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087B1 - If instant hot water for using an index cooker - Google Patents

If instant hot water for using an index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087B1
KR101790087B1 KR1020160051897A KR20160051897A KR101790087B1 KR 101790087 B1 KR101790087 B1 KR 101790087B1 KR 1020160051897 A KR1020160051897 A KR 1020160051897A KR 20160051897 A KR20160051897 A KR 20160051897A KR 101790087 B1 KR101790087 B1 KR 101790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ool
induction heating
pip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동호
Original Assignee
(주) 다나일렉트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다나일렉트릭스 filed Critical (주) 다나일렉트릭스
Priority to KR102016005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0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8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water-bath, e.g. pasta-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식당, PC방 또는 편의점에 설치되어 일반라면인 일명 봉지라면에 투입되는 온수를 공급함에 있어 별도의 저장탱크가 구비없이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어 토출되는 수돗물을 순간 온수화하는 직수형 온수 공급에 따른 저장탱크의 세척이나 저장탱크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바로 실시간으로 가열되어 온수콕으로 배출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장치의 컴팩트화로 인한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알루미늄 소재의 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것으로 중앙에 결합공(201)이 천공되어 있되 내주부에는 걸림턱(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201)의 외주부에는 구획턱(203)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턱(203)의 외측으로 거치바(20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바(204)중 3개의 거치바(204) 하단에는 균형을 유지한 삼발이 형태의 지지대(205)가 구비된 거치판(200)의 상부에는 중앙에 삽입공(211)이 천공되어 있는 히팅코일(210)로 이루어진 인덕션 가열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정면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서 조리시간이나 기타 조리과정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상부에는 조리여부, 용기안착 유무, 물공급유무를 표시하는 램프(31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하부에는 설정, 시작 및 정지, 물 추가, 시간추가 를 조작하는 버튼(3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조작 디스플레이부(30) 하부에는 조리방법을 표시한 조리방법구현부(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방법구현부(40) 하단에는 양측으로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중심축 위에 온수배출노즐(5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하우징(600) 내부 일측은 상기 온수배출노즐(5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수도관에서 직수로 연결된 코일형 온수관(610)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코일형 온수관(610) 외주부에는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된 코일형 온수관(610)의 외측인 상기 하우징(600)의 내부에는 미네랄울 (Mineral wool), 에이이에스울(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세라믹울 (Ceramic wool) 및 글라스울(glass wool)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온절연재(630)가 충진되어 있는 순간 온수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상기 히팅코일(210)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2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21)의 외주부에는 제1 단턱(2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단턱(2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방향으로 돌기바(2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바(223)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24)이 구비됨과 동시에 링 형상의 안착돌부(22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단턱(222)과 안착돌부(225)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삽입홈부(226)가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안착판(22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와,
상기 순간 온수부(60)는,
양측에 밀폐캡(641)이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스텐레스관(640)과, 상기 복수개의 스텐레스관(640) 외주부에는 수로통로(651)가 형성되도록 상기 스텐레스관(640) 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관으로서 외주부에 간격을 두고 전도부(652)가 양측 및 중앙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리관(650)과, 상기 각각의 전도부(652) 외주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전도브라켓(660)과, 상기 유리관(650)의 일측에는 중앙에 수로공(671)이 천공된 마감캡(672)과 타측에는 수로가 소통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관 형태로서 양측에 상기 유리관(650)에 체결 가능하도록 결합캡(673)이 일체로 구비된 연결관(6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별도로 구비치 아니함으로서 크기의 컴팩트화 즉, 소형화가 가능하며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설치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제작비의 축소 및 제작공정의 간편성, 편리성, 신속성을 도모하여 경제적인 라면조리기를 제공 가능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ot water to be supplied to a general restaurant, a PC room, or a convenience store, which is called a general ramen, and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without a separate storage tank, It is possible to solve the unhygienic problem of the storage tank or the storage tank due to the supply, an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it to the hot water cock in real time,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into the hot water c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cooker for supplying hot water,
A concret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coupling hole 201 is formed at the center by induction heating of a container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 latching jaw 202 is formed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01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204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bar 204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ing jaw 203 in a state where the partitioning jaws 203 are provided. An induction heating unit 20 including a heating coil 210 having an insertion hole 2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mounting plate 200 provided with a torsion bar support 205 in a balanced state The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displays cooking time and other cooking processes.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with cooking, presence of containers, (Not shown) And a button 320 for operating the setting, start and stop, water addition, and time addition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300, And a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is formed on the center axis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oking method implementing unit 40.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 coil type hot water pipe 610 which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at one side of the housing 60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in a detachable manner, A coiled heater 62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t water pipe 610 and a mineral wool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600 outside the coiled hot water pipe 610 wound with the coiled heater 620. ), Aiess Wool And an instantaneous hot water portion 60 filled with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630 made of any one of 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ceramic wool and glass wool,
A through hole 2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so as to be seated on the heating coil 210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A first step 222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21, A protrusion bar 223 is provided in three direction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tep 222. A second step 224 is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protrusion bar 223 and a ring-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plate (220) of silicon material is formed which naturally has an insertion groove (226) formed between the first step (222) and the seat fastening part (225) A cooker for hot water supply,
The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60)
A plurality of stainless pipes 640 each having a sealing cap 641 on both sides thereof and a plurality of stainless pipes 640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stainless pipe 640 so as to form a channel passage 65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stainless pipes 640, A conduction bracket 660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conductive parts 652 to supply power to the glass tube 650; 650 a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finishing cap 67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with a water hole 671 formed therein and a coupling cap 673 so as to be fastened to the glass tube 650 at both sides in a flexible tube shape, And a connection pipe 670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direct water supply pipe 670. [
Since the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existing hot water is not separate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make the size compact, that is, to downsize 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without regard to any place,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providing an economical ramen cooker.

Description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If instant hot water for using an index cook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nt hot water for instant hot water supply,

본 발명은 일반 식당, PC방 또는 편의점에 설치되어 일반라면인 일명 봉지라면에 투입되는 온수를 공급함에 있어 별도의 저장탱크가 구비없이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어 토출되는 수돗물을 순간 온수화하는 직수형 온수 공급에 따른 저장탱크의 세척이나 저장탱크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바로 실시간으로 가열되어 온수콕으로 배출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장치의 컴팩트화로 인한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ot water to be supplied to a general restaurant, a PC room, or a convenience store, which is called a general ramen, and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without a separate storage tank, It is possible to solve the unhygienic problem of the storage tank or the storage tank due to the supply, an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it to the hot water cock in real time,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into the hot water c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men cooker for supplying hot water.

자동라면조리기는 단지 끊는 물만 공급하여 소위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라면을 조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라면인 봉지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배출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통상적으로 라면이 미리 적재된 라면용기를 적층하고 있으며 상기 라면용기를 개별적으로 인출하여 히터로 이송하고 물을 투입한 후 히터에 의하여 라면이 조리되면 이를 배출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318063호 또는 제0325418호는 자판기 형태로 활용되는 자동라면조리기를 보인다.An automatic ramen cooker is a machine that automatically cooks and discharges ordinary ramen noodles instead of just instant noodles such as so-called cup ram noodles by supplying only the water to be cut off. Such an automatic ram noodle cooker typically laminates noodle containers pre-loaded with ram noodles. The ram noodle containers are individually taken out and transported to a heater, water is introduced, and the noodle is discharged by a heater when the ram noodle is cooked. Korean Patent No. 318063 or No. 0325418, for example, discloses an automatic ram noodle used as a vending machine.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사용자 입장에서 매우 편리한 특징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고가이다. 또한 이러한 자동라면조리기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수동적인 면이 있는데, 즉 단순히 라면자동조리기 운영자가 장착한 라면에 대해서만 조리가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폭넓게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라면에 대한 선택권이 제한적이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자동라면조리기의 경우 다양한 첨가물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데는 한계를 지닌다. 즉 현재까지 개발된 자동라면조리기는 기호에 따라 라면에 계란, 파 등의 첨가물을 넣어 조리하는 것은 곤란한 일이다.These automatic noodle cookers are very convenient features for users but they are complex and relatively expensive. In addition, these automatic noodle cookers are passive in terms of the user, that is, they can be cooked only for ramen noodles installed by the automatic cooker operator, and there are limited options for various kinds of ramen noodles which are widely avail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 In addition, the automatic ram noodle cooker developed until now has limitations in using various additives.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cook the automatic noodle cooker which has been developed so far by adding additives such as eggs and waves to ramen noodles according to preference.

결국, 현재,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 라면이 아닌 일반 라면에 대하여 자신의 기호에 따라 라면을 선택하고 여기에 계란, 파 등의 첨가물을 넣어 조리할 수 있는 방법은 종래의 방식대로 냄비에 물을 부어 가스레인지 등에서 조리하는 방식을 따를 수밖에 없다.As a result, currently, ram noodles such as cup noodles are not instant ramen noodles, but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ram noodl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and the method of adding the additives such as eggs and waves to the ram noodles is to pour water into the pan in a conventional manner It is inevitable to follow the method of cooking in a gas rang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를 경우 냄비에 물을 붓고 부어진 물을 끊이고 이후 라면을 조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으며, 특별히 PC 방, 매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이러한 종래의 방식을 따른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곤란한 일이 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method, it is necessary to pour water into the pan, to cut off the poured water, and then to cook the ramen, which can be a very cumbersome task. Especially, in a public place such as a PC room, Following the method can be a real challenge.

그러므로 전술한 PC 방이나 매점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간편하게 일반 라면을 조리할 수 있는 라면 간편 조리기가 제공된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들은 자신이 취향에 따른 라면과 첨가물을 선택하여 능동적으로 라면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would be highly desirable if a ramen simple cooker capable of easily cooking ordinary ramen in a public place such as the above-mentioned PC room or kiosk is provided. In this case, users can select ramen and additive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nd actively cook ramen noodles.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한민국 특허 제0580150호 또는 제0752977호는 간단한 구조의 개량된 소형 라면 조리기를 제안하였다.Korean Patent No. 0580150 or No. 0752977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has proposed an improved small-sized ram noodle cooker having a simple structure.

이러한 라면 조리기는 다양한 종류의 라면을 구매자가 선택하여 조리할 수 있는 이점과, 소형화를 통한 장비 구매비용의 절감과 유지비용의 최소화를 이루며,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그 기본적 구성을 살펴보면 라면을 조리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통과, 물통으로부터 보충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유지시키는 예열물통과, 예열물통에서 데워진 물을 라면 용기에 공급하는 노즐과, 라면 용기를 조리를 위한 온도로 가열하는 히터와, 조리용 물의 공급 또는 정지, 히터의 가열 및 정지, 물 추가, 조리시간 추가 등을 제어하고 표시하는 제어부(패널)의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기본적 구성은 이미 동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일반적이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다.Such a ram noodle cook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rchaser can select various kinds of ramen noodles, and the noodle noodle can be easily cooked by reducing the cost of purchasing equipment through miniaturization and minimizing the maintenance cost. In the configuration, a water tank for supplying water for cooking the ramen, a preheating water tank for heating and holding the water supplemented from the water tank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nozzle for supplying water heated in the preheating water tank to the water tank, And a controller of a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and displaying the supply / stop of the cooking water, the heating / stopping of the heater, the addition of water, the addition of the cooking time, and the like. Can be confirmed to be a general technology widely known in the field.

또한, 상기 라면 조리기 중 전자의 특허 제0580150호는 라면 용기에 단지 라면과 스프를 넣고 히터에 안착을 하면 3분 내외의 짧은 시간에 라면이 간편하게 조리되는 라면 간편 조리기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기 대기 중인 물을 예열하여 보관하고 조리 용기의 가열 히터를 평상시에도 라면 조리 예열온도인 120도~180도로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former patent No. 0580150 of the above-mentioned Ramen cooker is provided with a ramen simple cooking machine in which ramen and soup are put into a ramen container and the ramen is cooked in a short time in about 3 minutes when the ram is put on a heater. The initial waiting water is preheated and stored, and the heating heater of the cooking vessel is maintained at a cooking preheat temperature of 120 to 180 degrees even if it is normal.

또한, 상기 라면 조리기 중 후자인 특허 제0752977호는 정수필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물 및 열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라면 조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필터를 설치하고 패널을 통하여 공급물 및 가열 시간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라면 조리기의 필터를 통해 위생적인 정수를 공급하는 기술적 구성은 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음식물 자동 조리기, 커피 자판기 또는 냉온수기 등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이며, 추가적인 물의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인위적으로 추가버튼을 조작하여 물을 추가하면 조리시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조리구성은 단순한 조리를 위한 기초적인 방법을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도록 추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latter of the above-mentioned ram noodle cookers, the patent No. 0752977, comprises a water filter, and a plurality of filters are installed in order to provide a ram's cook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supply amount of water and heat, So that the heating time can be adjusted. However, the technical structure for supplying hygienic purified water through the filter of the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food automatic cooker, the coffee machine or the cold / hot water machine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additional water is necessary, The cooking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oking time is automatically extended by adding water by manipulating the water, adds a basic method for simple cooking to be operated by the program.

허나, 상기의 특허 제0580150호와 특허 제0752977호는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물통에 항상 저장되어 있는 물이 존재하며 이와 같은 저장된 물을 예열하여 공급함으로서 물통에 저장된 물의 위생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더불어 상기 저장된 물의 위생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물통의 세척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고 더 나아가서 아무리 물통을 정기적으로 세척한다고 하더라도 저장되어 있는 자체가 비위생적인 원천적인 문제는 해소할 수 없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물통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기기의 상대적 대형화로 인한 설치 장소의 불편성을 함께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s No. 0580150 and No. 0752977 have a water reservoir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and water always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By preheating and supplying such stored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troublesome to regularly wash the water bottle in order to solve the hygiene of the stored water and furthermore, even if the water bottle is regularly cleaned, the original unsanitary problem that is stored itself can not be solved In addition, since the water tank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disadvantage of the installation place due to the relatively large size of the apparatus is included.

국내특허등록 제10-0318063호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0-0318063 국내특허등록 제10-032541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25418 국내특허등록 제10-058015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80150 국내특허등록 제10-075297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5297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별도로 구비치 아니함으로서 크기의 컴팩트화 즉,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ct storage tank which does not store a conventional hot water.

다음, 상기와 같이 소형화함에 따라 발생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설치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in a small space.

다음, 상기와 같이 소형화함에 따라 제작비의 축소 및 제작공정의 간편성, 편리성, 신속성을 도모하여 경제적인 라면조리기를 제공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conomical ram noodle cooker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venience, and speed as the noodle is miniaturized as described above.

다음, 온수를 저장탱크에 히팅한 상태로 보관하여야 함에 따른 전기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본 발명은 온수를 순간적으로 히팅함에 따라 온수를 토출할 경우에만 히팅됨으로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Next, since the hot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in a state of being heated, the energy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excessive use of electricity. The present invention warms the hot water instantaneously, and only the hot water is heated to save energy. It has its purpose.

다음, 본 발명은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별도로 존재치 아니하므로 기존과 달리 저장탱크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저장탱크 내부의 부식으로 인한 온수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hot water due to corrosion in a storage tank due to long-term use of a storage tank,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re is no separate storage tank for storing hot water.

다음, 기존의 저장탱크의 용량에 따라 온수의 토출이 제한적으로 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저장탱크가 존재치 아니함에 따라 계속적 연속적으로 온수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Next, discharge of hot water is limi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onventional storage tan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continuously discharging hot water continuously as the storage tank does not exis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알루미늄 소재의 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것으로 중앙에 결합공(201)이 천공되어 있되 내주부에는 걸림턱(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201)의 외주부에는 구획턱(203)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턱(203)의 외측으로 거치바(20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바(204)중 3개의 거치바(204) 하단에는 균형을 유지한 삼발이 형태의 지지대(205)가 구비된 거치판(200)의 상부에는 중앙에 삽입공(211)이 천공되어 있는 히팅코일(210)로 이루어진 인덕션 가열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정면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서 조리시간이나 기타 조리과정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상부에는 조리여부, 용기안착 유무, 물공급유무를 표시하는 램프(31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하부에는 설정, 시작 및 정지, 물 추가, 시간추가 를 조작하는 버튼(3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조작 디스플레이부(30) 하부에는 조리방법을 표시한 조리방법구현부(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방법구현부(40) 하단에는 양측으로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중심축 위에 온수배출노즐(5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하우징(600) 내부 일측은 상기 온수배출노즐(5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수도관에서 직수로 연결된 코일형 온수관(610)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코일형 온수관(610) 외주부에는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된 코일형 온수관(610)의 외측인 상기 하우징(600)의 내부에는 미네랄울 (Mineral wool), 에이이에스울(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세라믹울 (Ceramic wool) 및 글라스울(glass wool)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온절연재(630)가 충진되어 있는 순간 온수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상기 히팅코일(210)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2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21)의 외주부에는 제1 단턱(2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단턱(2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방향으로 돌기바(2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바(223)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24)이 구비됨과 동시에 링 형상의 안착돌부(22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단턱(222)과 안착돌부(225)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삽입홈부(226)가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안착판(22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와,
상기 순간 온수부(60)는,
양측에 밀폐캡(641)이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스텐레스관(640)과, 상기 복수개의 스텐레스관(640) 외주부에는 수로통로(651)가 형성되도록 상기 스텐레스관(640) 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관으로서 외주부에 간격을 두고 전도부(652)가 양측 및 중앙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리관(650)과, 상기 각각의 전도부(652) 외주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전도브라켓(660)과, 상기 유리관(650)의 일측에는 중앙에 수로공(671)이 천공된 마감캡(672)과 타측에는 수로가 소통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관 형태로서 양측에 상기 유리관(650)에 체결 가능하도록 결합캡(673)이 일체로 구비된 연결관(6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A coupling hole 201 is formed at the center by induction heating of a container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 latching jaw 202 is formed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01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204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bar 204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ing jaw 203 in a state where the partitioning jaws 203 are provided. An induction heating unit 20 including a heating coil 210 having an insertion hole 2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mounting plate 200 provided with a torsion bar support 205 in a balanced state The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displays cooking time and other cooking processes.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with cooking, presence of containers, (Not shown) And a button 320 for operating the setting, start and stop, water addition, and time addition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300, And a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is formed on the center axis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oking method implementing unit 40.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 coil type hot water pipe 610 which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at one side of the housing 60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in a detachable manner, A coiled heater 62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t water pipe 610 and a mineral wool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600 outside the coiled hot water pipe 610 wound with the coiled heater 620. ), Aiess Wool And an instantaneous hot water portion 60 filled with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630 made of any one of 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ceramic wool and glass wool,
A through hole 2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so as to be seated on the heating coil 210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A first step 222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21, A protrusion bar 223 is provided in three direction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tep 222. A second step 224 is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protrusion bar 223 and a ring-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plate (220) of silicon material is formed which naturally has an insertion groove (226) formed between the first step (222) and the seat fastening part (225) A cooker for hot water supply,
The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60)
A plurality of stainless pipes 640 each having a sealing cap 641 on both sides thereof and a plurality of stainless pipes 640 having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stainless pipe 640 so as to form a channel passage 65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stainless pipes 640, A conduction bracket 660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conductive parts 652 to supply power to the glass tube 650; 650 a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finishing cap 67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with a water hole 671 formed therein and a coupling cap 673 so as to be fastened to the glass tube 650 at both sides in a flexible tube shape, And a connection pipe 670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hower head 670. The above-mentioned objects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ramp cooker for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using direct w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를 제공하면, 기존의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별도로 구비치 아니함으로서 크기의 컴팩트화 즉, 소형화가 가능하며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설치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제작비의 축소 및 제작공정의 간편성, 편리성, 신속성을 도모하여 경제적인 라면조리기를 제공 가능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device for instant hot water using a direc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ventional hot water storage tank is not separately provid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hot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ram noodle cooker 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nvenience, and promptness.

또한, 온수를 저장탱크에 히팅한 상태로 보관하여야 함에 따른 전기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본 발명은 온수를 순간적으로 히팅함에 따라 온수를 토출할 경우에만 히팅됨으로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도록 하며, In addition, since the hot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in a state where it is heated, the energy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excessive use of electricity. The hot water is instantaneously heated to heat only when hot water is discharged, ,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별도로 존재치 아니하므로 기존과 달리 저장탱크를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저장탱크 내부의 부식으로 인한 온수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며, Since there is no separate storage tank for storing hot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hot water due to corrosion in the storage tank due to long-term use of the storage tank,

온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존재치 아니함에 따라 기존의 저장탱크의 용량에 따른 온수의 제한적 토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계속적 연속적으로 온수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As there is no storage tank for storing hot wat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limited discharge of hot water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existing storage tank and to be able to continuously discharge hot water continuously.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순간 온수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인덕션 가열부의 내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히팅코일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이 분리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도 2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순간 온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도 6의 순간 온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도 6의 순간 온수부가 적용된 상태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amen cooker for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using direc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rack water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ing rack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rack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at plate seated on a heating coil is separated,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n operation state of the embodiment of FIG. 2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typ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ramp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portion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rack water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portion of FIG. 6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rack-type instant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system using inst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rating state in a state where the instant hot water unit is applied. FIG.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It is intende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nd have various forms, and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understood to be either conventional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ventor can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appropriately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or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 have.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대하여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supplying surface warm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순간 온수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인덕션 가열부의 내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히팅코일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판이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도 2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순간 온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도 6의 순간 온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도 6의 순간 온수부가 적용된 상태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in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typ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ing apparatus using direc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ing unit,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device for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ating plate seated on a heating coil,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typ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system using the direc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bodiment. Fig. 7 is a cross-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portion in the instant cooker, and 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sectional view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ing sid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ing portion using the instant hot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specific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부호 10은 본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외관은 대략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나 그 형상은 이에 국한치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 1, an indicator 10 indicates a main body. The main body 10 has an outer appearance substantially as shown in FIG. 1, but its shape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지시부호 20은 인덕션 가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덕션 가열부(2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알루미늄 소재의 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것으로서,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induction-heating the aluminum material container,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션 가열부(20)는 중앙에 결합공(201)이 천공되어 있되 내주부에는 걸림턱(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201)의 외주부에는 구획턱(203)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턱(203)의 외측으로 거치바(20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바(204)중 3개의 거치바(204) 하단에는 균형을 유지한 삼발이 형태의 지지대(205)가 구비된 거치판(200)과,3,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01 at the center thereof, and a locking protrusion 202 is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204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ing jaws 203 in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ing jaws 203 are provided and a balance is maintained at the lower ends of the three mounting bars 204 of the mounting bars 204 A stationary plate 200 provided with a triple-pointed type support 205,

상기 거치판(200)의 상부에는 중앙에 삽입공(211)이 천공되어 있는 히팅코일(210)로 이루어진 것이며,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200 is formed with a heating coil 210 having an insertion hole 211 formed at its cent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상기 히팅코일(210)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2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21)의 외주부에는 제1 단턱(2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단턱(2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방향으로 돌기바(2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바(223)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24)이 구비됨과 동시에 링 형상의 안착돌부(22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단턱(222)과 안착돌부(225)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삽입홈부(226)가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안착판(220)이 포함된 구조인 것이다.A through hole 2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eating coil 210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as shown in FIG. 4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221 is formed with a first step And a protrusion bar 223 is provided in three directions with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first step 222. A second step 224 is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protrusion bar 223, And a seating plate 220 made of silicon and having an insertion groove 226 formed between the first step 222 and the seating protrusion 225 as a ring- .

다음, 지시부호 30은 조작 디스플레이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정면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서 조리시간이나 기타 조리과정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상부에는 조리여부, 용기안착 유무, 물공급유무를 표시하는 램프(31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하부에는 설정, 시작 및 정지, 물 추가, 시간추가 를 조작하는 버튼(3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1, the operation display unit 3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displays the cooking time or other cooking process And a lamp 310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supply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300, Buttons 320 for starting and stopping, adding water, and adding time are respectively formed.

상기 구성적 측면만으로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s a constituent element which can be understood only by the constitutional aspects.

다음, 지시부호 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방법구현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리방법구현부(40)은 상기 조작 디스플레이부(30) 하부에는 조리방법을 표시한 것으로서 조리과정을 표등으로 단계별로 표출토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사용시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1, the cooking method implementing unit 40 displays a cooking method in the lower part of the operation display unit 30. The cooking method implementing unit 40 displays a cooking process in a step So that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다음, 지시부호 50은 온수배출노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온수배출노즐(50)은 상기 조리방법구현부(40) 하단에는 양측으로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중심축 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is form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oking method implementing unit 40.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부호 60은 순간 온수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순간 온수부(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양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하우징(600) 내부에는 일측으로는 상기 온수배출노즐(5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으로는 수도관에서 직수로 연결된 코일형 온수관(610)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코일형 온수관(610) 외주부에는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된 코일형 온수관(610)의 외측인 상기 하우징(600)의 내부에는 보온절연재(630)가 충진되어 있는 구조이다.2, an indicator 60 indicates an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The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6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ncludes a housing 600, A coil type hot water pipe 610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on one side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 on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il type hot water pipe 610, Type heater 620 is wound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630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600 which is outside the coiled hot water pipe 610 wound with the coil heater 620.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온절연재(630)는 미네랄울 (Mineral wool), 에이이에스울(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세라믹울 (Ceramic wool) 및 글라스울(glass wool)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으로서,Preferably, the insulating material 630 is made of any one of mineral wool, AES wool (Aluminum Earth Silicate wool), ceramic wool, and glass wool.

상기 미네랄울(Mineral wool)은 암석을 인공으로 제조한 내열성이 높은 광물 섬유로서, 내화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열, 방음 성능이 뛰어나며, 최고 사용온도가 약 650℃ 정도로 매우 높아, 화염에 노출되더라도 쉽게 소실되지 않는다.The mineral wool is a mineral fiber having high heat resistance produced by artificial manufacture of rock. It has excellent fire resistance, excellent heat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ability, and has a very high maximum use temperature of about 650 ° C. It is not easily lost.

상기 글라스울(glass wool)은 밀도가 미네랄울(Mineral wool)에 비해 1/5~1/3 정도로 경량이지만, 글라스울(glass wool)은 미네랄울(Mineral wool)과 동일한 무게로 이루어질 경우, 글라스울(glass wool)의 가격은 미네랄울(Mineral wool)에 비해 약 60% 정도 비싸지만, 글라스울(glass wool)의 밀도를 고려하면, 동일한 면적에 동일한 두께로 시공할 경우 글라스울(glass wool)의 가격은 미네랄울(Mineral wool)의 약 50% 정도에 불과하며 또한, 글라스울(glass wool)은 사용가능온도가 약 300~400℃이며, 단열, 방음 성능은 미네랄울(Mineral wool)과 비슷한 특성을 갖는다.The glass wool has a light weight of about 1/5 to 1/3 of that of a mineral wool. However, when the glass wool is made to have the same weight as the mineral wool, The price of glass wool is about 60% higher than that of mineral wool. However, considering the density of glass wool, glass wool is not uniformly applied to the same area, The price of glass wool is only about 50% of mineral wool. Glass wool is available at about 300 ~ 400 ℃.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performance is similar to mineral wool.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cret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적으로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반 라면을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용기에 수납 후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에 안착한 연후에 상기 버튼(320)중 먼저 설정 즉, 예를들면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라면이 푹 삶은 라면인지 아니면 라면이 덜 익는 걸 원하는지 또는 계란을 넣고 조리할지 파 기타 추가적인 양념을 넣고 조리할지 등등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user may store the general ramp surface desired by the user in a container not shown in the figure, and then set it in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before the button 320 is first set, that is, Whether you want the ramen to be cooked well or whether you want to cook less, or whether to put eggs and cooked, pork and other additional sauce to cook and so on.

상기와 같이 자신이 원하는 라면을 설정한 후 버튼(320)을 눌러서 조리 시작을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수도관 밸브로 부터 직수가 유입배관(IP)를 통해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직수는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된 코일형 온수관(610)을 통과하면서 상기 코일형 히터(620)에 의해 온수로 가열되고 이와 같이 가열된 온수가 유출배관(OP)를 거쳐 상기 온수배출노즐(50)을 통해 토출되는 것이다.When the cooking is started by pressing the button 320 after setting the desir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direct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pipe (IP) from the water pipe valve not shown in the figure, as shown in FIG. 5, The introduced direct water passes through a coil-shaped hot water pipe 610 wound with a coil-shaped heater 620, heated by the coil-shaped heater 620 with hot water, and the hot water thus heated flows through the outlet pipe OP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동시에 인덕션 가열부(20)에 구성된 히팅코일(210)이 가열되어 라면이 수납된 용기를 가열토록 하여 내부의 라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리토록 하는 것이다.When the heating coil 210 formed in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is heated at the same time in such a state,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coil 210 is heat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coil 210 is quickly and easily cooked by the user.

이때 상기 히팅코일(210) 상부에 안착판(220)을 구비함으로서 혹, 발생되는 라면 국물의 넘침으로 인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약 라면 국물이 넘칠 경우 상기 삽입홈부(226)로 유입되어 지체토록 함으로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seating plate 220 is provided on the heating coil 210,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appliance due to overflowing of the ramen soup, if the ramen soup overflows, it flows into the insertion groove 226,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apparatus.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순간 온수부(6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6 and 7, another embodiment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6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순간 온수부(60)는,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unit 60 of the other embodiment shown in Figs. 6 and 7,

양측에 밀폐캡(321)이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스텐레스관(320)과,A plurality of stainless steel pipes 320 each having a sealing cap 321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복수개의 스텐레스관(320) 외주부에는 수로통로(331)가 형성되도록 상기 스텐레스관(320) 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관으로서 외주부에 간격을 두고 전도부(332)가 양측 및 중앙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리관(330)과,A plurality of stainless steel tubes (320)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tainless steel tube (320) so that a channel passage (331)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stainless steel tubes (320) (330)

상기 각각의 전도부(332) 외주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전도브라켓(340)과,A conductive bracket 340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conductive parts 332,

상기 유리관(330)의 일측에는 중앙에 수로공(351)이 천공된 마감캡(352)과 타측에는 수로가 소통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관 형태로서 양측에 상기 유리관(330)에 체결 가능하도록 결합캡(353)이 일체로 구비된 연결관(35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A finishing cap 352 having a water channel hole 35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t the center of the glass tube 330 and a flexible tube 352 having a tube shap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channel at the other side, 353 are integrally formed.

물론, 다른 실시예의 순간 온수부(60)도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일실시예의 순간 온수부와 마찬가지로 하우징이 존재하고 하우징에는 보온절연재가 충진되어 있으며 보온절연재는 미네랄울 (Mineral wool), 에이이에스울(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세라믹울 (Ceramic wool) 및 글라스울(glass wool)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은 마찬가지인 것이다.Of course,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unit 60 of another embodiment, the housing is pres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instant hot water supply unit of the embodiment already described above, the housing is filled with a thermal insulating material, and the thermal insulating material is mineral wool, 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ceramic wool, and glass wool.

이하, 다른 실시예의 순간 온수부(60)에 대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supply unit 60 of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를 작동하기 위한 설정이나 기타 전원 공급 등등은 상기 일실시예와 대동소이하며 순간 온수부(60)만이 상기 일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The setting for operating the present embodiment or other power supply and the lik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and only the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60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수도관 밸브로 부터 직수가 유입배관(IP)을 거쳐 어느 하나의 수로공(671)을 통해 유입되면 밀폐캡(641)에 의해 스텐레스관(64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상기 스텐레스관(640)과 유리관(650) 사이 수로통로(651)로 소통되며 이때 상기 유리관(650)의 외주 양 끝단 가까이 및 중앙에 전도부(652)에 전도브라켓(660)에 의해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외부로 전선이 연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유리관(650)이 히팅되면서 상기 수로통로(651)를 통해 소통되는 직수가 순간적으로 가열되어 온수화되며 이와 같이 온수화된 직수가 상기 유리관(650) 끝단에 연결관(670)을 통해 또 다른 유리관(650)을 거쳐 또 다른 마감캡(672)의 수로공(671)로 배출되어 유출배관(OP)를 거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출노즐(50)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direct water from the water pipe valve not shown in the drawing flows through one of the water holes 671 through the inflow pipe IP and is not introduced into the stainless pipe 640 by the sealing cap 641, And is communicated with the channel 651 between the glass tube 650 and the glass tube 650. The glass tube 650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ortion 652 near both ends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glass tube 650 by a conductive bracket 660, As the connection power is supplied, the glass tube 650 is heated so that the direct water communicated through the water channel 651 is momentarily heated to be hot water, and the hot wate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lass tube 650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hole 671 of another finishing cap 672 through another glass tube 650 through the pipe 670 and flows through the outflow pipe OP to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작동관계 및 종래기술을 라면조리기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식당이나 편의점에 설치되어 일반 라면 등에 투입되는 온수를 공급하는 수도관에 직접 연결되어 토출되는 수돗물을 온수화하는 직수형 등 온수가 공급토록 하는 다양한 용도의 장치에 적용 가능한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hot water supply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a general restaurant or a convenience st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apparatuses for supplying hot water such as a direct water type for making hot water.

10 : 본체 20 : 인덕션 가열부
30 : 조작 디스플레이부 40 : 조리방법구현부
50 : 온수배출노즐 60 : 순간 온수부
201 : 결합공 202 : 걸림턱
203 : 구획턱 204 : 거치바
205 : 지지대 210 : 히팅코일
211 : 삽입공 220 : 안착판
221 : 관통공 222 : 제1 단턱
223 : 돌기바 224 : 제2 단턱
225 : 안착돌부 226 : 삽입홈부
300 : 디스플레이부 310 : 램프
610 : 코일형 온수관 620 : 코일형 히터
630 : 보온절연재 640 : 스텐레스관
641 : 밀폐캡 650 : 유리관
651 : 수로통로 652 : 전도부
660 : 전도브라켓 670 : 연결관
671 : 수로공 672 : 마감캡
673 : 결합캡 IP : 유입배관
OP : 유출배관
10: Main body 20: Induction heating part
30: Operation display unit 40: Cooking method implementation unit
50: Hot water discharge nozzle 60: Instant hot water part
201: engaging ball 202: engaging jaw
203: compartment jaw 204: mounting bar
205: Support base 210: Heating coil
211: insertion hole 220: seating plate
221: through hole 222: 1st step
223: projection bar 224: second stage
225: seat mounting portion 226:
300: display unit 310: lamp
610: Coil type hot water pipe 620: Coil type heater
630: Insulating insulation material 640: Stainless steel pipe
641: sealing cap 650: glass tube
651: channel passage 652:
660: Conducting bracket 670: Connector
671: Water ball 672: Finishing cap
673: Coupling cap IP: inlet piping
OP: Outflow piping

Claims (5)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알루미늄 소재의 용기를 유도 가열하는 것으로 중앙에 결합공(201)이 천공되어 있되 내주부에는 걸림턱(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201)의 외주부에는 구획턱(203)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턱(203)의 외측으로 거치바(204)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바(204)중 3개의 거치바(204) 하단에는 균형을 유지한 삼발이 형태의 지지대(205)가 구비된 거치판(200)의 상부에는 중앙에 삽입공(211)이 천공되어 있는 히팅코일(210)로 이루어진 인덕션 가열부(2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정면 상단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서 조리시간이나 기타 조리과정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상부에는 조리여부, 용기안착 유무, 물공급유무를 표시하는 램프(310)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하부에는 설정, 시작 및 정지, 물 추가, 시간추가 를 조작하는 버튼(3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조작 디스플레이부(30) 하부에는 조리방법을 표시한 조리방법구현부(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조리방법구현부(40) 하단에는 양측으로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중심축 위에 온수배출노즐(5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면의 일부가 절개된 하우징(600) 내부 일측은 상기 온수배출노즐(50)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수도관에서 직수로 연결된 코일형 온수관(610)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코일형 온수관(610) 외주부에는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형 히터(620)가 권취된 코일형 온수관(610)의 외측인 상기 하우징(600)의 내부에는 미네랄울 (Mineral wool), 에이이에스울(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세라믹울 (Ceramic wool) 및 글라스울(glass wool)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온절연재(630)가 충진되어 있는 순간 온수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인덕션 가열부(20)의 상기 히팅코일(210)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관통공(22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21)의 외주부에는 제1 단턱(22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단턱(22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방향으로 돌기바(2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바(223)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24)이 구비됨과 동시에 링 형상의 안착돌부(22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단턱(222)과 안착돌부(225)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삽입홈부(226)가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안착판(22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
The coupling hole 201 is formed at the center by induction heating the aluminum material container. The coupling hole 202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01,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204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ing jaws 203 in a state where the partitioning jaws 203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ounting bars 204. In the lower ends of the three mounting bars 204, An induction heating unit 20 including a heating coil 210 having an insertion hole 2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mounting plate 200 provided with a triple- The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displays cooking time and other cooking processes.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unit 300 is provided with cooking, presence of containers, (Not shown) And a button 320 for operating the setting, start and stop, water addition, and time addition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300. A cooking method implementing unit And hot water discharge nozzles 50 are formed on the center axis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oking method implementing unit 40 and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 coil type hot water pipe 610 connected to the hot water discharge nozzle 50 at one side of the housing 600 and a coil pipe type hot water pipe 610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t the other side, A coil heater 62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610 and a mineral wool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600 outside the coil heater 610 wound with the coil heater 620. [ , Aiess Ul ( And an instantaneous hot water portion 60 filled with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630 made of any one of AES wool: Alkaline Earth Silicate wool, ceramic wool and glass wool,
A through hole 2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so as to be seated on the heating coil 210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20. A first step 222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21, A protrusion bar 223 is provided in three direction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tep 222. A second step 224 is provided near the end of the protrusion bar 223 and a ring-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plate (220) of silicon material is formed which naturally has an insertion groove (226) formed between the first step (222) and the seat fastening part (225) Ramen cooker for hot water supp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온수부(60)는,
양측에 밀폐캡(641)이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스텐레스관(640)과,
상기 복수개의 스텐레스관(640) 외주부에는 수로통로(651)가 형성되도록 상기 스텐레스관(640) 보다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관으로서 외주부에 간격을 두고 전도부(652)가 양측 및 중앙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리관(650)과,
상기 각각의 전도부(652) 외주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 전도브라켓(660)과,
상기 유리관(650)의 일측에는 중앙에 수로공(671)이 천공된 마감캡(672)과 타측에는 수로가 소통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관 형태로서 양측에 상기 유리관(650)에 체결 가능하도록 결합캡(673)이 일체로 구비된 연결관(6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를 이용한 순간 온수 공급용 라면조리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ntaneous hot water unit (60)
A plurality of stainless pipes 640 having sealing caps 641 on both sides thereof,
The plurality of stainless steel pipes 640 are formed such that a channel 651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stainless steel pipes 640 and a plurality of glass tubes having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stainless steel pipe 640, (650)
A conductive bracket 660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conductive parts 652,
A finishing cap 672 having a water hole 67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t the center of the glass tube 650 and a coupling cap 672 which is fastened to the glass tube 650 at both sides in a flexible tube shape, 673)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pe (670).


삭제delete
KR1020160051897A 2016-04-28 2016-04-28 If instant hot water for using an index cooker KR101790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897A KR101790087B1 (en) 2016-04-28 2016-04-28 If instant hot water for using an index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897A KR101790087B1 (en) 2016-04-28 2016-04-28 If instant hot water for using an index coo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087B1 true KR101790087B1 (en) 2017-10-25

Family

ID=6030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897A KR101790087B1 (en) 2016-04-28 2016-04-28 If instant hot water for using an index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08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87B1 (en) * 2018-02-22 2019-12-19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A directly draining type induction easy cooker
KR20200115392A (en) 2020-09-11 2020-10-07 (주)알터솔루션 Instant-noodle cooking system for recognizing recipe using barcod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00114384A (en) 2019-03-28 2020-10-07 (주)알터솔루션 Instant-noodle cooking system for recognizing recipe using barcod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30020855A (en) 2021-08-04 2023-02-13 서민호 Hot water meter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47B1 (en) * 2014-04-17 2015-06-19 ㈜ 티오피에스 Induction heating ramen coo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047B1 (en) * 2014-04-17 2015-06-19 ㈜ 티오피에스 Induction heating ramen cook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487B1 (en) * 2018-02-22 2019-12-19 주식회사 현성오토텍 A directly draining type induction easy cooker
KR20200114384A (en) 2019-03-28 2020-10-07 (주)알터솔루션 Instant-noodle cooking system for recognizing recipe using barcod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00115392A (en) 2020-09-11 2020-10-07 (주)알터솔루션 Instant-noodle cooking system for recognizing recipe using barcod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30020855A (en) 2021-08-04 2023-02-13 서민호 Hot water mete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087B1 (en) If instant hot water for using an index cooker
RU2550485C2 (en) User-friendly start-up mode of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CN107232987B (en) Trinity direct drinking water system
KR101327978B1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drinking water
CN101909493A (en) Kettle and base
CN102578906B (en) Electric kettle
EP3289934B1 (en)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WO2014195842A2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hot liquid or steam
WO2016110721A2 (en) Improved water apparatus
AU2017432256B2 (en) Multi-functional food cooker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ction
CA2047376C (en) Device for supplying boiling water
CN107981726B (en) Instant heating water dispenser
US9706875B2 (en) Beverage percolation device
CN107536473A (en) Milk tea coffee machine and its collocation method for exporting beverage
CN103006062A (en) Open double-bucket water dispenser
CN103720360A (en) Infant milk machine
CN213771702U (en) Water purifier
CN202636625U (en) Instant-heat type water drinking machine
CN212394719U (en) Large-capacity pre-heating and instant heating dual-mode integrated hot water bathroom cabinet
KR20100020499A (en) Manufacturing device of rice-cake
CN210493767U (en) Drinking machine for instantly making boiled water with different temperatures
US20140165994A1 (en) Stovetop Water Heater
KR20180024574A (en) Multiple-function type food cooking utensils and Having a function of water purifier
CN209136221U (en) It is a kind of with the speed heat drinking equipment for boiling module in advance
CN105078237A (en) Water dispenser and water dispenser unit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