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36B1 - Intake and exhaust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 Google Patents

Intake and exhaust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36B1
KR101774936B1 KR1020150170617A KR20150170617A KR101774936B1 KR 101774936 B1 KR101774936 B1 KR 101774936B1 KR 1020150170617 A KR1020150170617 A KR 1020150170617A KR 20150170617 A KR20150170617 A KR 20150170617A KR 101774936 B1 KR101774936 B1 KR 10177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noise reduction
port
exhau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6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0886A (en
Inventor
이석훈
조성연
쓰가코 아키야마
권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리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리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리얼
Publication of KR2016011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8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Compressor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에어밸브에 소음저감부를 장착하여 유압실린더의 왕복운동에 따른 공기를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한 소음저감부에서 배출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에어밸브의 개폐 여부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통하여 유압이나 공기의 흐름 등에 따른 효과적인 소음 저감이 가능한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in which a noise reduction part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air valves and the air caused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discharged from a noise reduction part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par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oise by hydraulic pressure, air flow, or the like through a control unit that separately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a plurality of air valves.

Description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INTAKE AND EXHAUST APPARATUS FOR REDUCING NOISE}[0001] INTAKE AND EXHAUST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0002]

본 발명은 흡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밸브와 연통하는 소음저감부를 통하여 별도의 배기수단 없이 수용부의 내부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reducing noise that discharges air from inside of a housing part through a noise reduction part communicating with an air valve.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은 주로 3차원의 입체영상이지만 카메라나 캠코더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이 TV, 모니터, 극장의 스크린을 통해서 보일 경우 평면 영상이기 때문에 그 입체감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Generally, when viewed by a human eye, it is mainly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However, when the image captured by a camera or a camcorder is viewed through a screen of a TV, a monitor, or a movie theater, to b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극장이나 놀이공원의 대형 이벤트 홀, 입체영화관 등의 의자에 앉아 영화를 감상할 경우 영상 속의 여러 가지 상황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도록 특수효과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가 많이 제시되고 있다.Considering this fact, recently, when a movie is watched in a chair such as a large event hall or a stereoscopic movie theater of a theater or an amusement park, a special effect having a special effect device for indirectly experiencing various situations in a video Many chairs are being presented.

보통 영화관의 경우, 일반영화를 상영하는 개봉관, 테마파크 등의 유희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서의 특수영상관, 박물관/홍보관/기업전시관에서 교육 및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전시영상관 등으로 크게 나뉠 수 있다.In the case of a movie theater,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special movie theater for the purpose of entertainment such as an opening movie showing general movies, a theme park, and an exhibition hall for educational and publicity purposes in a museum / public relations hall / company exhibition hall.

그리고, 극영화, 다큐멘터리 영화를 포함하며 대부분의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영화의 영화적 재미나 가치는 그 영화의 완성도 즉, 작가의 사상이 표현된 시나리오 및 기획의 수준, 배우의 연기력, 적절한 세트 및 화면구성 등에 의해서 평가받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인간의 오감 중 시각과 청각만을 활용해 내용을 관객들에게 전달함으로써 관객들이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되어 좀 더 영화에 몰입하고 영화에 참여하고 반응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가 극히 제한되어 왔다.In addition, the movie fun or value of a movie which is shown in most movie theaters including a feature film and a documentary movie is determined by the completeness of the movie, that is, the scenario and the level of planning in which the idea of the artist is expressed, In most cases, by using only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 of human senses, it is possible to convey the contents to audiences, so that the audience becomes the main character in the film and becomes more immersed in the film, participates in the film, Has been extremely limited.

한편, 근래에 들어와서는 신호의 쌍방향 교신이 가능한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과 영화산업의 중흥을 계기로 새로운 형태의 영화시장에 대한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spread of digital media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signals and the revival of the movie industry in recent years, the possibility of a new type of movie market has been cautiously emerged.

영화를 촬영할 때 입체촬영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이차원 영상뿐 아니라 동일한 내용이지만 현실감을 보다 증강시킨 삼차원 입체영화가 동시에 개봉되기도 하고, 이의 상영을 위한 전문 입체영상관도 생겨나고 있으며, 극장의 의자에 진동장치를 달아 영화 속의 중저음 사운드와 연동하여 자동 진동토록 함으로써 보다 깊은 느낌의 음향 체험을 할 수 있는 체감형 의자를 채택하는 영화관도 생겨나고 있다.By using stereoscopic equipment when filming a movi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movies, which have the same contents but enhanced the sense of reality, are released at the same time as two-dimensional images. There is also a specialized stereoscopic image viewer for the screening, There is also a movie theater that adopts a sensible chair that can experience a deeper sound experience by automatically vib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bass sound in the movie.

또한, 박물관 및 기업홍보관 등에서 방영하는 전시 및 홍보영상의 경우에도 다큐멘터리 형태의 사실전달 위주의 나열식 내용구성보다는 시나리오를 통해 입체 또는 컴퓨터 그래픽 특수 시각효과 등을 적절히 활용한 극을 구성하여 관객들이 영상이 몰입토록 함으로써 영상 관람 후 자연스레 지식이 습득될 수 있도록 영상시스템을 구성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hibitions and promotional videos broadcasted in museums and public relations office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dramas that appropriately utilize stereoscopic or computer-specific visual effects through scenarios,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a video system is configured to acquire knowledge naturally after video viewing is gradually increasing.

이에 따라, 주로 시각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독특하고 다양한 체험을 원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반영하여 인간의 오감 중 촉각 즉, 기분 나쁘지 않을 정도의 간단한 신체자극을 통해 관객들을 깜짝 놀라게 하거나 영상내용과 유사한 환경효과를 연출함으로써 더욱 재미있게 영상물을 관람하고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으며, 영상물을 가지고 있는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코자 하는 노력도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it reflects the psychology of modern people who desire a unique and diverse experienc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which depends mainly on the visual sense, so that they can surprise audiences through simple physical stimulation of the human senses, that is, There has been a need for research on ways to make movies more interesting and to be immersed in movies by directing environmental effects similar to those of other media, and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effectively transmit the messages having the video contents to the audience .

이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기존의 특수효과 체감용 의자들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드롭방식의 의자를 들 수 있다.A typical example of the conventional special effect feeling chair considering these points is a drop type chair.

이러한 드롭방식의 의자는 의자를 전체적으로 아래로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영화 속의 각 장면에 맞게 적절한 시점이나 의자를 순간적으로 줌으로써 영화에서 벌어지는 것과 유사한 주위 상황을 연출하여 영화를 보는 관객들이 영화적 재미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현실체험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This drop-type chair is made by dropping the chair down as a whole. By giving a suitable point or chair instantly according to each scene in the movie, it is possible to create a situation similar to the one happening in the movie, And also provides an additional effect to experience reality.

그러나, 기존 드롭방식 의자의 경우 의자를 위아래로 위치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가 끊임없이 가감되므로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체험을 가미한 극적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rop-type chair, the air supplied to the hydraulic cylinder for positioning the chair upside and downside is constantly increased or decreased, resulting in a noise generated thereby and a dramatic effect of adding experience.

KR 10-2011-0045844 A (2011.05.04)KR 10-2011-0045844 A (2011.05.0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에어밸브에 소음저감부를 장착하여 유압실린더의 왕복운동에 따른 공기를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한 소음저감부에서 배출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ffler for a muffler and a muffler for a muffler, Devic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에어밸브의 개폐 여부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통하여 유압이나 공기의 흐름 등에 따른 효과적인 소음 저감이 가능한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oise according to hydraulic pressure, air flow, and the like through a control unit that separately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a plurality of air valv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에어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모듈; 및 상기 다수의 에어밸브와 수직하도록 연통하는 소음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부는 상기 에어밸브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배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lv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valves locat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noise reductio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air valves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erein the noise reduction part discharg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valve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부는, 일측이 개방된 회전체인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배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회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reduction unit includes: a housing, which is a rotating body with one side opened; And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를 덮는 플레이트; 상기 하부케이스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포트; 및 상기 다수의 체결포트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포트 사이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흡기포트;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lower case; A plate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formed to pass through opposite sides of the lower case, respectively; And an intake port formed to pass through one surface of the lower case between a pair of fastening ports formed on any on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다수의 에어밸브와 인접하고 상기 다수의 체결포트와 대응하여 연통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업다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다운밸브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인포트; 및 상기 인포트와 대향되는 상기 제 1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1 아웃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포트와 상기 인포트는 상호 연통하고, 상기 다수의 업다운밸브는 상호 연통하며, 상기 업다운밸브와 상기 에어밸브는 상호 연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modul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up-down valve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air valves and disposed respectively at inner corners of the receiving portion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coupling ports The up-down valve comprising: a first body; An impac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a first outlet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opposite to the inlet, wherein the intake port and the inle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up-down valv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up- The air valv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포트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다수의 업다운밸브를 통과한 후 상기 체결포트로 배출되면서 체결포트와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왕복운동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 내의 공기는 상기 다수의 체결포트로 배출되어 상기 인포트와 상기 제 1 아웃포트를 통과한 후 상기 제 2 아웃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다수의 배기홀을 통하여 배출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i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up-down valves and discharged to the coupling port to reciprocate the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passes through the inlet and the first outlet port, flows into the second outlet port,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상기 다수의 에어밸브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에어 바디; 및 상기 에어 바디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제 2 아웃포트;를 포함한다.Wherein the plurality of air valves include: an air body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And a second out port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bod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장치는 상기 다수의 에어밸브의 개폐 여부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urality of air valv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상기 제 2 아웃포트에 체결되어 연통하면서 상기 에어밸브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상기 에어밸브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housing is coupled to the second out port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valve, and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valve Thereby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장치는, 상기 한 쌍의 체결포트 중 어느 하나의 체결포트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인가부재; 및 상기 전원인가부재에 인접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comprises a power supply member disposed above the coupling port of any one of the pair of coupling ports, to which external power is supplied; And a switch adjacent to the power applying memb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수직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PCB기판;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를 둘러싸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 인접한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bracket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te; A PCB substrate disposed above the pair of brackets; An upper case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an adapter adjacent to any one of the pair of bracket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에어밸브에 소음저감부를 장착하여 유압실린더의 왕복운동에 따른 공기를 수용부의 내부에 위치한 소음저감부에서 배출함으로써 별도의 배기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그에 따라 별도의 배기선이 필요하지 않아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부 내에서 자체적으로 소음을 줄이면서도 배기가 가능하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ir valves are mounted on a noise reduction unit, and air generated by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discharged from the noise reduction unit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unit, so that no separate exhaust means is required.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because no exhaust line is required, and it is possible to exhaust the exhaust gas while reducing the noise itself in the receiv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에어밸브의 개폐 여부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통하여 유압이나 공기의 흐름 등에 따른 효과적인 소음 저감이 가능하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noise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the flow of air, etc. through the control unit separate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valve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의 일방향에서의 등각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나타낸 부분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1 is an isometric view in one direction of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detail view showing area A in Fig.
3 is a plan view of Fig.
Fig. 4 is a left side view of Fig. 1;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100)는 수용부(110), 수용부(110)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에어밸브(125)를 포함하는 밸브모듈(120), 다수의 에어밸브(125)와 수직하도록 연통하는 소음저감부(130) 및 전원의 인가와 온/오프를 조절하기 위해 수용부에 장착되는 전원부(140)를 포함한다.1 is a sectional view of a valve module 100 including a housing 110 and a plurality of air valves 125 locat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ise reduction unit 130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air valves 125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air valve 125, and a power supply unit 140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unit to control the application of power and on / off of the power supply.

수용부(110)는 하부케이스(111), 플레이트(112), 브라켓(113), PCB기판(114), 상부케이스(115), 체결포트(116), 흡기포트(117) 및 어댑터(118)를 포함한다.The receptacle 110 includes a lower case 111, a plate 112, a bracket 113, a PCB substrate 114, an upper case 115, a fastening port 116, an intake port 117, .

하부케이스(111)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이고, 하부케이스(111)의 일면 중앙부에는 흡기포트(117)가 배치되며, 흡기포트(117)의 양측으로 한 쌍의 체결포트(116)가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체결포트(116)와 흡기포트(117)는 하부케이스(11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lower case 111 is hollow with the upper part opened and the intake port 117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se 111. A pair of coupling ports 116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intake port 117 do. At this time, the pair of coupling ports 116 and the intake port 117 are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one surface of the lower case 111.

플레이트(112)는 평평한 판부재로서, 하부케이스(111)의 하부를 덮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플레이트(112)의 일면에는 한 쌍의 브라켓(113)이 위치하고, 한 쌍의 브라켓(113)의 사이에 에어밸브(125) 및 소음저감부(130)가 위치하게 된다.The plate 112 is a flat plate member that is disposed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1. A pair of brackets 113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late 112 and a pair of brackets 113 The air valve 125 and the noise reduction unit 130 are positioned.

브라켓(113)은 플레이트(112)와 수직하도록 플레이트(112)의 양측에 위치하며, 브라켓(113)의 상부에는 PCB기판(114)이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브라켓(113)은 PCB기판(11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rackets 113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112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te 112 and the PCB substrate 114 is placed on the bracket 113. The bracket 113 serves to support the PCB substrate 114.

PCB기판(114)은 한 쌍의 브라켓(1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이러한 PCB기판(114)은 업다운밸브(121) 및 에어밸브(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업다운밸브(121)과 에어밸브(125)의 작동에 관여할 수 있다.The PCB substrate 114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brackets 113 and the PCB substrate 1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down valve 121 and the air valve 125, And may be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the valve 125.

상부케이스(115)는 하부케이스(111)의 상부를 둘러싸는 구조로서, 하부케이스(111)와 탈착 가능하며, 이러한 상부케이스(115)는 하부케이스(111)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case 115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case 111 and is detachable from the lower case 111. The upper case 115 is formed by inserting the components, To protect them from impact.

체결포트(116)는 하부케이스(115)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관통하도록 다수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체결포트(116)는 한 쌍으로 총 8개의 체결포트(116)가 도시되어 있다.The fastening ports 116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so as to penetrate through opposite sides of the lower case 115,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fastening ports 116 are shown as a pair of eight fastening ports 116 in total.

흡기포트(117)는 다수의 체결포트(116)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포트(116) 사이에서 하부케이스(11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intake port 117 is formed to pass through one surface of the lower case 111 between a pair of coupling ports 116 form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ports 116.

또한, 흡기포트(117)는 다수의 업다운밸브(121)와 연통하며, 이러한 흡기포트(117)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최초로 유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The intake port 117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up-down valves 121, and the intake port 117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first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어댑터(118)는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 인접하도록 플레이트(112) 상에 배치되며, 이러한 어댑터(118)는 전원인가부재(14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다운시켜 솔레노이드밸브인 업다운밸브(121)과 에어밸브(125)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adapter 118 is disposed on the plate 112 so as to be adjacent to any one of the brackets of the pair of brackets. The adapter 118 lowers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applying member 141, (121) and the air valve (125).

밸브모듈(120)은 업다운밸브(121) 및 에어밸브(125)를 포함하며, 이때의 업다운밸브(121)와 에어밸브(125)는 솔레노이드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valve module 120 includes an up-down valve 121 and an air valve 125, wherein the up-down valve 121 and the air valve 125 are preferably solenoid valves.

업다운밸브(121)는 제 1 바디(122), 인포트(123) 및 제 1 아웃포트(124)를 포함하며, 이러한 업다운밸브(121)는 다수의 에어밸브(125)와 인접하고 다수의 체결포트(116)와 대응하여 연통하도록 수용부(110)의 내부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고 도 2에서는 총 4개의 업다운밸브(12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용도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The up-down valve 121 includes a first body 122, an inlet 123 and a first out port 124. The up-down valve 121 i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air valves 125, The four up-down valves 121 are disposed at the inner corner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orts 116, respectively. In FIG. 2, a total of four up-down valves 121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r intention of the user.

제 1 바디(122)는 인포트(123)와 제 1 아웃포트(124)가 이루는 유로가 형성된다.The first body 122 is formed with a channel formed by the first port 123 and the first port 124.

인포트(123)는 제 1 바디(122)의 일측에 형성되고 체결포트(116)과 인접하면서 연통한다.The inlet 12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122 and communicates with the tightening port 116 in the vicinity thereof.

제 1 아웃포트(124)는 인포트(123)와 대향되는 제 1 바디(122)의 타측에 형성되며, 이러한 제 1 아웃포트(124)는 후술되는 에어 바디(126)와 연통한다.The first out port 1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122 which faces the infotype 123 and the first out port 124 communicates with the air body 12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에어밸브(125)는 플레이트(112)의 중앙부에 12개가 배치되고, 3개의 체결포트(116)가 하나의 세트로서 총 4세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세트는 후술되는 유압실린더(미도시)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시킨 후 소음저감부(130)에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최소 단위의 묶음으로서 작용된다. 이러한 에어밸브(125)는 에어 바디(126) 및 제 2 아웃포트(127)를 포함한다.12 air valves 125 are arrang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112, and three coupling ports 116 are formed as one set and four sets in total. At this time, each set acts as a minimum unit bundle for allowing air discharged from a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flow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noise reduction unit 130. The air valve 125 includes an air body 126 and a second out port 127.

에어 바디(126)는 플레이트(112)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에어 바디(126)의 상부에는 제 2 아웃포트(127)가 관통형성된다. 이때, 제 2 아웃포트(127)는 소음저감부(130)와 체결되어 연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air body 126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ate 112 and a second out port 127 is formed through the air body 126. At this time, the second out port 127 is structured to be connected to the noise reduction unit 13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흡기포트(117)와 인포트(123)는 상호 연통하고, 다수의 업다운밸브(121)는 상호 연통하며, 업다운밸브(121)와 에어밸브(125)는 상호 연통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유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intake port 117 and the intake port 12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up-down valves 12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the up-down valve 121 and the air valve 125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air can be moved organically.

보다 구체적으로 흡기포트(117)로 유입되는 공기는 다수의 업다운밸브(121)를 통과한 후 체결포트(116)로 배출되면서 체결포트(116)와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왕복운동시키고, 유압실린더 내의 공기는 다수의 체결포트(116)로 배출되어 인포트(123)와 제 1 아웃포트(124)를 통과한 후 제 2 아웃포트(127)로 유입되어 후술되는 다수의 배기홀(132)을 통하여 배출된다.More specifical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ake port 117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up-down valves 121, is discharged to the tightening port 116, reciprocates the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tightening port 116,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116 and passes through the in port 123 and the first out port 124 and then flows into the second out port 127 and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132 do.

소음저감부(130)는 에어밸브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부(110)의 내부로 배출하며, 이러한 소음저감부(130)는 하우징(131) 및 배기홀(132)을 포함한다.The noise reduction unit 130 discharg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valve into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unit 110. The noise reduction unit 130 includes a housing 131 and an exhaust hole 132.

하우징(131)은 일측이 개방된 회전체로 이루어지며, 하우징(131)의 개방된 일측은 제 2 아웃포트(127)에 체결되어 연통하면서 에어밸브(125)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유입된다.The open end of the housing 13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 port 127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valve 125.

배기홀(1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1)의 측면에 관통형성되고 다수로 이루어진다.The exhaust hole 132 is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31 as shown in FIG.

이러한 다수의 배기홀(132)은 하우징(131)의 길이방향 및 하우징(13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회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에어밸브(125)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다.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13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31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rotated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131, Thereby reducing nois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전원부(140)는 전원인가부재(141) 및 스위치(142)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140 includes a power supply member 141 and a switch 142.

전원인가부재(141)는 한 쌍의 체결포트 중 어느 하나의 체결포트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며, 이러한 전원인가부재(141)는 어댑터(118)와 연결되어 전원이 흐르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member 141 is disposed above the connection port of one of the pair of connection ports and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and the power supply member 141 is connected to the adapter 118 to supply power. do.

스위치(142)는 전원인가부재(14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스위치(142)는 전원의 온/오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witch 14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power supply member 141, and the switch 142 can control on / off of the power supp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100)는 다수의 에어밸브(125)의 개폐 여부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100 for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urality of air valves 125.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에어밸브(125) 중 좌측에 위치한 3개의 에어밸브(125)를 각각 제 1, 2, 3 에어밸브라고 한다.For the sake of more detailed explanation, the three air valves 125 located on the left side among the plurality of air valves 125 shown in FIG. 4 are referred to as first, second and third air valves, respectively.

이때, 제어부는 유압실린더의 왕복운동시 제 1 에어밸브만 개방하고, 제 2, 3 에어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an open only the first air valve and close the second and third air valves when the hydraulic cylinder reciprocates.

한편, 제어부는 제 1, 2 에어밸브만 개방하고, 제 3 에어밸브를 폐쇄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제 1, 2, 3 에어밸브를 모두 개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may open only the first and second air valves, close the third air valves, and op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air valves as necessary.

이처럼 제어부는 유압실린더 내의 유압이나 공기의 흐름 등을 고려하여 제 1, 2, 3 에어밸브를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유압실린더의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second, and third air valves can be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air flow in the hydraulic cylinder, so that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can be effectively reduc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를 덮는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포트 및 상기 다수의 체결포트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포트 사이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포트를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중앙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에어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포트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밸브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모듈; 및
상기 다수의 에어밸브와 수직하도록 연통하는 소음저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저감부는 상기 에어밸브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pair of fastening ports formed on either one of the fastening ports, A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rough one surface of the case and including an intake port into which air flows from the outside;
A valve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valves locat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 valve module controlling a pressure of air flowing into the air valve through the intake port; And
And a noise reduction part communicating with the air valves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urality of air valves,
Wherein the noise reducing unit discharg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valve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unit.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저감부는,
일측이 개방된 회전체인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배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회전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ise-
A housing which is a rotating body with one side opened; And
And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form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housing.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모듈은,
상기 다수의 에어밸브와 인접하고 상기 다수의 체결포트와 대응하여 연통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의 업다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다운밸브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인포트; 및
상기 인포트와 대향되는 상기 제 1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1 아웃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포트와 상기 인포트는 상호 연통하고,
상기 다수의 업다운밸브는 상호 연통하며,
상기 업다운밸브와 상기 에어밸브는 상호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alve modul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p-down valves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air valves and respectively disposed at inner corners of the receptacl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The up-
A first body;
An impac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And a first out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opposite to the infotype,
The intake port and the inf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up-down valve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herein the up-down valve and the air valv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밸브는,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에어 바디; 및
상기 에어 바디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제 2 아웃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valves comprises:
An air body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And
And a second out port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ir body.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포트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다수의 업다운밸브를 통과한 후 상기 체결포트로 배출되면서 체결포트와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왕복운동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 내의 공기는 상기 다수의 체결포트로 배출되어 상기 인포트와 상기 제 1 아웃포트를 통과한 후 상기 제 2 아웃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다수의 배기홀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ir flowing into the intake port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up-down valves, is discharged to the coupling port, reciprocates the hydraulic cylinder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
Wherein the air in the hydraulic cylind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s and flows into the second outlet port after passing through the inlet and the first outlet port and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outlet holes.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장치는 상기 다수의 에어밸브의 개폐 여부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take and exhaust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plurality of air valves.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상기 제 2 아웃포트에 체결되어 연통하면서 상기 에어밸브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다수의 배기홀은 상기 에어밸브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One sid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 port to communicate wit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valve,
Wherein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reduc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from the air valve,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장치는,
상기 한 쌍의 체결포트 중 어느 하나의 체결포트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인가부재; 및
상기 전원인가부재에 인접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ake /
A power supply member disposed above the connection port of any one of the pair of connection ports and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And
And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a switch adjacent to the power supply member.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플레이트와 수직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PCB기판;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를 둘러싸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 인접한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bracket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te;
A PCB substrate disposed above the pair of brackets;
An upper case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And
And an adapter adjacent to any one of the pair of brackets.
An intake and exhaust device for noise reduction.
KR1020150170617A 2014-06-25 2015-12-02 Intake and exhaust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KR1017749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164A KR20160000688A (en) 2014-06-25 2014-06-25 A nozzle for preventing sound
PCT/KR2015/002460 WO2015199314A1 (en) 2014-06-25 2015-03-13 Air intake/discharge device for noise reduction
KRPCT/KR2015/002460 2015-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86A KR20160110886A (en) 2016-09-22
KR101774936B1 true KR101774936B1 (en) 2017-09-06

Family

ID=549383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164A KR20160000688A (en) 2014-06-25 2014-06-25 A nozzle for preventing sound
KR1020150170617A KR101774936B1 (en) 2014-06-25 2015-12-02 Intake and exhaust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164A KR20160000688A (en) 2014-06-25 2014-06-25 A nozzle for preventing soun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20160000688A (en)
CN (1) CN105407761B (en)
PH (1) PH12015500893A1 (en)
WO (1) WO2015199314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43743U (en) * 2010-03-24 2010-11-24 上海恒润数码影像科技有限公司 Novel multi-stage bilaterally-controlled pneumatic 4D dynamic sea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114A (en) * 2000-03-30 2001-10-10 Chuo Motor Wheel Co Ltd Muffler
KR100948973B1 (en) * 2008-06-30 2010-03-23 (주)한창산업 Cassette type silencer
KR20110045844A (en)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아쿠브코리아 Motion simulation chair system
KR101193842B1 (en) * 2010-05-28 2012-10-23 현대제철 주식회사 Opening and closing speed control apparatus for air valve
CN201719811U (en) * 2010-07-01 2011-01-26 梁秀芬 Kinetic exercise device
KR101274482B1 (en) * 2011-01-17 2013-06-14 주식회사 리텍 Screw jack type 4-directional motion base apparatus
CN202044793U (en) * 2011-04-29 2011-11-23 李海彦 Kinetic seat and kinetic seat set
CN202981019U (en) * 2012-11-02 2013-06-12 上海华博信息服务有限公司 Dynamic seat with active nois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643743U (en) * 2010-03-24 2010-11-24 上海恒润数码影像科技有限公司 Novel multi-stage bilaterally-controlled pneumatic 4D dynamic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86A (en) 2016-09-22
CN105407761A (en) 2016-03-16
WO2015199314A1 (en) 2015-12-30
CN105407761B (en) 2017-12-22
KR20160000688A (en) 2016-01-05
PH12015500893A1 (en) 201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1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spatially overlapping private video streams
JP5603372B2 (en) 3D display system with flat projection screen formed from water fog or splash
US20150105167A1 (en) Special effect apparatus
US9261762B2 (en) Multi-projection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direction-changeable audience seats
US97562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wo-way interactive 3D experience
WO2006116176A3 (en) Water slide audio visual entertainment system
KR101220597B1 (en) Facilities for showing picture having game function
CA2864896A1 (en) System for controlling seat effect for facility of showing pictures
US20230294006A1 (en) Immersion Platform
KR101774936B1 (en) Intake and exhaust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KR200432342Y1 (en) 4D drop chiar
US10397562B2 (en) 4D platform for home use and 4D system for home use
US86051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yoga class imaging and streaming
DE102012007441B4 (en) Virtual Transport Machine: Task-in-Cubicle
KR101816785B1 (en) Smoke Injection Effect Apparatus For Thea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1379258B1 (en) Circular theatre using circular deck in the mid air
Uricchio There’s more to the Camera’s Obscura Than Meets the Eye
Lantz Large-scale immersive displays in entertainment and education
KR200440898Y1 (en) The video table system displaying image from both sides
US20070206120A1 (en) Double screen television
TW202320539A (en) Immersive display theater system
JP3111402U (en) Attraction room
Dockwray et al. Experimental Sound Mixing for “The Well”, a Short Film Made for Tablets
JP2009141828A (en) Display
JP2000122590A (en) Exhibi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