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773B1 -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 Google Patents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773B1
KR101777773B1 KR1020170023798A KR20170023798A KR101777773B1 KR 101777773 B1 KR101777773 B1 KR 101777773B1 KR 1020170023798 A KR1020170023798 A KR 1020170023798A KR 20170023798 A KR20170023798 A KR 20170023798A KR 101777773 B1 KR101777773 B1 KR 10177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bush
supporting beam
joint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7002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7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7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ncludes a holding plate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loaded, a supporting beam which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holding plate for supporting the holding plate; a bracket which maintains connection between the holding plate and the supporting beam be being combined with the holding plate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ing beam, and a tilting unit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bracket and maintains a tilting angle while guiding the tilting of the holding plat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who puts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holding plate and uses the portable terminal by controlling an angle by forcedly rotating the holding plate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ircumferenc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and fixing a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angle is controlled through a compression elastic member, unlike existing technology.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HOLDER FOR NOTEBOOK COMPUTER}{HOLDER FOR NOTEBOOK COMPUTE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거치판을 서포팅빔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켜 각도 조절을 하며 압축탄성부재를 통해 각도 조절되는 상태로 위치 고정 가능하고, 링크 구조를 통해 평면상 거치판의 위치 변경이 가능함과 아울러 관절압축탄성부재를 통해 위치 변경된 상태를 고정 가능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판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f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by forcefully rotating the holder plat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upporting beam, A position of the mounting plate on the plane can be changed through the link structure, and a position changed state can be fixed through the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intende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who places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mounting plate, .

노트북 컴퓨터를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무게로 이루어진다. 휴대용 단말기는 그 제작 특성을 통해 휴대하면서 필요시 언제 어디서든 문서작성 및 정보의 입, 출력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Portable terminals, including notebook computers, are sized and weighted for personal use. The portable terminal is capable of carrying out document creation and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t any time, whenever necessary, while carrying it through its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키보드와 모니터가 붙어서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사용시에 액정화면이 너무 낮아서 자세를 구부리거나 시선을 아래쪽에 두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disposed with the keyboard and the monitor attached thereto,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liquid crystal screen is too low when the user uses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bend his or her posture or to place the gaze downward.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적용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는 거치판을 포함한다. 거치판은 경사지도록 배치되어서, 액정화면을 정면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inconvenience, a holder of a portable terminal can be applied. The stand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ounting plate for supporting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stationary plate is disposed so as to be inclined so that the liquid crystal screen can be viewed from the front.

특히, 노트북 거치대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0384375호(명칭: 다기능 노트북 받침대)가 있다.Particularly, as a prior art related to a notebook mount, there is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84375 (name: multifunctional notebook mount).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technical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거치판의 틸팅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휴대용 단말기의 각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have a means for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the cradle, so that the angl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not be adjusted.

그리고,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다관절(복수의 링크)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 또는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맞게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adl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not composed of multiple joints (plural link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not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user or the use condition of the user.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거치판을 서포팅빔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켜 각도 조절을 하며 압축탄성부재를 통해 각도 조절되는 상태로 위치 고정 가능하고, 링크 구조를 통해 평면상 거치판의 위치 변경이 가능함과 아울러 관절압축탄성부재를 통해 위치 변경된 상태를 고정 가능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판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being rot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upporting beam, A position of the mounting plate on the plane can be changed through the link structure, and a position changed state can be fixed through the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intended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who places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mounting plat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를 올려놓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을 지지하도록 바닥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서포팅빔; 상기 서포팅빔을 감싼 채 상기 거치판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거치판과 상기 서포팅빔의 연결을 유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판을 상기 서포팅빔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틸팅을 안내하면서 틸팅 각도를 유지하는 틸팅부를 포함한다.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late o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placed; A supporting beam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to support the mounting plate; A bracket for re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unting plate and the supporting beam as it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ing beam; And a tilting unit disposed inside the bracket and holding the tilting angle while guiding tilting of the mounting pl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상기 브라켓은, 상기 거치판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포팅빔과 상기 틸팅부를 축 삽입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서포팅빔의 양측이 노출되도록 축 삽입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The bracket includes a base plate detachably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and axially inserting the supporting beam and the tilting unit; And a housing slidably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axially inserted to expose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beam.

상기 틸팅부는, 상기 서포팅빔을 축경부와 확경부로 구분짓는 단턱부; 상기 단턱부 측에 인접되거나 상기 단턱부에 접한 채 상기 축경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을 가압하여 상기 거치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제 1틸팅부쉬; 상기 축경부의 단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을 가압하여 상기 거치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제 2틸팅부쉬; 상기 제 2틸팅부쉬에 일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축경부에 축 삽입되는 틸팅압축탄성부재; 및 상기 축경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압축탄성부재의 압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축경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압축탄성부재의 압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2틸팅부쉬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 틸팅압축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거치판에 가해지는 틸팅력을 설정하는 틸팅죄임부재를 포함한다.Wherein the tilting portion comprises: a step portion dividing the supporting beam into a reduced diameter portion and a reduced diameter portion; A first tilting bushing which is adjacent to the step portion side or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haft portion with a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and presses the bracket to firmly support the mounting plate; A second tilting bush inserted to be fixed at an end portion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and pressurizing the bracket to firmly support the mounting plate; A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that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shaft portion to be elastically suppor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tilting bush; And a second tilting bushing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and adjusts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to adjust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And a tilting clamp which adjusts a pressing force of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to set a tilting force applied to the fixing plate.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 1틸팅부쉬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제 1틸팅부쉬를 감싸는 제 1틸팅보강부재; 및 상기 제 2틸팅부쉬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제 2틸팅부쉬를 감싸는 제 2틸팅보강부재를 포함한다.Wherein the til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tilting bush for reinforcing rigidity of the first tilting bush; And a second tilting reinforcing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tilting bush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second tilting bush.

상기 서포팅빔은 제 1관절부를 통해 링크암과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ing beam may be connected to the link arm through the first joint.

상기 제 1관절부는, 상기 서포팅빔의 단부에 형성되고,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제 1노브를 연장 형성한 제 1소켓부; 상기 링크암의 일측 가장자리에 관통 형성된 제 1통공부; 상기 제 1통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소켓부에 원주 방향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노브를 축 삽입하는 제 1슬리브; 상기 제 1노브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슬리브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제 1관절부쉬; 상기 제 1노브를 축 삽입하여 상기 제 1관절부쉬를 탄성 가압 지지하는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 및 상기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제 1소켓부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재를 포함한다.The first joint part includes a first socket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ing beam and having a first knob extended in an axial direction thereof; A first tubular passage formed through one side edge of the link arm; A first sleeve extending along an edge of the first passage and inserted in the first socket por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socket portion; A first joint bush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knob to pres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leeve; A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for axially inserting the first knob and elastically pressing and supporting the first joint bush; And a first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socket portion through 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so that an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is maintain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종래 기술과 달리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거치판을 서포팅빔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켜 각도 조절을 하며 압축탄성부재를 통해 각도 조절되는 상태로 위치 고정할 수 있고, 링크 구조를 통해 평면상 거치판의 위치 변경이 가능함과 아울러 관절압축탄성부재를 통해 위치 변경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prior art in that the cradle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is forcedly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to adjust the angl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plate on the plane through the link structure and fix the position changed state through the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거치판 틸팅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틸팅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틸팅 각도 제한 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링크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제 1관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제 2관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브라켓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tilting state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ilting portion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l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a tilting angle limited state of the til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link state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oint par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of a first joint par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of a second joint par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plate and a housing of a bracke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저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거치판 틸팅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틸팅부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tilting state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ilting portion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의 틸팅 각도 제한 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l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nlarged side view illustrating a tilting angle limited state of a til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링크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제 1관절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제 2관절부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link state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oint par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joint par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a first joint par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의 브라켓을 구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하우징을 보인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plate and a housing of a bracket of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100)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올려놓는 거치판(110)을 포함한다.1 to 11, a cradle 100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late 110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tablet computer.

거치판(110)은 휴대용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편평하게 형성되고, 설정각도 이내로 틸팅시 휴대용 단말기가 미끄러지거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거치판(1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The mounting plate 110 may be formed flat to mount 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and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from slipping or falling when tilted within a set angle. Of course, the mounting plate 110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and various materials.

특히, 거치판(110)은 놓여진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자가 보거나 사용하기 편하도록 틸팅 지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ounting plate 110 can be til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easily seen or used by the user.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는 서포팅빔(120), 브라켓(130) 및 틸팅부(200)를 포함한다.Thus, the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beam 120, a bracket 130, and a tilting unit 200.

서포팅빔(120)은 거치판(110)을 지지하도록 바닥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서포팅빔(12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편의상 한 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The supporting beams 120 are disposed side by side relative to the floor to support the mounting plate 110. At this time, one or more supporting beams 120 may be provided. For convenience, one supporting beam 120 is provided.

아울러, 서포팅빔(120)은 틸팅부(200)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확경부(122)와 축경부(124)로 나뉘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확경부(122)는 거치판(110)에 대한 지지력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축경부(124)는, 후술할, 단턱부(210)를 형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가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특히, 틸팅부(200)가 축경부(124)에 배치됨에 따라, 틸팅부(200)의 부피가 저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beam 120 may be divided into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2 and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se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ilting portion 200.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2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diameter in order to maintain or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late 110 and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to form the step portion 210 As shown in Fig. Particularly, since the tilting portion 200 is disposed on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the volume of the tilting portion 200 can be reduced.

물론, 확경부(122)와 축경부(124)의 직경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Of course, the diameters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2 and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are variously applicable.

브라켓(130)은 서포팅빔(120)과 틸팅부(200)를 감싼 후 거치판(110)에 결합된다. 그래서, 브라켓(130)은 거치판(110)과 서포팅빔(120)의 연결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틸팅부(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racket 130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110 after wrapping the supporting beam 120 and the tilting unit 200. Therefore, the bracket 130 can play a role of maintaining connection between the mounting plate 110 and the supporting beam 120, and can protect the tilting unit 200.

이때, 브라켓(130)은 베이스플레이트(132) 및 하우징(134)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bracket 130 includes a base plate 132 and a housing 134.

베이스플레이트(132)는 볼팅 등 체결요소에 의해 거치판(110)의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32)는 서포팅빔(120)의 축경부(124)를 축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base plate 13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110 by a bolting or other fastening element. The base plate 132 is formed to be able to insert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of the supporting beam 120 in the axial direction.

이에 따라, 축경부(124)에 구비되는 틸팅부(200)의 해당 구성요소들은 축경부(124)가 삽입되는 베이스플레이트(132) 내측에 배치되어 보호된다. 즉, 베이스플레이트(132)는 하측에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설치홀부(136)를 형성한다. 그리고, 축경부(124)와 틸팅부(200)의 해당 구성요소들은 설치홀부(136) 내측에 구비된다.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tilting part 200 provided in the reduced diameter part 124 are disposed and protected inside the base plate 132 into which the reduced diameter part 124 is inserted. That is, the base plate 132 forms a mounting hole portion 136 that opens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and the tilting portion 200 are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hole portion 136.

물론, 베이스플레이트(132)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Of course, the base plate 132 can be applied in various shapes and various materials.

그리고, 하우징(134)은 베이스플레이트(132)를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하우징(134)은 설치홀부(136) 각각의 개방측에 대응되게 개방구(138)를 형성한다. 그래서, 서포팅빔(120)은 하우징(134)의 개방구(138)를 통해 설치홀부(136)에 삽입된다. 이때, 서포팅빔(120)은 베이스플레이트(132)와 하우징(134)의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브라켓(130)에 조립 설치된다. The housing 134 covers the base plate 132 and protects the base plate 132. In addition, the housing 134 forms an opening 138 corresponding to the open side of each of the mounting holes 136. Thus, the supporting beam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portion 136 through the opening 138 of the housing 134. At this time, the supporting beam 120 is assembled to the bracket 130 so as to b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132 and the housing 134.

특히, 하우징(134)은 베이스플레이트(132)를 감싼 채 베이스플레이트(1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하우징(134)은 베이스플레이트(132)를 감싼 채 인테리어 감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housing 13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plate 132 with the base plate 132 wrapped around it. In particular, the housing 134 is formed to maximize the interior sensation while surrounding the base plate 132.

이때, 서포팅빔(120)은 하우징(134)의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34)에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ing beams 120 are inserted into the housing 134 so as to be expos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134.

아울러, 베이스플레이트(132)와 하우징(134)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132 and the housing 134 can be detachably coupled in various ways.

예로서, 베이스플레이트(132)는 적어도 양측 가장자리 또는 적어도 양측 테두리에 결속리브(133)를 형성하고, 하우징(134)은 결속리브(133)에 일대일 대응되게 결속구(135)를 형성한다.For example, the base plate 132 forms binding ribs 133 at least on both side edges or at least both side edges thereof, and the housing 134 forms binding holes 135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binding ribs 133.

그래서, 결속리브(133)가 결속구(135)에 슬라이드 삽입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32)는 하우징(134)의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후 하우징(134)에 결합된다.The coupling rib 133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5 so that the base plate 132 moves axially inside the housing 134 and then is coupled to the housing 134. [

물론, 결속리브(133)와 결속구(1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binding rib 133 and the binding opening 135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한편, 틸팅부(200)는 브라켓(130) 특히, 베이스플레이트(132)의 수용홈부 내측에 배치되어, 거치판(110)을 서포팅빔(12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틸팅을 안내하면서 틸팅 각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tilting unit 200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racket 130 and in particular the base plate 132 so as to guide the tilting of the mounting plate 1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120, .

상세히, 틸팅부(200)는 단턱부(210), 제 1틸팅부쉬(220), 제 2틸팅부쉬(230), 틸팅압축탄성부재(240), 틸팅죄임부재(250)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tilting unit 200 includes a step unit 210, a first tilting bush 220, a second tilting bush 230, a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and a tilting pin member 250.

단턱부(210)는 서포팅빔(120)의 축경부(124)와 확경부(122)를 구분 짓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stepped portion 210 is formed at a position separating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of the supporting beam 120 from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2.

그리고, 제 1틸팅부쉬(220)는 축경부(124)를 축 삽입하여, 축경부(124)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단턱부(210) 측에 인접되거나 또는 단턱부(210)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제 1틸팅부쉬(220)는 축경부(124)의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The first tilting bush 220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and is mov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The first tilting bush 220 is adjacent to the stepped portion 210 or abuts on the stepped portion 210 do. Thus, the first tilting bush 220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아울러, 제 1틸팅부쉬(220)는 축경부(124)에서 확경부(122)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130)의 베이스플레이트(132)를 가압한다. 즉, 제 1틸팅부쉬(220)는 단턱부(210)에 지지되도록 축경부(124)에 삽입된 채 베이스플레이트(132)의 설치홀부(136) 내측면을 원주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래서, 거치판(110)은 제 1틸팅부쉬(220)에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임의적으로 서포팅빔(12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임의적 회전이 방지된다.The first tilting bush 2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from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toward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22 to press the base plate 132 of the bracket 130. That is, the first tilting bush 220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6 of the base plate 13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to be supported by the step portion 210. Thus, the mounting plate 110 is firmly supported on the first tilting bush 220, thereby preventing any arbitrary rot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120.

특히, 제 1틸팅부쉬(2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first tilting bush 220 can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such as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s, and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또한, 제 2틸팅부쉬(230)는 축경부(124)의 단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삽입된다. 이때, 제 2틸팅부쉬(230)는 축경부(124)의 단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 2틸팅부쉬(230)는 둘레면이 축경부(124) 단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상승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32)의 설치홀부(136)는 제 2틸팅부쉬(230)에 대응되게 내측면에 지지경사면(137)을 형성한다. 지지경사면(137)은 제 2틸팅부쉬(230)의 경사진 둘레면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호 면접된다. 이에 따라, 제 2틸팅부쉬(230)는 축경부(124)를 따라 단턱부(210) 측으로 이동 방지된다.In addition, the second tilting bush 230 is inserted to be fixed at the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At this time, the second tilting bush 2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That is, the second tilting bush 23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gradually rises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The mounting hole 136 of the base plate 132 forms a supporting slope 137 on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lting bush 230. The supporting slopes 137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inclined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ilting bushes 230 and are mutually interviewed. Thus, the second tilting bush 230 is prevented from moving toward the step portion 210 along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아울러, 제 2틸팅부쉬(230)는 축경부(124)의 단부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32)의 설치홀부(136) 내측면을 원주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래서, 거치판(110)은 제 2틸팅부쉬(230)에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임의적으로 서포팅빔(12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임의적 회전이 방지된다.The second tilting bush 2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portion 136 of the base plate 132 is pres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o. Thus, the mounting plate 110 is firmly supported on the second tilting bush 230, thereby arbitrarily preventing arbitrary rot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120.

물론, 제 2틸팅부쉬(2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second tilting bush 230 can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such as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s, and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한편, 틸팅압축탄성부재(240)는 축경부(124)의 단부 측에서 제 2틸팅부쉬(230)를 단턱부(210)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틸팅압축탄성부재(240)는 제 2틸팅부쉬(230)에 일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축경부(124)에 축 삽입된다. 여기서, 틸팅압축탄성부재(240)는 제 2틸팅부쉬(230)에서 단부까지에 해당되는 축경부(124)의 가장자리를 축 삽입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elastically presses the second tilting bush 230 toward the step 230 on the side of the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That is,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so that one side of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second tilting bush 230. Here,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can be applied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for inserting the edge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lting bush 230 to the end.

그리고, 틸팅죄임부재(250)는 축경부(124)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틸팅압축탄성부재(240)의 압축 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The tilting clamp member 250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to adjust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즉, 틸팅죄임부재(250)가 축경부(124)에 나사 결합되며 더 삽입되는 경우, 틸팅압축탄성부재(240)는 틸팅죄임부재(250)의 누름력에 의해 제 2틸팅부쉬(230)를 제 1틸팅부쉬(220) 측으로 더욱 가압한다. 그래서, 제 2틸팅부쉬(230)의 둘레면이 베이스플레이트(132)의 설치홀부(136)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력, 틸팅압축탄성부재(240)는 제 2틸팅부쉬(230)를 가압하는 가압력과 틸팅죄임부재(250)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모두 증가함으로써, 거치판(110)은 임의적으로 서포팅빔(120)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된다.That is, when the tilting clamping member 250 is screw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24 and inserted further,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moves the second tilting bush 230 by the urging force of the tilting clamp member 250 And is further pressed toward the first tilting bush 220 side.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6 of the base plate 132 by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tilting bush 230, The pressing plate 110 is arbitrarily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supporting beam 120 by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tilting clamp member 250. [

특히, 틸팅죄임부재(250)는 안정적으로 틸팅압축탄성부재(240)를 탄성 지지하도록 일측에 틸팅와셔(252)를 구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ilting clamp 250 may have a tilting washer 252 at one side thereof to elastically support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40 stably.

이때, 제 1틸팅부쉬(220)와 제 2틸팅부쉬(230)가 설치홀부(136)의 내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파손될 우려가 높다.At this tim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irst tilting bush 220 and the second tilting bush 230 are damaged by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6.

이를 예방하기 위해, 틸팅부(200)는 제 1틸팅보강부재(260)와 제 2틸팅부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tilting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260 and a second tilting steel member.

제 1틸팅보강부재(260)는 제 1틸팅부쉬(220)의 강성 보강을 위해 제 1틸팅부쉬(220)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1틸팅보강부재(260)는 제 1틸팅부쉬(220)보다 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틸팅보강부재(260)는 제 1틸팅부쉬(220)와 동일하게 둘레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설치홀부(136)의 내측면을 가압한다.The first tilting bushing 260 covers the first tilting bush 220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first tilting bush 220. In addition, the first tilting bushing 26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rigidit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tilting bush 220. The first tilting bushing 260 is formed with an inclined circumferential surface like the first tilting bush 220 to press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6.

마찬가지로, 제 2틸팅보강부재(270)는 제 2틸팅부쉬(230)의 강성 보강을 위해 제 2틸팅부쉬(230)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제 2틸팅보강부재(270)는 제 2틸팅부쉬(230)보다 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 2틸팅부쉬(230)와 동일하게 둘레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설치홀부(136)의 내측면에 대칭을 이루게 형성되는 지지경사면(137)에 면접됨으로써 설치홀부(136) 내측면을 가압함과 아울러 제 1틸팅보강부재(260) 측으로 이동 방지된다.Likewise, the second tilting bushing 230 serves to enclose the second tilting bush 230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second tilting bush 230. The second tilting bushing 23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iffnes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tilting bushing 230. The second tilting bushing 230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circumferential surface like the second tilting bushing 230, The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260 is prevented from moving toward the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260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6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support tilting surface 137 formed symmetrically to the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260.

물론, 제 1틸팅보강부재(260)와 제 2틸팅보강부재(27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Of course, the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260 and the second tilting reinforcing member 27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거치판(110)을 서포팅빔(12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에 의해, 거치판(110)은 누르는 힘만큼 틸팅된다.As a result, the mounting plate 110 is tilted by a pressing force by a force that the user attempts to rotate the mounting plate 1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120.

그리고, 제 1틸팅부쉬(220), 제 1틸팅보강부재(260), 제 2틸팅부쉬(230) 및 제 2틸팅보강부재(270)가 베이스플레이트(132)의 설치홀부(136) 내측면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거치판(110)은 서포팅빔(12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틸팅 방지된다.The first tilting bushing 220, the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260, the second tilting bush 230 and the second tilting reinforcing member 270 ar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136 of the base plate 132 By the pressing force, the mounting plate 110 is arbitrarily til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120.

아울러, 서포팅빔(120)의 확경부(122)가 사용자의 오른쪽에 위치할 수도 있고, 왼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거치판(110)은 사용자에 대해 동일 방향을 유지해야 한다.In addition, the enlarged portion 122 of the supporting beam 120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user or on the left side. In this case, the mounting plate 110 should mainta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ser.

이를 위해, 제 1틸팅부쉬(220)와 제 2틸팅부쉬(230)는 일부가 설치홀부(136)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둘레면에 각각 스토핑돌기(282)를 돌출 형성한다.To this end, the first tilting bush 220 and the second tilting bush 230 ar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hole 136, and a stopping protrusion 282 protrudes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132)는 설치홀부(136)의 양측 테두리의 동일 위치에 스토핑홈부(284)를 형성한다. 이때, 스토핑홈부(284)는 호 궤적을 따라 일정거리 유격된 2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The base plate 132 forms a stopping groove portion 284 at the same position on both side edges of the mounting hole portion 136. At this time, the stopping groove portion 284 is provided at two positions spaced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arc locus.

그래서, 사용자에 대한 서포팅빔(120)의 확경부(122), 후술할, 메인샤프트(150)의 위치에 따라, 스토핑돌기(282)가 대응되는 스토핑홈부(284)에 삽입된다. 이때, 스토핑홈부(284)는 거치판(110)의 오조립 방지를 위해 방향성을 갖도록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The stopping projection 282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topping recessed portion 284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122 of the supporting beam 120 for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main shaft 15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stopping groove portion 284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oriented to prevent misplacement of the mounting plate 110.

특히, 스토핑돌기(282)가 스토핑홈부(284)에 수용시, 사용자가 거치판(110)을 강제 틸팅하게 되면, 틸팅압축탄성부재(240)의 압축 탄성 작용에 의해, 스토핑돌기(282)는 특정 스토핑홈부(284)에서 이탈되어 이웃한 스토핑홈부(284) 방향으로 설치홀부(136)의 테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stopping protrusion 282 is accommodated in the stopping groove 284. When the user tilts the mounting plate 110 when the stopping protrusion 282 is received in the stopping groove 284, 282 are released from the specific stopping groove portion 284 and are movable along the rim of the mounting hole portion 136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stopping groove portion 284. [

편의상, 거치판(110)은 바닥에 대해 수평한 상태에서 대략 수직한 상태로 틸팅 가능한 것으로 도시한다.For convenience, the mounting plate 110 is illustrated as being vertically tilt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with respect to the floor.

한편, 거치판(110)은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기 편하도록 평면상 이동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tationary plate 110 may be moved in a plan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portable terminal.

이를 위해, 서포팅빔(120)은 링크암(140)에 링크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암(140)은 메인샤프트(150)에 링크 가능하게 연결된다.To this end, the supporting beam 120 is linked to the link arm 140, and the link arm 140 is linked to the main shaft 150.

이때, 메인샤프트(15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연결될 수도 있고, 임의의 고정체(도시하지 않음) 또는 다른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링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main shaft 150 may be fixedly connected to a chair (not shown) on which the user is seated, or may be linked to any fixed body (not shown) or another shaft (not shown).

편의상, 서포팅빔(120)과 링크암(140)은 제 1관절부(300)에 의해 링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링크암(140)과 메인샤프트(150)는 제 2관절부(400)에 의해 링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한다.The link arm 140 and the main shaft 150 are shown as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part 400 by the first joint part 3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특히, 제 1관절부(300)는 제 1소켓부(310), 제 1통공부(320), 제 1슬리브(330), 제 1관절부쉬(340),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350), 제 1결합부재(360) 및 제 1관절보강부재(370)를 포함한다.Particularly, the first joint part 300 includes a first socket part 310, a first passage part 320, a first sleeve 330, a first joint bush 340, a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350, And includes a first engaging member 360 and a first joint reinforcing member 370.

이때, 링크암(140)은 서포팅빔(12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하고, 서포팅빔(120)은 링크암(140)에 대해 평면상 설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동되는 것으로 한다.At this time, suppose that the link arm 140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supporting beam 120, and the supporting beam 120 is reciprocally rotated within a set angle range on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link arm 140.

제 1소켓부(310)는 서포팅빔(120) 특히 확경부(122)의 단부에 형성되고,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소켓부(310)는 내부에서 개방된 하측 방향으로 제 1노브(312)를 연장 형성한다. 이때, 제 1노브(312)는 제 1소켓부(310)의 중심에서 연장 형성된다. 물론, 제 1노브(312)의 크기 및 길이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first socket portion 31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ing beam 120, particularly, the diameter portion 122, and is formed to open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first socket unit 310 extends the first knob 312 in a downward direction, which is opened inside. At this time, the first knob 312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socket portion 310. Of course, the size and length of the first knob 312 are not limited.

또한, 제 1통공부(320)는 링크암(140)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passage 320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one side edge of the link arm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아울러, 제 1슬리브(330)는 제 1통공부(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 1소켓부(3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제 1슬리브(330)는 제 1소켓부(310)에 원주 방향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제 1슬리브(330)는 제 1노브(312)를 내부로 축 삽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sleeve 330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first passage 32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ocket part 310. Thus, the first sleeve 33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socket portion 3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sleeve 330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knob 312.

물론, 제 1슬리브(3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first sleeve 33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그리고, 제 1관절부쉬(340)는 제 1노브(312)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즉, 제 1노브(312)가 제 1관절부쉬(340)에 축 삽입된다. 아울러, 제 1관절부쉬(340)는 일측(상측)이 제 1통공부(320)의 내측면 또는 제 1소켓부(31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The first joint bush 340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knob 312. That is, the first knob 3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joint bushing 340 in an axial direction. One side (upper side) of the first joint bushing 34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tubular unit 320 or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ocket unit 310.

또한, 제 1관절부쉬(340)는 타측(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제 1관절부쉬(340)는 제 1슬리브(330)의 내측면을 가압한다. 이때, 제 1관절부쉬(340)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joint bush 34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other side (lower side). Thus, the first joint bushing 340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leeve 330. At this time, the first joint bush 340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350)는 제 1노브(312)의 가장자리를 축 삽입하여 제 1관절부쉬(340)를 탄성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350)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350 inserts the edge of the first knob 312 into the shaft and supports the first joint bush 340 elastically. At this time, 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350 can be applied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그리고, 제 1결합부재(360)는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350)의 탄성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350)에 축 삽입된 상태로 제 1소켓부(310)에 결합된다. 상세히, 제 1결합부재(360)는 제 1노브(312)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제 1결합부재(360)는 볼트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350)가 제 1관절부쉬(340) 측으로 안정적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제 1결합부재(360)는 제 1관절와셔(362)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joint member 360 is coupled to the first socket portion 3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3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350 so that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350 is maintained . In detail, the first engaging member 360 is screwed into the first knob 312. Here, the first engaging member 360 can be applied as a bolt. Particularly, the first joint member 360 may include a first joint washer 362 so that the first joint compressive elastic member 350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first joint bush 340 side.

따라서, 제 1결합부재(360)가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350)를 제 1관절부쉬(340)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 1관절부쉬(340)는 제 1슬리브(330)의 내측 또는 제 1소켓부(310) 내측에 지지된 채 제 1슬리브(330) 내측 둘레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로써, 서포팅빔(120)은 링크암(140)에 대해 평면상 자유롭게 회동 방지된다.The first joint bushing 3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eeve 330 or the first joint bushing 340 as the first jointing member 360 presses the first joint compressing elastic member 350 toward the first joint bushing 340. [ 1 socket portion 310 whil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leeve 330. As a result, the supporting beam 120 is free to rotate in a planar manner with respect to the link arm 140.

아울러, 제 1관절부쉬(340)는 강성 보강을 위해 외측면에 제 1관절보강부재(3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관절보강부재(37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슬리브(330) 내측 둘레면을 직접적으로 가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joint bushing 340 may include a first joint reinforcing member 370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for reinforcement of rigidity. The first joint reinforcing member 370 is formed in various shapes to directly pres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leeve 330.

특히, 링크암(140)은 다양한 방식으로 서포팅빔(120)에 대해 회동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ink arm 140 can be limited in its pivotal angle relative to the supporting beam 120 in a variety of ways.

또한, 제 2관절부(400)는 제 2소켓부(410), 제 2통공부(420), 제 2슬리브(430), 제 2관절부쉬(440), 제 2관절압축탄성부재(450), 제 2결합부재(460) 및 제 2관절보강부재(470)를 포함한다.The second joint part 400 includes a second socket part 410, a second passage part 420, a second sleeve 430, a second joint bushing 440, a second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450, A second engaging member 460 and a second joint reinforcing member 470.

이때, 메인샤프트(150)는 링크암(140)의 축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하고, 링크암(140)은 메인샤프트(150)에 대해 평면상 설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동되는 것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ain shaft 150 is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nk arm 140, and the link arm 140 is reciprocally rotated within a set angle range in plan view with respect to the main shaft 150 do.

제 2소켓부(410)는 메인샤프트(150)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측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소켓부(410)는 내부에서 개방된 상측 방향으로 제 2노브(412)를 연장 형성한다. The second socket portion 41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shaft 150 and is opened upward. In addition, the second socket unit 410 extends the second knob 412 in the upward direction opened inside.

이때, 제 2노브(412)는 제 2소켓부(410)의 중심에서 연장 형성된다. 물론, 제 2노브(412)의 크기 및 길이는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second knob 412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socket portion 410. Of course, the size and length of the second knob 412 are not limited.

또한, 제 2통공부(420)는 링크암(140)의 타측 가장자리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The second cylinder block 420 is formed to penetrate the other side edge of the link arm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아울러, 제 2슬리브(430)는 제 2통공부(4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 2소켓부(410)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제 2슬리브(430)는 제 2소켓부(410)에 원주 방향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제 2슬리브(430)는 제 2노브(412)를 내부로 축 삽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sleeve 430 extends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passage 420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ocket part 410. Thus, the second sleeve 43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socket portion 4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sleeve 430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knob 412.

물론, 제 2슬리브(4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second sleeve 43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그리고, 제 2관절부쉬(440)는 제 2노브(412)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즉, 제 2노브(412)가 제 2관절부쉬(440)에 축 삽입된다. 아울러, 제 2관절부쉬(440)는 타측(하측)이 제 2통공부(420)의 내측면 또는 제 2소켓부(41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The second joint bushing 440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knob 412. That is, the second knob 412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joint bushing 440. In addition, the second joint bushing 4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assage portion 420 or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ocket portion 410 at the other side (lower side).

또한, 제 2관절부쉬(440)는 일측(상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제 2관절부쉬(440)는 제 2슬리브(430)의 내측면을 가압한다. 이때, 제 2관절부쉬(440)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joint bushes 440 are formed in a conical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upper side). Thus, the second joint bushing 440 presse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leeve 430. At this time, the second joint bushing 440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durability.

제 2관절압축탄성부재(450)는 제 2노브(412)의 가장자리를 축 삽입하여 제 2관절부쉬(440)를 탄성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2관절압축탄성부재(450)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second articulation compression elastic member 450 inserts the edge of the second knob 412 to axially support the second joint bushing 440. At this time, the second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450 can be applied as a compression coil spring.

그리고, 제 2결합부재(460)는 제 2관절압축탄성부재(450)의 탄성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제 2관절압축탄성부재(450)에 축 삽입된 상태로 제 2소켓부(410)에 결합된다. 상세히, 제 2결합부재(460)는 제 2노브(412)에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제 2결합부재(460)는 볼트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제 2관절압축탄성부재(450)가 제 2관절부쉬(440) 측으로 안정적으로 탄성 가압되도록, 제 2결합부재(460)는 제 2관절와셔(462)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joint member 460 is coupled to the second socket portion 4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450 so that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second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450 is maintained . In detail, the second engaging member 460 is screwed to the second knob 412. Here, the second engagement member 460 can be applied as a bolt. Particularly, the second joint member 460 may include the second joint washer 462 so that the second joint compressive elastic member 450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second joint bush 440 in a stable manner.

아울러, 제 2관절부쉬(440)는 강성 보강을 위해 외측면에 제 2관절보강부재(4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관절보강부재(47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슬리브(430) 내측 둘레면을 직접적으로 가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joint bushing 440 may include a second joint reinforcing member 470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for reinforcement of rigidity. The second joint reinforcing member 470 is formed in various shapes to directly pres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leeve 430.

그리고, 제 2슬리브(430)는 둘레면에 클램핑부재(480)를 구비함으로써, 제 2슬리브(430)는 클램핑부재(480)에 의해 제 2소켓부(410)에 억지 끼움되어 결합됨과 아울러 둘레면이 제 2관절보강부재(470) 측으로 가압 밀착된다. Since the second sleeve 430 has the clamping member 48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second sleeve 430 is prevented from being coupled to the second socket portion 410 by the clamping member 480, The surface of the second joint reinforcing member 470 is pressed against the second joint reinforcing member 470 sid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거치대 110: 거치판
120: 서포팅빔 122: 확경부
124: 축경부 130: 브라켓
132: 베이스플레이트 134: 하우징
140: 링크암 150: 메인샤프트
200: 틸팅부 210: 단턱부
220: 제 1틸팅부쉬 230: 제 2틸팅부쉬
240: 틸팅압축탄성부재 250: 틸팅죄임부재
260: 제 1틸팅보강부재 270: 제 2틸팅보강부재
300: 제 1관절부 310: 제 1소켓부
330: 제 1슬리브 340: 제 1관절부쉬
400: 제 2관절부 410: 제 2소켓부
430: 제 2슬리브 440: 제 2관절부쉬
100: cradle 110: mounting plate
120: Supporting beam 122:
124: shaft portion 130: bracket
132: base plate 134: housing
140: Link arm 150: Main shaft
200: tilting part 210:
220: first tilting bush 230: second tilting bush
240: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250: tilting clamp member
260: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270: second tilting reinforcing member
300: first joint part 310: first socket part
330: first sleeve 340: first joint bushing
400: second joint part 410: second socket part
430: second sleeve 440: second joint bushing

Claims (5)

휴대용 단말기를 올려놓는 거치판; 상기 거치판을 지지하도록 바닥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되는 서포팅빔; 상기 서포팅빔을 감싼 채 상기 거치판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거치판과 상기 서포팅빔의 연결을 유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판을 상기 서포팅빔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틸팅을 안내하면서 틸팅 각도를 유지하는 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서포팅빔을 축경부와 확경부로 구분짓는 단턱부; 상기 단턱부 측에 인접되거나 상기 단턱부에 접한 채 상기 축경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을 가압하여 상기 거치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제 1틸팅부쉬; 상기 축경부의 단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을 가압하여 상기 거치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제 2틸팅부쉬; 및 상기 제 2틸팅부쉬에 일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축경부에 축 삽입되어, 상기 제2틸팅부쉬를 상기 단턱부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틸팅압축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틸팅부쉬와 제 2틸팅부쉬는 점차적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라켓의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설치홀부 내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브라켓의 자연적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A mounting plate f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A supporting beam disposed parallel to the floor to support the mounting plate; A bracket for re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unting plate and the supporting beam as it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ing beam; And a tilt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bracket for maintaining the tilting angle while guiding tilting of the mounting pl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eam,
Wherein the tilting portion comprises: a step portion dividing the supporting beam into a reduced diameter portion and a reduced diameter portion; A first tilting bushing which is adjacent to the step portion side or inserted to be fixed 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tep portion, and presses the bracket to firmly support the mounting plate; A second tilting bush inserted to be fixed at an end portion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and pressurizing the bracket to firmly support the mounting plate; And a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that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tilting bush is resiliently supported and elastically presses the second tilting bush toward the one of the stepped portions,
Wherein the first tilting bush and the second tilting bush are formed in a conical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so as to prevent natural rotation of the bracket by press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base plate of the bracket. The cradle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거치판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포팅빔과 상기 틸팅부를 축 삽입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서포팅빔의 양측이 노출되도록 축 삽입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The bracket according to claim 1,
A base plate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and axially inserting the supporting beam and the tilting unit; And
And a housing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such that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beam are expos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축경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압축탄성부재의 압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2틸팅부쉬를 탄성 지지하는 상기 틸팅압축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거치판에 가해지는 틸팅력을 설정하는 틸팅죄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ilting portion is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to adjust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of the tilting compression elastic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tilting bush, And a tilting guiding member for setting a force of the tilting guiding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 1틸팅부쉬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제 1틸팅부쉬를 감싸는 제 1틸팅보강부재; 및
상기 제 2틸팅부쉬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제 2틸팅부쉬를 감싸는 제 2틸팅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ilting reinforcing member surrounding the first tilting bush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irst tilting bush; And
And a second tilting reinforcing member surrounding the second tilting bush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second tilting bus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빔은 제 1관절부를 통해 링크암과 연결되고,
상기 제 1관절부는, 상기 서포팅빔의 단부에 형성되고,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제 1노브를 연장 형성한 제 1소켓부;
상기 링크암의 일측 가장자리에 관통 형성된 제 1통공부;
상기 제 1통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 1소켓부에 원주 방향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노브를 축 삽입하는 제 1슬리브;
상기 제 1노브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슬리브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제 1관절부쉬;
상기 제 1노브를 축 삽입하여 상기 제 1관절부쉬를 탄성 가압 지지하는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 및
상기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관절압축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제 1소켓부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ing beam is connected to the link arm through the first joint,
The first joint part includes a first socket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ing beam and having a first knob extended in an axial direction thereof;
A first tubular passage formed through one side edge of the link arm;
A first sleeve extending along an edge of the first passage and inserted in the first socket porti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socket portion;
A first joint bush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knob to pres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leeve;
A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for axially inserting the first knob and elastically pressing and supporting the first joint bush; And
And a first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rst socket portion through 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so that an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first joint compression elastic member is maintained.
KR1020170023798A 2017-02-22 2017-02-22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KR101777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98A KR101777773B1 (en) 2017-02-22 2017-02-22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98A KR101777773B1 (en) 2017-02-22 2017-02-22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773B1 true KR101777773B1 (en) 2017-09-26

Family

ID=6003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798A KR101777773B1 (en) 2017-02-22 2017-02-22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773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234B1 (en) Display apparatus
US7395995B2 (en) Monitor support structure
US7510155B2 (en) Single spring supporting device
KR100684998B1 (en) Monitor
US7195214B2 (en) Stand for display
JP3176106U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for flat panel display
US20060039104A1 (en) Notebook computer with adjustable monitor
JP2020501175A (en) Display support system
US7628375B2 (en) Swiveling apparatus for a monitor apparatus
US10208891B2 (en) Multi-arm display anti-toppling mechanism
KR20050111262A (en) Monitor apparatus
US20070215760A1 (en) Display support mechanism
MXPA04006297A (en) Hinge structure for flat visual display device.
US7413159B2 (en) Stand for retaining computer chassis
KR100609852B1 (en) Display apparatus
KR101777773B1 (en) Holder for notebook computer
KR20040076711A (en) Monitor
GB2439920A (en) Monitor support structure
US20080191109A1 (en) Angle-adjustable display holder
KR20130006983A (en) Angle-controllable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001706U (en) Stand assembly for mobile
JP2003113916A (en) Parallel link type instrument support apparatus
JP2008311851A (en) Charging stand for portable electric apparatus
KR100427191B1 (en) LCD display apparatus
KR200392503Y1 (en) Stand structure for LCD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