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517B1 -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517B1
KR101776517B1 KR1020160093454A KR20160093454A KR101776517B1 KR 101776517 B1 KR101776517 B1 KR 101776517B1 KR 1020160093454 A KR1020160093454 A KR 1020160093454A KR 20160093454 A KR20160093454 A KR 20160093454A KR 101776517 B1 KR101776517 B1 KR 10177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charging
detection value
charg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규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5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57
    • B60L11/186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02J7/0077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capable of increasing a charging capacity in a battery cell by additionally charging the battery again if a preset time elapses after the supply of a charging current is blocked when a battery voltage reaches a maximum voltage i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by considering that a polarization voltage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impedanc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The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includes the steps of: supplying the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blocking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f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reaches a preset charging finish voltage; and performing an additional charging process by supplying the charging current until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reaches the charging finish voltage if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s blocked and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is reduced below a preset critical voltage before a preset reference time elapses.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0001]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0002]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열화에 의한 내부 임피던스 증가로 분극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터리 충전 시 배터리 전압이 최대 전압에 도달하여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한 이후 소정 시간 경과하면 다시 배터리를 추가 충전함으로써 배터리 셀에 충전 용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a charging capacity in a battery cell by additionally charging a battery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shutting off.

일반적으로, 배터리(또는 배터리 모듈)은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에서 각 배터리 셀은 제조 공정 상의 편차나 적용 환경의 차이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사용 중 그 열화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Generally, a battery (or battery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In such a battery, each battery cell may exhibit different degrees of deterioration during use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a varia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 difference in application environment.

열화도가 높은 배터리 셀은 내부 임피던스가 증가하고 그에 따른 분극 전압이 높아진다. 분극 전압은 내부 임피던스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하는 전압으로, 내부 임피던스가 높거나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크게 나타난다.A battery cell having a high degree of deterioration has an increased internal impedance and accordingly a higher polarization voltage. The polarization voltage is a voltage generated when a current flows in the internal impedance. The larger the internal impedance or the larger the current flowing, the larger the polarization voltage.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배터리 전체를 대상으로 충전전류가 공급되므로 열화도가 다른 배터리 셀은 분극전압의 차이로 인해 각각의 단자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다르게 나타난다. 열화도가 높은 배터리 셀은 내부 임피던스가 크기 때문에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에 비해 분극 전압이 높으며, 이러한 높은 분극 전압으로 인해 그 단자 전압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In the case of charging a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ince the charg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entire battery, voltages detected at the respective terminals are different in battery cell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terior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polarization voltage. A battery cell having a high degree of deterioration has a high internal impedance, so that a polarization voltage is higher than that of a battery cell having a low degree of deterioration, and the terminal voltage is also relatively high due to such a high polarization voltage.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각 배터리 셀의 단자 전압을 검출한 결과에 따라 배터리 충전 중단을 결정하는데, 열화도가 높은 배터리 셀은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에 비해 사전 설정된 최대 충전 전압에 먼저 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은 여전히 충전할 수 있는 잔여 충전 용량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충전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체 배터리의 입장에서도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이 중단되어, 전체 배터리의 용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of the battery determines the termination o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detecting the terminal voltage of each battery cell. The battery cell having a high degree of deterioration first reaches the predetermined maximum charging voltage Accordingly, the battery cell having a low degree of deterioration has a problem that charging is stopped even though the battery cell still has a remaining charging capacity for charging. Even though the whole battery can store more energy, the charging is stopped and the capacity of the entire battery is reduced.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 10-2013-0142807 AKR 10-2013-0142807 A KR 10-2012-0091707 AKR 10-2012-0091707 A

이에 본 발명은, 배터리 열화에 의한 내부 임피던스 증가로 분극 전압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터리 충전 시 가장 큰 전압 검출값을 갖는 배터리 셀을 기준으로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한 이후 다시 배터리를 추가 충전함으로써 배터리 셀에 충전 용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view of the fact that the polarization voltage is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impedanc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based on the battery cell having the largest voltage detection value at the time of charging the battery, And a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battery cell by charging the battery.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단계;Supplying a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Blocking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reaches a predetermined charging end voltage;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고 사전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이 상기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추가 충전하는 단계;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decrease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before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s stopped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elapses, Supplying a current to further charge the battery;

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한다.And a battery charg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는, 상기 추가 충전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이 상기 임계 전압 보다 크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최종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after the elapse of the reference time after the additional charging step, final charging of the battery may be terminat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추가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를 관리하는 컨트롤러가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과 상기 임계 전압을 비교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charging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managing the battery wakes up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detect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to compare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with the threshold voltag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압 검출값은 상기 배터리를 구성하는 상호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 중 최대 전압을 갖는 배터리 셀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may be a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in a battery cell having a maximum voltage among a plurality of mutually serially connected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추가 충전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는 상기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in the additional charging step may have a value smaller than a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in the supplying step.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A voltage sensor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battery;

상기 배터리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충전기; 및A charger for supplying a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And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전류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unit to adjust the charging current,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압 센서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고, 그 후 사전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 상기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전압 검출값이 상기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추가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controller stops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voltage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charging end voltage, and then, befo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elapses, The charging curr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charging system until the voltage detection value reaches the charging end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를 추가 충전한 이후,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기 전압 검출값이 상기 임계 전압 보다 크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최종 종료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attery is further charged, the controller may finally end the charging of the battery if the voltage detection value after the elapse of the reference tim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전압 검출값과 상기 임계 전압을 비교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wake up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compare the voltage detection value with the threshold voltage.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웨이크업하는 회수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reference tim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wakeup is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배터리는 상호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센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검출하는 복수개로 구현되며, 상기 전압 검출값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중 최대 전압을 갖는 배터리 셀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and the voltage sensor is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detecting voltag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may be a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in a battery cell having a maximum voltage among battery cell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를 추가 충전할 때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가 그 직전에 배터리로 공급된 충전전류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further charged to have a value smaller than a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immediately before the charging.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배터리에 포함된 열화 배터리 셀이 분극전압에 의해 충분히 충전되지 못하는 경우, 우선적인 충전 종료 후 배터리 셀의 안정화 과정을 거쳐 추가적인 충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열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기 에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having the above-described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en the deteriorated battery cell included in the battery can not be sufficiently charged by the polarization voltage, after the priority charging is completed, The electric energy to be charged in the deteriorated battery cell can be maximized.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 기간이 오래된 배터리의 경우에도 충전 용량을 최대화하여 차량의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can maximize the charging capacity even in the case of an old battery, thereby preventing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from deterior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배터리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과 열화도가 높은 배터리 셀의 충전 중 단자 전압 변화 및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에 의한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battery cell included in a battery.
3 is a flowchart showing a battery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terminal voltage change during charging of a battery cell having a low degree of deterioration and a battery cell having a high degree of deterioration, and a voltage variation of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a battery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battery charg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셀(11)을 포함하는 배터리(10)와, 복수의 배터리 셀(11) 각각의 전압을 검출하는 복수의 전압센서(12)와, 배터리(10)로 충전전류(i)를 제공하는 충전기(30) 및 충전기(30)를 제어하여 충전기(30)로부터 배터리(10)로 제공되는 충전전류(i)를 조정하는 컨트롤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10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a plurality of voltage detecting units (not shown) The charging current i supplied from the charger 30 to the battery 1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sensor 12 and the charger 30 and the charger 30 that provide the charging current i to the battery 10 And a controller 2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배터리(10)는 통상 배터리 모듈이라고도 하며, 상호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11)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30)에서 제공되는 충전전류(i)는 배터리(10)로 제공되어 복수의 셀(11)을 각각 충전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셀(11)이 충전됨에 따라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증가하면서 그 전압도 함께 상승한다.The battery 10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battery modul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connected in series. The charging current i supplied from the charger 30 can be supplied to the battery 10 to charge each of the plurality of cells 11 and the charging state SoC Charge increases as the voltage increases.

도 2는 배터리(10)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11)의 등가회로도이다. 특히 도 2는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한 등가회로도로서,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은 배터리 셀의 개방 회로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Ve)와 내부 인피던스에 의한 분극전압(Ve, Vp)의 합으로 결정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등가회로도에 의한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의 단자전압(측정전압: Vt)은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battery cell 11 included in the battery 10.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consider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lithium ion battery cell. The lithium ion battery cell has an open circuit voltage (OCV) (Ve) and a polarization voltage (Ve, Vp) due to internal impedanc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terminal voltage (measured voltage: Vt) of the lithium ion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equivalent circuit diagram shown in FIG. 2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1).

[식 1][Formula 1]

Vt = Ve + Vi + VpVt = Ve + Vi + Vp

상기 식 1에서 분극전압은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만 생성되는 것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조건이라면 배터리 셀의 단자전압은 개방 회로 전압과 동일한 값(Vt=Ve)이 된다. 즉, 개방 회로 전압은 실제 배터리 셀의 에너지 용량을 의미하는 값이 되는 것이다.Since the polarization voltage is generated only when current flows,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cell becomes equal to the open circuit voltage (Vt = Ve) under the condition that no current flows. That is, the open circuit voltage is a value indicating the energy capacity of the actual battery cell.

한편, 전류(i)가 흐르는 조건인 경우 식 1은 다음의 식 2 및 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current (i) flows, equation (1)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2) and (3).

[식 2][Formula 2]

Vt = Ve + i*Ri +i*(RC회로의 합성 임피던스)Vt = Ve + i * Ri + i * (composite impedance of RC circuit)

[식 3][Formula 3]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1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1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2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2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3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3

즉, 배터리 셀의 내부 임피던스(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4
)와 전류(i)에 의해 실제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전압이 아닌 분극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 분극전압은 전류(i)가 크고 내부 임피던스(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5
)가 클수록 더 큰 값을 갖게 된다.That is,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cell (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4
) And the current (i) cause a polarization voltage that is not a voltage that can actually provide energy. This polarization voltage has a large current (i) and an internal impedance (
Figure 112016071529612-pat00005
The larger the value, the greater the value.

배터리의 충전시에는 배터리 셀에 전류(i)가 흐르게 되므로 내부 임피던스에 의한 분극 전압이 반드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극전압에 의해 배터리 셀의 단자에서 검출되는 전압은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에 해당하는 개방 회로 전압(Ve)보다 큰 값을 가지며, 이러한 배터리 셀의 검출전압이 컨트롤러(20)로 제공된다. When the battery is charged, the current (i) flows through the battery cell, so that the polarization voltage due to the internal impedance is necessarily generated. The voltage detected at th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by the polarization voltage has a value larger than the open circuit voltage Ve corresponding to the actual usable energy and the detection voltage of the battery cell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20. [

컨트롤러(20)는 분극 전압을 포함하는 검출전압을 고려하여 충전을 제어하는 바, 실제 배터리 셀에 충분한 에너지가 충전되지 못한 상태에서 충전을 중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charging in consideration of the detection voltage including the polarized voltage, so that the charging can be stopped in a state in which sufficient energy is not charged in the actual battery cell.

충전이 중단되는 시점에서 배터리 셀의 전압은 충전목표전압에 대응하는 값을 가지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 임피던스(특히 커패시터(Cdl))에 의한 전압이 사라지면서 배터리 셀의 단자전압은 점차 감소하여 개방 회로 전압(Ve)로 수렴하게 된다.The voltage of the battery cell ha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target voltage at the time when charging is stopped, but the voltage due to the internal impedance (particularly, the capacitor Cdl) disappears with the lapse of time, and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cell gradually decreases And converges to the open circuit voltage Ve.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셀은, 충전과 방전이 반복될수록 불순물 생성으로 인한 이온 침전 등의 이유로 내부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되며 실제 에너지 저장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즉, 배터리 셀의 열화가 증대됨에 따라 내부 임피던스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충전 중 내부 임피던스에 의한 분극 전압(Vi + Vp)의 값은 열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빠르게 상승하게 된다. As the chargeable and dischargeable battery cells are repeatedly charged, the internal impedance is increased due to ion precipita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impurities, and the actual energy storage capacity is reduced. That is, as the deterioration of the battery cell is increased, the internal impedance is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polarization voltage (V i + V p ) due to the internal impedance during charging The value rises more rapidly as deterioration progresses.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컨트롤러(20)는 복수의 배터리 셀의 단자전압 중 최대전압에 따라 충전 중단을 결정하게 되므로, 배터리 셀 간의 열화도가 상호 상이한 경우 충전을 종료하는 시점에서 각 배터리 셀의 충전 상태가 상호 상이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charging the battery includ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e charge stop according to the maximum voltage among the terminal voltage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refore, when the deterioration degrees among the battery cel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harging states of the respective battery cells becom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상대적으로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은, 최대 전압을 갖는 배터리 셀로 인해 그 단자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하지 못한 시점, 즉 충전이 충분하게 완료되지 못하는 시점에 충전이 종료되고, 시간이 지나 분극 전압이 소멸되면 낮은 단자전압이 개방 회로 전압으로 감소되어 배터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충전용량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That is, in a battery cell having a relatively low degree of deterioration, charging is terminated when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cell having the maximum voltage fails to reach the maximum value, that is, when charging is not sufficiently completed, When the voltage is extinguished, the low terminal voltage is reduced to the open circuit voltage, which may cause a disruption to the charge capacity to the user using the battery.

따라서, 충전 중 배터리 셀의 분극전압에 의한 충전용량의 감소의 영향을 줄이고 배터리 셀간의 열화도 차이에 따른 단자전압 차이를 가능한 감소시키면서 충전을 종료하여야 충전 이후 배터리 셀 안정화에 의해 발생하는 충전 상태의 편차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decrease in the charging capacity due to the polarization voltage of the battery cell during charging and to terminate the charging while minimizing the terminal volta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terioration degree between the battery cells. The deviation can be solved.

전압센서(12)는 배터리 셀(11)의 양단에 설치되어 배터리 셀(11)의 단자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충전 중에는 배터리 셀(11)로 전류(i)가 제공되는 상태이므로 전압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은 배터리 셀(11) 내부의 내부 임피던스에 의한 분극전압을 포함한 전압값이 될 수 있다.The voltage sensor 12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attery cell 11 to detect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cell 11. [ The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sensor 12 may be a voltage value including a polarization voltage due to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cell 11. In this case,

충전기(30)는 배터리(10)로 충전전류(i)를 제공하는 요소로서, 다양한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컨트롤러(20)의 제어에 의해 전류(i)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충전 시스템 내의 특정 회로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서, 충전기(30)는 컨트롤러(20)의 제어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되는 충전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컨트롤러(20)에 의해 크기가 제어되는 전류를 출력하는 회로적인 요소들은 당 기술분야에 기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harger 30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a charging system including various circuits as an element for providing the charging current i to the battery 10 and may be realized by controlling the size of the current i May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a particular circuit within the charging system. That i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harger 30 includes all elements capable of providing a charge current whose size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Circuit elements for outputting a current controlled in size by the controller 20 correspond to techniques known in the art, and a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컨트롤러(20)는 배터리(10)에 포함된 배터리 셀(11)의 단자전압을 검출한 값을 전압센서(12)로부터 입력 받고, 그에 따라 충전기(30)에서 출력되는 충전전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충전기(30)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서, 컨트롤러(20)는 전압센서(12)의 출력에 따라 각각의 배터리 셀(11)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에 따라 충전전류의 공급 여부 및/또는 충전전류(i)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20)가 충전전류(i)의 크기를 조정하는 데에는 충전기(30)의 출력단에 배치되는 전류 센서(40)를 이용하여 검출되는 충전전류(i)의 검출값을 이용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receives the value of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cell 11 included in the battery 10 from the voltage sensor 12 and controls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output from the charger 30 accordingly To the charger 30,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 In particular,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rging current is supplied and / or the charging current (or the charging current) according to the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in each battery cell 11, i can be adjusted. The controller 20 can use the detected value of the charging current i detected using the current sensor 40 dispos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r 30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i.

컨트롤러(20)에서 수행되는 제어기법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 techniques performed in the controller 20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battery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과 열화도가 높은 배터리 셀의 충전 중 단자 전압 변화 및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에 의한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harging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erminal voltage during charging of a battery cell having a low degree of deterioration and a battery having a high degree of deteriora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voltage changes of a battery cell according to a battery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충전 방법은, 배터리(10)의 충전이 개시되면 컨트롤러(20)가 충전기(30)를 제어하여 배터리(10)로 충전전류(i)를 공급하는 단계(S11)와, 배터리(10)의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면 컨트롤러(20)가 충전기(30)를 제어하여 충전전류(i)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2)와,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고 사전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S13) 배터리(10)의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S15), 배터리(10)의 전압 검출값이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추가 충전하는 단계(S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whe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0 is started,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charging device 30 to charge the charging current i to the battery 10, A step S11 of supplying the charging current i to the charger 30 by the controller 20 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10 reaches a preset charging end voltage 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10 is decreased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or less (S15) before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s stopped and the preset reference time elapses (S13), the voltage of the battery 10 And a step (S11) of supplying the charging current by further charging until the detected value reaches the charging end voltage.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배터리(10)의 전압 검출값은 복수의 배터리 셀(11) 각각에 마련된 전압센서(12)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 중 가장 큰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상호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11)이 과충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 큰 전압 검출값을 갖는 배터리 셀을 기준으로 충전전류(i)의 공급 여부가 결정된다.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10 may use the largest value among the voltage detection values detected by the voltage sensor 12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 This is to prevent overcharging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11 connected in series,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harging current i is supplied based on the battery cell having the largest voltage detection valu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은 내부 임피던스가 작으므로 분극 전압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충전전류가 공급되는 충전 중에 단자전압의 크기는 서서히 증가하게 된다. 반면, 열화도가 높은 배터리 셀은 내부 임피던스가 크기 때문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분극 전압이 크게 상승하므로 충전 중에 단자전압의 크기가 급하게 증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cell having a low degree of deterioration is small, the influence of the polarization voltage is small, and thus the magnitude of the terminal voltage gradually increases during charging in which the charging current is supplied. On the other hand, since a battery cell having a high degree of deterioration has a large internal impedance, when a current is supplied, the polarization voltage greatly increases, and the magnitude of the terminal voltage increases rapidly during charging.

도 4의 좌측 그래프는 상대적으로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의 충전에 따른 단자전압 변화를 도시한 것이고 가운데 그래프는 열화도가 높은 배터리 셀의 충전에 따른 단자전압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The graph on the left side of FIG. 4 shows terminal voltage changes due to charging of battery cells having relatively low deterioration, and the middle graph shows terminal voltage changes due to charging of battery cells having a high deterioration degree.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의 경우에는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까지 단자전압이 상승하여 충전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배터리 셀의 안정화이 후 임계 전압과 배터리 셀의 개방전압과의 차이가 작다. 이에 반해, 열화도가 높은 배터리 셀을 종래와 같이 단순 충전하는 경우에는 내부 임피던스에 의해 배터리 단자전압이 급격하게 상승하므로, 배터리 셀 전압 검출값이 임계 전압에 도달하여 충전이 중단되는 경우 임계 전압과 배터리 셀의 개방전압(Ve)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서, 여러 배터리 셀을 함께 충전하는 경우 컨트롤러(20)는 최대 전압 검출값을 갖는 배터리 셀을 기준으로 충전 종료를 결정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열화도가 낮은 배터리 셀은 개방 회로 전압까지 더 상승할 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전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열화된 배터리 셀의 경우에도 내부 임피던스에 의한 분극 전압의 영향을 배제하는 경우에 더 많은 전력을 저장할 수 있게 됨에도 불구하고 전압센서(12)에서 검출되는 전압 검출값에 기반하여 충전 여부가 결정되므로 충전량이 적어진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전체 배터리의 충전 용량까지 감소되는 것이다.4, in the case of a battery cell having a low degree of deterioration, when the terminal voltage rises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and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s interrupted, the threshold voltage and the open- .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cell having a high degree of deterioration is simply charged a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battery terminal voltage rapidly rises due to the internal impedance. Therefore, when the battery cell voltage detection value reaches the threshold voltage, The difference from the open-circuit voltage Ve of the battery cell is large. Accordingly, when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harged together,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e end of charging based on the battery cell having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Therefore, the battery cell having a relatively low deterioration degree is further raised to the open circuit voltage There is a problem that charging is stopped even though there is a possibility. Further, even in the case of a deteriorated battery cell, it is possible to store more power when the influence of the polarization voltage due to the internal impedance is excluded, but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or not is determined based o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voltage sensor 12 So that the amount of charge is reduced. Furthermore, these problems reduce the charge capacity of the entire battery.

따라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배터리 충전 시 가장 큰 전압 검출값을 갖는 배터리 셀을 기준으로 충전전류(i)의 공급을 차단하고서 충전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배터리를 추가 충전함으로써 배터리 셀에 더 많은 전력을 충전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such a problem,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harging current (i) from being supplied based on the battery cell having the largest voltage detection value at the time of battery charging,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charge the battery cell with more power by charging the battery further.

이를 위해, 도 4의 가장 우측 그래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는 배터리 충전이 개시되면 우선적으로 배터리(10)에 충전전류(i)를 공급하여 배터리(10)에 포함된 전체 배터리 셀(11)을 충전하고(S11), 각 배터리 셀(11)의 전압을 각각 검출하는 전압센서(12)에서 제공되는 전압 검출값 중 최대 전압 검출값을 기반으로 충전전류(i)의 공급차단 여부를 결정한다(S12).To this end, as shown in the rightmost graph of Fig. 4,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y charge current (i) to battery 10 preferentially when battery charging is started, Charging of the charging current i is performed based on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among the voltage detection values provided by the voltage sensor 12 that detects the voltage of each battery cell 11 (S11) (S12).

단계(S12)에서, 컨트롤러(20)는 최대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충전 종료 전압(셀 허용 최대전압)에 도달하면 충전전류(i)의 공급을 우선 차단한다. 그 후 사전 설정된 기준 시간(A)이 경과하기 이전에(S14) 최대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S15) 추가 충전을 위해 충전기(30)를 제어하여 충전전류(i)가 배터리(10)로 공급되게 한다. 이 때, 임계 전압은 사전 설정된 배터리 셀의 충전상태(SOC)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열화된 배터리 셀의 개방회로 전압(Ve)에 해당하는 값이 될 수 있다.In step S12, the controller 20 first blocks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 when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charging end voltage (cell maximum voltage). If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is decreased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or less (S15) befo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A elapses (S14), the charger 30 is controlled for further charging so that the charging current (i) To be supplied to the battery (10). At this time, the threshold voltag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SOC) of the predetermined battery cell, and may be, for exampl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n circuit voltage Ve of the deteriorated battery cell.

이를 위해, 컨트롤러(20)는 충전전류(i)의 공급을 우선 차단한 이후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인 웨이크업을 수행하고(S14), 웨이크업 될 때마다 전압 센서(12)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을 확인하여 최대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5).To this end, the controller 20 periodically wakes up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interrupting the supply of the charge current i (S14), and when the wakeup is performed, the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sensor 1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or less (S15).

한편, 배터리 셀은 배터리 셀 제작자에 의해 사전에 결정되는 충전상태-개방회로전압 관계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cell has a charge state-open circuit voltage relationship determined in advance by the battery cell manufacturer.

예를 들어, 이 관계는 다음의 표와 같을 수 있다.For example, this relationship may be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개방회로 전압 (V)Open circuit voltage (V) 충전상태(SOC)(%)Charging state (SOC) (%) 4.04.0 100100 3.93.9 9595 3.83.8 9090 ...... ...... 2.12.1 55 2.02.0 00

단계(S15)에서 최대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는지 판단하는 것은 배터리 셀(11)의 충전상태에 따른 개방회로 전압의 크기를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우선적으로 충전전류(i)의 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 셀의 안정화가 이루어지던 중 배터리 셀의 충전상태(SOC)가 원하는 수준 이하로 감소하게 되면 이 원하는 수준의 충전상태(SOC)에 대응되는 값보다 전압 검출값이 더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임계 전압은 배터리 셀의 제작 시 사전에 결정되는 충전상태-개방회로 전압 관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is decreased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or less in step S15 is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open circuit voltage depending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cell 11. [ For example, when the charging state (SOC) of the battery cell is reduced to a desired level during the stabilization of the battery cell by interrupting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 the charging state The voltage detection value is further reduced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Therefore, this threshold voltage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ge state-open circuit voltage relationship determined beforehand in manufacturing the battery cell.

컨트롤러(20)가 우선적으로 충전전류(i) 공급을 차단한 후, 배터리 셀 내의 내부 임피던스가 제거되는 안정화 과정이 진행되면서 사전 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최대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여 다시 추가적으로 충전전류(i)를 배터리에 공급하게 한 경우에도, 추가적인 충전전류의 공급(i)은 최대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20 preferentially cuts off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 and then stabilizes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cell. As a result,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decreases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or less within a preset reference time In addition, even when the charging current i is supplied to the battery, the supply (i) of the additional charging current can be made until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charging end voltage.

이 때, 배터리 셀(11)의 내부 임피던스가 다시 생성되면서, 배터리 셀(11)의 전압 검출값은 실제 개방회로 전압이 상승하는 것보다 빠른 시간 내에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지만, 추가 충전(보충전)을 통해 그 이전 충전전류에 의한 충전 시 보다 개방회로 전압도 상승하게 된다. 즉, 도 4의 최우측 그래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최초 충전전류 공급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 셀의 개방전압(Ve1)보다 추가 충전 시 충전전류 공급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 셀의 개방전압(Ve2)이 더 큰 값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while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cell 11 is regenerated,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cell 11 reaches the charge end voltage within a time earlier than the actual open circuit voltage rises, ), The open circuit voltage also rises more than when charging by the previous charge current. That is, as shown in the rightmost graph of FIG. 4, when the open-circuit voltage Ve2 of the battery cell charged by the charging current supply during the additional charging is larger than the open-circuit voltage Ve1 of the battery cell charged by the initial charging current supply Value.

특히, 추가 충전시에 컨트롤러(20)는 그 직전 충전 시 제공되는 충전전류의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충전전류를 배터리(10)로 제공하도록 충전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의 내부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되는 분압전압의 크기는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거의 비례한다. 따라서, 전류의 크기를 작게 충전하는 경우 분압전압의 크기가 작게 나타나므로 배터리 셀에서 검출되는 전압 검출값에 분압전압이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은 최초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에 비해 상당히 짧기 때문에, 추가 충전 시에 충전전류를 감소시키면 그에 따른 충전시간 지연을 최소화 하면서 더 많은 전력을 배터리 셀에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upon further charging, the controller 20 may control the charger 30 to provide a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10 having a magnitude less than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provided upon its previous charging. As described above, the magnitude of the divided voltage determined by the internal impedance of the battery cell is almost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supplied current. Therefore, whe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s small, the magnitude of the divided voltage appears small,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divided voltage o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battery cell can be reduced. Since the time required for the additional charging is considerably shor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initial charging, if the charging current is reduced at the time of the additional charging, the battery cell can be charged with more power while minimizing the charging time delay.

컨트롤러(20)는 우선적으로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한 후 주기적인 웨이크업을 통해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배터리 셀(11)의 전압 검출값과 임계 전압을 비교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20)는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웨이크업 되므로, 웨이크업 되는 회수에 따라 충전전류 공급 차단 후 경과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추가 충전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이 웨이크업 주기의 n(자연수)배라고 한다면, 컨트롤러(20)는 우선적인 충전전류 차단 후 n회 이내로 웨이크업 하였을 때 최대 전압 검출값이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한 경우 추가 충전을 개시하도록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컨트롤러는 우선적인 충전전류 차단 후 n회를 초과하여 웨이크업 하였을 때 최대 전압 검출값이 임계 전압을 초과한다면 최종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종료하고,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되었음을 차량 시스템을 통해 운전자 등에게 통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0 may first interrupt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and then compare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cell 11 with the threshold voltag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rough periodic wakeup. In particular, since the controller 20 is woken up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elapsed time after the charge current interruption can be confirm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ake-up times. That is, if the reference time for judging the additional charge is n (natural number) times of the wakeup period,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is low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when the wake- The charger can be controlled to initiate an additional charge. On the other hand, if the maximum voltage detection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oltage when the controller wakes up more than n times after the interruption of the charge current, the controller finally terminates the charging of the battery and informs the driver I can notify you.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는 배터리에 포함된 열화 배터리 셀이 분극전압에 의해 충분히 충전되지 못하는 경우, 우선적인 충전 종료 후 배터리 셀의 안정화 과정을 거쳐 추가적인 충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열화 배터리 셀에 충전되는 전기 에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teriorated battery cell included in the battery can not be sufficiently charged due to the polarization voltage, the battery cell is stabilized after the first charge is completed, The electric energy to be charged into the battery cell can be maximiz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는 사용 기간이 오래된 배터리의 경우에도 충전 용량을 최대화하여 차량의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harging capacity even in the case of a battery having a long usage period, thereby preventing a fuel efficiency deteriorat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hereinafter claim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배터리 11: 배터리 셀
12: 전압 센서 20: 컨트롤러
30: 충전기 40: 전류 센서
10: Battery 11: Battery cell
12: voltage sensor 20: controller
30: charger 40: current sensor

Claims (11)

배터리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고 사전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이 상기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추가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충전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의 크기는 상기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의 크기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Supplying a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Blocking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reaches a predetermined charging end voltage;
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decrease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voltage before the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is stopped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elapses, Supplying an electric current to further charge the battery,
Wherein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in the additional charging step is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in the supplying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 충전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이 상기 임계 전압 보다 크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최종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ending charging of the battery if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after the reference time elapses after the additional charging ste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를 관리하는 컨트롤러가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배터리의 전압 검출값과 상기 임계 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ditional charging step includes the step of waking up the controller managing the battery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detect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comparing the voltage detection value of the battery with the threshold voltage How to charge the battery.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값은 상기 배터리를 구성하는 상호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 중 최대 전압을 갖는 배터리 셀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is a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in a battery cell having a maximum voltage among a plurality of mutually serially connected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battery.
삭제delete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
상기 배터리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전류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압 센서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충전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고, 그 후 사전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 상기 전압 검출값이 사전 설정된 임계 전압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전압 검출값이 상기 충전 종료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추가 충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를 추가 충전할 때 상기 배터리로 공급되는 충전전류의 크기가 그 직전에 배터리로 공급된 충전전류의 크기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A voltage sensor for detecting a voltage of the battery;
A charger for supplying a charging current to the battery;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unit to adjust the charging current,
The controller stops supply of the charging current whe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voltage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charging end voltage, and then, befo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elapses, The charging current is supplied and charged further until the voltage detection value reaches the charging end voltage,
Wherein the controller adjusts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further charged to have a value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to the battery immediately before the charg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터리를 추가 충전한 이후, 상기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기 전압 검출값이 상기 임계 전압 보다 크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최종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6,
Wherein after the battery is further charged, if the voltage detection value after the elapse of the reference tim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charging of the battery is terminat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웨이크업하여 상기 전압 검출값과 상기 임계 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ler wakes up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o compare the voltage detection value with the threshold voltag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웨이크업하는 회수에 기반하여 상기 기준 시간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eference time based on the number of wake-up times.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호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기 전압 센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검출하는 복수개로 구현되며,
상기 전압 검출값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중 최대 전압을 갖는 배터리 셀에서 검출된 전압 검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battery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and the voltage sensor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detectors for detecting a volt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Wherein the voltage detection value is a voltage detection value detected in a battery cell having a maximum voltage amo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삭제delete
KR1020160093454A 2016-07-22 2016-07-22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KR101776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54A KR101776517B1 (en) 2016-07-22 2016-07-22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54A KR101776517B1 (en) 2016-07-22 2016-07-22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517B1 true KR101776517B1 (en) 2017-09-08

Family

ID=5992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454A KR101776517B1 (en) 2016-07-22 2016-07-22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5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25A (en)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Cell balancing circuit for preventing polarization of battery and method preventing polarization of battery using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2929A (en) * 2003-03-17 2004-10-07 Sony Corp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device for battery
JP3584502B2 (en) * 1994-10-07 2004-11-04 ソニー株式会社 Charge control device
JP2009077499A (en) * 2007-09-19 2009-04-09 Sanyo Electric Co Ltd Charging method of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4502B2 (en) * 1994-10-07 2004-11-04 ソニー株式会社 Charge control device
JP2004282929A (en) * 2003-03-17 2004-10-07 Sony Corp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device for battery
JP2009077499A (en) * 2007-09-19 2009-04-09 Sanyo Electric Co Ltd Charging method of battery p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25A (en)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Cell balancing circuit for preventing polarization of battery and method preventing polarization of battery using thereof
KR102365219B1 (en) 2017-11-15 2022-02-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ell balancing circuit for preventing polarization of battery and method preventing polarization of battery us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4966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US11121566B2 (en) Power suppl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CN107863789B (en) Power supply system
US11011920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for engine start-up,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vehicle
US7656163B2 (en) Remaining-capacity dispersion detecting apparatus and remaining-capacity control apparatus for battery pack
KR101084828B1 (en) Battery pack and Charging Control Method for Battery Pack
JP2006166615A (en) Voltage equalization control system of storage device
KR201501376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US201300572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of assembled battery
JP2012016263A (en)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US11230205B2 (en) Vehicular power supply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US20120187912A1 (en) Method for using a stand-alone system connected to a battery
WO2014133009A1 (en) Storage battery, storage battery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03009411A (en) Charging rate adjustment circuit of set battery
JP5949510B2 (en) Charge control device and charge control method
JP7475769B2 (en) Battery resistance calculation device and method
KR1017765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WO2015029568A1 (en)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power storage system and storage battery
TW201820738A (en)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a charging method thereof
JP6929969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JPH0956080A (en) Battery charger
KR20180101756A (en) Appratus and method for wake-up sleep mode mcu
KR201500502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CN110535199B (en) Batte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7765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