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608B1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pth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pth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608B1
KR101783608B1 KR1020100122270A KR20100122270A KR101783608B1 KR 101783608 B1 KR101783608 B1 KR 101783608B1 KR 1020100122270 A KR1020100122270 A KR 1020100122270A KR 20100122270 A KR20100122270 A KR 20100122270A KR 101783608 B1 KR101783608 B1 KR 10178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eye view
image
view image
stereoscopic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0657A (en
Inventor
고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608B1/en
Publication of KR2012006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6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입체감 조정 방법을 개시한다. 수신부는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와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입체감 설정 정보 및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한다. 영상 가공부는 결정된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한다.An electronic device and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method are disclosed. The receiving unit receives image data including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nd the genre of the image data. The image processing unit reconstructs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Figure R1020100122270
Figure R1020100122270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입체감 조정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pth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stereoscopic effect adjusting method,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입체감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안식 입체영상 기술 또는 다안식 입체영상 기술에 있어서 입체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입체감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stereoscopic effect adjus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stereoscopic effect adjusting method capable of adjusting a stereoscopic effect of a stereoscopic image in a two-eye stereoscopic image technique or a multi-view stereoscopic image technique.

상용화된 3D 컨텐츠 및 3D 방송의 경우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한 방식이 주를 이룬다. 양안시차는 사람이 두 눈을 이용하여 하나의 피사체를 볼 때, 왼쪽 눈으로 보는 영상과 오른쪽 눈으로 보는 영상 사이에 두 눈의 간격에 해당하는 만큼 수평으로 존재하는 위치 차이를 말한다. 따라서 사람의 두 눈에 보이는 실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두 눈에 입력할 수 있다면 영상을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실제 피사체를 양안 카메라로 찍어 영상을 얻거나 CG(Computer Graphic) 피사체의 경우 양안 카메라 형태로 사상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사용자의 양쪽 눈에 보여줌으로써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mmercialization of 3D content and 3D broadcasting are mainly based on binocular disparity. The binocular parallax is a posi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seen by the left eye and the image seen by the right eye when the person looks at a single object using two eyes. Therefore, if the same image as the actual image seen in two eyes of the person can be input into the two eyes, the image can be sensed in three dimensions. Accordingly, a stereoscopic effect can be provided by capturing an actual subject with a binocular camera to obtain an image, mapping the image to a binocular camera in the case of a CG (Computer Graphic) subject,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image to both eyes of the user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체영상 컨텐츠, 사용자 및 방송 디스플레이 환경에 따라 맞춤형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입체감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stereoscopic effect adjusting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 custom stereoscopic effect according to a stereoscopic image content, a user, and a broadcasting display environment.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조정 방법은,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와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입체감 설정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method comprising: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generating a stereoscopic effect image based on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nd a genre of the image data; Determining the adjustment value, and reconstructing the left-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상기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와 연관된 입체감 조절값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may include a step of searching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associated with the genre of the image data in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상기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입체영상 조절값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변위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변위값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변위값이 변경되도록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nstructing step may include calculat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changing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and calculat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And reconstructing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so that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are changed.

상기 산출된 변위값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영상 조절값 및 상기 산출된 변위값의 제곱값을 기초로 상기 변경된 변위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hanging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may include calculating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and the squared value of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상기 재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에 어안렌즈 이펙트를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construc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a fisheye lens effect to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상기 입체감 조절 방법은,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상기 입체감 조정 방법은,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및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nsing a user action reque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setting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nd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user action, And generating a signal for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n interface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n area where the image data is displayed. Here, the screen may further display an indication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상기 입체감 조정 방법은,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method may further comprise reconstructing the left-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included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상기 입체감 조정 방법은,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와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입체감 설정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영상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three-dimensional sense setting information, And a video processing unit for reconstructing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와 연관된 입체감 조절값을 검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retrieve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associated with a genre of the image data from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상기 영상 가공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변위값을 산출하는 변위 산출부, 상기 입체영상 조절값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변위값을 변경하는 변위 변경부, 및 상기 변경된 변위값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변위값이 변경되도록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영상 재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 변경부는, 상기 입체영상 조절값 및 상기 산출된 변위값의 제곱값을 기초로 상기 변경된 변위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cement calculating unit for calculat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a displacement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so that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s changed. Here, the displacement changing unit may calculate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based on the cubic image adjustment value and the squared value of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상기 영상 가공부는,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에 어안렌즈 이펙트를 줄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give a fisheye lens effect to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조치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및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user action reque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setting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and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user action, :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n area in which image data is displayed. Here, the screen may further display a display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상기 영상 가공부는,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may reconstruct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included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상기 제어부는,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to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입체감 조정 방법에 의하면, 시청자는 설정 정보에 따라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어, 시청자 개개인의 편차에 따라 나타나는 입체 피로감(3D Fatigue)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장르에 따라 입체감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어, 시청자에게 입체영상의 장르에 따라 맞춤형 입체감을 줄 수 있으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어, 입체영상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eoscopic effec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thereby minimizing the stereoscopic effect (3D fatigue) caused by the variation of individual viewers. And the stereoscopic effect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so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tereoscopic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신호 처리부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조정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양안시차 방식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양안시차의 크기에 따른 물체의 거리감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영상의 입체감을 크게 표현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영상의 입체감을 작게 표현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일실시예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영상의 입체감을 크게 표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a에 도시된 영상의 입체감을 작게 표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오브젝트의 변위가 변환된 후에 오브젝트의 좌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입체감을 확대시키는 어안렌즈 이펙트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영상에 도 14에 도시된 어안렌즈 이펙트가 적용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입체감을 축소시키는 어안렌즈 이펙트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영상에 도 16에 도시된 어안렌즈 이펙트가 적용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a 내지 도 18c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된 도면,
도 19는 입체감 정보 디스크립터의 신택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effect_status 필드가 갖는 값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테이블, 그리고
도 21은 rating 필드가 갖는 값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테이블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ignal processing unit,
FIG. 3A and FIG. 3B are flowcharts show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nocular disparity system,
5 is a view showing a distance feeling of an object according to the size of a binocular parallax,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largely expressing a stereoscopic effect of an imag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rendering a three-dimensional sensation of a picture small,
FIGS.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screen on which an image of an embodiment is displayed;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that largely represents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shown in FIG. 8A,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in which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image shown in FIG.
11 is a diagram showing coordinates of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FIG. 12 is a diagram showing the coordinates of an object after the displacement of the object shown in FIG. 11 is transformed;
13 is a view showing a screen on which an image of another embodiment is displayed,
14 is a view showing a fisheye lens effect for enlarg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FIG. 15 is a view showing a screen to which the fisheye lens effect shown in FIG. 14 is applied to the image shown in FIG. 13,
16 is a view showing a fisheye lens effect for reducing stereoscopic effect,
FIG. 17 is a view showing a screen to which the fisheye lens effect shown in FIG. 16 is applied to the image shown in FIG. 13,
18A to 18C show an embodiment of a screen for adjusting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19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yntax of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descriptor,
20 is a table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values of the effect_status field, and
FIG. 21 is a table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values held in the rating field.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the drawings are describ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and the technical ideas and the cor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Although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rather than the name of the term, an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수신부(101), 신호 처리부(140), 디스플레이(150), 음성 출력부(160), 입력장치(170), 저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1, an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unit 101, a signal processing unit 140, a display 150, a voice output unit 160, an input device 170, a storage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90.

수신부(101)는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와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부(101)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방송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스테레오 시점 영상 또는 다시점 영상일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01 receives image data including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The receiving unit 101 may further receive broadcast information on the video data. The image data may be a stereo view image or a multi-view image. That is, the image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at least one right eye view image data.

수신부(101)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이동통신부(1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외부 신호 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101 may include a tuner unit 110, a demodulation unit 120, a mobile communication unit 115, a network interface unit 130, and an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30.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unit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convert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Conversion.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에는, 복조부(120)는 8-VSB(8-Vestigi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0 is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ion unit 120 performs 8-VSB (8-Vestigial Side Band) demodula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0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DDMA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demodulation.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20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to perform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Solomon decoding can be performed.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be input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이동통신부(115)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15 transmits / receives a radio signal to /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외부 신호 수신부(135)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켐코더, 컴퓨터(노트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의미할 수 있고, USB 메모리 또는 USB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외부 신호 수신부(135)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The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35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external device may refer to various types of video or audio output devices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lu-ray, a game device,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control the display of the video signal and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35 and can store or use the data signal.

또한 외부 장치는 촬영 장치(90)일 수 있다. 촬영 장치(90)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90)는 사람을 촬상할 수 있다. 촬영 장치(90)는 사람의 손 영역을 인식하여 손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줌인하여 촬상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된 손 모양은 공간 제스처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촬상된 손 모양을 공간 제스처로 인식하고 인식된 공간 제스처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제스처는 하나 이상의 특정의 컴퓨팅 동작에 매핑되는, 촬영 장치(9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프레임 또는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may also be a photographing device 90. [ The photographing apparatus 9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90 can photograph a pers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90 recognizes a hand region of a person, focuses on the hand region, and can zoom in to pick up the image. The hand shape captured here can be recognized as a space gesture. That is, the control unit 190 can execute the instructions for recognizing the captured hand shape as a space gesture and performing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recognized space gesture. Where a spatial gesture can be defined as a gesture recognized from an image frame or image received from the imaging device 90, which is mapped to one or more specific computing operations.

촬영 장치(90)는 Depth 카메라일 수 있다. 촬영 장치(90)는 시청자의 위치를 촬상할 수 있고, 촬상한 시청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신된 시청자의 위치를 지시하는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apparatus 90 may be a Depth camera. The photographing apparatus 90 can photograph the position of the viewer and can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viewer who captured it to the control unit 190. [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received viewer.

일부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는 촬영 장치(90)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device 90.

신호처리부(140)는 복조부(210)가 출력한 스트림 신호를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에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5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60)로 음향(161)을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40)는 이동통신부(1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외부 신호 수신부(135)로부터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demultiplexes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210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demultiplexed signal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150 and outputs the image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And outputs the sound 161.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may receive video data, audio data, and broadcast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15,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and the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35.

신호 처리부(140)는 제어부(190)로부터 입체감 조절값 및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40)는 수신한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40)는 제어부(190)가 결정한 방법으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고, 직접 결정한 방법으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90 indicating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and the image data.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may reconstruct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of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received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Her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can reconstruct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according to a method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90, and can reconstruct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by a directly determined method.

일부 실시예로, 신호 처리부(140)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변위값을 산출하고, 입체영상 조절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변위값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40)는 변경된 변위값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변위값이 변경되도록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may calculate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and change the displacement value calculated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may reconstruct the left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view image data so that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일부 실시예로, 신호 처리부(140)는,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에 어안렌즈 이펙트를 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may give a fisheye lens effect to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디스플레이(150)는 영상(152)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영상(152)은 신호 처리부(140)가 재구성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일 수 있다.The display 150 displays an image 152. Here, the image 152 may be one in which image data reconstruct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is displayed.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9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간의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15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53)는 프로그램, 파일, 및 동작 옵션들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현한다. 그래픽 이미지는 윈도우, 필드, 대화상자, 메뉴, 아이콘, 버튼, 커서 및 스크롤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미리 정의된 레이아웃으로 정렬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특정의 조치를 돕기 위해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동작 동안에, 사용자는 여러 가지 그래픽 이미지와 연관된 기능 및 작업을 제기하기 위해 그 이미지를 선택 및 활성화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윈도우의 열기, 닫기, 최소화, 또는 최대화를 행하는 버튼,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15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190. [ Display 150 may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153 that provides an easy to use interface between a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or operating system. The GUI 153 represents a program, a file, and operation options in the form of a graphic image. A graphical image may include a window, a field, a dialog box, a menu, an icon, a button, a cursor, a scroll bar, and the like. This image can be arranged in a predefined layout, or it can be dynamically created to help the user take the specific action taken. During operation, the user may select and activate the image to raise the functions and tasks associated with the various graphic images. By way of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 button to open, close, minimize, or maximize a window, or an icon to activate a particular program.

일부 실시예로, 디스플레이(150)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및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isplay 150 may display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setting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and a screen including an area in which image data is displayed. Here, the screen may further display a display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또한 디스플레이(150)는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에 따라 재구성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 150 can display the reconstructed left-eye view image data and right-eye view image data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음성 출력부(160)는 신호 처리부(140) 및 제어부(19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데이터가 재생된 음향(161)을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60 may receive the audio data from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90 and may output the audio 161 on which the received audio data is reproduced.

입력장치(170)는 디스플레이(150) 상에 또는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150)와 일체로 되어 있거나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150)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GUI(153)를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지 제어될 객체 상에 그의 손가락을 올려 놓을 수 있다. 터치패드에서는, 이것과 같은 일대일 관계가 없다.The input device 170 may be a touch screen disposed on or in front of the display 150. The touch screen may be integral with the display 150 or may be a separate component. As the touch scree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150, the user can manipulate the GUI 153 directly. For example, a user may simply place his finger on an object to be controlled. On the touchpad, there is no one-to-one relationship like this.

터치패드에 있어서, 터치패드는 디스플레이(150)로부터 떨어져 일반적으로 다른 평면에 놓여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0)는 일반적으로 수직 평면에 위치해 있고, 터치패드는 일반적으로 수평 평면에 위치해 있다. 이것은 그의 사용을 덜 직관적이게 하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과 비교할 때 더 어렵다. 터치 스크린인 것에 부가하여, 입력장치(170)는 다중점 입력장치일 수 있다.In the touchpad, the touchpad is generally away from the display 150 and lies in a different plane. For example, the display 150 is generally located in a vertical plane, and the touchpad is generally located in a horizontal plane. This makes his use less intuitive and therefore more difficult when compared to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o being a touch screen, the input device 170 may be a multipoint input device.

저장부(180)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예로서, 저장부(18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전자 장치(10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한다.The storage 180 provides a location for storing program codes and data typically used by the electronic device 100. By way of example, the storage unit 180 may be implemented as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hard disk drive, or the like. The program code and data may reside on a remov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loaded or installed onto the electronic device 100 as needed. Here, the removable storage medium includes a CD-ROM, a PC-CARD, a memory card, a floppy disk, a magnetic tape, and a network component.

저장부(180)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입체감 설정 정보는 컨텐츠의 장르를 지시하는 장르 정보, 상기 컨텐츠의 장르별로 설정된 입체감 조절값 및 상기 장르 정보와 입체감 조절값의 연관시키는 연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관 정보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명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180 stores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Here,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genre information indicating a genre of a content,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set for each genre of the content, and association information associating the genre information and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Here, the association information may be a table name of a relational database.

또한 저장부(180)는 장르별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는 스테레오 시점 영상 또는 다시점 영상일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80 stores image data for each genre. Here, the image data may be a stereo view image or a multi-view image. That is, the image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at least one right eye view image data.

제어부(190)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전자 장치(10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18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190)는 전자 장치(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단일 칩, 다수의 칩, 또는 다수의 전기 부품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또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단일 목적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 기타 등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아키텍처가 제어부(19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executes an instruction and performs an operation associa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0. For example, using the instructions retrieved from storage 180, controller 190 may control input and output between components of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reception and processing of data. The control unit 190 may be implemented on a single chip, a plurality of chips, or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Various architectures may be used for the controller 190, including, for example, a dedicated or embedded processor, a single purpose processor, a controller, an ASIC,

제어부(190)는 운영 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19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180) 내에 존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executes the computer code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ystem and generates and uses data. The operating system is generally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 the operating system may be a Windows-based OS, Unix, Linux, Palm OS, DOS, Android and Macintosh. The operating system, other computer code, and data may reside within the storage 180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ler 190.

제어부(190)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인식하고 인식한 사용자 조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조치는 전자 장치 또는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면상의 소정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촬상 장치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제스처의 실시 및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수신부(135)는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에 대한 신호를 리모컨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an recognize the user action and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100 based on the recognized user action. Wherein the user action comprises selecting a physical button on the electronic device or remote control, performing a predetermined gesture on the touch screen display surface or selecting a soft button, performing a predetermined gesture recognized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imaging device, And may include the implementation of certain vocalizations that are recognized. The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35 can receive a signal for a user action for selecting a physical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through a remote controller.

제스처는 터치 제스처와 공간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제스처는 하나 이상의 특정의 컴퓨팅 동작에 매핑되는, 입력장치(170)와의 양식화된 상호작용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터치 제스처는 여러 가지 손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제스처는 스타일러스로 행해질 수 있다.Gestures can include touch gestures and space gestures. The touch gesture can be defined as a stylized interaction with the input device 170, which is mapped to one or more specific computing operations. The touch gesture can be done through various hands, and more particularly through finger movements.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gesture can be done with a stylus.

입력장치(170)는 제스처(171)를 수신하고, 제어부(190)는 제스처(171)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게다가, 저장부(180)는 운영 체제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일 수 있는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1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181)은 일반적으로 제스처(171)의 발생을 인식하고 그 제스처(171) 및/또는 제스처(171)에 응답하여 무슨 조치(들)이 취해져야 하는지를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에게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를 포함한다.The input device 170 receives the gesture 171 and the control 190 executes the instructions that perform the actions associated with the gesture 171. In addition, the storage 180 may include a gesture operating program 181 that may be an operating system or part of a separate application. Gesture activation program 181 generally includes a series of instructions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gestures 171 and to inform one or more software agents of what action (s) should be taken in response to gestures 171 and / or gestures 171 . ≪ / RTI >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제스처를 행할 때, 입력장치(170)는 제스처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저장부(180)로부터의 명령어, 보다 상세하게는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181)을 사용하여, 제어부(190)는 제스처(171)를 해석하고 저장부(180), 디스플레이(150), 음성 출력부(160), 신호 처리부(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입력장치(170) 등의 전자 장치(100)의 서로 다른 컴포넌트를 제어한다. 제스처(171)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150) 상에 나타난 GUI 객체를 수정하며, 저장부(18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신호 처리부(140)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명령은 줌잉, 패닝, 스크롤링, 페이지 넘김, 회전, 크기조정, 영상 채널 변경, 컨텐츠 수신, 인터넷 접속 등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명령은 또한 특정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것, 파일 또는 문서를 여는 것, 메뉴를 보는 것, 선택을 하는 것,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 인터넷 사이트 시스템에 로그온하는 것, 인가된 개인에게 컴퓨터 시스템의 제한된 영역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것, 바탕화면의 사용자 선호 배열과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것, 및/또는 기타 등등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When the user performs one or more gestures, the input device 170 delivers the gest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90. [ The control unit 190 analyzes the gesture 171 using the instruction from the storage unit 180 and more specifically the gesture operation program 181 and controls the storage unit 180, the display 150, the audio output unit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and the input device 170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sture 171 performs operations in the applic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modifies the GUI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150, modifies th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80, ), And can be identified as an instruction to perform an operation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 By way of example, these commands may be associated with zooming, panning, scrolling, turning pages, rotating, resizing, changing video channels, receiving content, accessing the Internet, and so on. As a further example, the command may also be used to activate a particular program, to open a file or document, to view a menu, to make a selection, to execute a command, to log onto an Internet site system, Allowing access to a limited area of the computer system, loading a user profile associated with the user preference array of the desktop, and / or the like.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파라미터(예를 들어,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이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넘을 때, 다운 이벤트가 일어나고, 이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넘고 있는 동안에 손가락의 대응하는 커서 위치가 위치 A로부터 위치 B로 이동할 때, 드래깅 이벤트가 일어나며, 이 파라미터가 문턱값 레벨 아래로 떨어질 때 업 이벤트가 일어난다.In some embodiments,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parameter (e.g., capacitance) between the finger and the touch screen display, when the parameter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 down event occurs and the parameter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 dragging event occurs when the corresponding cursor position of the finger moves from position A to position B and an up event occurs when this parameter falls below the threshold level.

제어부(190)는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어부(190)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감 설정 정보는 감지된 사용자 조치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입체감 설정 정보는 전자 장치(100)의 제작시에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설치시 설정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Here,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r action, and may be set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Further,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t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et at the time of software install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and updated at the time of software upd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일부 실시예로, 제어부(190)는 입체감 설정 정보 및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와 연관된 입체감 조절값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에서 입체감 조절값을 검색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nd the genre of the image data. Here, the control unit 190 may retriev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associated with the genre of the image data from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lso, the controller 190 may retriev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from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using the association information.

일부 실시예로, 제어부(190)는 시청자의 위치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 시청자의 위치가 근접한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입체감이 낮쳐 지도록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고, 시청자의 위치가 멀리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입체감이 높아지도록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190 may determine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ewer. When the position of the viewer is close, the controller 190 can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so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is lowered. If the position of the viewer is far away, the control unit 190 can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

일부 실시예로, 제어부(190)는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제어부(190)는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오브젝트 변위 변경 방법 및 어안렌즈 이펙트 중의 하나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an determine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based on a user command. Here,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may be one of the object displacement changing method and the fisheye lens effect.

제어부(190)는 결정한 방법으로, 결정한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90)는 신호 처리부(140)로 하여금 결정한 방법으로 결정한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an reconstruct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of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90 may control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to reconstruct left-eye view image data and right-eye view image data of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determined by the determined method.

또한 제어부(190)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190)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및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190 may detect a user action reque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setting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user action, the controller 190 may control to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the area where the image data is displayed. Here, the screen may further display a display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제어부(190)는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거나 신호 처리부(140)로 하여금 재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an reconfigure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included in the image data or reconfigure the signal processor 140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190 may control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to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genre of the image data.

도 2는 신호 처리부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140)는 역다중화부(210), 오디오 디코더(220), 비디오 디코더(230), 영상 가공부(240), 스케일러(260), 믹서(270) 및 포맷터(28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includes a demultiplexing unit 210, an audio decoder 220, a video decoder 230, a video processing unit 240, a scaler 260, a mixer 270, 280).

역다중화부(210)는 이동통신부(1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외부 신호 입력부(135)로부터 스트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역다중화부(210)는 수신된 스트림 신호를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데이터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비디오 디코더(230), 오디오 디코더(220) 및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The demultiplexing unit 210 can receive a stream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15,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and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35. The demultiplexing unit 210 demultiplexes the received stream signal into video data, Demultiplexed into voice data and data, and output to the video decoder 230, the audio decoder 220, and the controller 190, respectively.

오디오 디코더(220)는 역다중화부(2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복원된 데이터를 스케일러(260) 또는 음성 출력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decoder 220 receives voice data from the demultiplexing unit 210 and restores the received voice data to output the restored data to the scaler 260 or the voice output unit 160.

비디오 디코더(230)는 역다중화부(2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여 영상 가공부(240)에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 신호는 입체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230) 및 영상 가공부(240)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가공부(240)가 수행하는 역할을 제어부(190)가 대신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디오 디코더(230)는 복원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The video decoder 230 receives the video data from the demultiplexer 210, restores the received video data, and outputs the restored video data to the video processor 240. Here, the image signal may include a stereoscopic image signal. The video decoder 230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24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module. When the control unit 190 performs the role of the video processing unit 240, the video decoder 230 may output the restored video data to the control unit 190. [

영상 가공부(240)는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복원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영상 가공부(240)는 변위 산출부(245), 변위 변경부(250) 및 영상 재구성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240 can reconstruct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included in the reconstruct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adjustment value. The image processing unit 240 may include a displacement calculating unit 245, a displacement changing unit 250, and an image reconstructing unit 255.

변위 산출부(245)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변위값을 산출한다. The displacement calculating unit 245 calculates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변위 변경부(250)는 입체영상 조절값을 이용하여 변위 산출부(245)가 산출한 변위값을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변위 변경부는, 입체영상 조절값 및 산출된 변위값의 제곱값을 기초로 상기 변경된 변위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changing unit 250 changes the displacement value calculated by the displacement calculating unit 245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Here, the displacement changing unit may calculate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and the squared value of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영상 재구성부(255)는 변위 변경부(250)가 변경한 변위값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변위값이 변경되도록 영상 데이터의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The image reconstructing unit 255 may reconstruct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of the image data so that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value changed by the displacement changing unit 250. [

스케일러(260)는 비디오 디코더(230), 영상 가공부(240), 제어부(190) 및 오디오 디코더(220)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50)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크기 조절(스케일링: scaling)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일러(260)는 입체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50)의 해상도 또는 소정 화면비(aspect ratio)에 맞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디스플레이(150)는 제품 사양 별로 소정 해상도, 예를 들어 720x480 포맷, 1024x768 등을 갖는 영상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스케일러(260)는 다양한 값으로 입력될 수 있는 입체영상의 해상도를 해당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맞춰 변환할 수 있다.The scaler 260 outputs video data and audio data processed by the video decoder 230, the video processor 240, the controller 190 and the audio decoder 220 through a display 150 or a speaker (not shown) (Scaling) to a signal of the appropriate size to be used for the signal. The scaler 260 receives the stereoscopic image and scales the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a resolution or a predetermined aspect ratio of the display 150. The display 150 may be manufactured to output an image screen having a predetermined resolution for each product specification, for example, 720x480 format, 1024x768,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scaler 260 can convert the resolu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which can be input with various values,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또한, 스케일러(26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종류 또는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서, 입체영상의 화면비(aspect ratio)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화면비 값은 16:9, 4:3, 또는 3:2 등의 값이 될 수 있으며, 스케일러(260)는 가로 방향의 화면 길이 비와 세로 방향의 화면 길이 비가 특정 비율이 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caler 260 adjusts the aspect ratio of the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nt to be displayed or a user setting. The aspect ratio value may be a value such as 16: 9, 4: 3, or 3: 2, and the scaler 260 may adjust the aspect ratio of the scre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spect ratio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 specific ratio.

믹서(270)는 스케일러(260) 및 제어부(190)의 출력을 믹싱하여 출력한다.The mixer 270 mixes and outputs the outputs of the scaler 260 and the controller 190.

포맷터(280)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50)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입체영상 신호에 동기 신호(Sync signal)를 생성하여 안경(201)으로 전송할 수 있다. 포맷터(280)는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해 적외선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입체영상 신호에 따른 좌안 시점 영상 또는 우안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안경(201)의 좌안 렌즈 또는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동기시키기 위한 신호이다.The formatter 280 may output the converted image data to the display 150 to generate a stereoscopic image, and may generate a synchronizing signal to the stereoscopic image signal to be output to the glasses 201. The formatter 280 may include an infrared ray output unit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Here, the synchronizing signal is a signal for synchronizing the display time of the left eye view image or the right eye view image according to the stereoscopic image signal with the opening / closing time of the left eye lens or the right eye lens of the shutter glasses 201.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감 조정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S. 3A and 3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stereoscopic effec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수신부(101)는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와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100). 여기서 수신부(101)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방송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receiving unit 101 receives image data including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S100). Here, the receiving unit 101 can further receive broadcast information on the video data.

제어부(190)는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한다(S105). 여기서 제어부(190)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고, 입체감 설정 정보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시청자의 위치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고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S105). Here, the controller 190 may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nd may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nd the genre of the image data. Also, the controller 190 can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ewer and can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제어부(190)는 단계 S105에서, 입체감 설정 정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와 연관된 입체감 조절값을 검색하고, 검색한 입체감 조절값으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105, the control unit 190 may retriev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associated with the genre of the image data from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제어부(190)는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수신부(101)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의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결정한다(S110). 여기서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은 오브젝트 변위 변경 방법 및 어안렌즈 이펙트 중의 하나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a method of reconstructing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of the image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01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S110). Here,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may be one of the object displacement changing method and the fisheye lens effect.

상기 재구성 방법이 오브젝트 변위 변경 방법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140)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변위값을 산출한다(S115).If the reconstruction method is determined by the object displacement changing method,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calculates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S115).

신호 처리부(140)는 입체영상 조절값을 이용하여 산출한 변위값을 변경한다(S120). 여기서 신호 처리부(140)는 입체영상 조절값 및 산출된 변위값의 제곱값을 기초로 상기 변경된 변위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changes the displacement value calculated using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S120). Her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may calculate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and the squared value of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신호 처리부(140)는 변경된 변위값에 따라 오브젝트의 변위값이 변경되도록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한다(S125).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reconstructs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so that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S125).

상기 재구성 방법이 어안렌즈 이펙트인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140)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에 어안렌즈 이펙트를 준다(S130).If the reconstruction method is a fisheye lens effect,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gives the fisheye lens effect to the left-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included in the image data (S130).

디스플레이(150)는 재구성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S135).The display 150 displays the reconstructed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S135).

제어부(190)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감지한다(S140).The controller 190 detects a user action reque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setting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140).

제어부(190)는 상기 사용자 조치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및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S145). 여기서 상기 화면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user action, 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o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the area where the image data is displayed (S145). Here, the screen may further display an indication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제어부(190)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50). The controller 190 detects a user action for setting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150).

제어부(19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조치에 응답하여,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한다(S155).In response to the detected user action, the control unit 190 sets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155).

신호 처리부(140)는 제어부(190)가 설정한 입체감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한다(S160).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reconstructs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included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controller 190 (S160).

디스플레이(150)는 신호 처리부(140)가 재구성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165).The display 150 displays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reconstruct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in the area (S165).

제어부(190)는 입체감 설정 정보의 설정 완료를 지시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70).The controller 190 detects a user action instructing completion of the setting of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170).

제어부(190)는 상기 사용자 조치에 응답하여,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한다(S175).In response to the user action, the control unit 190 stores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in association with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genre of the image data (S175).

도 4는 양안시차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binocular disparity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양안시차 방식은 양안 카메라 등으로 촬상된 적어도 좌안 시점 영상(401) 및 우안 시점 영상(402)을 시청자의 양 눈(411, 412)에 각각 보여줌으로써 공간감 또는 입체감을 제공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다. 좌안 시점 영상(401) 및 우안 시점 영상(402)의 양안 시차에 따라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공간감 또는 입체감이 달라진다. 좌안 시점 영상(401) 및 우안 시점 영상(402)의 간격이 좁을수록, 좌안(411) 및 우안(412)로부터 먼 거리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공간감 또는 입체감이 작아질 수 있다. 좌안 시점 영상(401) 및 우안 시점 영상(402)의 간격이 넓을수록, 좌안(411) 및 우안(412)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시청자에게 제공되는 공간감 또는 입체감이 커질 수 있다.4, the binocular disparity system provides at least a left eye view image 401 and a right eye view image 402, which are captured by a binocular camera or the like, on both eyes 411 and 412 of a viewer, respectively, It is a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The binocular disparity between the left eye view image 401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402 varies depending on the binocular disparity. As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view image 401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402 is narrowed, images are perceived to form at distances far from the left eye 411 and the right eye 412, so that the sense of space or stereoscopic effect provided to viewers can be reduced . As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eye view image 401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402 is wider, it is recognized that the image is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left eye 411 and the right eye 412, so that the sense of space or stereoscopic effect provided to the viewer can be increased.

도 5는 물체의 거리에 따른 양안 시차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difference in binocular disparity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an object.

도 5를 참조하면, 멀리 있는 물체(510)를 양안으로 볼 때 좌안에 맺히는 상(511) 및 우안에 맺히는 상(512)의 간격이 좁아짐으로, 멀리 있는 물체(510)를 볼 때의 양안 시차는 작다. 하지만, 가까이에 있는 물체(520)를 양안으로 볼 때 좌안에 맺히는 상(521) 및 우안에 맺히는 상(522)의 간격이 넓어짐으로, 가까이에 있는 물체(520)를 볼 때의 양안 시차는 크다. 즉 물체(520)의 양안 시차는 물체(510)의 양안 시차보다 크다.5, when the distant object 510 is viewed from both eyes,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511 formed on the left eye and the image 512 formed on the right eye is narrowed, Is small. Howeve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521 formed in the left eye and the image 522 formed in the right eye is enlarged when the object 520 in close proximity to the eye is viewed from both sides, the binocular parallax when viewing a nearby object 520 is large . The binocular parallax of the object 520 is larger than the binocular parallax of the object 510. [

본 발명에 언급되는 입체감은 멀리 있는 물체와 가까이 있는 물체를 표현할 때의 양안시차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영상의 입체감이 크다는 것은 영상내의 가장 먼 물체를 표현하는 양안 시차와 영상내의 가장 가까운 물체를 표현하는 양안시차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영상의 입체감이 작다는 것은 영상내의 가장 먼 물체를 표현하는 양안 시차와 영상내의 가장 가까운 물체를 표현하는 양안 시차의 차이가 작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feeling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difference in binocular disparity when expressing an object close to a distant object. A larg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may mean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binocular disparity expressing the farthest object in the image and the binocular disparity expressing the closest object in the image. On the other hand, the smaller dimensionality of the image may mea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binocular parallax expressing the farthest object in the image and the binocular parallax expressing the closest object in the image is small.

도 6은 영상의 입체감을 크게 표현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largely expressing a stereoscopic effect of an image.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영상(600) 내의 멀리 있는 물체(610)의 양안 시차를 작게 하고 영상(600) 내의 가까이 있는 물체(620)의 양안 시차를 크게 하여 영상(600)의 입체감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물체(610)의 양안 시차를 더욱 작게 조절하여 물체(610)를 원래의 거리보다 시청자에게 더욱 멀게 보이게 하고, 물체(620)의 양안 시차를 더욱 크게 조절하여 물체(620)를 원래의 거리보다 시청자에게 더욱 가깝게 보이게 함으로써, 영상(600)의 입체감을 크게 할 수 있다.6, the electronic device 100 reduces the parallax of the distant object 610 in the image 600 and increases the parallax of the object 620 in the image 60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ereoscopic effect. In other words, by controlling the binocular parallax of the object 610 to be smaller, the object 610 is made to appear farther away from the viewer than the original distance, and the binocular parallax of the object 620 is further adjusted to be larger than the original distance By making the viewer closer to the viewer,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600 can be increased.

도 7은 영상의 입체감을 작게 표현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a picture in a small size.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영상(700) 내의 멀리 있는 물체(710)의 양안 시차를 크게하고 영상(700) 내의 가까이 있는 물체(720)의 양안 시차를 작게 하여 영상(700)의 입체감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물체(710)의 양안 시차를 크게 조절하여 물체(710)를 원래의 거리보다 시청자에게 가깝게 보이게 하고, 물체(720)의 양안 시차를 작게 조절하여 물체(720)를 원래의 거리보다 시청자에게 멀게 보이게 함으로써, 영상(700)의 입체감을 작게 할 수 있다.7, the electronic device 100 increases the binocular disparity of a distant object 710 in an image 700 and reduces a binocular disparity of a nearby object 720 in the image 7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ereoscopic effect. In other words, by controlling the binocular disparity of the object 710 to be large, the object 710 is made closer to the viewer than the original distance, and the binocular parallax of the object 720 is made small,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image 700 can be reduced.

영상(600)과 영상(700)이 동일한 원본 영상에서 재구성된 경우에는, 영상(600)의 입체감은 원본 영상의 입체감보다 커지고, 영상(700)의 입체감은 원본 영상의 입체감보다 작아진다.When the image 600 and the image 700 are reconstructed from the same original image, the three-dimensional sensation of the image 600 becomes larger than the three-dimensional sensation of the original image and the three-dimensional sensation of the image 700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original image.

도 8a 및 도 8b는 일실시예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a에 도시된 영상의 입체감을 크게 표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a에 도시된 영상의 입체감을 작게 표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screen in which an image of an embodiment is displayed, FIG.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in which a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image shown in FIG. 8A is largely expressed, In which a stereoscopic effect of an image shown in FIG.

도 8a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800)에서 오브젝트(810, 820, 830)는 오브젝트(840)는 보다 시청자에게 멀게 위치한다. 영상(900)에서 오브젝트(810, 820, 830)는 더욱 멀리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오브젝트(840)는 더욱 가깝게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영상(900)은 영상(800) 보다 입체감이 더 크게 느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지시할 수 있다.8A to 10, in the image 800, the object 810, 820, and 830 are located farther away from the viewer than the object 840. Objects 810, 820, and 830 in the image 900 are displayed to appear farther away, and object 840 is displayed to appear closer.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900 feels a larger stereoscopic feeling than the image 800. Here, the object can indicate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또한 영상(1000)에서 오브젝트(810, 820, 830)는 원래의 거리보다 가깝게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오브젝트(840)는 원래의 거리보다 멀게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영상(1000)은 영상(800) 보다 입체감이 더 작게 느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lso, in the image 1000, the objects 810, 820 and 830 are displayed to be closer to the original distance, and the object 840 is displayed to appear farther than the original distanc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1000 is felt to have a smaller stereoscopic feeling than the image 800. [

영상의 입체감은 입체 피로(3D Fatigue)와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영상의 입체감이 커지면 더운 박진감 넘치는 영상을 볼 수 있지만 이는 시청자의 뇌에 시각 피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입체감이 극단적으로 높아질 경우에는 영상에는 어안렌즈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게 될 수 있다. 한편, 입체감을 낮추면 박진감 등은 줄어들지만 입체 피로는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의 입체감의 적절히 조절하므로써 입체감에 의한 입체 피로를 줄일 수 있고, 컨텐츠의 박진감을 고조시킬 수 있다.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can form a trade-off relationship with stereoscopic fatigue. As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becomes larger, the user can see a video full of hot feeling, but this can cause visual fatigue in the viewer's brain. In addition, when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is extremely high, the effect of the fish-eye lens may appear on the image. On the other hand, lowering the stereoscopic effect reduces the feeling of motion but the stereoscopic fatigue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tereoscopic fatigue due to the stereoscopic effec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and can enhance the feeling of the magnitude of the content.

또한 본 발명에 전자 장치는 장르에 따라 입체감을 조절하므써 영상의 입체감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스포츠 장르 또는 스포츠 장르 중에서 경기시간이 짧고 상대적으로 다이내믹한 공간감을 제공하는 스포츠(예를 들면, 복싱, 배드민턴, 탁구)의 영상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의 입체감을 크게 하여 영상의 박진감을 넘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사이클 경기처럼 다소 정적이면서 장시간 시청을 요하는 영상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의 입체감을 작게 하여 입체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Also,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stereoscopic effect according to the genre, so that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the case of a sport (for example, boxing, badminton, table tennis) that provides a relatively dynamic feeling of space and a short playing time among sports genres or sports genres,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Can be overflow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video that is somewhat static, such as a cycle game, and requires a long time of viewing,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stereoscopic fatigue by reducing stereoscopic effect of an image.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How to reconstruct video data

본 절에서는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을 설명한다. 양안 시차 방식을 이용한 입체 영상에 대해 오리지널 영상의 양안 영상을 왜곡함으로써 입체감을 형성할 수 있다.In this section, we describe a reconstruction method of image data that can control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The stereoscopic effect can be formed by distorting the binocular image of the original image with respect to the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binocular disparity method.

왜곡 방법은 수신되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디지털 영상은 벡터 그래픽과 비트맵 그래픽으로 나뉜다. 전자는 영상내의 피사체의 좌표 정보를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후자는 일반적인 비트들의 연속으로 나타난다.The distortion method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ed image. Digital images are divided into vector graphics and bitmap graphics. The former ha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ubject in the image, and displays the image through it. The latter appears as a sequence of generic bits.

신호 처리부(140)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을 결정하고, 결정한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40)는 제어부(190)가 결정한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may determine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nd may reconstruct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cided image data reconstr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40 can reconstruct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image data reconstruction method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90.

먼저,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으로 오브젝트 변위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는 오브젝트 변위 변경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양안 영상을 재구성하여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First, a method of changing an object displacement by a video data reconstr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adjust the stereoscopic effect by reconstructing the binocular image of the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object displacement changing method.

도 11은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coordinates of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도 11을 참조하면, 입체영상이 피사체의 좌표를 알 수 있는 벡터 그래픽으로 들어올 경우에는, 피사체의 좌표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when a stereoscopic image comes in as a vector graphic that indicates the coordinates of a subject, the coordinates of the subject can be expressed in accordance with Equations (1) and (2).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1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1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2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2

오브젝트 거리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3
는 오브젝트의 좌안 오브젝트의 위치와 상기 오브젝트의 우안 오브젝트의 위치의 차이를 의미하며,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다음의 수학식 3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여기서 좌안 오브젝트는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좌표를 의미하고, 우안 오브젝트는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 또는 상기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즉 오브젝트(1110)의 좌안 오브젝트는 오브젝트(1111)이고 오브젝트(1110)의 우안 오브젝트는 우안 오브젝트(1112)이다.Object distance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3
Mea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left eye object of the object and the position of the right eye object of the objec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s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Here, the left eye object refers to the object included in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or the coordinate for displaying the image of the object, and the right eye object refers to the object included in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or the image for displaying the image of the object. The left eye object of the object 1110 is the object 1111 and the right eye object of the object 1110 is the right eye object 1112. [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4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4

오브젝트(1110)의 오브젝트 거리는 1이고, 오브젝트(1120)의 오브젝트 거리는 2이며, 오브젝트(1130)의 오브젝트 거리는 3이다.The object distance of the object 1110 is 1, the object distance of the object 1120 is 2, and the object distance of the object 1130 is 3.

또한 오브젝트 거리의 집합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5
는 다음의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Also,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5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6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6

오브젝트 거리는 다음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The object distance can be chang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5).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7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8
은 변경된 오브젝트 거리이다. a 는 입체감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를 뜻하고, 변수 a의 값은 입체영상 조절값 또는 입체영상 조절값에 함수 관계를 갖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here,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8
Is the changed object distance. a denotes a variable indicating the degree of cubic effect, and the value of the variable a can be set to a value having a function relationship with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or the stereoscopic image adjustment value.

양안 시차 방식에서 오브젝트 거리는 해당 오브젝트의 원근감을 듯하고, 해당 오브젝트의 양안 시차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 5에서 변수 a가 O에 가까울수록 영상의 입체감은 커지고, 1에 가까울 수록 입체감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 거리가 제곱형태로 되면 오브젝트 거리가 클수록 값이 커지므로, 멀리 있는 물체는 가까이 있는 물체 보다 더 멀어지게 되어, 영상의 입체감이 커지게 된다.In the binocular parallax system, the object distance may be regarded as the perspective of the object, and may represent the binocular parallax of the object. Therefore, in equation (5), the closer the variable a is to O, the greater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and the closer to 1 the stereoscopic effect is. In addition, if the object distance is a square shape, the larger the object distance, the larger the distance becomes, and the far object becomes farther away from the closer object, resulting in a larger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또한 변경된 오브젝트 거리의 집합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9
는 다음의 수학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Also, a set of changed object distances
Figure 112010079614350-pat00009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6).

Figure 112010079614350-pat00010
Figure 112010079614350-pat00010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오브젝트의 변위가 변환된 후에 오브젝트의 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the coordinates of an object after the displacement of the object shown in Fig. 11 is transformed. Fig.

도 12를 참조하면, 수학식 5에서 a가 0인 경우에는, 오브젝트(1110)의 오브젝트 거리는 1로 유지되고, 오브젝트(1120)의 오브젝트 거리는 2에서 4로 변경되고, 오브젝트(1130)의 오브젝트 거리는 3에서 9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1120) 및 오브젝트(1130)는 시청자에게 더 멀리 보이게 된다.12, when a is 0 in the equation (5), the object distance of the object 1110 is maintained at 1, the object distance of the object 1120 is changed from 2 to 4, and the object distance of the object 1130 is 3 to 9 is changed. Accordingly, the object 1120 and the object 1130 appear farther to the viewer.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으로 어안렌즈 이펙트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는 어안렌즈 이펙트로 입체영상의 양안 영상을 재구성하여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에 대해 어안렌즈 이펙트를 주는 방식으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가공하여 입체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sheye lens effect will be explained by the image data reconstruction method.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reconstruct a stereoscopic effect by reconstructing a stereoscopic image of a stereoscopic image using a fisheye lens effect.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process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in a manner that gives a fisheye lens effect to the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data, thereby adjusting the degree of three-dimensional sensation.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on which an image of another embodiment is displayed.

도 13을 참조하면, 영상(1300)의 중앙에 어안렌즈 필터를 적용하면 영상 중앙을 중심으로 입체감을 확대시킬 수 있고, 영상 중앙을 중심으로 입체감을 축소시킬 수 있다.13, when a fisheye lens filter is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image 1300, the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enlarged around the center of the image and the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reduced around the center of the image.

도 14는 입체감을 확대시키는 어안렌즈 이펙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영상에 도 14에 도시된 어안렌즈 이펙트가 적용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view showing a fish-eye lens effect for enlarg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a screen to which the fish-eye lens effect shown in FIG. 14 is applied to the image shown in FIG.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어안렌즈 이펙트(1400)는 입체감을 확대시키기 위한 어안렌즈 이펙트이다. 영상(1300)에 어안렌즈 이펙트(1400)가 적용되면 영상(1300)은 영상(1500)으로 가공된다. 영상(1500)은 선원근법적 투시효과로 인해 시청자의 입체감을 확대시킨다. 즉 영상(1300)의 중앙보다 영상(1500)의 중앙은 확대되고, 영상(1300)의 가장자리보다 영상(1500)의 가장자리는 조밀하게 되어, 영상(1500)의 중앙은 시청자에게 더 가깝게 보이고, 영상(1500)의 가장자리는 시청자에게 더 멀리 보이게 되어, 영상(1500)은 시청자의 입체감을 확대시킨다.Referring to Figs. 14 and 15, the fisheye lens effect 1400 is a fisheye lens effect for enlarging the three-dimensional feeling. When the fisheye lens effect 1400 is applied to the image 1300, the image 1300 is processed into the image 1500. The image (1500) enlarges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viewer due to the source visual perspective effect. The center of the image 1500 is wider than the center of the image 1300 and the edge of the image 1500 is more dense than the edge of the image 1300. The center of the image 1500 is closer to the viewer, The edge of the image 1500 becomes farther away from the viewer, and the image 1500 enlarges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viewer.

도 16은 입체감을 축소시키는 어안렌즈 이펙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영상에 도 16에 도시된 어안렌즈 이펙트가 적용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6 is a view showing a fisheye lens effect for reducing a stereoscopic effect, and FIG. 17 is a view showing a screen to which the fisheye lens effect shown in FIG. 16 is applied to the image shown in FIG.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어안렌즈 이펙트(1600)는 입체감을 축소시키기 위한 어안렌즈 이펙트이다. 영상(1300)에 어안렌즈 이펙트(1700)가 적용되면 영상(1300)은 영상(1700)으로 가공된다. 어안렌즈 이펙트(1700)가 적용됨으로써, 영상(1700)의 중앙은 영상(1300)의 중앙 보다 조밀해지고, 영상(1700)의 가장자리는 영상(1300)의 가장자리보다 확대된다. 어안렌즈 이펙트(1700)가 2차원 영상에 적용되면 입체감이 커질 수 있다. 하지만, 영상의 중앙 부분이 시청자에게 가깝게 보이는 입체영상에 어안렌즈 이펙트(1700)를 적용하면 상기 입체영상의 입체감이 축소된다. 그리고, 3차원 영상의 경우 중앙에서 앞으로 나오는 깊이값(Depth value)을 갖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어안렌즈 이펙트(1700)를 입체영상에 적용하면 입체영상의 입체감이 축소된다고 볼 수 있다.16 and 17, the fisheye lens effect 1600 is a fisheye lens effect for reducing the stereoscopic effect. When the fisheye lens effect 1700 is applied to the image 1300, the image 1300 is processed into the image 1700. [ The fisheye lens effect 1700 is applied so that the center of the image 1700 becomes denser than the center of the image 1300 and the edge of the image 1700 is wider than the edge of the image 1300. [ When the fisheye lens effect 1700 is applied to a two-dimensional image, the stereoscopic effect may become large. However, when a fish-eye lens effect 1700 is applied to a stereoscopic imag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age appears closer to the viewer,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stereoscopic image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lly has a depth value coming from the center, applying the fisheye lens effect 1700 to the stereoscopic image reduces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stereoscopic image.

어안렌즈 이펙트는 영상의 입체감을 변경시키기 위해 영상내의 피사체 개개의 좌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영상이 비트맵 그래픽인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fisheye lens effect does not require the individual coordinates of the subject in the image to change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i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when the image is a bitmap graphic.

입체감 조절값 설정 방법How to set stereoscopic adjustment value

본 절에서는 입체감 조절값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설정할 수 있다. 입체감 설정 정보는 초기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This section explains how to set the three-dimensional adjustment value. The electronic device 100 can set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t to an initial value, and the user may set or change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도 18a 내지 도 18c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조절하기 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이다.18A to 18C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reen for adjusting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50)는 화면(1810), 화면(1820) 및 화면(18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18A-18C, the display 150 may display a screen 1810, a screen 1820, and a screen 1830.

화면(1810)은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GUI(1811),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1812) 및 영역(1812)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1813)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1813)는 야구를 지시하고 있고, 영역(1812)은 야구 경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GUI(1811)의 슬라이드 바(1815)가 지시하는 값에 따라 영상(1812)의 입체감이 변경된다.The screen 1810 includes a GUI 1811 for setting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an area 1812 in which image data is displayed, and an indication 1813 indicating a genre of an image displayed in the area 1812. Here, the display 1813 indicates a baseball, and the area 1812 displays an image of a baseball game.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181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alue indicated by the slide bar 1815 of the GUI 1811. [

화면(1820)은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GUI(1821),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1822) 및 영역(1822)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18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1823)는 복싱을 지시하고 있고, 영역(1822)은 복싱 경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GUI(1821)의 슬라이드 바(1825)가 지시하는 값에 따라 영상(1822)의 입체감이 변경된다.The screen 1820 includes a GUI 1821 for setting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an area 1822 in which image data is displayed, and an indication 1823 indicating a genr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area 1822. Here, the display 1823 indicates boxing, and the area 1822 displays an image of a boxing match. Also,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182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alue indicated by the slide bar 1825 of the GUI 1821.

화면(1830)은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GUI(1831),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1832) 및 영역(1832)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1833)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1833)는 영화를 지시하고 있고, 영역(1832)은 영화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GUI(1831)의 슬라이드 바(1835)가 지시하는 값에 따라 영상(1832)의 입체감이 변경된다.The screen 1830 includes a GUI 1831 for setting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an area 1832 in which image data is displayed, and an indication 1833 indicating a genre of an image displayed in the area 1832. Where indication 1833 indicates a movie, and area 1832 displays a movie.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1832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indicated by the slide bar 1835 of the GUI 1831. [

사용자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고자 하는 장르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행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 조치가 선택한 장르의 대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포츠 장르 중에서 경기 시간이 짧지만 다이내믹한 입체감을 필요로 하는 장르인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화면(181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장르 중에서 경기 시간이 길어 장시간 시청을 필요로 하는 장르인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화면(182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서사가 중요시 되고 시청 시간이 매우 긴 편인 영화의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화면(183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can perform a user action of selecting a genre to which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is to be set. The control unit 190 may display a screen for displaying the representative stereoscopic image of the genre selected by the user action. For example, in a genre in which a sporting time is short but requires a dynamic stereoscopic effect in a sports genre, the control unit 190 can control the screen 1810 to be displayed. Also, in the case of a genre requiring a long time of viewing due to a long playing time among the sports genres, the control unit 190 can control the screen 1820 to be displayed. In the case of a movie in which the narrative is important and the viewing time is very long, the control unit 190 can display the screen 1830.

제어부(190)는 각 장르별로 디폴트로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를 GUI(예를 들면 GUI(1811), GUI(1821), GUI(183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GUI의 슬라이드 바(예를 들면, GUI(1815), GUI(1825), GUI(1835))를 통해 장르별로 사용자 개인 맞춤형으로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an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et in default for each genre on the GUI (for example, the GUI 1811, the GUI 1821, and the GUI 1831). The user can set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in a user-customized manner for each genre through the slide bar of the GUI (for example, the GUI 1815, the GUI 1825, and the GUI 1835).

제어부(190)는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예를 들면, 영상(1813), 영상(1823), 영상(1833))의 좌안 시점 영상 및 우안 시점 영상이 재구성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에 따라 재구성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입체감 설정 정보를 맞출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displays the left eye view image and the right eye view image of the images (for example, the image 1813, the image 1823, and the image 1833)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To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while confirming the reconstructed image according to the set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수신부(101)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 이동통신부(1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외부 신호 수신부(135)는 입체감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체감 설정 정보는 방송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예로, 입체감 설정 정보는 DVB SI 표준의 EIT(Event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고, BCG 디스커버리 레코드(Broadband Content Guide Discovery Record)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The receiving unit 101 can receive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That is, the tuner unit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15,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and the external signal receiving unit 135 can receive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Further,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broadcast information and transmitted.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n an EIT (Event Information Table) of a DVB SI standard, and may be included in a BCG discovery record.

도 19는 입체감 정보 디스크립터의 신택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9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yntax of a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descriptor.

도 19를 참조하면, 입체감 설정 정보는 입체감 정보 디스크립터(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는 descriptor_tag 필드, descriptor_length 필드, effect_status 필드 및 type_of_filt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는 N개의 country_code 필드, rating 필드 및 filter_weigh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는 EIT에 포함될 수 있고, BCG 디스커버리 레코드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cubic sett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in a cubic information descriptor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 ()). The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 () may include a descriptor_tag field, a descriptor_length field, an effect_status field, and a type_of_filter field. The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 () may include N country_code fields, a rating field, and a filter_weight field. The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 () can be included in the EIT and included in the BCG discovery record.

descriptor_tag 필드는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 번호를 포함한다.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가 EIT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descriptor_tag는 0x80 및 OxFE의 사이의 태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scriptor_tag field includes a tag number for identifying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 (). When the cubic_effect_information_descriptor () is included in the EIT, the descriptor_tag may include a tag number between 0x80 and OxFE.

descriptor_tag 필드는 descriptor의 전체 길이를 지시하는 값을 포함한다. 상기 값을 통해 country_code 필드, rating 필드 및 filter_weight 필드의 개수를 알 수 있다.The descriptor_tag field contains a value indicating the total length of the descriptor. The number of the country_code field, the rating field, and the filter_weight field can be known through the above values.

도 20은 effect_status 필드가 갖는 값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테이블이다.FIG. 20 is a table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values of the effect_status field.

도 20을 참조하면, effect_status 필드는 현재 방송의 이팩트 상태(effect status)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effect_status 필드는 8bit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정보는 0에서 7사이의 값일 수 있다. 0의 값은 도 20에 도시된 테이블의 값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1의 값은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2의 값은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을 적용한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3 내지 7의 값은 향후 사용을 위해 예비된 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effect_status field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n effect status of a current broadcast. The field effect_status may have a length of 8 bits, and the information may be a value between 0 and 7. A value of 0 may mean that the value of the table shown in FIG. 20 is not applied. A value of 1 may also indicate that the image data reconstruction method is not applied. And a value of 2 may indicate that the image data reconstruction method is applied. The value of 3 to 7 may be the value reserved for future use.

Type_of_filter 필드는 적용된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8bit로 정의될 수 있다. 0값은 필터 효과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1값은 어안렌즈 효과를 나타내며, 2값은 오브젝트 변위 변경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The Type_of_filter field may contain information indicating the applied image data reconstruction method and may be defined as 8 bits. A value of 0 indicates that no filter effect is applied, a value of 1 indicates a fisheye lens effect, and a value of 2 indicates a method of changing an object displacement.

Country_code 필드는 국가 표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개별 국가별 방송법, 방송 제도 및 방송 환경에 따라 적용되는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보는 ISO 3166에 정의된 KOR, GER, FRA, GBR 등의 태그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ISO 8859-1에 의해 인코딩 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정보가 영국을 나타내는 "GBR"인 경우에는 "0100 0111 0100 0010 0101 0010"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The Country_code field may contain information indicating a country indication. The above information is intended to prepare for the fact that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video data to be applie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broadcasting system, broadcasting system and broadcasting environment of each country. The information may be defined by tags such as KOR, GER, FRA, GBR, etc. defined in ISO 3166 and may be encoded by ISO 8859-1. 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y be encoded as "0100 0111 0100 0010 0101 0010" if the information is "GBR "

도 21은 rating 필드가 갖는 값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테이블이다.FIG. 21 is a table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values held in the rating field.

도 21을 참조하면, rating 필드는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이 적용될 연령제한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연령별로 추천되는 영상 데이터 재구성 방법을 지시할 수 있다. Ox00은 전 연령대 적용을 지시하고, 0x01부터 0x0F까지는 해당값 더하기 3을 해서 산출되는 연령을 표시하며, 그 이상 값은 개별 방송국이 자유롭게 정의해 쓸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rating field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age restriction to which the image data reconstruction method is applied. The information may indicate a video data reconstruction method recommended by age. Ox00 indicates all ages and 0x01 to 0x0F indicates the age calculated by adding the value of 3, and the above values can be freely defined and used by individual broadcasting stations.

filter_weight 필드는 입체감 조절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감 조절값은 0x00에서 Oxff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수학식 5의 a은 상기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The filter_weight field may contain a cubic adjustment value.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may have a value of 0x00 to Oxff, and a of Equation (5) may be set according to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pparatus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to networked computer device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said invention is direct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와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입체감 설정 정보를 기초로 입체감 조절값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그래픽 타입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타입은,
상기 영상 데이터 내의 피사체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벡터 그래픽 타입 또는 상기 좌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비트맵 그래픽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including left eye view image data and right eye view image data;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based on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And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graphic type of the received image data, determining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image dat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reconstructing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ethod,
The graphic type may include:
A vector graphics type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a subject in the image data, or a bitmap graphic type not includ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와 연관된 입체감 조절값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detects a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associated with a genre of the image data from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그래픽 타입이 벡터 그래픽 타입인 경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결정된 입체감 조절값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변위값을 산출하고, 상기 입체감 조절값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변위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변위값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의 변위값이 변경되도록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If the determined graphic type is a vector graphic type,
The signal processing unit,
Calculat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changing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using the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value, and changing the displacement valu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so that the left-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are reconstructed.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체감 조절값 및 상기 산출된 변위값의 제곱값을 기초로 상기 변경된 변위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calculates the changed displacement value based on the cubic adjustment value and the squared value of the calculated displacement valu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그래픽 타입이 비트맵 그래픽 타입인 경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에 어안렌즈 이펙트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If the determined graphic type is a bitmap graphic type,
The signal processing unit,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to a fisheye lens effec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in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감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조치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및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Detects a user action reque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setting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user action, controls to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an area where the image data is displayed.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좌안 시점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우안 시점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reconstructs the left-eye view image data and the right-eye view image data included in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표시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creen further displays an indication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UI를 통해 설정된 입체감 설정 정보가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장르를 지시하는 정보와 연관시켜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nd controls the stereoscopic effect setting information set through the GUI to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indicating a genre of the image data.
KR1020100122270A 2010-12-02 2010-12-0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pth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KR1017836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70A KR101783608B1 (en) 2010-12-02 2010-12-0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pth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270A KR101783608B1 (en) 2010-12-02 2010-12-0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pth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57A KR20120060657A (en) 2012-06-12
KR101783608B1 true KR101783608B1 (en) 2017-10-10

Family

ID=4661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270A KR101783608B1 (en) 2010-12-02 2010-12-02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pth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6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8800B2 (en) * 2013-03-12 201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3D broadcas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3D broadcast service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image of asymmetric aspect ratio
KR20140111875A (en) * 2013-03-12 201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Video display terminal and video stream control method for the video display terminal
CN112085770A (en) * 2020-09-10 2020-12-15 上海庞勃特科技有限公司 Binocular multi-target matching and screening method for table tennis track cap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05B1 (en) * 2002-03-27 2008-03-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0818933B1 (en) * 2005-12-02 2008-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3D Contents Service based Digital Broadcasting
KR100873638B1 (en) * 2007-01-16 2008-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05B1 (en) * 2002-03-27 2008-03-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0818933B1 (en) * 2005-12-02 2008-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3D Contents Service based Digital Broadcasting
KR100873638B1 (en) * 2007-01-16 2008-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ul Bourke, "Omni-directional Stereoscopic Fisheye Images for Immersive Hemispherical Dome Environments", Computer Games and Allied Technology(2009.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57A (en)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258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CN102300109B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US97411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91125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adjusting location of sweet spot for viewing multi-view image
US201202872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3-dimensional image
KR201300956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3-dimensional effects of stereo content
US20130063576A1 (en) Stereoscopic intensity adjustment device, stereoscopic intensity adjustment method, program, integrated circuit and recording medium
US20140362198A1 (en) Stereoscopic Video Processor, Stereoscopic Video Processing Method and Stereoscopic Video Processing Program
KR20130134103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in terminal
KR101855939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CN102905141A (en) Two-dimension to three-dimension conversion device and conversion method thereof
KR10178360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epth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CN103609104A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stereoscopic effect adjustment
KR101758274B1 (en) A system, a method for displaying a 3-dimensional image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3-dimensional image
KR10192117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irtual touch screen
KR2012012689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3-dimensional image
KR201300106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2 dimensional image into 3 dimensional image
KR101804912B1 (en)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imensional imag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subtitles of a 3-dimensional image
US9547933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74061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78185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ying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
KR10187880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40118063A (en) Apparatus for visualization of multimedia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130068964A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30020209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3-dimensional image and method for changing an image mode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