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269B1 - Electrosurgical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ctrosurgica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269B1
KR101780269B1 KR1020160127814A KR20160127814A KR101780269B1 KR 101780269 B1 KR101780269 B1 KR 101780269B1 KR 1020160127814 A KR1020160127814 A KR 1020160127814A KR 20160127814 A KR20160127814 A KR 20160127814A KR 101780269 B1 KR101780269 B1 KR 101780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ire
rfa
regio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치영
Original Assignee
(주) 헤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헤파토 filed Critical (주) 헤파토
Priority to KR102016012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269B1/en
Priority to PCT/KR2016/011273 priority patent/WO201806674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7Surgical systems with images on a monitor du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34Neur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수술 장치는, 종양 부위에 대한 신체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부; 상기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 고주파 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 이하 RFA 라 함) 프로부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 연결단자; 비가역적 전기천공술(Irreversible electroporation, 이하 IRE라 함) 프로브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2 연결단자; 상기 제1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RFA 프로브에 고주파 교류를 인가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IRE 프로브에 전기펄스를 인가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연결단자 또는 상기 제2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RFA 프로브 또는 상기 IRE 프로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양을 제거 하기 위한 전기 수술 시, RFA 치료 법과 IRE 치료법을 효율적으로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분석을 통해 인식된 RFA 프로브와 IRE 프로브를 마커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브를 인식하고, 해당 치료 영역에 대응되는 프로브가 삽입된 경우에만 프로브 동작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mag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body with respect to a tumor site; A monitor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t least on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pro section is connecte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RE) probe is connected, and at least on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A first driver for applying a high frequency AC to the RFA pro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driver for applying an electric pulse to the IRE pro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a switch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driving of the RFA probe or the IRE pro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r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FA treatment and IRE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parallel during electrosurgery for removing a tumo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each probe using RFA probes and IRE probes recognized through image analysis using markers, and controls the probe operation only when a probe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region is inserted, thereby protecting the patient .

Description

전기 수술 장치{ELECTROSURGICAL APPARATUS}ELECTROSURGICAL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고주파 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 이하, RFA)은 세포 조직에 배치된 전극도자에 마찰열을 유도하는 라디오주파전류(radiofrequency current)를 방출하여 국소적인 조직괴사를 일으켜서 세포를 사멸하는 방법이다. 특별히 고안된 프로브를 절제하려는 부위에 놓고 고주파 교류(350~500 KHz 사이의 교류전류)를 통하게 하면 프로브 끝이 70~100℃까지 뜨거워지는데 이때, 열이 세포에 조직괴사를 일으킨다. RFA는 개흉술 같은 외과적 방법이나 전신마취가 필요 없다. 이 시술은 전기생리학검사를 통해 부정맥의 기전 및 발생부위를 확인한 후 시행되며, 보통 3~4개의 얇고 탄력적인 전극도자를 허벅지 또는 쇄골 아래의 정맥에 삽입한 후, 실시간으로 X선 투시영상의 도움을 받아 환부 내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하는데 부정맥의 전기적 특성, 회귀회로 또는 부회로 등의 위치 등을 먼저 진단하고 절제용 프로브로 특정 부위에 고주파 에너지를 투여하여 치료를 수행한다. RFA는 신경이나 심장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간, 폐, 신장, 뼈 및 이미지 지침을 통해 접근 할 수 있는 다른 장기의 종양을 치료할 수 있으며, 간 종양과 종양의 전이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Radiofrequency ablation (RFA) is a method of destroying cells by causing local tissue necrosis by releasing a radiofrequency current that induces frictional heat in an electrode ceramic disposed in a cell tissue. When a specially designed probe is placed on the site to be excised and high-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AC current between 350 and 500 KHz) is passed, the probe tip heats up to 70-100 ° C, where heat causes tissue necrosis in the cell. RFA does not require surgical methods such as thoracotomy or general anesthesia. This procedure is performed after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 to determine the mechanism and location of arrhythmia. Usually, three or four thin and elastic electrodes are inserted into the thigh or vein under the clavicle, And inserts it into the affected part. In this state, electrophysiologic examination is performed by first diagnos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rhythmia, the position of the regression circuit or subcircuit, etc., and administering high frequency energy to the specific region with the resection probe. RFA does not affect nerve or cardiac function. It can treat tumors of other organs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liver, lung, kidney, bone, and imaging guidelines and can eliminate both liver and tumor metastases.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RFA 장치는 2~5cm 직경의 절제 영역을 형성하므로 더 큰 절제영역의 제거를 위해서는 중복 시술이 필요하다. 또한, RFA는 3mm 이내의 프로브에 인접한 부분에 치사 온도가 발생할 수 있어, 세포 조직의 탈수 및 탄화 현상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기 간섭으로 인해, 하나의 RFA 프로브만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피부 화상이 발생될 수 있는 부분에는 접지패드가 부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most RFA devices have a cut-off area of 2 to 5 cm in diameter, so duplication is needed to remove larger cut-out areas. In addition, RFA has a disadvantage in that lethal temperature may occur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probe within 3 mm, resulting in dehydration and carbonization of cell tissue. Further, du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nly one RFA probe can be activa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ground pad must be attached to a portion where a skin image can be generated.

이에, 새로운 절제술로 비가역적 전기천공술(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이하 IRE)이 제안되었다. IRE는 DC 전류를 사용한 전기펄스를 세포에 인가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방법이다. 암세포에 초당 수백만번의 전기 자극을 가해 구멍을 뚫어 죽이는 방법이다. IRE는 3cm 이하의 박리 영역을 생성하는 2500V의 높은 전압을 사용한다.Therefor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has been proposed as a new resection. IRE is a method of killing cancer cells by applying an electric pulse using a DC current to the cells. It is a way to kill millions of electrical stimuli per second to kill cancer cells. The IRE uses a high voltage of 2500V to create a stripping area of 3cm or less.

IRE는 1분 미만의 초단타의 짧은 절제 시간을 가지며, 3cm 이하의 박리 영역을 가지므로 실시간 초음파 영상에서 정확하게 치료대상의 세포만을 절제할 수 있다. 또한, IRE는 초당 수백만번의 전기 자극을 통해 세포에 구멍을 뚫어 죽이는 방식으로서, 세포를 가열하여 죽이는 RFA의 종양 세포 주변의 혈관, 신경, 맥관 등 중요 조직이 열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IRE는 다중 겹치는 치료영역을 동시에 여러 개의 IRE 프로브를 사용하여 치료를 수행할 수 있어, 전자기 간섭으로 인해, 하나의 RFA 프로브만을 사용할 수 있는 RFA 치료술과는 차별화 되는 특징이 있다.The IRE has a short resection time of less than 1 minute and has a delamination area of less than 3 cm, so that only the target cell can be excised accurately from the real-time ultrasound image. In addition, the IRE is a method of piercing and killing cells through millions of electric stimulations per second, and there is no fear that the important tissues such as blood vessels, nerves, and vascula around the tumor cells of RFA, which kill and heat cells, are damaged by heat . In addition, the IRE is distinguished from the RFA therapy, which can use only one RFA probe because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cause multiple overlapping treatment areas can be treated using several IRE probes at the same time.

현재는 종양 치료 시, RFA 또는 IRE 치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뿐, 필요에 따라 RFA 치료와 IRE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장치는 제안된 바가 없다.Currently, RFA or IRE treatment is selectively used for tumor treatment, but no device has been proposed that can combine RFA therapy and IRE treatment as neede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RFA 치료와 IRE 치료를 효율적으로 병행할 수 있는 전기 수술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performing RFA treatment and IRE treat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양 부위에 대한 신체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부; 상기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 고주파 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 이하 RFA 라 함) 프로부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 연결단자; 비가역적 전기천공술(Irreversible electroporation, 이하 IRE라 함) 프로브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2 연결단자; 상기 제1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RFA 프로브에 고주파 교류를 인가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IRE 프로브에 전기펄스를 인가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연결단자 또는 상기 제2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RFA 프로브 또는 상기 IRE 프로부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body part of a tumor; A monitor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t least on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pro section is connecte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RE) probe is connected, and at least on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A first driver for applying a high frequency AC to the RFA pro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driver for applying an electric pulse to the IRE pro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a switch unit for selectively controlling driving of the RFA probe or the IRE pro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r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종양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종양 영역 중 상기 RFA 프로브를 통한 RFA 치료 영역 및 상기 IRE 프로브를 통한 IRE 치료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치료 영역을 상기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to extract a tumor region, generating an RFA treatment region through the RFA probe and an IRE treatment region through the IRE probe in the tumor region, and displaying the generated treatment region through the monitor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양 영역, 상기 RFA 치료 영역, 상기 IRE 치료 영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영역 정보를 상기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input, wherein when receiving the tumor region, the RFA treatment region, and the IRE treatment reg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imag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RFA 프로브 및 상기 IRE 프로브에는 각각의 프로브를 식별하기 위한 마커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내의 마커를 이용하여 상기 RFA 프로브 및 상기 IRE 프로브를 인식할 수 있다.The RFA probe and the IRE probe are each provided with a marker for identifying each probe, and the controller can recognize the RFA probe and the IRE probe using a marker in the imag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A 치료 영역에 상기 RFA 프로브가 인식되거나, 상기 IRE 치료 영역에 상기 IRE 프로브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driver or the second driver to operate only when the RFA probe is recognized in the RFA treatment region or the IRE probe is recognized in the IRE treatment reg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에 혈관, 신경, 맥관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조직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혈관 영역 주변의 종양 영역을 상기 IRE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tumor region around the blood vessel region as the IRE region when the imag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main tissue region of blood vessels, nerves, and vascular tubes.

본 발명에 따르면, 종양을 제거 하기 위한 전기 수술 시, RFA 치료 법과 IRE 치료법을 효율적으로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FA treatment and IRE treatment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parallel during electrosurgery to remove tumors

또한, 본 발명은 영상분석을 통해 인식된 RFA 프로브와 IRE 프로브를 마커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로브를 인식하고, 해당 치료 영역에 대응되는 프로브가 삽입된 경우에만 프로브 동작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each probe using RFA probes and IRE probes recognized through image analysis using markers, and controls the probe operation only when a probe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region is inserted, thereby protecting the patient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용 프로브가 전기 수술 장치에 연결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이용한 치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부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surgical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reatment using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Bu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other elem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thereof.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용 프로브가 전기 수술 장치에 연결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n electrosurgical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수술 장치는 영상 정보 수신부(101), 모니터부(130), 입력부(105), 제1 연결모듈(107), 제2 연결모듈(109), RFA 프로브(111), IRE 프로브(113), 제1 구동부(115), 제2 구동부(117) 및 스위치부(119) 및 제어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a monitor unit 130, an input unit 105, a first connection module 107, a second connection module 109, And may include an RFA probe 111, an IRE probe 113, a first driving unit 115, a second driving unit 117 and a switch unit 119 and a control unit 121.

영상 정보 수신부(101)는 환자 신체의 치료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한다. 환자 신체 내부의 치료 영역에 대한 영상 정보는 X선 장치, 초음파 장치, CT, MRI 등 신체 내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receives image information about a treatment area of the patient's body. The image information for the treatment area inside the patient's body may b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various devices capable of acquiring image information in the body such as an X-ray device, an ultrasound device, CT, and MRI.

모니터부(103)는 영상 정보 수신부(101)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The monitor unit 103 displays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imag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1. [

입력부(105)는 치료자로부터 치료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05 may be configured by a keyboard, a mouse, or the like, which is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rapy from a therapist.

제1 연결단자(107)는 고주파 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 이하 RFA 라 함) 프로부(111)가 연결되는 단자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07 is a terminal to which a radiofrequency abl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FA) pro 111 is connected.

제2 연결단자(109)는 비가역적 전기천공술(Irreversible electroporation, 이하 IRE라 함) 프로브(113)가 연결되는 단자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09 is a terminal to which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RE) probe 113 is connected, and at least one terminal may be provided.

제1 구동부(115)는 제1 연결단자(107)에 연결된 RFA 프로브(111)에 고주파 교류를 인가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구동부(115)는 350~550 KHz 사이의 교류전류를 RFA 프로브(111)로 인가하여, RFA 프로브(111) 끝을 가열하며, 이와 같이 발생한 열은 세포에 조직괴사를 일으킨다. RFA 프로브(111)는 2~5cm 직경의 절제 영역을 형성하므로, 더 큰 절제영역의 제거를 위해서는 중복 시술이 필요하며, RFA 프로브(111)에 인접한 부분에 치사 온도가 발생할 수 있어, 세포 조직의 탈수 및 탈화 현상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다. 또한, 전자기 간섭으로 인해 하나의 RFA 프로브(111)만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제1 구동부(115)의 구동원리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first driving unit 115 applies a high frequency AC to the RFA probe 111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07. More specifically, the first driving unit 115 applies an alternating current between 350 and 550 KHz to the RFA probe 111 to heat the end of the RFA probe 111, and the heat thus generated causes tissue necrosis in the cell . Since the RFA probe 111 forms a cut region having a diameter of 2 to 5 cm, overlapping treatment is required to remove a larger cut region, and a lethal temperature may occur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RFA probe 111, There is a side effect that dehydration and de-aging phenomenon occurs. Al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only one RFA probe 111 can be activated du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nce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first driving unit 115 is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 구동부(117)는 제2 연결단자(109)에 연결된 IRE 프로브(113)로 전기펄스를 인가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2 구동부(117)는 DC 전류를 사용한 전기펄스를 IRE 프로브(113)에 인가한다. IRE 프로브는 세포에 초당 수백만번의 전기자극을 가함으로써 세모에 구멍을 뚫어 조직 괴사를 유도한다. IRE 프로브(113)는 3cm 이하의 박리 영역을 생성하며, IRE 프로브(113)에 인가되는 DC 전류는 2500V의 높은 전압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IRE 프로브(113)를 이용한 세포 절제는 1분 미만의 초 단타의 ?F은 절제 시간을 가지며, 3cm 이하의 박리 영역을 가지므로, 실시간 영상에서 정확하게 치료대상의 세포만을 절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IRE는 초당 수백만번의 전기 자극을 통해 세포에 구멍을 뚫어 죽이는 방식으로서, 세포를 가열하여 죽이는 RFA의 종양 세포 주변의 혈관, 신경, 맥관 등 중요 조직이 열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IRE는 전자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다중 겹치는 치료영역을 동시에 여러 개의 IRE 프로브를 사용하여 치료를 수행할 수 있어, 전자기 간섭으로 인해, 하나의 RFA 프로브만을 사용할 수 있는 RFA 치료술과는 차별화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2 구동부(117)의 보다 상세한 구동 원리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econd driving part 117 applies an electric pulse to the IRE probe 113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09.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riving unit 117 applies the electric pulse using the DC current to the IRE probe 113. [ The IRE probe induces tissue necrosis by puncturing the triangle with millions of electrical stimulations per second to the cells. The IRE probe 113 generates a delamination region of 3 cm or less and the DC current applied to the IRE probe 113 can be generated using a high voltage of 2500 V. [ The cell resection using the IRE probe 113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cise only the cell to be treated accurately in real-time image because it has a resection time of less than 1 minute and? . In addition, the IRE is a method of piercing and killing cells through millions of electrical stimulations per secon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important tissues such as blood vessels, nerves, and vascula around the tumor cells of RFA that kill the cells are not damaged by heat . Further, since the IRE does not generat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reatment using multiple IRE probes at the same time in multiple overlapping treatment regions,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RFA treatments in which only one RFA probe can be used du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Since a more detailed driving principle of the second driving unit 117 is alread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스위치부(119)는 제1 연결단자(107) 또는 제2 연결단자(109)에 연결된 RFA 프로브(111) 또는 IRE 프로브(113)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The switch unit 119 selectively controls driving of the RFA probe 111 or the IRE probe 113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07 or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09. [

도 3을 참조하면, IRE 프로브(113-1, 113-2)는 동시에 구동이 가능하므로, 전기 수술 장치의 제2 연결 단자(109-1, 109-2)에 복수 개 연결될 수 있으며, RFA 프로브(111)는 동시 구동이 불가능하므로 제1 연결 단자(107)에 하나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서, RFA 프로브(111)가 복수 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3, since the IRE probes 113-1 and 113-2 can be driven simultaneously, a plurality of IRE probes 113-1 and 113-2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09-1 and 109-2 of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Only one connection terminal 111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07 because simultaneous driving is not possible. However, as an example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RFA probes 111 may be connected.

제어부(121)는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종양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종양 영역 중 RFA 프로브(111)를 통한 RFA 치료 영역 및 IRE 프로브(113)을 통한 IRE 치료 영역을 생성하고, 생성된 치료 영역을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21)는 영상 정보에 혈관, 신경, 맥관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혈관 영역 주변의 종양 영역을 IRE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영역을 RFA 치료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1)는 RFA 프로브(111)의 박리 영역이 상기 혈관, 신경, 맥관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RFA 치료 영역을 생성하고, 그 외의 상기 혈관, 신경, 맥관과 인접한 영역을 IRE 치료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1 analyzes the image information to extract a tumor region, generates an RFA treatment region through the RFA probe 111 and an IRE treatment region through the IRE probe 113 among the extracted tumor regions, Area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section. More specifically, when at least one of blood vessels, nerves, and vasculature is included in the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21 may generate a tumor region around the blood vessel region as an IRE region, and the other region may be referred to as an RFA treatment region Can be generated. Or the control unit 121 generates an RFA therapeutic region so that the exfoliation region of the RFA probe 111 does not overlap with at least one region of the blood vessel, the nerve, and the vasculature, and the other regions adjacent to the blood vessel, Area. ≪ / RTI >

즉, 본 발명은 혈관, 신경, 맥관 주변의 종영은 IRE 프로브(113)를 통해 치료를 수행함으로써, 혈관, 신경, 맥관의 손상을 방지하고, 그 외의 영역은 IRE 프로브(113) 보다 더 넓은 박리 영역을 가지는 RFA 프로브(111)를 통해 치료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to blood vessels, nerves, and vasculature is prevented by performing treatment through blood vessels, nerves, and vascular peripheries through the IRE probe 113, and other areas are wider than the IRE probe 113 Treat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RFA probe 111 having the region, so that efficient treat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1)는 영상 정보 중 입력부(105)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양 영역, RFA 치료 영역, IRE 치료 영역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영역 정보를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the tumor region, the RFA treatment region, and the IRE treatment reg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05 among the imag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21 displays the received region information through the monitor unit You can do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A 프로브(111) 및 IRE 프로브(113)에는 각각의 프로브를 식별하기 위한 마커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21)는 영상 정보내의 마커를 이용하여 RFA 프로브(111) 및 IRE 프로부(113)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FA probe 111 and the IRE probe 113 may each be provided with a marker for identifying each probe, and the controller 121 may use an RFA probe (111) and the IRE pro section (113).

이때, 제어부(121)는 RFA 치료 영역에 IRE 프로브(113)가 인식되거나, IRE 치료 영역에 상기 RFA 프로브(111)가 인식되는 경우, 인식된 프로브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구동부(115) 또는 상기 제2 구동부(117)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IRE probe 113 is recognized in the RFA treatment region or the RFA probe 111 is recognized in the IRE treatment region, the controller 121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115 or the second driving unit 115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probe, The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117 can be restric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이용한 치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reatment using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RFA 프로브(111)와 IRE 프로브(113)를 동시에 종양(C)에 삽입하여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RFA 프로브(111)의 경우 전자기 간섭으로 인해 하나의 RFA 프로브 만을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넓은 영역의 종양(C)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중복 시술이 불가피하였다. 또한, 혈관, 신경, 맥관 등의 주요 조직이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Referring to FIG. 4, the user can perform treatment by inserting the RFA probe 111 and the IRE probe 113 into the tumor C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FA probe 111, since only one RFA probe can be used due to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uplication is inevitable in order to remove a large area of the tumor (C).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ain tissues such as blood vessels, nerves, and vasculature can be damaged by heat.

그러나, 본 발명의 전기 수술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RFA 프로브(111)를 이용한 시술과 동시에, 혈관, 신경, 맥관 등의 주요 조직(B) 주변의 종양(C)은 IRE 프로브(113)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중요 조직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tumor C around the main tissue B such as blood vessels, nerves, vasculature and the like is simultaneously treated with the RFA probe 111 using the IRE probe 11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ortant tissue from being damaged by heat.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부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monit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부(103)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정보에는 제어부(121)에 의해 생성된 RFA 치료 영역(R) 및 IRE 치료 영역(I)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121)는 영상 정보에 혈관, 신경, 맥관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조직 영역(B)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주요 조직 영역(B) 주변의 종양 영역(C)을 상기 IRE 치료 영역(I)으로 생성하며, 그 외의 영역을 RFA 치료 영역(R)로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unit 103 may display an RFA treatment region R and an IRE treatment region I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1. The controller 121 controls the tumor region C around the main tissue region B in the IRE treatment region I (for example, when the at least one main tissue region B of the blood vessel, the nerve, ), And other regions can be generated in the RFA treatment region (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A 프로브(111)에는 RFA 프로브(111)를 식별하기 위한 마커(M1)가 형성되며, IRE 프로브(113)에는 IRE 프로브(113)를 식벽하기 위한 마커(M2)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21)는 영상 내의 마커(M1)이 인식되는 경우 해당 프로브를 RFA 프로브(111)로 식별하며, 마커(M2)가 인식되는 경우 해당 프로브를 IRE 프로브(113)로 식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rker M1 for identifying the RFA probe 111 is formed on the RFA probe 111 and a marker M2 for decorating the IRE probe 113 is provided on the IRE probe 113 May be formed. The control unit 121 identifies the probe as an RFA probe 111 when the marker M1 in the image is recognized and identifies the probe as the IRE probe 113 when the marker M2 is recognized.

이때, 제어부(121)는 상기 RFA 치료 영역(R)에서 상기 RFA 프로브(111)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제1 구동부(115)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IRE 치료 영역(I)에서 IRE 프로브(113)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제2 구동부(117)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21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115 to operate only when the RFA probe 111 is recognized in the RFA treatment region R. In the IRE treatment region I, the IRE probe 113 The second driving unit 117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본 발명과 같이, 전기 수술 장치에서 서로 다른 시술 방법을 제공하는 RFA 프로브(111)와 IRE 프로브(113)가 제공되는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실수로 RFA 프로브(111)와 IRE 프로부(113)를 바꾸어서 치료 영역에 삽입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RFA 프로브(111)가 IRE 치료 영역(I)에 삽입되고, IRE 프로부(113)가 RFA 치료 영역(R)에 삽입되어 치료가 수행되는 경우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6, when the RFA probe 111 and the IRE probe 113, which provide different methods of operation in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are provid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istakenly inserts the RFA probe 111 and the IRE pro- There may occur a case where the treatment area 113 is changed and inserted into the treatment area. In this way, the RFA probe 111 is inserted into the IRE treatment region I, and the IRE pro section 113 is inserted into the RFA treatment region R to perform the treatment, which may cause a fatal result to the patien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121)는 도 5에서와 같이 영상 분석을 통해 RFA 치료 영역(R)에 RFA 프로브(111)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제1 구동부(115)가 동작되도록 제어하며, IRE 치료 영역(I)에 IRE 프로브(113)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제2 구동부(117)가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잘못된 프로브 삽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
5, the control unit 121 controls the first driving unit 115 to operate only when the RFA probe 111 is recognized in the RFA treatment region R through image analysis, The second driving unit 117 is controlled to operate only when the IRE probe 113 is recognized in the IRE therapeutic region I so that problems caused by erroneous probe insertion can be block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전기 수술 장치 101: 영상 정보 수신부
103: 모니터부 105: 입력부
107: 제1 입력단자 109: 제2 연결단자
111: RFA 프로브 113: IRE 프로브
115: 제1 구동부 117: 제2 구동부
119: 스위치부 121: 제어부
100: electrosurgical apparatus 101: image information receiving unit
103: Monitor section 105: Input section
107: first input terminal 109: second connection terminal
111: RFA probe 113: IRE probe
115: first driving part 117: second driving part
119: switch unit 121: control unit

Claims (6)

종양 부위에 대한 신체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부;
상기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
고주파 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 이하 RFA 라 함) 프로부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1 연결단자;
비가역적 전기천공술(Irreversible electroporation, 이하 IRE라 함) 프로브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2 연결단자;
상기 제1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RFA 프로브에 고주파 교류를 인가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IRE 프로브에 전기펄스를 인가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제1 연결단자 또는 상기 제2 연결단자에 연결된 상기 RFA 프로브 또는 상기 IRE 프로브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된 종양 영역을 상기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추출 및 디스플레이된 종양 영역에 혈관, 신경, 맥관 중 적어도 하나의 조직 영역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직 영역에 인접한 제1 종양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직 영역 이외의 영역인 제2 종양 영역이 구분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An image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of a body with respect to a tumor site;
A monitor unit for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A first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t least one radiofrequency ablation (RFA) pro section is connecte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n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RE) probe is connected, and at least on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A first driver for applying a high frequency AC to the RFA pro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 second driver for applying an electric pulse to the IRE pro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 switch unit selectively controlling driving of the RFA probe or the IRE pro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r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nd
And displaying the extracted tumor region through the monitoring unit by analyz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when at least one tissue region of a blood vessel, a nerve, and a vascular tissue is included in the extracted and displayed tumor region, And a controller for displaying a first tumor region and a second tumor region that are other than the at least one tissue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양 영역 중 상기 RFA 프로브를 통한 RFA 치료 영역 및 상기 IRE 프로브를 통한 IRE 치료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치료 영역을 상기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 RFA treatment region through the RFA probe and an IRE treatment region through the IRE probe among the tumor regions, and displays the generated treatment region through the monitor unit.
제2항에 있어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중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양 영역, 상기 RFA 치료 영역, 상기 IRE 치료 영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영역 정보를 상기 모니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put for receiving an external input,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received region information through the monitor unit when receiving the tumor region, the RFA treatment region, and the IRE treatment reg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image information.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A 프로브 및 상기 IRE 프로브에는 각각의 프로브를 식별하기 위한 마커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정보 내의 마커를 이용하여 상기 RFA 프로브 및 상기 IRE 프로브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FA probe and the IRE probe are formed with a marker for identifying each probe,
Wherei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RFA probe and the IRE probe using a marker in the imag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A 치료 영역에 상기 RFA 프로브가 인식되거나, 상기 IRE 치료 영역에 상기 IRE 프로브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driver or the second driver to operate only when the RFA probe is recognized in the RFA treatment region or the IRE probe is recognized in the IRE treatment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제1 종양 영역을 상기 IRE 치료 영역으로, 상기 제2 종양 영역을 상기 RFA 치료 영역으로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first tumor region as the IRE treatment region and the second tumor region as the RFA treatment region, respectively.
KR1020160127814A 2016-10-04 2016-10-04 Electrosurgical apparatus KR101780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814A KR101780269B1 (en) 2016-10-04 2016-10-04 Electrosurgical apparatus
PCT/KR2016/011273 WO2018066740A1 (en) 2016-10-04 2016-10-07 Electric surgic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814A KR101780269B1 (en) 2016-10-04 2016-10-04 Electrosurgical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269B1 true KR101780269B1 (en) 2017-10-10

Family

ID=6018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814A KR101780269B1 (en) 2016-10-04 2016-10-04 Electrosurgical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0269B1 (en)
WO (1) WO201806674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0135B2 (en) * 2019-12-05 2023-05-30 Biosense Webster (Israel) Ltd. Generating and interleaving of irreversible-electroporation and radiofrequnecy ablation (IRE/RFA) waveforms
WO2023227953A1 (en) * 2022-05-25 2023-11-30 Btl Medical Solutions A.S.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part of a human bod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7616A (en) * 2012-12-17 2014-06-30 Biosense Webster (Israel) Ltd Recognition of currently-active-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2725A1 (en) * 2008-12-12 2010-06-17 Angiodynam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tissue treatment utilizing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and thermal track coagulation
US10631912B2 (en) * 2010-04-30 2020-04-28 Medtronic Xomed, Inc. Interface module for use with nerve monitoring and electrosurgery
US9078665B2 (en) * 2011-09-28 2015-07-14 Angiodynamics, Inc. Multiple treatment zone ablation probe
KR102372351B1 (en) * 2014-08-19 2022-03-0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ultrasound diagnosis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7616A (en) * 2012-12-17 2014-06-30 Biosense Webster (Israel) Ltd Recognition of currently-active-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740A1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3709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accessible medium for in-vivo tissue ablation and/or damage
US10342598B2 (en) Electrosurgical system for delivering a biphasic waveform
AU2016209266B2 (en) Systems and devices to identify and limit nerve conduction
Harrell et al. Energy sources in laparoscopy
JP2021130030A (en) Medical unit comprising both side jaw configuration for nerve stimulation
US9233241B2 (en) Electric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US9254169B2 (en) Electrical ablation devices and methods
US20080200911A1 (en) Electrical abl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7045464B2 (en) Enhanced Needle Array and Treatment Methods for Tumor Ablation
US10835311B2 (en) Electro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for ablation of an arbitrary volume
CZ308415B6 (en) AC electroporation generator
KR101780269B1 (en) Electrosurgical apparatus
JP2022037870A (en) Blending ire and rf ablation using sine wave generator
Li et al.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Electrosurgery for endoscopic surgery and third space Endoscopy
CZ33133U1 (en) Electroporation generator for cardiac tissue ablation
JP74822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KR101459940B1 (en) Catheter for mapping and ablating lesion parts
US20230310072A1 (en) Directed pulsed electric field ablation
Bertacchini et al.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systems for clinical use
WO2023192863A1 (en) Directed pulsed electric field ablation
Prabhu et al. Energy sources in laparoscopy
CZ33134U1 (en) High voltage AC power supply for electroporation purposes
UA131947U (en) HIGH-FREQUENCY BIPOLAR PROBE FOR OPENING IN THE OPEN HE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