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163B1 - Wireless charging for 2-d goggles using an imag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ing for 2-d goggles using an imag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163B1
KR101778163B1 KR1020110019632A KR20110019632A KR101778163B1 KR 101778163 B1 KR101778163 B1 KR 101778163B1 KR 1020110019632 A KR1020110019632 A KR 1020110019632A KR 20110019632 A KR20110019632 A KR 20110019632A KR 101778163 B1 KR101778163 B1 KR 101778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isplay device
goggles
rechargeable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0618A (en
Inventor
양승률
이민수
박장웅
전범진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63B1/en
Publication of KR2012010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6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Power Source Coil, Host 통신 부, 및 상기 Host 통신 부를 통해 관련된 3-D 고글기기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된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배정하여 상기 Power Source Coil 을 통해 상기 3-D 고글기기를 무선으로 유도충전 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Host 제어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rom a power source coil, a host communication unit, and a related 3-D goggle device through the host communication unit, D goggles ar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3-D goggles via a power source coil, and a ho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cess of inductively charging the 3-D goggles via the power source coils .

Description

영상 표시기기를 이용한 3-D 고글기기 무선 유도충전 {WIRELESS CHARGING FOR 2-D GOGGLES USING AN IMAGE DISPLAY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goggle device using a video 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표시장치 및 관련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표시기기 및 3-D 고글기기, 그리고 그 기기들의 제어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related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3-D goggle device, and control methods of the devices.

유도 충전은 두 개체간에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 전자기장을 사용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충전 소스 (charging base station)에서 충전대상 기기엔 유도결합 (inductive coupling)의 원리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전송하고 충전 대상기기는 충전지에 에너지 혹은 전력을 저장한다. 유도 충전에 쓰이는 두 코일들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유도 충전은 단거리 무선 충전의 한 예라 하겠다.Inductive charging refers to the use of electromagnetic fields to transfer energy between two objects. In the charging base station, the charging target device transmits energy using the principle of inductive coupling, and the charging target device stores energy or power in the rechargeable battery. Induction charging is an example of short-range wireless charging because there is a gap between two coils used for induction charging.

유도 충전지들은 충전 소스로부터 교류의 전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유도 코일 (induction coil)을 사용하며 충전 대상기기의 두 번째 유도 코일으로 전자기 장에서 전력을 수신하여 전류로 변환시켜 충전 대상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두 유도 코일들은 전기 변압기를 형성한다.The induction rechargeable batteries use an induction coil to generate an alternating current electromagnetic field from the charging source and receive power from the electromagnetic field as a second induction coil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to convert the current into a current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 Both induction coils form an electrical transformer.

본 명세서는 사용자에게 3-D 시청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3-D 고글기기들의 충전 상태를 관련된 영상표시기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모니터하고 적절한 전력을 배정하여 충전하는 영상표시기기, 그 제어 방법, 3-D 고글기기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for effectively monitoring the charging state of one or more 3-D goggles devices necessary for 3-D viewing through a related image display device and charging the device by appropriately allocating electric power, a control method thereof, a 3-D gogg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Power Source Coil, Host 통신 부, 및 상기 Host 통신 부를 통해 관련된 3-D 고글기기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된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배정하여 상기 Power Source Coil 을 통해 상기 3-D 고글기기를 무선으로 유도충전 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Host 제어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ing a power source coil, a host communication unit, and a host communication unit, wherein when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rom a related 3-D goggle device, The goggle device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3-D goggles device and allocates electric power according to the charged state of the 3-D goggles device to inductively charge the 3-D goggle device through the power source coil And a ho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cess.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고글기기는, Power Catch Coil, Rechargeable Battery, Client 통신 부 및 상기 Client 통신 부를 통해 충전 요청을 관련된 영상 표시기기로 송신 하며 상기 영상 표시기기로부터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Rechargeable Battery 의 충전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의해 배정된 전력을 상기 Power Catch Coil을 통해 무선 유도 충전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Rechargeable Battery를 충전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Client 제어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3-D goggl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ransmits a charge request to a related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a Power Catch Coil, a Rechargeable Battery, a Client communication unit and the Client communication unit, A charge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charging state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power alloca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is received by the wireless induction charging method through the power catch coil And a cli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process of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Host 통신 부를 통해 관련된 3-D 고글기기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를 요청하여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3-D 고글기기를 충전할 전력을 배정하는 단계 및 Power Source Coil 을 통해 상기 3-D 고글기기를 무선으로 유도충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device, the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rom a related 3-D goggle device through a host communication unit, Charging the 3-D goggles by requesting a charging state and allocating the power to charge the 3-D goggles, and inducing charging the 3-D goggles by radio via a power source coil And < / RTI >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고글기기의 제어 방법은, Client 통신 부를 통해 충전 요청을 관련된 영상 표시기기로 송신 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기기로부터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시 Rechargeable Battery 의 충전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기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의해 배정된 전력을 Power Catch Coil을 통해 무선 유도 충전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Rechargeable Battery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3-D goggl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charge request to a related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a client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receiving the power alloca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power catch coil, and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

상기와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그 제어 방법, 3-D 고글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3-D 시청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3-D 고글기기들을 사용자의 관여 없이 자동적으로 영상표시기기와 3-D 고글들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충전하는 기능과 편리함을 제공한다.The image display device, the control method thereof, the 3-D goggl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one or more 3-D goggle devices necessary for 3-D viewing It provides the function and convenience to be charged automatically through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video display device and the 3-D goggles.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 의해 충전되는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유도 충전을 실행하는 영상표시기기와 3-D 고글기기의 블록도 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유도 충전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고글기기의 유도 충전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기와 다수의 3-D 고글기기의 유도 충전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상태를 보여주는 3-D 고글기기의 예시도 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3-D 고글기기들의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표시기기의 예시도 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고글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unit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3-5 are illustrations showing several 3-D goggles devices charged by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6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3-D goggle device that implement wireless inductive charg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FIG.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on charging proces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on charging process of a 3-D gogg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FIG. 9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charging proces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plurality of 3-D goggle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10 is an illustration of a 3-D goggles instrument showing a state of char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11 is an illust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state of charge of a plurality of 3-D goggles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3-D gogg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영상표시기기Video display device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아날로그 방식 또는 디지털 방식의 텔레비전 수신기(television receiver; TV), 인터넷 커넥티드 TV(internet connected TV), 아이피 TV(internet protocol TV), 컴퓨터, 게임기 등과 같이 내장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built-in display such as an analog or digital television receiver (TV receiver), an internet connected TV, an internet protocol TV, a computer, a game machine, Means an apparatus for visually displaying an image through an external display device.

특히,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hand writing)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In particular,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is equipped with a handwriting type input device,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interface such as touch screen or space remote control.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인터넷 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through the support of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e-mail, Internet browsing, banking, or a game. For these various functions, a standardized general purpose operating system (OS) can be us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herein. In this cas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freely add or delete various applications on the general-purpose OS kernel, and thus can perform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For example,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a smart TV.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영상표시기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1, an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unit 105,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control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 power supply unit 1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having components having fewer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영상표시기기(100)의 구성요소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05 may include a tuner 110, a demodulator 120, and a network interface 130. [ The tuner 110 and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wit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미리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튜너(110)는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110 selects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ll channels stored in advance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lso, the tuner 110 converts the selected RF broadcasting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or a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예를 들어, 튜너(110)는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Composite Video Banking Sync(CVBS)/Source Input Format(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ing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the tuner 110 converts the analog broadcasting signal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the selected broadcasting signal is an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Format (SIF). That is, the tuner 110 can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CVBS / 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lso, the tuner 110 can receive RF carrier signals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RF carriers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tuner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 audio signal have.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or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먼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the ATSC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an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For this purpose, the demodulator 120 includes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 Solomon decoder, and performs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Remote decoding and the like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리드 솔로먼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a DVB scheme,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COFDMA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For this purpose,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 Reed-Solomon decoder, and the like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on decoding.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perform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nd then output a stream signal TS.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복조부(120)는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emodulating unit 1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scheme and the DVB scheme. That is, the demodulator 120 may be provided as an ATSC demodulator and a DVB demodulator.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demultiplexing, video /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and then outputs the video to the display unit 180 and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ransmits external video, audio, or data signals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can output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 받을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epending on the standard, it can be networked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ls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connected to the various set-top boxes via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to the control unit 170 or the storage unit 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ong Term Evolution Advanced)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an Ethernet terminal or the like for connection to a wired network and may be a WLAN (Wireless LAN) (Wi-Fi), a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Long Term Evolution /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communication standard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an connect to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network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contents or data provided by the contents provider or the network operator. That is,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a movie,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 signal, and the like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through a network.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an transmit data to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an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via a network.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in the control unit 170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예를 들어, 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 RAM, ROM (e.g., EEPROM, etc.), and the lik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reproduce and provide a content file (a moving image file, a still image file, a music file, a document file, an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a user.

도 1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7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etc.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to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 키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or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ting key to the controller 170 have.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user input signal or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or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signal to a sensor unit (not shown). Here, the sensor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170)는 튜너(110),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 signal for video / audio output by demultiplexing a stream input through the tuner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processing the demultiplexed signals, Can be output.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through audio.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the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도 1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미리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previously 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70 may connect to the network and download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desired by the user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처리한 영상/음성신호와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he control unit 170 can process video, audio, or data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 output the processed video / audio signal together with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 캠코더 등)로부터의 영상/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device such as a camera, a camcorder, or the like, which is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ccording to the external device video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In addition,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 the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he image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the image. 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ntering the application viewing item, 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o display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 list of applications or application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external network.

제어부(1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external network together with various user interface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related to the application executed by the user's selection.

한편, 도 1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미도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channel browsing process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channel signal or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have.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미도시)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 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not shown) receives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ing unit 120 or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d extracts a video image from an input stream signal, Images can be generated.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directly or encoded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In addition,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encoded in a stream format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 unit 170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hav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display unit 180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s. On the other hand, the thumbnail images in this thumbnail list can be updated in sequence or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unit 180 converts the video signal, the data signal, the OSD signal, the video signal and the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Signal.

디스플레이부(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may include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 등)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a 5.1 channel signal, or the lik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and outputs the signal. The voice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1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photographing a user can be further provided.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camer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by a plurality of camera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In order to detect a user's gesture, a sensor unit (not shown) hav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operation senso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have. A signal sensed by a sensor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detect the gesture of the user by combining the images captur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the signals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not shown),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video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control unit 170, a display unit 180 for displaying an image, an audio output unit 185 for outputting audio, And the like.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for converting AC power to DC power.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80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backlight lamps,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Not show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inverter.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the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or the lik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output sound or vibration.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above is a fixed type and can be used for digital broadcasting of ATSC system (8-VSB system), digital broadcasting of DVB-T system (COFDM system), digital broadcasting of ISDB-T system (BST- And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영상표시기기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 unit 180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shown in FIG. 1 are excluded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80 and audio Or may be a wireless typ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output unit 185.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Each component on the block diagram can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Also,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apparatus thereof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에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1,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tuner 110 and a demodulator 120, which are not shown in FIG. 1, but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interface 130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and play the video content.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ler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171), 영상 처리부(172), OSD 생성부(175), 믹서(176),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77), 포맷터(17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음성 처리부(미도시) 또는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2,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multiplexer 171, an image processor 172, an OSD generator 175, a mixer 176 ), A frame rate conversion unit 177, a formatter 178,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or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역다중화부(171)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171)는 입력되는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171)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171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the demultiplexer 171 demultiplexes the input MPEG-2 TS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171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the demodulator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5.

영상 처리부(172)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172)는 영상 디코더(173) 및 스케일러(174)를 구비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72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or 172 may include a video decoder 173 and a scaler 174. [

영상 디코더(173)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174)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video decoder 173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174 scales the decoded video signal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0.

영상 디코더(173)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가 상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The video decoder 173 can be equipped with a decoder of various standards.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MPEG-2 standard encoded video signal, the MPEG-2 decoder can decode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가 상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the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cheme or DVB-H, the H.264 decoder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can do.

한편, 영상 처리부(172)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176)로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signal decoded by the video processor 172 is input to the mixer 176.

OSD 생성부(175)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OSD 생성부(175)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OSD generation unit 175 generates an OSD sig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or by itself. For example,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or a control signal, the OSD generating unit 175 can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n graphic or tex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 have.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arious menu screens, a widget, and an icon.

예를 들어, OSD 생성부(175)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SD generation unit 175 may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broadcasting information based on a caption of a broadcast image or an EPG.

믹서(176)는 OSD 생성부(175)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172)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178)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써,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The mixer 176 can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or 175 and the decoded video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172. The mixed signal is provided to formatter 178. The decoded broadcast video signal or the OSD signal is mixed with the external input signal, so that the OSD can be overlaid on the broadcast image or the external input imag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177)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77)는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할 수 있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77)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77)는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77)는 별도의 변환 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A frame rate converter (FRC) 177 can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the frame rate conversion section 177 can convert the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or 240 Hz. When converting the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the frame rate conversion section 177 inserts the same first fram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r inserts the third frame predi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t is possible to insert it. In the case of converting the frame rate of 60 Hz to 240 Hz, the frame rate conversion section 177 can insert three more identical frames or insert three predicted frames. On the other hand,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177 can maintain the input frame rate without any conversion.

포맷터(178)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77)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178)는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The formatter 178 receives the output signal of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177 and changes the format of the signal to be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80 and outputs the signal. For example, the formatter 178 may output R, G, and B data signals and the R, G, and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or mini-LVDS .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erform the voic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To this end,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various decoders.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상기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MPEG 4 디코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If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is a coded speech signal, the speech processor (not shown) in the controller 170 can decode the coded speech signal. For example,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an MPEG 4 decoder, an AAC decoder, or an AC-3 decoder.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can process a base, a treble, a volume control, and the lik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 coded data signal, the data processing unit can decode the coded data signal. Here,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A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case of ATSC scheme and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formation in case of DVB scheme. The ATSC-PSIP information or the DVB-S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tream, i.e., the header (4 bytes) of the MPEG-2 TS.

한편, 도 2에 나타난 제어부(170)의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170 shown in FIG. 2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controller 170 actually implemented.

영상 표시기기를 이용한 3-D 3-D using video display device 고글기기Goggle appliance 무선 유도충전 Wireless induction charging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은 3-D 시청에 필요한 3-D 고글기기의 (goggle device) 충전 상태를 영상표시기가 점검하고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배정하여 무선으로 유도충전 하는 기능과 편리함을 제공한다.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state of a 3-D goggle device, which is required for 3-D viewing, And provides the function and convenience of wirelessly induction charging.

도 3-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 의해 충전되는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3-5 are illustrations showing several 3-D goggles devices charged by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3은 영상 표시기기(302)와 영상 표시기기(302) 에서 제공하는 3-D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서 쓰이는 다수의 3-D 고글기기들(304, 306, 308 & 310)을 보여준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기기(302)로부터 3-D 고글기기들(304-310)의 무선 유도 충전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영상 표시기기(302)상의 power source coil은 여러 유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표시기기 (402)에서 power source coil(404)이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일례로, 영상 표시기기 (406)에서 power source coil(408)이 디스플레이의 밑바닥 반을 따라 설치된다. 일례로, 영상 표시기기 (410)에서 power source coil(412)과 power source coil(414)은 각각 밑바닥 반 왼쪽 그리고 밑바닥 반 오른쪽에 설치된다. 일례로, 영상 표시기기 (416)에서 power source coil(418)은 디스플레이와 밑 받침대를 잇는 접합 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 일례로, 영상 표시기기 (420)에서 power source coil(422)은 디스플레이의 밑 받침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다.3 shows a plurality of 3-D goggles devices 304, 306, 308 & 310 used for viewing 3-D contents provid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FIG. As illustrated in FIG. 4, the power source coil on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used to perform wireless inductive charging of the 3-D goggles devices 304-310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may be applied in various types have. For exampl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402, a power source coil 404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In one example, a power source coil 408 is installed along the bottom half of the display in the video display device 406. For example, in the video display device 410, the power source coil 412 and the power source coil 414 are installed at the bottom half left and the bottom right half respectively. For exampl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416, the power source coil 418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joint portion connecting the display and the base. For exampl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420, the power source coil 422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of the display.

또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기기(302)로부터 3-D 고글기기들(304-310)의 무선 유도 충전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3-D 고글기기(304-310)상의 power catch coil은 여러 유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3-D 고글기기(502)에서는 두 개의 power catch coil들(504 & 506)이 오른쪽, 왼쪽 렌즈들의 가장자리들을 따라 설치되어있다. 도 4와 도 5에서, power source coil과 power catch coil의 제한적인 유형들이 예시되어 있으나 영상표시기기와 3-D 고글기기의 디자인과 기능을 고려해 다양한 유형들이 가능할 수 있다.5, a power catch on the 3-D goggles 304-310 used to perform wireless inductive charging of the 3-D goggles 304-310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The coil can be applied in several types. For example, in the 3-D goggle device 502, two power catch coils 504 & 506 are installed along the edges of the right and left lenses. 4 and 5, limited types of power source coils and power catch coils are illustrated, but various types may be possible considering the design and func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the 3-D goggle device.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유도 충전을 실행하는 영상표시기기와 3-D 고글기기의 블록도 이다. 6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3-D goggle device that implement wireless inductive charg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일례로, 영상 표시기기(602)는 power source coil(604), Host 통신 부(606) 및 Host 제어 부(608)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영상 표시기기는(602)는 어댑터(610)를 포함한다. 또한 Host 제어 부(608)는 관련된 3-D 고글기기(614)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할 시 3-D 고글기기(614)의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된 3-D 고글기기(614)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배정한다. 또한, 전력 공급처(612)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어댑터에서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기며 Power Source Coil(604)을 통해 3-D 고글기기(614)를 무선으로 유도충전 한다.For example,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includes a power source coil 604, a host communication unit 606, and a host control unit 608. 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includes an adapter 610. The host controller 608 also sends a signal requesting the charging status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when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rom the associated 3-D goggles device 614, The power is alloc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614. In addi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ource 612, and the adapter converts the AC to DC, and wirelessly induction-charges the 3-D goggle device 614 via the power source coil 604. [

도 6에서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고글기기(614)는 Power Catch Coil(616), Client System (618)의 일부인 Rechargeable Battery(620), Client 통신 부(622) 및 Client 제어 부(624)을 포함한다. 또한, Client 제어 부(624)에선, Client 통신 부(622)를 통해 충전 요청을 관련된 영상 표시기기(602)로 송신 하며, 영상 표시기기(602)로부터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시 Rechargeable Battery(620)의 충전 상태를 영상 표시기기(602)로 송신한다. 이에 더하여, Client 제어 부(624)는 영상 표시기기(602)에 의해 배정된 전력을 Power Catch Coil(616)을 통해 무선 유도 충전 방식으로 수신하여 Rechargeable Battery(620)를 충전한다.The 3-D goggles device 6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FIG. 6 includes a power catch coil 616, a rechargeable battery 620 that is a part of the client system 618, a client communication unit 622, and a client control unit 624 ). The client control unit 624 transmits a charge request to the related image display device 602 via the client communication unit 622 and receives a chargeable state request signal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 And transmits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62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 In addition, the client control unit 624 receives the power allocat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through the power catch coils 616 in a wireless inductive charging mann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620.

일례로, Host 통신 부(606)는, Zigbee 통신방법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IrDA나 Bluetooth, UWB 등의 다른 통신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host communication unit 606 is characterized by being based on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other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IrDA, Bluetooth, and UWB may be used.

또한, Host 제어 부(608)는 (LC 회로에 근거한) Power Source Coil(604)의 공명 주파수를 3-D 고글기기(614)의 (LC 회로에 근거한) Power Catch Coil(616)공명 주파수와 일치시켜 3-D 고글기기(614)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배정된 전력으로 3-D 고글기기(614)를 무선으로 유도충전 할 수도 있다. 일례로,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의 충전이 필요할 시,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을 모두 같은 공명 주파수로 설정하고 각 3-D 고글기기들의 load를 조정하여 영상표시기기(602)로부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3-D 고글기기들을 모두 같은 공명 주파수로 설정하고 각 3-D 고글기기에 전달되는 전력량은 각 3-D 고글의 전력충전 circuit의 open/close의 time length를 제어해서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에 모두 다른 공명 주파수를 지정하고 각각의 공명주파수에 상응하는 power source coil을 영상표시기기(602)에 설치하여 할당된 전력량을 각각의 3-D 고글기기에 다른 공명주파수를 이용하여 공급할 수 있다.The host controller 608 also compares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ower Source Coil 604 (based on the LC circuit)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ower Catch Coil 616 (based on the LC circuit)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The 3-D goggles device 614 may be inductively charged wirelessly with the power allocated according to the charged state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3-D goggles are required to be charged, the plurality of 3-D goggles are all set to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loads of the respective 3-D goggles are adjusted, Can be supplied. In addition, the 3-D goggles can be set to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nd the amount of power delivered to each 3-D goggles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n / close time length of the power charging circuit of each 3-D goggle. Also, a different resonance frequency is designated for each of the 3-D goggles, and a power source coil corresponding to each resonance frequency is install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so that the amount of power allocated to each 3-D goggle device It can be supplied using other resonant frequencies.

도 6에서 Client 통신부(622)와 Client 제어 부(624)는 영상표시기기(602)와의 통신에 필요한 초기전력을 영상표시기기(602)로부터 공급받거나 혹은 영상표시기기(602)로의 ‘standby power’를 감지해서 사용할 수 있다.6, the client communication unit 622 and the client control unit 624 receive an initial power requir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or receive a standby power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Can be detected and used.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유도 충전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이다. 일례로, 도 6에서의 영상 표시기기(602)는 충전 요청이 수신 되기 전 까지는 ‘standby’상태(702)를 유지한다. 3-D 고글기기(614)로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한 상태, 즉 ‘admitting’상태(704)에서 영상 표시기기(602)는 3-D 고글기기(614)로 3-D 고글기기(614)의 충전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고, 충전 상태가 3-D 고글기기(614)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standby’상태(702)로 회귀하고 3-D 고글기기(614)의 충전 상태가 수신되면 전력을 배정하는‘allocating power’상태(706)로 전환한다. 전력배정이 끝난 후엔 다음 상태인 ‘supporting the total power’상태(708)로 이동하여 전력을 3-D 고글기기(614)의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시키며 새로운 충전 상태를 보고 받거나 전력 재 배정 신호를 수신하면 ‘allocating power’상태(706)로 회귀한다. FIG.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on charging proces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For example,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in FIG. 6 maintains the 'standby' state 702 until a charging request is received. In the 'admitting' state 704, when the charg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3-D goggles device 614,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transmits the 3-D goggles device 614 to the 3-D goggles device 614 Standby state 702 and a charge state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is received when the state of charge is not received from the 3-D goggle device 614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Quot; allocating power " state 706 to allocate power. After the power allocation is completed, the state is shifted to the 'supporting the total power' state 708 and the power is continued until the charging of the 3-D goggle device 614 is terminated, and a new charging state is reported, And returns to the 'allocating power' state (706).

또한, Host 제어 부(608)는, 3-D 고글기기(614)의 충전 상태가 “Fully Charged”일 시 충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영상 표시기기(602)의 Host 제어 부(608)가 3-D 고글기기(614)가 “Fully Charged”됐다는 상태 보고를 수신하면, ‘standby’ 상태(702)로 상태를 전환 한다.Further, the host control unit 60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is stopped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is " Fully Charged ". For example, when the host control unit 608 of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receives a status report indicating that the 3-D goggles device 614 is "Fully Charged", the host control unit 608 switches the state to the 'standby' state 702.

또한, Host 제어 부(608)는, 3-D 고글기기(614)를 유저가 착용 할 시 충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3-D 고글기기(614)의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인 ‘supporting the total power’상태(708)에서 유저가 3-D 고글기기(614)을 착용하는 경우, 영상 표시기기(602)는 충전을 중단하고 ‘standby’상태(702)를 유지한다. 그리고, 유저가 3-D 고글기기(614)의 착용을 중단할 시 3-D 고글기기(614)로부터 충전 요청을 받고 도 7에서 보여지는 충전 과정을 재개한다.Further, the host control unit 60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is stopped when the user wears the 3-D goggle device 614. For example, when the user wears the 3-D goggles device 614 in the 'supporting the total power' state 708 in which the 3-D goggles device 614 is being charged, Stops charging and maintains a 'standby' state 702. When the user stops wearing the 3-D goggle device 614, the charging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3-D goggle device 614, and the charging process shown in FIG. 7 is resumed.

또한 Host 제어 부(608)는, 3-D 고글기기(614)가 “Out-of-range”일 시 충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3-D 고글기기(614)를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인 ‘supporting the total power’상태(708)에서 충전 범위 밖으로 이동되면 충전을 중단하고 ‘standby’상태(702)를 유지한다. 또한, 3-D 고글기기(614)가 충전 범위 안으로 이동하면 3-D 고글기기(614)부터 충전 요청이 있을 시 도 7에서 보여지는 충전 과정을 재개한다.Further, the host control unit 60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is stopped when the 3-D goggle device 614 is in the "Out-of-range" state. For example, if the 3-D goggles device 614 is moved out of the charging range in the 'supporting the total power' state 708, the charging is stopped and the 'standby' state 702 is maintained. When the 3-D goggles device 614 moves into the charging range, the charging process shown in FIG. 7 is resumed when the 3-D goggles device 614 requests charging.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고글기기의 유도 충전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이다.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on charging process of a 3-D gogg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8에서 도 6에서의 3-D 고글기기(614)의 충전이 필요 없거나, 충전이 불가능 하거나, 혹은 착용 중인 경우 ‘standby’상태(802)를 유지한다. 하지만, 충전이 필요해진 경우, 충전이 가능한 경우 그리고 착용 중이 아닐 시, 3-D 고글기기(614)의 상태는 ‘requesting to charge’상태(804)로 전환 된다. 이 상태에서 3-D 고글기기(614)는 충전 요청을 영상표시기기(602)에 송신하고 충전 요청이 영상 표시기기(602)에 의해 승인 되지 않으며 현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충전 요청이 영상 표시기기(602)에 의해 승인 되면 다음 상태인 상태 보고, 즉‘reporting status’상태(806)로 전환된다. In FIG. 8, the 'standby' state 802 is maintained when charging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in FIG. 6 is not necessary, charging is impossible, or is being worn. However, the state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is switched to the 'requesting to charge' state 804 when charging is required, when charging is possible, and not when it is being worn. In this state, the 3-D goggles device 614 transmits a charge reques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and the charge request is not accep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and remains in the current state. Conversely, when the charging request is approv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the status is switched to the 'reporting status' state 806, which is the next state.

3-D 고글기기(614)는 ‘reporting status’상태(806)에서 현 3-D 고글 기기(614)의 충전 상태를 영상표시기기(602)로 송신하며 영상표시기기(602)의 전력배정결과에 따라서 다음 상태를 결정한다. 즉, 전력배정이 되지 않은 경우 ‘requesting to charge’상태(804)로 회귀하여 충전 요청을 계속하거나 전력배정이 미뤄지는 경우에는 ‘reporting status’상태(806)를 유지한다. 또한, 3-D 고글 기기(614)의 충전에 소요될 전력이 배정된 경우엔, 다음 상태, 즉 “listening to new power allocation and/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allocated power’상태(808)로 전환하여 배정된 전력을 수신하고 배정된 전력으로 3-D 고글 기기(614)를 충전한다.The 3-D goggles device 614 transmits the charging status of the current 3-D goggles device 614 to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in the 'reporting status' state 806 and the power allocation resul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To determine the next state. That is, if the power allocation is not performed, the system returns to the 'requesting to charge' state 804 to continue the charging request, or maintains the 'reporting status' state 806 when the power allocation is delayed. If the power required for charging the 3-D goggles device 614 is allocated, the next state is switched to the " listening to new power allocation " and / 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allocated power state 808, And charges the 3-D goggles device 614 with the allocated power.

또한, 3-D 고글 기기(614)의 충전 상태가 바뀌면 다음 상태인 ‘updating status’상태(810)으로 전환하며, 3-D 고글 기기(614)의 충전 상태가 바뀌지 않으면 ‘listening to new power allocation and/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allocated power’상태(808)를 유지한다. 또한, 전력 충력이 필요하고, 전력 충전이 가능하며 배정된 전력이 ‘0’일 경우에 ‘updating staus’상태(810)를 유지하며 배정된 전력이 ‘0’보다 크면 ‘listening to new power allocation and/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allocated power’상태(808)로 회귀한다. 또한, ‘updating status’상태(810)에서 충전이 필요 없거나 충전이 불가능 할 시 ‘standby’ 상태(802)로 회귀한다.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is changed, the state changes to the state of 'updating status' 810.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does not change, and / or receiving and charging the allocated power 'state (808). In addition, if power allocation is required, power charging is possible, and the allocated power is '0', the 'updating staus' state 810 is maintained. If the allocated power is greater than '0' / RTI > < RTI ID = 0.0 > and / or < / RTI > Also, in the 'updating status' state 810, when the charging is not necessary or the charging is impossible, the system returns to the 'standby' state 802.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기와 다수의 3-D 고글기기의 유도 충전과정을 보여주는 상태도 이다.FIG. 9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ductive charging process of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plurality of 3-D goggle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9는 일례로 하나의 영상표시기기(302)와 두 개의 3-D 고글기기들 (304 & 306)이 전력충전 과정 중의 여러 상태들을 보여주는 상태도 이다. 먼저 도 9의 상단은 첫 번째 고글기기(304) 전력충전 과정 중의 여러 상태들(902)을 보여준다. 또한, 도 9의 하단은 두 번째 고글기기(306) 전력충전 과정 중의 여러 상태들(904)을 보여준다. 또한 도 9의 중앙은 첫 번째 고글기기(304)와 두 번째 고글기기(306)의 전력 충전 과정 중 전력을 제공하는 영상표시기기(302)의 여러 상태들(906)을 보여준다. 9 is a state diagram showing one state of an image display device 302 and two 3-D goggles devices 304 & 306 during a power charging process. First, the top of FIG. 9 shows various states 902 during the first goggle appliance 304 power charging process. In addition, the bottom of FIG. 9 shows various states 904 during the second goggle device 306 power charging process. 9 also shows various states 906 of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that provide power during the power charging process of the first goggles device 304 and the second goggles device 306. [

도 9에서 ‘standby’ 상태(908)인 3-D 고글기기(304)는 충전이 필요할 시 ‘requesting to charge’ 상태(910)으로 전환하여 ZigBee 혹은 다른 personal area network(PAN) 통신을 통해 영상 표시기기(302)로 전력 충전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전력 충전 요청 신호를 수신한 영상표시기기(302)는 ‘admitting’상태(912)에서 3-D 고글기기(304)로 3-D 고글기기의 전력 충전 정도(level)의 보고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3-D 고글기기(304)는 ‘reporting status’상태(914)로 전환하여 3-D 고글기기(304)의 전력 충전 정도를 영상표시기기(302)로 송신한다. 또한, 3-D 고글기기(304)의 전력 충전 정도를 수신한 영상 표시기기(302)는 ‘allocating power’상태(916)에서 3-D 고글기기(304)에 충전될 전력량을 배정하여 3-D 고글기기(304)에 통보한다. 배정된 전력량을 3-D 고글기기(304)에 충전하기 위해서 영상 표시기기(302)가 송신될 전력량만큼 전력을 송신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3-D 고글기기(304)가 충전 되는 전력량을 모니터 하여 배정된 전력량의 충전이 완료되면 3-D 고글기기(304)에서 영상 표시기기(302)로 부터의 전력 수신을 거부하거나 혹은 영상 표시기기(302)에 전력 송신의 종료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도 있다. The 3-D goggles device 304, which is in the 'standby' state 908 in FIG. 9, switches to the 'requesting to charge' state 910 when charging is required and displays the image through a ZigBee or other personal area network And sends a signal to the device 302 requesting power charging.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having received the power charging request signal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reporting of the power charging level of the 3-D goggle device to the 3-D goggle device 304 in the 'admitting' state 912 The 3-D goggle device 304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e power of the 3-D goggle device 304 to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by switching to a 'reporting status' state 914. [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receiving the power charging degree of the 3-D goggles device 304 allocate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to be charged to the 3-D goggles device 304 in the 'allocating power' state 916, D < / RTI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ime for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to transmit power by the amount of power to be transmitted in order to charge the allocated power amount to the 3-D goggles device 304. [ Alternatively, the 3-D goggles device 304 monitors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to be charged, and when the charging of the allocated electric power is completed, the 3-D goggle device 304 refuses to receive power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Or may transmit a signal reques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to terminate the power transmission.

한편, 또 다른 3-D 고글기기(306)가 충전 중 ‘updating status’ 상태(918)가 ‘fully charged’라고 보고 될 때 영상 표시기기(302)는 ‘allocating power’상태(920)에서 3-D 고글기기(306)의 전력 충전을 종료하고 3-D 고글기기(304)의 충전을 위한 전력배정을 업데이트한다. 또한, 전력 충전이 완료된 3-D 고글기기(306)는 ‘standby’상태(922)를 전력 충전이 다시 필요할 때 까지 유지한다. 또한, 유저가 3-D 고글기기(304)를 착용할 시, ‘updating status’ 상태(924)에서 전력 공급의 중단을 영상표시기기(302)에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고 영상 표시기기(302)는 이에 화답하여 ‘allocating power’ 상태(926)에서 전력 공급을 멈춘다. 3-D 고글기기(304)는 3-D 고글 기기(306)의 예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전력 충전이 필요 할 때까지 ‘standby’상태(928)을 유지한다. 또한, 도 9에서 보여지진 않지만, 3-D 고글기기(304)나 3-D 고글기기(306)는 Out-of-range”일 시 고글 착용시나 ‘fully charged’ 경우와 같이 충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nother 3-D goggles device 306 is reported to be 'fully charged' during the 'updating status' state 918 during charging,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displays 3- D goggles device 306 and updates the power allocation for charging the 3-D goggles device 304. [0050] Also, the 3-D goggles device 306 that has completed the power charging maintains the 'standby' state 922 until power charging is needed again. 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the 3-D goggles device 304,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sends a signal reques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to stop the power supply in the 'updating status' state 924 In response, the power supply is stopped in the 'allocating power' state (926). The 3-D goggles device 304 maintains the 'standby' state 928 until a new power charge is required, as in the example of the 3-D goggles device 306. 9, the 3-D goggle device 304 and the 3-D goggle device 306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is stopped when the goggles are worn when in an out-of-range " .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상태를 보여주는 3-D 고글기기의 예시도 이다.10 is an illustration of a 3-D goggles instrument showing a state of charg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10에서 3-D 고글기기(1002)는 power catch coil(1004), power catch coil(1006), a button(1008) 및 3-D 고글기기(1002)의 Rechargeable Battery의 충전 정도를 표시하는 LED 혹은 LCD(1010)를 포함 한다. 상기 LED 혹은 LCD(1010)는 몇 단계의 충전 단계를 구별되는 색으로 표시해 주는 혹은 percentage를 숫자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D 고글기기(1002)는 영상 표시기기(302)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3-D 고글기기(1002)의 Rechargeable Battery를 선택하면 LED 혹은 LCD(1010)가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D 고글기기(1002)는 Rechargeable Battery의 충전 상태를 송신하여 영상 표시기기(302)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3-D 고글기기(1002)의 button(1008)을 눌러주면 영상 표시기기(302)의 디스플레이 상에 3-D 고글기기(1002)의 Rechargeable Battery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0, the 3-D goggles device 1002 includes a power catch coil 1004, a power catch coil 1006, a button 1008, and an LED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charging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3-D goggles device 1002 Or an LCD 1010. The LED or LCD 10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tages of charging in different colors or displaying a percentage in numerals. The 3-D goggles device 100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or LCD 1010 reacts when a rechargeable battery of the 3-D goggles device 1002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is selected. Also, the 3-D goggles device 100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transmit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If the button 1008 of the 3-D goggle device 1002 is pressed, the rechargeable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3-D goggle device 100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302.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3-D 고글기기들의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표시기기의 예시도 이다.11 is an illustration of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state of charge of a plurality of 3-D goggles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1102)의 Host 제어 부는, Host 통신 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3-D 고글기기들(1106, 1110, 1114 & 1118)을 충전하며 그 충전 상태들을 디스플레이(1104)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영상 표시기기(1102)는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 각각의 충전 상태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상(1104)에 표시한다. 각각의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1108, 1112, 1116 & 1120)는 N 단계의 충전 필요 범위와 “Fully Charged”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the host controller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102 charges one or more 3-D goggles devices 1106, 1110, 1114 & 1118 via the host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s the charge states thereof (1104). For example, the video display device 1102 receives and displays the charging statu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3-D goggles devices on the display image 1104. The charging states 1108, 1112, 1116 & 1120 of the respective 3-D goggles devices are characterized by including N need charging ranges and " Fully Charged "

또한, 영상 표시기기(1102)의 디스플레이 상(1104)에 표시된 3-D 고글기기 혹은 Rechargeable Battery를 선택하면 상응되는 3-D 고글기기의 LED 혹은 LCD가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f a 3-D goggle device or a rechargeable battery displayed on the display image 1104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102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LED or LCD of the 3-D goggle device reacts.

또한, 일례로 영상표시기기(1102)의 Host 제어 부는, 상기 Host 통신 부를 통해 관련된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1106, 1110, 1114 * 1118)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할 시 각각의 3-D 고글기기의 충전에 배정되는 전력을 동일 하게 배정하여 영상표시기기(1102)의 Power Source Coil 을 통해 3-D 고글기기들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례로 영상표시기기(1102)의 Host 제어 부는, Host 통신 부를 통해 관련된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1106, 1110, 1114 & 1118)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의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된 상기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의 충전상태들을 비교하여 충전 상태가 낮은 고글기기의 충전을 우선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례로 영상표시기기(1102)의 Host 제어 부는, 상기 Host 통신 부를 통해 관련된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1106, 1110, 1114 & 1108)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할 시 상기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의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된 상기 여러 개의 3-D 고글기기들의 충전 상태를 비교하여 충전 상태가 높은 고글기기의 충전을 우선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st controller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102 may receive a charge request from a plurality of related 3-D goggles devices 1106, 1110, 1114 and 1118 via the host communication unit, D goggles are charged through the Power Source Coil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102 by equally allocating the power allocated to the charging of the D goggles. The host controller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102 may receive a charge request from several related 3-D goggles devices 1106, 1110, 1114 & 1118 via the host communication unit. D goggles are charged and the charging of the goggles having a low charging state is first performed by comparing the charging states of the plurality of 3-D goggles devices received. In addition, the host controller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102 may receive a charge request from several related 3-D goggles devices 1106, 1110, 1114, and 1108 through the host communication unit. -D goggles ar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3-D goggles, and the charging of the goggles having a high charging state is first performed by comparing the charging states of the plurality of 3-D goggles.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기기(302 혹은 602)는 Host 통신 부(606)를 통해 관련된 3-D 고글기기(614)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210)를 포함한다. 또한, 3-D 고글기기(614)의 충전 상태를 영상표시기기(602)에 요청하여 3-D 고글기기(614)의 충전 상태를 수신하고 3-D 고글기기(614)를 충전할 전력을 배정하는 단계(S1220)를 포함한다. 또한, Power Source Coil(604) 을 통해 3-D 고글기기(614)를 무선으로 유도충전 하는 단계(S1230)를 포함한다.12, the video display device 302 or 602 includes a step S1210 of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rom the related 3-D goggles device 614 through the host communication unit 606. [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is requested to charge the 3-D goggles device 614 to receive the charged state of the 3-D goggles device 614 and to charge the 3-D goggles device 614 (S1220). Also included in step S1230 is the step of inductively charging the 3-D goggles device 614 wirelessly via the Power Source Coil 604.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3-D 고글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3-D gogg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도 13을 참조하면, Client 통신 부(622)를 통해 충전 요청을 관련된 영상 표시기기(602)로 송신 하는 단계(S131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표시기기(602)로부터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시 Rechargeable Battery (620)의 충전 상태를 영상 표시기기(602)로 송신하는 단계(S132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표시기기(602)에 의해 배정된 전력을 Power Catch Coil(616)을 통해 무선 유도 충전 방식으로 수신하여 Rechargeable Battery(620)를 충전하는 단계(S1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3, a step S1310 of transmitting a charging request to a related image display device 602 through a client communication unit 622 is includ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charge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62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the charge state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602 (S1320). In addition, the step S1330 includes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620 by receiving the power allocated by the video display device 602 through the power catch coils 616 in the wireless induction charging mode.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an be applied only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embodiments Or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n imag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isclosure disclosed herein.

100: 영상표시기기 105: 방송 수신부
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140: 저장부
15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부 185: 오디오 출력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제어장치
100: video display device 105: broadcast receiver
135: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140:
150: user input interface unit 170:
180: display unit 185: audio output unit
190: power supply unit 200: remote control device

Claims (2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Power Catch Coil;
Rechargeable Battery;
Client 통신 부; 및
상기 Client 통신 부를 통해 충전 요청을 관련된 영상 표시기기로 송신 하며상기 영상 표시기기로부터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Rechargeable Battery 의 충전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기기로 송신하며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의해 배정된 전력을 상기 Power Catch Coil을 통해 무선 유도 충전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Rechargeable Battery를 충전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Client 제어 부를 포함하고,
상기 Rechargeable Battery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LED 혹은 LCD와 상기 LED 혹은 LCD를 작동하는 button을 더 포함하는 3-D 고글기기.
Power Catch Coil;
Rechargeable Battery;
Client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a charge request to the related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the client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a charge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the charge state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a clien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ocess of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by receiving the allocated power via the power catch coils in a wireless induction charging mode,
Further comprising an LED or LCD for displaying a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button for operating the LED or LC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echargeable Battery 의 충전 상태는 N 단계의 충전 필요 범위와 “Fully Charged”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고글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harge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ncludes an N-level charge required range and a " Fully Charged " step.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LED 혹은 LCD는 몇 단계의 충전 단계를 구별되는 색으로 표시해 주는 혹은 percentage를 숫자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고글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ED or LCD ha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charging step of several stages in different colors or displaying the percentage in numerical valu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lient 제어 부는, 상기 Client 통신 부를 통해 상기 Rechargeable Battery의 충전 상태를 송신하여 상기 영상 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고글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lient control unit transmits the state of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through the client communication uni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lient 제어 부는, 상기 Client 통신 부를 통해 상기 영상 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기 Rechargeable Battery를 선택하면 상기 LED 혹은 LCD가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고글기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lient control unit responds to the LED or LCD when the rechargeable battery selected on the display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s selected through the client communication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lient 제어 부는, 상기 button을 눌러주면 상기 영상 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Rechargeable Battery 의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고글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lient controller displays the state of charg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n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when the button is press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lient 제어부는, 상기 Rechargeable Battery의 충전 상태가 “Fully Charged”단계일 시 충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고글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lient controller stops charging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is in the " Fully Charged " step.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ower Catch Coil의 공명 주파수를 상기 영상 표시기기의 Power Source Coil의 공명 주파수와 일치시켜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의해 배정된 전력을 상기 Power Catch Coil을 통해 무선 유도 충전 방식으로 상기 Rechargeable Battery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고글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by the wireless induction charging method through the power catch coils by match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ower catch coils with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ower source coi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Features 3-D goggles device.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Host 통신 부를 통해 관련된 3-D 고글기기로 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를 요청하여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3-D 고글기기를 충전할 전력을 배정하는 단계 - 상기 3-D 고글기기의 충전 상태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3-D 고글기기의 Rechargeable Battery 의 충전 상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함 -; 및
Power Source Coil 을 통해 상기 3-D 고글기기를 무선으로 유도충전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고글기기는 상기 Rechargeable Battery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LED 혹은 LCD와 상기 LED 혹은 LCD를 작동하는 button을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 방법.
Receiving a charging request from an associated 3-D goggle device through a host communication unit;
D goggles to request charging of the 3-D goggles to receive the charging status of the 3-D goggles and to allocate power to charge the 3-D goggles; Comprising receiving a charge state of a rechargeable battery of the 3-D goggles device; And
And wirelessly induction-charging the 3-D goggle device via a power source coil,
Wherein the 3-D goggle device comprises an LED or LCD for displaying a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a button for operating the LED or the LCD.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2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3-D 고글기기의 제어 방법에서,
Client 통신 부를 통해 충전 요청을 관련된 영상 표시기기로 송신 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기기로부터 충전 상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시
Rechargeable Battery 의 충전 상태를 상기 영상 표시기기로 송신하는 단 단계; 및
상기 영상 표시기기에 의해 배정된 전력을 Power Catch Coil을 통해 무선 유도 충전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Rechargeable Battery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고글기기는 상기 3-D 고글기기의 상기 Rechargeable Battery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LED 혹은 LCD와 상기 LED 혹은 LCD를 작동하는 button을 포함하는 3-D 고글기기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3-D goggle device,
Transmitting a charging request to a related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a client communication unit;
When receiving a signal requesting charging status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charging state of th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And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by receiving power alloca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a power catch coil in a wireless induction charging mode,
Wherein the 3-D goggle device includes an LED or LCD for displaying a charge amount 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3-D goggle device, and a button for operating the LED or the LCD.
KR1020110019632A 2011-03-04 2011-03-04 Wireless charging for 2-d goggles using an image display device KR1017781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632A KR101778163B1 (en) 2011-03-04 2011-03-04 Wireless charging for 2-d goggles using an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632A KR101778163B1 (en) 2011-03-04 2011-03-04 Wireless charging for 2-d goggles using an imag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618A KR20120100618A (en) 2012-09-12
KR101778163B1 true KR101778163B1 (en) 2017-09-13

Family

ID=4711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632A KR101778163B1 (en) 2011-03-04 2011-03-04 Wireless charging for 2-d goggles using an imag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3281A1 (en) * 2009-04-07 2010-10-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dul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3281A1 (en) * 2009-04-07 2010-10-0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dul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MNR] 세계에서 가장 가벼운 3D 안경의 무게는?", SAMSUNG Newsroom, 2011.01.02. <인터넷: https://news.samsung.com/kr/77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618A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7023B2 (en) Medi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886632B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the digital device
KR101812165B1 (en) Method for extending application and a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KR20170014886A (en) Display device
KR20170042086A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US9015751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80041961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170006760A (en) Multimedia device
KR101687611B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a system thereof
KR20120034996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514443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150069948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778163B1 (en) Wireless charging for 2-d goggles using an image display device
KR20160009415A (en) Video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haring ccontents with external input appatatus
KR10172049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568664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10170863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114295A (en) Apparatus for viewing 3d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08631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94802A (en) Wireless rf based remote control device equipped to connect with a headset and keyboard
KR20170022333A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101688149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KR102281342B1 (en) Multivis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11842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g the same
KR20120115699A (en)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virtual channel brows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