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279B1 - 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279B1
KR101789279B1 KR1020100005971A KR20100005971A KR101789279B1 KR 101789279 B1 KR101789279 B1 KR 101789279B1 KR 1020100005971 A KR1020100005971 A KR 1020100005971A KR 20100005971 A KR20100005971 A KR 20100005971A KR 101789279 B1 KR101789279 B1 KR 10178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mmand
input
clipboard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6309A (en
Inventor
윤여준
천가원
양필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279B1/en
Publication of KR2011008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3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커맨드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커맨드 생성방법은, 제1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터치가 입력된 경우, 이를 제스처로 인식하는 단계 및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터치 스크린 환경에서 보다 쉽고 간편한 방식으로 사용자 커맨드를 입력하여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A command generation method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This command generation method includes a step of receiving a first touch, a step of recognizing a second touch satisfying a preset condition, as a gesture, and a step of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This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a command by inputting a user command in an easier and simpler manner in a touch screen environment.

Description

커맨드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and generation method and a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스처를 이용해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커맨드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 환경에서 제스처를 이용해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커맨드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and gene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 command using a gesture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and gene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 command using a gesture in a touch screen environment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command generation method .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메뉴나 앵커와 같은 GUI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는 기술은 이미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커맨드 실행 방법으로는, 메뉴로부터 커맨드를 선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Techniques using the touch screen to select GUI items such as icons, menu or anchor on the screen are already common. As a method of executing a command in an environment using the touch screen method, a method of selecting a command from a menu is generally used.

그러나, 메뉴로부터 커맨드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메뉴 화면을 호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조작,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조작, 메뉴 화면에서 원하는 커맨드가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커맨드를 선택하는 조작 등이 필요하다. 또한, 자주 쓰이지 않는 커맨드의 경우, 상세 메뉴로 진입하는 등 추가적인 조작을 통해 실행시켜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execute a command from a menu, an operation for making a menu screen callable, an operation for calling a menu screen, an operation for moving to a screen on which a desired command is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an operation for selecting a command Is requi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mmand that is not frequently used, it must be executed through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entering a detailed menu.

이와 같이 하나의 커맨드를 실행시키기 위해 다수의 조작을 요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은,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조작한다는 편리함과 함께, 불편함도 공존하는 것이 사실이다.Since a plurality of operations are required to execute a single command in this way, it is true that the touch screen has the convenience of directly touching the screen and also inconvenience.

물론, 터치 스크린에 커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단축 아이콘 등의 아이템들이 미리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많은 조작을 요하지 않으나, 이 경우에도 단축 아이템들이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가리게되어,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다.Of course, when items such as a shortcut icon for executing a command on the touch screen are displayed in advance, a lot of operations are not required. However, in this case too, the shortened items cover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

이에 따라, 보다 쉽고 간편한 방식으로 커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Accordingly, a search for a method for executing the command in an easier and more convenient manner is reques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 환경에서 간편한 조작만으로 커맨드를 실행시키기 위한 커맨드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a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for executing a command only by a simple operation in a touch screen environ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제1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터치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조작을 제스처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first touch; Recogniz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as a gesture when a second touch satisfying a preset condition is input after the first touch is input; And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는 조건일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in which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그리고, 상기 인식단계는,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지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 간의 거리차와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시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시간차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 depressurized manner, the recogniz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detecting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Compar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ed time point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touch is inpu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또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거리차에 대한 상기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step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touch is input when the time difference for the distanc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그리고, 상기 인식단계는, 터치 스크린이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 터치에 대한 감지가 해제된 시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the infrared mode, the recognition step may include a step of inputting the second touch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uch is not released, or a time when the detection of the first touch is released, Determining whether a time difference between a time when the touch is sens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whether the second touch is inpu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는 조건일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in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in an area set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inp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지점부터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까지의 연결한 벡터를 미리 계산된만큼 연장한 벡터의 종점을,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and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generating a command from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And setting an end point of the vector extended by the second touch as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터치 스크린이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이면,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을,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generating a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the infrared mod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sens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And setting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또한, 상기 영역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그리고,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step may generate a different command according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based o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상기 설정된 영역이 상기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 command, the method including: displaying the set area to be distinguished from an area other than the set area;

여기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입력된 터치 또는 상기 터치에 이은 조작은 제스처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Here, the recognizing step may not recognize a touch input in an area other than the set area or a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touch as a gestur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아이디 입력을 위한 가이드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디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generating a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guide item for inputting an ID; And searching the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for the generated command if the ID is input.

또한, 상기 아이디는, 사용자의 제3 터치 또는 상기 제3 터치에 이은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가이드 아이템은, 사용자의 제3 터치의 위치 또는 상기 제3 터치에 이은 조작의 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아이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D is input by an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ouch or the third touch of the user, and the guide item is used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third touch of the user or the pattern of the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ouch It may be an item.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상기 클립보드가 검색된 경우, 상기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클리핑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comprising: clipping a generated command to the clipboard when the clipboard is searched; And executing the generated command with reference to the command clipped to the clipboard.

또한, 상기 실행단계는,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가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이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카피 커맨드 또는 상기 컷 커맨드에 대응되는 대상 아이템이 페이스트되도록 상기 페이스트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In the execution step, when the pre-clipped command i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and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the execution of the paste command is performed so that the copy command or the target item corresponding to the cut command is pasted .

그리고, 상기 클리핑단계는,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와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모두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인 경우,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삭제하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클리핑할 수 있다.The clipping step may delete the pre-clipped command and clip the generated command if both the pre-clipped command and the generated command are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상기 클립보드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클립보드에 상기 커맨드를 클리핑하는 단계; 및 상기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when the clipboard is not searched, and clipping the command to the generated clipboard; And executing the command.

그리고, 상기 검색단계는, 내부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검색하는 제1 검색단계; 및 상기 내부에 저장된 클립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검색하는 제2 검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trieving step may include: a first retrieving step of retrieving a clipboard stored inside; And a second retrieving step of retrieving a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if the internal stored clipboard does not exist.

또한, 상기 제2 검색단계는, 상기 클립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가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유니캐스트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arching step may include broadcasting a message inquiring whether the clipboard exists or not; And receiving an access address for the external device that is unicast from an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clipboard resides.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generating a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unicasting a message requesting a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or causing the generated command to be clipped to a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And unicas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유니캐스트 단계는,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The unicast step unicasts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generated command is clipped to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the message requesting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can be unicasted to the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유니캐스트된 클립보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를 참조하여, 상기 카피 커맨드 또는 상기 컷 커맨드에 대응되는 대상 아이템이 페이스트되도록 상기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 command,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d storing a unicast clipboard from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And executing the command so that the copy command or the target item corresponding to the cut command is pasted with reference to the copy command or the cut command that is clipped to the stored clipboard.

그리고, 상기 제스처는, 상기 제2 터치 조작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드래그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드래그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제스처는, 상기 드래그 조작의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제스처로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The gesture is input by the drag operation following the second touch operation or the second touch, and the gestur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drag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different gestur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drag operation and is input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은, 상기 제2 터치 조작 및 상기 드래그 조작의 패턴과 상기 커맨드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generating a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matching and storing the pattern of the second touch operation and the drag operation with the command.

그리고,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된 경우에, 상기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generating step may generate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when the first touch is held until input of the gesture is completed.

또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2 터치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조작이 완료되면, 상기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nerating step may generate the comm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is completed.

그리고, 특정 아이템에 대해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커맨드는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커맨드일 수 있다.And, when the first touch is input for a specific item, the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the specific item.

또한,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에 함께 입력될 수 있다.Also, the first touch and the second touch may be input together on one touch screen.

그리고,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동되어 동작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제2 제스처에 기초한 제2 커맨드는,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제1 제스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커맨드를 참조하여 생성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devices are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 second command based on the second gest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second device is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gest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device Can be generat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comman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또는 제스처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스크린; 및 제1 터치가 입력된 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터치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조작을 제스처로 인식하고, 상기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touch or a gesture;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as a gesture and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when a second touch satisfying predetermined conditions is input after the first touch is input; .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는 조건일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in which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지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 간의 거리차와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시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시간차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 depressurization type, the controller determines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touch is inpu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차에 대한 상기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touch is input when the time difference for the distanc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 터치에 대한 감지가 해제된 시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the infrared mod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touch is input while the first touch is not released, the time when the detection of the first touch is releas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touch is sens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and determine whether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touch is inputted or no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는 조건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a condition in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in an area set based o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여기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지점부터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까지의 연결한 벡터를 미리 계산된만큼 연장한 벡터의 종점을,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Here,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 depressurizing manner,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n end point of a vector extending a connected vector from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It is possible to set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is inputted.

그리고,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이면,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을,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If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the infrared mode, the controller may detect the second touch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sens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can be se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따라 상기 영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set the areas differently according to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different commands according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based o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설정된 영역과 상기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이 구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istinguish the set area from the set area on the touch scree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입력된 터치 또는 상기 터치에 이은 조작은 제스처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not recognize a touch input in an area other than the set area or a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touch as a gestu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아이디 입력을 위한 가이드 아이템을 제공하기 위한 GUI 생성부; 및 상기 입력된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검색할 수 있다.Further,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UI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a guide item for inputting the ID;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nput ID. When the ID is input, the controller can search the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for the generated command.

그리고, 상기 아이디는, 사용자의 제3 터치 또는 상기 제3 터치에 이은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가이드 아이템은, 사용자의 제3 터치의 위치 또는 상기 제3 터치에 이은 조작의 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아이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D is input by an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ouch of the user or the operation of the third touch, and the guide item is used to select the position of the third touch of the user or the pattern of the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ouch It may be an item.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립보드가 검색된 경우, 상기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클리핑하고, 상기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ipboard is searched, the control unit may clip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clipboard, and may execute the generated command by referring to the command that is clipped to the clipboar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가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이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카피 커맨드 또는 상기 컷 커맨드에 대응되는 대상 아이템이 페이스트되도록 상기 페이스트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the control unit causes the paste command to be executed so that the copy command or the target item corresponding to the cut command is pasted, if the pre-clipped command i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와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모두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인 경우,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삭제하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클리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clipped command and the generated command are both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the control unit deletes the pre-clipped command and clips the generated comman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립보드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가 생성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클립보드에 상기 커맨드를 클리핑할 수 있다.If the clipboard is not searche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stores the generated clipboard in the storage unit, and clips the command to the generated clipboar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검색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클립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검색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searches for a clipboa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클립보드가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유니캐스트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broadcast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clipboard is pres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receives an access address for the external device unicast from the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clipboard exists can do.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unicast a message requesting a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r to transmit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unicasts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generated command is clipped to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When the command is the paste command, the message requesting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can be unicasted to the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유니캐스트된 클립보드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를 참조하여, 상기 카피 커맨드 또는 상기 컷 커맨드에 대응되는 대상 아이템이 페이스트되도록 상기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If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a unicast clipboard from the external device, stores the unicast clipboard in the storage unit, and refers to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previously clipped to the stored clipboard , And execute the command so that the copy command or the target item corresponding to the cut command is pasted.

그리고, 상기 제스처는, 상기 제2 터치 조작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드래그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드래그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제스처는, 상기 드래그 조작의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제스처로 인식되어 입력될 수 있다.The gesture is input by the drag operation following the second touch operation or the second touch, and the gestur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drag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different gestur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drag operation and is input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터치 조작 및 상기 드래그 조작의 패턴과 상기 커맨드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cond touch operation and the pattern of the drag operation and the command in a matching manne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된 경우에, 상기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when the first touch is held until input of the gesture is comple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조작이 완료되면, 상기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the comm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is completed.

그리고, 특정 아이템에 대해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커맨드는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커맨드일 수 있다.And, when the first touch is input for a specific item, the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the specific item.

또한,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에 함께 입력될 수 있다.Also, the first touch and the second touch may be input together on one touch scree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제2 제스처에 기초한 제2 커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제1 제스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커맨드를 참조하여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 unit may cause the second command based on the second gest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to be input to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can be generat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command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gesture.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 환경에서 보다 쉽고 간편한 방식으로 제스처를 이용해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easier and easier to execute commands using gestures in a touch screen environment.

도 1은 사용자의 입력조작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스처의 종류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첫번째 조건에 위배되어,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는 다른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설정된 영역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가 생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첫번째 터치가 입력되는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가 생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정전식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감압식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적외선방식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감압식을 채용할 경우의 제스처 인식 및 판별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적외선 방식을 채용할 경우의 제스처 인식 및 판별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정전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제스처 인식방법 및 커맨드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a 및 도 16b는 감압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제스처 인식방법 및 커맨드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7은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제스처 인식방법 및 커맨드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사용자별로 커맨드를 구별하기 위한 필요성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a 내지 도 19f는 사용자별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커맨드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a 내지 도 20c는 가이드 아이템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한 제스처 입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한 제스처 및 아이디 입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및 아이디가 입력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와 외부 디바이스 모두에, 입력된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는 사용자로부터 카피 커맨드를 위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사용자로부터 페이스트 커맨드를 위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2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kind of input operation of a user,
2 is a view showing the kind of a gest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ditions under which a user's input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gesture;
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ases where a user's input operation is not recognized as a gesture in violation of the first condition,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condition in which a user's input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gesture;
6A to 6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user's input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gesture;
Figures 7A and 7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et region,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ase where different commands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point where a gesture is input;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different commands are generated according to an object to which a first touch is input;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nsing a touch according to an electrostatic method,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nsing a touch according to a depressurization type,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 touch according to an infrared method,
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method when a depressurization type is adopted;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and a discrimination method in the case of employing an infrared system,
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in a display device employing an electrostatic type,
16A and 16B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in a display device employing a depressurization type,
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in a display device employing an infrared method,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for distinguishing a command for each user,
FIGS. 19A to 19F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dentifying a command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for each user;
Figures 20a-20c illustrate additional examples of guide items,
2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gesture input interl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22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gesture and an ID input interl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2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an input ID is not stored in both the display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when a gesture and an ID are input from a user,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gesture for a copy command is input from a user,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gesture for a paste command is input from a user,
2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are as follows.

1. 입력조작의 종류 및 제스처에 대한 기본 설명(도 1 및 도 2)1. Types of input operations and basic descriptions of gestures (Figs. 1 and 2)

2. 제스처가 인식되는 조건 1(도 3 내지 도 4c)2. Condition 1 in which the gesture is recognized (Figs. 3 to 4C)

3. 제스처가 인식되는 조건 2(도 5a 내지 도 7b)3. Condition 2 in which the gesture is recognized (Figs. 5A to 7B)

4. 기타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도 8a 내지 도 9)4. Command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s. 8A to 9)

5.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방식(도 10 내지 도 12)5. Detection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FIGS. 10 to 12)

6. 감지방식별 제스처 인식 및 판별방법(도 13 및 도 14)6. Gesture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Method by Detection Method (FIGS. 13 and 14)

7. 감지방식별 동작흐름(도 15 내지 도 17)7. Operation flow for each sensing method (Figs. 15 to 17)

8. 사용자별 커맨드 저장(도 18 내지 도 20c)8. User-specific command storage (Figs. 18 to 20C)

9.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도 21 내지 도 22)9. Interlocking with an external device (Figs. 21 to 22)

10. 외부 디바이스와의 구체적 연동방법(도 23 내지 도 25)10. Concrete interworking method with external device (Figs. 23 to 25)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도 26)
11. Configuration for display device (Figure 26)

<1. 제스처 입력을 위한 기본 동작><1. Basic actions for gesture input>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조작의 종류 및 커맨드 생성을 위한 제스처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a type of a user's input operation to a display device in a touch screen environment and a type of a gesture for command gene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사용자의 입력조작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동작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을 터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누르는 동작에 의해 터치가 입력되며, 입력된 터치 조작(11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사용자가 원하는 타겟 선택과 같은 포인팅을 하게 되는 것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kind of an input operation by a user. The display device 100 operates in a touch screen manner, whereby the user can operate the display device 100 by touching the screen.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ouch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screen, and the pointing operation such as the target selection desired by the user is performed on the display device 100 by the input touch operation 110.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화면에 제스처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조작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조작(150)을 이용한 특정한 모션 동작에 의해 제스처가 입력되며, 입력된 제스처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사용자가 원하는 타겟 선택과 같은 포인팅을 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user may operate the display device 100 by inputting a gesture on the screen. 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gesture is input by a specific motion operation using the drag operation 150 while the screen is touched, and the pointing such as the target selection desired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by the input gesture It will be done.

이러한 터치와 제스처는 화면 상의 동일한 부분에 대한 조작인 경우에도 서로 다른 커맨드로 생성되어 실행되게 된다. These touches and gestures are generated and executed with different commands even when they are operations on the same part on the screen.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특정 아이템을 터치한 경우, 이러한 터치는, 특정 아이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커맨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특정 아이템을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이러한 제스처는, 특정 아이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카피(copy)하는 커맨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item displayed on the screen, the touch may be a command for caus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tem to be executed. When a user touches a specific item displayed on the screen to input a gesture , And the gesture may be a command for copy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tem.

또한,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바탕 영역을 터치한 경우, 이러한 터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속성 정보를 호출하는 커맨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바탕 영역을 터치하여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이러한 제스처는, 미리 카피(copy)된 아이템을 바탕 영역에 페이스트(paste)하기 위한 커맨드일 수 있다.When the user touches the background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the touch may be a command for calling up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display device 100. If the user touches the background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to input the gesture , The gesture may be a command for pasting an item that has been copied in advance to the background area.

도 2는 제스처의 종류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kind of a gesture.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이와 매칭된 서로 다른 커맨드가 생성되어 실행되게 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C'의 형태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COPY'를 위한 커맨드가 생성되고, '/'의 형태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CUT' 또는 'PASTE'를 위한 커맨드가 생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different gestures are input, different matched commands are generated and executed. That is, when a gesture is input in the form of 'C', a command for 'COPY' is generated. When a gesture is input in the form of '/', 'CUT' or ' A command for 'PASTE' can be generated.

물론, 도시된 커맨드들은 반드시 제스처로서만 생성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한 터치 또는 별도의 조작수단를 이용해 도시된 커맨드들이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제스처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커맨드에 매칭될 수 있는 반면, 터치는 하나의 형태만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커맨드에 매칭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Needless to say, the illustrated commands are not always generated as gestures, and the illustrated commands may be generated using a simple touch or a separate operating means. However, since the gesture can have various forms, it can be matched to various commands, while the touch has only one form, so that it can not be matched with various commands.

또한, 터치는 터치가 입력되는 위치로서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으나, 터치가 입력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커맨드가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메뉴 화면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을 방해한 상태에서 원하는 커맨드를 생성시킬 수 밖에 없다는 난점이 존재한다. 이와 반대로, 제스처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시청을 방해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커맨드와 매칭되어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touch can express diversity as a position at which a touch is input, a menu screen must be provided in order to generate various commands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touch is inpu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desired command. On the contrary, the gestur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mmand can be executed by matching with various command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viewing of the contents desired by the user.

물론,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제스처에 대한 설명을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각 제스처의 형태와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는 전술한 내용과 달리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제스처의 형태와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매칭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of a description of a gesture, and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each gesture and the gesture may be match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each gesture and the gesture may be set to be directly matched by the user.

<2. 제스처가 인식되는 조건 1><2. Conditions in which the gesture is recognized 1>

이상에서는,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조작을 이용한 특정한 모션 동작에 의해 제스처가 입력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즉, 제스처는 화면을 터치하거나 화면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것만으로 입력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드래그 조작이 특정한 모션 동작일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특정한 모션 동작이 아닌 경우에는, 제스처 조작이 아닌 단순 터치 조작 또는 터치에 의한 드래그 조작이 되게 된다. In the above, it is mentioned that the gesture is inputted by the specific motion operation using the drag operation in the state that the screen is touched. That is, the gesture is not input by simply touching the screen or touching and dragging the screen, and this drag operation needs to be a specific motion operation. Therefore, in the case of not a specific motion operation, a simple touch operation or a drag operation by a touch is performed instead of the gesture operation.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커맨드를 쉽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스처 조작에 사용되는 특정한 모션 동작이 복잡한 형태를 가지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다만, 복잡하지 않은 형태를 가진 제스처 조작은 단순한 터치 조작 또는 드래그 조작과 구별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순한 드래그 조작을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조작한 경우에도, 단순한 드래그 조작이 특정한 모션 동작과 유사하다면, 이러한 드래그 조작이 제스처 조작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easily input a desired command, it is required that the specific motion operation used for the gesture operation does not have a complicated form.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esture manipulation having an uncomplicated form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a simple touch manipulation or a drag manipulation. Further, even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splay device to perform a simple dra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 drag operation can be accepted as a gesture operation if a simple drag operation is similar to a specific motion operation.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조작을 단순 터치 또는 단순 드래그로 인식할 것인지, 제스처로 인식할 것인지 여부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ether the input operation of the user is recognized as a simple touch or a simple drag or as a gesture.

도 3은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는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conditions under which a user's input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gesture.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한 첫번째 조건은,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제1) 터치(110)가 입력된 후,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제2) 터치(130)가 입력되고, 좌측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 조작(150)이 입력된 후 우측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조작(150)이 종료되는 것이다. The first condition for the user's input operation to be recognized as a gesture is that after the first (first) touch 110 is input, the second (second) touch 130 And the dragging operation 150 is inputted to the second touch 130 as shown in the lower left part, and then the dragging operation 150 is finished as shown in the lower right part.

이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유지된 상황에서,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에 의해 특정한 모션 동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드래그(150)를 제스처로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 실행한다.When the first touch 110 is held and the specific motion is input by the drag 150 subsequent to the second touch 130, the display device 100 recognizes the drag 150 as a gesture , And generates and execu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Z'라는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생성되어 실행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Z' is generated and executed on the display device 100.

도 4a 내지 도 4c는 첫번째 조건에 위배되어,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A to 4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cases where a user's input operation is not recognized as a gesture in violation of the first condition.

우선, 도 4a는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되기도 전에 첫번째 터치(110)가 해제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첫번째 터치(110)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것을 조건으로 한다.4A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released before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user's input operation to be recognized as a gesture, the first touch 110 must be continuously held.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되기 전에 첫번째 터치(110)가 해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을 제스처로 인식하지 않고, 단순한 터치 조작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실행되지 않고, 첫번째 터치(110)와 두번째 터치(130)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각각 순차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4A, when the first touch 110 is released before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input operation as a gesture but recognizes it as a simple touch operation . As a result,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is not executed, and the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110 and the second touch 130 are sequentially executed.

다음으로, 도 4b는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가 입력되기도 전에 첫번째 터치(110)가 해제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첫번째 터치(110)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것을 조건으로 한다. Next, FIG. 4B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released before a drag is inputted to the second touch 130. FIG.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user's input operation to be recognized as a gesture, the first touch 110 must be continuously held.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가 입력되기 전에 첫번째 터치(110)가 해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을 제스처로 인식하지 않고, 단순한 터치 조작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실행되지 않고, 첫번째 터치(110)와 두번째 터치(130)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각각 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첫번째 터치(110) 또는 두번째 터치(130)에 대응되는 커맨드 중 하나가 실행되거나,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과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지점의 사이에 터치가 입력된 상태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실행되게 된다. 4B, when the first touch 110 is released before dragging the second touch 130,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input operation as a gesture, It is recognized as an operation.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110 and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130 are sequentially executed or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110 or the second touch 130 is sequentially executed without executing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a touch is input between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is executed.

그리고, 도 4c는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 후 드래그(150)가 해제되기 전에 첫번째 터치(110)가 해제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첫번째 터치(110)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것을 조건으로 한다.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released before the drag 150 is released after the drag 150 and after the second touch 130. FIG. As described above, in order for the user's input operation to be recognized as a gesture, the first touch 110 must be continuously held.

따라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 후 이러한 드래그(150)가 해제되기 전에 첫번째 터치(110)가 해제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을 제스처로 인식하지 않고, 단순 터치 및 단순 드래그 조작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첫번째 터치(110)와 드래그(150)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각각 순차적으로 실행되거나, 첫번째 터치(110) 및 드래그(150)에 대응되는 커맨드 중 하나가 실행되거나,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과 드래그(150)가 입력된 지점의 중간 지점에 드래그가 입력된 상태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실행되게 된다. 4C, when the first touch 110 is released before the drag 150 is released after the drag 150 after the second touch 130,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user's input operation Is not recognized as a gesture but recognized as a simple touch or simple drag operation. The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110 and the drag 150 may be sequentially executed or one of the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ouch 110 and the drag 150 may be executed or the first touch 110 may be executed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a drag is input is executed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input point and the point where the drag 150 is input.

이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계속 유지되는 조건을 만족하며, 두번째 터치(110) 또는 두번째 터치(110)에 이은 드래그 조작(150)이 완료되었을 때, 두번째 터치(110) 또는 두번째 터치(110)에 이은 드래그 조작(150)을 제스처로 인식함으로써, 단순 터치 또는 단순 드래그와 제스처가 명확히 구분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drag operation 150 after the second touch 110 or the second touch 110 is completed, the second touch 110 or the second touch 110 ) Is recognized as a gesture, a simple touch or a simple drag and a gestur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3. 제스처가 인식되는 조건 2><3. Condition in which the gesture is recognized 2>

도 5a 및 도 5b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는 다른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condition in which a user's input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gesture.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한 두번째 조건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510) 내에 두번째 터치(110)가 입력되는 것이다.The second condition for the user's input operation to be recognized as a gesture is that the second touch 110 is input in the region 510 set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as shown in FIG. 5A.

이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으로부터 특정 반경 내에서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150)에 의해 특정한 모션 동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러한 드래그(150)를 제스처로 인식하고,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한다.When the specific motion is input by the drag 150 following the second touch within a specific radius from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the display device 100 recognizes the drag 150 as a gesture , And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영역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의 편의를 위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영역(530)이 터치 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shown in FIG. 5A, the set area may not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However, for convenience of the user's gesture input, the set area 53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It may be implemented to be displayed.

다만, 도 5b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설정된 영역(530)이 표시될 경우, 도 5a와 같이 설정된 영역(510)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터치 스크린에 이미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에 대한 가시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5B, when the area 530 set on the touch screen is displaye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input operation of the user is convenien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et area 510 is not displayed as shown in FIG. 5A, There may be a disadvantage that the visibility of already displayed contents can be hindered.

도 6a 내지 도 6c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이 제스처로 인식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A to 6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user's input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gesture.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510) 내에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150)에 의해 특정한 모션 동작이 입력되고, 드래그(150)에 의한 특정한 모션 동작이 설정된 영역(510) 내에서 모두 행해지면, 이는 당연히 제스처로 인식된다. 6A, when a specific motion operation is input by the drag 150 following the second touch in the area 510 set on the basis of the first touch 110 and a specific motion operation by the drag 150 is set If all is done in area 510, this is of course recognized as a gesture.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510) 내에서 두번째 터치가 입력되고,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150)에 의해 특정한 모션 동작이 입력되면, 드래그(150)의 종료 지점이 설정된 영역(510)을 벗어나더라도, 이는 제스처로 인식된다. 6B, when a second touch is input in the area 510 set on the basis of the first touch 110 and a specific motion operation is input by the drag 150 subsequent to the second touch, 150 is out of the set area 510, this is recognized as a gesture.

뿐만 아니라,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510) 내에서 두번째 터치가 입력되고,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150)에 의해 특정한 모션 동작이 입력되며, 또 다른 터치(170)가 설정된 영역(510) 외에서 입력되면, 또 다른 터치(170)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150)는 제스처로 인식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C, a second touch is input in the area 510 set on the basis of the first touch 110, a specific motion operation is input by the drag 150 following the second touch, and If another touch 170 is input outside the set area 510, the drag 150 following the second touch is recognized as a gesture regardless of whether another touch 170 exists or not.

이 경우, 또 다른 터치(170)는 제스처와 별개로 단순 터치로 인식되고, 드래그(150)는 단순 터치와 별개로 제스처로 인식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역에 따라 복수의 별도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nother touch 170 is recognized as a simple touch separately from the gesture, and the drag 150 is recognized as a gesture separately from the simple touch.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a plurality of separate operations according to the area.

이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단순 터치, 단순 드래그 또는 제스처로 인식함에 따라, 단순 터치 또는 단순 드래그와 제스처가 명확히 구분되어 인식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imple touch, simple drag, or gesture is recognized as a simple touch, a simple drag, or a gesture based on whether or not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within the set area, so that the simple touch or the simple drag and the gesture can be recognized clearly.

한편, 이상에서는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한 반경을 설정된 영역으로 상정하였으나,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와 다른 영역이 설정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기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adius based on the first touch 110 is assumed to be a set area, but it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nother area is set. 7A and 7B will be referred to for the explanation.

도 7a 및 도 7b는 설정된 영역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t area.

도5a 내지 도 6c에 도시된 예에서 설정된 영역은 원형 형태를 가지나,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은,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각 형태도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The area set in the example shown in Figs. 5A to 6C has a circular shape, but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area set based on the first touch 1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f course, this rectangular shape is only an example.

한편, 설정된 영역은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첫번째 터치(110)가 터치 스크린의 좌측 상단에 입력되었기 때문에, 우측과 하단 부분에 제스처가 입력될 수 있도록 영역(710)이 설정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b에서는 첫번째 터치(110)가 터치 스크린의 우측 하단에 입력되었기 때문에, 좌측과 상단 부분에 제스처가 입력될 수 있도록 영역(730)이 설정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t area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In FIG. 7A, sinc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to the upper left of the touch screen, a region 710 is set so that the gesture can be input to the right and lower portions. In FIG. 7B, sinc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ted to the lower right of the touch screen, the area 730 is set so that the gesture can be input to the left and upper parts.

이와 같이, 사용자의 첫번째 터치(110) 지점을 고려하여 영역이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Thus, by setting the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touch 110 point of the user, the user can input the gesture more conveniently.

한편,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를 제스처로 인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3 내지 도 4c에서 설명한 첫번째 조건과 도 5a 내지 도 6c에서 설명한 두번째 조건을 반드시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며, 둘 중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라고 볼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r's touch or drag as a gesture,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necessarily satisfy the first condition described in Figs. 3 to 4C and the second condition described in Figs. 5A to 6C, Even if one condition is satisfied, it will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한 두 가지의 조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조건을 통해 단순 터치 또는 단순 드래그와 제스처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wo conditions are merely exemplar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gesture is distinguished from the simple touch or simple drag through different conditions .

특히, 첫번째 조건이나 두번째 조건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LFD(Large Format Display)인 경우와 소형 모바일 장치인 경우에 모두 적용가능하지만, 소형 모바일 장치의 경우, 터치 스크린의 사이즈에 제약이 있는 관계로 두번째 조건은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first condition or the second condition,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applied to both a large format display (LFD) and a small mobile device. However, in the case of a small mobile device, In relation, the second condition may be omitted.

그리고, 두번째 조건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종류를 고려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LFD인 경우, 팔을 쭉 편 상태에서 사용자의 왼손의 손가락과 오른손의 손가락을 이용한 조작임을 고려하여,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은 사용자의 어깨넓이 정도가 적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dition, the type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sidere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is LFD, considering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user's left hand finger and the right hand finger in a state in which the arm is flat, the area set based on the first touch 110 is the user's shoulder The width may be appropriat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소형 모바일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양 손으로 움켜쥔 상태에서 사용자의 왼손의 손가락과 오른손의 손가락을 이용한 조작임을 고려하여,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은 5cm 정도가 적당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is a small mobile device, considering the operation using the finger of the left hand of the user and the finger of the right hand while grasping the display device 100 with both hands, The area set to 5 cm may be suitable.

<4. 기타 실시예에 따른 커맨드 생성방법><4. Method of Generating Command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이하에서는 제스처로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스처로 커맨드를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조작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조작을 단순 터치 또는 단순 드래그로 인식할 것인지 제스처로 인식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서로 다른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이와 매칭된 서로 다른 커맨드가 입력되게 된다. Hereinafter, other embodiments for generating a command as a ges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9.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generate a command by the gesture, the display apparatus 100 receives the input operation of the user and judges whether or not to recognize the received input operation as a simple touch or simple drag or a gesture , And execute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 addition, when different gestures are input, different matched commands are input.

한편, 동일한 모션 동작을 가지는 제스처가 입력되어도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가 생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even when a gesture having the same motion operation is input, different commands may be genera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8a 및 도 8b는 제스처가 입력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가 생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ase where different commands are generated according to a point at which a gesture is input.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후,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한 수평선(810)보다 높은 지점에 'Z' 형태를 가지는 제스처(150)가 입력되면, 이는 제1 커맨드를 생성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제스처로 인식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A, after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a gesture 150 having a 'Z' shape at a position higher than a horizontal line 810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is input , It can be recognized as a gesture for generating and executing the first command.

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후,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한 수평선(810)보다 낮은 지점에 'Z' 형태를 가지는 제스처(150)가 입력되면, 이는 제1 커맨드와 다른 제2 커맨드를 생성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제스처로 인식될 수 있다. 8B, after a first touch 110 is input, a gesture 150 having a 'Z' shape at a position lower than a horizontal line 810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It can be recognized as a gesture for generating and executing a second comman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and.

이와 같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제스처라도 입력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스처를 일일이 외워야하는 부담을 덜어주고, 보다 많은 제스처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gesture having the same form is made to be a different command according to the input point, the burden of the user needing to memorize the gesture is reduced, and more gestures can be utilized.

도 9는 첫번째 터치가 입력되는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가 생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different commands are generated depending on the object to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 복수의 아이템(910, 930, 95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바탕 영역이 아닌 특정 아이템(950)에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되고 이후 제스처(150)가 입력된 것으로 상정하기로 한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대한 커맨드나 다른 아이템들(910, 930)에 대한 커맨드가 아닌, 특정 아이템(950)에 대한 커맨드로 인식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a plurality of items 910, 930, and 950 ar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 first touch 110 is input to a specific item 950 that is not a background region, and then a gesture 150 is input I will assume. This is recognized as a command for the specific item 950, rather than a command for the entire display device 100 or a command for other items 910, 930.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아이템(950)에 첫번째 터치(110)를 입력하고, 'C' 형태의 제스처(150)를 입력하면, 이는 특정 아이템(950)에 대한 카피(copy)를 요청하는 커맨드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when a first touch 110 is entered into a particular item 950 and a gesture 150 of the 'C' type is entered, it is possible to make a copy of the particular item 950 It may be a requesting command.

반면, 다른 아이템들(910, 930)에 이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될 경우, 이 역시 다른 아이템들(910, 930) 각각에 대한 카피(copy)를 요청하는 커맨드가 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ther items 910 and 930, this also becomes a command for requesting a copy for each of the other items 910 and 930.

또한, 다른 아이템들(910, 930)이 아닌 바탕 영역에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후, 'C' 형태로 제스처(150)가 입력되면, 이는 카피(copy)와 다른 커맨드가 될 수 있다.Also, if the gesture 150 is input in the 'C' form after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to the background area other than the other items 910 and 930, it may be a command different from the copy .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첫번째 터치가 입력되는 대상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가 생성된다고 상정하였으나, 반드시 터치인 경우에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첫번째 터치가 터치가 아닌 터치 후 드래그에 따른 영역 설정이고, 영역 내에 아이템 세 개(910, 930, 950)가 모두 포함된 경우, 이는 세 개의 아이템 모두의 카피를 위한 것일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different commands are generated depending on the object to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ase of touch. For example, if the first touch is a touch-and-drag dragging region setting, and the region includes all three items (910, 930, 950), this may be for copying all three items.

이와 같이, 첫번째 터치가 입력되는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스처를 일일이 외워야하는 부담을 덜어주고, 보다 많은 제스처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
In this manner, by making different commands according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input, the burden of the user to memorize the gesture is reduced, and more gestures can be utilized.

<5.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방식><5. Detec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방식에 따라 싱글 터치 방식, 듀얼 터치 방식 및 멀티 터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듀얼 터치 방식과 멀티 터치 방식의 경우, 첫번째 터치 후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판별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싱글 터치 방식은 하나의 둘 이상의 터치를 감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lassified into a single touch type, a dual touch type, and a multi-touch type according to a sens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dual touch method and the multi-touch method, there is no problem in distinguishing the drag after the first touch and the second touch, but the single touch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two or more touches.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싱글 터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두번째 터치 및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다. However,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gesture of the user by determining the drag after the second touch and the second touch even when using the single-touch method.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해,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채용가능한 감지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explain this, first, a sensing method that can be employ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도 10은 정전식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touch sensing method according to the electrostatic method.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에 따른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네 모서리에 센서(1010)를 구비한다. 정전식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는 지속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센서(1010)는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전하를 축적한다.As shown, the touch screen includes sensors 1010 at four corners to sense a touch according to the electrostatic type. In order to sense the touch according to the electrostatic method, a current is continuously flowed to the touch screen, and the sensor 1010 accumulates the charg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사람의 신체 역시 전도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 스크린에 흐르던 전류가 손가락으로 이동하게 되고, 센서(1010)는 이러한 전류의 변화를 감지해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측정하게 된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with the finger,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ouch screen is moved by the finger, and the sensor 1010 detects the change of the current, .

이와 같이, 정전식은, 전류의 변화를 감지해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멀티 터치의 구현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lectrostatic method uses a method of measuring the coordinates of the touched point by sensing the change of the current, multi-touch can be implemented.

도 11은 감압식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nsing a touch according to a depressurization type.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은 감압식에 따른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투명한 재질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Layer)으로 구성된다. 특히, 터치 스크린은 안정층(1110), 제1 전도층(1130), 제2 전도층(1150) 및 스페이서 도트(1170)로 구성된다. As shown, the touch scree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s in order to sense a touch according to the depressurization type.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is composed of the stabilizing layer 1110,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30,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150, and the spacer dot 1170.

안정층(1110)은, 화면에 흐르는 전류가 터치 스크린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때 액정이 함께 눌려 액정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정층(1110)으로는 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The stabilizing layer 1110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the current flowing on the screen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and functions to prevent the liquid crystal from being damaged by the liquid crystal being pressed together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As the stabilizing layer 1110, glass or plastic is mainly used.

제1 전도층(1130)과 제2 전도층(1150)은 터치 지점을 감지하기 위해 전기적인 저항성과 전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된다. 제1 전도층(1130)과 제2 전도층(1150)의 사이는 공기로 채워진 절연 상태의 매우 얇은 공간이 존재하며,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할 경우, 제1 전도층(1130)과 제2 전도층(1150)이 서로 접촉되어, 그러면 저항값과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러한 저항값과 전류의 변화와 관련된 신호를 기초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가 측정되게 된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3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15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resistance and conductivity to sense a touch point.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3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150 are filled with air and have a very thin space in an insulated state.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3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130 The conductive layer 11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occurs, and the coordinates of the touched point are measured based on the signal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res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또한, 도트 스페이서(1170)는 비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전도층(1130)과 제2 전도층(1150)이 서로 도전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ot spacer 117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prevents the first conductive layer 1130 and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150 from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user's touch is not being inputted.

한편, 감압식은, 저항값과 전류의 변화와 관련된 신호를 기초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측정하기 때문에, 복수의 지점을 터치하는 멀티-터치를 감지하는 것이 곤란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pressurization type measures the coordinates of the touched point based on the signal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res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multi-touch that touches a plurality of points.

도 12는 적외선방식에 따라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 touch according to an infrared method.

터치 스크린은 적외선방식에 따른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의 네 모서리에 적외선을 방사하거나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The touch screen includes means for emitting or receiving infrared rays at four corners of the touch screen to detect the touch according to the infrared method.

적외선방식은 적외선이 직진성을 가지고 있어서, 장애물이 있으면 차단되어 진행하지 못하는 속성을 활용한다. 즉, 적외선방식은, 터치 스크린 중 사용자가 터치된 부분에 의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차단하면, 차단된 부분의 X, Y좌표를 읽어 사용자의 터치 지점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The infrared method utilizes the property that the infrared ray has a straight-line property and can not proceed because of the obstacle. That is, the infrared ray method is a method of detecting the touch point of the user by reading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blocked portion when the infrared ray emitted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blocked by the user's touched portion of the touch screen.

이러한 적외선 격자를 만들기 위해, 터치 스크린의 모서리들 중 가로 부분과 세로 부분 각 하나의 모서리는 적외선을 방사하고, 이와 마주한 각 하나의 모서리는 방사된 적외선을 수신하여, 적외선 격자를 형성한다.To make this infrared grating, one corner of each of the corners of the touch screen radiates infrared rays, and each one of the corners facing the infrared ray receives radiated infrared rays to form an infrared grid.

적외선 광선은 터치 스크린의 표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서 방사되기 때문에, 적외선방식에 의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에 직접 접촉되지 않더라도 터치 스크린이 터치를 감지하게 된다. Since the infrared ray is radiated 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n the case of the infrared ray method, the touch screen senses the touch even if the user's finger does not directly touch the touch screen.

한편, 적외선방식은, 최종적으로 차단된 부분에 대한 X, Y좌표를 읽어 터치 지점을 감지하기 때문에, 복수의 지점을 터치하는 멀티 터치를 감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nfrared method detects the touch point by reading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finally blocked portion, so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multi-touch that touches a plurality of points.

<6. 감지방식별 제스처 인식 및 판별방법><6. Gesture Recognition and Detection by Detection Method>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식은 멀티 터치의 구현이 용이한 반면, 감압식과 적외선 방식은 멀티 터치의 구현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정전식을 채용할 경우, 전술한 제스처 인식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realize the multi-touch by the electrostatic type, but it is not easy to realize the multi-touch by the decompression type and the infrared type. Therefor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s the electrostatic type, the aforementioned gesture recognition is not a big problem.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한 모션 동작에 의해 제스처가 인식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멀티 터치가 입력되는 정확한 좌표를 산출할 필요는 없고, 개략적인 모션 동작의 형태만을 아는 것만으로 충분히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gesture to be recognized by a specific motion ope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calculate exact coordinates to which a multi-touch is inpu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such that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can be sufficiently executed only by knowing the shape.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감압식과 적외선 방식을 채용할 경우의 제스처 인식 및 판별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3 and FIG. 14, gesture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method in the case of adopting the depressurization type and the infrared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13은 감압식을 채용할 경우의 제스처 인식 및 판별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gesture recognition and discrimination method when the depressurization type is adopted.

제스처가 인식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서, 첫번째 터치가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제스처가 인식되기 위한 조건 중 다른 하나로서, 첫번째 터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제스처가 입력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One of the conditions for the gesture to be recognized is that the first touch must be maintained. As another example of a condition for recognizing a gesture, a description has been given of the fact that a gesture should be input in a predetermined area based on the first touch.

감압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첫번째 터치가 계속 유지되는 조건 및 제스처가 입력된 지점에 대한 조건을 판단하고, 제스처의 형태를 판별한다.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depressurization type,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used to deter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first touch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the conditions for the point where the gesture is input, and the type of the gesture is determined.

우선,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후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되면,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부터 두번째 터치(130)까지의 거리 중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직선이 생성된다. First, when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ted after the first touch 110 is inputted as shown in the upper left corner, half of the distance from the first touch 110 to the second touch 130, A straight line is generated.

전술한 바와 같이, 감압식은 저항값과 전류의 변화와 관련된 신호를 기초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를 측정하기 때문에, 첫번째 터치(110)와 두번째 터치(130)가 함께 입력된 상태에서는, 측정된 저항값과 전류값이 첫번째 터치(110)와 두번째 터치(130)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과 전류값으로 변하게 되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pressurizing type measures the coordinates of the touched point based on the signal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res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when the first touch 110 and the second touch 130 are input together, Since th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are changed to the res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midpoint between the first touch 110 and the second touch 130.

따라서,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부터 생성된 직선의 종점을 두 배로 연장한 지점이 실제로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지점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직선의 종점은 두번째 터치(130)가 감지된 지점이라고 볼 수 있다.Therefore, the point where the end point of the straight line generated from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is doubled is actually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Here, the end point of the generated straight line can be regarded as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130 is detected.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110)가 감지된 지점인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과 두번째 터치(130)가 감지된 지점까지의 거리를 두 배로 연장하여 두번째 터치(130)가 실제로 입력된 지점을 산출한다.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doubles the distance from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which is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detected, to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130 is detected, Lt; RTI ID = 0.0 &gt; actually &lt; / RTI &gt;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지점을 산출한 결과를 기초로, 두번째 터치(130)가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제스처가 입력된 지점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Th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within the area set based on the first touch 110 based on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Thus,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gesture satisfies the condition for the input point.

한편, 좌측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유지된 상황에서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과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가 입력된 지점의 중간 지점에서 드래그(150)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화면에는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과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가 입력된 지점의 중간 지점에 제스처(1310)가 표시되게 된다.When the drag 150 is inputted to the second touch 130 in a state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held as shown in the lower left corner,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first touch 110, And the drag 150 is sensed at the midpoint between the point where the drag 150 and the second touch 130 are input. Accordingly, the gesture 13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at a position between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and the point where the drag 150 is input after the second touch 130.

이와 같이, 드래그(150)가 실제로 입력된 형태와 드래그(150)가 감지된 형태인 제스처(1310)의 형태는 서로 닮은꼴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감압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도 제스처의 형태를 판단하기에 곤란함이 없게 된다. Since the shape of the gesture 1310 in which the drag 150 is actually sensed and the shape of the drag 150 are detected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depressurization type, There is no difficulty in judg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problem.

한편,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가 종료되면, 드래그(150)의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부터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까지 직선이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측정된 저항값 및 전류값이,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에 해당하는 저항값과 전류값으로 변하게 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ag 150 is completed after the second touch 130, a straight line is formed from the point where the input of the drag 150 is terminated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This is because the res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measu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are changed to the resistance value and the curr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이, 드래그(150)의 입력이 종료된 지점에서부터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지점까지 직선이 형성되는 점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가 입력되고 해제될 때까지 첫번째 터치(110)가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drag 150 after the second touch 130 on the basis of a point where a straight line is formed from the point where the input of the drag 150 is terminated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inputt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condition that the first touch 110 is continuously maintained until the touch input is released and released is satisfied.

도 14는 적외선 방식을 채용할 경우의 제스처 인식 및 판별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and a discrimination method in the case of adopting an infrared method.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서, 첫번째 터치가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또한,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한 조건 중 다른 하나로서, 첫번째 터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제스처가 입력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One of the conditions for being recognized as a gesture is that the first touch must be maintained. In addition, as another condition to be recognized as a gestu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gesture must be input in the area set based on the first touch.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첫번째 터치가 계속 유지되는 조건 및 제스처가 입력된 지점에 대한 조건을 판단하고, 제스처의 형태를 판단한다.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infrared method,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used to determin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first touch is continuously maintained and the conditions for the point where the gesture is input, and the form of the gesture is determined.

우선,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후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되면, 우측 상단에서 첫번째 터치(110) 부분이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첫번째 터치(110)는 더이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감지되지 않게 된다. First, when the first touch 110 is input and then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as shown in the upper left corner, the first touch 110 is no longer It is not detected by the display device 100.

전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방식은 최종적으로 차단된 부분의 X, Y좌표를 읽어 터치 지점을 감지하기 때문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infrared method detects the touch point by reading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finally blocked part.

한편,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110)에 대한 감지가 해제되고 두번째 터치(130)가 감지되면, 첫번째 터치(110)가 유지된 상태에서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것인지, 첫번째 터치(110)가 해제된 후에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touch 110 is sensed and the second touch 130 is sensed, the second touch 130 is display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maintaine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or not after the first touch 110 is released.

첫번째 터치(110)가 유지된 상태에서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것이라면, 두번째 터치(130) 또는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를 제스처로 볼 수 있지만, 첫번째 터치(110)가 해제된 후에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것이라면, 두번째 터치(130)는 단순 터치로 보아야 하며,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는 단순 드래그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If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while the first touch 110 is held, the drag after the second touch 130 or the second touch 130 can be viewed as a gesture, but after the first touch 110 is released If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 the second touch 130 should be viewed as a simple touch, and the drag after the second touch 130 should be regarded as a simple drag.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110)가 감지된 시점부터 두번째 터치(130)가 감지된 시점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이면, 첫번째 터치(110)가 유지된 상태에서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것으로 보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rst touch 110 is sens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130 is sensed is less than a preset range,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second touch (110) 130 are input.

한편,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두번째 터치(130)가 입력된 지점이 곧 두번째 터치(130)가 감지된 지점이므로, 두번째 터치(130)가 감지된 지점을 기초로, 두번째 터치(130)가 첫번째 터치(110)를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제스처가 입력된 지점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infrared method, since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130 is inputted is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130 is detected, the second touch 130 is detected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130 is sensed. (130) has been input within the area set on the basis of the first touch (110). Thus,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the gesture satisfies the condition for the input point.

한편, 좌측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유지된 상황에서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감지된 드래그(150)의 형태를 기초로 제스처의 형태를 판단하게 된다. When the drag 150 is input to the second touch 130 in a state where the first touch 110 is held as shown in the lower left corner,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shape of the drag 150 sensed It determines the shape of the gesture as a basis.

그리고, 첫번째 터치(110)가 유지된 상태에서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가 종료되면, 좌측 하단에서 첫번째 터치(110) 부분이 실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첫번째 터치(110)가 입력된 상태로 되게 된다. When the first touch 110 is held and the drag 150 is completed after the second touch 130, the first touch 110 is displayed as a solid line, .

이와 같이, 드래그(150)에 의한 제스처의 입력이 종료되자마자 첫번째 터치(110)가 다시 감지되는 것을 기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두번째 터치(130)에 이은 드래그(150)가 입력되고 해제될 때까지 첫번째 터치(110)가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based on the first touch 110 being detected as soon as the input of the gesture by the drag 150 is terminated,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drag 150 after the second touch 130,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condition that the first touch 110 is continuously maintained is satisfi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압식 또는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정전 터치 또는 멀티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를 인식 및 판단하고 이에 따라 커맨드를 생성 및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depressurization type or the infrared type can recognize and judge the gesture input from the user without having a separate hardware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he electrostatic touch or multi-touch Thus, the command can be generated and executed.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듀얼 터치나 멀티 터치가 적용될 수 없는 경우에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을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전술한 감압식이나 적외선 방식을 이용하지 않은 싱글 터치 방식의 경우에도 제스처를 인식하고 판단하며, 이에 따라 커맨드를 생성하고 실행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xamp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judging a gesture when a dual-touch or multi-touch can not be applied. Accordingly,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gesture can be recognized and determined even in the case of the single-touch method in which the above-described depressurization type or infrared ray method is not used, and thus the command can be generated and executed.

<7. 감지방식별 동작흐름><7. Operation flow by sensing method>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각 감지방식별로 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한 동작흐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flow for recognizing a gesture for each sens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FIG.

도 15는 정전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의 제스처 인식방법 및 커맨드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듀얼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의 구현이 용이하기 때문에, 듀얼 터치 또는 멀티 터치가 입력된 경우에도, 감지된 지점을 그대로 입력된 지점으로 판단하여 제스처에 따른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다.1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electrostatic typ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electrostatic method is easy to implement a dual touch or a multi-touch, even when a dual-touch or multi-touch is input, A command according to the gesture can be executed.

정전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첫번째 터치가 입력되면(S1500-Y), 첫번째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영역이 설정된다(S1510).When the first touch is input 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electrostatic method (S1500-Y), an area is set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input (S151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20). 첫번째 터치가 해제되었으면(S1520-Y), 첫번째 터치를 제스처가 아닌 단순 터치로 인식하여(S1570), 인식된 터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S1580),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킨다(S1560).Then, th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ouch is released (S1520). If the first touch is released (S1520-Y), the first touch is recognized as a simple touch rather than a gesture (S1570),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touch is generated (S1580), and the generated command is executed (S1560).

반면, 첫번째 터치가 해제되지 않았으면(S1520-N), 설정된 영역 내에서 두번째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30).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touch is not released (S1520-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econd touch is inputted in the set area (S1530).

설정된 영역 내에서 두번째 터치가 입력되었으면(S153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두번째 터치 또는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제스처로 인식하고(S1540),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하여(S1550),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킨다(S1560).If the second touch is input in the set area (S1530-Y), the display device 100 recognizes the drag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as a gesture (S1540),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 And executes the generated command (S1560).

반면, 설정된 영역 외에 두번째 터치가 입력되었으면(S153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먼저 입력된 처첫번째 터치와 설정된 영역 외에 입력된 두번째 터치를 각각 단순 터치로 인식하고(S1570), 인식된 터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한다(S1580).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touch is inputted outside the set area (S1530-N), the display device 100 recognizes the first touch input first and the second touch inputted outside the set area as simple touches (S1570) (S1580).

이와 같이, 정전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듀얼 터치 및 멀티 터치의 구현이 용이하기 때문에, 감지된 지점을 그대로 입력된 지점으로 판단하여 제스처에 따른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electrostatic method is easy to implement the dual touch and the multi-touch,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gesture by determining the sensed point as the input point as it is.

도 16a 및 도 16b는 감압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의 제스처 인식방법 및 커맨드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압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듀얼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의 구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듀얼 터치 또는 멀티 터치가 입력된 경우에, 감지된 지점을 기초로 입력된 지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에 따라 커맨드를 실행하게 된다. 16A and 16B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depressurization typ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depressurization type is not easy to implement dual touch or multi-touch, when a dual-touch or multi-touch is input, the input point is calculated based on the detected point And executes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한편, 이상에서는,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한 조건들로서 첫번째 터치가 유지될 조건과 기설정된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입력될 조건을 설명한 바 있다. 당업자라면, 첫번째 터치가 유지될 조건과 관련해서는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면 충분할 것인바, 이하에서는 감압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gesture as a condition for the first touch to be maintained and the condition for inputting the second touch in the predetermined area have been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irst touch may be maintained b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relating to FIG. 15. Hereinafter,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second touch is input in the predetermined area 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pressure- .

우선, 감압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00), 첫번째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1600-Y), 첫번째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영역이 설정한다(S1605).First,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pressure reduction typ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touch is input (S16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ouch is input (S1600-Y) (S1605).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10), 첫번째 터치가 해제되었으면(S1610-Y), 첫번째 터치를 단순 터치로 인식하여(S1665), 인식된 터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한다(S1670).Then, th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touch is released (S1610). If the first touch is released (S1610-Y), the display device 100 recognizes the first touch as a simple touch (S1665) Command (S1670).

한편, 첫번째 터치가 해제되지 않았고(S1610-N), 두번째 터치가 감지된 경우(S161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가 감지된 시간과 두번째 터치가 감지된 시간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S1620), 첫번째 터치가 감지된 지점과 두번째 터치가 감지된 지점 간의 거리 차이를 계산한다(S1625).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touch is not released (S1610-N) and the second touch is sensed (S1615), the display device 10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sensed ),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is sensed is calculated (S1625).

거리차에 대한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a) 내에 있으면(S163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가 감지된 지점부터 두번째 터치가 감지된 지점까지 연결한 벡터를 생성한 후(S1635), 생성된 벡터를 연장하여 연장된 벡터의 종점을 두번째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간주한다(S1640).If the time difference for the distance differe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a) (S1630-Y),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a connected vector from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sensed to the point where the second touch is sensed (S1635) , And the generated vector is extended to regard the end point of the extended vector as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S164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두번째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간주된 지점을 기초로, 설정된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45), 설정된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1645-Y), 두번째 터치 또는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제스처로 인식한다(S1650).The display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econd touch is input in the set area based on the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regarded as being input (S164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touch is input in the set area (S1645-Y ), And recognizes the drag after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as a gesture (S165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S1655),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킨다(S1660).There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S1655), and executes the generated command (S1660).

한편, 거리차에 대한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a) 내에 있지 않거나(S1630-N), 설정된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S1645-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먼저 입력된 첫번째 터치와 나중에 입력된 두번째 터치를 각각 단순 터치로 인식하고(S1665), 인식된 터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한다(S1670).On the other hand, if the time difference for the distance difference is not within the preset range a (S1630-N), or if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second touch is input in the set area (S1645-N) (S1665), and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touch (S1670).

이와 같이 감압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듀얼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의 구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감지된 지점을 기초로 입력된 지점을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에 따라 커맨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depressurization type is not easy to implement the dual touch or the multi-touch,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input point based on the sensed point and execute the comman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도 17은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제스처 인식방법 및 커맨드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듀얼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의 구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듀얼 터치 또는 멀티 터치가 입력된 경우에, 첫번째 터치와 두번째 터치의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커맨드를 실행하게 된다.FIG. 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a command generation method in a display device using an infrared system.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infrared method is not easy to implement a dual touch or a multi-touch, when a dual-touch or multi-touch is inpu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gesture is input, and executes a command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result.

한편, 이상에서는, 제스처로 인식되기 위한 조건들로서 첫번째 터치가 유지될 조건과 기설정된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입력될 조건을 설명한 바 있다. 당업자라면, 첫번째 터치가 유지될 조건과 관련해서는 도 15와 관련된 설명을 참조하면 충분할 것인바, 이하에서는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dition for recognizing the gesture as a condition for the first touch to be maintained and the condition for inputting the second touch in the predetermined area have been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irst touch may be maintained b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relating to FIG. 15,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econd touch is input in the predetermined area 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infrared method We will focus on the process.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첫번째 터치가 입력되면(S1700-Y), 첫번째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영역이 설정된다(S1705).When the first touch is input in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infrared method (S1700-Y), an area is set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input (S1705).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가 해제되고(S1710),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15). 첫번째 터치가 해제되고(S1710-Y),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감지되었으면(S1715-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번째 터치가 해제된 시간과 두번째 터치가 감지된 시간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S1720),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b) 내에 있으면, 입력된 두번째 터치 또는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제스처로 인식한다(S1730).Thereafter, the first touch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released (S171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second touch is sensed in the area (S1715). If the first touch is released (S1710-Y) and the second touch is detected in the area (S1715-Y), the display device 10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rst touch is releas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sensed If the time differenc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b), the dragging of the input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is recognized as a gesture (S173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S1735),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킨다(S1740).Thereafter,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S1735), and executes the generated command (S1740).

한편, 영역 내에 두번째 터치가 감지되지 않았거나(S1715-N),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b) 내에 있지 않은 경우(S1725-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먼저 입력된 첫번째 터치와 나중에 입력된 두번째 터치를 각각 단순 터치로 인식하고(S1745), 인식된 터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한다(S1750).On the other hand, if no second touch is detected in the area (S1715-N) and the time difference is not within the preset range b (S1725-N),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the first touch input first (S1745), and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touch (S1750).

이와 같이 적외선 방식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듀얼 터치 또는 멀티 터치의 구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첫번째 터치와 두번째 터치의 입력 시간차를 기초로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커맨드를 실행하게 된다.
Since the display device 100 employing the infrared method is not easy to implement a dual touch or a multi-touch,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gesture is input based on the input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ouch and the second touch, The command is executed.

<8. 사용자별 커맨드 저장><8. User-specific command storage>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20c를 참조하여, 사용자별로 커맨드를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storing a command for each us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0C.

도 18은 사용자별로 커맨드를 구별하기 위한 필요성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LFD(Large Format Display)인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조작이 입력될 수 있다. 1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cessity for distinguishing commands by user. 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an LFD (Large Format Display), as shown in FIG. 18, a plurality of operations can be input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to one display apparatus 100.

도 18에는 두 사용자(U1, U2)로부터 두 개의 컷 제스처가 함께 입력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는데, 이 경우, 두 개의 컷 제스처가 입력되어도 둘 중 하나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에 따라 두 개의 아이템들(1810, 1820) 중 하나의 아이템만이 컷되어 저장되게 된다. 예를 들어, T1<T2인 경우, T2의 시간에서 U2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컷 제스처에 대응되는 아이템(1820)만이 컷되게 된다. FIG. 18 shows a state in which two cut gestures are input together from two users U1 and U2. In this case, even if two cut gestures are input, two items Only one of the items 1810 and 1820 is cut and stored. For example, if T1 < T2, then only the item 1820 corresponding to the cut gesture input by the user of U2 at the time of T2 will be cut.

물론, 동일한 사용자가 두 개의 서로 다른 아이템(1810, 1820)에 대해 두 번의 서로 다른 컷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에는, 최종 컷 제스처를 통해 아이템(1820)을 컷하려는 것이 사용자의 실제 의도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시되지 않을 수 있다.Of course, if the same user entered two different cut gestures for two different items 1810, 1820, it would be desirable to cut the item 1820 through the final cut gesture as the user's actual intent It may not be an issue.

그러나, 서로 다른 사용자(U1, U2)가 각각 서로 다른 컷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별로 커맨드가 구별되지 않는다면, 어느 한 사용자(U1)의 컷 제스처에 따른 아이템(T1)은 컷되지 않고 삭제되거나 무시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f the different users U1 and U2 input different cut gestures and the commands are not distinguished for each user, the item T1 according to the cut gesture of a user U1 is deleted without being c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gnored.

또한, 도 18에는 두 사용자(U1, U2)로부터 두 개의 페이스트 제스처가 함께 입력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는데, 이 경우, 최종적으로 저장된 컷 커맨드 또는 카피 커맨드에 대응되는 아이템이 두 번 페이스트되게 된다. 물론, 동일한 사용자가 두 번의 서로 다른 페이스트 제스처를 입력한 경우에는, 동일한 아이템이 두 번 페이스트되도록 하는 것이 사용자의 실제 의도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시되지 않을 수 있다.In FIG. 18, two paste gestures are simultaneously input from two users U1 and U2. In this case,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finally stored cut command or copy command is pasted twice. Of course, if the same user has entered two different paste gestures, it may not be a problem in that the same item is to be pasted twice in the sense of the user's actual intentions.

그러나, 서로 다른 사용자(U1, U2)가 각각 카피하거나 컷한 아이템을 각각 페이스트하는 것이 각각의 사용자(U1, U2)의 의도인 경우, 사용자별로 커맨드가 구별되지 않는다면, 어느 한 사용자가 카피하거나 컷한 아이템이 페이스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However, if it is the intent of each of the users U1 and U2 that each of the different users U1 and U2 respectively paste the copied or cut items, if the commands are not distinguished for each us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is is not pasted.

이에 따라, LFD 환경에서는, 사용자별로 커맨드가 구분되어 저장될 필요가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필요성은 LFD 환경에서 보다 크게 작용할 것이나, 소형 모바일 장치인 경우에도 이러한 필요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LFD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us, in the LFD environment, commands need to be separately stored for each user. Of course, this need will be greater than in the LFD environment. 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small mobile device, there is no such necessity,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mobile device as well as an LFD.

도 19a 내지 도 19f는 사용자별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커맨드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내지 도 19f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아이디를 입력하는 조작을 통해,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자신의 커맨드로서 구별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19A to 19F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identifying a command according to a gesture inputted for each user. Referring to Figs. 19A to 19F,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gesture as his / her command through the operation of inputting the ID.

우선,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이템(1900)에 첫번째 터치(1910)를 유지한 상태에서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 조작을 통해 컷 제스처(1920)를 입력하면,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입력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아이템(1930)이 생성되게 된다. 19A, when the user holds the first touch 1910 on the item 1900 and inputs the cut gesture 1920 through the drag operation subsequent to the second touch, as shown in FIG. 19B Similarly, a guide item 1930 that provides a guide for inputting a user's ID is generated on the screen.

가이드 아이템(19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의 상하좌우 방향키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되며, 사용자는, 리모콘의 상하좌우 방향키를 특정 순서대로 누르듯이, 화면에 표시된 가이드 아이템을 따라 특정 패턴으로 드래그하는 조작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 조작이 종료되면, 세번째(제3) 터치에 이은 드래그 조작을 통해 특정 패턴의 아이디를 입력하는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guide item 1930 has a shape similar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user can drag the remote controller in a specific pattern along the guide item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input his / her own ID through the operation. That is, when the drag operation after the second touch is completed, the ID of the specific pattern is inputted through the drag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hird) touch.

이 경우, 제스처 입력은 완료된 것이기 때문에, 첫번째 터치는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만족되도록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첫번째 터치가 그대로 유지될 것을 조건으로 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since the gesture input is completed, it is not necessary to satisfy the condition that the first touch should be maintained.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at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s it is.

도 19d에는 사용자의 아이디(1940)가 입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d에 따르면, 사용자의 아이디(1940)는, 가이드 아이템의 상측에서 좌측으로, 그리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드래그하는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 19D shows the input of the user's ID 1940. According to FIG. 19D, the user's ID 1940 is a sequence of dragging from the top to the left of the guide item and from the left to the right sequentially .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사용자별로 입력된 제스처에 따른 커맨드가 식별되게 되고, 컷된 아이템(1900)을 페이스트하기 위해서는, 입력된 아이디(1940)와 동일한 아이디(1940)가 다시 입력되어야 한다. In this way, a command according to a gesture input for each user is identified. In order to paste the cut item 1900, the same ID 1940 as the input ID 1940 must be input again.

즉, 도 1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첫번째 터치(1950)가 입력되고 첫번째 터치(1950)가 유지된 상태에서 두번째 터치에 이은 드래그 조작을 통해 페이스트 제스처(1920)가 입력되면, 도 1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아이디(1940) 입력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아이템(1930)이 다시 디스플레이된다. 19E, when the first touch 1950 is input and the first touch 1950 is maintained, and the paste gesture 1920 is input through the drag operation following the second touch, as shown in FIG. 19E A guide item 1930 for guiding the input of the user's ID 1940 is displayed again.

이후,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디(1940)를 다시 입력하여, 기존에 자신이 컷했던 아이템(1900)이 화면상에서 복원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Thereafter, the user can input his / her own ID 1940 again so that the item 1900 which the user has previously cut can be restored on the screen.

이와 같이, 사용자는 아이디를 입력하는 조작을 통해,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자신의 커맨드로서 구별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manner, the user can distinguish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gesture as his / her command through the operation of inputting the ID.

도 20a 내지 도 20c는 가이드 아이템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에서는, 가이드 아이템의 예로서, 리모콘의 상하좌우 방향키와 유사한 아이템을 상정하였으나, 가이드 아이템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0a와 같이 상하좌우를 연결하는 연결선이 없는 경우나, 도 20b와 같이 상하좌우 이외의 형태를 가지는 아이템들도 가이드 아이템의 일 예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의 다른 아이템들도 가이드 아이템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0A to 20C are diagrams showing additional examples of guide items. Although an item similar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of the remote controller is assumed as an example of the guide item, the guide item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as shown in FIG. 20A, there are no connection lines connectin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or items having shapes other than up, down,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20B are examples of guide items. Of course.

또한, 아무런 가이드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라고 볼 것이며, 이 경우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아이템이 없는 상황에서 자신의 아이디 또는 서명을 입력하는 방법을 통해,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자신의 커맨드로서 구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0C,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guide item, the user can input his or her ID or signature through a method of inputting his / Th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gesture can be distinguished as its own command.

한편, 사용자별로 커맨드가 구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별로 마련된 클립보드에 사용자별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특정 사용자로부터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특정 사용자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검색하며, 검색된 클립보드에 이미 클리핑되어 있는 커맨드를 참조하여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커맨드를 실행시키게 된다. Meanwhil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ommands for each user, it is necessary to clip the user-specific commands to the clipboard provided for each user. In particular, when a gesture is input from a specific user, the display apparatus 100 genera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gesture, searches the clipboar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user, and refers to a command already clipped in the retrieved clipboard And execut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gesture.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의 클립보드에 "아이템 a에 대한 카피 커맨드"가 클리핑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일한 사용자로부터 페이스트를 위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페이스트 커맨드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아이디를 참조하여 A라는 사용자의 클립보드를 검색하며, 검색된 클립보드에 이미 클리핑되어 있는 "아이템 a에 대한 카피 커맨드"를 참조하여, "아이템 a에 대한 페이스트 커맨드"를 실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a gesture for a paste is input from the same user while a copy command for an item a is clipped to a clipboard of the user A, the display device generates a paste command and displays the paste command Refers to the input ID, searches for the clipboard of user A, refers to the copy command for item a that has already been clipped to the searched clipboard, and executes the paste command for item a.

<9.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동><9. Interlocking with external device>

도 21은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한 제스처 입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2100)가 함께 도시되고 있다.2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gesture input interl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21,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100 are shown together.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제스처를 기초로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키지만, 이와 별개로, 외부 디바이스(2100)에서 생성된 커맨드를 기초로 커맨드를 생성하여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생성된 커맨드를 기초로, 커맨드를 생성하여 실행시킬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execute a command generated based on the inputted gesture but may separately generate a command based on the command generated in the external device 2100 and execute the command. Also, the external device 2100 may generate and execute a command based on the command generated in the display device 100. [

양자는 동일한 원리에 의해 수행되는바, 이하에서는 후자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Both are performed by the same principle, and the latter will be described below.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2120)에 첫번째 터치(2110)가 입력되고, 전술한 조건들을 만족하는 드래그(2130)가 입력된 경우, 이는 제스처로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템(2120)에 대한 컷(cut) 커맨드를 위해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상정하였다. When the first touch 2110 is input to the item 212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drag 2130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is input as shown in the upper left corner,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 gesture is input for a cut command for the item 2120.

컷된 아이템(21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다시 페이스트될 수도 있지만, 외부 디바이스(21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100)에 페이스트될 수도 있다. The cut item 2120 may be pasted back to the display device 100, but it may also be pasted to the external device 2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100.

즉,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100)의 화면 중 일 부분에 첫번째 터치(2140)가 입력되고, 전술한 조건들을 만족하는 드래그(2130)가 입력된 경우, 이는 제스처로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템(2120)에 대한 페이스트 커맨드를 위해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상정하였다.That is, when the first touch 2140 is input to a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2100 and a drag 2130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is input as shown in the upper right part, it is recognized as a gesture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gesture is input for the paste command for the item 2120.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컷(cut)된 아이템(2120)은 외부 디바이스(2100)에서 첫번째 터치(2140)가 입력된 지점에 페이스트 된다.Accordingly, the item 2120 cut in the display device 100 is pasted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2140 is input in the external device 2100. [

이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100)와 연동하여도 커맨드를 생성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a command can be generated even in cooper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100.

도 22는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한 제스처 및 아이디 입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2100)가 함께 도시되고 있다.2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esture and an ID input interl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22,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100 are shown together.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의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참조하여 새로운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지만, 외부 디바이스(2100)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참조하여 새로운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의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참조하여 새로운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pparatus 100 can execute a new command with reference to a command clipped to an internal clipboard. However,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fer to a command clipped to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2100, . Also, the external device 2100 may execute a new command with reference to the command clipped to the clipboard inside the display device 100. [

양자는 동일한 원리에 의해 수행되는바, 이하에서는 후자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Both are performed by the same principle, and the latter will be described below.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2220)에 첫번째 터치(2210)가 입력되고, 전술한 조건들을 만족하는 드래그(2230)가 입력된 경우, 이는 제스처로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템(2220)에 대한 컷(cut) 커맨드를 위해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상정하였다. When the first touch 2210 is input to the item 222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drag 2230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is input as shown in the upper left corner, do. It is assumed that a gesture is input for a cut command for the item 2220 in this embodiment.

컷된 아이템(22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다시 페이스트될 수도 있지만, 외부 디바이스(2100)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2100)에 페이스트될 수도 있다. The cut item 2220 may be pasted back to the display device 100, but it may also be pasted to the external device 2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2100.

즉,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100)의 화면 중 일 부분에 첫번째 터치(2260)가 입력되고, 전술한 조건들을 만족하는 드래그(2270)가 입력된 경우, 이는 제스처로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템(2220)에 대한 페이스트 커맨드를 위해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상정하였다.That is, when the first touch 2260 is input to a part of the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2100 and a drag 2270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is input, as shown in the right upper part, it is recognized as a gesture .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gesture is input for the paste command for the item 2220. [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컷된 아이템(2220)은 외부 디바이스(2100)에서 첫번째 터치(2260)가 입력된 지점에 페이스트 된다.Accordingly, the cut item 2220 in the display device 100 is pasted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touch 2260 i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2100.

이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100)와 연동하여도 제스처 및 아이디를 입력하여 커맨드를 생성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manner, even when the external device 2100 is interlocked, a command can be generated by inputting the gesture and the ID.

<10. 외부 디바이스와의 구체적 연동방법><10. Specific interworking with external devices>

이하에서는, 외부 디바이스(2100)와의 구체적 연동방법에 대해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기 때문에, 도 23 내지 도 25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interworking method with the external device 2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3 to 25. FIG. Particularly, the case where the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input to the display device 100 is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FIGS. 23 to 25, The case where the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is not sto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도 23은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및 아이디가 입력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2100) 모두에, 입력된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an input ID is not stored in bot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100 when a gesture and an ID are input from the user.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스처를 기초로 커맨드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A라는 아이디가 입력되면, 입력된 아이디 A에 대응되는 클립보드 A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메시지, 즉,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S2300).First, when a gesture is input from a user, the control unit 101 of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a command based on the inputted gesture. When an ID of A is inputted from the user, In step S2300,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clipboard A exists.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01)는 내부에 저장된 클립보드 저장부(106)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S2310),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2100)의 제어부(2101)는, 외부 디바이스(2100)에 저장된 클립보드 저장부(2106)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2310).The control unit 101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searches whether the clipboard A exists in the clipboard storage unit 106 stored therein (S2310), and receives a broadcast message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2101 of the external device 2100 searches the clipboard storage unit 2106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2100 to see whether the clipboard A exists (S2310).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2100)에 클립보드 A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232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01)는 클립보드 A를 직접 생성하고(S2330), 생성된 클립보드 A를 클립보드 저장부(106)에 저장하고, 생성된 커맨드를 저장한다(S234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lipboard A does not exist in both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100 at step S2320, the control unit 101 of the display device 100 directly creates the clipboard A at step S2330, The clipboard A is stored in the clipboard storage unit 106, and the generated command is stored (S2340).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디바이스(2100)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100)로부터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2100)로부터 클립보드 A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받은 경우에도 가능할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display device 100 knows that the clipboard A does not exist in the external device 2100 is that the external device 2100 not only receives no response from the external device 2100, It is possible that the clipboard A is not present.

도 24와 도 25는 사용자로부터 제스처 및 아이디가 입력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서, 외부 디바이스(2100)에 클립보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4 and 25 show a case where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input to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stored when a gesture and an ID are input from a user and the clipboard is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2100 Fig.

특히, 도 24는 사용자로부터 카피 커맨드를 위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n particular, FIG. 2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gesture for a copy command is input from a user.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카피를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스처를 기초로 카피 커맨드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A라는 아이디가 입력되면, 입력된 아이디 A에 대응되는 클립보드 A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메시지, 즉,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S2400). 물론, 이러한 메시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First, when a gesture for copying is input from a user, the control unit 101 of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a copy command based on the input gesture. When the user inputs an ID of A from the user, In step S2400, a message requesting a search for clipboard A, that i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clipboard A exists. Of course, such a message may include an access address for the display device 100.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01)는 내부에 저장된 클립보드 저장부(106)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S2410),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2100)의 제어부(2101)는, 외부 디바이스(2100)의 클립보드 저장부(2106)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2410).The control unit 101 of the display device 100 searches whether the clipboard A exists in the clipboard storage unit 106 stored therein or not in step S2410 and receives a broadcast message from the display device 100 The control unit 2101 of the external device 2100 searches the clipboard storage unit 2106 of the external device 2100 to determine whether the clipboard A exists (S2410).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지 않으나, 외부 디바이스(2100)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420), 외부 디바이스(2100)의 제어부(2101)는 외부 디바이스(2100)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유니캐스트한다(S2430). 물론, 외부 디바이스(2100)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 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2100)가 클립보드 A를 저장하고 있다는 정보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clipboard A is not present in the display device 100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clipboard A is present in the external device 2100 in operation S2420, the control unit 2101 of the external device 2100 displays the clipboard A in the external device 2100 And unicasts the access address to the display device 100 (S2430). Of course, not only the access address to the external device 2100 but also information that the external device 2100 is storing the clipboard A may be included.

외부 디바이스(2100)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에 의해 생성된 카피 커맨드를 외부 디바이스(2100)로 유니캐스트한다(S2440).Upon receiving the access address for the external device 2100, the display device 100 unicasts the copy command generated by the gesture inputted by the user to the external device 2100 (S2440).

이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100)는 수신된 카피 커맨드를 클립보드 A에 클리핑하여 저장한다(S2450). 특히, 클립보드 A에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가 미리 클리핑되어 있었다면, 외부 디바이스(2100)는 기클리핑된 커맨드에 수신된 카피 커맨드를 덮어씌워 클리핑한다.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2100 clips the received copy command on the clipboard A and stores it (S2450). In particular, if the copy command or the cut command has been clipped on the clipboard A in advance, the external device 2100 overwrites and clips the received copy command on the previously clipped command.

한편, 커맨드에 대한 저장과 별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에 기초하여 생성된 카피 커맨드를 실행한다.On the other hand, apart from the storage for the command, the display apparatus 100 executes the generated copy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input from the user.

다음으로, 도 25는 사용자로부터 페이스트 커맨드를 위한 제스처가 입력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Next, FIG. 2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gesture for a paste command is input from a user.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01)는, 사용자로부터 페이스트를 위한 제스처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스처를 기초로 페이스트 커맨드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A라는 아이디가 입력되면, 입력된 아이디 A에 대응되는 클립보드 A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메시지, 즉,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S2500). 물론, 이러한 메시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First, the controller 101 of the display device 100 generates a paste command based on the input gesture when a gesture for a paste is input from the user. When the user inputs an ID of A from the user, And broadcasts a message requesting a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clipboard A, that i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clipboard A exists (S2500). Of course, such a message may include an access address for the display device 100.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01)는 내부에 저장된 클립보드 저장부(106)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하고(S2510),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메시지를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2100)의 제어부(2101)는, 외부 디바이스(2100)의 클립보드 저장부(2106)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2510).The control unit 101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searches whether the clipboard A exists in the clipboard storage unit 106 stored in the display apparatus 100 in operation S2510 and receives a broadcast message from th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2101 of the external device 2100 searches the clipboard storage unit 2106 of the external device 2100 to determine whether the clipboard A exists (S2510).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지 않으나, 외부 디바이스(2100)에 클립보드 A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520), 외부 디바이스(2100)의 제어부(2101)는 외부 디바이스(2100)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유니캐스트한다(S2430). 물론, 외부 디바이스(2100)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 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2100)가 클립보드 A를 저장하고 있다는 정보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If the clipboard A is not present in the display device 100 but the clipboard A is present in the external device 2100 in operation S2520, the control unit 2101 of the external device 2100 displays the clipboard A in the external device 2100 And unicasts the access address to the display device 100 (S2430). Of course, not only the access address to the external device 2100 but also information that the external device 2100 is storing the clipboard A may be included.

외부 디바이스(2100)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처에 의해 생성된 페이스트 커맨드를 외부 디바이스(2100)로 유니캐스트한다(S2540).Upon receiving the access address for the external device 2100, the display device 100 unicasts the paste command generated by the gesture inputted by the user to the external device 2100 (S2540).

또한, 외부 디바이스(2100)는 클립보드 A에 미리 클리핑된 커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유니캐스트한다. 여기서, 기클리핑된 커맨드에 대한 정보는,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가 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클리핑된 커맨드인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를 기초로 하여, 생성된 페이스트 커맨드를 실행한다. 즉, 카피 커맨드의 대상 아이템 또는 컷 커맨드의 대상 아이템을 페이스트하게 되는 것이다. Also, the external device 2100 unicasts the information about the clipped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100 in the clipboard A. Here, the information on the periodically clipped command become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There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executes the generated paste command based on the copy command or the cut command which is a pre-clipped command. That is, the target item of the copy command or the target item of the cut command is pasted.

한편, 외부 디바이스(2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커맨드를 클립보드 A에 클리핑하여 저장한다(S2560).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device 2100 clips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clipboard A and stores it (S2560).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구성><11. Configuration for display device>

도 26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와 제스처를 구분하고, 입력된 제스처와 아이디에 따라 커맨드를 실행시킨다.26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Fig.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tinguishes between a touch and a gesture, and executes a command according to an input gesture and an ID.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101),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 GUI(Graphic User Interface) 생성부(130), 통신 인터페이스(104), 저장부(105) 및 터치 스크린(108)으로 구성된다.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1, a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generating unit 130, a communication interface 104, a storage unit 105 and a touch screen 108 .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동영상, 정지영상, 음악,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동작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종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무엇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displays a scree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In particular,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performs a function of reproducing contents such as moving pictures, still images, music, and text, and executing and running various applications in order to display a scree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type of functions that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can perform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at the display device 100 is.

GUI 생성부(103)는, 아이템 또는 컨텐츠 아이템과 같은 GUI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에 의해 실행되거나 동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생성된 GUI가 부가되도록 한다. The GUI generating unit 103 generates a GUI such as an item or an item of content and displays the generated GUI in an application played or operated by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or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

터치 스크린(108)에는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이나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 또한, 터치 스크린(108)에는 GUI 생성부(103)에 의해 생성된 GUI가 표시된다. The touch screen 108 displays an image to be played by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or an application to be executed by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Further, the GUI generated by the GUI generation unit 103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08. [

특히, 터치 스크린(108)은 표시부(미도시)와 감지부(미도시)로 구성되며, 전술한 영상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부에 표시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108 comprises a display unit (not shown) and a sensing unit (not shown), and the image or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감지부는 표시부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앤 드롭 등의 조작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특히, 감지부는 전술한 정전식, 감압식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의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nsing unit functions as a means for sensing an operation of a user's touch, drag and drop, etc., input to the display unit. In particular, the sensing unit may be implemented by the electrostatic, pressure sensitive, or infrared method described above, or may be implemented in other ways as well.

제어부(101)는 터치 스크린(110) 또는 조작수단(미도시)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능블럭(102)의 기능수행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부합하는 GUI가 터치 스크린(108)의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GUI 생성부(103)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01 controls the functioning of the multimedia function block 102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nputted through the touch screen 110 or the operation means (not shown).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GUI generation unit 103 such that a GUI corresponding to the user's oper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ouch screen 108. [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는 복수의 감지방식 중 하나의 감지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1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채용한 감지방식에 따라, 터치 또는 드래그가 감지된 지점을 기준으로 터치 또는 드래그가 입력된 지점을 산출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nsing unit can be implemented by one sensing method among a plurality of sensing methods, the control unit 101 controls the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the sensing method employed by the display device 100, A point at which a touch or a drag is inputted is calculated.

통신 인터페이스(104)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커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생성된 커맨드에 대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04 communicates with the external device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or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command generated in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external device.

저장부(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클립보드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05)는 사용자의 아이디별로 구분하여 클립보드를 저장하는 클립보드 저장부(106)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07)로 구성된다. The storage unit 105 stores various programs and applications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clipboard.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05 includes a clipboard storage unit 106 for storing a clipboard for each user's ID, and a program storage unit 107 for storing programs and applications.

이에 의해, 터치 스크린 환경에서 보다 쉽고 간편한 방식으로 사용자 커맨드를 입력하여 커맨드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a command by inputting a user command in an easier and simpler manner in a touch screen environment.

이상에서는, LFD 환경에서의 커맨드 생성을 위한 방법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소형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methods for generating commands in the LFD environment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y are merely example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small mobile devices as they are.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 제어부 102 : 멀티미디어 기능블럭
103 : GUI 생성부 104 : 통신 인터페이스
105 : 저장부 108 : 터치 스크린
101: control unit 102: multimedia function block
103: GUI generation unit 104: communication interface
105: storage unit 108: touch screen

Claims (60)

제1 터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터치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조작을 제스처로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입력된 제1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Receiving a first touch;
Recogniz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as a gesture when a second touch satisfying a preset condition is input after the first touch is input; And
And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Wherei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a condition that the second touch is input in an area set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inputted in a state where the input first touch is maintained.
삭제delete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지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 간의 거리차와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시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시간차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 depressurized manner,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and a time difference betwee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Comparing;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whether the second touch is inpu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거리차에 대한 상기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when the tim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touch is determined to have been input.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터치 스크린이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 터치에 대한 감지가 해제된 시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n infrared mode, the second touch is input while the first touch is not released, o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detection of the first touch is releas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detected Determining whether the predetermined ran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whether the second touch is inpu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삭제delete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7]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지점부터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까지의 연결한 벡터를 미리 계산된만큼 연장한 벡터의 종점을,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 depressurized manner, an end point of a vector extending from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is extended by a previously calculated distan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setting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command is generated;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이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이면,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을,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sensed is less than a preset range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the infrared system, To a point at which the command is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rea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comprises:
And generates a different command according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based o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영역이 상기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the set area so that the set area is distinguished from an area other than the set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단계는,
상기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입력된 터치 또는 상기 터치에 이은 조작은 제스처로 인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a touch input in an area other than the set area or a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touch is not recognized as a gesture.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1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아이디 입력을 위한 가이드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디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oviding a guide item for input of an ID; And
And searching for the generated command in the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when the ID is input.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1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는, 사용자의 제3 터치 또는 상기 제3 터치에 이은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가이드 아이템은, 사용자의 제3 터치의 위치 또는 상기 제3 터치에 이은 조작의 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아이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ID is input by an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ouch of the user or the third touch,
Wherein the guide item is an item for deriving a position of a third touch of a user or a pattern of an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ouch.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가 검색된 경우, 상기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클리핑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Clipping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clipboard when the clipboard is searched; And
And executing the generated command with reference to a command clipped to the clipboard.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단계는,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가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이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카피 커맨드 또는 상기 컷 커맨드에 대응되는 대상 아이템이 페이스트되도록 상기 페이스트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Wherein the paste command is executed such that the copy command or an object item corresponding to the cut command is pasted when the pre-clipped command i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and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Way.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단계는,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와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모두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인 경우,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삭제하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클리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lipping step comprises:
Clipped command is deleted, and the generated command is clipped when the pre-clipped command and the generated command are both copy commands or cut commands.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보드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클립보드에 상기 커맨드를 클리핑하는 단계; 및
상기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Generating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when the clipboard is not searched, and clipping the command to the generated clipboard;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executing the command.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는,
내부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검색하는 제1 검색단계; 및
상기 내부에 저장된 클립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검색하는 제2 검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trieving step comprises:
A first retrieving step of retrieving a clipboard stored therein; And
And a second retrieving step of retrieving a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internal stored clipboard does not exist.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0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색단계는,
상기 클립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클립보드가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유니캐스트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econd searching step comprises:
Broadcasting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clipboard exists; And
And receiving an access address for the external device that is unicast from an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clipboard exists.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21. The method of claim 20,
Unicasting a message requesting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or unicas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generated command is clipped to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2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캐스트 단계는,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unicast step comprises:
Unicasts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generated command is clipped to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And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unicasts a message requesting a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3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유니캐스트된 클립보드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를 참조하여, 상기 카피 커맨드 또는 상기 컷 커맨드에 대응되는 대상 아이템이 페이스트되도록 상기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Receiving and storing a unicast clipboard from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And
And executing the command so that the copy command or the target item corresponding to the cut command is pasted with reference to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that is clipped to the stored clipboard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상기 제2 터치 조작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드래그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드래그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제스처는, 상기 드래그 조작의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제스처로 인식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sture is input by a drag operation subsequent to the second touch operation or the second touch,
Wherein the gestur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drag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different gestur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drag operation and is input.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조작 및 상기 드래그 조작의 패턴과 상기 커맨드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a step of matching and storing the pattern of the second touch operation and the drag operation with the comm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된 경우에, 상기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comprises:
And generates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when the first touch is held until input of the gesture is comple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단계는,
상기 제2 터치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조작이 완료되면, 상기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comprises:
And generating the comm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is completed.
제 1항에 있어서,
특정 아이템에 대해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커맨드는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first touch is input for a specific item, the command is a command for the specific i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에 함께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ouch and the second touch are input together on one touch screen.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0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동되어 동작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제2 제스처에 기초한 제2 커맨드는,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제1 제스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커맨드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맨드 생성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mmand based on the second gest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second device is a command for inputting the first gesture based on the first gesture input on the touch screen provided in the first device, Wherein the command is generated by referring to the command.
터치 또는 제스처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스크린; 및
제1 터치가 입력된 후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터치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조작을 제스처로 인식하고, 상기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입력된 제1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된 영역 내에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touch or gesture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as a gesture and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when a second touch satisfying a preset condition is inputted after the first touch is inputted Including,
Wherei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a condition that the second touch is input in an area set based on a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inputt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삭제delete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3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지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 간의 거리차와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시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시간차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 depressurized manner,
Wherein,
Comparing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and a time difference between a time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a mome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Wherein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whether or not the second touch is input is determined.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4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차에 대한 상기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Wherein when the time difference for the distance differenc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touch is determined to be input.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5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거나, 상기 제1 터치에 대한 감지가 해제된 시점과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시간차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터치가 유지되며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n infrared mode,
Wherei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input while the first touch is not released and the time when the detection of the first touch is released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detected is less than a preset rang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first touch is maintained and the second touch is inpu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삭제delete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7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감압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지점부터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까지의 연결한 벡터를 미리 계산된만큼 연장한 벡터의 종점을,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 depressurized manner,
Wherein,
And sets an end point of a vector obtained by extending a connected vector from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sensed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by a previously calculated distance as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Device.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8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적외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감지된 시점부터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시점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하이면, 상기 제2 터치가 감지된 지점을,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in an infrared mode,
Wherein,
And sets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sensed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when a difference between a point of time when the first touch is sensed and a point of time when the second touch is sens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 RTI &gt;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따라 상기 영역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And sets the areas differently according to a point where the first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지점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터치가 입력된 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And generates different commands according to a point at which the second touch is input based on a point at which the first touch is input.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상기 설정된 영역과 상기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이 구별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Wherein the touch screen displays the set area and the area other than the set area in a distinguishable manner.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입력된 터치 또는 상기 터치에 이은 조작은 제스처로 인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Wherein the touch input or the touch operation input in an area other than the set area is not recognized as a gesture.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3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31항에 있어서,
아이디 입력을 위한 가이드 아이템을 제공하기 위한 GUI 생성부; 및
상기 입력된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디가 입력되면,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A GUI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a guide item for inputting an ID; And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nput ID,
Wherein,
And if the ID is input, searches the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with the generated command.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44]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디는, 사용자의 제3 터치 또는 상기 제3 터치에 이은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가이드 아이템은, 사용자의 제3 터치의 위치 또는 상기 제3 터치에 이은 조작의 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아이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The method of claim 43,
The ID is input by an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ouch of the user or the third touch,
Wherein the guide item is an item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third touch of the user or the pattern of the operation following the third touch.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5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립보드가 검색된 경우, 상기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클리핑하고, 상기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참조하여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The method of claim 43,
Wherein,
Wherein when the clipboard is searched, the generated command is clipped to the clipboard, and the generated command is executed by referring to the command clipped to the clipboard.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6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가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이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카피 커맨드 또는 상기 컷 커맨드에 대응되는 대상 아이템이 페이스트되도록 상기 페이스트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6. The method of claim 45,
Wherein,
And the paste command is executed so that the copy command or the cut command is pasted when the pre-clipped command i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and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7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와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모두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인 경우, 상기 기클리핑된 커맨드를 삭제하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클리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6. The method of claim 45,
Wherein,
And the clipping command deletes the pre-clipped command and clips the generated command when the pre-clipped command and the generated command are both copy commands or cut commands.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8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립보드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아이디에 대응되는 클립보드가 생성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생성된 클립보드에 상기 커맨드를 클리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The method of claim 43,
Wherein,
If the clipboard is not searched, a clipboard corresponding to the ID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mmand is clipped to the generated clipboard.
[청구항 4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49]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43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검색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클립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The method of claim 43,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Wherein,
Searches the clipboa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searches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clipboa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does not exist.
[청구항 5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0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립보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클립보드가 존재하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유니캐스트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어드레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0. The method of claim 49,
Wherein,
Broadcasts a message inquiring whether or not the clipboard is pres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receives an access address for the external device unicast from an external device in which the clipboard exists, Device.
[청구항 5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51]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거나,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1. The method of claim 50,
Wherein,
A message requesting a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is unicasted to the external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interface or the created command is clipped to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Unicast &quot;.
[청구항 5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2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에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클리핑되도록 상기 생성된 커맨드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고,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클립보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유니캐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2. The method of claim 51,
Wherein,
Unicasts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so that the generated command is clipped to the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copy command or a cut command,
And unicasts a message requesting a clipboard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청구항 5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3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커맨드가 페이스트 커맨드인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유니캐스트된 클립보드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클립보드에 기클리핑된 카피 커맨드 또는 컷 커맨드를 참조하여, 상기 카피 커맨드 또는 상기 컷 커맨드에 대응되는 대상 아이템이 페이스트되도록 상기 커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3. The method of claim 52,
Wherein,
Receiving the unicast clipboard from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generated command is a paste command, storing the unicast clipboar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mmand is executed so that the copy command or the target item corresponding to the cut command is pasted with reference to the copy command or the cut command temporarily clipped to the stored clipboard.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는, 상기 제2 터치 조작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드래그 조작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드래그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제스처는, 상기 드래그 조작의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제스처로 인식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gesture is input by a drag operation subsequent to the second touch operation or the second touch,
Wherein the gesture input in accordance with the drag operation is recognized as a different gestur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drag operation and is input.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조작 및 상기 드래그 조작의 패턴과 상기 커맨드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5. The method of claim 54,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matching the second touch operation and the pattern of the drag operation with the command.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1 터치가 유지된 경우에, 상기 제스처에 기초한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And generates a command based on the gesture when the first touch is held until input of the gesture is completed.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 또는 상기 제2 터치에 이은 조작이 완료되면, 상기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And generates the comm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ouch or the second touch is completed.
제 31항에 있어서,
특정 아이템에 대해 상기 제1 터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커맨드는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when the first touch is input for a specific item, the command is a command for the specific item.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및 상기 제2 터치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에 함께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first touch and the second touch are input together on one touch screen.
[청구항 6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0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마련된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제2 제스처에 기초한 제2 커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제1 제스처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1 커맨드를 참조하여 생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Wherein when the display device operates in cooper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 second command based on a second gest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external device is input to the touch screen, based on the first gesture input to the touch screen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And generates the first command with reference to the generated first command.
KR1020100005971A 2010-01-22 2010-01-22 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789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71A KR101789279B1 (en) 2010-01-22 2010-01-22 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971A KR101789279B1 (en) 2010-01-22 2010-01-22 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309A KR20110086309A (en) 2011-07-28
KR101789279B1 true KR101789279B1 (en) 2017-10-23

Family

ID=4492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971A KR101789279B1 (en) 2010-01-22 2010-01-22 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27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3755B (en) * 2012-09-29 2017-02-08 北京汇冠新技术股份有限公司 Touch recognizing device and recognizing method
KR102214974B1 (en) * 2013-08-29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fulfilling functions related to user input of note-taking pattern on lock screen
CN107608506B (en) * 2017-09-01 2021-01-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69B1 (en) 2006-06-26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method based on keypad touch and mobile device thereof
JP2008009668A (en) 2006-06-29 2008-01-17 Syn Sophia Inc Driving method and input method for touch panel
KR100914438B1 (en) * 2008-05-20 200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US20090327964A1 (en) * 2008-06-28 2009-12-31 Mouilleseaux Jean-Pierre M Moving radial men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469B1 (en) 2006-06-26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interface method based on keypad touch and mobile device thereof
JP2008009668A (en) 2006-06-29 2008-01-17 Syn Sophia Inc Driving method and input method for touch panel
KR100914438B1 (en) * 2008-05-20 200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US20090327964A1 (en) * 2008-06-28 2009-12-31 Mouilleseaux Jean-Pierre M Moving radial men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309A (en)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153B1 (en) User input device, method for recognizing user finger prints, and method for recognizing user touches using a transparent sensor grid panel which is able to recognize finger prints or mult-touch
US9977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EP26774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using a touch input
US10114485B2 (en) Keyboard and touchpad areas
US90155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06426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lative gesture recognition mode
KR1021580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layout using image recognition
KR20150081012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257473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10214358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30298162A1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KR20070006477A (en) Method for arranging contents menu variabl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BR1120130066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bject based on proximity to the input surface, associated item of information and distance from the object
KR2014012612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ock and unlock and method therefor
CN104571679B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033839A (en) Method??for user&#39;s??interface using one hand i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CN104298462A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intelligent terminal with one hand
KR20130054759A (en) Remote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KR1015192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content among devices using mobile device sensor
KR101630754B1 (en) Interface method and display device
KR101789279B1 (en) Command generat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10063985A (en) Display apparatus and touch sensing method
KR101369595B1 (en) A display apparatus providing user menu interface and a method of display appratus to provide user menu interface
KR101384493B1 (en) System for interworking and controlling devices and user device used in the same
KR102192496B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hanging between screen views of a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