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583B1 -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583B1
KR101773583B1 KR1020160069722A KR20160069722A KR101773583B1 KR 101773583 B1 KR101773583 B1 KR 101773583B1 KR 1020160069722 A KR1020160069722 A KR 1020160069722A KR 20160069722 A KR20160069722 A KR 20160069722A KR 101773583 B1 KR101773583 B1 KR 10177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downward
main case
percussion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7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경철
최현호
류광열
차근식
남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16006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5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5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Since two of a pressure operation mode and a percussion operation mode are used as an operation mode of the applicator, a user can selectively use either of them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user, thereby supplying excellent use convenience to various users.

Description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0001]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본 발명은 연속 혈당 측정기의 센서 모듈을 피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터의 작동 방식을 가압 작동 방식 또는 격발 작동 방식 2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2가지 작동 방식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사용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성향이 다른 다양한 사용자에게 더욱 우수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for attaching a sensor module of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to skin.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use either of the two operation modes of the applicator or the trigger operation mode by selectively operating one of the two operation modes according to the user's tendency, To 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that provides greater ease of use to a variety of other users.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에 이르고 있다.Diabetes mellitus is a chronic disease that is common in modern people, and it accounts for more than 2 million people, or 5% of the total population in Korea.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 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Diabetes is absolutely lacking or relatively insufficient in the insulin produced by the pancreas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obesity, stress, bad eating habits, inherited hereditary factors, so that the sugar in the blood can not correct the balance in the blood, And it develops.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Blood usually contains a certain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tissue cells are getting energy here.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되며,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However, when the glucose is increased excessively, it is not properly stored in the liver, muscle or fat cells, and accumulates in the blood. As a result, the blood glucose of the diabetic patient is maintained to be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normal person. As it is released, the amount of sugar tha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each tissue of the body becomes insufficient, causing an abnormality in each tissue of the body.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Diabetes mellitus is characterized by almost no subjective symptoms at the beginning. When the disease progresses, specific symptoms such as diabetes specific next, diabetes, diarrhea, weight loss, general boredom, skin itching, And further progression of the disease may lead to complications such as visual disturbance, hypertension, kidney disease, paralysis, periodontal disease, muscle spasms and neuralgia, and gangrene.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In order to diagnose these diabetes mellitus and prevent it from progressing to complications, systematic blood glucose measurement and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in parallel.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가정에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For people with diabetes and those who have not progressed to diabetes but have more sugar than normal in their blood, many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offer a variety of blood glucose meters to measure blood glucose at home.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The blood glucose meter is a method in which the user performs blood glucose measurement on the basis of the finger tip and performs blood glucose measurement once, and the blood glucose meter is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user's abdomen and arm.

당뇨병이 심각한 상태로 진행한 환자의 경우, 혈당 관리가 더욱 엄격하게 진행되어야 하므로,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가 사용된다.In the case of a patient with severe diabetes,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that continuously performs blood glucose measurement is used because blood glucose management must be performed more strictly.

연속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혈액을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센서 모듈에는 신체에 삽입되어 혈액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와, 센서가 신체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니들과, 단말기에 정보를 송신하는 트랜스미터 등이 구비된다. 이때,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된다.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comprises a sensor module attached to a user's body and periodically extracting blood to measure blood glucose and a terminal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blood glucos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A sensor for measuring blood glucose from the blood, a needle for guiding the sensor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t this time, a separate applicator is used to attach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어플리케이터는 센서 모듈의 형태에 따라 제조사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작동 방식으로 분류하면 격발형 방식과 가압형 방식으로 분류된다.The applicator is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nsor modul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ensor module, and classified into an operation type, a trigger type and a pressure type.

격발형 방식은 사용자가 조작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센서 모듈을 격발시켜 신체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식이며, 가압형 방식은 사용자가 조작 버튼 등을 가압하고 조작 가압력에 의해 센서 모듈이 신체 표면에 부착하도록 하는 방식이다.The trigger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user actuates an operation button or the like to trigger the sensor module by elastic force and attaches the sensor module to the surface of the body. In the pressing method, the user presses an operation button and the like, .

격발형 방식은 마치 총을 발사하는 듯한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작동시 사용자에게 두려움을 유발하게 되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고, 가압형 방식은 작동시 두려움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정확하게 부착되지 않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격발형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고, 가압형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는데, 현재 사용되는 어플리케이터는 이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만 작동하게 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성향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The striking-type striking mechanism works like a gun-like firing method, which causes the user to feel frightened while operating. Therefore, the pressure striking striking method is relatively inconvenient because the fear is relatively small during operation have.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a user may prefer a trigger type or a press type, depending on the user. However, since the presently used applicator operates only in one of two ways, it can not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tendency of various users there is a problem.

국내등록특허 제10-1145668호Korean Patent No. 10-1145668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혈당 측정기의 센서 모듈을 피부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작동 방식을 가압 작동 방식 또는 격발 작동 방식 2가지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2가지 작동 방식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성향이 다른 다양한 사용자에게 더욱 우수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a sensor module of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to skin, The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ny one of the two operation modes according to the user's tendency and thereby provide better usability to various users having different tendencies.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하단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격발 버튼이 장착되는 메인 케이스;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가압 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로드가 상기 메인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게 배치되는 가압 바디; 및 상기 가압 바디의 하단에 삽입되어 별도의 탄성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압 바디로부터 하향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센서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모듈 결합부가 형성되는 격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로드를 하향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압 바디와 격발 바디가 하향 가압력에 의해 일체로 하향 이동하는 가압 작동 모드와, 상기 격발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탄성 스프링의 하향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격발 바디가 상기 가압 바디로부터 하향 탄성 이동하는 격발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를 통해 상기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used for attaching a sensor module configured to continuously measure blood glucose to a body, the applicator having a bottom surface opened, case; A pressing body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case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 pressing rod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pressing rod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main case; And a detachable body inserted into a lower end of the pressure body and coupled to be elastically movable downwardly from the pressing body by a separate elastic spring and a modular coupling part formed at a lower end to detachably connect the sensor module A pressuriz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ressurizing body and the percussion body are downwardly moved integrally by a downward pressing force as the pressurizing rod is pressed downward; and a pressuriz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ercussive body is moved downward by the downward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Wherein the sensor module is configured to attach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through any one of an operation mode of a push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ush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ushing operation mode is performed and a push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ushing operation mode is downward resilient movement from the pushing body.

이때, 상기 격발 바디에는 상기 격발 바디가 상기 가압 작동 모드 또는 격발 작동 모드를 통해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격발 바디가 상기 메인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격발 바디의 하향 이동 구간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가 상기 메인 케이스와 맞물림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movement restricting part for restricting the downward movement section of the percussion body so that the percussion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case i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ercussion body through the pressure operation mode or the percussion operation mode, And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main case.

또한, 상기 격발 바디에 상기 탄성 스프링의 하향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바디로부터 상기 격발 바디의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격발 바디에는 상기 가압 바디와 맞물림되는 격발 잠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발 잠금부는 상기 격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압 바디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detent lock portion is formed in the detachable body so as to engage with the pressing body so as to restrain downward movement of the detachable body from the pressing body in a state where the downward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is applied to the detent body, And the lock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ngaging state with the pressing body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igger button.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가압 바디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바디의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 바디에는 상기 메인 케이스와 맞물림되는 가압 잠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잠금부는 상기 격발 바디가 상기 가압 바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케이스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body is formed with a pressing lock portion engaging with the main case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body can be restrained while the pressing body moves upward in the main case internal space, The engaging state with the main case may be released when the body is insert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ody.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와 가압 바디에는 상기 가압 잠금부가 맞물림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바디의 자중에 의한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가압 작동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operation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main case and the pressing body so as to restrict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body due to its own weight in a state where the pressing lock portion is disengaged.

또한, 상기 가압 작동 가이드부는, 상기 가압 바디의 외측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부; 및 상기 메인 케이스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는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가압 바디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돌기부가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안착부가 상측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operation guide unit may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guide rail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case to exten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guide rail portion includes a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elastic projection portion can be seated and fixed while the pressing body moves upward in the main- May be formed in the upper side section.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는 상기 가압 바디가 하향 가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돌기부를 탄성 변형되게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의 하부 구간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A pressing portion capable of pressing the elastic protrusion to elastically deform in the process of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body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may be formed on the guide rail at a lower portion of the sea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가압하여 센서 모듈을 피부에 부착시키는 가압 작동 방식 또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센서 모듈을 격발 방식으로 피부에 부착시키는 격발 작동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자 성향이 다른 다양한 사용자에게 더욱 우수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a pressure operation mode in which a user presses the sensor module to attach the sensor module to the skin, or a fir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sensor module is attached to the skin in a triggering manner by user's op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excellent usability to various users having different tendenc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격발 작동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가압 작동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line of 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ercussion operation mode in the state shown in Fig. 3,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sure operating mode in the state shown in Fig. 5,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격발 작동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가압 작동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line of 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triggering operation mode in the state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cross- Fig.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sure operating mode in the state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는 가압 작동 모드와 격발 작동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를 통해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메인 케이스(100), 가압 바디(200) 및 격발 바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ttach a sensor module to a body through a selected one of operation modes selected by a user in a pressurized operation mode and a triggered operation mode, ), A pressurizing body (200) and a percussive body (300).

메인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단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격발 바디(300)를 격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격발 버튼(110)이 장착된다. 상단에는 가압 바디(200)의 가압 로드(210)가 상향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01)이 형성된다.The main case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having a lower end surface opened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trigger button 110 is mounted on one side for triggering the percussion body 300. And a through hole 10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ressing body 210 so that the pressing rod 210 of the pressing body 200 can pass upward.

가압 바디(200)는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가압 로드(210)가 형성되고 가압 로드(210)가 메인 케이스(100)를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가압 바디(200)는 하단부에 격발 바디(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pressurizing body 210 is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case 100 such that the pressurizing body 210 is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the pressurizing rod 210 is disposed to protrude upwards through the main casing 100 do. The pressurizing body 200 is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to receive the percussive body 300.

격발 바디(300)는 가압 바디(200)의 하단에 삽입되며 별도의 탄성 스프링(400)에 의해 가압 바디(200)로부터 하향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격발 바디(300)의 하단면에는 센서 모듈(P)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모듈 결합부(310)가 형성된다. 모듈 결합부(3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 플레이트(311)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개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탄성 플레이트(311)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센서 모듈(P)이 모듈 결합부(310)에 결합된다. 센서 모듈(P)에는 접착 테이프 등이 구비되어 센서 모듈(P)이 신체 표면에 접촉하게 되면 접착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신체 표면에 접착된다. 즉, 센서 모듈(P)이 격발 바디(300)와 함께 이동하여 신체 표면에 접촉하면, 접착력에 의해 신체 표면에 접착하고, 이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신체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면, 센서 모듈(P)은 모듈 결합부(310)로부터 분리되고 신체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The percussive body 3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ody 200 and is coupled to the pressing body 200 by a separate elastic spring 400 so as to move downward. The module coupling portion 31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ercussive body 300 so that the sensor module P can be detachably coupled. 2 and 3, a plurality of elastic plates 311 having an elastic force in the center direction are arranged along the peripheries, and the elastic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plate 311 The sensor module P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ortion 310. [ The sensor module P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tape or the like, and when the sensor module P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dy surface, the sensor module P is bonded to the body surface by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tape. That is, when the sensor module P moves together with the trigger body 300 and contacts the body surface, the sensor module P is bonded to the body surface by the adhesive force. In this state, when the applicator is removed from the body surface, And is detached from the coupling portion 310 and remains attached to the body surfac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레일(S1)이 형성되고, 가압 바디(200)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드 레일(S1)이 삽입 가이드되는 슬라이드 홈(S2)이 형성되며, 이러한 슬라이드 레일(S1)과 슬라이드 홈(S2) 구조를 통해 가압 바디(200)가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하 직선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가압 바디(200)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드 홈(S2)이 형성되고, 격발 바디(300)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드 홈(S2)에 삽입 가이드되는 슬라이드 레일(S1)이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격발 바디(300)가 가압 바디(200)의 내부에서 상하 직선 이동하게 된다.7, a slide rail S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case 100 and a slide groove S2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ressing body 200 to guide the slide rail S1 And the pressurizing body 200 moves up and down in the main casing 100 through the slide rail S1 and the slide groove S2. Similarly, a slide groove S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essurizing body 200, and a slide rail S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ing body 300 to b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S2. And the percussive body 300 moves up and down linearly within the pressing body 200.

본원발명의 어플리케이터는 가압 작동 모드와 격발 작동 모드 2가지 작동 모드로 작동할 수 있는데, 가압 작동 모드는 가압 로드(210)를 하향 가압함에 따라 가압 바디(200)와 격발 바디(300)가 하향 가압력에 의해 일체로 하향 이동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격발 작동 모드는 격발 버튼(110)을 조작함에 따라 탄성 스프링(400)의 하향 탄성력에 의해 격발 바디(300)가 가압 바디(200)로부터 하향 탄성 이동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The appl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two operating modes, a pressurized operating mode and a percussion operating mode, wherein the pressurized operating mode is such that as the pressurizing rod 210 is pressed downward, the pressurized body 200 and the percussive body 300 are pressed downward The percussive action mode is such that the percussive body 300 is moved downward from the pressing body 200 by the downward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400 as the trigger button 110 is operated, Lt; / RTI >

즉, 가압 작동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가압 로드(210)를 하향 가압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격발 작동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격발 버튼(110)을 조작함으로써 탄성 스프링(400)에 의해 격발 바디(300)가 하향 격발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That is, in the pressurizing operation mode, the user operates the pressurizing rod 210 in a downward direction. In the percussion operation mode, when the user operates the trigger button 110, the percussive body 300 is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spring 400 It works in a triggering fashion.

2가지 작동 모드 동일하게 격발 바디(300)가 하향 이동하게 된다. 가압 작동 모드에서는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서 가압 바디(200)와 함께 격발 바디(300)가 가압 하향 이동하게 되며, 격발 작동 모드에서는 가압 바디(200)가 메인 케이스(100)에 고정 유지된 상태에서 격발 바디(300)만 탄성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가지 작동 모드에서 격발 바디(300)가 하향 이동함으로써, 격발 바디(300)의 하단부 모듈 결합부(310)에 결합된 센서 모듈(P)이 신체 표면에 부착된다.The triggering body 300 moves downward in the two operation modes. In the pressurized operation mode, the percussion body 300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pressurized body 200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case 100. In the percussion operation mode, the pressurized body 200 is fixed to the main case 100 Only the perforated body 300 is elastically moved downward. The sensor module P coupled to the lower end module coupling portion 310 of the trigger body 300 is attached to the body surface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trigger body 300 in the two operation modes.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압 방식으로 작동하거나 또는 격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의 성향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a pressurizing manner or in a triggering manner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hus can respond to various user's tendencies.

한편, 격발 바디(300)에는 격발 바디(300)가 가압 작동 모드 또는 격발 작동 모드를 통해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격발 바디(300)가 메인 케이스(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격발 바디(300)의 하향 이동 구간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320)가 메인 케이스(100)와 맞물림되게 형성된다. 이동 제한부(320)는 걸림 후크 형태로 형성되며, 메인 케이스(100)에는 이러한 이동 제한부(320)에 맞물림될 수 있도록 걸림 돌기부(120)가 형성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detachable body 3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in casing 100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etachable body 300 in the pushing operation mode or the detachment operation mode in the detachable body 300, A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32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period is form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main case 100.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320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the main case 100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320.

또한, 격발 바디(300)는 탄성 스프링(400)에 의해 가압 바디(200)로부터 하향 탄성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하향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격발 바디(300)가 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격발 잠금부(330)가 형성된다.The percussive body 300 receives a downward elastic force from the pressing body 200 by the elastic spring 400. In order to maintain the percussive body 300 in a fixed state while the downward elastic force is applied, A portion 330 is formed.

격발 잠금부(330)는 격발 바디(300)에 탄성 스프링(400)의 하향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가압 바디(200)로부터 격발 바디(300)의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가압 바디(200)와 맞물림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가압 바디(200)에는 격발 잠금부(330)와 맞물림될 수 있는 격발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이때, 격발 잠금부(330)는 격발 버튼(110)의 조작에 따라 가압 바디(200)의 격발 걸림부(220)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된다.The detent lock portion 330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percussion body 300 from the pressurizing body 200 in a state where downward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400 is applied to the percussion body 300. [ And the percussion lock part 220 is formed on the pressing body 200 so that the percussion lock part 330 can be engaged with the percussive locking part 330. At this time, the percussion lock portion 330 is formed to be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state with the percussion lock portion 220 of the pressing body 2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ercussion button 110.

따라서, 격발 버튼(110)을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측으로 가압 조작하게 되면, 격발 버튼(110)에 의해 격발 잠금부(330)가 가압 바디(200)의 격발 걸림부(22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이에 따라 탄성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격발 바디(300)가 격발 방식으로 빠르게 하향 이동하게 된다. 3 and 7, when the trigger button 110 is depressed by the trigger button 110 in the direction of the trigger 220 of the pressing body 200, So that the percussive body 300 is rapidly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400 in the triggering manner.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바디(200)가 메인 케이스(100)에 상향 이동한 상태로 고정되고, 격발 바디(300)가 가압 바디(200)에 상향 이동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 케이스(100)의 하단면을 피부 표면에 접촉시키고, 격발 버튼(110)을 조작하면, 격발 잠금부(330)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 바디(300)가 탄성 스프링(400)에 의해 격발 방식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고, 격발 바디(300)의 모듈 결합부(310)에 결합된 센서 모듈(P)이 피부 표면에 접촉하여 부착된다. 이러한 작동 방식이 격발 작동 모드를 통한 작동 방식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pressurizing body 200 is fixed to the main case 100 while being upwardly moved, and the percussive body 300 is fixed to the pressurizing body 200 in a state of upward movement Whe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main case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kin and the trigger button 110 is operated, the engagement state of the trigger lock part 330 is released, The sensor module P attached to the module coupling portion 310 of the trigger body 300 is attached to the skin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kin. This is how it works through the triggering mode.

격발 작동 모드를 통한 작동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격발 바디(300)를 상향 이동시켜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원상 복구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는 다시 격발 작동 모드 및 가압 작동 모드를 통해 작동시킬 수 있다.After the operation through the triggering operation mode is completed, the triggering body 300 can be moved upward to restore the state shown in FIG. 3, and again, the triggering operation mode and the pressure operation mode can be operated .

한편, 가압 바디(200)에는 메인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가압 바디(200)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가압 바디(200)의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메인 케이스(100)와 맞물림되는 가압 잠금부(230)가 형성된다. 메인 케이스(100)에는 이러한 가압 잠금부(230)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가압 걸림부(140)가 형성된다.The pressing body 20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lock 200 engaging with the main case 100 so as to restrain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body 200 while the pressing body 200 moves upward in the space inside the main case 100, A portion 230 is formed. The main case 100 is formed with a press engagement portion 14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press lock portion 230.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가압 바디(200)는 전술한 격발 작동 모드 작동시에도 메인 케이스(100)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ressurizing body 200 is held in a fixed position in the main case 100 in the above-described trigger operation mode operation.

또한, 이러한 가압 잠금부(230)는 격발 바디(300)가 가압 바디(200)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메인 케이스(100)의 가압 걸림부(140)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격발 바디(300)에는 가압 바디(200)의 가압 잠금부(230)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가압 해제부(340)가 형성된다.The pressing lock portion 230 is formed to release the engaging state of the main body 100 with the pressing portion 140 in a state where the perforating body 300 is insert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ody 200. At this time, the biasing body 300 is formed with a press releasing portion 340 capable of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ress lock portion 230 of the pressing body 20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 바디(300)가 상향 삽입 완료되면, 격발 바디(300)의 가압 해제부(340)가 가압 바디(200)의 가압 잠금부(230)를 내측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압 잠금부(230)가 내측 중심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며 메인 케이스(100)의 가압 걸림부(140)로부터 맞물림 해제 상태가 된다. 5, when the percussive body 300 is inserted upward, the depressurization part 340 of the percussive body 300 moves the pressure locking part 230 of the pressure body 200 toward the inner center So that the pressure lock portion 230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and is brought into the disengaged state from the press engagement portion 140 of the main case 100. [

이 상태에서, 격발 바디(300)가 격발 작동 모드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 탄성 이동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가압 해제부(340)가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가압 잠금부(230)는 다시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며 메인 케이스(100)의 가압 걸림부(140)에 맞물림된다. 따라서, 격발 작동 모드를 통해 격발 바디(300)가 하향 이동함과 동시에 가압 바디(200)는 가압 잠금부(230)가 메인 케이스(100)에 맞물림되어 위치 고정된다.In this state, when the percussive body 300 is moved downwardly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triggering mode, the pressure relief portion 340 is moved downwar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ressure lock portion 230 is moved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press engagement portion 140 of the main case 100. [ Accordingly, when the percussive body 300 moves downward through the triggering mode, the pressing body 230 is fixed to the main body 100 by engaging with the main body 100.

또한, 격발 바디(300)가 가압 바디(200)에 상향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가압 잠금부(230)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가압 바디(200)는 격발 바디(300)와 함께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 케이스(100)와 가압 바디(200)에는 가압 잠금부(230)가 맞물림 해제된 상태에서 가압 바디(200)의 자중에 의한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가압 작동 가이드부(GM)가 형성된다.When the biasing body 300 is completely inserted upward into the pressing body 200 and the engaging state of the pressing locking part 230 is released, the pressing body 200 moves downward with its own weight together with the biasing body 300 The main body 100 and the pressing body 20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operation guide so as to restrict downward movement due to the own weight of the pressing body 200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locking part 230 is disengaged from the main body 100 and the pressing body 200, (GM) is formed.

가압 작동 가이드부(GM)는 가압 바디(200)의 외측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부(240)와, 메인 케이스(100)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sing operation guide portion GM includes an elastic protrusion 240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body 200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guide rail portion 24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case 100 130).

가이드 레일부(130)에는 메인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서 가압 바디(200)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탄성 돌기부(24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부(131)가 오목홈 형태로 상측 구간에 형성된다. 안착부(131)의 하부 구간에는 가압 바디(200)가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돌기부(240)를 내측 중심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부(132)가 안착부(131)보다 돌출되는 경로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seating part 131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guide rail part 130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so that the elastic protrusion part 240 can be seated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body 200 moves upward in the space inside the main case 100. [ . The pressing portion 132 protrudes from the seating portion 131 so that the elastic protrusion 240 can be elastically pressed toward the inner cente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pressing body 200 downward, Respectively.

따라서, 가압 바디(200)는 가압 잠금부(230)가 격발 바디(300)의 가압 해제부(340)에 의해 맞물림 해제된 상태에서 탄성 돌기부(240)가 가이드 레일부(130)의 안착부(131)에 안착되어 자중에 의한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이 상태로 위치 고정된다. 이후, 가압 로드(210)를 가압하면, 탄성 돌기부(240)가 내측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며 안착부(131)로부터 빠져나와 가압부(132) 구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구간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돌기부(240)가 가압부(132)에 의해 내측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로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가압 로드(210)를 가압하는 경우에만 하향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가압 로드(210)에 대한 가압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sing body 20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230 is disengaged by the pressing releasing portion 340 of the trigger body 300, 131 to prevent downward movement due to its own weight, and is fixed in this state. Then, when the pressing rod 210 is pressed, the elastic protrusion 240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center of the inside, and the elastic protrusion 240 moves out of the seating part 131 and moves along the pressing part 132. Since the elastic protrusion 240 moves downward in a stat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by the pressing portion 132 in the process of moving in this section,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rod 210, And thus, can provide the user with a feeling of pressing operation against the pressing rod 210. [

즉, 사용자가 일정한 힘으로 가압 로드(210)를 누르는 경우에만 가압 바디(200)가 하향 이동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정 강도의 가압 조작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sing body 200 moves downward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rod 210 with a certain force, so that the user can feel a feeling of pressing operation with a certain strength, and thus can be used more stably.

이와 같이 가압 로드(210)를 하향 가압하게 되면, 가압 바디(200)가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때, 메인 케이스(100)의 격발 버튼(110)을 조작하지 않았으므로, 격발 바디(300)는 가압 바디(200)와 결합 상태를 유지한 채로 가압 바디(200)와 함께 하향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격발 바디(300)의 모듈 결합부(310)에 결합된 센서 모듈이 피부에 접촉하여 부착되게 된다.When the pressing rod 210 is press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body 200 is moved downward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At this time, since the trigger button 110 of the main case 100 is not operated, The body 300 moves downward together with the pressing body 200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pressing body 200. [ Accordingly, the sensor module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ortion 310 of the percussion body 3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kin.

이러한 가압 작동 모드를 통한 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격발 바디(300)를 상향 가압함으로써, 격발 바디(300)와 가압 바디(200)가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원상 복귀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다시 가압 작동 모드 또는 격발 작동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through the pressurizing operation mode is completed, the perforating body 300 and the pressurizing body 200 can be returned to the state shown in FIG. 5 by pushing the perforating body 300 upward again. In this state, Again operating in a pressurized operating mode or in a triggered operating mod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메인 케이스 110: 격발 버튼
200: 가압 바디 210: 가압 로드
300: 격발 바디 310: 모듈 결합부
330: 격발 잠금부 P: 센서 모듈
GM: 가압 작동 가이드부
100: main case 110: trigger button
200: pressing body 210: pressing rod
300: Peripheral body 310: Module coupling part
330: Perception lock P: Sensor module
GM: pressure operating guide part

Claims (7)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에 있어서,
하단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격발 버튼이 장착되는 메인 케이스;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 가압 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로드가 상기 메인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향 돌출되게 배치되는 가압 바디; 및
상기 가압 바디의 하단에 삽입되어 별도의 탄성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압 바디로부터 하향 탄성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센서 모듈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모듈 결합부가 형성되는 격발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로드를 하향 가압함에 따라 상기 가압 바디와 격발 바디가 하향 가압력에 의해 일체로 하향 이동하는 가압 작동 모드와, 상기 격발 버튼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탄성 스프링의 하향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격발 바디가 상기 가압 바디로부터 하향 탄성 이동하는 격발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를 통해 상기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An applicator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used for attaching a sensor module formed so as to continuously measure blood glucose to a body,
A main case having a bottom surface opened in a container form and having a trigger button on one side;
A pressing body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case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 pressing rod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pressing rod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main case; And
The sensor modul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movable downward from the pressing body by a separate elastic spring and the module connect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body,
A pressuriz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ressurizing body and the percussion body are downwardly moved integrally by a downward pressing force as the pressurizing rod is pressed downward; and a pressurizing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ercussion button is operated by the downward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Wherein the sensor module is configured to attach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through any one of an operation mode in which the body moves downwardly elastically from the pressur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 바디에는 상기 격발 바디가 상기 가압 작동 모드 또는 격발 작동 모드를 통해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격발 바디가 상기 메인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격발 바디의 하향 이동 구간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가 상기 메인 케이스와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vement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a downward movement interval of the percussion body so that the percussion body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case in a process of moving the percussion body downward through the push operation mode or the percussion operation mode, And an applicator for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 바디에 상기 탄성 스프링의 하향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바디로부터 상기 격발 바디의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격발 바디에는 상기 가압 바디와 맞물림되는 격발 잠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발 잠금부는 상기 격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압 바디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detent lock portion is formed in the detachable body so as to engage with the detachable body so as to restrain downward movement of the detachable body from the detachable body in a state in which downward elasticity of the elastic spring is applied to the detachable body,
Wherein the detent lock portion is formed to be released from engagement with the pressing body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detonating butt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가압 바디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바디의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 바디에는 상기 메인 케이스와 맞물림되는 가압 잠금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 잠금부는 상기 격발 바디가 상기 가압 바디의 하단으로부터 상향 삽입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케이스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ssure body is formed with a pressure lock portion engageable with the main case so as to restrain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ure body in a state that the pressure body moves upward in the main case space,
Wherein the pressure lock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engagement state with the main case is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percussion body is insert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bod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와 가압 바디에는 상기 가압 잠금부가 맞물림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바디의 자중에 의한 하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가압 작동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ssing operation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main case and the pressing body so that downward movement due to the weight of the pressing body can be constrained while the pressing lock portion is disengag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작동 가이드부는
상기 가압 바디의 외측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탄성 돌기부; 및
상기 메인 케이스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는
상기 메인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가압 바디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돌기부가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안착부가 상측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essing operation guide portion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pressing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A guide rail portion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main case along a vertical direction,
, And the guide rail
Wherein a seat portion capable of being seated and fixed in a state where the pressing body is moved upwar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case is formed in an upper sec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는 상기 가압 바디가 하향 가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돌기부를 탄성 변형되게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가 상기 안착부의 하부 구간에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어플리케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urging portion capable of pressing the elastic protrusion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process of downward movement of the pressing body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KR1020160069722A 2016-06-03 2016-06-03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17735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722A KR101773583B1 (en) 2016-06-03 2016-06-03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722A KR101773583B1 (en) 2016-06-03 2016-06-03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583B1 true KR101773583B1 (en) 2017-09-01

Family

ID=5992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722A KR101773583B1 (en) 2016-06-03 2016-06-03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583B1 (en)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309B1 (en) * 2018-02-23 2018-08-23 주식회사 티포엘 Blood glucose sensor insertion device
WO2020027424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WO2020027422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body attachment unit
WO2020027425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WO2020027433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WO2020027426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WO2020027421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body attachment unit
WO2020027420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WO2020027423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sugar measuring device
WO2020027427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KR20200014000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20200014157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20200014156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WO2020067628A1 (en) * 2018-09-27 2020-04-02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WO2020222421A1 (en) * 2019-04-30 2020-11-05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WO2021201457A1 (en)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apparatus
JP2022500127A (en) * 2018-09-27 2022-01-04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JP2022500128A (en) * 2018-09-27 2022-01-04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JP2022503482A (en) * 2018-07-31 2022-01-12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KR20220145521A (en)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비티 Micro needle bio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220145520A (en)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비티 Micro needle bio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2493415B1 (en) 2021-09-23 2023-01-31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using replica mold
KR102497679B1 (en) 2021-09-15 2023-02-08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support layer
WO2023013871A1 (en)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and applicator assembly for transdermal sensor
WO2023013870A1 (en)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WO2023013872A1 (en)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102505313B1 (en) 2021-09-23 2023-03-06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passive layer
KR20230039321A (en)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알비티 Micro needle bio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230042870A (en)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알비티 Applicator for micro needle bio sensor
KR20230042871A (en)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알비티 Contin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with micro needle bio sensor
KR20230043274A (en)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Pt black WORKING ELECTRODE
KR20230043275A (en)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interference shielding layer
KR20230043276A (en)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Ag/AgCl REFERENCE ELECTRODE
US11998323B2 (en) 2018-07-31 2024-06-04 I-Sens, Inc.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79B1 (en) 1999-02-23 2007-02-22 라이프스캔, 인코포레이티드 Lancing device causing reduced pain
JP2010162362A (en) 2001-01-19 2010-07-29 Panasonic Corp Apparatus for driving lancet
KR101508875B1 (en) 2014-03-25 2015-04-07 권두상 blood lancet device using the same methods us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479B1 (en) 1999-02-23 2007-02-22 라이프스캔, 인코포레이티드 Lancing device causing reduced pain
JP2010162362A (en) 2001-01-19 2010-07-29 Panasonic Corp Apparatus for driving lancet
KR101508875B1 (en) 2014-03-25 2015-04-07 권두상 blood lancet device using the same methods used

Cited B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309B1 (en) * 2018-02-23 2018-08-23 주식회사 티포엘 Blood glucose sensor insertion device
JP7060757B2 (en) 2018-07-31 2022-04-26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2021531874A (en) * 2018-07-31 2021-11-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WO2020027425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WO2020027433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WO2020027426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WO2020027424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WO2020027420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WO2020027423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sugar measuring device
WO2020027427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KR20200014002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20200014000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20200013997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20200014157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20200014156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20200013996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20200013999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US11998323B2 (en) 2018-07-31 2024-06-04 I-Sens, Inc.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JP2022503482A (en) * 2018-07-31 2022-01-12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JP7161029B2 (en) 2018-07-31 2022-10-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KR102185137B1 (en) 2018-07-31 2020-12-02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185833B1 (en) * 2018-07-31 2020-12-03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197578B1 (en) * 2018-07-31 2021-01-05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197577B1 (en) * 2018-07-31 2021-01-05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200136B1 (en) * 2018-07-31 2021-01-11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AU2019314012B2 (en) * 2018-07-31 2022-10-06 I-Sens, Inc.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KR102222044B1 (en) * 2018-07-31 2021-03-04 주식회사 아이센스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222045B1 (en) * 2018-07-31 2021-03-04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JP7132423B2 (en) 2018-07-31 2022-09-06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dhesive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JP2021531118A (en) * 2018-07-31 2021-11-18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2021531869A (en) * 2018-07-31 2021-11-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7132421B2 (en) 2018-07-31 2022-09-06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dhesive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JP2021531875A (en) * 2018-07-31 2021-11-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2021531873A (en) * 2018-07-31 2021-11-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2021531868A (en) * 2018-07-31 2021-11-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JP2021531872A (en) * 2018-07-31 2021-11-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JP2021531871A (en) * 2018-07-31 2021-11-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JP2021531870A (en) * 2018-07-31 2021-11-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7132422B2 (en) 2018-07-31 2022-09-06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dhesive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JP7098815B2 (en) 2018-07-31 2022-07-11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7098814B2 (en) 2018-07-31 2022-07-11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7161028B2 (en) 2018-07-31 2022-10-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lood glucose measurement body-adherent unit
WO2020027422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body attachment unit
WO2020027421A1 (en) * 2018-07-31 2020-02-06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body attachment unit
AU2019313136B2 (en) * 2018-07-31 2022-06-09 I-Sens, Inc.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JP7086267B2 (en) 2018-07-31 2022-06-17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7098816B2 (en) 2018-07-31 2022-07-11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KR20200036120A (en) * 2018-09-27 2020-04-07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JP2022501100A (en) * 2018-09-27 2022-01-06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JP2022500128A (en) * 2018-09-27 2022-01-04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JP2022500127A (en) * 2018-09-27 2022-01-04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U2019349479B2 (en) * 2018-09-27 2022-04-21 I-Sens, Inc.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JP7181385B2 (en) 2018-09-27 2022-11-30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lood glucose measurement body-adherent unit
JP7139520B2 (en) 2018-09-27 2022-09-20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WO2020067628A1 (en) * 2018-09-27 2020-04-02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KR102222049B1 (en) * 2018-09-27 2021-03-04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JP7161037B2 (en) 2018-09-27 2022-10-25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Blood glucose measurement body-adherent unit
WO2020222421A1 (en) * 2019-04-30 2020-11-05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JP7185075B2 (en) 2019-04-30 2022-12-06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Applicator for blood glucose meter
JP2022529292A (en) * 2019-04-30 2022-06-20 アイセ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Applicator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WO2021201457A1 (en)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아이센스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apparatus
KR20220145521A (en)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비티 Micro needle bio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220145520A (en)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알비티 Micro needle bio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2664738B1 (en) 2021-08-05 2024-05-10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20240004148A (en) * 2021-08-05 2024-01-11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WO2023013871A1 (en)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and applicator assembly for transdermal sensor
WO2023013870A1 (en)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20230021407A (en)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20230021404A (en)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20230021405A (en) * 2021-08-05 2023-02-14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102646235B1 (en) 2021-08-05 2024-03-11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WO2023013872A1 (en) * 2021-08-05 2023-02-09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102646234B1 (en) 2021-08-05 2024-03-11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102618026B1 (en) 2021-08-05 2023-12-27 주식회사 아이센스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KR20230142400A (en) 2021-09-14 2023-10-11 주식회사 알비티 Micro needle bio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230039321A (en) 2021-09-14 2023-03-21 주식회사 알비티 Micro needle bio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2497679B1 (en) 2021-09-15 2023-02-08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support layer
KR20230043274A (en)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Pt black WORKING ELECTRODE
KR20230043275A (en)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interference shielding layer
KR20230043276A (en) 2021-09-23 2023-03-31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Ag/AgCl REFERENCE ELECTRODE
KR20230042871A (en)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알비티 Contin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with micro needle bio sensor
KR20230042870A (en) 2021-09-23 2023-03-30 주식회사 알비티 Applicator for micro needle bio sensor
KR102505313B1 (en) 2021-09-23 2023-03-06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with passive layer
KR102493415B1 (en) 2021-09-23 2023-01-31 주식회사 알비티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 needle bio sensor using replica mo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583B1 (en)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164791B1 (en)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JP7185075B2 (en) Applicator for blood glucose meter
KR102200138B1 (e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222045B1 (e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222049B1 (en)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200136B1 (e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200137B1 (en)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JP7086267B2 (en)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KR102197578B1 (en)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JP7161037B2 (en) Blood glucose measurement body-adherent unit
JP2023178439A (en)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U2019313138A1 (en)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KR102200140B1 (en) Sensor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185833B1 (e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KR102595237B1 (en) Applicator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JP2022500127A (en)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