED panel or an LCD panel) and a substrate of a flexible material,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bent within the fram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은, 도 9의 실시예를 상정한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적층 구조이다.6 to 8 show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stacked structures of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ssuming the embodiment of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부(290)와 적어도 하나의 곡면부(291)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도 6 내지 도 8의 적층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9,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display module 200 including a flat portion 290 and at least one curved portion 291, as shown in FIGS. 6 to 8, Or a laminated structure.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평면부(290)의 수직 하부 영역에만 압력 검출 모듈(400)을 구비한다.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includes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only in the vertical lower region of the flat portion 290 of the display module 200.

즉,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곡면부(291)의 하부 영역에는 압력 검출 모듈(400)이 구비되지 않는다. 반면, 터치 센서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체면에 대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not provided in a lower reg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of the display module 200. On the other hand, 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평면부(290)에,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부(290)의 하부 영역에만 압력 검출 모듈(400)(및 기준전위층(610))이 존재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체면에 구비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체 영역에서 터치 위치가 감지되는 반면, 터치 압력의 검출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평면부(290)에서만 이루어진다.6,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610) is provided only on the flat portion 290 of the display module 200, more specifically, only on the lower region of the flat portion 290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so that the touch position is detec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module 200 while the touch pressure is detec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module 200 Plane portion 290 as shown in Fig.

즉,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양 측면에서 터치 압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그립에 의한, 의도치 않은 터치 입력(위치 및 압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since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can not provide the touch pressure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module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unintentional touch input (position and pressure) .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를 구비한 스마트폰을 포켓 안에 넣어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양 측면이 의도치 않게 눌리게 됨으로써, 의도치 않은 터치 압력이 인가되어, 압력 검출 모듈(400)이 터치 압력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mart phone having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pocket, both sides of the display module 200 are unintentionally press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detects the touch pressure an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is performed.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체면에 터치 센서 패널(100)과 압력 검출 모듈(400)(및 기준전위층(61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610) a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200 .

따라서,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체 영역에서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어느 영역에서도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can detect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pressure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module 200,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touch input anywhere in the display module 200 can do.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평면부(290) 이외에 곡면부(291)에서도 터치 압력이 검출되므로, 기존의 기계적인 버튼에 의한 입력을 터치 압력에 의한 입력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6 in that the touch pressure is detected 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in addition to the plane portion 290, It is possible to replace it with an input by pressure.

즉,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는 대신 양 측면의 디스플레이면을 누름으로써, 버튼을 누르는 사용감을 그대로 느끼게 된다.That is, the user feels the feel of pressing the button by pressing the display surface of both sides instead of pressing the button.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곡면부(291)의 하부 영역에만 압력 검출 모듈(400)(및 기준전위층(610))이 형성된다.In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610) is formed only in a lower reg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of the display module 200.

따라서,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곡면부(291)에서만 압력 검출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는 대신 양 측면의 디스플레이면을 누름으로써, 버튼을 누르는 사용감을 유사한 방식으로 느끼게 된다. 반면, 평면부(290)의 영역에서는 터치 센서 패널(100)에 의한 터치 위치의 검출만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can detect the pressure only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of the display module 200,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display surface on both sides instead of pressing the button, The feeling of pressing the button is felt in a similar manner. On the other hand, in the area of the flat surface portion 290, only the touch position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can be detected.

한편, 도 8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전면부(평면부(290) 및 곡면부(291))에 터치 센서 패널(100)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와 달리, 평면부(290)에만 터치 센서 패널(10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낮추고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곡면부(291)에만 터치 센서 패널(100)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8 shows that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portion (the flat surface portion 290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of the display module 200. Alternatively, By forming the panel 100,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be formed only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이때,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압력 검출 모듈(400-1,400-2)을 가지므로, 2개의 압력 검출 모듈(400-1,400-2)을 구동시키기 위해, 1개 또는 2개의 채널을 이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has two pressure detection modules 400-1 and 400-2 spaced from each other, the two pressure detection modules 400-1 and 400-2 are driven , It can be designed to use one or two channels.

즉, 2개의 압력 검출 모듈(400-1,400-2)이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도 있고, 하나의 채널을 통해 터치 위치와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도 있다.That is, the two pressure detection modules 400-1 and 400-2 may detect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using different channels, or may detect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through one channel.

또한,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평면부(290)의 하부 영역을 터치 입력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타 요소의 내장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공간상의 이점을 얻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FIG. 8, the lower area of the flat surface 290 can be used as a built-in space of another element for operating the touch input device, thereby obtaining an advantage in spac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좌측 혹은 우측에만 곡면부(291)를 구비한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과 압력 검출 모듈(400)을 위에서 설명한 구조를 적절히 변형하여,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1000)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8,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may be provided with the curved surface portion 291 only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isplay module 200. [ The touch input device 1000 capable of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can be realiz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도 6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부에 별도의 구성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터치 센서 패널(100)이 인셀(In-cell)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특정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6 to 8,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200. However, 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module 200. FIG. That is, 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be implemented in an in-cell manner, and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imited to a specific arrangement of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한편,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장치(1000)의 신뢰성 있는 구동을 보장하고, 충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는 충격 흡수부(SP)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6 to 8 may include a battery B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nfiguration for sensing a touch input. In addition, an impact absorbing unit SP may be further provided to ensure reliable driving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nd to prevent damage due to an impact.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의 구조에서, 기준전위층(610,610-1,610-2)의 구조나 기능에 대해서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는 압력 검출 모듈(400)과 기준전위층(610,610-1,610-2)의 적층 구조가 도 2에 도시된 구조로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적층 구조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In the structure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S. 6 to 8,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s 610, 610-1, and 610-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Although the lamination structure of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s 610, 610-1, and 610-2 i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lamination structure .

또한, 압력 검출 모듈(400)의 압력 전극의 구조로서, 도 3a 내지 도 3d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고, 압력 검출 모듈(400)의 세부 구성으로서, 도 4a 내지 도 4f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1000)가, 도 3a 내지 도 3d에 따른 압력 전극의 구조나 도 4a 내지 도 4f의 압력 검출 모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the structure of the pressure electrode of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various embodiments of FIGS. 3A to 3D can be applied. As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various embodiments of FIGS. 4A to 4F can be applied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Of course, the touch input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pressure electrode according to Figs. 3A to 3D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of Figs. 4A to 4F.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형태를 상정하여 이루어졌지만,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도 6 내지 도 8의 적층 구조를 수정 또는 변형하여, 터치 위치와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1000)로서 기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위에서 설명된 방식으로 어려움 없이 설계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the form of the display module 200 shown in Fig. 9 is assumed, bu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s. 10 and 11, Or modified to function as the touch input device 1000 capable of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and touch pressur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sign without difficulty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구비된 전면(700F), 전면(700F)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좌측면(700L), 우측면(700R), 상측면(700U), 하측면(700D), 그리고 배면(700B)을 포함한다.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includes a front surface 700F having a display module 200, a left side surface 700L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front side 700F, a right side surface 700R, an upper side surface 700U, A side surface 700D, and a back surface 700B.

도 12a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전면(700F)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부에 터치 센서 패널(100)이 적층된다. 터치 센서 패널(1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의 전면(700F)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12A, the display module 20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700F of the touch input device, and the touch sensor panel 100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display module 200.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ouching the front surface 700F of the touch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panel 100 senses the touch position.

한편, 터치 입력 장치의 측면(700L,700R,700U,700D)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압력 검출 모듈(400)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터치 압력을 검출한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s 700L, 700R, 700U, and 700D of the touch input device includes a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to detect the touch pressure of the user.

도 12b는 도 12a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전면부(700F)에 구비되며, 좌우측면(700L,700R)에는 압력 검출 모듈(400)이 구비된다.1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2A. The touch sensor panel 100 and the display module 200 are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700F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700L and 700R.

도 12b의 압력 검출 모듈(400)은 도 4a 내지 도 4f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준전위층과의 거리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of FIG. 12B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FIGS. 4A to 4F,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may detect the touch pressure through a change in capacitance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tructures.

한편, 도 12b의 실시예에서, 좌우측면(700L,700R)에 구비된 압력 검출 모듈(400) 에는 측면 커버부재(SC)가 적층될 수 있다. 측면 커버부재(SC)는 터치 입력 장치의 테두리를 커버하여, 압력 검출 모듈(400)를 보호하고,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 등의 기능을 한다.12B, the side cover member SC may be laminated o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700L and 700R. The side cover member SC covers the rim of the touch input device, protects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functions to prevent intrusion of foreign matter.

다만,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눌렀을 때, 전극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어야 압력 검출이 가능하므로, 압력 검출 모듈(400)의 상부에 형성된 측면 커버부재(SC)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소정 범위 내에서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는 소재(예: 고무, silicone rubber 등)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ressure detect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finger with a finger or the lik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must be variable so that the side cover member SC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material (e.g., rubber, silicone rubber, etc.) that can be bent inwar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도 12b에서는 좌측면(700L) 및 우측면(700R) 모두에 압력 검출 모듈(40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한 측면에만 압력 검출 모듈(400)이 구비되어도 무방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하측면(700U,700D) 중 적어도 하나에 압력 검출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압력 검출 모듈(400)을 터치 입력 장치의 배면(700B)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좌우상하 측면(700L,700R,700U,700D) 및 배면(700B)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압력 검출 모듈(400)을 구비할 수 있다.12B,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provided on both the left side 700L and the right side 700R. However,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may be provided on only one side.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sensors 700U and 700D. Of course, if necessary,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may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700B of the touch input device. That is,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eft, right, top and bottom sides 700L, 700R, 700U, 700D and the back side 700B.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의 실시예도,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측면에 압력 검출 모듈(400)이 구비된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다만, 도 12b의 실시예에서는, 압력 검출 모듈(400)이 측면 커버부재(SC)로 커버되어 있지만, 도 13의 실시예는 압력 검출 모듈(400) 상부에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293S)이 형성된다.12B, although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covered with the side cover member SC, in the embodiment of FIG. 13, the side display module 293S is formed o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

더욱 구체적으로, 도 13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전면에 형성된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293F)과 측면에 형성된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293S)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293S)은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293F)로부터 연장된다. 도 13은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293S)이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293F)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와 달리, 사선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도 무방하다.13 includes a front display module 293F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a side display module 293S formed on the side surface and the side display module 293S includes a front display module 293F, / RTI > 13 shows that the side display module 293S extends vertically from the front display module 293F, but alternatively it may be bent and extended in an oblique direction.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293F)의 상부에는 터치 센서 패널(100)이 구비될 수 있고,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293S)의 하부에는 압력 검출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압력 검출 모듈(400)은 도 4a 내지 도 4f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준전위층과의 거리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panel 1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display module 293F and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display module 293S. 4A to 4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essure sensing module 4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touch pressure through a change in capacitance due to a change in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structures.

한편, 도 13에서 명시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293F)의 하부에 압력 검출 모듈(400)을 더 포함하고,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293S)의 상부에 측면 터치 센서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모든 면에서 터치 위치와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13,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display module 293F and further include a side touch sensor panel at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display module 293S have. In this case, the touch position and the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on all the surfaces to be displayed.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293F)과 측면 디스플레이 모듈(293S)은 일체로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되어도 무방하고, 독립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연결(별개의 구성 요소)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 방식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구조나 배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Also, the front display module 293F and the side display module 293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isplay module (one component), and may be realized by connecting independent display modules (separate components) ha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select an appropriate structure or arrangement in view of the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like.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영역(710)과 비-디스플레이 영역(720)을 포함할 수 있다.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he front side of the touch input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area 710 and a non-display area 720. [

여기서, 디스플레이 영역(71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구비되는 영역이고, 비-디스플레이 영역(720)은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구비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도 14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710)에서만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다.Here, the display area 710 is an area where the display module 200 is provided, and the non-display area 720 is an area where the display module 200 is not provided. Therefore,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Fig. 14 has a display function only in the display area 710. [

비-디스플레이 영역(720)의 내부에는, 겉으로 보이지는 않지만(경우에 따라 내부가 보일 수 있음), 압력 검출 모듈(400)이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디스플레이 영역(720)을 손으로 눌렀을 때,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터치 압력이 검출될 수 있다.At least on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is provided inside the non-display area 720, although it is not visible but may be seen internally as the case may be. Thus, when the user presses the non-display area 720 by hand, the touch pressure can be detect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서 비-디스플레이 영역(720)의 내부에 구비된 압력 검출 모듈(400)은 도 4a 내지 도 4f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준전위층과의 거리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provided in the non-display area 720 in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4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FIGS. 4A to 4F, ,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structures that can detect the touch pressure through a capacitance change according to a distance change with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한편, 다양한 형태로 비-디스플레이 영역(720)에 압력 검출 모듈(40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710)의 아래에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폭과 동일한 크기의 압력 검출 모듈(400)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4의 (b)와 같이, 소정 영역(버튼 모양의 동그라미 영역)에만 압력 검출 모듈(400)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4의 (c)와 같이 2개의 압력 검출 모듈(400)이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400 may be formed in the non-display area 720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A, a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having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display module 200 may be formed under the display area 710 where the display module 200 is disposed 14 (b),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may be formed only in a predetermined area (a button-shaped circle area), and two pressure detecting modules 400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14 (c) They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도 14의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스플레이 영역(720)을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눌렀을 때, 압력 검출 모듈(400)의 전극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할 수 있어야 압력 검출이 가능하므로, 압력 검출 모듈(400)의 상부에는 플렉서블한 소재(예: 고무링 등)의 커버층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커버층은 터치 입력 장치의 케이스일 수 있다.14, when the user presses the non-display region 720 with a finger or the like,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 of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and the reference potential layer must be variable so that the pressure can be detected , And a cover layer of a flexible material (e.g., a rubber ring) may be lamin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The cover layer may be a case of a touch input device.

도 14의 다양한 실시예로 압력 검출 모듈(400)을 구비하여 압력 검출 모듈(400)을 물리적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디스플레이 영역(720) 위에는 소정 패턴이 인쇄되어, 사용자의 누름이 있는 경우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위에서 설명한 압력 검출 방식에 의할 수 있다.14,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400 can be used as a physical button,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printed on the non-display area 720, and when there is a pressing of the user The application to be executed, and the like can be intuitively confirmed. Of course,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can be made by detecting the touch pressure, which can be done by the pressure detection method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가 실질적으로 구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9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위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 터치 입력 검출 및 터치 압력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했지만, 각 실시예가 스마트폰 등의 장치로 동작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될 것임은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다.9 to 14,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actically implemented, the above description has focused on the configuration for enabling the display, the touch input detection, and the touch pressure detection.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n example would include a configuration for operating with 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또한, 도 9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압력 검출 모듈이 2개 이상 포함되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 1개의 채널을 통해 구동될 수도 있지만, 2개 이상의 채널을 통해 각각의 압력 검출 모듈이 구동될 수 있다. 멀티 채널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압력 검출 모듈을 동시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뛰어난 압력 검출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위치 검출과 관련한 터치 센서 패널이나 디스플레이 모듈 역시 2개 이상의 채널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당업자는 요구에 따라 터치 센서 패널, 디스플레이 모듈 및 압력 검출 모듈의 채널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9 to 14, when two or more pressure detecting modules are included or ar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s may be driven through one channel, Can be driven. In the case of the multi-channel configuration, since each of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s can be individually and simultaneously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ensure more excellent pressure detection. Likewise, the touch sensor panel or display module associated with position detection can also be controlled via two or more channel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reely design the channels of the touch sensor panel, the display module, and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as required.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통신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통신모듈, 제어모듈, 저장모듈 등의 요소는 종래의 형태나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배치, 크기, 형상, 동작 방식 등에 따라 적절히 변형되거나 다른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communication module, a control module, a storage module, and the like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form or method, and if necessary, Size, shape, mode of operation, etc., or may be replaced by other element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터치 센서 패널
200‥‥‥‥‥‥‥‥‥‥‥‥‥‥‥디스플레이 모듈
290‥‥‥‥‥‥‥‥‥‥‥‥‥‥‥평면부
291‥‥‥‥‥‥‥‥‥‥‥‥‥‥‥곡면부
300‥‥‥‥‥‥‥‥‥‥‥‥‥‥‥기판
400, 400-1, 400-2‥‥‥‥‥‥‥‥압력 검출 모듈
610,610-1,610-2‥‥‥‥‥‥‥‥‥기준전위층
700F‥‥‥‥‥‥‥‥‥터치 입력 장치의 전면
700L‥‥‥‥‥‥‥‥‥터치 입력 장치의 좌측면
700R‥‥‥‥‥‥‥‥‥터치 입력 장치의 우측면
700U‥‥‥‥‥‥‥‥‥터치 입력 장치의 상측면
700D‥‥‥‥‥‥‥‥‥터치 입력 장치의 하측면
700B‥‥‥‥‥‥‥‥‥터치 입력 장치의 배면
B‥‥‥‥‥‥‥‥‥‥‥‥‥‥‥‥배터리
100 ‥‥‥‥‥‥‥‥‥‥‥‥‥‥‥‥‥‥‥‥ Touch sensor panel
200 ‥‥‥‥‥‥‥‥‥‥‥‥‥‥‥‥‥‥‥‥ Display module
290 ‥‥‥‥‥‥‥‥‥‥‥‥‥‥‥‥‥‥‥‥‥‥‥‥‥‥‥‥‥‥‥‥‥‥‥‥‥
291 ... ... ... ... ... ... ...
300 ‥‥‥‥‥‥‥‥‥‥‥‥‥‥‥ Substrate
400, 400-1, 400-2 .......... Pressure detecting module
610, 610-1, 610-2, ...,
700F Front of the touch input device
700L ......... Left side of the touch input device
700R ......... The right side of the touch input device
700U .................. The upper side of the touch input device
700D ......... The lower side of the touch input device
700B ......... The rear surface of the touch input device
B ‥‥‥‥‥‥‥‥‥‥‥‥‥‥‥ Battery

Claims (5)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표면에 가해지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 모듈; 및
상기 압력 검출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소재의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압력 검출 모듈 및 상기 기판이 소정 범위 내에서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터치 압력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지며,
상기 압력 검출 모듈에서 검출되는 전기적 특성은 상기 터치 압력 인가에 의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어짐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압력 검출 모듈은 상기 전기적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는, 터치 입력 장치.
A display module;
A pressure detecting module disposed under the display module and detecting a touch pressure applied to a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nd a substrate of a flexible material disposed under the pressure sensing module,
Wherein when the touch pressure is applied while the display module,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and the substrate are ben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display module is bent,
Where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detected by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changes according to the warp of the display module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touch pressure,
Wherein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based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면에 형성된 터치 센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검출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체면에 형성되는,
터치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ouch sensor panel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pressure detection module is formed on an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ouch inpu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짐에 따라 상기 압력 검출 모듈에 포함된 압력 전극과 상기 기판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상기 전기적 특성은 상기 거리에 따라 변하는 정전용량인,
터치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sure electrode included in the pressure detecting module and the substrate changes as the display module is bent,
Where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is a capacitance that varies with the distance,
Touch input device.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OLED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 입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Wherein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an OLED panel,
Touch input device.
KR1020170033618A 2017-03-17 2017-03-17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101792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618A KR101792525B1 (en) 2017-03-17 2017-03-17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618A KR101792525B1 (en) 2017-03-17 2017-03-17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978A Division KR101719208B1 (en) 2015-06-17 2015-06-17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64A KR20170034364A (en) 2017-03-28
KR101792525B1 true KR101792525B1 (en) 2017-11-02

Family

ID=5849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618A KR101792525B1 (en) 2017-03-17 2017-03-17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525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415A (en) * 2018-11-09 2020-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0782833B2 (en) 2018-04-16 2020-09-22 Samsung Display Co., Ltd. Pressure sensitive display device
US10788911B2 (en) 2018-03-29 2020-09-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bump member
US10788916B2 (en) 2018-07-31 2020-09-29 Samsung Display Co., Ltd.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8952A1 (en) * 2017-08-21 2019-02-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Pressur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KR102436655B1 (en) 2017-09-22 2022-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00143075A (en) * 2019-06-14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nsing a force sensor
CN112654953B (en) 2019-08-12 2024-04-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and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766B1 (en)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766B1 (en)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Curved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8911B2 (en) 2018-03-29 2020-09-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bump member
US10782833B2 (en) 2018-04-16 2020-09-22 Samsung Display Co., Ltd. Pressure sensitive display device
US10788916B2 (en) 2018-07-31 2020-09-29 Samsung Display Co., Ltd.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20925B2 (en) 2018-07-31 2022-05-03 Samsung Display Co., Ltd.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54415A (en) * 2018-11-09 2020-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0990205B2 (en) 2018-11-09 2021-04-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502225B1 (en) 2018-11-09 2023-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64A (en)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08B1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101792525B1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US10459560B2 (en) Touch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ouch pressure and comprising display module
KR101583765B1 (en) Smartphone
KR101787553B1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KR101742584B1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KR101908463B1 (en) Touch input device
KR20170025706A (en) Pressure detector capable of pressure sensitivity adjustment and touch input dep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58323B1 (en) Pressure sensing unit and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11424B1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CN109074197B (en) Touch input device for detecting touch pressure
US20190243485A1 (en) Touch input device
KR102044802B1 (en) Touch input appratus for sensing force which is added at a side of the touch input apparatus
KR101865303B1 (en) Touch Input Apparatus
KR101649986B1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101880434B1 (en)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capacitance of the same
KR101811417B1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20180034363A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KR101843458B1 (en)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KR20180113958A (en) Touch input device
KR20170013146A (en) Smart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