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689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689B1
KR101776689B1 KR1020170037457A KR20170037457A KR101776689B1 KR 101776689 B1 KR101776689 B1 KR 101776689B1 KR 1020170037457 A KR1020170037457 A KR 1020170037457A KR 20170037457 A KR20170037457 A KR 20170037457A KR 101776689 B1 KR101776689 B1 KR 10177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emergency
housing
control unit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경화
Original Assignee
(주)중앙유비쿼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유비쿼터스 filed Critical (주)중앙유비쿼터스
Priority to KR1020170037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6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6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including: a housing fixed to a door frame of an emergency door; an electromagne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power supply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 a control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from the power supply portion to the electromagnet in accordance with occurrence of a fire; and a human body sensor for detecting presence of a person around the emergency door. The control por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portion to supply a higher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when the human body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f a pers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enhance economic efficiency in terms of controlling the emergency door and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Description

비상문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0001]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s [

본 발명은 비상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문 제어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비상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capable of enhanc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emergency door control and coping with various situations.

비상문은 화재나 지진과 같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Emergency doors are designed to evacuate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or earthquake.

이러한 비상문은 평상시에는 시설물 출입의 관리와 방범을 위해서 폐쇄되어야 하고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화재감지센서 등을 갖춘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비상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고 화재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했을 때에는 비상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se emergency doors should normally be closed for the management of access to facilities and crime prevention, and should be opened to minimize the damage of persons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fire. For this purpose, an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having a fire detection sensor has been used so as to prevent the emergency door from being opened normally and to control the emergency door to open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이엠락(EM lock)은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중의 하나로 전자석에 가해지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비상문을 제어한다. 즉, 평상시에는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의 흡착력에 의해 비상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고 비상시에는 전자석으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에서 흡착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EM lock is one of the automatic door openers of emergency doors and controls the emergency door by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In other words,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at normal times to prevent the emergency door from being opened due to the attra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In case of emergency, the power to the electromagnet is cut off so that no attraction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그런데 이엠락은 평상시 전자석에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전력의 소모가 많고, 보통 제어부와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EM lock is required to continuously supply power to the electromagnet normally, it consumes a lot of electric power and is usually installed in a state away from the control part and connected by a cable, so that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troublesome.

한편, 비상문은 보통 건물의 각 층 곳곳에 배치되기 때문에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는 건물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mergency doors are usually arranged in various places of the building, the automatic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of emergency doors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the management of buildings.

KRKR 10-048566510-0485665 B1B1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상문 제어에 소요되는 전력을 줄이고 유지보수 등을 용이하게 하여 비상문 제어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비상문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electric power required for emergency door control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the like, It has its purpose.

또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효용이 높은 비상문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an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having high utility is provided.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비상문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상문의 문틀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전자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전자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화재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부에서 전자석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비상문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인체감지센서가 사람의 존재를 감지한 경우 전원공급부가 더 높은 전류의 전원을 전자석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mergency door, comprising: a housing fixed to a door frame of an emergency door; An electromagne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power supply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s; A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electromagnet according to whether a fire is present;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in the vicinity of the emergency do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to supply a power source of a higher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f a person An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근거리에 위치한 비상문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an emergency door control unit located in a short distan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비상문의 문틀에 접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통해 비상문의 문틀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서 하우징을 향하는 면에는 외부 전원장치에 연결된 판형의 제1접점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접점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하우징 내로 전달하는 판스프링형의 제2접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fixed to the emergency door frame through a base plate joined to the door frame of the emergency door, and a plate-like first contact portion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of a leaf spring type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housing facing the base plate, the second contact portion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hous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비상문이 설치된 시설물의 중앙 관리센터로 비상문의 상태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remot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regarding the status of the emergency inquiry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of the facility having the emergency door installed therei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거리 통신부 또는 중앙 관리센터는 인터폰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ergency communication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or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communicates with the interphone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비상문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감지센서에서 비상문의 열림을 감지한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부가 개폐감지센서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n emergency door is opened, and when the opening / closing sensor detects the opening of the emergency door, To the management center,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부가 미세먼지센서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fine dust sensor that detects 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when the fine dust sensor detects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비상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비상문에 가해지는 충격이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부가 충격감지센서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 impact sensor that detects an impact applied to an emergency door, and when the impact sensor detects that the impact applied to the emergency do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signal of the impact detection sensor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비상문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센서에 연결되고, 상기 소음감지센서에서 비상문 주변의 소음이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부가 소음감지센서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nois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noise around the emergency door, and when the noise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the noise around the emergency door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signal of the noise detection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비상문 주변에 관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에 연결되고, 상기 원거리 통신부는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중앙 관리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camera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about an emergency door, and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to a central management center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는 비상문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비상문을 끌어당기는 힘을 조절하여 비상문 제어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The emergency door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nergy required to control the emergency door by controlling the pulling force of the emergency door depending on whether a person is present around the emergency door.

그리고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And the device can be configured compact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device and facilitate maintenance.

또한,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받아 시설물 관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various sensors to improve facility management accurac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비상문 제어장치가 원거리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ase where the emergency gate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distance communication sectio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order to obscure or obscu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structu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above known structure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1)는 크게, 하우징(10), 전자석(20), 전원공급부(30), 제어부(40) 및 인체감지센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housing 10, an electromagnet 20, a power supply 30, a controller 40 and a human body sensor 50. Fig.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ergency gate control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1)는 이엠(EM; ElectroMagnetic)-락(lock) 방식으로 비상문의 개폐를 제어한다.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an emergency door by an EM (ElectroMagnetic) lock method.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상자 형상의 것으로, 그 내부에 비상문 제어장치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된다. 하우징(10)은 볼트와 같은 접합수단을 통해 비상문의 문틀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비상문이 닫히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어야 할 것이다.The housing 10 has a box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and other structures of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are disposed therein. The housing 10 is fixed to the door frame of the emergency door through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bolt. The housing 10 should be fixed in a position not obstructing the closing of the emergency door.

전자석(20)은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철로 이루어지는 물체를 끌어당기며,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에는 철로 이루어지는 물체를 끌어당기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전자석(20)은 하우징(10)의 외측면 중 비상문이 닫혔을 때 비상문과 면하게 되는 일면에 형성된다. 전자석(20)이 비상문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비상문은 전체적으로 철재로 이루어지거나 비상문에서 비상문이 닫혔을 때 전자석(20)과 면하게 되는 부분이 철재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electromagnet 20 attracts an object made of iron when power is supplied, and does not attract an object made of iron when power is not supplied. The electromagnet 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facing the emergency door when the emergency door is closed. In order for the electromagnet 20 to draw the emergency door, the emergency door should be made of iron or the part facing the electromagnet 20 when the emergency door is closed from the emergency door.

전원공급부(30)는 상기 전자석(2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40)는 화재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부(30)에서 전자석(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즉, 평상시에는 제어부(40)가 전원공급부(30)에서 전자석(2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전자석(20)이 비상문을 끌어당기도록 함으로써 비상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며, 화재발생시에는 제어부(40)가 전원공급부(30)에서 전자석(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여 전자석(20)이 비상문에 어떠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상문이 열릴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unit 30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magnet 20 and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to the electromagnet 20 depending on whether a fire is present or not. That is,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30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magnet 20 so that the electromagnet 20 pulls the emergency door so that the emergency door is not opened. 40 controls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30 to the electromagnet 20 so that the electromagnet 20 does not exert any force on the emergency door so that the emergency door can be opened.

참고로, 제어부(40)가 화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는 화재감지센서를 구비하거나 외부의 화재 알람 장치로부터 화재발생 신호를 수신받는다.For reference,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e detection sensor or receives a fire occurrence signal from an external fire alarm device so that the control unit 40 can detect a fire.

상기 전원공급부(30)와 제어부(40)는 하우징(10) 내에 배치된다.The power supply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40 are disposed in the housing 10.

인체감지센서(50)는 비상문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한다.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detects the presence of a person around the emergency door.

제어부(40)는 상기한 것과 같이 단순히 전원공급부(30)에서 전자석(20)으로의 전원 공급 유무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인체감지센서(50)의 신호에 따라 평상시 전원공급부(30)의 공급 전류의 크기를 제어한다. 즉, 인체감지센서(50)가 비상문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지 않았을 때에는 낮은 전류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20)이 작은 힘으로 비상문을 끌어당기도록 하고, 인체감지센서(50)가 비상문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했을 때에는 높은 전류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자석(20)이 큰 힘으로 비상문을 끌어당기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비상문을 강제로 열지 못하도록 한다. 참고로, 인체감지센서(50)는 높은 감도를 위하여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40 not only control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to the electromagnet 20 but also controls the supply current of the power supply unit 30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Control the size. That is,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does not detect the presence of a person around the emergency door, it supplies a low current power so that the electromagnet 20 pulls the emergency door with a small force,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 Senses the presence of a person in the vicinity of the emergency door, it supplies a high current power so that the electromagnet 20 pulls the emergency door with great force so that the person can not forcibly open the emergency door. For refer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is located outside the housing 10 for high sensitivity.

기존의 이엠락 방식의 비상문 제어장치는 단지 전자석(20)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만을 제어하였기 때문에 비상시가 아닌 경우 항상 전자석(20)에 높은 전류의 전원이 공급되었으므로 많은 전력을 소모하였지만,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비상문 제어장치는 비상문 주변에서의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전자석(20)의 힘을 조절하므로 비상문을 제어하는 데 소요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existing EM lock-typ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controls only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omagnet 20, it consumes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because a high-current power is alway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20 when it is not in an emergency. However,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force of the electromagnet 20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rson in the vicinity of the emergency door, thereby reducing the power required to control the emergency door.

또한, 기존에는 전자석(20) 부분과 전원공급부(30) 부분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전자석(20)과 전원공급부(30)를 케이블로 연결해주어야 하였으므로 비상문 제어장치의 설치가 번거롭고 상기 케이블이 노출되는 경우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는 전원공급부(30)와 제어부(40)가 전자석(20)이 설치된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므로 비상문 제어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미관상으로 우수하다.Since the electromagnet 20 and the power supply unit 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lectromagnet 20 and the power supply unit 30 are connected by a cable, Since the power supply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40 are disposed in the housing 10 in which the electromagnet 20 is installed, the emergency do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nstallation of the emergency door control apparatus And is excellent in cosmetics.

상기 제어부(4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41)는 비상문 제어장치가 설치된 하나의 비상문 주변에 다른 비상문이 위치하는 경우, 다른 비상문 제어장치와 통신함으로써 하나의 비상문 제어장치로 다른 비상문 제어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비상문 제어장치에 제어부(40)를 두면 주변의 다른 비상문 제어장치는 보다 단순하게 구성하더라도 한 비상문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아 비상문을 상황에 맞게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other emergency door is located around one emergency door provided with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communicates with another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so that on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ther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 Accordingly, if the control unit 40 is placed in on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the other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s in the vicinity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under the control of an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even if the configuration is simplified.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부(41)는 비상문이 양문형으로 이루어져 두 개의 문을 함께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특히 유효하다고 할 것이다.Suc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may be said to be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emergency door is a double door type and needs to control two doors together.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41)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장치 또는 와이파이 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may be, for example, a Bluetooth device or a Wi-Fi device.

하우징(10)은 비상문의 문틀에 접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60)를 통해 비상문의 문틀에 고정되고, 이때 베이스플레이트(60)는 제1접점부(61)를 구비하며 하우징(10)은 제2접점부(11)를 구비한다.The housing 10 is fixed to the emergency door frame through a base plate 60 joined to the door frame of the emergency door with the base plate 60 having a first contact portion 61 and the housing 10 having a second contact (11).

제1접점부(61)는 외부의 전원장치(5)에 연결되며 베이스플레이트(60)에서 하우징(10)을 향하는 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접점부(11)는 하우징(10)에서 베이스플레이트(60)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접점부(61)와 접촉함으로써 제1접점부(6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2접점부(11)로 전달된 전원은 하우징(10) 내에 위치하는 전원공급부(30) 등의 장치에 공급된다.The first contact part 61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device 5 and is installed on a surface facing the housing 10 from the base plate 60. The second contact part 11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 facing the base plate 6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contact part 61 by contacting the first contact part 61.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contact part 11 is supplied to a device such as the power supply part 30 located in the housing 10. [

기존에는 비상문 제어장치와 외부 전원을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하였으므로 비상문 제어장치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비상문의 문틀에서 비상문 제어장치를 제거할 때 케이블을 절단하고 다시 부착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주어야 하였다.In order to maintain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it was necessary to cut and reattach the cable when removing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from the door frame of the emergency door because the emergency control device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were connected through the cable.

그러나 본 발명의 비상문 제어장치에서는 제1접점부(61)가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접점부(11)는 판스프링형으로 이루어져, 제1접점부(61)와 제2접점부(11)가 별도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제2접점부(11)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므로 전원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으면서도, 비상문 제어장치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비상문의 문틀에서 떼어내는 경우 전원 케이블을 절단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비상문 제어장치를 다시 비상문의 문틀에 부착할 때에도 제2접점부(11)를 제1접점부(61)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전기적 연결을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portion 6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 is formed in a leaf spring shape. The first contact portion 61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 The power supply cable can b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ontact door unit 11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contact unit 11, It is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61 even when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is attached again to the emergency door frame.

도 1에서와 같이 제1접점부(61)와 제2접점부(11)는 전원용과 신호용으로 각각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신호용의 접점부는 하우징(10) 외부에 위치하는 인체감지센서(50) 등의 신호를 제어부(40)로 전달해준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ortions 61 and second contact portions 11 may be formed for power supply and signal, and the signal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 To the control unit 40.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상기 제어부(40)는 중앙 관리센터(2)와 통신하는 원거리 통신부(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는 이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40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for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thereof.

원거리 통신부(42)는 비상문 및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중앙 관리센터(2)로 비상문 및 비상문 제어장치의 상태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시설물의 관리자가 비상문과 비상문 제어장치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비상문 등의 상태를 쉽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transmits the state of the emergency door and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for managing the emergency door and the facilities provided with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an administrator of the facility to easily check the status of an emergency door without directly checking the emergency door and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원거리 통신부(42) 또는 중앙 관리센터(2)는 인터폰(3)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4)와 통신할 수 있다.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or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rphone 3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 [

상기 비상문 제어장치에서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것을 감지한 경우, 시설물의 곳곳에 설치된 인터폰(3) 또는 시설물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폰, 태블릿 피씨 등의 무선통신 단말기(4)와 통신이 가능한 원거리 통신부(42)는 시설물의 사용자들에게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When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detects occurrenc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it can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tablet PC carried by a user of the facility or the interphone 3 installed in various places of the facility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can promptly notify the users of the facility of an emergency situation.

원거리 통신부(42)에서 무선통신 단말기(4) 등으로 전달되는 정보에 오류가 있을 수 있는 경우에는 먼저 원거리 통신부(42)에서 중앙 관리센터(2)로 정보를 전송한 후 중앙 관리센터(2)에서 상황을 판단하여 무선통신 단말기(4) 등으로 비상 상황을 알린다. 참고로, 도 2에서는 원거리 통신부(42)가 중앙 관리센터(2)를 통해 인터폰(3)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4)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If there is an error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 or the like,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first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And inform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 or the like of the emergency situation. 2, a case where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interphone 3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 through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is shown.

제어부(40)가 원거리 통신부(42)를 더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40)는 개폐감지센서(70), 미세먼지센서(80), 충격감지센서(90) 또는 소음감지센서(1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sensor 70, the fine dust sensor 80, the impact sensor 90 or the noise sensor 100 when the control unit 40 further includes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

개폐감지센서(70)는 비상문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며, 개폐감지센서(70)가 비상문의 열림을 감지한 경우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이므로 원거리 통신부(42)가 비상문의 이러한 상황을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한다. 비상문이 장시간 열려있는 경우에는 비상 상황일 확률이 보다 높으므로 원거리 통신부(42)에서 직접 무선 단말기 등으로 시설물 사용자에게 상황을 알리거나 중앙 관리센터(2)를 거쳐 상황을 판단한 후 시설물 사용자에게 상황을 알린다.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70 senses whether the emergency door is opened. When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0 detects the opening of the emergency door, the abnormal situation has occurred. 2). If the emergency door is open for a long time, the possibility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higher. Therefore,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directly informs the facility user of the situation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or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

미세먼지센서(80)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감지하는 것이며, 미세먼지센서(80)에서 미세먼지의 농도가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원거리 통신부(42)가 이러한 정보를 중앙 관리센터(2)에 전송한다. 미세먼지의 농도에 관한 신호를 전송받은 중앙 관리센터(2)는 무선 단말기 등으로 시설물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하여, 시설물 사용자들이 창문 등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미세먼지센서(80)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옥상 주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fine dust sensor 80 senses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When the fine dust sensor 80 detect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Lt; / RTI >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receiving the signals of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s can transmit signals to the user of the facility through the wireless terminal or the like so that the facility users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s and the like. The fine dust sensor 80 may be located around the roof top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can be accurately known.

충격감지센서(90)는 비상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것이며, 충격감지센서(90)에서 비상문에 가해지는 충격이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원거리 통신부(42)가 이러한 상황을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한다. 비상문에 큰 충격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은 누군가 강제로 비상문을 통해 출입하려고 한다거나 비상문을 파손하려고 하는 상황일 가능성이 크므로 이를 중앙 관리센터(2)에 알릴 필요가 있다.The shock detection sensor 90 senses an impact applied to the emergency door. When the shock sensor 90 senses that the impact applied to the emergency door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To the center (2). A major impact on the emergency gate is that it is likely that someone is trying to get in or out of the emergency gate or is trying to destroy the emergency gate, so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소음감지센서(100)는 비상문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는 것이며, 소음감지센서(100)에서 비상문 주변의 소음이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원거리 통신부(42)가 소음감지센서(100)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한다. 큰 소음은 사건·사고 발생의 표지일 수 있으므로 이를 중앙 관리센터(2)에 알릴 필요가 있다.The noise detection sensor 100 senses the noise around the emergency door. When the noise detection sensor 100 detects that the noise around the emergency door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detects the nois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Large noises may be a sign of accidents or accidents, so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제어부(40)가 개폐감지센서(70), 충격감지센서(90) 또는 소음감지센서(100)에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40)는 비상문 주변에 관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110)에 연결되어 개폐감지센서(70), 충격감지센서(90) 또는 소음감지센서(100)의 신호와 함께 카메라(110)의 영상 정보를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0, the impact detection sensor 90 or the noise detection sensor 100,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camera 110 to provid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vicinity of the emergency door And can transmit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110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together with signals of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0, the impact detection sensor 90 or the noise detection sensor 100.

카메라(110)의 영상 정보는 중앙 관리센터(2)에서 비상문의 개폐 유무 등 만으로는 파악하기 힘든 비상문 주변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110 allows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situation around the emergency door, which is difficult to grasp only by the opening / closing of the emergency door.

본 발명에 의한 비상문 제어장치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들 외에도 일반적인 이엠락 방식의 비상문 제어장치가 구비하는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도 전자석(20)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비상배터리(B),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점검 등을 위해 비상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스위치(S) 및 비상문 제어장치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해주는 표시부(D)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mergency battery B that allows the electromagnet 20 to operate even when the external power source of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of the general EM lock type is shut off, An emergency switch S for allowing the emergency door to be opened for the purpose of checking even if a fire does not occur, and a display portion D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to the outside Of cour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echnical thought.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 : 비상문 제어장치 2 : 중앙 관리센터
3 : 인터폰 4 : 무선통신 단말기
10 : 하우징 11 : 제2접점부
20 : 전자석 30 : 전원공급부
40 : 제어부 41 : 근거리 무선통신부
42 : 원거리 통신부 50 : 인체감지센서
60 : 베이스플레이트 61 : 제1접점부
70 : 개폐감지센서 80 : 미세먼지센서
90 : 충격감지센서 100 : 소음감지센서
110 : 카메라
1: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2: central management center
3: Interphone 4: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10: housing 11: second contact portion
20: Electromagnet 30: Power supply
40: control unit 41: short-
42: remote communication part 50: human body detection sensor
60: base plate 61: first contact portion
70: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80: fine dust sensor
90: Shock sensor 100: Noise sensor
110: camera

Claims (10)

비상문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비상문의 문틀에 고정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외측 일면에 형성되는 전자석(20);
상기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며 전자석(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0);
상기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며 화재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부(30)에서 전자석(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0); 및
비상문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5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은 비상문의 문틀에 접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60)를 통해 비상문의 문틀에 고정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0)에서 하우징(10)을 향하는 면에는 외부 전원장치에 연결된 판형의 제1접점부(61)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에서 베이스플레이트(60)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1접점부(61)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하우징(10) 내로 전달하는 판스프링형의 제2접점부(11)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인체감지센서(50)가 사람의 존재를 감지한 경우 전원공급부(30)가 더 높은 전류의 전원을 전자석(2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mergency door, comprising:
A housing (10) fixed to the door frame of the emergency door;
An electromagnet 20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 power supply unit 30 disposed in the housing 10 an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magnet 20;
A control unit (40) disposed in the housing (10)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 to the electromagnet (20)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And
And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around the emergency door,
The housing 10 is fixed to the emergency door frame through a base plate 60 joined to the emergency door frame,
A plate-shaped first contact portion 61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base plate 60 facing the housing 10, and on the surface facing the base plate 60, Spring type second contact portion 11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61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housing 10,
Wherein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power supply unit (30) to supply a power of a higher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20)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50) detects the presence of a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근거리 무선통신부(41)를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41)는 근거리에 위치한 비상문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40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Where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communicates with an emergency door controller located in a close vicinit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비상문이 설치된 시설물의 중앙 관리센터(2)로 비상문의 상태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부(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40) further comprises a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for transmitting a signal relating to the state of the emergency inquiry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of the facility having the emergency door installed there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통신부(42) 또는 중앙 관리센터(2)는 인터폰(3)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4)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or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communicates with the interphone (3)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비상문의 열림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센서(70)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감지센서(70)에서 비상문의 열림을 감지한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부(42)가 개폐감지센서(70)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an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70 for detecting whether an emergency door is open. When the opening / closing detection sensor 70 senses the opening of the emergency door,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detects opening / )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80)에 연결되고, 상기 미세먼지센서(80)에서 미세먼지 농도가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부(42)가 미세먼지센서(80)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a fine dust sensor 80 for detecting a fine dust concentration and when the fine dust sensor 80 detects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ransmits the signal of the sensor (80)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비상문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90)에 연결되고, 상기 충격감지센서(90)에서 비상문에 가해지는 충격이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부(42)가 충격감지센서(90)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an impact sensor 90 for detecting an impact applied to an emergency door. When the shock sensor 90 senses that an impact applied to an emergency do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42) transmits the signal of the impact detection sensor (90)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비상문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는 소음감지센서(100)에 연결되고, 상기 소음감지센서(100)에서 비상문 주변의 소음이 일정치 이상인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부(42)가 소음감지센서(100)의 신호를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a noise detection sensor 100 for detecting the noise around the emergency door and when the noise around the emergency door is detected by the noise detection sensor 100 to be equal to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 Transmits the signal of the noise detection sensor (100)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비상문 주변에 관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110)에 연결되고, 상기 원거리 통신부(42)는 카메라(110)의 영상 정보를 중앙 관리센터(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문 제어장치.
10.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8 and 9,
The control unit 40 is connected to a camera 110 for providing image information on the periphery of the emergency door and the remote communication unit 42 transmits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110 to the central management center 2 The emergency door control device.
KR1020170037457A 2017-03-24 2017-03-24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 KR1017766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57A KR101776689B1 (en) 2017-03-24 2017-03-24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57A KR101776689B1 (en) 2017-03-24 2017-03-24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689B1 true KR101776689B1 (en) 2017-09-08

Family

ID=5992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457A KR101776689B1 (en) 2017-03-24 2017-03-24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68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721Y1 (en) * 2006-06-21 2006-09-2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close device
KR101242115B1 (en) 2011-11-28 2013-03-11 한국원자력연구원 Security door system for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plant facilities
KR101563655B1 (en) 2015-03-18 2015-10-27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Multi function fire de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721Y1 (en) * 2006-06-21 2006-09-29 캡스시스템 주식회사 Emergency door automatic open-close device
KR101242115B1 (en) 2011-11-28 2013-03-11 한국원자력연구원 Security door system for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plant facilities
KR101563655B1 (en) 2015-03-18 2015-10-27 주식회사 하나비젼씨스템즈 Multi function fire det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6752B1 (en) smart barrier alarm device
KR101847687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for smart window
US20110140868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KR20150052974A (en) Integrated door lock type Smart door and its control method
CN105225301A (en) A kind of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based on WIFI and Cloud Server
US9396623B2 (en) Easily installable home alarm system
US20180283078A1 (en) Motorized door hinge system and method
CN102637331B (en) Community anti-theft alarm system and community anti-theft alarm method
US20050073404A1 (en) Anti-intruder security system with sensor network and actuator network
KR10177668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door
KR101855320B1 (en) Window invasion detection device using complex sensor and method
KR101777396B1 (en) An Device and A System Of An Intelligent Indoor Warning For Open And Shuts Of A oor
KR20160050303A (en) Alarm System for Invasion Based on Magnetic Sensor
KR101914813B1 (en)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651009B1 (en) An alarm apparatus for robbery protection of portable
KR20130097258A (en) Unmanned guard system
KR20150122399A (en) Crime prevention system for a window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440660B1 (en) Wireless type door rock system having a security function
KR1011810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 lock state of door
CN210039041U (en) Well lid detection alarm system for special area
WO2004079687A1 (en) Security system,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vehicle security system, network system, and setting method
KR20000059174A (en) Burglar device used by internet
KR101693215B1 (en) An Integrated Sens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IY type Unmanned Security System
KR100863787B1 (en) Wirel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door
KR200406861Y1 (en) Portable Anti-theft Al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