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583B1 -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583B1
KR101786583B1 KR1020110012729A KR20110012729A KR101786583B1 KR 101786583 B1 KR101786583 B1 KR 101786583B1 KR 1020110012729 A KR1020110012729 A KR 1020110012729A KR 20110012729 A KR20110012729 A KR 20110012729A KR 101786583 B1 KR101786583 B1 KR 10178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ffic
information
traffic im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850A (ko
Inventor
김석우
김세훈
김의직
박진수
정한욱
허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1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583B1/ko
Priority to US13/396,276 priority patent/US9262916B2/en
Publication of KR2012009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01C21/3694Output thereof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는 복수의 차량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영역의 정보가 포함된 교통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의 차량을 검색하는 차량 위치 관리부, 상기 검색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전송부,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차량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로 교통 영상을 요청하는 교통 영상 요청부 및 상기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가 촬영한 교통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통 영상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TRAFFIC MOVING IMAGES}
본 발명은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원격지에서 특정 도로의 상황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도로 노면에 설치되어 차량 운행 상황을 감지하는 루프식 차량 검지기, 영상 촬영을 통해 도로 소통 상황을 파악하는 영상식 차량 감지기, CCTV, 긴급 전화와 같은 고속 도로 교통 관리 시스템(Freeway Traffic Management System;FTMS)의 운행 감지 장치로 감지되는 결과를 수집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에서 고속 도로 교통 관리 시스템(FTMS)은 한국 도로 공사가 고속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에게 정확한 도로 정보를 제공하고 교통 상황을 관리하기 위해 구축한 고속 도로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이다.
그러나, 루프식 검지기를 설치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루프 코일 검지기의 설치 시 토목 공사가 수반되며, 이에 따라 공사 기간 중 교통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정보 수집을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케이블을 설치하거나, KT 전용 회선을 임대해서 사용해야 한다.
이보다 진보된 방법으로는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 상황을 영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CCTV 카메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주로 자체망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데, 설치비 또는 회선 유지비용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이 운행 감지 장치들을 이용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속도 센서가 없는 장소에서는 정확한 차량의 속도 즉, 교통량 정보를 파악할 수 없고, 교통량의 감지를 위해서는 도로마다 많은 수의 속도 센서가 구비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통신 회선 수도 증가하여 설치비 및 통신 임대료에 대한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된다.
CCTV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 또한 CCTV 카메라가 설치된 지역에서만 교통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한국 등록 특허 제957,605호(도로 영상 제공 시스템)에서는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색하고, 검색된 차량 중 어느 하나에서 촬영한 영상을 구매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서비스 서버단에서 교통 영상 요청자의 주변에 존재하는 다수의 차량을 대상으로 교통 영상 구매 요청을 전송하고, 이 중, 가정 먼저 응답한 차량과 교통 영상 요청자와의 통신을 중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교통 영상 요청자가 정확히 원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차량으로부터 교통 영상을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교통 영상을 제공 받은 대가로 소정의 금액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교통 영상을 수신하면서 금전적 손해까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 또는 화면의 지도상에서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색하고, 검색된 차량에서 촬영한 교통 영상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통 영상 요청자가 교통 영상을 제공 받을 차량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는 복수의 차량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영역의 정보가 포함된 교통 영상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의 차량을 검색하는 차량 위치 관리부, 상기 검색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전송부,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차량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로 교통 영상을 요청하는 교통 영상 요청부 및 상기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가 촬영한 교통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통 영상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고객 단말기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의 지도 상에 상기 차량을 표시하는 차량 정보 매핑부,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차량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선택된 차량에서 촬영된 교통 영상을 요청하는 교통 영상 요청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교통 영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 또는 화면의 지도상에서 교통 영상 요청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검색된 차량 중 교통 영상 요청자가 차량을 직접 선택하여 교통 영상을 요청함으로써, 해당 위치의 교통 상황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소정의 대가를 지급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는 부가 수입을 창출할 수 있으며, 교통 영상 제공 및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 또는 교통 법규를 위반하는 차량에 대하여, 주변의 차량에서 촬영한 교통 영상을 유관 기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뉴스 보도용이나 증거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distan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distanc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에 표시되는 교통 영상 요청 관련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고객 단말기(100), 차량 단말기(200) 및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고객 단말기(100)는 고객 단말기(100)의 사용자(이하, ‘교통 영상 요청자’라 칭함)에게 교통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아이콘이나 메뉴 형태로 위치하여, 교통 영상 요청자가 해당 아이콘 또는 메뉴를 선택 시 상기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됨으로써 교통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고객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고객 단말기(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고객 단말기(100)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교통 영상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때, 고객 단말기(100)는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GPS 좌표 기반의 위치 정보, 셀 타워 기반의 위치 정보, 또는 와이파이 기반의 위치 정보 등)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가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고객 단말기(100)가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즉, 고객 단말기(100)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소지하고 사용하는 것이므로,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00)는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지도(이하, ‘지도’라 칭함)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값(예를 들어, GPS 좌표 등)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고객 단말기(100)가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때, 화면의 각 모서리를 이용(연결)한 영역(예를 들어, 모서리가 4개인 경우 사각형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객 단말기(100)는 화면의 모서리가 지도 상에 대응되는 각 지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좌표 값을 추출하고,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추출된 좌표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고객 단말기(100)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임의로 선택한 위치(지점)를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로 하고, 화면의 모서리가 지도 상에 대응되는 각 지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좌표 값을 추출한 후, 센터 포인트로부터 추출된 좌표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고객 단말기(100)가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 또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계산된 거리 값을 반경으로 하는 원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후, 고객 단말기(100)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 또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지도 상에서 선택한 특정 위치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이하, ‘차량 정보’라 칭함)를 수신하고, 수신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각 차량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정보’는 해당 차량의 식별자(이하, ‘아이디’라 칭함), 현재 위치 및 주행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교통 영상 요청자에 의해 지도 상의 특정 차량이 선택되면, 고객 단말기(100)는 선택된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가 포함된 교통 영상 요청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교통 영상 요청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참고로, 고객 단말기(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도 있고, 지도가 아닌 리스트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만일, 고객 단말기(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이 리스트의 형태로 표시되고, 교통 영상 요청자에 의해 리스트의 차량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고객 단말기(100)는 선택된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와 교통 영상 요청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 상에 차량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차량 중 어느 하나를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하여 교통 영상을 제공 받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고객 단말기(100)는 교통 영상 요청자로부터 지도 상에 표시된 차량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고, 선택된 차량의 아이디와 고객 단말기(100)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교통 영상 요청 정보’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후, 고객 단말기(100)는 요청된 교통 영상에 대하여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요청 수락’ 또는 ‘요청 거절’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만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요청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고객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선택된 차량에서 촬영된 교통 영상을 제공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참고로, 고객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에 연결되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고객 단말기(100)가 셋탑 박스와 같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경우, 셋탑 박스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해당 셋탑 박스의 아이디 또는 IP 주소와 매칭된 GPS 좌표나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단말기(200)는 교통 영상 제공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차량 단말기(200)의 화면 상에 아이콘이나 메뉴 형태로 위치하여, 운전자가 해당 아이콘 또는 메뉴를 선택 시 구동될 수 있다.
이하, 차량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2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 단말기(2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주행 속도 등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200)가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으로 표현하였지만, ‘차량의 아이디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므로, 차량의 아이디와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 그리고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차량 단말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기(200)는 고객 단말기(100)의 교통 영상 요청을 화면에 표시하고, 교통 영상 요청에 대한 운전자의 선택, 즉, 요청 수락 또는 요청 거절에 대한 선택 정보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만일, 교통 영상 요청에 대하여 운전자가 수락한 경우, 차량 단말기(2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이후, 촬영된 교통 영상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탑재할 수도 있고,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촬영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 운전자의 촬영 제어에 따라 차량 주변을 촬영할 수도 있다.
참고로, 차량 운전자의 교통 영상 제공 이력이 별도로 관리되는 경우, 운전자가 교통 영상 요청을 수락하면, 해당 운전자에게 소정의 대가(포인트나 적립금 등)를 지급하여, 적극적인 교통 영상 제공을 유도할 수 있다.
참고로, 차량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차량 주행 속도 등을 수신하여, 각 차량의 위치와 주행 속도 등을 파악한다.
또한,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값(예를 들어, GPS 좌표 등)이 포함된 교통 영상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
이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값을 이용(연결)하여 가상의 영역(예를 들어, 화면의 모서리가 4개인 경우, 사각형 형태의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검색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대신, 교통 영상 요청자가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 상에서 선택한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 또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특정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거리 값을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 영역을 형성하고, 형성된 가상의 원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색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교통 영상 요청 정보’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차량의 아이디와 고객 단말기(100)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교통 영상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200)로 교통 영상을 요청하고, 해당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요청 수락 또는 요청 거절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메시지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차량 단말기(200)에서 교통 영상 요청이 수락된 경우,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해당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촬영된 교통 영상을 수신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교통 영상 요청이 수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차량 단말기(200)에서 촬영한 교통 영상을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차량 단말기(200)에서 교통 영상 요청이 거절된 경우,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교통 영상 요청이 거절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전송부(110), 차량 정보 매핑부(120), 교통 영상 요청부(130), 요청 결과 수신부(140) 및 지도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위치 정보 전송부(110)는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GPS 좌표 기반의 위치 정보, 셀 타워 기반의 위치 정보 또는 와이파이 기반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전송부(110)는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값(예를 들어, GPS 좌표)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는, 고객 단말기(100)가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때, 화면의 각 모서리(즉, 4개의 모서리)를 연결한 사각형의 화면 영역(이하, ‘제 1 화면 영역’이라 칭함)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 정보 전송부(110)는 화면의 모서리가 지도 상에 대응되는 각 지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좌표 값을 추출하고,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추출된 좌표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한, 위치 정보 전송부(110)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지도 상에서 임의로 선택한 지점을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로 하고, 화면의 모서리가 지도 상에 대응되는 각 지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좌표 값을 추출한다.
이후, 위치 정보 전송부(110)는 추출된 좌표로부터 센터 포인트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함께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고객 단말기(100)가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때,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 또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지도 상에서 선택한 특정 위치로부터 상기 계산된 거리 값을 반경으로 하는 원 영역(이하, ‘제 2 화면 영역’이라 칭함)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함이다.
한편, 차량 정보 매핑부(120)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 1 화면 영역 또는 제 2 화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각 차량을 지도 저장부(140)에 저장된 지도와 매핑시켜 지도 상에 표시한다.
한편, 교통 영상 요청부(130)는 지도 상에 표시된 차량 중 교통 영상 요청자로부터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고, 선택된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와 고객 단말기(100)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교통 영상 요청 정보’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한편, 요청 결과 수신부(140)는 교통 영상 요청부(130)에서 요청한 교통 영상에 대하여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요청 수락 또는 요청 거절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지도 저장부(150)는 고객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거나, 고객 단말기(100)의 주변 또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특정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 지도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차량 단말기(200)는 위치 정보 전송부(210), 교통 영상 요청 처리부(220), 교통 영상 촬영부(230) 및 교통 영상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위치 정보 전송부(2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해당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차량 주행 속도 등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한편, 교통 영상 요청 처리부(220)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자의 교통 영상 요청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화면에 표시된 교통 영상 요청에 대한 운전자의 선택, 즉, ‘요청 수락’ 또는 ‘요청 거절’에 대한 선택 정보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한편, 교통 영상 촬영부(230)는 교통 영상 요청에 대하여 요청 수락이 선택된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교통 영상 전송부(240)로 전달한다.
또한, 교통 영상 촬영부(230)는 차량 운전자로부터 긴급 촬영 상황을 위한 특정 버튼이나 메뉴가 선택되면,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교통 영상 전송부(24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긴급 상황에서 촬영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긴급 촬영 상황은 차량의 주변에 교통 사고가 발생했거나, 특정 차량이 교통 법규를 위반한 경우일 수 있다.
긴급 촬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교통 영상 전송부(240)는 교통 영상 촬영부(230)에서 촬영된 차량의 주변 영상, 즉, 교통 영상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참고로, 교통 영상 촬영부(230)에서 전달된 교통 영상이 긴급 상황에서 촬영된 경우, 교통 영상 전송부(240)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와 미리 정해진 관련 기관의 서버로 해당 교통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차량 단말기(200)의 촬영 당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 차량 위치 관리부(320), 차량 정보 전송부(330), 교통 영상 요청 수신부(340), 교통 영상 요청부(350), 교통 영상 제공부(360) 및 긴급 신고 영상 관리부(37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위치 정보 수신부(310)는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해당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차량 주행 속도 등을 수신하여 차량 위치 관리부(320)로 전달한다.
또한, 위치 정보 수신부(31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값(예를 들어, GPS 좌표 등)이 포함된 교통 영상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차량 위치 관리부(320)로 전달한다.
또한, 위치 정보 수신부(31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수신하여 차량 위치 관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수신부(31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자가 화면 상의 지도에서 임의로 선택한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해당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수신하여 차량 위치 관리부(32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위치 관리부(320)는 위치에 대한 정보 수신부(31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해당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차량 주행 속도 등을 전달받고, 차량 단말기(200)가 탑재된 각 차량의 위치 및 주행 속도 등을 파악한다.
또한, 차량 위치 관리부(320)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값(예를 들어, GPS 좌표 등)을 전달 받고,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값을 연결한 영역, 즉, 제 1 화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차량 정보 전송부(330)로 전달한다.
또한, 차량 위치 관리부(320)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전달 받고,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해당 거리 값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 영역, 즉, 제 2 화면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차량 위치 관리부(320)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자가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 상에서 선택한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와 해당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전달 받아, 상기 선택된 특정 위치로부터 해당 거리 값을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 영역(설명의 편의 상, 제 2 화면 영역이라 칭함)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차량 위치 관리부(320)는 제 2 화면 영역내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색하여 차량 정보 전송부(3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정보 전송부(330)는 차량 위치 관리부(320)로부터, 제 1 화면 영역 또는 제 2 화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교통 영상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한편, 교통 영상 요청 수신부(34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와 고객 단말기(100)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교통 영상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교통 영상 요청부(350)로 전달한다.
한편, 교통 영상 요청부(350)는 교통 영상 요청 수신부(340)로부터 수신한 교통 영상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차량의 차량 단말기(200)로 교통 영상을 요청한다.
이후, 교통 영상 요청부(350)는 해당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 수락 또는 교통 영상 요청 거절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며, 이때, 교통 영상 요청이 수락된 경우, 해당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교통 영상과 교통 영상이 촬영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교통 영상 제공부(360)는 교통 영상 요청부(350)에서 수신한 교통 영상을 고객 단말기(100)로 제공하며, 교통 영상에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이후, 교통 영상 제공부(360)는 교통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한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와 위치에 대한 정보, 해당 차량 단말기에서 촬영한 교통 영상의 아이디, 그리고 교통 영상이 촬영된 시간을 매핑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5분) 동안 교통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후, 교통 영상이 저장되는 미리 정해진 시간 범위 이내에, 해당 교통 영상을 제공했던 차량 단말기(200)가 다른 교통 영상 요청자에 의해 다시 선택된 경우, 교통 영상 제공부(360)는 기 저장된 교통 영상을 상기 다른 교통 영상 요청자의 고객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영상 요청자 A가 11번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 A를 선택하여 오전 9시 30분에 교통 영상 A를 제공받은 경우, 교통 영상 제공부(360)는 차량 A와 교통 영상 A, 11번 도로 및 9시 30분이라는 정보를 매핑하여 5분 동안 저장소에 저장한다.
이후, 9시 32분에, 교통 영상 요청자 B가 11번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 A를 선택하여 교통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 교통 영상 제공부(360)는 차량 A로 교통 영상을 요청하고, 요청이 수락된 경우, 기 저장된 교통 영상 A를 교통 영상 요청자 B로 제공할 수 있다.
만일, 9시 40분에 교통 영상 요청자 C가 11번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 A를 선택하여 교통 영상을 요청하는 경우는, 차량 A로부터 9시 40분에 촬영된 새로운 교통 영상을 수신하여 교통 영상 요청자 C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긴급 신고 영상 관리부(370)는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긴급 신고 요청이 수신되면, 긴급 신고를 요청한 차량 단말기(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신고를 요청한 차량 단말기(200)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지역 경찰청 서버나 도로 공사 서버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관련 기관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영상 제공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5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해당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 위치에 대한 정보, 차량 주행 속도 등을 수신하여, 각 차량의 위치와 주행 속도 등을 파악한다(S501).
단계 S501 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정보(예를 들어, GPS 좌표 등)를 포함하는 교통 영상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S502).
참고로,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 상에서 선택한 특정 지점의 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 값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S502 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의 제 1 화면 영역 또는 제 2 화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03).
단계 S503 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504).
여기에서 ‘교통 영상 요청 정보’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차량의 아이디와 고객 단말기(100)의 아이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4 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교통 영상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200)로 교통 영상을 요청한다(S505).
단계 S505 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해당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 수락 또는 교통 영상 요청 거절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선택된 차량의 운전자가 교통 영상 요청에 대하여 교통 영상 요청 수락을 선택한 경우,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해당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촬영된 교통 영상을 함께 수신한다(S506).
단계 S506 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교통 영상 요청자의 고객 단말기(100)로 교통 영상을 전송한다(S507).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가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교통 영상 서비스를 요청하면,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의 주변에 존재하는(또는 주변을 주행 중인) 차량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를 지도의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로 하고,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의 좌표 값(예를 들어, GPS 좌표 등)에 기초하여, 각 좌표 값을 연결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들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이 사각형인 경우, 고객 단말기(100)는 지도 상에서 화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A, B, C 및 D)의 GPS 좌표 값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고객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를 지도의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4개의 GPS 좌표 값을 연결하여 가상의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상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가 차량 단말기(2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해당 차량 단말기(200)의 아이디,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주행 속도 등을 수신하여, 각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distance)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 단말기(100)가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교통 영상 서비스를 요청하면,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기(100)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distance) 값을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들을 검색할 수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에서 화면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지점까지의 거리(distance) 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 상에서 선택한 특정 지점을 화면(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지도)의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로 하고, 센터 포인트로부터 화면의 모서리 D에 대한 좌표까지의 거리 값을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 영역을 설정한다.
이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는 설정된 가상의 원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들을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영상 요청자의 현재 위치는 서울 강남 신사동이지만, 경부 고속 도로의 교통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 상에서 경부 고속 도로의 특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에는 고객 단말기(100)의 지도 상에 교통 영상 요청자(710)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도 7b에서, 고객 단말기(100)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교통 영상을 요청하고,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자(710)의 주변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상에 각 차량을 표시하였다.
도 7c는 지도 상에 표시된 차량 중 어느 하나(720)를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교통 영상 요청 관련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상에 표시된 차량 중 어느 하나를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하면, 고객 단말기(1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통 영상 요청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한다.
교통 영상 요청 인터페이스는,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선택한 차량의 위치와 주행 속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교통 영상 요청자가 교통 영상 요청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고객 단말기(100)는 선택된 차량의 아이디와 고객 단말기(100)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교통 영상 요청 정보’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8b는 고객 단말기(100)가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교통 영상 요청 수락 메시지와 교통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교통 영상 요청자의 교통 영상 요청을 화면에 표시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교통 영상 요청자로부터 교통 영상을 요청 받은 차량의 운전자는 교통 영상 요청에 대한 승인 버튼이나 거절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해당 차량의 운전자가 요청 승인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차량 단말기(2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차량 주변을 촬영하고, 이후, 촬영된 교통 영상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단말기(2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차량 단말기(200)를 탑재한 차량의 주변에 교통 사고 또는 화재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 또는 특정 차량이 교통 법규를 위반한 경우,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된 특정 버튼(1010)을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특정 버튼이 선택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차량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되고, 차량의 운전자가 ‘신고의 종류(교통 사고, 화재 사고, 전기 사고, 위반 신고 및 고립 등)’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이미지 전송 버튼(1020)을 선택하면,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를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가 동영상 전송 버튼(1030)을 선택한 경우, 차량 단말기(200)는 차량의 주변을 촬영한 동영상을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단말기(200)는 전송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함께, 해당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긴급 상황에서 촬영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예를 들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특정 코드 등), 차량의 운전자가 선택한 신고의 종류에 대한 정보 및 차량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교통 영상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객 단말기
110 : 위치 정보 전송부
120 : 차량 정보 매핑부
130 : 교통 영상 요청부
140 : 요청 결과 수신부
150 : 지도 저장부
200 : 차량 단말기
210 : 위치 정보 전송부
220 : 교통 영상 요청 처리부
230 : 교통 영상 촬영부
240 : 교통 영상 전송부
300 : 교통 영상 제공 서버
310 : 위치 정보 수신부
320 : 차량 위치 관리부
330 : 차량 정보 전송부
340 : 교통 영상 요청 수신부
350 : 교통 영상 요청 전송부
360 : 교통 영상 제공부
370 : 긴급 신고 영상 관리부

Claims (11)

  1. 교통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 단말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영역의 정보가 포함된 교통 영상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각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영역 내의 차량을 검색하는 차량 위치 관리부,
    상기 검색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전송부,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부터 특정 차량에 대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로 교통 영상을 요청하는 교통 영상 요청부 및
    상기 선택된 차량의 차량 단말기가 촬영한 교통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통 영상 전송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는 상기 차량의 검색을 위해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는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거리 값은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에 의해 화면의 모서리가 지도 상에 대응되는 각 지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좌표 값으로 추출되면,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추출된 좌표 값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인, 교통 영상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영상 전송부는 상기 수신된 교통 영상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저장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 2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특정 차량에 대한 선택 정보가 다시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교통 영상을 상기 제 2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통 영상 서비스 제공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위치 관리부는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가상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색하는, 교통 영상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는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특정 영역의 정보는 교통 영상 요청자에 의해 상기 제 1 고객 단말기의 지도 상에서 선택된 위치의 좌표 값 및 상기 선택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더 포함하는 것인, 교통 영상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위치 관리부는 상기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가상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을 검색하는, 교통 영상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긴급 신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긴급 신고를 요청한 차량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긴급 신고를 요청한 차량 단말기에서 촬영한 교통 영상을 수신하여 미리 정해진 서버로 전송하는 긴급 신고 영상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교통 영상 서비스 제공 장치.
  8.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고객 단말기에 있어서,
    교통 영상 요청자가 설정한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존재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의 지도 상에 상기 차량을 표시하는 차량 정보 매핑부,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차량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선택된 차량에서 촬영된 교통 영상을 요청하는 교통 영상 요청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교통 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교통 영상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차량의 검색을 위한 상기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포함하되,
    상기 거리 값은 상기 고객 단말기의 화면의 모서리가 지도 상에 대응되는 각 지점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좌표 값으로 추출되면, 상기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추출된 좌표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인, 고객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교통 영상 요청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 영역인 것인, 고객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교통 영상 요청자에 의해 상기 지도 상에서 선택된 위치의 좌표 및 상기 선택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를 나타내는 거리(distance) 값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가상의 원 영역인 것인, 고객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식별자, 현재 위치 및 주행 속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객 단말기.
KR1020110012729A 2011-02-14 2011-02-14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KR10178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29A KR101786583B1 (ko) 2011-02-14 2011-02-14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US13/396,276 US9262916B2 (en) 2011-02-14 2012-02-14 Server for providing traffic image to user device, and the us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29A KR101786583B1 (ko) 2011-02-14 2011-02-14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850A KR20120092850A (ko) 2012-08-22
KR101786583B1 true KR101786583B1 (ko) 2017-10-19

Family

ID=4671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729A KR101786583B1 (ko) 2011-02-14 2011-02-14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2916B2 (ko)
KR (1) KR101786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972A (ko) 2020-03-12 2020-04-01 이도훈 도로 좌표를 이용한 선택적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38893A (ko) 2020-01-17 2020-04-14 이도훈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76235A1 (en) * 2011-01-11 2012-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emergency warning system and method
KR20130082685A (ko) 2011-12-14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머신을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84987A1 (en) * 2012-01-13 2013-07-18 Cartasite, Inc. Generation of proximity information
US9117371B2 (en) * 2012-06-22 2015-08-2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Mobile autonomous surveillance
US20140047021A1 (en) * 2012-08-10 2014-02-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CN104050825B (zh) * 2013-03-13 2017-09-15 厦门歌乐电子企业有限公司 搭载于车辆上的终端装置、车辆及水坑路面的提醒方法
KR101561628B1 (ko) * 2013-12-30 2015-10-20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글래스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장치 및 검색 방법
US9128113B2 (en) * 2014-01-27 2015-09-0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orientation indicator
US9302781B2 (en) * 2014-02-25 2016-04-05 Astronics Advanced Electronic Systems Corp. Apparatus and method to monitor the occupancy of seating
US10952054B2 (en) * 2015-10-09 2021-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based content sharing
EP3182686B1 (en) * 2015-12-18 2019-11-06 Airbus Operations GmbH Camera capture posting
US10218753B2 (en) * 2016-05-27 2019-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ideo activation button
US11589080B2 (en) * 2017-08-08 2023-02-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ed on-demand localized video sharing
KR102149987B1 (ko) * 2020-05-14 2020-08-31 주식회사 씨에이에스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 사고 처리 현황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2150005B1 (ko) * 2020-05-14 2020-08-31 주식회사 씨에이에스 셀 브로드캐스팅 서비스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교통 영상 중개 장치 및 방법
CN112432637B (zh) * 2020-11-30 2023-04-07 浙江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定位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8866A (ja) 2002-07-08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084461A (ja) * 2004-08-20 2006-03-30 Denso Corp 画像取得システム
JP2009289227A (ja) * 2008-06-02 2009-12-10 Clarion Co Ltd 道路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851B1 (en) * 1999-12-15 2004-11-02 Vert, Inc. Apparatuse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vehicles
KR20030070010A (ko) * 2000-10-13 2003-08-27 팩스그리드 텔레메트릭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자동차 원격측정전송 프로토콜
US20030212567A1 (en) * 2002-05-07 2003-11-13 Hitachi Ltd. Witness information service with image capturing and sharing
US8825356B2 (en) * 2003-05-09 2014-09-02 Dimitri Vorona System for transmitting, processing, receiving, and displaying traffic information
US7680594B2 (en) * 2004-04-06 2010-03-16 Honda Motor Co., Ltd.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a vehicle navigation system
JP4639921B2 (ja) * 2004-06-11 2011-0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JP2007013486A (ja) * 2005-06-29 2007-01-18 Kyocera Corp 画像送信要求装置、及びレコーダシステム
US7554440B2 (en) * 2006-07-25 2009-06-30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ravel conditions
TWI290619B (en) * 2006-11-06 2007-12-01 Sin Etke Technology Co Ltd Vehicle dynamic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EP2093539A4 (en) * 2006-12-15 2017-04-05 JVC KENWOOD Corporation Mobile bod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for navigation system, and mobile body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for navigation system
KR100957605B1 (ko) 2008-03-25 2010-05-13 박민홍 도로 영상 제공 시스템
JP4461190B1 (ja) * 2009-02-24 2010-05-1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ナビゲーション画像表示方法
US8885498B2 (en) * 2010-12-23 2014-11-11 Deutsche Telekom Ag Network traffic aggregation method and device for in-vehicle telematics systems using tethering and peer-to-peer networking of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8866A (ja) 2002-07-08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084461A (ja) * 2004-08-20 2006-03-30 Denso Corp 画像取得システム
JP2009289227A (ja) * 2008-06-02 2009-12-10 Clarion Co Ltd 道路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端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893A (ko) 2020-01-17 2020-04-14 이도훈 전달 방향과 거리를 특정하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34972A (ko) 2020-03-12 2020-04-01 이도훈 도로 좌표를 이용한 선택적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850A (ko) 2012-08-22
US9262916B2 (en) 2016-02-16
US20120221677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583B1 (ko) 교통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
US11388549B2 (en) Techniques for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utilizing a collaborative database
CN105849790B (zh) 一种路况信息获取方法
US8682570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mplementing condition alert services
US20040105005A1 (en) Networked camera system and a monitoring method thereof
US74922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of parking information
US20130257631A1 (en) Automated Driver Alert System
JP6047910B2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センタ
US20080172475A1 (en) Congestion information delivery system, mobile terminal, server, method of conges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5210713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およびこれを用いたクラウド型道路情報等運用システム
JP2002032897A (ja) タクシーの配車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623102B1 (ko) 영상 요약데이터 태깅 및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 차량용 카메라 기술과 그 장치를 이용한 정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66132B1 (ko) 카메라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463658B2 (en) Camera system
JP2004287500A (ja) 道路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957605B1 (ko) 도로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93650B1 (ko)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98075A1 (en) Pairing transport service users and drivers using animation
US20190289357A1 (en) Camera system
JP2001175998A (ja) 駐車場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4089663A (ja) 運転支援システム、投稿端末、報知端末、サーバー用プログラム、投稿用プログラム、及び報知用プログラム
JP7182121B2 (ja) 画像収集システム
KR102088099B1 (ko)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블랙박스 영상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0441A (ko) 지리정보시스템과 영상검지시스템을 연계한 실시간교통정보 관리시스템
Heo et al. User Request Traffic Condition Providing System for using Loca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